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07966A1 - 치실 - Google Patents

치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07966A1
WO2019107966A1 PCT/KR2018/014946 KR2018014946W WO2019107966A1 WO 2019107966 A1 WO2019107966 A1 WO 2019107966A1 KR 2018014946 W KR2018014946 W KR 2018014946W WO 2019107966 A1 WO2019107966 A1 WO 201910796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loss
dental floss
handle
mold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494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경섭
박미정
하원호
이종훈
유혜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JP2020528879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1504028A/ja
Priority to CN201880002726.5A priority patent/CN110381882B/zh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5033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32005B1/ko
Publication of WO201910796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079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2Toothp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Definitions

  • the dental floss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dental floss in which the dental floss is wrapped in the thread shape and the axed dental floss in which the dental floss is formed between the axially shaped dental floss having the handle.
  • Dental floss sales are on the rise.
  •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floss is 1 mm to 5 mm, and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floss can be 10 mm to 20 mm.
  • the dental fl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knob portion, and the dental floss is formed of an elastomer having a large surface frictional force while maintaining convenience in use of an existing commercially available ax-type dental floss,
  • the dental floss formed by the elastomer is composed of one strand of injection molding and is free from crack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lean foreign substances by washing after use, This has a possible effect.
  • the thickness of the floss 10 may range from 0.05 mm to 2.0 mm in diameter and the length of the floss 10 may be from 10 mm to 50 mm or from 10 mm to 20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ntal floss 1 comprising a dental floss 10 and a handgrip 20 wherein the dental floss 10 and the handle 20 are made of the same elastomer.
  • the dental floss 1 can be manufactured from one kind of material by using one mold including both the dental floss 10 and the handle 20, Is performed by a process of injection.
  • the dental floss manufacturing equipment may include a mold for integrally injection-molding the floss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for fixing both ends of the floss portion.
  • the second mold has a shape in which a groove having a proper thickness is formed for injection molding the floss portion, and the groove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 the interdental toothbrush may be formed by attaching a third metal mold to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handle portion of the first metal mold. At this time, the third metal mold is inserted into the first metal mold or the second metal mold, The part can be injected.
  • the toothpick portion and interdental toothbrush portion can be manufactured by using the first and second molds when the same material as the handle portion is used.
  • the third mold may be additionally used when the toothpick and interdental toothbrush are made of materials different from the handle, or the material is different from the handle, covering all or part of the dental floss.
  •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mold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it can adopt a general double-injection mold coupling 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치실에 관한 것으로서,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는 치실부; 및 상기 치실부의 양단을 고정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실부와 상기 손잡이부는, 사출에 의해 일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실
본 발명은 치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치실의 제조 공정상 편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치실에 관한 것이다.
치실은 구강 위생용품의 하나로서, 치간세정사로도 지칭된다. 칫솔이 닿지 않는 치석과 세균막을 없애는 데 좋으며, 치아 사이가 벌어지고 잇몸에 염증이 생길 수 있는 이쑤시개에 비해 안전하고 위생적이라는 점에서 일반인들의 관심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치실은 왁스 코팅의 유무에 따라 그 종류를 구별할 수 있으며, 치실에 왁스가 코팅이 된 경우, 왁스가 윤활제 역할을 하여 왁스 코팅이 이뤄지지 않은 치실보다 매끄럽게 치아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치실은 형태에 따라, 치실이 실타래 형태로 감겨져 유통되는 실형 치실과 손잡이가 구성된 도끼 형태의 사출물 사이에 치실이 형성되어 있는 도끼형 치실로 구별할 수 있으며, 최근 시장에서는 편리한 사용성 때문에 도끼형 치실의 판매가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시중에 출시되고 있는 도끼형 치실의 실부분에는 앞에서 설명한 왁스 코팅의 이점에 불구하고, 왁스가 코팅되지 않은 상태로 판매되고 있다. 이는 도끼형 치실의 제조 공정 상 난점에 기인한 것으로, 도끼형 치실은 치실 투입 후 고온에서 손잡이부의 플라스틱을 사출하기 때문에, 왁스 코팅된 치실을 사용하는 경우 사출 공정 중에 실 표면에 코팅된 왁스가 녹거나, 불균일한 형태로 왁스가 치실에 잔존하게 되어 불량품을 발생시킨다. 때문에, 도끼형 치실의 실부분에는 왁스 코팅을 할 수 없으며, 이렇게 왁스 코팅이 생략된 치실은 치아 사이에 삽입될 때 매끄럽게 삽입되지 못해, 삽입 과정에서 힘 조절이 어려워 잇몸이 다칠 위험이 있었다. 이에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하는 도끼형 치실에서도 매끄러운 치간 삽입력이 구현되는 치실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도끼형 치실은 '치실 투입 → 손잡이부 플라스틱 사출 → 잔류 치실 제거'의 최소 3단계 공정을 거쳐서 제작되어 공정 및 비용 면에서 낭비되는 부분이 많았으며, 1회용으로 사용되는 사형 치실 제품의 특성 상 단가 경쟁력이 심하여 자칫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고, 생활폐기물이 다량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3922호 (2005.12.08. 등록)
(특허문헌 2)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89830호 (2012.08.14.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라스토머로 구성된 치실부를 포함하는 치실을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과 치간 삽입력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한편, 제조 공정상 용이성을 개선한 치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실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는 치실부; 및 상기 치실부의 양단을 고정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실부와 상기 손잡이부는, 사출에 의해 일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부는, 도끼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부는, U자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치실부를 고정하는 일단과, 이쑤시개 형태로 이루어지는 타단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부는, U자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치실부를 고정하는 일단과, 치간칫솔 형태로 이루어지는 타단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치실은, 상기 손잡이부에서 일단 및 타단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치실부가 절첩되도록 하는 접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이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 부분이 상기 손잡이부에서 상기 치실부로부터 먼 끝단을 향해 힌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이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 부분이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 부분에 포개지도록 힌지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이부는, 체결홈 및 상기 체결홈에 탈부착되는 체결부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치실부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치실부의 양단의 최단거리는 1 mm 내지 5 mm이고, 펴진 상태에서 상기 치실부의 양단의 최단거리는 10 mm 내지 20 m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치실부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치실부와 상기 손잡이부는,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실 제조장비는, 치실부와 상기 치실부의 양단을 고정하는 손잡이부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금형을 포함하며, 상기 치실부는, 엘라스토머 재질로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형은, 제1 소재를 이용하여 상기 손잡이부를 사출 성형하는 제1 금형; 및 제2 소재를 이용하여 치실부를 사출 성형하는 제2 금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소재는, 엘라스토머 재질, 엘라스토머 재질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 또는 경도 강화 플라스틱 재질이고, 상기 제2 소재는, 엘라스토머 재질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금형과 제2 금형은, 상기 치실부와 상기 손잡이부를 일체로 이중사출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실은 치실부 및 손잡이부를 일시에 사출로 제작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작 시간 및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실은,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기존 시판 중인 도끼형 치실의 사용상 편의성을 유지하면서도, 치실부가 표면 마찰력이 큰 엘라스토머로 형성되어 기존 실을 이용한 치실에 비해 이물질 제거가 뛰어나며, 인장(Tension)에 의해 단면적이 작아져 매끄럽게 치간에 삽입되며, 엘라스토머로 형성된 치실부는 실로 형성된 치실과 달리 한 가닥의 사출물로 구성되어 갈라짐 현상이 없으므로, 사용 후 세척에 의해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어 반복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실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실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실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치실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치실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실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실(1)은 치실부(10), 손잡이부(20)를 포함한다.
치실부(10)는, 엘라스토머 재질, 구체적으로는 유연성이 큰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라텍스,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 고무, 스티렌 에틸렌 부타디엔 스티렌(SEBS) 고무, 부틸 고무, 폴리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코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께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연성 및 탄력성을 구비한 엘라스토머 재질을 이용하여 치실부(10)를 형성하는 경우, 치실부(10)는 주어지는 힘에 따라 두께가 얇아질 수 있어, 치간 삽입이 매끄러워지며, 치간 간격이 좁은 경우에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치실부(10)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우, 치실부(10)의 사용 후에는 원래의 두께로 복원되고 수회 사용에도 단선이 되기 어려우므로 반복 사용 또한 가능하게 한다.
한편, 치실부(10)는 치아의 형태대로 변형되어 치아에 밀착된 상태로 움직이게 되므로, 치간에 존재하는 이물질, 음식물, 플라그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치실부(10)의 두께는 직경 0.05mm 내지 2.0mm일 수 있고, 치실부(10)의 길이는 10mm 내지 50mm, 또는 10 mm 내지 20 mm일 수 있으나, 치실부(10)를 치간에 삽입 가능하다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치실부(10)는 그 단면이 원, 타원,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별, 꽃 등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치실부(10)의 표면은 매끄럽게 형성되거나 미세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치실부(10)의 표면이 매끄러운 경우에는 치간 삽입력을 보다 개선할 수 있으며, 미세 돌기가 형성된 경우에는 치아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할 수도 있다.
손잡이부(20)는 엘라스토머, 엘라스토머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 또는 경도 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예컨대 치실부(10)보다 강도가 높은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잡이부(20)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 폴리시클로헥실렌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PCTG),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폴리아세탈(POM), 폴리스티렌(P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CP),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SAN), 폴리락트산(PLA), 고밀도 폴리에틸렌(UHME PE), 및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AS) 공중합 수지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께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손잡이부(20)는, 도끼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부(20)는 일단에 U자 형태로 마련되어 치실부(10)를 고정하는 고정부(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타단에 이쑤시개 형태로 이루어지는 이쑤시개부(22) 및/또는 치간칫솔 형태로 이루어지는 치간칫솔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1)에 의해 치실부(10)의 양단이 본체에 고정되도록, 치실부(10)의 양단은 손잡이부(20)의 일단에 파묻히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구 내로 손을 넣어 치실의 일단을 잡고 사용해야 하는 수고를 덜어준다. 고정부(21)는 U자, V자, 'ㄷ'자, 벌어진 'ㄷ'자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치실부(10)의 양단을 고정할 수 있는 형태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쑤시개부(22)는 손잡이부(20)의 말단이 점점 가늘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치간 이물질의 크기에 따라, 치실부(10)와 이쑤시개부(22)를 병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치간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쑤시개부(22)는 손잡이부(2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이한 재질을 덧붙이거나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실의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실(1)은 손잡이부(20)의 일 말단에 이쑤시개부(22) 대신 치간칫솔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치간칫솔부(23)는 손잡이부(20)로부터 연장된 중심축을 중심으로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돌기, 원반 등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치간칫솔부(23)는 치실부(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이한 재질을 혼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쑤시개부(22)와 치간칫솔부(23)는 택일적으로 존재하거나, 두 부가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두 부 모두 생략될 수도 있다.
고정부(21)에서 이쑤시개부(22) 또는 치간칫솔부(23)에 이르는 부분은 직선형, 곡선형 또는 비정형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20)에 대한 파지감을 높이기 위해 마찰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찰 패턴은 면 형태로 형성되며, 줄무늬, 격자무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설명한 치실(10)은 사출에 의해 제작될 수 있으며, 치실부(10)와 손잡이부(20)는 상기 사출 시에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치실(10)의 제작 공정은 (i) 손잡이부(20)를 선사출하여 형성 후, 순차적으로 치실부(10)를 사출하면서 손잡이부(20)에 결합시켜 치실(10)을 완성하는 다단계 사출 공정도 가능하나, (ii) 일시에 치실부(10)와 손잡이부(20)를 형성하는 이중사출 공정을 통해 치실(10)을 제조하는 것이 공정의 단순화 및 비용 절감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사출 또는 이중사출은 당해 업계에서 공지된 방법을 제작 조건에 따라 선택하여 진행할 수 있으며, 예컨대 슬라이드 방식, 코어 회전 방식, 금형 회전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실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실(1)은 치실부(10), 손잡이부(20), 및 접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치실에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대응되는 부분은 동일한 부호로서 표시되었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상기된 내용과 함께 한다. 도 3에 도시된 치실에 있어서, 도 1에 기재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실(1)의 접이부(30)는 손잡이부(2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마련되며, 치실부(10)가 절첩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이부(30)를 통해 치실부(10)가 접히고 펴질 수 있다.
접이부(30)는 치실부(10)의 양단을 고정하는 2개의 고정부(21, 21')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손잡이부(20)의 타단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하나의 고정부(21')는 손잡이부(20)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고정부(21)는 접이부(30)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고정부(21)가 접이부(30)에 의하여 움직임으로써, 치실부(10)가 절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달리 접이부(30)는 손잡이부(20)의 타단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하나의 고정부(21')와 손잡이부(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고정부(21)는 손잡이부(20)에 고정되어 있어, 하나의 고정부(21')가 접이부(30)에 의하여 움직임으로써, 치실부(10)가 절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치실부(10)가 접힌 상태로 치실(1)을 보관하고, 치실부(10)가 펴진 상태에서 치실(1)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치간에 존재하는 이물질, 음식물, 플라그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접이부(30)를 구비한 치실(1)은, 치실부(10)가 접힌 상태로 치실(1)을 보관할 수 있어, 엘라스토머 재질의 치실부(10)에 지속적인 장력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치실부(10)가 늘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치실(1)의 장기 신뢰성 및 제품의 수명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접이부(30)는 치실부(10)를 접고 펼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을 제한 없이 채택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고정부(21, 21') 사이가 얇게 연결되도록 손잡이부(20)를 사출 성형하여 접이부(3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20)를 사출 성형한 후, 2개의 고정부(21, 21') 사이가 얇게 연결된 상태가 되도록 재단하여 접이부(30)를 형성할 수 있다.
손잡이부(20)는 유연성을 가지며 강도가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접이부(30)를 수회 움직이는 경우에도 치실(1)을 장기간 반복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치실(1)에서 접이부(30)는, 손잡이부(20)의 일단 부분이 손잡이부(20)에서 치실(1)부로부터 먼 끝단을 향해 힌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잡이부(20)의 타단에서 치실부(10)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할 때, 접이부(30)를 힌지축으로 하여 고정부(21)가 상하 방향으로 힌지 회전할 수 있다.
힌지 회전함에 따라 고정부(21)의 끝단이 고정부(21')의 끝단에 가까워져 치실이 느슨해지거나, 반대로 고정부(21)의 끝단이 고정부(21')의 끝단에서 멀어져 치실이 팽팽해질 수 있다.
접이부(30)의 일단 부분에는 체결홈(31)이 형성되고, 접이부(30)의 타단 부분에는 체결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31)에 체결부(32)가 부착되어 접이부(30)의 일단 부분과 타단 부분이 연결됨에 따라, 치실부(10)가 펴진 상태로 치실(1)을 사용할 수 있다. 체결홈(31)에서 체결부(32)가 탈착되어 접이부(30)의 일단 부분과 타단 부분이 분리됨에 따라, 치실부(10)가 접힌 상태로 치실(1)을 보관할 수 있다.
체결홈(31)은 소정의 형태를 가지는 음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체결부(32)는 체결홈(31)의 음각 형태에 대응되는 양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접이부(30)의 일단 부분과 타단 부분을 연결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자석이나 벨크로(찍찍이) 등을 통해 접이부(30) 의 일단 부분과 타단 부분을 연결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접이부(30)를 통해 치실부(10)가 접힌 상태에서의 치실부(10)의 양단의 최단거리는 1 mm 내지 5 mm이고, 펴진 상태에서의 치실부(10)의 양단의 최단거리는 10 mm 내지 20 mm일 수 있다. 접힌 상태 및 펴진 상태에서의 치실부(10)의 양단의 최단거리가 전술한 범위 내인 경우, 치실(1)의 제품 내구성 및 제품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치실부(10)의 양단의 최단거리는 전술한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치실부(10), 고정부(21, 21') 및 손잡이부(20)의 재질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치실의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치실(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실(1)과 같이, 치실부(10), 손잡이부(20), 및 접이부(30)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실(1)과 다른 부분에 대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실(1)의 접이부(30)는, 손잡이부(20)의 일단 부분이 손잡이부의 타단 부분에 포개지도록 힌지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잡이부(20)의 타단에서 치실부(10)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할 때, 접이부(30)를 힌지축으로 하여 고정부(21)가 좌우 방향으로 힌지 회전할 수 있다.
다만, 접이부(30)를 통해 고정부(21)가 이동하는 방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고정부(21')와 손잡이부(20)의 타단 사이에 추가의 접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부(20)의 타단에서 치실부(10)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할 때, 추가의 접이부를 힌지축으로 하여 고정부(21')가 좌우 방향으로 힌지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관 시의 치실(1) 전체의 길이를 줄여, 치실(1) 보관의 용이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부(30)의 일단 부분에는 체결홈(31)이 형성되고, 접이부(30)의 타단 부분에는 체결부(32)가 형성될 수 있고, 체결홈(31) 및 체결부(32)에 대한 내용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치실부(10)가 접힌 상태에서의 치실부(10)의 양단의 최단거리와 치실부(10)가 펴진 상태에서의 치실부(10)의 양단의 최단거리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치실부(10)와 손잡이부(20)를 포함하되, 치실부(10)와 손잡이부(20)가 동일한 엘라스토머로 제조된 치실(1)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경우, 치실부(10)와 손잡이부(20)에 대응하는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하나의 금형을 이용하여 1종의 재질로 치실(1)의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중사출이 아닌 단사출의 공정으로 수행된다.
이 경우, 손잡이부(20)는 도끼 형태를 이루면서 치실부(10)에 비해 월등히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로부터 치실부(10)는 유연성을, 손잡이부(20)는 그와 구별되는 지지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치실의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치실(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실(1)과 같이, 치실부(10), 손잡이부(20), 및 접이부(30)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실(1)과 다른 부분에 대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실(1)은, 접이부(30)가 치실부(10)의 양단을 고정하는 2개의 고정부(21, 21') 사이에 구비되고, 추가의 접이부(30')가 손잡이부(20)의 타단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하나의 고정부(21')와 손잡이부(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치실부(10)의 양단을 고정하는 2개의 고정부(21, 21')가 움직일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고정부(21')만 움직이거나, 다른 하나의 고정부(21)가 움직이거나, 또는 2개의 고정부(21, 21') 모두가 움직임으로써, 치실부(10)가 절첩될 수 있다.
손잡이부(20)의 타단에서 치실부(10)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할 때, 접이부(30)를 힌지축으로 하여 다른 하나의 고정부(21)가 제3 실시예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힌지 회전하거나, 또는 제4 실시예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힌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20)의 타단에서 치실부(10)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할 때, 추가의 접이부(30')를 힌지축으로 하여 하나의 고정부(21')가 상하 방향으로 힌지 회전하거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힌지 회전할 수 있다.
다만, 고정부(21, 21')가 움직이는 방향을 전술한 방향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치실부(10)가 절첩되어 느슨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면, 접이부(30, 30')를 통해 고정부(21, 21')가 움직이는 방향을 제한 없이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치실을 제조하기 위한 치실 제조장비를 제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실 제조장비는 치실부와 치실부의 양단을 고정하는 손잡이부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금형을 포함할 수 있다.
금형은, 제1 소재를 이용하여 손잡이부를 사출 성형하는 제1 금형 및 제2 소재를 이용하여 치실부를 사출 성형하는 제2 금형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소재는 엘라스토머 재질, 엘라스토머 재질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 또는 경도 강화 플라스틱 재질이고, 제2 소재는 엘라스토머 재질일 수 있다. 제1 소재 및 제2 소재는 상이하거나 동일한 소재일 수 있으며, 동일한 소재인 경우 엘라스토머 재질이고, 상이한 소재인 경우 제1 소재는 제2 소재보다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일 수 있다.
제1 금형은 손잡이부를 사출 성형하기 위해 도끼 형태의 그루브를 가진다. 제1 금형의 그루브는 제1 금형이 제2 금형에 연결될 때 치실부의 양단을 형성하게 되는 제2 금형의 그루브의 일부분에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제2 금형은 치실부를 사출 성형하기 위해 적정한 두께의 그루브(groove)가 형성된 형태를 가지며, 그루브는 직선으로 이루어진다.
제2 금형의 그루브의 표면은 매끈하게 이루어져서, 엘라스토머를 이용해 치실부를 제작할 때 치간 삽입이 용이하도록 치실부 표면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또는 제2 금형의 그루브에는 미세한 함몰 패턴이 형성되어, 치실부에 미세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여 치아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그루브의 함몰 패턴은 치실부의 직경을 결정하는 그루브의 깊이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치간 삽입에 미세 돌기가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1 금형의 그루브는 제2 금형의 그루브보다 깊이가 깊게 형성되며, 제1 금형의 그루브에는 손잡이부에 대한 파지감을 높이기 위해 마찰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찰 패턴은 함몰 패턴과 유사한 것이지만 면 형태로 형성되며, 줄무늬, 격자무늬 등이 손잡이부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금형에서 손잡이부의 타단에 대응되는 부분은 이쑤시개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첨단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뾰족한 정도는 잇몸을 찔러 상하지 않게 하면서도 치간을 충분히 파고들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제1 금형에서 손잡이부의 타단에 대응되는 부분에 제3 금형이 부가되면서 치간칫솔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제3 금형은 제1 소재나 제2 소재 또는 이와 다른 제3 소재가 주입되면서 치간칫솔부를 사출할 수 있다.
이쑤시개부 및 치간칫솔부는, 손잡이부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 제1 및 제2 금형을 사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이쑤시개부 및 치간칫솔부가 손잡이부와 상이한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되거나 손잡이부와 상이한 소재로 치실의 전부 또는 일부를 피복하는 경우, 제3 금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1 금형에서 손잡이부의 일단은 제2 금형의 치실부와 이중사출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며, 해당 부분의 상세 구조는 이중사출을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금형 구조로부터 당업자가 충분히 유추할 수 있는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치실부의 양단은 손잡이부의 일단에 파묻히도록 이중사출될 수 있고, 또는 손잡이부의 일단에서 치실부의 잉여분이 형성되도록 이중사출될 수도 있다.
제1 금형과 제2 금형의 결합 구조는 일반적인 이중사출용 금형의 결합 구조를 채택할 수 있는 것이어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치간 삽입도의 확인
본 명세서에 기재된 치실의 치간 삽입 용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동일한 도끼형 손잡이부를 가지되, 치실부가 (i) 엘라스토머로 형성된 치실, (ii) 실로 형성되었으나 왁스 코팅된 치실, 및 (iii) 실로 형성되고 왁스 코팅이 되지 않은 치실을 준비하고, 이들이 치간에 삽입되는 경우 가해지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였다.
힘의 세기는 만능시험기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치아 사이가 가장 좁은 인공 치아 모형의 대구치(큰어금니)와 대구치 사이에 치실을 삽입시키고 50mm/min의 속도로 내려, 요구되는 최대 힘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치실부가 엘라스토머로 형성된 치실은 치간 삽입 시 0.62kgf의 힘이 요구되어, 왁스코팅된 실 치실(0.88kgf), 왁스 코팅 되지 않은 실 치실(1.6kgf)에 비해 각각 29.5%, 61.3% 더 적은 힘을 요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치실부가 엘라스토머로 형성된 치실이 실로 형성된 치실에 비해 치간에 보다 매끄럽게 삽입됨을 의미하여, 구체적으로, 엘라스토머 치실은 왁스 코팅 되지 않은 실 치실보다 약 2.6배 더 용이하게 치간에 삽입됨을 확인하였다.
치실부 치간 삽입에 요구된 힘(kgf)
엘라스토머 0.62 ± 0.03
왁스코팅된 실 0.88 ± 0.05
왁스코팅되지 않은 실 1.60 ± 0.06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부호의 설명]
1: 치실 10: 치실부
20: 손잡이부 21, 21': 고정부
22: 이쑤시개부 23: 치간칫솔부
30, 30': 접이부 31: 체결홈
32: 체결부

Claims (14)

  1.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는 치실부; 및
    상기 치실부의 양단을 고정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실부와 상기 손잡이부는, 사출에 의해 일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도끼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U자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치실부를 고정하는 일단과, 이쑤시개 형태로 이루어지는 타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U자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치실부를 고정하는 일단과, 치간칫솔 형태로 이루어지는 타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서 일단 및 타단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치실부가 절첩되도록 하는 접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 부분이 상기 손잡이부에서 상기 치실부로부터 먼 끝단을 향해 힌지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 부분이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 부분에 포개지도록 힌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부는,
    체결홈 및 상기 체결홈에 탈부착되는 체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부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치실부의 양단의 최단거리는 1 mm 내지 5 mm이고,
    펴진 상태에서 상기 치실부의 양단의 최단거리는 10 mm 내지 2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치실부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부와 상기 손잡이부는,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12. 치실부와 상기 치실부의 양단을 고정하는 손잡이부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금형을 포함하며,
    상기 치실부는, 엘라스토머 재질로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제조장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제1 소재를 이용하여 상기 손잡이부를 사출 성형하는 제1 금형; 및
    제2 소재를 이용하여 치실부를 사출 성형하는 제2 금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소재는, 엘라스토머 재질, 엘라스토머 재질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 또는 경도 강화 플라스틱 재질이고,
    상기 제2 소재는, 엘라스토머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제조장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과 제2 금형은,
    상기 치실부와 상기 손잡이부를 일체로 이중사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제조장비.
PCT/KR2018/014946 2017-11-29 2018-11-29 치실 WO2019107966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528879A JP2021504028A (ja) 2017-11-29 2018-11-29 デンタルフロス
CN201880002726.5A CN110381882B (zh) 2017-11-29 2018-11-29 牙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61817 2017-11-29
KR10-2017-0161817 2017-11-29
KR1020180150335A KR102132005B1 (ko) 2017-11-29 2018-11-29 치실
KR10-2018-0150335 2018-1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7966A1 true WO2019107966A1 (ko) 2019-06-06

Family

ID=66664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4946 WO2019107966A1 (ko) 2017-11-29 2018-11-29 치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91079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10708A (ja) * 2019-07-05 2021-02-04 正義 平井 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製造装置及び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製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309A (ko) * 2003-02-10 2004-08-18 학교법인 신천학원 치실 폴더
KR20060017721A (ko) * 2004-08-21 2006-02-27 조명호 비탄성적 변형 특성을 가진 치아청정도구
KR20100015573A (ko) * 2007-03-14 2010-02-12 라우라 제이. 모간 치아 교정용 치실 사용 보조 방법 및 장치
EP2204140A1 (en) * 2009-01-05 2010-07-07 Tae Jin Kim Coil type interdental brush
US20160038264A1 (en) * 2014-08-11 2016-02-11 Sacks Holdings, Inc. Lockable tensioning floss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309A (ko) * 2003-02-10 2004-08-18 학교법인 신천학원 치실 폴더
KR20060017721A (ko) * 2004-08-21 2006-02-27 조명호 비탄성적 변형 특성을 가진 치아청정도구
KR20100015573A (ko) * 2007-03-14 2010-02-12 라우라 제이. 모간 치아 교정용 치실 사용 보조 방법 및 장치
EP2204140A1 (en) * 2009-01-05 2010-07-07 Tae Jin Kim Coil type interdental brush
US20160038264A1 (en) * 2014-08-11 2016-02-11 Sacks Holdings, Inc. Lockable tensioning floss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10708A (ja) * 2019-07-05 2021-02-04 正義 平井 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製造装置及び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8485B2 (en)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AU2014203619B2 (en) Oral care implement having a multi-component handle
TW201635948A (zh) 具有多組件握柄之口腔保健用具(一)
AU2014414818B2 (en)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BR9908604A (pt) Escova oral, cerda para uma escova oral, processos para utilizar uma escova oral e para fazer uma escova de dentes, fio dental, e, processo para passar fio dental nos dentes de um mamìfero
HU221790B1 (hu) Fogköztisztító és eljárás annak előállítására
JP2008006281A (ja) 歯ブラシの柄
US20180243059A1 (en) Hybrid dental device
JP3162573B2 (ja) 歯ブラシ
JP2002537061A (ja) 歯を洗浄するためのクリーニング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9107966A1 (ko) 치실
KR20180057978A (ko) 치간칫솔 및 그 제조 방법
KR102328837B1 (ko) 치실
JP5556243B2 (ja) 歯ブラシ
JP3649405B2 (ja) 柄に生じるたわみを利用する双胴の柄、歯ブラシ、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ー、管内清掃具、及びピンセット。
WO2018006813A1 (zh) 电动牙刷
JP2005185399A (ja) 歯ブラシ
CN1725964A (zh) 具有独特手柄的电动牙刷
JP3088976B2 (ja) 乳幼児用歯ブラシ
JPS6137153A (ja) 口腔清掃補助用具及びその製法
JPH09234114A (ja) 歯ブラシ
JP2545239Y2 (ja) 歯ブラシ
WO2020171523A1 (ko) 치간 위생용구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3129329U (ja) ホルダー付きデンタル用品
JPH1080437A (ja) 歯間清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834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528879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834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1/01/202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834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