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4462A - 스마트 전시운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전시운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4462A
KR20220044462A KR1020220037930A KR20220037930A KR20220044462A KR 20220044462 A KR20220044462 A KR 20220044462A KR 1020220037930 A KR1020220037930 A KR 1020220037930A KR 20220037930 A KR20220037930 A KR 20220037930A KR 20220044462 A KR20220044462 A KR 20220044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xhibition
smart
smart terminal
b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상선
Original Assignee
에스마이스연구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마이스연구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마이스연구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7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4462A/ko
Publication of KR20220044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4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3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indoor environments, e.g.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전시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다른 스마트 전시운영 시스템은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가입된 회원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회원관리 서버;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스마트 전시 플랫폼(SEP: Smart Exhibition Platform) 앱을 제공하고 설치되도록 하여 전시회 입장권을 발급 및 관리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상기 비콘의 통신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해당 부스의 기업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 및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해당 부스의 방문에 따른 기업 정보를 분석하여 적합한 전시회 정보를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로 제공하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전시운영 시스템 및 방법{SMART EXHIBI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스마트 전시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효율적인 전시회 운영과 참관을 제공하는 스마트 전시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전시회 운영 시에는 전시회 일정에 따라 신문, 인터넷 등의 광고매체를 통하여 전시회 개최를 홍보하고, 일정 기간에 사전등록을 받아 참관객을 유치하였으며, 최근에는 웹(WEB), 스마트 단말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을 이용하여 전시회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사전 등록을 유도하여 참관객을 유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일부 전시회에 국한되고, 지속적인 참관객 관리가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참관객이 진행되는 전시회에 참가하기 위해 주최자가 운영하는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사전등록을 한 경우에도, 전시장에 방문하여 참관객이 자신의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입장권을 발급받아 입장하거나, 기 발급된 입장권도 현장에서 명찰을 발행하여 입장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에 따라, 참관객이 전시회를 참가하고자 할 때 참관객의 개인정보가 여러 단계의 관련업체(위, 수탁기업)에 노출이 되어 개인정보보호에 취약한 환경이었으며, 전시회 참가를 위하여 개인정보입력, 명찰발행, 등의 번거로운 절차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참관객이 모이는 경우 입장권 발급을 위해 줄을 서서 기다려야 하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RFID를 참관객의 명찰에 부착하여 입장관리와 전시회 RFID 리더 장치를 이용해 전시회장에서의 관람객의 동선 정보를 수집하는 방식도 사용하였으나, 운영비용이 증가하며, 업체에서 수령한 브로셔를 들고 다니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여 널리 활용되지 못하였다.
한편, 출원번호 10-2013-0058485에서는 스마트 단말기에 표출되는 입장권으로 입장하여 전시장의 각 전시부스에 설치된 NFC 테그를 스마트 단말기 단말기로 접촉함으로써 참가업체의 방문이 확인되고, 전시 참가업체의 정보를 얻는 입장권 발급 및 관리서비스를 제시하였으나, RFID 방식과 유사하게 태그를 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으며,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전시회 개최에 따른 개인정보 제공이 관련업체에 제공되어 개인정보의 유출에 따른 문제가 발생할 위험성이 높고, 참관객 중심의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된 앱을 통하여 회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입장권을 발행하여 전시회장 출입구에 비치된 비콘과 스마트 단말기의 입장권(ID)이 스스로 통신하여 전시회장의 출입을 처리하여 현장에서의 등록과정 없이 편리한 입장이 가능하도록 하고, 전시회장의 각 전시 부스에 설치된 비콘을 통하여 자동으로 참관객의 방문정보가 참가기업에 전달되고, 참관객의 부스 참여 활동, 동선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부스 정보, 기업 정보, 관련 전시회 정보 및 참가 일정 등의 최적의 전시회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에 제공하는 스마트 전시 플랫폼 앱과 기업부스에 설치되는 비콘을 통해, 참관객과 참가기업간의 상호 소통 채널을 형성하여 상호간의 정보 교환이 용이하도록 하여, 참관객이 스마트 전시 플랫폼 앱통해 전자 카탈로그를 직접 다운받거나, 인쇄물을 우편 등으로 받아보는 서비스를 신청하고, 기타 추후 진행에 대한 예약설정 등을 진행하여 효율적인 전시회 관람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방문 부스 이력이 유사한 타 참관객의 위치 정보, 동선, 체류 시간 또는 방문 부스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한 최적의 추천 부스 또는 추천 동선을 제공받아 보다 효율적인 전시회 참관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시회장 내 이벤트와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참관객의 동선을 유도하여 방문이 적은 영역의 방문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인기 있는 참가기업이 어느 한쪽에 편중되어 배치된 경우나, 초기에 전시장의 부스 배치에서 극복할 수 없는 전시회장의 상황에 변화를 주어, 전시장의 전체적인 참관이 골고루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시운영 시스템은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가입된 회원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회원관리 서버;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스마트 전시 플랫폼(SEP: Smart Exhibition Platform) 앱을 제공하고 설치되도록 하여 전시회 입장권을 발급하여 관리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상기 비콘의 통신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해당 부스의 기업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 및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해당 부스의 방문에 따른 기업 정보를 분석하여 적합한 추천 전시회 정보를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로 제공하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는 상기 가입된 회원의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전시회 정보 및 해당 전시회장 정보를 제공하는 전시회 정보 제공부; 상기 전시회 정보를 선택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 측으로 입장권을 발급하여 상기 입장권이 발급된 스마트 단말기가 전시회장의 입구에 설치된 비콘에 인식되면 상기 회원의 입장을 허용하는 입장권 처리부; 상기 비콘과 통신하며,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상기 비콘의 통신 정보를 수신하는 비콘 관리부; 다수의 상기 비콘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삼각측정법을 적용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정보 산출부; 상기 스마트 단말기가 각 부스에 설치된 비콘과 통신하면 해당 부스의 기업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기업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위치를 이용해 사용자의 동선, 체류 시간 또는 방문 부스 정보를 획득하는 방문 기록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 정보 산출부는 상기 각 부스에 설치된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안면 정보를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앱을 통해 사전 등록된 사용자의 사진 정보와 대조하여 인식된 정보를 이용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의 동선, 체류 시간 또는 방문 부스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는 상기 전시회장 정보를 이용해 구성한 내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전시회장 내에 위치하거나,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앱을 통해 사전에 이벤트 알림에 동의하거나, 이벤트 진행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스마트 단말기 측으로 이벤트 진행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앱을 통해 제공하는 이벤트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 제공부는 상기 비콘과 상기 부스의 배치를 매핑하여 구성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위치 정보 또는 목적지 내비게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 제공부는 상기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서버로부터 방문 부스 이력이 유사한 타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 정보, 동선, 체류 시간 또는 방문 부스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한 추천 부스 또는 추천 동선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 제공부로부터 수신한 추천 부스 정보 및 추천 동선 정보, 상기 위치 정보 산출부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 정보, 상기 전시회 정보 제공부로부터 수신한 전시회장 정보를 이용해 구성한 내비게이션을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SEP: Smart Exhibition Platform) 앱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 제공부는 상기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서버로부터 방문이 적은 부스들로 이루어진 방문 저빈도 영역의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방문 저빈도 영역 상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발생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시운영 방법은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가 스마트 단말기에 스마트 전시 플랫폼(SEP: Smart Exhibition Platform) 앱을 제공하여 설치되도록 하고, 회원관리 서버가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가입된 회원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제1 단계;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가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전시회 입장권을 발급하여 관리하는 제2 단계; 상기 전시회 입장권을 발급받은 스마트 단말이 전시회장의 각 부스에 설치되는 비콘과 통신하면,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가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상기 비콘의 통신 정보를 수신하는 제3 단계;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가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해당 부스의 기업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4 단계; 및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서버가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해당 부스의 방문에 따른 기업 정보를 분석하여 적합한 추천 전시회 정보를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로 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가 상기 가입된 회원의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전시회 정보 및 해당 전시회장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가 상기 입장권이 발급된 스마트 단말기가 전시회장의 입구에 설치된 비콘에 인식되면 상기 회원을 입장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가 다수의 상기 비콘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삼각측정법을 적용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가 상기 각 부스에 설치된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안면 정보를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앱을 통해 사전 등록된 사용자의 사진 정보와 대조하여 인식된 정보를 이용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의 동선, 체류 시간 또는 방문 부스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가 상기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서버로부터 방문 부스 이력이 유사한 타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 정보, 동선, 체류 시간, 방문 부스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한 추천 부스 및 추천 동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가 상기 추천 부스 정보, 상기 추천 동선 정보,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 정보 및 상기 전시회장 정보를 이용해 구성한 내비게이션을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SEP: Smart Exhibition Platform) 앱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가 상기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서버로부터 방문이 적은 부스들로 이루어진 방문 저빈도 영역의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방문 저빈도 영역 상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발생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측으로 제공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된 앱을 통하여 회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입장권을 발행하여 전시회장 출입구에 비치된 비콘과 스마트 단말기의 입장권(ID)이 스스로 통신하여 전시회장의 출입을 처리하여 현장에서의 등록과정 없이 편리한 입장이 가능하고, 전시회장의 각 전시 부스에 설치된 비콘을 통하여 자동으로 참관객의 방문정보가 참가기업에 전달되고, 참관객의 부스 참여 활동, 동선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부스 정보, 기업 정보, 관련 전시회 정보 및 참가 일정 등의 최적의 전시회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단말기에 제공하는 스마트 전시 플랫폼 앱과 기업부스에 설치되는 비콘을 통해, 참관객과 참가기업간의 상호 소통 채널을 형성하여 상호간의 정보 교환이 용이하도록 하여, 참관객이 스마트 전시 플랫폼 앱통해 전자 카탈로그를 직접 다운받거나, 인쇄물을 우편 등으로 받아보는 서비스를 신청하고, 기타 추후 진행에 대한 예약설정 등을 진행하여 효율적인 전시회 관람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방문 부스 이력이 유사한 타 참관객의 위치 정보, 동선, 체류 시간 또는 방문 부스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한 최적의 추천 부스 또는 추천 동선을 제공받아 보다 효율적인 전시회 참관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시회장 내 이벤트와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참관객의 동선을 유도하여 방문이 적은 영역의 방문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인기 있는 참가기업이 어느 한쪽에 편중되어 배치된 경우나, 초기에 전시장의 부스 배치에서 극복할 수 없는 전시회장의 상황에 변화를 주어, 전시장의 전체적인 참관이 골고루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시운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시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시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전시회를 개최하는데 있어서 현장에서 명찰을 발행하고, 전시회 참가 업체를 방문 하고 정보를 얻는 등 전시회에서 필요한 전반적인 진행에 대한 스마트 전시컨벤션 관리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된 앱을 통하여 회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입장권을 발행하여 전시회 출입구에 비치된 비콘과 스마트 단말기의 입장권(ID)이 스스로 통신하고 전시장의 각 전시 부스에 설치된 비콘을 통하여 자동으로 참관객의 방문정보가 참가기업에 전달되며, 이때 실제 개인정보는 전달되지 않고 식별자(ID)만 전달되며 추후 방문자 DB조회로 개인정보가 확인되어, 현장에서의 등록과정 없이 편리한 입장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에 대한 카탈로그나 기업의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고, 전시회장내에서 이벤트나 행사시에 참관객이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해 손쉽게 참여가 가능하여 보다 더 효과적인 전시회의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전시컨벤션 플랫폼(Smart Exhibition Platform)을 제공함으로써, 취득된 정보를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분석하여 회원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전시컨벤션 자료를 제공하는 등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시운영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시운영 시스템은 스마트 단말기(110), 회원관리 서버(120),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130),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서버(14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시회장(100)에는 다수의 참가기업의 부스(booth: 101)가 설치되고, 각 참가기업의 부스(101)에는 비콘(beacon: 105)이 설치되며, 전시회장(100)의 입구에도 비콘(beacon)이 설치된다.
스마트 단말기(110)는 회원가입 서버(120) 또는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130)로부터 스마트 전시 플랫폼(SEP: Smart Exhibition Platform) 앱을 제공받아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앱을 통해 회원가입을 제공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원가입이 완료되면 상기 스마트 단말기(110)는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130)로부터 전시회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전시회의 사전 등록 여부를 결정하여 전시회에 참여하는 기업중에 관심기업을 등록하고, 결제가 이루어지면 회원가입 서버(120) 또는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130)로부터 입장권을 발급 받을 수 있다.
한편, 회원관리 서버(120)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가입된 회원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130)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110)로 전시회 입장권을 발급하여 관리하며, 상기 스마트 단말기(110)와 전시회장(100)의 입구 또는 각 참가기업의 부스(booth: 101)에 설치되는 비콘(beacon: 105) 간의 통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130)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110)로부터 사용자인 참관객인 사용자(회원)의 전시회장 출입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얻고, 사용자(회원)의 입장 여부를 처리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110)의 위치에 따른 해당 부스(101)의 기업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회원)는 스마트 단말기(110)의 스마트 전시 플랫폼(SEP: Smart Exhibition Platform) 앱을 통해 참관중인 해당 부스(101)의 기업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회원)는 스마트 전시 플랫폼 앱을 통해 사전에 전시참가를 신청하여 입장권을 발행 받을 수 있으며, 앱을 통해 표시되는 입장권이 출입구에 비치된 비콘에 인식되어 출입이 기록되며, 이후 전시장 방문에 대한 정보와 활동 정보가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130)에서 기록 관리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130)는 전시회 정보 제공부(131), 입장권 처리부(132), 비콘 관리부(133), 위치 정보 산출부(134), 기업 정보 제공부(135), 방문 기록 관리부(136), 내비게이션 정보 제공부(137) 및 이벤트 처리부(13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시회 정보 제공부(131)는 상기 가입된 사용자(회원)의 스마트 단말기(110)로 전시회 정보 및 해당 전시회장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전시회 정보 제공부(131)는 전시회 운영 측이 관리하는 별도의 전시회 운영 서버로부터 전시회 정보 및 해당 전시회장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회원)의 스마트 단말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입장권 처리부(132)는 상기 전시회 정보를 선택한 스마트 단말기(110) 측으로 입장권을 발급하여 상기 입장권이 발급된 스마트 단말기(110)기가 전시회장의 입구에 설치된 비콘에 인식되면 상기 회원의 입장을 허용한다.
비콘 관리부(133)는 상기 비콘과 통신하며, 상기 스마트 단말기(110)와 상기 비콘의 통신 정보를 수신한다.
위치 정보 산출부(134)는 다수의 상기 비콘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삼각측정법을 적용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위치 정보 산출부(134)는 상기 각 부스에 설치된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110)의 사용자(회원)의 안면 정보를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앱을 통해 사전 등록된 사용자(회원)의 사진 정보와 대조할 수 있으며, 대조하여 인식된 정보를 이용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110)의 사용자(회원)의 위치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사용자(회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회원)의 동선, 체류 시간 또는 방문 부스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즉, 더 정확한 사용자(회원)의 방문기록을 위해서 다수의 비콘의 신호에 삼각측정법을 적용하여 사용자(회원)의 위치를 파악하며, 사용자(회원)이 부스(101)의 카메라 촬영영역을 통과하는 순간(해당 부스에 방문한 시점)에 부스에 설치된 카메라를 작동하여, 사전에 입력받은 회원의 사진정보 대조하여 얼굴인식으로 방문기록을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자 또는 전시회 참가 기업의 별도의 조치 없이 자동으로 사용자(회원)의 각 전시 부스의 방문을 관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회원)의 출입확인과 행사장내에서의 동선, 체류시간, 방문 부스 등의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 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사용자(회원)가 카메라 촬영영역을 통과하는 시간 내에서 얼굴인식 및 매칭을 통하여 시스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제공할 수 있다.
기업 정보 제공부(135)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110)가 각 부스(101)에 설치된 비콘(105)과 통신하여 해당 부스(101)의 기업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110)로 제공한다.
방문 기록 관리부(136)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110)의 위치를 이용해 사용자(회원)의 동선, 체류 시간 또는 방문 부스 정보를 획득한다.
내비게이션 정보 제공부(137)는 상기 전시회장 정보를 이용해 구성한 내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110)로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 제공부(137)는 상기 비콘(105)과 상기 부스(101)의 배치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150)를 구성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150)를 참조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110)로 위치 정보 또는 목적지 내비게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 제공부(137)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서버(140)로부터 방문 부스 이력이 유사한 타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 정보, 동선, 체류 시간 또는 방문 부스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한 추천 부스 또는 추천 동선을 제공받고, 상기 추천 부스 또는 추천 동선을 스마트 단말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 제공부(137)로부터 수신한 추천 부스 정보 및 추천 동선 정보, 상기 위치 정보 산출부(134)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 정보, 상기 전시회 정보 제공부(131)로부터 수신한 전시회장 정보를 이용해 내비게이션을 구성하여 스마트 단말기(110)로 제공하며, 상기 스마트 단말기(110)는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SEP: Smart Exhibition Platform) 앱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전시장의 각 부스(101)에 설치된 비콘(105)을 활용함으로써, 사용자(회원)이 원하는 해당 부스를 방문하고자 할 때 내비게이션을 제공하여 넓고 복잡한 전시회장에서도 빠르게 해당 부스에 도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회원)이 사전에 스마트 단말기(110)의 스마트 전시 플랫폼 앱을 통해 관심기업을 등록하거나, 현장에서 기업명, 제품명 등을 검색 또는 부스 배치도에 표기된 부스 넘버 등을 활용하여 목적지를 설정하고 네비게이션을 실행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 제공부(137)는 실제 위치 안내와 내비게이션 제공하기 위하여 행사장의 각 부스(101)에 설치된 비콘(105)과 부스(101)의 배치도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하여 스마트 단말기(110) 측으로 위치 정보와 내비게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콘으로서 BLE 비콘(beacon)이 사용될 수 있으며, 위치 안내와 네비게이션 수행 시에는 비콘과의 통신 주기를 조정하여 통신잡음을 줄이고 네트워크 트래픽과 최소화며, 빠른 길찾기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벤트 처리부(138)는 전시회 운영 측이 관리하는 별도의 전시회 운영 서버로부터 이벤트 진행 정보 제공받아 스마트 단말기(110) 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벤트 처리부(138)는 상기 전시회장 내에 위치하거나,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앱을 통해 사전에 이벤트 알림에 동의하거나, 또는 이벤트 진행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스마트 단말기(110) 측으로 이벤트 진행 정보를 전송하여 스마트 전시 플랫폼 앱을 통해 제공되도록 한다.
즉, 대상이 되는 사용자(회원)을 대상으로 이벤트를 진행하여 행사장에서의 이벤트의 관심도, 참여지수, 참여자에 대한 자료와 통계 데이터를 획득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추후 마케팅에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 제공부(137)는 상기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서버(140)로부터 방문이 적은 부스들로 이루어진 방문 저빈도 영역의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전시회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방문 저빈도 영역 상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발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벤트 처리부(138)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110) 측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시장 전체적인 참관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스마트 단말기(110)의 사용자(회원)의 참관 동선 기록과 내비게이션, 실시간 사용자(회원)의 정보파악 등의 자료를 기반으로, 참가기업 및 주최 측에서 즉석 이벤트를 진행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회원)의 전체적인 참관 경로(동선)를 유도하여 사용자(회원)이 방문하지 않는 방문 저빈도 영역의 방문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인기 있는 참가기업이 어느 한쪽에 편중되어 배치된 경우나, 초기에 전시장의 부스 배치에서 극복할 수 없는 전시회장의 상황에 변화를 주어, 전시장의 전체적인 참관이 골고루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서버(140)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110)의 해당 부스의 방문에 따른 기업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를(130)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110)로 적합한 추천 전시회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서버(140)는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전시회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회원)의 부스 참여 활동, 동선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사용자(회원)에게 부스 정보, 기업 정보, 관련 전시회 정보 및 참가 일정 등의 최적의 전시회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서버(140)는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방문 부스 이력이 유사한 타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 정보, 동선, 체류 시간 또는 방문 부스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한 추천 부스 또는 추천 동선을 제공받고, 상기 추천 부스 또는 추천 동선을 스마트 단말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로서,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서버(140)가 'A' 사용자(회원)가 관심기업으로 사전 등록한 업체, 상기 업체와 연관된 기술 또는 제품 전시 업체, 전시회 참관 시에 방문한 기업의 리스트를 분석하고, 'A' 사용자(회원)의 직업군, 관심분야 등에 따른 유사성 파악에 따른 유익한 추천 방문 부스 정보를 생성하여, 이와 같이 생성된 추천 방문 부스 정보를 타 사용자(회원)에게 추천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서버(140)의 분석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어, 추천 리스트에 대한 방문결과 등을 토대로 2차, 3차 분석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 될 수 있으며, 사용자(회원)은 더 효율적인 참관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참가 기업은 더 많은 사용자(회원)의 방문을 통해 홍보 마케팅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시운영 시스템은 사용자(회원)가 관심부스에 방문하여 구두로 문의를 하여 정보 교류가 이루어지는 데에서 나아가, 스마트 전시 플랫폼 앱과 비콘을 통해 참관객과 참가기업간의 상호 소통 채널을 형성하여 필요로 하는 정보를 교환할 수 있으며, 사용자(회원)가 스마트 단말기(110)를 통해 전자 카탈로그를 직접 다운받거나, 인쇄물을 우편 등으로 받아보는 서비스를 신청하거나, 기타 추후 진행에 대한 예약설정 등을 진행하여 효율적인 전시회 관람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데이터베이스(150)는 전시회 운영에 필요한 정보, 참가업체 정보, 기업 정보, 부스의 배치 정보, 비콘 정보, 내비게이션 정보, 통계 정보, 빅데이터 분석 정보 및 빅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150)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서버(140)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저장하여, 방문결과 등을 토대로 2차, 3차 분석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되도록 하여 사용자(회원)에게 더 효율적인 참관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참가 기업은 더 많은 참관객 방문을 유도할 수 있는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시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시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후부터는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시운영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스마트 단말기(110)가 회원가입 서버(120)로부터 스마트 전시 플랫폼(SEP: Smart Exhibition Platform) 앱을 제공받아(S301), 상기 제공받은 스마트 전시 플랫폼 앱을 설치하고(S302), 회원가입 메뉴를 선택하고 회원 정보를 입력하여 회원가입을 진행할 수 있다(S303).
이때, 사용자(회원)는 명함과 사진을 촬영하여 업로드할 수 있으며, 추가로 설문조사 내용을 입력하여 회원가입을 완료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회원가입 서버(120)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110)를 통해 가입된 회원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130)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110)로 전시회 정보 및 해당 전시회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304). 이때,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130)는 전시회 운영 측이 관리하는 별도의 전시회 운영 서버로부터 전시회 정보 및 해당 전시회장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회원)의 스마트 단말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회원)가 관심 기업의 사전 등록을 원하는 경우에는 스마트 단말기(110)를 통해 사전 등록을 진행하여 전시회에 참여하는 기업 중에 관심기업을 등록하고, 결제 화면을 통해 결제가 이루어지면(S306),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130)로부터 입장권을 발급 받아 전시회 등록이 완료된다(S307).
이후, 상기 입장권이 발급된 스마트 단말기(110)가 전시회장의 입구에 설치된 비콘에 인식되면(S308),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130)는 상기 비콘 통신 정보를 수신하여(S309), 상기 사용자(회원)의 입장을 처리한다(S310).
이와 같은 사용자(회원)의 입장 이후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회원)가 이동하여 스마트 단말기(110)와 전시회장의 부스(101)에 설치된 비콘(105)이 통신하면(S311),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130)는 상기 비콘의 통신 정보를 수신하여(S312), 상기 스마트 단말기(110)의 위치에 따른 해당 부스(101)의 기업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110)로 제공한다(S313).
이때,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130)는 다수의 비콘(105)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삼각측정법을 적용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130)는 각 부스(101)에 설치된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사용자(회원)의 안면 정보를 사전 등록된 사용자(회원)의 사진 정보와 대조할 수 있으며, 대조하여 인식된 정보를 이용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110)의 사용자(회원)의 위치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사용자(회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회원)의 동선, 체류 시간 또는 방문 부스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즉, 더 정확한 사용자(회원)의 방문기록을 위해서 다수의 비콘(105)의 신호에 삼각측정법을 적용하여 사용자(회원)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용자(회원)이 부스(105)의 카메라 촬영영역을 통과하는 순간(해당 부스에 방문한 시점)에 부스에 설치된 카메라를 작동하여, 사전에 입력 받은 회원의 사진정보 대조하여 얼굴인식으로 방문기록을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자 또는 전시회 참가 기업의 별도의 조치 없이 자동으로 사용자(회원)의 각 전시 부스의 방문을 관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회원)의 출입확인과 행사장내에서의 동선, 체류시간, 방문 부스 등의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 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사용자(회원)가 카메라 촬영영역을 통과하는 시간 내에서 얼굴인식 및 매칭을 통하여 시스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130)는 데이터베이스(150)에 스마트 단말기(110)의 해당 부스의 방문에 따른 위치 정보, 동선 정보 및 기업 정보를 저장하고,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서버(140)에서 상기 해당 부스의 방문에 따른 위치 정보, 동선 정보 및 기업 정보를 제공하여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서버(140)는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130)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110) 측으로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에 따른 최적의 전시회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S314), 스마트 단말기(110)은 상기 전시회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한 내비게이션을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SEP: Smart Exhibition Platform) 앱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130)가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서버(140)로부터 방문 부스 이력이 유사한 타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 정보, 동선, 체류 시간 또는 방문 부스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한 추천 부스 또는 추천 동선을 제공받고, 상기 추천 부스 또는 추천 동선을 스마트 단말기(11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스마트 단말기(110)은 상기 추천 부스 정보, 상기 추천 동선 정보,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 정보 및 상기 전시회장 정보를 이용해 구성한 내비게이션을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SEP: Smart Exhibition Platform) 앱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전시장의 각 부스에 설치된 비콘을 활용함으로써, 사용자(회원)이 원하는 해당부스를 방문하고자 할 때 내비게이션을 제공하여 넓고 복잡한 전시회장에서도 빠르게 해당 부스에 도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회원)이 사전에 스마트 단말기(110)의 스마트 전시 플랫폼 앱을 통해 관심기업을 등록하거나, 현장에서 기업명, 제품명 등을 검색 또는 부스 배치도에 표기된 부스넘버 등을 활용하여 목적지를 설정하고 네비게이션을 실행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130)는 위치 안내와 내비게이션 제공을 위해 행사장의 각 부스에 설치된 비콘과 부스 배치도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하여 스마트 단말기(110) 측으로 위치 정보와 내비게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콘(105)으로서 BLE 비콘(beacon)이 사용될 수 있으며, 위치 안내와 네비게이션 수행 시에는 비콘과의 통신 주기를 조정하여 통신잡음을 줄이고 네트워크 트래픽과 최소화며, 빠른 길찾기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130)는 상기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서버(140)로부터 방문이 적은 부스들로 이루어진 방문 저빈도 영역의 정보를 제공받고(S316), 상기 방문 저빈도 영역의 정보를 이용해 추천 부스 정보 및 추천 동선 정보를 생성하고(S317), 상기 방문 저빈도 영역 상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발생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110)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S318). 이때,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130)는 전시회 운영 측이 관리하는 별도의 전시회 운영 서버로부터 이벤트 진행 정보 제공받아 스마트 단말기(110) 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따라서, 스마트 단말기(110)는 이벤트 발생 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 전시 플랫폼 앱을 통해 이벤트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회원)에게 제공할 수 있다(S319).
이때,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130)는 상기 전시회장 내에 위치하거나,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앱을 통해 사전에 이벤트 알림에 동의하거나, 또는 이벤트 진행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스마트 단말기(110) 측으로 이벤트 진행 정보를 전송하여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대상이 되는 사용자(회원)을 대상으로 이벤트를 진행하여 행사장에서의 이벤트의 관심도, 참여지수, 참여자에 대한 자료와 통계 데이터를 획득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추후 마케팅에도 활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시장 전체적인 참관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스마트 단말기(110)의 사용자(회원)의 참관 동선 기록과 내비게이션, 실시간 참관객의 정보파악 등의 자료를 기반으로, 참가기업 및 주최 측에서 즉석 이벤트를 진행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회원)이 방문하지 않는 방문 저빈도 영역의 방문을 유도하고, 사용자(회원)의 전체적인 참관 경로(동선)를 유도함으로써, 인기 있는 참가기업이 어느 한쪽에 편중되어 배치된 경우나, 초기에 전시장의 부스 배치에서 극복할 수 없는 전시회장의 상황에 변화를 주어, 전시장의 전체적인 참관이 골고루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서버(140)가 상기 스마트 단말기(110)의 해당 부스의 방문에 따른 기업 정보를 분석하여 적합한 추천 전시회 정보를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를(130)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110)로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회원)의 부스 참여 활동, 동선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사용자(회원)에게 부스 정보, 기업 정보, 관련 전시회 정보 및 참가 일정 등의 최적의 전시회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서버(140)는 데이터베이스(150)를 참조하여 방문 부스 이력이 유사한 타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 정보, 동선, 체류 시간 또는 방문 부스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 부스 또는 추천 동선을 구성하고, 상기 추천 부스 또는 추천 동선을 스마트 단말기(110)로 제공하도록 하여, 방문결과 등을 토대로 2차, 3차 분석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 될 수 있으며, 사용자(회원)은 더 효율적인 참관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참가 기업은 더 많은 사용자(회원)의 방문을 통해 홍보 마케팅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시운영 시스템은 사용자(회원)가 관심부스에 방문하여 구두로 문의를 하여 정보 교류가 이루어지는 데에서 나아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전시 플랫폼 앱과 비콘을 통해 참관객과 참가 기업간의 상호 소통 채널을 형성하여 필요로 하는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관객인 사용자(회원)는 스마트 단말기(110)를 통해 해당 부스의 기업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가 기업은 참가 업체 단말기를 통해 참관객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담 결과 내용을 입력하여 정리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회원)는 스마트 단말기(110)를 통해 전자 카탈로그를 직접 다운받거나, 인쇄물을 우편 등으로 받아보는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으며, 기타 추후 진행에 대한 예약설정 등을 진행하여 효율적인 전시회 관람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회원)의 스마트 단말기(110)이 전시장에 입장하거나 퇴장 시에는 출입구에 설치된 비콘의 인식에 따라 푸시 메시지 형태로 설문조사 알림을 제공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회원)의 설문조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가 업체 단말기를 통해 설문조사 내용, 참관객의 정보와 상담 결과 내용 등을 통계 분석, 그래프 분석 및 보고서의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전시회장
101: 부스
105: 비콘
110: 스마트 단말기
120: 회원가입 서버
130: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
131: 전시회 정보 제공부
132: 입장권 처리부
133: 비콘 관리부
134: 위치 정보 산출부
135: 기업 정보 제공부
136: 방문 기록 관리부
137: 내비게이션 정보 제공부
138: 이벤트 처리부
140: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서버
150: 데이터베이스

Claims (4)

  1.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가입된 회원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회원관리 서버; 전시회 운영 측이 관리하는 별도의 전시회 운영 서버로부터 전시회 정보 및 해당 전시회장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의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스마트 전시 플랫폼(SEP: Smart Exhibition Platform) 앱을 제공하고 설치되도록 하여 전시회 입장권을 발급하여 관리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상기 비콘의 통신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해당 부스의 기업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 및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해당 부스의 방문에 따른 기업 정보를 분석하여 추천 전시회 정보를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로 제공하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서버는,
    상기 가입된 회원의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전시회 정보 및 해당 전시회장 정보를 제공하는 전시회 정보 제공부; 상기 전시회 정보를 선택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 측으로 입장권을 발급하여 상기 입장권이 발급된 스마트 단말기가 전시회장의 입구에 설치된 비콘에 인식되면 상기 회원의 입장을 허용하는 입장권 처리부; 상기 비콘과 통신하며,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상기 비콘의 통신 정보를 수신하는 비콘 관리부; 다수의 상기 비콘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삼각측정법을 적용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정보 산출부; 상기 스마트 단말기가 각 부스에 설치된 비콘과 통신하면 해당 부스의 기업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기업 정보 제공부;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위치를 이용해 사용자의 동선, 체류 시간 또는 방문 부스 정보를 획득하는 방문 기록 관리부; 상기 전시회장 정보를 이용해 구성한 내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비콘과 상기 부스의 배치를 매핑하여 구성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위치 정보 또는 목적지 내비게이션을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전시회장 내에 위치하거나,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앱을 통해 사전에 이벤트 알림에 동의하거나, 이벤트 진행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스마트 단말기 측으로 이벤트 진행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앱을 통해 제공하는 이벤트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 제공부는, 상기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서버로부터 방문이 적은 부스들로 이루어진 방문 저빈도 영역의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방문 저빈도 영역 상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발생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측으로 제공하는 스마트 전시운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산출부는,
    상기 각 부스에 설치된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안면 정보를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 앱을 통해 사전 등록된 사용자의 사진 정보와 대조하여 인식된 정보를 이용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의 동선, 체류 시간 또는 방문 부스 정보를 보정하는 스마트 전시운영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 제공부는,
    상기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서버로부터 방문 부스 이력이 유사한 타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 정보, 동선, 체류 시간 또는 방문 부스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한 추천 부스 또는 추천 동선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스마트 전시운영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 제공부로부터 수신한 추천 부스 정보 및 추천 동선 정보, 상기 위치 정보 산출부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 정보, 상기 전시회 정보 제공부로부터 수신한 전시회장 정보를 이용해 구성한 내비게이션을 상기 스마트 전시 플랫폼(SEP: Smart Exhibition Platform) 앱을 통해 제공하는 스마트 전시운영 시스템.
KR1020220037930A 2019-10-29 2022-03-28 스마트 전시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444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930A KR20220044462A (ko) 2019-10-29 2022-03-28 스마트 전시운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149A KR20210050742A (ko) 2019-10-29 2019-10-29 스마트 전시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037930A KR20220044462A (ko) 2019-10-29 2022-03-28 스마트 전시운영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149A Division KR20210050742A (ko) 2019-10-29 2019-10-29 스마트 전시운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462A true KR20220044462A (ko) 2022-04-08

Family

ID=759171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149A KR20210050742A (ko) 2019-10-29 2019-10-29 스마트 전시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037930A KR20220044462A (ko) 2019-10-29 2022-03-28 스마트 전시운영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149A KR20210050742A (ko) 2019-10-29 2019-10-29 스마트 전시운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5074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87296B (zh) * 2021-07-26 2024-05-21 京东方智慧物联科技有限公司 智能导览方法与系统、存储介质、电子设备
CN113961995B (zh) * 2021-10-14 2024-02-20 深圳鼎晟展览设计有限公司 一种用于展览展示与会议服务的智能交互系统
KR102436404B1 (ko) * 2021-12-20 2022-08-29 주식회사 글로비원 바이어와 셀러 간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94896B1 (ko) * 2021-12-30 2023-02-06 주식회사 닷밀 IoT 티켓을 이용한 초실감 콘텐츠 전시 공간의 운영 시스템
KR102545374B1 (ko) * 2022-08-04 2023-06-22 (주)어라운드유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mice 이벤트 관리 방법
CN116384636B (zh) * 2023-06-07 2023-08-29 深圳市友昆标识制造有限公司 一种基于vr可视化技术的智慧展厅智能导航讲解管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742A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44462A (ko) 스마트 전시운영 시스템 및 방법
US20080312946A1 (en) Trade show information management
KR102028858B1 (ko) 통합 전시회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US201000108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acquisition and sharing
WO2014189170A1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시회 입장권 발권 및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170079536A (ko) 공공 디스플레이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KR20120091958A (ko) 지역 광고 시스템 및 지역 광고 가격 산출 방법
US201502424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ption, analysis and dissemination of user feedback
CN111402471A (zh) 人员处理方式的确定方法及装置、数据处理平台
KR101894958B1 (ko) 광고를 포함한 취업연계 직업 콘텐츠 제공 시스템
CN107818375B (zh) 一种基于光标签的带导流功能的服务预约方法与系统
KR20140119309A (ko)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위치기반 미션 수행 서비스 제공방법
JP2020166465A (ja) イベント支援システム
KR20200097571A (ko) 오프라인 매장 방문자의 행동 패턴을 데이터로 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KR102236320B1 (ko) 온라인 박람회 사이트 제공방법 및 서버
JP2005332257A (ja) 顧客サービス提供/商品動向把握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10116857A (ko) 모바일 디바이스 세척기와 증강현실 오브젝트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098554A (ko) 무선인식 기술을 이용한 전시장 관리 시스템 및 홍보 방법
KR20130056509A (ko) 차량번호 인식 기반의 서비스정보 제공시스템
Nakagawa et al. Demonstration experiments of a robot service of stamp-rally and questionnaires for tourism destination marketing
JP2021197111A (ja) 二重認証防止組み込みシステム活用ポイントシステム
KR101619481B1 (ko) 얼굴사진촬영용 부스를 이용한 에스테틱 마케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마케팅 방법
US10621598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interactions
KR20120038642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1382063B1 (ko) 영상 인식을 이용한 전시장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