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6528A - 서버, 차량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 Google Patents

서버, 차량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6528A
KR20220046528A KR1020220038732A KR20220038732A KR20220046528A KR 20220046528 A KR20220046528 A KR 20220046528A KR 1020220038732 A KR1020220038732 A KR 1020220038732A KR 20220038732 A KR20220038732 A KR 20220038732A KR 20220046528 A KR20220046528 A KR 20220046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data
vehicle
emergency
ac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6559B1 (ko
Inventor
김대원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4609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82185B1/ko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KR1020220038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559B1/ko
Publication of KR20220046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6528A/ko
Priority to KR1020230040309A priority patent/KR1026466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G06Q50/30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6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larm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서버의 긴급 상황 알림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법은 차량의 긴급 상황 이벤트 발생시, 차량에 대한 차량용 단말로부터 긴급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차량용 단말에 대하여 긴급 상황 취소용 대기 카운트를 시작하는 단계, 긴급 상황 취소용 대기 카운트가 종료될 때까지 긴급 상황에 대한 취소가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따라 긴급 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긴급 상황으로 판단되면, 수신된 긴급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긴급 신고 기관으로 차량의 긴급 상황에 대한 신고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버, 차량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SERVER, 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아래의 설명은 차량 운행 상태를 통합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은 2018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이다(No.R0113-17-002, 차량ICT 기반 긴급구난체계(e-Call) 표준 및 차량 단말기 개발).
자동차 분야에 정보통신 기술이 융합되면서 각 차량의 운행 정보나 사고 기록 정보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차량 관리 기술의 일례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08122호(공개일 2005년 1월 21일)에는 GPS 위성으로부터 소정시간마다 GPS 정보를 입력 받아 차량의 현재 위치를 생성하여 위치 정보 저장기에 저장하고 소정의 목적지에 도착하면 현재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차량 운행에 반영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최근에는 차량 운행 중 이용되는 블랙박스, 내비게이션,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전장품에 도입되는 IT 기술이 고도화 되면서 그에 적절한 차량과의 연결(connectivity)을 통한 새로운 기능 구현을 요구하고 있다.
차량의 운행 리포트나, 주차 충격 혹은 긴급 상황 등을 포함한 차량 운행 상태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서버에서 수행하는 차량 통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차량에 장착 또는 내장된 차량용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운행 상태와 관련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 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연계하여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를 기초로 운행 리포트와 주차 충격 알림 및 사고 상황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합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단말에서는 속도 정보가 포함된 GPS 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운행 리포트를 위해 상기 차량용 단말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된 상기 GPS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거리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단말과 접속되면 상기 서비스에 필요한 데이터의 종류와 전송 주기를 포함한 통신 환경 설정 정보(configuration)를 상기 차량용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단말에서는 상기 통신 환경 설정 정보를 통해 정해진 주기로 정해진 종류의 차량 운행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상시 모드에서는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의 전송 주기를 다른 모드보다 짧게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단말에서는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상시 모드에서 과속 이벤트, 급가속 이벤트, 급제동 이벤트, 급회전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되는 시점에 해당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각 이벤트 별로 누적된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평가된 운행 리포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단말에서는 주차 모드에서 충격 이벤트가 감지되는 시점에 상기 충격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충격 이벤트에 대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차 충격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주차 충격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용 단말로부터 상기 충격 이벤트가 감지된 시점의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주차 충격 알림과 함께 상기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단말에서는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상시 모드에서 사고 발생 이벤트가 감지되는 시점에 상기 사고 발생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고 발생 이벤트에 대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된 비상 연락처로 사고 상황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고 상황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고 발생 이벤트에 대해 긴급 상황 알림 취소가 가능한 소정 시간 동안 대기 카운트를 시작하고 상기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긴급 상황 알림 취소를 위한 사용자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대기 카운트가 종료된 이후에 상기 사고 상황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고 상황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고 발생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고 상황이 발생된 위치와 시간, 사고 상황의 종류, 사고 상황 발생 직전의 속도, 충격 크기 중 적어도 하나의 세부 정보를 포함한 상기 사고 상황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사용자 단말과 결합되어 차량 통합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차량 통합 관리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차량에 장착 또는 내장된 차량용 단말과 연결되면 상호 간에 식별 정보를 교환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상기 차량용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서버로부터 상기 서버에서 상기 차량용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차량의 차량 운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공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버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지도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지오 펜싱(Geo-fencing) 구역에 대한 설정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제공하는 상기 지오 펜싱 구역에 대한 알림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중심 위치와 반경을 선택하여 지오 펜싱 구역을 지정하는 기능, 지오 펜싱 구역에 대한 알림 종류를 설정하는 기능, 지오 펜싱 구역에 대한 알림의 반복 주기와 시간대 또는 유효 기간을 설정하는 기능, 지오 펜싱 구역 리스트를 제공하고 리스트의 항목을 편집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차량에 대한 운행 리포트의 조회 요청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서버에서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평가된 운행 리포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버에서 상기 차량용 단말로부터 주차 충격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제공하는 주차 충격 알림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용 단말에서 상기 주차 충격 이벤트가 감지된 시점에 제공한 영상을 상기 주차 충격 알림과 함께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량 통합 관리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버에서 상기 차량용 단말로부터 사고 발생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사고 상황 알림을 전송하기 위한 비상 연락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량 통합 관리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차량용 단말 중 하나 이상의 차량용 단말을 선택하여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서버의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차량에 장착 또는 내장된 차량용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운행 상태와 관련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차량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 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처리하고, 상기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연계하여 상기 차량 운행 데이터를 기초로 운행 리포트와 주차 충격 알림 및 사고 상황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량의 운행 리포트나, 주차 충격 혹은 긴급 상황 등을 포함한 차량 운행 상태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차량 운행 상태를 보다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차량 운행 상태에 대응되는 조치를 더욱 적절하고 신속하게 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및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용 단말과 서비스 서버 간의 기본 통신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차량 위치 확인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오 펜싱(Geo-fencing)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운행 리포트 발행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주차 충격 알림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긴급 상황 알림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운행 중인 차량의 상태를 통합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것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은 차량 운행 상태를 관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 충돌 등 위험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확성, 신속성, 효율성, 편의성, 비용 절감 등의 측면에 있어서 상당한 장점들을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 사용자 단말(120), 차량용 단말(130), 및 네트워크(14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차량 운전자인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로,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태블릿(tablet) PC,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120)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40)를 통해 차량용 단말(130) 및/또는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과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과 관련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단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20)은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용 단말(13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단말로, 차량에 장착 또는 내장된 전자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차량용 단말(130)은 차량 출고 시점에 차량 제조사에 의해 차량에 장착 또는 내장된 OE(OEM Pre-Installed) 단말, 혹은 차량 출고 후 차량 운전자가 개별적으로 장착 또는 내장한 AM(After Market) 단말일 수 있다. 차량용 단말(130)의 예를 들면, 블랙박스, 내비게이션, VSM(Vehicle Status Monitoring) 단말 등이 있다. 그리고, 차량용 단말(130)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40)를 통해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120)과 통신할 수 있다.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은 사용자 단말(120) 및/또는 차량용 단말(130)과 네트워크(14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클라이언트(client)인 사용자 단말(120)을 대상으로 차량 통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역할을 한다.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들을 실행할 수 있다. 특히,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은 사용자 단말(120) 및/또는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가공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일례로 차량 운행 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차량 운행 상태에 대응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일례로,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은 사용자 단말(120) 및/또는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 통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10), 및 사용자 단말(120)로 차량 통합 관리 서비스와 관련된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을 전송하기 위한 푸시 서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와 푸시 서버(20)는 통합된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되거나, 혹은 별개의 시스템으로 구현되어 상호 연동하는 형태로 동작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서버(10)와 푸시 서버(20)와 별개의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은 서버 컴퓨터에 해당되는 것으로, 서버 컴퓨터의 예로는 서버 컴퓨팅 디바이스, 개인용 컴퓨터, 서버 컴퓨터, 일련의 서버 컴퓨터들, 미니 컴퓨터, 및/또는 메인프레임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 컴퓨터는 분산형 시스템일 수 있고, 그리고 서버 컴퓨터의 동작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상에서 동시에 그리고/또는 순차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일례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12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에 접속하여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이 제공하는 서비스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이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40)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으로 전송하면,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은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드를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20)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코드에 대응하는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4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4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4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및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사용자 단말(120), 그리고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다른 전자 기기인 차량용 단말(130) 역시 사용자 단말(120)과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에 속한 서비스 서버(10)와 푸시 서버(20) 또한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과 사용자 단말(120)은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사용자 단말(12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이 네트워크(14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40)를 통해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과 사용자 단말(120)이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전자 기기(일례로 차량용 단말(130))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120)의 프로세서(222)가 메모리(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일례로 검색 요청)이 통신 모듈(22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40)를 통해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는 입출력 장치(215, 22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2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 단말(120)의 프로세서(222)는 메모리(22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이나 차량용 단말(130)이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를 입출력 인터페이스(22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과 사용자 단말(120)은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은 상술한 입출력 장치(22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 단말(120)이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사용자 단말(12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 운행 상태를 통합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 운행 상태를 통합 관리를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은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과 사용자 단말(120) 및 차량용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단말(130)은 통신형 단말로, 단말에 탑재된 내장 센서 혹은 차량에 장착되어 단말과 연결된 외장 센서로부터 차량 운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과 관련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실행되는 것으로, 차량 통합 관리를 위한 기본 기능 및 통신 관련 기능을 사용할 때 필요하다. 사용자 단말(120)에서 실행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하나 이상의 차량용 단말(130)을 선택하여 관리할 수 있다.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은 사용자 단말(120) 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과 차량용 단말(130)을 연결하는 서비스 서버(10)를 포함하고, 이때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과 통신하여 획득한 정보를 가공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은 차량 운행 상태와 관련된 각종 푸시 알림을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하기 위한 푸시 서비스 연동용 서버인 푸시 서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차량용 단말(130)의 무선 통신 환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용 단말(130)은 와이파이(Wi-Fi) AP 모드 사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초기에는 와이파이 AP 모드로 동작한다. 이때, AP 정보에는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차량용 단말(130)이 접속할 와이파이의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와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와이파이 AP 모드의 차량용 단말(130)에 접속하여 차량용 단말(130)이 접속할 와이파이의 SSID와 패스워드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차량용 단말(130)은 해당 와이파이 접속 정보를 와이파이 셋업 파일에 저장할 수 있다.
차량용 단말(130)의 부팅 시 와이파이 셋업 파일이 없으면 와이파이 AP 모드로 부팅하고, 와이파이 셋업 파일이 있으면 지정된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찾아 접속할 수 있다.
차량용 단말(130)은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120)과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차량용 단말(130)의 통신 환경이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이 테더링(tethering)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차량용 단말(130)을 RF(Radio Frequency)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의 무선 연결이나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유선 연결 등으로 사용자 단말(120)에 연결함으로써 차량용 단말(130)이 사용자 단말(120)에서 제공하는 테더링 기능을 통해 네트워크(140)에 접속하여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110)과 통신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용 단말과 서비스 서버 간의 기본 통신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단말(130)은 부팅이나 모드가 전환된 후 통신이 가능해지면 서비스 서버(10)와 접속을 시도하게 되는데, 이때 차량용 단말(130)은 접속 시도를 위한 데이터로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모델명, 단말 모드, 송신 가능 정보 등을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한다(S301).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의 접속 시도에 대한 응답으로 통신 환경 설정 정보(configuration)를 차량용 단말(130)로 전송한다(S302). 이때, 통신 환경 설정 정보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필요 정보로서 서비스를 위해 차량용 단말(130)에서 차량 운행 상태와 관련하여 전송해 줘야 하는 데이터의 종류와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단말(130)은 서비스 서버(10)에서 요구한 통신 환경 설정 정보에 따라 차량 운행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이하, '차량 운행 데이터'라 칭함)를 주기적으로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한다(S303). 차량 운행 데이터는 차량용 단말(130)을 통해 획득 가능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GPS 정보, 단말 모드(예컨대, 주차 모드, 상시(주행) 모드 등), 이벤트 타입, 가속도 센서 값(예컨대, G 센서 피크 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GPS 정보에는 경위도, 속도, 머리말(heading), 시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이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차량 운행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의 수신에 따른 응답을 차량용 단말(130)로 전송한다(S304).
차량용 단말(130)과 서비스 서버(10) 간의 통신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거나, 혹은 주기적으로 차량용 단말(130)이 서비스 서버(10)와의 통신을 재개하여 상기한 과정(S303~S304)을 반복한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10)에서 요청하는 정보가 있는 경우, 차량용 단말(130)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차량 운행 데이터에 서비스 서버(10)에서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차량 운행 데이터를 수신하고(S401), 차량 운행 데이터에 포함된 특정 이벤트에 대해 추가 정보로서 비디오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라이브 데이터, 예를 들어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영상을 차량용 단말(130)로 요청할 수 있다(S402).
차량용 단말(130)은 서비스 서버(10)의 요청을 수신한 후 정해진 주기마다 전송하는 차량 운행 데이터에 서비스 서버(10)가 요청한 라이브 데이터(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영상 등)를 포함시켜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한다(S403).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자신이 요청한 라이브 데이터를 포함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의 수신에 따른 응답을 차량용 단말(130)로 전송한다(S404).
따라서,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의 최초 통신에 대한 응답으로 통신 환경 설정을 통해 차량용 단말(130)에서 전송할 차량 운행 데이터의 종류와 주기(빈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운행 데이터의 종류와 주기는 모드(예컨대, 주차 모드, 상시(주행) 모드 등) 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차량용 단말(130)은 특별한 이벤트가 없는 한 정해진 주기로 정해진 종류의 차량 운행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용 단말(130)과 서비스 서버(10)간의 통신이 단절된 동안에는 서비스 서버(10)에 보낼 차량 운행 데이터를 차량용 단말(130)의 로컬에 저장하고 있다가 통신이 연결되었을 때 일괄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차량 위치 확인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120) 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차량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에 의해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차량 위치 확인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는 경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일정 주기(예컨대, 10초)마다 서비스 서버(10)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501). 이때, 요청 신호에는 차량용 단말(130)의 UUID가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사용자 단말(120)의 요청에 대해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획득한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S502). 다시 말해, 서비스 서버(10)는 사용자 단말(120)의 요청에 포함된 UUID의 차량용 단말(130)이 전송한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1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정보에는 차량의 현재 위치와 속도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비스 서버(1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지도를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와 속도 방향을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S503).
사용자 단말(120)이 차량용 단말(130)과 최초 연결 시 사용자 단말(120)와 차량용 단말(130)의 상호 간에 식별 정보(UUID나 전화 번호 등)를 교환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20)에 저장된 정보가 차량용 단말(130)에 저장된 정보와 같을 때 상기한 차량 위치 확인 과정을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차량 위치 확인을 위한 서비스 화면에서 다른 화면으로 이동하게 되면 차량 위치 확인을 위한 관련 통신을 중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오 펜싱(Geo-fencing)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지오 펜싱은 위치 기반 서비스(LBS)를 활용하여 특정 지리적인 영역을 가상 울타리로 지정해놓고 해당 영역의 출입 현황 등을 알려주는 기술이다.
사용자 단말(120) 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지오 펜싱 구역에 대한 알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알림 기능은 차량이 지오 펜싱 구역에 접근할 때 진입 알림 경보를 제공하는 기능과, 차량이 지오 펜싱 구역을 벗어날 때 진출 알림 경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오 펜싱 구역을 진입 금지 영역과 진출 금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20)은 현재 지정된 지오 펜싱 구역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서버(10)로 요청할 수 있다(S601).
서비스 서버(10)는 사용자 단말(120)의 요청에 대해 현재 지정된 지오 펜싱 구역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S602).
사용자 단말(120)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비스 서버(1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지도를 이용하여 지오 펜싱 구역을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S603). 이때, 지오 펜싱 구역에 대한 편집을 허용할 수 있다.
지오 펜싱 구역에 대한 편집 기능으로는 중심 위치와 반경을 선택하여 지오 펜싱 구역을 지정하는 기능, 지오 펜싱 구역에 대한 알림 종류(진입 알림 또는 진출 알림)를 설정하는 기능, 지오 펜싱 구역에 대한 알림의 반복 주기와 시간대, 유효 기간 등을 설정하는 기능, 지오 펜싱 구역 목록을 제공하여 목록에서 선택된 특정 구역을 삭제하는 기능, 지오 펜싱 구역 목록을 제공하여 목록에서 선택된 특정 구역의 반경이나 알림 종류 등을 변경하는 기능, 지오 펜싱 구역에 대한 알림을 중단하거나 재개하도록 설정하는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편집 기능을 통해 설정한 지오 펜싱 구역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S604).
서비스 서버(1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사용자가 설정한 지오 펜싱 구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사용자의 지오 펜싱 설정에 따른 응답을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한다(S605).
그리고, 서비스 서버(10)는 지오 펜싱에 대한 알림이 필요한 경우 푸시 서버(20)와의 연동을 통해 푸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GPS 정보를 통해 차량의 현 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지오 펜싱 구역의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거나, 혹은 차량의 현 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지오 펜싱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알림 이벤트를 발생할 수 있다(S701).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의 현 위치가 지오 펜싱 구역에 접근하거나 지오 펜싱 구역을 벗어남에 따라 발생된 알림 이벤트에 대하여 지오 펜싱 알림을 푸시 서버(20)로 요청할 수 있다(S702). 이때, 알림 요청에는 사용자 단말(120)의 식별 번호(예컨대, 전화 번호 등)가 포함될 수 있다.
푸시 서버(20)는 서비스 서버(10)의 알림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120) 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지오 펜싱 알림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S703).
사용자 단말(120)이 차량용 단말(130)과 최초 연결 시 사용자 단말(120)과 차량용 단말(130)의 상호 간에 식별 정보(UUID나 전화 번호 등)를 교환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20)에 저장된 정보가 차량용 단말(130)에 저장된 정보와 같을 때 상기한 지오 펜싱 과정을 처리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운행 리포트 발행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에서 제공하는 차량 운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운행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20) 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운행 리포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차량용 단말(130)은 차량의 제한 속도 초과(과속), 급가속, 급제동, 급회전 등의 이벤트를 감지하여 이벤트 감지 시점의 차량 운행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10)는 일정 기간 동안 누적된 차량 운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차량 운행 상태에 대해 평가된 리포트를 사용자 단말(120) 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차량용 단말(130)이 차량의 상시(주행) 모드에서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는 경우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의 주행 거리를 판단하기 위해 차량 운행 데이터의 전송 주기를 다른 모드(예컨대, 주차 모드)에 비해 짧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이 차량의 상시(주행) 모드에서 GPS 정보(경도와 위도 및 속도)를 2초 간격으로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운행 리포트를 위해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수집된 GPS 정보를 사용하여 차량의 주행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수신한 GPS 정보의 속도 변화가 선형이라 간주하고 주행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2초마다 GPS 속도를 수신할 때 수신한 2개의 속도 정보 V1(m/s)과 V2(m/s)를 통해 추정된 주행 거리 m은 {(V1+V2)/2}×2(s)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GPS 속도와 위치를 측정할 수 없는 터널 등의 GPS 음영 구간은 GPS 속도와 위치 값이 있는 인접한 점을 직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주행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용 단말(130)은 차량 OBD(On Board Diagnostics)에 연결하지 않고 속도 정보가 포함된 GPS 정보를 주기적으로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고, 서비스 서버(10)에서는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수신한 GPS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차량용 단말(130)은 차량이 도로 상의 제한 속도인 규정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과속 이벤트가 발생됨에 따라 과속 검출 정보를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S801). 일례로, 차량용 단말(130)은 과속 검출 정보를 주기적 정보 송신 형태로 전달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차량 운행 데이터에 포함시켜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운행 데이터에는 이벤트 타입으로 과속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과속 검출 정보로서 규정 속도와 초과 속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차량용 단말(130)은 차량이 정차 상태(예컨대, 4km/h 이하)에서 정해진 시간 내에 설정 속도(예컨대, 20km/h)에 도달하는 경우 급가속 이벤트가 발생됨에 따라 급가속 검출 정보를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S802). 일례로, 차량용 단말(130)은 급가속 검출 정보를 즉시 정보 송신 형태로 전달할 수 있으며, 급가속 이벤트 발생 시점에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여 급가속 검출 정보를 포함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운행 데이터에는 이벤트 타입으로 급가속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급가속 검출 정보로서 가속도 센서 값, 예를 들어 G 센서의 Z축 방향을 차량 가속 시 + 방향으로 가정할 때 Z축 최대 피크 값이 포함될 수 있다.
차량용 단말(130)은 차량이 주행 상태(예컨대, 20km/h 이상)에서 정해진 시간 내에 설정 속도(예컨대, 4km/h)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급제동 이벤트가 발생됨에 따라 급제동 검출 정보를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S803). 일례로, 차량용 단말(130)은 급제동 검출 정보를 즉시 정보 송신 형태로 전달할 수 있으며, 급제동 이벤트 발생 시점에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여 급제동 검출 정보를 포함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운행 데이터에는 이벤트 타입으로 급제동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급제동 검출 정보로서 가속도 센서 값, 예를 들어 G 센서의 Z축 방향을 차량 감속 시 - 방향으로 가정할 때 Z축 최소 피크 값이 포함될 수 있다.
차량용 단말(130)은 차량의 주행 상태에서 차량의 횡방향에 대한 가속도 센서 값이 정해진 시간 내에 설정 레벨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급회전 이벤트가 발생됨에 따라 급회전 검출 정보를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S804). 예를 들어, G 센서의 Y축 방향을 차량의 횡방향으로 가정할 때 차량용 단말(130)은 G 센서의 Y축 피크 값(절대 값)이 0.3 이상에서 소정 시간 내에 0.3 미만으로 떨어지면 급회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차량용 단말(130)은 급회전 검출 정보를 즉시 정보 송신 형태로 전달할 수 있으며, 급회전 이벤트 발생 시점에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여 급회전 검출 정보를 포함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운행 데이터에는 이벤트 타입으로 급회전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급회전 검출 정보로서 가속도 센서 값, 예를 들어 G 센서의 Y축 피크 값(절대 값)이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주기적으로 혹은 이벤트 발생 즉시 차량 운행 데이터(과속 검출 정보, 급가속 검출 정보, 급제동 검출 정보, 급회전 검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의 수신에 따른 응답을 차량용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에서 제공하는 차량 운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운행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에서 제공하는 차량 운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주기적으로 운행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서비스 서버(10)는 지난 리포트가 생성된 이후 일정 시간(예컨대, 7일)이 경과하는 조건(시간 조건)과 차량의 주행 거리가 일정 거리(예컨대, 60km) 이상 누적되는 조건(거리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리포트를 추가 생성할 수 있다(S901).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간 조건과 거리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리포트를 추가 생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운행 리포트를 조회하는 경우 서비스 서버(10)로 사용자에 의한 운행 리포트 뷰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S902).
서비스 서버(10)는 사용자 단말(120)의 요청에 대해 사용자 단말(120) 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운행 리포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903).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의 과속과 관련된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제한 속도 초과 이력이 전혀 없는 경우 좋음(Good)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2)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과속 단속 카메라(safety camera)가 위치한 지점에서의 제한 속도 초과 이력이 없는 경우 보통(Okay)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3)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과속 단속 카메라가 위치한 지점에서의 제한 속도 초과 이력이 있고 평균 초과 속도가 10km/h 미만인 경우 개선 필요(Need Improvement)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4)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과속 단속 카메라가 위치한 지점에서의 제한 속도 초과 이력이 있고 평균 초과 속도가 10km/h 이상이고 20km/h 미만인 경우 불안전(Unsafe)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5) 누적된 주행 거리 중 과속 단속 카메라가 위치한 지점에서의 제한 속도 초과 이력이 있고 평균 초과 속도가 20km/h 이상인 경우 위험(Dangerous)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의 과속과 관련된 리포트로서 상기한 평가 레벨(좋음, 보통, 개선필요, 불안전, 위험)에 대응되는 속도(speed) 평가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의 급가속과 관련된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수집된 G 센서의 Z축 최대 피크 값이 모두 0.4g 미만인 경우 좋음(Good)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2)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수집된 G 센서의 Z축 최대 피크 값이 모두 0.7g을 넘지 않은 경우 보통(Okay)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3)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수집된 G 센서의 Z축 최대 피크 값 중에서 0.7g을 넘는 피크 값이 0.1% 미만인 경우 개선 필요(Need Improvement)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4)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수집된 G 센서의 Z축 최대 피크 값 중에서 0.7g을 넘는 피크 값이 0.1% 이상이고 1% 미만인 경우 불안전(Unsafe)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5)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수집된 G 센서의 Z축 최대 피크 값 중에서 0.7g을 넘는 피크 값이 1% 이상이거나 G 센서의 Z축 최대 피크 값이 0.8g 이상인 경우 위험(Dangerous)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의 급가속과 관련된 리포트로서 상기한 평가 레벨(좋음, 보통, 개선필요, 불안전, 위험)에 대응되는 가속(acceleration) 평가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의 급제동과 관련된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수집된 G 센서의 Z축 최소 피크 값이 -0.4g 이상인 경우 좋음(Good)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2)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수집된 G 센서의 Z축 피크 값 중에서 -0.3g ≥ Z축 피크 값 > -0.6g의 조건을 만족하는 피크 값이 1개 또는 2개인 경우 보통(Okay)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3)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수집된 G 센서의 Z축 피크 값 중에서 -0.3g ≥ Z축 피크 값 > -0.6g의 조건을 만족하는 피크 값이 3개인 경우 개선 필요(Need Improvement)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4)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수집된 G 센서의 Z축 피크 값 중에서 -0.3g ≥ Z축 피크 값 > -0.6g의 조건을 만족하는 피크 값이 4개 이상인 경우 불안전(Unsafe)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5)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수집된 G 센서의 Z축 피크 값 중에서 -0.3g ≥ Z축 피크 값 > -0.6g의 조건을 만족하는 피크 값이 4개 이상이면서 -0.8g이하인 피크 값이 존재하는 경우 위험(Dangerous)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의 급제동과 관련된 리포트로서 상기한 평가 레벨(좋음, 보통, 개선필요, 불안전, 위험)에 대응되는 감속(Braking) 평가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의 급회전과 관련된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수집된 G 센서의 Y축 피크 값(절대 값) 중에서 0.6g ≤ |y-value|의 비율이 0.5% 미만이고 0.7g ≤ |y-value|이 없는 경우 좋음(Good)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2)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수집된 G 센서의 Y축 피크 값(절대 값) 중에서 0.6g ≤ |y-value|의 비율이 0.8% 미만이고 0.7g ≤ |y-value|이 없는 경우 보통(Okay)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3)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수집된 G 센서의 Y축 피크 값(절대 값) 중에서 0.6g ≤|y-value|의 비율이 0.8% 이상이고 0.7g ≤ |y-value|이 없는 경우 개선 필요(Need Improvement)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4)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수집된 G 센서의 Y축 피크 값(절대 값) 중에서 0.6g ≤ |y-value|의 비율이 0.8% 이상이고 0.7g ≤ |y-value|이 있는 경우 불안전(Unsafe)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5) 60 km를 주행하는 동안 수집된 G 센서의 Y축 피크 값(절대 값) 중에서 0.6g ≤ |y-value| 의 비율이 0.8% 이상이고 0.8g ≤ |y-value|이 있는 경우 위험(Dangerous)으로 평가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의 급회전과 관련된 리포트로서 상기한 평가 레벨(좋음, 보통, 개선필요, 불안전, 위험)에 대응되는 코너링(cornering) 평가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단말(130)은 차량의 과속, 급가속, 급제동, 급회전 등을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포함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고, 이에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에서 제공하는 차량 운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주기적으로 운행 리포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20) 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차량용 단말(130)에서 과속 이벤트, 급가속 이벤트, 급제동 이벤트, 급회전 이벤트 등을 감지하여 차량 운행 데이터에 해당 이벤트에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시켜 서비스 서버(10)로 전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서비스 서버(10)에서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된 차량 운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차량에 대한 과속, 급가속, 급제동, 급회전 등을 직접 판단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주차 충격 알림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차량용 단말(130)은 주차 모드에서 충격이 감지되면 주차 충격 이벤트가 발생됨에 따라 충격 검출 정보를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S1001). 차량용 단말(130)은 주차 모드에서 충격 녹화나 지능형 충격 감지가 발생하면 이를 접촉 사고 가능성으로 판단하여 서비스 서버(10)로 알릴 수 있다. 이때, 차량용 단말(130)은 주차 충격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의 G 센서의 피크 값을 기준으로 충격 세기(예컨대, 강한 충격과 약한 충격 등)와 충격 위치(예컨대, 오른쪽 후방이나 측면, 왼쪽 후방이나 측면 등)를 구분할 수 있다. 일례로, 차량용 단말(130)은 충격 검출 정보의 경우 즉시 정보 송신 형태로 전달 할 수 있으며, 충격 이벤트 발생 시점에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여 충격 검출 정보를 포함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전달 방식이 즉시 정보 송신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격 검출 정보를 주기적 정보 송신 형태로 전달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때, 차량 운행 데이터에는 이벤트 타입으로 주차 충격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충격 검출 정보로서 가속도 센서 값, 예를 들어 G 센서의 피크 값과 충격 세기, 충격 위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차량 운행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차량 운행 데이터에 포함된 이벤트 타입을 기준으로 이벤트 타입이 주차 충격 이벤트인 경우 주차 충격 알림을 푸시 서버(20)로 요청할 수 있다(S1002). 이때, 알림 요청에는 사용자 단말(120)의 식별 번호(예컨대, 전화 번호 등)가 포함될 수 있으며, 충격 검출 정보로서 충격 세기와 충격 위치, G 센서의 피크 값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푸시 서버(20)는 서비스 서버(10)의 알림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120) 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차 충격 알림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S1003). 주차 충격 알림에는 충격 세기와 충격 위치, 그리고 G 센서의 피크 값에 기반한 충격 세기를 나타내는 문자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차량의 주차 모드 시 발생된 주차 충격 이벤트가 수신되면 푸시 서버(20)를 거쳐 사용자 단말(120) 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주차 충격 알림을 즉시 전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차량용 단말(130)은 주차 충격 이벤트 발생 시 충격 녹화 영상을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비스 서버(10)는 주차 충격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도 4를 통해 설명한 방식과 같이 충격 녹화 영상을 차량용 단말(130)로 요청하여 수신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에, 서비스 서버(10)는 주차 충격 알림과 함께 충격 녹화 영상을 사용자 단말(120) 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 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받은 주차 충격 알림으로 사용자는 파일 선택 없이 해당 이벤트가 발생한 파일을 바로 재생하여 확인할 수 있다. 주차 충격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의 녹화 영상은 물론이고, 차량에 대한 라이브 영상을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일례로, 차량용 단말(130)과 서비스 서버(10), 그리고 사용자 단말(120) 간에 RTP(real time protocol) 또는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을 통해 주차 충격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의 차량 주변 영상에 대한 라이브 스트리밍 혹은 녹화 영상의 플레이를 지원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긴급 상황 알림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10)는 사용자 단말(120) 상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된 비상 연락처를 저장할 수 있다(S1101). 비상 연락처는 차량의 긴급 상황 발생 시 사용자가 연락을 희망하는 보호자의 전화번호나 긴급 신고 기관(예컨대, 112, 119 등)의 전화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사용자 단말(120) 상의 주소록이나 검색 기능과 연동하여 비상 연락처를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차량용 단말(130)은 상시(주행) 모드에서 사고 발생 이벤트인 긴급 상황 이벤트가 발생되면 긴급 상황 정보를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S1102). 긴급 상황은 사용자가 직접 차량용 단말(130) 상에 구비된 구조 요청(SOS)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 주행 중 차량이 추돌한 경우(예컨대, G 센서의 벡터 합으로 2g 이상의 피크 값이 감지된 경우), 주행 중 차량이 낙하한 경우(예컨대, 0.25초 내에 30m 이상 추락한 경우), 주행 중 차량이 전복한 경우(예컨대, 차속이 없고 정상 중력 방향 대비 40도 이상 기울어진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차량용 단말(130)은 긴급 상황 정보를 즉시 정보 송신 형태로 전달할 수 있으며, 긴급 상황 이벤트 발생 시점에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여 긴급 상황 정보를 포함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운행 데이터에는 이벤트 타입으로 긴급 상황 이벤트에 대한 정보(SOS 버튼, 추돌, 낙하, 전복 등)가 포함되고 긴급 상황 정보로서 소정 시간(예컨대, 1초) 전 주행 속도와, 가속도 센서 값(예컨대, G 센서의 벡터 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추돌 후 전복된 상황이라면 순차적인 긴급 상황 이벤트가 발생되므로 차량용 단말(130)은 추돌에 따른 긴급 상황 정보를 포함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먼저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하고 직후 전복에 따른 긴급 상황 정보를 포함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이어서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차량 운행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차량 운행 데이터에 포함된 이벤트 타입을 기준으로 이벤트 타입이 긴급 상황 이벤트인 경우 긴급 상황의 취소가 가능한 시간(예컨대, 10초)에 대한 알림 요청을 차량용 단말(130)로 전달함과 동시에 긴급 상황 취소용 대기 카운트를 시작한다(S1103).
차량용 단말(130)은 서비스 서버(10)의 알림 요청에 따라 긴급 상황 취소가 가능한 시간(예컨대, 10초) 동안 긴급 상황 취소용 대기 카운트에 대한 음성 표출을 시작한다(S1104). 예를 들어, 차량용 단말(130)은 음성으로 "긴급 상황이 감지되었습니다. 비상 연락처로 알리려고 합니다. 취소를 원하면 10초 이내 아무 버튼이나 누르세요"의 메시지를 출력한 후 이어서 "10, 9, 8, 7, 6, 5, 4, 3, 2, 1"까지 1초마다 카운트 하고, 카운트 도중 버튼 입력이 있는 경우 "취소 되었습니다"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차량용 단말(130)은 사용자가 카운트 도중 임의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 긴급 상황에 대한 취소 요청을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서비스 서버(10)는 사용자에 의한 수동 취소로 인식하여 긴급 상황 취소용 대기 카운트를 중단하고 긴급 상황 알림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비스 서버(10)는 긴급 상황 취소용 대기 카운트를 수행하는 동안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주기적으로 차량 운행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는데, 이때 차량 운행 데이터에 포함된 GPS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이 소정 속도(예컨대, 10km/h) 이상으로 주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차량의 긴급 상황을 자동으로 취소하여 긴급 상황 취소용 대기 카운트를 중단하고 긴급 상황 알림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긴급 상황 취소용 대기 카운트가 종료될 때까지 차량의 긴급 상황에 대한 수동 취소 혹은 자동 취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비상 연락처로 사고 상황 알림으로써 문자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S1105). 이때,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의 긴급 상황에 대한 문자 알림을 위해 사전에 등록된 비상 연락처 목록과 긴급 상황과 관련된 세부 정보를 SMS 서버(30)로 전달할 수 있다(S1106).
이에, SMS 서버(30)는 서비스 서버(1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긴급 상황에 대해 사용자가 사전에 등록해 놓은 비상 연락처로 긴급 상황과 관련된 세부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107). 차량용 단말(130) 또한 긴급 상황 취소용 대기 카운트가 종료되면, 즉 카운트 종료 시점까지 버튼 입력이 없을 경우, "긴급 연락처로 연락 하였습니다"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1108).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차량의 사용자 전화번호와 차량의 긴급 상황을 알리는 본문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본문 내용은 "[수동SOS|추돌|전복|낙하]으로 보이는 긴급상황 발생. 자세한 정보:Short URL"의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Short URL로 참조되는 페이지 상의 정보에는 서비스 서버(10)에서 제공한 세부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세부 정보에는 긴급 상황이 발생된 위치(지도)와 시간, 긴급 상황의 종류(수동 SOS, 추돌, 낙하, 전복 등), 긴급 상황 발생 직전 차량의 속도, 그리고 충격 크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격 크기는 긴급 상황 발생 시점의 1초 전후에 감지된 G 센서의 최대 피크 값이 2g 이상이고 2.5g 미만이면 '약함', 2.5g 이상이고 3g 미만이면 '보통', 3g 이상이면 '강함'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10)는 차량의 긴급 상황 발생 시 사전에 등록된 비상 연락처를 이용하여 보호자에게 긴급 상황의 세부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긴급 신고 기관으로 차량의 긴급 상황에 대한 신고를 자동 처리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차량의 상시(주행) 모드 중 추돌, 낙하, 전복 등의 긴급 상황을 차량용 단말(130)에서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비스 서버(10)에서 차량용 단말(13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된 차량 운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차량의 긴급 상황을 직접 판단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차량의 긴급 상황에 대해 SMS 서버(30)를 통해 문자 형식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신속하고 적극적인 대처를 위해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등과 연계하여 비상 연락처로 긴급 상황의 세부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음성 콜을 발신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량의 운행 리포트나, 주차 충격 혹은 긴급 상황 등을 포함한 차량 운행 상태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차량 운행 상태를 보다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차량 운행 상태에 대응되는 조치를 더욱 적절하고 신속하게 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1)

  1. 자동차 응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가지는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될 시,
    자동차 내에 포함된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자동차의 제1 사고를 나타내는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사고 이후 발생된 상기 자동차의 제2 사고를 나타내는 제2 데이터를 수신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는 사고 순서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순차적으로 송신됨;
    상기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응급 취소를 위한 메시지가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타임 아웃 기간(time out period) 안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및
    상기 메시지가 상기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수신되지 않음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자동차가 응급 상황 내에 있음을 알리기 위해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연결된 제3 전자 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1 전자 장치를 야기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사고가 상기 제2 사고와 구별됨을 인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전자 장치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제3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가 응급 상황 내에 있음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응급 에이전트와 관련된 제4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될 시,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상기 메시지가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수신됨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의 상기 송신을 우회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의 상기 수신에 대하여 자동차 응급 서비스를 종료하도록, 상기 제1 전자 장치를 야기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사고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즉시 송신되고,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사고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즉시 송신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자동차 또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가 응급 상황 내에서 있음을 알리기 위한 상기 메시지의 상기 송신을 위해 상기 제3 전자 장치에 의해 처리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1 사고의 발생의 타이밍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이전의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의 이동 속도, 상기 제1 사고의 상기 발생의 상기 타이밍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가속도 센서의 값, 또는 상기 제1 사고의 상기 발생의 상기 타이밍에서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제2 사고의 발생의 타이밍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이전의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의 이동 속도, 상기 제2 사고의 상기 발생의 상기 타이밍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가속도 센서의 값, 또는 상기 제2 사고의 상기 발생의 상기 타이밍에서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될 시,
    제3 데이터를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수신하고, 여기서, 상기 제3 데이터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SOS 버튼 상의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전자 장치에게 즉시 송신됨;
    상기 제3 데이터의 상기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상기 메시지가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상기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수신되는지 여부를 상기 제3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식별하고; 및
    상기 제3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상기 메시지가 상기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수신되지 않음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전자 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3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1 전자 장치를 더 야기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전자 장치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3 데이터는,
    상기 제3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이 응급 상황 내에서 있음을 알리기 위한 상기 제4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될 시,
    상기 제3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상기 메시지가 상기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수신됨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데이터의 상기 송신을 우회하고, 상기 제3 데이터의 상기 수신에 대하여 자동차 응급 서비스를 종료하도록, 상기 제1 전자 장치를 더 야기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8.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가지는 제1 전자 장치를 동작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자동차 내에 포함된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자동차의 제1 사고를 나타내는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사고 이후 발생된 상기 자동차의 제2 사고를 나타내는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여기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는 사고 순서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순차적으로 송신됨;
    상기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응급 취소를 위한 메시지가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타임 아웃 기간(time out period) 안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메시지가 상기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수신되지 않음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자동차가 응급 상황 내에 있음을 알리기 위해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연결된 제3 전자 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사고가 상기 제2 사고와 구별됨을 인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전자 장치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제3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가 응급 상황 내에 있음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응급 에이전트와 관련된 제4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상기 메시지가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수신됨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의 상기 송신을 우회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의 상기 수신에 대하여 자동차 응급 서비스를 종료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사고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즉시 송신되고,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사고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즉시 송신되는,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자동차 또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가 응급 상황 내에서 있음을 알리기 위한 상기 메시지의 상기 송신을 위해 상기 제3 전자 장치에 의해 처리되는,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1 사고의 발생의 타이밍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이전의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의 이동 속도, 상기 제1 사고의 상기 발생의 상기 타이밍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가속도 센서의 값, 또는 상기 제1 사고의 상기 발생의 상기 타이밍에서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제2 사고의 발생의 타이밍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이전의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의 이동 속도, 상기 제2 사고의 상기 발생의 상기 타이밍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가속도 센서의 값, 또는 상기 제2 사고의 상기 발생의 상기 타이밍에서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제3 데이터를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수신하는 동작, 여기서, 상기 제3 데이터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SOS 버튼 상의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전자 장치에게 즉시 송신됨;
    상기 제3 데이터의 상기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상기 메시지가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상기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수신되는지 여부를 상기 제3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제3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상기 메시지가 상기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수신되지 않음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전자 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3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전자 장치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3 데이터는,
    상기 제3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이 응급 상황 내에서 있음을 알리기 위한 상기 제4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3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상기 메시지가 상기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수신됨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데이터의 상기 송신을 우회하고, 상기 제3 데이터의 상기 수신에 대하여 자동차 응급 서비스를 종료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자동차 내에 포함된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자동차의 제1 사고를 나타내는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사고 이후 발생된 상기 자동차의 제2 사고를 나타내는 제2 데이터를 수신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는 사고 순서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순차적으로 송신됨;
    상기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응급 취소를 위한 메시지가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타임 아웃 기간(time out period) 안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및
    상기 메시지가 상기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수신되지 않음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자동차가 응급 상황 내에 있음을 알리기 위해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연결된 제3 전자 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사고가 상기 제2 사고와 구별됨을 인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전자 장치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제3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가 응급 상황 내에 있음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응급 에이전트와 관련된 제4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1 전자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상기 메시지가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수신됨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의 상기 송신을 우회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의 상기 수신에 대하여 자동차 응급 서비스를 종료하기 위해,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제1 전자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사고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즉시 송신되고,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사고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즉시 송신되는,
    제1 전자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자동차 또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가 응급 상황 내에서 있음을 알리기 위한 상기 메시지의 상기 송신을 위해 상기 제3 전자 장치에 의해 처리되는,
    제1 전자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1 사고의 발생의 타이밍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이전의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의 이동 속도, 상기 제1 사고의 상기 발생의 상기 타이밍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가속도 센서의 값, 또는 상기 제1 사고의 상기 발생의 상기 타이밍에서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제2 사고의 발생의 타이밍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이전의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의 이동 속도, 상기 제2 사고의 상기 발생의 상기 타이밍에서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가속도 센서의 값, 또는 상기 제2 사고의 상기 발생의 상기 타이밍에서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전자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3 데이터를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수신하고, 여기서, 상기 제3 데이터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관련된 SOS 버튼 상의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전자 장치에게 즉시 송신됨;
    상기 제3 데이터의 상기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상기 메시지가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상기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수신되는지 여부를 상기 제3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식별하고; 및
    상기 제3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상기 메시지가 상기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수신되지 않음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전자 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3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전자 장치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3 데이터는,
    상기 제3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이 응급 상황 내에서 있음을 알리기 위한 상기 제4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1 전자 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3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응급 취소를 위한 상기 메시지가 상기 타임 아웃 기간 안에서 수신됨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데이터의 상기 송신을 우회하고, 상기 제3 데이터의 상기 수신에 대하여 자동차 응급 서비스를 종료하기 위해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제1 전자 장치.
KR1020220038732A 2017-04-10 2022-03-29 서버, 차량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KR102516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732A KR102516559B1 (ko) 2017-04-10 2022-03-29 서버, 차량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KR1020230040309A KR102646657B1 (ko) 2017-04-10 2023-03-28 서버, 차량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097A KR102382185B1 (ko) 2016-12-02 2017-04-10 서버, 차량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KR1020220038732A KR102516559B1 (ko) 2017-04-10 2022-03-29 서버, 차량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097A Division KR102382185B1 (ko) 2016-12-02 2017-04-10 서버, 차량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0309A Division KR102646657B1 (ko) 2017-04-10 2023-03-28 서버, 차량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528A true KR20220046528A (ko) 2022-04-14
KR102516559B1 KR102516559B1 (ko) 2023-03-31

Family

ID=8121151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732A KR102516559B1 (ko) 2017-04-10 2022-03-29 서버, 차량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KR1020230040309A KR102646657B1 (ko) 2017-04-10 2023-03-28 서버, 차량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KR1020240032141A KR20240040060A (ko) 2017-04-10 2024-03-06 서버, 차량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0309A KR102646657B1 (ko) 2017-04-10 2023-03-28 서버, 차량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KR1020240032141A KR20240040060A (ko) 2017-04-10 2024-03-06 서버, 차량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165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6538A (ko) * 2008-05-07 2009-11-11 강의수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추적을 이용한 비상호출 방법
KR20110017339A (ko) * 2009-08-13 2011-02-21 주식회사 유디텍 지능형 차량사고 인명구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21830B1 (ko) * 2011-12-08 2012-03-2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차량 운행 데이터를 이용한 사고 감지 서비스 및 사고 감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6538A (ko) * 2008-05-07 2009-11-11 강의수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추적을 이용한 비상호출 방법
KR20110017339A (ko) * 2009-08-13 2011-02-21 주식회사 유디텍 지능형 차량사고 인명구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21830B1 (ko) * 2011-12-08 2012-03-2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차량 운행 데이터를 이용한 사고 감지 서비스 및 사고 감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6657B1 (ko) 2024-03-13
KR20240040060A (ko) 2024-03-27
KR102516559B1 (ko) 2023-03-31
KR20230047987A (ko) 202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2185B1 (ko) 서버, 차량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CN111052771B (zh) 用于将中继消息发送到外部车辆的电子设备及其方法
US10470131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circuit based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external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325049B1 (ko) 보행자의 안전과 연관된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704567B1 (ko) 차량 연동 앱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814601B1 (ko) 택시 안전 귀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210158701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v2x messag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4205181A (zh) 基于邻近性的紧急事件的服务
KR102585581B1 (ko) 주차관리시스템
US202400078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ly managing vehicle operation state
CN111736584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CN115004271A (zh) 用于在蜂窝车辆到一切(c-v2x)消息中嵌入受保护车辆标识符信息的方法
KR101451765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CN111316064B (zh) 车载装置、记录介质、通知方法
KR102516559B1 (ko) 서버, 차량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KR102456628B1 (ko)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을 이용한 사고 알림 방법
JP2014194342A (ja)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携帯端末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6988691B2 (ja) 走行支援装置、走行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30137449A1 (en) Method of recording proof of driving speeds and related mobile device
JP2020113203A (ja) 運転支援装置
EP3986000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17228149A (ja) 駐車待ち時間予測システム
WO2019124421A1 (ja) 車両制御システム
Salazar Medina Mobile warning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