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5125A - 관형 유체 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관형 유체 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5125A
KR20220045125A KR1020220038247A KR20220038247A KR20220045125A KR 20220045125 A KR20220045125 A KR 20220045125A KR 1020220038247 A KR1020220038247 A KR 1020220038247A KR 20220038247 A KR20220038247 A KR 20220038247A KR 20220045125 A KR20220045125 A KR 20220045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luid
conduit
purification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4608B1 (ko
Inventor
김재조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8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608B1/ko
Publication of KR20220045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2Units using UV-light emitting diodes [L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7Units with two or more lamp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8Having flow diverters (baff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2Fluid flow conditions
    • C02F2301/024Turbul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2Fluid flow conditions
    • C02F2301/026Spiral, helicoidal, rad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관형 유체 정화 장치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구비하는 안내부,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배출부, 상기 안내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서 유체의 유동 공간을 제공하는 도관부, 및 상기 도관부의 내벽에 지지되고, 상기 안내부로부터 상기 배출부로 유동하는 유체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정화부를 포함한다. 상기 정화부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되는 개구를 구비하는 와류 발생부, 및 상기 개구와 인접하도록 상기 지지부재 상에 배치되고 자외선을 제공하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관형 유체 정화 장치{tube type fluid purification apparatus}
본 개시(disclosure)는 유체에 대한 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를 정화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요인의 악화에 따라, 생활 공간 내에서의 공기 오염 및 수질 오염의 위험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위험에 대처하기 위하여, 산업계에서는 공기 청정기, 정수기와 같은 유체 정화 장치를 출시하기 시작했다.
일 예로서, 정수기는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등의 정수 방식이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피처리수를 직접 살균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자외선을 이용하는 방식은 피처리수를 소정 부피의 용기 내에 먼저 수용하고, 이후에, 상기 피처리수에 자외선 광원을 침수시켜 점등함으로써 살균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침수형 살균 방식은 자외선을 피처리수에 조사하는 살균 시간이 비교적 길고, 용기 내의 피처리수 전체에 대해 균일한 살균을 이루어졌다고 신뢰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침수형 살균 방식을 채용하는 종래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2012-0134809에 일 예로서 개시되어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는, 보다 효율적이면서 간단한 구성으로 유체를 정화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는 관형 유체 정화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관형 유체 정화 장치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구비하는 안내부,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배출부, 상기 안내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서 유체의 유동 공간을 제공하는 도관부, 및 상기 도관부의 내벽에 지지되고, 상기 안내부로부터 상기 배출부로 유동하는 유체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정화부를 포함한다. 상기 정화부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되는 개구를 구비하는 와류 발생부, 및 상기 개구와 인접하도록 상기 지지부재 상에 배치되고 자외선을 제공하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도관부에서 유체가 유동할 때, 와류 발생부 주위에서 유체가 체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류 발생부 주위의 유체는 충분한 시간 동안 상기 발광다이오드에서 제공되는 자외선에 노출되어, 정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와류 발생부를 적용하여 도관부 내의 유체에 대한 정화 효율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관형 유체 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 예의 관형 유체 정화 장치의 동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관형 유체 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관형 유체 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관형 유체 정화 장치의 복수의 정화부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 예의 관형 유체 정화 장치의 동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개시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본 명세서에서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하부' 라는 용어는 관찰자의 시점에서 설정된 상대적인 개념으로, 관찰자의 시점이 달라지면, '상부' 가 '하부'를 의미할 수도 있고, '하부'가 '상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관형 유체 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관형 유체 정화 장치(10)는 관형태의 몸체부(100)를 구성하는 안내부(11), 도관부(12) 및 배출부(13)을 포함한다. 또한, 유체 정화 장치(10)는 도관부(12) 내부에 배치되는 정화부(120)를 구비한다.
안내부(11)는 관형 유체 정화 장치(10)의 제1 단부에 위치하는 유입구(110)를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유체를 몸체부(100) 내부로 유입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안내부(11)는 외부 관과의 체결을 위한 연결 홈부(111)을 구비할 수 있다. 안내부(11)는 길이 방향(즉, X 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적(A11a)을 가지는 제1 유입부(11a) 및 길이 방향(X 방향)을 따라 증가하는 단면적을 가지는 제2 유입부(11b)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유입부(12a)는 도관부(12)와의 경계면에서 도관부(12)와 동일한 단면적(A12)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안내부(11)의 단면적은 도관부(12)의 단면적과 적어도 같거나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제1 유입부(11a)는 제1 직경(L11)을 가질 수 있다. 제2 유입부(11b)는 길이 방향을 따라 증가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2 유입부(11b)는 도관부(12)와의 경계면에서 제2 직경(L12)을 가질 수 있다.
도관부(12)는 안내부(11)와 배출부(13) 사이에서 유체의 유동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X 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적(A12)을 가질 수 있다.
정화부(120)는 도관부(12)의 내벽에 지지되고, 안내부(11)로부터 배출부(13)로 유동하는 유체를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정화부(120)는 도관부(12)의 길이 방향(X 방향)에 수직인 방향(Y 방향)으로 배치되어, 도관부(12)의 단면적(A12)을 커버할 수 있다.
정화부(120)는 와류 발생부(121), 및 자외선을 제공하는 발광다이오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와류 발생부(121)는 지지부재(121a) 및 지지부재(121a)에 형성되는 개구(121b)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재(121a)는 도관부(12)의 내벽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관부(12)의 내벽을 따라 홈부가 형성되고, 지지부재(121a)의 외주면이 상기 홈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121a) 상에는 발광다이오드(122)가 실장될 수 있다. 지지부재(121a)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발광다이오드(122)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인쇄회로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관형 유체 정화 장치(10)의 외부에는 발광다이오드(12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와 지지부재(121a)의 인쇄회로패턴을 연결하는 배선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안내부(11)로부터 도관부(12)로 유입되는 유체는 와류발생부(121)의 개구(121b)를 통해서, 배출부(13)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 중 일부분은 개구(121b)를 통과하기 전에, 지지부재(121a)와 충돌함으로써, 와류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와류로 변환된 유체의 경우, 정화부(120)의 인근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122)는 지지부재(121a) 상에서 개구(121b)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발광다이오드(122)는 발광다이오드칩 또는 발광다이오드칩의 패키지의 형태를 모두 포괄하는 의미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COB(chip on board) 형태로 발광다이오드 칩이 인쇄회로패턴이 구비된 지지부재(121a) 상에 직접 실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발광다이오드 칩의 패키지가 제공되고, 상기 패키지가 인쇄회로패턴이 구비된 지지부재(121a)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다이오드(122)는 유체의 살균 또는 탈취를 위한 약 200 내지 400 nm 파장 영역의 자외선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발광다이오드(122)는 상기 유체를 맞이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발광다이오드(122)는 안내부(11)를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122)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배치될 경우, 다양한 형태의 행과 열의 배열을 이루도록 지지부재(12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출부(13)는 정화부(120)에 의해 정화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배출부(13)는 관형 유체 정화 장치(10)의 제2 단부에 위치하는 토출구(130)를 구비할 수 있다. 배출부(13)는 외부 관과의 체결을 위한 연결 홈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배출부(13)는 길이 방향(즉, X 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적(A13a)을 가지는 제1 토출부(13a) 및 길이 방향(즉, X 방향)을 따라 감소하는 단면적을 가지는 제2 토출부(13b)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토출부(13b)는 도관부(12)와의 경계면에서 도관부(12)와 동일한 단면적(A12)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부(13)의 단면적은 도관부(12)의 단면적과 적어도 같거나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형 유체 정화 장치(10)는 안내부(11), 도관부(12), 및 배출부(13)를 구비하는 모듈 형태의 연결 장치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안내부(11)와 배출부(13)는 각각 외부 도관과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 예의 관형 유체 정화 장치의 동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관형 유체 정화 장치(10)의 안내부(11)는 제1 외부 관(21)과 결합하며, 배출부(13)는 제2 외부 관(22)과 결합할 수 있다. 결합 방식은 일 예로서, 제1 유입부(11a)의 연결 홈부(111)에 대응하는 연결나사를 구비하는 제1 외부 관(21)이 결합하는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외부 관(21)과 제1 유입부(11a)를 별도의 결합 장치를 이용하여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 장치는 일 예로서, 클램프, 밸브 등의 체결 도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은 제1 토출부(13a)와 제2 외부 관(22) 사이의 결합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외부 관(21)으로부터 유체가 안내부(11)로 유입되며, 도관부(12) 내의 정화부(120)를 통해 상기 유체가 정화될 수 있다. 정화된 유체는 배출부(13)를 통해 제2 외부 관(22)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외부 관(21)을 유동하는 유체(F21)은 안내부(11)를 거쳐서 도관부(12)로 이동할 수 있으며, 도관부(12) 내에서 유체(F21)의 일부분은 정화부(120)의 지지부재(121a)과 충돌하여 와류(Fb)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유체(F21) 중 일부분은 정화부(120)의 개구(121b)를 통해 배출부(13)로 이동할 수 있다. 와류(Fb)는 정화부(120) 인근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증가할 수 있으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개구(121b)를 통해 배출부(13)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조에서, 외부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제1 유입부(11a)로부터 제2 유입부(11b)로 이동할 때, 이동 방향을 따라 증가하는 안내부(11)의 단면적으로 인하여, 유동 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체의 이동 속도가 충분히 감소된 상태에서, 도관부(12)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유체의 이동 속도 저하는 정화부(120) 인근에서 유체가 체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정화부(120)의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소정 파장의 자외선을 제공하여 도관부(12) 내의 유체(F21)에 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살균 또는 탈취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정화부(120)의 와류 발생부(121)를 이용하여, 정화부(120)에 인접한 위치에서 유체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안내부(11) 및 도관부(12)의 단면적 차이를 이용하여, 유체의 유동 속도를 낮출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외선 발광다이오드가 제공하는 살균 또는 탈취용 자외선에 상기 유체가 노출될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살균 또는 탈취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관형 유체 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관형 유체 정화 장치(30)는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상술한 관형 유체 정화 장치(10)와 비교할 때, 안내부(31) 및 배출부(33)의 단면적이 도관부(32)의 단면적과 동일하다는 구성상 차별성을 가진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관형 유체 정화 장치(30)는 안내부(31), 도관부(32), 및 배출부(33)를 구비하는 모듈 형태의 연결 장치로 제조될 수 있다. 안내부(31) 및 배출부(33)는 각각 유입구(310) 및 토출구(330)를 구비하여, 외부 도관과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관형 유체 정화 장치(30)는 소정의 유체 도관 내에 정화부(120)가 배치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상술한 모듈 형태가 아니라, 정화부(120)만 소정의 유체 도관의 내벽 상에 별도로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화부(120)의 와류 발생부(121) 및 발광다이오드(122)를 통해 상기 유체 도관을 유동하는 유체에 대해 살균 또는 탈취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관형 유체 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관형 유체 정화 장치의 복수의 정화부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관형 유체 정화 장치(40)는 도 1 및 도 2의 관형 유도 정화 장치(10)와 비교할 때, 도관부(12) 내에 적어도 둘 이상의 정화부(420, 425)를 구비하는 차이점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일 예로서, 제1 정화부(420) 및 제2 정화부(425)와 같이, 2개의 정화부가 도시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관부(12) 내에서 유체의 흐름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정화부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정화부(420)는 제1 와류 발생부(421), 및 제1 발광다이오드(42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와류 발생부(421)은 제1 지지부재(421a) 및 제1 지지부재(421a)에 형성되는 제1 개구(4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정화부(425)는 제2 와류 발생부(426), 및 제2 발광다이오드(427)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와류 발생부(426)는 제2 지지 부재(426a), 제2 개구(426b)를 포함할 수 있다.
도관부(12) 내에, 복수의 정화부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정화부 각각에 배치되는 개구의 중심은, 복수의 정화부 간에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 및 도 5의 (a) 및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관부(12)의 길이 방향(즉, X 방향)을 따라, 제1 정화부(420) 및 제2 정화부(425)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경우, 제1 개구(421b)의 중심(421c)와 제2 개구(426b)의 중심(426c)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발광다이오드(422)의 중심(422c)과 제2 발광다이오드(427)의 중심(427c)은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개구(421b)를 통과한 유체가 도관부(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진행할 경우에, 상기 유체가 제2 개구(426b)를 곧바로 통과할 수 없도록 제1 개구(421b) 및 제2 개구(426b)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개구(421b)을 통과한 유체가 제2 개구(426b)를 통과하는 속도가 느려지며, 결과적으로 제2 발광다이오드(427)가 제공하는 자외선에 상기 유체가 노출되는 빈도가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 6과 관련되어 설명되는 관형 유체 정화 장치의 동작 방법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 예의 관형 유체 정화 장치의 동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관형 유체 정화 장치(40)의 안내부(11)는 제1 외부 관(51)과 결합하며, 배출부(13)는 제2 외부 관(52)과 결합할 수 있다. 결합 방식은 일 예로서, 제1 유입부(11a)의 연결 홈부(111)에 대응하는 연결나사를 구비하는 제1 외부 관(51)이 결합하는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외부 관(51)과 제1 유입부(11a)를 별도의 결합 장치를 이용하여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 장치는 일 예로서, 클램프, 밸브 등의 체결 도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은 제1 토출부(13a)와 제2 외부 관(52) 사이의 결합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외부 관(51)으로부터 유체가 안내부(11)로 유입되며, 도관부(12) 내의 복수의 정화부(420, 425)를 통해 상기 유체가 정화될 수 있다. 정화된 유체는 배출부(13)를 통해 제2 외부 관(52)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외부 관(61)을 유동하는 유체(F61)은 안내부(11)를 거쳐서 도관부(12)로 이동할 수 있으며, 도관부(12) 내에서 유체(F61)의 일부분은 제1 와류 발생부(421)의 제1 지지부재(421a)과 충돌하여 제1 와류(Fb1)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유체(F61) 중 일부분(Ft1)은 제1 와류 발생부(421)의 제1 개구(421b)를 통해 제1 정화부(420)를 통과할 수 있다. 제1 와류(Fb1)로 변환된 상기 유체의 경우, 제1 정화부(420) 인근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제1 와류(Fb1)는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제1 개구(421b)를 통해 제1 정화부(420)를 통과하여 제2 정화부(425)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정화부(420)를 통과한 유체(Ft1) 중 일부분은 제2 와류 발생부(426)의 제2 지지부재(426)과 충돌하여 제2 와류(Fb2)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유체(Ft1) 중 일부분(Ft2)는 제2 와류 발생부(426)의 제2 개구(428)을 통해 제2 정화부(425)를 통과할 수 있다. 제2 와류(Fb2)로 변환된 상기 유체의 경우, 제2 정화부(425) 인근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제2 와류(Fb2)는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제2 개구(428)를 통해 제2 정화부(425)를 통과하여 배출부(13)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와류(Fb1) 및 제2 와류(Fb2)는 각각 제1 정화부(420) 및 제2 정화부(425) 부근에서의 체류 시간이 증가함으로써, 제1 발광다이오드(422) 및 제2 발광다이오드(427)이 제공하는 자외선에 노출되는 빈도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자외서에 의한 상기 유체의 살균 또는 탈취 효과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조에서, 외부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제1 유입부(11a)로부터 제2 유입부(11b)로 이동할 때, 이동 방향을 따라 증가하는 안내부(11)이 단면적으로 인하여, 유동 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체의 이동 속도가 충분히 감소된 상태에서, 도관부(12)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유체의 이동 속도 저하는 복수의 정화부(420, 425) 인근에서 유체가 체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제1 발광다이오드(422) 및 제2 발광다이오드(427)이 제공하는 자외선에 의한 살균 또는 탈취 효과가 증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정화부(120)의 와류 발생부를 이용하여, 정화부(120)에 인접하여 유체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안내부(11) 및 도관부(12)의 단면적 차이를 이용하여, 유체의 유동 속도를 낮출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외선 발광다이오드가 제공하는 살균 또는 탈취용 자외선에 상기 유체가 노출될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살균 또는 탈취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30 40: 관형 유체 정화 장치,
11 31: 안내부, 12 32: 도관부, 13 33: 배출부,
11a: 제1 유입부, 11b: 제2 유입부,
13a: 제1 토출부, 13b: 제2 토출부,
100: 몸체부, 110 310: 유입구, 111: 연결홈부,
120 420 425: 정화부, 121a 421a 426a: 지지부재,
122 422 427: 발광다이오드, 121b 421b 426b: 개구,
422a 427a: 발광다이오드의 중심, 423a 428a: 개구의 중심,
130 330: 토출구, 131: 연결홈부,
21: 제1 외부 관, 22: 제2 외부관,

Claims (6)

  1.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구비하는 안내부;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배출부;
    상기 안내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서 유체의 유동 공간을 제공하는 도관부; 및
    상기 도관부의 내벽에 지지되고, 상기 안내부로부터 상기 배출부로 유동하는 유체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제1 정화부 및 제2 정화부를 포함하는 정화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정화부 및 상기 제2 정화부는 각각,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되는 와류 발생부; 및
    상기 와류 발생부와 인접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배치되고 자외선을 제공하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정화부의 발광다이오드의 중심과 상기 제2 정화부의 발광다이오드의 중심은 일치하지 않으며,
    상기 와류 발생부는 상기 유체의 와류를 발생시켜, 상기 유체가 상기 발광다이오드 주위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키는 유체 정화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는
    상기 도관부의 단면적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유체 정화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는 상기 도관부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유체 정화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 및 상기 배출부 중 어느 하나의 단면적은 상기 도관부의 단면적과 같거나 작은 유체 정화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유체를 맞이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유체에 대한 살균 또는 탈취 작용을 수행하는 자외선을 제공하는 유체 정화 장치.
  6.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구비하는 안내부;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배출부;
    상기 안내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서 유체의 유동 공간을 제공하는 도관부; 및
    상기 도관부의 내벽에 지지되고, 상기 안내부로부터 상기 배출부로 유동하는 유체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정화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화부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되는 와류 발생부; 및
    상기 와류 발생부와 인접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배치되고 자외선을 제공하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정화부는 상기 도관부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와류 발생부는 상기 유체의 와류를 발생시켜, 상기 유체가 상기 발광다이오드 주위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키는 유체 정화 장치.
KR1020220038247A 2014-12-31 2022-03-28 관형 유체 정화 장치 KR102524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247A KR102524608B1 (ko) 2014-12-31 2022-03-28 관형 유체 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675A KR102381403B1 (ko) 2014-12-31 2014-12-31 관형 유체 정화 장치
KR1020220038247A KR102524608B1 (ko) 2014-12-31 2022-03-28 관형 유체 정화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675A Division KR102381403B1 (ko) 2014-12-31 2014-12-31 관형 유체 정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125A true KR20220045125A (ko) 2022-04-12
KR102524608B1 KR102524608B1 (ko) 2023-04-24

Family

ID=562845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675A KR102381403B1 (ko) 2014-12-31 2014-12-31 관형 유체 정화 장치
KR1020220038247A KR102524608B1 (ko) 2014-12-31 2022-03-28 관형 유체 정화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675A KR102381403B1 (ko) 2014-12-31 2014-12-31 관형 유체 정화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73909B2 (ko)
KR (2) KR102381403B1 (ko)
CN (2) CN107108273A (ko)
WO (1) WO20161084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0248B2 (en) 2015-09-02 2019-01-15 ProPhotonix Limited LED lamp with sensing capabilities
JP6458779B2 (ja) * 2016-07-13 2019-01-30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流体殺菌装置
WO2018014885A1 (es) * 2016-07-17 2018-01-25 Abzu Ingenieria Del Agua S.A. Separador líquido-sólido con efecto hidraúlico de micro vórtice y micro semivórtice
JP6798327B2 (ja) * 2017-01-24 2020-12-09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流体殺菌装置
JP7035337B2 (ja) * 2017-05-22 2022-03-15 三菱電機株式会社 殺菌装置及び給湯装置
WO2019127430A1 (zh) * 2017-12-29 2019-07-04 深圳前海小有技术有限公司 一种流动水杀菌装置
KR20220038069A (ko) 2019-07-31 2022-03-25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수처리 시스템
KR102105708B1 (ko) * 2019-08-16 2020-04-28 주식회사 엠에스엘테크놀로지 균형유지가 향상된 등부표
GB2598289A (en) * 2020-07-16 2022-03-02 Univ Heriot Watt Photo reactor
KR20220019329A (ko) * 2020-08-10 2022-02-17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유체살균장치 및 유체살균방법
KR102301882B1 (ko) * 2021-05-24 2021-09-15 퀀텀매트릭스 주식회사 살균 장치
KR102536427B1 (ko) * 2021-06-21 2023-05-26 (주)제이엔텍 자외선 살균 시스템
KR102564850B1 (ko) * 2021-07-12 2023-08-08 에프엔에스테크 주식회사 자외선 산화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6676A (ja) * 2005-06-17 2006-12-28 Philips Lumileds Lightng Co Llc 紫外線光エミッタを備えた流体浄化システム
KR20100095306A (ko) * 2009-02-20 2010-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자외선 led를 이용한 활성 물질 중화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밸러스트 수 처리 시스템
KR101237978B1 (ko) * 2011-09-28 2013-02-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발라스트 수 처리용 자외선 반응기
KR102355078B1 (ko) * 2021-11-17 2022-02-08 송하정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오염수처리 시스템
KR20220169633A (ko) * 2021-06-21 2022-12-28 (주)제이엔텍 자외선 살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9131A (en) * 1986-05-09 1988-09-06 Pure Water Technologies Ultraviolet radiation purification system
JP3707828B2 (ja) * 1995-05-22 2005-10-19 株式会社メイスイ 浄水システム
US5919422A (en) * 1995-07-28 1999-07-06 Toyoda Gosei Co., Ltd. Titanium dioxide photo-catalyzer
US6773608B1 (en) * 1998-05-13 2004-08-10 Uv Pure Technologies Inc. Ultraviolet treatment for aqueous liquids
US6885114B2 (en) * 1999-10-05 2005-04-26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Miniature hydro-power generation system
US6332981B1 (en) * 1999-12-16 2001-12-25 Walter Thomas Loyd Ultra violet liquid purification system
US20030170151A1 (en) * 2002-03-08 2003-09-11 Hunter Charles Eric Biohazard treatment systems
US6767458B2 (en) * 2002-05-23 2004-07-27 Eugen Safta Ultraviolet generator used in water purification system
US7226542B2 (en) 2003-08-22 2007-06-05 Anvik Corporation Fluid treatment apparatus
EP3111963B1 (en) * 2004-03-12 2021-01-13 Trojan Technologies Inc. Fluid treatment system comprising elongate radiation source assemblies
JP4355315B2 (ja) * 2005-12-26 2009-10-28 東洋バルヴ株式会社 流体浄化装置
US8591730B2 (en) * 2009-07-30 2013-11-26 Siemens Pte. Ltd. Baffle plates for an ultraviolet reactor
KR101130730B1 (ko) * 2009-10-29 2012-04-12 주식회사 파나시아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CN201648093U (zh) * 2010-03-17 2010-11-24 青岛水清木华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利用光催化氧化反应的污水处理装置
CN103347544B (zh) * 2010-11-18 2016-01-13 Oy霍尔顿集团有限公司 空气净化设备方法和系统
US8541758B1 (en) 2011-06-17 2013-09-24 Aqua Treatment Services, Inc. Ultraviolet reactor
KR20140118071A (ko) * 2013-03-28 2014-10-08 (주)깨스코 살균성능의 향상을 위한 밸러스트수 전처리용 난류발생기
US9938165B2 (en) * 2013-10-28 2018-04-10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UV-LED collimated radiation photoreac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6676A (ja) * 2005-06-17 2006-12-28 Philips Lumileds Lightng Co Llc 紫外線光エミッタを備えた流体浄化システム
KR20100095306A (ko) * 2009-02-20 2010-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자외선 led를 이용한 활성 물질 중화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밸러스트 수 처리 시스템
KR101237978B1 (ko) * 2011-09-28 2013-02-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발라스트 수 처리용 자외선 반응기
KR20220169633A (ko) * 2021-06-21 2022-12-28 (주)제이엔텍 자외선 살균 시스템
KR102355078B1 (ko) * 2021-11-17 2022-02-08 송하정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오염수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55622A1 (en) 2017-12-14
KR102524608B1 (ko) 2023-04-24
US10173909B2 (en) 2019-01-08
CN107108273A (zh) 2017-08-29
KR102381403B1 (ko) 2022-04-01
WO2016108459A1 (en) 2016-07-07
KR20160081210A (ko) 2016-07-08
CN115124109A (zh) 202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4608B1 (ko) 관형 유체 정화 장치
KR102368679B1 (ko) 유수형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연결 장치
CN107921157B (zh) 杀菌装置
US10745296B2 (en) Fluid processing apparatus having multiple rectifying plates
JP2015051268A5 (ko)
RU2009120717A (ru) Уф-реактор обработки
JP2016511138A5 (ko)
DE602005010460D1 (de) Luftdekontaminier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ATE325938T1 (de) Verbundene, nichtverstopfende kühlkreisläufe
JP2009176845A (ja) 冷却ダクトおよび電子機器
WO2019049702A1 (ja) 水処理用の紫外線照射装置、及び紫外線照射を利用した水処理方法
JP6095184B2 (ja) バラスト水を処理する方法及びバラスト水を処理する装置
JP7299101B2 (ja) 紫外線照射装置
KR102303259B1 (ko) 유수형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연결 장치
KR102229602B1 (ko) 자외선 살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US20210187149A1 (en) Distributing light in a reaction chamber
KR102127023B1 (ko)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
JP2017209293A (ja) 除菌装置及び温水装置
KR20090132207A (ko) 최적 방열을 위한 회로기판의 부품배치 방법 및 그 부품배치 방법에 의해 부품이 배치된 회로 장치
KR20170084473A (ko) 양방향 살균시스템
US6572817B1 (en) Ozone enhancing system
KR102636949B1 (ko) 압축 공기 다단식 하이브리드 살균 장치
US11338049B1 (en) Ultraviolet sterilizing box structure
RU2486406C2 (ru) Термический деаэратор
KR102219170B1 (ko) 기판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