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7139A - 환기 후드 - Google Patents

환기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7139A
KR20220047139A KR1020210079646A KR20210079646A KR20220047139A KR 20220047139 A KR20220047139 A KR 20220047139A KR 1020210079646 A KR1020210079646 A KR 1020210079646A KR 20210079646 A KR20210079646 A KR 20210079646A KR 20220047139 A KR20220047139 A KR 20220047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anel
ventilation hood
ai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나리 히로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7/478,26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113035A1/en
Priority to PCT/KR2021/012762 priority patent/WO2022075633A1/en
Publication of KR20220047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1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64Removing cooking fumes illumination for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가열조리기의 위에 전자 레인지 등의 하우징이 마련되어 있는 주방에 있어서, 환기 후드의 포집 효율을 종래보다 향상시키며 연기 등을 가급적 모두 포집할 수 있도록 한다.
가열조리기의 위쪽에 마련되어 있으며, 하면에 공기 흡입구를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마련되어 있으며 공기 흡입구로 공기를 유도하는 송풍기와, 하우징의 아래쪽에 마련되어 있으며 하우징의 하부면과 그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패널을 구비하여, 송풍기가 동작함으로써 유로의 상류측 개구의 전방측에 부압이 발생하도록 패널을 배치했다.

Description

환기 후드{VENTILATION HOOD}
개시하는 기술은 환기 후드에 관한 것이다.
가열조리기 위에는 조리 중에 발생하는 열기, 증기, 유연(油煙), 냄새 등(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이들을 총칭해서 연기 등이라 함)을 환기하기 위한 환기 후드가 마련되어 있다. 하지만, 최근 주방에는 가열조리기 위에 예를 들어, 전자 레인지 등 다른 조리기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주방의 환기 후드로는 전자 레인지의 하우징 하면에 마련된 공기 흡입구와, 예를 들어 하우징 내에 마련된 팬을 구비하여, 팬을 동작시킴으로써 연기 등을 공기 흡입구에 유인하고 하우징의 내부를 통과시켜 배기하도록 구성된 것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하우징 내에는 조리실로서의 공간을 최대한 크게 하거나, 제어기기 등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연기 등의 유로가 좁아져 충분한 흡입 풍량을 얻기 어렵다.
팬의 회전수를 높여 흡입 풍량을 늘릴 수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 내의 유로가 좁기 때문에 실제로는 흡입 풍량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은 어려우며, 그뿐만 아니라 소비 전력이나 소음이 커지는 등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대해, 환기 후드의 포집 효율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하면과 그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패널을 구비한 것이 있다.
하지만, 연기 등이 패널 바로 아래에서 발생하고 있는 경우, 이 연기 등을 패널과 하우징의 하면 사이의 유로로 유인할 수는 있지만, 예를 들어 조리 중 냄비 등이 패널보다 전방측(앞쪽)에 있는 경우 등, 연기가 패널보다 바깥 측에서 날아오르면, 그 가운데 일부는 포집되지 않고 실내에 확산돼버려 실내 환경의 쾌적성이 나빠진다.
일본 특개 2008-082634호 공보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가열조리기 위에 전자 레인지 등이 마련되어 있는 주방에 있어서, 환기 후드의 포집 효율을 종래보다 향상시키며 연기 등을 가급적 모두 포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주된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환기 후드는 가열조리기의 위쪽에 마련되어 있으며, 하면에 공기 흡입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흡입구로 공기를 유도하는 송풍기와, 상기 하우징의 아래쪽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면과 그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패널을 구비하여, 상기 송풍기가 동작함으로써, 상기 유로의 상류측 개구의 전방측에 부압이 발생하도록 상기 패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때, 여기서 말하는 "상류측 개구의 전방측"이란은 상류측 개구가 전방측을 향하고 있으면 그 상류측 개구보다 더 앞쪽의 공간이며, 상류측 개구가 측방을 향하고 그 측방의 상류측 개구보다 더 측방의 공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환기 후드에 의하면, 패널이 유로의 상류측 개구의 전방측에 부압이 발생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연기 등이 패널보다 바깥 측에서 날아올라도 그 연기 등을 부압에 의해 유로에 끌어들일 수 있기 때문에, 가열조리기 위에 하우징이 마련된 주방에서도 연기 등을 가급적 모두 포집할 수 있다.
가급적 모든 연기 등을 포집하기 위한 부압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패널의 상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하면까지 높이 방향에 따른 거리가 100mm 이하이며, 특히 5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구체적인 실험 데이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패널이 하우징의 전면보다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패널이 요리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패널에 의해 조리가 방해하지 않으며 상술한 부압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패널의 선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전면보다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상기 패널의 선단부까지 전후 방향에 따른 거리가 10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이면, 패널이 요리하는데 방해되지 않으며 연기 등의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급적 모든 연기 등을 포집하기 위한 부압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패널의 선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전면보다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상기 패널의 선단부까지 전후 방향에 따른 거리가 10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구체적인 실험 데이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유로의 상류측 개구에 소비자의 손가락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공기의 흡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유로의 상류측 개구에 격자 모양의 그릴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기 흡입구에서 흡입한 공기를 실내로 유출되는 공기 유출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공기 유출구를 연통하는 유로에 탈취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이면, 연기 등의 냄새에 의한 실내 환경의 쾌적성을 해치지 않으며 포집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상기 유로의 상류측 개구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어 있는 구성도 예로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가열조리기와는 다른 조리기를 구성하는 있는 형태를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용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발휘되는 형태로서, 상기 조리기가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터치 패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이면, 본 발명에 의한 연기 등의 포집 효율 향상 효과로 인해 터치 패널의 조작성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용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발휘되는 또 다른 형태로서, 상기 조리기가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이면, 본 발명에 의한 연기 등의 포집 효율 향상 효과에 의해, 예를 들어 송풍기로서 소형 모터를 이용하거나, 송풍기의 회전수를 낮추더라도 연기 등을 가급적 모두 포집 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보다 소음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져 음성 인식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열조리기 위에 하우징이 마련되어 있는 주방에 있어서, 환기 후드의 포집 효율을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연기 등을 가급적 모두 포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 후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 후드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 후드의 내부 구조의 일부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하우징의 전면에서 패널의 선단부까지 전후 방향에 따른 거리(X)와 배기 누출 개선율 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b는 하우징의 전면에서 패널의 선단부까지 전후 방향에 따른 거리(X)를 나타내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누출량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상술한 거리(X)와 배기 누출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a는 패널의 상면에서 하우징의 하면까지 높이 방향에 따른 거리(Y)를 배기 누출 개선율 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b는 패널의 상면에서 하우징의 하면까지 높이 방향에 따른 거리(Y)를 나타내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환기 후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환기 후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하, 개시하는 환기 후드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환기 후드(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조리기(101)의 위쪽에 마련되어 있으며, 조리 중에 발생하는 연기 등을 환기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가열조리기(101)는 윗면에 식재료 등을 수용하는 냄비나 프라이팬 등의 가열대상물이 놓여지는 가열부(H)를 구비하고 있다. 가열부(H)는 한 개일 수도 있고 복수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가열 방법은 가스, 전기 히터, 전자유도가열장치 등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가열부(H)가 마련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H)는 환기 후드(100)보다 전방측(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가열조리기(101)의 위쪽에 전자 레인지(102)가 마련되어 있다. 전자 레인지(102)의 구성이나 기능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례로 전자 레인지(102)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패널이 전면 등에 마련된 것이나, 음성 인식 기능을 있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반드시 가열조리기(101)의 위쪽에 전자 레인지(102)가 마련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다른 조리기(調理器)가 마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환기 후드(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조리기(101)의 위쪽에 마련된 하우징(10)과, 하우징(10) 내에 마련된 송풍기(20)와, 하우징(10)의 아래쪽에 마련된 패널(30)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는 상술한 전자 레인지(102)의 조리실을 구성하는 것으로, 그 하면에 공기 흡입구(10a)가 형성되는 동시에, 예를 들어 위쪽의 배면부에 공기 유출구(10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하우징(10)의 내부에는 공기 흡입구(10a) 및 공기 유출구(10b)를 연통시키는 내부 유로(10c)가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내부 유로(10c)는 조리실이나 하우징(10) 내에 마련된 제어 장치(미도시) 등을 피해서 형성되어 있다.
송풍기(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 유로(10c)에 마련되어 있으며, 모터를 동력원으로 한다. 따라서, 이 송풍기(20)가 동작함으로써, 조리 중 발생하는 연기 등이 상술한 공기 흡입구(10a)로 유도 흡입되고, 하우징(10)의 내부 유로(10c)를 통과하여 공기 유출구(10b)에서 배출된다. 이 때, 여기에서는 공기 유출구(10b)에 덕트 부재(T)가 연결되어 있어서, 연기 등이 덕트 부재(T)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한다.
패널(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 하면과 그 사이에 연기 등이 이동하는 유로(L)를 형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평판 형상일 수 있다. 이 패널(30)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전방측(앞쪽)에 위치하는 전방부(30a)와 전방부(30a)의 후방측(뒤쪽)에 배치되는 폐쇄부(30b)를 포함할 수 있다. 폐쇄부(30b)는 적어도 상술한 공기 흡입구(10a)에 커버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폐쇄부(30b)의 우측(오른쪽), 좌측(왼쪽)에는 개방부(30c)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부(30c)는 하우징(10)의 하면에 마련된 조명부(10d)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 패널은 조명부(10d)를 가리지 않는 형상을 하고 있다. 이 때, 패널(3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장방형,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하더라고 상관 없다.
패널(30)의 상면과 하우징(10)의 하면 사이에 형성된 유로(L)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앞쪽), 우측(오른쪽), 좌측(왼쪽), 및 후방측(뒤쪽) 각각으로부터 연기 등이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유입된 연기 등을 상술한 공기 흡입구(10a)로 유도하는 것이다. 즉, 이 유로(L)는 상류측 개구(La)가 사방을 향해 각각 개구되어 있으며, 하류측이 공기 흡입구(10a)에 연통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예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을 향해 개구되는 상류측 개구(La)에 소비자의 손가락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 상류측 개구(La)에 격자 모양의 그릴(40)이 마련되어 있다. 이 때, 그릴(40)은 분리 가능하며, 예를 들어 상류측 개구(La)의 위치가 높고 안전성이 확보되어 있는 경우 등이라면, 그릴(40)을 제거하더라도 상관 없다.
한편, 본 실시 예의 패널(30)은 상술한 송풍기(20)가 동작함으로써, 유로(L)의 상류측 개구(La)의 앞쪽에 부압이 발생하도록 패널(30)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상류측 개구(La)의 앞쪽"이란 전방측을 향해 개구되는 상류측 개구(La)에 대해 좀 더 앞쪽의 공간이며, 측방을 향해 개구되는 상류측 개구(La)에 대해 좀 더 옆쪽의 공간이다.
도 4a에 도시한 그래프는 하우징(10)의 전면에서 패널(30)의 선단부까지 전후 방향에 따른 거리(X)와, 배기 누출 개선율 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하우징(10)의 전면에서 패널(30)의 선단부까지 전후 방향에 따른 거리(X)는 도 4b의 모식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여기서, 배기 누출 개선율이란 환기 후드(100)를 온(On)한 경우 전면에서의 누출량(Zon)과, 환기 후드(100)를 오프(Off)한 경우 전면에서의 누출량(Zoff) 간의 비율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래의 계산식에 의해 산출된다.
배기 누출 개선율(%) = (1 - Zon / Zoff) Х 100
여기에서, 누출량(Zon, Zoff)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가열조리기(101)의 위쪽에서 평면 형상의 레이저 광(LS)을 사출하는 동시에, 이 평면 형상의 레이저 광(LS)을 통과하는 연기 등을 촬영하고, 그 화상을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도 4a에 도시한 그래프의 상관 관계에서 알 수 있듯이, 패널(30)의 선단부가 하우징(10)의 전면보다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는 구성에서는 거리(X)가 100mm를 초과하는 경우 나아가, 패널(30)의 선단부가 하우징(10)의 전면보다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는 구성에서는 거리(X)가 -10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배기 누출 개선율이 감소하여 50%를 하회한다. 이것은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30)의 선단부가 하우징(10)의 전면보다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는 구성에서는 거리(X)가 커지면 커질수록, 연기 등을 흡인하기 위한 부압 영역이 아래쪽으로 이동해버리기 때문에, 배기 누출이 발생해 버린다. 또한, 패널(30)의 선단부가 하우징(10)의 전면보다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는 구성에서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에 충돌시킨 연기 등을 우회시켜 흡인하지만, 저압 영역에서 벗어난 영역에서는 배기 누출이 발생해 버리는 것이 요인이다.
이 때문에 패널(30)의 선단부가 하우징(10)의 전면보다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는 본 실시 예의 구성에서는 거리(X)를 100mm 이하로 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거리(X)를 0mm, 즉 하우징(10)의 전면과 패널(30)의 전면을 동일 면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류측 개구(La)의 앞에서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연기를 우회시켜 흡인 누출을 억제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거리(X)를 0mm로 함으로써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속 흡인에 의한 흡인 누출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패널(30)의 선단부가 하우징(10)의 전면보다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는 구성에서는 거리(X)가 100mm를 초과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배기 누출이 발생하며, 나아가 패널(30)이 조리하는데 방해가 된다. 이 때문에 패널(30)의 선단부가 하우징(10)의 전면보다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는 구성에서는 거리(X)가 10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7a에 도시한 그래프는 패널(30)의 상면에서 하우징(10)의 하면까지 높이 방향에 따른 거리(Y)와 흡인 풍속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패널(30)의 상면에서 하우징(10)의 하면까지 높이 방향에 따른 거리(Y)는 도 7b의 모식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이 상관 관계에서 알 수 있듯이, 거리(Y)가 100mm 이상인 경우 패널이 없을 때의 흡입 풍속과 동일해져 부압 형성이 곤란한 상태가 된다. 한편, 패널과의 거리(Y)가 100mm에서 작아질수록 흡인 풍속이 증가하여 유로(L)의 상류측 개구(La)의 앞쪽에 부압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거리(Y)를 100mm 이하, 바람직하게는 50mm 이하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환기 후드(100)에 의하면, 패널(30)이 유로(L)의 상류측 개구(La)의 전방측에 부압이 발생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연기 등이 패널(30)보다 바깥 측에서 날아오른다 하더라도 이 연기 등을 부압에 의해 유로(L)로 끌어들일 수 있어서, 가열조리기(101) 위쪽에 하우징(10)이 마련된 주방에서도 가급적 모든 연기 등을 포집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전면에서 패널(30)의 선단부까지 전후 방향에 따른 거리(X)를 -80mm ~ 20mm로 함으로써 도 4a에 도시한 와 같이 80% 이상의 배기 누출 개선율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본 실시 예에서는 거리(X)를 0mm로 하고 있기 때문에 90% 이상의 배기 누출 개선율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개시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예의 환기 후드(100)는 거리(X)가 100mm 이하이고, 또한 거리(Y)가 100mm 이하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환기 후드(100)로는 거리(X)가 100mm 이하, 혹은 거리(Y)가 100mm 이상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는 연기 등을 실외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흡입구(10a) 및 공기 유출구(10b)를 연통시키는 유로(L)에 탈취부(50)가 마련되어 있어서 흡입한 연기 등을 탈취하여 실내에 돌려보내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30)의 상면과 하우징(10)의 하면 사이에 형성된 유로(L)가 하우징(10) 안에 까지 연장되어 있어서, 그 유로(L)의 상류측 개구(La)가 하우징(1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그 외,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환기 후드
101 ... 가열조리기
H ··· 가열부
102 ... 전자 레인지
10 ... 하우징
10a ... 공기 흡입구
10b ... 공기 유출구
10c ... 내부 유로
10d ... 조명부
20 ... 송풍기
30 ... 패널
30a ... 전방부
30b ... 폐쇄부
30c ... 개방부
L ... 유로
La ... 상류측 개구
T ... 덕트 부재
40 ... 그릴
LS ... 레이저 광
50 ... 탈취부

Claims (17)

  1. 가열조리기의 위쪽에 마련되고 하면에 공기 흡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며, 상기 공기 흡입구로 공기를 유도하는 송풍기;및
    상기 하우징의 아래쪽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면과 그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기가 동작함에 따라 공기가 상기 유로의 상류측 개구의 전방측으로부터 상기 유로로 흡입되도록, 상기 패널은 간격을 두고 상기 공기 흡입구와 마주하여 상기 공기 흡입구를 커버하는 환기 후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전방부와 상기 전방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를 커버하는 폐쇄부와 상기 폐쇄부의 우측과 좌측에 배치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부는 상기 폐쇄부의 폭보다 큰 폭을 형성하는 환기 후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가열조리기로부터 위로 이동하는 공기가 상기 패널의 바깥 테두리를 우회하여 상기 패널의 전방측, 우측, 좌측, 및 후방측 각각으로부터 상기 유로로 유입되도록 상기 공기 흡입구를 커버하는 환기 후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상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하면까지 높이 방향에 따른 거리가 100mm 이하인 환기 후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선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보다 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상기 패널의 선단부까지 전후 방향에 따른 거리가 100mm 이하인 환기 후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선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보다 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상기 패널의 선단부까지 전후 방향에 따른 거리가 100mm 이하인 환기 후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전자레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레인지의 하면에 상기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환기 후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상류측 개구에 분리 가능한 격자 모양의 그릴이 형성되어 있는 환기 후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기 흡입구에서 흡입한 공기를 실내로 유출하는 공기
    유출구와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유출구를 연통시키는 내부 유로를 더 포함하는 환기 후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출구에 덕트 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내부 유로에 탈취부를 포함하는 환기 후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상류측 개구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되는 환기 후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열조리기와는 별도의 조리기를 포함하는 환기 후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는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환기 후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는 음성 인식 기능을 포함하는 환기 후드.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환기 후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개방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부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환기 후드.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환기 후드.
KR1020210079646A 2020-10-08 2021-06-18 환기 후드 KR2022004713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478,265 US20220113035A1 (en) 2020-10-08 2021-09-17 Ventilation hood
PCT/KR2021/012762 WO2022075633A1 (en) 2020-10-08 2021-09-17 Ventilation h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70703A JP2022062586A (ja) 2020-10-08 2020-10-08 換気フード
JPJP-P-2020-170703 2020-10-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139A true KR20220047139A (ko) 2022-04-15

Family

ID=81211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646A KR20220047139A (ko) 2020-10-08 2021-06-18 환기 후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2062586A (ko)
KR (1) KR2022004713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2634A (ja) 2006-09-28 2008-04-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ンジフー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2634A (ja) 2006-09-28 2008-04-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ンジフ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62586A (ja)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8589A (en) Low moisture/closed door broil oven ventilation system
JP5911430B2 (ja) 排気装置
US20040231657A1 (en) Kitchen ventilation hood
KR100739156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101263519B1 (ko)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KR100565222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 안내장치
US20060011622A1 (en) Microwave having a top vent
JP2018084382A (ja) レンジフード
US3328560A (en) Recirculating venting system for domestic oven
KR20110012038U (ko) 보조 흡입구가 구비된 주방용 레인지 후드 장치
KR20220047139A (ko) 환기 후드
CN210399023U (zh) 一种带烹饪装置的集成灶
KR20180002040A (ko) 하방배기형 후드장치
US20220113035A1 (en) Ventilation hood
JP6671513B2 (ja) 加熱調理器、換気システム及び排気方法
WO2015057072A1 (en) Kitchen air extraction canopy having a cavity with air guiding and directing delimiting wall
JP2003097838A (ja) レンジフードファン
CN209877015U (zh) 一种带烹饪装置的集成灶
KR100705098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100595568B1 (ko) 레인지용 후드
JP2003240299A (ja) レンジフードファン
CN111503672A (zh) 一种带有烹饪装置的集成灶
JP4792990B2 (ja) 換気システム
CN218936440U (zh) 集成灶
NL2005384C2 (en) Cooker hood and method of ventilating a kitch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