KR101338919B1 - 다기능 훈욕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훈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919B1
KR101338919B1 KR1020120013981A KR20120013981A KR101338919B1 KR 101338919 B1 KR101338919 B1 KR 101338919B1 KR 1020120013981 A KR1020120013981 A KR 1020120013981A KR 20120013981 A KR20120013981 A KR 20120013981A KR 101338919 B1 KR101338919 B1 KR 101338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migation
cover
space
steam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2319A (ko
Inventor
홍대순
Original Assignee
홍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대순 filed Critical 홍대순
Priority to KR1020120013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919B1/ko
Publication of KR20130092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10Devices on tubs for 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2033/068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61H2203/0431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position, like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6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7Genit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이나 발의 훈욕이나 좌식 훈욕의 용도로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다기능 훈욕기를 개시하며, 상기 다기능 훈증기는 훈증 공간과 물 공급 공간이 형성되는 훈증 용기; 상기 훈증 공간의 측벽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증기 유출구의 상부에 배치가능한 다리 받침 모듈; 상기 증기 유출구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토출 커버; 상기 토출 커버와 상기 증기 유출구 사이에 배치되며 훈증 팩을 수용하는 훈증 팩 수용부; 사용자의 다리와 손이 관통할 수 있는 한 쌍의 손 투입부와 한 쌍의 다리 투입부가 형성되는 상측 커버부와 상기 상측 커버부에 하부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훈증 공간의 상측을 커버하면서 상기 입구와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한 연결부재가 자신의 하부에 구성된 하측 커버부로 이루어지는 훈증 커버; 및 중앙에 관통되어서 착석하는 상기 사용자의 둔부가 상기 증기에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훈증 공간의 상기 입구에 결합되는 착석 커버;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다리 받침 모듈과 상기 훈증 커버와 상기 착석 커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훈증 용기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손과 발의 훈증 또는 상기 사용자의 둔부의 훈증을 위한 동작이 선택적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훈욕기{Multi-function fumigator}
본 발명은 훈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이나 발의 훈욕이나 좌식 훈욕의 용도로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다기능 훈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열을 경혈에 가하면 경혈이 자극되어서 혈액 순환이 잘되어서 손발이 차거나 통증을 갖는 사람들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치질이나 여성의 냉대하증 또는 각종 부인과 질환의 경우 환부의 치료 보조로 일반적으로 좌욕이 권장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기 위한 장치의 일예가 공개특허 10-2008-0016210호로 "훈욕 한방 패드 및 그 사용 방법"으로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손이나 발 또는 좌욕을 위한 훈증기는 각각 개별 상품화되엇 판매되고 있으며 사용자가 보다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제한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다기능 훈욕기의 개발이 소망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이나 발 또는 둔부를 훈욕할 수 있는 다기능 훈욕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재나 아로마와 같은 훈증 효과를 증가할 수 있는 기능성을 갖는 훈증재를 봉재한 훈증팩을 카트리지에 수용하고 훈증팩에 증기를 토출함으로써 다양한 훈증 효과를 부가할 수 있는 다기능 훈욕기를 제공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을 훈증함에 있어서 무릎 이상까지 밀폐된 공간에서 훈증할 수 있으며 발 마사지 기능을 갖는 다기능 훈욕기를 제공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훈증기는, 본체 상에 개방된 입구가 상부에 형성되고 저면에 증기의 토출이 가능한 증기 유출구가 형성된 훈증 공간과 상기 훈증 공간과 분리되며 물을 수용하는 물 수용 용기가 상측으로 출입가능한 물 공급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훈증 공간의 하부의 상기 본체 내에 내장되며 상기 물 공급 공간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증기로 변환한 후 상기 증기를 상기 증기 유출구로 공급하는 히팅 블럭이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일면에 상기 히팅 블럭의 온도 조절과 가열 시간 조절을 위한 다수의 버튼을 구비하는 조절 패널이 구성되는 훈증 용기; 다수의 휠이 동일 축 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롤러 유니트가 좌우로 분할되며 각 축의 일단이 중앙의 연결 프레임과 결합되어서 평행하게 배치되며, 다수의 상기 롤러 유니트의 각 축의 타단이 상기 훈증 공간의 측벽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증기 유출구의 상부에 배치가능한 다리 받침 모듈; 상기 증기 유출구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며 측면으로 관통공이 형성됨으로써 자신의 하부에서 유입되는 상기 증기를 자신의 측면으로 토출되도록 유도하는 토출 커버; 상기 토출 커버와 상기 증기 유출구 사이에 배치되며 훈증 팩을 수용하는 훈증 팩 수용부; 사용자의 다리와 손이 관통할 수 있는 한 쌍의 손 투입부와 한 쌍의 다리 투입부가 형성되는 상측 커버부와 상기 상측 커버부에 하부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훈증 공간의 상측을 커버하면서 상기 입구와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한 연결부재가 자신의 하부에 구성된 하측 커버부로 이루어지는 훈증 커버; 및 중앙에 관통되어서 착석하는 상기 사용자의 둔부가 상기 증기에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훈증 공간의 상기 입구에 결합되는 착석 커버;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다리 받침 모듈과 상기 훈증 커버와 상기 착석 커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훈증 용기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손과 발의 훈증 또는 상기 사용자의 둔부의 훈증을 위한 동작이 선택적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다리 받침 모듈의 다수의 상기 롤러 유니트는 상기 연결 프레임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 유니트는 크기가 다른 휠들이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이고, 상기 훈증 용기는 상기 다리 받침 모듈의 상기 롤러 유니트의 각 축의 상기 타단과 결합되는 다수의 요부를 갖는 안착부가 상기 훈증 공간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훈증 팩 수용부는 상면과 하분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증기가 상기 훈증 팩을 통하여 상부로 방출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측 커버부는 상기 하측 커버부와 일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결합에 의한 회전으로 상기 손 투입부와 상기 다리 투입부의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측 커버부는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일부 또는 전체의 접이가 가능한 구조 또는 재질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측 커버부의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하측 커버부의 하측 단부에 봉재된 선형 부재와 상기 하측 단부에 일부 노출된 상기 선형 부재가 관통되면서 상기 선형 부재의 매듭된 위치를 조절하는 매듭 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 수용 용기는 물 수용량을 시각적으로 계측하기 위한 눈금이 형성되고, 상기 물 공급 공간이 형성된 상기 본체의 일부는 상기 물 수용 용기 내의 물 수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의 윈도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훈증 용기의 하부에는 상기 히팅 블럭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히팅 블럭 내에서 상기 증기로 변환되지 않은 물을 배출하는 배출콕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훈욕기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이나 발 또는 둔부를 훈욕할 수 있고, 약재나 아로마와 같은 훈증 효과를 증가할 수 있는 기능성을 갖는 훈증재를 봉재한 훈증팩을 이용하여 다양한 훈증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발을 훈증함에 있어서 무릎 이상까지 밀폐된 공간에서 훈증할 수 있으며 발 마사지 기능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훈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손과 발을 훈욕하기 위하여 세팅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훈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둔부를 훈욕하기 위하여 훈증 커버가 제거되고 위한 착석 커버와 물 수용 용기가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훈증 커버가 제거되고 다리 받침 모듈이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증기 유출구가 노출된 상태의 훈증 용기의 평면도.
도 5는 증기 유출구 상에 훈증 팩 수용부가 배치된 상태의 훈증 용기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훈증 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훈증 용기의 평면도.
도 7의 (a) 내지 (c)는 도 4 내지 도 6의 순으로 조립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8은 다리받침 모듈과 그 하부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9는 다리와 팔을 훈증하기 위하여 실시예를 이용하는 사용 상태도.
도 10은 좌욕을 위하여 실시예를 이용하는 사용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손과 발을 훈욕하기 위하여 세팅될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둔부를 훈욕하기 위하여 훈증 커버가 제거되고 위한 착석 커버가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다리 받침 모듈이 조립될 수 있고,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증기 유출구 상에 훈증 팩 수용부와 훈증 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훈증 용기(10), 다리 받침 모듈(12), 토출 커버(14), 훈증팩 수용부(16), 훈증 커버(18), 착석 커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훈증 용기(10)는 본체 상에 개방된 입구가 상부에 형성되고 저면에 증기의 토출이 가능한 증기 유출구(34)가 형성된 훈증 공간(30)과 훈증 공간(30)과 분리되며 물을 수용하는 물 수용 용기(36)가 상측으로 출입가능한 물 공급 공간(32)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증기 유출구(34)는 증기가 유입되는 하부의 유입구보다 증기가 배출되는 상부의 배출구가 큰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증기 유출구(34)의 상부는 훈증 팩 수용부(16)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증기 유출구(34)는 상부에 배치되는 토출 커버(14)가 정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안내하거나 고정하기 위한 돌출 핀이나 돌출턱과 같은 체결 구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훈증 공간(30)은 상기한 다리 받침 모듈(12)을 지지하기 위한 안착부(38)가 서로 대칭되는 양쪽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38)의 구성은 다리 받침 모듈(12)과 같이 상세히 후술한다.
한편, 물 수용 용기(36)는 물 수용량을 시각적으로 계측하기 위한 눈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그리고, 물 공급 공간(32)이 형성된 훈증 용기(10)의 본체의 일부는 물 수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개방되거나 또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된 윈도우(37)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훈증 공간(30)과 물 공급 공간(32)은 훈증 용기(10)의 하부에 탑재되는 히팅 블럭(40)을 통하여 연결되며, 히팅 블럭(40)은 물 공급 공간(32)에서 공급되는 물을 증기로 변환하고 증기를 훈증 공간(32)의 증기 유출구(34)로 배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를 위하여 히팅 블록(40)은 훈증 용기(10) 본체의 일면에 온도 조절과 가열 시간 조절을 위한 다수의 버튼을 구비하는 조절 패널(42)에 의하여 가열이 제어되며, 훈증 용기 본체의 하부에 증기로 변환되지 않은 물을 배출하는 배출 콕(44)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배출 콕(44)으로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45)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물 수용 용기(36)가 출입되는 물 공급 공간(32)의 입구는 커버(46)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으며, 훈증 용기(10)의 물 공급 공간(32)이 형성된 반대쪽 측벽에 부품들이나 훈증 팩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48)이 형성되고 그 상부가 커버(50)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물 수용 용기(36)는 하부에 밸브를 갖는 캡(52)이 구성될 수 있으며, 캡(52)은 물 공급 공간(32)의 하부에 맞닿으면 열려서 내부의 물을 물 공급 공간(32)으로 공급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물 수용 용기(36)를 물 공급 공간(32)에 삽입하면 밸브를 갖는 캡(52)에 의하여 물을 공급하는 구조는 일반적인 가습기에서 사용하는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다리 받침 모듈(1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리 받침 모듈(12)은 다수의 휠이 동일 축 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롤러 유니트가(60) 좌우로 분할되며 각 축의 일단이 중앙의 연결 프레임(62)과 결합되어서 평행하게 배치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각 롤러 유니트(60)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휠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롤러 유니트(60)들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롤러 유니트(60)가 연결 프레임(62)을 중심으로 배치되며, 이러한 대칭된 형상을 갖는 롤러 유니트(60)의 쌍은 연결 프레임(6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평행하게 이격되면서 다수가 배치됨으로써 다리 받침 모듈(12)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롤러 유니트(60)의 축의 일단은 연결 프레임(62)에 고정되고 타단은 훈증 공간(30)의 대칭되는 양 측벽에 형성되는 안착부(38)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여기에서, 안착부(38)는 다리 받침 모듈(12)의 롤러 유니트(60)의 외측으로 배치된 각 축의 타단과 결합되는 다수의 요부가 연속하여 형성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안착부(38)는 훈증 공간(3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훈증 공간(30)의 내측에 조립되어 설치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다리 받침 모듈(12)의 하부에는 토출 커버(14)와 훈증팩 수용부(16)가 증기 유출부(34) 상에 형성된다.
먼저, 토출 커버(14)는 증기 유출구(34)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며 측면으로 관통공(15)이 형성됨으로써 자신의 하부에서 유입되는 증기를 자신의 측면으로 토출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토출 커버(14)는 훈증 공간(30)의 저면에 형성된 증기 유출구(34)를 모두 커버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공(15)의 형성된 측벽의 높이로써 훈증팩 수용부(16)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이루는 구성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훈증 팩 수용부(16)는 상면과 하분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됨으로써 증기가 내부에 수용되는 훈증 팩(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상부로 방출되는 것을 보장하는 카트리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훈증 팩은 쑥, 허브 또는 홍삼 등과 같이 피부의 보습에 기여하거나 경혈을 자극하여 혈액 순환을 촉진하거나 또는 손발이 차거나 통증을 갖는 사람들에 효과가 있는 공지의 한방재를 수용하는 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훈증 팩은 증기가 침투하고 발산이 용이한 부직포나 종이 재질의 커버로 구성된 것이 이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훈증 용기(10)의 훈증 공간(30) 상부에는 훈증 공간(30)의 입구와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한 연결 부재를 갖는 훈증 커버(18)가 구성될 수 있다.
훈증 커버(18)는 상측 커버부(70)와 하측 커버부(72)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측 커버부(70)는 사용자의 손이 관통할 수 있는 한 쌍의 손 투입부(74)와 다리가 관통할 수 있는 한 쌍의 다리 투입부(76)가 형성되며, 하측 커버부(72)는 훈증 공간(30)의 상측을 커버하면서 훈증 공간(30)의 입구와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한 연결부재(78)가 자신의 하부에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측 커버부(70)는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측 커버부(72)와 일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한 결합에 의한 회전으로 사용자가 않은 위치에서 편하게 손과 다리를 투입할 수 있는 방향으로 손 투입부(74)와 다리 투입부(76)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하측 커버부(72)는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일부 또는 전체의 접이가 가능한 구조 또는 재질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하측 커버부(72)의 연결 부재(78)는 하측 커버부(72)의 하측 단부에 봉재된 선형 부재(80)와 하측 단부에 일부 노출된 선형 부재(80)가 관통되면서 선형 부재(80)의 매듭된 위치를 조절하는 매듭 블럭(82)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제작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착석 커버(20)는 중앙에 관통되어서 착석하는 사용자의 둔부가 훈증 공간(30)으로 토출되는 증기에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며 훈증 공간(30)의 입구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도 9와 같이 이용되거나 도 10과 같이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손이나 발의 훈증을 위해서는 훈증 용기(10)의 내부에 다리 받침 모듈(12)을 배치한 후 그 상부에 훈증 커버(18)를 설치한 후 별도의 의자 등에 앉아서 손 투입부(74)와 다리 투입부(76)에 각각 손이나 다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넣고 훈증 용기(10)를 작동 시킴으로써 손이나 발 중 하나 이상에 대한 훈욕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훈욕을 위한 온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절 패널(42)의 버튼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히팅 블록(40)의 온도가 조절되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온도로 증기가 발생되어서 훈증 용기(10)의 훈증 공간(30)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때, 훈증 공간(30) 내의 증기 유출부(34)의 상부에는 훈증팩 수용부(16)와 토출 커버(14)가 배치된 상태이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다양한 훈증 팩이 훈증팩 수용부(16)에 수용되어서 훈증에 이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좌욕을 원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도 10과 같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토출 커버(14)를 제거한 상태에서 착석 커버(20)를 훈증 용기(10)의 훈증 공간(30)의 입구에 설치하고 착석함으로써 둔부의 훈욕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다리 받침 모듈(12)은 제거하고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기능으로 손, 발 또는 둔부와 같이 다양한 부위에 훈욕을 실시할 수 있는 다기능성을 가지며, 또한 다양한 온도로 조절하여 운욕을 실시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발생하는 증기의 양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훈욕기는 개선된 기능성을 가지면서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감이나 이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10 : 훈증 용기 12 : 다리 받침 모듈
14 : 토출 커버 16 : 훈증팩 수용부
18 : 훈증 커버 20 : 착석 커버
48 : 수납 공간

Claims (10)

  1. 본체 상에 개방된 입구가 상부에 형성되고 저면에 증기의 토출이 가능한 증기 유출구가 형성된 훈증 공간과 상기 훈증 공간과 분리되며 물을 수용하는 물 수용 용기가 상측으로 출입가능한 물 공급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훈증 공간의 하부의 상기 본체 내에 내장되며 상기 물 공급 공간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증기로 변환한 후 상기 증기를 상기 증기 유출구로 공급하는 히팅 블럭이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일면에 상기 히팅 블럭의 온도 조절과 가열 시간 조절을 위한 다수의 버튼을 구비하는 조절 패널이 구성되는 훈증 용기;
    다수의 휠이 동일 축 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롤러 유니트가 좌우로 분할되며 각 축의 일단이 중앙의 연결 프레임과 결합되어서 평행하게 배치되며, 다수의 상기 롤러 유니트의 각 축의 타단이 상기 훈증 공간의 측벽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증기 유출구의 상부에 배치가능한 다리 받침 모듈;
    상기 증기 유출구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며 측면으로 관통공이 형성됨으로써 자신의 하부에서 유입되는 상기 증기를 자신의 측면으로 토출되도록 유도하는 토출 커버;
    상기 토출 커버와 상기 증기 유출구 사이에 배치되며 훈증 팩을 수용하는 훈증 팩 수용부;
    사용자의 다리와 손이 관통할 수 있는 한 쌍의 손 투입부와 한 쌍의 다리 투입부가 형성되는 상측 커버부와 상기 상측 커버부에 하부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훈증 공간의 상측을 커버하면서 상기 입구와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한 연결부재가 자신의 하부에 구성된 하측 커버부로 이루어지는 훈증 커버; 및
    중앙에 관통되어서 착석하는 상기 사용자의 둔부가 상기 증기에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훈증 공간의 상기 입구에 결합되는 착석 커버;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다리 받침 모듈과 상기 훈증 커버와 상기 착석 커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훈증 용기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손과 발의 훈증 또는 상기 사용자의 둔부의 훈증을 위한 동작이 선택적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훈욕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받침 모듈의 다수의 상기 롤러 유니트는 상기 연결 프레임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구성되는 다기능 훈욕기.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유니트는 크기가 다른 휠들이 조합되어 이루어지는 다기능 훈욕기.
  4. 제1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훈증 용기는 상기 다리 받침 모듈의 상기 롤러 유니트의 각 축의 상기 타단과 결합되는 다수의 요부를 갖는 안착부가 상기 훈증 공간의 측벽에 형성되는 다기능 훈욕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훈증 팩 수용부는 상면과 하분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증기가 상기 훈증 팩을 통하여 상부로 방출되는 것을 보장하는 카트리지로 구성되는 다기능 훈욕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커버부는 상기 하측 커버부와 일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결합에 의한 회전으로 상기 손 투입부와 상기 다리 투입부의 방향이 조절될 수 있는 다기능 훈욕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커버부는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일부 또는 전체의 접이가 가능한 구조 또는 재질을 갖는 다기능 훈욕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커버부의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하측 커버부의 하측 단부에 봉재된 선형 부재와 상기 하측 단부에 일부 노출된 상기 선형 부재가 관통되면서 상기 선형 부재의 매듭된 위치를 조절하는 매듭 블럭을 포함하는 다기능 훈욕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수용 용기는 물 수용량을 시각적으로 계측하기 위한 눈금이 형성되고, 상기 물 공급 공간이 형성된 상기 본체의 일부는 상기 물 수용 용기 내의 물 수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의 윈도우가 형성되는 다기능 훈욕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훈증 용기의 하부에는 상기 히팅 블럭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히팅 블럭 내에서 상기 증기로 변환되지 않은 물을 배출하는 배출콕이 더 형성되는 다기능 훈욕기.
KR1020120013981A 2012-02-10 2012-02-10 다기능 훈욕기 KR101338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981A KR101338919B1 (ko) 2012-02-10 2012-02-10 다기능 훈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981A KR101338919B1 (ko) 2012-02-10 2012-02-10 다기능 훈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319A KR20130092319A (ko) 2013-08-20
KR101338919B1 true KR101338919B1 (ko) 2013-12-10

Family

ID=49217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981A KR101338919B1 (ko) 2012-02-10 2012-02-10 다기능 훈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9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132U (ko) * 2017-07-06 2019-01-16 박성주 습식 겸용 건식 족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45217B (zh) * 2019-02-02 2024-05-14 奥佳华智能健康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多模式熏蒸器
CN113558964B (zh) * 2021-07-27 2023-10-24 阳谷县中医院 基于体型调整的中医妇产科用熏洗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978A (ko) * 2001-11-17 2003-05-23 양원동 다기능 좌훈 좌욕, 좌열 시스템
KR20040037849A (ko) * 2002-02-18 2004-05-08 유승희 다기능 쑥 좌훈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978A (ko) * 2001-11-17 2003-05-23 양원동 다기능 좌훈 좌욕, 좌열 시스템
KR20040037849A (ko) * 2002-02-18 2004-05-08 유승희 다기능 쑥 좌훈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132U (ko) * 2017-07-06 2019-01-16 박성주 습식 겸용 건식 족욕 장치
KR200489505Y1 (ko) * 2017-07-06 2019-06-28 박성주 습식 겸용 건식 족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319A (ko) 201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969B1 (ko) 착석식 스팀 족욕 겸용 좌훈 장치
JP5385461B2 (ja) スチーム燻蒸半身浴サウナ器
KR100951968B1 (ko) 스팀 분사식 족욕 겸용 좌훈 장치
US7503926B2 (en) Combined sauna and environmental capsule
KR100662058B1 (ko) 건식과 습식을 겸용한 스팀식 족욕기
US20120246820A1 (en) Steam Sauna for the Lower Body
KR100863609B1 (ko) 스팀 반신욕 장치
US20070000043A1 (en) Warm bath equipment
KR200404317Y1 (ko) 족욕 및 좌욕이 가능한 다기능 스팀기
KR101338919B1 (ko) 다기능 훈욕기
US20110209283A1 (en) Medicated Steam Bath Cabin
KR100999991B1 (ko) 스팀 훈증 반신욕 사우나기
KR200406632Y1 (ko) 족욕기
KR100955412B1 (ko) 스팀 훈증 반신욕 사우나기
KR20130106239A (ko) 다기능 좌훈좌욕기
KR101441643B1 (ko) 스팀 훈증 반신욕 사우나기
CN109077920A (zh) 养生瓮
KR200441374Y1 (ko) 전신훈증기
KR20170003217U (ko) 습식 및 건식 좌욕이 가능한 원적외선 좌욕기
KR100997414B1 (ko) 좌욕 겸용 각탕기
KR101393368B1 (ko) 하체용 온열기
KR200446530Y1 (ko) 족욕이 가능한 다기능 좌훈좌욕기
KR101445178B1 (ko) 근적외선기가 구비된 좌욕기
ITBO20090180A1 (it) Apparecchiatura per il massaggio del corpo mediante liquidi e/o soluzioni liquide
KR200396932Y1 (ko) 족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