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0738A - 낚시용 케미라이트 - Google Patents

낚시용 케미라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0738A
KR20220050738A KR1020210066364A KR20210066364A KR20220050738A KR 20220050738 A KR20220050738 A KR 20220050738A KR 1020210066364 A KR1020210066364 A KR 1020210066364A KR 20210066364 A KR20210066364 A KR 20210066364A KR 20220050738 A KR20220050738 A KR 20220050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light emitting
water
terminal
emit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영
김영례
Original Assignee
양재영
김영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영, 김영례 filed Critical 양재영
Priority to KR1020210066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0738A/ko
Publication of KR20220050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7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A01K97/125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using electronic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08Clothing or clothing accessories, e.g. scarfs, gloves or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4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용 케미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케미라이트는, 전력이 인가되면 빛을 발산하는 발광 부재; 물을 감지하는 물 감지부; 배터리가 체결되고,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상기 발광 부재에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물 감지부에 물이 감지되면 상기 발광 부재에 인가되는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오프(Off)시키고, 상기 물 감지부에 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발광 부재에 인가되는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온(On)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낚시용 케미라이트{CHEMICAL-LIGHT FOR FISHING}
본 발명은 낚시용 케미라이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물 감지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온/오프(On/Off) 되는 낚시용 케미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할 때는 낚시 바늘이 원하는 위치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해야 하며, 채비를 회수하거나 캐스팅 시 낚시줄의 위치를 확인해야 주변의 다른 채비 등의 물체나 사람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야간에는 이러한 낚시줄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야간에 낚시줄의 위치 및 유동을 판단하기 위해 빛을 발생시키는 케미라이트가 사용된다.
종래의 케미라이트는 발광다이오드(LED)에 배터리를 직접 연결하는 구조로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배터리를 분리하기 전까지 발광다이오드가 계속 켜진 상태를 유지하는 단순한 구조로 제공된다. 따라서, 기존 케미라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케미라이트가 수중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계속 점등되어 케미라이트의 불빛으로 인해 불빛에 민감한 어종이 달아나게 되어 빛에 민감한 어종의 낚시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계속된 점등으로 인해 전력 소모가 많아 배터리의 사용시간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1: 등록실용신안 20-0265256(2002.02.06.)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으로 수중에서는 꺼지고 물 밖에서는 켜질 수 있는 낚시용 케미라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빛에 민감한 어종의 낚시에 사용할 수 있는 낚시용 케미라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낚시용 케미라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케미라이트는, 전원이 인가되면 빛을 발산하는 발광 부재; 물을 감지하는 물 감지부; 배터리를 통해 상기 발광 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물 감지부에 물이 감지되면 상기 발광 부재에 인가되는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오프(Off)시키고, 상기 물 감지부에 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발광 부재에 인가되는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온(On)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상기 낚시용 케미라이트는 내부에 상기 발광 부재,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제어부가 수용되는 방수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감지부는 상기 방수 커버의 외부로 노출되고, 서로 이격되게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 간에 전류가 흐르면 상기 발광 부재에 인가되는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오프(Off)시키고,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 간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상기 발광 부재에 인가되는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온(On)시킬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낚시용 케미라이트는 내부에 상기 발광 부재,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제어부가 수용되고, 일단에 배터리가 내부로 삽입되는 배터리 삽입구가 형성되는 연질의 방수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부재,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전원부는 상기 방수 커버 내에서 상기 배터리 삽입구로부터 먼 위치로부터 상기 배터리 삽입구를 향해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길이 방향이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 삽입구가 배열되는 방향인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배터리의 음극이 삽입되는 음극 삽입홀이 양측 밑면 간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배터리 삽입구에 삽입된 배터리의 외측면 및 상기 몸체부를 둘러싸는 원통형으로 제공되는 지지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음극 삽입홀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배터리 삽입구를 향해 연장되는 음극 단자; 및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지지부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배터리 삽입구를 향해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지지부의 사이로부터 노출되도록 연장되는 양극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 커버의 배터리 삽입구에 인접한 영역은 내측면이 상기 배터리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방수 커버는 타단에 상기 발광 부재의 빛이 노출될 수 있도록 발광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부재 및 상기 방수 커버의 사이는 투명한 방수제에 의해 방수가 되도록 채워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케미라이트는 자동으로, 수중에서는 꺼지고 물 밖에서는 켜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케미라이트는 빛에 민감한 어종의 낚시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케미라이트는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케미라이트(10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낚시용 케미라이트(1000)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케미라이트(1000a)의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가 위치된 영역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캐미라이트(1000b)의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케미라이트(10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낚시용 케미라이트(1000)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낚시용 케미라이트(1000)는 원투 낚시 등과 같은 낚시에 사용될 수 있도록 낚시줄에 체결되어 낚시 중에 수중에 잠긴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낚시용 케미라이트(1000)는 방수 커버(1100), 발광 부재(1200), 물 감지부(1300), 전원부(1400) 및 제어부(150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수 커버(1100)는 내부에 발광 부재(1200), 전원부(1400) 및 제어부(1500)가 수용된다. 방수 커버(1100)는 연질의 방수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방수 커버(110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방수 커버(1100)는 탄성을 가지는 부도체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수 커버(1100)는 연질 PVC,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방수 커버(1100)의 일단에는 배터리가 내부로 삽입되는 배터리 삽입구(1110)가 형성된다. 방수 커버(1100)의 타단에는 발광 부재(1200)의 빛이 노출될 수 있도록 발광 개구(1120)가 형성될 수 있다. 발광 부재(1200), 제어부(1500) 및 전원부(1400)는 방수 커버(1100) 내에서 배터리 삽입구(1110)로부터 먼 위치로부터 배터리 삽입구(1110)를 향해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방수 커버(1100)의 배터리 삽입구(1110)에 인접한 영역은 내측면이 배터리(200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제공된다. 예를 들면, 배터리 삽입구(1110)는 배터리(2000)의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보다 좁게 제공됨으로써, 인장되어 넓혀진 상태에서 배터리(2000)가 삽입되고, 탄성에 의해 삽입된 배터리(2000)의 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외부의 물이 배터리 삽입구(1110)를 통해 방수 커버(1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광 부재(1200)는 전력이 인가되면 빛을 발산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발광 부재(1200)는 발광다이오드(LED)로 제공될 수 있다. 발광 부재(1200)는 발광 개구(1120)에 인접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 부재(1200)가 발산하는 빛은 발광 개구(1120)를 통해 보다 강하게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발광 부재(1200) 및 방수 커버(1100)의 사이는 방수 처리될 수 있다. 발광 부재(1200) 및 방수 커버(1100)의 사이는 투명한 방수제(1130)에 의해 채워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광 부재(1200) 및 방수 커버(1100)의 사이는 에폭시가 채워져 방수 처리될 수 있다.
물 감지부(1300)는 물을 감지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물 감지부(1300)는 제 1 단자(1310) 및 제 2 단자(1320)를 포함한다. 물 감지부(1300)는 제 1 단자(1310) 및 제 2 단자(1320) 사이에 전류가 통하는지 여부에 의해 물 속에 있는지 물 밖에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 1 단자(1310) 및 제 2 단자(1320)는 도체로 제공된다. 제 1 단자(1310) 및 제 2 단자(1320)는 방수 커버(11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제 1 단자(1310) 및 제 2 단자(1320)는 서로 이격된다. 제 1 단자(1310) 및 제 2 단자(1320)는 물 속에서 서로 간에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거리로 이격된다. 제 1 단자(1310) 및 제 2 단자(1320) 간의 이격 거리는 제 1 단자(1310) 및 제 2 단자(1320)의 재질, 형상 또는 외부로 노출된 면적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 1 단자(1310) 및 제 2 단자(1320) 간의 거리가 과도하게 가까운 경우에는 제 1 단자(1310) 및 제 2 단자(1320)의 사이에 물이 맺혀 물 밖에서도 물 속에 있는 것으로 감지될 수 있으므로, 제 1 단자(1310) 및 제 2 단자(1320) 간의 거리는 물 속에서 서로 간에 전류가 흐를 수 있되 가급적 멀리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민물은 바닷물에 비해 전기전도도가 낮으므로 낚시용 케미라이트(1000)가 민물에서 사용되기 위한 경우에는 바닷물에서 사용되기 위한 경우에 비해 제 1 단자(1310) 및 제 2 단자(1320) 간의 거리가 가깝게 제공될 수 있다. 제 1 단자(1310) 및 제 2 단자(1320) 간의 이격되는 거리는 실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전원부(1400)에는 배터리(2000)가 체결된다. 전원부(1400)는 배터리(2000)의 전력을 발광 부재(1200)에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원부(1400)는 몸체부(1410), 지지부(1420), 음극 단자(1430) 및 양극 단자(144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2000)는, 원기둥 형의 몸체(2100) 및 몸체(2100)의 밑면 중 하나로부터 핀 형상으로 연장되는 음극(2200)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제공되고, 몸체(2100)의 측면이 양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터리(2000)는 CR311, CR322, CR425 및 CR435 등 상술한 형상을 가지는 리튬 배터리로 제공될 수 있다.
몸체부(1410)는 길이 방향이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 삽입구가 배열되는 방향인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된다. 몸체부(1410)에는 배터리(2000)의 음극(2200)이 삽입되는 음극 삽입홀(1411)이 양측 밑면 간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410)는 경질의 부도체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몸체부(1410)는 경질의 합성 수지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부(1420)는 배터리 삽입구(1110)에 삽입된 배터리(2000)의 외측면 및 몸체부(1410)를 둘러싸는 원통형으로 제공된다. 지지부(1420)는 경질의 부도체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부(1420) 및 몸체부(1410)는 동일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부(1420)는 내측면이 배터리 삽입구(1110)에 삽입된 배터리(2000)의 외측면에 맞물리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방수 커버(1100)가 연질로 제공되더라도, 지지부(1420)에 의해 배터리(2000)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음극 단자(1430)는 제어부(1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음극 단자(1430)는 구리 등의 금속 도체로 제공될 수 있다. 음극 단자(1430)는 음극 삽입홀(1411)에 삽입된 배터리(2000)의 음극(2200)과 접촉될 수 있도록 제어부(1500)로부터 음극 삽입홀(1411)의 내측면을 따라 배터리 삽입구(111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음극 단자(1430)는 배터리 삽입구(1110)를 향해 연장된 영역의 끝단으로부터 몸체부(1410)의 배터리 삽입구(1110)에 인접한 밑면을 지나 몸체부(1410)의 외측면 및 지지부(1420)의 내측면의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극 단자(1430)가 몸체부(1410)의 일 측부를 감싸도록 제공됨으로써, 음극 단자(1430)는 음극 삽입홀(1411)에 삽입된 배터리(2000)의 음극(2200)과 접촉할 수 있으면서 보다 안정적으로 몸체부(1410)에 체결될 수 있다.
양극 단자(1440)는 제어부(1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양극 단자(1440)는 구리 등의 금속 도체로 제공될 수 있다. 양극 단자(1440)는 지지부(1420) 내로 삽입된 배터리(2000)의 몸체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양극 단자(1440)는 제어부(1500)로부터 지지부(1420)의 내측면을 따라 배터리 삽입구(1110)를 향해 몸체부(1410) 및 지지부(1420)의 사이로부터 노출되도록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양극 단자(1440)는 배터리 삽입구(1110)를 향해 연장된 영역의 끝단으로부터 지지부(1420)의 배터리 삽입구(1110)에 인접한 끝단면을 지나 지지부(1420)의 외측면을 따라 배터리 삽입구(1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극 단자(1440)가 지지부(1420)의 일 측부를 감싸도록 제공됨으로써, 양극 단자(1440)는 지지부(1420) 내에 삽입된 배터리(2000)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으면서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부(1420)에 체결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1500)의 일 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500)는 물 감지부(1300)에 물이 감지되면, 발광 부재(1200)에 인가되는 전원부(1400)의 전원을 오프(Off) 시킨다. 또한, 제어부(1500)는 물 감지부(1300)에 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발광 부재(1200)에 인가되는 전원부(1400)의 전원을 온(On)시킨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500)는 제 1 단자(1310) 및 제 2 단자(1320) 간에 전류가 흐르면 발광 부재(1200)에 인가되는 전원부(1400)의 전원을 오프(Off)시키고, 제 1 단자(1310) 및 제 2 단자(1320) 간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발광 부재(1200)에 인가되는 전원부(1400)의 전원을 온(On)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0)는 낚시용 케미라이트(1000)가 물 속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발광 부재(1200)를 (Off) 시키고, 낚시용 케미라이트(1000)가 물 밖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발광 부재(1200)를 (On)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발광 부재는 발광 다이오드(D)일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D)는 배터리(2000)의 (+) 단자와 제 1 노드(N1)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500)는 트랜지스터(TR) 및 제 1 내지 제 3 저항(R1, R2, R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저항(R1)은 제 1 노드(N1)와 제 2 노드(N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는 NPN형 BJT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트랜지스터(TR)의 콜렉터(C)는 제 2 노드(N2)에 연결되고 에미터(E)는 배터리(2000)의 (-) 단자에 연결되며, 베이스(B)는 제 3 노드(N3)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저항(R2)은 배터리(2000)의 (+) 단자와 물 감지부(1300)의 제 1 단자(131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 3 저항(R3)은 제 1 단자(1310)와 제 3 노드(N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 3 저항(R3)의 크기는 제 1 단자(1310) 및 제 2 단자(1320)가 물 속에 위치되어 물을 통해 서로 간에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되는 경우, 제 3 저항(R3)을 통해 전류가 흐르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제 3 저항(R3)의 크기는 실험을 통해 소정의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낚시용 케미라이트(1000)가 수중에 위치되면 제 1 및 제 2 단자(1310, 1320) 사이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제 3 저항(R3)이 수중에서 제 1 및 제 2 단자(1310, 1320) 사이의 저항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제 3 저항(R3)으로는 전류가 흐르지지 않고,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B)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트랜지스터(TR)의 콜렉터(C)와 에미터(E)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발광 다이오드(D)는 켜지지 않고 오프(Off) 상태로 된다.
반면에, 낚시용 케미라이트(1000)가 물 밖에 위치되면 제 1 및 제 2 단자(1310, 1320) 사이의 저항이 제 3 저항(R3)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전류는 제 3 저항(R3)으로 흐르게 된다.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에 전압이 가해지면, 콜렉터(C)와 에미터(E) 사이에 전류 통로가 형성되어 발광 다이오드(D)는 온(On) 상태로 된다. 실시 예로서, 트랜지스터(TR)는 BJT 트랜지스터 외에, 제 3 노드(N3)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는 모든 스위칭 소자로 대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케미라이트(1000)는 낚시 중에 수중에 위치되어 있을 때는 빛을 발산하지 않으므로, 빛에 민감한 어종이 빛을 피해 달아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낚시를 하는 동안에 낚시용 케미라이트(1000)가 물 밖 보다 물 속에 보다 장시간 위치됨으로써, 물속에서 전원이 차단되어 배터리(2000)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부(1500)는 제 1 단자(1310) 및 제 2 단자(1320)가 물속에 위치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발광 부재(1200)를 켜거나 끌 수 있는 다양한 구성 및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케미라이트(1000a)의 제 1 단자(1310) 및 제 2 단자(1320)가 위치된 영역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단자(1310) 및 제 2 단자(1320)의 방수 커버(1100a)에 인접한 영역은 단자 커버(133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단자 커버(1330)는 방수 재질의 부도체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자 커버(1330)는 방수 커버(1100)와 동일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단자 커버(1330)는 방수 커버(1100)로부터 연장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자 커버(1330)가 제공됨으로써, 제 1 단자(1310) 및 제 2 단자(1320)가 물 밖에 위치되었을 때, 제 1 단자(1310) 및 제 2 단자의 사이에 물방울(10)이 맺혀 제 1 단자(1310) 및 제 2 단자(132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물 밖에서 발광 부재(1200)가 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케미라이트(1000a)의 그 외 다른 구성, 구조 및 기능 등은 도 1의 낚시용 케미라이트(1000)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캐미라이트(1000b)의 측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방수 커버(1100b)의 내부의 발광 부재(1200)보다 발광 개구(1120)에 인접한 영역에는 투명한 다면체 구슬(1600)이 제공될 수 있다. 다면체 구슬(1600)은 다양한 색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면체 구슬(1600) 및 방수 커버(1100b)의 내측면 간의 공간은 방수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면체 구슬(1600) 및 방수 커버(1100b)의 내측면 간의 공간은 에폭시 등의 방수 재료(1130)에 의해 채워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면체 구슬(1600)이 제공됨으로써, 발광 부재(1200)의 빛이 다양한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케미라이트(1000b)의 그 외 다른 구성, 구조 및 기능 등은 도 1의 낚시용 케미라이트(1000)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1000a, 1000b: 낚시용 케미라이트 2000: 배터리
2100: 몸체 2200: 음극
1100, 1100a, 1100b: 방수커버 1110: 배터리 삽입구
1120: 발광 개구 1200: 발광 부재
1300: 물 감지부 1310: 제 1 단자
1320: 제 2 단자 1330: 단자 커버
1400: 전원부 1410: 몸체부
1420: 지지부 1430: 음극 단자
1440: 양극 단자 1500: 제어부
1600: 다면체 구슬

Claims (2)

  1. 낚시용 케미라이트에 있어서,전원이 인가되면 빛을 발산하는 발광 부재;
    물을 감지하는 물 감지부;
    배터리를 통해 상기 발광 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물 감지부에 물이 감지되면 상기 발광 부재에 인가되는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오프(Off)시키고, 상기 물 감지부에 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발광 부재에 인가되는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온(On)시키는 제어부; 및
    내부에 상기 발광 부재,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제어부가 수용되고, 일단에 배터리가 내부로 삽입되는 배터리 삽입구가 형성되는 연질의 방수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부재,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전원부는 상기 방수 커버 내에서 상기 배터리 삽입구로부터 먼 위치로부터 상기 배터리 삽입구를 향해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낚시용 케미라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길이 방향이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 삽입구가 배열되는 방향인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배터리의 음극이 삽입되는 음극 삽입홀이 양측 밑면 간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배터리 삽입구에 삽입된 배터리의 외측면 및 상기 몸체부를 둘러싸는 원통형으로 제공되는 지지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음극 삽입홀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배터리 삽입구를 향해 연장되는 음극 단자; 및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지지부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배터리 삽입구를 향해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지지부의 사이로부터 노출되도록 연장되는 양극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 커버의 배터리 삽입구에 인접한 영역은 내측면이 상기 배터리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제공되는 낚시용 케미라이트.
KR1020210066364A 2020-10-16 2021-05-24 낚시용 케미라이트 KR202200507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364A KR20220050738A (ko) 2020-10-16 2021-05-24 낚시용 케미라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407A KR102258180B1 (ko) 2020-10-16 2020-10-16 낚시용 케미라이트
KR1020210066364A KR20220050738A (ko) 2020-10-16 2021-05-24 낚시용 케미라이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407A Division KR102258180B1 (ko) 2020-10-16 2020-10-16 낚시용 케미라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738A true KR20220050738A (ko) 2022-04-25

Family

ID=761405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407A KR102258180B1 (ko) 2020-10-16 2020-10-16 낚시용 케미라이트
KR1020210066364A KR20220050738A (ko) 2020-10-16 2021-05-24 낚시용 케미라이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407A KR102258180B1 (ko) 2020-10-16 2020-10-16 낚시용 케미라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581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4887A (ko) 2022-06-22 2023-12-29 권승일 낚시용 케미라이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256Y1 (ko) 2001-11-15 2002-02-21 김양순 낚시찌용 캐미라이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3168U (ko) * 1987-04-13 1988-10-25
KR200485934Y1 (ko) * 2016-05-18 2018-03-14 심유정 편의성을 향상시킨 led 발광 낚시찌 전자케미
KR101880562B1 (ko) * 2017-10-27 2018-07-20 오정연 발광체가 구비된 낚싯대받침
KR102092672B1 (ko) * 2018-04-06 2020-05-27 심유정 조도센싱율·배터리호환성이 우수한 전자케미·전자찌 제어캡·전자찌용 층상 fpcb형 조도센싱장치
KR101907356B1 (ko) * 2018-05-23 2018-10-11 오정연 낚시용 자동발광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256Y1 (ko) 2001-11-15 2002-02-21 김양순 낚시찌용 캐미라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180B1 (ko) 2021-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50738A (ko) 낚시용 케미라이트
KR20090001670U (ko)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
KR20120033400A (ko) 전자찌
JPH11215942A (ja) 魚の食い込み表示機能付き電気うき
KR102396318B1 (ko)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KR200357361Y1 (ko) 낚시찌의 발광장치
KR20090008782A (ko) 발광 찌
KR200390156Y1 (ko) 발광수단이 구비된 낚시찌
KR20100004589U (ko) 낚시찌용 전자 발광장치
US20090141484A1 (en) Liquid and/or touch activated aquatic light
KR102236696B1 (ko) 전자 케미 라이트
KR100356008B1 (ko) 낚시용 전자찌
KR880000167Y1 (ko) 주, 야간용 전자 낚시찌
KR102356622B1 (ko) 바다낚시용 구멍찌
KR101150534B1 (ko) 낚시용으로 사용되는 분리형 변광 전자찌
KR101423864B1 (ko)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JPH09224537A (ja) 電気浮子、電気浮子用発光装置及び電気浮子の発光方法
KR20140090581A (ko)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TWM614571U (zh) 浮標
CN218762949U (zh) 具多种发光模式的水中诱鱼灯
KR200279449Y1 (ko) 발광수단이 구비되는 낚시찌
KR102654078B1 (ko) 낚시용 스마트 케미 라이트 장치
KR200260443Y1 (ko) 전자 낚시찌
JP3009867U (ja) 釣り用浮き
KR200271049Y1 (ko) 낚시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