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396A - 지붕 구조체에 적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붕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지붕 구조체에 적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붕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396A
KR20220048396A KR1020200131492A KR20200131492A KR20220048396A KR 20220048396 A KR20220048396 A KR 20220048396A KR 1020200131492 A KR1020200131492 A KR 1020200131492A KR 20200131492 A KR20200131492 A KR 20200131492A KR 20220048396 A KR20220048396 A KR 20220048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support
heating cable
roof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3424B1 (ko
Inventor
류재수
Original Assignee
(주)혜성씨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혜성씨앤이 filed Critical (주)혜성씨앤이
Priority to KR1020200131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424B1/ko
Publication of KR20220048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0Snow traps ; Removing snow from roofs; Snow melters
    • E04D13/103De-icing devices or snow mel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체에 적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 장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서로 예각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점점 더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다리부 및 제2 다리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점점 더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제3 다리부 및 제4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지붕 어셈블리는 제1 지붕판넬과, 제2 지붕판넬과, 히팅 케이블 및 상기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붕 구조체에 적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붕 어셈블리{HEATING CABLE FIXING DEVICE FOR ROOF STRUCTURE AND ROOF ASSEMBL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붕 구조체에 적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붕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붕 구조체에 히팅 케이블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붕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지붕에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선 즉, 히팅 케이블이 설치된다. 도 1에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히팅 케이블 설치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히팅 케이블(10)은 지그재그 방식으로 설치되는데, 지붕 구조체에 히팅 케이블(10)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복수 개의 클램프 유닛(20)이 사용된다.
클램프 유닛(200)은 히팅 케이블(10)을 지붕 구조체에 부착하기 위하여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 등으로 결합하는 방식은 지붕에 손상이 가므로 접착제가 부착된 클램프 유닛(20)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클램프 유닛(20)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접착력이 떨어지는 경우에 클램프 유닛(20)의 분리가 일어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조립식 지붕 판넬의 접합부와 같이 상부로 일정 높이로 솟아오른 부분에 충분한 장력을 제공하기 어려워 설치에 한계가 있었다.
만약 지붕 판넬의 접합부에 일정 높이로 솟아오른 부분에 충분한 장력을 제공하면서 설치하는 경우에는 장력에 의하여 클램프 유닛(20)의 접착력이 약해서 분리되어 버리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7190호(2006.05.18)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붕 구조체에서 간단하게 삽입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히팅 케이블을 지붕 구조에게 안정적으로 결합 및 고정시킬 수 있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붕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체에 적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서로 예각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점점 더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다리부 및 제2 다리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점점 더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제3 다리부 및 제4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체에 적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는, 상기 몸체부가 중앙부를 중심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가 이루는 예각과 동일한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몸체부 중 상기 제1 다리부 및 상기 제3 다리부가 연장되는 위치 사이의 위치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몸체부 중 상기 제2 다리부 및 상기 제4 다리부가 연장되는 위치 사이의 위치로부터 연장되는 지붕 구조체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체에 적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는, 상기 제1 지지부의 끝단에는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만곡되는 제1 지지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의 끝단에는 상기 제2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만곡되는 제2 지지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체에 적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는, 상기 제1 다리부 및 상기 제2 다리부의 끝단에는 만곡되어 서로 점점 더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제1 다리단부 및 제2 다리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다리부 및 상기 제4 다리부의 끝단에는 만곡되어 서로 점점 더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제3 다리단부 및 제4 다리단부가 형성되는 지붕 구조체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체에 적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는, 상기 몸체부,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상기 제1 다리부, 상기 제2 다리부, 상기 제3 다리부 및 상기 제4 다리부는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 프레임을 절곡 및 절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붕 어셈블리는, 제1 지붕판넬과, 상기 제1 지붕판넬의 일부와 중첩되면서 연결되는 제2 지붕판넬과, 상기 제1 지붕판넬 및 상기 제2 지붕판넬의 상부에 배치되는 히팅 케이블과, 상기 제1 지붕판넬 및 상기 제2 지붕판넬의 중첩부에 상기 히팅 케이블을 에워싸면서 결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붕 어셈블리의 상기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서로 예각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점점 더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다리부 및 제2 다리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점점 더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제3 다리부 및 제4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 케이블은 상기 제1 다리부 및 상기 제3 다리부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제2 다리부 및 상기 제4 다리부 사이의 공간을 지나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붕 어셈블리의 상기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는, 상기 몸체부가 중앙부를 중심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가 이루는 예각과 동일한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몸체부 중 상기 제1 다리부 및 상기 제3 다리부가 연장되는 위치 사이의 위치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몸체부 중 상기 제2 다리부 및 상기 제4 다리부가 연장되는 위치 사이의 위치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붕 어셈블리의 상기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는, 상기 제1 지지부의 끝단에는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만곡되는 제1 지지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의 끝단에는 상기 제2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만곡되는 제2 지지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붕 어셈블리의 상기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는, 상기 제1 다리부 및 상기 제2 다리부의 끝단에는 만곡되어 서로 점점 더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제1 다리단부 및 제2 다리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다리부 및 상기 제4 다리부의 끝단에는 만곡되어 서로 점점 더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제3 다리단부 및 제4 다리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체에 적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붕 어셈블리는 별도의 접착제 또는 결합 나사 없이 히팅 케이블을 지붕 구조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히팅 케이블이 설치된 지붕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가 적용된 지붕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체에 적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체에 적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체에 적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붕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지붕판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붕 어셈블리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지붕 어셈블리의 부분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지붕 구조체에 적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붕 어셈블리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가 적용된 지붕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지붕은 복수의 지붕판넬이 연결되어 조립되며, 지붕판넬에 두 개의 히팅 케이블(50)이 설치된다. 히팅 케이블(50)을 고정하기 위하여 지붕판넬이 중첩되는 중첩부에 네 개의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100)가 삽입되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붕 어셈블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접착제 또는 결합 나사로 결합되는 클램프 유닛을 사용하지 않고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100)을 압박 끼움 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히팅 케이블(50)을 지붕판넬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1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체에 적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의 상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체에 적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체에 적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100)는 몸체부(110)와, 몸체부(110)로부터 서로 예각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제1 지지부(120) 및 제2 지지부(130)와, 몸체부(110)의 일측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점점 더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다리부(121) 및 제2 다리부(131)와, 몸체부(110)의 타측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점점 더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제3 다리부(123) 및 제4 다리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110)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절곡되어 제1 지지부(120) 및 제2 지지부(130)가 이루는 예각과 동일한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제1 지지부(120)는 몸체부(110) 중 제1 다리부(121) 및 제3 다리부(123)가 연장되는 위치 사이의 위치로부터 연장되고, 제2 지지부(130)는 몸체부(110) 중 제2 다리부(131) 및 제4 다리부(133)가 연장되는 위치 사이의 위치로부터 연장된다.
제1 지지부(120)의 끝단에는 제1 지지부(120)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만독되는 제1 지지단부(130)가 형성되고, 제2 지지부(130)의 끝단에는 제2 지지부(130)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만곡되는 제2 지지단부(150)가 형성된다.
제1 다리부(121) 및 제2 다리부(131)의 끝단에는 만곡되어 서로 점점 더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제1 다리단부(121a) 및 제2 다리단부(131a)가 형성되고, 제3 다리부(123) 및 제4 다리부(133)의 끝단에는 만곡되어 서로 점점 더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제3 다리단부(123a) 및 제4 다리단부(133a)가 형성된다.
이때, 몸체부(110), 제1 지지부(120), 제2 지지부(130), 제1 다리부(121), 제2 다리부(131), 제3 다리부(123) 및 제4 다리부(133)는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 프레임을 절곡 및 절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100)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 프레임을 마련한다. 금속 프레임은 히팅 케이블을 충분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경도를 가지며 철,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에는 제1 다리부(121), 제2 다리부(131), 제3 다리부(123) 및 제4 다리부(133)에 대응되는 부분이 용이하게 절단되기 위하여 절단되는 부분을 약화시키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절단되는 부분을 약화시키는 단계는 'V'자 형상의 뾰족한 부분을 갖는 금속 지그를 상하로 강한 힘으로 누르는 동작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실시예일 뿐이며 화학 약품을 통한 식각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 금속 프레임의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서로 예각을 이루도록 절곡을 시킨다. 이때, 절곡은 미리 마련된 플레이트의 상부에 금속 프레임을 위치시킨 후에 원하는지점에 상부로부터 지그를 누르는 등의 동작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 절곡기를 이용하여 제1 지지부(120)의 끝단을 절곡시켜 제1 지지단부(140)을 형성하고, 제2 지지부(130)의 끝단을 절곡시켜 제2 지지단부(150)를 형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지지단부(140) 및 제2 지지단부(150)는 제1 지지단부(140) 및 제2 지지단부(150)가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만곡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제1 지지단부(140) 및 제2 지지단부(150)를 형성하는 것은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100)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삽일될 때 히팅 케이블(50)의 피복을 벗기거나 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고 히팅 케이블(50)의 장력 조절시 등에 있어서 히팅 케이블(50)이 제1 지지부(120) 및 제2 지지부(130) 하부측에 접촉한 상태로 상방으로 유동시 피봇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절단기를 이용하여 제1 다리부(121), 제2 다리부(131), 제3 다리부(123) 및 제4 다리부(133)가 절단될 수 있다. 미리 절단될 부분이 약화시키는 단계가 수행되었기 때문에 원하는 각도로 변형될 때까지 지그 등으로 누르는 동작으로 쉽게 절단 및 절곡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다리부(121) 및 제2 다리부(131)는 몸체부(110)로부터 멀어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절곡된다. 제1 다리부(121) 및 제2 다리부(131)의 끝단부는 절곡기를 이용하여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인 외측으로 절곡시켜 제1 다리단부(121a) 및 제2 다리단부(131a)를 형성시킨다.
제1 다리단부(121a) 및 제2 다리단부(131a)를 형성시키는 이유는 위에서 아래로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100)를 지붕판넬에 삽입할 때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제1 다리부(121) 및 제2 다리부(131)가 서로 가장 가까워진 지점에서의 상호 이격 거리는 설치할 지붕판넬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다리부(123) 및 제4 다리부(133)는 몸체부(110)로부터 멀어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절곡되며, 제3 다리부(123) 및 제4 다리부(133)의 끝단부를 절곡기를 이용하여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인 외측으로 절곡시켜 제3 다리단부(123a) 및 제4 다리단부(133a)를 형성시킨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다리부(121), 제2 다리부(131)는 몸체부(110)의 긴 측면의 중앙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제3 다리부(123) 및 제4 다리부(133)는 몸체부(110)의 긱 측면의 중앙 타측으로부터 연장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붕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지붕판넬의 정면도이다.
제1 지붕판넬(200)은 메인판넬(230)과, 메인판넬(230)의 좌우측으로 일정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융기부(240, 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좌측의 융기부(240)는 메인판넬(230)로부터 예각을 이루면서 비스듬히 연장되다가 수평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융기부(240)의 끝단은 연결부(250)와 연결된다. 연결부(250)는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U자형으로 아래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측의 융기부(260) 역시 융기부(240)와 대칭적인 형상을 가지며, 융기부(260)는 기둥부(220)에 연결된다. 기둥부(220)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며, 기둥부(220)의 하부측은 고정부(210)로 연결된다.
고정부(210)는 지붕 구조물에 나사 등의 체결 부재로 연결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제1 지붕판넬(200)은 작업자에 의하여 절곡이 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붕판넬(200)과 같은 지붕판넬이 복수개를 준비하여 서로서로 연결하여 지붕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붕 어셈블리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지붕 어셈블리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지붕판넬(200) 및 제2 지붕판넬(300)이 지붕에 안착되어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지붕판넬(200)의 고정부(210)에는 나사(40)가 결합되어 제1 지붕판넬(200)이 지붕 구조체(3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제1 지붕판넬(200)의 기둥부(220)는 제2 지붕판넬(300)의 연결부(350)와 결합된다.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100)를 위에서 아래로 삽입하게 되면 제1 다리부(121), 제2 다리부(131), 제3 다리부(123) 및 제4 다리부(133)가 기둥부(220) 및 연결부(350)와 중첩된 부분에 접촉되게 된다.
이때, 도 8을 참조하면 연결부(350)가 기둥부(220)을 “U”자형 형상으로 에워싸는 부분은 두께가 더 두껍고 나머지 부분은 더 얇은 두께를 가진다. 제1 다리부(121), 제2 다리부(131), 제3 다리부(123) 및 제4 다리부(133)가 두꺼운 부분을 접촉하면서 지나가다가 얇은 두께를 가지는 부분으로 접촉하면서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된다.
이때, 제1 다리단부(121a), 제2 다리단부(131a), 제3 다리단부(123a) 및 제4 다리단부(133a)는 연결부(350)와 기둥부(220)가 결합된 부분으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히팅 케이블(50)은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100)와 제1 지붕판넬(200) 및 제2 지붕판넬(300) 사이에 배치되며, 제1 다리부(121) 및 제3 다리부(123) 사이의 공간 및 제2 다리부(131) 및 제4 다리부(133) 사시의 공간을 지나가도록 배치된다.
도 8에서는 히팅 케이블(50)이 융기부(260) 및 융기부(340)와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었지만 제1 지지부(120) 및 제2 지지부(130)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여 히팅 케이블(50)이 융기부(260) 및 융기부(340)에 접촉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체에 적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붕 어셈블리는 이와 같은 구조로 작업자가 히팅 케이블(50)이 설치되는 위치에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100)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지붕 구조체에 히팅 케이블(50)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0: 지붕 구조체 50: 히팅 케이블
100: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 110: 몸체부
120: 제1 지지부 130: 제2 지지부
140: 제1 지지단부 150: 제2 지지단부
121: 제1 다리부 121a: 제1 다리단부
131: 제2 다리부 131a: 제2 다리단부
123: 제3 다리부 123a: 제3 다리단부
133: 제4 다리부 133a: 제4 다리단부
200: 제1 지붕판넬 210: 고정부
220: 기둥부 230: 메인판넬
240, 260: 융기부 250: 연결부
300: 제2 지붕판넬 340: 융기부
350: 연결부

Claims (10)

  1.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서로 예각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점점 더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다리부 및 제2 다리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점점 더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제3 다리부 및 제4 다리부를 포함하는 지붕 구조체에 적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가 이루는 예각과 동일한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몸체부 중 상기 제1 다리부 및 상기 제3 다리부가 연장되는 위치 사이의 위치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몸체부 중 상기 제2 다리부 및 상기 제4 다리부가 연장되는 위치 사이의 위치로부터 연장되는 지붕 구조체에 적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의 끝단에는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만곡되는 제1 지지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의 끝단에는 상기 제2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만곡되는 제2 지지단부가 형성되는 지붕 구조체에 적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리부 및 상기 제2 다리부의 끝단에는 만곡되어 서로 점점 더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제1 다리단부 및 제2 다리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다리부 및 상기 제4 다리부의 끝단에는 만곡되어 서로 점점 더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제3 다리단부 및 제4 다리단부가 형성되는 지붕 구조체에 적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상기 제1 다리부, 상기 제2 다리부, 상기 제3 다리부 및 상기 제4 다리부는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 프레임을 절곡 및 절단하여 형성되는 지붕 구조체에 적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
  6. 제1 지붕판넬;
    상기 제1 지붕판넬의 일부와 중첩되면서 연결되는 제2 지붕판넬;
    상기 제1 지붕판넬 및 상기 제2 지붕판넬의 상부에 배치되는 히팅 케이블; 및
    상기 제1 지붕판넬 및 상기 제2 지붕판넬의 중첩부에 상기 히팅 케이블을 에워싸면서 결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지붕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서로 예각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점점 더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다리부 및 제2 다리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점점 더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제3 다리부 및 제4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 케이블은 상기 제1 다리부 및 상기 제3 다리부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제2 다리부 및 상기 제4 다리부 사이의 공간을 지나가도록 배치되는 지붕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가 이루는 예각과 동일한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몸체부 중 상기 제1 다리부 및 상기 제3 다리부가 연장되는 위치 사이의 위치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몸체부 중 상기 제2 다리부 및 상기 제4 다리부가 연장되는 위치 사이의 위치로부터 연장되는 지붕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의 끝단에는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만곡되는 제1 지지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의 끝단에는 상기 제2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만곡되는 제2 지지단부가 형성되는 지붕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리부 및 상기 제2 다리부의 끝단에는 만곡되어 서로 점점 더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제1 다리단부 및 제2 다리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다리부 및 상기 제4 다리부의 끝단에는 만곡되어 서로 점점 더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제3 다리단부 및 제4 다리단부가 형성되는 지붕 어셈블리.
KR1020200131492A 2020-10-12 2020-10-12 지붕 구조체에 적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붕 어셈블리 KR102533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492A KR102533424B1 (ko) 2020-10-12 2020-10-12 지붕 구조체에 적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붕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492A KR102533424B1 (ko) 2020-10-12 2020-10-12 지붕 구조체에 적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붕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396A true KR20220048396A (ko) 2022-04-19
KR102533424B1 KR102533424B1 (ko) 2023-05-17

Family

ID=81391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492A KR102533424B1 (ko) 2020-10-12 2020-10-12 지붕 구조체에 적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붕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4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190Y1 (ko) 2006-02-23 2006-05-24 (주)씨에스아이디산업 지붕 구조물
US8782960B2 (en) * 2009-08-25 2014-07-22 Malcolm Brent Nark Method of securing a cable to a ro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190Y1 (ko) 2006-02-23 2006-05-24 (주)씨에스아이디산업 지붕 구조물
US8782960B2 (en) * 2009-08-25 2014-07-22 Malcolm Brent Nark Method of securing a cable to a ro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424B1 (ko) 202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6464B (zh) 用于固定太阳能面板的夹具
US8181419B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building members
NL2021380B1 (en) Clamp cover and assembly for electrical bonding of solar panel frames
EP0808251B1 (en) Snap-in visor mount and electrical connectors for visor mounts
WO2012086271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固定具
CN104812973A (zh) H型钢柱补强装置及使用其的h型钢柱补强方法
JP5707164B2 (ja) 端子のボルト締結構造及びブラケット
KR20220048396A (ko) 지붕 구조체에 적용되는 히팅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붕 어셈블리
EP3684984B1 (en) Fastener
US20210257750A1 (en) Spring-loaded terminal connection
KR102043350B1 (ko) 케이블 트레이 렁 및 이의 제조방법
US2967039A (en) Stand-off guide for antenna cables
US8931172B2 (en) Body hanger kit bracket
JP3381067B2 (ja) メッセンジャーワイヤー用吊り金具
JP6450193B2 (ja) 外壁板取付金具
CN219394775U (zh) 光伏接头用固定支架
JP2017193918A (ja) 屋根上取り付け金具
JP5185215B2 (ja) ガス栓の取付金具
KR101746753B1 (ko) 케이블 트레이
CN204781641U (zh) 屋面板用连接装置及新型屋面板
JP2022003846A (ja) 等電位ボンディング金具
CN219802202U (zh) 一种连接件、光伏器件和光伏系统
JP6951031B2 (ja) エレベータの三方枠固定具及び三方枠据付構造
JP2003090100A (ja) 天井吊ボルト連結金具
JP2016104954A (ja) ハゼ掴み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