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6176A - 자동차용 슬라이딩 스위치를 갖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슬라이딩 스위치를 갖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6176A
KR20220046176A KR1020200129294A KR20200129294A KR20220046176A KR 20220046176 A KR20220046176 A KR 20220046176A KR 1020200129294 A KR1020200129294 A KR 1020200129294A KR 20200129294 A KR20200129294 A KR 20200129294A KR 20220046176 A KR20220046176 A KR 20220046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touch sensor
seat
switch cov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백희
김혁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9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6176A/ko
Priority to US17/243,879 priority patent/US11780351B2/en
Priority to DE102021204733.5A priority patent/DE102021204733A1/de
Priority to CN202110602210.8A priority patent/CN114290962A/zh
Publication of KR20220046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61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28Hand-activated mechanical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84Adjustable seat-cushion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26Rotatable input devices for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39Clusters of instrument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2Visual feedback on control action
    • B60N2002/0264
    • B60N2002/026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워 시트 작동을 위한 스위치 모듈의 각 스위치 마다 파워시트의 각 작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개의 터치센서를 내장하여, 각 터치센서의 센싱 동작에 따라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을 안내하는 하나의 화살표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을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스위치 선택 상태 및 스위치 조작 방향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등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파워 시트 조작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슬라이딩 스위치를 갖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DEVICE HAVING SLIDING SWTICH FOR OPERATING POWER SEAT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슬라이딩 스위치를 갖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워 시트 작동을 위한 복수의 스위치마다 복수개의 터치센서를 내장하여, 각 터치센서의 센싱 동작에 따른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을 디스플레이에 정확하게 표시하여 안내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스위치를 갖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파워 시트는 착석을 위한 시트쿠션과, 등을 기대는 시트백과, 목과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를 필수 구성으로 포함하고, 여기에 더하여 시트의 다양한 포지션 조절을 위한 파워 메카니즘 구성들을 더 포함하고 있다.
특히, 상기 파워 시트의 측부에는 시트쿠션 및 시트백 등을 다양한 위치로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 모듈이 장착되고 있다.
상기 스위치 모듈은 시트의 전후 이동 조절,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 시트쿠션의 프론트부에 대한 익스텐션 조절, 시트백의 볼스터 각도 조절,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조절, 시트백 내에 설치되는 럼버서포트의 지지방향 조절 등을 위하여 몇 개의 스위치가 조합 배열된 구조로 적용되고 있다.
더욱이, 상기 스위치 모듈의 각 스위치에는 터치센서가 내장됨으로써, 사용자가 스위치에 손을 대면 터치센서의 센싱 동작과 함께 운전석 주변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스위치의 선택 상태 및 조작 방향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운전 중 전방 주시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스위치의 선택 상태 및 조작 방향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스위치의 선택 상태 및 조작 방향을 시각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시트 측부에 장착된 상기 스위치 모듈의 조작 상태를 직접 확인하기 위하여 상체를 숙이는 동시에 고개를 스위치 모듈쪽으로 돌리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치 모듈은 시트 전체의 전후 이동 조절(2방향)과, 시트쿠션의 프론트부 업 및 다운(2방향)과, 시트쿠션의 상하 높이 조절(2방향) 등 총 6방향 조절을 위한 제1스위치와, 시트쿠션의 프론트부에 대한 익스텐션 조절(2방향)을 위한 제2스위치와,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조절(2방향)을 위한 제3스위치와, 시트백의 볼스터 각도 조절(2방향)을 위한 제4스위치와, 럼버서포트의 지지방향 조절(4방향)을 위한 제5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5스위치에는 터치센서가 내장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제1 내지 제5스위치 중 조작하고자 하는 하나의 스위치 표면에 손을 대는 터치 동작이 이루어지면, 해당 스위치에 내장된 터치센서의 센싱 신호가 제어기로 출력되고, 이어서 제어기의 제어에 의하여 사용자가 손을 댄 스위치 조작에 따른 파워시트의 작동방향을 안내하는 화살표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대고 있는 스위치가 조작됨에 따른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을 시각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의 전후 이동 조절(2방향)과, 시트쿠션의 프론트부 업 및 다운(2방향)과,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2방향) 등 총 6방향 조절을 위한 제1스위치에 사용자의 손을 대는 터치 동작이 이루어지면, 첨부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위치에 내장된 터치센서의 센싱 동작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200)에 제1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을 안내하는 총 6개의 화살표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사용자가 제1스위치를 선택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제1스위치의 어느 부분을 터치하더라도, 제1스위치의 조작에 의한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을 안내하는 총 6개 화살표가 동시에 디스플레이에 표시됨으로써, 실제 사용자가 원하는 제1스위치의 조작방향 및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을 정확하게 안내받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스위치 내지 제5스위치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상기 제2 내지 제5스위치의 어느 부분을 터치하더라고, 디스플레이에 제2 내지 제5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파워 시트의 모든 작동 방향이 동시에 화살표로 표시됨으로써, 실제 사용자가 원하는 제2 내지 제5스위치의 조작방향 및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을 정확하게 안내받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시트의 전방향 이동 조절(예, 제1스위치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조작)을 위하여 제1스위치의 후단부 표면에 손을 대는 터치가 이루어지더라도, 첨부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00)에 제1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을 안내하는 총 6개의 화살표가 동시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제1스위치에 손을 대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으나, 시트의 전방향 이동 조절을 위한 제1스위치의 조작 방향 및 제1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예, 시트의 전방향 이동 조절)을 정확하게 안내받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시트의 전방향 이동 조절(예, 제1스위치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조작)을 위하여 제1스위치의 후단부 표면에 손을 대는 터치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시트의 전방향 이동 조절을 안내하는 하나의 화살표만이 표시되면 사용자가 시트의 전방향 이동 조절을 위한 제1스위치의 조작방향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에 제1스위치의 조작으로 작동 가능한 파워 시트의 모든 작동 방향을 안내하는 총 6개의 화살표가 동시에 표시됨으로써, 결국 사용자가 원하는 제1스위치의 조작방향을 정확하게 안내하지 못하여, 오히려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시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파워 시트 작동을 위한 스위치 모듈의 각 스위치 마다 파워시트의 각 작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개의 터치센서를 내장하여, 각 터치센서의 센싱 동작에 따라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을 안내하는 하나의 화살표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을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스위치의 선택 상태 및 조작 방향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등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스위치를 갖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트를 원하는 위치 및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하여 입력 조작하는 복수개의 슬라이딩 타입 스위치가 모듈화된 스위치 모듈;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 타입 스위치 각각에 파워 시트의 각 작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하여 내장되는 복수개의 터치센서; 상기 복수개의 터치센서 중 터치에 의한 센싱 동작이 이루어진 터치센서의 센싱 신호에 따라,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을 결정하는 메인 제어기; 및 상기 메인 제어기에서 결정된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을 하나의 화살표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안내하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 스위치를 갖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스위치 모듈은: 파워 시트의 전후 이동 작동과, 시트쿠션의 프론트부 업 및 다운 작동과, 시트쿠션의 상하 높이 조절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슬라이딩 타입의 제1스위치와,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슬라이딩 타입의 제2스위치와, 시트쿠션의 프론트부에 대한 익스텐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슬라이딩 타입의 제3스위치와, 럼버서포트의 지지방향 조절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푸시버튼 타입의 제4스위치와, 시트백의 볼스터 각도 조절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회전노브 타입의 제5스위치가 소정의 배열로 배치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타입의 제1스위치는: 내면에 복수개의 터치센서 삽입홈이 소정의 배열로 형성된 제1스위치 커버; 상기 제1스위치 커버 내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 제어기와 플렉서블 케이블에 의하여 신호 전송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서브 제어기; 상기 제1스위치 커버의 시트쿠션 프론트부 다운 조작영역에 내장되어 상기 제1서브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1 터치센서; 상기 제1스위치 커버의 시트 하강 조작영역에 내장되어 상기 제1서브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 터치센서; 상기 제1스위치 커버의 시트 후방 이동 조작영역에 내장되어 상기 제1서브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3 터치센서; 상기 제1스위치 커버의 시트 전방 이동 조작영역에 내장되어 상기 제1서브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4 터치센서; 상기 제1스위치 커버의 시트쿠션 프론트부 업 조작영역에 내장되어 상기 제1서브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5 터치센서; 및 상기 제1스위치 커버의 시트쿠션 상승 조작영역에 내장되어 상기 제1서브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6 터치센서;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쿠션 프론트부 다운 조작영역은 상기 제1스위치 커버의 상면에서 앞쪽 부분으로 구획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 하강 조작영역은 상기 제1스위치 커버의 상면에서 뒤쪽 부분으로 구획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 후방 이동 조작영역은 상기 제1스위치 커버의 전면 부분으로 구획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 전방 이동 조작영역은 상기 제1스위치 커버의 후면 부분으로 구획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쿠션 프론트부 업 조작영역은 상기 제1스위치 커버의 저면에서 앞쪽 부분으로 구획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쿠션 상승 조작영역은 상기 제1스위치 커버의 저면에서 뒤쪽 부분으로 구획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 타입의 제2스위치는: 내면에 2개 이상의 터치센서 삽입홈이 형성된 제2스위치 커버; 상기 제2스위치 커버 내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 제어기와 플렉서블 케이블에 의하여 신호 전송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서브 제어기; 상기 제2스위치 커버의 시트백 백워드 리클라이닝 조작영역에 내장되어 상기 제2서브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1 터치센서; 및 상기 제2스위치 커버의 시트백 포워드 리클라이닝 조작영역에 내장되어 상기 제2서브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2 터치센서;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백 백워드 리클라이닝 조작영역은 상기 제2스위치 커버의 전면 부분으로 구획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백 포워드 리클라이닝 조작영역은 상기 제2스위치 커버의 후면 부분으로 구획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 타입의 제3스위치는: 내면에 2개 이상의 터치센서 매칭홈이 형성된 제3스위치 커버; 상기 제3스위치 커버의 익스텐션 백워드 조작영역에 내장되어 메인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1 터치센서; 및 상기 제3스위치 커버의 익스텐션 포워드 조작영역에 내장되어 메인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2 터치센서;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1 터치센서 및 제3-2 터치센서는 상기 메인 제어기에 도전성 스프링에 의하여 신호 전송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익스텐션 백워드 조작영역은 상기 제3스위치 커버의 전단부 표면으로 구획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익스텐션 포워드 조작영역은 상기 제3스위치 커버의 후단부 표면으로 구획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시버튼 타입의 제4스위치는: 럼버서포트의 전방 돌출 조작영역과, 후방 수축 조작영역과, 상승 조작영역과, 하강 조작영역을 갖는 제4스위치 커버; 상기 제4스위치 커버의 럼버서포트 전방 돌출 조작영역에 내장되어 메인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1 터치센서; 상기 제4스위치 커버의 럼버서포트 후방 수축 조작영역에 내장되어 메인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2 터치센서; 상기 제4스위치 커버의 럼버서포트 상승 조작영역에 내장되어 메인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3 터치센서; 및 상기 제4스위치 커버의 럼버서포트 하강 조작영역에 내장되어 메인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4 터치센서;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1 터치센서와, 제4-2 터치센서와, 제4-3 터치센서와, 제4-4 터치센서의 통합된 신호 출력 경로가 플렉서블 케이블에 의하여 메인 제어기에 신호 전송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노브 타입의 제5스위치는: 상기 제4스위치의 둘레부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제5스위치 커버; 상기 제5스위치 커버의 일측면과 인접한 가니쉬 플레이트에 내장되어 메인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5-1터치 센서; 및 상기 제5스위치 커버의 타측면과 인접한 가니쉬 플레이트에 내장되어 메인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5-2터치 센서;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5-1 터치센서 및 제5-2 터치센서는 상기 메인 제어기에 도전성 스프링에 의하여 신호 전송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파워 시트 작동을 위한 스위치 모듈의 각 스위치 마다 복수개의 터치센서를 내장하여, 각 터치센서의 센싱 동작에 따라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 및 스위치의 조작 방향을 안내하는 화살표가 디스플레이에 정확하게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파워 시트를 원하는 포지션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의 조작 방향 및 스위치 조작에 따른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둘째,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시트 및 화살표 이미지를 보면서 스위치 선택 상태 및 스위치 조작 방향, 그리고 스위치 조작에 따른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파워 시트 조작 장치의 스위치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듈의 제1스위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듈의 제1스위치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스위치에 내장된 6개의 각 터치센서의 센싱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을 안내하는 이미지가 다르게 표시됨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듈의 제2스위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듈의 제2스위치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스위치에 내장된 2개의 각 터치센서의 센싱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을 안내하는 이미지가 다르게 표시됨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듈의 제3스위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듈의 제3스위치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스위치에 내장된 2개의 각 터치센서의 센싱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을 안내하는 이미지가 다르게 표시됨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듈의 제4스위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a 내지 도 16d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스위치에 내장된 터치센서의 센싱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을 안내하는 이미지가 다르게 표시됨을 보여주는 도면,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듈의 제5스위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에 따른 제5스위치에 내장된 터치센서의 센싱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을 안내하는 이미지가 다르게 표시됨을 보여주는 도면,
도 20은 종래의 파워 시트 작동 방향을 안내하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파워 시트 조작 장치의 스위치 모듈을 나타낸다.
시트의 측부(예를 들어, 시트쿠션의 일측부)에는 파워 시트의 작동 조작을 위한 슬라이딩 타입의 제1 내지 제3스위치(110,120,130), 푸시버튼 타입의 제4스위치(140), 회전노브 타입의 제5스위치(150) 등을 포함하는 스위치 모듈(100)이 장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 모듈(100)은 시트 전체의 전후 이동 조절(2방향)과, 시트쿠션의 프론트부 업 및 다운(2방향)과, 시트쿠션의 상하 높이 조절(2방향) 등 총 6방향 조절을 위한 슬라이딩 타입의 제1스위치(110)와, 시트쿠션의 프론트부에 대한 익스텐션 조절(2방향)을 위한 슬라이딩 타입의 제2스위치(120)와,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조절(2방향)을 위한 슬라이딩 타입의 제3스위치(130)와, 럼버서포트의 지지방향 조절(4방향)을 위한 푸시버튼 타입의 제4스위치(140)와, 시트백의 볼스터 각도 조절(2방향)을 위한 회전노브 타입의 제4스위치(15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타입은 스위치를 전후 또는 상하방향으로 밀어주며 무빙 조작하는 타입을 말하고, 상기 회전노브 타입은 스위치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며 조작하는 타입을 말하며, 상기 푸시버튼 타입은 스위치를 수직으로 눌러주며 조작하는 타입을 말한다.
특히, 상기 스위치 모듈(100)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5스위치 마다 파워 시트의 각 작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개의 터치센서가 내장된다.
상기 복수개의 터치센서 중 센싱 동작이 이루어진 터치센서의 센싱 신호를 제어기에서 수신하면, 제어기에서 해당 터치센서의 센싱 신호에 따른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 및 스위치의 조작 방향을 결정한 다음, 디스플레이에 표시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PCB 보드로 구비되는 서브 제어기 및 메인 제어기로 구성되거나, 메인 제어기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디스플레이에 시트 이미지가 표시됨과 함께 상기 제어기에서 결정된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 및 스위치의 조작 방향을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화살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시트 및 화살표 이미지를 보면서 스위치 선택 상태 및 스위치 조작 방향, 그리고 스위치 조작에 따른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첨부한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듈의 제1스위치 및 그 조립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면부호 110은 제1스위치를 지시한다.
상기 슬라이딩 타입의 제1스위치(110)는 시트의 전후 이동 작동(2방향)과, 시트쿠션의 프론트부 업 및 다운 작동(2방향)과, 시트쿠션의 상하 높이 조절 작동(2방향)을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관을 이루는 제1스위치 커버(111)를 포함한다.
상기 제1스위치 커버(111)의 내면에는 복수개의 터치센서 삽입홈(112)이 소정의 배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센서 삽입홈(112)은 제1스위치 커버(111)의 내면에서 사방 테두리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제1스위치 커버(111)의 내부에 복수개의 터치센서 및 각 터치센서가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된 제1서브 제어기(114)가 내장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위치 커버(111)의 터치센서 삽입홈(112)에 복수개의 터치센서가 삽입 장착되는 동시에 각 터치센서가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된 제1서브 제어기(114)가 제1스위치 커버(111)의 내면 중앙영역에 삽입 장착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제1서브 제어기(114)는 플렉서블 케이블(115)에 의하여 메인 제어기(116)에 신호 전송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서브 제어기(114)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스위치 커버(111) 내에 내장되는 복수개의 터치센서는 제1-1터치센서(113-1)와, 제1-2터치센서(113-2)와, 제1-3터치센서(113-3)와, 제1-4터치센서(113-4)와, 제1-5터치센서(113-5)와, 제1-6터치센서(113-6)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1터치센서(113-1)는 상기 제1서브 제어기(114)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스위치 커버(111)의 시트쿠션 프론트부 다운 조작영역(117-1), 즉 상기 제1스위치 커버(111)의 상면에서 앞쪽 부분으로 구획된 영역 내에 위치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사용자가 상기 제1스위치 커버(111)의 시트쿠션 프론트부 다운 조작영역(117-1)에 손을 대면, 그 내부의 제1-1터치센서(113-1)의 센싱이 이루어지고, 제1-1터치센서(113-1)의 센싱 신호가 제1서브 제어기(114)로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제1-1터치센서(113-1)의 센싱 신호를 제1서브 제어기(114)에서 수신하면, 제1서브 제어기(114)에서 제1-1터치센서(113-1)의 센싱 신호에 따른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 및 스위치의 조작 방향을 시트쿠션 프론트부 다운 방향으로 결정하고, 그 결정 신호를 메인 제어기(116)로 전송한다.
연이어, 상기 메인 제어기(116)에서 시트쿠션 프론트부 다운 방향으로 결정된 신호에 따른 표시를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200)에 전송함으로써,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200)에 시트 이미지 및 시트쿠션 프론트부 다운 작동 방향을 안내하는 하나의 화살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00)를 보았을 때, 현재 제1스위치 커버(111)의 시트쿠션 프론트부 다운 조작영역(117-1)에 손을 댄 상태에서 제1스위치 커버(111)를 누르면 시트쿠션의 프론트부가 다운 작동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제1-2터치센서(113-2)는 상기 제1서브 제어기(114)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스위치 커버(111)의 시트 하강 조작영역(117-2), 즉 상기 제1스위치 커버(111)의 상면에서 뒤쪽 부분으로 구획된 영역 내에 위치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사용자가 상기 제1스위치 커버(111)의 시트 하강 조작영역(117-2)에 손을 대면, 그 내부의 제1-2터치센서(113-2)의 센싱이 이루어지고, 제1-2터치센서(113-2)의 센싱 신호가 제1서브 제어기(114)로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제1-2터치센서(113-2)의 센싱 신호를 제1서브 제어기(114)에서 수신하면, 제1서브 제어기(114)에서 제1-2터치센서(113-2)의 센싱 신호에 따른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 및 스위치의 조작 방향을 시트 하강(seat down) 방향으로 결정하고, 그 결정 신호를 메인 제어기(116)로 전송한다.
연이어, 상기 메인 제어기(116)에서 시트 하강 방향으로 결정된 신호에 따른 표시를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200)에 전송함으로써,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200)에 시트 이미지 및 시트 하강 방향을 안내하는 하나의 화살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00)를 보았을 때, 현재 제1스위치 커버(111)의 시트 하강 조작영역(117-2)에 손을 댄 상태에서 제1스위치 커버(111)를 누르면 시트의 높이가 하강 조절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제1-3터치센서(113-3)는 상기 제1서브 제어기(114)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스위치 커버(111)의 시트 후방 이동 조작영역(117-3), 즉 상기 제1스위치 커버(111)의 전면 부분으로 구획된 영역 내에 위치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사용자가 상기 제1스위치 커버(111)의 시트 후방 이동 조작영역(117-3)에 손을 대면, 그 내부의 제1-3터치센서(113-3)의 센싱이 이루어지고, 제1-3터치센서(113-3)의 센싱 신호가 제1서브 제어기(114)로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제1-3터치센서(113-3)의 센싱 신호를 제1서브 제어기(114)에서 수신하면, 제1서브 제어기(114)에서 제1-3터치센서(113-3)의 센싱 신호에 따른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 및 스위치의 조작 방향을 시트 후방 이동(seat slide backward) 방향으로 결정하고, 그 결정 신호를 메인 제어기(116)로 전송한다.
연이어, 상기 메인 제어기(116)에서 시트 후방 이동 방향으로 결정된 신호에 따른 표시를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200)에 전송함으로써,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200)에 시트 이미지 및 시트 후방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하나의 화살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00)를 보았을 때, 현재 제1스위치 커버(111)의 시트 후방 이동 조작영역(117-3)에 손을 댄 상태에서 제1스위치 커버(111)를 누르면 시트가 후방 이동 조절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제1-4터치센서(113-4)는 상기 제1서브 제어기(114)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스위치 커버(111)의 시트 전방 이동 조작영역(117-4), 즉 상기 제1스위치 커버(111)의 후면 부분으로 구획된 영역 내에 위치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사용자가 상기 제1스위치 커버(111)의 시트 전방 이동 조작영역(117-4)에 손을 대면, 그 내부의 제1-4터치센서(113-4)의 센싱이 이루어지고, 제1-4터치센서(113-4)의 센싱 신호가 제1서브 제어기(114)로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제1-4터치센서(113-4)의 센싱 신호를 제1서브 제어기(114)에서 수신하면, 제1서브 제어기(114)에서 제1-4터치센서(113-4)의 센싱 신호에 따른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 및 스위치의 조작 방향을 시트 전방 이동(seat slide forward) 방향으로 결정하고, 그 결정 신호를 메인 제어기(116)로 전송한다.
연이어, 상기 메인 제어기(116)에서 시트 전방 이동 방향으로 결정된 신호에 따른 표시를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200)에 전송함으로써,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200)에 시트 이미지 및 시트 전방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하나의 화살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00)를 보았을 때, 현재 제1스위치 커버(111)의 시트 전방 이동 조작영역(117-4)에 손을 댄 상태에서 제1스위치 커버(111)를 누르면 시트가 전방 이동 조절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제1-5터치센서(113-5)는 상기 제1서브 제어기(114)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스위치 커버(111)의 시트쿠션 프론트부 업 조작영역(117-5), 즉 상기 제1스위치 커버(111)의 저면에서 앞쪽 부분으로 구획된 영역 내에 위치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사용자가 상기 제1스위치 커버(111)의 시트쿠션 프론트부 업 조작영역(117-5)에 손을 대면, 그 내부의 제1-5터치센서(113-5)의 센싱이 이루어지고, 제1-5터치센서(113-5)의 센싱 신호가 제1서브 제어기(114)로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제1-5터치센서(113-5)의 센싱 신호를 제1서브 제어기(114)에서 수신하면, 제1서브 제어기(114)에서 제1-5터치센서(113-5)의 센싱 신호에 따른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 및 스위치의 조작 방향을 시트쿠션의 프론트부 업 방향으로 결정하고, 그 결정 신호를 메인 제어기(116)로 전송한다.
연이어, 상기 메인 제어기(116)에서 시트쿠션의 프론트부 업 방향으로 결정된 신호에 따른 표시를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200)에 전송함으로써,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200)에 시트 이미지 및 시트쿠션의 프론트부 업 작동 방향을 안내하는 하나의 화살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00)를 보았을 때, 현재 제1스위치 커버(111)의 시트쿠션 프론트부 업 조작영역(117-5)에 손을 댄 상태에서 제1스위치 커버(111)를 누르면 시트쿠션의 프론트부가 업 작동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제1-6터치센서(113-6)는 상기 제1서브 제어기(114)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스위치 커버(111)의 시트 상승 조작영역(117-6), 즉 상기 제1스위치 커버(111)의 저면에서 뒤쪽 부분으로 구획된 영역 내에 위치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사용자가 상기 제1스위치 커버(111)의 시트 상승 조작영역(117-6)에 손을 대면, 그 내부의 제1-6터치센서(113-6)의 센싱이 이루어지고, 제1-6터치센서(113-6)의 센싱 신호가 제1서브 제어기(114)로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제1-6터치센서(113-6)의 센싱 신호를 제1서브 제어기(114)에서 수신하면, 제1서브 제어기(114)에서 제1-6터치센서(113-6)의 센싱 신호에 따른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 및 스위치의 조작 방향을 시트 상승(seat up) 방향으로 결정하고, 그 결정 신호를 메인 제어기(116)로 전송한다.
연이어, 상기 메인 제어기(116)에서 시트 상승 방향으로 결정된 신호에 따른 표시를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200)에 전송함으로써,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200)에 시트 이미지 및 시트 상승 방향을 안내하는 하나의 화살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00)를 보았을 때, 현재 제1스위치 커버(111)의 시트 상승 조작영역(117-6)에 손을 댄 상태에서 제1스위치 커버(111)를 누르면 시트의 높이가 상승 조절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첨부한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듈의 제2스위치 및 그 조립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면부호 120은 제2스위치를 지시한다.
상기 슬라이딩 타입의 제2스위치(120)는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관을 이루는 제2스위치 커버(121)를 포함한다.
상기 제2스위치 커버(121)의 내면에는 2개 이상의 터치센서 삽입홈(122)이 전후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제2스위치 커버(121)의 내부에 복수개의 터치센서 및 각 터치센서가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된 제2서브 제어기(124)가 내장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스위치 커버(121)의 터치센서 삽입홈(122)에 복수개의 터치센서가 삽입 장착되는 동시에 각 터치센서가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된 제2서브 제어기(124)가 제1스위치 커버(121)의 내면 중앙영역에 삽입 장착된다.
도 8에서 보듯이, 상기 제2서브 제어기(124)는 플렉서블 케이블(115)에 의하여 메인 제어기(116)에 신호 전송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2서브 제어기(124)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스위치 커버(121) 내에 내장되는 복수개의 터치센서는 제2-1터치센서(123-1)와 제2-2터치센서(12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1터치센서(123-1)는 상기 제2서브 제어기(124)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스위치 커버(121)의 시트백 백워드 리클라이닝 조작영역(127-1), 즉 상기 제2스위치 커버(121)의 전면 부분으로 구획된 영역 내에 위치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사용자가 상기 제2스위치 커버(121)의 시트백 백워드 리클라이닝 조작영역(127-1)에 손을 대면, 그 내부의 제2-1터치센서(123-1)의 센싱이 이루어지고, 제2-1터치센서(123-1)의 센싱 신호가 제2서브 제어기(124)로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제2-1터치센서(123-1)의 센싱 신호를 제2서브 제어기(124)에서 수신하면, 제2서브 제어기(124)에서 제2-1터치센서(123-1)의 센싱 신호에 따른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 및 스위치의 조작 방향을 시트백의 리클라이딩 백워드 방향으로 결정하고, 그 결정 신호를 메인 제어기(116)로 전송한다.
연이어, 상기 메인 제어기(116)에서 시트백의 리클라이딩 백워드 방향으로 결정된 신호에 따른 표시를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200)에 전송함으로써,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200)에 시트 이미지 및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백워드 작동 방향을 안내하는 하나의 화살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00)를 보았을 때, 현재 제2스위치 커버(121)의 시트백 백워드 리클라이닝 조작영역(127-1)에 손을 댄 상태에서 제2스위치 커버(121)를 누르면 시트백이 후방으로 리클라이닝 작동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제2-2터치센서(123-2)는 상기 제2서브 제어기(124)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스위치 커버(121)의 시트백 포워드 리클라이닝 조작영역(127-2), 즉 상기 제2스위치 커버(121)의 후면 부분으로 구획된 영역 내에 위치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사용자가 상기 제2스위치 커버(121)의 시트백 포워드 리클라이닝 조작영역(127-2)에 손을 대면, 그 내부의 제2-2터치센서(123-2)의 센싱이 이루어지고, 제2-2터치센서(123-2)의 센싱 신호가 제2서브 제어기(124)로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제2-2터치센서(123-2)의 센싱 신호를 제2서브 제어기(124)에서 수신하면, 제2서브 제어기(124)에서 제2-2터치센서(123-2)의 센싱 신호에 따른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 및 스위치의 조작 방향을 시트백의 리클라이딩 포워드 방향으로 결정하고, 그 결정 신호를 메인 제어기(116)로 전송한다.
연이어, 상기 메인 제어기(116)에서 시트백의 리클라이딩 포워드 방향으로 결정된 신호에 따른 표시를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200)에 전송함으로써,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200)에 시트 이미지 및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포워드 작동 방향을 안내하는 하나의 화살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00)를 보았을 때, 현재 제2스위치 커버(121)의 시트백 포워드 리클라이닝 조작영역(127-2)에 손을 댄 상태에서 제2스위치 커버(121)를 누르면 시트백이 전방으로 리클라이닝 작동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첨부한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듈의 제3스위치 및 그 조립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면부호 130은 제3스위치를 지시한다.
상기 슬라이딩 타입의 제3스위치(130)는 시트쿠션의 프론트부에 대한 익스텐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관을 이루는 제3스위치 커버(131)를 포함한다.
상기 제3스위치 커버(131)의 내면에는 2개 이상의 터치센서 삽입홈(132)이 전후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스위치 커버(131)의 내면에서 전후 위치에 형성된 터치센서 삽입홈(132)에 각각 제3-1터치센서(133-1)와 제3-2터치센서(133-2)가 삽입 장착된다.
이때, 도 12에서 보듯이 상기 제3-1 터치센서(133-1) 및 제3-2 터치센서(133-2)는 각각 상기 메인 제어기(116)에 도전성 스프링(134) 또는 도전성 핀 등에 의하여 신호 전송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1터치센서(133-1)는 상기 도전성 스프링(134)에 의하여 메인 제어기(116)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3스위치 커버(131)의 익스텐션 백워드 조작영역(137-1), 즉 상기 제3스위치 커버(131)의 전단부 표면으로 구획된 영역 내에 위치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사용자가 상기 제3스위치 커버(131)의 익스텐션 백워드 조작영역(137-1)에 손을 대면, 그 내부의 제3-1터치센서(133-1)의 센싱이 이루어지고, 제3-1터치센서(133-1)의 센싱 신호가 도전성 스프링(134)을 통하여 메인 제어기(116)로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메인 제어기(116)에서 제3-1터치센서(133-1)의 센싱 신호에 따른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 및 스위치의 조작 방향을 시트쿠션 전단부에 대한 익스텐션 백워드 방향으로 결정한다.
연이어, 상기 메인 제어기(116)에서 시트쿠션 전단부에 대한 익스텐션 백워드 방향으로 결정된 신호에 따른 표시를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200)에 전송함으로써,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200)에 시트 이미지 및 시트쿠션 전단부에 대한 익스텐션 백워드 작동 방향을 안내하는 하나의 화살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00)를 보았을 때, 현재 제3스위치 커버(131)의 익스텐션 백워드 조작영역(137-1)에 손을 댄 상태에서 제3스위치 커버(131)를 누르면 시트쿠션 전단부 길이가 줄어드는 익스텐션 백워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제3-2터치센서(133-2)는 상기 도전성 스프링(134)에 의하여 메인 제어기(116)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3스위치 커버(131)의 익스텐션 포워드 조작영역(137-2), 즉 상기 제3스위치 커버(131)의 후단부 표면으로 구획된 영역 내에 위치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사용자가 상기 제3스위치 커버(131)의 익스텐션 포워드 조작영역(137-2)에 손을 대면, 그 내부의 제3-2터치센서(133-2)의 센싱이 이루어지고, 제3-2터치센서(133-2)의 센싱 신호가 도전성 스프링(134)을 통하여 메인 제어기(116)로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메인 제어기(116)에서 제3-2터치센서(133-2)의 센싱 신호에 따른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 및 스위치의 조작 방향을 시트쿠션 전단부에 대한 익스텐션 포워드 방향으로 결정한다.
연이어, 상기 메인 제어기(116)에서 시트쿠션 전단부에 대한 익스텐션 포워드 방향으로 결정된 신호에 따른 표시를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200)에 전송함으로써,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200)에 시트 이미지 및 시트쿠션 전단부에 대한 익스텐션 포워드 작동 방향을 안내하는 하나의 화살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00)를 보았을 때, 현재 제3스위치 커버(131)의 익스텐션 포워드 조작영역(137-2)에 손을 댄 상태에서 제3스위치 커버(131)를 누르면 시트쿠션 전단부 길이가 늘어나는 익스텐션 포워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첨부한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듈의 제4스위치 및 그 조립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면부호 140은 제4스위치를 지시한다.
상기 푸시버튼 타입의 제4스위치(140)는 시트백 내에 설치된 럼버서포트의 지지방향 조절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관을 이루는 제4스위치 커버(141)를 포함한다.
상기 제4스위치 커버(141)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럼버서포트 전방 돌출 조작영역(141-1)과, 럼버서포트 후방 수축 조작영역(141-2)과, 럼버서포트 상승 조작영역(141-3)과, 럼버서포트 하강 조작영역(141-4)으로 구획된 구조로 구비된다.
특히, 상기 제4스위치 커버(141)의 럼버서포트 전방 돌출 조작영역(141-1) 내에는 메인 제어기(116)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1터치센서(143-1)가 내장되고, 상기 제4스위치 커버(141)의 럼버서포트 후방 수축 조작영역(141-2) 내에는 메인 제어기(116)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2터치센서(143-2)가 내장된다.
또한, 상기 제4스위치 커버(141)의 럼버서포트 상승 조작영역(141-3) 내에는 메인 제어기(116)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3터치센서(143-3)가 내장되고, 상기 제4스위치 커버(141)의 럼버서포트 하강 조작영역(141-4) 내에는 메인 제어기(116)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4터치센서(143-4)가 내장된다.
이때, 상기 제4-1터치센서(143-1)와, 제4-2터치센서(143-2)와, 제4-3터치센서(143-3)와, 제4-4터치센서(143-4)의 통합된 신호 출력 경로가 플렉서블 케이블(115)에 의하여 메인 제어기(116)에 신호 전송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4스위치 커버(141)의 럼버서포트 전방 돌출 조작영역(141-1)에 손을 대면, 그 내부의 제4-1터치센서(143-1)의 센싱이 이루어지고, 제4-1터치센서(143-1)의 센싱 신호가 플렉서블 케이블(115)을 통하여 메인 제어기(116)로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메인 제어기(116)에서 제4-1터치센서(143-1)의 센싱 신호에 따른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 및 스위치의 조작 방향을 럼버서포트 전방 돌출 방향으로 결정한다.
연이어, 상기 메인 제어기(116)에서 럼버서포트 전방 돌출 방향으로 결정된 신호에 따른 표시를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200)에 전송함으로써,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200)에 시트 이미지 및 럼버서포트 전방 돌출 작동 방향을 안내하는 하나의 화살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00)를 보았을 때, 현재 제4스위치 커버(141)의 럼버서포트 전방 돌출 조작영역(141-1)에 손을 댄 상태에서 제4스위치 커버(141)를 누르면 럼버서포트가 전방으로 돌출 작동됨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상기 제4스위치 커버(141)의 럼버서포트 후방 수축 조작영역(141-2)에 손을 대면, 그 내부의 제4-2터치센서(143-2)의 센싱이 이루어지고, 제4-2터치센서(143-2)의 센싱 신호가 플렉서블 케이블(115)을 통하여 메인 제어기(116)로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메인 제어기(116)에서 제4-2터치센서(143-2)의 센싱 신호에 따른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 및 스위치의 조작 방향을 럼버서포트 후방 수축 방향으로 결정한다.
연이어, 상기 메인 제어기(116)에서 럼버서포트 후방 수축 방향으로 결정된 신호에 따른 표시를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200)에 전송함으로써,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200)에 시트 이미지 및 럼버서포트 후방 수축 작동 방향을 안내하는 하나의 화살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00)를 보았을 때, 현재 제4스위치 커버(141)의 럼버서포트 후방 수축 조작영역(141-2)에 손을 댄 상태에서 제4스위치 커버(141)를 누르면 럼버서포트가 후방으로 수축 작동됨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상기 제4스위치 커버(141)의 럼버서포트 상승 조작영역(141-3)에 손을 대면, 그 내부의 제4-3터치센서(143-3)의 센싱이 이루어지고, 제4-3터치센서(143-3)의 센싱 신호가 플렉서블 케이블(115)을 통하여 메인 제어기(116)로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메인 제어기(116)에서 제4-3터치센서(143-3)의 센싱 신호에 따른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 및 스위치의 조작 방향을 럼버서포트 상승 방향으로 결정한다.
연이어, 상기 메인 제어기(116)에서 럼버서포트 상승 방향으로 결정된 신호에 따른 표시를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200)에 전송함으로써,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200)에 시트 이미지 및 럼버서포트 상승 작동 방향을 안내하는 하나의 화살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00)를 보았을 때, 현재 제4스위치 커버(141)의 럼버서포트 상승 조작영역(141-3)에 손을 댄 상태에서 제4스위치 커버(141)를 누르면 럼버서포트가 상승 작동됨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상기 제4스위치 커버(141)의 럼버서포트 하강 조작영역(141-4)에 손을 대면, 그 내부의 제4-4터치센서(143-4)의 센싱이 이루어지고, 제4-4터치센서(143-4)의 센싱 신호가 플렉서블 케이블(115)을 통하여 메인 제어기(116)로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메인 제어기(116)에서 제4-4터치센서(143-4)의 센싱 신호에 따른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 및 스위치의 조작 방향을 럼버서포트 하강 방향으로 결정한다.
연이어, 상기 메인 제어기(116)에서 럼버서포트 하강 방향으로 결정된 신호에 따른 표시를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200)에 전송함으로써,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200)에 시트 이미지 및 럼버서포트 하강 작동 방향을 안내하는 하나의 화살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00)를 보았을 때, 현재 제4스위치 커버(141)의 럼버서포트 하강 조작영역(141-4)에 손을 댄 상태에서 제4스위치 커버(141)를 누르면 럼버서포트가 하강 작동됨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첨부한 도 17 및 도 18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듈의 제5스위치 및 그 조립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면부호 150은 제5스위치를 지시한다.
상기 회전노브 타입의 제5스위치(150)는 시트백의 볼스터 각도 조절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7에서 보듯이 제4스위치 커버(141)의 외주부 위치에 각회전 가능하게 배열될 수 있는 제5스위치 커버(151)를 포함한다.
특히,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5스위치 커버(151)의 일측면과 인접한 가니쉬 플레이트(152)에 제5-1터치센서(153-1)가 내장되고, 상기 제5스위치 커버(151)의 타측면과 인접한 가니쉬 플레이트(152)에 제5-2터치센서(153-2)가 내장된다.
이때, 상기 제5-1터치센서(153-1)와 제5-2터치센서(153-2)는 도전성 스프링(154) 또는 도전성 핀 등에 의하여 메인 제어기(116)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5스위치 커버(151)의 일측쪽 가니쉬 플레이트(152) 상에 손을 대면, 그 내부의 제5-1터치센서(153-1)의 센싱이 이루어지고, 제5-1터치센서(153-1)의 센싱 신호가 도전성 스프링(154)을 통하여 메인 제어기(116)로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메인 제어기(116)에서 제5-1터치센서(153-1)의 센싱 신호에 따른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 및 스위치의 조작 방향을 볼스터 내측 이동 방향으로 결정한다.
연이어, 상기 메인 제어기(116)에서 볼스터 내측 이동 방향으로 결정된 신호에 따른 표시를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200)에 전송함으로써,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200)에 시트 이미지 및 볼스터 내측 이동 작동 방향을 안내하는 화살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00)를 보았을 때, 현재 제5스위치 커버(151)의 일측쪽으로 회전시키면 볼스터가 내측방향으로 이동 조절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상기 제5스위치 커버(151)의 타측쪽 가니쉬 플레이트(152) 상에 손을 대면, 그 내부의 제5-2터치센서(153-2)의 센싱이 이루어지고, 제5-2터치센서(153-2)의 센싱 신호가 도전성 스프링(154)을 통하여 메인 제어기(116)로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메인 제어기(116)에서 제5-2터치센서(153-2)의 센싱 신호에 따른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 및 스위치의 조작 방향을 볼스터 외측 이동 방향으로 결정한다.
연이어, 상기 메인 제어기(116)에서 볼스터 외측 이동 방향으로 결정된 신호에 따른 표시를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200)에 전송함으로써,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200)에 시트 이미지 및 볼스터 외측 이동 작동 방향을 안내하는 화살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00)를 보았을 때, 현재 제5스위치 커버(151)의 타측쪽으로 회전시키면 볼스터가 외측방향으로 이동 조절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손이 두 개 이상의 터치 센서에 닿아서 두 개 이상의 터치 센서가 동시에 센싱 동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에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 및 스위치의 조작 방향을 안내하는 두 개 이상의 화살표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시트 및 화살표 이미지를 보면서 현재 스위치 선택 상태 및 스위치 조작 방향, 그리고 스위치 조작에 따른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0 : 스위치 모듈 110 : 제1스위치
111 : 제1스위치 커버 112 : 터치센서 삽입홈
113-1 : 제1-1터치센서 113-2 : 제1-2터치센서
113-3 : 제1-3터치센서 113-4 : 제1-4터치센서
113-5 : 제1-5터치센서 113-6 : 제1-6터치센서
114 : 제1서브 제어기 115 : 플렉서블 케이블
116 : 메인 제어기
117-1 : 시트쿠션 프론트부 다운 조작영역
117-2 : 시트 하강 조작영역
117-3 : 시트 후방 이동 조작영역
117-4 : 시트 전방 이동 조작영역
117-5 : 시트쿠션 프론트부 업 조작영역
117-6 : 시트 상승 조작영역
120 : 제2스위치 121 : 제2스위치 커버
122 : 터치센서 삽입홈 123-1 : 제2-1터치 센서
123-2 : 제2-2터치 센서 124 : 제2서브 제어기
127-1 : 시트백 백워드 리클라이닝 조작영역
127-2 : 시트백 포워드 리클라이닝 조작영역
130 : 제3스위치 131 : 제3스위치 커버
132 : 터치센서 삽입홈 133-1 : 제3-1터치센서
133-2 : 제3-2터치센서 134 : 도전성 스프링
137-1 : 익스텐션 백워드 조작영역
137-2 : 익스텐션 포워드 조작영역
140 : 제4스위치 141 : 제4스위치 커버
141-1 : 럼버서포트 전방 돌출 조작영역
141-2 : 럼버서포트 후방 수축 조작영역
141-3 : 럼버서포트 상승 조작영역
141-4 : 럼버서포트 하강 조작영역
143-1 : 제4-1터치센서 143-2 : 제4-2터치센서
143-3 : 제4-3터치센서 143-4 : 제4-4터치센서
150 : 제5스위치 151 : 제5스위치 커버
152 : 가니쉬 플레이트 153-1 : 제5-1터치센서
153-2 : 제5-2터치센서 154 : 도전성 스프링
200 : 디스플레이

Claims (13)

  1. 시트를 원하는 위치 및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하여 입력 조작하는 복수개의 슬라이딩 타입 스위치가 모듈화된 스위치 모듈;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 타입 스위치 각각에 파워 시트의 각 작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하여 내장되는 복수개의 터치센서;
    상기 복수개의 터치센서 중 터치에 의한 센싱 동작이 이루어진 터치센서의 센싱 신호에 따라,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을 결정하는 메인 제어기; 및
    상기 메인 제어기에서 결정된 파워 시트의 작동 방향을 하나의 화살표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안내하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 스위치를 갖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모듈은:
    시트의 전후 이동 작동과, 시트쿠션의 프론트부 업 및 다운 작동과, 시트의 상하 높이 조절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슬라이딩 타입의 제1스위치와,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슬라이딩 타입의 제2스위치와, 시트쿠션의 프론트부에 대한 익스텐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슬라이딩 타입의 제3스위치와, 럼버서포트의 지지방향 조절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푸시버튼 타입의 제4스위치와, 시트백의 볼스터 각도 조절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회전노브 타입의 제5스위치가 소정의 배열로 배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 스위치를 갖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타입의 제1스위치는:
    내면에 복수개의 터치센서 삽입홈이 소정의 배열로 형성된 제1스위치 커버;
    상기 제1스위치 커버 내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 제어기와 플렉서블 케이블에 의하여 신호 전송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서브 제어기;
    상기 제1스위치 커버의 시트쿠션 프론트부 다운 조작영역에 내장되어 상기 제1서브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1 터치센서;
    상기 제1스위치 커버의 시트 하강 조작영역에 내장되어 상기 제1서브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 터치센서;
    상기 제1스위치 커버의 시트 후방 이동 조작영역에 내장되어 상기 제1서브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3 터치센서;
    상기 제1스위치 커버의 시트 전방 이동 조작영역에 내장되어 상기 제1서브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4 터치센서;
    상기 제1스위치 커버의 시트쿠션 프론트부 업 조작영역에 내장되어 상기 제1서브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5 터치센서; 및
    상기 제1스위치 커버의 시트 상승 조작영역에 내장되어 상기 제1서브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6 터치센서;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 스위치를 갖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 프론트부 다운 조작영역은 상기 제1스위치 커버의 상면에서 앞쪽 부분으로 구획된 영역이고,
    상기 시트 하강 조작영역은 상기 제1스위치 커버의 상면에서 뒤쪽 부분으로 구획된 영역이고,
    상기 시트 후방 이동 조작영역은 상기 제1스위치 커버의 전면 부분으로 구획된 영역이고,
    상기 시트 전방 이동 조작영역은 상기 제1스위치 커버의 후면 부분으로 구획된 영역이고,
    상기 시트쿠션 프론트부 업 조작영역은 상기 제1스위치 커버의 저면에서 앞쪽 부분으로 구획된 영역이고,
    상기 시트쿠션 상승 조작영역은 상기 제1스위치 커버의 저면에서 뒤쪽 부분으로 구획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 스위치를 갖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타입의 제2스위치는:
    내면에 2개 이상의 터치센서 삽입홈이 형성된 제2스위치 커버;
    상기 제2스위치 커버 내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 제어기와 플렉서블 케이블에 의하여 신호 전송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서브 제어기;
    상기 제2스위치 커버의 시트백 백워드 리클라이닝 조작영역에 내장되어 상기 제2서브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1 터치센서; 및
    상기 제2스위치 커버의 시트백 포워드 리클라이닝 조작영역에 내장되어 상기 제2서브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2 터치센서;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 스위치를 갖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백워드 리클라이닝 조작영역은 상기 제2스위치 커버의 전면 부분으로 구획된 영역이고,
    상기 시트백 포워드 리클라이닝 조작영역은 상기 제2스위치 커버의 후면 부분으로 구획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 스위치를 갖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타입의 제3스위치는:
    내면에 2개 이상의 터치센서 매칭홈이 형성된 제3스위치 커버;
    상기 제3스위치 커버의 익스텐션 백워드 조작영역에 내장되어 메인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1 터치센서; 및
    상기 제3스위치 커버의 익스텐션 포워드 조작영역에 내장되어 메인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2 터치센서;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 스위치를 갖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1 터치센서 및 제3-2 터치센서는 상기 메인 제어기에 도전성 스프링에 의하여 신호 전송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 스위치를 갖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션 백워드 조작영역은 상기 제3스위치 커버의 전단부 표면으로 구획된 영역이고,
    상기 익스텐션 포워드 조작영역은 상기 제3스위치 커버의 후단부 표면으로 구획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 스위치를 갖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 타입의 제4스위치는:
    럼버서포트의 전방 돌출 조작영역과, 후방 수축 조작영역과, 상승 조작영역과, 하강 조작영역으로 구획된 제4스위치 커버;
    상기 제4스위치 커버의 럼버서포트 전방 돌출 조작영역에 내장되어 메인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1 터치센서;
    상기 제4스위치 커버의 럼버서포트 후방 수축 조작영역에 내장되어 메인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2 터치센서;
    상기 제4스위치 커버의 럼버서포트 상승 조작영역에 내장되어 메인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3 터치센서; 및
    상기 제4스위치 커버의 럼버서포트 하강 조작영역에 내장되어 메인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4 터치센서;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 스위치를 갖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4-1 터치센서와, 제4-2 터치센서와, 제4-3 터치센서와, 제4-4 터치센서의 통합된 신호 출력 경로가 플렉서블 케이블에 의하여 메인 제어기에 신호 전송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 스위치를 갖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노브 타입의 제5스위치는:
    상기 제4스위치의 둘레부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제5스위치 커버;
    상기 제5스위치 커버의 일측면과 인접한 가니쉬 플레이트에 내장되어 메인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5-1터치 센서; 및
    상기 제5스위치 커버의 타측면과 인접한 가니쉬 플레이트에 내장되어 메인 제어기에 신호 출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5-2터치 센서;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 스위치를 갖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5-1 터치센서 및 제5-2 터치센서는 상기 메인 제어기에 도전성 스프링에 의하여 신호 전송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 스위치를 갖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KR1020200129294A 2020-10-07 2020-10-07 자동차용 슬라이딩 스위치를 갖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KR2022004617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294A KR20220046176A (ko) 2020-10-07 2020-10-07 자동차용 슬라이딩 스위치를 갖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US17/243,879 US11780351B2 (en) 2020-10-07 2021-04-29 Device having sliding switch for operating power seat of vehicle
DE102021204733.5A DE102021204733A1 (de) 2020-10-07 2021-05-11 Vorrichtung mit schiebeschalter für die bedienung eines elektrischen fahrzeugsitzes
CN202110602210.8A CN114290962A (zh) 2020-10-07 2021-05-31 用于车辆的具有滑动开关的电动座椅操作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294A KR20220046176A (ko) 2020-10-07 2020-10-07 자동차용 슬라이딩 스위치를 갖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176A true KR20220046176A (ko) 2022-04-14

Family

ID=80738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294A KR20220046176A (ko) 2020-10-07 2020-10-07 자동차용 슬라이딩 스위치를 갖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80351B2 (ko)
KR (1) KR20220046176A (ko)
CN (1) CN114290962A (ko)
DE (1) DE102021204733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04000886D2 (de) 2003-03-14 2006-02-09 Wet Automotive Systems Ag Bendien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JP4257549B2 (ja) * 2007-07-17 2009-04-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操作装置
JP5376203B2 (ja) 2008-09-16 2013-12-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電動シートシステム
JP2013212819A (ja) 2012-04-04 2013-10-17 Toyota Boshoku Corp 操作スイッチ
DE102015200006A1 (de) * 2015-01-02 2016-07-07 Volkswagen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Unterstützung eines Anwenders vor einer Bedienung eines Schalters zur elektromotorischen Verstellung eines Teils eines Fortbewegungsmittels
EP3263392B1 (de) 2016-06-30 2018-12-2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stellen zumindest eines bewegbaren ersten sitzelements eines fahrzeugsitzes
KR102571093B1 (ko) 2017-10-25 2023-08-29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파워시트 스위치 유닛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파워시트 스위치 모듈
KR20220062869A (ko) * 2020-11-09 2022-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푸시버튼 스위치를 갖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KR20220068454A (ko) * 2020-11-19 2022-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소 타입 스위치를 갖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1204733A1 (de) 2022-04-07
US11780351B2 (en) 2023-10-10
US20220105832A1 (en) 2022-04-07
CN114290962A (zh) 2022-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41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djustable device
CN108541331B (zh) 开关装置
EP2095991B1 (en) Electric operation device for vehicle seat
US20180029502A1 (en) Seat control apparatus
EP3132968A1 (en) Vehicle seat and vehicle
US11247585B2 (en) Vehicle seat with operating device
KR20220068454A (ko) 자동차용 시소 타입 스위치를 갖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JP2010285148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介して車両機能を制御するインターフェース
US11951920B2 (en) Operation device and vehicle door
KR20220062869A (ko) 자동차용 푸시버튼 스위치를 갖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US20210026530A1 (en) Handset for Controlling a Support Device or a Movable Surface
KR20170066775A (ko) 착좌 모드에 따른 후석 시트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542665A (zh) 车辆用座椅的电动操作装置
KR20220046176A (ko) 자동차용 슬라이딩 스위치를 갖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KR20210051914A (ko) 차량의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CN204687872U (zh) 一种多功能汽车座椅
US11433782B2 (en) Vehicle seat with operating device
EP3670236B1 (en) A vehicle comprising a display device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KR101273616B1 (ko) 시트조작기구
KR101524093B1 (ko) 윈도우 및 시트 조작 장치
KR20100056088A (ko) 차량용 암레스트
US11691514B2 (en) Vehicle display device
CN218198006U (zh) 智能座椅侧面控制面板
US20090184938A1 (en) Touch Screen Switching Assembly
DE102020201250A1 (de) Bedienvorrichtung zur Steuerung von Fahrzeugfunktion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