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8129A -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살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8129A
KR20230068129A KR1020210154137A KR20210154137A KR20230068129A KR 20230068129 A KR20230068129 A KR 20230068129A KR 1020210154137 A KR1020210154137 A KR 1020210154137A KR 20210154137 A KR20210154137 A KR 20210154137A KR 20230068129 A KR20230068129 A KR 20230068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optical sensor
light
unit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원
김돈수
Original Assignee
퀀텀매트릭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퀀텀매트릭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퀀텀매트릭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4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8129A/ko
Priority to PCT/KR2022/015875 priority patent/WO2023085630A1/ko
Publication of KR20230068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81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8Concentrating or drying of juices
    • A23L2/10Concentrating or drying of juices by heating or contact with dry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3Connec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단부, 제1 단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단부,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를 포함하는 유로관; 제1 단부에서 축 방향으로 유로 내부를 향해 빛을 방출하는 제1 광원부; 및 제2 단부에서 축 방향으로 유로 내부를 향해 빛을 방출하는 제2 광원부;를 포함하며, 제1 광센서는 제2 광원에서 방출된 빛을 감지하며, 제2 광센서는 제1 광원에서 방출된 빛을 감지하는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살균 장치{STERILIZER}
본 발명은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출력 모니터링이 가능한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도 1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1249호에 제시된 UV 여과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 부호를 변경하였다.
UV 여과기는 외부 하우징(11), 내부 하우징(12)을 포함한다. 외부 하우징(11)은 원수 유입구(11-1)를 포함하고, 내부 하우징(12)은 여과공간(X), 살균공간(Y)을 포함한다. 여과공간(X)에는 여과재(11-2)가 채워지고, 살균공간(Y)에는 자외선 램프(12-2)가 설치된다. 원류 유입구(11-1)로부터 유입된 원수는 외부 하우징(11)의 내벽을 따라 선회하면서 하강하는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여과공간(X)과 살균공간(Y) 사이에는 여재유실 방지 다공판(12-1)이 형성된다.
도 2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5321호에 제시된 치과용 유닛체어에 적용되는 수관멸균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 부호를 변경하였다.
수관멸균장치는 치과용 유닛체어에 구비되어 치과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관(20)의 중간에 설치가능하도록 마련되어 효과적인 살균이 가능한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관멸균장치는 몸체부(21), 유입구(22), 살균부(23), 소독제투입부(24), 배출구(25) 및 배터리 수용부(26)를 포함한다.
몸체부(21)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단부에 개폐가능한 덮개부(21-1)를 포함한다. 유입구(22)는 수관(20)의 물이 유입된다. 살균부(23)는 몸체부(21)의 내부에 구비되며, 복수의 UV LED 램프를 포함한다. 소독제 투입부(24)는 덮개부(21-1)에 구비되며, 소독제를 투입할 수 있다. 배출구(25)는 몸체부(21)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물이 배출된다. 배터리 수용부(26)는 살균부(23)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수용한다.
도 1과 같이 외부 하우징(11)을 흐르는 물을 자외선 램프(12-2)로 살균 및 정수한다. 최근 정수기는 소형화되고 있으며, 자외선 램프(12-2)의 크기가 커서 작은 크기를 가지는 자외선 반도체 발광소자로 대체되고 있다.
도 2와 같이 UV LED 램프는 물속에 구비된다. UV LED 램프가 물속에 구비될 때, LED 램프나 LED 램프가 구비된 기판 등이 물과 바로 접촉하여 물에 화학 물질이 흘러 나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살균하고자 하는 유체가 유량의 증가에 따라 대용량인 경우, 살균장치는 살균시간 확보를 위해서 유로관의 길이가 길어져야 한다. 그러나 유로관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유로관 내의 조도를 모니터링하여 조도가 낮아지는지 여부를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1249호(2017.03.2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5321호(2016.12.05.)
본 발명은 하나의 양상에서 살균 장치 내부의 조도를 모니터링하여 조도 감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양상에서 살균 장치 내부의 살균 장치 내부의 살균 대상물의 오염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발명은 하나의 양상에서, 제1 단부, 제1 단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단부,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를 포함하는 유로관; 제1 단부에서 축 방향으로 유로 내부를 향해 빛을 방출하는 제1 광원부; 및 제2 단부에서 축 방향으로 유로 내부를 향해 빛을 방출하는 제2 광원부;를 포함하며, 제1 광원부는 제1 광센서, 제1 차폐부, 및 제1 광원을 포함하되, 제1 차폐부는 제1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제1 광센서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제1 광센서를 차폐하도록 구성되며, 제2 광원부는 제2 광센서, 제2 차폐부, 및 제2 광원을 포함하되, 제2 차폐부는 제2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제2 광센서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제2 광센서를 차폐하도록 구성되며, 제1 광센서는 제2 광원에서 방출된 빛을 감지하며, 제2 광센서는 제1 광원에서 방출된 빛을 감지하는 살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는 살균 장치는 살균 장치 내부의 조도를 모니터링하여 조도 감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는 살균 장치는 살균 장치 내부의 살균 대상물의 오염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1249호에 제시된 UV 여과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5321호에 제시된 치과용 유닛체어에 적용되는 수관멸균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제1 광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제2 광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광원 및 제2 광원에서 방출된 빛이 제1 광센서 및 제2 광선세에 감지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살균 장치(100)는 유로관(110), 제1 광원부(130), 및 제2 광원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 장치(100)는 유로관(110) 내부에 흐르는 예컨대 물, 음료, 또는 공기 등의 유체를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유로관(110)은 제1 단부(111), 제1 단부(11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단부(112),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113)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관(110)은 원통 형상의 측벽으로 구성된 직선형의 관(튜브)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로관(110)은 제1 단부(111) 및 제1 단부(11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단부(112)를 포함하며, 제1 단부(111)로부터 제2 단부(112)를 향해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단부(111)와 제2 단부(112)는 개방되어 있다.
유로관(110)은 제1 단부(111)로부터 제2 단부(112)를 향해 축 방향으로 연장된 유로(1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축 방향"은, 도 4에 제시된 중심축(A)에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유로관(110)의 양 단부(제1 단부(111) 및 제2 단부(112))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유로관(110)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을 "내측"이라 하고 유로관(110)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을 "외측"이라 한다.
유로관(110)은 제1 광원부(130) 및 제2 광원부(140)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반사하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속 재료 또는 수지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로관(110)은 자외선 빛의 반사율이 높은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과불화 수지인 PTFE(Polytetrafluoroethylene)의 경화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유로관(110)이 이러한 재료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제1 광원부(130) 및 제2 광원부(140)가 방출하는 자외선 빛을 유로관(110)의 내면으로 반사시켜 유로관(110)의 길이 방향으로 전파시킬 수 있다. 특히 PTFE는 화학적으로 안정된 재료이고 자외선 빛의 반사율이 높은 재료이기 때문에, 유로(113)를 형성하는 유로관(110)의 재료로서 바람직하다.
제1 광원부(130)는 제1 단부(111)에서 축 방향으로 유로(113) 내부를 향해 빛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광원부(140)는 제2 단부(112)에서 축 방향으로 유로(113) 내부를 향해 빛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광원부(130) 및 제2 광원부(140)는 이하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100)는 제1 마감부(121) 및 제2 마감부(122)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감부(121)는 제1 단부(111)에서 유로관(110)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마감부(121)는 제1 광원부(130)를 감싸면서 유로관(110)에 체결되어 제1 광원부(130)를 밀봉할 수 있다.
제2 마감부(122)는 제2 단부(112)에서 유로관(110)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마감부(122)는 제2 광원부(140)를 감싸면서 유로관(110)에 체결되어 제2 광원부(140)를 밀봉할 수 있다.
제1 광원부(130)와 제2 광원부(140)를 밀봉하기 위하여 제1 투광판(135)과 유로관(110) 사이, 그리고 제2 투광판(145)과 유로관(110) 사이에 각각 실링부재(136)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살균장치는 유로(113)관 내부를 지나는 유체가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 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100)는 제1 니플(114) 및 제2 니플(115)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제1 니플(114)은 제1 광원부(130)의 내측에서 유로(113)관을 관통하여 축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니플(115)은 제2 광원부(140)의 내측에서 유로(113)관을 관통하여 축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니플(114, 115)은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니플의 내부 중공 부분을 통하여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니플(114, 115)은 방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가 제1 니플(114) 및 제2 니플(115)을 경유하여 유로(113)관의 유로(113)로 공급 및 배출될 수 있다. 즉 유체는 외부로부터 제1 니플(114)을 통하여 유로(113)관 내부로 공급되고 유로(113)를 지나서 제2 니플(11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거나, 또는 유체는 외부로부터 제2 니플(115)을 통하여 유로(113)관 내부로 공급되고 유로(113)를 지나서 제1 니플(11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100)의 제1 광원부(1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제1 광원부(130)의 단면도이며, 도 5B는 제1 광원부(130)의 평면도이다.
제1 광원부(130)는 제1 광센서(131), 제1 차폐부(132), 및 제1 광원(133)을 포함하되, 제1 차폐부(132)는 제1 광원(133)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제1 광센서(131)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제1 광센서(131)를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화살표로 제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원부(130)는 제1 광원(133)에서 방출된 빛이 제1 차폐부(132)에 의해 차폐되어 제1 광센서(131)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100)에서, 제1 광원부(130)는 제1 광센서(131), 제1 차폐부(132), 및 제1 광원(133)이 실장되는 제1 기판(134)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광원부(130)는 제1 광원(133) 내측에 배치되며 제1 광원(133)에서 방출되는 빛을 투광하는 제1 투광판(135)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100)에서, 제1 차폐부(132)는 제1 광센서(131)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제1 광원(133)으로부터 제1 광센서(131)를 차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100)에서, 제1 광원부(130)는 제1 기판(134)으로부터 제1 차폐부(132) 상단의 높이가 제1 기판(134)으로부터 제1 광센서(131) 상단의 높이 및 제1 기판(134)으로부터 제1 광원(133) 상단의 높이보다 더 높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차폐부(132)가 제1 광원(133)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으로부터 제1 광센서(131)를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100)에서, 제1 광센서(131)는 제1 기판(134)의 중앙에 배치되고, 제1 차폐부(132)는 제1 광센서(131)의 둘레를 감싸도록 원주형으로 배치되며, 제1 광원(133)은 제1 차폐부(132)의 외곽에서 제1 광센서(131)의 상하좌우 측에 4개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광센서(131)가 제1 기판(134)의 중앙에 배치됨으로써 제1 광센서(131)는 제2 광원(143)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광원(133)이 제1 기판(134)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측에 4개가 배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유로(113)관 내부를 향하여 효과적으로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100)의 제2 광원부(14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제2 광원부(140)의 단면도이며, 도 6B는 제2 광원부(140)의 평면도이다.
제2 광원부(140)는 제2 광센서(141), 제2 차폐부(142), 및 제2 광원(143)을 포함하되, 제2 차폐부(142)는 제2 광원(143)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제2 광센서(141)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제2 광센서(141)를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화살표로 제시된 바와 같이, 제2 광원부(140)는 제2 광원(143)에서 방출된 빛이 제2 차폐부(142)에 의해 차폐되어 제2 광센서(141)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100)에서, 제2 광원부(140)는 제2 광센서(141), 제2 차폐부(142), 및 제2 광원(143)이 실장되는 제2 기판(144)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광원부(140)는 제2 광원(143) 내측에 배치되며 제2 광원(143)에서 방출되는 빛을 투광하는 제2 투광판(145)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100)에서, 제2 차폐부(142)는 제2 광센서(141)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제2 광원(143)으로부터 제2 광센서(141)를 차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100)에서, 제2 광원부(140)는 제2 기판(144)으로부터 제2 차폐부(142) 상단의 높이가 제2 기판(144)으로부터 제2 광센서(141) 상단의 높이 및 제2 기판(144)으로부터 제2 광원(143) 상단의 높이보다 더 높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 차폐부(142)가 제2 광원(143)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으로부터 제2 광센서(141)를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100)에서, 제2 광센서(141)는 제2 기판(144)의 중앙에 배치되고, 제2 차폐부(142)는 제2 광센서(141)의 둘레를 감싸도록 원주형으로 배치되며, 제2 광원(143)은 제2 차폐부(142)의 외곽에서 제2 광센서(141)의 상하좌우 측에 4개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광센서(141)가 제2 기판(144)의 중앙에 배치됨으로써 제2 광센서(141)는 제1 광원(133)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광원(143)이 제2 기판(144)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측에 4개가 배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유로(113)관 내부를 향하여 효과적으로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도 7은 제1 광원(133) 및 제2 광원(143)에서 방출된 빛이 제1 광센서(131) 및 제2 광센서(141)에 감지되는 상태를 화살표로 제시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광센서(131)는 제2 광원(143)에서 방출된 빛을 감지하며, 제2 광센서(141)는 제1 광원(133)에서 방출된 빛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살균장치는 유로(113)관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에도 제1 광원(133) 및 이와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 광원(143)을 사용함으로써 유로(113)관 내부에 효과적으로 빛을 방출하여 유로(113)관 내부의 조도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1 광원(133)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제1 광원(133)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감지하는 제2 광센서(141), 및 제2 광원(143)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제2 광원(143)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감지하는 제1 광센서(131)를 사용함으로써 길이가 긴 유로(113)관 내부의 조도를 모니터링하여 조도 감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100)에서, 제1 광원(133) 및 제2 광원(143)은 자외선을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이며, 제1 투광판(135) 및 제2 투광판(15)은 자외선을 투광하는 재질로 구성되며, 제1 광센서(131) 및 제2 광센서(141)는 UV 센서일 수 있다
반도체 발광소자는 빛을 발광하며, 빛은 UVC 자외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UVC 자외선 중 심자외선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심자외선은 200nm~300nm의 파장인 것이 바람직하다. 심자외선은 세균, 곰팡이, 박테리아 등의 미생물에 조사되면, 미생물의 단백질과 핵산(DNA, RNA)에 흡수된다. 핵산의 기본물질인 티민(thymine)이 티민 이량체를 형성하여 DNA를 불활성화한다. DNA의 불활성화는 DNA의 증식과 재생을 차단하여 미생물의 생명활동을 정지시킨다. DNA 흡수에 의한 살균효과가 있는 자외선 파장은 100~310nm 범위이며 흡수 피크값은 265nm이다. 자외선 파장의 200nm이하에서는 자외선에 의해 오존이 발생하므로 사용이 제한된다.
기판(134, 144)은 반도체 발광소자가 실장되는 기판으로 통상적인 PCB기판일 수 있다. 기판(134, 144)은 알루미늄(Al), 구리(Cu) 등의 금속 또는 알루미나(Al2O3),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AlN)등의 세라믹으로 형성될 수 있다.
투광판(135, 145)은 석영, 사파이어 또는 심자외선을 투광하는 불소수지계열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심자외선을 투광하는 불소수재 계열의 재료는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FEP(플루오리네이티드 에틸렌- 프로필렌;Fluorinated Ethylene-Propylene) 등일 수 있다.
광센서(131, 141)는 UV 센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센서(131, 141)는 UVC용 포토다이오드(photodiode)일 수 있으며,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폐부(132, 142)는 광원(133, 143)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에 손상이 없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UVC에 손상이 없는 PTFE 또는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100)에서, 살균장치는 제1 광원(133) 및 제2 광원(143)의 광출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광센서(131)에 의해 감지된 제2 광원(143)에서 방출된 빛의 조도 및 제2 광센서(141)에 의해 감지된 제1 광원(133)에서 방출된 빛의 조도를 모니터링하여 살균장치가 소정의 살균능력을 유지하도록 제1 광원(133) 및 제2 광원(143)의 광출력의 세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장치는, 제1 광원(133)으로부터의 빛에 대한 제1 광센서(131)의 빛 감지를 방지하고, 제2 광원(143)으로부터의 빛에 대한 제2 광센서(141)의 빛 감지를 방지하여 길이가 긴 유로(113)관 내부의 조도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살균 장치(100)는 제1 광센서(131) 및 제2 광센서(141)의 조도를 모니터링하여 살균 장치(100) 내부의 살균 대상물의 오염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1) 제1 단부, 제1 단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단부,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를 포함하는 유로관; 제1 단부에서 축 방향으로 유로 내부를 향해 빛을 방출하는 제1 광원부; 및 제2 단부에서 축 방향으로 유로 내부를 향해 빛을 방출하는 제2 광원부;를 포함하며, 제1 광원부는 제1 광센서, 제1 차폐부, 및 제1 광원을 포함하되, 제1 차폐부는 제1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제1 광센서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제1 광센서를 차폐하도록 구성되며, 제2 광원부는 제2 광센서, 제2 차폐부, 및 제2 광원을 포함하되, 제2 차폐부는 제2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제2 광센서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제2 광센서를 차폐하도록 구성되며, 제1 광센서는 제2 광원에서 방출된 빛을 감지하며, 제2 광센서는 제1 광원에서 방출된 빛을 감지하는, 살균 장치.
(2) 제1 광원부는 제1 광센서, 제1 차폐부, 및 제1 광원이 실장되는 제1 기판; 및 제1 광원 내측에 배치되며 제1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을 투광하는 제1 투광판;을 더욱 포함하며, 제2 광원부는 제2 광센서, 제2 차폐부, 및 제2 광원이 실장되는 제2 기판; 및 제2 광원 내측에 배치되며 제2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을 투광하는 제2 투광판;을 더욱 포함하는, 살균 장치.
(3) 제1 단부에서 유로관에 체결되는 제1 마감부; 및 제2 단부에서 유로관에 체결되는 제2 마감부;를 더욱 포함하며, 제1 마감부는 제1 광원부를 감싸면서 유로관에 체결되어 제1 광원부를 밀봉하며, 제2 마감부는 제2 광원부를 감싸면서 유로관에 체결되어 제2 광원부를 밀봉하는, 살균 장치.
(4) 제1 광원부의 내측에서 유로관을 관통하여 축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 니플; 및 제2 광원부의 내측에서 유로관을 관통하여 축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2 니플;을 더욱 포함하고, 유체가 제1 니플 및 제2 니플을 경유하여 유로관의 유로로 공급 및 배출되는, 살균 장치.
(5) 제1 차폐부는 제1 광센서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제1 광원으로부터 제1 광센서를 차폐하며, 제2 차폐부는 제2 광센서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제2 광원으로부터 제2 광센서를 차폐하는, 살균 장치.
(6) 제1 기판으로부터 제1 차폐부 상단의 높이는 제1 기판으로부터 제1 광센서 상단의 높이 및 제1 기판으로부터 제1 광원 상단의 높이보다 더 높으며, 제2 기판으로부터 제2 차폐부 상단의 높이는 제2 기판으로부터 제2 광센서 상단의 높이 및 제2 기판으로부터 제2 광원 상단의 높이보다 더 높은, 살균 장치.
(7) 제1 광센서는 제1 기판의 중앙에 배치되고, 제1 차폐부는 제1 광센서의 둘레를 감싸도록 원주형으로 배치되며, 제1 광원은 제1 차폐부의 외곽에서 제1 광센서의 상하좌우 측에 4개가 배치되며, 제2 광센서는 제2 기판의 중앙에 배치되고, 제2 차폐부는 제2 광센서의 둘레를 감싸도록 원주형으로 배치되며, 제2 광원은 제2 차폐부의 외곽에서 제2 광센서의 상하좌우 측에 4개가 배치되는, 살균 장치.
(8)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은 자외선을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이며, 제1 투광판 및 제2 투광판은 자외선을 투광하는 재질로 구성되며, 제1 광센서 및 제2 광센서는 UV 센서인, 살균 장치.
(9)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광출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욱 포함하며, 제어부는 제1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2 광원에서 방출된 빛의 조도 및 제2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1 광원에서 방출된 빛의 조도를 모니터링하여 살균장치가 소정의 살균능력을 유지하도록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광출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살균장치.
100: 살균장치
110: 유로관
121, 122: 제1, 제2 마감부
130, 140: 제1, 제2 광원부

Claims (9)

  1. 제1 단부, 제1 단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단부,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를 포함하는 유로관;
    제1 단부에서 축 방향으로 유로 내부를 향해 빛을 방출하는 제1 광원부; 및
    제2 단부에서 축 방향으로 유로 내부를 향해 빛을 방출하는 제2 광원부;
    를 포함하며,
    제1 광원부는 제1 광센서, 제1 차폐부, 및 제1 광원을 포함하되, 제1 차폐부는 제1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제1 광센서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제1 광센서를 차폐하도록 구성되며,
    제2 광원부는 제2 광센서, 제2 차폐부, 및 제2 광원을 포함하되, 제2 차폐부는 제2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제2 광센서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제2 광센서를 차폐하도록 구성되며,
    제1 광센서는 제2 광원에서 방출된 빛을 감지하며,
    제2 광센서는 제1 광원에서 방출된 빛을 감지하는, 살균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광원부는
    제1 광센서, 제1 차폐부, 및 제1 광원이 실장되는 제1 기판; 및
    제1 광원 내측에 배치되며 제1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을 투광하는 제1 투광판;을 더욱 포함하며,
    제2 광원부는
    제2 광센서, 제2 차폐부, 및 제2 광원이 실장되는 제2 기판; 및
    제2 광원 내측에 배치되며 제2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을 투광하는 제2 투광판;을 더욱 포함하는, 살균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단부에서 유로관에 체결되는 제1 마감부; 및
    제2 단부에서 유로관에 체결되는 제2 마감부;
    를 더욱 포함하며,
    제1 마감부는 제1 광원부를 감싸면서 유로관에 체결되어 제1 광원부를 밀봉하며,
    제2 마감부는 제2 광원부를 감싸면서 유로관에 체결되어 제2 광원부를 밀봉하는, 살균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광원부의 내측에서 유로관을 관통하여 축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 니플; 및
    제2 광원부의 내측에서 유로관을 관통하여 축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2 니플;
    을 더욱 포함하고,
    유체가 제1 니플 및 제2 니플을 경유하여 유로관의 유로로 공급 및 배출되는, 살균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차폐부는 제1 광센서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제1 광원으로부터 제1 광센서를 차폐하며,
    제2 차폐부는 제2 광센서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제2 광원으로부터 제2 광센서를 차폐하는, 살균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제1 기판으로부터 제1 차폐부 상단의 높이는 제1 기판으로부터 제1 광센서 상단의 높이 및 제1 기판으로부터 제1 광원 상단의 높이보다 더 높으며,
    제2 기판으로부터 제2 차폐부 상단의 높이는 제2 기판으로부터 제2 광센서 상단의 높이 및 제2 기판으로부터 제2 광원 상단의 높이보다 더 높은, 살균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제1 광센서는 제1 기판의 중앙에 배치되고, 제1 차폐부는 제1 광센서의 둘레를 감싸도록 원주형으로 배치되며, 제1 광원은 제1 차폐부의 외곽에서 제1 광센서의 상하좌우 측에 4개가 배치되며,
    제2 광센서는 제2 기판의 중앙에 배치되고, 제2 차폐부는 제2 광센서의 둘레를 감싸도록 원주형으로 배치되며, 제2 광원은 제2 차폐부의 외곽에서 제2 광센서의 상하좌우 측에 4개가 배치되는, 살균 장치.
  8. 청구항 2부터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은 자외선을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이며,
    제1 투광판 및 제2 투광판은 자외선을 투광하는 재질로 구성되며,
    제1 광센서 및 제2 광센서는 UV 센서인, 살균 장치.
  9. 청구항 2부터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광출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욱 포함하며,
    제어부는 제1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2 광원에서 방출된 빛의 조도 및 제2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1 광원에서 방출된 빛의 조도를 모니터링하여 살균장치가 소정의 살균능력을 유지하도록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광출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살균장치.
KR1020210154137A 2021-11-10 2021-11-10 살균 장치 KR2023006812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137A KR20230068129A (ko) 2021-11-10 2021-11-10 살균 장치
PCT/KR2022/015875 WO2023085630A1 (ko) 2021-11-10 2022-10-18 살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137A KR20230068129A (ko) 2021-11-10 2021-11-10 살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129A true KR20230068129A (ko) 2023-05-17

Family

ID=86336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137A KR20230068129A (ko) 2021-11-10 2021-11-10 살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68129A (ko)
WO (1) WO202308563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321B1 (ko) 2016-01-05 2016-12-13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유닛체어에 적용되는 수관멸균장치
KR101721249B1 (ko) 2015-02-03 2017-03-30 (주) 디아이엔바이로 Uv 여과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049B1 (ko) * 2013-01-22 2014-07-02 엑센도 주식회사 광센서의 외란광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패키지 구조체
JP6549456B2 (ja) * 2015-09-25 2019-07-24 日機装株式会社 流体殺菌装置
JP6826836B2 (ja) * 2016-08-09 2021-02-10 旭化成株式会社 紫外線照射装置
KR20200034232A (ko) * 2018-09-21 2020-03-31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살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살균 장치
JP7401365B2 (ja) * 2020-03-19 2023-12-19 旭化成株式会社 紫外線照射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249B1 (ko) 2015-02-03 2017-03-30 (주) 디아이엔바이로 Uv 여과기
KR101685321B1 (ko) 2016-01-05 2016-12-13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유닛체어에 적용되는 수관멸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85630A1 (ko)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44833A1 (en) Ultraviolet light treatment chamber
EP3854420A1 (en) Light radiating module and sterilization apparatus comprising same
EP3354288B1 (en) Sterilization apparatus
US20080305018A1 (en) Photosterilization Reactor
KR102219356B1 (ko) 자외선 공기 살균기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US9168321B2 (en) Toroidal-shaped treatment device for disinfecting a fluid such as air or water
JP2016507367A (ja) 液体浄化装置及び方法
WO2013153728A1 (ja) 紫外線殺菌装置
JP2008136940A (ja) 紫外線消毒装置
KR20230068129A (ko) 살균 장치
KR102301882B1 (ko) 살균 장치
KR20220097458A (ko) 유체 소독용 장치
KR102308110B1 (ko) 살균 장치
JP5468429B2 (ja) 紫外線照射装置および温度測定方法
JP2018134607A (ja) 紫外線殺菌システム、及び紫外線照射装置
US7173255B2 (en) Irradiation device
JP2011161443A (ja) 紫外線消毒装置
KR101795508B1 (ko) 수처리 장치
KR102301881B1 (ko) 살균 장치
KR20160011517A (ko) 수처리 장치
KR20230020224A (ko) 살균 장치
KR20190105699A (ko) 자외선 led모듈을 가진 정수장치
KR101583562B1 (ko) 수처리 장치
KR102585542B1 (ko) 광 조사 장치
KR100553225B1 (ko) 수평식 자외선 살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