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3965A -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3965A
KR20220043965A KR1020200126055A KR20200126055A KR20220043965A KR 20220043965 A KR20220043965 A KR 20220043965A KR 1020200126055 A KR1020200126055 A KR 1020200126055A KR 20200126055 A KR20200126055 A KR 20200126055A KR 20220043965 A KR20220043965 A KR 20220043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zel
display
display module
electronic device
bottom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6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3965A/ko
Priority to US17/389,205 priority patent/US20220102673A1/en
Priority to CN202111084065.5A priority patent/CN114333570A/zh
Priority to EP21198199.8A priority patent/EP3974896A1/en
Publication of KR20220043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9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H01L27/3232
    • H01L51/523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8Segmented fram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10K59/8731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전자 장치는, 전면 및 배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으로 영상을 제공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을 수납하는 바텀 샷시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샷시는, 개구부가 정의되고, 상기 표시 모듈과 인접한 내면 및 상기 내면과 대향하는 외면을 포함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상기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베젤부, 및 상기 개구부에 배치된 샷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미감 및 강성이 향상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표시 모듈 및 바텀 샷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묘듈의 표시부는 광원으로부터 생성된 소스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투과형 표시부 또는 표시부 자체에서 소스광을 생성하는 발광형 표시부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는 컬러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화소들에 따라 다른 종류의 컬러제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러제어층은 소스광의 일부 파장범위만 투과시키거나, 소스광의 컬러를 변환시킬 수 있다. 일부의 컬러제어층은 소스광의 컬러는 변경하지 않고, 광의 특성을 변경시킬 수도 있다. 바텀 샷시는 표시 모듈을 수용하고,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베젤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텀 샷시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며, 전자 장치의 전면에서 시인되는 베젤부의 미감이 향상되고, 강성이 향상된 바텀 샷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다른 전자 장치는, 전면 및 배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으로 영상을 제공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을 수납하는 바텀 샷시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샷시는, 개구부가 정의되고, 상기 표시 모듈과 인접한 내면 및 상기 내면과 대향하는 외면을 포함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상기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베젤부, 및 상기 개구부에 배치된 샷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베젤부는, 상기 표시 모듈의 측면을 에워싸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베젤부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베젤부의 엣지 및 상기 바닥부 중 상기 베젤부와 인접한 엣지는, 소정의 곡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의 상기 엣지의 곡률은, 상기 베젤부의 상기 엣지의 곡률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베젤부는, 상기 바닥부와 평행한 제1 베젤부,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경사진 제2 베젤부, 및 상기 제1 베젤부를 두고 상기 제2 베젤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1 베젤부로부터 경사진 제3 베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는, 상기 베젤부가 배치된 제1 바닥부, 및 상기 제1 바닥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개구부가 정의된 제2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닥부의 두께는, 상기 제2 바닥부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바닥부의 두께방향으로 상기 바닥부의 일부가 제거된 그루브가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그루브의 단면상에서의 형상은, 'V'형상, 'U'형상, 및 'ㄷ'형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바닥부 중 상기 개구부를 정의하는 상기 바닥부의 측면과 인접하고, 상기 바닥부의 상기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바닥부와 수직한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1 보강부로부터 상기 바닥부와 평행한 제2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2 보강부로부터 상기 바닥부를 향해 돌출된 제3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와 경사진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1 보강부로부터 상기 바닥부를 향해 경사진 제2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닥부는, 상기 개구부와 인접하고, 상기 샷시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부는,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부 및 하부,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와 연결된 제1 측부 및 제2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베젤부의 상기 상부로부터 연결된 상부, 상기 베젤부의 상기 제1 측부와 연결된 제1 측부, 및 상기 베젤부의 상기 제2 측부와 연결된 제2 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바닥부의 상기 상부, 상기 제1 측부, 상기 제2 측부, 및 상기 베젤부의 상기 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원 공급부, 전원 공급부, 스피커, 메모리, 조도 센서, 및 구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모듈은, 상기 샷시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모듈은, 배치되고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회로 소장층, 상기 트랜지스터와 연결된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소자층, 상기 표시 소자층을 커버하는 상부 절연층을 포함하는 제1 표시 기판, 및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제1 표시 기판과 소정의 이격 공간을 가지고 배치되고, 양자점을 포함하는 컬러 제어층을 포함하는 제2 표시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모듈은,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회로 소자층, 상기 트랜지스터와 연결된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소자층, 상기 표시 소자층을 커버하는 상부 절연층, 및 상기 상부 절연층과 접촉하는 컬러 제어층을 포함하고, 상기 컬러 제어층은, 양자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모듈을 수용하는 바닥부 및 표시 모듈을 에워 싸며 베젤 영역을 정의하는 베젤부를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미감이 향상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QQ'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샷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I-I'를 따라 절단한 바텀 샷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샷시의 일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샷시의 일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샷시의 일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샷시의 일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샷시의 일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샷시의 일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샷시의 일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샷시의 일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샷시의 일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샷시의 일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샷시의 일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샷시의 일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샷시의 펼처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샷시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사시도이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단면도이다.
도 2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 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QQ'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샷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I-I'를 따라 절단한 바텀 샷시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 장치(EA)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EA)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EA)는 텔레비전, 모니터, 또는 외부 광고판과 같은 대형 표시 장치를 비롯하여,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개인 디지털 단말기, 자동차 내비게이션 유닛, 게임기, 휴대용 전자 기기, 및 카메라와 같은 중소형 표시 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장치들은 단지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들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는 이상 다른 전자 장치에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EA)는 텔리비전으로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전자 장치(EA)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에 평행한 액티브 영역(AA)에, 제3 방향(DR3)을 향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은 동적인 영상은 물론 정지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영상이 표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이 정의된다. 전면과 배면은 제3 방향(DR3)에서 서로 대향되고, 전면과 배면 각각의 법선 방향은 제3 방향(DR3)과 평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평면 상에서"는 제3 방향(DR3)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EA)는 표시 모듈(DD), 바텀 샷시(HU), 샷시 커버(SC), 전자 모듈(EM) 및 지지부(SM)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D)의 배면은 바텀 샷시(HU)에 수납되고, 표시 모듈(DD)의 전면은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 모듈(DD)은 후술하는 표시부(DP) 및 표시부(DP)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기판 및 구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SM)는 샷시 커버(SC) 및 바텀 샷시(HU)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표시 모듈(DD)과 바텀 샷시(HU)를 지지할 수 있다. 두 개의 지지부(SM)가 제2 방향(DR2)을 따라 이격되어 샷시 커버(SC)의 하부에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부(SM)는 생략되고, 바텀 샷시(HU)의 배면에 결합된 체결부를 통해 벽면과 연결될 수 있으며, 별도의 받침대가 제공될 수 있다.
전자 장치(EA)는 베젤 영역(BZA)을 포함할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액티브 영역(AA)을 에워 쌀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베젤 영역(BZA)은 바텀 샷시(HU)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바텀 샷시(HU)가 표시 모듈(DD)을 지지하기 위해 표시 모듈(DD)의 측면을 에워싸며, 이때, 바텀 샷시(HU)가 표시 모듈(DD)을 에워싸는 베젤부(BZ)는 사용자에게 시인되어 베젤 영역(BZA)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바텀 샷시(HU)는 수용부(CB) 및 샷시 플레이트(CP)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CB)는 샷시 플레이트(CP)가 배치되는 개구부(CP-H)가 정의될 수 있으며, 샷시 플레이트(CP)는 개구부(CP-H)에 수납될 수 있다. 수용부(CB)는 표시 모듈(DD)의 일부가 수용되어 표시 모듈(DD)을 지지하고, 샷시 플레이트(CP)에는 전자 모듈(EM)이 수용될 수 있다.
전자 모듈(EM)은 표시 모듈(DD)을 구동하거나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모듈(EM)은 메인보드, 전원 공급부, 스피커, 메모리, 조도 센서, 구동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모듈(EM)은 표시 모듈(DD)와 연결되어 샷시 플레이트(CP)에 수납되고, 샷시 커버(SC)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샷시 커버(SC)는 전자 모듈(EM)을 커버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전자 모듈(EM)을 보호할 수 있다. 샷시 커버(SC)는 바텀 샷시(HU)와 결합되어 전자 장치(ED)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바텀 샷시(HU)의 구성 중 샷시 플레이트(CP)가 분리된 수용부(CB)를 도시하였다.
수용부(CB)는 베젤부(BZ) 및 바닥부(BH)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젤부(BZ)의 형상에 의해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베젤 영역(BZA)이 정의될 수 있다. 베젤부(BZ)는 표시 모듈(DD)의 측면을 에워쌀 수 있다. 수용부(CB)는 샷시 플레이트(CP)가 배치되는 개구부(CP-H)가 정의될 수 있다.
베젤부(BZ)는 상부(BZ-U), 하부(BZ-B), 제1 측부(BZ-L), 및 제2 측부(BZ-R)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BZ-U), 하부(BZ-B), 제1 측부(BZ-L), 및 제2 측부(BZ-R) 각각은 표시 모듈(DM)의 측면들 중 대응되는 측면을 에워쌀 수 있다. 상부(BZ-U), 하부(BZ-B), 제1 측부(BZ-L), 및 제2 측부(BZ-R)는 실질적으로 표시 모듈(DD)의 액티브 영역(AA)을 에워 싸며, 사용자에게 시인되어 베젤 영역(BZA)을 정의할 수 있다.
상부(BZ-U) 및 하부(BZ-B) 각각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DR1)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부(BZ-L) 및 제2 측부(BZ-R) 각각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고, 제2 방향(DR2)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부(BZ-U) 및 하부(BZ-B)와 연결될 수 있다. 상부(BZ-U) 및 하부(BZ-B)의 길이는 제1 측부(BZ-L) 및 제2 측부(BZ-R)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바닥부(BH)는 상부(BH-U), 제1 측부(BH-L), 및 제2 측부(BH-R)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BH-U)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제1 측부(BH-L) 및 제2 측부(BH-R)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닥부(BH)의 상부(BH-U)는 베젤부(BZ)의 상부(BZ-U)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BH-U)의 일 측은 베젤부(BZ)의 상부(BZ-U)와 연결되고, 상기 일 측과 대향되는 상부(BH-U)의 타 측은 개구부(CP-H)의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제1 측부(BH-L) 및 제2 측부(BH-R) 각각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제1 측부(BH-L) 및 제2 측부(BH-R)는 상부(BH-U)를 사이에 두고 제2 방향(DR2)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바닥부(BH)의 제1 측부(BH-L)는 베젤부(BZ)의 제1 측부(BZ-L)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측부(BH-L)의 일 측은 베젤부(BZ)의 제1 측부(BZ-L)와 연결되고, 상기 일 측과 대향되는 제1 측부(BH-L)의 타 측은 개구부(CP-H)의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바닥부(BH)의 제2 측부(BH-R)는 베젤부(BZ)의 제2 측부(BZ-R)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측부(BH-R)의 일 측은 베젤부(BZ)의 제2 측부(BZ-R)와 연결되고, 상기 일 측과 대향되는 제2 측부(BH-R)의 타 측은 개구부(CP-H)의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텀 샷시(HU)에 정의된 개구부(CP-H)는 바닥부(BH)의 상부(BH-U)의 타측, 제1 측부(BH-L)의 타측, 제2 측부(BH-R)의 타측, 및 베젤부(BZ)의 하부(BZ-B)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부(CB)는 결합된 상태에 제1 좌측 결합선(BL-L1), 제2 좌측 결합선(BL-L2), 제1 우측 결합선(BL-R1), 및 제2 우측 결합선(BL-R2)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선들에 관한 설명은 도 18a 및 도 18b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5에는 베젤부(BZ)의 제1 측부(BZ-L, 이하, 베젤부)와 바닥부(BH)의 제1 측부(BH-L, 이하, 바닥부)의 관계를 도시하였으나, 후술하는 설명은 베젤부(BZ)와 바닥부(BH)의 다른 영역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될 바닥부 및 베젤부는 실질적으로 하나의 구성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점선으로 영역을 구분하여 표시하였다. 또한, 바닥부 및 베젤부는 동일 물질을 포함하며, 동일한 사출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구성일 수 있다.
바닥부(BH-L)는 외면(B-E), 내면(B-I), 및 측면(B-S)을 포함할 수 있다. 외면(B-E)은 전자 장치(EA)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으며, 내면(B-I)은 표시 모듈(DD)이 수납되어 표시 모듈(DD)과 인접한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측면(B-S)은 개구부(CP-H)를 구성할 수 있다.
베젤부(BZ-L)는 바닥부(BH-L)의 내면(B-I)으로부터 제3 방향(DR3)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베젤부(BZ-L)의 두께로 인해 형성된 베젤부(BZ-L)와 바닥부(BH-L)의 단차에 표시 모듈(DD)이 수납될 수 있다. 표시 모듈(DD)의 측면(DD-S)은 베젤부(BZ-L)와 마주하고, 베젤부(BZ-L)에 의해 에워싸일 수 있다. 표시 모듈(DD)은 접착층(ADL)을 통해 바닥부(BH-L)와 결합될 수 있다. 접착층(ADL)은 접착 물질을 포함하면 어느 하나로 한정되지 않으며, 접착 테이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접착제 또는 접착 테이프 등을 통해 바닥부(BH-L)의 내면(B-I)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모듈(DD)을 수용하는 바닥부(BH) 및 표시 모듈(DD)을 에워 싸며 베젤 영역(BZA)을 정의하는 베젤부(BZ)를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미감이 향상된 전자 장치(EA)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샷시의 일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샷시의 일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단면도 중 왼쪽 영역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 동일/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용부(CB-1)는 바닥부(BH-1) 및 베젤부(BZ-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젤부(BZ-1)는 바닥부(BH-1)로부터 제3 방향(DR3)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젤부(BZ-1)는 단면상에서 소정의 곡률을 포함할 수 있다. 곡률을 포함하는 베젤부(BZ-1)의 부분은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부분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용부(CB-2)는 바닥부(BH-2) 및 베젤부(BZ-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젤부(BZ-2)는 바닥부(BH-2)로부터 제3 방향(DR3)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젤부(BZ-2)는 제1 베젤부(B1), 제2 베젤부(B2), 및 제3 베젤부(B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젤부(B1)는 바닥부(BH-2)와 평행할 수 있다. 제2 베젤부(B2)는 제1 베젤부(B1)로부터 경사질 수 있다. 제3 베젤부(B3)는 제1 베젤부(B1)를 사이에 두고 제2 베젤부(B2)와 이격되고, 제1 베젤부(B1)로부터 경사질 수 있다.
제1 베젤부(B1), 제2 베젤부(B2), 및 제3 베젤부(B3)는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부분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샷시의 일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샷시의 일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샷시의 일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단면도 중 왼쪽 영역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 동일/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용부(CB-A)는 바닥부(BH-A) 및 베젤부(BZ-A)를 포함할 수 있다.
베젤부(BZ-A)는 바닥부(BH-A)로부터 제3 방향(DR3)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젤부(BZ-A)는 제4 베젤부(B4), 제5 베젤부(B5), 및 제6 베젤부(B6)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베젤부(B4)는 바닥부(BH-A)와 평행할 수 있다. 제5 베젤부(B5)는 소정의 제1 곡률(M1)을 포함할 수 있다. 제6 베젤부(B6)는 제4 베젤부(B4)를 사이에 두고 제2 베젤부(B5)와 이격되고, 제5 베젤부(B5)와 동일한 곡률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BH-A) 중 바텀 샷시(HU)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바닥부(BH-A)의 엣지는, 제2 곡률(M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곡률(M2)는 제1 곡률(M1)보다 클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용부(CB-B)는 바닥부(BH-B) 및 베젤부(BZ-B)를 포함할 수 있다.
베젤부(BZ-B)는 바닥부(BH-B)로부터 제3 방향(DR3)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부(BH-B)는 제1 바닥부(H1) 및 제2 바닥부(H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닥부(H2)는 제1 바닥부(H1)로부터 개구부(CP-H)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베젤부(BZ-B)는 제1 바닥부(H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2 바닥부(H2)의 끝 단은 개구부(CP-H)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바닥부(H1)의 제3 방향(DR3)에서의 두께는 제2 바닥부(H2)의 제3 방향(DR3)에서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베젤부(BZ-B), 제1 바닥부(H1) 및 제2 바닥부(H2)는 실질적으로 하나의 구성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점선으로 구분하여 도시였다.
표시 모듈(DD)이 수용부(CB-B)에 수납될 때, 표시 모듈(DD)의 배면에 배치된 구성과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바닥부들(H1, H2)를 포함함에 따라, 표시 모듈(DD)의 배면에 배치된 구성들과 표시 모듈(DD)이 단차를 형성하더라도, 수용부(CB-B)에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용부(CB-C)는 바닥부(BH-C) 및 베젤부(BZ-C)를 포함할 수 있다.
베젤부(BZ-C)는 바닥부(BH-C)로부터 제3 방향(DR3)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부(BH-C)는 제1 바닥부(H3) 및 제2 바닥부(H4)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바닥부(H4)는 제3 바닥부(H3)로부터 개구부(CP-H)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베젤부(BZ-C)는 제3 바닥부(H3)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4 바닥부(H4)의 끝 단은 개구부(CP-H)를 구성할 수 있다.
제3 바닥부(H3)의 제3 방향(DR3)에서의 두께는 제4 바닥부(H4)의 제3 방향(DR3)에서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젤부(BZ-C)의 엣지는 제3 곡률(M3)을 포함하고, 제3 바닥부(H3)의 엣지는 제4 곡률(M4)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곡률(M4)은 제3 곡률(M3)보다 클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샷시의 일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샷시의 일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샷시의 일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단면도 중 왼쪽 영역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 동일/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용부(CB-D)는 바닥부(BH-D) 및 베젤부(BZ-D)를 포함할 수 있다. 베젤부(BZ-D)는 바닥부(BH-D)로부터 제3 방향(DR3)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바닥부(BH-D)는 제1 그루브(B-G1)가 정의될 수 있다. 제1 그루브(B-G1)는 바닥부(BH-D)의 두께 방향인 제3 방향(DR3)으로 바닥부(BH-D)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그루브(B-G1)는 베젤부(BZ-D)가 연장된 형상을 따라 바닥부(BH-D)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그루브(B-G1)는 삼각 형상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루브(B-G1)를 구성하는 바닥부(BH-D)의 내측면들의 형상은 'V'형상일 수 있다.
도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용부(CB-E)는 바닥부(BH-E) 및 베젤부(BZ-E)를 포함할 수 있다. 베젤부(BZ-E)는 바닥부(BH-E)로부터 제3 방향(DR3)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바닥부(BH-E)는 제2 그루브(B-G2)가 정의될 수 있다. 제2 그루브(B-G2)는 바닥부(BH-E)의 두께 방향인 제3 방향(DR3)으로 바닥부(BH-E)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그루브(B-G2)는 베젤부(BZ-E)가 연장된 형상을 따라 바닥부(BH-E)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그루브(B-G2)는 곡률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그루브(B-G2)를 구성하는 바닥부(BH-E)의 내측면들의 형상은 'U'형상일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용부(CB-F)는 바닥부(BH-F) 및 베젤부(BZ-F)를 포함할 수 있다. 베젤부(BZ-F)는 바닥부(BH-F)로부터 제3 방향(DR3)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바닥부(BH-F)는 제3 그루브(B-G3)가 정의될 수 있다. 제3 그루브(B-G3)는 바닥부(BH-F)의 두께 방향인 제3 방향(DR3)으로 바닥부(BH-F)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그루브(B-G3)는 베젤부(BZ-F)가 연장된 형상을 따라 바닥부(BH-F)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 그루브(B-G3)는 각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그루브(B-G3)를 구성하는 바닥부(BH-F)의 내측면들의 형상은 'ㄷ'형상일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바닥부에 바닥부의 일부가 제거된 그루브르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바닥부와 베젤부의 경계를 간접적으로 시인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감이 향상된 전자 장치(EA)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샷시의 일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샷시의 일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샷시의 일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샷시의 일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도 5에 도시된 단면도 중 오른쪽 영역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 동일/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 내지 도 17에서 설명할 수용부들에 포함된 베젤부는 생략하여 도시하였으며, 도 5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베젤부 및 바닥부에 관한 실시예들도 도 14 내지 도 17에서 설명할 수용부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수용부(CB-G)는 베젤부(미도시), 바닥부(BH-G), 및 보강부(BG-G)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BH-G)는 내면(B-I), 외면(B-E), 및 측면(B-S)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BG-G)는 바닥부(BH-G)를 사이에 두고 베젤부(미도시)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개구부(CP-H)와 인접할 수 있다.
보강부(BG-G)는 제1 보강부(BG1) 및 제2 보강부(BG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강부(BG1)는 바닥부(BH-G)의 외면(B-E)으로부터 돌출되고, 바닥부(BH-G)와 수직할 수 있다. 제2 보강부(BG2)는 제1 보강부(BG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 보강부(BG2)는 제1 보강부(BG1)로부터 베젤부(미도시)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바닥부(BH-G)와 평행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수용부(CB-H)는 베젤부(미도시), 바닥부(BH-H), 및 보강부(BG-H)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BH-H)는 내면(B-I), 외면(B-E), 및 측면(B-S)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BG-H)는 바닥부(BH-H)를 사이에 두고 베젤부(미도시)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개구부(CP-H)와 인접할 수 있다.
보강부(BG-H)는 제1 보강부(BH1), 제4 보강부(BH2), 및 제5 보강부(BH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강부(BH1)는 바닥부(BH-H)의 외면(B-E)으로부터 돌출되고, 바닥부(BH-H)와 수직할 수 있다. 제2 보강부(BH2)는 제1 보강부(BH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 보강부(BH2)는 제1 보강부(BH1)로부터 베젤부(미도시)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바닥부(BH-H)와 평행할 수 있다. 제3 보강부(BH3)는 제2 보강부(BH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3 보강부(BH3)는 바닥부(BH-H)의 외면(B-E)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바닥부(BH-H)와 수직하며, 제1 보강부(BH1)와 평행할 수 있다.
도 16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수용부(CB-I)는 베젤부(미도시), 바닥부(BH-I), 및 보강부(BG-I)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BH-I)는 내면(B-I), 외면(B-E), 및 측면(B-S)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BG-I)는 바닥부(BH-I)를 사이에 두고 베젤부(미도시)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개구부(CP-H)와 인접할 수 있다.
보강부(BG-I)는 제1 보강부(BI1) 및 제2 보강부(BG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강부(BI1)는 바닥부(BH-I)의 외면(B-E)으로부터 돌출되고, 바닥부(BH-I)와 경사질 수 있다. 제2 보강부(BI2)는 제1 보강부(BH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바닥부(BH-I)의 외면(B-E)과 제1 보강부(BH1)가 이루는 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제2 보강부(BI2)는 제1 보강부(BI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 보강부(BI2) 바닥부(BH-H)의 외면(B-E)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보강부(BI2)와 제1 보강부(BH1)가 이루는 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서 바닥부(BH-I)의 측면(B-S)이 제1 보강부(BI1)의 연장 방향을 따라 경사진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면(B-S)과 외면(B-E) 및 내면(B-I)이 이루는 각도는 수직일 수 있다.
도 17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수용부(CB-J)는 베젤부(미도시), 바닥부(BH-J), 및 보강부(BG-J)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BH-J)는 내면(B-I), 외면(B-E), 및 측면(B-S)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BG-J)는 바닥부(BH-J)를 사이에 두고 베젤부(미도시)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개구부(CP-H)와 인접할 수 있다. 보강부(BG-J)는 바닥부(BH-J)의 외면(B-E)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부(BG-J)는 바닥부(BH-J)의 외면(B-E)으로 말려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개구부(CP-H)와 인접하고, 바닥부의 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보강부를 포함함에 따라, 강성이 향상된 바텀 샷시를 포함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샷시의 펼처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샷시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 동일/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a는 도 18b의 수용부(CB-S)가 결합되기 이전의 초기 수용부(A-CB)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8b은 도 18a의 초기 수용부(A-CB)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수용부(CB-S)를 도시한 것이다. 초기 수용부(A-CB)는 초기 베젤부 및 초기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수용부에 관한 실시예들은 도 18a 및 도 18b에서 설명하는 수용부(CB-S)의 형성 공정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초기 수용부(A-CB)의 초기 베젤부는, 제2 방향(DR2)으로 순차 배열된 바닥부(BZ-B), 제1 측부(BZ-L), 상부(BZ-U), 및 제2 측부(BZ-R)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BZ-B) 중 제1 측부(BZ-L)으로부터 연장된 일 측과 대향되는 타 측은 제1 경사부(BZ-S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측부(BZ-R) 중 제1 측부(BZ-L)으로부터 연장된 일 측과 대향되는 타 측은 제2 경사부(BZ-S2)를 포함할 수 있다.
초기 수용부(A-CB)의 초기 바닥부는, 제2 방향(DR2)으로 순차 배열된 제1 측부(BH-L), 상부(BH-U), 및 제2 측부(BH-R)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부(BH-L)는 초기 수용부(A-CB)의 제1 측부(BZ-L)로부터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고, 상부(BH-U)는 초기 수용부(A-CB)의 상부(BZ-U)로부터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고, 제2 측부(BH-R)는 초기 수용부(A-CB)의 제2 측부(BZ-R)로부터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초기 수용부(A-CB)는 제1 컷팅부(BL-H1), 제2 컷팅부(BL-H2), 및 제3 컷팅부(BL-H3)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컷팅부들은 대응되는 초기 바닥부 및 초기 베젤부가 제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컷팅부(BL-H1)를 구성하는 초기 베젤부의 제1 측부(BZ-L) 및 제2 측부(BZ-R)의 내측, 초기 바닥부의 제1 측부(BH-L) 및 제2 측부(BH-R)의 내측은 서로 결합되어 수용부(CB-S)의 제1 좌측 결합선(BL-L1)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컷팅부(BL-H2)를 구성하는 초기 베젤부의 상부(BZ-U) 및 제2 측부(BZ-R)의 내측, 초기 바닥부의 상부(BH-U) 및 제2 측부(BH-R)의 내측은 서로 결합되어 수용부(CB-S)의 제1 우측 결합선(BL-R1)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컷팅부(BL-H3)를 구성하는 초기 베젤부의 하부(BZ-B) 및 제1 측부(BZ-L)의 내측은 서로 결합되어 수용부(CB-S)의 제2 좌측 결합선(BL-L2)을 형성할 수 있다.
바닥부(BZ-B)의 경사부(BZ-S1)와 제2 측부(BZ-R)의 제2 경사부(BZ-S2)는 서로 결합되어 제2 우측 결합선(BL-R2)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용부(CB-S)는 체결부(C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샷시 커버(SC, 도 2 참조)는 체결부(CH)를 통해 수용부(CB-S)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CH)는 볼트 및 나사 형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샷시 커버(SC, 도 2 참조)가 체결될 수 있는 형태면 어느 하나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플레이트에서 컷팅부들을 형성하고, 벤딩 시켜 수용부(CB-S)를 형성함에 따라, 미감이 향상되고 강성이 향상된 수용부(CB-S)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베젤부를 제작하는 공정에서 베젤부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생략됨에 따라, 제작 시간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사시도이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단면도이다. 도 2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평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a을 참조하면, 표시부(DP)는 표시면(DP-IS)을 통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DP)는 표시면(DP-IS)은 실질적으로 제2 표시 기판(200)의 외면(200-OS)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부(DP)는 제1 표시 기판(100) 및 제1 표시 기판(100) 마주하며 이격된 제2 표시 기판(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기판(100)과 제2 표시 기판(200) 사이에는 소정의 셀 갭(GP)이 형성될 수 있다.
셀 갭(GP)은 제1 표시 기판(100)과 제2 표시 기판(200)을 결합하는 실런트(SLM)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실런트(SLM)는 제1 표시 기판(100) 및 제2 표시 기판(200)의 엣지를 따라 배치되고 비표시 영역(NDA)에 중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베젤부(BZ, 도 4 참조)는 표시부(DP)의 측면(DD-S)을 에워쌀 수 있다.
제1 표시 기판(100)과 제2 표시 기판(200) 사이에는 이미지 생성을 위한 계조표시층이 배치될 수 있다. 계조표시층은 표시부의 종류에 따라 액정층, 유기발광층, 무기발광층, 및 전기영동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DP)의 제1 표시 기판(100)은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회로 소자층, 트랜지스터와 연결된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회로 소자층 상에 배치된 표시 소자층, 및 표시 소자층을 커버하여 표시 소자층으로 유입되는 수분 및 산소를 차단하는 상부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절연층은 복수의 무기층 및 유기층이 적층된 박막 봉지층일 수 있다.
표시부(DP)의 제2 표시 기판(200)은 표시 소자층에서 제공된 광의 파장을 제어하고, 서로 다른 양자점(Quantum Dot)을 포함하는 컬러 제어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면(DP-IS)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다. 표시면(DP-IS)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는 화소(PX)가 배치되고, 비표시 영역(NDA)에는 화소(PX)가 미배치된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면(DP-IS)의 테두리를 따라 정의된다. 표시 영역(DA)은 비표시 영역(NDA)에 의해 에워싸일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비표시 영역(NDA)은 생략되거나 표시 영역(DA)의 일측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평면형 표시면(DP-IS)을 구비한 표시부(DP)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표시부(DP)는 곡면형 표시면 또는 입체형 표시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입체형 표시면은 서로 다른 방향을 지시하는 복수 개의 표시 영역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표시부(DP)는 표시면(DP-IS)을 커버하는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잇다. 보호 필름은 최 외각에 배치되어 표시부(DP)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수분 및 산소가 표시부(DP)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0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DP-1)는 도 20a에서 설명한 제1 표시 기판(100)과 제2 표시 기판(200)이 셀 갭(GP)을 가지며 실런트(SLM)에 의해 결합되는 것과 달리, 제2 표시 기판(200)이 제1 표시 기판(100)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표시 기판(200)의 컬러 제어층들은 별도의 기판에 형성되어 제1 표시 기판(100)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연속 공정에 의해 컬러 제어층들은 제1 표시 기판(100)의 상부 절연층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도 21에는 신호라인들(GL1~GLn, DL1~DLm) 및 화소들(PX11~PXnm)의 평면상 배치관계를 도시하였다. 신호라인들(GL1~GLn, DL1~DLm)은 복수 개의 게이트 라인들(GL1~GLn),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m)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들(PX11~PXnm) 각각은 복수 개의 게이트 라인들(GL1~GLn) 중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과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m) 중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다. 화소들(PX11~PXnm) 각각은 화소 구동회로 및 표시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들(PX11~PXnm)의 화소 구동회로의 구성에 따라 더 많은 종류의 신호라인이 표시부(DP)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1에는 매트릭스 형태의 화소들(PX11~PXnm)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화소들(PX11~PXnm)은 펜타일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화소들(PX11~PXnm)은 다이아몬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회로(GDC)는 OSG(oxide silicon gate driver circuit) 또는 ASG(amorphose silicon gate driver circuit) 공정을 통해 표시부(DP)에 집적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EA: 전자 장치
DD: 표시 모듈
DP: 표시부
HU: 바텀 샷시
CB: 수용부
BZ: 베젤부
BH: 바닥부

Claims (20)

  1. 전면 및 배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으로 영상을 제공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을 수납하는 바텀 샷시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샷시는,
    개구부가 정의되고,
    상기 표시 모듈과 인접한 내면 및 상기 내면과 대향하는 외면을 포함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상기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베젤부; 및
    상기 개구부에 배치된 샷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부는,
    상기 표시 모듈의 측면을 에워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부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부의 엣지 및 상기 바닥부 중 상기 베젤부와 인접한 엣지는,
    소정의 곡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상기 엣지의 곡률은,
    상기 베젤부의 상기 엣지의 곡률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부는,
    상기 바닥부와 평행한 제1 베젤부;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경사진 제2 베젤부; 및
    상기 제1 베젤부를 두고 상기 제2 베젤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1 베젤부로부터 경사진 제3 베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베젤부가 배치된 제1 바닥부; 및
    상기 제1 바닥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개구부가 정의된 제2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닥부의 두께는,
    상기 제2 바닥부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바닥부의 두께방향으로 상기 바닥부의 일부가 제거된 그루브가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의 단면상에서의 형상은,
    'V'형상, 'U'형상, 및 'ㄷ'형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바닥부 중 상기 개구부를 정의하는 상기 바닥부의 측면과 인접하고,
    상기 바닥부의 상기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바닥부와 수직한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1 보강부로부터 상기 바닥부와 평행한 제2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2 보강부로부터 상기 바닥부를 향해 돌출된 제3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와 경사진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1 보강부로부터 상기 바닥부를 향해 경사진 제2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바닥부는,
    상기 개구부와 인접하고, 상기 샷시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부는,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부 및 하부;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와 연결된 제1 측부 및 제2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베젤부의 상기 상부로부터 연결된 상부;
    상기 베젤부의 상기 제1 측부와 연결된 제1 측부; 및
    상기 베젤부의 상기 제2 측부와 연결된 제2 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바닥부의 상기 상부, 상기 제1 측부, 상기 제2 측부, 및 상기 베젤부의 상기 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원 공급부, 전원 공급부, 스피커, 메모리, 조도 센서, 및 구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모듈은,
    상기 샷시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배치되고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회로 소장층, 상기 트랜지스터와 연결된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소자층, 상기 표시 소자층을 커버하는 상부 절연층을 포함하는 제1 표시 기판; 및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제1 표시 기판과 소정의 이격 공간을 가지고 배치되고, 양자점을 포함하는 컬러 제어층을 포함하는 제2 표시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회로 소자층;
    상기 트랜지스터와 연결된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소자층;
    상기 표시 소자층을 커버하는 상부 절연층; 및
    상기 상부 절연층과 접촉하는 컬러 제어층을 포함하고,
    상기 컬러 제어층은,
    양자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200126055A 2020-09-28 2020-09-28 전자 장치 KR2022004396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055A KR20220043965A (ko) 2020-09-28 2020-09-28 전자 장치
US17/389,205 US20220102673A1 (en) 2020-09-28 2021-07-29 Electronic apparatus
CN202111084065.5A CN114333570A (zh) 2020-09-28 2021-09-14 电子设备
EP21198199.8A EP3974896A1 (en) 2020-09-28 2021-09-22 Electronic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055A KR20220043965A (ko) 2020-09-28 2020-09-28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965A true KR20220043965A (ko) 2022-04-06

Family

ID=78085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055A KR20220043965A (ko) 2020-09-28 2020-09-28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02673A1 (ko)
EP (1) EP3974896A1 (ko)
KR (1) KR20220043965A (ko)
CN (1) CN114333570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49409B2 (en) * 2013-06-14 2015-06-0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20180065064A (ko) * 2016-12-06 2018-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EP3678367B1 (en) * 2017-08-28 2023-12-1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N109996018B (zh) * 2017-12-29 2021-06-2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装置及该显示装置的组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74896A1 (en) 2022-03-30
CN114333570A (zh) 2022-04-12
US20220102673A1 (en)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6135B1 (ko) 연장된 활성 영역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CN108254984B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490964B1 (ko) 개구를 수용하는 데이터 라인들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US9110320B2 (en) Display with bent inactive edge regions
CN107919061B (zh) 显示装置
US8994906B2 (en) Display with multilayer and embedded signal lines
CN111708195A (zh) 显示面板及电子设备
US20110080388A1 (en) Display panel and active device array substrate thereof
US11776469B2 (en)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11990086B2 (en)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CN112037704A (zh) 显示面板及电子设备
KR20210149269A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43965A (ko) 전자 장치
KR20210101359A (ko) 전자패널 및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
US11757074B2 (en) Light-emitting diode display pixels with microlens stacks over light-emitting diodes
CN113325602B (zh) 悬浮显示装置及电子设备
US11088221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blocking unit
US20240122001A1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WO2018168680A1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及び表示パネル
US20240040909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with Off-axis Uniformity
US20240065057A1 (en) Fanout Lines with Shielding in an Active Area
WO2022227031A1 (zh) 阵列基板和显示装置
CN115116347A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2445375A (zh) 显示设备
CN112736115A (zh) 制作电路板的方法和包含电路板的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