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882B1 -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살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882B1
KR102301882B1 KR1020210066295A KR20210066295A KR102301882B1 KR 102301882 B1 KR102301882 B1 KR 102301882B1 KR 1020210066295 A KR1020210066295 A KR 1020210066295A KR 20210066295 A KR20210066295 A KR 20210066295A KR 102301882 B1 KR102301882 B1 KR 102301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light source
pipe
flow
sou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1882B9 (ko
Inventor
이수원
오대근
Original Assignee
퀀텀매트릭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퀀텀매트릭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퀀텀매트릭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6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8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882B1/ko
Publication of KR10230188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882B9/ko
Priority to PCT/KR2022/006426 priority patent/WO202225032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C1/0076Sterilising operating fluids or fluid supply elements such as supply lines,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 A61G15/16Storage, holding or carrying means for dental handpiece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Toxic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유로관, 제2 유로관, 유로관 연결모듈, 제1 광원부, 제2 광원부, 제3 광원부, 제4 광원부, 금속 케이스,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로관 전반에 걸쳐 균일한 조도를 제공하여 효율적인 살균 기능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살균 장치{STERILIZER}
본 발명은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 가능한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도 1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1249호에 제시된 UV 여과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 부호를 변경하였다.
UV 여과기는 외부 하우징(11), 내부 하우징(12)을 포함한다. 외부 하우징(11)은 원수 유입구(11-1)를 포함하고, 내부 하우징(12)은 여과공간(X), 살균공간(Y)을 포함한다. 여과공간(X)에는 여과재(11-2)가 채워지고, 살균공간(Y)에는 자외선 램프(12-2)가 설치된다. 원류 유입구(11-1)로부터 유입된 원수는 외부 하우징(11)의 내벽을 따라 선회하면서 하강하는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여과공간(X)과 살균공간(Y) 사이에는 여재유실 방지 다공판(12-1)이 형성된다.
도 2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5321호에 제시된 치과용 유닛체어에 적용되는 수관멸균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 부호를 변경하였다.
수관멸균장치는 치과용 유닛체어에 구비되어 치과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관(20)의 중간에 설치가능하도록 마련되어 효과적인 살균이 가능한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관멸균장치는 몸체부(21), 유입구(22), 살균부(23), 소독제투입부(24), 배출구(25) 및 배터리 수용부(26)를 포함한다.
몸체부(21)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단부에 개폐가능한 덮개부(21-1)를 포함한다. 유입구(22)는 수관(20)의 물이 유입된다. 살균부(23)는 몸체부(21)의 내부에 구비되며, 복수의 UV LED 램프를 포함한다. 소독제 투입부(24)는 덮개부(21-1)에 구비되며, 소독제를 투입할 수 있다. 배출구(25)는 몸체부(21)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물이 배출된다. 배터리 수용부(26)는 살균부(23)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수용한다.
도 1과 같이 외부 하우징(11)을 흐르는 물을 자외선 램프(12-2)로 살균 및 정수한다. 최근 정수기는 소형화되고 있으며, 자외선 램프(12-2)의 크기가 커서 작은 크기를 가지는 자외선 반도체 발광소자로 대체되고 있다.
도 2와 같이 UV LED 램프는 물속에 구비된다. UV LED 램프가 물속에 구비될 때, LED 램프나 LED 램프가 구비된 기판 등이 물과 바로 접촉하여 물에 화학 물질이 흘러 나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살균하고자 하는 유체가 유량의 증가에 따라 대용량인 경우, 살균장치는 살균시간 확보를 위해서 유로관의 길이가 길어져야 한다. 그러나 유로관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유로관 내의 조도가 불가피하게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1249호(2017년03월23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5321호(2016년12월05일)
본 발명은 하나의 구체예에서 살균 특성 및 방열 성능이 우수한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구체예에서 유로관의 길이 증가에도 불구하고 거리에 따른 조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양상에서, 제1-1 단부, 제1-1 단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2 단부,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유로를 포함하는 제1 유로관; 제2-1 단부, 제2-1 단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2 단부,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유로를 포함하는 제2 유로관; 제3-1 단부, 제3-1 단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3-2 단부를 포함하고, 제3-1 단부가 제1 유로관의 제1-2 단부와 연결되고 제3-2 단부가 제2 유로관의 제2-2 단부와 연결되어 제1 유로관과 제2 유로관을 연결하는 유로관 연결모듈; 제1-1 단부에 배치되고 제1 유로를 향해 제1-1 단부에서 축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1 광원부; 제2-1 단부에 배치되고 제2 유로를 향해 제2-1 단부에서 축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2 광원부; 제3-1 단부에 배치되고 제1 유로를 향해 제3-1 단부에서 축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3 광원부; 제3-2 단부에 배치되고 제2 유로를 향해 제3-2 단부에서 축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4 광원부; 제1 유로관, 제2 유로관, 및 유로관 연결모듈의 외부를 감싸는 금속 케이스; 및 제1 광원부의 외측에서 금속 케이스의 끝단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1 유로관, 제2 유로관, 및 유로관 연결모듈의 외벽에 제어부와 제2 광원부, 제3 광원부, 및 제4 광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이 매립되는 전선매립부가 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살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는 살균 장치는 유체를 살균하면서 동시에 반도체 발광소자를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는 살균 장치는 유체의 온도 상승 없이 금속 케이스에 의해 반도체 발광소자의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는 살균 장치는 유로관 전반에 걸쳐 균일한 조도를 제공하여 효율적인 살균 기능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1249호에 제시된 UV 여과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5321호에 제시된 치과용 유닛체어에 적용되는 수관멸균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제1 유로관과 제2 유로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제1 유로관과 제2 유로관을 연결하는 유로관 연결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유로관 연결모듈이 제1 유로관과 제2 유로관을 연결하기 직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유로관 연결모듈을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제1 광원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제1-1 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제2 광원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3 광원부와 제4 광원부가 구비된 유로관 연결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3A는 살균 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며, 도 3B는 금속 케이스가 제거된 살균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도 3C는 살균 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살균 장치(100)는 제1 유로관(110), 제2 유로관(120), 유로관 연결모듈(200), 제1 광원부(310), 제2 광원부(320), 제3 광원부(330), 제4 광원부(340), 금속 케이스(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 장치(100)는 제1 유로관(110), 제2 유로관(120) 및 유로관 연결모듈(200)을 경유하여 흐르는 예컨대 물, 음료, 또는 공기 등의 유체를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100)의 제1 유로관(110)과 제2 유로관(12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4A는 제1 유로관(110)과 제2 유로관(120)의 외관을 나타내며, 도 4B는 제1 유로관(110)과 제2 유로관(120)의 단면도이며, 도 4C는 제1 유로관(110)과 제2 유로관(120)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 제1 유로관(110)은 제1-1 단부(111), 제1-1 단부(11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2 단부(112),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유로(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로관(120)은 제2-1 단부(121), 제2-1 단부(12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2 단부(122),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유로(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로관(110) 및 제2 유로관(120)은 원통 형상의 측벽으로 구성된 직선형의 관(튜브)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유로관(110)은 제1-1 단부(111) 및 제1-1 단부(11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2 단부(112)를 포함하며, 제1-1 단부(111)로부터 제1-2 단부(112)를 향해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1 단부(111)와 제1-2 단부(112)는 개방되어 있다. 제1 유로관(110)은 제1-1 단부(111)로부터 제1-2 단부(112)를 향해 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유로(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로관(120)은 제2-1 단부(121) 및 제2-1 단부(12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2 단부(122)를 포함하며, 제2-1 단부(121)로부터 제2-2 단부(122)를 향해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1 단부(121)와 제2-2 단부(112)는 개방되어 있다. 제2 유로관(120)은 제2-1 단부(121)로부터 제2-2 단부(122)를 향해 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유로(12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축 방향"은, 도 3A에 제시된 중심축(L)에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도 4B에 제시된 바와 같이, 유로관의 양 단부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유로관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을 "내측"이라 하고 유로관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을 "외측"이라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제1 유로관(110) 및 제2 유로관(120)은 각각 제1 광원부(310) 및 제2 광원부(320)로부터의 빛을 반사하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제1 유로관(110) 및 제2 유로관(120)은 각각 제3 광원부(330) 및 제4 광원부(340)로부터의 빛을 반사하는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유로관(110) 및 제2 유로관(120)은 각각 금속 재료 또는 수지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유로관(110) 및 제2 유로관(120)은 각각 자외선 빛의 반사율이 높은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과불화 수지인 PTFE(Polytetrafluoroethylene)의 경화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관(110) 및 제2 유로관(120)이 이러한 재료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제1 광원부(310) 및 제2 광원부(320), 및/또는 제3 광원부(330) 및 제4 광원부(340)가 조사하는 자외선 빛을 제1 유로관(110) 및 제2 유로관(120)의 내면으로 반사시켜 제1 유로관(110) 및 제2 유로관(120)의 길이 방향(즉, 축 방향)으로 전파시킬 수 있다. 특히 PTFE는 화학적으로 안정된 재료이고 자외선 빛의 반사율이 높은 재료이기 때문에, 제1 유로(113) 및 제2 유로(123)를 형성하는 제1 유로관(110) 및 제2 유로관(120)의 재료로써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100)의 제1 유로관(110)과 제2 유로관(120)을 연결하는 유로관 연결모듈(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5A는 제1 유로관(110)과 제2 유로관(120)을 연결하는 유로관 연결모듈(200)의 외관을 나타내며, 도 5B는 유로관 연결모듈(200)의 정면도이며, 도 5C는 유로관 연결모듈(20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유로관 연결모듈(200)이 제1 유로관(110)과 제2 유로관(120)을 연결하기 직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유로관 연결모듈(200)은 제3-1 단부(201), 제3-1 단부(20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3-2 단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관 연결모듈(200)은, 유로관 연결모듈(200)의 제3-1 단부(201)가 제1 유로관(110)의 제1-2 단부(112)와 연결되고 유로관 연결모듈(200)의 제3-2 단부(202)가 제2 유로관(120)의 제2-2 단부(122)와 연결되어, 제1 유로관(110)과 제2 유로관(120)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로관 연결모듈(200)은 제3 광원부(330) 및 제4 광원부(340)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기 위하여 금속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나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유로관(110), 제2 유로관(120), 및 유로관 연결모듈(200)의 외벽에는 제어부(500)와 제2 광원부(320), 제3 광원부(330), 및 제4 광원부(3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이 매립되는 전선매립부(600; 601~605)가 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선매립부(600)는 제1 유로관(110), 제2 유로관(120), 및 유로관 연결모듈(200) 각각의 외벽에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선매립부(600)의 구성으로 인하여, 제어부(500)와 제2 광원부(320), 제3 광원부(330), 및 제4 광원부(3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이 금속 케이스(400) 내부로 매립될 수 있어서 살균 장치(100)의 외관을 간결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100)의 유로관 연결모듈(200)을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7A는 유로관 연결모듈(200)의 사시도이며, 도 7B는 유로관 연결모듈(200)의 정면도이며, 도 7C는 유로관 연결모듈(200)을 경유하는 유체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유로관 연결모듈(200)은 제1 유로관(110)의 제1 유로(113)와 제2 유로관(120)의 제2 유로(123)를 상호 연통시키는 축 방향의 관통홀(210; 211~21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는 예시적으로 8개의 관통홀(211~218)이 형성된 유로관 연결모듈(200)을 제시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관 연결모듈(200)의 관통홀(210)이 제1 유로관(110)의 제1 유로(113)와 제2 유로관(120)의 제2 유로(123)를 상호 연통시키므로, 유체가 순차적으로, 제1 유로관(110)의 제1 유로(113), 유로관 연결모듈(200)의 관통홀(210), 및 제2 유로관(120)의 제2 유로(123)를 통하여 흐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유체는 순차적으로, 제2 유로관(120)의 제2 유로(123), 유로관 연결모듈(200)의 관통홀(210), 및 제1 유로관(110)의 제1 유로(113)를 통하여 흐를 수도 있다.
유체가 유로관 연결모듈(200)의 관통홀(210)을 통하여 흐르므로, 유로관 연결모듈(200)에 구비된 제3 광원부(330) 및 제4 광원부(340)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다.
도 8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100)의 제1 광원부(3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시의 명확성을 위해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제1 광원부(310)을 포함하는 살균 장치(100)의 제1-1 단부(111) 측의 수직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B는 제1 광원부(310)의 분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광원부(310)는 제1-1 단부(111)에 배치되고 제1 유로(113)를 향해 제1-1 단부(111)에서 축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광원부(310)는 자외선을 발광하는 제1 반도체 발광소자(311), 제1 반도체 발광소자(311)가 실장되는 제1 기판(312), 제1 반도체 발광소자(311) 내측에 배치되며 자외선을 투광하는 제1 투광판(3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도체 발광소자(311)는 빛을 발광하며, 빛은 UVC 자외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UVC 자외선 중 심자외선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심자외선은 200nm~300nm의 파장인 것이 바람직하다. 심자외선은 세균, 곰팡이, 박테리아 등의 미생물에 조사되면, 미생물의 단백질과 핵산(DNA, RNA)에 흡수된다. 핵산의 기본물질인 티민(thymine)이 티민 이량체를 형성하여 DNA를 불활성화한다. DNA의 불활성화는 DNA의 증식과 재생을 차단하여 미생물의 생명활동을 정지시킨다. DNA 흡수에 의한 살균효과가 있는 자외선 파장은 100~310nm 범위이며 흡수 피크값은 265nm이다. 자외선 파장의 200nm이하에서는 자외선에 의해 오존이 발생하므로 사용이 제한된다.
제1 기판(312)은 제1 반도체 발광소자(311)가 실장되는 기판으로 통상적인 PCB 기판일 수 있다. 제1 기판(312)은 알루미늄(Al), 구리(Cu) 등의 금속 또는 알루미나(Al2O3),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AlN)등의 세라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투광판(313)은 석영, 사파이어 또는 심자외선을 투광하는 불소수지계열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심자외선을 투광하는 불소수재 계열의 재료는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FEP(플루오리네이티드 에틸렌- 프로필렌;Fluorinated Ethylene-Propylene) 등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100)의 제1-1 단부(11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시의 명확성을 위해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유로관(110)은 제1-1 단부(111)의 내부 횡단 길이(L1)가 중심부(114)의 내부 횡단 길이(L2)보다 길도록 제1-1 단부(111)에 단차가 형성되어 외벽쪽으로 파인 제1 홈(11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광원부(310)는 제1 투광판(313)의 가장자리부(313-1)가 제1 탄성지지부(314)에 의해 제1 홈(115)에서 제1 유로관(110)의 내측벽에 밀착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유로관(110) 내부에 흐르는 유체는 제1 광원부(310) 내부로 흐르지 않으며, 후술하는 제1 니플을 경유하여 제1 유로관(110) 내의 제1 유로(113)로 공급되거나 또는 제1 유로관(110) 내의 제1 유로(113)를 경유하여 제1 니플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로관(110) 내부에 흐르는 유체가 열을 발생하는 제1 반도체 발광소자(311) 및 열을 방출하는 제1 기판(312)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유체의 온도가 상승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1 탄성지지부(314)는 제1 투광판(313)의 가장자리부(313-1)가 제1 유로관(110)의 내측벽에 밀착체결되어 유체가 침투되지 않도록 하는 재질이라면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탄성부재로 구성된 오-링(O-ring)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합성고무, 천연고무, 또는 실리콘 고무로 구성된 오-링(O-ring)일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제1 기판(312)은 가장자리부(312-1)가 제1 체결공(312-2)을 관통하는 제1 고정수단(451)에 의해 금속 케이스(400)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기판(312)은 제1 반도체 발광소자(311)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1 기판(312)의 가장자리부(312-1)가 외부에 노출된 금속 케이스(400)에 체결됨으로써 방열 효능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 고정수단(451)은 제1 기판(312)에 형성된 제1 체결공(312-2)을 관통하여 제1 기판(312)과 금속 케이스(400)를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질로 구성된 스크류 나사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제1 투광판(313)의 가장자리부(313-1)와 제1 기판(312) 사이에 제1 광반사지지부(315)가 배치됨으로써 제1 기판(312)과 제1 투광판(313) 사이에 제1 반도체 발광소자(311)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투광판(313)과 제1 기판(312)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광반사지지부(315)는 제1 반도체 발광소자(311)로부터의 빛을 반사하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빛의 반사율이 높은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과불화 수지인 PTFE(Polytetrafluoroethylene)의 경화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광반사지지부(315)가 이러한 재료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제1 반도체 발광소자(311)가 조사하는 자외선 빛을 제1 유로관(110)의 내면으로 최대한 반사시켜 자외선 빛의 소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PTFE는 화학적으로 안정된 재료이고 자외선 빛의 반사율이 높은 재료이기 때문에 제1 광반사지지부(315)의 재료로써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100)의 제2 광원부(32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시의 명확성을 위해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광원부(320)는 제2-1 단부(121)배치되고 제2 유로(123)를 향해 제2-1 단부(121)에서 축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광원부(320)는 자외선을 발광하는 제2 반도체 발광소자(321), 제2 반도체 발광소자(321)가 실장되는 제2 기판(322), 제2 반도체 발광소자(321) 내측에 배치되며 자외선을 투광하는 제2 투광판(3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광원부(320)의 구성은 크게 제1 광원부(310)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제2 광원부(320)의 제2 반도체 발광소자(321), 제2 기판(322) 및 제2 투광판(323)은 제1 광원부(310)의 제1 반도체 발광소자(311), 제1 기판(312) 및 제1 투광판(313)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제2 유로관(120)은 제2-1 단부(121)의 내부 횡단 길이가 중심부(124)의 내부 횡단 길이보다 길도록 제2-1 단부(121)에 단차가 형성되어 외벽쪽으로 파인 제2 홈(12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1 광원부(310)가 배치되는 제1 단부(111)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광원부(320)는 제2 투광판(323)의 가장자리부(323-1)가 제2 탄성지지부(324)에 의해 제2 홈(125)에서 제2 유로관(120)의 내측벽에 밀착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 유로관(120) 내부에 흐르는 유체는 제2 광원부(320) 내부로 흐르지 않으며, 후술하는 제2 니플을 경유하여 제2 유로관(120) 내의 제2 유로(123)로 공급되거나 또는 제2 유로관(120) 내의 제2 유로(123)를 경유하여 제2 니플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유로관(120) 내부에 흐르는 유체가 열을 발생하는 제2 반도체 발광소자(321) 및 열을 방출하는 제2 기판(322)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유체의 온도가 상승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 탄성지지부(324)는 제1 탄성지지부(314)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제2 기판(322)은 가장자리부(322-1)가 제2 체결공(미도시)을 관통하는 제2 고정수단(452)에 의해 금속 케이스(400)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1 광원부(310)와 동일한 구성 및 동일한 효과를 줄 수 있다. 제2 고정수단(452)은 제1 고정수단(451)과 동일한 구성 및 재질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제2 투광판(323)의 가장자리부(323-1)와 제2 기판(322) 사이에 제2 광반사지지부(325)가 배치됨으로써 제2 기판(322)과 제2 투광판(323) 사이에 제2 반도체 발광소자(321)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투광판(323)과 제2 기판(322)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광반사지지부(325)는 제2 반도체 발광소자(321)로부터의 빛을 반사하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빛의 반사율이 높은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과불화 수지인 PTFE(Polytetrafluoroethylene)의 경화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광반사지지부(325)가 이러한 재료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제2 반도체 발광소자(321)가 조사하는 자외선 빛을 제2 유로관(120)의 내면으로 최대한 반사시켜 자외선 빛의 소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PTFE는 화학적으로 안정된 재료이고 자외선 빛의 반사율이 높은 재료이기 때문에 제2 광반사지지부(325)의 재료로써 바람직하다.
도 11은 제3 광원부(330)와 제4 광원부(340)가 구비된 유로관 연결모듈(2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1A는 제3 광원부(330)와 제4 광원부(340)가 구비된 유로관 연결모듈(200)의 결합도이며, 도 11B는 제3 광원부(330)와 제4 광원부(340)가 구비된 유로관 연결모듈(200)의 분해도이다.
제3 광원부(330)는 제3-1 단부(201)에 배치되고 제1 유로(113)를 향해 제3-1 단부(201)에서 축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광원부(330)는 자외선을 발광하는 제3 반도체 발광소자(331), 제3 반도체 발광소자(331)가 실장되는 제3 기판(332), 제3 반도체 발광소자(331) 내측에 배치되며 자외선을 투광하는 제3 투광판(3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광원부(330)의 제3 반도체 발광소자(331), 제3 기판(332), 및 제3 투광판(333)은 각각 제1 광원부(310)의 제1 반도체 발광소자(311), 제1 기판(312) 및 제1 투광판(313)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제3 광원부(330)는 제3-1 단부(201)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제3 기판(332)는 고정수단에 의해 유로관 연결모듈(200)에 밀착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제3 광원부(330)에서 발생하는 열이 유로관 연결모듈(200)에 의해 방출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제3 투광판(333)의 가장자리부와 제3 기판(332) 사이에 제3 광반사지지부(335)가 배치됨으로써 제3 기판(332)과 제3 투광판(333) 사이에 제3 반도체 발광소자(331)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제3 투광판(333)과 제3 기판(332) 사이에 배치되는 제3 광반사지지부(335)는 제3 반도체 발광소자(331)로부터의 빛을 반사하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빛의 반사율이 높은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과불화 수지인 PTFE(Polytetrafluoroethylene)의 경화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3 광반사지지부(335)가 이러한 재료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제3 반도체 발광소자(331)가 조사하는 자외선 빛을 제1 유로관(110)의 내면으로 최대한 반사시켜 자외선 빛의 소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PTFE는 화학적으로 안정된 재료이고 자외선 빛의 반사율이 높은 재료이기 때문에 제3 광반사지지부(335)의 재료로써 바람직하다.
제4 광원부(340)는 제3-2 단부(202)에 배치되고 제2 유로(123)를 향해 제3-2 단부(202)에서 축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4 광원부(340)는 자외선을 발광하는 제4 반도체 발광소자(미도시), 제4 반도체 발광소자(미도시)가 실장되는 제4 기판(미도시), 제4 반도체 발광소자(미도시) 내측에 배치되며 자외선을 투광하는 제4 투광판(3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광원부(340)의 제4 반도체 발광소자(미도시), 제4 기판(미도시), 및 제4 투광판(343)은 각각 제1 광원부(310)의 제1 반도체 발광소자(311), 제1 기판(312) 및 제1 투광판(313)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제4 광원부(340)의 구성은 크게 제3 광원부(330)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으며, 제3 광원부(330)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제4 투광판(343)의 가장자리부와 제4 기판(미도시) 사이에 제4 광반사지지부(345)가 배치됨으로써 제4 기판(미도시)과 제4 투광판(343) 사이에 제4 반도체 발광소자(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제4 투광판(343)과 제4 기판(미도시) 사이에 배치되는 제4 광반사지지부(345)는 제4 반도체 발광소자(미도시)로부터의 빛을 반사하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빛의 반사율이 높은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과불화 수지인 PTFE(Polytetrafluoroethylene)의 경화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4 광반사지지부(345)가 이러한 재료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제4 반도체 발광소자(미도시)가 조사하는 자외선 빛을 제2 유로관(120)의 내면으로 최대한 반사시켜 자외선 빛의 소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PTFE는 화학적으로 안정된 재료이고 자외선 빛의 반사율이 높은 재료이기 때문에 제4 광반사지지부(345)의 재료로써 바람직하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금속 케이스(400)는 제1 유로관(110), 제2 유로관(120), 및 유로관 연결모듈(200)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금속 케이스(400)는 후술하는 제어부(500) 외측에 배치되어 제어부(500)를 금속 케이스(400)의 내부에 밀봉하는 제1 마감부(410), 및 제2 광원부(320) 외측에 배치되어 제2 광원부(320)를 금속 케이스(400)의 내부에 밀봉하는 제2 마감부(420), 및 제1 유로관(110), 제2 유로관(120), 그리고 유로관 연결모듈(200)의 외벽을 감싸며 축 방향으로 연장된 측벽(4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제1 마감부(410)와 제2 마감부(420)는 각각 제1 고정수단(451)과 제2 고정수단(452)에 의해 제1 유로관(110)과 제2 유로관(120)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또 다른 구체예에서, 제1 마감부(410)와 제2 마감부(420)는 각각 제1 고정수단(451)과 제2 고정수단(452)에 의해 측벽(430)에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고정수단(451)은 순차적으로 제1 마감부(410)와 제1 기판(312)을 관통하여 측벽(430)에 체결될 수 있으며, 제2 고정수단(452)은 순차적으로 제2 마감부(420)와 제2 기판(322)을 관통하여 측벽(430)에 체결될 수 있다.
금속 케이스(400)의 제1 마감부(410), 제2 마감부(420), 및 측벽(430)은 방열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구리(Cu) 등의 금속 또는 알루미나(Al2O3),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AlN)등의 세라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제1 광원부(310)의 외측에서 금속 케이스(400)의 끝단에 구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제1 광원부(310)의 외측에서 금속 케이스(400)의 제1 마감부(4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1, 제2, 제3, 및 제4 반도체 발광소자(311, 321, 331, 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와 제2, 제3, 및 제4 반도체 발광소자는 제1 유로관(110), 제2 유로관(120), 및 유로관 연결모듈(200)의 외벽에 축 방향으로 형성된 전선매립부(600; 601~605)에 매립되는 전선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또 다른 구체예에서, 살균 장치(100)는 제1 광원부(310)의 내측에서 금속 케이스(400)를 관통하고 제1 유로관(110)에 삽입되어 축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 니플(610), 및 제2 광원부(320)의 내측에서 금속 케이스(400)를 관통하고 제2 유로관(120)에 삽입되어 축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2 니플(620)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로관(110)과 제2 유로관(120)은 각각 제1 니플(610)과 제2 니플(620)에 대응하여 유체가 공급 및 배출될 수 있는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유체가 제1 니플(610) 및 제2 니플(620)을 경유하여 제1 유로관(110)의 제1 유로(113) 및 제2 유로관(120)의 제2 유로(123)로 공급 및 배출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유체는 제1 니플(610), 유로관 연결모듈(200), 및 제2 니플(620)을 경유하여 살균 장치(100) 내부에 공급 및 배출될 수 있다. 예컨대 유체는 도 3의 화살표로 제시한 바와 같이, 제1 니플(610)을 경유하여 제1 유로(113)로 공급되고 제1 유로(113)를 따라 이동한 후, 유로관 연결모듈(200)의 관통홀(210; 211~218)을 통해 제2 유로(123)로 이동하고, 제2 니플(620)을 경유하여 제2 유로(123)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유체의 이동 경로는 이와 반대로 제2 니플(620)을 경유하여 제2 유로(123)로 공급되고 제1 니플(610)을 경유하여 제1 유로(113)로부터 배출되는 경로일 수도 있다.
제1 니플(610) 및 제2 니플(620)은 방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유로관(110)과 금속 케이스(400) 및 제2 유로관(120)과 금속 케이스(400)는 각각 제1 니플(610) 및 제2 니플(620)에 의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금속 케이스를 관통하여 유로관에 삽입되는 제1 니플(610) 및 제2 니플(620)의 전단부 외벽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유로관과 금속 케이스의 구멍 내벽에 또 다른 나사부가 형성됨으로써, 제1 니플(610) 및 제2 니플(620)을 회전 삽입시키는 간편한 작동에 의해 유로관과 금속 케이스가 상호 체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제1-1 단부, 제1-1 단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2 단부,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유로를 포함하는 제1 유로관; 제2-1 단부, 제2-1 단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2 단부,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유로를 포함하는 제2 유로관; 제3-1 단부, 제3-1 단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3-2 단부를 포함하고, 제3-1 단부가 제1 유로관의 제1-2 단부와 연결되고 제3-2 단부가 제2 유로관의 제2-2 단부와 연결되어 제1 유로관과 제2 유로관을 연결하는 유로관 연결모듈; 제1-1 단부에 배치되고 제1 유로를 향해 제1-1 단부에서 축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1 광원부; 제2-1 단부에 배치되고 제2 유로를 향해 제2-1 단부에서 축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2 광원부; 제3-1 단부에 배치되고 제1 유로를 향해 제3-1 단부에서 축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3 광원부; 제3-2 단부에 배치되고 제2 유로를 향해 제3-2 단부에서 축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4 광원부; 제1 유로관, 제2 유로관, 및 유로관 연결모듈의 외부를 감싸는 금속 케이스; 및 제1 광원부의 외측에서 금속 케이스의 끝단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1 유로관, 제2 유로관, 및 유로관 연결모듈의 외벽에 제어부와 제2 광원부, 제3 광원부, 및 제4 광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이 매립되는 전선매립부가 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살균 장치.
(2) 제1 광원부의 내측에서 금속 케이스를 관통하고 제1 유로관에 삽입되어 축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 니플; 및 제2 광원부의 내측에서 금속 케이스를 관통하고 제2 유로관에 삽입되어 축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2 니플;을 더욱 포함하고, 유체가 제1 니플 및 제2 니플을 경유하여 제1 유로관의 제1 유로 및 제2 유로관의 제2 유로로 공급 및 배출되며, 제1 유로관과 금속 케이스 및 제2 유로관과 금속 케이스는 각각 제1 니플 및 제2 니플에 의해 상호 체결되는, 살균 장치.
(3) 유로관 연결모듈은 제1 유로관의 제1 유로와 제2 유로관의 제2 유로를 상호 연통시키는 축 방향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살균 장치.
(4) 제1 광원부는 자외선을 발광하는 제1 반도체 발광소자, 제1 반도체 발광소자가 실장되는 제1 기판, 제1 반도체 발광소자 내측에 배치되며 자외선을 투광하는 제1 투광판을 포함하며, 제1 유로관은 제1-1 단부의 내부 횡단 길이가 중심부의 내부 횡단 길이보다 길도록 제1-1 단부에 단차가 형성되어 외벽쪽으로 파인 제1 홈을 포함하며, 제1 투광판의 가장자리부가 제1 탄성지지부에 의해 제1 홈에서 제1 유로관의 내측벽에 밀착체결되는, 살균 장치.
(5) 제1 기판의 가장자리부가 제1 고정수단에 의해 금속 케이스에 체결되는, 살균 장치.
(6) 제1 투광판의 가장자리부와 제1 기판 사이에 제1 광반사지지부가 배치됨으로써 제1 기판과 제1 투광판 사이에 제1 반도체 발광소자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는, 살균 장치.
(7) 제1 광반사지지부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로 구성되는, 살균 장치.
(8) 제2 광원부는 자외선을 발광하는 제2 반도체 발광소자, 제2 반도체 발광소자가 실장되는 제2 기판, 제2 반도체 발광소자 내측에 배치되며 자외선을 투광하는 제2 투광판을 포함하며, 제2 유로관은 제2-1 단부의 내부 횡단 길이가 중심부의 내부 횡단 길이보다 길도록 제2-1 단부에 단차가 형성되어 외벽쪽으로 파인 제2 홈을 포함하며, 제2 투광판의 가장자리부가 제2 탄성지지부에 의해 제2 홈에서 제2 유로관의 내측벽에 밀착체결되는, 살균 장치.
(9) 제2 기판의 가장자리부가 제2 고정수단에 의해 금속 케이스에 체결되는, 살균 장치.
(10) 제2 투광판의 가장자리부와 제2 기판 사이에 제2 광반사지지부가 배치됨으로써 제2 기판과 제2 투광판 사이에 제2 반도체 발광소자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는, 살균 장치.
(11) 제2 광반사지지부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로 구성되는, 살균 장치.
(12) 제1 유로관 및 제2 유로관은 각각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로부터의 빛을 반사하는 재료로 구성되는, 살균 장치.
(13) 제1 유로관 및 제2 유로관은 PTFE(Polytetrafluoroethylene)의 경화에 의해 형성되는, 살균 장치.
(14) 제3 광원부는 자외선을 발광하는 제3 반도체 발광소자, 제3 반도체 발광소자가 실장되는 제3 기판, 제3 반도체 발광소자 내측에 배치되며 자외선을 투광하는 제3 투광판을 포함하며, 제4 광원부는 자외선을 발광하는 제4 반도체 발광소자, 제4 반도체 발광소자가 실장되는 제4 기판, 제4 반도체 발광소자 내측에 배치되며 자외선을 투광하는 제4 투광판을 포함하는, 살균 장치.
(15) 제3 투광판의 가장자리부와 제3 기판 사이에 제3 광반사지지부가 배치됨으로써 제3 기판과 제3 투광판 사이에 제3 반도체 발광소자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며, 제4 투광판의 가장자리부와 제4 기판 사이에 제4 광반사지지부가 배치됨으로써 제4 기판과 제4 투광판 사이에 제4 반도체 발광소자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는, 살균 장치.
(16) 제3 광반사지지부 및 제4 광반사지지부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로 구성되는, 살균 장치.
100: 살균 장치
200: 유로관 연결모듈
310: 제1 광원부
320: 제2 광원부
330: 제3 광원부
340: 제4 광원부
400: 금속 케이스
500: 제어부
610: 제1 니플
620: 제2 니플

Claims (16)

  1. 제1-1 단부, 제1-1 단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2 단부,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유로를 포함하는 제1 유로관;
    제2-1 단부, 제2-1 단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2 단부,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유로를 포함하는 제2 유로관;
    제3-1 단부, 제3-1 단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3-2 단부를 포함하고, 제3-1 단부가 제1 유로관의 제1-2 단부와 연결되고 제3-2 단부가 제2 유로관의 제2-2 단부와 연결되어 제1 유로관과 제2 유로관을 연결하는 유로관 연결모듈;
    제1-1 단부에 배치되고 제1 유로를 향해 제1-1 단부에서 축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1 광원부;
    제2-1 단부에 배치되고 제2 유로를 향해 제2-1 단부에서 축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2 광원부;
    제3-1 단부에 배치되고 제1 유로를 향해 제3-1 단부에서 축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3 광원부;
    제3-2 단부에 배치되고 제2 유로를 향해 제3-2 단부에서 축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4 광원부;
    제1 유로관, 제2 유로관, 및 유로관 연결모듈의 외부를 감싸는 금속 케이스; 및
    제1 광원부의 외측에서 금속 케이스의 끝단에 구비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제1 유로관, 제2 유로관, 및 유로관 연결모듈의 외벽에 제어부와 제2 광원부, 제3 광원부, 및 제4 광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이 매립되는 전선매립부가 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살균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광원부의 내측에서 금속 케이스를 관통하고 제1 유로관에 삽입되어 축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 니플; 및
    제2 광원부의 내측에서 금속 케이스를 관통하고 제2 유로관에 삽입되어 축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2 니플;
    을 더욱 포함하고,
    유체가 제1 니플 및 제2 니플을 경유하여 제1 유로관의 제1 유로 및 제2 유로관의 제2 유로로 공급 및 배출되며,
    제1 유로관과 금속 케이스 및 제2 유로관과 금속 케이스는 각각 제1 니플 및 제2 니플에 의해 상호 체결되는, 살균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유로관 연결모듈은 제1 유로관의 제1 유로와 제2 유로관의 제2 유로를 상호 연통시키는 축 방향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살균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광원부는 자외선을 발광하는 제1 반도체 발광소자, 제1 반도체 발광소자가 실장되는 제1 기판, 제1 반도체 발광소자 내측에 배치되며 자외선을 투광하는 제1 투광판을 포함하며,
    제1 유로관은 제1-1 단부의 내부 횡단 길이가 중심부의 내부 횡단 길이보다 길도록 제1-1 단부에 단차가 형성되어 외벽쪽으로 파인 제1 홈을 포함하며,
    제1 투광판의 가장자리부가 제1 탄성지지부에 의해 제1 홈에서 제1 유로관의 내측벽에 밀착체결되는, 살균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 기판의 가장자리부가 제1 고정수단에 의해 금속 케이스에 체결되는, 살균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 투광판의 가장자리부와 제1 기판 사이에 제1 광반사지지부가 배치됨으로써 제1 기판과 제1 투광판 사이에 제1 반도체 발광소자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는, 살균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제1 광반사지지부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로 구성되는, 살균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광원부는 자외선을 발광하는 제2 반도체 발광소자, 제2 반도체 발광소자가 실장되는 제2 기판, 제2 반도체 발광소자 내측에 배치되며 자외선을 투광하는 제2 투광판을 포함하며,
    제2 유로관은 제2-1 단부의 내부 횡단 길이가 중심부의 내부 횡단 길이보다 길도록 제2-1 단부에 단차가 형성되어 외벽쪽으로 파인 제2 홈을 포함하며,
    제2 투광판의 가장자리부가 제2 탄성지지부에 의해 제2 홈에서 제2 유로관의 내측벽에 밀착체결되는, 살균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제2 기판의 가장자리부가 제2 고정수단에 의해 금속 케이스에 체결되는, 살균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제2 투광판의 가장자리부와 제2 기판 사이에 제2 광반사지지부가 배치됨으로써 제2 기판과 제2 투광판 사이에 제2 반도체 발광소자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는, 살균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제2 광반사지지부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로 구성되는, 살균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유로관 및 제2 유로관은 각각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로부터의 빛을 반사하는 재료로 구성되는, 살균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제1 유로관 및 제2 유로관은 PTFE(Polytetrafluoroethylene)의 경화에 의해 형성되는, 살균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3 광원부는 자외선을 발광하는 제3 반도체 발광소자, 제3 반도체 발광소자가 실장되는 제3 기판, 제3 반도체 발광소자 내측에 배치되며 자외선을 투광하는 제3 투광판을 포함하며,
    제4 광원부는 자외선을 발광하는 제4 반도체 발광소자, 제4 반도체 발광소자가 실장되는 제4 기판, 제4 반도체 발광소자 내측에 배치되며 자외선을 투광하는 제4 투광판을 포함하는, 살균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제3 투광판의 가장자리부와 제3 기판 사이에 제3 광반사지지부가 배치됨으로써 제3 기판과 제3 투광판 사이에 제3 반도체 발광소자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며,
    제4 투광판의 가장자리부와 제4 기판 사이에 제4 광반사지지부가 배치됨으로써 제4 기판과 제4 투광판 사이에 제4 반도체 발광소자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는, 살균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제3 광반사지지부 및 제4 광반사지지부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로 구성되는, 살균 장치.
KR1020210066295A 2021-05-24 2021-05-24 살균 장치 KR102301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295A KR102301882B1 (ko) 2021-05-24 2021-05-24 살균 장치
PCT/KR2022/006426 WO2022250320A1 (ko) 2021-05-24 2022-05-04 살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295A KR102301882B1 (ko) 2021-05-24 2021-05-24 살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1882B1 true KR102301882B1 (ko) 2021-09-15
KR102301882B9 KR102301882B9 (ko) 2022-01-17

Family

ID=77793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295A KR102301882B1 (ko) 2021-05-24 2021-05-24 살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01882B1 (ko)
WO (1) WO20222503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0320A1 (ko) * 2021-05-24 2022-12-01 퀀텀매트릭스 주식회사 살균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210A (ko) * 2014-12-31 2016-07-0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관형 유체 정화 장치
KR101685321B1 (ko) 2016-01-05 2016-12-13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유닛체어에 적용되는 수관멸균장치
KR101721249B1 (ko) 2015-02-03 2017-03-30 (주) 디아이엔바이로 Uv 여과기
KR20180081571A (ko) * 2015-12-08 2018-07-16 니기소 가부시키가이샤 유체 살균 장치
KR20200120259A (ko) * 2019-04-12 2020-10-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살균 유닛
KR102186368B1 (ko) * 2015-09-25 2020-12-03 니기소 가부시키가이샤 유체 살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882B1 (ko) * 2021-05-24 2021-09-15 퀀텀매트릭스 주식회사 살균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210A (ko) * 2014-12-31 2016-07-0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관형 유체 정화 장치
KR101721249B1 (ko) 2015-02-03 2017-03-30 (주) 디아이엔바이로 Uv 여과기
KR102186368B1 (ko) * 2015-09-25 2020-12-03 니기소 가부시키가이샤 유체 살균 장치
KR20180081571A (ko) * 2015-12-08 2018-07-16 니기소 가부시키가이샤 유체 살균 장치
KR101685321B1 (ko) 2016-01-05 2016-12-13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유닛체어에 적용되는 수관멸균장치
KR20200120259A (ko) * 2019-04-12 2020-10-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살균 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0320A1 (ko) * 2021-05-24 2022-12-01 퀀텀매트릭스 주식회사 살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1882B9 (ko) 2022-01-17
WO2022250320A1 (ko)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20780C (en) Ultraviolet light treatment chamber
JP6374403B2 (ja) 発光ダイオードから放射された光による液体消毒方法及び装置
JP2023052169A (ja) Uv-ledフォトリアクタのための放熱装置および方法
JP4809482B2 (ja) 水を消毒する装置
US20190142987A1 (en) Disinfection apparatus having submersible uv light devices
US9168321B2 (en) Toroidal-shaped treatment device for disinfecting a fluid such as air or water
JP3226482U (ja) 水殺菌管
KR102301882B1 (ko) 살균 장치
KR20200044333A (ko) 정화 장치
KR102308110B1 (ko) 살균 장치
JP2004066045A (ja) 紫外線照射装置
KR101398624B1 (ko) 광촉매를 이용한 정수필터
CN112250138A (zh) 一种uvc流体杀菌装置
KR100858142B1 (ko) 고효율 자외선 살균기
KR20230020224A (ko) 살균 장치
CN215975067U (zh) 一种led杀菌装置
KR102301881B1 (ko) 살균 장치
KR20230068129A (ko) 살균 장치
KR20170142731A (ko) 유연기판을 이용한 정화필터 및 이를 이용한 정화장치
KR102611015B1 (ko)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살균 장치
KR100655392B1 (ko) 자외선을 이용한 하수처리장치
CN219991229U (zh) 流体处理装置
KR102585542B1 (ko) 광 조사 장치
CN212476192U (zh) 一种适用于集成水路板的杀菌器及杀菌设备
JP2023113016A (ja) 流体殺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