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616B1 - 시트조작기구 - Google Patents

시트조작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3616B1
KR101273616B1 KR1020110139107A KR20110139107A KR101273616B1 KR 101273616 B1 KR101273616 B1 KR 101273616B1 KR 1020110139107 A KR1020110139107 A KR 1020110139107A KR 20110139107 A KR20110139107 A KR 20110139107A KR 101273616 B1 KR101273616 B1 KR 101273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anel
dragging
sheet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기
유완식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10139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표면패널에 설치된 터치센싱패널; 상기 터치센싱패널의 상단면을 덮어 외부 표면을 이루며, 복수의 장공이 형성되어 장공을 통해 터치센싱패널이 노출되도록 하는 커버패널; 및 시트의 각 부분에 마련된 액추에이터를 구동하여 시트조절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터치센싱패널의 노출되는 부분마다 구분하여 각각의 시트조절기능들이 매칭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터치 후 드래깅에 따라 해당 시트조절기능이 구현되도록 하되 드래깅 궤적이 미리 정해진 궤적에서 벗어나는 경우에는 시트조절기능이 구현되지 않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트조작기구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시트조작기구 {APPARATUS FOR CONTROLLING SEAT}
본 발명은 터치식 스위치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장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는 시트조작기구에 관한 것이다.
시트의 각 부분 즉, 시트 쿠션과 시트백 및 헤드레스트 등에 액추에이터를 적용하여 전동식으로 시트의 각 부분을 구동할 수 있는 전동식 시트에는 그러한 시트의 각 부분을 구동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가 전자식 스위치의 형태로 구비된다.
도 1은 종래의 이러한 정동시트의 작동을 위한 시트조작기구를 나타낸 것으로서, 종래의 시트조작기구는 베이스(10)에 외부로 돌출되는 형상의 버튼(20)을 다수 구비하고, 그 버튼(20)을 누르거나 회전시키거나 슬라이딩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시트의 각 부분의 조절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시트조작기구는 사용자가 쉽게 이를 인식하고 작동시킬 수 있으며 직감적이라는 장점도 있으나, 복수의 기구물들이 좀은 공간에 조립되어 강한 작동력이나 충격시 쉽게 손상되어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고, 먼지나 이물질 등이 들어가 고장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었다.
특히, 차량의 경우 시트의 내부에 각종 안전장치가 설치되며 디자인 요소에 의해 시트패널 내부의 공간이 부족하고 외부로 복수의 버튼들이 돌출되어 미감을 손상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시트조작기구로서, 비교적 장치의 두께가 얇아 레이아웃의 설계가 용이하고 외관상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미끄럽게 아웃라인이 유지되며 단순 부품으로 구성되어 내구성도 향상된 시트조작기구가 필요하였던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비교적 장치의 두께가 얇아 레이아웃의 설계가 용이하고 외관상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미끄럽게 아웃라인이 유지되며 단순 부품으로 구성되어 내구성도 향상된 시트조작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조작기구는, 표면패널에 설치된 터치센싱패널; 상기 터치센싱패널의 상단면을 덮어 외부 표면을 이루며, 복수의 장공이 형성되어 장공을 통해 터치센싱패널이 노출되도록 하는 커버패널; 및 시트의 각 부분에 마련된 액추에이터를 구동하여 시트조절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터치센싱패널의 노출되는 부분마다 구분하여 각각의 시트조절기능들이 매칭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터치 후 드래깅에 따라 해당 시트조절기능이 구현되도록 하되 드래깅 궤적이 미리 정해진 궤적에서 벗어나는 경우에는 시트조절기능이 구현되지 않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커버패널 장공의 형성모양에 대응되는 궤적 및 그 궤적의 오차범위를 구비하며, 사용자의 드래깅이 구비된 궤적의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시트조절기능이 구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최초 터치시에는 시트조절기능을 구현하지 않고 드래깅 시점부터 터치가 종료되는 시점까지 시트조절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드래깅 방향에 따라 시트조절기능의 구현방향이 정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버패널은 터치패널을 덮는 형상이며, 표면패널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커버패널은 장공의 사이에 안내돌기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이 장공의 위치로 자연스럽게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안내돌기는 장공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패널은 표면패널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표면패널은 차량 시트의 쿠션 또는 시트백의 사이드패널일 수 있다.
상기 커버패널의 장공은 수평으로 형성된 슬라이딩부, 수직으로 형성된 하이트부 및 슬라이딩부의 상방에 곡선으로 형성된 리클라이닝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슬라이딩부 드래깅시 시트쿠션의 슬라이딩기능을 구현하고, 하이트부 드래깅시 시트쿠션의 하이트포지션기능을 구현하며, 리클라이닝부 드래깅시 시트백의 리클라이닝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하이트부는 슬라이딩부의 후방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딩부의 전방에는 틸팅부가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틸팅부 드래깅시 시트쿠션의 틸팅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시트조작기구에 따르면, 비교적 장치의 두께가 얇아 레이아웃의 설계가 용이하고 외관상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미끄럽게 아웃라인이 유지되며 단순 부품으로 구성되어 내구성도 향상된다.
특히, 터치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그 위치가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나는 점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손을 터치 부분으로 자연스럽게 안내하고 오작동에 따른 의도치 않은 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시트조작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조작기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시트조작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시트조작기구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시트조작기구의 시트조작방법에 관한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조작기구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조작기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시트조작기구의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시트조작기구는, 표면패널(300)에 설치된 터치센싱패널(400); 상기 터치센싱패널(400)의 상단면을 덮어 외부 표면을 이루며, 복수의 장공(520)이 형성되어 장공(520)을 통해 터치센싱패널(400)이 노출되도록 하는 커버패널(500); 및 시트의 각 부분에 마련된 액추에이터를 구동하여 시트조절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터치센싱패널(400)의 노출되는 부분마다 구분하여 각각의 시트조절기능들이 매칭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터치 후 드래깅(Dragging)에 따라 해당 시트조절기능이 구현되도록 하되 드래깅 궤적이 미리 정해진 궤적에서 벗어나는 경우에는 시트조절기능이 구현되지 않도록 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표면패널(300)은 시트의 외부를 마감하는 마감용 패널로서 그 형상이나 재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그러한 표면패널(300)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치센싱패널(400)은 감압식, 정전식 등의 다양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 수단으로서의 패널을 의미한다.
터치센싱패널(400)은 표면패널(300)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러한 터치센싱패널(400)의 상단면을 덮어 외부 표면을 이루는 커버패널(500)이 마련된다. 커버패널에는 복수의 장공(520)이 형성되어 장공(520)을 통해 터치센싱패널(40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커버패널(500)에 형성된 장공(520)을 통하여만 터치센싱패널(400)을 터치할 수 있는 것이고, 마찬가지로 터치센싱패널(400)도 장공(520)을 통하여만 터치를 입력받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시트조작을 위한 터치는 제한된 구역에서 제한된 형식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제어부(700)는 시트의 각 부분에 마련된 액추에이터를 구동하여 시트조절기능을 제어하는 역할을 기본적으로 수행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어부(700)는 터치센싱패널(400)의 노출되는 부분마다 구분하여 각각의 시트조절기능들이 매칭되도록 할당한다. 따라서, 커버패널(500)의 장공(520)마다 각자의 역할이 부여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700)는 사용자의 터치 후 드래깅에 따라 해당 시트조절기능이 구현되도록 하되 드래깅 궤적이 미리 정해진 궤적에서 벗어나는 경우에는 시트조절기능이 구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오작동을 근본적으로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손을 뻗어 시트조작기구에 터치를 시도하는데, 차량의 시트조작기구의 경우 운전자는 시트조작기구를 직접 보지 못한 상황에서 터치만으로 이를 구현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손을 더듬어 장공(520)을 찾을 것이고 그 과정에서 잘못된 터치가 이루어질 경우 의도치 않게 시트가 조작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700)에서 인식하는 올바른 드래깅의 방식을 미리 정해놓는 것이다.
그리고 그 대표적인 방식으로는 장공(520)을 따라 장공(520)의 형성모양에 대응되는 궤적 및 그 궤적의 오차범위를 미리 설정하고 사용자의 드래깅이 구비된 궤적의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시트조절기능이 구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시트조작기구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시된 커버패널(500)에는 복수의 다양한 형상의 장공(5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하단에는 터치센싱패널(400)이 마련되는데, 사용자가 장공(520)을 따라 일정한 궤적으로 드래깅을 할 경우에만 제어부(700)에서 올바른 입력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다. 만약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장공(520)이 나아가는 방향과 비스듬한 방향이나 수직인 방향으로 드래깅을 할 경우에는 제어부(700)에서 미리 정한 궤적을 벗어나는 경우인바, 올바른 드래깅으로 인식하지 않는 것이고 결론적으로 시트조절기능이 구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700)는 최초 터치시에는 시트조절기능을 구현하지 않고 드래깅 시점부터 터치가 종료되는 시점까지 시트조절기능을 구현하도록 한다. 즉, 최초 터치시에는 시트조절기능이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터치만 한 상태에서는 시트는 아무런 움직임이 없을 것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장공(520)을 따라 드래깅을 할 경우에는 그 드래깅의 방향으로 시트조정기능이 구현된다. 즉, 상기 제어부(700)는 드래깅 방향에 따라 시트조절기능의 구현방향이 정해지도록 하는 것인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방으로 드래깅을 할 경우에는 시트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고 후방으로 드래깅을 할 경우에는 시트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함으로써 직관적인 학습을 유도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드래깅 후 손가락이 장공(520)의 끝에 도달할 경우 더 이상 드래깅 할 수 없는바 그 상태에서 손가락을 띄지 않고 터치를 유지할 경우 종래 진행되던 방향으로 시트조절기능이 지속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시트조절기능은 사용자가 터치를 완전히 종료한 시점에서 구현이 종료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의도를 잠시 입력한 후 터치를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시트조절을 수행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패널(500)은 터치센싱패널(400)을 덮는 형상이며, 표면패널(300)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돌출된 형상이 되도록 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시트조작기구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패널(500)이 표면패널(300)로부터 일정부분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눈에 직접 보이지 않는 지점을 손으로 더듬어 도작할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시트조작기구로 쉽게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패널(500)은 장공(520)의 사이에 안내돌기(540)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이 장공(520)의 위치로 자연스럽게 안내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는 일차적으로 본 발명의 시트조작기구를 손으로 더듬어 찾은 다음 각각에 위치하는 장공을 구별하는 기준으로서 안내돌기(540)를 이용할 수 있는바, 안내돌기(540)를 기준으로 판단할 경우 안내돌기(540)를 중심으로 배치된 주변의 장공(520)을 손으로 더듬어 쉽게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안내돌기(540)는 장공(52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장공(520)을 더욱 쉽게 찾도록 도울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패널(500)은 표면패널(300)과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미관상 매끄러운 표면을 유지하고, 커버패널(500)을 별도로 제작하여 조립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면패널(300)은 차량 시트의 쿠션(120) 또는 시트백(140)의 사이드패널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사이드패널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며 시트를 조작할 수 없는바 본 발명의 장점이 극대화되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장공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형성된 슬라이딩부(522), 수직으로 형성된 하이트부(523) 및 슬라이딩부(522)의 상방에 곡선으로 형성된 리클라이닝부(525)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700)는 사용자의 슬라이딩부(522) 드래깅시 시트쿠션(120)의 슬라이딩기능을 구현하고, 하이트부(523) 드래깅시 시트쿠션(120)의 하이트포지션기능을 구현하며, 리클라이닝부(525) 드래깅시 시트백(140)의 리클라이닝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하이트부(523)는 슬라이딩부(522)의 후방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딩부(522)의 전방에는 틸팅부(524)가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700)는 사용자의 틸팅부(524) 드래깅시 시트쿠션(120)의 틸팅기능을 구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장공의 형상과 배치는 차량의 시트에 최적화된 조합으로서, 하단부의 수평 슬라이딩부(522)를 통해 사용자는 이것이 시트쿠션의 슬라이딩을 하기 위한 것임을 직감할 수 있고, 그 후방의 수직 하이트부(523)를 통해 스트쿠션의 하이트조절이라는 것을 알 수 있고, 전방의 수직 틸팅부(524)를 통해 시트쿠션의 전단부를 상하로 조절하는 틸팅기능이라는 점을 쉽게 직감하는 것이다.
또한, 상방의 무지개 모양으로 휘어진 리클라이닝부(525)를 통해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닝 기능임을 쉽게 손으로 더듬어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의 최초 사용시부터 어색하지 않고 쉽게 기억되도록 함으로써 학습이 용이하고 추후 구현이 직감적이어서 편의성의 향상에 도움을 준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시트조작기구의 시트조작방법에 관한 순서도로서, 먼저 제어부에서는 본 발명의 시트조작기구를 대기상태로 돌입시킨다(S100). 그리고 대기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가 인식되고(S200) 드래깅이 인식되는 시점부터 판단을 수행하는데(S300), 만약 드래깅이 정해진 궤적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그 드래깅의 방향을 따라 해당하는 시트조절기능을 구현하고 궤적을 벗어나는 경우라면 구현을 하지 않는다(S400,S500).
그리고 터치가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해당 방향으로 시트조절기능을 구현하며, 터치가 종료된 시점에는 시트조절기능을 종료하고 다시 대기상태로 돌입토록 하는 것이다(S600,S70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시트조작기구에 따르면, 비교적 장치의 두께가 얇아 레이아웃의 설계가 용이하고 외관상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미끄럽게 아웃라인이 유지되며 단순 부품으로 구성되어 내구성도 향상된다.
특히, 터치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그 위치가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나는 점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손을 터치 부분으로 자연스럽게 안내하고 오작동에 따른 의도치 않은 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300 : 표면패널 400 : 터치센싱패널
500 : 커버패널 520 : 장공
540 : 안내돌기 700 : 제어부

Claims (12)

  1. 표면패널(300)에 설치된 터치센싱패널(400);
    상기 터치센싱패널(400)의 상단면을 덮어 외부 표면을 이루며, 복수의 장공(520)이 형성되어 장공(520)을 통해 터치센싱패널(400)이 노출되도록 하는 커버패널(500); 및
    시트의 각 부분에 마련된 액추에이터를 구동하여 시트조절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터치센싱패널(400)의 노출되는 부분마다 구분하여 각각의 시트조절기능들이 매칭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터치 후 드래깅(Dragging)에 따라 해당 시트조절기능이 구현되도록 하되 드래깅 궤적이 미리 정해진 궤적에서 벗어나는 경우에는 시트조절기능이 구현되지 않도록 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는 시트조작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0)는 커버패널(500) 장공(520)의 형성모양에 대응되는 궤적 및 그 궤적의 오차범위를 구비하며, 사용자의 드래깅이 구비된 궤적의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시트조절기능이 구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작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0)는 최초 터치시에는 시트조절기능을 구현하지 않고 드래깅 시점부터 터치가 종료되는 시점까지 시트조절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작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0)는 드래깅 방향에 따라 시트조절기능의 구현방향이 정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작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널(500)은 터치센싱패널(400)을 덮는 형상이며, 표면패널(300)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돌출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작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널(500)은 장공(520)의 사이에 안내돌기(540)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이 장공(520)의 위치로 자연스럽게 안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작기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540)는 장공(52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작기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널(500)은 표면패널(300)과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작기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패널(300)은 차량 시트의 쿠션(120) 또는 시트백(140)의 사이드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작기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널(500)의 장공(520)은 수평으로 형성된 슬라이딩부(522), 수직으로 형성된 하이트부(523) 및 슬라이딩부(522)의 상방에 곡선으로 형성된 리클라이닝부(52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작기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0)는 사용자의 슬라이딩부(522) 드래깅시 시트쿠션(120)의 슬라이딩기능을 구현하고, 하이트부(523) 드래깅시 시트쿠션(120)의 하이트포지션기능을 구현하며, 리클라이닝부(525) 드래깅시 시트백(140)의 리클라이닝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작기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하이트부(523)는 슬라이딩부(522)의 후방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딩부(522)의 전방에는 틸팅부(524)가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700)는 사용자의 틸팅부(524) 드래깅시 시트쿠션(120)의 틸팅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작기구.
KR1020110139107A 2011-12-21 2011-12-21 시트조작기구 KR101273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107A KR101273616B1 (ko) 2011-12-21 2011-12-21 시트조작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107A KR101273616B1 (ko) 2011-12-21 2011-12-21 시트조작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3616B1 true KR101273616B1 (ko) 2013-06-10

Family

ID=48866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107A KR101273616B1 (ko) 2011-12-21 2011-12-21 시트조작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6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231B1 (ko) * 2013-07-04 2015-04-14 현대다이모스(주) 파워 시트 조절스위치
KR101524092B1 (ko) * 2014-03-04 2015-05-29 현대다이모스(주) 시트조작기구
CN110712576A (zh) * 2018-07-13 2020-01-21 格拉默公司 具有座椅操作装置的车辆座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844U (ja) * 1991-09-30 1993-04-2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助手席のシートバツク
JP2009093619A (ja) 2007-09-21 2009-04-30 Sony Corp 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0201040A (ja) 2009-03-04 2010-09-16 Toyota Boshoku Corp シートヒータ温度調節装置
JP2010235066A (ja) 2009-03-31 2010-10-21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844U (ja) * 1991-09-30 1993-04-2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助手席のシートバツク
JP2009093619A (ja) 2007-09-21 2009-04-30 Sony Corp 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0201040A (ja) 2009-03-04 2010-09-16 Toyota Boshoku Corp シートヒータ温度調節装置
JP2010235066A (ja) 2009-03-31 2010-10-21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駆動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231B1 (ko) * 2013-07-04 2015-04-14 현대다이모스(주) 파워 시트 조절스위치
KR101524092B1 (ko) * 2014-03-04 2015-05-29 현대다이모스(주) 시트조작기구
CN110712576A (zh) * 2018-07-13 2020-01-21 格拉默公司 具有座椅操作装置的车辆座椅
US11307751B2 (en) 2018-07-13 2022-04-19 Grammer Ag Vehicle seat with seat operating device
CN110712576B (zh) * 2018-07-13 2022-09-20 格拉默公司 具有座椅操作装置的车辆座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834050T3 (en) A method of operating an industrial robot.
KR101273616B1 (ko) 시트조작기구
US20150045951A1 (e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ndustrial robot
JP2010285148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介して車両機能を制御するインターフェース
TW201636233A (zh) 車輛控制系統及其操作方法
TWI552892B (zh) 車輛控制系統及其操作方法
KR20190111095A (ko) 사람 장치간 인터페이스를 조작하기 위한 방법 및 사람 장치간 인터페이스
CN105966202B (zh) 通风口调节系统
TW201637637A (zh) 控制器及按摩機
JP2019169128A (ja) マンマシンインタフェースを操作する方法並びにマンマシンインタフェース
CN110356341A (zh) 一种手势触控车门板
CN104943582A (zh) 用于控制交通工具座椅组件的系统
WO2017077351A1 (en)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an air mouse
JP5633819B2 (ja) 車両用遠隔操作デバイス
KR102276019B1 (ko) 차량의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US9943219B2 (en) Multidirectional foot controller
US11560070B2 (en) Device having push button switch for operating power seat of vehicle
KR20190041632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20170136918A1 (en) Operating device and motor vehicle seat
CN107636567B (zh) 用于运行操作装置的方法以及用于机动车的操作装置
JP6089797B2 (ja) 操作スイッチ
KR20120014444A (ko) 터치패널을 구비한 썬루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9841817B2 (en) Sculpted displays for clickable user interactions
US20170349046A1 (en) Infotainment system, means of transportation, and device for operating an infotainment system of a means of transportation
KR101696592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