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063B1 - 영상 인식을 이용한 전시장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 인식을 이용한 전시장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063B1
KR101382063B1 KR1020120045659A KR20120045659A KR101382063B1 KR 101382063 B1 KR101382063 B1 KR 101382063B1 KR 1020120045659 A KR1020120045659 A KR 1020120045659A KR 20120045659 A KR20120045659 A KR 20120045659A KR 101382063 B1 KR101382063 B1 KR 101382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h
visitor
module
image
managemen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2378A (ko
Inventor
이용정
Original Assignee
이용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정 filed Critical 이용정
Priority to KR1020120045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063B1/ko
Publication of KR20130122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굴 또는 식별자를 영상 인식하여 이를 활용하는 전시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기존의 RF 카드 방식과 비교하여 고가의 RF 카드 발급이 필요하지 않고, 분실에 따른 재발급 등 관리 노력 및 비용의 필요성이 없어진다. 또한, 등록시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단축되고 방문객 입장에서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또한, 체류시간 파악, 동선 파악, 호응도 파악 등이 가능하여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일반 참관객과 중요 바이어를 따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중요 바이어의 경우 별도의 알람 메시지를 부스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고객 수준에 따른 신속하고 효과적이며 선택적인 응대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영상 인식을 이용한 전시장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ement of the exhibition center using image recognition}
본 발명은 전시장에서 사용되는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얼굴 또는 식별자를 영상 인식하여 이를 활용하는 전시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시장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박람회 등에서의 방문객 관리는 입장권 판매에 의한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최근 RF 카드에 의한 방식이 종종 사용되고 있다.
RF 카드를 사용할 경우 방문객 정보가 미리 입력되어 보다 철저하게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고가의 RF 카드 발급 및 분실시 재발급하여야 하는 문제, 등록 및 입장시 카드 리더기에 의한 리딩 및 라이팅이 필요하여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시장에 입점한 업체 입장에서는, 중요한 바이어가 일반 고객과 함께 섞여서 방문하는바, 일반 고객을 응대하다가 정작 중요한 바이어에 대한 응대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발생한다.
더욱이, 전시가 종료된 후 전시장에서 전시된 물품에 대한 반응을 확인하여야 차후 개발 방향 등을 설정할 수 있음에도, 그러한 반응은 오직 업체 참가 직원의 느낌에만 의존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 얼굴을 인식하여 사람을 식별하는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76856호 및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92848호의 경우, 안면 인덱스를 활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특허들은 얼굴을 인식하고 이를 통하여 그 사람의 위치를 시간에 따라 추적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의 특허들에서는 얼굴 인식을 이용한 동선을 제공하는데 그치고 있어서, 실질적 산업 분야에 적용하려는 시도는 기재되지 않는다.
한편, 미국 등록특허 제7,120,880호는 얼굴의 표정 변화의 변화에 따라 그 사람의 기분을 호응도(interest level)로서 객관적 수치로 제공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KR10-2011-0076856 A
(특허문헌 2) KR10-2011-0092848 A
(특허문헌 3) US7120880 B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기존이 RF 카드 방식이 갖고 있었던, 고가의 RF 카드 관리의 문제, 등록시 다수의 시간이 소요되어 전시장 입장 고객이 상당 시간 줄을 서야만 하는 문제, 체류시간 확인 및 동선 확인이 불가능하였던 문제 등을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부스 입점 업체 입장에서, 일반 고객과 중요 바이어를 구분하여 선택적으로 효과적인 응대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전시가 종료된 후, 전시장 개최 측에서 이를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부스 입점 업체 입장에서 제품에 대한 반응을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문객의 정보 및 영상을 등록 데이터베이스(610)에 매핑하여 입력하는 등록 관리 모듈(510); VIP로서 기 설정된 방문객이 입력되는 VIP 관리 모듈(511); 및 부스 카메라(310)가 확인한 영상에 매핑되는 방문객을 상기 등록 데이터베이스(610)에서 확인함으로써 부스에 방문객이 접근하였음을 확인하는 부스 접근 확인 모듈(540);을 포함하는 메인 서버(500); 및 상기 메인 서버(500)와 소통하는 송수신부(700)를 포함하는 영상 인식을 이용한 전시장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방문객의 영상은, 방문객의 얼굴이거나 또는 방문객에 부착되도록 기 설정된 식별자이며, 그리고 상기 부스 접근 확인 모듈(540)에서 확인한 방문객이 기 설정된 VIP인 경우, 상기 등록 데이터베이스(610)에 입력된 상기 VIP의 정보가 상기 부스 카메라(310)가 설치된 부스(300)에 상응하는 부스 단말기(800)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식을 이용한 전시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부스 접근 확인 모듈(540)은, 상기 부스 접근 확인 모듈(540)에서 방문객을 확인한 경우 상기 등록 데이터베이스(610)에서 상기 확인된 방문객의 정보를 부스 디스플레이부(320)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 서버(500)는 부스 체류시간 관리 모듈(550) 및 동선 관리 모듈(5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부스 체류시간 관리 모듈(550)은, 상기 부스 카메라(310)가 방문객의 영상을 최초로 확인한 시각을 체류 시작 시각으로서 동선 데이터베이스(620)에 저장하고, 상기 부스 카메라(310)의 방문객의 영상의 확인이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을 체류시간으로서 동선 데이터베이스(620)에 저장하며, 상기 동선 관리 모듈(560)은 상기 체류 시작 시각 및 체류시간을 통하여 방문객의 동선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 서버(500)는 영상 인식 모듈(530)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 인식 모듈(530)은 얼굴 인식 모듈(531) 및 식별자 인식 모듈(532)을 포함하며, 상기 얼굴 인식 모듈(531)은 상기 부스 카메라(310)에서 확인한 얼굴의 영상을 인가받아 상기 등록 데이터베이스(610)를 이용하여 방문객을 식별하며, 상기 식별자 인식 모듈(532)은 상기 부스 카메라(310)에서 확인한 식별자의 영상을 인가받아 상기 등록 데이터베이스(610)를 이용하여 방문객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상 인식 모듈(530)은 표정 인식 모듈(533)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정 인식 모듈(533)은, 상기 부스 카메라(310)에서 확인한 얼굴 각각의 영상의 표정에 상응하는 호응도를 연산함으로써 상기 부스 카메라(310)가 설치된 부스의 호응도를 연산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 서버(500)는 부스 정보 관리 모듈(58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서버(500)가 송수신기(700)를 통하여 방문객으로부터 부스 정보 요청을 받은 경우, 상기 부스 정보 관리 모듈(580)은 전시장 및 부스 데이터베이스(630)에서 요청받은 부스에 대하여 기 저장된 정보를 확인하여, 이를 상기 송수신기(700)를 통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 서버(500)가 상기 송수신기(700)를 통하여 방문객으로부터 부스의 위치 정보 확인 요청을 받은 경우, 상기 부스 정보 관리 모듈(580)은 상기 전시장 및 부스 데이터베이스(630)에 기 저장된 전시장 맵과 상기 요청받은 부스의 위치를 출력하고, 상기 부스 접근 확인 모듈(540)을 통하여 상기 요청한 방문객의 영상이 확인된 부스 카메라(310)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방문객의 위치를 상기 확인된 부스 카메라(310)가 설치된 부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 서버(500)는 입장 관리 모듈(5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입장 관리 모듈(520)은, 입장 카메라(210)가 확인한 영상이 상기 등록 데이터베이스(610)에 기 저장된 영상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얼굴 또는 식별자만으로 입장이 가능하고 전시장 내에서의 활동이 저장되고 통계적으로 활용되기에, 기존의 RF 카드 방식과 비교하여 고가의 RF 카드 발급이 필요하지 않고, 분실에 따른 재발급 등 관리 노력 및 비용의 필요성이 없어진다.
또한, 등록시 RF 카드의 리딩/라이팅이 필요하지 않아 등록시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단축되며, 업체 방문시마다 RF 카드의 접촉 등록이 필요하지 않아 방문객 입장에서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또한, 기존의 RF 카드 방식에서 구현이 불가능하였던 체류시간 파악, 동선 파악, 호응도 파악 등이 가능하다. 이렇게 파악된 정보들은, 전시회 개최 측 입장에서는 발전 방향의 객관적 정보가 되며, 부스 입점 업체 입장에서는 제품에 대한 고객의 반응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일반 참관객과 중요 바이어를 따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중요 바이어의 경우 별도의 알람 메시지를 부스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고객 수준에 따른 신속하고 효과적이며 선택적인 응대가 가능하다.
또한, GPS 없이도 방문객의 위치를 확인하고, 방문객 단말기를 통해 경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적용된 전시장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한 입장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한 방문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적용된 부스 디스플레이부가 출력하는 화면의 예시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동선을 파악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적용되어 방문객이 부스 위치를 찾고자 하는 경우 방문객 단말기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이다.
이하에서 "전시장"은 다수의 부스가 위치하여 방문객이 자유롭게 이동하며 해당 부스를 참관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공간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방문객"은 전시장에서 주최 측 진행요원 또는 부스 입점 업체의 직원이 아닌 모든 종류의 방문 고객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서버(server)" 또는 "모듈(module)"이란, 정보 처리(data processing)가 가능한 연산 장치(computing device)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서버 또는 모듈을 각각의 기능별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어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음에 유의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시장 관리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1.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적용된 전시장의 개괄적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전시장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전시장은 등록구역(10), 입구(20) 및 다수의 부스(30)로 구분된다. 출구는 입구(20)와 동일한 구역에 위치하거나 별도로 상이한 구역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출구의 위치는 중요하지 않은바 도면에서 그 도시를 생략한다.
등록구역(10)에는 등록 카메라(110) 및 등록 단말기(120)가 위치한다.
등록 카메라(110)는 방문객의 등록을 위한 얼굴 인식에 사용된다. 방문객이 등록구역(10)에서 등록절차를 밟는 동안 자연스럽게 등록 카메라(110)가 방문객의 얼굴을 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얼굴의 고유한 3차원 데이터 값을 추출하기 위해 등록 카메라(110)는 두 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등록 단말기(120)는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메인 서버(500)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등록 단말기(120)는 방문객 중 얼굴의 인식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 이를 대신할 별도의 식별자를 출력하여 방문객이 부착하고 이동하도록 교부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카메라(110, 210, 310)가 확인할 수 있는 영상은 방문객의 얼굴 또는 방문객이 부착한 식별자를 의미한다.
입구(20)에는 입장 카메라(210) 및 알람 발생부(220)가 위치한다.
입장 카메라(210)는 입장하는 방문객의 영상(즉, 얼굴 또는 식별자)을 확인함으로써, 별도의 입장 관리 모듈(520)이 등록 데이터베이스(610)를 통하여 등록된 방문객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등록되지 않은 방문객으로 확인된 경우 알람 발생부(220)가 작동한다.
다수의 부스(30)에는 각각 부스 카메라(310) 및 부스 디스플레이부(320)가 위치한다.
부스 카메라(310)는 부스(30)에 접근하여 체류하는 방문객의 영상(얼굴 또는 식별자)을 확인함으로써, 별도의 부스 접근 확인 모듈(540) 및 부스 체류시간 관리 모듈(550)이 기능하도록 한다. 또한, 부스 정보 관리 모듈(580)과 연계되어 방문객의 위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
부스 디스플레이부(320)는 각각의 부스(30)마다 위치하며 부스 카메라(310)에서 보이는 영상을 출력한다. 출력되는 영상은 부스(30)에 입점한 업체에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과 함께 인식된 얼굴 및 이에 따른 방문객의 정보가 함께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전술한 전시장의 구성과 함께, 다수의 중계기(150, 250, 350), 메인 서버(500), 다수의 데이터베이스(610, 620, 630) 및 송수신기(700)를 포함한다.
중계기(150, 250, 350)는 카메라(110, 210, 310)들과 소통하여,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을 메인 서버(500)에 중계한다.
메인 서버(500)는, 등록 관리 모듈(510), 입장 관리 모듈(520), 영상 인식 모듈(530), 부스 접근 확인 모듈(540), 부스 체류시간 관리 모듈(550), 동선 관리 모듈(560), 호응도 관리 모듈(570), 부스 정보 관리 모듈(580)을 포함한다.
등록 관리 모듈(510)은, 방문객이 전시장 입장을 위한 등록에 관련된 기능을 한다. 방문객은 행사 개최 전 인터넷 등과 같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미리 등록할 수도 있으며, 행사 개최 당일 등록구역(10)에서 등록 단말기(120)를 통해 등록할 수도 있다.
또한, 등록 관리 모듈(510)은 방문객의 얼굴 또는 식별자를 등록 데이터베이스(610)에 등록한다. 행사 개최 당일 등록구역(10)의 등록 카메라(110)를 통하여 확인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행사 개최 전에 별도 통신망을 통하여 방문객이 직접 얼굴을 등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등록 관리 모듈(510)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는, 방문객의 이름, 소속, 부서, 직책, 메일, 및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얼굴과 함께 매핑되어 등록 데이터베이스(610)에 저장된다.
한편, 메인 서버(500)는 VIP 관리 모듈(5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VIP 관리 모듈(511)은, 부스(30)에 입점하는 각각의 업체에서 별도로 지정한 VIP(예를 들어, 중요 바이어), 또는 행사 개최 업체에서 지정한 VIP를 방문객과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VIP 관리 모듈(511)에 의하여 VIP로 인식되는 방문객이 부스(30)에 접근한 경우, 부스(30)에 입점한 업체로서는 중요하게 준비하여야 하기에, 업체 측에서 지니고 있는 부스 단말기(800)에 VIP의 접근 여부가 통보된다. 여기에서, 부스 단말기(800)는 업체 참가자가 휴대하는 휴대폰일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VIP 관리 모듈(511)은 특정 부스(30)에서의 체류시간이 길어서 해당 부스(30)의 중요 바이어일 확률이 높은 방문객을 VIP로 지정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후술할 부스 체류시간 확인 모듈(550)은 부스(30)에 방문한 모든 고객의 체류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20분) 이상 체류한 고객이되 VIP로 사전에 지정되지 않은 고객이 감지된 경우 VIP 관리 모듈(511)은 해당 고객을 VIP로 분류할 수도 있다.
입장 관리 모듈(520)은, 입장 카메라(210)가 확인한 얼굴 또는 식별자가 등록 데이터베이스(610)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입장 여부를 결정한다. 확인되지 않는 경우 알람 발생부(220)가 작동된다.
영상 인식 모듈(530)은 다수의 중계기(150, 250, 350)를 통하여 영상을 중계받아 이를 인식하게 된다.
영상 인식 모듈(530)은, 얼굴 인식 모듈(531), 식별자 인식 모듈(532), 표정 인식 모듈(533)을 포함한다.
얼굴 인식 모듈(531)은, 카메라(110, 210, 310)에서 촬영한 이미지에 얼굴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또한 등록 데이터베이스(610)에 해당 정보가 있는지 확인한다. 얼굴을 인지하고 동일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구체적인 기술은 전술한 종래 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식별자 인식 모듈(532)은, 카메라(110, 210, 310)에서 촬영한 이미지에 식별자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또한 등록 데이터베이스(610)에 해당 정보가 있는지 확인한다. 식별자는 어떠한 방식도 사용될 수 있다.
표정 인식 모듈(533)은 특정 부스(30)의 부스 카메라(310)에서 촬영한 이미지의 얼굴의 표정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호응도 관리 모듈(570)은, 이렇게 확인되는 각각의 얼굴에 대한 호응도를 연산하고, 이를 평균함으로써, 특정 부스(30)에 대한 방문객의 호응도를 수치적으로 연산할 수 있다.
부스 접근 확인 모듈(540)은, 영상 인식 모듈(530)을 통하여, 특정 부스(30)의 부스 카메라(310)에서 촬영한 이미지에 새롭게 얼굴 또는 식별자가 인식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부스(30)에 방문객이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방문객의 접근이 확인된 경우, 이는 부스 디스플레이부(320)를 통해 부스(30)의 입점 업체에 제공될 수 있다.
부스 체류시간 관리 모듈(550)은, 영상 인식 모듈(530)을 통하여, 특정 부스(30)의 부스 카메라(310)에서 촬영한 이미지에 새롭게 얼굴 또는 식별자가 인식된 시간 및 인식이 종료된 시간을 확인함으로써, 해당 방문객이 해당 부스(30)에 체류한 시간을 확인한다. 이는 차후 부스(30)의 입점 업체에 유용한 데이터로 제공된다.
동선 관리 모듈(560)은, 부스 체류시간 관리 모듈(570)에서 확인한 얼굴 또는 식별자의 최초 인식 시간 및/또는 체류시간 등을 이용하여 특정 방문객의 전시장 내 동선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확인된 동선은 동선 데이터베이스(620)에 저장되어, 차후 부스(30)의 입점 업체에 유용한 데이터로 제공된다.
부스 정보 관리 모듈(580)은, 전시장 및 부스 데이터베이스(630)와 연계되어, 부스 정보를 관리한다. 전시장 전체 지도 및 부스(30) 각각의 입점 업체 정보 등을 관리할 수 있다. 방문객이 방문객 단말기(900)를 통하여 특정 업체의 정보를 요청한 경우, 부스 정보 관리 모듈(580)이 이를 확인하여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방문객이 방문객 단말기(900)를 통하여 특정 부스(30)까지 가는 경로 정보를 요청한 경우, 부스 정보 관리 모듈(580)을 이용하여 해당 부스(3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2. 시스템에 따른 관리 방법
2.1. 등록 단계
행사 개최 업체는, 행사 개최 전 인터넷 등과 같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접근한 메인 서버(500)의 등록 관리 모듈(510)을 이용하여 방문객을 등록할 수 있다. 등록 관리 모듈(510)을 통하여 방문객의 이름, 소속, 부서, 직책, 메일, 및 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입력되며, 등록 데이터베이스(610)에 저장된다.
사전에 등록한 방문객은 행사 개최 당일 등록구역(10)에 접근하여 인증을 받게 된다. 등록 카메라(110)를 통하여 확인된 이미지에서 영상 인식 모듈(530)을 통하여 방문객의 얼굴이 인식되면, 등록 관리 모듈(510)은 이에 상응하는 고유 코드를 생성하고 등록 데이터베이스(610)에 사전에 저장된 방문객 정보와 매핑하여 이를 저장한다.
한편, 행사 개최 전에 등록되지 않고, 행사 개최 당일에 등록구역(10)에 직접 접근하여 등록하고자 하는 방문객의 경우에도 등록 단말기(120)를 통해 등록될 수 있다.
또한, 방문객 중 얼굴의 인식을 원하지 않는 경우, 등록구역(10)에서는 얼굴을 대신할 별도의 식별자를 출력하여 방문객이 부착하고 이동하도록 교부할 수도 있다.
2.2. 입장 단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위의 등록 단계를 마친 방문객이 입구(10)로 접근하면, 입구에 설치된 입장 카메라(210)가 얼굴 또는 식별자를 확인한다(S310).
영상 인식 모듈(530)이 입장 카메라(210)에서 확인된 이미지로부터 얼굴 또는 식별자를 추출하면, 입장 관리 모듈(520)이 등록 데이터베이스(610)에 이에 상응하는 얼굴 또는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20).
등록 데이터베이스(61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해당 방문객은 등록된 방문객이기에 진입이 가능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알람 발생부(220)가 작동한다(S330).
진입 가능 여부는 입구(10)에 설치된 별도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2.3. 전시장 방문 단계
2.3.1. 방문객의 이동에 따른 부스의 확인
도 4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방문객이 전시장 내에서 이동하다 특정 부스(30)에 접근하여 부스 카메라(310)의 가시 범위 내에 접근한다.
부스 카메라(310)가 방문객의 얼굴 또는 식별자를 확인하면(S410), 영상 인식 모듈(530)이 해당 이미지에서 얼굴 또는 식별자를 인식하여 등록 데이터베이스(610)로부터 방문객을 식별한다(S42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 디스플레이부(320)는 부스 카메라(310)의 촬영 영상과 함께 식별된 방문객의 인식 부분(얼굴 또는 식별자)을 함께 도시하여 부스 입점 업체에 이를 알려줄 수 있다(S430).
VIP 관리 모듈(511)은 식별된 방문객이 기 설정된 VIP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440). 기 설정된 VIP인 경우에는 송수신기(700)를 이용하여 부스 입점 업체 직원이 소지하는 부스 단말기(800)에 기 설정된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S445). 이를 통하여 부스 입점 업체는 중요 바이어 등을 효과적으로 응대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 디스플레이부(320)에서 VIP 정보가 함께 도시될 수도 있다.
한편, 부스 체류시간 관리 모듈(550)은, 부스 카메라(310)가 방문객의 얼굴 또는 식별자를 확인한 순간부터 실시간으로 체류시간을 카운팅하기 시작하고 부스 카메라(310)의 인식이 종료될 때에 카운팅을 종료함으로써 체류시간을 연산한다(S450 ~ 470).
이를 통하여, 방문객, 방문한 부스(30), 체류 시작 시각 및 체류시간이 확인되고, 이는 동선 데이터베이스(620)에 저장된다(S480). 이와 같이 저장된 정보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선 관리 모듈(560)은 상기의 정보를 토대로 해당 방문객의 동선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체류시간은 고려되지 않은 동선 표시이나, 체류시간까지 고려되어 오래 체류한 부스(30)일수록 보다 짙은 색으로 표현되고 저장될 수 있다.
한편, S480 단계에 의하여, 부스 체류시간 확인 모듈(550)은 모든 방문객의 체류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VIP로 기 설정된 방문객이 아닌 일반 방문객이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예를 들어, 20분 이상) 특정 부스(30)에 방문한 경우, VIP 관리 모듈(511)은 해당 방문객을 VIP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S441 단계와 같이, 송수신기(700)가 부스 단말기에 특정 방문객이 VIP로 새롭게 설정되었음을 통보할 수도 있다.
한편, 방문객이 방문한 부스(30)는 연속적으로 누적되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다. 이를 통하여 특정 방문객이 특정 부스(30)를 재방문할 경우, 해당 부스(30)의 부스 디스플레이부(320)에는 방문객의 방문 횟수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2.3.2. 방문객의 부스 검색 및 위치 확인
방문객 입장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안을 설명한다. 방문객은 자신의 단말기(900)에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함으로써 전시장과 관련된 아래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첫째, 방문객은 사전에 방문할 부스(30)를 선택하고 해당 업체의 정보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
방문객은, 방문객 단말기(900)를 이용하여 행사 개최 전 또는 방문 동안, 방문하고자 하는 부스(30)의 업체를 미리 선택하여 메인 서버(500)에 그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전시장 및 부스 데이터베이스(630)에는 각각의 부스(30)들의 입점 업체의 정보(예를 들어, 간략한 정보 및 담당자 연락처)가 미리 저장되어 있어서, 부스 정보 관리 모듈(580)은 요청받은 부스 정보를 송수신기(700)를 이용하여 방문객 단말기(900)에 송신할 수 있다.
둘째, 방문객은 현재의 자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방문하고자 하는 부스(30)의 위치 역시 확인할 수 있다.
방문객은, 방문객 단말기(900)를 이용하여 현재의 자신의 위치 및 방문하고자 하는 부스(30)의 위치를 메인 서버(500)에 요청할 수 있다.
먼저, 부스 접근 확인 모듈(540)을 통하여 요청한 방문객의 영상이 확인된 부스 카메라(310)를 확인함으로써 방문객의 위치를 부스(30)의 위치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도 8에서 "현위치"로 도시된다.
다음, 부스 정보 관리 모듈(580)은 전시장 및 부스 데이터베이스(630)에 기 저장된 전시장 전체 맵과 요청받은 부스(30)의 위치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에서 "A사"로 도시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별도의 GPS 등의 장비 없이도 위치 확인 및 경로 안내가 가능하다.
셋째, 그 외에도,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간략한 메모, 방문 부스(30)의 업체로부터 직접 메시지 송수신 등을 제공할 수 있다.
2.4 사후 통계 단계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 의하여 많은 종류의 데이터가 누적되어 저장된다. 이는, 사후 전시장 평가, 부스 입점 업체의 자체적 평가, 방문객의 정보 재검색 등에 사용된다.
첫째, 등록 관리 모듈(510) 및 입장 관리 모듈(520)을 통하여 전시장 총 방문객 수, 각각의 부스(30)별 방문객 수 정보가 날짜, 시간 등 소정의 기준에 따라 정렬되어 통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등록 데이터베이스(610)를 통하여, 방문객의 소속별, 나이별, 성별 등이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다.
둘째, 표정 인식 모듈(533) 및 호응도 관리 모듈(570)을 통하여, 전시장 총 호응도, 각각의 부스(30)별 호응도 정보가 시간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부스(30)에 입점한 업체에서는, 어떠한 시간에 호응도가 높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어떠한 정보에 대한 반응이 좋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서 유용한 정보가 제공된다.
셋째, 동선 관리 모듈(560)을 통하여 방문객, 특히 VIP의 동선의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전시장 개최 입장에서는 향후 효과적인 동선 설정을 위한 중요 자료가 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등록구역
20: 입구
30: 부스
110: 등록 카메라
120: 등록 단말기
150, 250, 350: 중계기
210: 입장 카메라
220: 알람 발생부
310: 부스 카메라
320: 부스 디스플레이부
500: 메인 서버
510: 등록 관리 모듈
511: VIP 관리 모듈
520: 입장 관리 모듈
530: 영상 인식 모듈
531: 얼굴 인식 모듈
532: 식별자 인식 모듈
533: 표정 인식 모듈
540: 부스 접근 확인 모듈
550: 부스 체류시간 관리 모듈
560: 동선 관리 모듈
570: 호응도 관리 모듈
580: 부스 정보 관리 모듈
610: 등록 데이터베이스
620: 동선 데이터베이스
630: 전시장 및 부스 데이터베이스
700: 송수신기
800: 부스 단말기
900: 방문객 단말기

Claims (9)

  1. 방문객의 정보 및 영상을 등록 데이터베이스(610)에 매핑하여 입력하는 등록 관리 모듈(510); VIP로서 기 설정된 방문객이 입력되는 VIP 관리 모듈(511); 및 부스 카메라(310)가 확인한 영상에 매핑되는 방문객을 상기 등록 데이터베이스(610)에서 확인함으로써 부스에 방문객이 접근하였음을 확인하는 부스 접근 확인 모듈(540);을 포함하는 메인 서버(500); 및
    상기 메인 서버(500)와 소통하는 송수신부(700)를 포함하는 영상 인식을 이용한 전시장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방문객의 영상은, 방문객의 얼굴이거나 또는 방문객에 부착되도록 기 설정된 식별자이며, 그리고
    상기 부스 접근 확인 모듈(540)에서 확인한 방문객이 기 설정된 VIP인 경우, 상기 등록 데이터베이스(610)에 입력된 상기 VIP의 정보가 상기 부스 카메라(310)가 설치된 부스(300)에 상응하는 부스 단말기(800)에 전송되고,
    상기 메인 서버(500)는 상기 부스 카메라(310)가 방문객의 영상을 최초로 확인한 시각인 체류 시작 시각 및 상기 방문객의 영상의 확인이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인 체류시간을 통하여 방문객의 동선을 연산하는 동선 관리 모듈(560);
    상기 부스 카메라(310)에서 확인한 얼굴 각각의 영상의 표정을 인식하는 표정 인식 모듈(533)을 구비한 영상 인식 모듈(530); 및
    상기 인식된 표정에 상응하는 호응도를 연산하고, 상기 부스 카메라(310)가 설치된 부스의 호응도를 관리하는 호응도 관리 모듈(57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식을 이용한 전시장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 접근 확인 모듈(540)은, 상기 부스 접근 확인 모듈(540)에서 방문객을 확인한 경우 상기 등록 데이터베이스(610)에서 상기 확인된 방문객의 정보를 부스 디스플레이부(320)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식을 이용한 전시장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500)는 상기 체류 시작 시각 및 상기 체류시간을 동선 데이터베이스(620)에 저장하는 부스 체류시간 관리 모듈(5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식을 이용한 전시장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인식 모듈(530)은 얼굴 인식 모듈(531) 및 식별자 인식 모듈(53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얼굴 인식 모듈(531)은 상기 부스 카메라(310)에서 확인한 얼굴의 영상을 인가받아 상기 등록 데이터베이스(610)를 이용하여 방문객을 식별하며,
    상기 식별자 인식 모듈(532)은 상기 부스 카메라(310)에서 확인한 식별자의 영상을 인가받아 상기 등록 데이터베이스(610)를 이용하여 방문객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식을 이용한 전시장 관리 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500)는 부스 정보 관리 모듈(58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서버(500)가 송수신기(700)를 통하여 방문객으로부터 부스 정보 요청을 받은 경우,
    상기 부스 정보 관리 모듈(580)은 전시장 및 부스 데이터베이스(630)에서 요청받은 부스에 대하여 기 저장된 정보를 확인하여, 이를 상기 송수신기(700)를 통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식을 이용한 전시장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500)가 상기 송수신기(700)를 통하여 방문객으로부터 부스의 위치 정보 확인 요청을 받은 경우,
    상기 부스 정보 관리 모듈(580)은 상기 전시장 및 부스 데이터베이스(630)에 기 저장된 전시장 맵과 상기 요청받은 부스의 위치를 출력하고, 상기 부스 접근 확인 모듈(540)을 통하여 상기 요청한 방문객의 영상이 확인된 부스 카메라(310)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방문객의 위치를 상기 확인된 부스 카메라(310)가 설치된 부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식을 이용한 전시장 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500)는 입장 관리 모듈(5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입장 관리 모듈(520)은, 입장 카메라(210)가 확인한 영상이 상기 등록 데이터베이스(610)에 기 저장된 영상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식을 이용한 전시장 관리 시스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 체류시간 관리 모듈(550)에 의하여 확인된 체류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인 방문객이 VIP로 기 설정된 방문객이 아닌 경우, 상기 VIP 관리 모듈(510)은 해당 방문객을 VIP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식을 이용한 전시장 관리 시스템.
KR1020120045659A 2012-04-30 2012-04-30 영상 인식을 이용한 전시장 관리 시스템 KR101382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659A KR101382063B1 (ko) 2012-04-30 2012-04-30 영상 인식을 이용한 전시장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659A KR101382063B1 (ko) 2012-04-30 2012-04-30 영상 인식을 이용한 전시장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378A KR20130122378A (ko) 2013-11-07
KR101382063B1 true KR101382063B1 (ko) 2014-04-04

Family

ID=49852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659A KR101382063B1 (ko) 2012-04-30 2012-04-30 영상 인식을 이용한 전시장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0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5320A (zh) * 2018-11-24 2019-02-15 深圳市晓舟科技有限公司 客户类型识别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1937A (ko) * 2003-03-17 2004-09-23 김종현 전시회 참가업체의 카테고리에 따른 방문객 분류시스템 및그 방법
KR20060024524A (ko) * 2004-09-14 2006-03-17 이승현 전시시설물에 대한 정보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80090035A (ko) * 2007-04-03 2008-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웹 서비스를 이용한 방문자 식별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01475A (ko) * 2007-04-17 2009-01-09 주식회사 킨텍스 전시회에서 참가업체와 참관객을 매칭하기 위한 방법 및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1937A (ko) * 2003-03-17 2004-09-23 김종현 전시회 참가업체의 카테고리에 따른 방문객 분류시스템 및그 방법
KR20060024524A (ko) * 2004-09-14 2006-03-17 이승현 전시시설물에 대한 정보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80090035A (ko) * 2007-04-03 2008-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웹 서비스를 이용한 방문자 식별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01475A (ko) * 2007-04-17 2009-01-09 주식회사 킨텍스 전시회에서 참가업체와 참관객을 매칭하기 위한 방법 및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378A (ko)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5512B2 (ja) 情報管理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管理方法
KR102028858B1 (ko) 통합 전시회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US200902875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mporaneous product information and sales support for retail customers
JP5003307B2 (ja) 混雑情報提供システム
CN102172007A (zh) 集成社交网站信息的会议网络系统
KR20220044462A (ko) 스마트 전시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1888922B1 (ko) 매장용 고객 관리 및 고객 행동 분석 시스템
WO2014189170A1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시회 입장권 발권 및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160009686A (ko) 증강 현실 콘텐츠를 스크리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80122095A (ko) 스마트 파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장 위치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
KR20200080505A (ko) 지능형 소상공인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Sahba Museum automation with RFID
KR20170011107A (ko) 범용 인터넷과 비컨을 활용한 통합 모바일 주문 시스템
JP2007241903A (ja) 観光客の動態記録方法
KR101382063B1 (ko) 영상 인식을 이용한 전시장 관리 시스템
WO2005066862A1 (ja) 移動体通信端末の位置情報を用いたマイレージ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20130056509A (ko) 차량번호 인식 기반의 서비스정보 제공시스템
KR20120038642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제공시스템 및 방법
JP7267137B2 (ja) 情報処理装置
KR20220102985A (ko) 사물인터넷기반 숙박업무관리 통합 솔루션 플랫폼 시스템
CN110826870A (zh) 景区消费的管理方法及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0113045A (ja) 総合受付管理システム
KR101210802B1 (ko) 체류시간을 이용한 전시 시설물의 유비쿼터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34997A (ko) 단기보험상품 가입 방법과 그 장치
KR102122686B1 (ko) 군관사정보 관리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