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0157A - 리소스 다중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리소스 다중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0157A
KR20220050157A KR1020227008602A KR20227008602A KR20220050157A KR 20220050157 A KR20220050157 A KR 20220050157A KR 1020227008602 A KR1020227008602 A KR 1020227008602A KR 20227008602 A KR20227008602 A KR 20227008602A KR 20220050157 A KR20220050157 A KR 20220050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symbols
symbol
node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8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펭웨이 리우
쉬통 유안
징 퀴우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50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1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6Acquisition of further OFDM parameters, e.g. bandwidth, subcarrier spacing, or guard interval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42Selecting at relay station its transmit and receiv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H04L27/2607Cyclic ext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4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using feedback from receiver for adjusting OFDM transmission parameters, e.g. transmission timing or guard interval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8Details of algorithms
    • H04L27/2669Details of algorithms characterised by the domain of operation
    • H04L27/2671Time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73Allocation arrangements that take into account other cell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NR IAB 시스템에서 이용가능 심볼의 세트를 어떻게 판정하는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리소스 다중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1 노드는 통신 디바이스의 DU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하고, DU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와 타입 및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통신 디바이스의 MT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한다. 대안적으로, 제1 노드는 통신 디바이스의 MT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하고, MT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와 타입 및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통신 디바이스의 DU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한다. 보호 구간 정보는 제1 심볼 수효 및 제2 심볼 수효를 포함하고, 제1 심볼 수효는 제1 리소스로부터 제2 리소스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이고, 제2 심볼 수효는 제2 리소스로부터 제1 리소스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이다.

Description

리소스 다중화 방법 및 장치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이 출원은, 거기에서 참조에 의해 전체로서 포함되는, "리소스 다중화 방법 및 장치"라는 표제로 2019년 8월 16일에 중국국가지식산권국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910760301.7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 분야
이 출원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련되고, 특히 리소스 다중화(resource multiplexing) 방법 및 장치에 관련된다.
모바일 통신 기술의 계속되는 발달과 함께, 스펙트럼 리소스가 점점 더 불충분하게 된다. 스펙트럼 활용을 개선하기 위해, 장래에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이 더 조밀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추가로, 조밀한 배치 때문에, 커버리지 공동(coverage hole)이 방지될 수 있다. 종래의 셀룰러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 베이스 스테이션은 광섬유(optical fiber)를 사용함으로써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로의 연결을 수립한다. 그러나, 광섬유의 배치는 많은 시나리오에서 고비용이다. 광섬유의 배치의 비용의 일부를 감소시키기 위해, 릴레이 노드(relay node)(RN)는 무선 백홀 링크(backhaul link)를 통해서 코어 네트워크로의 연결을 수립한다.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LTE) 시스템에서, 도너 노드(donor node)는 서브프레임(1ms)의 단위로 RN에 백홀 링크 리소스를 할당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4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백홀 링크에 할당된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백홀 서브프레임으로 지칭될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 전용 리소스 구성 시그널링의 하나의 단편(piece)은 다운링크 백홀 서브프레임 내의 2개의 슬롯(처음의 7개의 심볼 및 마지막의 7개의 심볼) 내의 시작 심볼 및 종결 심볼의 번호를 나타내도록(indicate) 구성된다. 이후에 RN은 리소스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도너 노드와 통신할 수 있다.
현재, 대역내(in-band) 릴레이 방안이 제안되어 있다. 대역내 릴레이는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access link)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는 릴레이 방안이다. 대역내 릴레이는 통상적으로 반이중(half-duplex) 제약을 받는다. 구체적으로, 릴레이 노드의 부모 노드(parent node)에 의해 발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할 적에 릴레이 노드는 릴레이 노드의 자식 노드(child node)에 다운링크 신호를 발신할 수 없고, 릴레이 노드의 자식 노드에 의해 발신된 업링크 신호를 수신할 적에 릴레이 노드는 릴레이 노드의 부모 노드에 업링크 신호를 발신할 수 없다. 새로운 세대의 무선 통신 시스템(신무선(new radio, NR))에서의 대역내 릴레이 방안은 통합 액세스 및 백홀(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IAB)로 지칭된다. IAB 노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 시분할(time division) 방식, 공간 분할(space division) 방식 또는 주파수 분할(frequency division) 방식으로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에 대해 리소스 다중화가 수행된다.
NR IAB 시스템에서의 리소스 할당은 다음의 측면에서 LTE 릴레이 시스템에서의 것과 상이하다:
(1) NR IAB는 고주파수 대역 내에 배치된다. 고주파수 대역에서, IAB 노드는 더 짧은 전력 증폭기 온(on)/오프(off) 시간 및 더 짧은 심볼 지속기간(symbol duration)을 갖는다. 이는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의 이용가능 심볼의 세트에서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2) NR에서, 심볼 입도(symbol granularity)(또는 심볼 레벨(symbol level))에서의 백홀 및 액세스 리소스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LTE 릴레이 시스템에서 슬롯 레벨(slot level)에 기반하여 시작 및 종결 심볼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은 NR IAB 시스템에 적합하지 않다.
결론적으로, LTE 릴레이 시스템에서 이용가능 심볼의 세트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은 NR IAB 시스템에 적합하지 않다.
이 출원의 실시예는, NR IAB 시스템에서 이용가능 심볼의 세트를 어떻게 판정하는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리소스 다중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측면에 따르면, 이 출원의 실시예는 리소스 다중화(resource multiplexing)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1 노드(node)는 통신 디바이스의 제1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time domain position)를 판정하고, 제1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와 타입(type) 및 보호 구간(guard interval) 정보에 기반하여 통신 디바이스의 제2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한다. 보호 구간 정보는 제1 심볼 수효 및 제2 심볼 수효를 포함하되, 제1 심볼 수효는 제1 리소스로부터 제2 리소스로의 스위칭(switching) 동안의 보호 심볼(guard symbol)의 수효이고, 제2 심볼 수효는 제2 리소스로부터 제1 리소스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이고; 제1 리소스는 모바일 종단(mobile terminal)(MT) 리소스이고, 제2 리소스는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UT) 리소스이거나, 제1 리소스는 DU 리소스이고, 제2 리소스는 MT 리소스이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노드는 DU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와 타입 및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MT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도출할 수 있거나, MT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와 타입 및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DU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NR IAB 시스템에서 이용가능 심볼의 세트가 판정될 수 있도록, 심볼 입도(또는 심볼 레벨)에서의 백홀 및 액세스 리소스 구성에 이 출원의 이 실시예가 적용가능함을 알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DU 리소스의 타입은 경성(hard) 및 연성(soft)을 포함할 수 있고, MT 리소스의 타입은 이용가능 및 이용불가를 포함한다. 전술한 설계에 따르면, 제1 노드는 DU 경성 심볼 및 MT 이용가능 심볼 간의 상호 도출을 구현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 및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통신 디바이스의 제2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하는 경우에, 제1 노드는, 제1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 및 제1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를 판정할 수 있고, 제1 노드는, 제1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 및 제2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를 판정할 수 있다. 전술한 설계에 따르면, MT 리소스의 경계 심볼(boundary symbol)이 보호 구간 정보 및 DU 리소스의 경계 심볼에 기반하여 판정될 수 있거나, DU 리소스의 경계 심볼이 보호 구간 정보 및 MT 리소스의 경계 심볼에 기반하여 판정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 및 제1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는 경우에, 제1 노드는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시작 심볼이 제1 리소스의 종결 심볼 뒤에 위치되고, 제2 리소스의 시작 심볼 및 제1 리소스의 종결 심볼 간에 N개의 심볼이 있음(N은 제1 심볼 수효임)을 판정할 수 있고, 제1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 및 제2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는 경우에, 제1 노드는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종결 심볼이 제1 리소스의 시작 심볼 뒤에 위치되고, 제2 리소스의 종결 심볼 및 제1 리소스의 시작 심볼 간에 M개의 심볼이 있음(M은 제2 심볼 수효임)을 판정할 수 있다. 전술한 설계에서, MT 송신 및 DU 송신 간의 간섭(interference)이 감소될 수 있도록, 2개의 리소스의 인접한 경계 심볼 간에 복수의 이용불가 심볼이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 및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통신 디바이스의 제2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하는 경우에, 제1 노드는, 제1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고, 제1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를 판정할 수 있고, 제1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 및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통신 디바이스의 제2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한 후에, 제1 노드는 또한 제1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제1 리소스를 펑처링하거나(puncture) 연성화하거나(soften), 제2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제1 리소스를 펑처링하거나 연성화할 수 있다. 전술한 설계에서, 제1 리소스를 펑처링하기 위한 방법에 따르면, MT 송신 및 DU 송신 간의 간섭이 감소될 수 있도록, 2개의 리소스의 인접한 경계 심볼 간에 복수의 이용불가 심볼이 있을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고, 제1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제1 리소스를 펑처링하거나 연성화하는 경우에, 제1 노드는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의 인덱스(index) 및 제1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의 인덱스가 연이음(consecutive)을 판정하고, 제1 리소스의 마지막의 N개의 심볼을 펑처링하거나 연성화할 수 있다(N은 제1 심볼 수효임). 전술한 설계에서,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는 시간 도메인에서 연속적일 수 있다. 제1 리소스의 말미부(tail)가 연성화되거나 펑처링되어서, 제1 리소스의 말미부에서 데이터 송신이 방지될 수 있는바, 이로써 MT 송신 및 DU 송신 간의 간섭을 감소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고, 제2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제1 리소스를 펑처링하거나 연성화하는 경우에, 제1 노드는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의 인덱스 및 제1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의 인덱스가 연이음을 판정하고, 제1 리소스의 처음의 M개의 심볼을 펑처링하거나 연성화할 수 있다(M은 제2 심볼 수효임). 전술한 설계에서, 제2 리소스 및 제1 리소스는 시간 도메인에서 연속적일 수 있다. 제1 리소스의 선두부(head)가 연성화되거나 펑처링되어서, 제1 리소스의 선두부에서 데이터 송신이 방지될 수 있는바, 이로써 MT 송신 및 DU 송신 간의 간섭을 감소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리소스는 DU 리소스일 수 있고, 제1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 및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통신 디바이스의 제2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한 후에, 제1 노드는 연성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DU 심볼이 이용가능한 것으로서 나타내어짐을 판정할 수 있고, 제1 노드는 이용가능한 것으로서 나타내어진 DU 심볼의 위치, 제1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 제1 심볼 수효 및 제2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제2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재판정한다(redetermine). 전술한 설계에서, DU 연성 심볼이 이용가능한 것으로서 나타내어지는 경우에, MT 리소스의 이용가능 심볼이 재판정되어서, 이용가능한 것으로서 나타내어진 연성 심볼에 의해 MT 송신에 야기되는 간섭 및 MT 송신에 의해 연성 심볼에 야기되는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노드는 통신 디바이스이거나, 제1 노드는 통신 디바이스의 부모 노드(parent node) 또는 도너 노드(donor node)이다. 전술한 설계에 따르면, 통신 디바이스도 통신 디바이스의 부모 노드 또는 도너 노드도 이 출원에서의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이용가능 심볼의 세트를 판정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만일 제1 노드가 통신 디바이스의 부모 노드 또는 도너 노드인 경우, 제1 노드는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되는 보호 구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설계에 따르면, 통신 디바이스의 부모 노드 또는 도너 노드는 정확한 보호 구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서, 이용가능 심볼의 판정된 세트의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만일 제1 노드가 통신 디바이스인 경우, 제1 노드는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할 수 있다. 전술한 설계에 따르면, 제1 노드는 보호 구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서, 이용가능 심볼의 세트가 판정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만일 제1 노드가 통신 디바이스인 경우,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한 후에, 제1 노드는 또한 보호 구간 정보를 제2 노드에 보고할 수 있는데, 제2 노드는 통신 디바이스의 부모 노드 또는 도너 노드이다. 전술한 설계에 따르면, 통신 디바이스의 부모 노드 또는 도너 노드가 또한 보호 구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서, 이 출원에서의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이용가능 심볼의 세트가 판정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는 경우에, 제1 노드는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에 기반하여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할 수 있다. 시간 차이는 두 리소스 간에 존재하고, 시간 차이는 MT 송신 및 DU 송신에 간섭을 야기한다. 따라서, 전술한 설계에 따르면, MT 송신 및 DU 송신 간의 간섭이 감소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는 경우에, 제1 노드는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스위칭 시간에 기반하여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할 수 있는데, 스위칭 시간은 수신 및 발신 간의 스위칭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요구되는 시간이다. 두 리소스의 송신 방향이 동일한 경우에,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행위(action)는 상이하다. 따라서, 두 리소스 간의 스위칭이 수행되는 경우에, 통신 디바이스는 수신으로부터 발신으로, 또는 발신으로부터 수신으로 스위칭할 필요가 있다. 전술한 설계에서,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스위칭 시간에 기반하여 보호 구간 정보가 판정되어서, MT 송신 및 DU 송신 간의 간섭이 감소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에 기반하여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는 경우에, 제1 노드는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파라미터 세트에 기반하여 제1 심볼 수효 및 제2 심볼 수효를 판정할 수 있는데, 파라미터 세트는 다음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다: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의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과,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의 순환 전치(cyclic prefix)(CP) 타입.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스위칭 시간에 기반하여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는 경우에, 제1 노드는 대안적으로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스위칭 시간 및 파라미터 세트에 기반하여 제1 심볼 수효 및 제2 심볼 수효를 판정할 수 있는데, 파라미터 세트는 다음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다: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의 서브캐리어 간격과,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의 CP 타입. 파라미터 세트에 상이한 값이 배정되는 경우에, 심볼 길이가 상이하다. 전술한 설계에 따르면, 보호 심볼의 상대적으로 정확한 수효가 획득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리소스의 타입은 업링크(uplink), 다운링크(downlink) 또는 플렉서블(flexible)일 수 있고, 제2 리소스의 타입은 또한 업링크, 다운링크 또는 플렉서블일 수 있다.
제2 측면에 따르면, 이 출원은 리소스 다중화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제1 노드일 수 있거나, 제1 노드 내의 칩(chip) 또는 칩 세트(chip set)일 수 있다. 제1 노드는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통신 디바이스의 부모 노드 또는 도너 노드일 수 있다. 장치는 처리 유닛(processing unit) 및 송수신기 유닛(transceiver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가 제1 노드인 경우에, 처리 유닛은 프로세서일 수 있고, 송수신기 유닛은 송수신기일 수 있다. 장치는 저장 모듈(storage modul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모듈은 메모리일 수 있고, 저장 모듈은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제1 노드가 제1 측면에서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처리 유닛은 저장 모듈 내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한다. 장치가 제1 노드 내의 칩 또는 칩 세트인 경우에, 처리 유닛은 프로세서일 수 있고, 송수신기 유닛은 입력/출력 인터페이스(input/output interface), 핀(pin), 회로, 또는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제1 노드가 제1 측면에서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처리 유닛은 저장 모듈 내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한다. 저장 모듈은 칩 또는 칩 세트 내의 저장 모듈(예를 들어, 레지스터(register) 또는 캐시(cache))일 수 있거나, 칩 또는 칩 세트 외부에 위치된 저장 모듈(예를 들어,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일 수 있다.
제3 측면에 따르면, 프로세서, 통신 인터페이스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리소스 다중화 장치가 제공된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장치 및 다른 장치 간에 정보 및/또는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장치가 가동되는(run) 경우에, 프로세서는, 장치가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설계 중 임의의 것에 따른 리소스 다중화 방법을 수행하도록, 메모리 내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한다.
제4 측면에 따르면, 이 출원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를 또한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명령어가 컴퓨터 상에서 가동되는 경우에, 컴퓨터는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설계 중 임의의 것에 따른 리소스 다중화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5 측면에 따르면, 이 출원은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또한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상에서 가동되는 경우에, 컴퓨터는 제1 측면 및 제1 측면의 설계 중 임의의 것에 따른 리소스 다중화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6 측면에 따르면, 이 출원의 실시예는 칩을 제공한다. 칩은 메모리에 커플링되고(coupled), 이 출원의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설계 중 임의의 것에 따른 리소스 다중화 방법을 수행한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커플링"은 두 컴포넌트 간의 직접적인 조합 또는 간접적인 조합을 지칭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IAB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2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의 개략도이고,
도 3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할당의 개략도이고,
도 4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아키텍처 도해이고,
도 5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6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7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IAB 노드의 통신의 개략도이고,
도 8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IAB 노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9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MT 리소스 및 DU 리소스 간의 관계의 개략도이고,
도 10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MT 심볼 및 DU 심볼 간의 시간 차이의 개략도이고,
도 11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MT 프레임 및 DU 프레임 간의 시간 차이의 개략도이고,
도 12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DU 심볼 전과 후의 보호 심볼의 개략도이고,
도 13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DU 심볼 전과 후의 보호 심볼의 개략도이고,
도 14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DU 심볼 전과 후의 보호 심볼의 개략도이고,
도 15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DU 심볼 전과 후의 보호 심볼의 개략도이고,
도 16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DU 심볼 전과 후의 보호 심볼의 개략도이고,
도 17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DU 심볼 전과 후의 보호 심볼의 개략도이고,
도 18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DU 심볼 전과 후의 보호 심볼의 개략도이고,
도 19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DU 심볼 전과 후의 보호 심볼의 개략도이고,
도 20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DU 심볼 전과 후의 보호 심볼의 개략도이고,
도 21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DU 심볼 전과 후의 보호 심볼의 개략도이고,
도 22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MT 심볼 전과 후의 보호 심볼의 개략도이고,
도 23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MT 심볼 전과 후의 보호 심볼의 개략도이고,
도 24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MT 심볼 전과 후의 보호 심볼의 개략도이고,
도 25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MT 심볼 전과 후의 보호 심볼의 개략도이고,
도 26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MT 심볼 전과 후의 보호 심볼의 개략도이고,
도 27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MT 심볼 전과 후의 보호 심볼의 개략도이고,
도 28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MT 심볼 전과 후의 보호 심볼의 개략도이고,
도 29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MT 심볼 전과 후의 보호 심볼의 개략도이고,
도 30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MT 심볼 전과 후의 보호 심볼의 개략도이고,
도 31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MT 심볼 전과 후의 보호 심볼의 개략도이고,
도 32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다중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33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다중화의 개략도이고,
도 34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다중화의 개략도이고,
도 35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다중화의 개략도이고,
도 36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다중화의 개략도이고,
도 37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다중화의 개략도이고,
도 38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다중화의 개략도이고,
도 39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MT 심볼 전과 후의 보호 심볼의 개략도이고,
도 40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MT 심볼 전과 후의 보호 심볼의 개략도이다.
모바일 통신 기술의 계속되는 발달과 함께, 스펙트럼 리소스가 점점 더 불충분하게 된다. 스펙트럼 활용을 개선하기 위해, 장래에 베이스 스테이션이 더 조밀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추가로, 조밀한 배치 때문에, 커버리지 공동이 방지될 수 있다. 종래의 셀룰러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 베이스 스테이션은 광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코어 네트워크로의 연결을 수립한다. 그러나, 광섬유의 배치는 많은 시나리오에서 고비용이다. 광섬유의 배치의 비용의 일부를 감소시키기 위해, 무선 릴레이 노드(RN)는 무선 백홀 링크를 통해서 코어 네트워크로의 연결을 수립한다.
통상적으로, 릴레이 노드는 하나 이상의 부모 노드와 함께 무선 백홀 링크를 수립하고, 부모 노드를 통해서 코어 네트워크를 액세스한다. 부모 노드는 복수의 타입의 시그널링을 사용함으로써 특정 정도로 릴레이 노드에 대해 제어(예를 들어, 데이터 스케줄링(data scheduling), 타이밍 변조(timing modulation) 및 전력 제어(power control))를 수행할 수 있다. 추가로, 릴레이 노드는 복수의 자식 노드를 서빙할(serve) 수 있다. 릴레이 노드의 부모 노드는 베이스 스테이션일 수 있거나, 다른 릴레이 노드일 수 있다. 릴레이 노드의 자식 노드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일 수 있거나, 다른 릴레이 노드일 수 있다. 몇몇 경우에, 부모 노드는 업스트림 노드(upstream node)로 또한 지칭될 수 있고, 자식 노드는 다운스트림 노드(downstream node)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대역내 릴레이는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는 릴레이 방안이다. 어떤 추가적인 스펙트럼 리소스도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대역내 릴레이는 높은 스펙트럼 효율 및 낮은 배치 비용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대역내 릴레이는 통상적으로 반이중 제약을 받는다. 구체적으로, 릴레이 노드의 부모 노드에 의해 발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할 적에 릴레이 노드는 릴레이 노드의 자식 노드에 다운링크 신호를 발신할 수 없고, 릴레이 노드의 자식 노드에 의해 발신된 업링크 신호를 수신할 적에 릴레이 노드는 릴레이 노드의 부모 노드에 업링크 신호를 발신할 수 없다. 새로운 세대의 무선 통신 시스템(신무선(new radio, NR))에서의 대역내 릴레이 방안은 통합 액세스 및 백홀(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IAB)로 지칭되고, 릴레이 노드는 IAB 노드로 지칭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AB 노드는 UE를 위해 무선 액세스 및 액세스 서비스의 무선 백홀을 제공한다. IAB 도너 노드는 IAB 노드를 위해 무선 백홀 기능을 제공하고 UE 및 코어 네트워크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IAB 노드는 무선 백홀 링크를 통해서 IAB 도너 노드에 연결되어서, IAB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UE가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IAB 노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 시분할 방식, 공간 분할 방식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에 대해 리소스 다중화가 수행된다.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TDM) 시나리오가 예로서 사용된다.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는 상이한 순간에 동작한다. 따라서, IAB 노드는 백홀 링크 상의 수신 및 발신 간의 스위칭 및 액세스 링크 상의 수신 및 발신 간의 스위칭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에 대해 어떤 간격도 없이 스위칭이 수행되는 경우에, 즉, 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의 심볼이 연이은 경우에, IAB 노드는 가장 높은 리소스 활용을 갖는다. 그러나, 구현 동안에, 전력 증폭기 온/오프 시간, 송신 거리 및 비이상적(non-ideal) 동기화와 같은 다양한 인자로 인해,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 상에는 어떤 간격도 없는 스위칭이 구현될 수 없다. 이 경우에, IAB 노드는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의 이용가능/이용불가 심볼의 세트를 판정할 필요가 있다.
NR에서, IAB 노드는 두 부분으로 나뉠 수 있다: 모바일 종단(mobile terminal, MT) 및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 MT는 부모 노드와 통신하기 위해 IAB 노드에 의해 사용되고, DU는 자식 노드와 통신하기 위해 IAB 노드에 의해 사용된다. 부모 노드는 공통 베이스 스테이션(예컨대 gNB)일 수 있거나, 다른 IAB 노드일 수 있다. 자식 노드는 UE일 수 있거나, 다른 IAB 노드일 수 있다.
MT 및 부모 노드 간의 통신을 위한 링크는 부모 백홀 링크(parent backhaul link)(parent BH link)로 지칭되고, DU 및 자식 IAB 노드 간의 통신을 위한 링크는 자식 백홀 링크(child backhaul link)(child BH link)로 지칭되고, DU 및 연결된 UE 간의 통신을 위한 링크는 액세스 링크로 지칭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모 백홀 링크는 부모 백홀 업링크(uplink, UL) 및 부모 백홀 다운링크(downlink, DL)를 포함하고, 자식 백홀 링크는 자식 백홀 UL 및 자식 백홀 DL을 포함하고, 액세스 링크는 액세스 UL 및 액세스 DL을 포함한다. 몇몇 경우에, 자식 백홀 링크는 또한 액세스 링크로 지칭된다.
우선, NR IAB 리소스 할당의 기존의 결론이 기술된다:
MT 리소스: IAB 노드의 MT 리소스는, 송신 방향에 기반하여, 3개의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운링크(downlink, D), 업링크(uplink, U) 및 플렉서블(flexible, F). 타입에 기반한 3개의 송신 방향은 또한 기존의 UE에 의해 지원되며, 따라서 기존의 시그널링을 사용함으로써 나타내어질 수 있다.
DU 리소스: IAB 노드의 DU 리소스는, 송신 방향에 기반하여, 4개의 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업링크, 다운링크, 플렉서블 및 이용불가(널(Null, N)). 또한, DU 업링크, 다운링크 및 플렉서블 리소스는, 리소스 스케줄링에 기반하여 2개의 타입으로 더 분류될 수 있다: 경성(hard, H) 및 연성(soft, S).
세부사항은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
DU 경성 리소스: DU 경성 리소스는 DU가 항상 이용할 수 있는 리소스를 나타낸다.
DU 연성 리소스: DU 연성 리소스를 DU가 이용할 수 있는지는 부모 노드의 지시(indication)에 의존한다.
결론적으로, IAB 노드의 MT 리소스를 위한 3개의 리소스 타입이 있고(즉, 3개의 송신 방향 기반 타입: D/U/F), IAB 노드의 DU 리소스를 위한 7개의 리소스 타입이 있고(즉, 총 7개의 타입: 3개의 송신 방향 기반 타입(D/U/F) 및 2개의 리소스 다중화 기반 타입(H/F) 중 임의의 양방의 조합에 대해 총 6개의 타입과, 송신 방향 기반 타입 N). MT 리소스의 3개의 리소스 타입 및 DU 리소스의 7개의 리소스 타입 중 임의의 양방이 조합된 후에, MT 리소스 및 DU 리소스의 다중화 방식이 TDM인 경우에, DU 및 MT의 모든 가능한 리소스 조합의 거동(behavior)이 표 1에 도시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MT: Tx"는 MT가 스케줄링된 후에 송신을 수행하여야 함을 나타내고,
"DU: Tx"는 DU가 송신을 수행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MT: Rx"는 (만일 수신될 필요가 있는 신호가 있는 경우) MT가 수신을 수행할 수가 있음을 나타내고,
"DU: Rx"는 자식 노드의 업링크 송신을 스케줄링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MT: Tx/Rx"는 MT가 스케줄링된 후에 송신 또는 수신을 수행하여야 하나, 송신 및 수신은 동시에 수행되지 않음을 나타내고,
"DU: Tx/Rx"는 DU가 송신을 수행하거나 자식 노드의 송신을 수신할 수 있으나, 송신 및 수신은 동시에 수행되지 않음을 나타내고,
"IA"는 DU 리소스가 이용가능으로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나타내어짐을 나타내고,
"INA"는 DU 리소스가 이용불가로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나타내어짐을 나타내고,
"MT: NULL"은 MT가 발신을 수행하지 않으며 수신 능력을 가질 필요가 없음을 나타내고,
"DU: NULL"은 DU가 발신을 수행하지 않으며 자식 노드의 송신을 수신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릴레이 시스템에서, 시분할 다중화가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에 대해 수행되고,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의 이용불가 심볼의 세트를 판정하는 문제가 또한 수반된다. LTE에서, 도너 노드는 서브프레임(1ms)의 단위로 RN에 백홀 링크 리소스를 할당한다. 하나의 LTE 서브프레임은 14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심볼을 포함한다. 도 3은 LTE 다운링크 백홀 리소스 할당의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두 번째 서브프레임은 백홀 서브프레임이나, 릴레이 노드는 여전히 액세스 링크 상에서 처음의 2개의 심볼(심볼 0 및 1) 상에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PDCCH)을 발신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처음의 2개의 심볼이 송신된 후에, RN은 백홀 링크 상에서 PDSCH를 수신하기 위해, 수신 상태로 스위칭한다. 스위칭 동안에, RN은 전력 증폭기를 끌 특정 시간, 즉, 발신 및 수신 간의 스위칭을 위해 요구되는 특정 시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심볼 0 및 1에 더하여, RN은 백홀 링크 상의 심볼 2에 대해 수신을 수행할 수 없다. 다시 말해, RN은 백홀 링크 상에서 심볼 3으로부터 수신을 수행하기 시작한다. RN은 다음번 서브프레임에서 액세스 링크 상의 PDCCH의 발신으로 도로 스위칭할 필요가 있다.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의 존재로 인해, 다음번 서브프레임의 심볼 0은 현재의 서브프레임의 심볼 13과 부분적으로 중첩한다(추가로, RN의 수신 및 발신 간의 스위칭을 위해 시간이 또한 요구됨). 따라서, RN은 백홀 링크 상의 심볼 13에 대해서도 수신을 수행할 수 없다. 결론적으로, 백홀 서브프레임에서, 도너 노드는 RN을 위해 심볼 3 내지 심볼 12에 대해서만 백홀 링크 송신을 수행한다. 본 문서에서 PDCCH 심볼의 수효는 2라고 가정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실제로, 만일 PDCCH 심볼의 수효가 다른 값인 경우, 다운링크 시작 심볼은 상이하다. 예를 들어, RN에 의해 발신된 PDCCH 심볼의 수효가 1인 경우에, RN은 백홀 링크 상에서 심볼 2로부터 수신을 수행하기 시작한다.
LTE 릴레이 시스템에서, 만일 액세스 링크 상의 발신을 위한 심볼의 위치가 판정된 경우, 예를 들어, 도 3에서 서브프레임의 처음의 2개의 심볼이 액세스 링크 상의 발신을 위해 판정된 경우, 백홀 링크의 이용가능 심볼의 세트가 또한 획득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실, LTE에서, 다운링크 백홀 서브프레임 내의 2개의 슬롯(처음의 7개의 심볼 및 마지막의 7개의 심볼)(LTE 서브프레임은 총 14개의 정상 순환 전치(cyclic prefix, CP) 심볼을 포함함) 내의 시작 심볼 및 종결 심볼의 번호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되는 전용 리소스 구성 시그널링의 하나의 단편이 있다. 이후에 릴레이 노드는 리소스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도너 노드와 통신한다.
그러나, NR IAB 시스템에서의 리소스 할당은 다음의 측면에서 LTE 릴레이 시스템에서의 것과 상이하다:
(1) NR IAB는 고주파수 대역 내에 배치된다. 고주파수 대역에서, IAB 노드는 더 짧은 전력 증폭기 온/오프 시간 및 더 짧은 심볼 지속기간을 갖는다. 이는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의 이용가능 심볼의 세트에서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2) NR에서, 심볼 입도(또는 심볼 레벨)에서의 백홀 및 액세스 리소스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LTE 릴레이 시스템에서 슬롯 레벨에 기반하여 시작 및 종결 심볼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은 NR IAB 시스템에 적합하지 않다.
결론적으로, LTE 릴레이 시스템에서 이용가능 심볼의 세트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은 NR IAB 시스템에 적합하지 않다. 이를 토대로, 이 출원의 실시예는 리소스 다중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방법 및 장치는 동일한 기술적 개념에 기반한다. 방법의 문제 해결 원리는 장치의 것과 유사하기 때문에, 장치 및 방법의 구현에 대해 상호 참조가 행해질 수 있다. 반복되는 부분은 다시 상세히 기술되지 않는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리소스 다중화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 노드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설명을 위한 예일 뿐이며,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단말 디바이스 및 릴레이 디바이스의 수효는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NR에서, 릴레이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IAB 노드로 지칭된다. LTE에서, 릴레이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RN으로 지칭된다.
도 4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협대역 사물 인터넷(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NB-IoT), 또는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일 수 있거나, 5세대(5G) 통신 시스템일 수 있거나, LTE 및 5G의 하이브리드 아키텍처(hybrid architecture)일 수 있거나, 5G 신무선(new radio, NR) 시스템,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범용 모바일 전기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및 장래의 통신 개발에서 출현할 새로운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을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하도록 구성됨이 이해되어야 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지칭될 수 있거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노드(또는 디바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차세대 노드B(next-generation Node B, gNB),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 진화된 노드B(evolved NodeB, eNB),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 노드B(NodeB, NB), 베이스 스테이션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 베이스 송수신기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 BTS), 홈 베이스 스테이션(home base station)(예를 들어, home evolved NodeB 또는 home NodeB, HNB), 기저대역 유닛(baseband unit, BBU), 또는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일 수 있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명칭은 릴레이 노드(relay node)(RN), 릴레이 송수신 포인트(relay transmission reception point)(rTRP), IAB 노드(IAB node) 또는 유사한 것일 수 있고, 릴레이 노드의 부모 노드는 gNB(gNB-DU, gNB-CU 및 유사한 것을 포함함)일 수 있거나, 다른 릴레이 노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조가 도 5에 도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중앙 유닛(central unit, CU) 및 적어도 하나의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로 나뉠 수 있다. CU는 적어도 하나의 DU를 관리하거나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CU 및 적어도 하나의 DU 간의 연결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이 구조에서, 통신 시스템 내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프로토콜 계층은 분할될 수 있다. 몇몇 프로토콜 계층은 중앙화된(centralized) 방식으로 CU에 의해 제어되고, 나머지 프로토콜 계층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은 DU에 분산되며, CU는 중앙화된 방식으로 DU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gNB이다. gNB의 프로토콜 계층은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SDAP) 계층,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 및 물리적 계층(physical layer)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CU는 RRC 계층, SDAP 계층 및 PDCP 계층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DU는 RLC 계층, MAC 계층 및 물리적 계층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CU 및 DU에 포함된 프로토콜 스택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CU는 하나의 제어 평면(CU-control plane, CU-CP) 네트워크 요소 및 복수의 사용자 평면(CU-user plane, CU-UP) 네트워크 요소로 더 나뉠 수 있다. CU-CP는 제어 평면 관리를 위해 사용될 수 있고, CU-UP는 사용자 평면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CU-CP 및 CU-UP 간의 인터페이스는 E1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CU-CP 및 DU 간의 인터페이스는 F1-C일 수 있고, 제어 평면 시그널링 송신을 위해 사용된다. CU-UP 및 DU 간의 인터페이스는 F1-U일 수 있고, 사용자 평면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된다. CU-UP 및 CU-UP는 사용자 평면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Xn-U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NB는 예로서 사용되며, gNB의 구조가 도 6에 도시될 수 있다.
만일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릴레이 디바이스, 특별히 IAB 노드인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모바일 종단(mobile terminal, MT)의 기능 및 DU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AB 노드는 MT를 통해서 부모 노드와 통신하고, DU는 IAB 노드의 베이스 스테이션 기능 모듈이고, RLC 계층, MAC 계층 및 물리적 계층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며, 스케줄링 및 물리적 신호 생성 및 발신을 주로 책임진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IAB 노드는 DU를 통해서 자식 노드 및 UE와 통신한다. IAB 노드의 MT 및 DU 양자 모두는 완전한 송수신기 모듈을 갖고, MT 및 DU 간에는 인터페이스가 있다. 그러나, MT 및 DU는 논리적 모듈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실제로, MT 및 DU는 몇몇 서브모듈을 공유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기 안테나 및 기저대역 처리 모듈을 공유할 수 있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단말 디바이스는 사용자 측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도록 구성된 개체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음성 및/또는 데이터 연결성(connectivity)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예를 들어, 핸드헬드 디바이스(handheld device) 또는 무선 연결 기능을 갖는 차량 장착형 디바이스(vehicle-mounted device)이다. 단말은 대안적으로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처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단말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통해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은 또한 무선 단말,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원격 스테이션(remote station),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사용자 디바이스(user device),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또는 유사한 것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모바일 단말, 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또는 "셀룰러"(cellular) 전화로 지칭됨), 그리고 모바일 단말을 갖는 컴퓨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휴대가능한(portable), 포켓 크기(pocket-size), 핸드헬드, 컴퓨터 내장식(computer built-in), 또는 차량 장착형 모바일 장치일 수 있는데, 이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한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개인용 통신 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 PCS) 전화, 무코드 전화 세트(cordless telephone set),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또는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와 같은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통의 단말 디바이스는 모바일 전화,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팜톱 컴퓨터(palmtop computer),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obile Internet device, MID) 및 착용가능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컨대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밴드(smart band), 또는 계보기(pedometer)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을 의미하고, "복수의"는 둘 이상을 의미함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용어 "및/또는"은 연관된 객체 간의 연관 관계를 기술하며 3개의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표현한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다음의 경우를 표현할 수 있다: 오직 A가 존재함, A 및 B 양자 모두가 존재함, 그리고 오직 B가 존재함(여기서 A 및 B는 단수 또는 복수일 수 있음). 문자 "/"는 일반적으로 연관된 객체 간의 "또는" 관계를 표현한다. "다음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의 유사한 표현은 다음 중 임의의 조합을 나타내고, 다음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및 c를 나타낼 수 있는데, a, b 및 c는 단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IAB 노드는 릴레이 노드의 특정 명칭이며, 이 출원의 방안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는다. IAB 노드는 송출 기능을 갖는 전술한 베이스 스테이션 또는 단말 디바이스 중 하나일 수 있거나, 독립적인 디바이스의 형태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출원에서의 IAB 노드는 또한 릴레이 노드(relay node, RN),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또는 릴레이 송수신 포인트(relay TRP)로 지칭될 수 있다.
추가로, 이 출원의 설명에서, "제1" 및 "제2"와 같은 용어는 구분 및 설명을 위해 사용될 뿐이며, 상대적인 중요성의 지시나 암시로서 이해되어서는 안 되거나 순차의 지시나 암시로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리소스 다중화 방법이 기술되기 전에,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이 우선 기술된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 및 리소스 다중화 방법은 2개의 방안으로서 각기 구현될 수 있거나, 구현을 위해 방안으로서 조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는 여기에서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 출원에서, 통신 디바이스가 IAB 노드인 예가 설명을 위해 사용된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보호 구간 정보는 제1 심볼 수효 N 및 제2 심볼 수효 M을 포함하고, 제1 심볼 수효 N은 제1 리소스로부터 제2 리소스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이고, 제2 심볼 수효 M은 제2 리소스로부터 제1 리소스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이다. 보호 심볼은 특정 방향(D/U/F)에서, 제1 리소스 상에서 송신이 수행되는 경우에, 제1 리소스 전과 후에 특정 방향(D/U/F)에서 제2 리소스가 이용할 수 없는 심볼이다.
제1 리소스는 MT 리소스일 수 있고, 제2 리소스는 DU 리소스일 수 있거나, 제1 리소스는 DU 리소스일 수 있고, 제2 리소스는 MT 리소스이다. "MT 리소스"는 단지 IAB 노드 및 IAB 노드의 부모 노드 간의 통신을 위한 송신 리소스의 예시적인 명칭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실제의 적용에서, IAB 노드 및 IAB 노드의 부모 노드 간의 통신을 위한 송신 리소스는 또한 다른 명칭, 예를 들어, X 리소스를 가질 수 있다. 만일 X 리소스가 IAB 노드 및 IAB 노드의 부모 노드 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경우, X 리소스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MT 리소스로서 간주될 수 있다. 유사하게, "DU 리소스"는 단지 IAB 노드 및 IAB 노드의 자식 노드 간의 통신을 위한 송신 리소스의 예시적인 명칭이다. 실제의 적용에서, IAB 노드 및 IAB 노드의 자식 노드 간의 통신을 위한 송신 리소스는 또한 다른 명칭, 예를 들어, A 리소스를 가질 수 있다. 만일 A 리소스가 IAB 노드 및 IAB 노드의 자식 노드 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경우, A 리소스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DU 리소스로서 간주될 수 있다.
제1 리소스의 타입은 송신 방향에 기반하여 업링크, 다운링크 또는 플렉서블일 수 있고, 제2 리소스의 타입은 송신 방향에 기반하여 업링크, 다운링크 또는 플렉서블일 수 있다.
제1 리소스의 타입이 송신 방향에 기반하여 업링크인 것은 제1 리소스가 항상 업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됨을 의미하고, 제1 리소스의 타입이 송신 방향에 기반하여 다운링크인 것은 제1 리소스가 항상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됨을 의미하고, 제1 리소스의 타입이 송신 방향에 기반하여 플렉서블인 것은 제1 리소스가 업링크 송신 또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시그널링 구성 내에, 나타내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제2 리소스의 타입이 송신 방향에 기반하여 업링크인 것은 제2 리소스가 항상 업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됨을 의미하고, 제2 리소스의 타입이 송신 방향에 기반하여 다운링크인 것은 제2 리소스가 항상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됨을 의미하고, 제2 리소스의 타입이 송신 방향에 기반하여 플렉서블인 것은 제2 리소스가 업링크 송신 또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시그널링 구성 내에, 나타내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해의 용이함을 위해, 다음은 IAB 노드의 MT 및 DU의 리소스 구성을 간략하게 기술한다.
송신 방향에 기반한 IAB 노드의 MT 리소스의 반정적(semi-static) 구성(D/U/F)은 반정적 시그널링을 사용함으로써 IAB 노드의 도너 노드 또는 부모 노드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어, 반정적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일 수 있다.
송신 방향에 기반한 IAB 노드의 DU 리소스의 반정적 리소스(D/U/F/Null)는 반정적 시그널링 또는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사용함으로써 IAB 노드의 도너 노드 또는 부모 노드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메시지는 F1-AP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전송되는 메시지일 수 있다.
DU 리소스는 리소스 다중화 타입(경성 또는 연성)에 기반하여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획득된다.
명시적 구성: IAB 노드의 도너 노드 또는 부모 노드는 직접적으로 DU 리소스(D/U/F)를 경성 또는 연성으로 구성한다. 이 경우에, IAB 노드의 MT 리소스는 직접적으로 IAB 노드의 DU 리소스의 경성/연성 구성에 의해 묵시적으로 도출될 수 있거나, IAB 노드의 도너 노드 또는 부모 노드에 의해 시그널링을 사용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묵시적 구성: IAB 노드의 도너 노드 또는 부모 노드는 IAB 노드의 MT를 위해 이용가능 리소스(또는 이용불가 리소스)를 구성한다. IAB 노드의 DU의 경성/연성 리소스 구성은 MT의 리소스 구성으로부터 묵시적으로 도출된다.
명시적 및 묵시적 구성 양자 모두에 대해, MT 리소스 및 DU 리소스의 타입 간의 상호 도출이 존재할 수 있다. 다음은 예를 사용함으로써 MT 리소스 및 DU 리소스의 타입 간의 상호 도출을 기술한다. 우선, TDM의 사례가 고려된다.
명시적 DU 구성: DU 경성 리소스에 대해, 대응하는 MT 리소스는 이용불가한데, 즉, MT는 DU 경성 리소스 상에서 부모 노드와 통신하지 않는다.
묵시적 DU 구성: MT 이용불가 리소스에 대해, DU는 리소스를 경성으로 간주할 수 있는데, 즉, DU는 또한 MT 이용불가 리소스 상에서 자식 노드와 통신할 수 있다.
DU 경성 리소스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경성 리소스는 DU가 항상 이용할 수 있는 리소스이다. 즉, MT의 스케줄링 구성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서, IAB 노드는 DU 경성 리소스 상에서 자식 노드와 항상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DU 경성/연성 리소스 및 MT 이용가능/이용불가 리소스 간의 관계가 도 9에 도시된다. 도 9는 7개의 심볼을 도시하는데, 심볼 0 및 6은 DU 경성 심볼이고, DU가 항상 이용할 수 있다. TDM 다중화가 수행된다고 가정된다. 이 경우에, 대응하는 MT 심볼은 이용불가 심볼이다. 도면 내의 심볼 1 내지 5는 DU 연성 심볼이다. 대응하는 MT 심볼은 이용가능 심볼임을 표 1로부터 알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IAB 노드는 IAB 노드의 DU 경성/연성 리소스 구성을 IAB 노드의 부모 노드 또는 도너 노드에 보고할 수 있다.
다음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실제의 배치에서, 전파 지연 및 비이상적인 인자로 인해, MT 심볼 및 DU 심볼은 엄밀히 정렬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MT 리소스 및 DU 리소스 간의 복수의 시간 차이가 우선 정의된다.
MT 다운링크 심볼 및 DU 다운링크 심볼 간의 시간 차이(아래에서 ΔDD로 지칭됨): 일반적으로, MT의 다운링크 수신은 DU의 다운링크 발신보다 더 늦다. 그러나, 몇몇 시나리오에서, MT의 다운링크 수신은 DU의 다운링크 발신보다 더 이를 수 있다. 따라서, ΔDD는 부호 있는(signed) 값일 수 있고(즉, ΔDD는 양수(positive number) 또는 음수(negative number)일 수 있음), ΔDD의 구체적인 양의 또는 음의 부호는 시간 차이의 엄밀한 정의에 의존한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MT의 다운링크 수신이 DU의 다운링크 발신보다 더 늦는 만큼의 시간, 즉, ΔDD > 0인 예가 설명을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ΔDD=Tp+Te인데, 여기서 Tp는 IAB 노드 및 부모 노드 간의 송신 지연이고, Te는 동기화의 비이상적 인자, 예를 들어, IAB 노드의 DU 및 부모 노드 간의 타이밍 에러(timing error)를 포함한다.
MT 업링크 심볼 및 DU 업링크 심볼 간의 시간 차이(아래에서 ΔUU로 지칭됨): 일반적으로, MT의 업링크 발신은 DU의 업링크 수신보다 더 이르다. 그러나, 몇몇 시나리오에서, MT의 업링크 발신은 DU의 업링크 수신보다 더 늦다. 따라서, ΔUU는 또한 부호 있는 값일 수 있고(즉, ΔUU는 양수 또는 음수일 수 있음), ΔUU의 구체적인 양의 또는 음의 부호는 시간 차이의 엄밀한 정의에 의존한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ΔUU는 MT의 업링크 발신이 DU의 업링크 수신보다 더 이른 만큼의 시간이고, ΔUU < 0인 예가 설명을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ΔUUDD+Tg-TA인데, 여기서 Tg는 IAB 노드의 DU의 업링크 수신 프레임이 DU의 다운링크 송신 프레임보다 더 이른 만큼의 시간이고, TA는 업링크 송신을 위해 IAB 노드의 MT에 의해 사용되는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이다.
MT 다운링크 심볼 및 DU 업링크 심볼 간의 시간 차이(아래에서 ΔDU로 지칭됨): 일반적으로, MT의 다운링크 수신은 DU의 업링크 수신보다 더 늦다. 그러나, 몇몇 시나리오에서, MT의 다운링크 수신은 DU의 업링크 수신보다 더 이르다. 따라서, ΔDU는 또한 부호 있는 값일 수 있고(즉, ΔDU는 양수 또는 음수일 수 있음), ΔDU의 구체적인 양의 또는 음의 부호는 시간 차이의 엄밀한 정의에 의존한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ΔDU는 MT의 다운링크 수신이 DU의 업링크 수신보다 더 늦는 만큼의 시간이고, ΔDU > 0인 예가 설명을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ΔDUDD+Tg이다.
MT 업링크 심볼 및 DU 다운링크 심볼 간의 시간 차이(아래에서 ΔUD로 지칭됨): 일반적으로, MT의 업링크 발신은 DU의 다운링크 발신보다 더 이르다. 그러나, 몇몇 시나리오에서, MT의 업링크 발신은 DU의 다운링크 발신보다 더 늦다. 따라서, ΔUD는 또한 부호 있는 값일 수 있고(즉, ΔUD는 양수 또는 음수일 수 있음), ΔUD의 구체적인 양의 또는 음의 부호는 시간 차이의 엄밀한 정의에 의존한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ΔUD는 MT의 업링크 발신이 DU의 다운링크 수신보다 더 이른 만큼의 시간이고, ΔUD < 0인 예가 설명을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ΔUUDD-TA이다.
도 10에 도시된 시간 차이는 MT 심볼 및 DU 심볼 간의 시간 차이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러나, 프로토콜에서, MT 리소스 및 DU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는 일반적으로 MT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 및 DU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 간의 시간 차이를 나타낸다. ΔDD는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ΔDD는 MT 프레임의 시작 시간이 DU 프레임의 시작 시간보다 더 늦는 만큼의 양, 즉, MT 프레임의 시작 시간 빼기(minus) DU 프레임의 시작 시간을 나타낸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MT 리소스 및 DU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는 MT 심볼 및 DU 심볼 간의 시간 차이, MT 프레임 및 DU 프레임 간의 시간 차이, 또는 MT 서브프레임 및 DU 서브프레임 간의 시간 차이일 수 있거나, 물론, 다른 시간 단위의 시간 차이일 수 있다. 이는 여기에서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MT 리소스 및 DU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에 더하여, IAB 노드의 MT 송신 및 DU 송신 간의 스위칭을 위한 시간이 또한 IAB 노드의 리소스 다중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정보이다. MT 송신 및 DU 송신 간의 스위칭을 위한 시간은 발신으로부터 수신으로의 스위칭을 위해 요구되는 전력 증폭기 오프 시간(즉, 발신으로부터 수신으로의 스위칭을 위한 시간) 또는 수신으로부터 발신으로의 스위칭을 위해 요구되는 전력 증폭기 온 시간(즉, 수신으로부터 발신으로의 스위칭을 위한 시간)을 주로 포함한다. MT 및 DU 간의 스위칭은 수신으로부터 수신으로의 스위칭, 또는 발신으로부터 발신으로의 스위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으로부터 수신으로의 스위칭에 대해, MT의 수신 신호 전력(received signal power) 및 DU의 수신 신호 전력 간의 차이가 비교적 작은 경우에, 스위칭 시간은 무시될 수 있거나, 두 수신 신호 전력 간의 차이가 비교적 큰 경우에, 스위칭 시간은 비교적 길 수 있다. 유사하게, 발신으로부터 발신으로의 스위칭에 대해, MT의 송신 전력(transmit power) 및 DU의 송신 전력 간의 차이가 비교적 작은 경우에, 스위칭 시간은 무시될 수 있거나, 두 신호 송신 전력 간의 차이가 비교적 큰 경우에, 스위칭 시간은 비교적 길 수 있다. 스위칭의 전술한 타입 각각을 위해 요구되는 시간이 IAB 노드에 알려져 있고, 스위칭의 각각의 타입을 위해 요구되는 최대 시간 길이가 또한 프로토콜에서 정의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에 따르면, IAB 노드는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에 기반하여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IAB 노드는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스위칭 시간에 기반하여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할 수 있는데, 스위칭 시간은 수신 및 발신 간의 스위칭을 수행하기 위해 IAB 노드에 의해 요구되는 시간이다. 구체적으로, IAB 노드가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 간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경우에, 만일 IAB 노드가 수신 및 발신 간의 스위칭을 수행할 필요가 있으면(예를 들어, MT 다운링크 리소스로부터 DU 다운링크 리소스로의 스위칭), IAB 노드는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스위칭 시간에 기반하여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할 수 있다. 만일 IAB 노드가 수신 및 발신 간의 스위칭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면(예를 들어, MT 다운링크 리소스로부터 DU 업링크 리소스로의 스위칭), IAB 노드는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에 기반하여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할 수 있다.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는 경우에, IAB 노드는 DU에 기반하여 보호 심볼을 정의하거나 MT에 기반하여 보호 심볼을 정의할 수 있다. DU에 기반하여 정의된 보호 심볼은 DU가 특정 방향(D/U/F)에서 송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보호 심볼 전 또는 후에 특정 방향(D/U/F)에서 MT가 이용할 수 없는 심볼을 지칭하고, MT에 기반하여 정의된 보호 심볼은 MT가 특정 방향(D/U/F)에서 송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보호 심볼 전 또는 후에 특정 방향(D/U/F)에서 DU가 이용할 수 없는 심볼을 지칭한다.
DU에 기반하여 정의된 보호 심볼에 대해, 다음은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참조하여 상세히 보호 구간 정보를 기술한다.
시나리오 1: MT 다운링크 심볼 및 DU 다운링크 심볼에 대해
IAB 노드가 MT 다운링크 심볼을 수신하고 DU 다운링크 심볼을 발신하기 때문에, IAB 노드는 MT 다운링크 심볼 및 DU 다운링크 심볼 간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경우에 수신 및 발신 간의 스위칭 또는 발신 및 수신 간의 스위칭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IAB 노드는, MT 다운링크 리소스 및 DU 다운링크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수신으로부터 발신으로의 스위칭을 위한 시간 t1에 기반하여, DU 다운링크 심볼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를 판정하고, MT 다운링크 리소스 및 DU 다운링크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발신으로부터 수신으로의 스위칭을 위한 시간 t2에 기반하여, DU 다운링크 심볼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를 판정할 수 있다. MT 다운링크 심볼 및 DU 다운링크 심볼 간의 시간 차이 ΔDD는 아래에서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DU 리소스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t1+ΔDD에 대응하는 심볼 수효 a이고, DU 리소스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t2-ΔDD에 대응하는 심볼 수효 b이다. 따라서, 보호 구간 정보는 {a, b}일 수 있다.
예시적인 설명에서, 만일 t1+ΔDD가 하나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지 않고, ΔDD가 t2보다 더 작고, t2-ΔDD가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지 않으면, 즉,
Figure pct00002
이고
Figure pct00003
이면(여기서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Δt는 심볼의 길이일 수 있음), DU 다운링크 심볼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1로서 정의될 수 있고, DU 심볼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1로서 정의될 수 있고, 보호 구간 정보는 {1, 1}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DU가 심볼 4를 사용하는 경우에, MT에서, 중첩하는 인덱스를 갖는 심볼 4에 더하여, 심볼 3 및 심볼 5가 또한 이용불가하다.
다른 예시적인 설명에서, 만일 t1+ΔDD가 하나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고 2개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지 않으며, ΔDD는 t2보다 더 크면, 즉,
Figure pct00004
이고
Figure pct00005
이면, DU 리소스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0일 수 있다. 따라서, DU 심볼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2로서 정의될 수 있고, DU 심볼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0으로서 정의될 수 있고, 보호 구간 정보는 {2, 0}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U가 심볼 4를 사용하는 경우에, MT에서, 중첩하는 인덱스를 갖는 심볼 4에 더하여, 심볼 2 및 심볼 3이 또한 이용불가하고, 심볼 5는 심볼 4 상의 송신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 다른 예시적인 설명에서, 만일 MT 리소스 및 DU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가 더 큰 경우, DU 심볼과 동일한 인덱스를 갖는 MT 심볼이 이용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에, DU 심볼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음수로 표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t1+ΔDD가 2개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고 3개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지 않으며, ΔDD가 t2보다 더 크고, │t2-ΔDD│가 하나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면, 즉,
Figure pct00006
이고
Figure pct00007
이면, DU 심볼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3으로서 정의될 수 있고, DU 심볼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1로서 정의될 수 있고, 보호 구간 정보는 {3, -1}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DU가 심볼 4를 사용하는 경우에, MT에서, 중첩하는 인덱스를 갖는 심볼 4가 이용가능하고, 심볼 1 내지 3이 이용불가하다.
시나리오 2: MT 다운링크 심볼 및 DU 업링크 심볼에 대해
IAB 노드가 MT 다운링크 심볼 및 DU 업링크 심볼을 수신하기 때문에, IAB 노드는, MT 다운링크 리소스 및 DU 업링크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MT 수신으로부터 DU 수신으로의 스위칭을 위한 스위칭 시간 t3에 기반하여, DU 다운링크 심볼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를 판정하고, MT 다운링크 리소스 및 DU 업링크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DU 수신으로부터 MT 수신으로의 스위칭을 위한 시간 t4에 기반하여, DU 다운링크 심볼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를 판정할 수 있다. MT 다운링크 심볼 및 DU 다운링크 심볼 간의 시간 차이 ΔDU는 아래에서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DU 리소스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t3+ΔDU에 대응하는 심볼 수효 a이고, DU 리소스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t4-ΔDU에 대응하는 심볼 수효 b이다. 따라서, 보호 구간 정보는 {a, b}일 수 있다.
MT 수신으로부터 DU 수신으로의 스위칭을 위한 시간은 DU 수신으로부터 MT 수신으로의 스위칭을 위한 시간과 동일할 수 있는데, 즉, t3는 t4와 동일할 수 있다.
구현에서, 수신으로부터 수신으로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데에는 비교적 짧은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수신으로부터 수신으로의 스위칭을 위한 시간은 무시될 수 있는데, 즉, t3 및 t4는 0과 동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설명에서, 만일 t3+ΔDU가 하나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지 않고, t4-ΔDU가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지 않으면, 즉,
Figure pct00008
이고
Figure pct00009
이면(여기서 Δt는 심볼의 길이일 수 있음), DU 심볼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1로서 정의될 수 있고, DU 심볼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0으로서 정의될 수 있고, 보호 구간 정보는 {1, 0}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DU가 심볼 4를 사용하는 경우에, MT에서, 중첩하는 인덱스를 갖는 심볼 4에 더하여, 심볼 3이 또한 이용불가하다.
다른 예시적인 설명에서, 만일 MT 리소스 및 DU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가 더 큰 경우, DU 심볼과 동일한 인덱스를 갖는 MT 심볼이 이용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에, DU 심볼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음수로 표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t3+ΔDU가 하나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고 2개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지 않으며, t4-ΔDU는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면, 즉,
Figure pct00010
이고
Figure pct00011
이면, DU 리소스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음수일 수 있다. 따라서, DU 심볼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2로서 정의될 수 있고, DU 심볼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1로서 정의될 수 있고, 보호 구간 정보는 {2, -1}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DU가 심볼 4를 사용하는 경우에, MT에서, 중첩하는 인덱스를 갖는 심볼 4는 영향을 받지 않고 이용가능하고, 심볼 2 및 심볼 3은 이용불가하다.
시나리오 3: MT 업링크 심볼 및 DU 업링크 심볼에 대해
IAB 노드가 MT 업링크 심볼을 발신하고 DU 업링크 심볼을 수신하기 때문에, IAB 노드는 MT 업링크 심볼 및 DU 업링크 심볼 간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경우에 수신 및 발신 간의 스위칭 또는 발신 및 수신 간의 스위칭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IAB 노드는, MT 업링크 리소스 및 DU 업링크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발신으로부터 수신으로의 스위칭을 위한 시간 t2에 기반하여, DU 업링크 심볼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를 판정하고, MT 업링크 리소스 및 DU 업링크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수신으로부터 발신으로의 스위칭을 위한 시간 t1에 기반하여, DU 업링크 심볼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를 판정할 수 있다. MT 업링크 심볼 및 DU 업링크 심볼 간의 시간 차이 ΔUU는 아래에서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DU 리소스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t2-ΔUU에 대응하는 심볼 수효 a이고, DU 리소스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t1+ΔUU에 대응하는 심볼 수효 b이다. 따라서, 보호 구간 정보는 {a, b}일 수 있다.
예시적인 설명에서, 만일 t1+ΔUU가 하나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지 않고, ΔUU가 t2보다 더 작고, t2-ΔUU가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지 않으면, 즉,
Figure pct00012
이고
Figure pct00013
이면(여기서 Δt는 심볼의 길이일 수 있음), DU 심볼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1로서 정의될 수 있고, DU 심볼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1로서 정의될 수 있고, 보호 구간 정보는 {1, 1}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DU가 심볼 4를 사용하는 경우에, MT에서, 중첩하는 인덱스를 갖는 심볼 4에 더하여, 심볼 3 및 심볼 5가 또한 이용불가하다.
다른 예시적인 설명에서, 만일 t1+ΔUU가 하나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고 2개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지 않으며, ΔUU는 t2보다 더 크면, 즉,
Figure pct00014
이고
Figure pct00015
이면, DU 리소스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0일 수 있다. 따라서, DU 심볼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0으로서 정의될 수 있고, DU 심볼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2로서 정의될 수 있고, 보호 구간 정보는 {0, 2}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DU가 심볼 4를 사용하는 경우에, MT에서, 중첩하는 인덱스를 갖는 심볼 4에 더하여, 심볼 5 및 심볼 6이 또한 이용불가하고, 심볼 3은 심볼 4 상의 송신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 다른 예시적인 설명에서, 만일 MT 리소스 및 DU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가 더 큰 경우, DU 심볼과 동일한 인덱스를 갖는 MT 심볼이 이용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에, DU 심볼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음수로 표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t1+ΔUU가 2개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고 3개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지 않으며, ΔUU가 t2보다 더 크고, │t2-ΔUU│가 하나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큰, 즉,
Figure pct00016
이고
Figure pct00017
이면, DU 심볼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1로서 정의될 수 있고, DU 심볼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3으로서 정의될 수 있고, 보호 구간 정보는 {-1, 3}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DU가 심볼 4를 사용하는 경우에, MT에서, 중첩하는 인덱스를 갖는 심볼 4가 이용가능하고, 심볼 5 내지 7이 이용불가하다.
시나리오 4: MT 업링크 심볼 및 DU 다운링크 심볼에 대해
IAB 노드가 MT 업링크 심볼 및 DU 다운링크 심볼을 발신하기 때문에, IAB 노드는, MT 업링크 리소스 및 DU 다운링크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MT 발신으로부터 DU 발신으로의 스위칭을 위한 스위칭 시간 t5에 기반하여, DU 업링크 심볼 전의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고, MT 업링크 리소스 및 DU 다운링크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DU 발신으로부터 MT 발신으로의 스위칭을 위한 시간 t6에 기반하여, DU 업링크 심볼 후의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할 수 있다. MT 업링크 심볼 및 DU 다운링크 심볼 간의 시간 차이 ΔDU는 아래에서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DU 리소스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t5-ΔUD에 대응하는 심볼 수효 a이고, DU 리소스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t6+ΔUD에 대응하는 심볼 수효 b이다. 따라서, 보호 구간 정보는 {a, b}일 수 있다.
MT 발신으로부터 DU 발신으로의 스위칭을 위한 시간은 DU 발신으로부터 MT 발신으로의 스위칭을 위한 시간과 동일할 수 있는데, 즉, t5는 t6와 동일할 수 있다.
구현에서, 발신으로부터 발신으로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데에는 비교적 짧은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발신으로부터 발신으로의 스위칭을 위한 시간은 무시될 수 있는데, 즉, t5 및 t6는 0과 동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설명에서, 만일ΔUD가 하나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지 않으면, 즉,
Figure pct00018
이고
Figure pct00019
이면(여기서 Δt는 심볼의 길이일 수 있음), DU 심볼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0으로서 정의될 수 있고, DU 심볼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1로서 정의될 수 있고, 보호 구간 정보는 {0, 1}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DU가 심볼 4를 사용하는 경우에, MT에서, 중첩하는 인덱스를 갖는 심볼 4에 더하여, 심볼 5가 또한 이용불가하다.
다른 예시적인 설명에서, 만일 MT 리소스 및 DU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가 더 큰 경우, DU 심볼과 동일한 인덱스를 갖는 MT 심볼이 이용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에, DU 심볼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음수로 표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ΔDU가 하나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고 2개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지 않으면, 즉,
Figure pct00020
이고
Figure pct00021
이면, DU 리소스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음수일 수 있다. 따라서, DU 심볼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1로서 정의될 수 있고, DU 심볼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2로서 정의될 수 있고, 보호 구간 정보는 {-1, 2}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DU가 심볼 4를 사용하는 경우에, MT에서, 중첩하는 인덱스를 갖는 심볼 4는 영향을 받지 않고 이용가능하고, 심볼 5 및 심볼 6은 이용불가하다.
이상은 4개의 시나리오에서 DU에 기반하여 정의된 보호 심볼을 기술한다. DU 심볼이 사용되는 경우에, DU 심볼에 의해 요구되는 MT 보호 구간은 {a, b}로서 표현된다. 만일 DU 심볼 L이 사용되는 경우, MT의 심볼 (L-a) 내지 심볼 (L+b)는 심볼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사용될 수 없다. (L-a) 또는 (L+b)가 0보다 더 작은 경우에, 슬롯 내의 심볼의 수효에 기반한 (L-a) 또는 (L+b)에 대해 모듈로 연산(modulo operation)이 수행되고, 모듈로 연산 후에 획득된 결과는 이전의 슬롯 내의 이용불가 심볼의 인덱스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L=0이고, 보호 구간 정보가 {1, 1}인 경우에, MT의 심볼 -1 내지 심볼 2는 DU 심볼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용불가함을 알게 된다. 슬롯 내에 14개의 심볼이 있다고 가정하면, -1에 대해 14에 의해 모듈로 연산이 수행되어야 하는바, 13을 획득한다. 따라서, 결과는 이전의 슬롯 내의 심볼 13 내지 현재의 슬롯 내의 심볼 2가 DU 심볼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용불가하다는 것이다.
상응하여, (L-a) 또는 (L+b)가 M-1보다 더 큰 경우에(슬롯 내의 심볼의 수효가 M이라고 가정함), 결과에 대해 또한 모듈로 연산이 수행되어야 하고, 모듈로 연산 후에 획득된 결과는 다음번 슬롯 내의 심볼로서 간주된다. 예를 들어, L=13이고, 보호 구간 정보가 {1, 1}인 경우에, MT의 심볼 12 내지 심볼 14는 DU 심볼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용불가함을 알게 된다. 슬롯 내에 14개의 심볼이 있다고 가정하면, 14에 대해 14에 의해 모듈로 연산이 수행되어야 하는바, 0을 획득한다. 따라서, 결과는 현재의 슬롯 내의 심볼 12 내지 다음번 슬롯 내의 심볼 0이 DU 심볼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용불가하다는 것이다.
MT에 기반하여 정의된 보호 심볼에 대해, 다음은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참조하여 상세히 보호 구간 정보를 기술한다.
시나리오 1: MT 다운링크 심볼 및 DU 다운링크 심볼에 대해
IAB 노드가 MT 다운링크 심볼을 수신하고 DU 다운링크 심볼을 발신하기 때문에, IAB 노드는 MT 다운링크 심볼 및 DU 다운링크 심볼 간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경우에 수신 및 발신 간의 스위칭 또는 발신 및 수신 간의 스위칭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IAB 노드는, MT 다운링크 리소스 및 DU 다운링크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수신으로부터 발신으로의 스위칭을 위한 시간 t1에 기반하여, MT 다운링크 심볼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를 판정하고, MT 다운링크 리소스 및 DU 다운링크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발신으로부터 수신으로의 스위칭을 위한 시간 t2에 기반하여, MT 다운링크 심볼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를 판정할 수 있다. MT 다운링크 심볼 및 DU 다운링크 심볼 간의 시간 차이 ΔDD는 아래에서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MT 리소스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t1+ΔDD에 대응하는 심볼 수효 d이고, MT 리소스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t2-ΔDD에 대응하는 심볼 수효 c이다. 따라서, 보호 구간 정보는 {c, d}일 수 있다.
예시적인 설명에서, 만일 t1+ΔDD가 하나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지 않고, ΔDD가 t2보다 더 작고, t2-ΔDD가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지 않으면, 즉,
Figure pct00022
이고
Figure pct00023
이면(여기서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Δt는 심볼의 길이일 수 있음), MT 심볼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1로서 정의될 수 있고, MT 심볼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1로서 정의될 수 있고, 보호 구간 정보는 {1, 1}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T가 심볼 3을 사용하는 경우에, DU에서, 중첩하는 인덱스를 갖는 심볼 3에 더하여, 심볼 2 및 심볼 4가 또한 이용불가하다.
다른 예시적인 설명에서, 만일 t1+ΔDD가 하나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고 2개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지 않으며, ΔDD는 t2보다 더 크면, 즉,
Figure pct00024
이고
Figure pct00025
이면, MT 리소스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0일 수 있다. 따라서, MT 심볼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0으로서 정의될 수 있고, MT 심볼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2로서 정의될 수 있고, 보호 구간 정보는 {0, 2}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MT가 심볼 3을 사용하는 경우에, DU에서, 중첩하는 인덱스를 갖는 심볼 3에 더하여, 심볼 4 및 심볼 5가 또한 이용불가하고, 심볼 2는 심볼 3 상의 송신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다른 예시적인 설명에서, 만일 MT 리소스 및 DU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가 더 큰 경우, MT 심볼과 동일한 인덱스를 갖는 DU 심볼이 이용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에, MT 심볼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음수로 표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ΔDD가 2개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고 3개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지 않으며, ΔDD가 t2보다 더 크고, │t2-ΔDD│가 하나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면, 즉,
Figure pct00026
이고
Figure pct00027
이면, MT 심볼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3으로서 정의될 수 있고, MT 심볼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1로서 정의될 수 있고, 보호 구간 정보는 {-1, 3}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MT가 심볼 3을 사용하는 경우에, DU에서, 중첩하는 인덱스를 갖는 심볼 3이 이용가능하고, 심볼 4 내지 6이 이용불가하다.
시나리오 2: MT 다운링크 심볼 및 DU 업링크 심볼에 대해
IAB 노드가 MT 다운링크 심볼 및 DU 업링크 심볼을 수신하기 때문에, IAB 노드는, MT 다운링크 리소스 및 DU 업링크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DU 수신으로부터 MT 수신으로의 스위칭을 위한 스위칭 시간 t4에 기반하여, MT 다운링크 심볼 전의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고, MT 다운링크 리소스 및 DU 업링크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MT 수신으로부터 DU 수신으로의 스위칭을 위한 시간 t3에 기반하여, MT 다운링크 심볼 후의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할 수 있다. MT 다운링크 심볼 및 DU 다운링크 심볼 간의 시간 차이 ΔDU는 아래에서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MT 리소스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t4-ΔDU에 대응하는 심볼 수효 c이고, MT 리소스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t3-ΔDU에 대응하는 심볼 수효 d이다. 따라서, 보호 구간 정보는 {c, d}일 수 있다.
예시적인 설명에서, 만일 ΔDU가 하나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지 않고, ΔDU가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지 않으면, 즉,
Figure pct00028
이고
Figure pct00029
이면(여기서 Δt는 심볼의 길이일 수 있음), MT 심볼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0으로서 정의될 수 있고, MT 심볼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1로서 정의될 수 있고, 보호 구간 정보는 {0, 1}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MT가 심볼 3을 사용하는 경우에, DU에서, 중첩하는 인덱스를 갖는 심볼 3에 더하여, 심볼 4가 또한 이용불가하다.
다른 예시적인 설명에서, 만일 MT 리소스 및 DU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가 더 큰 경우, MT 심볼과 동일한 인덱스를 갖는 DU 심볼이 이용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에, MT 심볼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음수로 표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ΔDU가 하나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고 2개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지 않으면, 즉,
Figure pct00030
이고
Figure pct00031
이면, MT 리소스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음수일 수 있다. 따라서, MT 심볼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1로서 정의될 수 있고, MT 심볼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2로서 정의될 수 있고, 보호 구간 정보는 {-1, 2}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MT가 심볼 3을 사용하는 경우에, DU에서, 중첩하는 인덱스를 갖는 심볼 3은 영향을 받지 않고 이용가능하고, 심볼 4 및 심볼 5는 이용불가하다.
시나리오 3: MT 업링크 심볼 및 DU 업링크 심볼에 대해
IAB 노드가 MT 업링크 심볼을 발신하고 DU 업링크 심볼을 수신하기 때문에, IAB 노드는 MT 업링크 심볼 및 DU 업링크 심볼 간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경우에 수신 및 발신 간의 스위칭 또는 발신 및 수신 간의 스위칭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IAB 노드는, MT 업링크 리소스 및 DU 업링크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발신으로부터 수신으로의 스위칭을 위한 시간 t2에 기반하여, MT 업링크 심볼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를 판정하고, MT 업링크 리소스 및 DU 업링크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수신으로부터 발신으로의 스위칭을 위한 시간 t1에 기반하여, MT 업링크 심볼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를 판정할 수 있다. MT 업링크 심볼 및 DU 업링크 심볼 간의 시간 차이 ΔUU는 아래에서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MT 리소스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t2-ΔUU에 대응하는 심볼 수효 c이고, MT 리소스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t1+ΔUU에 대응하는 심볼 수효 d이다. 따라서, 보호 구간 정보는 {c, d}일 수 있다.
예시적인 설명에서, 만일 t1+ΔUU가 하나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지 않고, ΔUU가 t2보다 더 작고, t2-ΔUU가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지 않으면, 즉,
Figure pct00032
이고
Figure pct00033
이면(여기서 Δt는 심볼의 길이일 수 있음), MT 심볼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1로서 정의될 수 있고, MT 심볼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1로서 정의될 수 있고, 보호 구간 정보는 {1, 1}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MT가 심볼 3을 사용하는 경우에, DU에서, 중첩하는 인덱스를 갖는 심볼 3에 더하여, 심볼 2 및 심볼 4가 또한 이용불가하다.
다른 예시적인 설명에서, 만일 t1+ΔUU가 하나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고 2개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지 않으며, ΔUU는 t2보다 더 크면, 즉,
Figure pct00034
이고
Figure pct00035
이면, MT 리소스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0일 수 있다. 따라서, MT 심볼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2로서 정의될 수 있고, MT 심볼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0으로서 정의될 수 있고, 보호 구간 정보는 {2, 0}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MT가 심볼 3을 사용하는 경우에, DU에서, 중첩하는 인덱스를 갖는 심볼 3에 더하여, 심볼 1 및 심볼 2가 또한 이용불가하고, 심볼 4는 심볼 3 상의 송신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 다른 예시적인 설명에서, 만일 MT 리소스 및 DU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가 더 큰 경우, MT 심볼과 동일한 인덱스를 갖는 DU 심볼이 이용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에, MT 심볼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음수로 표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t1+ΔUU가 2개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고 3개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지 않으며, ΔUU가 t2보다 더 크고, │t2-ΔUU│가 하나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면, 즉,
Figure pct00036
이고
Figure pct00037
이면, MT 심볼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3으로서 정의될 수 있고, MT 심볼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1로서 정의될 수 있고, 보호 구간 정보는 {3, -1}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MT가 심볼 3을 사용하는 경우에, DU에서, 중첩하는 인덱스를 갖는 심볼 3이 이용가능하고, 심볼 0 내지 2가 이용불가하다.
시나리오 4: MT 업링크 심볼 및 DU 다운링크 심볼에 대해
IAB 노드가 MT 업링크 심볼 및 DU 다운링크 심볼을 수신하기 때문에, IAB 노드는 MT 업링크 심볼 및 DU 다운링크 심볼 간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경우에 수신 및 발신 간의 스위칭 또는 발신 및 수신 간의 스위칭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IAB 노드는, MT 업링크 리소스 및 DU 다운링크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DU 발신으로부터 MT 발신으로의 스위칭을 위한 시간 t6에 기반하여, MT 업링크 심볼 전의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고, MT 업링크 리소스 및 DU 다운링크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MT 발신으로부터 DU 발신으로의 스위칭을 위한 시간 t5에 기반하여, MT 업링크 심볼 후의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할 수 있다. MT 업링크 심볼 및 DU 다운링크 심볼 간의 시간 차이 ΔDU는 아래에서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MT 리소스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t6+ΔUD에 대응하는 심볼 수효 c이고, MT 리소스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t5-ΔUD에 대응하는 심볼 수효 d이다. 따라서, 보호 구간 정보는 {c, d}일 수 있다.
예시적인 설명에서, 만일ΔUD가 하나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지 않으면, 즉,
Figure pct00038
이고
Figure pct00039
이면(여기서 Δt는 심볼의 길이일 수 있음), MT 심볼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1로서 정의될 수 있고, MT 심볼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0으로서 정의될 수 있고, 보호 구간 정보는 {1, 0}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MT가 심볼 3을 사용하는 경우에, DU에서, 중첩하는 인덱스를 갖는 심볼 3에 더하여, 심볼 2가 또한 이용불가하다.
다른 예시적인 설명에서, 만일 MT 리소스 및 DU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가 더 큰 경우, MT 심볼과 동일한 인덱스를 갖는 DU 심볼이 이용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에, MT 심볼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음수로 표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ΔDU가 하나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고 2개의 심볼의 길이보다 더 크지 않으면, 즉,
Figure pct00040
이고
Figure pct00041
이면, MT 리소스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음수일 수 있다. 따라서, MT 심볼 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2로서 정의될 수 있고, MT 심볼 후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1로서 정의될 수 있고, 보호 구간 정보는 {2, -1}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T가 심볼 3을 사용하는 경우에, DU에서, 중첩하는 인덱스를 갖는 심볼 3은 영향을 받지 않고 이용가능하고, 심볼 1 및 심볼 2는 이용불가하다.
이상은 4개의 시나리오에서 MT에 기반하여 정의된 보호 심볼을 기술한다. MT 심볼이 사용되는 경우에, MT 심볼에 의해 요구되는 DU 보호 구간은 {c, d}로서 표현된다. 만일 MT 심볼 H가 사용되는 경우, DU의 심볼 (H-c) 내지 심볼 (H+d)는 심볼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사용될 수 없다. (H-c) 또는 (H+d)가 0보다 더 작은 경우에, 슬롯 내의 심볼의 수효에 기반한 결과에 대해 모듈로 연산이 수행되고, 모듈로 연산 후에 획득된 결과는 이전의 슬롯 내의 이용불가 심볼의 인덱스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H=0이고, 보호 구간 정보가 {1, 1}인 경우에, DU의 심볼 -1 내지 심볼 2는 MT 심볼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용불가함을 알게 된다. 슬롯 내에 14개의 심볼이 있다고 가정하면, -1에 대해 14에 의해 모듈로 연산이 수행되어야 하는바, 13을 획득한다. 따라서, 결과는 이전의 슬롯 내의 심볼 13 내지 현재의 슬롯 내의 심볼 2가 MT 심볼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용불가하다는 것이다.
상응하여, (H-c) 또는 (H+d)가 M-1보다 더 큰 경우에(슬롯 내의 심볼의 수효가 M이라고 가정함), 결과에 대해 또한 모듈로 연산이 수행되어야 하고, 모듈로 연산 후에 획득된 결과는 다음번 슬롯 내의 심볼로서 간주된다. 예를 들어, H=13이고, 보호 구간 정보가 {1, 1}인 경우에, DU의 심볼 12 내지 심볼 14는 MT 심볼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용불가함을 알게 된다. 슬롯 내에 14개의 심볼이 있다고 가정하면, 14에 대해 14에 의해 모듈로 연산이 수행되어야 하는바, 0을 획득한다. 따라서, 결과는 현재의 슬롯 내의 심볼 12 내지 다음번 슬롯 내의 심볼 0이 MT 심볼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용불가하다는 것이다.
전술한 정의에서, 보호 심볼은 모두 쌍으로 정의되고 발신되는데, 즉 MT로부터 DU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 및 DU로부터 MT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는 양자 모두 어레이(array)(예를 들어, {1, 1})를 사용함으로써 제공된다. 두 타입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은 또한 각기 정의되고/거나 발신될 수 있고, 8개의 리소스 조합에 기반하여 보호 심볼의 수효의 8개 값이 제공됨이 이해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MT(다운링크 또는 업링크)로부터 DU(다운링크 또는 업링크)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 u 및 DU(다운링크 또는 업링크)로부터 MT(다운링크 또는 업링크)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 v가 프로토콜 내에 정의될 수 있다. MT로부터 DU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 u는 만일 MT의 마지막의 사용된 심볼이 심볼 H인 경우, 심볼 H 후의 처음의 가능한 DU 이용가능 심볼이 심볼 H+u+1임을, 또는 만일 DU의 처음의 사용된 심볼이 심볼 L인 경우, 심볼 L 전의 마지막의 가능한 MT 이용가능 심볼이 심볼 L-u-1임을 나타낸다. DU로부터 MT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 v는 만일 DU의 마지막의 사용된 심볼이 심볼 L인 경우, 심볼 L 후의 처음의 가능한 MT 이용가능 심볼이 심볼 L+v+1임을, 또는 만일 MT의 처음의 사용된 심볼이 심볼 H인 경우, 심볼 H 전의 마지막의 가능한 DU 이용가능 심볼이 심볼 H-v-1임을 나타낸다. 이 문서 도처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이용가능 심볼의 인덱스(즉, H+u+1, L-u-1, L+v+1, 또는 H-v-1)가 판정된 경우, 이용가능 심볼이 슬롯에 걸쳐서 판정되는 경우에 적용가능하도록, 슬롯 내의 심볼의 수효에 대해 모듈로 연산이 수행될 수 있다.
u 및 v를 계산하기 위한 방법은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보호 심볼의 수효를 계산하기 위한 방법은 예일 뿐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실제로, 보호 심볼의 수효가 계산되는 경우에 다른 인자가 또한 고려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심볼의 CP가 폐기될(discarded) 수 있거나, 수신 심볼의 CP 길이가 각각의 리소스 차이(예를 들어, ΔDU)에 가산된다. 만일 IAB 노드 및 부모 노드/도너 노드 각각이 보호 심볼의 수효를 계산할 필요가 있는 경우, 명확한 계산 공식이 프로토콜 내에 정의될 필요가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나, 만일 오직 IAB 노드가 보호 구간을 계산할 필요가 있는 경우, 계산 방법은 IAB 노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판정되는 이용가능 심볼을 위해 오직 DU 심볼에 대한 마지막의 MT 심볼 및 처음의 MT 심볼의 영향이, 또는 MT 심볼에 대한 마지막의 DU 심볼 및 처음의 DU 심볼의 영향이 고려되고, 다른 심볼의 인자는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전술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판정되는 DU 또는 MT 이용가능 심볼은 모든 가능한 이용가능 심볼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보호 심볼의 음의 수효는 프로토콜 내에 정의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보호 심볼의 계산된 수효가 음수인 경우에, 보호 심볼의 수효는 0으로 간주된다.
도 12 내지 도 31은 특정 서브캐리어 간격 및 CP 타입 가정에 기반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이한 파형 파라미터(뉴머롤로지(numerology))에서, 요구되는 보호 심볼의 수효는 상이할 수 있다. 즉, 상이한 뉴머롤로지에서, Δt의 값은 상이할 수 있고, a 및 b의 상응하여 획득된 값은 상이하다. 서브캐리어 간격 및 CP 타입 가정은 프로토콜 내에 정의될 수 있거나, IAB 노드의 부모 노드 또는 도너 노드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뉴머롤로지는 서브캐리어 간격 정보 및 CP 타입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만일 서브캐리어 간격 및 CP 타입이 프로토콜 내에 정의된 경우, 상이한 주파수 대역 내에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 및 CP 타입이 있을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상이한 주파수 대역 내의 디폴트(default) 파형 파라미터가 프로토콜 내에 정의될 수 있으나, IAB 노드의 부모 노드 또는 IAB 노드의 도너 노드는 구성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디폴트 파형 파라미터를 수정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IAB 노드는 가정된 서브캐리어 간격 및 가정된 CP 타입을 기타 구성된 정보에 기반하여 판정할 수 있고, 기타 구성된 정보는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 내의 서브캐리어 간격 및 CP 타입, 모든 구성된 BWP 내의 최대 또는 최소 서브캐리어 간격 및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기타 구성된 정보는 다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AB 노드의 MT를 위해 이용가능/이용불가 리소스를 구성하기 위해 IAB 노드의 도너 노드 또는 IAB 노드의 부모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파형 파라미터, DU를 위해 경성/연성 리소스를 구성하기 위해 IAB 노드의 도너 노드 또는 IAB 노드의 부모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파형 파라미터, 최대 또는 최소 서브캐리어 간격 및 유사한 것.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IAB 노드는 파라미터 세트를 참조하여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할 수 있다. 파라미터 세트는 다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CP 타입. 예를 들어, IAB 노드는 DU 리소스 및 MT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파라미터 세트에 기반하여 보호 심볼의 수효를 판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IAB 노드는 DU 리소스 및 MT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스위칭 시간에 기반하여 보호 심볼의 수효를 판정할 수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구현 동안에, IAB 노드는 복수의 파라미터 세트에 기반하여 보호 구간 정보의 복수의 세트를 또한 보고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의 파라미터 세트는 MT 리소스의 파라미터 세트, DU 리소스의 파라미터 세트, 또는 MT 리소스 및 DU 리소스의 공통 파라미터 세트일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선택적으로, 전술한 파라미터 세트는 보호 심볼의 파라미터 세트이다. 본 문서에서의 보호 심볼은 MT 리소스도 DU 리소스도 아닐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보호 심볼은 DU 또는 MT에 기반하여서가 아니라, 상이한 방향에서의 DU 리소스로부터 상이한 방향에서의 MT 리소스로의 스위칭을 위해 요구되는 보호 심볼 및 상이한 방향에서의 MT 리소스로부터 상이한 방향에서의 DU 리소스로의 스위칭을 위해 요구되는 보호 심볼에 기반하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T 다운링크로부터 DU 다운링크로의 스위칭을 위해 요구되는 보호 심볼의 수효는 e로서 정의되고, DU 다운링크로부터 MT 다운링크로의 스위칭을 위해 요구되는 보호 심볼의 수효는 f로서 정의된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일반적으로, a=d=e이고 b=c=f임을 알 수 있다. MT 다운링크 리소스가 DU 다운링크 리소스와 다중화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보호 심볼에 더하여, IAB 노드는 MT의 다른 방향에서의 리소스가 DU의 다른 방향에서의 리소스와 다중화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보호 심볼을 또한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방향은 MT 업링크 및 DU 업링크, MT 업링크 및 DU 다운링크, 그리고 MT 다운링크 및 DU 업링크이다.
전술한 방식으로, IAB 노드는 IAB 노드의 MT 리소스 및 DU 리소스 간의 정확한 시간 차이를 알 수 있고, 또한 스위칭 시간에 대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IAB 노드는 IAB 노드의 MT 리소스 및 DU 리소스 간의 보호 구간 정보를 정확히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IAB 노드의 부모 노드는 전술한 정보를 획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IAB 노드의 부모 노드는 IAB 노드의 MT 리소스 및 DU 리소스 간의 보호 구간 정보를 정확히 획득할 수 없다. 리소스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IAB 노드는 IAB 노드의 MT 리소스 및 DU 리소스 간의 보호 구간 정보를 IAB 노드의 부모 노드에 보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AB 노드의 부모 노드 또는 도너 노드는 다양한 또는 특정 다중화 경우에서의 보호 구간 정보를 보고할 것을 IAB 노드에 요구할 수 있거나, IAB 노드는 IAB 노드의 부모 노드 또는 도너 노드에 다양한 또는 특정 다중화 경우에서의 보호 심볼을 보고하기를 요청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다양한 또는 특정 다중화 경우에 디폴트 보호 구간 정보가 있을 수 있다. IAB 노드가 보호 구간 정보를 보고하지 않는 경우에, IAB 노드의 부모 노드 또는 도너 노드는 디폴트 보호 구간 정보를 사용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디폴트 보호 구간 정보는 다양한 경우에 보호 심볼의 수효를 위해 획득될 수 있는 최대 값이다. 보호 심볼의 최대 수효를 디폴트 보호 구간 정보로서 설정함으로써 충돌이 완전히 방지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보호 구간 정보는 송신 방향에 기반한다. 예를 들어, 보호 구간 정보는 다운링크 제1 리소스로부터 다운링크 제2 리소스로의 스위칭, 예를 들어, MT 다운링크로부터 DU 다운링크로의 스위칭, 또는 DU 다운링크로부터 MT 다운링크로의 스위칭 동안에 사용된다. 다른 예를 들면, 보호 구간 정보는 업링크 제1 리소스로부터 다운링크 제2 리소스로의 스위칭, 예를 들어, MT 업링크로부터 DU 다운링크로의 스위칭, 또는 DU 업링크로부터 MT 다운링크로의 스위칭 동안에 사용된다. 다른 예를 들면, 보호 구간 정보는 다운링크 제1 리소스로부터 업링크 제2 리소스로의 스위칭, 예를 들어, MT 다운링크로부터 DU 업링크로의 스위칭, 또는 DU 다운링크로부터 MT 업링크로의 스위칭 동안에 사용된다. 다른 예를 들면, 보호 구간 정보는 업링크 제1 리소스로부터 업링크 제2 리소스로의 스위칭, 예를 들어, MT 업링크로부터 DU 업링크로의 스위칭, 또는 DU 업링크로부터 MT 업링크로의 스위칭 동안에 사용된다.
구체적인 구현 동안에, IAB 노드는 모든 방향 또는 일부 방향에서의 보호 구간 정보를 보고(또는 판정 또는 수신)할 수 있다. IAB 노드가 일부 방향에서의 보호 구간 정보를 보고(또는 판정)하는 경우에, 그 일부 방향에서의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다른 방향에서의 보호 구간 정보가 도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모 노드는 IAB 노드의 MT 다운링크로부터 DU 다운링크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가 DU 업링크로부터 MT 업링크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와 동일함을 디폴트로 고려할 수 있다.
보고된 정보를 IAB 노드로부터 수신한 후에, 부모 노드 또는 도너 노드는 부모 노드 또는 도너 노드가 IAB 노드와 통신하는 데에 보고된 보호 심볼 정보를 사용할 것임을 나타내는, 보고된 정보를 판정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부모 노드 또는 도너 노드는 IAB 노드를 위해 보호 심볼 정보를 구성한다. 다양한 스위칭 경우를 위해, 구성된 보호 심볼의 수효는 IAB 노드의 보고된 값보다 더 크거나 같을 수 있다.
DU로부터 MT로의 스위칭을 위한 방법은 MT로부터 DU로의 스위칭을 위한 방법과 같다. 다음은 MT로부터 DU로의 스위칭을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한다. 예를 들어, 만일 IAB 노드가 MT 다운링크로부터 DU 다운링크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는 경우, IAB 노드는, MT 다운링크로부터 DU 다운링크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MT 업링크로부터 DU 업링크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할 수 있고, 역으로도 마찬가지이다. 다른 예를 들면, 만일 IAB 노드가 MT 업링크로부터 DU 다운링크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는 경우, IAB 노드는, MT 업링크로부터 DU 다운링크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MT 다운링크로부터 DU 업링크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할 수 있고, 역으로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만일 MT 다운링크로부터 DU 다운링크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구간 정보가 (a1, b1)인 경우, IAB 노드는 MT 업링크로부터 DU 업링크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구간 정보가 (b1, a1)임을 판정할 수 있다. 역(reverse) 도출은 이와 유사하며, 세부사항은 기술되지 않는다. 만일 MT 업링크로부터 DU 다운링크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구간 정보가 (c1, d1)인 경우, IAB 노드는 MT 다운링크로부터 DU 업링크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구간 정보가 (d1, c1)임을 판정할 수 있다. 역 도출은 이와 유사하며, 세부사항은 기술되지 않는다.
또한, IAB 노드의 보호 구간 정보가 디폴트 보호 구간 정보와 상이한 경우에, IAB 노드는 다양한 또는 특정한 다중화 경우에서의 보호 구간 정보를 보고하기를 요청한다.
이상은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을 기술하며, 다음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리소스 다중화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도 32는 이 출원에 따른 리소스 다중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S3201. 제1 노드는 IAB 노드의 제1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한다.
제1 노드는 IAB 노드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노드는 제1 노드의 제1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한다. 대안적으로, 제1 노드는 IAB 노드의 부모 노드 또는 도너 노드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노드는 IAB 노드의 제1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한다.
구체적인 구현 동안에, IAB 노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예를 들어, 릴레이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IAB 노드일 수 있거나, IAB 노드는 단말 디바이스, 예를 들어, 릴레이 UE일 수 있거나, IAB 노드는 다른 IAB 노드와의 데이터 백홀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다른 IAB 노드일 수 있거나, 기타 등등이다. 이는 여기에서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설명에서, 시간 도메인 위치는 시간 도메인 인덱스, 예를 들어, 프레임 번호, 슬롯 번호, 심볼 번호, 또는 전술한 번호의 조합, 예를 들어, 슬롯 번호 및 심볼 번호일 수 있다.
S3202. 제1 노드는 IAB 노드의 제1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와 타입 및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IAB 노드의 제2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한다. 제1 리소스는 MT 리소스일 수 있고, 제2 리소스는 DU 리소스일 수 있거나, 제1 리소스는 DU 리소스일 수 있고, 제2 리소스는 MT 리소스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노드는 IAB 노드의 제1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와 타입 및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IAB 노드의 제1 타입의 제2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할 수 있다. 만일 제1 리소스가 DU 리소스인 경우, 제1 타입은 MT 리소스의 이용가능 타입일 수 있거나, 만일 제1 리소스가 MT 리소스인 경우, 제1 타입은 DU 리소스의 경성 타입일 수 있다.
본 문서에서의 "타입"은 리소스 다중화 기반 타입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만일 제1 리소스가 DU 리소스인 경우, 제1 리소스의 타입은 경성 및 연성을 포함한다. 만일 제1 리소스가 MT 리소스인 경우, 제1 리소스의 타입은 이용가능 및 이용불가를 포함한다.
"MT 리소스"는 단지 IAB 노드 및 IAB 노드의 부모 노드 간의 통신을 위한 송신 리소스의 예시적인 명칭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실제의 적용에서, IAB 노드 및 IAB 노드의 부모 노드 간의 통신을 위한 송신 리소스는 또한 다른 명칭, 예를 들어, X 리소스를 가질 수 있다. 만일 X 리소스가 IAB 노드 및 IAB 노드의 부모 노드 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경우, X 리소스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MT 리소스로서 간주될 수 있다. 유사하게, "DU 리소스"는 단지 IAB 노드 및 IAB 노드의 자식 노드 간의 통신을 위한 송신 리소스의 예시적인 명칭이다. 실제의 적용에서, IAB 노드 및 IAB 노드의 자식 노드 간의 통신을 위한 송신 리소스는 또한 다른 명칭, 예를 들어, A 리소스를 가질 수 있다. 만일 A 리소스가 IAB 노드 및 IAB 노드의 자식 노드 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경우, A 리소스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DU 리소스로서 간주될 수 있다.
만일 제1 노드가 IAB 노드인 경우, 제1 노드는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기 위한 전술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할 수 있다. 만일 제1 노드가 IAB 노드의 부모 노드 또는 IAB 노드의 도너 노드인 경우, 제1 노드는 IAB 노드에 의해 보고되는 보호 구간 정보를 수신한다.
보호 구간 정보는 제1 심볼 수효 N 및 제2 심볼 수효 G를 포함하고, 제1 심볼 수효 N은 제1 리소스로부터 제2 리소스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이고, 제2 심볼 수효 G는 제2 리소스로부터 제1 리소스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이다.
N은 보호 구간을 판정하기 위한 전술한 방법에서의 b, d 또는 f일 수 있고, G는 보호 구간을 판정하기 위한 전술한 방법에서의 a, c 또는 e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만일 제1 리소스가 MT 리소스이고, 제2 리소스가 DU 리소스인 경우, N은 d와 같을 수 있고, G는 c와 같을 수 있다. 만일 제1 리소스가 DU 리소스이고, 제2 리소스가 MT 리소스인 경우, N은 b와 같을 수 있고, G는 a와 같을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에 의해 사용되는 파라미터 세트(서브캐리어 간격 및 CP 타입)가 제1 노드에 의해 보고되는 파라미터 세트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G=a=c=e 이고 N=b=d=f 이다. 그러나,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에 의해 사용되는 파라미터 세트가 제1 노드에 의해 보고되는 파라미터 세트와 불일치하는 경우에, G 및 N은 a 및 b와 같은 값을 사용함으로써 특정한 변환을 통해서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고된 서브캐리어 간격이 리소스 판정을 위해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의 U배(U>1)라고 가정하면, G=ceil(a/U)인데, 여기서 ceil()은 잘라올림(rounding up)을 표현한다. 그러나, 보고된 서브캐리어 간격이 리소스 판정을 위해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의 V배(V<1)인 경우, G=a/V이다.
MT 리소스는 3개의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운링크, 업링크 및 플렉서블. 타입에 기반한 3개의 송신 방향은 또한 기존의 UE에 의해 지원되며, 따라서 기존의 시그널링을 사용함으로써 나타내어질 수 있다. DU 리소스는, 송신 방향에 기반하여, 4개의 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업링크, 다운링크, 플렉서블 및 이용불가. 또한, DU 업링크, 다운링크 및 플렉서블 리소스는 2개의 타입으로 더 분류될 수 있다: 경성 및 연성.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아래에서 DU 경성 타입 심볼은 경성 심볼로 지칭되고, DU 연성 타입 심볼은 연성 심볼로 지칭된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리소스의 타입은 송신 방향에 기반하여 업링크, 다운링크 또는 플렉서블일 수 있고, 제2 리소스의 타입은 송신 방향에 기반하여 업링크, 다운링크 또는 플렉서블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노드가 IAB 노드의 제1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와 타입 및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IAB 노드의 제2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하는 경우에, 구체적으로, 제1 노드는 IAB 노드의 연속적인 경성 타입의 제1 리소스의 세그먼트(segment)의 전 또는 후에 위치된 이용가능한 제2 리소스의 세그먼트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제1 리소스의 세그먼트의 시간 도메인 위치에 기반하여 판정할 수 있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노드는 리소스 다중화 기반 타입이 경성(즉, DU 리소스 내의 경성 심볼(아래에서 DU 경성 심볼로 지칭됨))인 DU 리소스의 위치에 기반하여 MT 리소스의 심볼 위치를 판정하거나, 리소스 다중화 기반 타입이 이용가능인 MT 리소스의 심볼 위치에 기반하여 DU 리소스 내의 경성 심볼의 위치를 판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노드는 연이은 DU 경성 심볼의 세그먼트 내의 처음의 DU 경성 심볼에 기반하여 마지막의 MT 이용가능 심볼을 계산하고, 연이은 DU 경성 심볼의 세그먼트 내의 마지막의 DU 경성 심볼에 기반하여 처음의 MT 이용가능 심볼을 계산할 수 있다.
즉, 제1 노드는, 제1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 및 N에 기반하여,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시작 심볼(본 문서에서 제1 심볼로 지칭됨)의 위치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노드는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시작 심볼이 제1 리소스의 종결 심볼 뒤에 위치되고, 제2 리소스의 시작 심볼 및 제1 리소스의 종결 심볼 간에 N개의 심볼이 있음을 판정한다.
제1 노드는, 제1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 및 M에 기반하여,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종결 심볼(본 문서에서 제3 심볼로 지칭됨)의 위치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노드는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종결 심볼이 제1 리소스의 시작 심볼 뒤에 위치되고, 제2 리소스의 종결 심볼 및 제1 리소스의 시작 심볼 간에 G개의 심볼이 있음을 판정한다.
대안적으로, 제1 노드는, 제1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고, 제1 심볼 수효 N에 기반하여 제1 리소스를 펑처링하거나 연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노드는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의 인덱스 및 제1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의 인덱스가 연이음을 판정하고, 제1 리소스의 마지막의 N개의 심볼을 펑처링하거나 연성화한다.
제1 노드는, 제1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고, 제2 심볼 수효 G에 기반하여 제1 리소스를 펑처링하거나 연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노드는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의 인덱스 및 제1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의 인덱스가 연이음을 판정하고, 제1 리소스의 처음의 G개의 심볼을 펑처링하거나 연성화한다.
이 출원에서 언급되는 시작 심볼은 처음의 심볼이고, 종결 심볼은 마지막 심볼이며, 펑처링은 제1 리소스의 심볼을 N/A 심볼로 변환하는 것이고, 연성화는 제1 리소스의 심볼을 연성 심볼로 변환하는 것이다.
제1 노드는 다음의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IAB 노드의 DU 경성 심볼의 시간 도메인 위치 또는 인덱스를 획득할 수 있다: IAB 노드의 도너 노드는 IAB 노드를 위해 DU의 경성/연성 리소스 타입을 구성한다. 대안적으로, IAB 노드의 DU의 특수한 신호 또는 채널이 리소스를 발신하거나 수신하는 데에 사용되며, 리소스는 DU 경성 리소스로 변환된다. 특수한 신호 또는 채널은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 RACH), 주기적인(periodic)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시스템 정보 블록 1(system information block 1, SIB1)을 발신하기 위한 브로드캐스트 채널(broadcast channel) 및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에서, 특수한 신호는 DU의 셀 레벨(cell-level) 신호 또는 채널일 수 있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리소스 다중화 방법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다음은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시나리오 1: 제1 리소스는 DU 리소스이고, 제2 리소스는 MT 리소스인데, 즉, IAB 노드의 DU 경성/연성 리소스가 명시적으로 구성된다. IAB 노드 및 IAB 노드의 부모 노드 또는 도너 노드 양자 모두는 IAB 노드의 DU 경성 심볼의 위치를 알고, 위치에 기반하여 MT 리소스의 이용가능 심볼의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시나리오 1에서, N은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기 위한 전술한 방법에서의 b와 같고, G는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기 위한 전술한 방법에서의 a와 같다.
방법 1: 제1 노드는 DU 경성 리소스의 경계 심볼 및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MT 이용가능 심볼의 시작 위치 및 종결 위치를 판정한다.
연이은 DU 경성 심볼의 세그먼트에 대해, 연이은 DU 경성 심볼의 세그먼트 내의 마지막 심볼 후의 처음의 MT 이용가능 심볼(즉, MT 이용가능 심볼의 시작 위치)은 마지막 심볼에 기반하여 판정될 수 있다. 마지막 DU 경성 심볼이 심볼 2이고, MT 이용가능 심볼의 상이한 시작 위치가 N의 상이한 값에 기반하여 획득될 수 있다고 가정된다. 예를 들어,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N이 0과 같은 경우에, MT 이용가능 심볼의 시작 위치는 심볼 3이거나, N이 1과 같은 경우에, MT 이용가능 심볼의 시작 위치는 심볼 4이다.
연이은 DU 경성 심볼의 세그먼트에 대해, 연이은 DU 경성 심볼의 세그먼트 내의 처음의 심볼 전의 마지막 MT 이용가능 심볼(즉, MT 이용가능 심볼의 종결 위치)은 처음의 심볼에 기반하여 판정된다. 처음의 DU 경성 심볼이 심볼 3이고, MT 이용가능 심볼의 상이한 종결 위치가 G의 상이한 값에 기반하여 획득될 수 있다고 가정된다. 예를 들어,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G가 1과 같은 경우에, MT 이용가능 심볼의 종결 위치는 심볼 1이거나, G가 2와 같은 경우에, MT 이용가능 심볼의 종결 위치는 심볼 0이다.
방법 2: 제1 노드는 DU 경성 리소스의 경계 심볼에 기반하여 MT 이용가능 심볼의 시작 위치 및 종결 위치를 판정하고,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DU 경성 리소스를 펑처링하거나 연성화한다. DU 경성 리소스를 펑처링하는 것은 DU 경성 심볼을 N/A 심볼로 변환하는 것이고, DU 경성 리소스를 연성화하는 것은 DU 경성 심볼을 연성 심볼로 변환하는 것이다. 방법 2에 따르면, IAB 노드의 구성된 DU 경성 심볼은 실제의 경성 심볼과 상이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연이은 DU 경성 심볼의 세그먼트에 대해, 연이은 DU 경성 심볼의 세그먼트 내의 마지막 심볼 후의 처음의 MT 이용가능 심볼(즉, MT 이용가능 심볼의 시작 위치)은 마지막 심볼에 기반하여 판정되는데, MT 이용가능 심볼의 시작 위치의 인덱스 및 마지막 경성 심볼의 인덱스는 연잇는다. 이후에, 말미부에서의 N개의 경성 심볼은 MT 심볼의 인덱스 및 N에 기반하여 연성 심볼 또는 N/A 심볼로 변환된다. 마지막의 DU 경성 심볼은 심볼 2라고 가정된다. 여기에서, MT 심볼 3은 처음의 이용가능 심볼로 판정될 수 있고, 마지막의 N개의 DU 경성 심볼은 연성 심볼 또는 N/A 심볼로 변환된다. 예를 들어, 만일 N이 1과 같은 경우, 마지막의 DU 경성 심볼(즉, 심볼 2)은 연성 심볼 또는 N/A 심볼로 변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일 N이 2와 같은 경우, 마지막의 2개의 DU 경성 심볼(즉, 심볼 1 및 심볼 2)은 연성 심볼 또는 N/A 심볼로 변환될 수 있다.
연이은 DU 경성 심볼의 세그먼트에 대해, 연이은 DU 경성 심볼의 세그먼트 내의 처음의 심볼 후의 마지막 MT 이용가능 심볼(즉, MT 이용가능 심볼의 종결 위치)은 처음의 심볼에 기반하여 판정되는데, MT 이용가능 심볼의 종결 위치의 인덱스 및 처음의 경성 심볼의 인덱스는 연잇는다. 이후에, 선두부에서의 G개의 경성 심볼은 MT 심볼의 인덱스 및 G에 기반하여 연성 심볼 또는 N/A 심볼로 변환된다. 처음의 DU 경성 심볼은 심볼 3이라고 가정된다. 여기에서, MT 심볼 2는 마지막의 이용가능 심볼로 판정될 수 있고, 처음의 G개의 DU 경성 심볼은 연성 심볼 또는 N/A 심볼로 변환된다. 예를 들어, 만일 G가 1과 같은 경우, 처음의 DU 경성 심볼(즉, 심볼 3)은 연성 심볼 또는 N/A 심볼로 변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일 G가 2와 같은 경우, 처음의 2개의 DU 경성 심볼(즉, 심볼 3 및 심볼 2)은 연성 심볼 또는 N/A 심볼로 변환될 수 있다.
방법 1 및 방법 2가 수행되기 전에, IAB 노드는 또한 초기 리소스 타입 판정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DU 경성 심볼과 동일한 인덱스를 갖는 MT 심볼을 이용불가 심볼로 판정하는 것, 또는 DU 연성 심볼 및 널 심볼과 동일한 인덱스를 갖는 MT 심볼을 이용가능 심볼로 판정하는 것. 이후에, MT 이용가능 심볼의 경계 또는 경성 심볼의 경계 상에서, IAB 노드는 방법 1 또는 방법 2에 따라 MT 이용가능 심볼을 펑처링하거나 DU 경성 리소스를 펑처링 또는 연성화한다.
시나리오 1의 설명에서, DU 경성 심볼의 경계에 기반하여 MT 심볼의 경계를 판정하는 것이 기술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IAB 노드의 부모 노드는, 동적 시그널링(예를 들어,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을 사용함으로써, 몇몇 DU 연성 심볼을 이용가능한 것으로 직접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노드는 이용가능으로 나타내어진 연성 심볼에 기반하여 MT 이용가능 심볼의 경계를 판정할 수 있다. 판정 방법은 경성 심볼의 경계에 기반하여 MT 이용가능 심볼을 판정하기 위한 방법과 동일한데, 즉, 경성 심볼은 이용가능으로 나타내어진 연성 심볼로 직접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이용가능으로 나타내어진 연성 심볼은 DU가 이용할 수 있다.
시나리오 2: 제1 리소스는 MT 리소스이고, 제2 리소스는 DU 리소스이다. IAB 노드의 MT 이용가능 리소스는 RRC 시그널링을 사용함으로써 IAB 노드의 부모 노드/도너 노드에 의해 직접적으로 구성된다. MT 이용가능 리소스를 획득한 후에, 제1 노드는 MT 리소스에 기반하여 DU 경성 리소스를 판정할 수 있다.
시나리오 2에서, N은 보호 구간을 판정하기 위한 전술한 방법에서의 d와 같고, G는 보호 구간을 판정하기 위한 전술한 방법에서의 c와 같다.
방법 3: 제1 노드는 연이은 MT 이용가능 심볼의 세그먼트 내의 처음의 심볼 전의 마지막의 DU 경성 심볼을 처음의 심볼 및 G에 기반하여 판정하고, 연이은 MT 이용가능 심볼의 세그먼트 내의 마지막의 심볼 후의 처음의 DU 경성 심볼을 마지막의 심볼 및 N에 기반하여 판정한다.
방법 3에서, MT 이용가능 심볼로서 구성된 리소스는 항상 이용가능으로 간주되고, DU 경성 리소스는 MT 이용가능 심볼의 위치에 기반하여 조절된다. 예를 들어, MT 심볼 {2, 3, 4}은 이용가능 심볼로서 구성되고, 경성 심볼의 종결 위치 및 시작 위치는 G 및 N에 기반하여 판정된다고 가정된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일 N이 1과 같고 G가 1과 같은 경우, MT 리소스 전의 DU 경성 리소스의 마지막의 심볼은 심볼 0이고, MT 리소스 후의 DU 경성 리소스의 처음의 심볼은 심볼 6이다.
방법 4: 제1 노드는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MT 리소스를 펑처링하고, MT 리소스의 경계 심볼에 기반하여 DU 경성 리소스의 시작 위치 및 종결 위치를 판정한다. MT 리소스를 펑처링하는 것은 MT 이용가능 심볼을 N/A 심볼로 변환하는 것이다. 방법 4에 따르면, IAB 노드의 구성된 MT 이용가능 심볼은 실제의 이용가능 심볼과 상이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방법 4에서, MT 심볼 전의 DU 심볼 및 MT 심볼 후의 DU 심볼은 경성으로 간주되고, 이후에 제1 노드는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몇몇 이용가능 심볼을 이용불가 심볼로 변환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본 문서에서 MT 심볼을 펑처링하는 것으로 지칭된다. 예를 들어, MT 심볼 {2, 3, 4}은 이용가능 심볼로서 구성되고, 경성 심볼의 종결 위치 및 시작 위치는 MT 이용가능 심볼에 기반하여 판정되고, 이후에, G 및 N에 기반하여, MT 이용가능 심볼을 펑처링하는 것이 판정된다고 가정된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일 N이 1과 같고 G가 1과 같은 경우, MT 리소스의 처음의 심볼(즉, 심볼 2) 및 마지막의 심볼(즉, 심볼 4)이 펑처링된다.
방법 3 및 방법 4가 수행되기 전에, IAB 노드는 또한 초기 리소스 타입 판정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MT 이용가능 심볼과 동일한 인덱스를 갖는 DU 심볼을 DU 연성 심볼로 판정하는 것, 또는 MT 이용불가 심볼과 동일한 인덱스를 갖는 DU 심볼을 DU 경성 심볼로 판정하는 것. 이후에, MT 이용가능 심볼의 경계 또는 경성 심볼의 경계 상에서, IAB 노드는 방법 3 또는 방법 4에 따라 MT 이용가능 리소스를 펑처링하거나 DU 경성 리소스를 연성화한다.
전술한 2개의 시나리오에서, DU 리소스에 기반하여 MT 리소스를 판정하고 MT 리소스에 기반하여 DU 리소스를 판정하기 위한 4개의 방법이 별도로 제공된다. 구체적인 구현 동안에, 제1 노드는 구체적인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하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거나, 제1 노드는 복수의 방법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방법의 선택 또는 조합은 프로토콜 내에 지정될 수 있거나, 도너 노드 또는 부모 노드에 의해 구성될 수 있거나, IAB 노드에 의해 요청되거나 보고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음은 몇 개의 방법의 조합의 예시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DU 이용불가 리소스의 타입은 전술한 방법 중 어느 것에서도 수정될 수 없는데, 즉, IAB 노드는 자식 노드 또는 자식 UE와 통신하기 위해 이용불가로 구성된 DU 리소스를 사용할 수 없다.
제1 예시적 설명에서, 만일 리소스가 MT를 위해 구성된 경우, 제1 노드는 전술한 방법 3 또는 방법 4를 사용함으로써 DU 경성 리소스를 판정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IAB 노드의 DU 리소스가 SSB와 같은 특수한 신호로부터 변환된 몇몇 경성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제1 노드는 또한, 전술한 방법 1을 사용함으로써, MT 이용가능/이용불가 리소스를 특수한 신호로부터 변환된 경성 리소스에 기반하여 판정할 수 있다.
제2 예시적 설명에서, MT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DU 구성이 도출되는 경우에, MT 다운링크 시작 심볼에 대해, 제1 노드는 전술한 방법 3을 사용함으로써 MT 리소스 전의 마지막의 DU 경성 심볼의 위치를 판정할 수 있고, MT 다운링크 종결 심볼에 대해, 제1 노드는 전술한 방법 4를 사용함으로써 MT 리소스 후의 처음의 DU 경성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고, MT 리소스의 말미부를 펑처링할 수 있다. MT 업링크 시작 심볼에 대해, 제1 노드는 전술한 방법 4를 사용함으로써 MT 리소스 전의 마지막의 DU 경성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고, MT 리소스의 시작 심볼을 펑처링할 수 있고, MT 업링크 종결 심볼에 대해, 제1 노드는 전술한 방법 3을 사용함으로써 MT 리소스 후의 처음의 DU 경성 심볼의 위치를 판정할 수 있다.
제3 예시적 설명에서, DU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MT 이용가능 심볼이 도출되는 경우에, 연이은 DU 다운링크 경성 심볼 중의 시작 심볼에 대해, 제1 노드는 전술한 방법 1을 사용함으로써 DU 경성 리소스 전의 MT 이용가능 심볼의 종결 위치를 도출할 수 있고, 연이은 DU 다운링크 경성 심볼 중의 종결 심볼에 대해, 제1 노드는 전술한 방법 2를 사용함으로써 MT 시작 이용가능 심볼을 도출하고, DU 다운링크 경성 리소스의 말미 심볼을 연성화할 수 있다. 연이은 DU 업링크 경성 심볼 중의 시작 심볼에 대해, 제1 노드는 전술한 방법 2를 사용함으로써 DU 경성 리소스 전의 MT 이용가능 심볼의 종결 위치를 도출하고, DU 업링크 경성 리소스의 선두 심볼을 연성화할 수 있고, 연이은 DU 업링크 경성 심볼의 종결 심볼에 대해, 제1 노드는 전술한 방법 1을 사용함으로써 MT 이용가능 심볼의 시작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IAB 노드의 DU 리소스가 SSB와 같은 특수한 신호로부터 변환된 몇몇 경성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제1 노드는 또한, 전술한 방법 1을 사용함으로써, MT 이용가능/이용불가 리소스를 특수한 신호로부터 변환된 경성 리소스에 기반하여 판정할 수 있다. 제4 예시적 설명에서, MT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DU 구성이 도출되는 경우에, 만일 리소스가 슬롯 입도(slot granularity)에 기반하여 나타내어지면, 즉, MT 리소스(예를 들어, MT 이용가능 리소스)의 시작 심볼 또는 종료 심볼이 슬롯의 시작 심볼 또는 종료 심볼이면, 전술한 제2 예시적 설명에서 기술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리소스가 심볼 입도(symbol granularity)에 기반하여 나타내어지면, 전술한 방법 3이 사용되는데, 즉, MT 이용가능 심볼이 항상 우선적으로 사용된다. 다시 말해, DU 리소스 및 MT 리소스 간의 스위칭을 위한 구성된 순간이 슬롯 경계인 경우에, 전술한 제2 예시적 설명에서 기술된 방법이 사용된다. DU 리소스 및 MT 리소스 간의 스위칭을 위한 구성된 순간이 슬롯 내부에 있는 경우에, 전술한 방법 3의 설명에서 기술된 방법이 사용된다.
제5 예시적 설명에서, DU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MT 구성이 도출되는 경우에, 만일 리소스가 슬롯 입도에 기반하여 나타내어지면, 즉, DU 리소스(예를 들어, DU 경성 리소스)의 시작 심볼 또는 종료 심볼이 슬롯의 시작 심볼 또는 종료 심볼이면, 전술한 제3 예시적 설명에서 기술된 방법이 사용된다. 만일 리소스가 심볼 입도에 기반하여 나타내어지면, 전술한 방법 1이 사용되는데, 즉, DU 경성 심볼이 항상 우선적으로 사용된다. 다시 말해, DU 리소스 및 MT 리소스 간의 스위칭을 위한 구성된 순간이 슬롯 경계인 경우에, 전술한 제3 예시적 설명에서 기술된 방법이 사용된다. DU 리소스 및 MT 리소스 간의 스위칭을 위한 구성된 순간이 슬롯 내부에 있는 경우에, 전술한 방법 1의 설명에서 기술된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만일 IAB 노드의 DU 리소스가 SSB와 같은 특수한 신호로부터 변환된 몇몇 경성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제1 노드는 또한, 전술한 방법 1을 사용함으로써, MT 이용가능/이용불가 리소스를 특수한 신호로부터 변환된 경성 리소스에 기반하여 판정할 수 있다.
제6 예시적 설명에서, 연성화되거나 펑처링될 수 없는 DU 경성 심볼이 프로토콜 내에 정의될 수 있다. 연성화되거나 펑처링될 수 없는 경성 심볼은 MT 리소스의 구성과 상관없이, DU 경성 심볼이 이용불가 심볼로 변환되거나 연성 심볼로 변환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연성화되거나 펑처링될 수 없는 경성 심볼은 다음 심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SSB와 같은 특수한 신호 또는 채널로써 구성된 DU 경성 심볼, DU 다운링크 슬롯의 처음의 Y개의 심볼(여기서 Y는 1, 2 또는 3과 같은 정수임), 또는 DU 업링크 슬롯의 마지막의 W개의 심볼(여기서 W는 1 또는 2와 같은 정수임). 몇몇 특수한 경우에, 예를 들어, MT가 SSB를 수신하는 경우에, IAB 노드의 MT는 연성화되거나 펑처링될 수 없는 DU 심볼을 여전히 점유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선택적으로, 연성화되거나 펑처링될 수 없는 DU 경성 심볼은 대안적으로 도너 노드 또는 부모 노드에 의해 구성될 수 있거나, IAB 노드에 의해 보고될 수 있다.
제7 예시적 설명에서, 펑처링될 수 없는 MT 이용가능 심볼이 프로토콜 내에 정의될 수 있다. 펑처링될 수 없는 이용가능 심볼은 DU 리소스의 구성과 상관없이, MT 이용가능 심볼이 이용불가 심볼로 변환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펑처링될 수 없는 MT 심볼은 다음 심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MT 다운링크 슬롯의 처음의 X개의 심볼(여기서 X는 1, 2 또는 3과 같은 정수임), MT 업링크 슬롯의 마지막의 Z개의 심볼(여기서 Z는 1 또는 2와 같은 정수임), 특정 PDCCH 모니터링으로써 구성된 MT 심볼, 또는 유사한 것. 여기에서, 특정 PDCCH는 MT 리소스 및 DU 리소스를 동적으로 나타내는 DCI를 송신하는 데에 사용되는 PDCCH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펑처링될 수 없는 MT 이용가능 심볼은 대안적으로 도너 노드 또는 부모 노드에 의해 구성될 수 있거나, IAB 노드에 의해 보고될 수 있다.
연성화되거나 펑처링될 수 없는 DU 경성 심볼 및 펑처링될 수 없는 MT 심볼에 대해, 우선순위가 두 심볼에 대해 추가적으로 정의될 수 있거나, 두 심볼이 서로 충돌할 수 없음이 프로토콜 내에 지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DU 리소스 및 MT 리소스의 우선순위는 도너 노드 또는 부모 노드에 의해 구성되거나, IAB 노드에 의해 보고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그 일부 DU 리소스 및 MT 리소스는 연성화되거나 펑처링될 수 없는 DU 경성 심볼 및 펑처링될 수 없는 MT 심볼을 포함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에서, 만일 리소스 스위칭이 슬롯 입도에 기반하여 수행되면, 즉, DU 리소스 및 MT 리소스 간의 스위칭을 위한 구성된 순간이 슬롯 경계이면, 부모 노드 또는 IAB 노드는 리소스 타입을 도출할 때에 보호 심볼의 음의 수효를 무시할 수 있는데, 즉, 부모 노드 또는 IAB 노드는 보호 심볼의 음의 수효를 0으로 간주할 수 있다. 만일 DU 리소스 및 MT 리소스 간의 스위칭을 위한 구성된 순간이 슬롯 내부에 있으면, 부모 노드 또는 IAB 노드는 리소스 타입을 도출할 때에 보호 심볼의 음의 수효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IAB 노드는 PDSCH 또는 PUSCH를 수신하거나 발신하기 위해 부모 노드에 의해 스케줄링된, IAB 노드의 리소스가 MT 이용불가 심볼을 포함할 것으로 기대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만일 DCI를 스케줄링함으로써 나타내어진, PDSCH 또는 PUSCH의 시간 도메인 맵핑 위치가 MT 이용불가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IAB 노드는 PDSCH 또는 PUSCH가 이용불가 심볼에 맵핑되지 않음을 고려한다.
IAB 노드는 동적 시그널링을 사용함으로써 부모 노드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PUCCH를 발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IAB 노드의 리소스가 MT 이용불가 심볼을 포함할 것으로 기대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PUCCH 상에서 반송되는 정보 지시는 IAB 노드의 MT에 의해 피드백되는 HARQ-ACK 정보를 포함한다.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을 사용함으로써 구성된 신호에 의해 점유된, IAB 노드의 MT의 리소스가 MT 이용불가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에, IAB 노드의 MT는 신호의 발신 또는 수신을 포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사용함으로써 구성된 신호는 주기적 CSI-RS, 반정적 CSI-RS, SRS, PDCCH 모니터링, 또는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오직 몇 개의 가능한 조합 방식이 기술되나, 어떤 구체적 한정도 구성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구체적인 구현 동안에, 다른 조합 방식이 또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하나하나씩 열거되지는 않는다.
방법 실시예와 동일한 기술적 개념에 기반하여, 이 출원의 실시예는 리소스 다중화 장치를 제공한다. 리소스 다중화 장치는 구체적으로 도 7 내지 도 38에서의 실시예에서 IAB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는 제1 노드일 수 있거나, 제1 노드 내의 칩 또는 칩 세트, 또는 관련된 방법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칩의 일부일 수 있다. 제1 노드는 IAB 노드일 수 있거나, IAB 노드의 부모 노드 또는 도너 노드일 수 있다. 장치의 구조가 도 39에 도시될 수 있고, 장치는 처리 유닛(3901) 및 저장 유닛(3902)을 포함한다. 저장 유닛(3902)은 코드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유닛(3901)은 다음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저장 유닛(3902) 내에 저장된 코드 명령어를 호출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디바이스의 제1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하는 것; 및 제1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와 타입 및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통신 디바이스의 제2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하는 것(보호 구간 정보는 제1 심볼 수효 및 제2 심볼 수효를 포함하고, 제1 심볼 수효는 제1 리소스로부터 제2 리소스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이고, 제2 심볼 수효는 제2 리소스로부터 제1 리소스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이고, 제1 리소스는 모바일 종단(MT) 리소스이고, 제2 리소스는 분산 유닛(DU) 리소스이거나, 제1 리소스는 DU 리소스이고, 제2 리소스는 MT 리소스임).
DU 리소스의 타입은 경성(hard) 및 연성(soft)을 포함할 수 있고, MT 리소스의 타입은 이용가능 및 이용불가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에서, 제1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 및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통신 디바이스의 제2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하는 경우에, 처리 유닛(3901)은 구체적으로, 제1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 및 제1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고, 제1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 및 제2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 및 제1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는 경우에, 처리 유닛(3901)은 구체적으로,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시작 심볼이 제1 리소스의 종결 심볼 뒤에 위치되고, 제2 리소스의 시작 심볼 및 제1 리소스의 종결 심볼 간에 N개의 심볼이 있되, N은 제1 심볼 수효임을 판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 및 제2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는 경우에, 처리 유닛(3901)은 구체적으로,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종결 심볼이 제1 리소스의 시작 심볼 뒤에 위치되고, 제2 리소스의 종결 심볼 및 제1 리소스의 시작 심볼 간에 M개의 심볼이 있되, M은 제2 심볼 수효임을 판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제1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 및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통신 디바이스의 제2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하는 경우에, 처리 유닛(3901)은 구체적으로, 제1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고, 제1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노드가 제1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 및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통신 디바이스의 제2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한 후에, 처리 유닛(3901)은 또한, 제1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제1 리소스를 펑처링하거나 연성화하거나, 제2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제1 리소스를 펑처링하거나 연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고, 제1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제1 리소스를 펑처링하거나 연성화하는 경우에, 처리 유닛(3901)은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의 인덱스 및 제1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의 인덱스가 연이음을 판정하고, 제1 리소스의 마지막의 N개의 심볼을 펑처링하거나 연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N은 제1 심볼 수효임).
제1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고, 제2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제1 리소스를 펑처링하거나 연성화하는 경우에, 처리 유닛(3901)은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의 인덱스 및 제1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의 인덱스가 연이음을 판정하고, 제1 리소스의 처음의 M개의 심볼을 펑처링하거나 연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은 제2 심볼 수효임).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리소스는 DU 리소스일 수 있고, 제1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 및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통신 디바이스의 제2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한 후에, 처리 유닛은 또한, 연성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DU 심볼이 이용가능으로 나타내어짐을 판정하고, 이용가능으로 나타내어진 DU 심볼의 위치, 제1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 제1 심볼 수효 및 제2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제2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재판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현에서, 만일 제1 노드가 통신 디바이스의 부모 노드 또는 도너 노드인 경우, 장치는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되는 보호 구간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유닛(39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만일 제1 노드가 통신 디바이스인 경우, 처리 유닛(3901)은 또한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처리 유닛이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한 후에, 보호 구간 정보를 제2 노드에 보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유닛(3903)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제2 노드는 통신 디바이스의 부모 노드 또는 도너 노드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는 경우에, 처리 유닛(3901)은 구체적으로,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에 기반하여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거나,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스위칭 시간에 기반하여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도록(스위칭 시간은 수신 및 발신 간의 스위칭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요구되는 시간임)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에 기반하여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는 경우에, 처리 유닛(3901)은 구체적으로,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파라미터 세트에 기반하여 제1 심볼 수효 및 제2 심볼 수효를 판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파라미터 세트는 다음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다: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의 서브캐리어 간격과,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의 순환 전치(CP) 타입.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스위칭 시간에 기반하여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는 경우에, 처리 유닛(3901)은 구체적으로,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스위칭 시간 및 파라미터 세트에 기반하여 제1 심볼 수효 및 제2 심볼 수효를 판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파라미터 세트는 다음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다: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의 서브캐리어 간격과,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의 CP 타입.
예를 들어, 제1 리소스의 타입은 업링크, 다운링크 또는 플렉서블일 수 있고, 제2 리소스의 타입은 업링크, 다운링크 또는 플렉서블일 수 있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모듈로의 구분은 예이고, 단지 논리적 기능 구분이며, 실제의 구현 동안에 다른 구분일 수 있다. 추가로,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기능 모듈은 하나의 프로세서 내에 통합될 수 있거나, 모듈 각각은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둘 이상의 모듈이 하나의 모듈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통합된 모듈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소프트웨어 기능적 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모듈의 기능 또는 구현에 대해, 방법 실시예에서의 관련된 설명을 또한 참조함이 이해될 수 있다.
가능한 방식으로, 리소스 다중화 장치가 도 40에 도시될 수 있다. 장치는 제1 노드 또는 제1 노드 내의 칩일 수 있다. 제1 노드는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통신 디바이스의 부모 노드 또는 도너 노드일 수 있다. 장치는 프로세서(4001), 통신 인터페이스(4002) 및 메모리(4003)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유닛(3901)은 프로세서(4001)일 수 있다. 송수신기 유닛(3903)은 통신 인터페이스(4002)일 수 있다.
프로세서(4001)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디지털 처리 유닛 또는 유사한 것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4002)는 송수신기, 송수신기 회로와 같은 인터페이스 회로, 송수신기 칩 또는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장치는 프로세서(4001)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4003)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4003)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hard disk drive, 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일 수 있거나, 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메모리(4003)는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바라는 프로그램 코드를 반송하거나 저장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이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4001)는 메모리(4003)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구체적으로 처리 유닛(3901)의 행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세부사항은 이 출원에서 다시 기술되지 않는다. 통신 인터페이스(4002)는 구체적으로 송수신기 유닛(3903)의 행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세부사항은 이 출원에서 다시 기술되지 않는다. 메모리(4003)는 구체적으로 저장 유닛(3902)의 행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세부사항은 이 출원에서 다시 기술되지 않는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4002), 프로세서(4001) 및 메모리(4003) 간의 구체적인 연결 매체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모리(4003), 프로세서(4001) 및 통신 인터페이스(4002)는 도 40에서 버스(4004)를 사용함으로써 연결된다. 버스는 도 40에서 굵은 선에 의해 표현된다. 다른 컴포넌트 간의 연결 방식은 개략적으로 기술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버스는 주소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버스 및 유사한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표현의 용이함을 위해, 오직 하나의 굵은 선이 도 40에서 버스를 표현하는 데에 사용되나, 이것은 오직 하나의 버스 또는 오직 하나의 타입의 버스가 있음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술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필요가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또한 제공한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는 전술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필요가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 중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를 구현하는 데에 소프트웨어가 사용되는 경우에, 실시예 중 전부 또는 일부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가 컴퓨터 상에 로딩되고(loaded) 실행되는 경우에,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절차 또는 기능 중 전부 또는 일부가 생성된다. 컴퓨터는 일반 목적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 명령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내에 저장될 수 있거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다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명령어는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다른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에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광섬유(optical fiber), 또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DSL))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infrared), 무선(radio), 또는 마이크로파(microwave)) 방식으로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임의의 사용가능 매체, 또는 하나 이상의 사용가능 매체를 통합한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 예를 들면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일 수 있다. 사용가능 매체는 자기적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자기적 테이프), 광학 매체(예를 들어, DVD),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SSD)일 수 있다.
이 출원은 이 출원에 따른 방법, 디바이스(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내의 각각의 프로세스 및/또는 각각의 블록, 그리고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내의 프로세스 및/또는 블록의 조합을 구현하는 데에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가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머신(machine)을 생성하기 위해 일반 목적 컴퓨터(general-purpose computer), 전용 컴퓨터(dedicated computer), 임베디드 프로세서(embedded processor),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가 흐름도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서 및/또는 블록도 내의 하나 이상의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장치를 생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특정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컴퓨터 또는 다른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에 명령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내에 저장될 수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내에 저장된 명령어는 명령 장치를 포함하는 가공품을 생성한다. 명령 장치는 흐름도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서 및/또는 블록도 내의 하나 이상의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구현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 상으로 로딩될 수 있어서, 일련의 동작 및 단계가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디바이스 상에서 수행되는바, 이로써 컴퓨터 구현된 처리(computer-implemented processing)를 생성한다. 따라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명령어는 흐름도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서 및/또는 블록도 내의 하나 이상의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단계를 제공한다.
당업자는 이 출원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이 출원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행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이 방식으로, 이 출원은 이 출원의 이들 수정 및 변형을, 그것들이 이 출원의 청구항 및 이의 균등한 기술의 범위에 속한다면 망라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72)

  1. 리소스 다중화 방법으로서,
    제1 노드에 의해, 통신 디바이스의 제1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time domain position)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간 도메인 위치와 타입(type) 및 보호 구간(guard interval)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제2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호 구간 정보는 제1 심볼 수효 및 제2 심볼 수효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심볼 수효는 상기 제1 리소스로부터 상기 제2 리소스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이고, 상기 제2 심볼 수효는 상기 제2 리소스로부터 상기 제1 리소스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이고, 상기 제1 리소스는 모바일 종단(mobile terminal, MT) 리소스이고 상기 제2 리소스는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 리소스이거나, 상기 제1 리소스는 DU 리소스이고 상기 제2 리소스는 MT 리소스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U 리소스의 타입은 경성(hard) 및 연성(soft)을 포함하고,
    상기 MT 리소스의 타입은 이용가능(available) 및 이용불가(unavailable)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간 도메인 위치와 타입 및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제2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 및 상기 제1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 및 상기 제2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 및 상기 제1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시작 심볼이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종결 심볼 뒤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시작 심볼 및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종결 심볼 간에 N개의 심볼이 있음을 판정하는 단계 - N은 상기 제1 심볼 수효임 -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 및 상기 제2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종결 심볼이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작 심볼 앞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종결 심볼 및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작 심볼 간에 M개의 심볼이 있음을 판정하는 단계 - M은 상기 제2 심볼 수효임 -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간 도메인 위치 및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제2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간 도메인 위치 및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제2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를 펑처링하거나(puncturing) 연성화하는(softening), 또는 상기 제2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를 펑처링하거나 연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는 것 및 상기 제1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를 펑처링하거나 연성화하는 것은,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시작 심볼의 상기 위치의 인덱스 및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종결 심볼의 상기 위치의 인덱스가 연이음(consecutive)을 판정하는 것과, 상기 제1 리소스의 마지막의 N개의 심볼을 펑처링하거나 연성화하는 것 - N은 상기 제1 심볼 수효임 -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는 것 및 상기 제2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를 펑처링하거나 연성화하는 것은,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종결 심볼의 상기 위치의 인덱스 및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작 심볼의 상기 위치의 인덱스가 연이음을 판정하는 것과, 상기 제1 리소스의 처음의 M개의 심볼을 펑처링하거나 연성화하는 것 - M은 상기 제2 심볼 수효임 - 을 포함하는,
    방법.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는 상기 DU 리소스이고,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간 도메인 위치 및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제2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연성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DU 심볼이 이용가능으로 나타내어짐을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이용가능으로 나타내어진 상기 DU 심볼의 위치,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간 도메인 위치, 상기 제1 심볼 수효 및 상기 제2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재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이거나,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부모 노드(parent node) 또는 도너 노드(donor node)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가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부모 노드 또는 상기 도너 노드인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되는 상기 보호 구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제1 노드가 상기 통신 디바이스인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가 상기 통신 디바이스인 경우,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보호 구간 정보를 제2 노드에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노드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부모 노드 또는 도너 노드인,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스위칭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는 단계 - 상기 스위칭 시간은 수신 및 발신 간의 스위칭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요구되는 시간임 -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 간의 상기 시간 차이 및 파라미터 세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심볼 수효 및 상기 제2 심볼 수효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파라미터 세트는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의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과,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의 순환 전치(cyclic prefix)(CP)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스위칭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 간의 상기 시간 차이, 상기 스위칭 시간 및 파라미터 세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심볼 수효 및 상기 제2 심볼 수효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파라미터 세트는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의 서브캐리어 간격과,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의 CP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인,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의 타입은 업링크(uplink), 다운링크(downlink) 또는 플렉서블(flexible)이고, 상기 제2 리소스의 타입은 업링크, 다운링크 또는 플렉서블인,
    방법.
  14. 리소스 다중화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코드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유닛과,
    통신 디바이스의 제1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하는 동작과,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간 도메인 위치와 타입 및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제2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저장 유닛 내에 저장된 상기 코드 명령어를 호출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보호 구간 정보는 제1 심볼 수효 및 제2 심볼 수효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심볼 수효는 상기 제1 리소스로부터 상기 제2 리소스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이고, 상기 제2 심볼 수효는 상기 제2 리소스로부터 상기 제1 리소스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이고, 상기 제1 리소스는 모바일 종단(MT) 리소스이고 상기 제2 리소스는 분산 유닛(DU) 리소스이거나, 상기 제1 리소스는 DU 리소스이고 상기 제2 리소스는 MT 리소스인,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DU 리소스의 타입은 경성(hard) 및 연성(soft)을 포함하고,
    상기 MT 리소스의 타입은 이용가능(available) 및 이용불가(unavailable)를 포함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간 도메인 위치 및 상기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 및 상기 제1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고,
    상기 제1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 및 상기 제2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종결 심볼의 상기 위치 및 상기 제1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시작 심볼의 상기 위치를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시작 심볼이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종결 심볼 뒤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시작 심볼 및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종결 심볼 간에 N개의 심볼이 있음을 판정 - N은 상기 제1 심볼 수효임 -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 및 상기 제2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는 것은,
    상기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종결 심볼이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작 심볼 앞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종결 심볼 및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작 심볼 간에 M개의 심볼이 있음을 판정하는 것 - M은 상기 제2 심볼 수효임 - 을 포함하는,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간 도메인 위치 및 상기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고,
    상기 제1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고,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간 도메인 위치 및 상기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한 후에,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를 펑처링하거나 연성화하도록, 또는 상기 제2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를 펑처링하거나 연성화하도록 구성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종결 심볼의 상기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시작 심볼의 상기 위치를 판정하고, 상기 제1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를 펑처링하거나 연성화하는 경우에,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시작 심볼의 상기 위치의 인덱스 및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종결 심볼의 상기 위치의 인덱스가 연이음을 판정하고, 상기 제1 리소스의 마지막의 N개의 심볼을 펑처링하거나 연성화 - N은 상기 제1 심볼 수효임 -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작 심볼의 상기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종결 심볼의 상기 위치를 판정하고, 상기 제2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를 펑처링하거나 연성화하는 경우에,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종결 심볼의 상기 위치의 인덱스 및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작 심볼의 상기 위치의 인덱스가 연이음을 판정하고, 상기 제1 리소스의 처음의 M개의 심볼을 펑처링하거나 연성화 - M은 상기 제2 심볼 수효임 - 하도록 구성된,
    장치.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는 상기 DU 리소스이고,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간 도메인 위치 및 상기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한 후에,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연성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DU 심볼이 이용가능으로 나타내어짐을 판정하고,
    이용가능으로 나타내어진 상기 DU 심볼의 위치,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간 도메인 위치, 상기 제1 심볼 수효 및 상기 제2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재판정하도록 구성된,
    장치.
  21. 제14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 내에 배치되거나, 상기 장치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부모 노드 또는 도너 노드 내에 배치된,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부모 노드 또는 상기 도너 노드 내에 배치된 경우, 상기 장치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되는 상기 보호 구간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유닛을 더 포함하거나,
    상기 장치가 상기 통신 디바이스 내에 배치된 경우,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통신 디바이스 내에 배치된 경우, 상기 장치는,
    상기 처리 유닛이 상기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한 후에, 상기 보호 구간 정보를 제2 노드에 보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노드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부모 노드 또는 도너 노드인,
    장치.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거나,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스위칭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 - 상기 스위칭 시간은 수신 및 발신 간의 스위칭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요구되는 시간임 - 하도록 구성된,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 간의 상기 시간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 간의 상기 시간 차이 및 파라미터 세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심볼 수효 및 상기 제2 심볼 수효를 판정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파라미터 세트는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의 서브캐리어 간격과,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의 순환 전치(CP)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 간의 상기 시간 차이 및 상기 스위칭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 간의 상기 시간 차이, 상기 스위칭 시간 및 파라미터 세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심볼 수효 및 상기 제2 심볼 수효를 판정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파라미터 세트는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의 서브캐리어 간격과,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의 CP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인,
    장치.
  26. 제14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의 타입은 업링크, 다운링크 또는 플렉서블이고, 상기 제2 리소스의 타입은 업링크, 다운링크 또는 플렉서블인,
    장치.
  27. 리소스 다중화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컴퓨터 코드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통신 디바이스의 제1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하는 동작과,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간 도메인 위치와 타입 및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제2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된 상기 코드 명령어를 호출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보호 구간 정보는 제1 심볼 수효 및 제2 심볼 수효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심볼 수효는 상기 제1 리소스로부터 상기 제2 리소스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이고, 상기 제2 심볼 수효는 상기 제2 리소스로부터 상기 제1 리소스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이고, 상기 제1 리소스는 모바일 종단(MT) 리소스이고 상기 제2 리소스는 분산 유닛(DU) 리소스이거나, 상기 제1 리소스는 DU 리소스이고 상기 제2 리소스는 MT 리소스인,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DU 리소스의 타입은 경성(hard) 및 연성(soft)을 포함하고,
    상기 MT 리소스의 타입은 이용가능(available) 및 이용불가(unavailable)를 포함하는,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간 도메인 위치 및 상기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 및 상기 제1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고,
    상기 제1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 및 상기 제2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종결 심볼의 상기 위치 및 상기 제1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시작 심볼의 상기 위치를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시작 심볼이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종결 심볼 뒤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시작 심볼 및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종결 심볼 간에 N개의 심볼이 있음을 판정 - N은 상기 제1 심볼 수효임 -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 및 상기 제2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는 것은,
    상기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종결 심볼이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작 심볼 앞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종결 심볼 및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작 심볼 간에 M개의 심볼이 있음을 판정하는 것 - M은 상기 제2 심볼 수효임 - 을 포함하는,
    장치.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간 도메인 위치 및 상기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고,
    상기 제1 리소스의 시작 심볼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종결 심볼의 위치를 판정하고,
    제1 노드가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간 도메인 위치 및 상기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한 후에,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1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를 펑처링하거나 연성화하도록, 또는 상기 제2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를 펑처링하거나 연성화하도록 구성된,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종결 심볼의 상기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시작 심볼의 상기 위치를 판정하고, 상기 제1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를 펑처링하거나 연성화하는 경우에,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시작 심볼의 상기 위치의 인덱스 및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종결 심볼의 상기 위치의 인덱스가 연이음을 판정하고, 상기 제1 리소스의 마지막의 N개의 심볼을 펑처링하거나 연성화 - N은 상기 제1 심볼 수효임 -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작 심볼의 상기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종결 심볼의 상기 위치를 판정하고, 상기 제2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리소스를 펑처링하거나 연성화하는 경우에,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종결 심볼의 상기 위치의 인덱스 및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작 심볼의 상기 위치의 인덱스가 연이음을 판정하고, 상기 제1 리소스의 처음의 M개의 심볼을 펑처링하거나 연성화 - M은 상기 제2 심볼 수효임 - 하도록 구성된,
    장치.
  33. 제28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는 상기 DU 리소스이고,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간 도메인 위치 및 상기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한 후에,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연성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DU 심볼이 이용가능으로 나타내어짐을 판정하고,
    이용가능으로 나타내어진 상기 DU 심볼의 위치,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간 도메인 위치, 상기 제1 심볼 수효 및 상기 제2 심볼 수효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재판정하도록 구성된,
    장치.
  34. 제27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 내에 배치되거나, 상기 장치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부모 노드 또는 도너 노드 내에 배치된,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부모 노드 또는 상기 도너 노드 내에 배치된 경우, 상기 장치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되는 상기 보호 구간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장치가 상기 통신 디바이스 내에 배치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통신 디바이스 내에 배치된 경우, 상기 장치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한 후에, 상기 보호 구간 정보를 제2 노드에 보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노드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부모 노드 또는 도너 노드인,
    장치.
  37.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거나,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 및 스위칭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 - 상기 스위칭 시간은 수신 및 발신 간의 스위칭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요구되는 시간임 - 하도록 구성된,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 간의 상기 시간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 간의 상기 시간 차이 및 파라미터 세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심볼 수효 및 상기 제2 심볼 수효를 판정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파라미터 세트는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의 서브캐리어 간격과,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의 순환 전치(CP)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 간의 상기 시간 차이 및 상기 스위칭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보호 구간 정보를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 간의 상기 시간 차이, 상기 스위칭 시간 및 파라미터 세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심볼 수효 및 상기 제2 심볼 수효를 판정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파라미터 세트는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의 서브캐리어 간격과,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의 CP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인,
    장치.
  39. 제27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의 타입은 업링크, 다운링크 또는 플렉서블이고, 상기 제2 리소스의 타입은 업링크, 다운링크 또는 플렉서블인,
    장치.
  40.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상기 명령어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되는 경우에,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41.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에서 가동되는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42. 리소스 다중화 방법으로서,
    제2 노드에 의해, 제1 노드에 의해 발신된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보호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제1 보호 구간 정보는 제1 심볼 수효 및 제2 심볼 수효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심볼 수효는 제1 리소스로부터 제2 리소스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이고, 상기 제2 심볼 수효는 상기 제2 리소스로부터 상기 제1 리소스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이고, 상기 제1 리소스는 분산 유닛(DU) 리소스이고, 상기 제2 리소스는 모바일 종단(MT) 리소스이고,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제2 노드의 부모 노드 또는 도너 노드임 - 와,
    상기 제2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 및 상기 제1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볼 수효는 DU 업링크 심볼로부터 MT 업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 DU 업링크 심볼로부터 MT 다운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 DU 다운링크 심볼로부터 MT 업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 및 DU 다운링크 심볼로부터 MT 다운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심볼 수효는 MT 다운링크 심볼로부터 DU 다운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 MT 다운링크 심볼로부터 DU 업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 MT 업링크 심볼로부터 DU 다운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 및 MT 업링크 심볼로부터 DU 업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를 포함하는,
    방법.
  44. 제42항 또는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또한 상기 제1 심볼 수효의 서브캐리어 간격 및 상기 제2 심볼 수효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 데에 사용되는,
    방법.
  45. 제42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노드에 제2 보호 구간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 상기 제2 보호 구간 정보는 제3 심볼 수효 및 제4 심볼 수효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심볼 수효는 상기 제1 리소스로부터 상기 제2 리소스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이고, 상기 제4 심볼 수효는 상기 제2 리소스로부터 상기 제1 리소스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보고되는 수효이고, 상기 제1 리소스는 분산 유닛(DU) 리소스이고, 상기 제2 리소스는 모바일 종단(MT) 리소스이고,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제2 노드의 상기 부모 노드 또는 상기 도너 노드임 -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심볼 수효는 DU 업링크 심볼로부터 MT 업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 DU 업링크 심볼로부터 MT 다운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 DU 업링크 심볼로부터 MT 다운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 및 DU 다운링크 심볼로부터 MT 다운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심볼 수효는 MT 다운링크 심볼로부터 DU 다운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 MT 다운링크 심볼로부터 DU 업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 MT 업링크 심볼로부터 DU 다운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 및 MT 업링크 심볼로부터 DU 업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를 포함하는,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제2 보호 구간 정보의 하나 이상의 세트가 있고, 제2 보호 구간 정보의 하나의 세트는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 간격 중 하나에 대응하는,
    방법.
  47. 제42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볼 수효의 값은 0, 1, 2 또는 3 중 임의의 하나인,
    방법.
  48. 제42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심볼 수효의 값은 0, 1, 2 또는 3 중 임의의 하나인,
    방법.
  49. 제45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심볼 수효의 값은 0, 1, 2 또는 3 중 임의의 하나인,
    방법.
  50. 제45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심볼 수효의 값은 0, 1, 2 또는 3 중 임의의 하나인,
    방법.
  51. 제42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리소스 뒤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시작 심볼이 상기 제1 리소스의 종결 심볼 뒤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시작 심볼 및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종결 심볼 간에 N개의 심볼이 있음을 판정하는 단계 - N은 상기 제1 심볼 수효임 - 와,
    상기 제2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리소스 앞에 위치된 제2 리소스의 종결 심볼이 상기 제1 리소스의 시작 심볼 앞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리소스의 상기 종결 심볼 및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작 심볼 간에 M개의 심볼이 있음을 판정하는 단계 - M은 상기 제2 심볼 수효임 - 를 더 포함하는,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종결 심볼의 위치는, 상기 제1 리소스 내의 경성 타입의 심볼의 심볼 경계, 상기 제1 리소스 내에 있고 이용가능으로 나타내어진 연성 타입의 심볼의 심볼 경계, 또는 상기 제1 리소스 내에 있고 특수한 신호 또는 채널에 의해 경성 타입으로 변환된 심볼의 심볼 경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53. 제51항 또는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시작 심볼의 위치는, 상기 제1 리소스 내의 경성 타입의 심볼의 심볼 경계, 상기 제1 리소스 내에 있고 이용가능으로 나타내어진 연성 타입의 심볼의 심볼 경계, 또는 상기 제1 리소스 내에 있고 특수한 신호 또는 채널에 의해 경성 타입으로 변환된 심볼의 심볼 경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54. 제52항 또는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한 신호 또는 채널은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SSB),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RACH), 주기적인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CSI-RS),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1)(SIB 1)을 발신하기 위한 브로드캐스트 채널, 또는 셀 레벨(cell-level) 신호 또는 채널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55. 제42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볼 수효는 공식
    Figure pct00042

    를 만족하되, N은 상기 제1 심볼 수효이고,
    Figure pct00043
    은 상기 제1 리소스로부터 상기 제2 리소스로의 스위칭을 위한 시간이고,
    Figure pct00044
    는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이고,
    Figure pct00045
    는 상기 보호 심볼의 길이인,
    방법.
  56. 제42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심볼 수효는 공식
    Figure pct00046

    를 만족하되, M은 상기 제2 심볼 수효이고,
    Figure pct00047
    는 상기 제2 리소스로부터 상기 제1 리소스로의 스위칭을 위한 시간이고,
    Figure pct00048
    는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이고,
    Figure pct00049
    는 상기 보호 심볼의 길이인,
    방법.
  57. 리소스 다중화 방법으로서,
    제1 노드에 의해, 제2 노드에 제1 구성 정보를 발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보호 구간 정보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제1 보호 구간 정보는 제1 심볼 수효 및 제2 심볼 수효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심볼 수효는 제1 리소스로부터 제2 리소스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이고, 상기 제2 심볼 수효는 상기 제2 리소스로부터 상기 제1 리소스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이고, 상기 제1 리소스는 분산 유닛(DU) 리소스이고, 상기 제2 리소스는 모바일 종단(MT) 리소스이고,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제2 노드의 부모 노드 또는 도너 노드임 - 와,
    상기 제2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 및 사익 제1 보호 구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리소스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볼 수효는 DU 업링크 심볼로부터 MT 업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 DU 업링크 심볼로부터 MT 다운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 DU 업링크 심볼로부터 MT 다운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 및 DU 다운링크 심볼로부터 MT 다운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심볼 수효는 MT 다운링크 심볼로부터 DU 다운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 MT 다운링크 심볼로부터 DU 업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 MT 업링크 심볼로부터 DU 다운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 및 MT 업링크 심볼로부터 DU 업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를 포함하는,
    방법.
  59. 제57항 또는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또한 상기 제1 심볼 수효의 서브캐리어 간격 및 상기 제2 심볼 수효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 데에 사용되는,
    방법.
  60. 제57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노드에 의해, 상기 제2 노드에 의해 보고되는 제2 보호 구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보호 구간 정보는 제3 심볼 수효 및 제4 심볼 수효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심볼 수효는 상기 제1 리소스로부터 상기 제2 리소스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이고, 상기 제4 심볼 수효는 상기 제2 리소스로부터 상기 제1 리소스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이고, 상기 제1 리소스는 분산 유닛(DU) 리소스이고, 상기 제2 리소스는 모바일 종단(MT) 리소스이고,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제2 노드의 상기 부모 노드 또는 상기 도너 노드임 -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심볼 수효는 DU 업링크 심볼로부터 MT 업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 DU 업링크 심볼로부터 MT 다운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 DU 업링크 심볼로부터 MT 다운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 및 DU 다운링크 심볼로부터 MT 다운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심볼 수효는 MT 다운링크 심볼로부터 DU 다운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 MT 다운링크 심볼로부터 DU 업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 MT 업링크 심볼로부터 DU 다운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 및 MT 업링크 심볼로부터 DU 업링크 심볼로의 스위칭 동안의 보호 심볼의 수효를 포함하는,
    방법.
  61. 제60항에 있어서,
    제2 보호 구간 정보의 하나 이상의 세트가 있고, 제2 보호 구간 정보의 하나의 세트는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 간격 중 하나에 대응하는,
    방법.
  62. 제57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볼 수효의 값은 0, 1, 2 또는 3 중 임의의 하나인,
    방법.
  63. 제57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심볼 수효의 값은 0, 1, 2 또는 3 중 임의의 하나인,
    방법.
  64. 제60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심볼 수효의 값은 0, 1, 2 또는 3 중 임의의 하나인,
    방법.
  65. 제60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심볼 수효의 값은 0, 1, 2 또는 3 중 임의의 하나인,
    방법.
  66. 제57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볼 수효는 공식
    Figure pct00050

    를 만족하되, N은 상기 제1 심볼 수효이고,
    Figure pct00051
    은 상기 제1 리소스로부터 상기 제2 리소스로의 스위칭을 위한 시간이고,
    Figure pct00052
    는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이고,
    Figure pct00053
    는 상기 보호 심볼의 길이인,
    방법.
  67. 제57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심볼 수효는 공식
    Figure pct00054

    를 만족하되, M은 상기 제2 심볼 수효이고,
    Figure pct00055
    는 상기 제2 리소스로부터 상기 제1 리소스로의 스위칭을 위한 시간이고,
    Figure pct00056
    는 상기 제1 리소스 및 상기 제2 리소스 간의 시간 차이이고,
    Figure pct00057
    는 상기 보호 심볼의 길이인,
    방법.
  68. 통신 장치로서,
    상기 통신 장치는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기는 제42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서의 수신 및 발신 관련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42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서의 처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통신 장치.
  69. 통신 장치로서,
    상기 통신 장치는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기는 제57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서의 수신 및 발신 관련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57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서의 처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통신 장치.
  70.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상기 명령어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되는 경우에, 제42항 내지 제56항 또는 제57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71.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에서 가동되는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42항 내지 제56항 또는 제57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72. 칩 시스템으로서,
    상기 칩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 명령어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경우에, 제42항 내지 제56항 또는 제57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는,
    칩 시스템.
KR1020227008602A 2019-08-16 2020-08-17 리소스 다중화 방법 및 장치 KR202200501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760301.7 2019-08-16
CN201910760301.7A CN112399585B (zh) 2019-08-16 2019-08-16 一种资源复用方法及装置
PCT/CN2020/109629 WO2021032065A1 (zh) 2019-08-16 2020-08-17 一种资源复用方法及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157A true KR20220050157A (ko) 2022-04-22

Family

ID=74602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8602A KR20220050157A (ko) 2019-08-16 2020-08-17 리소스 다중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174670A1 (ko)
EP (1) EP4017177B1 (ko)
KR (1) KR20220050157A (ko)
CN (1) CN112399585B (ko)
AU (1) AU2020334822B2 (ko)
MX (1) MX2022002019A (ko)
WO (1) WO20210320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2354B2 (en) * 2021-08-31 2023-11-28 Qualcomm Incorporated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node specific guard intervals
CN115733597A (zh) * 2021-09-01 2023-03-03 华为技术有限公司 保护符号配置方法以及通信装置
CN115942466A (zh) * 2021-09-30 2023-04-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保护符号的确定方法、装置及网络设备
CN116961716A (zh) * 2022-04-12 2023-10-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中继器的资源复用方法、中继器及网络侧设备
WO2024011606A1 (en) * 2022-07-15 2024-01-18 Zte Corporation Slot format configuration for smart nod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486B1 (ko) * 2009-05-29 2016-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기 백홀 상향링크에서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2045843A (zh) * 2009-10-10 2011-05-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第二类中继站的下行子帧配置和传输方法及系统
CN102055518A (zh) * 2009-10-30 2011-05-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子帧定时的方法及系统
JP2013026751A (ja) * 2011-07-19 2013-02-04 Canon Inc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057389B2 (en) * 2013-05-28 2018-08-21 Intel Deutschland Gmbh Methods and devices for processing a data frame
WO2016047994A1 (ko) * 2014-09-24 2016-03-31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6187784A1 (zh) * 2015-05-25 2016-12-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帧传输的方法和装置
US10742465B2 (en) * 2015-10-29 2020-08-11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hysical structure system
CN109155740B (zh) * 2016-09-21 2021-07-20 华为技术有限公司 保护倒换方法和节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399585A (zh) 2021-02-23
CN112399585B (zh) 2023-08-04
WO2021032065A1 (zh) 2021-02-25
EP4017177A1 (en) 2022-06-22
EP4017177A4 (en) 2022-10-05
MX2022002019A (es) 2022-05-13
EP4017177B1 (en) 2023-10-11
US20220174670A1 (en) 2022-06-02
AU2020334822B2 (en) 2022-12-08
AU2020334822A1 (en)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57232A1 (zh) 信号传输方法及装置
US11153774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nd system
US11272547B2 (en) Communicat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user equipment
AU2020334822B2 (en) Resource multiplexing method and apparatus
CN109392129B (zh) 一种资源分配的方法,终端以及网络设备
WO2020047922A1 (zh) 配置信息的传输方法和终端设备
CN110972279B (zh) 传输数据的方法和装置
EP4184969A1 (en)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nhancement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WO2020025040A1 (zh) 资源配置的方法和终端设备
US20210409186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network device
JP6567690B2 (ja) 共通情報送信方法および装置
CN112584518A (zh) 一种资源确定方法及装置
US11469852B2 (en) Signal sending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JP2023529711A (ja) 1つ以上のcoresetに対する2つ以上のtci状態のアクティブ化
WO2018209840A1 (zh) 功率余量报告方法、装置以及通信设备
US111085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symbol
JP7488368B2 (ja) リソース多重化方法及び装置
WO2024027603A1 (zh) 非授权频谱中直通链路资源分配方法、装置及存储介质
EP4354997A1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WO2024088174A1 (zh) 保护间隔的确定方法及装置
JP7184154B2 (ja) 情報送受信方法及び装置
WO2024011632A1 (zh) 资源配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2061733A1 (zh) 无线通信方法和设备
WO2018233694A1 (zh) 信号发送和接收方法、装置
KR20240073940A (ko) 공동 채널 추정을 위한 주파수 호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