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5472A -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 및 차량 - Google Patents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5472A
KR20220045472A KR1020200128253A KR20200128253A KR20220045472A KR 20220045472 A KR20220045472 A KR 20220045472A KR 1020200128253 A KR1020200128253 A KR 1020200128253A KR 20200128253 A KR20200128253 A KR 20200128253A KR 20220045472 A KR20220045472 A KR 20220045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override
esc
speed
torque incr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영
권오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8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5472A/ko
Publication of KR20220045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4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2Selecting between different operative modes, e.g. comfort and performance m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7Switching between manual and automatic parameter input, and vice versa
    • B60W2050/0073Driver overrides cont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710/0666Engine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8Electric propulsion units
    • B60W2710/083Torque
    • B60W2710/085Torque change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2Selecting between different operative modes, e.g. comfort and performance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1)에 적용된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은 스피드리미터 동작 중 오버라이드 상황에서 드라이브 모드와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모드를 구분하고, 상기 드라이브 모드의 스포츠 모드 또는 N 모드에서 엑셀페달 개도량의 기준값을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낮게 적용하거나 또는 토크 상승속도(또는 토크 상승 값)을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크게 하여 빠르게 올려주고, 상기 ESC 모드의 ESC OFF에서 토크 상승속도(또는 토크 상승 값)을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작게하여 느리게 올려주는 오버라이드 제어 시스템(10)을 포함함으로써 스피드 리미터 동작하에서 오버라이드 작동메커니즘이 독립적으로 구현되도록 하고, 특히 오버라이드로 전환 시 급격한 출력에 의한 ESC의 슬립/호핑/미끄럼 방지로 운전자 안전 확보도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 및 차량{Method for Differentiation Override Control Based On Speed Limiter and Vehicle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컨셉에 따른 동적 모드, 역동적 모드, 수동적인 모드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스피드 리미터 동작하에서 오버라이드 작동메커니즘이 독립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가 가능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주행 조건 중 오버라이드(Override)는 운전자가 요구하는 토크까지 출력을 상승시켜 준다.
일례로 상기 오버라이드(Override)는 엑셀 페달을 99% 이상 밟지 않으면 설정속도 이상으로 주행 불가능한 조건으로 설정됨으로써 엑셀 페달을 99% 이상 밟아줄 때 진입된다.
이러한 엑셀 페달의 99% 이상 스트로크 시 토크 상승 속도를 일정하게 높여 줌으로써 차량은 설정속도 이상으로 운전자가 차량을 주행할 수 있는 오버라이드로 전환된다.
국내공개특허 10-2013-0091414 (2013년08월19일)
하지만, 최근 들어 유럽의 경우는 차속을 설정속도 이하로 제한해주는 스피드리미터를 전 차종에 필수 적용 사항으로 확대 적용함으로써 스피드리미터 동작 중 오버라이드 전환은 하기와 같이 제한적으로 수행된다.
일례로 엑셀 페달을 99% 이상 밟은 상태에서 오버라이드를 판단하여 오버라이드로 전환한 후, 엑셀 페달 99%에 해당하는 운전자 요구 토크 출력에 필터를 사용해 천천히 상승시키면서 필터 동작 종료 시 운전자 요구 토크만큼 출력함으로써 엔진/모터 토크 제한해제 운전자 요구 토크까지 천천히 올림 운전자 요구 토크 출력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엑셀 페달을 99% 이상 밟아 1회 해제 후 차속이 설정속도 보다 클 때 엑셀 페달 무관하게 차속이 설정속도 보다 작아질 될 때까지 오버라이드를 유지함으로써 스피드리미터 적용 오버라이드 기능은 하기와 같은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첫째, 엑셀 페달을 99% 이상 밟아야 오버라이드 가능하므로 일부 운전모드(예, Sports 또는 N mode) 등에서 역동적인 운전이 불가능하다. 둘째, 오버라이드 상태에서 운전자 요구 토크에 대한 토크 증가 속도가 드라이브 모드 별 및 ESC 모드 별 차별화되어 있지 않다.
셋째, 드라이브 모드 별 토크 증가 속도 구분이 없어 역동적인 드라이브모드에서도 반응성이 낮음으로써 일반 주행에서 N 모드로 설정할 경우 동일한 엑셀 페달을 밟더라도 노말(Normal) 모드보다 반응성 및 출력이 높음과 같이 N 모드에서 추월 및 가속의지에 대한 반응성이 노말(Normal) 모드보다 좋아야 하는 컨셉이 스피드리미터 작동 중에서도 동일하게 구현되지 못한다. 넷째. ESC 모드 별 토크 증가 속도 차별화가 없음으로써 ESC OFF 모드 등에서는 급격한 출력으로 슬립/호핑/차량 미끄러짐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호핑(Hopping)은 차량이 정지 또는 저속 주행 상태에서 급격한 가속 페달조작을 통해 차량이 최대로 가속하려고 할 때 발생하는 차량의 상하 진동현상으로, 차량의 발진 구동력이 최소 구동력보다 커서 차량이 움직이기 전까지 제 자리에서 구동휠이 헛돔에 따라 서스펜션의 이상 진동이 차량의 상하 진동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차량 컨셉에 따른 동적 모드, 역동적 모드, 수동적인 모드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스피드 리미터 동작하에서 오버라이드 작동메커니즘이 독립적으로 구현되도록 하고, 특히 차량의 드라이브 모드별 오버라이드 허용 조건을 달리 적용하여 역동적인 운전 제공하면서도 오버라이드로 전환 시 급격한 출력에 의한 ESC의 슬립/호핑/미끄럼 방지로 운전자 안전 확보도 이루어지는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 및 차량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은 차량의 스피드리미터 동작 중 오버라이드 조건 시 제어기에 의해 드라이브 모드와 ESC 모드가 구분되는 단계, 상기 드라이브 모드가 스포츠 모드 또는 N 모드 시, 엑셀페달 개도량의 기준값을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낮게 적용해 주는 드라이브 모드 별 오버라이드 제어가 수행되는 단계, 상기 드라이브 모드가 스포츠 모드 또는 N 모드 시, 차량 구동부의 토크 상승 속도를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과 다르게 하는 드라이브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가 수행되는 단계, 및 상기 ESC 모드가 ESC OFF 시, 상기 차량 구동부의 토크 상승 속도를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과 다르게 하는 ESC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가 수행되는 단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은 차량의 스피드리미터 동작 중 오버라이드 조건 시 제어기에 의해 드라이브 모드와 ESC 모드가 구분되는 단계, 상기 드라이브 모드가 스포츠 모드 또는 N 모드 시, 엑셀페달 개도량의 기준값을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낮게 적용해 주는 드라이브 모드 별 오버라이드 제어가 수행되는 단계, 상기 드라이브 모드가 스포츠 모드 또는 N 모드 시, 차량 구동부의 토크 상승 속도를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크게 하여주는 드라이브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 수행되는 단계, 및 상기 ESC 모드가 ESC OFF 시, 차량 구동부의 토크 상승 속도를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작게 하여주는 ESC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가 수행되는 단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스피드리미터 동작과 상기 드라이브 모드 및 상기 ESC 모드는 차량 주행 버튼의 조작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드라이브 모드 별 오버라이드 제어, 상기 드라이브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 및 상기 ESC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에는 차량 컨셉에 따른 우선순위가 부여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드라이브 모드 별 오버라이드 판단 제어의 단계는, 상기 스피드리미터 동작 시 상기 스포츠 모드 또는 상기 N 모드로 드라이브모드 역동성 판단이 이루어지는 단계, 및 제 1 기준으로 상기 엑셀페달 개도량이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낮음을 확인하여 상기 차량 구동부의 출력을 상승시켜 주는 엑셀 페달 개도량 제 1 기준 적용 단계로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 1 기준에 적용된 엑셀페달 개도량은 노말 모드 대비 10% 낮은 값이 적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드라이브 모드 별 오버라이드 판단 제어의 단계는, 상기 스포츠 모드 또는 상기 N 모드가 아닌 경우, 제 2 기준으로 상기 엑셀페달 개도량이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과 같음을 확인하여 상기 차량 구동부의 출력을 상승시켜 주는 엑셀 페달 개도량 제 2 기준 적용 단계로 전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드라이브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의 단계는, 상기 토크 상승 속도를 크게 함은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의 토크 상승 속도보다 빠르게 올라간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드라이브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의 단계는, 상기 스피드리미터 동작 시 엑셀 페달량 증가로 오버라이드 상황이 확인되는 단계, 상기 스포츠 모드 또는 상기 N 모드로 드라이브모드 역동성 판단이 이루어지는 단계, 및 상기 스포츠 모드 또는 상기 N 모드인 경우, 제 3 기준으로 상기 차량 구동부의 토크 상승 속도를 크게 함은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빠르게 수행되는 토크 상승 속도 제 3 기준 적용 단계로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드라이브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의 단계는, 상기 스포츠 모드 또는 상기 N 모드가 아닌 경우, 제 4 기준으로 상기 차량 구동부의 상기 토크 상승 속도가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과 동일하게 수행되는 토크 상승 속도 제 4 기준 적용 단계로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ESC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S50-2, S80)의 단계는, 상기 토크 상승 속도를 작게함은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의 토크 상승 속도보다 느리게 올라간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ESC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의 단계는, 상기 스피드리미터 동작 시 엑셀 페달량 증가로 오버라이드 상황이 확인되는 단계, 상기 ESC OFF로 ESC 모드 수동성 판단이 이루어지는 단계, 및 ESC OFF인 경우, 제 5 기준으로 상기 차량 구동부의 토크 상승 속도를 작게 함은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느리게 수행되는 토크 상승 속도 제 5 기준 적용 단계로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ESC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의 단계는, 상기 ESC OFF가 아닌 경우, 제 6 기준으로 상기 차량 구동부의 상기 토크 상승 속도가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과 동일하게 수행되는 토크 상승 속도 제 6 기준 적용 단계로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은 스피드리미터 동작 중 오버라이드 상황에서 드라이브 모드와 ESC 모드를 구분하고, 상기 드라이브 모드의 스포츠 모드 또는 N 모드에서 엑셀페달 개도량 기준값을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낮게 적용하거나 또는 토크 상승 속도를 크게 함은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빠르게 올려주고, 상기 ESC 모드의 ESC OFF에서 토크 상승 속도를 작게 함은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느리게 올려주는 오버라이드 제어 시스템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오버라이드 제어 시스템은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차량 주행 버튼의 조작을 인식하는 버튼 판단부로 상기 스피드리미터 동작, 상기 드라이브 모드, 상기 ESC 모드를 구분하며, 상기 차량 주행 버튼은 상기 스피드리미터 동작, 상기 드라이브 모드, 상기 ESC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기는 센서로 차속과 엑셀페달 개도량을 확인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기는 차량 구동부를 통해 상기 토크 상승을 제어하고, 상기 차량 구동부는 엔진 또는 모터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은 차량의 스피드리미터 동작 중 오버라이드 조건 시 제어기에 의해 드라이브 모드와 ESC 모드가 구분되는 단계, 상기 드라이브 모드가 스포츠 모드 또는 N 모드 시, 엑셀페달 개도량의 기준값을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낮게 적용해 주는 드라이브 모드 별 오버라이드 제어가 수행되는 단계, 상기 드라이브 모드가 스포츠 모드 또는 N 모드 시, 차량 구동부의 토크 상승 값을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빠르게 올려주는 드라이브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 수행되는 단계, 및 상기 ESC 모드가 ESC OFF 시, 차량 구동부의 토크 상승 값을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느리게 올려주는 ESC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가 수행되는 단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에 적용된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은 하기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구현한다.
첫째, 스피드리미터 동작 중 오버라이드로 전환 시 토크 상승 속도가 드라이브 모드로 변화됨으로써 역동적인 운전을 불가능하게 하던 일정하게 유지되던 토크 상승 속도의 단점이 해소된다. 둘째, 드라이브 모드별로 오버라이드로 판단하기 위한 엑셀 페달 조건 차별화로 역동적인 드라이빙 제공이 가능함으로써 N 모드에서는 엑셀 페달을 90%만 밟더라도 오버라이드 되어 원하는 대로 주행 가능하다. 셋째, 드라이브 모드별로 오버라이드로 전환 시 토크 상승 속도를 차별화하여 역동적인 드라이빙 제공이 가능함으로써 N 모드에서는 엑셀 페달을 90% 이상 밟으면 빠르게 원하는 성능을 출력하여 준다. 넷째, ESC 모드별로 오버라이드로 전환 시 토크 상승 속도를 차별화가 가능함으로써 토크의 급상승에 의한 슬립/호핑/미끄럼 등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특히 자세제어를 중지(즉, ESC OFF)하더라도 사고 발생 위험을 낮춰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의 순서도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을 구현하는 차량의 예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 중 드라이브 모드 별 오버라이드 판단 제어의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 중 드라이브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의 순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 중 ESC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 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은 스피드리미터의 동작 중 차량 주행 모드 확인(S10~S40)을 하여 드라이브 모드 별 오버라이드 제어 또는 토크 상승 제어를 수행하는 드라이브 모드 조건 제어(S50-1, S60~S70) 또는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를 수행하는 ESC 모드 조건 제어(S50-2, S80)로 구분된다.
특히 상기 드라이브 모드 조건 제어(S50-1, S60~S70)는 드라이브 모드 별 오버라이드 판단 제어(S60)와 드라이브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S70)로 구분된다.
따라서 상기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은 드라이브 모드별로 오버라이드로 판단하기 위한 엑셀 페달 조건을 차별화하여 역동적인 드라이빙 제공하고, 드라이브 모드별로 오버라이드로 전환 시 토크 상승 속도를 차별화하여 역동적인 드라이빙 제공하며, ESC 모드별로 오버라이드로 전환 시 토크 상승 속도를 차별화하여 슬립/호핑/미끄럼 방지하여 줄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ESC는 차량의 거동 불안으로 언더스티어 또는 오버스티어 경향을 보일 때 토크 벡터링 제어(Torque Vectering Control)로 전륜(2-1)과 후륜(2-2)에 개별 브레이크를 적용함으로써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여 주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은 오버라이드 제어 시스템(1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버라이드 제어 시스템(10)은 센서(100), 차량 주행 버튼(200), 버튼 판단부(300), 제어기(400) 및 차량 구동부(500)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오버라이드 제어 시스템(10)의 통신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적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100)는 차속 센서와 엑셀 페달 스트로크 센서로 구성되어 차속과 엑셀 페달 조작 여부를 감지하고, 검출 신호의 각각을 제어기(400)로 전송한다. 상기 차량 주행 버튼(200)은 운전자가 스피드리미터 작동, 드라이브 모드 선택, ESC 모드 선택을 하기 위해 조작하는 버튼으로, 운전석 클러스터에 구비된다. 상기 버튼 판단부(300)는 차량 주행 버튼(200)의 조작을 인식하여 조작에 따라 드라이브 모드와 ESC 모드를 설정해 준다. 상기 차량 구동부(500)는 차량을 구동시키는 동력원으로 엔진 및/또는 모터이다.
일례로 상기 제어기(400)는 드라이브 모드 조건 제어(S50-1, S60~S70) 및 ESC 모드 조건 제어(S50-2, S80)의 로직이 프로그래밍으로 저장된 메모리를 연계하여 제어를 위한 데이터 검출과 산출 및 계산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로 동작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어기(400)는 센서(100)의 센서 입력 정보를 이용한 스피드리미터 제어가 이루어지고, 차량 주행 버튼(200)의 선택 모드를 통한 스피드리미터 버튼 조작으로 스피드리미터 시작 및 종료를 제어하며, 엑셀 페달 개도량에 따라 오버라이드 상태로 전환하고, 차속 및 엑셀 개도량에 따라 스피드리미터로 전환하며, 설정속도와 현재 속도 차이에 의한 차량 구동부(500)의 동력원 토크 제어, 오버라이드 전환 시 차량 구동부(500)의 토크 상승 속도 제어, 드라이브 모드 또는 ESC 모드에 따라 스피드리미터 제어 차별화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한다.
이하 도 1의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 중 드라이브 모드 별 오버라이드 판단 제어, 드라이브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 ESC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경우 제어주체는 제어기(400)이고, 제어대상은 차량 구동부(500)의 엔진 및/또는 모터, ESC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제어기(400)는 스피드리미터의 동작 중 차량 주행 모드 확인(S10~S40)을 위해 S10의 차량정보 검출 단계, S20의 스피드리미터 확인 단계, S30의 차량 주행 모드 확인 단계를 수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기(400)는 센서(10)가 검출한 차속과 엑셀 페달 개도량을 읽어 차량정보 검출(S10)을 수행하고, 차량 주행 버튼(200)의 스피드리미터 선택 신호와 드라이브 모드 선택 신호 및 ESC 모드 선택 신호를 버튼 판단부(300)에서 받아 스피드리미터 확인(S20) 및 차량 주행 모드 확인(S30)을 수행한다.
이어 제어기(400)는 S40의 동작 우선 순위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동작 우선 순위 확인(S40)은 로직 또는 프로그램으로 미리 설정되며, 이러한 이유는 차량 컨셉에 따라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가 드라이브 모드 별 오버라이드 판단 제어(S60), 드라이브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S70), ESC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S80)의 3가지 방안에 대한 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고, 특히 각 방안들의 우선순위를 정함으로써 작동메커니즘을 독립적으로 작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선 상기 동작 우선 순위 확인(S40)가 드라이브 모드 별 오버라이드 판단 제어(S60), 드라이브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S70), ESC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S80)의 순서로 우선순위가 설정됨으로 한다.
이후 제어기(400)는 모드우선순위에 대해 S50-1의 드라이브 모드 확인 단계, S50-2의 ESC 모드 확인 단계를 수행한다.
그 결과 제어기(400)는 상기 드라이브 모드(S50-1)에서 드라이브 모드 별 오버라이드 제어(S60) 또는 드라이브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S70)로 전환하고, 반면 상기 ESC 모드(S50-2)에서 ESC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S80)로 전환한다.
한편 도 3은 드라이브 모드 별 오버라이드 판단 제어(S60), 도 4는 드라이브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S70), 도 5는 ESC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S80)에 대한 실행 순서를 각각 예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드라이브 모드 별 오버라이드 판단 제어(S60)는 S61의 스피드리미터 작동 단계, S62의 드라이브모드 역동성 판단 단계, S63-1의 엑셀 페달 개도량 제 1 기준 적용 단계, S63-2의 엑셀 페달 개도량 제 2 기준 적용 단계, S64의 오버라이드 제어 단계로 수행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기(400)는 버튼 판단부(300)에서 차량 주행 버튼(200)이 스피드리미터로 선택되었음을 통해 상기 스피드리미터 작동(S61)으로 인식한다. 이어 제어기(400)는 차량 컨셉에 따라 설정되어 로직 또는 프로그램으로 내장된 “역동성”을 확인하고, 만약 “드라이브모드=역동성”인 경우 엑셀 페달 개도량 제 1 기준 적용(S63-1)을 적용하고 반면 “드라이브모드≠역동성”인 경우 엑셀 페달 개도량 제 2 기준 적용(S63-2)을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드라이브모드 = 역동적“은 SPORT 모드 또는 N 모드이고, 상기 SPORT 모드 및 상기 N 모드는 99% 이상의 엑셀 페달 개도량을 오버라이드 조건으로 하는 노말 모드 보다 작은 90% 이상의 엑셀 페달 개도량을 오버라이드로 조건으로 적용하므로, 약 10% 낮은 조건이 된다. 하지만“드라이브모드 = 역동적“은 차량(1)의 컨셉 즉, 스포츠 카, 일반 승용차, 고급 승용차 등과 같이 역동적인 드라이브 모드의 기준은 차량 컨셉에 따라 설정되므로 다른 모드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 모드”는 스포츠 모드보다 훨씬 큰 엔진음을 생성하면서 즉각적인 가속 반응을 구현하는 모드로, DCT 변속기에 적용된다.
그러므로 상기 엑셀 페달 개도량 제 1 기준 적용(S63-1)은 역동적 모드에서의 기준 값으로 90%의 엑셀 페달 개도량을 적용하고, 반면 상기 엑셀 페달 개도량 제 2 기준 적용(S63-2)은 일반적 모드에서의 기준 값으로 91~95% 또는 95%의 엑셀 페달 개도량을 적용한다.
이로부터 상기 오버라이드 제어(S64)는 드라이브 모드 별 오버라이드 제어(S60)를 의미하고, 상기 드라이브 모드 별 오버라이드 제어(S60)는 엑셀 페달 개도량 제 1 기준 적용(S63-1)인 경우 N 모드에서 엑셀 페달을 90% 만 밟더라도 오버라이드되어 운전자가 원하는 대로 주행 가능하도록 차량 구동부(500))의 출력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오버라이드 제어(S64)는 엑셀 페달 개도량 제 2 기준 적용(S63-2)인 경우 N 모드에서 엑셀 페달을 99% 이상 밟으면 오버라이드되어 운전자가 원하는 대로 주행 가능하도록 차량 구동부(500))의 출력이 발생한다.
반면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드라이브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S70)는 S71의 스피드리미터 작동 단계, S72의 엑셀 페달량 증가(즉. 페달 눌림)으로 오버라이드 상황 인식이 이루어지는 단계, S73의 드라이브모드 역동성 판단 단계, S74-1의 토크 상승 속도 제 3 기준 적용 단계, S74-2의 토크 상승 속도 제 4 기준 적용 단계로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드라이브모드 = 역동적“은 SPORT 모드 또는 N 모드이고, 상기 SPORT 모드 및 상기 N 모드는 99% 이상의 엑셀 페달 개도량을 오버라이드 조건으로 하는 노말 모드 대비 작은 값의 엑셀 페달 개도량을 오버라이드로 판단하므로 약 90% 이상을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드라이브모드 = 역동적“은 차량(1)의 컨셉 즉, 스포츠 카, 일반 승용차, 고급 승용차 등과 같이 역동적인 드라이브 모드의 기준은 차량 컨셉에 따라 설정되므로 다른 모드를 적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토크 상승 속도 제 3 기준 적용(S74-1)은 “드라이브모드 = 역동적“인 경우 적용되는 차량 구동부(500)의 토크 상승 속도이고, 반면 상기 토크 상승 속도 제 4 기준 적용( S74-2)에서 토크 상승 속도의 제 4 기준은 “드라이브모드≠역동성”인 경우 적용되는 차량 구동부(500)의 토크 상승 속도이다.
따라서 상기 드라이브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S70)는 SPORT 모드 또는 N 모드에서 토크 상승 속도 제 3 기준 적용(S74-1) 시 엑셀 페달 개도량과 무관하게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차량 구동부(500)의 토크 상승 속도를 크게 하여 빠르게 상승시켜 주고, 반면 토크 상승 속도 제 4 기준 적용(S74-2) 시 엑셀 페달 개도량과 무관하게 노말 모드와 같이 차량 구동부(500)의 토크 상승 속도를 기존과 같은 속도 크기로 상승시켜 준다.
이로부터 운전자는 상기 토크 상승 속도 제 3 기준 적용(S74-1)을 통해 기존보다 차량 구동부(500)의 토크 상승 속도가 더 크게 올라감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ESC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S80)는 S81 스피드리미터 작동 단계, S82의 오버라이드 상황 인식 단계, S83의 ESC 모드 수동성 판단 단계, S84-1의 토크 상승 속도 제 5 기준 적용 단계, S84-2의 토크 상승 속도 제 6 기준 적용 단계로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ESC 모드 = 수동적“은 수동적인 자세제어 모드인 ESC OFF를 의미하고, 슬립/호핑/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오버라이드로 전환 시 토크 상승속도를 느리게 한다.
그러므로 상기 토크 상승 속도 제 5 기준 적용(S84-1)은 “ESC 모드 = 수동적“인 경우 적용되는 차량 구동부(500)의 보다 작은 토크 상승 속도이고, 반면 상기 토크 상승 속도 제 6 기준 적용(S84-2)은 “ESC 모드≠수동적”인 경우 적용되는 차량 구동부(500)의 노말 모드와 같은 일반적인 토크 상승 속도이다.
따라서 상기 ESC 별 토크 상승 제어(S80)는 ESC OFF에서 토크 상승 속도 제 5 기준 적용(S84-1)에서 토크 상승 속도 제 3 기준 적용(S74-1) 시 엑셀 페달 개도량과 무관하게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차량 구동부(500)의 토크 상승 속도를 작게 하여 더 느리게 상승시켜 주고, 반면 토크 상승 속도 제 6 기준 적용(S84-2) 시 엑셀 페달 개도량과 무관하게 노말 모드와 같이 차량 구동부(500)의 토크 상승 속도를 기존과 같은 토크 상승 속도 크기로 상승시켜 준다.
이와 같이 상기 ESC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S80)는 토크상승속도가 커져 급상승하게 되면 슬립/호핑/미끄럼 등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서 자세제어 동작의 꺼짐(OFF) 시 사고 발생 위험을 해소하여 준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1)에 적용된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은 스피드리미터 동작 중 오버라이드 상황에서 드라이브 모드와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모드를 구분하고, 상기 드라이브 모드의 스포츠 모드 또는 N 모드에서 엑셀페달 개도량의 기준값을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낮게 적용하거나 또는 토크 상승속도(또는 토크 상승 값)을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크게 하여 빠르게 올려주고, 상기 ESC 모드의 ESC OFF에서 토크 상승속도(또는 토크 상승 값)을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작게 하여 느리게 올려주는 오버라이드 제어 시스템(10)을 포함함으로써 스피드 리미터 동작하에서 오버라이드 작동메커니즘이 독립적으로 구현되도록 하고, 특히 오버라이드로 전환 시 급격한 출력에 의한 ESC의 슬립/호핑/미끄럼 방지로 운전자 안전 확보도 이루어진다.
1 : 차량 10 : 오버라이드 제어 시스템
100 : 센서 200 : 차량 주행 버튼
300 : 버튼 판단부 400 : 제어기
500 : 차량 구동부

Claims (20)

  1. 차량의 스피드리미터 동작 중 오버라이드 조건 시 제어기에 의해 드라이브 모드와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모드가 구분되는 단계,
    상기 드라이브 모드가 스포츠 모드 또는 N 모드 시, 엑셀페달 개도량의 기준값을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낮게 적용해 주는 드라이브 모드 별 오버라이드 제어가 수행되는 단계,
    상기 드라이브 모드가 스포츠 모드 또는 N 모드 시, 차량 구동부의 토크 상승 속도를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과 다르게 하는 드라이브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가 수행되는 단계, 및
    상기 ESC 모드가 ESC OFF 시, 상기 차량 구동부의 토크 상승 속도를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과 다르게 하는 ESC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가 수행되는 단계
    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
  2. 차량의 스피드리미터 동작 중 오버라이드 조건 시 제어기에 의해 드라이브 모드와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모드가 구분되는 단계,
    상기 드라이브 모드가 스포츠 모드 또는 N 모드 시, 엑셀페달 개도량의 기준값을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낮게 적용해 주는 드라이브 모드 별 오버라이드 제어가 수행되는 단계,
    상기 드라이브 모드가 스포츠 모드 또는 N 모드 시, 차량 구동부의 토크 상승 속도를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크게 하여주는 드라이브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 수행되는 단계, 및
    상기 ESC 모드가 ESC OFF 시, 상기 차량 구동부의 토크 상승 속도를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작게 하여주는 ESC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가 수행되는 단계
    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스피드리미터 동작과 상기 드라이브 모드 및 상기 ESC 모드는 차량 주행 버튼의 조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모드 별 오버라이드 제어, 상기 드라이브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 및 상기 ESC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에는 차량 컨셉에 따른 우선순위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모드 별 오버라이드 판단 제어의 단계는,
    상기 스피드리미터 동작 시 상기 스포츠 모드 또는 상기 N 모드로 드라이브모드 역동성 판단이 이루어지는 단계, 및
    제 1 기준으로 상기 엑셀페달 개도량이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낮음을 확인하여 상기 차량 구동부의 출력을 상승시켜 주는 엑셀 페달 개도량 제 1 기준 적용 단계
    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에 적용된 엑셀페달 개도량은 노말 모드 대비 10% 낮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모드 별 오버라이드 판단 제어의 단계는,
    상기 스포츠 모드 또는 상기 N 모드가 아닌 경우, 제 2 기준으로 상기 엑셀페달 개도량이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과 같음을 확인하여 상기 차량 구동부의 출력을 상승시켜 주는 엑셀 페달 개도량 제 2 기준 적용 단계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
  8.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의 단계는, 상기 토크 상승 속도를 크게 함은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의 토크 상승 속도보다 빠르게 올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의 단계는,
    상기 스피드리미터 동작 시 엑셀 페달량 증가로 오버라이드 상황이 확인되는 단계,
    상기 스포츠 모드 또는 상기 N 모드로 드라이브모드 역동성 판단이 이루어지는 단계, 및
    상기 스포츠 모드 또는 상기 N 모드인 경우, 제 3 기준으로 상기 차량 구동부의 토크 상승 속도를 크게 하여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빠르게 수행되는 토크 상승 속도 제 3 기준 적용 단계
    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의 단계는,
    상기 스포츠 모드 또는 상기 N 모드가 아닌 경우, 제 4 기준으로 상기 차량 구동부의 상기 토크 상승 속도가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과 동일하게 수행되는 토크 상승 속도 제 4 기준 적용 단계
    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
  11.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ESC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의 단계는, 상기 토크 상승 속도를 작게 함은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의 토크 상승 속도보다 느리게 올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ESC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의 단계는,
    상기 스피드리미터 동작 시 엑셀 페달량 증가로 오버라이드 상황이 확인되는 단계,
    상기 ESC OFF로 ESC 모드 수동성 판단이 이루어지는 단계, 및
    ESC OFF인 경우, 제 5 기준으로 상기 차량 구동부의 토크 상승 속도를 작게 하여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느리게 수행되는 토크 상승 속도 제 5 기준 적용 단계
    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ESC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의 단계는,
    상기 ESC OFF가 아닌 경우, 제 6 기준으로 상기 차량 구동부의 상기 토크 상승 속도가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과 동일하게 수행되는 토크 상승 속도 제 6 기준 적용 단계
    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
  14. 스피드리미터 동작 중 오버라이드 상황에서 드라이브 모드와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모드를 구분하고, 상기 드라이브 모드의 스포츠 모드 또는 N 모드에서 엑셀페달 개도량 기준값을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낮게 적용하거나 또는 토크 상승 속도를 크게 하여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의 토크 상승 속도보다 빠르게 올려주고, 상기 ESC 모드의 ESC OFF에서 토크 상승 속도를 작게 하여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의 토크 상승 속도보다 느리게 올려주는 오버라이드 제어 시스템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오버라이드 제어 시스템은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차량 주행 버튼의 조작을 인식하는 버튼 판단부로 상기 스피드리미터 동작, 상기 드라이브 모드, 상기 ESC 모드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차량 주행 버튼은 상기 스피드리미터 동작, 상기 드라이브 모드, 상기 ESC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센서로 차속과 엑셀페달 개도량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차량 구동부를 통해 상기 토크 상승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차량 구동부는 엔진 또는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0.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드라이브 모드가 스포츠 모드 또는 N 모드인 경우 드라이브 모드 별 오버라이드 제어로 엑셀페달 개도량의 기준값을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낮게 적용해 주거나 또는 드라이브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로 차량 구동부의 토크 상승 값을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빠르게 올려주고, 상기 ESC 모드가 ESC OFF인 경우 ESC 모드 별 토크 상승 제어로 차량 구동부의 토크 상승 값을 상기 노말 모드의 오버라이드 조건 보다 느리게 올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200128253A 2020-10-05 2020-10-05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 및 차량 KR202200454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253A KR20220045472A (ko) 2020-10-05 2020-10-05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 및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253A KR20220045472A (ko) 2020-10-05 2020-10-05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 및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472A true KR20220045472A (ko) 2022-04-12

Family

ID=81187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253A KR20220045472A (ko) 2020-10-05 2020-10-05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 및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547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1414A (ko) 2012-02-08 2013-08-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차선 유지를 위한 조향 오버라이드 판단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1414A (ko) 2012-02-08 2013-08-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차선 유지를 위한 조향 오버라이드 판단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3204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a vehicle
EP3344507B1 (en) Control system for autonomous-capable vehicles
US201402971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driving mode
EP1241064A2 (en) Braking/driv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otive vehicle
US20130325229A1 (en) Power control device for electric vehicle
JP2018509335A (ja) 車両の少なくとも一部自動運転方法
KR20160140002A (ko) 다단 스위치를 구비한 전자제어 현가장치 및 그의 감쇠력 제어 방법
KR101484213B1 (ko) 모터 토크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N110641479A (zh) 用于监视车辆驾驶员的活动的设备和方法以及存储介质
KR102086178B1 (ko) 운전자 오조작 차량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차량 제어장치
WO2017002669A1 (ja)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
CN112706767A (zh) 纯电动汽车的巡航控制方法、系统及纯电动车辆
JP4243155B2 (ja) 車両速度の制限方法および装置
US20170327096A1 (en) Vehicle reverse traveling speed limiting apparatus
EP3363696B1 (en) Automated vehicle control system with multiple brake-pedal selected disengagement modes
JP2007008332A (ja) 車両用走行制御装置
JP2016084049A (ja) 車両走行制御装置
KR20220045472A (ko) 스피드 리미터 오버라이드 제어 차별화 방법 및 차량
JP2007522021A (ja) 自動車のための距離制御付き速度制限方法及び速度制限装置
CN110550003B (zh) 驾驶辅助装置
CN109131331B (zh) 车辆子系统控制方法及车辆
WO2020241335A1 (ja)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及び車両制御システム
JP2021030882A (ja) 車両のペダル踏み間違い対応制御装置
SE542486C2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driving power in a motor vehicle
JP4300361B2 (ja) 車両の走行制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