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7868A - 스포츠 볼을 위한 리바운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스포츠 볼을 위한 리바운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7868A
KR20220047868A KR1020227009634A KR20227009634A KR20220047868A KR 20220047868 A KR20220047868 A KR 20220047868A KR 1020227009634 A KR1020227009634 A KR 1020227009634A KR 20227009634 A KR20227009634 A KR 20227009634A KR 20220047868 A KR20220047868 A KR 20220047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net
cable
legs
fram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9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셰인 페돈
대니얼 씨. 푹스
에반 제이. 호프만
라이언 지. 웨스트팔
Original Assignee
임플러스 풋케어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플러스 풋케어 엘엘씨 filed Critical 임플러스 풋케어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20047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8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04Goals of the type used for football, handball, hockey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foo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2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hocke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97Ball rebound 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3Supports, e.g. p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2063/001Targets or goals with ball-retur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4Lacros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2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reinforcing fibres, e.g. carbon, polyamide fibres
    • A63B2209/023Long, oriented fibres, e.g. wound filaments, woven fabrics, ma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4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form or shape memory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스포츠 볼용 리바운드 디바이스는, 프레임 개구를 형성하는 프레임, 프레임 개구 내에 배치된 네트, 네트의 주연부 둘레에서 연장되는 케이블, 및 네트의 주연부 둘레에서 케이블을 인장함으로써 프레임 개구 내에서 네트를 팽팽하게 당기도록 구성된 케이블 인장 시스템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포츠 볼을 위한 리바운드 디바이스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8월 28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892,797호의 정규 출원으로서 그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은 모든 목적을 위해 그 전체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기술 분야
본 명세서의 개시내용은 전반적으로 스포츠 볼을 위한 리바운드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레이어에게 볼을 리턴하기 위한 리바운드 네트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축구, 야구, 라크로스, 및 필드 하키와 같은 많은 볼-관련 스포츠에서, 플레이어는 득점을 하기 위한 시도로 볼을 다른 플레이어에게 패스하는 경우가 많다. 통상, 플레이어는 그룹의 플레이어들 사이에서 앞뒤로 볼을 패스함으로써 이 기술을 그룹에서 연습한다. 그러나, 볼 리바운드 디바이스는 플레이어가 그룹 설정의 필요성 없이 개인으로서 이 기술을 연습하게 하는 데 유용하다.
대부분의 볼 리바운드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2,992,002호, 제4,489,941호, 제5,833,234호, 제6,299,544호 및 제5,615,889호에서와 같이 번지 코드, 스프링 요소 또는 비탄성 스트랩을 사용하여 프레임 내에 네트 또는 다른 직물을 유지한다. 그러나, 이들 리바운드 디바이스는, 코드, 스프링 요소 및 스트랩이 네트에 대해 던진 볼에 대한 응답으로 다수의 사이클을 경험하기 때문에, 시간 경과에 따라 그 리바운드 능력을 상실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정상적인 사용과 시간 경과에 따라 리바운드 능력이 감소되지 않는 개선된 스포츠 볼용 리바운드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는, 프레임 개구를 형성하는 프레임, 프레임 개구 내에 배치된 네트, 네트의 주연부 둘레에서 연장되는 케이블, 및 네트의 주연부 둘레에서 케이블을 인장함으로써 프레임 개구 내에서 네트를 팽팽하게 당기도록 구성된 케이블 인장 시스템을 포함하는 스포츠 볼용 리바운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는 프레임 개구를 형성하는 프레임, 프레임 개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다리를 갖는 베이스 부재, 및 프레임 개구 내에 배치된 네트를 포함하는 스포츠 볼용 리바운드 디바이스를 설명하고, 적어도 2개의 다리 각각은 지면 맞물림 표면에 대한 네트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피봇 발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태는 프레임 개구를 형성하는 프레임, 프레임 개구 내에 배치된 네트, 및 네트의 주연부 둘레에서 연장되고 프레임 개구 내에서 네트를 팽팽하게 당기도록 구성된 케이블을 포함하는 스포츠 볼용 리바운드 디바이스를 설명한다.
청구된 발명의 이들 및 기타 특징과 이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보다 쉽게 명백해질 것이고, 도면에서: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디바이스의 전방 사시도로서, 다리의 회전 위치 설정이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리바운드 디바이스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리바운드 디바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리바운드 디바이스에 이용되는 인장 케이블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디바이스에 이용되는 인장 메커니즘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1의 리바운드 디바이스의 측면도로서, 다리가 제1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도 1의 리바운드 디바이스의 측면도로서, 다리가 제2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디바이스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리바운드 디바이스의 프레임과 수직 지지 부재 사이의 결합의 부분 전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리바운드 디바이스의 베이스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a는 도 8의 리바운드 디바이스의 수직 지지 부재와 베이스의 결합을 예시한다.
도 11은 도 8의 리바운드 디바이스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1a는 도 8의 리바운드 디바이스의 경사진 지지 부재와 베이스의 결합을 예시한다.
도 12는 도 8의 리바운드 디바이스의 경사진 지지 부재와 프레임의 결합을 예시한다.
도 12a는 도 8의 리바운드 디바이스의 경사진 지지 부재와 프레임의 결합을 예시한다.
도 13은 도 8의 리바운드 디바이스의 케이블 인장 시스템을 도시하는 부분 배면도이다.
도 13a는 도 13의 리바운드 디바이스의 케이블 인장 시스템의 코너 프레임 및 스핀들 조립체를 예시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디바이스(10)가 도시되어 있다. 리바운드 디바이스(10)는 프레임(12)의 개구 내에서 연장되는 네트(14)를 갖는 프레임(12)을 포함한다. 네트(14)는 바람직하게는 비탄성 메시 망류(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및/또는 나일론 재료를 포함함)로 형성된다. 일부 양태에서,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망류와 같은 다른 유형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네트(14)는 직물 재료, 예를 들어 직조 직물 재료, 또는 예를 들어 볼의 리바운드를 위한 다른 적절한 재료의 중실 피스일 수 있다. 프레임(12)은 대향하는 측면 프레임 부재(12a, 12b) 및 상부 프레임 부재(12c)를 포함하며, 이들 부재는 함께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과 같은 대체로 직선 구조를 형성한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는 (곡선과 같은) 다른 프레임 형상이 적합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프레임(12)의 형상 및 기하형상은 프레임이 훈련하도록 의도된 스포츠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레임(12)은 바닥 프레임 부재가 없고 따라서 바닥이 없는 프레임이라는 점에서 단지 3개의 프레임 부재(12a, 12b, 12c)를 갖는다. 그러한 바닥이 없는 구성은, 바닥 프레임 부재의 생략으로 인해 축구볼을 프레임 구조의 금속 튜브를 때리지 않고 네트(14) 안으로 찰 수 있기 때문에 축구 훈련에 특히 적합할 수 있다. 그러나, 4면 프레임은 야구, 라크로스, 및 필드 하키와 같은 다른 스포츠에 적합할 수 있다.
측면 프레임 부재(12a, 12b)의 하부 단부는 리바운드 디바이스(10)를 위한 지면 맞물림 접촉점을 형성한다. 네트(14)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는 베이스 부재(15)가 프레임(12)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15)는 적어도 2개의 후방 연장 다리(16a, 16b) 및 다리(16a, 16b) 사이에 배치된 지지 크로스 부재(18)를 포함한다. 다리(16a, 16b) 각각은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피봇 발(20)을 포함한다.
케이블(22)은 네트(14)의 주연부 둘레에 배치되고 케이블 인장 메커니즘(24)은 프레임(12) 내에서 네트(14)를 팽팽하게 유지하는 데 이용된다. 케이블(22)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케블라(Kevlar), 금속 및/또는 나일론 재료를 포함하는 비탄성 재료일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양태에서, 케이블(22)은 탄성 재료 또는 탄성 재료와 비탄성 재료의 조합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12)은 전방 부재(28a) 및 후방 부재(28b)를 각각 갖는 4개의 코너 요소(28)를 포함한다. 코너 스핀들(26)은 전방 부재(28a)와 후방 부재(28b)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케이블(22)은 네트(14)의 메시를 통해 직조되거나 네트(14)의 보강 헴을 통과함으로써 네트(14)의 주연부 둘레에서 연장되고 4개의 코너 스핀들(26) 각각의 둘레에서 연장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케이블(22)은 프레임(12)의 코너 요소(28) 중 하나에 앵커링되거나 달리 고정되고, 그 다음 네트(14)의 주연부 및 4개의 코너 스핀들(26) 둘레에서 연장된다. 케이블(22)의 다른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프레임(12)의 측면에 배치된 케이블 인장 메커니즘(24)에서 종결된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인장 메커니즘(24)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드럼(32), 기어(34), 스프링-하중식 아암(36), 및 드럼(32)에 연결된 회전 가능한 핸들(38)을 갖는 인장 메커니즘(30)을 포함한다. 케이블(22)을 조여서 프레임(12) 내에서 네트(14)를 인장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핸들(38)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드럼(32)도 회전시킨다. 드럼(32)이 회전함에 따라, 드럼(32)에 케이블(22)을 권취함으로써 네트(14)를 조인다. 기어(34) 및 스프링-하중식 아암(36)은 회전이 정지될 때 드럼(32)을 제자리에 자동으로 로킹한다. 예컨대, 리바운드 디바이스(10)가 보관 또는 운송을 위해 절첩될 때 네트(14)의 장력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먼저 핸들(38)을 대체로 수 밀리미터의 회전만을 시계 방향으로 충분히 회전시켜 스프링-하중식 아암(36)으로부터 장력을 제거한다. 그 후, 사용자는 기어(34)의 로킹을 해제하기 위해 스프링-하중식 아암(36)에 하향 방향으로 압력을 인가한다. 이는 차례로 핸들(38)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케이블 인장 메커니즘(24)에서의 모든 장력을 해제한다. 하나 이상의 클립(46), 탄성 번지, 또는 기타 유지 수단이 또한 네트(14)의 중간에 추가되어 프레임(12)에 대해 망류를 상방으로 유지하고 필요하다면 리바운드 디바이스(10)의 전체 크기에 따라 네트(14)가 중간에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5)는 네트(14)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게 하는 절첩 가능하고 회전 가능한 라이저 또는 발(20)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발(20)은 제1 위치에 도시되고 제2 회전된 위치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발(20)이 다리(16a, 16b)와 평행할 때, 즉, 지면에서 평탄할 때, 네트(14)는 볼(B)이 전달될 방향으로부터 지면과 둔각을 형성한다. 그러한 경우에, 볼(B)은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공중으로 상향을 향해 리바운드된다. 대안적으로,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발(20)이 지면 맞물림 부재가 되고 다리(16a, 16b)가 더 이상 지면에 놓이지 않도록 발(20)이 하향으로 피봇되면, 네트(14)는 볼(B)이 전달될 방향으로부터 지면과 예각을 형성한다. 이 경우, 볼(B)은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지면으로 리바운드된다. 발(20)은 피봇 메커니즘(42), 또는 발(20)이 제1 미리 결정된 위치, 제2 미리 결정된 위치, 또는 그 사이의 임의의 각도 사이에서 절첩/비절첩 또는 피봇되게 하는 임의의 다른 수단 상의 아치형 경로를 따라 제어 핸들(40)을 이동시킴으로써 피봇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5)는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20)에 의해 전방으로 경사질 때 전체 리바운드 디바이스(1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웨이트(44)에 의해 가중된다. 일부 양태에서, 발(20)은 다리(16a, 16b)에 대해 피봇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발(20) 및/또는 다리(16a, 16b)는 네트(14) 및/또는 프레임(12)의 하단 에지를 지면에서 들어올리도록 배향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피봇 메커니즘(42)은 네트(14), 발(20), 및/또는 다리(16a, 16b)에 대해 대안적인 배열로 위치 설정되어, 네트(14)와 프레임(12)이 지면에서 떨어질 때 네트(14)가 원하는 각도로 배향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바운드 디바이스(10)는 또한 측면 프레임 부재(12a, 12b)를 함께 푸시하고, 이에 의해 상부 프레임 부재(12c)와 지지 크로스 부재(18)가 텔레스코핑 방식으로 접히게 함으로써 접혀질 수 있다. 상부 프레임 부재(12c) 및 지지 크로스 부재(18)는 해제될 때 텔레스코핑식으로 접히게 하는 핀, 오목부, 클립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연장 위치에서 고정식으로 로킹될 수 있다.
앞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리바운드 디바이스는 다른 스포츠에 이용될 수 있고, 특정 프레임 기하형상은 특정 스포츠의 요구에 의해 좌우된다. 예를 들어, 라크로스 또는 야구 리바운드 디바이스로서 사용하기 위해, 리바운드 디바이스는 4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3a를 참조하면, 4면 프레임(112)을 갖는 리바운드 디바이스(110)가 예시되어 있다. 네트(114)는 프레임(112)의 개구 내에서 연장되며, 네트(114)는 바람직하게는 비탄성 메시 망류(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및/또는 나일론 재료를 포함함)로 형성된다. 일부 양태에서,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망류와 같은 다른 유형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네트(114)는 직물 재료, 예를 들어 직조 직물 재료, 또는 예를 들어 볼의 리바운드를 위한 다른 적절한 재료의 중실 피스일 수 있다. 프레임(112)은 대향하는 측면 프레임 부재(112a, 112b), 상부 프레임 부재(112c), 및 하부 프레임 부재(112d)를 포함하며, 이들은 함께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과 같은 대체로 직선 구조를 형성한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는 (곡선형 프레임과 같은) 다른 프레임 형상이 적합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레임(112)은 폐쇄된 직사각형 프레임(112)을 형성하기 위해 4개의 프레임 부재(112a, 112b, 112c, 112d)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레임(112)은 단일 피스로 형성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실시예에서 프레임(112)은, 예컨대 네스팅, 스프링-편향식 핀 연결, 체결구 사용, 및/또는 또는 다른 결합 메커니즘에 의해 함께 결합된 다중 피스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2)은 프레임(112) 및 네트(114)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는 베이스 부재(115)와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레임(112)은 프레임(112) 및 네트(114)를 지면에서 들어올리기 위해 프레임(112)으로부터 베이스 부재(115)를 향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수직 부재(148)를 통해 베이스 부재(115)와 결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직 부재(148)는 프레임(112)과 일체로 형성되고 및/또는 달리 프레임과 영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수직 부재(148)는 프레임(112)과 제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2)은 수직 부재(148)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150)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직 부재(148)는 스프링-하중식 핀(152)을 사용하여 리셉터클(15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수직 부재(148)를 프레임(112)과 고정하기 위해 다른 결합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베이스 부재(115)는 수직 부재(148)의 하단 단부(154)와 결합될 수 있고, 프레임(112)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115)는 적어도 2개의 후방 연장 다리(116a, 116b) 및 다리(116a, 116b) 사이에 배치된 지지 크로스 부재(118)를 포함한다. 지지 크로스 부재(118)가 다리(116a, 116b)의 후방에 위치 설정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지지 크로스 부재(118)는 리바운드 디바이스(10)의 지지 크로스 부재(18)와 유사하게 다리(116a, 116b)의 보다 중간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0 및 도 10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다리(116a, 116b)의 전방 단부(156)는 수직 부재(148)의 하단 단부(154)와 결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방 단부(156)는 하단 단부(154)와 피봇식으로 결합되어, 프레임(112) 및 네트(114)의 각도가 조절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래킷(160)은 하단 단부(154) 둘레에서 연장될 수 있고 각각의 전방 단부(156)의 양쪽에 위치 설정되고 전방 단부에 부착된 아암(158)을 포함할 수 있다. 부싱(162)은 아암(158)과 전방 단부(156) 사이에 위치 설정되어, 브래킷(160) 및 수직 부재(148)가 다리(116a, 116b)에 대해 피봇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이한 피봇 메커니즘 및/또는 힌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리바운드 디바이스(110)는 도 8 및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2)을 원하는 각도로 유지하기 위해 베이스 부재(115)와 프레임(112) 사이에서 연장되는 경사진 부재(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진 부재(164)의 하부 단부(166)는 지지 크로스 부재(118)와 결합될 수 있고, 경사진 부재(164)의 하나 이상의 상부 단부(168)는 측면 프레임 부재(112a, 112b)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경사진 부재(164)는 상부 크로스 부재(172)의 중간 부분과 결합되는 중앙 부재(170)를 포함하고, 상부 크로스 부재는 중앙 부재(170)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면 프레임 부재(112a, 112b)와 결합된다. 여기서, 상부 크로스 부재(172)는 중앙 부재(170) 및 각각의 측면 프레임 부재(112a, 112b)와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도록 대체로 Y 형상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른 형태 및/또는 개수의 경사진 부재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리바운드 디바이스(110)의 양쪽에 있는 경사진 부재는 다리(116a, 116b)와 대응하는 측면 프레임 부재(112a, 112b)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경사진 부재는 지지 크로스 부재(118)의 중간 부분과 상부 프레임 부재(112c) 및 하부 프레임 부재(112d)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경사진 부재(164)는 프레임(112)/네트(114)의 각도가 베이스 부재(115)에 대해 조절될 수 있게 하기 위해 텔레스코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진 부재(164)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경사진 부재(164)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연장 가능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재(170)는 제2 로드(176)를 활주식으로 수용하는 제1 로드(174)로 형성된다. 제1 로드(174)는 제1 로드(174)의 길이를 따라 다수의 구멍(178)을 형성하고, 제2 로드(176)는 경사진 부재(164)의 길이를 설정하기 위해 구멍(178) 내에 선택적으로 위치 설정할 수 있는 스프링-하중식 핀(180)을 포함한다.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경사진 부재(164)는 베이스 부재(115) 및/또는 프레임(112)과 피봇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부재(164)의 하부 단부(166)는 지지 크로스 부재(118)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브래킷(182)과 결합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부싱(184)이 조인트에서 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브래킷(182)과 하부 단부(166) 사이에 위치 설정된다. 유사하게, 도 12 및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단부(168)는 측면 프레임 부재(112a, 112b)로부터 연장되는 브래킷(186)에 체결구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부싱(188)은 조인트에서 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브래킷(186)과 상부 단부(168) 사이에 위치 설정된다. 네트(114)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경사진 부재(164)는, 1) 다리(116a, 116b)에 대해 수직 부재(148)를 피봇시키고 2) 지지 크로스 부재(118) 및 프레임(112)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대해 경사진 부재(164)를 피봇시키면서 제2 로드(176)에 대해 제1 로드(174)를 활주시킴으로써 단축 또는 신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레임(112) 및/또는 베이스 부재(115)의 구성요소는 각각 단일 피스로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성요소는 고정식으로 또는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 여러 피스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들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은 추가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부재, 및/또는 리바운드 디바이스(110)에 강도, 안정성, 및/또는 다른 특성을 제공하는 다른 피처가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재(115), 수직 부재(148), 및/또는 경사진 부재(164)의 다양한 피스들이 서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115), 수직 부재(148), 및/또는 경사진 부재(164) 중 하나 이상은 리바운드 디바이스(110)의 피스들을 함께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정합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재(115), 수직 부재(148), 및/또는 경사진 부재(164)의 피스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너트 및 볼트 등)를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고 및/또는 예컨대 용접을 통해 서로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재(115), 수직 부재(148), 및/또는 경사진 부재(164)의 다양한 피스는 프레임(102)을 조립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정합 피처를 가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인트 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리바운드 디바이스(110)는 분해되어 보관 및/또는 운송을 위해 더 작은 폼 팩터로 포장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22)은 네트(114)의 주연부 둘레에 배치되고 케이블 인장 메커니즘(124)(이는 앞서 설명된 케이블 인장 메커니즘(24)과 유사할 수 있음)이 프레임(112) 내에서 네트(114)를 팽팽하게 유지하기 위해 이용된다. 케이블(122)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케블라, 금속 및/또는 나일론 재료를 포함하는 비탄성 재료일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양태에서, 케이블(122)은 탄성 재료 또는 탄성 재료와 비탄성 재료의 조합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그리고 도 13a에서 가장 잘 확인되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112)은 프레임(112)의 코너에 근접하여 프레임(112)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코너 스핀들(126)을 포함한다. 따라서, 케이블(122)은 네트(114)의 메시를 통해 직조되거나 네트(114)의 보강 헴을 통과함으로써 네트(114)의 주연부 둘레에서 연장되고 코너 스핀들(126) 각각의 둘레에서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4개의 코너 스핀들(126)이 사용될 수 있고, 각각의 코너 스핀들(126)은 앞서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직사각형인 케이블 경로를 생성하기 위해 프레임(112)의 각각의 코너를 중심으로 센터링된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 2개 이상의 코너 스핀들(126)이 각각의 코너 요소(128)에 위치 설정되며, 코너 스핀들(126)은 경사진 코너를 갖는 케이블 경로를 생성하기 위해 프레임(112)의 각각의 코너로부터 약간 안쪽에 위치 설정된다. 예를 들어, 케이블 경로는 프레임(112)의 형상을 따르는 긴 주 측면과 주 측면에 대해 경사진 프레임의 코너에 근접한 작은 측면을 갖는 8각형일 수 있다. 코너 요소(128)는 케이블(122)이 코너 스핀들(126)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수 없는 것을 보장하도록 각각의 프레임 코너에서 코너 스핀들(126) 상에 (예컨대, 너트(129)를 통해) 장착 및 고정된다.
케이블(122)의 일 단부는 프레임(112)의 코너 중 하나에서 코너 스핀들(126)에 앵커링되거나 달리 고정될 수 있고, 이어서 앞서 도 4에서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네트(114)의 주연부 둘레 및 코너 스핀들(126) 둘레에서 연장된다. 케이블(122)의 다른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프레임(112)의 측면에 배치된 케이블 인장 메커니즘(124)에서 종결된다. 케이블 인장 메커니즘(124)은 도 5와 관련하여 설명된 케이블 인장 메커니즘(24)과 유사한 설계 및 작동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직 부재(148)는 도 8 내지 도 13a에 예시된 것보다 짧을 수 있다. 이는 야구공을 피칭하거나 낮은 라크로스 샷을 하는 것과 같이 플레이어가 볼을 던지거나 및/또는 달리 볼을 지면으로 더 낮게 보내야 하는 특정 스포츠-관련 활동을 연습하는 데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직 부재(148)는 더 낮은 높이에 고정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실시예에서 수직 부재(148)는 그러한 스포츠 조작을 연습하기에 충분히 낮은 수준으로 네트(114)의 높이를 하강시키는 위치로 텔레스코핑하거나 및/또는 달리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상세히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23)

  1. 스포츠 볼을 위한 리바운드 디바이스로서,
    프레임 개구를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개구 내에 배치된 네트;
    상기 네트의 주연부 둘레에서 연장되는 케이블; 및
    상기 네트의 주연부 둘레에서 상기 케이블을 인장함으로써 프레임 개구 내에서 상기 네트를 팽팽하게 당기도록 구성된 케이블 인장 시스템을 포함하는, 리바운드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인장 시스템은 상기 케이블을 드럼 상에 권취하기 위한 회전 가능한 핸들, 및 상기 드럼을 고정 위치에 로킹하도록 구성된 기어 및 스프링-하중식 레버 아암을 갖는 인장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리바운드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코너 및 상기 프레임의 각각의 코너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핀들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각각의 상기 스핀들 둘레에서 연장되는, 리바운드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제1 단부는 상기 스핀들 중 하나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의 제2 단부는 상기 케이블 인장 시스템에 고정되는, 리바운드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 개구에 대해 후방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다리를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를 더 포함하는, 리바운드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적어도 2개의 다리 사이에서 연장되는 지지 크로스 부재를 더 포함하는, 리바운드 디바이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각각은 지면 맞물림 표면에 대한 상기 네트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피봇 발을 포함하는, 리바운드 디바이스.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개구는 대향하는 측면 프레임 부재 및 상부 프레임 부재에 의해서만 형성되는, 리바운드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적어도 2개의 다리 사이에서 연장되는 지지 크로스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 및 상기 지지 크로스 부재는 상기 대향하는 측면 프레임 부재가 서로를 향해 내향 이동될 때 텔레스코핑식으로 접혀질 수 있는, 리바운드 디바이스.
  10. 제6항에 있어서,
    지지 크로스 부재와 프레임 사이에서 상향 연장되는 경사진 부재를 더 포함하는, 리바운드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프레임과 베이스 부재의 적어도 2개의 다리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수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수직 부재는 적어도 2개의 다리와 피봇식으로 결합되며, 경사진 부재는 적어도 2개의 다리에 대해 적어도 2개의 수직 부재를 피봇시킴으로써 프레임과 베이스 부재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텔레스코핑하도록 구성되는, 리바운드 디바이스.
  12. 스포츠 볼을 위한 리바운드 디바이스로서,
    프레임 개구를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개구 내에 배치된 네트; 및
    상기 프레임 개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다리를 갖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다리 각각은 네트의 각도 위치가 베이스 부재의 지면 맞물림 표면에 대해 조절 가능하도록 프레임과 피봇식으로 결합되는, 리바운드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의 주연부 둘레에서 연장되는 케이블, 및 상기 네트의 주연부 둘레에서 상기 케이블을 인장함으로써 프레임 개구 내에서 상기 네트를 팽팽하게 당기도록 구성된 케이블 인장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리바운드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인장 메커니즘은 상기 케이블을 드럼 상에 권취하기 위한 회전 가능한 핸들, 및 상기 드럼을 고정 위치에 로킹하도록 구성된 기어 및 스프링-하중식 레버 아암을 포함하는, 리바운드 디바이스.
  15.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다리 각각과 결합되는 피봇 발; 및
    적어도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각각의 피봇 발을 피봇시키기 위한 피봇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리바운드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제1 위치에서, 각각의 피봇 발은 상기 적어도 2개의 다리 중 대응하는 다리와 동일 평면에 있고;
    제2 위치에서, 피봇 발은 상기 적어도 2개의 다리 중 대응하는 다리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리바운드 디바이스.
  17. 스포츠 볼을 위한 리바운드 디바이스로서,
    프레임 개구를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개구 내에 배치된 네트; 및
    상기 네트의 주연부 둘레에서 연장되고 상기 네트를 프레임 개구 내에서 팽팽하게 당기도록 구성된 케이블을 포함하는, 리바운드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개구의 각각의 코너에 코너 요소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코너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스핀들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프레임 개구의 각각의 코너에서 상기 스핀들 둘레에서 연장되는, 리바운드 디바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의 주연부 둘레에서 상기 케이블을 인장함으로써 프레임 개구 내에서 상기 네트를 팽팽하게 당기도록 구성된 케이블 인장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리바운드 디바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제1 단부는 상기 코너 요소 중 하나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의 제2 단부는 상기 케이블 인장 메커니즘에 고정되는, 리바운드 디바이스.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요소는 상기 네트의 전방에 배치된 제1 프레임 부재 및 상기 네트의 후방에 배치된 제2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스핀들 각각은 제1 프레임 부재들 중 각각 하나와 제2 프레임 부재들 중 각각 하나 사이에서 연장되는, 리바운드 디바이스.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개구는 2개의 대향하는 측면 프레임 부재 및 상부 프레임 부재에 의해서만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개구의 하단은 가로막는 것이 없는, 리바운드 디바이스.
  23. 제18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
    베이스 부재와 프레임 사이에서 연장되는 경사진 부재; 및
    프레임과 베이스 부재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수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수직 부재는 베이스 부재와 피봇식으로 결합되며;
    경사진 부재는 베이스 부재에 대해 적어도 2개의 수직 부재를 피봇시킴으로써 프레임 및 네트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게 하기 위해 텔레스코핑하도록 구성되는, 리바운드 디바이스.
KR1020227009634A 2019-08-28 2020-08-28 스포츠 볼을 위한 리바운드 디바이스 KR202200478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92797P 2019-08-28 2019-08-28
US62/892,797 2019-08-28
PCT/US2020/048381 WO2021041794A1 (en) 2019-08-28 2020-08-28 Rebounding device for sports ba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868A true KR20220047868A (ko) 2022-04-19

Family

ID=72428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9634A KR20220047868A (ko) 2019-08-28 2020-08-28 스포츠 볼을 위한 리바운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819747B2 (ko)
EP (1) EP4021593A1 (ko)
JP (1) JP2022546370A (ko)
KR (1) KR20220047868A (ko)
CN (1) CN114585420A (ko)
AU (1) AU2020336465A1 (ko)
CA (1) CA3149551A1 (ko)
MX (1) MX2022002326A (ko)
WO (1) WO20210417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16199A1 (en) * 2020-04-10 2021-10-14 Dick's Sporting Goods, Inc. Sports rebounding and goal apparatus
US20220062729A1 (en) * 2020-08-31 2022-03-03 People For Goldfish Llc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a game apparatus for bouncing projectiles

Family Cites Families (1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2002A (en) 1957-11-29 1961-07-11 Jr Hiram Bingham Recreational rebound net
US3195898A (en) 1962-02-01 1965-07-20 Eugene M Respini Net supporting arrangement
FR85106E (fr) * 1963-10-25 1965-06-18 Appareil pour renvoyer un ballon
US3435487A (en) 1966-12-06 1969-04-01 Mike Console Athletic net stabilization
US3583703A (en) * 1968-11-01 1971-06-08 William S Brown Practice pitching devices
US3711092A (en) * 1971-02-23 1973-01-16 Whale Enterprises Inc Ball rebounding means
US3940139A (en) * 1975-04-28 1976-02-24 Barnes Paul J Out-of-bounds wand for volleyball net and support strap
AU529169B2 (en) 1977-10-21 1983-05-26 James Jacobs Brian Supporting means for tennis and like games nets
FR2446653A1 (fr) * 1979-01-19 1980-08-14 Cheftel Cyrille Appareil de sport et de jeu pour renvoi de ballons et medecine-balls
US4489941A (en) 1982-09-21 1984-12-25 Shieh Shin Shi Sports net apparatus
US4776588A (en) * 1985-06-24 1988-10-11 Crowley Joseph R Coin or token-operated tennis net
US4717157A (en) 1985-10-31 1988-01-05 Indian Industries, Inc. Self-tensioning game net
US4973059A (en) * 1989-07-10 1990-11-27 Stewart John V Volleyball net adjuster
US4986389A (en) * 1990-06-13 1991-01-22 Westerbeke Fishing Gear Co., Inc. Slidable safety net assembly
US5215310A (en) * 1992-01-22 1993-06-01 Allbright Edwin T Volleyball net support and tensioning system
US5394927A (en) 1993-01-11 1995-03-07 Huebner; Robert W. Recreation area boundary and safety restraining barrier
US5393069A (en) 1994-02-25 1995-02-28 Eugene V. Hearl Retractable backboard suspended not support
US5833234A (en) 1995-05-30 1998-11-10 Vavala; Ralph J. Rebounding apparatus
US5562288A (en) 1995-06-20 1996-10-08 Erkebaev; Eskendr B. Portable elastic sports goal
US5857679A (en) * 1995-11-14 1999-01-12 Ringe; Thomas Tennis rebound net
US5615889A (en) 1996-01-24 1997-04-01 Long; Phillip E. Soccer goal practice net
US5651552A (en) * 1996-04-08 1997-07-29 Whelchel; Sean P. Net attachment and tensioning system
AU4231697A (en) 1996-08-19 1998-03-06 Lievens Group, L.L.C. Ball rebound net
US5810363A (en) 1996-10-30 1998-09-22 Saunders Archery Co. Target assembly
US6021702A (en) 1998-02-09 2000-02-08 Rexroad; John Aesthetic barrier/debris system and material
US6213469B1 (en) 1998-02-23 2001-04-10 Mauricio V. Lucio Ball return system
DE19856424C2 (de) 1998-12-08 2001-04-26 Gkn Loebro Gmbh Doppel-Offset-Gelenk mit Zentriermitteln für Käfig
US6287220B1 (en) 1999-04-05 2001-09-11 Anthony Caruso Soccer practice return net
US20020013187A1 (en) * 2000-04-28 2002-01-31 Grunfeld Dan Y.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e flat faced rebounding soccer training goal
US6482112B1 (en) * 2000-07-17 2002-11-19 Greg E Betz Retractable sports net
IT251317Y1 (it) * 2000-09-08 2003-11-19 Paolo Piras Attrezzo da allenamento per giochi con la palla
US6893364B1 (en) 2001-04-27 2005-05-17 Dan Grunfeld Portable flat-faced interactive training soccer goal
US20020183127A1 (en) 2001-05-29 2002-12-05 Cho Kwang H. Hanging net
US6461258B1 (en) * 2001-06-25 2002-10-08 Michael M. Vacanti Net system for volleyball or the like
US6585610B2 (en) 2001-07-10 2003-07-01 Mark Sompolinsky Portable stoopball playing device
US20030060309A1 (en) 2001-09-25 2003-03-27 Smith Christopher J.B. Ball rebounder
US6659892B2 (en) 2001-12-21 2003-12-09 Thomas William Lytle Kickback training goal
US6739988B2 (en) 2002-06-19 2004-05-25 Brine, Inc. Portable recoil wall
US6880828B2 (en) 2003-01-21 2005-04-19 Grace Liao Adjusting device for bouncing net devices
US20040176193A1 (en) 2003-03-04 2004-09-09 Daniel Valliquette Soccer training device
US20050192125A1 (en) 2003-03-04 2005-09-01 Daniel Valliquette Soccer training device
US6846253B1 (en) 2003-03-12 2005-01-25 Dick's Sporting Goods, Inc. Soccer training system
US20040235589A1 (en) 2003-05-23 2004-11-25 Wedgbury Donald E. Apparatus and method for goal training for field sports
US7037219B2 (en) 2003-08-26 2006-05-02 Greg Pakieser Soccer training device
USD503448S1 (en) 2004-01-07 2005-03-29 Michael D'Andrea Isom Golf practice net
CN2706201Y (zh) 2004-02-27 2005-06-29 金安卓 具有练习网的曲棍球门
USD531684S1 (en) 2004-04-13 2006-11-07 Bouffard Rafael P Frameless portable suspension system
US7455603B2 (en) 2004-04-13 2008-11-25 Bow & Lever Inc. Method of using a frameless portable suspension system
US7037221B2 (en) 2004-04-13 2006-05-02 Bouffard Rafael P Frameless portable suspension system
US7249767B1 (en) 2004-05-19 2007-07-31 Nathaniel Craig Gorton Portable rebounding ball game
US20050275168A1 (en) 2004-06-11 2005-12-15 Kegevic Tomas V Size adjustable soccer goal
WO2006025752A1 (en) * 2004-08-31 2006-03-09 Louise Mary Sinclair Ball rebound apparatus
USD517620S1 (en) 2004-09-07 2006-03-21 Behnam Mazloompour Soccer training device
WO2006044389A1 (en) 2004-10-14 2006-04-27 John Szaro Rectangular face pop-up sports training assemblies,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US8177651B2 (en) 2004-11-16 2012-05-15 Marcus Curry Weighted ball rebounder
US7264245B2 (en) 2004-12-06 2007-09-04 Kwang Han Cho Portable ball retriever
US7462114B2 (en) 2005-07-11 2008-12-09 Moller Jr Jorgen J Rebound system
US20070090601A1 (en) 2005-10-25 2007-04-26 Grace Liao Bouncing practice net
AU2006200246A1 (en) 2006-01-20 2007-08-09 Peter Domjen Soccer training aid
US20070235942A1 (en) 2006-03-30 2007-10-11 Cho Kwang H Ball retriever
US20070281807A1 (en) 2006-03-30 2007-12-06 Kwang Han Cho Ball Retriever
USD562418S1 (en) 2006-06-28 2008-02-19 Robert Sifrit Goal cover
US7543821B2 (en) 2006-08-18 2009-06-09 Warrior Sports, Inc. Ball returner for use with a goal
US20080067751A1 (en) 2006-09-19 2008-03-20 Ryan Hunt Random rebound practice device
GB0709292D0 (en) 2007-05-15 2007-06-20 Wares Ltd Goal apparatus
USD584368S1 (en) 2007-05-31 2009-01-06 Stoewhass Clint L Retractable sports net
US7828296B2 (en) 2007-07-26 2010-11-09 The Net Return, Llc Multi-sports ball/disk return net system and method thereof
US7600759B2 (en) 2007-07-26 2009-10-13 The Net Return, Llc Multi-sports ball return net system and method thereof
US7914400B2 (en) * 2007-12-21 2011-03-29 John Flading Baseball practice systems
US7651098B2 (en) 2008-02-04 2010-01-26 Kwang Han Cho Screen net
US7914402B2 (en) 2008-07-24 2011-03-29 Ray Gaudin Rebounding soccer practice net
USD585949S1 (en) 2008-07-24 2009-02-03 Ray Gaudin Rebounding soccer practice net
GB2464298B (en) * 2008-10-09 2011-04-20 Satian Ind Co Ltd Sports netting
US8590901B2 (en) * 2008-11-16 2013-11-26 Brian Goldwitz Foldable sport goals and throwback devices
USD703774S1 (en) 2009-02-18 2014-04-29 Anthony Riccardella Sporting goal practice screen
USD623246S1 (en) 2009-07-30 2010-09-07 Toa Sports Machine Inc. Net for a batting practice
US20110059815A1 (en) 2009-09-09 2011-03-10 Jones Gregory A Attachable Soccer Rebound Net
US8043172B2 (en) 2009-09-10 2011-10-25 Total Gym Global Corp. Rebounder and method of use
US9289637B2 (en) 2009-09-14 2016-03-22 Mark W. Publicover Rebounding apparatus with tensioned elastic cords
US10532238B2 (en) 2009-09-14 2020-01-14 Jumpsport, Inc. Rebounding apparatus with tensioned elastic cords
DK177133B1 (en) 2009-10-02 2012-01-30 Munin Aps A ball rebound device
JP2012020079A (ja) * 2010-07-16 2012-02-02 Fieldforce:Kk 球技用ネット装置
TWM402122U (en) 2010-11-18 2011-04-21 King Chou Marine Technology Co Ltd Auxiliary exercise device for ball sports
US8651980B2 (en) 2010-12-10 2014-02-18 Darvin Jackson Combination training device for ball sports
US8647221B1 (en) 2011-06-10 2014-02-11 Franklin Sports, Inc. Soccer trainer
USD649209S1 (en) 2011-06-13 2011-11-22 Silvi Sports, Inc. Multi-sport pitch back
US8758173B2 (en) 2011-07-19 2014-06-24 Tamir Goodman Sports Consultant, Llc Rebound device
US9227123B2 (en) 2011-10-31 2016-01-05 Patrick DeBolt Lacrosse training device
US8932157B2 (en) 2012-01-09 2015-01-13 Alan N. Wright Soccer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US8961339B2 (en) 2012-01-13 2015-02-24 Scott Littman Sports training target and methods thereof
USD689570S1 (en) 2012-08-16 2013-09-10 Wayne P Adema Soccer ball deflection panel
CN104902968B (zh) 2012-09-22 2017-03-22 斯波特沃克斯有限责任公司 球回弹系统
USD709970S1 (en) 2012-10-04 2014-07-29 Pro Performance Sports, L.L.C. Pitch return net with batter profile
US9573033B2 (en) 2012-10-15 2017-02-21 Scott T. Surbrook Returning goal system
US20140235374A1 (en) 2013-02-15 2014-08-21 Robert S. Armell Soccer rebounder
CN203196256U (zh) 2013-03-29 2013-09-18 罗春芳 回弹球网架
US20160089587A1 (en) 2013-04-17 2016-03-31 Open Goaaal Investment Ltd Football Goal
US9908023B1 (en) * 2014-01-10 2018-03-06 Michael C. Hamm Retractable garage door ball bounce back system
USD731013S1 (en) 2014-04-25 2015-06-02 Jeffrey Paul Jackowiak Sports ball catcher
US9724580B2 (en) 2014-07-21 2017-08-08 Shelterit, Llc Removable and configurable sporting goal target and target pockets
US20160199718A1 (en) 2015-01-14 2016-07-14 Pro Performance Sports, L.L.C. Basketball rebounder net
US20170259148A1 (en) 2015-05-22 2017-09-14 Soccer Wave, LLC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70144046A1 (en) 2015-05-22 2017-05-25 Soccer Advantage, LLC Apparatus for rebounding soccer balls
US20160339319A1 (en) 2015-05-22 2016-11-24 Soccer Advantage, LLC Apparatus for rebounding soccer balls
US9987536B2 (en) 2015-10-28 2018-06-05 Kevin Nash Nets for collapsible sports goals
USD779602S1 (en) 2015-11-04 2017-02-21 Franklin Sports, Inc. Soccer trainer
DE202015106596U1 (de) 2015-12-03 2017-03-07 Ralf Esser Rückprallnetzanordnung
US10173117B2 (en) 2016-01-04 2019-01-08 Kwang Han Cho Ball-returning net
US20170203176A1 (en) 2016-01-14 2017-07-20 Becca Moros Soccer, Llc Ball return device and system
AU201613931S (en) 2016-01-26 2016-08-03 Prime Honour Development Ltd Goal
USD789466S1 (en) 2016-03-23 2017-06-13 Pure Body Logics Ball return
CN205612980U (zh) * 2016-04-11 2016-10-05 绍兴天马文体校具有限公司 一种足球门
CN106239440A (zh) * 2016-08-17 2016-12-21 安徽鼎恒再制造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张角可调的轴类零件限位架
CN106310620A (zh) * 2016-08-20 2017-01-11 何炳龙 多用途体育网架
CN206007967U (zh) * 2016-08-26 2017-03-15 罗春芳 可折叠式回弹球网架
USD805591S1 (en) 2016-09-28 2017-12-19 Pro Performance Sports, Llc Ball return training device
USD806812S1 (en) 2016-10-06 2018-01-02 Richard J. Adams Sport training apparatus
US10376763B2 (en) * 2016-10-11 2019-08-13 Gared Holdings, Llc Net system with fine height adjustment
CA3082222A1 (en) 2016-11-08 2018-05-17 Richard Charles GLADWIN Rebounding sport training device
CN206214704U (zh) * 2016-11-10 2017-06-06 罗春芳 便于练球以及携带的球门
USD833547S1 (en) 2016-12-09 2018-11-13 Soccer Advantage, LLC Soccer ball rebounding apparatus
CN206483083U (zh) * 2017-01-22 2017-09-12 河北华洋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带紧线装置的网球架
CN106974438A (zh) * 2017-04-14 2017-07-25 安徽理工大学 一种可任意角度旋转及自由升降的阅读架
US10166453B1 (en) 2017-07-31 2019-01-01 Rukket, LLC Sports ball rebounder net
US10130859B1 (en) 2017-08-28 2018-11-20 Russell Riley Training device with return
CN107519631A (zh) * 2017-09-30 2017-12-29 青岛海硕钢塑制品有限公司 多位足球回球器
CN107579602B (zh) * 2017-11-01 2024-04-30 深圳市创益通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49551A1 (en) 2021-03-04
JP2022546370A (ja) 2022-11-04
AU2020336465A1 (en) 2022-03-24
MX2022002326A (es) 2022-08-15
WO2021041794A1 (en) 2021-03-04
US20210060396A1 (en) 2021-03-04
EP4021593A1 (en) 2022-07-06
CN114585420A (zh) 2022-06-03
US11819747B2 (en) 202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27026A (en) Projectile return apparatus
US3752476A (en) Projectile return apparatus
US5833234A (en) Rebounding apparatus
US7351168B1 (en) Multiple sports device
US9227126B2 (en) Ball rebound device
US20160023095A1 (en) Combination game
US8460128B2 (en) Multi sports net with rebounder
US6267696B1 (en) Basketball foul-shot return apparatus
US5795250A (en) Tethered ball practice device
US7850551B2 (en) Mobile practice targets
US2899208A (en) Wallsteiner
US20080132361A1 (en) Mobile Practice Targets
US9573033B2 (en) Returning goal system
KR20220047868A (ko) 스포츠 볼을 위한 리바운드 디바이스
US9533210B2 (en) Convertible game system
US5524901A (en) Sport target apparatus
US20160361616A1 (en) Sport training devices
US6083124A (en) Portable collapsible backstop for batting practice
US20170128801A1 (en) Sport practice net with sloped bottom shell
US6599221B1 (en) Foldable trampoline
US20080242451A1 (en) Ball travel-modifying device
US20230036541A1 (en) Racket Sports Rebounder with Side Shields
US10722772B2 (en) Garage sports net system
JP2001046175A (ja) スポーツ用具類の収納ボックス
US20190336840A1 (en) Pepper Rebound Scre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