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510A - 치실 장력 조절 수단이 있는 덴탈 플로저 - Google Patents

치실 장력 조절 수단이 있는 덴탈 플로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510A
KR20220049510A KR1020227003559A KR20227003559A KR20220049510A KR 20220049510 A KR20220049510 A KR 20220049510A KR 1020227003559 A KR1020227003559 A KR 1020227003559A KR 20227003559 A KR20227003559 A KR 20227003559A KR 20220049510 A KR20220049510 A KR 20220049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ss
floss strand
dental
strand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3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멍 시유
Original Assignee
멍 시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멍 시유 filed Critical 멍 시유
Publication of KR20220049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5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61C15/047Flossing tools power-driv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덴탈 플로저가 개시된다. 덴탈 플로저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암 및 제2 암을 갖는 U자형 부분, U자형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핸들 부분, 제1 말단 및 제2 말단 및 길이를 갖는 치실 가닥, 및 치실 가닥 부착 부재를 포함한다. 치실 가닥의 제1 말단은 U자형 부분의 제1 암에 고정되고, 치실 가닥의 제2 말단은 치실 가닥 부착 부재에 고정되고, 치실 가닥의 중간 부분은 U자형 부분의 제2 암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사용자는 치실 가닥의 장력을 증가 또는 감소 또는 유지하기 위해 치실 가닥 부착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치실 장력 조절 수단이 있는 덴탈 플로저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치아 및 구강 세정 장치, 특히 치실 장력 조절 수단이 있는 핸드헬드 덴탈 플로저(dental flossers)(예를 들어, 일회용 치실(dental floss picks) 또는 치실기(dental floss holders)), 및 그러한 덴탈 플로저를 제조 및 사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 표면 및 치아 사이의 공간은 칫솔질, 기계 구동식 물 분사, 이쑤시개 등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으로 및 치실 또는 덴탈 테이프 또는 유사한 실을 사용하여 치실질을 하여 세정할 수 있다. 치실(dental floss)은 치아에서 음식 및 치태(dental plaque)를 제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얇은 필라멘트 줄이다.
치주(잇몸 및 뿌리) 질환의 주요 원인이며 우식(우와)의 주원인 중 하나는 치아 표면에 발생하는 세균성 치태 형성이다. 제거되는 경우, 새로운 치태가 24 시간 이내에 재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최적의 치아 위생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루에 한 번 치실질을 해야 한다.
종래의 치실을 사용하기 위한 매뉴얼 절차는 어렵고 까다롭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매일 치실질을 하지 않는다. 핸드 헬드 덴탈 플로저(치실기 또는 일회용 치실로도 알려져 있음)의 사용은 치실질을 보다 편리하고 덜 어렵게 만들었다. 덴탈 플로저는 일반적으로 얇은 플라스틱 본체(또는 핸들)에서 연장되는 두 개의 갈래(prongs)를 포함한다. 치실 가닥(floss strand)는 두 갈래 사이를 연결한다. 예로서, 종래의 덴탈 플로저는 발명의 명칭이 "일회용 치실"인 미국 디자인 특허 번호 제D618396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덴탈 플로저는 일반적으로 단단하고 유연하지 않은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고 두 갈래 사이에 있는 치실 가닥의 장력은 고정된다.
종래의 덴탈 플로저의 주요 단점은 치실 가닥의 장력이 고정되어 있다는 것으로, 치아 사이에 치실 가닥을 적절하게 삽입하는 조치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치실 가닥을 팽팽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비교적 높은 장력이 필요하지만, 이는 치실 가닥이 치간 공간에서 멀리 떨어진 치아의 윤곽 주위로 곡선을 이루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결과로서, 치간 표면 이외의 치아 표면에서 치태 및 박테리아를 적절하게 세정하는 것이 쉽게 수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치아의 전면, 후면 및 치간 표면을 포함하는) 치아 윤곽 주변의 치아 표면을 세정하는 데 더 효과적이고 치실 장력 조절 수단이 있는 향상된 핸드 헬드 덴탈 플로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덴탈 플로저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슬라이드 부재 부분이 덴탈 플로저의 핸들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치실기를 도시하며, 슬라이드 부재 부분이 덴탈 플로저의 핸들 부분에서 분리되어 있다.
도 3은 덴탈 플로저의 나머지 부분과 분리되어 있는 슬라이드 부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슬라이드 부재의 한쪽 단부는 암형 부재를 포함하고, 슬라이드 부재의 다른 쪽 단부는 슬라이드 부재가 접힐 수 있고 수형 부재가 암형 부재에 꼭 들어맞을 수 있는 치수의 해당 수형 부재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3의 슬라이드 부재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슬라이드 부재는 수형 부재가 암형 부재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접혀 있다.
도 5는 도 2의 덴탈 플로저를 도시하며, 펼쳐져 있는 슬라이드 부재가 덴탈 플로저의 핸들 부분에 있는 가이드 홈 또는 채널에 꼭 들어맞는다.
도 6은 도 5의 덴탈 플로저를 도시하며, 슬라이드 부재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졉혀 있다.
도 7은 도 6의 덴탈 플로저를 도시하며, 슬라이드 부재는 치실 가닥의 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가이드 홈 또는 채널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8은 도 6의 덴탈 플로저를 도시하며, 슬라이드 부재는 치실 가닥의 장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가이드 홈 또는 채널을 따라 제2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9는 두 개의 인접한 치아 및 치아 사이의 치간 공간에 삽입된 치실 가닥의 세정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두 개의 인접한 치아 및 치아 한 개의 전면 및 후면뿐만 아니라 치간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치실 가닥의 세정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덴탈 플로저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치실 가닥의 말단 중 하나는 치실 가닥 부착 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덴탈 플로저는 회전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도 12는 도 11의 덴탈 플로저를 도시하며, 치실 가닥 부착 부재는 회전 메커니즘에 부착되어 있고, 치실 가닥은 느슨한 상태이다.
도 13은 도 11의 덴탈 플로저를 도시하며, 치실 가닥 부착 부재는 회전 메커니즘에 부착되어 있고, 회전 메커니즘은 치실 가닥의 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14는 도 11의 덴탈 플로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예시적인 회전 메커니즘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다음의 설명 전반에 걸쳐, 특정 세부 사항은 본 발명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세부 사항 없이 실시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잘 알려진 요소는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상세하게 도시되거나 기술되지 않는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은 제한적인 의미가 아니라 예시적인 의미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핸드 헬드 덴탈 플로저에 관한 것이다. 덴탈 플로저는 두 개의 이격되어 있는 암(제1 암 및 제2 암)을 갖는 U자형 부분 및 U자형 부분에 연결된 핸들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덴탈 플로저는 치실 가닥을 포함한다. 치실 가닥은 제1 말단 및 제2 말단을 포함한다. 치실 가닥의 제1 말단은 치실 가닥의 제1 말단 위치가 U자형 부분의 제1 암을 기준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U자형 부분의 제1 암에 고정 부착된다. 이러한 부착의 위치는 U자형 부분의 제1 암의 단부 또는 단부 근처일 수 있다. 치실 가닥의 제2 말단은 치실 가닥 부착 부재에 부착된다. 사용자는 치실 가닥의 장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거나 유지하기 위해 치실 가닥 부착 부재를 수동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조정하여 치실 가닥의 제2 말단을 이동시킬 수 있다. 치실 가닥의 중간 부분이 U자형 부분의 제2 암을 기준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치실 가닥의 중간 부분은 U자형 부분의 제2 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치실 가닥의 중간 부분이 U자형 부분의 제2 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정 풀리(pulley), 피벗(pivot), 휠(wheel), 로터(rotor), 채널, 통로, 홀(hole), 또는 다른 적합한 수단과 같은 다수의 가능한 장착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다. 장착 메커니즘의 위치는 U자형 부분의 제2 암의 단부 또는 단부 근처일 수 있다. 장착 메커니즘은 치실 가닥이 U자형 부분의 제2 암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지만 치실 가닥이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핸드 헬드 덴탈 플로저에 관한 것이다. 덴탈 플로저는 두 개의 이격되어 있는 암을 갖는 U자형 부분, U자형 부분에 연결된 핸들 부분, 및 핸들 부분 (또는 U자형 부분)과 분리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슬라이드 부재 부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U자형 부분, 핸들 부분, 및 슬라이드 부재 부분은 모두 (플라스틱과 같은) 동일한 적합한 물질로 만들어지고 사출 성형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덴탈 플로저는 함께 연결된 U자형 부분, 핸들 부분 및 슬라이드 부재 부분을 갖는 일체형 제품으로 제조된다. 슬라이드 부재 부분은 좁은 연결 지점에서 핸들 부분 또는 U자형 부분에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는 슬라이드 부재가 별도의 구성 요소가 되도록 좁은 연결 지점에 힘을 가하여 슬라이드 부재 부분을 핸들 부분 또는 U자형 부분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덴탈 플로저는 치실 가닥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치실 가닥은 인 시튜(in situ)로 덴탈 플로저와 함께 사출 성형된다. 치실 가닥은 두 개의 단부를 갖는다. 치실 가닥의 제1 단부는 U자형 부분의 제1 암(즉, 핸들 부분의 말단에 있는 암)에 고정되어 박혀 있다. 치실 가닥의 제2 단부는 슬라이드 부재에 고정되어 박혀 있다. 치실 가닥의 단부를 단단하게 고정하는 다수의 방법이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방법은 사출 성형 공정 동안 치실 가닥의 단부가 플라스틱에서 연장되도록 하고 치실 가닥 단부를 가열하거나 태워서 치실보다 큰 직경의 비드로 합체하여 치실 가닥이 플라스틱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치실 가닥의 중간 부분은 U자형 부분의 제2 암 내부에 있는 채널을 통과한다. 이러한 채널은 치실 가닥이 인 시튜(in situ)로 덴탈 플로저와 함께 사출 성형될 때 생성된다. 치실 가닥의 중간 부분은 U자형 부분의 제2 암 내부에 있는 채널 내부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치실 가닥은 덴탈 플로저와 접촉하는 3개의 접촉 지점 (또는 접촉 영역)을 갖는다. 치실 가닥은 U자형 부분의 제1 암에 고정되는 제1 단부를 갖는다. 이것이 제1 접촉 지점이다. 치실 가닥은 슬라이드 부재에 고정되는 제2 단부를 갖는다. 이것이 제2 접촉 지점이다.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치실 가닥은 U자형 부분의 제2 암에 있는 채널 또는 다른 장착 메커니즘을 통과함으로써 U자형 부분의 제2 암과 또한 접촉한다. 이것이 제3 접촉 지점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치실 가닥와 관련하여 U자형 부분의 제2 암의 기능은 치실 가닥이 장착되어 그 주위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풀리와 유사하다. 두 개의 단부 사이의 치실 가닥 길이는 고정된다. 그러나, U자형 부분의 제1 암과 제2 암 사이에 있는 치실 가닥 부분은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핸드 헬드 덴탈 플로저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실 가닥 부착 부재(예를 들어, 슬라이드 부재 부분)가 덴탈 플로저의 핸들 부분에 연결되면, 사용자는 우선 덴탈 플로저에서 슬라이드 부재 부분을 분리할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는 U자형 부분의 제1 암과 제2 암 사이에 있는 치실 가닥의 장력을 증가시키거나 유지하기 위해 치실 가닥 부재를 당기거나 잡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치실 가닥의 장력을 증가시키거나 유지하기 위해 기계식 또는 전기식 메커니즘에 치실 가닥 부착 부재를 부착할 수 있다. 치실 가닥이 팽팽한 상태일 때, 사용자는 두 개의 인접한 치아 사이에 치실 가닥을 삽입하기 위해 덴탈 플로저를 조정할 수 있다. 치실 가닥이 치간 공간에 삽입되면, 사용자는 수동으로 또는 기계식 또는 전기식 메커니즘을 통해 (치실 가닥을 느슨하게 하기 위해) 치실 가닥의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치실 가닥이 치아의 윤곽 주위로 곡선을 이루어 치아 복수 표면 즉, 치간 표면뿐만 아니라 치아의 전면 및 후면을 세정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가 치아를 세정한 후, 사용자는 치실 가닥의 장력을 다시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고 치실 가닥을 치아 사이에서 빼낼 수 있다. 사용자는 치실 가닥의 장력을 조절하고 사용자의 입에 있는 치아를 추가로 세정하는 이러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덴탈 플로저는 핸들 부분에 있는 세로 방향 가이드 홈 또는 채널을 포함한다. 홈 또는 채널은 슬라이드 부재가 홈 또는 채널에 들어가서 홈 또는 채널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치수가 지정된다. 사용자는 홈 또는 채널에 슬라이드 부재를 맞춘 다음 손가락을 사용하여 홈 또는 채널을 따라 슬라이드 부재를 슬라이딩시킨다. 슬라이드 부재가 한쪽 방향으로 움직일 때, 그것은 치실 가닥의 장력을 증가시킨다. 슬라이드 부재가 다른쪽 방향으로 움직일 때, 그것은 치실 가닥의 장력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드 부재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마음대로 치실 가닥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치실 가닥의 장력 조절은 치실 가닥의 한쪽 단부에만 연결되는 치실 가닥 부착 부재(예를 들어, 슬라이드 부재)를 통해 이루어지며, 치실 가닥의 다른쪽 단부는 U자형 부분의 암 중 하나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치실 가닥의 한쪽 단부는 고정되고 치실 가닥의 다른쪽 단부는 사용자가 치실 가닥 부착 부재를 이동시키거나 조정할 때 이동 가능하다. 치실 가닥의 한쪽 단부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치실 가닥의 장력을 미세하게 조정하기가 더 쉬어진다.
치실 가닥의 장력의 조절은 U자형 부분의 변형을 통해 이루어지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U자형 부분은 일반적으로 쉽게 변형되지 않는 단단한 구조이다. 덴탈 플로저는 충분한 강성 또는 단단함을 갖는 열가소성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U자형 부분의 제1 암과 제2 암 사이의 거리는 일반적으로 변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덴탈 플로저(10)를 도시한다. 덴탈 플로저(10)는 U자형 부분(12), 핸들 부분(14) 및 분리 가능한 슬라이드 부재 부분(16)을 포함한다. 도 1에서, 슬라이드 부재 부분(16)은 좁은 연결 지점(18)에서 핸들 부분(14)에 연결된다. 덴탈 플로저(10)는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일체형 제품으로 제조된다. 덴탈 플로저(10)를 제조하기 위한 물질은 열가소성 물질일 수 있다.
도 2 에서, 슬라이드 부재 부분(16)은 분리된 슬라이브 부재 구성 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핸들 부분과 분리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진다. U자형 부분(12)은 베이스(20) 및 베이스(20)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이격되어 있는 암들(22, 24)을 포함한다. 도 1에서, 암들(22, 24)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격되어 있는 단부를 제공하기 위해 다르게 배향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치실 가닥(26)은 암(22)에서 암(24)까지, 더 나아가 슬라이드 부재 부분(16)까지 연장된다. 치실 가닥(26)의 제1 단부는 암(22)에 단단히 고정된다. 치실 가닥(26)의 제2 단부는 슬라이드 부재 부분(16)에 단단히 고정된다. 치실 가닥(26)의 단부 부분은 암(22) 및 슬라이드 부재(16)에 장착된다. 제조 공정에서, 덴탈 플로저(10)는 치실 가닥(26)이 암(22), 암(24) 및 슬라이드 부재 부분(16)을 통과하도록 인 시튜(in situ)로 치실 가닥(26)과 함께 사출 성형된다. 치실 가닥(26)은 암(24)에 있는 채널을 통해 슬라이딩할 수 있다. 치실 가닥(26)의 단부는 암(22) 또는 슬라이드 부재 부분(16)에 고정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방법은 사출 성형 공정 중에 치실 가닥(26)의 말단이 플라스틱에서 연장되도록 하고 치실 가닥 단부를 가열하거나 태워 치실보다 큰 직경의 비드로 합체하여 치실 가닥이 암(22) 또는 슬라이드 부재 부분(16)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U자형 부분(12) 및 핸들 부분(14)은 일반적으로 평평한 부재이다. U자형 부분(12)의 평면은 실질적으로 핸들 부분(14)과 동일한 평면이다. 따라서, 치실 가닥(26)은 팽팽한 상태일 때 핸들 부분(14)의 평면과 동일한 평면에 있다. 이러한 기능은 치아 사이의 치간 공간에 치실 가닥(26)을 위치시키기 위해 핸들 부분(14)을 잡고 덴탈 플로저(10)를 사용할 때 사용자가 치실 가닥(26)의 방향을 더 쉽게 알 수 있게 한다.
덴탈 플로저(10)는 또한 핸들 부분(14)에 있는 홈(28)을 포함한다. 홈(28)은 길쭉한 홈이다. 홈(28)의 가로 치수 및 깊이는 슬라이드 부재(16)가 홈(28)에 수용되어 그 세로 방향으로 홈(28)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이다. 홈(28)의 세로 길이는 슬라이드 부재(16)가 홈(28)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최대 범위를 제어할 것이다.
도 3은 덴탈 플로저의 나머지 부분과 분리한 슬라이브 부재(16)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단순함을 위해, 치실 가닥은 도 3에 도시되지 않는다. 슬라이브 부재(16)의 한쪽 단부는 암형 부재(female member)를 포함하고, 슬라이드 부재의 다른 한쪽 단부는 사용자가 슬라이드 부재(16)를 접었을 때 수형 부재가 암형 부재에 끼워질 수 있는 치수의 해당 수형 부재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3의 슬라이드 부재(16)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슬라이드 부재는 수형 부재가 암형 부재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접혀 있다. 접힌 슬라이드 부재(16)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고 조정하기가 더 쉽다.
도 5는 덴탈 플로저(10)를 도시하며, 펼쳐진 슬라이드 부재(16)가 덴탈 플로저(10)의 홈(28)에 끼워져 있다. 도 6은 사용자가 슬라이드 부재(16)를 잡고 조정하기 더 쉽도록 슬라이드 부재(16)가 접혀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치실 가닥(26)의 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홈(28)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부재(16)를 도시한다. 도 7에서, 암(22)과 암(24) 사이에서 팽팽한 상태의 치실 가닥(26)은 직선이다. 치실 가닥(26)이 팽팽한 상태일 때, 사용자는 덴탈 플로저(10)를 아래쪽으로 눌러 두 개의 인접한 치아 사이의 치간 공간에 치실 가닥(26)을 삽입할 수 있다.
도 8은 치실 가닥(26)의 장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홈(28)을 따라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부재(16)를 도시한다. 도 8에서, 암(22)과 암(24) 사이의 치실 가닥(26)은 느슨해져 길이가 늘어난다. 사용자는 덴탈 플로저(10)를 비스듬히 조정하여 치실 가닥(26)이 치아의 윤곽을 따라 곡선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덴탈 플로저(10)와 함께 제공된 치실 가닥(26)의 총 길이는 고정되어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치실 가닥(26)은 제조 공정 중에 덴탈 플로저(10)에 이미 고정된다. 사용자는 덴탈 플로저(10)에 치실 가닥(26)을 장착하거나 묶을 필요가 없다. 그러나, 사용자는 슬라이드 부재(16)를 조정하여 암(22)과 암(24) 사이에 있는 치실 가닥(26) 부분의 길이 (및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두 개의 인접한 치아 및 치아 사이의 치간 공간에 있는 팽팽한 상태의 덴탈 가닥의 위치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두 개의 인접한 치아 및 치아의 전면 및 후면뿐만 아니라 치간 공간을 둘러싸고 있는 느슨한 상태의 덴탈 가닥의 위치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종래의 덴탈 플로저와 비교할 때, 덴탈 플로저(10)는 여러가지 면에서 유리하다. 첫째, 덴탈 플로저(10)는 치아의 세 표면(치간 표면, 전면, 및 후면)을 동시에 세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둘째, 사용자는 마음대로 치실 가닥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치실 가닥의 한쪽 단부가 암(22)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슬라이드 부재(16)에 부착되어 있는 치실 가닥의 다른 한쪽 단부만 이동시키면 된다. 셋째, 사용자는 상이한 크기 및 치수의 치아에 맞도록 암(22)과 암(24) 사이의 치실 가닥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넷째, 덴탈 플로저(10)는 사출 성형 공정에서 치실 가닥 및 분리된 또는 분리 가능한 슬라이드 부재 부분을 포함하는 일체형 제품으로 편리하게 제조될 수 있다. 다섯째, 덴탈 플로저(10)를 제조하기 위한 물질의 양은 종래의 덴탈 플로저를 제조하는 것보다 훨씬 작다. 슬라이드 부재 부분은 작은 구성 요소이고, 덴탈 플로저(10)를 제조하기 위한 물질의 양을 많이 추가하지 않는다. 덴탈 플로저(10)를 제조하기 위해 사출 성형 장비가 사용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덴탈 플로저(10)를 제조하기 위해 전문 장비 또는 기계 또는 어셈블리가 필요하지 않다. 여섯째, 덴탈 플로저(10)는 휴대용 제품으로 판매될 수 있고, 이는 일부 소비자에게 더 많은 편리성을 제공한다. 일곱번째, 치실 가닥(26)은 덴탈 플로저(20)에 단단하게 영구적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치실 가닥(26)이 실수로 덴탈 플로저(10)에서 분리될 염려를 할 필요가 없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덴탈 플로저(100)를 도시한다. 덴탈 플로저(100)는 U자형 부분(112), 핸들 부분(114), 및 치실 가닥 부착 부재(116)를 포함한다. U자형 부분(112)은 베이스(120) 및 베이스(120)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이격되어 있는 암(제1 암(122) 및 제2 암(124))을 포함한다. 덴탈 플로저(100)는 치실 가닥(126)을 포함한다. 치실 가닥(126)은 U자형 부분(112)의 제1 암(122)에 고정 부착된 제1 말단을 갖는다. 치실 가닥(126)의 제1 말단의 위치는 U자형 부분(112)의 제1 암(122)을 기준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실 가닥(126)의 제1 말단은 제1 암(122)의 단부에 고정 부착된다. 치실 가닥(126)은 치실 가닥 부착 부재(16)에 부착되는 제2 말단을 갖는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실 가닥 부착 부재(116)는 핸들 부분(114)과 분리될 수 있지만, 핸들 부분(114)의 회전 메커니즘(128)에 연결 가능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치실 가닥의 장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거나 유지하기 위해 치실 가닥(126)의 제2 말단을 이동시키기 위해 수동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치실 가닥 부착 부재(116)를 조정할 수 있다.
치실 가닥(126)의 중간 부분은 U자형 부분(112)의 제2 암(124)을 기준으로 치실 가닥의 중간 부분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U자형 부분(112)의 제2 암(1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치실 가닥의 중간 부분이 U자형 부분의 제2 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정 풀리(pulley), 피벗(pivot), 휠(wheel), 로터(rotor), 채널, 통로, 홀(hole), 또는 다른 적합한 수단과 같은 다수의 가능한 장착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 장착 메커니즘은 U자형 부분(112)의 제2 암(124)의 단부에 또는 단부 근처에 있는 채널이다. 치실 가닥(126)의 중간 부분은 제2 암(124)에 있는 채널을 통해 슬라이딩할 수 있다.
덴탈 플로저(100)는 회전 메커니즘(128)을 포함한다. 회전 메커니즘은 수동식, 기계식 또는 전기식 회전 메커니즘일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회전 메커니즘(128)에 치실 가닥 부착 부재(116)를 부착할 수 있다. 부착되면, 사용자는 치실 가닥(126)의 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한쪽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메커니즘(128)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치실 가닥(126)의 장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른쪽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 메커니즘(128)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회전 메커니즘(128)에서 치실 가닥 부착 부재(116)를 분리할 수 있다. 도 14는 사용할 수 있는 예시적인 회전 메커니즘(128)의 확대된 단면도를 도시한다. 회전 메커니즘(128)은 치실 가닥 부착 부재(116)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130) 및 치실 가닥(126)을 감기 위한 원형 홈(132)을 포함한다.
전술한 개시 내용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많은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청구 범위의 범위는 예로 제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되며, 전체적으로 설명과 일치하는 가장 광범위한 해석이 주어져야 한다.

Claims (20)

  1. 덴탈 플로저로서,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암 및 제2 암을 갖는 U자형 부분, 상기 U자형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핸들 부분, 길이 및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치실 가닥, 및 치실 가닥 부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치실 가닥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U자형 부분의 상기 제1 암에 고정되고, 상기 치실 가닥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치실 가닥 부착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치실 가닥의 중간 부분은 상기 U자형 부분의 상기 제2 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사용자가 상기 치실 가닥의 장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거나 유지하기 위해 상기 치실 가닥 부착 부재를 조정할 수 있는 덴탈 플로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치실 가닥의 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U자형 부분의 상기 제1 암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치실 가닥 부착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덴탈 플로저.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치실 가닥의 장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U자형 부분의 상기 제1 암쪽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덴탈 플로저.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부분은 수동식 또는 기계식 또는 전기식 조정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치실 가닥의 장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수동식 또는 기계식 또는 전기식 조정 메커니즘 또는 상기 치실 가닥 부착 부재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수동식 또는 기계식 또는 전기식 조정 메커니즘에 상기 치실 가닥 부착 부재를 부착할 수 있는 덴탈 플로저.
  5. 제4 항에 있어서,
    치아 세정 중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치실 가닥의 상기 장력을 증가시키고 2개의 인접한 치아 사이의 치간 공간에 상기 치실 가닥을 삽입할 수 있는 덴탈 플로저.
  6. 제5 항에 있어서,
    치아 세정 중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치실 가닥의 상기 장력을 감소시키고 치아의 전면, 후면 및 치간 표면을 세정하기 위해 상기 치아의 윤곽 주위로 상기 치실 가닥을 구부릴 수 있는 덴탈 플로저.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부분, 상기 핸들 부분 및 상기 치실 가닥 부착 부재는 동일한 열가소성 물질로 만들어지는 덴탈 플로저.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 가닥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U자형 부분의 상기 제1 암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상기 U자형 부분의 상기 제1 암에서 빼낼 수 없는 덴탈 플로저.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 가닥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치실 가닥 부착 부재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상기 치실 가닥 부착 부재에서 빼낼 수 없는 덴탈 플로저.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 가닥의 상기 장력 조절은 상기 치실 가닥 부착 부재에 부착되는 상기 치실 가닥의 상기 제2 단부만 이동시켜 이루어지는 반면에, 상기 치실 가닥의 상기 제1 단부의 위치는 상기 U자형 부분의 상기 제1 암을 기준으로 움직이지 않는 덴탈 플로저.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 가닥 부착 부재는 두 개의 단부 즉, 암형 부재(female member)를 포함하는 상기 제1 단부 및 수형 부재(male member)를 포함하는 상기 제2 단부를 갖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수형 부재가 상기 암형 부재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접힐 수 있는 덴탈 플로저.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부분은 강성 구조를 가져 변형되지 않는 덴탈 플로저.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부분의 상기 제1 암과 상기 제2 암 사이에 있는 상기 치실 가닥의 상기 길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치실 가닥의 상기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치실 가닥 부착 부재를 이동시킬 때 변할 수 있는 덴탈 플로저.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부분 및 상기 핸들 부분은 일반적으로 평평한 부분이고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는 덴탈 플로저.
  15. 제14 항에 있어서,
    팽팽한 상태일 때 상기 U자형 부분의 상기 제1 암과 상기 제2 암 사이에 있는 상기 치실 가닥은 상기 핸들 부분과 동일한 평면 상에 있는 덴탈 플로저.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부분은 이쑤시개 또는 잇몸 자극기 역할을 하는 뽀족한 말단을 갖는 덴탈 플로저.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 가닥 부착 부재는 좁은 연결 지점에서 상기 핸들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사용자는 분리된 치실 가닥 부착 부재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핸들 부분에서 상기 치실 가닥 부착 부재를 분리할 수 있는 덴탈 플로저.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부분은 홈을 포함하고, 상기 치실 가닥 부착 부재는 상기 홈에 수용되어 상기 치실 가닥의 장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홈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는 덴탈 플로저.
  1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 가닥 부착 부재는 상기 핸들 부분과 분리되지만, 상기 핸들 부분의 상기 수동식 또는 기계식 또는 전기식 조정 메커니즘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수동식 또는 기계식 또는 전기식 조정 메커니즘은 회전 메커니즘 또는 홈인 덴탈 플로저.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부분의 상기 제2 암은 상기 제2 암의 말단 또는 말단 근처에 있는 채널을 갖고, 상기 치실 가닥의 상기 중간 부분은 상기 채널을 통과하고 상기 채널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는 덴탈 플로저.
KR1020227003559A 2019-08-20 2020-08-12 치실 장력 조절 수단이 있는 덴탈 플로저 KR202200495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545,739 2019-08-20
US16/545,739 US11963834B2 (en) 2019-08-20 2019-08-20 Dental flosser with means for adjusting floss tension
PCT/CA2020/051105 WO2021030901A1 (en) 2019-08-20 2020-08-12 Dental flosser with means for adjusting floss ten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510A true KR20220049510A (ko) 2022-04-21

Family

ID=74647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3559A KR20220049510A (ko) 2019-08-20 2020-08-12 치실 장력 조절 수단이 있는 덴탈 플로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963834B2 (ko)
EP (1) EP4017403A4 (ko)
JP (1) JP2022545885A (ko)
KR (1) KR20220049510A (ko)
CN (1) CN114302694A (ko)
AU (1) AU2020334394A1 (ko)
CA (1) CA3144554A1 (ko)
WO (1) WO20210309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41057A1 (en) * 2021-02-03 2022-08-04 Terry Joldersma Dental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1284977B1 (en) * 2021-06-22 2022-03-29 Vincent Paul Jalbert Adjustable dental-floss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12633A (en) 1923-11-15 1924-10-21 John A Peckham Dental floss holder
GB778564A (en) * 1955-03-17 1957-07-10 Borgtor Gjerde Tooth cleaning device
US3236247A (en) 1963-12-11 1966-02-22 Brockman Leonard Dental string or floss holder with means for adjusting string or floss tension
US3993085A (en) 1975-06-23 1975-11-23 Skinner Edward T Dental floss applicator
US4151851A (en) * 1976-05-27 1979-05-01 Bragg Kenneth R Dental flossing tool
AU508117B3 (en) * 1979-11-06 1980-03-06 A. Radici Composite tooth brush and dental tool
US4655233A (en) * 1985-11-04 1987-04-07 Laughlin Patrick E Dental flossing tool
US4807651A (en) 1985-12-23 1989-02-28 Abram Naydich Dental debris remover
US4832062A (en) * 1988-01-19 1989-05-23 Grollimund Everett C Dual flosser
CA1319545C (en) * 1988-04-26 1993-06-29 Narimichi Honda Dental floss and interdental cleaning tool
ES2071676T3 (es) * 1988-12-19 1995-07-01 Frederic Barth Dispositivo de limpieza dental.
US5183064A (en) * 1988-12-19 1993-02-02 Frederic Barth Dental cleansing device and interdental floss for such a device
US5139038A (en) 1991-03-28 1992-08-18 El Gazayerli Mohamed M Dental flossing instrument
JPH0513414U (ja) * 1991-08-07 1993-02-23 ライオン株式会社 歯清掃具
US5305768A (en) * 1992-08-24 1994-04-26 Product Development (Zgs) Ltd. Dental flosser units and method of making same
GB2272161A (en) * 1992-11-04 1994-05-11 Danny Thomas Homewood Dental floss applicator
US5280797A (en) * 1993-01-25 1994-01-25 Stephen Fry Dental floss tool
US6155274A (en) * 1998-08-20 2000-12-05 Stein; Peter Floss stretcher arm
IT1305292B1 (it) * 1999-01-26 2001-05-04 Giovanni Santoro Apparecchio motorizzato per l'effettuazione meccanica della puliziadegli spazi interdentali mediante filo.
JP3673462B2 (ja) * 2000-11-07 2005-07-20 剛 上江洲 簡易歯間清掃具
DE10125482B4 (de) * 2001-05-25 2004-09-30 Hubert Dr. Staerk Zahnseidehalter
US8893733B2 (en) 2004-11-24 2014-11-25 Verifresh Ltd. Ergonomic dental flossing device
US10806551B2 (en) * 2010-09-20 2020-10-20 Roman Kozak Dental tape and floss holder with installation cassette
US20120180809A1 (en) * 2011-01-17 2012-07-19 Mingwu Bai Easy dental flossing device and flossing method
US8424544B2 (en) * 2011-05-04 2013-04-23 Abdulrahman Alas Toothpick with floss
EP2986248B1 (de) 2013-04-16 2018-05-02 Trisa Holding AG Flosser
US20150059791A1 (en) * 2013-09-05 2015-03-05 Russell M. Sheppel Floss type cleaning device
CN204814248U (zh) * 2015-07-24 2015-12-02 谢莹莹 牙线松紧可调的牙线架
KR101706973B1 (ko) * 2016-10-12 2017-02-15 김상한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 홀더
JP2018064752A (ja) * 2016-10-19 2018-04-26 昭安 宮澤 電動式歯間清掃ホルダー
KR101970535B1 (ko) 2016-12-14 2019-04-22 오봉균 치실부재 및 치실홀더
CN109091258A (zh) * 2018-10-15 2018-12-28 浦江县益芽优日用品有限公司 一种用于牙齿邻面的牙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17403A1 (en) 2022-06-29
CN114302694A (zh) 2022-04-08
WO2021030901A1 (en) 2021-02-25
US11963834B2 (en) 2024-04-23
JP2022545885A (ja) 2022-11-01
EP4017403A4 (en) 2023-08-16
AU2020334394A1 (en) 2022-03-31
US20210052357A1 (en) 2021-02-25
CA3144554A1 (en) 202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1989B2 (ja) 人間工学に基づくデンタルフロス具
KR100250583B1 (ko) 자체조정성 3측부 칫솔 및 그 제조 방법
US9084655B2 (en) Adjustable flossing mouthpiece
US4265257A (en) Power driven dental floss cleaner
KR20220049510A (ko) 치실 장력 조절 수단이 있는 덴탈 플로저
US20160278894A1 (en) Multi-function flosser
EP2324796A1 (en) Dental interproximal cleaning device
AU20082248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rthodontic floss aid
US8505557B1 (en) Powered dental cleaner
US7914284B2 (en) Dental filing tool
US20120318289A1 (en) Adjustable flossing mouthpiece
US6973933B2 (en) Flosser apparatus with detachable and positionable floss element
EP3698753B1 (en) Dental floss insertion device
US11504215B2 (en) Disposable flosser head attachment for a water floss pick
US20120285478A1 (en) Disposable Flosser
CN211633672U (zh) 牙线托架
US7322367B2 (en) Device for cleaning teeth
KR102583463B1 (ko) 치아 세정장치
JP2006051325A (ja) 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
EP1632197A1 (en) Interdental cleaning device
JP2533445B2 (ja) 歯ブラシおよび電動歯ブラシ
KR20060017721A (ko) 비탄성적 변형 특성을 가진 치아청정도구
JP2017205472A (ja) フロス糸供給装置とその構造。
US20150313696A1 (en) Dental-hygiene tool
TW201832733A (zh) 具有至少一活動輔助工具之牙齒清潔工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