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978B1 - 선박용 발라스트 수 처리용 자외선 반응기 - Google Patents

선박용 발라스트 수 처리용 자외선 반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978B1
KR101237978B1 KR1020110098541A KR20110098541A KR101237978B1 KR 101237978 B1 KR101237978 B1 KR 101237978B1 KR 1020110098541 A KR1020110098541 A KR 1020110098541A KR 20110098541 A KR20110098541 A KR 20110098541A KR 101237978 B1 KR101237978 B1 KR 101237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ballast water
ultraviolet
flow path
re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화
송석용
김양규
정길주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8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9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63B13/02Ports for passing water through vessels'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63B2013/005Sea che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발라스트 수 처리용 자외선 반응기에 관한 것으로, 선박에 구비된 씨 체스트로부터 발라스트 펌프에 의해 유입되어 발라스트 탱크로 유입되는 발라스트 수를 살균처리하며, 상기 발라스트 탱크로부터 발라스트 펌프에 의해 오버보드로 유출되는 발라스트 수를 살균처리하는 발라스트 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라스트 펌프에서 공급되는 발라스트 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발라스트 수가 오버보드로 배출되게 배출구가 형성된 유로와, 상기 유로 내부의 축선을 따라 마련되는 제 1 방해부와, 상기 유로의 내부에서 제 1 방해부를 중심으로 동일한 단면적 내에 2개가 한 조를 이루고 나열되되, 발라스트 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 각도씩 회전되어 배열되는 자외선 램프 및 상기 자외선 램프가 배열된 유로의 내경 둘레에 형성되는 제 2 방해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발라스트 수 처리용 자외선 반응기가 개시된다. 이로부터, 제 1 방해부와 제 2 방해부에 의해 유로를 통과하는 발라스트 수의 흐름이 수차례 변경되면서 자외선 램프와 접촉하거나 또는 가깝게 흐르게 방향이 변경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적은 수의 자외선 램프를 설치하고도 증가된 자외선 조사량을 갖게 되어 발라스트 수의 완벽한 생물사멸처리 및 살균처리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선박용 발라스트 수 처리용 자외선 반응기{UV IRRADIATIVE REACTOR FOR BALLAST WATER TREATMENT}
본 발명은 선박용 발라스트 수 처리용 자외선 반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외선 램프가 마련된 유로를 지나는 발라스트 수가 유로를 통과할 때 발라스트 수의 체류시간을 증가시켜 동일한 면적 내에서 발라스트 수의 자외선 조사량을 증가시켜 생물사멸처리 및 살균처리가 완벽한 선박용 발라스트 수 처리용 자외선 반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설치된 발라스트 탱크는 화물의 선적 및 하역에 의해 선박의 무게중심이 변동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안전한 항해가 가능하도록 돕는 것이다.
즉, 선박에 화물이 만재되면 발라스트 탱크에 발라스트 수(선박 평형수)를 채우지 않아도 선박의 무게중심이 해수면 아래에 위치하여 파도 등의 외력이 작용하여도 안전하게 항해할 수 있으나, 선적된 화물이 없거나 적은 경우에는 화물이 선적된 것과 동일하게 선박의 일정부분이 해수면 아래 위치하게 할 수 있도록 발라스트 탱크에 발라스트 수를 적재시켜 운항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선박의 안전운항을 위해 사용되는 발라스트 수는 특정 해역의 생물 또는 병원균 등을 다른 해역으로 전파하는 매체로 이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발라스트 탱크에 채워지는 발라스트 수에는 각종 해양 생물 및 병원균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발라스트 수의 유입과 유출이 서로 다른 지역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발라스트 수의 유입시 함께 유입된 특정 해역의 해양 생물 또는 병원균이 다른 해역으로 유출됨에 따라 환경과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부작용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발라스트 수의 유출입 시 발라스트 수에 포함된 해양 생물이나 병원균을 처리하는 설비 도입 의무화가 국제해사기구(IMO)를 통해 의무화되고 있다. 발라스트 수 처리를 위한 생물사멸처리에는 전기분해, 열처리, 자외선(UV) 광 조사, 막분리 등 다양한 방법의 적용이 가능하지만, 지외선 광을 조사하는 자외선 반응기는 별도의 화학물질의 첨가가 필요 없고, 제어가 간편하기 때문에 유력한 처리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발라스트 수 처리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발라스트수 처리장치는 전처리 필터(10)와 자외선 램프를 구비하는 자외선 반응기(20)를 구비하여 유입 또는 유출되는 발라스트 수를 살균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발라스트 수의 유입시에는 씨 체스트(sea chest)(30)로부터 발라스트 펌프(40)로 유입되어 토출되는 발라스트수는 전처리 필터(10)와 자외선 반응기(20)에 의해 이물질의 제거와 살균처리과정을 거친 다음 발라스트 탱크(50)로 유입된다.
또한, 발라스트 수의 유출시에는 발라스트 탱크(50)로부터 발라스트 펌프(40)에 의해 가압되어 토출되는 발라스트 수가 자외선 반응기(20)를 거친 다음 오버보드(overboard)(60) 즉, 해양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발라스트 수에 의해 해양오염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발라스트 수가 흐르는 유로 상에 자외선 램프(22)를 설치하여 발라스트 수에 자외선 광을 조사하여 처리하는 자외선 반응기(20)가 마련된다. 도 2는 종래의 자외선 반응기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자외선 반응기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자외선 반응기(20)는 발라스트 수가 흐르는 유로(24)(또는 관로) 상에 다수의 자외선 램프(22)를 배열하여 유로(24)를 따라 흐르는 발라스트 수에 자외선을 조사하게 된다.
이러한 발라스트 수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2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라스트 수가 공급되는 유입구(24a)와 발라스트 수가 배출되는 배출구(24b) 사이에 2개가 한 조를 이루는 자외선 램프(22)가 구비되고 이후 유로의 축선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 각도씩 회전된 자외선 램프가 여러 조로 형성되어 유입구(24a)에서 배출구(24b)를 향해 발라스트 수가 지날 때 자외선 램프(22)들이 자외선을 조사하여 배출구(24b)로 배출되는 발라스트 수를 생물사멸처리 및 살균처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자외선 반응기(20)는 발라스트 수가 자외선 램프(22)를 거치지 않고 통과하는 직진 유로(P1)(P2)가 형성됨으로써, 발라스트 수가 자외선을 조사받을 체류 시간이 부족해 결국 유로를 지나는 발라스트 수의 조사량이 부족하게 된다.
이렇게 발라스트 수의 조사량이 부족하게 되면 생물사멸처리 및 살균처리가 완벽하지 못해 발라스트 수에 의해 해양오염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외선 램프가 마련된 유로를 지나는 발라스트 수가 유로를 통과할 때 발라스트 수의 체류시간을 증가시켜 동일한 면적 내에서 발라스트 수의 자외선 조사량을 증가시켜 생물사멸처리 및 살균처리가 완벽한 선박용 발라스트수 처리용 자외선 반응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선박에 구비된 씨 체스트로부터 발라스트 펌프에 의해 유입되어 발라스트 탱크로 유입되는 발라스트 수를 살균처리하며, 상기 발라스트 탱크로부터 발라스트 펌프에 의해 오버보드로 유출되는 발라스트 수를 살균처리하는 발라스트 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라스트 펌프에서 공급되는 발라스트 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발라스트 수가 오버보드로 배출되게 배출구가 형성된 유로와, 상기 유로 내부의 축선을 따라 마련되는 제 1 방해부와, 상기 유로의 내부에서 제 1 방해부를 중심으로 동일한 단면적 내에 2개가 한 조를 이루고 나열되되, 발라스트 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 각도씩 회전되어 배열되는 자외선 램프 및 상기 자외선 램프가 배열된 유로의 내경 둘레에 형성되는 제 2 방해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발라스트 수 처리용 자외선 반응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 램프가 제 1 방해부를 중심으로 나열될 때 앞선 자외선 램프로부터 반응기 단면을 채우도록 자왜선 램프의 전체 개수에 맞춰 계산된 일정등분각씩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방해부는 링의 형상을 갖고 자외선 램프가 나열된 유로 상에 적어도 2곳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발라스트 수 처리용 자외선 반응기에 의하면, 제 1 방해부와 제 2 방해부에 의해 유로를 통과하는 발라스트 수의 흐름이 수차례 변경되면서 자외선 램프와 접촉하거나 또는 가깝게 흐르게 방향이 변경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적은 수의 자외선 램프를 설치하고도 증가된 자외선 조사량을 갖게 되어 발라스트 수의 완벽한 생물사멸처리 및 살균처리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발라스트 수 처리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자외선 반응기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자외선 반응기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발라스트 수 처리용 자외선 반응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발라스트 수 처리용 자외선 반응기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종래 자외선 반응기와 본 발명의 자외선 반응기의 자외선 조사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반응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반응기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발라스트 수 처리용 자외선 반응기(100)는 크게 발라스트 펌프에서 공급되는 발라스트 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2)와 상기 유입구(112)를 통해 공급된 발라스트 수가 오버보드로 배출되게 배출구(114)가 형성된 유로(110)와, 상기 유로(110) 내부의 축선을 따라 마련되는 제 1 방해부(120)와, 상기 유로(110)의 내부에서 제 1 방해부(120)를 중심으로 동일한 단면적 내에 2개가 한 조를 이루고 나열되되, 발라스트 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 각도씩 회전되어 배열되는 자외선 램프(130) 및 상기 자외선 램프(130)가 배열된 유로(110)의 내경 둘레에 형성되는 제 2 방해부(140)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선박에 설치되는 발라스트 수 처리장치는 선박에 구비된 씨 체스트로부터 발라스트 펌프에 의해 유입되어 발라스트 탱크로 유입되는 발라스트 수를 살균처리하며, 상기 발라스트 탱크로부터 발라스트 펌프에 의해 오버보드로 유출되는 발라스트 수를 살균처리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반응기(100)가 발라스트 펌프와 오버보드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자외선 반응기(100)는 발라스트 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2) 및 발라스트 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14)가 형성된 유로(관로)(110)를 형성하며 상기 유입구(112)를 통해 발라스트 펌프에서 발라스트 수가 유입되고, 상기 배출구(114)를 통해 발라스트 수를 오버보드로 배출하게 된다.
특히, 발라스트 수가 지나는 유로(110) 상에는 축선을 따라 제 1 방해부(120)가 마련되는데, 상기 제 1 방해부(120)는 대략 튜브의 형상을 갖고 유로(110)의 유입구(112)로부터 배출구(114)까지 연장되어 유로(110)를 통과하는 발라스트 수가 제 1 방해부(120)의 주변으로 흐르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 1 방해부(120)가 마련된 유로(110)의 내부에는 유로(110)를 통과하는 발라스트 수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발라스트 수에 포함된 미생물을 사멸처리 또는 살균처리하는 자외선 램프(130)가 설치된다.
상기 자외선 램프(130)는 유로(110)의 내부에서 제 1 방해부(120)를 중심으로 2개의 자외선 램프(130)가 한 조를 이루며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구조를 갖는데, 특히 한 조의 자외선 램프(130)는 각각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기 단면을 채우도록 자외선 램프(130)의 전체 개수에 맞춰 계산된 일정등분각씩(자외선 램프 2개 한 조, 8열 구조를 가질 경우 : 22.5°) 회전되어 유로(110) 내부를 발라스트 수가 통과할 때 누락됨 없이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앞선 한 조의 자외선 램프(130)에 후속되는 한 조를 이루는 또 다른 자외선 램프(130)는 가장 앞선 한 조의 자외선 램프(130)를 기준으로 일정등분각으로 회전된 상태로 나열되고, 그 이후 후속되는 자외선 램프(130)들은 바로 직전의 자외선 램프(130)를 기준으로 일정등분각씩 회전됨으로써, 유로 내부의 전 구간에 걸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자외선 램프(130)가 배열된 유로(110)의 내경 둘레에는 제 2 방해부(140)가 형성되어 상기 유로(110)의 외측으로 흐르는(내경과 가깝게 흐르는) 발라스트 수의 흐름 방향을 제 1 방해부(120)과 가깝게 흐르며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발라스트 수가 자외선 램프(130)와 가깝게 흐르게 됨으로써, 발라스트 수의 자외선 조사량을 극대화시켜 완벽한 생물사멸처리 및 살균처리가 실시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제 2 방해부(140)는 대략 링의 형상을 갖고 발라스트 수가 흐르는 유로(110)의 내경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방해부(140)는 자외선 램프(130)가 나열된 유로 상에 적어도 2곳 이상 형성되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12)와 가장 가깝게 설치된 제 2 방해부(140)를 향해 흐르는 발라스트 수의 흐름 방향에 변화가 발생되어 제 1 방해부(120)를 향해 흐름이 변경된다.
이후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 2 방해부(140)에 의해 발라스트 수의 흐름 방향에 지속적인 변화가 발생됨으로써, 결국 자외선 램프(130)가 형성된 구간을 통과하는 발라스트 수가 직선의 흐름을 이루지 않고 수회에 걸쳐 흐름 방향에 변화가 생기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 1 방해부(120)와 제 2 방해부(140)가 자외선 램프(130)가 형성된 구간의 유로(110)에 마련됨으로써, 유로(110)를 통과하는 발라스트 수는 자외선 램프(130)와 접촉하거나 또는 가깝게 흐르게 방향이 변경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발라스트 수가 자외선 램프(22)와 간섭되지 않고 직선적으로 흐르는 직진 유로(P1)(P2)의 형성을 최소화하여 자외선 램프(130)가 배열된 유로(110)를 발라스트 수가 통과할 때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키게 되어 상기 발라스트 수의 자외선 조사량을 극대화시켜 완벽한 생물사멸처리 및 살균처리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도 6과 도 7의 실험 결과 그래프를 통해 명확히 알 수 있다. 도 6은 종래 자외선 반응기의 자외선 조사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자외선 반응기의 자외선 조사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자외선 반응기(20)의 경우 발라스트 수가 자외선 램프(22)가 마련된 유로(24)를 통과할 때 직진 유로(P1)(P2)를 통해 동일한 유속으로 통과하게 되어 자외선 조사량이 직진 유로(P1)(P2)를 통과하는 발라스트 수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유로(24)를 통과하는 발라스트 수의 자외선 최소 조사량은 124.457이 된다(도 6 참조).
그러나, 제 1 방해부(120)와 제 2 방해부(140)가 형성된 본 발명의 자외선 반응기(100)의 경우 발라스트 수가 자외선 램프(130)가 마련된 유로(110)를 통과할 때 제 1 방해부(120)와 제 2 방해부(140)에 의해 발라스트 수의 방향이 수차례 변경되면서 자외선 램프(130)와 접촉하거나 또는 가깝게 흐르게 됨으로써, 유로(110)를 통과하는 발라스트 수의 자외선 최소 조사량은 350.219가 된다(도 7 참조).
이와 같은 실험 결과로부터 제 1 방해부(120)와 제 2 방해부(140)가 형성된 본 발명의 자외선 반응기(100)는 종래에 비해 적은 수의 자외선 램프(130)를 설치하고도 증가된 자외선 조사량을 갖게 되어 발라스트 수의 완벽한 생물사멸처리 및 살균처리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유로(110)의 축선을 따라 마련되는 제 1 방해부(120)는 유로(110)의 내경으로부터 연장된 지지대(미도시)가 제 1 방해부(120)의 외경과 연결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유로(110)의 축선을 따라 마련될 수 있을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유로(110)의 내경에 형성된 제 2 방해부(140)로부터 연장된 지지대가 제 1 방해부(120)의 외경과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10 : 전처리 필터 20, 100 : 자외선 반응기
22, 130 : 자외선 램프 24, 110 : 유로
24a, 112 : 유입구 24b, 114 : 배출구
30 : 씨 체스트 40 : 발라스트 펌프
50 : 발라스트 탱크 60 : 오버보드
120 : 제 1 방해부 140 : 제 2 방해부
P1, P2 : 직진 유로

Claims (3)

  1. 선박에 구비된 씨 체스트로부터 발라스트 펌프에 의해 유입되어 발라스트 탱크로 유입되는 발라스트 수를 살균처리하며, 상기 발라스트 탱크로부터 발라스트 펌프에 의해 오버보드로 유출되는 발라스트 수를 살균처리하는 발라스트 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라스트 펌프에서 공급되는 발라스트 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발라스트 수가 오버보드로 배출되게 배출구가 형성된 유로;
    상기 유로 내부의 축선을 따라 마련되는 제 1 방해부;
    상기 유로의 내부에서 제 1 방해부를 중심으로 동일한 단면적 내에 2개가 한 조를 이루고 나열되되, 발라스트 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 각도씩 회전되어 배열되는 자외선 램프; 및
    상기 자외선 램프가 배열된 유로의 내경 둘레에 형성되는 제 2 방해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발라스트 수 처리용 자외선 반응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램프가 제 1 방해부를 중심으로 나열될 때 앞선 자외선 램프로부터 반응기 단면을 채우도록 자외선 램프의 전체 개수에 맞춰 계산된 일정등분각씩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발라스트 수 처리용 자외선 반응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해부는 링의 형상을 갖고 자외선 램프가 나열된 유로 상에 적어도 2곳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발라스트 수 처리용 자외선 반응기.
KR1020110098541A 2011-09-28 2011-09-28 선박용 발라스트 수 처리용 자외선 반응기 KR101237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541A KR101237978B1 (ko) 2011-09-28 2011-09-28 선박용 발라스트 수 처리용 자외선 반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541A KR101237978B1 (ko) 2011-09-28 2011-09-28 선박용 발라스트 수 처리용 자외선 반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7978B1 true KR101237978B1 (ko) 2013-02-28

Family

ID=47900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541A KR101237978B1 (ko) 2011-09-28 2011-09-28 선박용 발라스트 수 처리용 자외선 반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9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125A (ko) * 2014-12-31 2022-04-12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관형 유체 정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3110A (ko) * 2005-10-20 2007-04-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발라스트 수 처리장치
JP2008528249A (ja) 2005-01-21 2008-07-31 オテヴェ・ソシエテ・アノニム 飲料水を生成する水処理反応装置
KR20100024917A (ko) * 2007-04-18 2010-03-08 아이티티 매뉴팩츄어링 엔터프라이즈, 인코포레이티드 유체 매질용 인라인 uv 살균 장치
KR20100095306A (ko) * 2009-02-20 2010-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자외선 led를 이용한 활성 물질 중화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밸러스트 수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8249A (ja) 2005-01-21 2008-07-31 オテヴェ・ソシエテ・アノニム 飲料水を生成する水処理反応装置
KR20070043110A (ko) * 2005-10-20 2007-04-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발라스트 수 처리장치
KR20100024917A (ko) * 2007-04-18 2010-03-08 아이티티 매뉴팩츄어링 엔터프라이즈, 인코포레이티드 유체 매질용 인라인 uv 살균 장치
KR20100095306A (ko) * 2009-02-20 2010-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자외선 led를 이용한 활성 물질 중화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밸러스트 수 처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125A (ko) * 2014-12-31 2022-04-12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관형 유체 정화 장치
KR102524608B1 (ko) 2014-12-31 2023-04-24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관형 유체 정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5081B1 (en) Ballast water treatment device
KR101066674B1 (ko) 전기분해 유닛과 이러한 전기분해 유닛을 이용한 선박의 발라스트 수 처리장치
ATE478034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rilisation von ballastwasser auf einem schiff
KR101118055B1 (ko) 선박평형수의 인라인 처리 장치
ITMI20111127A1 (it) Metodo e sistema modulare per la sterilizzazione di acque di zavorra
KR101045694B1 (ko) 선박의 발라스트 수 처리장치
KR101851465B1 (ko) 선박 외부 평형수 전용처리 시스템
KR101237978B1 (ko) 선박용 발라스트 수 처리용 자외선 반응기
JP5824653B2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
KR101277968B1 (ko)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JP2006212494A (ja) バラスト水の処理装置
KR100993623B1 (ko) 피처리수 처리장치
KR100975752B1 (ko) 선박용 발라스트-수 처리용 자외선(uv) 반응기에서의 스케일 형성 및 미처리 수 발생 방지장치
KR20140136330A (ko) 밸러스트수의 탁도를 고려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824262B1 (ko) 선박의 발라스트수 처리장치용 자외선 리액터의 세정 시스템 및 세정 방법
KR101498352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자외선 리액터
KR100873729B1 (ko) 밸러스트 수 살균 및 정화장치
KR20140095307A (ko) 개선된 자외선 램프 배치 구조를 가지는 발라스트수 처리장치용 자외선 리액터
KR101498353B1 (ko) 살균 효율이 개선된 발라스트수 처리장치용 자외선 리액터
KR20150046538A (ko) 살균 효율이 개선된 발라스트수 처리장치용 자외선 리액터
KR102263655B1 (ko)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KR20140118072A (ko) 난류발생기를 이용한 선박용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JP2005349259A (ja) 液体の無害化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631087B1 (ko) 탱크 클리닝 기능을 구비한 평형수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형수 처리방법
KR20170009419A (ko) 선박 평형수의 유해 수상생물과 병원균을 처리하기 위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