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7774A - 카테터 어댑터 - Google Patents

카테터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7774A
KR20220047774A KR1020227005162A KR20227005162A KR20220047774A KR 20220047774 A KR20220047774 A KR 20220047774A KR 1020227005162 A KR1020227005162 A KR 1020227005162A KR 20227005162 A KR20227005162 A KR 20227005162A KR 20220047774 A KR20220047774 A KR 20220047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catheter adapter
longitudinal axis
degrees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5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셉 스파타로
Original Assignee
백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filed Critical 백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220047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7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9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06"Over-the-needle" catheter assemblies, e.g. I.V.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4Access sites having pierceable self-seal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3Modular systems comprising interconnec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8Clips, separato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tubes or l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6Holding accessories for holding infusion needles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7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suitable for being connected to an infusion line after insertion into a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77Adapters, e.g. couplings adapting a connector to one or several other conn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카테터 어댑터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216) 및 카테터 어댑터 본체 내에 형성된 카테터 어댑터 채널(221)을 포함할 수도 있다. 카테터 어댑터 본체는 근위 단부(220), 원위 단부(218), 아래쪽면(240), 및 위쪽면(242)을 포함할 수도 있다. 카테터 어댑터 본체의 아래쪽면은 환자의 피부의 표면 영역에 맞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환자의 피부의 표면 영역과 카테터 어댑터 채널의 종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260)는 4도 초과일 수도 있다.

Description

카테터 어댑터
카테터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주입 요법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카테터는 정상 생리 식염수, 다양한 약물 및 완전 비경구 영양 수액(total parenteral nutrition)과 같은 유체를 환자 내에 주입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카테터는 또한 환자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통상의 유형의 카테터는 오버-더-니들(over-the-needle) 말초 정맥내 카테터("PIVC")이다. 그 명칭이 암시하는 바와 같이, 오버-더-니들 PIVC는 날카로운 원위 팁을 갖는 삽입기 바늘(introducer needle) 위에 장착될 수도 있다. PIVC 및 삽입기 바늘은, 바늘의 경사면이 환자의 피부로부터 이격하여 향하는 상태로 삽입기 바늘의 원위 팁이 PIVC의 원위 팁을 넘어 연장하도록 조립될 수도 있다. PIVC와 삽입기 바늘은 전형적으로 피부를 통해 환자의 동맥, 정맥, 또는 임의의 다른 혈관 구조와 같은 환자의 혈관 내로 얕은 각도로 삽입된다.
혈관 내의 삽입기 바늘 및/또는 PIVC의 적절한 배치를 검증하기 위해, 임상의는 전형적으로 혈액 "플래시백(flashback)"이 PIVC 내에서 발생하는지를 존재하는지를 지켜볼 것이다. 혈액 플래시백은 혈액이 삽입기 바늘의 외부면과 투명할 수도 있는 PIVC의 내부면 사이에서 근위측으로 이동할 때 발생한다. 따라서, 임상의는 혈액을 시각화하고 혈관 내의 삽입기 바늘의 배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일단 바늘의 배치가 확인되면, 임상의는 정맥 내의 유동을 일시적으로 폐색하고, 삽입기 바늘을 제거하고, 향후 혈액 채취 및/또는 유체 주입을 위해 PIVC를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해 드레싱(dressing)으로 환자의 피부에 PIVC를 고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카테터 어댑터 디자인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 주어진 카테터 루멘에 대한 감소된 "정맥내" 길이; (2) 정맥으로부터 카테터 루멘의 이탈; (3) 주위 조직 내로의 약물/유체의 침윤 및/또는 혈관외 유출(extravasation); (4) 정맥염; (5) 카테터 루멘의 폐색(예를 들어, 카테터 루멘의 팁이 정맥 벽에 고착되게 되어 폐색되게 될 수도 있음); (6) 카테터 루멘 및 정맥에 의해 경험되는 증가된 응력; (7) 유체의 증가된 체적을 결합하는 카테터 루멘의 더 큰 "비생산적인" 길이; 및 (8) 카테터 어댑터가 드레싱으로 환자의 피부에 고정될 때 카테터 루멘에 대한 로딩 시나리오를 손상시킬 수 있는 더 큰 카테터 어댑터 푸트프린트를 포함하는 합병증의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는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청구된 주제는 임의의 단점을 해결하거나 전술된 것들과 같은 환경에서만 동작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이 배경기술 섹션은 단지 여기에 설명된 몇몇 구현예가 실시될 수도 있는 하나의 예시적인 기술 영역을 설명하기 위해서만 제공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혈관 액세스 디바이스 및 관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 및 카테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카테터 어댑터 본체는 근위 단부, 원위 단부, 아래쪽면(inferior surface), 위쪽면(superior surface), 및 카테터 어댑터 본체 내에 형성된 카테터 어댑터 채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카테터는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카테터의 근위 및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카테터 루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카테터의 근위 단부는 카테터 루멘이 카테터 어댑터 채널과 유체 연통하도록 카테터 어댑터 본체에 결합될 수도 있고, 카테터 어댑터 본체의 아래쪽면과 카테터 어댑터 채널의 제1 종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4도 초과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의 카테터 어댑터 본체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의 근위 및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제2 종축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1 및 제2 종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10도 초과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종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10도 내지 90도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종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30도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 본체에 근접한 카테터 루멘의 적어도 일부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 내에 형성된 카테터 어댑터 채널과 동축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는 카테터 어댑터 채널에 인접하여 카테터 어댑터 본체에 결합된 격막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막은 단일 부품 격막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막은 다부품 격막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 본체는 카테터 어댑터 채널과 유체 연통하는 액세스 포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 및 카테터 어댑터 채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카테터 어댑터 본체는 근위 단부, 원위 단부, 아래쪽면 및 위쪽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카테터 어댑터 채널은 카테터 어댑터 본체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카테터 어댑터 본체의 아래쪽면은 환자의 피부의 표면 영역에 맞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환자의 피부의 표면 영역과 카테터 어댑터 채널의 종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4도 초과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환자의 피부의 표면 영역과 카테터 어댑터 채널의 종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10도 초과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환자의 피부의 표면 영역과 카테터 어댑터 채널의 종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10도 내지 90도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환자의 피부의 표면 영역과 카테터 어댑터 채널의 종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30도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는 카테터 어댑터 채널에 인접하여 카테터 어댑터 본체에 결합된 격막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막은 단일 부품 격막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막은 다부품 격막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 본체는 카테터 어댑터 채널과 유체 연통하는 액세스 포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은 카테터 어댑터, 카테터 어댑터에 결합된 카테터, 및 바늘 조립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카테터 어댑터는 근위 단부, 원위 단부, 아래쪽면, 위쪽면, 및 카테터 어댑터 내에 형성된 카테터 어댑터 채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카테터 어댑터는 카테터 어댑터의 근위 및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제1 종축을 포함할 수도 있어, 제1 종축이 카테터 어댑터의 아래쪽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된다. 카테터는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카테터의 근위 및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카테터 루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카테터의 근위 단부는 카테터 루멘이 카테터 어댑터 채널과 유체 연통하도록 카테터 어댑터에 결합될 수도 있고, 카테터 어댑터의 제1 종축과 카테터의 제2 종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4도 초과일 수도 있다. 바늘 조립체는 바늘 허브 및 바늘 허브에 결합된 삽입기 바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삽입기 바늘은 카테터 어댑터 채널 및 카테터 루멘 내에 제거 가능하게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의 제1 종축과 카테터의 제2 종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10도 초과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의 제1 종축과 카테터의 제2 종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10도 내지 90도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의 제1 종축과 카테터의 제2 종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30도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에 근접한 카테터 루멘의 적어도 일부는 카테터 어댑터 내에 형성된 카테터 어댑터 채널과 동축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은 카테터 어댑터 채널에 인접하여 카테터 어댑터에 결합된 격막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막은 단일 부품 격막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막은 다부품 격막일 수도 있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모두 예시적이고 설명적이며 청구된 바와 같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를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배열 및 수단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조합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도 있고, 그와 같이 청구되지 않는 한, 구조적 변경이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한정의 개념으로 취해져서는 안된다.
예시적인 실시예가 첨부 도면의 사용을 통해 부가의 특이성 및 상세를 갖고 설명되고 예시될 것이다.
도 1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카테터 시스템(10)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1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카테터 시스템(10)의 단면 평면도이다.
도 2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카테터 조립체(200)의 측단면도이다.
도 3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혈관(2) 내에 삽입된 예시적인 카테터 조립체(300)의 측면도이다.
도 3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혈관(2) 내에 삽입된 도 3a의 카테터 조립체(300)의 측단면도이다.
도 4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혈관(2) 내에 삽입된 예시적인 카테터 조립체(400)의 측면도이다.
도 4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혈관(2) 내에 삽입된 도 4a의 카테터 조립체(400)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카테터(322, 422) 사이의 상대적인 "정맥내" 길이를 비교하기 위해 환자의 혈관(2) 내에 삽입된 도 3a 및 도 4a의 카테터 조립체(300, 400)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카테터(322, 422) 사이의 상대적인 "정맥내" 길이를 비교하기 위해 카테터 조립체(300, 400)가 서로의 위에 중첩되어 있는 상태로 환자의 혈관(2) 내에 삽입된 도 3a 및 도 4a의 카테터 조립체(300, 400)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조립체(400)가 환자에게 부착되기 전의 도 4a의 카테터 조립체(400)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트(480)를 포함하는 도 4a의 카테터 조립체(400)와 유사한 카테터 조립체(800)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4a의 카테터 조립체(400) 및 바늘 조립체(412)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카테터 시스템(900)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은 본 개시내용의 개념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실제 축척대로 도시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더욱이, 도면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본 개시내용의 범주에 대한 한정을 나타내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유사한 부분이 전체에 걸쳐 유사한 번호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양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일반적으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본 개시내용의 구성요소는 광범위한 상이한 구성으로 배열되고 설계될 수 있다는 것이 즉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및 시스템의 실시예의 이하의 더 상세한 설명은 본 출원 또는 본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임의의 다른 출원에 청구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범주를 한정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고, 단지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표현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10)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바늘 조립체(12)와 카테터 조립체(14)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a 및 도 1b는 환자(도 1a 및 도 1b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정맥 내로 삽입 준비가 된, 삽입 위치에서의 카테터 시스템(10)을 도시하고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14)는 근위 단부(20), 원위 단부(18)를 포함할 수도 있는 카테터 어댑터 또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16), 및 카테터 어댑터 본체(16)로 형성되고 카테터 어댑터 본체(16)의 근위 및 원위 단부(20, 18) 사이에서 연장하는 카테터 어댑터 채널(21)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 본체(16)는 카테터 어댑터 채널(21)에 인접하여 카테터 어댑터 본체(16)에 결합된 격막(7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막(70)은 단일 부품 격막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막(70)은 다부품 격막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14)는 근위 단부(26), 원위 단부(24), 및 카테터(22)의 근위 및 원위 단부(26, 24) 사이에서 연장하는 카테터 루멘(27)을 포함할 수도 있는 카테터(2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22)는 말초 정맥내 카테터("PIVC")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22)의 근위 단부(26)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16) 내에 고정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늘 조립체(12)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16)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는 바늘 허브(28)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늘 조립체(12)는 삽입기 바늘(3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삽입기 바늘(30)의 근위 단부(31)는 바늘 허브(28) 내에 고정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삽입기 바늘(30)은 카테터 루멘(27)을 통해 연장될 수도 있고, 카테터 시스템(10)이 삽입 위치에 있고 환자(도 1a 및 도 1b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정맥 내로 삽입 준비가 되어 있을 때 삽입기 바늘(30)의 원위 단부(33)는 카테터(22)의 원위 단부(24)로부터 돌출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늘 조립체(12)는 바늘 그립(32)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는 일단 정맥 내의 카테터(22)의 배치가 확인되면 정맥으로부터 삽입기 바늘(30)을 후퇴시키도록 임상의가 파지하여 근위측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10)은 연장 튜브(34)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장 튜브(34)의 원위 단부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16)에 결합될 수도 있고 연장 튜브(34)의 근위 단부는 어댑터(36)에 결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 본체(16)는 카테터 어댑터 채널(21)과 유체 연통할 수도 있는 액세스 포트(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장 튜브(34)의 원위 단부는 액세스 포트(80)에 결합될 수도 있어, 연장 튜브(34)가 액세스 포트(80)를 통해 카테터 어댑터 채널(21)과 유체 연통할 수도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체 주입 디바이스(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어댑터(36)에 결합되어, 일단 삽입기 바늘(30)이 카테터 시스템(10)으로부터 제거되면, 정맥 내에 삽입된 카테터(22)를 통해 환자에게 유체를 전달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혈액 수집 디바이스(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어댑터(36)에 결합되어 정맥 내에 삽입된 카테터(22)를 통해 환자로부터 혈액을 채취할 수도 있다.
카테터 시스템(10)은 직선형, 포트형, 일체형 및 통상적인 카테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10)은 예를 들어, BD NEXIVA™ 폐쇄형 IV 카테터 시스템, BD NEXIVA™ DIFFUSICS™ 폐쇄형 IV 카테터 시스템, BD PEGASUS™ 안전 폐쇄형 IV 카테터 시스템 또는 다른 일체형 카테터 시스템과 같은 카테터 어댑터 본체(16) 내에 일체화된 연장 튜브(34)를 갖고 일체형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10)은 연장 튜브(34) 없이 비일체형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10)은 혈액을 관찰하고 삽입기 바늘(30) 및/또는 카테터(22) 내의 혈액의 근위 유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통기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10)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통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기 플러그(38)가 환자 내로의 카테터(22)의 삽입 중에 어댑터(36)에 결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통기 플러그(38)는 공기에 대해 투과성이지만 혈액은 투과성이 아닐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22), 카테터 어댑터 본체(16), 연장 튜브(34), 어댑터(36), 및 통기 플러그(38)는 유체 연통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몇몇 실시예에서, 바늘 허브(28)는 플래시 챔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카테터 조립체(200)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카테터 조립체(200)는 일반적으로 카테터 어댑터 본체(216) 및 카테터(22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카테터 어댑터 본체(216)는 근위 단부(220), 원위 단부(218), 아래쪽면(240), 위쪽면(242), 및 카테터 어댑터 본체(216) 내에 형성되고 카테터 어댑터 본체(216)의 근위 및 원위 단부(220, 218) 사이에서 연장하는 카테터 어댑터 채널(221)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 본체(216)는 카테터 어댑터 채널(221)에 인접하여 카테터 어댑터 본체(216)에 결합될 수도 있는 격막(27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막(270)은 단일 부품 격막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막(270)은 다부품 격막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 본체(216)는 카테터 어댑터 채널(221)과 유체 연통할 수도 있는 액세스 포트(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카테터(222)는 근위 단부(226), 원위 단부(224), 및 카테터(222)의 근위 및 원위 단부(226, 224) 사이에서 연장하는 카테터 루멘(227)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222)는 말초 정맥내 카테터("PIVC")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222)의 근위 단부(226)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216)에 결합되고 그리고/또는 그 내에 고정될 수도 있어, 카테터 루멘(227)이 카테터 어댑터 본체(216) 내에 형성된 카테터 어댑터 채널(221)과 유체 연통할 수도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 본체(216)의 아래쪽면(240)과 카테터 어댑터 채널(221)의 제1 종축(251) 사이에 형성된 각도 260은 0도 내지 4도일 수도 있다. 카테터 어댑터 본체(216)의 아래쪽면(240)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라인(250)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 채널(221)의 제1 종축(251)은 카테터 어댑터 본체(216)의 근위 및 원위 단부(220, 218) 사이에서 연장되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216)의 제2 종축(252) 또는 주축과 동일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 채널(221)의 제1 종축(251)은 카테터 어댑터 본체(216)의 제2 종축(252)과 동축일 수도 있다. 더욱이, 카테터 루멘(227)의 종축은 또한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종축(251, 252)과 동축일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카테터 조립체(200)와 유사한 카테터 조립체(300)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도 3a 및 도 3b의 카테터 조립체(300)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316)의 아래쪽면(340)이 환자의 피부(1)의 표면 영역에 맞접한 상태로 환자의 혈관(2) 내에 삽입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카테터 조립체(300)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3b는 도 3a의 카테터 조립체(300)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카테터 조립체(300)는 일반적으로 카테터 어댑터 본체(316) 및 카테터(32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카테터 어댑터 본체(316)는 근위 단부(320), 원위 단부(318), 아래쪽면(340), 위쪽면(342), 및 카테터 어댑터 본체(316) 내에 형성되고 카테터 어댑터 본체(316)의 근위 및 원위 단부(320, 318) 사이에서 연장하는 카테터 어댑터 채널(321)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 본체(316)는 카테터 어댑터 채널(321)에 인접하여 카테터 어댑터 본체(316)에 결합될 수도 있는 격막(37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막(370)은 단일 부품 격막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막(370)은 다부품 격막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 본체(316)는 카테터 어댑터 채널(321)과 유체 연통할 수도 있는 액세스 포트(380)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카테터(322)는 근위 단부(326), 원위 단부(324), 및 카테터(322)의 근위 및 원위 단부(326, 324) 사이에서 연장하는 카테터 루멘(327)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322)는 말초 정맥내 카테터("PIVC")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322)의 근위 단부(326)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316)에 결합되고 그리고/또는 그 내에 고정될 수도 있어, 카테터 루멘(327)이 카테터 어댑터 본체(316) 내에 형성된 카테터 어댑터 채널(321)과 유체 연통할 수도 있게 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 채널(321)의 제1 종축(351)은 카테터 어댑터 본체(316)의 근위 및 원위 단부(320, 318) 사이에서 연장하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316)의 제2 종축(352)과 동일할 수도 있어, 카테터 어댑터 채널(321)의 제1 종축(351)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카테터 어댑터 본체(316)의 제2 종축(352)과 동축이게 된다. 더욱이, 카테터 어댑터 본체(316)의 원위 단부(318)에 근접한 카테터 루멘(327)의 종축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및 제2 종축(351, 352)과 동축일 수도 있다. 이 방식으로, 카테터 어댑터 본체(316)의 종축과 카테터 어댑터 본체(316)의 원위 단부(318)에 근접한 카테터 루멘(327)의 종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본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2개의 축이 서로 동축이기 때문에 0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 본체(316)의 아래쪽면(340)(및/또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316)의 아래쪽면(340)에 맞접하는 환자의 피부의 표면 영역)과 카테터 어댑터 채널(321)의 제1 종축(351) 사이에 형성된 각도(360)는 0도 내지 약 4도일 수도 있다. 카테터 어댑터 본체(316)의 아래쪽면(340)은 환자의 피부(1)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316)의 아래쪽면(340)에 맞접하는 환자의 피부의 표면 영역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각도(360)가 비교적 작기 때문에(예를 들어, 0도 내지 4도), 카테터(322)는 이 작은 각도(360)로 인해 그 프로파일에서 실질적인 "S" 형상 굴곡부를 나타낼 수도 있는데, 이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316)가 드레싱으로 환자의 피부에 고정될 때 카테터 어댑터 본체(316)의 원위 단부(318)가 환자의 피부로부터 이격하여 들어올려지게 할 수도 있다. 카테터(322) 내에 형성된 이러한 "S" 형상 굴곡부는 도 3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카테터(322)의 원위 단부(324)를 향해 카테터(322)의 유효 정맥내 길이(392)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환자 해부학 구조, 삽입 품질, 및 카테터 어댑터 본체 디자인과 같은 인자가 주어진 PIVC의 유효 정맥내 길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더 작은 정맥내 길이는 이탈, 정맥염, 해부학 구조-주도형 폐색(예를 들어, 카테터 팁이 정맥 벽에 고착하게 될 가능성이 더 높음) 등과 같은 합병증과 연관된다.
PIVC의 전통적인 디자인 아키텍처는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카테터 어댑터 본체의 주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 다수의 경우에 일치하여 - 카테터 루멘의 주축을 배치한다. 이 전통적인 디자인 아키텍처는 본질적으로 카테터의 사용 가능한 길이를 제한한다. 환자의 피부에 거의 평행하게 카테터를 삽입하는 것은, 카테터가 환자의 조직 내로 하향 굴곡되고, 이어서 카테터가 정맥 내에 진입할 때 한번 더 수평으로 굴곡하기 전에, 카테터 어댑터 본체 부근에서 환자의 피부와 평행하게 횡단하기 때문에, 카테터가 정맥 내의 위치에 정착할 때 "S" 형상을 취하게 한다. 이러한 "S" 형상의 상부 부분(예를 들어, 도 3a의 390 참조)은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카테터의 원위 단부를 향해 카테터의 정맥내 길이(392)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카테터의 이러한 "S" 형상 굴곡부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개선된 카테터 어댑터 디자인은 주어진 PIVC의 정맥내 길이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고 그리고/또는 최대화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환자의 혈관 내에 삽입되는 카테터에 형성된 "S" 형상 굴곡부의 상부 부분을 감소/제거하는 예시적인 카테터 조립체(400)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환자의 혈관(2) 내에 삽입된 카테터 조립체(400)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4b는 환자의 혈관(2) 내에 삽입된 도 4a의 카테터 조립체(400)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S" 형상의 상부 부분(490)이 어떻게 감소/제거되어, 카테터(422)의 원위 단부(424)를 향한 증가된 정맥내 길이(492)를 야기하는지를 주목하라.
카테터 조립체(400)는 일반적으로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 및 카테터(42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는 근위 단부(420), 원위 단부(418), 아래쪽면(440), 위쪽면(442), 및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 내에 형성되고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의 근위 및 원위 단부(420, 418) 사이에서 연장하는 카테터 어댑터 채널(421)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는 카테터 어댑터 채널(421)에 인접하여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에 결합될 수도 있는 격막(47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막(470)은 단일 부품 격막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막(470)은 다부품 격막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는 카테터 어댑터 채널(421)과 유체 연통할 수도 있는 액세스 포트(4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카테터(422)는 근위 단부(426), 원위 단부(424), 및 카테터(422)의 근위 및 원위 단부(426, 424) 사이에서 연장하는 카테터 루멘(427)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422)는 말초 정맥내 카테터("PIVC")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422)의 근위 단부(426)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에 결합되고 그리고/또는 그 내에 고정될 수도 있어, 카테터 루멘(427)이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 내에 형성된 카테터 어댑터 채널(421)과 유체 연통할 수도 있게 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 채널(421)의 제1 종축(451)은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의 제2 종축(452)과 동축이 아닐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에 근접한 카테터 루멘(427)의 적어도 일부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 내에 형성된 카테터 어댑터 채널(421)과 동축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의 제2 종축(452)은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의 주 종방향을 따라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의 근위 및 원위 단부(420, 418) 사이에서 연장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종축(452)은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의 아래쪽면(440)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종축(452)은 환자의 피부(1)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의 아래쪽면(440)과 맞접하는 환자의 피부(1)의 표면 영역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422)의 제1 종축(451) 및/또는 카테터 어댑터 채널(421)은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의 제2 종축(452)에 대해 각도(46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422) 또는 카테터 어댑터 채널(421)의 제1 종축(451)과 카테터 어댑터의 제2 종축(452),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의 아래쪽면(440), 및/또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의 아래쪽면(440)과 맞접하는 환자 피부의 표면 영역 사이에 형성된 각도(460)는 4도 초과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422) 또는 카테터 어댑터 채널(421)의 제1 종축(451)과 카테터 어댑터의 제2 종축(452),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의 아래쪽면(440), 및/또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의 아래쪽면(440)과 맞접하는 환자 피부의 표면 영역 사이에 형성된 각도(460)는 10도 초과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422) 또는 카테터 어댑터 채널(421)의 제1 종축(451)과 카테터 어댑터의 제2 종축(452),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의 아래쪽면(440), 및/또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의 아래쪽면(440)과 맞접하는 환자 피부의 표면 영역 사이에 형성된 각도(460)는 4도 초과일 수도 있고, 10도 내지 90도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422) 또는 카테터 어댑터 채널(421)의 제1 종축(451)과 카테터 어댑터의 제2 종축(452),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의 아래쪽면(440), 및/또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의 아래쪽면(440)과 맞접하는 환자 피부의 표면 영역 사이에 형성된 각도(460)는 30도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 4a 및 도 4b의 카테터(422)에 대응하는 각도(460)가 도 2 내지 도 3b의 카테터(222, 322)의 각도(260, 360)에 비해 비교적 크기 때문에(예를 들어, 10도 초과), 카테터(422)는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카테터(222, 322)와 비교하여 실질적인 "S" 형상을 나타내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카테터 조립체(300, 400)를 서로 비교하고 있는 도 5 및 도 6에서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카테터(322, 422) 사이의 상대적인 "정맥내" 길이(392, 492)를 비교하기 위해 환자의 혈관(2) 내에 삽입된 도 3a 및 도 4a의 카테터 조립체(300, 400)의 측면도이고; 도 6은 카테터(322, 422) 사이의 상대적인 "정맥내" 길이를 비교하기 위해 환자의 혈관(2) 내에 삽입된(카테터 조립체(300, 400)가 서로의 위에 중첩되어 있는 상태로) 도 3a 및 도 4a의 카테터 조립체(300, 400)의 측단면도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정맥내 길이(492)는 정맥내 길이(392)보다 4 mm 내지 8 mm 더 길 수도 있다(및/또는 8 mm보다 더 길다).
도 7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조립체(400)가 환자에게 부착되기 전의 도 4a의 카테터 조립체(400)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4a의 카테터 조립체(400)와 유사하지만, 액세스 포트(480)를 포함하는 카테터 조립체(800)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바늘 조립체(412)와 조합하여 도 4a의 카테터 조립체(400)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카테터 시스템(900)의 측단면도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늘 조립체(412)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와 제거 가능하게 결합 가능할 수도 있는 소형 디자인을 갖는 바늘 허브(428)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늘 조립체(412)는 바늘 허브(428)에 결합된 삽입기 바늘(43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삽입기 바늘(430)의 근위 단부(431)는 바늘 허브(428) 내에 고정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늘 허브(28)는 플래시 챔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삽입기 바늘(430)은 카테터 루멘(427)을 통해 연장될 수도 있고, 카테터 시스템(900)이 삽입 위치에 있고 환자(도 9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정맥 내로 삽입 준비가 되어 있을 때 삽입기 바늘(430)의 원위 단부(433)는 카테터(422)의 원위 단부(424)로부터 돌출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삽입기 바늘(430)은 카테터 어댑터 채널(421) 및 카테터 루멘(427) 내에 제거 가능하게 삽입 가능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삽입기 바늘(430)은 환자의 피부(1),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의 아래쪽면(440), 및/또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의 제2 종축(452)에 대해 10도 초과인 소정 각도로 카테터 어댑터 채널(421) 및/또는 카테터 루멘(427)으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삽입기 바늘(430)은 환자의 피부(1),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의 아래쪽면(440), 및/또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416)의 제2 종축(452)에 대해 30도인 소정 각도로 카테터 어댑터 채널(421) 및/또는 카테터 루멘(427)으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실시예" 또는 "상기 실시예"의 언급은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설명된 인용된 문구 또는 그 변형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언급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내용의 임의의 실시예, 또는 본 개시내용의 임의의 실시예의 임의의 부분(들)은 임의의 수의 상이한 방식으로 함께 조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유사하게, 실시예의 상기 설명에서, 다양한 특징은 때때로 본 개시내용을 간단화하기 위해 단일 실시예, 도면 또는 그 설명에서 함께 그룹화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개시 포맷은 임의의 청구항이 그 청구항에서 명시적으로 인용된 것보다 더 많은 특징을 요구한다는 의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오히려, 이하의 청구범위가 반영하는 바와 같이, 발명적 양태는 임의의 단일의 상기 개시된 실시예의 모든 특징보다 더 적은 수의 조합에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설명에 이어지는 청구범위는 이에 의해 이 실시예의 설명에 명시적으로 합체되고, 각각의 청구항은 그 자체로 별개의 실시예로서 자립한다. 본 개시내용은 그 종속 청구항과 독립 청구항의 모든 치환을 포함한다.
특징 또는 요소에 대해 용어 "제1"의 청구항에서의 언급은 반드시 제2 또는 부가의 이러한 특징 또는 요소의 존재를 암시하는 것은 아니다. 기능식 포맷(means-plus-function format)으로 언급된 요소는 35 U.S.C. §112 Para. 6에 따라 구성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본 원리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전술된 실시예의 상세에 변경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표준 의료 지침, 기준 평면 및 설명 용어가 본 명세서에서 채용된다. 예를 들어, 앞쪽은 신체의 전방을 향한 것을 의미한다. 뒤쪽은 신체의 후방을 향한 것을 의미한다. 위쪽은 머리를 향한 것을 의미한다. 아래쪽은 발을 향한 것을 의미한다. 내측은 신체의 중간선을 향한 것을 의미한다. 외측은 신체의 중간선으로부터 이격하는 것을 의미한다. 축방향은 신체의 중심축을 향한 것을 의미한다. 배축은 신체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격하는 것을 의미한다. 동측은 신체의 동일 측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쪽은 신체의 대향 측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시상면은 신체를 우측 부분과 좌측 부분으로 분할한다. 정중 시상면은 신체를 좌우 대칭인 우측 반부와 좌측 반부로 분할한다. 관상면은 신체를 앞부분과 뒷부분으로 분할한다. 횡단면은 신체를 위쪽 부분과 아래쪽 부분으로 분할한다. 이들 설명 용어는 생물 또는 무생물 신체에 적용될 수도 있다.
문구 "~에 연결된", "~에 결합된", "~과 맞물린" 및 "~과 통신하는"은 기계적, 전기적, 자기적, 전자기적, 유체 및 열적 상호 작용을 포함하여, 2개 이상의 엔티티 사이의 임의의 형태의 상호 작용을 나타낸다. 2개의 구성요소는 이들이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않더라도 기능적으로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용어 "맞접"은 서로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하는 아이템을 나타내지만, 아이템들은 반드시 함께 부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문구 "유체 연통"은 하나의 특징부 내의 유체가 다른 특징부 내로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2개의 특징부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은 "동일"하거나, 서로로부터 약 + 또는 -10%의 상대 분산 이내를 의미한다.
단어 "예시적"은 본 명세서에서 "예, 사례 또는 예시로서 역할을 하는"을 의미하는 데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것으로서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는 반드시 다른 실시예에 비해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의 다양한 양태가 도면에 제시되어 있지만, 도면은 구체적으로 지시되지 않으면 반드시 실제 축척대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 및 용례가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정확한 구성 및 구성요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인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변형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 및 시스템의 배열, 동작 및 상세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술된 모든 예 및 조건 언어는 독자가 관련 기술분야를 발전시키는 데 본 발명자에 의해 기여된 발명 및 개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교육학적 목적으로 의도된 것이고, 이러한 구체적으로 상술된 예 및 조건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여기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카테터 조립체이며,
    카테터 어댑터 본체로서,
    근위 단부;
    원위 단부;
    아래쪽면;
    위쪽면; 및
    카테터 어댑터 본체 내에 형성된 카테터 어댑터 채널을 포함하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 및
    카테터로서,
    근위 단부;
    원위 단부;
    카테터의 근위 및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카테터 루멘을 포함하고,
    카테터의 근위 단부는 카테터 루멘이 카테터 어댑터 채널과 유체 연통하도록 카테터 어댑터 본체에 결합되고;
    카테터 어댑터 본체의 아래쪽면과 카테터 어댑터 채널의 제1 종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4도 초과인,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카테터 어댑터 본체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의 근위 및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제2 종축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종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10도 초과인, 카테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종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10도 내지 90도인, 카테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종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30도인, 카테터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카테터 어댑터 본체에 근접한 카테터 루멘의 적어도 일부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 내에 형성된 카테터 어댑터 채널과 동축인, 카테터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카테터 어댑터 채널에 인접하여 카테터 어댑터 본체에 결합된 격막을 더 포함하고, 격막은:
    단일 부품 격막; 및
    다부품 격막 중 하나를 포함하는, 카테터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카테터 어댑터 본체는 카테터 어댑터 채널과 유체 연통하는 액세스 포트를 더 포함하는, 카테터 조립체.
  8. 카테터 어댑터이며,
    카테터 어댑터 본체로서,
    근위 단부;
    원위 단부;
    아래쪽면; 및
    위쪽면을 포함하는, 카테터 어댑터 본체; 및
    카테터 어댑터 본체 내에 형성된 카테터 어댑터 채널을 포함하고,
    카테터 어댑터 본체의 아래쪽면은 환자 피부의 표면 영역과 맞접하도록 구성되고;
    환자 피부의 표면 영역과 카테터 어댑터 채널의 종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4도 초과인, 카테터 어댑터.
  9. 제8항에 있어서, 환자 피부의 표면 영역과 카테터 어댑터 채널의 종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10도 초과인, 카테터 어댑터.
  10. 제9항에 있어서, 환자 피부의 표면 영역과 카테터 어댑터 채널의 종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10도 내지 90도인, 카테터 어댑터.
  11. 제10항에 있어서, 환자 피부의 표면 영역과 카테터 어댑터 채널의 종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30도인, 카테터 어댑터.
  12. 제8항에 있어서, 카테터 어댑터 채널에 인접하여 카테터 어댑터 본체에 결합된 격막을 더 포함하는, 카테터 어댑터.
  13. 제12항에 있어서, 격막은:
    단일 부품 격막; 및
    다부품 격막 중 하나를 포함하는, 카테터 어댑터.
  14. 제8항에 있어서, 카테터 어댑터 본체는 카테터 어댑터 채널과 유체 연통하는 액세스 포트를 더 포함하는, 카테터 어댑터.
  15. 카테터 시스템이며,
    카테터 어댑터로서,
    근위 단부;
    원위 단부;
    아래쪽면;
    위쪽면; 및
    카테터 어댑터 내에 형성된 카테터 어댑터 채널을 포함하는, 카테터 어댑터,
    카테터로서,
    근위 단부;
    원위 단부;
    카테터의 근위 및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카테터 루멘을 포함하고,
    카테터의 근위 단부는 카테터 루멘이 카테터 어댑터 채널과 유체 연통하도록 카테터 어댑터에 결합되고;
    카테터는 제1 종축을 포함하고;
    카테터 어댑터는 카테터 어댑터의 주 종방향을 따라 카테터 어댑터의 근위 및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제2 종축을 포함하고;
    제2 종축은 카테터 어댑터의 아래쪽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카테터의 제1 종축과 카테터 어댑터의 제2 종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4도 초과인, 카테터; 및
    바늘 조립체로서,
    바늘 허브; 및
    바늘 허브에 결합된 삽입기 바늘을 포함하고,
    삽입기 바늘은 카테터 어댑터 채널 및 카테터 루멘 내에 제거 가능하게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바늘 조립체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카테터의 제1 종축과 카테터 어댑터의 제2 종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10도 초과인, 카테터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카테터의 제1 종축과 카테터 어댑터의 제2 종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10도 내지 90도인, 카테터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카테터의 제1 종축과 카테터 어댑터의 제2 종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30도인, 카테터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카테터 어댑터에 근접한 카테터 루멘의 적어도 일부는 카테터 어댑터 내에 형성된 카테터 어댑터 채널과 동축인, 카테터 시스템.
  20. 제15항에 있어서, 카테터 어댑터 채널에 인접하여 카테터 어댑터에 결합된 격막을 더 포함하고, 격막은:
    단일 부품 격막; 및
    다부품 격막 중 하나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KR1020227005162A 2019-08-20 2020-08-18 카테터 어댑터 KR202200477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89375P 2019-08-20 2019-08-20
US62/889,375 2019-08-20
US16/993,062 2020-08-13
US16/993,062 US11771882B2 (en) 2019-08-20 2020-08-13 Catheter adapters
PCT/US2020/046833 WO2021034845A1 (en) 2019-08-20 2020-08-18 Catheter adapt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774A true KR20220047774A (ko) 2022-04-19

Family

ID=74646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5162A KR20220047774A (ko) 2019-08-20 2020-08-18 카테터 어댑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771882B2 (ko)
EP (1) EP4017567A1 (ko)
JP (1) JP2022545473A (ko)
KR (1) KR20220047774A (ko)
CN (2) CN212631345U (ko)
AU (1) AU2020335003A1 (ko)
BR (1) BR112022003135A2 (ko)
CA (1) CA3146752A1 (ko)
MX (1) MX2022001026A (ko)
WO (1) WO20210348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21406A1 (en) * 2022-04-06 2023-10-1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Vascular access device having a phosphorescent featur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6671A (en) * 1989-07-24 1995-10-10 Bierman; Steven F. Catheter anchoring system
US9168163B2 (en) * 2010-02-18 2015-10-27 P Tech, Llc Anatomic needle system
WO2011157638A1 (en) * 2010-06-18 2011-12-22 F. Hoffmann-La Roche Ag Infusion site interfaces and insertion devices for infusion site interfaces
US9233230B2 (en) * 2011-09-09 2016-01-12 Nordic Med-Com Ab Catheter introducer assembly
WO2014134248A1 (en) 2013-02-28 2014-09-04 Catudal P Janice Peripheral catheter
US11224720B2 (en) 2015-09-09 2022-01-18 B. Braun Melsungen Ag Infusion systems, connectors for use with catheter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10786650B2 (en) 2015-10-28 2020-09-2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atheter adapter providing catheter kink resistance
EP4309724A3 (en) * 2016-02-18 2024-04-17 Smiths Medical ASD, Inc. Closed system catheter
CA3022387A1 (en) * 2016-04-29 2017-11-02 Smiths Medical Asd, Inc. Subcutaneous insertion systems,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11278705B2 (en) 2017-05-04 2022-03-2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ntravenous catheter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46752A1 (en) 2021-02-25
BR112022003135A2 (pt) 2022-05-17
US11771882B2 (en) 2023-10-03
JP2022545473A (ja) 2022-10-27
CN212631345U (zh) 2021-03-02
WO2021034845A1 (en) 2021-02-25
EP4017567A1 (en) 2022-06-29
CN112402722A (zh) 2021-02-26
AU2020335003A1 (en) 2022-03-24
MX2022001026A (es) 2022-02-23
US20210052879A1 (en) 202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5551B2 (en) Neonatal and pediatric catheter system
ES2872274T3 (es) Sistema para aumentar la rigidez y la resistencia a enganche de una punta de catéter
JP7418440B2 (ja) カテーテル安定化プラットホーム、システム及び、方法
CN217067263U (zh) 血管通路器械推进装置
US20050137580A1 (en) Catheter button hub
KR20220047774A (ko) 카테터 어댑터
JP2023534831A (ja) 血管アクセス器具および関連デバイスならびに方法
CN212090487U (zh) 导管组件
US11612723B2 (en) Needle cover retention
MX2022008672A (es) Cateter que tiene un puerto especifico para la coleccion de sangre y metodos relacionados.
JP2022545736A (ja) 小児治療のためのカテーテルシステム
US20230065503A1 (en) Integrated Catheter with Needle-Free Connector
CN212090477U (zh) 导管系统和连接器支承装置
JP2023520011A (ja) 小児用カテーテルシステムおよび関連機器および方法
CN211835732U (zh) 导管组件
US20230166086A1 (en) Integrated Catheter with Stabilized Near-Patient Port Extension Set Architecture
US20220379088A1 (en) Catheter assembly having a septum
CN220459760U (zh) 集成式静脉内导管系统和无针连接器
KR102213149B1 (ko) 혈관 확인이 용이한 정맥카테터
KR20210149709A (ko) 다수-사용 혈액 제어 카테터 조립체
KR20210005856A (ko) 경질 원위 팁을 갖는 카테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