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7721A - 비탄성적 변형 특성을 가진 치아청정도구 - Google Patents

비탄성적 변형 특성을 가진 치아청정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7721A
KR20060017721A KR1020040066189A KR20040066189A KR20060017721A KR 20060017721 A KR20060017721 A KR 20060017721A KR 1020040066189 A KR1020040066189 A KR 1020040066189A KR 20040066189 A KR20040066189 A KR 20040066189A KR 20060017721 A KR20060017721 A KR 20060017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ember
user
floss
shaft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명호
Original Assignee
조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명호 filed Critical 조명호
Priority to KR1020040066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7721A/ko
Publication of KR20060017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7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69Brushes fitted with a interdental devices, e.g. toothpick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69Brushes fitted with a interdental devices, e.g. toothpick
    • A46B15/0071Toothbrushes with floss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69Brushes fitted with a interdental devices, e.g. toothpick
    • A46B15/0073Brushes with an arrangement for using the f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2Toothp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26Gum massaging brush, i.e. specifically designed for massaging the gum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부여잡는 길이로 긴 착지부 (53)과 치아 사이의 틈(gap)을 쑤시는 삽입부 (55) 및/또는 플로싱 작업용의 플로스 부재 (71)이 제공된 가지형 부위를 가진 샤프트 부재 (51)로 구성된 일회용 치아청정도구(tooth cleaning implement) (50)에 있어서;
샤프트 부재 (51)은 비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특성을 지니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도구 (50)의 형태와 기능을 임의로 변화시킬 수 있는 변형부를 가지도록 구성된 결과;
첫째, 치아 사이의 틈의 깊이 (depth of gaps)가 다른 개개의 사용자들이 이 도구 (50)의 형태를 변형할 때 그 틈의 깊이와 각도에 맞게 삽입부 (55)의 길이와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둘째,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도구 (50)의 형태와 기능을 치간 칫솔의 그것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셋째,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샤프트 부재 (51)에 최소한 한 가닥 이상의 댄탈 플로스가 제공되어 사용자가 도구 (50)의 형태를 플로스 홀더의 형태로 변형하여 앞 치아 부위와 뒤 치아 부위에 있는 치아 사이의 표면을 모두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됨.

Description

비탄성적 변형 특성을 가진 치아청정도구{DISPOSABLE TOOTH CLEANING IMPLEMENT HAVING INELASTICALLY DEFORMABLE CHARACTERISTICS}
도면에서, 여러 그림의 같거나 비슷한 요소를 나타내기 위하여 같은 번호를 사용한다.
도 1a는 본 발명 치아청정도구를 정면으로 본 개괄도이다.
도 1b, 도 1c 및 도 1d는 도 1a에 도시된 도구의 부분파쇄개괄도로서, 도구의 일부분이 치아의 내부 표면, 외부 표면 및/또는 치간(齒間) 표면을 알맞게 청소할 수 있도록 비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있다.
도 1e는 도 1a의 도구의 개괄도로서, 그 형태가 앞 치아 지역과 어금니 치아 지역에 있는 치아의 치간 표면을 청소하는 플로스 홀더로 사용될 수 있도록 비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있다.
도 2는 도 1e의 원 A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 치아청정도구의 다른 실시 예를 정면으로 본 사시도 이다.
도 4a와 4b는 도 3의 도구를 정면으로 본 사시도들로서, 삽입부가 다른 길이를 가지도록 도구의 일부분이 비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있다.
도 5a에서 5p까지는 선행기술에서 제시된 여러 치아 위생도구(dental hygiene implements)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는 어금니 치아의 틈을 청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 도구와 이를 잡고 있는 사용자의 손을 정면으로 본 개괄도로서 그 변형된 형태는 기존의 치간 칫솔의 형태와 유사하게 변형되어 있다.
도 6b는 사람의 아래 치아의 왼쪽 부분의 부분 파쇄 개괄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도구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도구를 앞 치아 부위에 있는 이웃한 치아 사이의 치아 표면을 청소하는 플로스 홀더(floss holder)로 사용하기 위하여 그 형태를 비탄성적으로 변형한 개괄도이다.
도 9는 도 8의 플로스 홀더를 어금니 부위에 있는 이웃한 치아 사이의 치아 표면을 청소하도록 그 형태를 한 단계 더 비탄성적으로 변형한 개괄도이다.
도 10a는 보강재(reinforcing means)의 사시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보강재가 샤프트 부재 (51)의 내부에 함입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11과 도 12는 도 10b의 도구를 플로스 홀더로 사용하기 위하여 그 형태를 변형하는 단계를 개괄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13은 도 10b의 K-K 선을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14a에서 14d까지는 플로스 부재 (71)을 결착수단 (61)과 샤프트 부재 (51)의 몸체에 감는 양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15a는 보강재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15c는 도 15b의 도구가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인 바, 도구의 한 쪽 끝 부위가 치간(齒間) 칫솔로 사용될 수 있도록 변형되어 있고, 댄탈 플로스가 제공된 반원형 부위를 가진 도구의 다른 한쪽 끝 부위는 뒷치아에 있는 치아의 표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그 형태가 변형되어 있다.
도 16a와 도 17a는 보강재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들이다.
도 16b와 도 17b는 본 발명 도구의 또 다른 실시 예들이다.
도 18a는 사출 성형된 샤프트 멤버 (51)과 여기에 연결된 댄탈 플로스 가닥을 도시하고 있다.
도 18b는 도 18a의 샤프트 멤버 (51)의 삽입부 (55) 위에 사출 성형될 씌우개 부재 (sheath member) (55’)의 확대도이다.
도 19a는 본 발명 도구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19b는 도 19a의 도구들이 댄탈 플로스 가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50); 치아청정도구 (51); 샤프트 부재
(53); 착지부 (55); 삽입부
(56), (58); 제 1 가장자리 끝과 제 2 가장자리 끝
(55’); 씌우개 부재 (57); 완충부
(61); 결착수단 (63); 보강재
(69); 가지형 부위 또는 반원형 부위
(82), (83), (84), (85), (86), (87); 변형부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치아청정도구, 특히 비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특성을 지닌 물질(들)로 만들어져 사용자가 임의로 삽입부(picking portion)의 길이와 각도를 조정하거나 및/또는 그 형태와 기능을 치간 칫솔(inter-dental brush), 마싸지 픽(massaging picks) 및 댄탈 플로스 홀더(dental floss holder)로 변화시킬 수 있는 변형부를 가지도록 형성된 치아청정도구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사람의 치아에 있어서, 보다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기 위해 깨끗이 청소하거나 마사지해야 할 여러 부위가 있으며, 치아의 표면과 그 사이의 틈을 청소하는 용도의 치아위생기구(dental hygiene implements)들은 여러 유형에 많은 종류가 존재해 왔다.
이들 도구 가운데서, 길게 죽 곧은 몸체를 가진 일회용의 단단한 이쑤시개는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 기존의 일회용 이쑤시개로는 모든 치아 사이의 공간과 그 표면을 효과적으로 청소하고 잇몸을 적절히 자극(stimulate)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나아가, 거의 모든 사람은 크기가 다른 치아를 가지고 있으므로 어금니 치아 사이의 틈 또한 그 깊이가 다르다. 따라서 이쑤시개나 치간 칫솔(일회용으로 제조될 경우)에서 고려되어야 할 점은 치아 사이의 틈 안으로 밀어 넣어지는 그 끝부분(삽입부; picking portion)의 길이이다.
예로 어린이의 어금니 치아 크기는 성인들의 그것에 비해 작은 크기이며 어금니 치아 사이의 틈 또한 그 깊이가 작다. 분명히, 치아 사이의 틈의 깊이가 다른 사용자들에게는 이쑤시개나 일회용 치간 칫솔의 끝부분의 길이를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쑤시개나 치간 칫솔의 끝부분은 그 길이가 조정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그 끝부분의 길이를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일회용 이쑤시개나 일회용 치간 칫솔은 존재하지 않았다.
나아가, 죽 곧은 단단한 몸체를 가진 기존의 이쑤시개는 어금니 치아 사이에 쉽게 도달할 수도 없고, 또 그곳으로부터 음식 찌끼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도 없다. 따라서, 도 5e, 5i, 5j 및 5k에 도시한 바처럼, 어금니 치아의 틈 사이에 쉽게 도달하기 위하여 그 끝부분과 몸체가 변형되도록 구성된 탄성적이고 유연하게 굽혀지는 끝부분과 몸체를 가진 다수 개의 도구들이 고안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이들 도구의 끝부분과 몸체가 지니고 있는 바로 이 탄성적이고 유연하며 굽힐 수 있는 특성은 어금니 치아에게는 득보다는 해가 될 경우가 더 많을 수 있다.
도 6b에서, 화살표 V는 이들 도구의 끝부분이 볼 쪽에서 어금니 치아의 틈 (45) 안으로 삽입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첫째, 이들이 치아의 틈 (45)에 삽입되어 딱딱한 치아 표면과 맞닥뜨리게 될 때 도구들의 끝부분과 몸체는 사용자의 미는 힘에 의해 치아의 형상에 합치되면서 굽혀지게 되며, 둘째, 굽혀진 끝부분과 몸체는 언제나 그 원래의 죽 곧은 형태로 되돌아 가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삽입된 끝부분과 몸체는 어금니 치아의 (46)부위와 (48)부위에 주로 닿게 된다.
따라서, 이 도구가 치아 틈 (45) 사이에 쑤셔 넣어지는 일이 반복될 경우, 이 도구의 끝부분과 몸체의 바로 이 굽혀지는 특성은 치아의 (46)부위와 (48)부위를 마모시키는 해를 입힐 수도 있다.
그 반면, 도구가 비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물질로 만들어지고, 이 도구의 끝부분 및/또는 몸체가 치아의 틈 (45)에 삽입되기 전에 미리 손으로 굽혀진 다음, 볼 쪽에서 어금니 치아의 틈 (45) 안으로, 도 6b의 화살표 S2방향으로 삽입되게 되면, 도구의 굽혀진 부분이 이 치아의 틈 (45)와 평행인 양상으로 삽입되게 되므로, 도구의 삽입된 부분은, 치아에 어떠한 해(害)도 입히지 않고, 어금니 치아의 (46), (47), (48) 및 (49) 부위 모두에 고르게 닿고 청소하게 된다.
따라서, 도구의 끝부분은 치아의 틈의 방향과 평행인 양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회용 이쑤시개는, 그 이쑤시개의 일부분을 치아의 사이의 틈의 방향과 평행인 양상으로 삽입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이 도구의 일부분을 일정한 각도로 변형할 수 있도록 비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물질(들)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마디로 말해, 기존 일회용 이쑤시개는 도달하기 어려운 어금니 부위의 치아 사이의 틈과 표면을 청소하는 일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단지 앞 치아의 표면과 그 틈을 청소하는 한 가지 용도에만 적합할 뿐이다.
이웃한 치아 사이의 치아 표면을 청소하기 위해 두 개의 가지 또는 다리와 그 사이에 제공된 일정 길이의 댄탈 플로스를 가진 댄탈 플로스 홀더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도 5e에 도시한 것과 같은) 어느 한 유형의 댄탈 플로스 홀더는 댄탈 플로스가 손잡이 부분과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은 어금니 부위의 치아 표면을 청소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댄탈 플로스가 손잡이 부분과 직각으로 배치된 (도 5p에 도시한 것과 같은) 다른 유형은 크기가 크며 휴대하기에는 불편한 편이다. 나아가, 이들 홀더의 어느 유형도 앞 치아 부위와 뒤 치아 부위 양쪽에 있는 치아 모두의 표면을 청소하도록 다른 유형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선행기술에 대한 기술]
선행 기술에 제시된 일부 구강위생도구(dental hygiene implements)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도 5a는 미국 특허번호 제 4,616,667 (Oct. 14, 1986, to I. Ping Tang)호에 제시된 치아용 도구(dental instrument)를 도시하고 있다. 이 특허에서, 치아용 도구의 돌출한 헤드의 길이와 각도는 미리 정해져 만들어지므로 사용자가 임의로 이 헤드의 길이와 각도를 조정할 수가 없다.
도 5b는 미국 특허번호 제 4,679,272 (Jul. 14, 1987, to Max Florence)호에 제시된 칫솔(toothbrush)을 도시하고 있다. 이 특허의 칫솔을 사용하여 치아 사이의 틈을 청소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나아가 이 칫솔은 일회용 이쑤시개가 아니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도구로서 사이즈도 크고 제조 비용 또한 비싸게 들게 된다.
도 5c는 미국 특허번호 제 4,712,266 (Dec. 15, 1987, to Chikara Yamaki)호에 제시된 일회용 치아용 도구(disposable dental device)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d는 미국 특허번호 제 5,001,803 (Mar. 26, 1991, to John Discko, Jr.)호에 제시된 일회용 치아용 브러시(disposable dental brush)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미국 특허번호 제 4,712,266호와 제 5,001,803호에 제시된 도구의 경우, 목 부위 및 경첩부위의 위치가 제조될 때 미리 고정되어 만들어지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마음대로 이 목 부위 및 경첩부위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나아가, 이들 특허에서 굽혀지는 메커니즘(bendable mechanism)은 이쑤시개를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칫솔질(tooth brushing)을 할 솔털 부분 및 브러시 부분(whisk and brush parts)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도 5e는 미국 특허번호 제 4,280,518 (Jul. 28, 1981, to Susan M. Gambaro)호에 제시된 치아청소용구(tooth cleaning implement)를 도시하고 있다.
이 특허의 용구의 길이로 긴 보디 멤버는 단단하면서 약간 구부려질 수 있는 물질로 만들어져 있다. 따라서, 이 보디 멤버는 치아의 틈 사이에 삽입될 때 사용자의 미는 힘에 의해 구부려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반복적으로 사용할 경우 이 도구는 치아의 일정 부위를 마모시키는 해를 입힐 수도 있다.
나아가, 보디 멤버의 일측단에 형성된 래그 멤버(leg members)의 가장자리 끝을 가로질러 팽팽히 당겨진 댄탈 플로스는 보디 멤버의 축과 평행인 상태에 있으므로, 사용자가 이와 같은 플로스 홀더 구조를 가지고 어금니 치아 부위에 있는 치아의 틈을 청소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f는 미국 특허번호 제 4,691,404 (Sep. 8, 1987, to Tarrson et al.)호에 제시된 치간 칫솔(inter-dental brush)을 도시하고 있는 바, 이것은 철사로 꼰 브러시와 목 부분 및 핸들로 구성되어 있다
위의 미국 특허 제 4,691,404호에 제시된 도구는 브러시 멤버의 길이를 알맞게 조정하거나 도구의 형태와 기능을 변화시킬 어떠한 수단이나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다. 나아가, 이 특허의 도구는 일회용 이쑤시개가 아니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치간 칫솔에 관련된 것으로 사이즈도 크고 제조 비용 또한 비싸게 들게 된다.
도 5g는 미국 특허 번호 제 3,779,256 (Dec. 18, 1973, to Maloney et al.)호에 제시된 구강청정도구(oral hygienic device)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h는 미국 특허 번호 제 6,085,761 (Jul. 11, 2000, to Osamu Inaba)호에 제시된 이쑤시개 브러시(toothpick brush)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미국 특허 제 3,779,256호와 6,085,761호에 제시된 도구들은 치아 표면을 청소할 작은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들이 죽 곧은 몸체를 가지고 있는 한 도달하기 어려운 어금니 부위의 틈과 치아 표면을 철저히 청소하기에는 완전하지 않다.
도 5i는 미국 특허 번호 제 5,775,346 (Jul. 7, 1998, to Andrew J. Szyszkowski)호에 제시된 이쑤시개 형태의 치아 청소구(pick-type dental cleaner) 의 베이스(base)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j는 미국 특허 번호 제 3,775,848 (Dec. 4, 1973, to Edward M. Barnett)호에 제시된 치아청소도구(dental cleaning device)를 도시하고 있고, 도 5k는 미국 특허 번호 제 1,746,591 (Feb. 11, 1930, to G. H. HEYMANN ET AL.)호에 제시된 이쑤시개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미국 특허 제 5,775,346호, 3,775,848호 및 1,746,591호에 제시된 도구들의 몸체는 상대적으로 굳건하나 휘어질 수 있는 물질로 만들어져 있다. 따라서, 위에서 기술한 바처럼, 이 보디 멤버는 치아의 틈 사이에 삽입될 때 사용자의 밀어 넣는 힘에 의해 구부려지게 되어 있으므로, 반복적으로 사용할 경우 이 몸체는 치아의 일정 부위만을 마모시키는 해를 입힐 수도 있다.
도 5l과 도 5m은 미국 특허번호 제 2,648,341 (Aug. 11, 1953, to Simon Moll)호에 제시된 댄탈 플로스 홀더를 도시하고 있다. 이 특허에 제시된 댄탈 플로스 홀더의 경우, 앞니 부위와 어금니 부위에 있는 모든 치아의 표면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이 두 유형의 댄탈 플로스 홀더를 모두 준비해야만 한다.
도 5n은 미국 특허 번호 제 6,102,051 (Aug. 15, 2000, to Paul S. Neves)호에 제시된 플로싱 도구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o는 국제공개번호 WO 02/080807 (국제 공개일; 17 October 2002)호에 제시된 플로스 픽을 도시하고 있다.
이 미국 특허 제 6,102,051호의 도구와 WO 02/080807호의 플로스 픽은 굳건 하고 긴 샤프트(rigid and elongate shafts)를 가지고 있으므로 도달하기 어려운 어금니 부위의 치아 표면을 청소할 댄탈 플로스 홀더로 변형될 수 없다.
도 5p는 미국 특허 번호 제 5,388,600 (Feb. 14, 1995, to Adrian Hart)호에 제시된 플로서(flosser)를 도시하고 있다. 이 특허의 플로서는 휴대하기에는 그 크기가 큰 편이며, 또 이것은 이 쑤시는 작업을 할 어떠한 수단도 가지고 있지 않다.
한 마디로 말해, 선행기술에 있어서 치아 틈에 낀 음식 찌끼를 보다 쉽게 제거하고, 잇몸을 효과적으로 마사지하며, 잇몸 가장자리와 앞 치아 부위와 뒤 치아 부위에 있는 모든 치아의 외측, 내측 및 측면 표면들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는 하나의 단일체(single unit)로 된 치아청정도구는 존재하지 않았다.
[발명의 목적]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 사이의 틈 안으로 밀어 넣어지는 끝부분의 길이와 각도를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는 일회용 치아청정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 형태와 기능을 치간 칫솔의 그것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일회용 치아청정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앞 치아와 뒤 치아 두 부위 모두에 있는 치아의 표면을 모두 청소할 수 있는 플로스 홀더로 그 형태와 기능을 변화시킬 수 있는 일회용 치아청정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 통상의 이쑤시개처럼 일회용으로 버릴 수 있을 정도로 가격이 싼 일회용 치아청정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 치아청정도구 (50)은 근본적으로 제 1 가장자리 끝 (56)과 제 2 가장자리 끝 (58)을 가진 긴 길이의 샤프트 부재 (51)로 구성되는 바, 이 가장자리 끝들 (56)과 (58) 사이에는 착지부 (53)과 삽입부(들) (55)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편의상 본 발명 치아청정도구 (50)을 나타내기 위하여 “도구 (50)”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착지부 (53)은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도록 대체적으로 긴 길이와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그 횡단면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불규칙한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착지부 (53)의 일정 지점에서, 착지부 (53)은 샤프트 부재 (51)의 가장자리 끝으로 갈수록 점점 가늘어져 그 가장자리 끝에 모아지게 된 결과, 삽입부 (55)를 구성하게 된다. 즉, 삽입부 (55)는 착지부 (53)의 일정 지점에서 일체로 연장된 것으로, 샤프트 부재 (51)의 가장자리 끝으로 갈수록 점점 가늘어져 그 가장자리 끝에 모아지게 구성된다.
삽입부 (55)는 도 3에 도시한 바처럼 샤프트 부재 (51)의 어느 한쪽 끝 부위에만 형성되거나, 도 1a에 도시한 바처럼 샤프트 부재의 양쪽 끝 부위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삽입부 (55)는 그 단면 형태가 공지의 원형, 타원형, 삼각형 또는 다각형 형태의 그 어느 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샤프트 부재 (51)의 길이를 따른 길이(longitudinal length)는 5 센티미터에서 30 센티미터의 범위에 걸쳐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부 (55)의 길이를 따른 길이는 3 밀리미터에서 17 밀리미터의 범위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 (55)는 그 표면의 주연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작은 돌기나 솔털(protuberances or bristles)들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것들은 치아와 잇몸을 수직으로 문질러 닦아내는 기능을 하게 된다.
예로, 도 1a, 15b, 19a에서, 삽입부 (55)는 그 주연 표면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다수 개의 구형의 돌출부 또는 브러시 요소들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돌기나 솔털들은 해당 분야에 잘 알려진 바처럼 전체적으로 원추형이거나 실린더형의 외관을 지닐 수 있다.
샤프트 부재 (51)이 비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특성을 가진 물질로 만들어질 경우, 삽입부 (55)에 제공된 다수 개의 구형의 돌출부 또는 브러시 요소들은 아주 미세한 알갱이나 가는 솔털처럼 형성되어 치아 표면과 잇몸을 긁거나 손상을 입히지 않을 정도의 유연함과 부드러움을 지니도록 형성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처럼, 기존의 이쑤시개는 도달하기 어려운 어금니 치아의 표면이나 그 치아 사이의 틈을 청소하는데 있어서 충분하지도 효율적이지도 않았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 이쑤시개의 이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샤프트 부재 (51)이 비탄성적으로 형태를 변경(inelastically deformable)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샤프트 부재 (51)을 변형하여 도구 (50)의 형태와 기능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어느 한 도구가 비탄성적으로 형태를 변형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경우 그 도구의 형태는 외부 힘에 의해 변형된 다음 그 가해진 힘이 제거된 후에도 다시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지 않게 된다.
나아가, 효과적인 치아 청정작업을 위해서, 이쑤시개는 치아 표면에 부드럽게 접촉해서 청소하는 부드러움과 치아 사이의 한정된 공간에 충분히 밀어 넣어질 수 있는 강함과 견고성을 지닐 수 있도록 탄력적이면서 동시에 단단한 특성을 지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샤프트 부재 (51)은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도구 (50)의 형태를 변형하여 치아 청정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탄력적이고 단단하며 비탄성적으로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샤프트 부재 (51)의 탄발력과 단단함 및 비탄성성(非彈性性; inelasticity)은 사용자의 손에 의해 샤프트 부재 (51)에 가해진 외부로부터의 힘에 의해 굽혀지거나 변형될 정도이면서, 샤프트 부재 (51)의 변형된 몸체에 치아청정 작업 도중에 가해진 약한 정도의 압력에 의해서는 결코 그 변형된 몸체가 튕겨지거나 굽혀지거나 휘어지지 않을 정도로 구성된다.
샤프트 부재 (51)의 이와 같은 특성은 그것이 구성될 때 사용되는 기본 물질(base material)에 좌우되는 문제이다.
첫째, 샤프트 부재 (51)은 상온에서 비탄성적으로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가소성(可塑性; plasticity)을 지닌 플라스토머 (plastomer, 소성중합체;塑性重合體)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둘째, 샤프트 부재 (51)은 상온에서 신축성(伸縮性; elasticity)을 지닌 탄력적이고 유연한 엘라스토머(elastomer, 탄성중합체;彈性重合體)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셋째, 샤프트 부재 (51)은 플라스토머 물질과 엘라스토머 물질이 혼합되어 상온에서 비탄성적으로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특성을 지닌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 부재 (51)이 플라스토머 물질이나 엘라스토머와 플라스토머의 혼합물로 만들어지고 극히 가는 직경을 가질 경우, 샤프트 부재 (51)은 쉽게 부러질 수도 있으며, 샤프트 부재 (51)이 엘라스토머 물질로 만들어질 경우, 샤프트 부재 (51)이 비탄성적으로 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니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샤프트 부재 (51)이 비탄성적으로 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니도록 일정한 보강재(reinforcing means) (63)이 샤프트 부재 (51)의 기본 물질 내에 함입될 수 있다.
보강재 (63)은 비탄성적으로 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닌 물질로 형성된다. 보강재의 물질은 금속 및/또는 비탄성적으로 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닌 비금속성의 플라스틱 물질이 될 수 있다.
도 1a 등에서, 샤프트 부재 (51)은 탄력적이고 굳건한 한편 비탄성적으로 형태를 변형할 수 있는 물질로 만들어진다.
도 1b, 도 1c 및 도 1d는 도 1a의 도구 (50)의 부분파쇄, 측면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삽입부 (55) 바로 옆에 있는 착지부 (53)의 지점 (82)와 지점 (84)가 변형부(deformable part)로 제공되어 있다.
편의상, 사용자가 자신의 용도에 맞도록 삽입부 (55)의 각도 및/또는 길이를 조정하거나 및/또는 샤프트 부재 (51)의 형태를 변경하기 위하여 샤프트 부재 (51)의 일정 지점 또는 일정 부분을 손으로 변형시켰을 때 비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이 일정 지점 또는 일정 부위를 대표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전 명세서에 걸쳐 “변형부(deformable part)”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도 6b에서, 치아 사이의 틈 (43)은 앞 치아 인근의 치아 사이에 위치하고 있 으며, 틈 (45)는 어금니 치아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화살표 S1은 볼 쪽에서 혀 쪽으로의 틈 (43)의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 S2는 볼 쪽에서 혀 쪽으로의 틈 (45)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위에서 기술한 바처럼, 치아에 해(害)를 입히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도구의 끝부분이 치아 사이의 틈의 방향과 평행인 양상으로 치아 사이의 틈에 삽입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위에서 도 6b의 화살표 S1과 화살표 S2와 관련하여 기술한 바처럼, 개개의 치아 틈의 방향은 서로 다르다.
따라서, 개개의 치아 틈에 적합하기 위해서 삽입부 (55)는 샤프트 부재 (51)의 몸체에 대하여 다른 각도를 가지도록 변형될 수 있어야 한다.
도 1b에서, 삽입부 (55)는 삽입부 (55)가 시작되는 지점에 있는 변형부 (82)에서 약간 옆으로 비스듬히 굽혀져 있으며, 따라서, 삽입부 (55)의 축 (97)은 착지부 (53)의 축 (99)에 대하여 예각 R1을 이루고 있다.
도 1b의 굽혀진 삽입부 (55)는 도 6b의 치아 틈 (43)과 같은 앞 치아 인근의 치아 틈을 청소하는데 적합하다. 도 6b의 치아 틈 (45)처럼 어금니 치아 사이의 틈 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삽입부 (55)는 샤프트 부재 (51)에 대하여 거의 직각이 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도시 않음).
도 1c에서, 샤프트 부재 (51)의 삽입부 (55)는 먼저 변형부 (82) 지점에서 샤프트 부재 (51)의 축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굽혀진 다음, 나아가 샤프트 부재 (51)은 변형부 (82) 지점에서 약간 떨어져 위치한 변형부 (84) 지점에서 삽입부 (55)가 굽혀진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굽혀져 있다.
따라서, 샤프트 부재 (51)의 전체적인 형태는 기존의 치간 칫솔과 비슷한 형태를 띠게 되며, 삽입부 (55)의 축 (97)은 착지부 (53)의 축 (99)에 대하여 예각 R2를 이루고 있다.
삽입부 (55)는 변형부 (82)와 (84) 사이에 있는 부분에 대하여 거의 수직(각도 R4)로 돌출하게 되며, 변형부 (82)와 (84) 사이에 있는 부분은 변형부 (84)와 제 2 가장자리 끝 (58) 사이에 있는 부분에 대하여 각도 R5 즉 대개 약 150도에서 160도 정도로 구부려지게 된 바, 이 각도는 해당 기술분야의 치간 칫솔에 흔히 채택되는 각도이다. 이 각도 R4와 R5는 사용자가 자기 편한 대로 변경하게 된다.
사용시, 변형된 샤프트 부재 (51)의 형태와 예각의 각도 R2는 사용자가 어금니 부위의 이웃한 치아 사이의 틈에 샤프트 부재 (51)를 밀어 넣는 것을 용이하게 해 준다.
도 1d에서, 샤프트 부재 (51)의 삽입부 (55)는 변형부 (82) 지점에서 삽입부 (55)의 축 (97)이 착지부 (53)의 축 (99)에 대하여 둔각 R3를 이루도록 변형되어 있다.
사용시, 이 삽입부 (55)가 둔각으로 굽혀진 것은 치아의 혀 쪽 표면을 청소하는 일을 용이하게 한다. 자세히 말해, 삽입부 (55)는 기본적으로 치아의 혀측 즉 내측 표면과 및 치아 사이의 인접면 지역(inter-proximal area)을 청소하고 잇몸의 내측 표면을 마사지하는데 사용된다.
삽입부 (55)가 착지부 (53)의 축에 대하여 위에서 기술한 바처럼 둔각으로 굽혀졌을 때 도구 (50)을 본 발명에서는 마사지 픽(massaging pick)으로 명명(命名)한다.
굽혀진 삽입부 (55)의 축 (97)이 착지부 (53)의 축 (99)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는 3도에서 175도의 범위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도 4c에서, 삽입부 (55)는 먼저 변형부 (82) 지점에서 옆으로 굽혀진 다음, 안쪽으로 감긴 상태 즉 똘똘 감긴 원반 같은 형태로 변형되어 치아의 내측 및 외측 표면을 청소하거나 및/또는 잇몸을 마사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처럼 똘똘 감긴 형태로 변형된 삽입부 (55)를 가진 도구 (50)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는 마사지 픽(massaging pick)으로 명명한다.
도 3, 도 4a 및 도 4b는 도구 (50) 의 또 다른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에서 삽입부 (55)는 샤프트 부재 (51)의 제 1 가장자리 끝 (56) 인근의 일정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처음부터 변형부 (82) 지점에서 약간 옆으로 비스듬히 굽혀져 있다. 제 2 가장자리 끝 (58)은 뭉툭하게 구성되어 있다.
삽입부 (55)의 바로 옆에는 다수 개의 변형부 82, 83, 84 및 85 가 착지부 (53)의 몸체를 따라 띄엄 띄엄 제공되어 있다.
사용자가 도 3의 변형부 (82)와 (84)를, 도 1c에 도시하고 이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비슷한 양상으로 옆으로 더 구부리게 되면, 도구 (50)은 도 4a에 도시한 치간 칫솔의 형태를 띠게 된다
도 4a에서 치아 사이의 인접면 공간(inter-proximal space)에 밀어 넣어질 끝부분은 길이 “a”를 가지게 된다.
그 반면, 사용자가 먼저 굽은 삽입부 (55)를 죽 곧게 편 다음, 도 3의 변형 부 (83)과 (85)를 같은 양상으로 옆으로 구부리게 되면, 샤프트 부재 (51)은 마찬가지로 도 4b에 도시한 치간 칫솔의 형태를 띠게 되며 치아 사이의 틈에 밀어 넣어질 끝부분은 길이 “b”를 가지게 된다.
길이 “b”는 길이 “a”보다 긴 길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큰 어금니 치아를 가지고 있고, 어금니 치아 사이의 긴 틈을 청소하기 위해 삽입부 (55)의 길이가 긴 것이 필요한 사람에게 적합하다.
도 3의 변형부 (82)와 (83) 사이에 있는 부위는 치아 사이의 틈에 쉽게 삽입되기 위해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마디로 말해, 도구 (50)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삽입부 (55)의 각도와 길이를 마음대로 조정할 수가 있으며, 치아 사이의 틈을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변형부는 착지부 (53)의 일정 지점 또는 일정 부분으로 삽입부 (55)의 바로 옆 또는 인접하고 있는 부분에 제공되어 있다.
삽입부 (55)가 도 4c에 도시한 바처럼 똘똘 감겨 마사지 픽을 형성할 경우, 삽입부 (55) 자체가 변형부가 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샤프트 부재 (51)에는 최소한 한 가닥 이상의 댄탈 플로스와 결착수단 (anchoring means)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도구 (50)의 형태와 기능을 댄탈 플로스 홀더의 형태와 기능을 하도록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 예의 도구 (50)은 도 1a, 도 7 등에 도시한 바처럼, 일반적으로 샤프트 부재 (51)과 거기에 제공된 최소한 한 가닥 이상의 댄탈 플로스로 구성되어 있다. 이 댄탈 플로스를 이하 “플로스 부재(floss member) (71)”로 지칭한다.
플로스 부재 (71)의 일정 부분은 샤프트 부재 (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로 함입되거나(도 10b, 점선 참조) 또는 플로스 부재 (71)의 한쪽 끝이 샤프트 부재 (51)의 어느 한 가장자리 끝 또는 그 인근에 일체로 함입되어 있다(도 7, 도 17b 참조).
도 1a 등에서 샤프트 부재 (51)에는 한 가닥의 플로스 부재 (71)이, 도 17b에서 샤프트 부재 (51)에는 두 가닥의 플로스 부재 (71)이 제공되어 있다.
도 1a 등에 도시한 바처럼, 플로스 부재 (71)은 샤프트 부재 (51)의 어느 한 가장자리 끝 또는 그 인근으로부터 밖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으며, 이 연장된 플로스 부재 (71)은 사용자가 도구 (50)의 형태를 플로스 홀더의 형태로 변경하여 플로 싱 작업(flossing operation)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긴 길이로 연장되어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변형된 도구 (50)을 기교 있게 조종할 수 있도록 구슬 또는 타블렛 형태의 파지부 (81)가 이 플로스 부재 (71)의 끝 부분에 제공된다.
선행기술에 있어, 구슬 (beads), 타블렛 형태의 파지구(tablet-shaped grippers), 두터워진 끝부분들(thickened ends), 구형의 돌출부(spherical protuberances), 또는 종이나 플라스틱으로 된 납작한 조각 등이 제공된 여러 유형의 댄탈 플로스가 있어 왔다. 이들 구슬 등은 댄탈 플로스의 길이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형성되거나 제공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두 손가락 사이에 알맞게 쥐여질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댄탈 플로스도 또한 본 발명 플로스 부재 (71)로 사용될 수 있다.
기존 댄탈 플로스의 경우, 이 구슬 등의 역할은 사용자가 댄탈 플로스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단순한 역할을 할 뿐이었으며, 도 5l, 도 5m 및 도 5o에 도시한 것과 같은 선행기술에 제시된 도구의 댄탈 플로스에 제공된 구슬 같은 것들도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댄탈 플로스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제공된 것이다.
그 반면, 본 실시 예의 플로스 부재 (71)에 제공된 구슬 등(파지부 (81))은 변형된 도구 (50)을 기교 있게 제어하는 수단의 역할을 하게 된다.
예로, 도 6a는 치간 칫솔과 유사한 형태로 변형된 도 10b의 도구 (50)을 도시하고 있다.
도 6a에서, 구슬 형태의 파지부 (81)은 어느 한 손의 약지, 소지 및 손바닥 살 사이에 끼워져 있고, 샤프트 부재 (51)의 몸체는 그 손의 엄지, 인지 및 중지가 부여잡고 있다.
이 쑤시는 작업을 할 경우, 먼저 사용자는 엄지, 인지 및 중지로 삽입부 (55)를 치아 사이의 공간(gap; 틈)에 밀어 넣으며 동시에 파지부 (81)을 잡고 있는 손가락들의 힘을 약하게 하여 플로스 부재 (71)을 약간 느슨한 상태에 있게 한다.
차례를 바꾸어, 삽입부 (55)를 이 틈 사이에서 빼 낼 때는, 삽입부 (55)를 뒤로 빼는 대신에 파지부 (81)을 잡고 있는 손가락의 힘으로 파지부 (81)을 뒤로 당기면 플로스 부재 (71)이 팽팽히 당겨지면서 삽입부 (55)를 이 틈에서 끌어 내게 된다.
이처럼 삽입부 (55)를 밀어 넣고 플로스 부재 (71)을 당기는 왕복동작을 반복하는 동안 파지부 (81) 은 변형된 도구 (50)을 조종하는 수단의 역할을 하게 되며, 이것은 선행기술의 구슬 등의 역할과는 전혀 다른 기능이다.
나아가, 도구 (50)이 도 1e와 도 12와 같은 플로스 홀더로 변형되었을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에 잡혀 있는 파지부 (81)은 마찬가지로 플로스 부재 (71)이 결착수단 (61)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의 역할을 하게 되며, 이것은 추후 설명되고 있다.
도 7에는 손잡이 형태의 돌출부(knob-shaped protuberance)가 플로스 결착수단 (floss-receiving anchoring means) (61)으로 샤프트 부재 (51)의 몸체에 제공되어 있다.
사용자가 샤프트 부재 (51)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플로스 부재 (71)을 샤프트 부재 (51)의 다른 부분에 손으로 걸어 연결할 수 있게 해 주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샤프트 부재 (51)의 일정 부분에 형성되거나 제공된 수단을 나타내기 위하여 “결착수단”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결착수단 (61)은, 이 결착수단 (61)과 플로스 부재 (71)이 연장되어 나온 샤프트 부재 (51)의 끝 부분 사이에 또 다른 변형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플로스 부재 (71)이 연장되어 나온 끝 부분으로부터 일정하게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샤프트 부재 (51)에 밖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플로스 부재 (71)이 제공될 경우, 삽입부 (55) 바로 옆의 변형부에 더하여, 한 개 또는 두 개의 변형부들이 추가로 샤프트 부재 (51)에 제공된다.
도 10b에서 추가적인 변형부 (86)은 샤프트 부재 (51)의 중간 부분에, 결착수단 (61)과 플로스 부재 (71)이 밖으로 연장되고 있는 제 1 가장자리 끝 (56)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 7에서, 플로스 결착수단 (61)과 플로스 부재 (71) 연장되어 나오고 있는 제 2 가장자리 끝 (58) 사이에 있는 중간 부위와 결착수단 (61)이 제공된 부분은 각각 사용자가 손으로 도구 (50)의 형태를 플로스 홀더의 형태로 변화시키는 변형부 (86)과 (87)이다.
도 7의 추가적인 변형부 (86)은 사용자가 손으로 구부려 도 8의 반원형 부위 (69)로 변형되게 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제 2 가장자리 끝 (58)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플로스 부재 (71)을 샤프트 부재 (51)의 몸체의 축과 공선적(共線的; collinear)인 상태에 있도록 하면서 플로스 부재 (71)을 결착수단 (61)과 샤프트 부재 (51)의 몸체 모두에 감은 결과, 플로스 부재 (71)이 결착수단 (61)과 제 2 가 장자리 끝 (58) 사이에 팽팽히 당겨진 상태로 위치한 플로스 홀딩 구조(floss holding structure), 즉 플로스 홀더(floss holder)를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플로스 홀더로, 사용자는 앞치아 부위에 있는 이웃한 치아 사이의 치아 표면을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도 8의 반원형 부위 (69)로 변형된 변형부 (86)을 결착수단 (61)이 위치한 추가적인 변형부 (87) 지점에서 사용자가 도 8의 화살표 M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2 가장자리 끝 (58)과 플로스 결착수단 (61) 사이에 팽팽히 당겨져 있는 플로스 부재 (71)은 샤프트 부재 (51)의 축에 대하여 거의 직각에 가까운 위치에 있게 된다(도 9의 각도 R6 참조).
도 9에서, 샤프트 부재 (51)의 죽 곧은 몸체와 제 2 가장자리 끝 (58)과 플로스 결착수단 (61) 사이에 위치한 플로스 부재 (71)이 놓여진 평면 P는 반원형 부위 (69)와 제 2 가장자리 끝 (58)과 플로스 결착수단 (61) 사이에 위치한 플로스 부재 (71)이 놓여진 평면 Q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고 있다.
즉, 플로스 부재 (71)은 샤프트 부재 (51)의 곧은 몸체에 대하여 거의 직각이 되도록 배치되게 되므로, 플로스 부재 (71)은 어금니 부위에 있는 이웃한 치아 사이의 표면에 쉽게 도달하고 그 표면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7의 도구 (50) 하나만으로도 사용자는 이 쑤시는 작업과 앞 치아와 어금니 부위에 있는 치아 사이의 치아표면을 모두 청소하는 플로싱 작업(flossing activities)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10a는 작은 직경에 길이가 긴 토막 또는 막대 (63)을 보강재(reinforcing means)로 도시하고 있다.
도 10b와 도 13에서, 도 10a의 보강재 (63)과 플로스 부재 (71)이 기본 물질 (66) 내에 함입되어 있으며, 이들이 모두 함께 샤프트 부재 (51)의 몸체를 형성하고 있다.
샤프트 부재 (51)은 그 내부에 보강재 (63)이 함입되지 않고, 단지 비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특성을 가진 물질(들)만으로도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 11과 도 12는 도 10b의 도구 (50)을 플로스 홀더로 사용하기 위하여 그 형태를 변형하는 단계를 개괄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10b에서 샤프트 부재 (51)의 제 2 가장자리 끝 (58) 가까이에는 그 주연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결착수단 (61)의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위에서 기술한 바처럼, 도 10b에서 추가적인 변형부 (86)은 샤프트 부재 (51)의 중간 부분에, 결착수단 (61)과 플로스 부재 (71)이 밖으로 연장되고 있는 제 1 가장자리 끝 (56)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 11에서 사용자는 샤프트 부재 (51)의 변형부 (86)을 중지 (93)에 대고 수작업으로 감으면서 동시에 엄지와 약지의 누르는 힘을 화살표 (91), (94) 방향으로 작용시키게 된다.
그 다음, 사용자는 플로스 부재 (71)을 샤프트 부재 (51)의 홈(결착수단 (61))에 감으며, 그 결과 샤프트 부재 (51)의 형태는 도 12에 도시한 것처럼, U 모양의 플로스 홀더로 그 형태가 변하게 된다.
플로싱 작업을 하는 동안, 아래로 늘어뜨려진 플로스 부재 (71)과 파지부 (81)은 손가락과 손바닥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가장자리 끝 (56)과 (58) 사이에 위치한 플로스 부재 (71)이 느슨하게 되면,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샤프트 부재 (51)의 죽 곧은 부분들 (62), (68)을 서로로부터 약간 벌어지게 하여 플로스 부재 (71)이 더욱 팽팽히 당겨진 상태에 있도록 한다. 이 순간, 파지부 (81)은 사용자가 플로스 부재 (71)을 팽팽히 당기는데 도움을 주게 되며, 나아가 이것은 플로스 부재 (71)이 결착수단 (61)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1과 도 12의 원 (91), (92), (93) 및 (94)는 엄지, 인지, 중지 및 약지가 놓여지는 위치를 개괄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도 10b의 도구 (50) 하나로 사용자는 치아 사이의 틈에 이 쑤시는 작업을 하고 앞니와 어금니 치아 부위에 있는 치아 표면을 모두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도 1a의 도구 (50)은 비탄성적으로 변형되는 물질로 된, 길이로 긴 원형의 샤프트 부재 (51)과 이 샤프트 부재 (51)의 길이를 따라 일체로 제공된 한 가닥의 플로스 부재 (71) 및 플로스 부재 (71)의 끝에 형성된 파지부 (81)로 구성되어 있다.
샤프트 부재 (51)은 점차 가늘어져 양 가장자리 끝 (56)과 (58)에 이르며, 이것이 샤프트 부재 (51)의 양 끝 부위에서 두 삽입부 (55)를 형성하고 있다.
샤프트 부재 (51)의 제 1 가장자리 끝 (56) 인근의 일정 부위에 형성된 삽입부 (55)에는 작은 솔 같은 돌기가 그 주연을 따라 형성되어 이 쑤시는 작업을 할 동안 치아의 표면을 청소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나아가, 이들 돌기들은 도구 (50)이 플로스 홀더로 변형될 때 위에서 기술한 결착수단 (61)의 역할을 하게 된 다.
도 1e는 도 1a의 도구 (50)이 위에서 도 10b, 11 및 12와 관련하여 기술한 것과 비슷한 양상으로 플로스 홀더로 사용될 수 있도록 비탄성적으로 변형된 형태의 개괄도이다.
사용자는 도 1a의 샤프트 부재 (51)의 중간지점에 있는 중간 부위 (변형부) (86)을 구부려 U-형태의 부재(U-shaped member)로 변형한 다음, 제 2 가장자리 끝 (58)에서 연장되어 나온 플로스 부재 (71)을 제 1 가장자리 끝 (56)에 있는 삽입부 (55)의 줄기와 그 주연을 따라 형성된 솔털 형태의 돌출부에 함께 여러 번 감은 다음, 아래로 늘어 드려진 플로스 부재 (71)과 파지부 (81) 및 구부러진 변형부 (86)을 모두 한꺼번에 손가락 및/또는 손바닥으로 쥐게 된다.
따라서, 도 1a의 도구 (50) 하나로 사용자는 이 쑤시는 작업과 마사지 작업 및 플로싱 작업(picking, massaging and flossing operation)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앞 치아와 어금니 부위의 치아 표면을 모두 깨끗이 청소할 수 있게 된다.
결착수단 (61)은 그 형태와 유형이 다양하게 제공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선행기술의 치간 칫솔(inter-proximal brush)은, 도 5e 및 도 5f에 도시한 것처럼, 가는 나일론 솔 다발이 짧은 철사 코어에 감겨져 구성된 것이었다. 이것은 단면이 둥근 원형(round cross-section)이고 외관은 실린더형이거나 원추형(cylindrical or conical in profile)으로 되어 있다.
나아가, 도 5g 및 5h에 도시한 것처럼 그 표면에 다수 개의 작은 돌기가 형성된 이쑤시개들이 있어 왔다.
이러한 유형의 돌기와 솔 다발들도, 도 1a와 도 17b에 도시한 바처럼, 삽입부 (55)에 제공되었을 경우, 결착수단 (61)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돌기와 솔털들은, 치아 표면을 깨끗이 하는 역할에 더하여 결착수단 (61)의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선행기술에서 제시된 돌기나 솔털들보다 월등히 더 우수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결착수단은 샤프트 부재 (51)의 몸체 또는 플로스 부재 (71)에 제공되거나 형성된 작은 돌기, 솔 다발, 손잡이 형태 또는 혹 형태의 돌출부(knob-shaped or gnarl-shaped protuberance), 매듭(knot), 마디(node), 옹이(knar), 홈(grooves), 벤 자국(notches), 고정구(cleats), 째진 틈(slits), 구슬(bead), 등등 가운에서 그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14a, 14b, 14c 및 14d는 결착수단 (61)의 예들과 플로스 부재 (71)을 결착수단 (61)과 샤프트 부재 (51)의 몸체 또는 구슬 등을 가진 플로스 부재 (71)에 감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도 14a, 도 14b 및 도 14c에는 도 7의 것과 비슷한 손잡이 형태의 돌출부, 도 10b의 것과 비슷한 샤프트 부재 (51)의 주연을 따라 파여진 홈 및 샤프트 부재 (51)의 가장자리 끝부분에 쪼개진 슬릿(slit)이 각각 결착수단 (61)로 제공되어 있다.
위에서 기술한 바처럼, 구슬(beads)과 같은 것이 형성된 댄탈 플로스가 본 실시 예에 사용될 경우, 이 구슬 등이 샤프트 부재 (51)의 가장자리 끝부분의 바로 앞에 형성되면 이 구슬과 댄탈 플로스가 함께 위에 말한 결착수단 (61)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4d에서, 샤프트 부재 (51)에 함입된 플로스 부재 (71)은 제 2 가장자리 끝 (58)에서 밖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있으며 이 플로스 부재 (71)에 형성된 구슬이 샤프트 부재 (51)의 가장자리 끝부분의 바로 앞에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예에서는 제 2 가장자리 끝 (58)과 구슬 사이에 있는 플로스 부재 (71)이 결착수단 (61)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4a의 도구 (50) 사용자는 플로스 부재 (71)을 샤프트 부재 (51)의 몸체 및/또는 결착수단 (61)에 감게 된다.
도 14b의 도구 (50) 사용자는 플로스 부재 (71)을 샤프트 부재 (51)의 홈에 직접 감게 된다.
도 14c의 도구 (50) 사용자는 플로스 부재 (71)을 이 슬릿에 먼저 삽입한 후 샤프트 부재 (51)의 몸체에 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d의 도구 (50) 사용자는 플로스 부재 (71)을 구슬과 제 2 가장자리 끝 (58) 사이에 있는 플로스 부재 (71) 에 직접 감게 된다.
도 14a, 14b, 14c 및 14d에서, 숫자 (73) 과 (75)는 샤프트 부재 (51)의 몸체 및/또는 결착수단 (61)에 감는 플로스 부재 (71)의 고리 가닥을 나타내고, 숫자 (74)는 파지부 (81)에 연결될 플로스 부재 (71)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플로스 부재 (71)은 단 한 번만 샤프트 부재 (51)에 감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원하기에 따라 여러 번 감거나 다른 방식으로 감을 수도 있다.
본 발명 일부 실시 예의 경우, 삽입부 (55)의 끝 부분에서 플로스 부재의 가는 실 가닥들과 샤프트 부재 (51)의 물질이 함께 혼합되어 삽입부 (55)의 완충부 (57)을 구성하고 있다.
도 1e에서 플로스 부재 (71)은 두 가장자리 끝 (56)과 (58) 사이에 팽팽히 당겨진 상태에 있으며, 도 2에 도시한 바처럼, 가장자리 끝 (58)의 완충부 (57)은 약간 굽혀진 상태에 있다. 마찬가지로 가장자리 끝 (56)의 완충부 (57)도 약간 굽혀진 상태에 있다 (도시 않음). 즉, 완충부 (57)들은 삽입부 (55)들의 끝부분이 부러지거나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5b에서, 샤프트 부재 (51)은 착지부 (53)과 샤프트 부재 (51)의 일측 끝 부위에 형성된 삽입부 (55) 및 그 타측 끝 부위에 형성된 반원 형태의 가지형 부위(bifurcated portion) (69)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댄탈 플로스 홀더는 길이로 긴 손잡이 부재(handle member)와 Y-형태 또는 C-형태의 플로스 파지(把持) 구조(floss holding structure)로 구성되어 있다.
이 Y-형태 또는 C-형태의 구조는 일정 길이의 댄탈 플로스를 수용하는 두 가닥으로 나눠진 즉 분기(分岐)된 갈래 또는 래그(prongs or legs)를 가지고 있으며, 이 구조의 일정 부분은 손잡이 부재의 어느 일측 끝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편의상, 본 발명에서는 이처럼 일정 길이의 댄탈 플로스를 수용하는 두 가닥으로 나눠진 즉 분기(分岐)된 갈래 또는 래그를 가진 Y-형태 또는 C-형태의 구조를 대표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가지형 부위(bifurcated portion) (69) 또는 반원형 부위(semi circular portion) (69)”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도 15b에서, 반원형 부위 (69), 즉 가지형 부위 (69)는 일정 길이의 플로스 부재 (71)을 그 사이에 수용할 두 개로 갈라진 가닥 또는 래그(prongs or legs)를 가지고 있으며, 반원형 부위 (69)의 말단 끝 부분과 정점 사이에 있는 일정 부분은 착지부 (53)의 다른 한쪽 편의 끝 지점 (64)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도 18a에서, 가지형 부위 (69)의 어느 한 가닥의 말단 끝 지점이 착지부 (53)의 끝 지점 (64)에 연결되어 있고, 도 16b와 도 19a에서 가지형 부위 (69)의 접합점 즉, 정점이 착지부 (53)의 끝 지점 (64)에 연결되어 있다.
한 마디로, 도 15b에서, 샤프트 부재 (51)은 착지부 (53)과 착지부 (53)의 어느 한쪽 편의 일정 지점에서 일체로 연장된 삽입부 (55)와 착지부 (53)의 다른 한쪽 편의 끝 지점 (64)에 일체로 연결된 가지형 부위 (69)로 구성된다.
일정 길이의 플로스 부재 (71)은 가지형 부위 (69)의 가닥들의 말단 끝 부분들 사이에 함입되어 팽팽히 당겨진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삽입부 (55)에는 작은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는 도 1c에 도시하고 이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비슷한 양상으로, 변형부 (82)와 (84)를 구부려 도 15c에 도시한 치간 칫솔을 만들게 된다.
가지형 부위 (69)에 걸쳐져 있는 플로스 부재 (71)은 착지부 (53)과 평행관계(parallel relationship)로 배치되며, 따라서 이것은 앞 치아의 이웃한 치아 사이의 치아 표면을 청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는, 삽입부 (55) 바로 옆의 변형부들에 더하여, 착지부 (53)의 끝 부분 (64)가 또 다른 변형부 (87)의 역할을 하게 된다.
어금니 치아의 이웃한 치아 사이의 표면을 깨끗이 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이 가지형 부위 (69)를 변형부 (87), 즉 착지부 (53)의 끝 부분 (64)에서 옆으로 회전시켜, 도 9에 도시하고 이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비슷한 양상으로, 도 15c에 도시한 것처럼, 플로스 부재 (71)이 죽 곧은 착지부 (53)과 거의 직각이 되도록 위치시킨다.

도 16b의 샤프트 부재 (51)에는 삽입부 (55)가 형성되지 않는다.
착지부 (53)의 한쪽 편의 제 1 가장자리 끝 (56)은 뭉툭한 형상이며, 착지부 (53)의 죽 곧은 부분의 끝 지점 (64’)에서 착지부 (53)은 위쪽으로 구부러진 다음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목 부분을 형성하고 그 끝 부분 (64)에서 끝을 맺게 된다.
반원 형태의 가지형 부위 (69)가 이 끝 부분 (64)에 일체로 연결되게 된다. 즉, 가지형 부위 (69)는 그 정점에서 착지부 (53)의 목 부분의 끝 부분 (64)에 연결된다.
가지형 부위 (69)의 가지들 사이에 걸쳐져 있는 플로스 부재 (71)과 다른 요소들은 위에서 도 15b와 관련하여 기술한 것과 비슷한 양상으로 형성되고 사용된다.
이 실시 예에서는, 가지형 부위 (69)에 그 끝 부분 (64)가 연결된 착지부 (53)의 목 부분이 변형부 (87)이 된다.
어금니 치아의 치아 표면을 깨끗이 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이 가지형 부위 (69)를 목 부분의 축을 중심으로, 즉 변형부 (87)에서 회전시켜, 도 9에 도시하고 이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것과 비슷한 양상으로, 죽 곧은 착지부 (53)과 직각이 되도록 위치시킨다.
마찬가지로, 도 15b, 도 18a 및 도 19a에 도시한 도구 (50)도 그 제 1 가장자리 끝 (56)이 삽입부 (55)가 형성되지 않고 뭉툭하게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5b, 도 18a 및 도 19a에 도시한 도구 (50)도 그 제 1 가장자리 끝 (56)이 삽입부 (55)가 형성되지 않고 뭉툭하게 구성될 수 있다.
기존의 치간 칫솔에 사용되던 원추형의 나일론 솔털과 짧은 철사심(short wire core)은 본 발명에 채택될 수 있다. 도 17b에서, 원추형의 나일론 솔털을 가진 짧은 철사심의 줄기가 착지부 (53)의 앞 부위에 함입되어 있으며, 따라서 원추형의 나일론 솔털 다발 (67)은 삽입부 (55)가 된다. 두 가닥의 플로스 부재 (71)이 샤프트 부재 (51)의 뭉툭한 제 2 가장자리 끝 (58)에 함입되어 있다. 숫자 (82), (84) 및 (86)은 변형부를 나타낸다.
나일론 솔털 (67)을 가진 철사심은 삽입부 (55)의 역할을 하게 되며, 사용자는 도 1c에 도시하고 이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비슷한 양상으로, 변형부 (82)와 (84)를 구부려 치간 칫솔을 만들게 된다.
사용자는 변형부 (86)을 변형시켜 도 12에 도시한 것과 비슷한 U 모양의 플로스 홀더를 형성하게 된다. 철사 심과 나일론 솔털은 도구 (50)의 형태가 U 형태의 플로스 홀더로 변형될 때 결착수단 (61)의 역할을 하게 된다.
지금까지 기술한 바처럼, 샤프트 부재 (51)의 여러 부분 및 부위가 사용자가 자신의 용도에 따라 변형할 수 있는 변형부의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샤프트 부재 (51)은 비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특성을 지니도록 만들어져 있으므로 사용자는 샤프트 부재 (51)의 어느 지점이라도 자신의 용도에 맞게, 자신이 편한대로 임의로 선택해서 변형할 수가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이와 같은 변형부의 소재를 쉽게 찾아 정확하게 변형할 수 있도록 샤프트 부재 (51)에 일정한 표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표시는 직경을 작게 하거나, 작은 돌기들(small protuberances), 베어낸 금(notches), 거칠게 된 표면(roughened surfaces), 교차로 그어진 금(cross-hatchings), 색깔 표시(color indications) 등이 될 수 있다.
예로, 도 15b에서 변형부 (82)와 (84)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삽입부 (55)와 인접한 착지부 (53)의 일정부분에는 주름진 테, 즉 홈과 융기가 반복되는 표면(knurled surface)이 샤프트 부재 (51)의 주연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도 17b에는, 변형부 (82), (84) 및 (86)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샤프트 부재 (51)의 삽입부 (55)와 인접한 착지부 (53)의 일정부분과 샤프트 부재 (51)의 중앙 부분의 주연을 따라 십자로 교차된 금(cross-hatched)이 그어져 있다.

위에서 기술한 바처럼, 샤프트 부재 (51)이 비탄성적으로 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니도록 일정한 보강재(reinforcing means) (63)이 샤프트 부재 (51) 내에 함입될 수 있다.
보강재 (63)은 본질적으로 샤프트 부재 (51)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기본 물질 내에 함입될 수 있도록 샤프트 부재 (51)보다 길이와 직경이 약간 작은 사이즈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샤프트 부재 (51)에서 변형부가 제공된 곳에 짧은 토막 형태의 보강재 (63)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5a, 도 16a 및 도 17a는 보강재 (63)의 다른 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15a에서, 길이로 긴 막대 형태의 보강재 (63)은 그 한 쪽 끝 부위에 반원형 태의 가지형 부위 (6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재 (63)과 플로스 부재 (71)이 기본 물질 내에 함입되게 되면, 이들은 모두 함께 도 15b의 것과 비슷한 샤프트 부재 (51)을 구성하게 된다.
도 16a에서, 길이로 긴 보강재 (63)의 몸체는 한 쪽 끝부분에서 위쪽으로 구부러진 다음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목 부분 (60)과 반원형 부위 (65)를 형성하게 된다. 반원형태의 가지형 부위 (65)는 그 정점에서 목 부분 (60)에 연결된다.
이 보강재 (63)과 플로스 부재 (71)이 기본 물질 내에 함입되게 되면, 이들 은 모두 함께 도 16b의 것과 비슷한 샤프트 부재 (51)을 구성하게 된다.
도 17a에서, 나일론 솔털 (67)을 감고 있는 철선 (63), (63’)는 길이로 길게 연장되어 보강재의 역할을 하게 된다.
보강재, 즉 철선 (63), (63’)들이 기본 물질 내에 함입되게 되면, 이들은 함께 도 17b의 것과 비슷한 샤프트 부재 (51)을 형성하게 된다.
플로스 부재 (71)을 보강재 (63)에 먼저 연결한 다음, 보강재 (63)을 기본 물질 내에 함입하여, 플로스 부재 (71)이 도구 (50)으로부터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로, 플로스 부재 (71)을 도 15a와 도 16a의 보강재 (63)의 가지형 부위 (65)의 말단 끝 부분에 먼저 연결한 다음, 보강재 (63)을 기본 물질 내에 함입하여, 플로스 부재 (71)이 도구 (50) 의 가지형 부위 (69)의 말단 끝 부분으로부터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8a에서, 샤프트 부재 (51)은 착지부 (53)과 착지부 (53)의 왼쪽 편의 일정 지점에서 일체로 연장된 삽입부 (55) 및 착지부 (53)의 오른쪽 끝 지점 (64)에 일체로 연결된 반원 형태의 가지형 부위 (69)로 구성된다.
착지부 (53)의 끝부분 (64)는 가지형 부위 (69)의 어느 한 가닥의 말단 끝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플로스 부재 (71)은 샤프트 부재 (51)의 길이를 따라 그 내에 함입되어 있으며,가지형 부위 (69)의 양 말단 끝 부분 사이에, 즉 다시 말해, 착지부 (53)의 끝부분 (64)와 샤프트 부재 (51)의 제 2 끝 부위 (58) 사이에 팽팽히 당겨진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는 도 1c에 도시하고 이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비슷한 양상으로, 변형부 (82)와 (84)를 구부려 치간 칫솔을 만들게 된다.
가지형 부위 (69)에 걸쳐져 있는 플로스 부재 (71)은 착지부 (53)의 축과 동축관계(coaxial relationship)로 배치되게 되며, 따라서 이것은 앞 치아 부위의 이웃한 치아 사이의 치아 표면을 청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어금니 치아의 이웃한 치아 사이의 표면을 깨끗이 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이 가지형 부위 (69)를 변형부 (87), 즉 착지부 (53)의 끝 부분 (64)에서 옆으로 회전시켜, 도 9에 도시하고 이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비슷한 양상으로, 플로스 부재 (71)이 죽 곧은 착지부 (53)과 거의 직각이 되도록 위치시킨다.
도 19a에서 착지부 (53)의 오른쪽 편의 끝 지점 (64)는 가지형 부위 (69)의 정점(頂點)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플로스 부재 (71)이 반원형 부위 (69)의 갈라진 가닥 양 말단 끝 부분들 사이에 팽팽히 당겨진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플로스 부재 (71)은 착지부 (53)의 축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게 된다.
이 실시 예에서는, 삽입부 (55) 바로 옆의 변형부들에 더하여, 착지부 (53)의 끝 부분 (64)가 또 다른 변형부 (87)의 역할을 하는 바, 이것은 사용자가 가지형 부위 (69)를 아래쪽으로, 즉 도 19a의 화살표 D 방향으로 굽힐 수 있게 해 준다(점선 참조).
도 19a에서는 착지부 (53)의 끝 지점 (64)을 포함하여 착지부 (53)의 일정 부분과 가지형 부위 (69)의 일정부분들이 변형부 (87)로 표시된 바. 이는 사용자가 가지형 부위 (69)를 아래쪽으로 굽힐 때 궁형으로 구부려지게 된다. 이처럼 궁형으로 굽혀진 가지형 부위 (69)는 플로스 부재 (71)을 어금니 치아 사이의 틈에 쉽게 삽입할 수 있게 해 준다.

샤프트 부재 (51)이 비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특성을 가진 물질로 만들어질 경우, 삽입부 (55)가 치아 표면과 잇몸을 긁거나 손상을 입히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탄성력(resiliencies)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삽입부 (55)가 치아 표면과 잇몸을 긁거나 손상을 입힐 가능성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삽입부 (55)는 치아 표면과 잇몸을 보호하기 위하여 삽입부 (55)의 주연을 따라 코팅된 엘라스토머 같은 물질의 얇은 층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부드럽고, 유연하며 탄성적인 물질이 삽입부 (55)의 주연을 따라 사출 성형된 결과, 씌우개 부재 (55’)를 구성하게 된다.
삽입부 (55)는 씌우개 부재 (55’)를 알맞게 수용하기 위해 그 직경이 가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8a에서, 삽입부 (55)는 그 주연을 따라 씌우개 부재 (55’)가 사출 성형될 수 있도록 직경이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도 18b는 이 씌우개 부재 (55’)의 확대도이다.
삽입부 (55)가 씌우개 부재 (55’)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샤프트 부재 (51)에 플로스 부재 (71)이 제공될 경우, 상기 플로스 부재 (71)은 긴 길이의 댄탈 플로스로 제공되며, 씌우개 부재 (55’)를 사출할 캐버티에 샤프트 부재 (51)을 쉽고 정확하며 효율적으로 위치시키는 가이드 수단의 역할을 하게 된다.
현재, 댄탈 플로스 홀더를 제조하는 단계는 아주 단순하다, 즉, 댄탈 플로스를 금형에 위치시키고 댄탈 플로스 홀더용의 캐버티(cavity)에 플라스틱 물질이 주입되게 된다.
선행 기술에서, 도 5h에 도시한 것과 같은 두 가지 물질의 복합 구조(bi-material composite structure)를 가진 치아용 도구의 경우, 브러시 몸체(brush body)가 먼저 사출 성형된 다음, 브러시 몸체에 청정부(cleaning part)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개개의 브러시 몸체를 청정부 사출용 캐버티에 하나하나 위치시켜야 하는 바, 이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그 반면, 본 발명에서는 플로스 부재 (71)이, 플로스 부재 (71) 가닥에 형성된 여러 개의 샤프트 부재 (51)들을 씌우개 부재 (55’)를 사출하기 위한 제 2 금형의 캐버티들에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가이드 수단(guide means)의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두 가지 물질의 복합 구조를 가진 도구 (50)을 쉽게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두 가지 물질의 복합 구조를 가진 도구 (50)을 제조하는 일반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제 1 금형은 도 1a, 10b, 18a 및 19a에 도시한 것과 같은 샤프트 부 재 (51)들을 사출할 캐버티들(cavities) 과 긴 플로스 부재 (71) 가닥을 수용할 라인 캐버티(line cavities)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캐버티는, 제 1 금형에서의 사출이 끝났을 때, 샤프트 부재 (51)의 삽입부 (55)가 아무런 돌기나 솔털들이 없이 단지 테이퍼된 형태(tapered shape)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위에서 기술한 바처럼, 삽입부 (55)는 씌우개 부재 (55’)를 알맞게 수용할 수 있도록 그 직경이 가늘게 형성될 수 있다.
라인 캐버티는 샤프트 부재 (51)들 사이의 플로스 부재 (71)를 포함하여 도 18a에 도시된 (T1)과 (T2)와 비슷한 탠셔닝 수단(tensioning means) 사이에 팽팽히 당겨진 상태에 있는 플로스 부재 (71) 가닥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로, 도 19b에서, 샤프트 부재 (51)들 사이에 위치했던 플로스 부재 (71)은 숫자 (77)로 표시되고,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샤프트 부재 (51)과 금형의 가장자리 끝 사이에 위치했던 플로스 부재 (71)은 숫자 (76)으로 표시되고 있다.
라인 캐버티는 또한 도 15b, 18a 및 19a에 도시한 것처럼, 샤프트 부재 (51)이 가지형 부위 (69)를 가지도록 형성될 때, 이 가지형 부위 (69)의 말단 끝부분들 사이의 플로스 부재 (71)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19b에서, 가지형 부위 (69)의 말단 끝부분들 사이에 위치했던 플로스 부재 (71)은 숫자 (78)로 표시되고 있다.
샤프트 부재 (51)을 사출할 캐버티와 플로스 부재 (71)을 수용할 라인 캐버티는, 비탄성적으로 변형되는 물질이 이 금형 내에 주입될 때, 플로스 부재 (71)이 샤프트 부재 (51) 내에 함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둘째 및 셋째 단계로, 이 긴 플로스 부재 (71) 가닥을 샤프트 부재 (51)들을 사출할 캐버티들과 라인 캐버티 내에 위치시키고, 비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특성을 가진 기본 물질을 샤프트 부재 (51)들을 사출할 캐버티들 내에 주입한다.
넷째 단계로, 샤프트 부재 (51)들이 그 길이를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 길이로 긴 플로스 부재 (71) 가닥을 제 1 금형으로부터 분리한다.
따라서, 제 1 금형에서의 주입과정이 끝나게 되면 다수 개의 샤프트 부재 (51)들이 플로스 부재 (71) 가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되게 된다.
다섯째 단계로, 제 2 금형을 형성하는 바, 이것은 제 1 금형에서 플로스 부재 (71) 가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 샤프트 부재 (51)들을 수용할 캐버티들과 플로스 부재 (71)을 수용할 라인 캐버티들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샤프트 부재 (51)용의 각각의 캐버티에서 샤프트 부재 (51)의 삽입부 (55)가 위치하는 부분은 씌우개 부재 (55’)를 사출할 충분한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씌우개 부재 (55’)는 유연하고 탄성적인 물질로 형성되며, 이것은 제 1 금형에서 형성된 샤프트 부재 (51)의 삽입부 (55)의 주연을 따라 고르게 도포되게 된다. 도 18b는 씌우개 부재 (55’)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캐버티에서 씌우개 부재 (55’)를 사출할 부분은, 유연하고 탄성적인 물질이 이 금형 내에 주입될 때, 삽입부 (55)가 씌우개 부재 (55’) 내에 완전히 함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라인 캐버티는 마찬가지로 샤프트 부재 (51)들 사이의 플로스 부재 (71)를 포함하여 도 18a에 도시된 (T1)과 (T2)와 비슷한 탠셔닝 수단(tensioning means) 사이에 팽팽히 당겨진 상태에 있는 플로스 부재 (71) 가닥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 2 금형에서의 샤프트 부재 (51)용의 캐버티들 사이의 거리는 제 1 금형에서 플로스 부재 (71) 가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 샤프트 부재 (51)들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여섯째 단계에서, 플로스 부재 (71) 가닥과 이 가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 샤프트 부재 (51)들은 각각 플로스 부재 (71)을 수용할 라인 캐버티들과 샤프트 부재 (51)들을 수용할 캐버티들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일곱째 단계에서, 샤프트 부재 (51)용의 캐버티에서 샤프트 부재 (51)의 삽입부 (55)가 위치하는 부분에 유연하며 탄성적인 물질이 주입된다.
마지막 단계로, 그 주연 표면을 따라 씌우개 부재 (55’)가 사출된 삽입부 (55)들을 가진 다수 개의 샤프트 부재 (51)들이 형성된 플로스 부재 (71) 가닥을 제 2 금형으로부터 분리한다.
여러 개의 샤프트 부재 (51)들이 플로스 부재 (71) 가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 하나의 플로스 부재 (71) 가닥을 금형에 위치시킴으로써, 여러 개의 샤프트 부재 (51)들을 그것을 수용할 캐버티들 내에 쉽고, 신속하며,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8a는 플로스 부재 (71) 가닥에 형성된 단 하나의 샤프트 부재 (51)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이 플로스 부재 (71) 가닥에는 여러 개의 샤프트 부재 (51)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된다는 점을 양지해야 할 것이다.
도 19b는 도 19a의 도구 (50)들이 플로스 부재 (71) 가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b에서, 플로스 부재 (71)은 탠셔닝 수단 (T3)와 (T4) 사이에 팽팽히 당겨진 상태에 있으며, 마찬가지로 도구 (50)이 이 제 2 금형에서 형성될 때, 여러 개의 샤프트 부재 (51)들을 캐버티들 내에 쉽고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가이드 수단의 역할을 하게 된다.
지금까지 기술한 본 발명 치아청정도구는 비탄성적으로 변형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임의로 그 형태와 기능을 변화시켜 이쑤시개, 치간 칫솔 및/또는 댄탈 플로스 홀더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 마디로, 본 발명 치아청정도구 한 개로 치아 틈에 낀 음식 찌끼를 보다 쉽게 제거하고, 잇몸을 효과적으로 마사지하며, 잇몸 가장자리와 앞치아 부위와 뒤 치아 부위에 있는 모든 치아의 외측, 내측 및 측면 표면들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이상 광의의 의미로 기술된 발명의 근본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부 변형되거나 변경된 상태로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4)

  1. 비탄성적으로 변형하는 특성을 지닌 일회용 치아청정도구(tooth cleaning implement) (50)으로서, 그 양 끝에 제 1 가장자리 끝 (56)과 제 2 가장자리 끝 (58)을 가진 긴 길이의 샤프트 부재 (51)로 구성되는 바, 이 샤프트 부재 (51)은 나아가 이 두 가장자리 끝 (56)과 (58) 사이에 착지부 (53)과 삽입부 (55)를 가지고 있으며,
    착지부 (53)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도록 대체적으로 긴 길이와 작은 직경을 가진 몸체로 되어 있으며,
    삽입부 (55)는 치아 사이의 틈을 우비는(picking)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착지부 (53)의 일정 지점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것으로, 샤프트 부재 (51)의 가장자리 끝으로 갈수록 점점 가늘어져 샤프트 부재 (51)의 가장자리 끝에 모아지게 구성되며,
    샤프트 부재 (51)은, 사용자가 손으로 샤프트 부재 (51)을 변형하여 도구 (50)의 형태와 기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탄력적이고 단단하며 비탄성적으로 형태를 변형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닌 물질(들)로 구성되며,
    샤프트 부재 (51)의 탄발력과 단단함 및 비탄성성(非彈性性; inelasticity)은 사용자가 손으로 샤프트 부재 (51)에 가한 외부의 힘에 의해 굽혀지거나 변형될 정도이면서, 치아청정 작업 도중에 샤프트 부재 (51)의 변형된 몸체에 가해진 약한 정도의 압력에 의해서는 결코 그 변형된 몸체가 튕겨지거나 굽혀지거나 휘어지지 않을 정도로 구성되며,
    샤프트 부재 (51)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변형시킬 때 비탄성적으로 변형되는 변형부(deformable part)가 최소한 하나 이상 제공되며,
    이 변형부는 삽입부 (55) 자체 및/또는 삽입부 (55) 바로 옆 또는 인근에 있는 착지부 (53)의 일정 지점(들) 또는 일정 부분에 제공되어, 사용자가 삽입부 (55)의 각도 및/또는 길이를 조정하거나 및/또는 샤프트 부재 (51)의 형태를 치간 칫솔의 형태나 또는 똘똘 감긴 삽입부 (55)를 가진 마사지 픽(massaging pick)의 형태나 굽혀진 삽입부 (55)의 축이 착지부 (53)의 축에 대하여 둔각으로 굽혀진 마사지 픽의 형태로 바꿀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청정기구
  2. 비탄성적으로 변형하는 특성을 지닌 일회용 치아청정도구(tooth cleaning implement) (50)으로서 긴 길이의 샤프트 부재 (51)과 여기에 제공된 최소한 한 가닥 이상의 플로스 부재 (71)로 구성되는 바;
    샤프트 부재 (51)은 그 양 끝에 제 1 가장자리 끝 (56)과 제 2 가장자리 끝 (58)을 가지고 있으며, 이 샤프트 부재 (51)은 나아가 이 두 가장자리 끝 (56)과 (58) 사이에 착지부 (53)과 삽입부 (55)를 가지고 있으며;
    착지부 (53)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도록 대체적으로 긴 길이와 작은 직경을 가진 몸체로 되어 있으며,
    삽입부 (55)는 치아 사이의 틈을 우비는(picking)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착지부 (53)의 일정 지점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것으로, 샤프트 부재 (51)의 가장자리 끝으로 갈수록 점점 가늘어져 샤프트 부재 (51)의 가장자리 끝에 모아지게 구성되며,
    샤프트 부재 (51)은, 사용자가 손으로 샤프트 부재 (51)을 변형하여 도구 (50)의 형태와 기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탄력적이고 단단하며 비탄성적으로 형태를 변형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닌 물질(들)로 구성되며,
    샤프트 부재 (51)의 탄발력과 단단함 및 비탄성성(非彈性性; inelasticity)은 사용자의 손에 의해 샤프트 부재 (51)에 가해진 외부로부터의 힘에 의해 굽혀지거나 변형될 정도이면서, 샤프트 부재 (51)의 변형된 몸체에 치아청 정 작업 도중에 가해진 약한 정도의 압력에 의해서는 결코 그 변형된 몸체가 튕겨지거나 굽혀지거나 휘어지지 않을 정도로 구성되며,
    플로스 부재 (71)은 댄탈 플로스 가닥(들)로서, 이 플로스 부재 (71)의 일정 부분이 샤프트 부재 (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로 함입되어 있거나 또는 플로스 부재 (71)의 한쪽 끝이 샤프트 부재 (51)의 어느 한 가장자리 끝 또는 그 인근에 일체로 함입되어 있으며,
    플로스 부재 (71)은 샤프트 부재 (51)의 어느 한 가장자리 끝 또는 그 인근으로부터 밖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으며, 이 연장된 플로스 부재 (71)은 사용자가 도구 (50)의 형태를 플로스 홀더의 형태로 변경하여 플로싱 작업(flossing opertation)을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상대적으로 긴 길이로 연장되어 있으며,
    샤프트 부재 (51)에는 플로스 결착수단 (floss-receiving anchoring means) (61)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샤프트 부재 (51)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플로스 부재 (71)을 이 결착수단이 제공된 샤프트 부재 (51)의 다른 부분에 손으로 걸어 연결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이 결착수단 (61)은 샤프트 부재 (51)의 플로스 부재 (71)이 연장되어 나온 부분으로부터 일정하게 떨어진 곳에 위치한 결과, 사용자가 샤프트 부재 (51)의 형태를 플로스 홀더의 형태로 변경하도록 제공된 변형부가 결착수단 (61)과 이 샤프트 부재 (51)의 끝 부분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며,
    샤프트 부재 (51)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변형시킬 때 비탄성적으로 변형되는 변형부(deformable part)들이 제공되며,
    이 변형부는 삽입부 (55) 자체와 삽입부 (55) 바로 옆 또는 인근에 있는 착지부 (53)의 일정 지점(들) 또는 일정 부분에 제공되어, 사용자가 삽입부 (55)의 각도 및/또는 길이를 조정하거나 및/또는 샤프트 부재 (51)의 형태를 치간 칫솔의 형태나 또는 똘똘 감긴 삽입부 (55)를 가진 마사지 픽(massaging pick)의 형태나 굽혀진 삽입부 (55)의 축이 착지부 (53)의 축에 대하여 둔각으로 굽혀진 마사지 픽의 형태로 바꿀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 다른 변형부가 샤프트 부재 (51)에서 플로스 부재 (71)이 밖으로 연장되어 나온 부분과 결착수단 (61) 사이에 있는 중간 부위에 제공되거나 또는 샤프트 부재 (51)에서 플로스 부재 (71)이 밖으로 연장되어 나온 부분과 결착수단 (61) 사이에 있는 중간 부위와 결착수단 (61) 그 자체에 제공되어 사용자가 샤프트 부재 (51)의 형태를 플로스 홀더의 형태로 변경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청정기구
  3. 비탄성적으로 변형하는 특성을 지닌 일회용 치아청정도구(tooth cleaning implement) (50)으로서 긴 길이의 샤프트 부재 (51)과 여기에 제공된 일정 길이의 플로스 부재 (71)로 구성되는 바:
    샤프트 부재 (51)은 그 양 끝에 제 1 가장자리 끝 (56)과 제 2 가장자리 끝 (58)을 가지고 있으며, 이 샤프트 부재 (51)은 나아가 이 두 가장자리 끝 (56)과 (58) 사이에 착지부 (53)과 삽입부 (55) 및 가지형 부위 (69)를 가지고 있으며;
    착지부 (53)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도록 대체적으로 긴 길이와 작은 직경을 가진 몸체로 되어 있으며,
    삽입부 (55)는 치아 사이의 틈을 우비는(picking)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착지부 (53)의 어느 한 쪽 편의 일정 지점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것으로, 샤프트 부재 (51)의 가장자리 끝으로 갈수록 점점 가늘어져 샤프트 부재 (51)의 가장자리 끝에 모아지게 구성되며,
    가지형 부위 (69)는 플로스 부재 (71)을 수용할 가닥들을 가지고 있으며, 가지형 부위 (69)의 일정 부분은 착지부 (53)의 다른 한쪽 편의 끝 지점 (64)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플로스 부재 (71)은 일정 길이의 댄탈 플로스로서, 가지형 부위 (69)의 가닥들의 말단 끝 부분들 사이에 함입되어 팽팽히 당겨진 상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샤프트 부재 (51)은, 사용자가 손으로 샤프트 부재 (51)을 변형하여 도구 (50)의 형태와 기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탄력적이고 단단하며 비탄성적으로 형태를 변형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닌 물질(들)로 구성되며,
    샤프트 부재 (51)의 탄발력과 단단함 및 비탄성성(非彈性性; inelasticity)은 사용자의 손에 의해 샤프트 부재 (51)에 가해진 외부로부터의 힘에 의해 굽혀지거나 변형될 정도이면서, 샤프트 부재 (51)의 변형된 몸체에 치아청정 작업 도중에 가해진 약한 정도의 압력에 의해서는 결코 그 변형된 몸체가 튕겨지거나 굽혀지거나 휘어지지 않을 정도로 구성되며,
    샤프트 부재 (51)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변형시킬 때 비탄성적으로 변형되는 변형부(deformable part)들이 제공되며,
    이 변형부는 삽입부 (55) 자체와 삽입부 (55) 바로 옆 또는 인근에 있는 착지부 (53)의 일정 지점(들) 또는 일정 부분에 제공되어, 사용자가 삽입부 (55)의 각도 및/또는 길이를 조정하거나 및/또는 샤프트 부재 (51)의 형태를 치간 칫솔의 형태나 또는 똘똘 감긴 삽입부 (55)를 가진 마사지 픽(massaging pick)의 형태나 굽혀진 삽입부 (55)의 축이 착지부 (53)의 축에 대하여 둔각으로 굽혀진 마사지 픽의 형태로 바꿀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 다른 변형부가 착지부 (53)의 다른 한쪽 편의 끝 부분 (64)에 제공되어 사용자가 가지형 부위 (69)를 이 변형부에서 옆으로 또는 아래로 굽히거나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청정기구
  4. 비탄성적으로 변형하는 특성을 지닌 일회용 치아청정도구(tooth cleaning implement) (50)으로서 긴 길이의 샤프트 부재 (51)과 여기에 제공된 일정 길이의 플로스 부재 (71)로 구성되는 바:
    샤프트 부재 (51)은 그 양 끝에 제 1 가장자리 끝 (56)과 제 2 가장자리 끝 (58)을 가지고 있으며, 이 샤프트 부재 (51)은 나아가 이 두 가장자리 끝 (56)과 (58) 사이에 착지부 (53)과 가지형 부위 (69)를 가지고 있으며;
    착지부 (53)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도록 대체적으로 긴 길이와 작은 직경을 가진 몸체로 되어 있으며,
    착지부 (53)의 어느 한 쪽 편에 있는 가장자리 끝은 뭉툭하게 형성되며,
    가지형 부위 (69)는 두 갈래로 갈라져 플로스 부재 (71)을 수용할 가닥들을 가지고 있으며, 가지형 부위 (69)의 일정 부분은 착지부 (53)의 다른 한쪽 편의 끝 지점 (64)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플로스 부재 (71)은 일정 길이의 댄탈 플로스로서, 가지형 부위 (69)의 가닥들의 말단 끝 부분들 사이에 함입되어 팽팽히 당겨진 상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샤프트 부재 (51)은, 사용자가 손으로 샤프트 부재 (51)을 변형하여 도구 (50)의 형태와 기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탄력적이고 단단하며 비탄성적으로 형태를 변형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닌 물질(들)로 구성되며,
    샤프트 부재 (51)의 탄발력과 단단함 및 비탄성성(非彈性性; inelasticity)은 사용자의 손에 의해 샤프트 부재 (51)에 가해진 외부로부터의 힘에 의해 굽혀지거나 변형될 정도이면서, 샤프트 부재 (51)의 변형된 몸체에 치아청정 작업 도중에 가해진 약한 정도의 압력에 의해서는 결코 그 변형된 몸체가 튕겨지거나 굽혀지거나 휘어지지 않을 정도로 구성되며,
    샤프트 부재 (51)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변형시킬 때 비탄성적으로 변형되 는 변형부(deformable part)가 제공되며,
    이 변형부는 착지부 (53)의 다른 한쪽 편의 끝 부분 (64)에 제공되어 사용자가 가지형 부위 (69)를 이 변형부에서 옆으로 또는 아래로 굽히거나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청정기구
  5. 제 1항, 2항, 3항 또는 4항의 치아청정도구 (50)에 있어서;
    샤프트 부재 (51)이 플라스토머(plastomer, 소성중합체;塑性重合體)물질 또는 플라스토머 물질과 엘라스토머(elastomer, 탄성중합체;彈性重合體) 물질의 혼합물로 형성되어, 샤프트 부재 (51)이 상온에서 비탄성적으로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특성을 지니도록 구성된 것.
  6. 제 1항, 2항, 3항 또는 4항의 치아청정도구 (50)에 있어서;
    샤프트 부재 (51)이 플라스토머(plastomer) 물질, 엘라스토머(elastomer) 물질, 또는 플라스토머 물질과 엘라스토머 물질의 혼합물로 형성되고 보강재 (63)이 이 물질 내에 함입되어 샤프트 부재 (51)이 상온에서 비탄성적으로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특성을 지니도록 구성된 바;
    보강재 (63)은 상온에서 비탄성적으로 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닌 물질로 형성되며,
    이 보강재 (63)이 근본적으로 샤프트 부재 (51)과 동일한 형태에, 샤프트 부재 (51)보다 길이와 직경이 약간 작은 사이즈를 지니도록 구성한 것.
  7. 제 1항, 2항, 3항 또는 4항의 치아청정도구 (50)에 있어서;
    사용자가 쉽고 정확하게 변형부의 소재를 찾아 변형시킬 수 있도록 샤프트 부재 (51)의 변형부에 일정한 표시가 형성되고, 이 표시는 직경을 작게 하거나, 작은 돌기들(small protuberances), 베어낸 금(notches), 거칠게 된 표면(roughened surfaces), 교차로 그어진 금(cross-hatchings), 색깔 표시(color indications) 등으로 구성된 것.
  8. 제 1항, 2항 또는 3항의 치아청정도구 (50)에 있어서;
    사용자가 자신의 용도에 맞도록 샤프트 부재 (51)의 형태를 바꾸기 위하여 변형부를 손으로 변형시킨 후에, 구부러진 삽입부 (55)의 축 (97)이 샤프트 부재 (51)의 축 (99)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가 3도에서 175도의 범위에 걸쳐 형성된 것.
  9. 제 2항의 치아청정도구 (50)에 있어서;
    상기, 결착수단이 샤프트 부재 (51)의 몸체에 제공되거나 형성된 작은 돌기, 솔 다발(bristles), 손잡이 형태 또는 혹 형태의 돌출부(knob-shaped or gnarl-shaped protuberance), 매듭(knot), 마디(node), 옹이(knar), 홈(grooves), 벤 자국(notches), 고정구(cleats), 째진 틈(slits) 등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
  10. 제 2항의 치아청정도구 (50)에 있어서;
    상기 플로스 부재 (71)의 끝 부분에 파지부 (81)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변형된 도구 (50)을 기교있게 조종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 파지부 (81)은 구슬 (bead), 타블렛 형태의 파지구(tablet-shaped gripper), 두터워진 끝부분(thickened end), 구형의 돌출부(spherical protuberance), 또는 종이나 플라스틱으로 된 납작한 조각 등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
  11. 제 3항 또는 4항의 치아청정도구 (50)에 있어서;
    상기, 착지부 (53)의 끝 지점 (64)에 일체로 연결된 가지형 부위 (69)의 일정 부분이 반원형 부위 (69)의 말단 끝 부분, 정점 즉 접합점, 또는 이 말단 끝 부분과 정점 사이에 있는 일정 부분인 것.
  12. 제 6항의 치아청정도구 (50)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 (63)이 짧은 토막으로 샤프트 부재 (51)에서 변형부가 제공된 부분 또는 부위에 삽입된 것.
  13. 제 1항, 2항 또는 3항의 치아청정도구 (50)에 있어서;
    삽입부 (55)가 치아 표면과 잇몸을 보호하기 위하여 씌우개 부재 (55’)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이 씌우개 부재 (55’)는 부드럽고, 유연하며 탄성적인 물질로 된 얇은 두께의 층으로, 삽입부 (55)의 주연을 따라 사출 성형된 것.
  14. 제 2항 또는 3항의 치아청정도구 (50)에 있어서;
    삽입부 (55)가 치아 표면과 잇몸을 보호하기 위하여 씌우개 부재 (55’)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이 씌우개 부재 (55’)는 부드럽고, 유연하며 탄성적인 물질로 된 얇은 두께의 층으로, 삽입부 (55)의 주연을 따라 사출 성형되며,
    상기 플로스 부재 (71)이 긴 길이의 댄탈 플로스로 제공되며, 도구 (50)들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플로스 부재 (71) 가닥에 형성된 여러 개의 샤프트 부재 (51)들을 씌우개 부재 (55’)들을 사출할 캐버티들 내에 쉽고 정확하며 효율적으로 위치시키는 가이드 수단의 역할을 하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도구 (50)을 제조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 것;
    첫째, 샤프트 부재 (51)를 사출할 캐버티들(cavities)과 긴 플로스 부재 (71) 가닥을 수용할 라인 캐버티(line cavities)를 가진 제 1 금형을 형성한다.
    둘째, 이 긴 플로스 부재 (71) 가닥을 샤프트 부재 (51)들을 사출할 캐버티들과 라인 캐버티 내에 위치시키되,
    라인 캐버티는 샤프트 부재 (51)들 사이의 플로스 부재 (71)를 포함하여 탠셔닝 수단(tensioning means) 사이에 팽팽히 당겨진 상태에 있는 플로스 부재 (71) 가닥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셋째, 비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특성을 가진 기본 물질을 샤프트 부재 (51)들을 사출할 캐버티들 내에 주입한다.
    넷째, 샤프트 부재 (51)들이 그 길이를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 길이로 긴 플로스 부재 (71) 가닥을 제 1 금형으로부터 분리한다.
    다섯째, 제 2 금형을 준비하는 바, 이것은 제 1 금형에서 플로스 부재 (71) 가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 샤프트 부재 (51)들을 수용할 캐버티들과 플로스 부재 (71)을 수용할 라인 캐버티들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샤프트 부재 (51)용의 캐버티에서 삽입부 (55)가 위치하는 부분은 씌우개 부재 (55’)를 사출할 충분한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제 2 금형에서의 샤프트 부재 (51)용의 캐버티들 사이의 거리는 제 1 금형에서 플로스 부재 (71) 가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 샤프트 부재 (51)들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여섯째, 플로스 부재 (71) 가닥과 이 가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 샤프 트 부재 (51)들은 각각 플로스 부재 (71)을 수용할 라인 캐버티들과 샤프트 부재 (51)들을 수용할 캐버티들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일곱째, 샤프트 부재 (51)용의 캐버티에서 샤프트 부재 (51)의 삽입부 (55)가 위치하는 부분에 유연하며 탄성적인 물질이 주입된다.
    여덟째, 그 주연 표면을 따라 씌우개 부재 (55’)가 사출된 삽입부 (55)들을 가진 다수 개의 샤프트 부재 (51)들이 형성된 플로스 부재 (71) 가닥을 제 2 금형으로부터 분리한다
KR1020040066189A 2004-08-21 2004-08-21 비탄성적 변형 특성을 가진 치아청정도구 KR200600177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189A KR20060017721A (ko) 2004-08-21 2004-08-21 비탄성적 변형 특성을 가진 치아청정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189A KR20060017721A (ko) 2004-08-21 2004-08-21 비탄성적 변형 특성을 가진 치아청정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721A true KR20060017721A (ko) 2006-02-27

Family

ID=37125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189A KR20060017721A (ko) 2004-08-21 2004-08-21 비탄성적 변형 특성을 가진 치아청정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772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75399B1 (de) 2016-07-26 2018-09-12 M+C Schiffer GmbH Interdentalreinigungselement
WO2018194235A1 (ko) * 2017-04-18 2018-10-25 제이씨텍 주식회사 치간치솔
WO2019107966A1 (ko) * 2017-11-29 2019-06-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75399B1 (de) 2016-07-26 2018-09-12 M+C Schiffer GmbH Interdentalreinigungselement
EP3275399B2 (de) 2016-07-26 2021-07-21 M+C Schiffer GmbH Interdentalreinigungselement
WO2018194235A1 (ko) * 2017-04-18 2018-10-25 제이씨텍 주식회사 치간치솔
WO2019107966A1 (ko) * 2017-11-29 2019-06-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6892A (en) Dental floss holder
US20120111348A1 (en) Floss pick
CN107184288B (zh) 牙签
EP2324796A1 (en) Dental interproximal cleaning device
KR200479129Y1 (ko) 기능을 향상시킨 이쑤시개
US20040168703A1 (en) Floss-pick
JP4350002B2 (ja) 歯ブラシ
JP3124246U (ja) 歯間清掃具
KR20060017721A (ko) 비탄성적 변형 특성을 가진 치아청정도구
JP3128400U (ja) 歯間磨き具
US3871392A (en) Dental floss holder
US10898303B2 (en) Three-in-one tooth-cleaning device structured as toothpick, interdental brush, and floss pick
AU2018250811B2 (en)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for manafacturing such oral care implement
AU2018251685B2 (en)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oral care implement
JPH09220122A (ja) 歯間ブラシ
CN212415948U (zh) 一种口腔清洁牙线棒
US20240115365A1 (en) Dental flossing device
US7322367B2 (en) Device for cleaning teeth
KR102107528B1 (ko) 교정용 칫솔
JP6734493B1 (ja) 歯ブラシ
JPH11137577A (ja) 歯間清掃用具
JP3138318U (ja) 歯ブラシ
JPH0744629U (ja) プラークコントロール用具
WO2002071893A1 (fr) Brosse a dents
JP3025943B2 (ja) 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