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5622A -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5622A
KR20220045622A KR1020200128427A KR20200128427A KR20220045622A KR 20220045622 A KR20220045622 A KR 20220045622A KR 1020200128427 A KR1020200128427 A KR 1020200128427A KR 20200128427 A KR20200128427 A KR 20200128427A KR 20220045622 A KR20220045622 A KR 20220045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ipe
return
transfer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7937B1 (ko
Inventor
나복남
나동혁
나동원
Original Assignee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8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937B1/ko
Publication of KR20220045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08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the load-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a concave or tubular belt, e.g. a belt forming a trou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폭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결프레임(103)을 가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된 이송롤러브라켓(1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구비되며 이송 측 벨트(105)를 지지하는 복수의 이송롤러부(110)와, 상기 이송롤러부(110)의 하부로 위치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리턴 측 벨트(105)를 지지하는 복수의 리턴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턴롤러부 중 하나 이상은 복수의 롤러로 이루어져 리턴 측 벨트(105)가 파이프 형태로 감겨 전송되도록 하는 파이프롤러부(120)이며; 상기 파이프롤러부(120)는 이송롤러부(110)와 함께 리턴 측 벨트(105)가 파이프 형태로 감겨 진행되도록 하는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 To Prevent The Falling From The Return Part}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벨트 컨베이어는 운송물을 운반하는 수단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어 있으며, 제철소 등에서 광석, 코크스, 석탄 및 기타 원료를 운반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벨트 컨베이어는 테일 풀리 및 헤드 풀리가 각각 양 끝단에 설치되고, 테일 풀리 및 헤드 풀리에는 무한궤도로 회전하면서 원료를 운송하는 벨트의 양측이 감긴다. 통상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은 로딩 슈트를 통하여 공급된 원료가 이송부의 벨트에 적재되고, 운송되어 트리퍼 하부에 위치하는 저장빈에 공급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로딩 슈트 하부에는 스커트 보드가 설치되어 로딩 슈트 하단부와 벨트 사이의 공간을 차폐함으로써, 벨트에서 운송물이 낙하하거나, 분진이 주변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송부(C)의 벨트는 이송롤러(CR)에 의해 지지되어 주행하는바, 트리퍼에서 원료가 저장빈에 공급된 뒤, 헤드 풀리, 스넙 풀리, 테이크업 풀리 및 밴드 풀리를 통해 방향을 전환하여 리턴측(R)에 이르게 된다. 리턴측(R)에서는 벨트(V)가 리턴 롤러(RR)에 의해 지지되어 주행되며, 벨트(V)는 테일 풀리에서 다시 방향이 전환되어 이송부(C)로 이어지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V)가 헤드 풀리에서 리턴 시 벨트(V)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원료가 낙하(이하에서 낙하하는 원료를 '낙탄'이라고 한다)하여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는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측(R)에서 벨트(V)를 둥글게 말아 파이프 형상으로 주행시키는 기술이 사용된다. 리턴측(R)에서 벨트(V)를 파이프 형상으로 말아 이송시키기 위해서 리턴측(R)에는 중공의 리턴 판넬(1)이 벨트(V)의 주행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설치되며, 각 리턴 판넬(1)의 내주면에는 6개의 파이프 롤러(3)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각도 정렬되어 6각형을 이루어 설치된다. 6각형으로 정렬된 6개의 벨트(V)는 중공의 리턴 파이프 판넬(1)을 통과하면서, 파이프 롤러(3)에 의해 가이드되어 파이프 형상으로 되어 주행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낙탄 방지용 벨트 컨베이어는 이송롤러(CR)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6개의 롤러가 1세트의 파이프 롤러(3)를 형성하므로, 이송롤러(CR) 하부로 파이프 롤러(3)를 설치하기 위한 많은 공간이 필요하고, 1세트의 파이프 롤러(3)를 형성하기 위해서 6개의 롤러가 필요하였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0-0076419호 공개특허공보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8-0126919호 공개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공간이 컴팩트하게 되며 1세트의 파이프 롤러를 이루는 롤러의 개수 감소가 가능한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폭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결프레임을 가지는 프레임부과,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된 이송롤러브라켓에 설치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구비되며 이송 측 벨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이송롤러부와, 상기 이송롤러부의 하부로 위치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리턴 측 벨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리턴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턴롤러부 중 하나 이상은 복수의 롤러로 이루어져 리턴 측 벨트가 파이프 형태로 감겨 전송되도록 하는 파이프롤러부이며; 상기 파이프롤러부는 이송롤러부와 함께 리턴 측 벨트가 파이프 형태로 감겨 진행되도록 하는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이송롤러부는 폭 방향 중심부에 구비된 이송제1롤러와, 상기 이송제1롤러의 양측에 상향 경사 구비된 이송제2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제1롤러가 파이프롤러부와 함께 리턴 측 벨트가 파이프 형태로 감겨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파이프롤러부는 5개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제1롤러와 함께 내측에 6각형을 형성하여, 그 내측에서 리턴 측 벨트가 파이프 형태로 감겨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파이프롤러부는 이송롤러부의 하부로 프레임부에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이송제1롤러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상기 패널에 설치된 제1파이프롤러와, 상기 제1파이프롤러의 폭 방향 양측에서 각각 외향하며 상향 경사 구비된 제2파이프롤러와, 상기 각 제2파이프롤러의 폭 방향 외측에서 내향하며 상향 경사 구비된 제3파이프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파이프롤러부는 이송제1롤러가 제1파이프롤러와 마주하며, 이송제1롤러와 함께 내측에 리턴측 벨트가 파이프 형태로 감기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이송 측 벨트와 리턴 측 벨트는 각각 이송제1롤러의 상부와 하부에 접촉하여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에 의하면, 이송롤러가 리턴측의 파이프롤러부와 함께 리턴 측 벨트가 파이프 형태로 감겨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파이프 롤러를 설치하기 위한 필요 공간이 감소하고, 1세트의 파이프 롤러를 이루는 롤러의 개수가 감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리턴측가 파이프 롤러로 형성된 벨트 컨베이어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의 변형예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3에 도시한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의 변형예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도5에 도시한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의 측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의 설명에서 도 3의 가로 방향을 폭 방향으로, 세로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리턴 측 벨트(103)를 파이프 형태로 감아서 진행되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100)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양측에 설치된 테일 풀리(도시하지 않음) 및 헤드 풀리(도시하지 않음)와, 폐회로를 이루어 양측이 상기 테일 풀리와 헤드 풀리에 감겨 무한궤도 형태로 주행하는 벨트(103)와, 테일 풀리와 헤드 풀리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되어 이송 측 벨트(103)를 지지하는 복수의 이송롤러부(110)와, 프레임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되어 리턴 측 벨트(103)를 지지하는 복수의 리턴롤러부를 포함한다. 상기 리턴롤러부는 이송롤러부(110)의 하부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100)에서 리턴롤러부 중 하나 이상은 복수의 롤러로 이루어져 리턴 측 벨트(105)가 파이프 형태로 감겨 전송되도록 하는 파이프롤러부(120)로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롤러부(120)는 이송롤러부(110)와 함께 리턴 측 벨트(105)가 파이프 형태로 감겨 진행되도록 한다.
상기 이송롤러부(110)는 이송 측 벨트(103)의 하부에 위치하여, 이송 측 벨트(103)는 이송롤러부(110)에 접촉하여 지지되면서 주행한다. 상기 리턴롤러부는 리턴 측 벨트(103)의 하부에 위치하여, 리턴 측 벨트(103)는 리턴롤러부에 접촉하여 지지되면서 주행한다. 본 발명의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100)에서 리턴 측 벨트(103)는 파이프롤러부(120)에서 파이프롤러부(120) 내측에서 파이프 형태로 주행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폭 방향 양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메인프레임(101)과, 폭 방향 양측이 상기 메인프레임(101)에 연결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연결프레임(103)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롤러부(110)는 프레임부에 결합된 이송롤러브라켓(111)에 설치된다. 상기 이송롤러브라켓(111)은 연결프레임(103)에 설치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롤러부(110)는 폭 방향 중심부에 구비된 이송제1롤러(113)와, 상기 이송제1롤러(113)의 양측에 상향 경사 구비된 이송제2롤러(115)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롤러브라켓(111)은 연결프레임(103)에 설치되며 폭 방향으로 이송제2롤러(115) 양측에 위치하여, 이송제2롤러(115)의 폭 방향 양측이 이송롤러브라켓(111)에 설치된다. 상기 이송제1롤러(113)는 폭 방향 내측의 이송롤러브라켓(111)에 설치된다. 상기 이송제1롤러(113)는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연결프레임(103)에 결합된 롤러브라켓(113-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제1롤러(113)는 이송제2롤러(115)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롤러브라켓(113-1)은 길이 방향으로 이송제2롤러(115)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결프레임(103)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제1롤러(113)의 양측이 롤러브라켓(113-1)에 설치된다.
상기 이송제1롤러(113)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이송제1롤러(113)가 파이프롤러부(120)와 함께 리턴 측 벨트(105)가 파이프 형태로 감겨 진행되도록 한다.
상기 파이프롤러부(120)는 이송롤러부(110)의 하부로 위치하여 구비된다. 상기 파이프롤러부(120)는 5개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제1롤러(113)와 함께 1세트의 롤러부를 형성하여 그 내측에서 리턴 측 벨트(105)가 파이프 형태로 감겨 진행되도록 한다. 상기 파이프롤러부(120)는 길이 방향으로 이송제1롤러(113)와 이송제2롤러(115)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파이프롤러부(120)는 이송롤러부(110)의 하부로 프레임부에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통공(121-1)이 형성된 판상의 패널(121)을 포함한다. 상기 통공(12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과 반원의 양측에서 연결프레임(103)까지 나란하게 연장된 직선으로 이루어진 형태(대략 "∪"자형)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121-1)은 상단이 이송제1롤러(113)의 하단을 지난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패널(121)은 상부가 연결프레임(103)에 결합되어 연결프레임(103)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파이프롤러부(120)는 패널(121)에 설치된 복수의 롤러를 포함한다. 파이프롤러부(120)를 이루는 복수의 롤러는 패널(121)의 통공(121-1)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된다. 상기 통공(121-1)이 "∪"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하부의 반원 가장자리를 따르고, 상부 나란하게 연장된 직선의 내측으로 일부 롤러의 상부가 돌출되도록 배열된다.
상기 파이프롤러부(120)는 이송제1롤러(113)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제1브라켓(123-1)으로 패널(121)에 설치된 제1파이프롤러(123)와, 제2브라켓(125-1)으로 패널(121)에 설치되어 상기 제1파이프롤러(123)의 폭 방향 양측에서 각각 외향하며 상향 경사 구비된 제2파이프롤러(125)와, 제3브라켓(127-1)으로 패널(121)에 설치되어 상기 각 제2파이프롤러(125)의 폭 방향 외측에서 내향하며 상향 경사 구비된 제3파이프롤러(127)를 포함한다.
상기 제1파이프롤러(123)는 이송제1롤러(113)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이송제1롤러(113)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서로 마주하는 제2파이프롤러(125)와 제3파이프롤러(127)는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파이프롤러(123)에 대하여 제2 파이프롤러(125)는 그 중심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다. 그리고 제2 파이프롤러(125)에 대하여 제3파이프롤러(127)도 그 중심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다. 제1파이프롤러(123)와 제3파이프롤러(127)는 패널(121)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제2 파이프롤러(125)는 패널(121)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길이 방향으로 그 중심이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롤러부(120)는 5개의 롤러를 포함하며, 이송제1롤러(113)와 함께 내측에 6각형을 형성한다. 상기 파이프롤러부(120)가 이송제1롤러(113)와 함께 그 내측에서 리턴 측 벨트(105)가 파이프 형태로 감겨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파이프롤러부(12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훨씬 절약되고, 5개의 롤러만 구비하면 되므로 롤러 개수도 감소한다. 이송 측 벨트(103)는 상부에서 이송제1롤러(113)에 접하여 주행하고, 리턴 측 벨트(103)도 하부에서 이송제1롤러(113)에 접하여 주행한다. 이송제1롤러(113)에 접하는 이송 측 벨트(103)와 리턴 측 벨트(103)의 주행 방향이 서로 반대이므로, 벨트(103)가 상부와 하부에서 이송제1롤러(113)에 접하여 주행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롤러부(120)는 5개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제1롤러(113)와 함께 내측에 6각형을 형성하여, 리턴 측 벨트(103)는 파이프롤러부(120)와 이송제1롤러(113)가 형성한 6각형의 내측에서 파이프 형태로 말려 주행한다.
본 발명의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100)에서 상기 파이프롤러부(120)는 이송롤러부(110)와 함께 리턴 측 벨트(105)가 파이프 형태로 말려 진행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제1롤러(113)는 폭 방향 양측의 이송제2롤러(115)보다 외경이 큰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100: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 110: 이송롤러부
120: 파이프롤러부

Claims (5)

  1.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폭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결프레임(103)을 가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된 이송롤러브라켓(111)에 설치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구비되며 이송 측 벨트(105)를 지지하는 복수의 이송롤러부(110)와, 상기 이송롤러부(110)의 하부로 위치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리턴 측 벨트(105)를 지지하는 복수의 리턴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턴롤러부 중 하나 이상은 복수의 롤러로 이루어져 리턴 측 벨트(105)가 파이프 형태로 감겨 전송되도록 하는 파이프롤러부(120)이며; 상기 파이프롤러부(120)는 이송롤러부(110)와 함께 리턴 측 벨트(105)가 파이프 형태로 감겨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부(110)는 폭 방향 중심부에 구비된 이송제1롤러(113)와, 상기 이송제1롤러(113)의 양측에 상향 경사 구비된 이송제2롤러(115)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제1롤러(113)가 파이프롤러부(120)와 함께 리턴 측 벨트(105)가 파이프 형태로 감겨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100).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롤러부(120)는 5개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제1롤러(113)와 함께 내측에 6각형을 형성하여, 그 내측에서 리턴 측 벨트(105)가 파이프 형태로 감겨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100).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롤러부(120)는 이송롤러부(110)의 하부로 프레임부에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통공(121-1)이 형성된 패널(121)과, 상기 이송제1롤러(113)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상기 패널(1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파이프롤러(123)와, 상기 제1파이프롤러(123)의 폭 방향 양측에서 각각 외향하며 상향 경사 구비된 제2파이프롤러(125)와, 상기 각 제2파이프롤러(125)의 폭 방향 외측에서 내향하며 상향 경사 구비된 제3파이프롤러(127)를 포함하여; 상기 파이프롤러부(120)는 이송제1롤러(113)가 제1파이프롤러(123)와 마주하며, 이송제1롤러(113)와 함께 내측에 리턴측 벨트(105)가 파이프 형태로 감기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100).
  5. 제2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측 벨트(105)와 리턴 측 벨트(105)는 각각 이송제1롤러(113)의 상부와 하부에 접촉하여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100).
KR1020200128427A 2020-10-06 2020-10-06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 KR102427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427A KR102427937B1 (ko) 2020-10-06 2020-10-06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427A KR102427937B1 (ko) 2020-10-06 2020-10-06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622A true KR20220045622A (ko) 2022-04-13
KR102427937B1 KR102427937B1 (ko) 2022-08-02

Family

ID=81214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427A KR102427937B1 (ko) 2020-10-06 2020-10-06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9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097A (ko) * 1985-07-16 1987-03-11 오까자끼 하루오 벨트 콘베이어
JPH0647216U (ja) * 1992-08-03 1994-06-28 横浜ゴム株式会社 パイプコンベヤの構造
KR20100076419A (ko) 2008-12-26 2010-07-06 주식회사 포스코 리턴 벨트가 턴오버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20180126919A (ko) 2017-05-19 2018-11-28 화일산기(주) 형상 가변 컨베이어 벨트 및 이를 이용한 벨트 컨베이어의 리턴부 낙광 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097A (ko) * 1985-07-16 1987-03-11 오까자끼 하루오 벨트 콘베이어
JPH0647216U (ja) * 1992-08-03 1994-06-28 横浜ゴム株式会社 パイプコンベヤの構造
KR20100076419A (ko) 2008-12-26 2010-07-06 주식회사 포스코 리턴 벨트가 턴오버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20180126919A (ko) 2017-05-19 2018-11-28 화일산기(주) 형상 가변 컨베이어 벨트 및 이를 이용한 벨트 컨베이어의 리턴부 낙광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937B1 (ko)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635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ss transit of cylindrical articles between differing elevations
US20100230252A1 (en) Belt conveyor load zone support assembly
AU2018355899A1 (en) Enclosed belt rail conveyor system
US20100243408A1 (en) Conveyor system
EP0704392B1 (en) Wheeled luggage tipper
KR101381960B1 (ko) 컨베이어 벨트와의 마찰계수를 줄이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임팩트 바
KR102427937B1 (ko) 리턴측 낙탄이 방지되는 벨트 컨베이어
US4416368A (en) Conveyor mechanism for cylindrical articles
US9637317B2 (en) Conveyor belt idler systems
US7571803B2 (en) Bearing unit for a conveying installation for the transport of goods by way of a conveyor belt
KR102056222B1 (ko) 마찰 부위 다변화 기능을 갖는 파이프 컨베이어 벨트 장치
CA3095969C (en) Vertical conveyor
KR20090072626A (ko) 컨베이어벨트
US2864489A (en) Conveyors
JPH11334825A (ja) カテナリーコンベアの摩擦駆動装置
RU2356811C1 (ru) Трубчатый ленточный конвейер
CN214568304U (zh) 新型大倾角输送机
RU203899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держания ленты в месте ее загрузки
KR20040018818A (ko) 벨트콘베어의 수송물 편적 교정장치
KR19990008774U (ko) 벨트 컨베어의 부상벨트 지지장치
JPH08151108A (ja) ベルトコンベヤ搬送装置
JPH083370Y2 (ja) 復路において搬送面を隠蔽するようにした平ベルトコンベヤ
RU2424969C1 (ru) Ленточно-канатный конвейер
RU2307779C1 (ru) Вертикальный ленточный конвейер
JPH035552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