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444Y1 - 기능성 뜸의 구조 - Google Patents

기능성 뜸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444Y1
KR200423444Y1 KR2020060013601U KR20060013601U KR200423444Y1 KR 200423444 Y1 KR200423444 Y1 KR 200423444Y1 KR 2020060013601 U KR2020060013601 U KR 2020060013601U KR 20060013601 U KR20060013601 U KR 20060013601U KR 200423444 Y1 KR200423444 Y1 KR 2004234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xibustion
wick
insertion groove
functio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6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환
Original Assignee
박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환 filed Critical 박진환
Priority to KR20200600136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4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4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7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chemical re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61H2201/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with aroma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누구나 쉽게 뜸에 불을 붙일 수 있는 심지가 있는 뜸의 구조를 얻기 위한 것인 바,
뜸의 구조에 있어서, 뜸의 본체부의 상부에 구성된 삽입홈과 삽입홈에 심지부를 삽입하여 일체로 구성함으로 서,
뜸에 직접 불을 붙이거나 붙인 뜸을 뜸용기에 넣어 사용자의 경혈부분에 놓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뜸에 불을 붙이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여 누구나 쉽게 뜸에 불을 붙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 심지부를 다양한 재질로 사용하여 사용자가 심지부가 탈 때 향을 느낄 수 있도록 뛰어난 특징이 있다.
한방, 쑥뜸, 뜸용기, 심지부, 질병치료효과

Description

기능성 뜸의 구조{Multi functional moxacautery}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능성 뜸봉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기능선 뜸봉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가능성 뜸봉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도면의 설명 *
10 : 심지부 20 : 삽입홈
100 : 본체부
본 고안은 기능성 뜸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누구나 쉽게 뜸에 불을 붙일 수 있는 심지가 있는 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쑥은 엉거시(菊科)의 다년생 초본으로서 들에 나며, 약쑥, 사재발쑥이라고도 한다. 줄기의 키는 60~90cm 가량인데 온 몸이 흰털로 덮여 있으며 향기가 있다. 잎은 어긋나며 긴 달걀모양이고 1-2회 우상중렬(羽狀中裂)로 갈라졌고 갈라진 조각은 타원형이다.
7~10월에 담홍자색의 두상화(頭狀花)가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이며, 잎줄기는 약용, 어린 잎은 식용, 성숙된 잎으로는 뜸쑥으로서 사용된다.
쑥은 구석기 시대부터 불씨로 사용되어 오면서, 쑥을 태우는 과정에서 자외선 및 적외선이 방출됨으로써 물리요법으로서의 쑥뜸의 효능이 점차적으로 알려지게 되자 사람들의 한방 치료에 매우 요긴하게 사용되어 왔다.
쑥뜸은 직접 구하는 방법에서 간접적으로 구하는 방법으로 발전되어 왔는데, 뜸은 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약쑥으로 살 위의 어떠한 혈(穴)에 놓고 불을 붙여서 살을 뜨는 일을 일컫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약쑥을 분말화하여 이를 뭉쳐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약쑥에 불을 붙여서 연소케 하면 연소열이 체내의 혈(穴)로 침투되어 약 기운을 불어넣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 이는 한방치료요법으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고, 그에 따른 치료효과도 상당한 것으로 주지되어 있다.
종래의 쑥뜸은 쑥으로 원뿔형태의 뜸을 만들어서 신체의 경락 혈에 놓은 후에 윗부분에다 불을 붙이게 되는바, 이와 같은 방식은 사용자가 임의의 크기로 뭉쳐놓은 상태에서 신체의 피부에 올려놓은 상태로 하여 사용하게 됨으로써 화열에 의해 신체의 피부에 화상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현재에는 가느다란 원기둥 형상으로 쑥뜸을 만들어 쑥뜸시 쑥뜸을 똑바로 세우기 위해서는 쑥뜸의 일측 끝단부에 침을 묻혀 환자의 피부 위에 세워 놓은 뒤 타 단부에 불을 붙여 쑥뜸을 하는 방법도 있었다.
종래의 쑥뜸을 하기 위해 뜸에 직접 불을 붙이거나 붙인 뜸을 뜸용기에 넣어 사용자의 경혈부분에 놓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고 있으나 사용자가 뜸에 불이 붙이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부 끝부분에 붙이기 위해 작은 뜸을 뒤집어서 불을 붙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불에 대한 두려움이 발생이 되어 불을 붙이는 중에 놓치거나 불을 붙이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 뜸의 중앙부분에 불을 붙이기가 초보자에게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뜸용기에 넣을 상태로 불을 붙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뜸에 쉽게 불을 붙일 수 있는 기능성 뜸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뜸용기에 넣은 상태를 불을 쉽게 붙일 수 있는 기능성 뜸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능성 뜸의 구조는 뜸의 본체부의 상부에 구성된 삽입홈과 삽입홈에 심지부를 삽입하여 구성하여 달성하였다.
또 본 고안의 본체부의 삽입홈에 심지부를 뜸과 같은 재질로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달성하였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심지부는 향을 함침하여 심지부가 타면서 향이 나도록 구성하여 달성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기능성 뜸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본 고안의 다기능 뜸의 구조는 뜸은 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약쑥으로 살 위의 어떠한 혈(穴)에 놓고 불을 붙일 시에 쉽게 연소케 하면 연소열이 체내의 혈(穴)로 침투되어 약 기운을 불어 넣을 수 있는 뜸의 구조에 관한 것을 요지로 한 것으로 뜸의 본체부의 상부에 구성된 삽입홈과 삽입홈에 심지부를 삽입하여 구성한 것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본체부(100)는 원형, 타원형, 원뿔형 등의 구조로 형상을 다양하게 구성이 가능하며, 도 1에서와 같이 원뿔형의 상부 중앙의 돌출부에 삽입홈(20)을 구성하고 상기 삽입홈에 심지부(10)를 삽입하여 구성이 가능하고, 삽입홈을 관통하여 하부에서 상부로 심지를 끼우거나 다른 실시예로 성형기계로 압착시에 심지부(10)를 삽입하여 동시에 압착하여 성형이 되는 방식은 본 고안의 권리에 포함됨을 알 수 있다.
심지부(10)는 자연섬유에 쑥, 장미, 들국화, 아로마 등의 향을 함침하여 심지부가 타면서 향이 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주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향을 혼합한 파라핀을 심지에 함침한 심지를 구성하였다.
또 다른 실시예로 본체부의 뜸과 같은 재질로 형성이 가능하여 재료에 대한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므로 본체부(100)의 뜸에 불을 붙일 시에 그대로 놓은 상 태로 불을 붙일 수 있으며, 사용용도에 심지부(10)의 길이를 길게 또는 작게 형성하여 뜸용기에 넣은 상태로 불을 붙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다기능 뜸의 구조는 뜸에 직접 불을 붙이거나 붙인 뜸을 뜸용기에 넣어 사용자의 경혈부분에 놓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뜸에 불이 붙이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여 누구나 쉽게 뜸에 불을 붙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심지부를 다양한 재질로 사용하여 사용자가 심지부가 탈 때 향을 느낄 수 있도록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뜸의 구조에 있어서,
    뜸의 본체부의 상부에 구성된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심지부를 삽입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뜸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부에 돌출돔구조의 삽입홈에 심지부를 뜸과 같은 재질로 일체형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뜸의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부는 향을 함침하여 심지부가 타면서 향이 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뜸의 구조.
KR2020060013601U 2006-05-22 2006-05-22 기능성 뜸의 구조 KR2004234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601U KR200423444Y1 (ko) 2006-05-22 2006-05-22 기능성 뜸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601U KR200423444Y1 (ko) 2006-05-22 2006-05-22 기능성 뜸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444Y1 true KR200423444Y1 (ko) 2006-08-07

Family

ID=41772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601U KR200423444Y1 (ko) 2006-05-22 2006-05-22 기능성 뜸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4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678B1 (ko) * 2009-05-12 2012-08-07 김민주 인진 쑥봉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678B1 (ko) * 2009-05-12 2012-08-07 김민주 인진 쑥봉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372281U (zh) 新型多功能艾灸座及艾烛
CN206660116U (zh) 多功能艾灸座及艾烛
CN103446346B (zh) 一种制作灸疗用灸条和灸炷的莞香绒
KR200423444Y1 (ko) 기능성 뜸의 구조
CN106259533A (zh) 驱蚊组合物及由驱蚊组合物制成的驱蚊包及其驱蚊包的使用方法
KR100886385B1 (ko) 쑥뜸용 쑥봉 제조장치
CN106177710A (zh) 一种保健香囊及其制备方法
KR200440662Y1 (ko) 뜸기
CN103054166A (zh) 一种肉桂型鼻烟
KR100886386B1 (ko) 게르마늄을 이용한 쑥뜸장치
CN205672209U (zh) 一种倒流型中药香灸药灸柱
CN206198274U (zh) 一种艾灸筒
CN204521560U (zh) 一种无烟温针灸器
CN105854058A (zh) 中药香料及其制作方法
KR101371207B1 (ko) 일회용 쑥뜸 장치
KR20040037849A (ko) 다기능 쑥 좌훈기
KR200378880Y1 (ko) 대나무 숯 나노세라믹 뜸
CN206260999U (zh) 一种戒面、饰品和中药保健饰品
KR200385743Y1 (ko) 천연향수 저장통을 내장한 인형완구
KR20100006225U (ko) 훈증기
CN206852782U (zh) 金属艾灸盒用护套
CN208003091U (zh) 多功能艾灸座及艾烛
KR200336028Y1 (ko) 양생뜸 쑥뜸장치
CN202537937U (zh) 可调温并具有微烟功能的艾灸装置
CN109846594A (zh) 一种带药包花香热敷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