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004A -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 및 그것의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 및 그것의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004A
KR20220049004A KR1020227006317A KR20227006317A KR20220049004A KR 20220049004 A KR20220049004 A KR 20220049004A KR 1020227006317 A KR1020227006317 A KR 1020227006317A KR 20227006317 A KR20227006317 A KR 20227006317A KR 20220049004 A KR20220049004 A KR 20220049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lized
composite textile
breathable composite
layer
bas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6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디 이 신 라우
페이 주
Original Assignee
라이프랩스 디자인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프랩스 디자인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라이프랩스 디자인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49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0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7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in that the layers are not bonded on the totality of their surfaces
    • B32B37/0084Poi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6Knitted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5Interconnection of layers the layers not being connected over the whole surface, e.g. discontinuous connection or patterned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8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 B32B7/09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by stitching, needling or s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0Interconnection of layers at least one layer having inter-reactive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32B7/14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pplied in spaced arrangements, e.g. in str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0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metall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0All layers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92Polyurethan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6Bright, glossy, shiny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4Translu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32B2437/02Gloves, sh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은 안감층 및 안감층 위에 배치된 금속화된 부직 시트를 포함한다. 금속화된 부직 시트는 중합체를 함유하는 베이스 층 및 베이스 층의 제1 표면 위에 부착된 금속층을 포함한다. 안감층은 점 접촉을 통해 금속화된 부직 시트와 연결된다.

Description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 및 그것의 제작 방법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7월 29일자 출원된 가 특허출원 제62/879,872호의 우선권 및 이익을 주장한다. 상기 참조된 출원의 내용은 그 전체가 참고로 여기에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의류, 신발, 텐트, 및 침낭용 텍스타일(textile)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의류, 신발, 텐트, 및 침낭용의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 및 그것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증기- 및 공기-투과성 금속화 폴리에틸렌 플렉시필라멘트 필름-피브릴 시트(plexifilamentary film-fibril sheet)는 건물의 단열을 증가시키기 위한 하우스랩(house wrap)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들 시트는 촉감이 좋지 않고, 구김에 대한 내성이 낮고, 세척 내구성이 좋지 않아 의복에는 적합하지 않다.
착용이 편안하고 세척 사이클에 내구성을 갖는 의류 및 신발에 사용하기 위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이 본원에서 설명된다.
한 구체예에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은 안감층(lining layer) 및 안감층 위에 배치된 금속화된 부직 시트를 포함한다. 금속화된 부직 시트는 중합체를 함유하는 베이스 층 및 베이스 층의 제1 표면 위에 부착된 금속층을 포함한다. 안감층은 점 접촉을 통해서 금속화된 부직 시트와 연결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중합체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금속층은 안감층과 베이스 층 사이에 샌드위치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베이스 층은 안감층과 금속층 사이에 샌드위치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안감층, 베이스 층, 및 금속층은 각각 적어도 500 g/m2/24 hr의 수증기 투과율(MVTR)을 가진다. 일부 구체예에서, 안감층은 적어도 1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가진다. 안감층은 직물(woven fabric), 편물(knit fabric), 또는 부직포(non-woven fabric)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안감층은 합성 소재 또는 천연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합성 소재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및 폴리락트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은 그 구성요소들의 통기성(MVTR)을 35% 이하로 감소시킨다. 일부 구체예에서, 점 접촉은 도트 매트릭스로 구성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점 접촉은 접착제, 용융된 베이스 층, 또는 용융된 안감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재봉 또는 퀼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금속층은 알루미늄, 티타늄, 금, 구리, 아연, 및 은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금속층은 약 10 나노미터 내지 약 200 나노미터의 두께를 가진다. 일부 구체예에서, 금속층은 베이스 층의 제1 표면 위에 금속을 기상 증착함으로써 형성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금속층은 9.5 마이크로미터의 파장에서 적외선에 대해 0.5 이하의 방사율(emissivity)을 가진다.
일부 구체예에서, 베이스 층은 약 500 마이크로미터 미만 또는 약 250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두께를 가진다. 일부 구체예에서, 베이스 층은 9.5 마이크로미터의 파장에서 적어도 약 40%의 적외선 투명도(transparency)를 가진다.
일부 구체예에서, 베이스 층의 제1 표면은 적어도 30%의 거울면 광택(specular gloss)을 가진다. 베이스 층은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제2 표면을 가진다. 제2 표면은 제1 표면의 거칠기의 적어도 2배의 거칠기를 가진다.
일부 구체예에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은 안감층 및 안감층 위에 배치된 금속층을 포함한다. 안감층은 점 접촉을 통해 금속층과 연결된다. 금속층은 약 10 나노미터 내지 약 200 나노미터의 두께를 가진다.
일부 구체예에서, 장치는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을 포함한다.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은 안감층 및 안감층 위에 배치된 금속화된 부직 시트를 포함한다. 금속화된 부직 시트는 중합체를 함유하는 베이스 층 및 베이스 층의 제1 표면 위에 부착된 금속층을 포함한다. 안감층은 금속화된 복합 텍스타일의 촉감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 점 접촉을 통해 금속화된 부직 시트와 연결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장치는 의류, 신발, 텐트, 또는 침낭 중 하나를 포함한다.
본 기술의 다양한 구체예의 특정한 특징들은 첨부된 청구항에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본 기술의 특징 및 이점들은 본 발명의 원리가 이용된 예시적인 구체예를 제시하는 하기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한 예시적인 구체예에 따른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을 묘사한 모식도이다.
도 2는 한 예시적인 구체예에 따른 다른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을 묘사한 모식도이다.
도 3은 한 예시적인 구체예에 따른 다른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을 묘사한 모식도이다.
도 4는 한 예시적인 구체예에 따른 각각 도 1-3에 묘사된 것들과 유사한 층상 구조를 가진 3개 샘플의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한 예시적인 구체예에 따른 세척 및 건조 사이클을 거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의 내구성을 나타낸다.
도 6a-6c는 예시적인 구체예에 따른 적층체(laminate)를 묘사한 모식도이다.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구체예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한 구체적인 상세내용이 제시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상세내용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양한 구체예가 여기 개시되지만, 당업자의 통상의 일반적 지식에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많은 개조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동일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임의의 양태에 대한 공지된 등가물의 치환을 포함한다.
문맥상 다른 방식이 필요하지 않다면, 본 명세서 및 청구항 전체적으로 용어 "을 포함한다" 및 그 변형들, 예컨대 "들을 포함한다" 및 "포함하는"은 개방적이며 포괄적인 의미로, 즉 "포함하지만 그것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값의 수치 범위의 인용은 그 범위를 한정하는 값들을 포함하는 범위 내에 들어가는 각각의 개별 값을 개별적으로 언급하는 속기 표기의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며, 각각의 개별 값은 개별적으로 인용된 것과 마찬가지로 명세서에 포함된다. 추가로, 단수형 "한" 및 "그"는 문맥상 명백히 다른 의미가 아니라면 복수의 언급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한 구체예" 또는 "일 구체예"라는 언급은 그 구체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별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한 구체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적으로 여러 곳에서 "한 구체예에서" 또는 "일 구체예에서"의 출현은 반드시 전부 동일한 구체예를 언급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부 예에서는 그럴 수도 있다. 또한, 특별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서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여기 설명된 다양한 구체예는 의류 및 신발에 사용하기 위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은 안감층 및 안감층 위에 배치된 금속화된 부직 시트를 포함한다. 금속화된 부직 시트는 중합체를 함유하는 베이스 층 및 베이스 층의 제1 표면 위에 부착된 금속층을 포함한다. 안감층은 점 접촉을 통해서 금속화된 부직 시트와 연결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은 안감층 및 안감층 위에 배치된 금속층을 포함한다. 안감층은 점 접촉을 통해서 금속층과 연결된다. 금속층은 약 10 나노미터 내지 약 200 나노미터의 두께를 가진다.
이제 첨부한 도면과 함께 구체예가 설명될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한다. 도 1은 한 예시적인 구체예에 따른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100)을 묘사한 모식도이다.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100)은 안감층(102) 및 안감층(102) 위에 배치된 금속화된 부직 시트(104)를 포함한다. 금속화된 부직 시트(104)는 베이스 층(106) 및 베이스 층(106)의 제1 표면(106a) 위에 부착된 금속층(108)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금속층(108)은 베이스 층(106)의 제1 표면(106a) 위에 금속을 기상 증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안감층(102)과 금속화된 부직 시트(104)는 점 접촉(110)을 통해서 서로 연결된다. 도 1에 예시된 구성형태에서 베이스 층(106)은 안감층(102)과 금속층(108) 사이에 샌드위치된다.
도 2는 한 예시적인 구체예에 따른 다른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200)을 묘사한 모식도이다.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200)은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100)과 유사하며, 변형으로서 금속층(108)이 안감층(102)과 베이스 층(106) 사이에 샌드위치된다.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200)의 구조는 후속 가공 및 사용 동안 긁힘이나 다른 우연한 손상으로부터 금속층(108)을 보다 잘 보호할 수 있다.
도 3은 한 예시적인 구체예에 따른 다른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300)을 묘사한 모식도이다.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300)은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100)과 유사하며, 변형으로서 코팅층(112)이 금속층(108) 위에 배치된다. 코팅층(112)은 금속층(108)이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코팅층(112)은 하나 이상의 유기 소재일 수 있고, 약 0.02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2.5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가진다.
안감층(102)은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100 및 200)에 높은 통기성을 부가하도록 구성되며, 이로써 그로부터 제조된 의류 및 신발을 더욱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안감층(102)은 적어도 500 g/m2/24 hr, 적어도 750 g/m2/24 hr, 적어도 1000 g/m2/24 hr, 또는 적어도 1500 g/m2/24 hr의 수증기 투과율을 가진다.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100, 200, 및 300)에 안감층(102)을 포함시킴으로써 인체에 부드러운 터치감을 또한 제공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안감층(102)은 그것의 유효 수명 동안 마모 및 인열을 견딜 수 있도록 적어도 6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가진다.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100, 200 또는 300)이 적용되는 위치에 따라 안감층(102)의 두께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감층(102)의 두께는 약 60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2400 마이크로미터, 약 60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1500 마이크로미터, 약 60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1000 마이크로미터, 약 60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750 마이크로미터, 또는 약 60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50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안감층(102)은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 중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안감층(102)은 합성 소재 또는 천연 소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안감층(102)을 위한 합성 소재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및 폴리락트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안감층(102)을 위한 천연 소재는 면, 울, 실크 및 다른 천연 소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안감층(102)은 ASTM(미국재료시험협회, 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s) D5035 시험 조건 하에서 적어도 45 N/2.54 cm의 인장 강도, ASTM 2261 시험 조건 하에서 적어도 9N의 인열 강도, 및 ASTM D774 시험 조건 하에서 적어도 350kPa의 Mullen 파열 강도를 가진다.
금속화된 부직 시트(104)는 단열 목적을 위한 통기성 복사 장벽으로서 제공된다. 이 목적을 위해, 금속화된 부직 시트(104)는 낮은 방사율 및 높은 통기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일부 경우, 금속화된 부직 시트(104)는 선택적으로 방수성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금속화된 부직 시트(104)의 베이스 층(106)은 중합체를 포함한다. 목적에 유효하도록 하기 위해, 베이스 층(106)은 약 500 마이크로미터 미만, 또는 250 마이크로미터 미만, 또는 약 200 마이크로미터 미만, 또는 약 150 마이크로미터 미만, 또는 약 100 마이크로미터 미만, 또는 약 20-100 마이크로미터, 또는 약 40-9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가진다. 일부 구체예에서, 베이스 층(106)은 9.5 마이크로미터의 파장에서 적어도 약 40%의 적외선 투명도를 가진다. 일부 구체예에서, 베이스 층(106)은 7-14 마이크로미터의 파장에서 약 40% 내지 60%의 적외선 투명도를 가진다.
베이스 층(106)은 금속층(108)과 접촉하는 제1 표면(106a) 및 안감층(102)과 면하는 제2 표면(106b)을 가진다. 베이스 층(106)의 제1 표면(106a)은 열 복사를 반사하는데 있어서 베이스 층(106)이 더 효과적이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28%(또는 적어도 약 15%, 20%, 25%, 30%, 또는 35%)의 거울면 광택을 가진다. 일부 구체예에서, 제2 표면(106b)은 제1 표면(106a)보다 큰 거칠기를 갖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2 표면(106b)은 제1 표면(106a)의 적어도 2배의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거친 제2 표면(106b)은 금속화된 부직 시트(104)와 안감층(102) 사이의 개선된 결합을 허용한다.
베이스 층(106)의 제1 표면(106a)은 평평하도록 구성되며, 이것은 베이스 층(106)이 금속화된 후 더 효과적인 반사층을 가져온다. 일부 구체예에서, 베이스 층(106)은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며, 이것은 많은 종래의 텍스타일 소재보다 낮은 용융점을 갖고, 이로써 저온에서 캘린더링을 통해 더 평평한 표면을 달성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베이스 층(106)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면, 울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흡수로 인하여 베이스 층(106)을 보온하는데 최소한의 열이 소비되기 때문에 베이스 층(106)의 구조는 신체로 다시 반사되는 열 복사를 최대화하도록 구성된다.
금속층(108)은 기상 증착 또는 다른 도금 기술에 의해 베이스 층(106)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금속층(108)은 알루미늄, 티타늄, 금, 구리, 아연, 및 은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금속층(108)은 약 10 나노미터 내지 약 200 나노미터, 약 10 나노미터 내지 약 100 나노미터, 또는 약 10 나노미터 내지 약 50 나노미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금속층(108)이 9.5 마이크로미터의 파장에서 적외선에 대해 0.5 이하의 방사율을 갖도록 하는 다른 금속 및 두께도 고려된다.
안감층(102)과 금속화된 부직 시트(104)는 복수의 점 접촉(110)을 통해서 서로 연결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금속화된 부직 시트(104)는 접착제, 예컨대 수계 접착제, 용매계 접착제, 열 활성화 접착제, 또는 압력 활성화 접착제를 통해 안감 천(fabric)에 접착될 수 있다. 접착제는 안감층(102) 및 금속화된 부직 시트(104) 중 한쪽 또는 양쪽에 배치됨으로써 이들을 함께 접착시킨다. 접착제는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100 또는 200)의 통기성을 유의하게 감소시키지 않는 방식으로 적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모노리스 필름 대신 도트 매트릭스 상태의 점 접촉(110)으로서 접착제를 적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안감층(102)과 금속화된 부직 시트(104)는 초음파 또는 레이저 용접을 통해 조합될 수 있다. 또한, 금속화된 부직 시트(104)는 압력하에 베이스 층(106) 및/또는 안감층(102)의 용융점을 초과하여 접촉점을 가열함으로써 하부 안감층(102)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층(106)의 일부가 용융됨으로써 점 접촉(110)를 형성하여 안감층(102)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안감층(102)의 일부가 용융됨으로써 점 접촉(110)를 형성하여 베이스 층(106)(도 1) 또는 금속층(108)(도 2)과 연결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안감층(102)의 일부와 베이스 층(106)의 일부가 모두 용융됨으로써 안감층(102)과 금속화된 부직 시트(104) 사이에 점 접촉(110)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점 접촉(110)은 재봉 또는 퀼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접촉점(110)은 텍스타일(100 또는 200)의 통기성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안감층(102)과 금속화된 부직 시트(104) 사이에 개재된다. 예를 들어, 점 접촉(110)은 안감층(102)(또는 금속화된 부직 시트(104))의 80% 미만을 덮는 면적을 가진다. 개선된 통기성을 위해, 점 접촉(110)은 안감층(102)(또는 금속화된 부직 시트(104))의 50% 또는 40% 또는 30% 미만을 덮는다. 일부 구체예에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100, 200 또는 300)은 그 구성요소들의 통기성(MVTR)을 35% 이하로 감소시킨다. 즉, 점 접촉은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100, 200 또는 300)이 안감층(102) 및 금속화된 부직 시트(104)를 포함하는 그 구성요소들의 적어도 35% 통기성을 갖도록 배열된다.
안감층(102)과 금속화된 부직 시트(104) 사이에 개재된 접촉점(110)은 임의의 형태의 도트 매트릭스로 배열될 수 있다. 접촉점(110)의 밀도는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100 또는 200)의 전체에 걸쳐서 균일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접촉점(110)의 밀도는 영역마다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마모 및 인열이 많이 예상되는 영역에서는 접촉점(110)의 밀도가 증가될 수 있다.
여기 개시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은 세척으로 인한 주름에 대해 더 좋은 내성을 제공하며, 이로써 더 좋은 열 반사율을 가진 세척된 샘플이 얻어진다. 예를 들어, 본 발명과 일치하는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은 임의의 세척 및 건조 사이클 전 약 35℃에서 0.2의 방사율을 가질 수 있다. 방사율은 1-5 사이클의 세척 및 건조 후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예를 들어 0.28로 유지될 수 있다. 즉, 5 사이클의 세척 및 건조 후 방사율은 40%까지 증가한다. 이것은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이 높은 반사율과 우수한 보온 성능을 유지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반대로, 하부 안감층이 없는 금속화된 부직 시트는 임의의 세척 및 건조 사이클 전 약 35℃에서 0.14의 방사율을 가질 수 있고, 이것은 1 사이클의 세척 및 건조 후 0.28, 3 사이클의 세척 및 건조 후 0.34, 그리고 5 사이클의 세척 및 건조 후 0.43으로 저하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안감층(102)은 세탁(세척 및 건조) 사이클에서 베이스 층(106)에 대한 추가 보호를 제공함으로써 베이스 층(106)에 부과되는 과도한 신축을 감소시킨다. 그 결과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의 외관 변화가 감소된다.
한 예에서, 면직물 안감 내부층과 알루미늄화된 부직 외부층을 포함하는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이 각각 변형된 ASTM F1868 방법을 사용하여 단열/보온 성능에 대해 시험된다. 도 4는 한 예시적인 구체예에 따른, 각각 도 1-2와 유사한 층상 구조를 가진 2개의 샘플(샘플 1 및 2)에 대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대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은 각각 면직물(159 g/m2)에 비해서 증가된 단열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샘플 1의 단열성은 0.171 K-m2/W이고, 이것은 면 층의 0.038 K-m2/W에 비해 약 4.5배 증가된 것이다. 샘플 2의 단열성은 0.120 K-m2/W이고, 이것은 면 층에 비해 약 3.2배 증가된 것이다. 이들 샘플의 수증기 투과율(MVTR)은 1.89 kg/m2/24 hr 이상이다.
도 5는 한 예시적인 구체예에 따른, 세척 및 건조 사이클을 거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의 내구성을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대로, 시험된 샘플에서 합리적인 세척 내구성이 달성된다. 보온 성능은 3 사이클의 기계 세척 및 회전 건조 후 20-31% 이하로 떨어진다.
일부 구체예에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100/200/300)은 의류, 신발, 텐트, 침낭 등의 제조를 위해 다른 소재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성형태가 도 6a-6c에 예시된다. 도 6a는 한 예시적인 구체예에 따른 적층체(600)를 묘사한 모식도이다. 적층체(600)는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100/200/300)로 이루어진 외부층, 중간 섬유층(602), 및 단층 천(604)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중간 섬유층(602)은 합성 단열재, 다운 등과 같은 섬유성 단열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b는 한 예시적인 구체예에 따른 적층체(610)를 묘사한 모식도이다. 적층체(610)는 단층 천(604)으로 이루어진 외부층, 중간 섬유층(602), 및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100/200/300)로 이루어진 내부층을 포함한다.
도 6c는 한 예시적인 구체예에 따른 적층체(620)를 묘사한 모식도이다. 적층체(620)는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100/200/300)로 이루어진 외부층, 중간 섬유층(602), 및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100/200/300)로 이루어진 내부층을 포함한다. 적층체(600, 610 및 620)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100/200/300)을 사용한 다른 구조들도 고려된다.
한 양태에서, 여기 개시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은 높은 통기성을 가지며, 이것은 비-다공성 반사 호일로 제조된 의복보다 더 편안하게 착용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은 금속화된 부직 시트를 사용한 보다 효과적인 반사층을 포함한다. 금속화된 부직 시트는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층을 포함하며, 이것은 많은 종래의 텍스타일 소재보다 낮은 용융점을 갖고, 이로써 저온에서, 예를 들어 200℃ 또는 약 135℃ 미만에서 캘린더링을 통해 더 평평한 표면을 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은 약 20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얇은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의 베이스 층을 포함하며, 이로써 인체로부터의 적외선(파장 약 7-14 마이크로미터)에 대해 상당히 투명해진다(약 40-60%). 따라서, 흡수로 인하여 층들을 보온하는데 최소한의 열이 소비되기 때문에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은 신체로 다시 반사되는 열 복사를 최대화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은 다른 멜트스펀 부직 소재보다 좋은 구조적 완전성 및 항산화 능력을 제공하며, 이로써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은 세척 후 분해에 덜 민감하게 된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은 금속화된 부직 시트에 안감층을 접착시키기 위한 점 접촉를 포함하며, 이로써 의류, 신발, 텐트 및 침낭, 또는 텍스타일 소재를 필요로 하는 다른 용도에의 적용에 바람직한 높은 통기성을 얻는다.
본 발명의 전술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을 위해 제공되었다. 이것은 완전한 모든 설명은 아니며 본 발명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에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예시적인 구체예 중 어느 것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많은 변형 및 변화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변형 및 변화는 개시된 특징들의 임의의 관련된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원리 및 그 실제 적용을 가장 잘 설명하기 위한 구체예가 선택되고 설명되었으며, 이로써 당업자는 본 발명을 다양한 구체예에 맞춰 그리고 고려된 실제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변형과 함께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청구항 및 그 등가물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23)

  1. 안감층; 및
    안감층 위에 배치된 금속화된 부직 시트
    를 포함하는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로서,
    금속화된 부직 시트는 중합체를 함유하는 베이스 층 및 베이스 층의 제1 표면 위에 부착된 금속층을 포함하며,
    안감층이 점 접촉을 통해서 금속화된 부직 시트와 연결되는,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
  2.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층이 안감층과 베이스 층 사이에 샌드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
  3.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 층이 안감층과 금속층 사이에 샌드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
  4. 제 1 항에 있어서, 안감층, 베이스 층 및 금속층은 각각 적어도 500 g/m2/24 hr의 수증기 투과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
  5. 제 4 항에 있어서, 안감층은 적어도 6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
  6. 제 1 항에 있어서, 안감층은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
  7. 제 6 항에 있어서, 안감층은 합성 소재 또는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
  8. 제 7 항에 있어서, 합성 소재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및 폴리락트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
  9.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은 안감층 또는 금속화된 부직 시트 중 하나의 적어도 35% 통기성(MVTR)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
  10. 제 1 항에 있어서, 접 접촉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
  11. 제 1 항에 있어서, 점 접촉은 용융된 베이스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
  12. 제 1 항에 있어서, 점 접촉은 용융된 안감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
  13. 제 1 항에 있어서, 점 접촉은 재봉 또는 퀼팅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
  14.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층은 알루미늄, 티타늄, 금, 구리, 아연, 및 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
  15.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층은 약 10 나노미터 내지 약 200 나노미터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
  16.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층은 베이스 층의 제1 표면에 금속의 기상 증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
  17.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층은 9.5 마이크로미터의 파장에서 적외선에 대해 0.5 이하의 방사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
  18.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 층은 약 500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
  19.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 층은 9.5 마이크로미터의 파장에서 적어도 약 40%의 적외선 투명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
  20.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 층의 제1 표면은 적어도 28%의 거울면 광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
  21.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
  22. 금속화된 복합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금속화된 복합 텍스타일은
    안감층; 및
    안감층 위에 배치된 금속화된 부직 시트
    를 포함하고,
    금속화된 부직 시트는 중합체를 함유하는 베이스 층 및 베이스 층의 제1 표면 위에 부착된 금속층을 포함하며,
    안감층은 금속화된 복합 텍스타일의 촉감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 점 접촉을 통해서 금속화된 부직 시트와 연결되는,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장치는 의류, 신발, 텐트, 또는 침낭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227006317A 2019-07-29 2020-07-28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 및 그것의 제작 방법 KR202200490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79872P 2019-07-29 2019-07-29
US62/879,872 2019-07-29
PCT/US2020/043890 WO2021021818A1 (en) 2019-07-29 2020-07-28 Metallized breathable composite textile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004A true KR20220049004A (ko) 2022-04-20

Family

ID=74229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6317A KR20220049004A (ko) 2019-07-29 2020-07-28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 및 그것의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738535B2 (ko)
EP (1) EP4003728A4 (ko)
JP (1) JP2022544049A (ko)
KR (1) KR20220049004A (ko)
CN (1) CN114401841A (ko)
AU (1) AU2020322455A1 (ko)
CA (1) CA3148803A1 (ko)
WO (1) WO20210218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7219A2 (en) * 2022-01-14 2023-07-20 Lifelabs Design, Inc. Pe products for texti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9222A (en) * 1989-07-10 1991-03-1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allized polyethylene plexifilamentary film-fibril sheet
DE69214984T2 (de) * 1991-03-22 1997-03-06 Kappler Safety Group Luftdurchlässiger Verbundstoff
DE10240802A1 (de) 2002-08-30 2004-04-15 W.L. Gore & Associates Gmbh IR reflektierendes Material
US20050014432A1 (en) * 2003-06-20 2005-01-20 Jain Mukesh K. Waterproof and high moisture vapor permeable fabric laminate
US20060040091A1 (en) * 2004-08-23 2006-02-23 Bletsos Ioannis V Breathable low-emissivity metalized sheets
US20080108263A1 (en) * 2006-11-03 2008-05-08 Conley Jill A Breathable waterproof fabrics with a dyed and welded microporous layer
US20110214221A1 (en) * 2008-09-29 2011-09-08 Munda Joseph P Thermal Athletic Glove
CN202228854U (zh) * 2011-09-01 2012-05-23 盈保发展有限公司 一种隔热结构
US11058161B2 (en) * 2012-02-16 2021-07-13 Xefco Pty Ltd Heat reflecting composites with knitted insulation
WO2017200831A1 (en) * 2016-05-18 2017-11-2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mposite comprising a nonwoven vapor permeable sheet
WO2018094415A1 (en) * 2016-11-21 2018-05-24 eXClaim IP, LLC Environmental sleev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401841A (zh) 2022-04-26
WO2021021818A1 (en) 2021-02-04
EP4003728A4 (en) 2023-08-02
AU2020322455A1 (en) 2022-02-24
EP4003728A1 (en) 2022-06-01
CA3148803A1 (en) 2021-02-04
US20210031488A1 (en) 2021-02-04
US11738535B2 (en) 2023-08-29
JP2022544049A (ja) 202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1944B (zh) And the use of the layered product of the fiber products
RU2388857C2 (ru) Герметизирующая лента и использующее ее текстильное изделие
US20120288662A1 (en) Waterproof breathable stretchable composite material
JP2011511887A (ja) 複合布
WO2012073096A1 (en) Heat reflective layered garment system
JP2003236963A (ja) 積層布帛
US11864609B2 (en) Thermally-insulated garment
US20050214501A1 (en) Waterproof/breathable technical apparel
EP2850242B1 (en) Multilayer fabric structures
JP4048229B2 (ja) 防水透湿性繊維製品用積層体
KR20220049004A (ko) 금속화된 통기성 복합 텍스타일 및 그것의 제작 방법
US11763698B2 (en) Metallized breathable composite fabric
US20220324212A1 (en) Metallized breathable composite fabric
JP2023541566A (ja) 通気性バッフル
WO2016006418A1 (ja) 目止め用バイアス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目止め用バイアステープを用いた繊維製品
JP3237657U (ja) 保温性に優れた繊維構造体および該繊維構造体を用いた防寒衣服
CN217733406U (zh) 双重编织织物、层压复合织物和制品
JP3246911U (ja) 複合ポーラーフリース生地および同生地を含む衣類
RU2780921C1 (ru) Куртка
CA2533965A1 (en) Stretchable composite thermal insulation material
WO2023137219A2 (en) Pe products for texti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S59198144A (ja) 保温性の優れた防水透湿性積層布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