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5506A - 줄넘기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줄넘기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5506A
KR20220045506A KR1020200128357A KR20200128357A KR20220045506A KR 20220045506 A KR20220045506 A KR 20220045506A KR 1020200128357 A KR1020200128357 A KR 1020200128357A KR 20200128357 A KR20200128357 A KR 20200128357A KR 20220045506 A KR20220045506 A KR 20220045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winding
unit
skipping rope
sk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훈
Original Assignee
김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훈 filed Critical 김재훈
Priority to KR1020200128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5506A/ko
Publication of KR20220045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5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20Skipping-ropes or similar devices rotating in a vertic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5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by increasing or reducing the number of resistance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0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 B65H75/406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hand-held during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5Ropes, l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줄넘기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 쌍의 손잡이부; 및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줄넘기용 줄;을 포함하며, 상기 줄넘기용 줄의 중간 부분에는 상기 줄넘기용 줄의 꼬임을 방지하는 꼬임 방지부가 구비된, 줄넘기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 운동 기구에 따르면, 줄의 꼬임을 방지하고, 운동 중 대체로 지면에 닿는 부위인 줄의 가운데 부분의 중량을 증가시키므로 사용자 맞춤형으로 줄넘기가 가능하고, 줄넘기 운동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줄넘기 운동 기구{JUMP LOPE DEVICE FOR BODY TRAINNING}
본 발명은 줄넘기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줄의 꼬임을 방지하고, 사용자에 따라 맞춤형으로 줄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줄넘기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줄넘기 운동은 크게 장소와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남녀노소가 손쉽게 즐길 수 있는 운동으로서, 줄넘기 운동 기구를 사용하여 행한다. 줄넘기 운동 기구는, 최근 웰빙과 관련하여 운동에 관한 관심이 집중되면서 실내나 실외에서 그 사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줄넘기 운동은 줄의 회전력을 이용한 운동으로서, 줄넘기 운동 기구는, 대부분이 가는 로프 형상의 회전하는 줄과, 운동하는 사람이 손으로 잡고 줄을 회전시키는 손잡이부로 구성된다.
또한, 줄넘기 운동 기구의 구성 중 줄은 전부 동일한 직경을 가진 동일한 중량체로 구비되는 데, 사용자 연령, 성별, 체격 등에 따라 줄의 중량을 변경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줄넘기 줄을 감아 보관하다 사용을 위해 줄을 풀게 되면 줄이 꼬여있어 사용에 불편함을 주는 문제가 있으며, 사용 중 줄이 쉽게 꼬이게 되는 문제점도 지적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줄의 꼬임을 방지하고, 사용자에 따라 맞춤형으로 줄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줄넘기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 운동 기구는,
한 쌍의 손잡이부; 및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줄넘기용 줄;을 포함하며, 상기 줄넘기용 줄의 중간 부분에는 상기 줄넘기용 줄의 꼬임을 방지하는 꼬임 방지부가 구비된, 줄넘기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꼬임 방지부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줄 파이프; 상기 줄 파이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속이 빈 상태의 적어도 둘 이상의 연결구체; 및 인접하는 상기 연결구체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호 체인 연결된 내부구체;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체 및 내부구체의 중량을 변경하여 상기 줄넘기용 줄의 가운데 부분의 중량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 운동 기구에 따르면, 줄의 꼬임을 방지하고, 운동 중 대체로 지면에 닿는 부위인 줄의 가운데 부분의 중량을 증가시키므로 사용자 맞춤형으로 줄넘기가 가능하고, 줄넘기 운동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줄넘기 운동 기구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단면도로써, 꼬임 방지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 운동 기구의 구성 중 손잡이부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구성 중 권취부 기어 및 나선봉 기어와 모터 기어 간 치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구성 중 줄 가이드부의 구체적인 작동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은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 운동 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줄넘기 운동 기구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단면도로써, 꼬임 방지부(205)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 운동 기구는,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줄넘기용 줄(200)의 중간 부분에 구비된 것으로서, 줄넘기용 줄(200)의 꼬임을 방지하는 꼬임 방지부(2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꼬임 방지부(205)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탈착용 고리 등에 의해 줄넘기용 줄(200)에 탈착 가능하게 중앙부에 삽입 체결될 수 있다. 꼬임 방지부를 탈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연령, 성별, 체격 등에 따라 꼬임 방지부의 중량을 변경하여 줄에 체결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꼬임 방지부(205)는, 내부 공간(211)을 형성하는 줄 파이프(210)와, 줄 파이프(210)의 내부 공간(211)에 배치되고, 속이 빈 상태의 적어도 둘 이상의 연결구체(220)와, 인접하는 연결구체(220)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호 체인(240) 연결된 내부구체(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구체(220)의 속이 빈 내부에는 상술한 내부구체(230)가 적어도 2개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가지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로는 각 내부구체(230)를 상호 연결하는 체인(240)이 관통하도록 연결 구멍(22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꼬임 방지부(205)에 따르면, 한 쌍의 손잡이부(100) 각각에 대한 줄넘기용 줄(200)의 수납 시 또는 사용자의 줄넘기 운동 시, 연결구체(220)에 대한 내부구체(230)가 자유 회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호 꼬임에 따른 운동 시의 불편 및 수납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아울러, 줄넘기용 줄(200)은, 실제로 줄넘기 운동 시 지면에 닿는 부분의 중량이 다른 부분보다 더 클 경우 보다 좋은 회전 관성력을 가지는 바, 꼬임 방지부(205)의 구성 중 연결구체(220) 및 내부구체(230)의 재질을 변경하여 사용자에 맞도록 줄넘기용 줄(200)의 가운데 부분의 중량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 운동 기구는 손잡이 내부에 줄을 자동 권취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 운동 기구의 구성 중 손잡이부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 운동 기구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 운동 기구는, 도 1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손잡이부(100)와,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한 쌍의 손잡이부(100)를 연결하고, 회전하는 로프 형상의 줄넘기용 줄(200)을 포함한다.
줄넘기 운동은, 사용자가 한 쌍의 손잡이부(100)를 각각 왼손과 오른손으로 파지함과 동시에 줄넘기용 줄(200)에 회전 관성력을 부가하면서 점프를 하여 줄넘기용 줄(200)이 운동 장소인 지면과 사용자의 발 사이로 지나가게 하는 것을 반복 수행하는 운동이다.
한 쌍의 손잡이부(100)는 각각,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110S)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길게 형성된 손잡이 케이스(110)와, 손잡이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0S)에 배치된 줄 권취수단(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줄넘기용 줄(200)은, 한 쌍의 손잡이부(100) 각각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비되되, 적어도 일부가 줄 권취수단(120)에 연결되도록 손잡이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0S)으로 유입되게 구비될 수 있다.
줄 권취수단(120)은, 한 쌍의 손잡이부(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손잡이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권취 봉(130)을 포함하고, 권취 봉(130)에 줄넘기용 줄(200)을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자동 권취하되, 자동 또는 수동으로 권취 봉(130)에 권취된 줄넘기용 줄(200)을 풀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권취 봉(130)의 외주면에는, 줄넘기용 줄(200)의 일부가 연속으로 수용되는 나선형의 줄 수용홈(131)이 가공 형성될 수 있다. 줄 수용홈(131)은 후술하는 줄 가이드부(160)와 함께 권취 봉(130)의 외주면에 줄넘기용 줄(200)이 상호 겹쳐지지 않고 균일한 간격으로 권취되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줄 권취수단(120)은,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권취 봉(130)과, 손잡이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0S)에 배치되되, 권취 봉(130)에 대하여 평행되게 배치되고, 외주면에 수나사산(141)이 가공 형성된 나선 봉(140)과, 손잡이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0S)에 배치되되, 권취 봉(130) 및 나선 봉(140)에 대하여 평행되게 배치된 가이드 봉(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선 봉(14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141)은, 후술하는 줄 가이드부(160)의 나선봉 관통홀(164)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스크류 치합에 의하여 줄 가이드부(160)가 손잡이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0S)에서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나선 봉(140)은, 후술하는 줄 가이드부(160)의 가이드봉 관통홀(165)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줄넘기용 줄(200)은, 줄 가이드부(160)의 줄 안착부(161) 사이로 클램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권취 봉(130)과, 나선 봉(140) 및 가이드 봉(150)은 각각 손잡이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0S)에 평행되게 배치되면 족하고, 동일한 단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필요는 없다.
권취 봉(130)과, 나선 봉(140) 및 가이드 봉(150)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손잡이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0S) 일측과 타측에 배치된 제1마운팅 플레이트(117b) 및 제2마운팅 플레이트(117b)에 의하여 고정되거나 회전 지지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특히, 후술하는 구동부 설치 공간(113)에 인접하는 제2마운팅 플레이트(117b)에는, 권취 봉(130)의 회전축(133b)과 나선 봉(140)이 축 관통되고, 각각의 축 단부에는 후술하는 기어 세트(170)의 구성 중 하나인 제1기어부(171) 및 제2기어부(172)가 각각 동축(도 5의 도면부호 171a, 172a 참조)으로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줄 권취수단(120)은,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줄넘기용 줄(200), 나선 봉(140) 및 가이드 봉(150) 각각이 관통되도록 손잡이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0S)에 구비되고, 나선 봉(140)의 회전량에 따라 내부 공간(110S)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줄 가이드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100)의 선단부에는, 손잡이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0S) 일측에 후술하는 기어 세트(170) 및 모터 구동부(180)의 설치를 위하여 공간 형태로 구동부 설치 공간(11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 케이스(110)의 선단부의 반대 단부에는 줄넘기용 줄(200)의 유입을 위한 줄 수납홀(111)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구성 중 권취부 기어 및 나선봉 기어와 모터 기어 간 치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구동부 설치 공간(113)에는, 도 4 및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줄 권취수단(120)의 구성 중 모터 구동부(180)와 기어 세트(170) 및 클러치부(190)가 설치될 수 있다.
모터 구동부(180)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전동 모터로써, 미도시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작동 온(ON) 및 작동 오프(OFF) 될 수 있다.
기어 세트(170)는, 권취 봉(130)의 선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1기어부(171)와, 나선 봉(140)의 선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2기어부(172) 및 제1기어부(171)와 제2기어부(172)에 동시에 치합되도록 구비되어, 제1기어부(171)와 제2기어부(172)의 회전 방향이 동일하도록 매개하는 구동 기어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구동 기어부(17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기어부(171) 및 제2기어부(172)는 구동 기어부(173)와 동시에 치합되는 바, 구동 기어부(173)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줄넘기용 줄(200)은, 제1기어부(171)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권취 봉(130)의 줄 수용홈(131)을 따라 권회되기 시작되고, 제1기어부(171)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권취 봉(130)의 줄 수용홈(131)으로부터 풀리기 시작된다.
따라서, 권취 봉(130)에 형성된 줄 수용홈(130)의 나선 방향은 상술한 권취 및 풀림의 설계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가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줄 가이드부(160)는, 제2기어부(171)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가이드 봉(150)을 따라 권취 시작 위치(도 3의 도면상 좌측 참조)로부터 권취 완료 위치(도 3의 도면상 우측 참조)로 이동되고, 반대로 제2기어부(171)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가이드 봉(150)을 따라 권취 완료 위치로부터 권취 시작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봉(15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141)의 나선 형상 방향은 상술한 줄넘기용 줄(200)의 권취 및 풀림 설계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가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기어부(171), 제2기어부(172) 및 구동 기어부(173)는 각각 평기어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반드시 평기어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기어 형태의 채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제1기어부(171)와 권취 봉(130) 및 제2기어부(172)와 나선 봉(140), 그리고, 구동 기어부(173)와 모터 구동부(180)의 회전축(도 5의 도면부호 171a,172a,173a 참조)은 각각 동축으로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클러치부(190)은, 모터 구동부(180)의 기어 세트(170)에 대한 회전 동력을 단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클러치부(190)는, 모터 구동부(180)의 회전축 상에 연결된 제1클러치판(190a)과 구동 기어부(173)의 축(173a) 상에 연결된 제2클러치판(190b)을 포함하고, 제1클러치판(190a)과 제2클러치판(190b) 사이의 형합 또는 분리에 의하여 모터 구동부(180)의 회전 동력이 전달 또는 차단(즉, 단속)될 수 있다.
여기서, 클러치부(190)는, 모터 구동부(180)의 단부로써, 손잡이부(100)의 외측으로 노출된 스위칭부(195)의 사용자 푸쉬 동작에 의해 제1클러치판(190a) 및 제2클러치판(190b)이 상호 형합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사용자의 푸쉬 해제 동작에 의하여 제1클러치판(190a) 및 제2클러치판(190b)이 상호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줄넘기용 줄(200)의 권취 수납을 위하여 사용자가 스위칭부(195)를 푸쉬 동작시키면, 클러치부(190)의 제1클러치판(190a) 및 제2클러치판(190b)이 상호 형합되어 모터 구동부(180)의 회전 동력이 구동 기어부(173)에 전달되고, 구동 기어부(173)에 동시에 치합된 제1기어부(171) 및 제2기어부(172)가 동시에 회전되면서, 권취 봉(130) 및 나선 봉(140)을 회전시켜 줄 가이드부(160)를 권취 시작 위치에서 권취 완료 위치까지 직선으로 무빙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스위칭부(195)의 푸쉬 동작을 해제하면, 클러치부(190)에 의하여 모터 구동부(180)의 회전 동력이 차단되므로 사용자는 해당 정지 위치에 따른 줄넘기용 줄(200)의 길이를 이용하여 줄넘기 운동을 수행하거나, 수동으로 줄을 잡아당겨 줄넘기용 줄(200)의 길이를 추가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제1기어부(171) 및 제2기어부(172)는 구동 기어부(173)에 의하여 여전히 동시에 치합된 상태인 바, 줄넘기용 줄(200)이 풀리는 길이만큼 줄 가이드부(160)는 권취 완료 위치에서 권취 시작 위치로 나선 봉(140)의 축 회전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것은 당연하다.
도 6은 도 3의 구성 중 줄 가이드부의 구체적인 작동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A"부분의 단면도로써, 도 2의 구성 중 꼬임 방지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 운동 기구에 있어서, 줄 권취수단(120)는, 도 5 및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줄넘기용 줄(200)과, 나선 봉(140) 및 가이드 봉(150)이 각각 관통되도록 손잡이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0S)에 구비되고, 나선 봉(140)의 회전량에 따라 내부 공간(110S)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줄 가이드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줄 가이드부(1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줄넘기용 줄(200)을 권취 봉(130)의 외주면에 상호 겹쳐지지 않도록 권취하는 것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손잡이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0S)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면서도 줄넘기용 줄(200)이 권취 수납되는 비교적 슬림한 형태의 공간만을 제공하는 바, 줄 가이드부(160)는, 권취 봉(130)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줄넘기용 줄(200)의 균일한 권취를 위해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줄 가이드부(160)에는,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줄넘기용 줄(200)이 수용되어 클램핑시키기 위한 줄 안착부(161)가 일단부가 개구된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줄 가이드부(160) 중 줄 안착부(161)가 형성된 개구된 부위에는 클램핑 해제부(166)가 가이드 슬릿(163)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클램핑 해제부(166)는, 줄 안착부(161)의 적어도 개구된 일부를 폐쇄하여 임의로 줄넘기용 줄(200)이 줄 안착부(161)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클램핑 해제부(166)는, 줄 안착부(161)를 일측으로 완전히 오픈시켜 사용자가 강제로 줄넘기용 줄(200)을 풀어서 길이 조정을 할 때, 줄 안착부(161)로부터 줄넘기용 줄(200)을 임시로 분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클램핑 해제부(166)는,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손잡이 케이스(110) 중 줄 가이드부(160)의 권취 시작 위치 및 줄 가이드부(160)의 권취 완료 위치에 각각 손잡이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0S)을 노출시키도록 구비된 조작 도어(115)에 의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조작단(167)을 이용하여 개폐 조작할 수 있다.
아울러, 줄 가이드부(160)에는, 나선 봉(140)이 관통함과 아울러, 나선 봉(140)의 수나사산(141)과 치합되도록 암나사산(도면부호 미표기)이 구비된 나선봉 관통홀(164)과, 가이드 봉(150)이 관통하도록 구비된 가이드봉 관통홀(16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 운동 기구의 작동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줄넘기용 줄(200)의 손잡이부(100)에 대한 권취 수납 과정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스위칭부(195)를 푸쉬 동작할 경우, 클러치부(190)에 의하여 모터 구동부(180)의 회전 동력이 구동 기어부(173)로 전달되고, 구동 기어부(173)에 동시 치합된 제1기어부(171) 및 제2기어부(172)가 동시에 권취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제2기어부(172)의 회전에 따라 나선 봉(140)이 줄 가이드부(160)를 권취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고, 줄 가이드부(160)의 줄 안착부(161)에 클램핑된 상태의 줄넘기용 줄(200)이 권취 봉(130)의 줄 수용홈(131)에 순차적으로 수용 권취되면서 권취 완료 위치에서 권취가 완료된다.
줄넘기용 줄(200)의 자동 풀림 과정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모터 구동부(180)를 그대로 이용하는 점에서 위 권취 과정의 반대 동작으로 이해하면 족하다.
한편, 사용자가 손잡이부(100)에 줄넘기용 줄(200)이 권취 수납된 상태에서 수동으로 풀고자 할 경우, 권취 완료 위치에 해당하는 조작 도어(115)를 개방시켜 줄 가이드부(160)의 클램핑 해제부(166)가 줄 안착부(161)를 완전 개방시키도록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 줄넘기용 줄(200)을 줄 안착부(161)로부터 이탈시키고, 강제로 손잡이부(100) 외측의 줄을 잡아당겨 줄넘기용 줄(200)을 풀거나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그 이후, 모터 구동부(180)에 의한 자동 권취 수납을 위하여 권취 시작 위치에 해당하는 조작 도어(115)를 개방시킨 후, 줄넘기용 줄(200)을 줄 가이드부(160)의 줄 안착부(161)에 안착시킨 다음, 클램핑 해제부(166)를 이용하여 줄 안착부(161)로부터 줄넘기용 줄(200)이 이탈되지 않도록 미리 조작해 놓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 운동 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00: 손잡이부 200: 줄넘기용 줄
205: 꼬임 방지부 210: 줄 파이프
220: 연결구체 230: 내부구체
240: 체인
110: 손잡이 케이스
110S: 내부 공간 111: 줄 수납홀
113: 구동부 설치 공간 115: 조작 도어
117a: 제1마운팅 플레이트 117b: 제2마운팅 플레이트
120: 줄 권취수단 130: 권취 봉
131: 줄 수용홈 133b: 권취 봉의 회전축
140: 나선 봉 141; 수나사산
150: 가이드 봉 160: 줄 가이드부
161: 줄 안착부 163: 가이드 슬릿
164: 나선봉 관통홀 165: 가이드봉 관통홀
166: 클램핑 해제부 167: 조작단
170: 기어 세트 171: 제1기어부
172: 제2기어부 173: 구동 기어부
180: 모터 구동부 190: 클러치부
195: 스위칭부

Claims (4)

  1. 한 쌍의 손잡이부; 및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줄넘기용 줄;을 포함하며,
    상기 줄넘기용 줄의 중간 부분에는 상기 줄넘기용 줄의 꼬임을 방지하는 꼬임 방지부가 구비된, 줄넘기 운동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꼬임 방지부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줄 파이프;
    상기 줄 파이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속이 빈 상태의 적어도 둘 이상의 연결구체; 및
    인접하는 상기 연결구체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호 체인 연결된 내부구체; 를 포함하는, 줄넘기 운동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체 및 내부구체의 중량을 변경하여 상기 줄넘기용 줄의 가운데 부분의 중량 조절이 가능한, 줄넘기 운동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 공간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권취 봉에 상기 줄넘기용 줄을 상기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자동 권취하고,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기 권취 봉에 권취된 상기 줄넘기용 줄을 풀 수 있도록 배치된 줄 권취수단; 을 더 포함하는, 줄넘기 운동 기구.
KR1020200128357A 2020-10-05 2020-10-05 줄넘기 운동 기구 KR202200455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357A KR20220045506A (ko) 2020-10-05 2020-10-05 줄넘기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357A KR20220045506A (ko) 2020-10-05 2020-10-05 줄넘기 운동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506A true KR20220045506A (ko) 2022-04-12

Family

ID=81188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357A KR20220045506A (ko) 2020-10-05 2020-10-05 줄넘기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55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3385B2 (ja) 結束機
US10590666B2 (en) Binding machine
CN2738611Y (zh) 卷发器的卷轴
US6662808B2 (en) Hair wrapper
US5671759A (en) Device for wrapping hair with cord
US20090307855A1 (en) Structure of wringable mop
KR102442124B1 (ko) 줄넘기 운동 기구
KR20220045506A (ko) 줄넘기 운동 기구
EP1870365A1 (en) Electric hose winder
CN107930081B (zh) 一种可调节绳索长度的手柄及带手柄的健身、体育器材
KR20220069308A (ko) 줄넘기 운동 기구의 보관 장치
DE102005033032A1 (de) Aufwickelvorrichtung für ein Kabel eines Elektrogerätes
US20050236117A1 (en) Sun screen device with a flexible screen body that can be arbitrarily adjusted
US6971605B1 (en) Device for winding / taking up cables, ribbons, or other coilable structures
JPS62500071A (ja) 釣り装置
JP2009178097A (ja) 電動釣糸結び器
KR20070000169A (ko) 휴대용 골프 연습기
US20030188760A1 (en) Mechanized hair wrapping apparatus
CN201499742U (zh) 带有用于控制伞面张合的摇手装置的伞
WO2023093413A1 (zh) 一种手柄组件及跳绳
JPH06179411A (ja) 電線バインド工具
KR100334759B1 (ko) 낚시용 릴
KR20210110497A (ko) 끈 조임장치
CA3216971A1 (en) Binding machine
JPH06189895A (ja) 内視鏡チャンネルチューブのコイルばね巻き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