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2834A - 가변 급수에 기반한 식물 급수-세척 방법 및 식물 급수-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가변 급수에 기반한 식물 급수-세척 방법 및 식물 급수-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2834A
KR20220042834A KR1020200126138A KR20200126138A KR20220042834A KR 20220042834 A KR20220042834 A KR 20220042834A KR 1020200126138 A KR1020200126138 A KR 1020200126138A KR 20200126138 A KR20200126138 A KR 20200126138A KR 20220042834 A KR20220042834 A KR 20220042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water supply
water
watering
pl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6815B1 (ko
Inventor
김형주
양윤정
조정욱
송학진
오경빈
윤재윤
이은빈
최용근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26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815B1/ko
Publication of KR20220042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2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changing the driving speed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의 가변 제어 및 급수 방향의 랜덤화를 통하여 식물과 토양에 대한 급수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식물 표면의 미세먼지 제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가변 급수에 기반한 식물 급수-세척 방법 및 식물 급수-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과 토양에 급수하기 위한 장치로서, 펌핑 구동으로 물 저장부로부터 물을 급수하는 급수 펌프; 상기 급수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급수 펌프의 토출부에 연결되는 메인 급수 라인; 및 일단부는 상기 메인 급수 라인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폐색되어 식물의 토양부에 구비되는 식물 급수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 펌프를 가변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급수-세척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가변 급수에 기반한 식물 급수-세척 방법 및 식물 급수-세척 장치 {WATER SUPPLY-WASHING METHOD AND WATER SUPPLY-WASHING APPARATUS OF PLANTS BASED ON VARIABLE WATER SUPPLY}
본 발명은 가변 급수에 기반한 식물 급수-세척 방법 및 식물 급수-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급수의 가변 제어 및 급수 방향의 랜덤화를 통하여 식물과 토양에 대한 급수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식물 표면의 미세먼지 제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가변 급수에 기반한 식물 급수-세척 방법 및 식물 급수-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화분이나 화단에 재배하는 화초나 채소 등의 식물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그 식물의 재배 특성에 맞도록 물의 공급량이나 공급주기를 모두 달리하여야 한다.
즉, 식물의 종류에 따라 물이 적게 공급될 경우 줄기나 잎이 마르게 되며, 물이 과잉 공급될 경우에는 뿌리가 썩는 현상이 발생되어 물의 공급 주기나 공급량에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특히, 일반 가정에서 화분이나 화단을 이용해 화초를 재배할 경우 재배 상식이 부족하거나 난(蘭)과 같이 재배하기 어려운 식물에 일정주기와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 외출시 한 번에 많은 량의 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일정기간 물을 공급하지 못함에 따라 원활한 성장을 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진공원리를 이용한 화분받침을 이용하여 식물에 물을 공급하는 장치, 또는 모세관 원리를 이용하여 물을 공급하는 장치가 제안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장치는 화분에 물을 일정량을 공급할 수는 있으나, 공급되는 급수량의 조절은 물론 공급주기 등의 조절이 되지 않음으로써 식물을 성장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부여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다른 급수장치로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1)에 저장된 물을 펌프(2)를 사용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이 펌프(2)의 배출구에 수평 및 수직으로 연설된 배관(4)으로 연결하여 수직연설된 배관의 종단부에 설치된 토출구(5)를 통해 물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식물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급수장치는 인위적으로 스위치(5)를 조작할 경우에만 물이 공급되어 일정시간 또는 주기마다 상기 스위치(5)를 조작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발생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장치는 비닐하우스 및 넓은 경작지역에 사용되어 일반가정에서의 화분이나 화단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 한 것이다.
또한, 종래 고정형 급수 장치는 장기 사용 시, 식물 표면 중 일정 부분만 급수가 이루어지며, 식물의 잎 수 증가 시, 잎 자체가 급수 방해를 하는 경우가 많아 토양에 대한 급수량이 줄어들고, 이로 인해 식물 폐사량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1998-059646(1998.10.26.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051044(2013.05.20.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특1991-0002413(1991.04.22.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98810(2005.10.18.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급수의 가변 제어 및 급수 방향의 랜덤화를 통하여 식물과 토양에 대한 급수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식물 표면의 미세먼지 제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가변 급수에 기반한 식물 급수-세척 방법 및 식물 급수-세척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식물과 토양에 물을 급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급수용 펌프를 가변 제어하여 급수 유속을 다르게 함과 동시에, 급수 방향을 달리하여 급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급수-세척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제어는 브러시리스 모터 펌프를 이용하여 급수를 가변 제어하며, 식물 주변을 나선 형태로 감싸는 연성 튜브를 통해 분사되는 방향과 유속을 달리하여 급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식물과 토양에 급수하기 위한 장치로서, 펌핑 구동으로 물 저장부로부터 물을 급수하는 급수 펌프; 상기 급수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급수 펌프의 토출부에 연결되는 메인 급수 라인; 및 일단부는 상기 메인 급수 라인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폐색되어 식물의 토양부에 구비되는 식물 급수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 펌프를 가변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급수-세척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급수 펌프는 브러시리스 모터 펌프(brushless motor pump)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 펌프로부터 펌핑되는 급수의 유속이 랜덤(random)하게 변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식물 급수 라인은 식물 주변을 하부에서 상부까지 나선 형태로 감싸는 연성 튜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식물 급수 라인에는 사이즈와 분사 방향이 다른 복수의 노즐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식물 급수 라인은 급수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서 하류 측으로 갈수록 라인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거나, 상류 측에서 하류 측으로 갈수록 그 노즐 구멍의 사이즈가 크게 또는 개수가 많게 형성될 수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급수에 기반한 식물 급수-세척 방법 및 식물 급수-세척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식물에 공급되는 물의 가변 제어를 통해 급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급수 방향의 랜덤화를 통하여 식물과 토양에 대한 급수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식물 표면의 미세먼지 제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식물 급수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급수에 기반한 식물 급수-세척 장치의 구성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과의 비교 실험을 위하여 일반적인 식물 급수 장치의 구성을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비교 실험에 이용된 본 발명의 식물 급수 장치의 구성을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반적인 식물 급수 장치와 본 발명의 식물 급수 장치에 대하여 10분간의 물 운송량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A)는 일반적인 식물 급수 장치의 물 운송량 결과의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의 식물 급수 장치의 물 운송량 결과의 그래프이다.
도 6은 일반적인 식물 급수 장치와 본 발명의 식물 급수 장치에서의 식물 생존율을 비교하여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식물 잎 표면에 부착된 미세먼지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8은 일반적인 식물 급수 장치와 본 발명의 식물 급수 장치를 사용하여 세척 후 식물 잎 표면의 미세먼지를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으로, (A)는 일반적인 식물 급수 장치를 이용한 세척 후 사진이며, (B)는 본 발명의 식물 급수 장치를 이용한 세척 후 사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 급수에 기반한 식물 급수-세척 방법 및 식물 급수-세척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급수에 기반한 식물 급수-세척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급수에 기반한 식물 급수-세척 방법은, 식물과 토양에 급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급수용 펌프를 가변 제어하여 급수 유속을 달리하여 식물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급수용 펌프로서는 가변제어가 가능하며 장기적인 사용 수명을 고려하여 브러시리스 모터 펌프(brushless motor pump)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급수에 기반한 식물 급수-세척 방법은, 식물 주변을 하부에서부터 상부까지 나선 형태로 감싸는 연성 튜브를 통해 분사되는 방향과 속도를 달리하여 급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수 방향과 속도를 달리하는 방법은 연성 튜브에 형성되는 노즐 구멍(분사 구멍)의 사이즈를 달리하며, 그 노즐 방향의 분사 방향을 달리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급수에 기반한 식물 급수-세척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식물 급수-세척 장치에 대하여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급수에 기반한 식물 급수-세척 장치의 구성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급수에 기반한 식물 급수-세척 장치는, 식물과 토양에 급수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급수 펌프(100); 제어부(110); 메인 급수 라인(200); 및 식물 급수 라인(3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급수에 기반한 식물 급수-세척 장치는, 식물과 토양에 급수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펌핑 구동으로 물 저장부로부터 물을 급수하는 급수 펌프(100); 상기 급수 펌프(100)를 제어하는 제어부(110); 상기 급수 펌프(100)의 급수 토출부에 연결되는 메인 급수 라인(200); 및 일단부는 상기 메인 급수 라인(20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폐색되어 식물의 토양부에 위치되는 식물 급수 라인(300);을 포함한다.
상기 급수 펌프(100)는 브러시리스 모터 펌프(brushless motor pump)이며, 이러한 브러시리스 모터 펌프는 가변제어가 가능하고 장기적인 사용 수명을 확보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급수 펌프(100)의 펌핑 구동을 가변적으로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급수 펌프(100)를 가변 제어하되 그 급수 펌프(100)로부터 펌핑되는 급수의 유속이 랜덤(random)하게 변화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 라인(200)은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될 식물 급수 라인(300)과 달리 상대적으로 강성 재질의 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아래에서 설명될 식물 급수 라인(300)과 같이 연성 재질의 연성 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급수 라인(200)과 식물 급수 라인(30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식물 급수 라인(300)은 식물 주변을 하부에서부터 상부까지 나선 형태로 감싸는 연성 튜브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물 급수 라인(300)은 미 사용 시에는 와선(spiral)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식물 주변에 설치 시 중앙 끝단부(급수 펌프(100)에 연결되는 측)를 잡고 늘어뜨리게 되면 그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와선 형태로 형성되는 연성 튜브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식물 급수 라인(300)에는 그 식물 급수 라인(300)을 따라 형성되며, 사이즈와 분사 방향이 다른 복수의 노즐 구멍(분사 구멍)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노즐 구멍(분사 구멍)은 그 연성 튜브에서 외측을 향하는 측에는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단일 식물에 대한 급수 시 외측으로 물이 분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다수의 식물이 이웃하여 식재되는 공간, 예를 들면 비닐하우스 등에서 노즐 구멍은 연성 튜브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이 오히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물 급수 라인(300)은 급수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서 하류 측으로 갈수록 라인 직경이 작아지도록(감소하도록) 형성되거나, 상류 측에서 하류 측으로 갈수록 노즐 구멍의 사이즈를 크게 및/또는 개수를 많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식물의 하부 측에서 잎의 크기나 개수가 상대적으로 크고 많기 때문에 하류 측에서 분사되는 급수의 양과 유속을 증대시켜서 급수 효율과 세척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식물 급수 라인(300)에 형성되는 노즐 구멍은 물의 급수 방향을 다양하게 하고, 비균일한 속도(유속)로 물이 식물 및 토양에 골고루 급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식물 급수 라인(300)은 그 상단부가 식물의 높이보다 1/5배에서 2배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발명자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급수-세척 방법 및 식물 급수-세척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서 식물의 생존률과 세척율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도 3은 본 발명과의 비교 실험을 위하여 일반적인 식물 급수 장치의 구성을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비교 실험에 이용된 본 발명의 식물 급수 장치의 구성을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험에서 일반적인 식물 급수 장치는 12V 소형 물펌프를 사용하였으며, 0.5mm의 균일한 직경을 갖는 노즐 5개를 통해 상부에서 급수하는 방식으로 하였다.
또한, 본 실험에서 본 발명의 식물 급수 장치는 실험에서는 식물의 잎 세척을 위해 길이 50cm, 내경 3mm의 튜브에 직경이 다른 노즐을 다방향으로 형성하고 식물의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하여 물이 급수되도록 하였다. 식물로는 25cm의 녹보수(Radermachera sinica)를 사용하였고, 튜브를 식물 중심부에 배치하였다.
제어부를 통해 브러시리스 모터의 속도를 조절하고, 세척은 매일 한번 특정한 시간(15시)에 진행하였으며, 세척을 위해 아크릴 소재의 바이오필터 시스템 안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도 5는 일반적인 식물 급수 장치와 본 발명의 식물 급수 장치에 대하여 10분간의 물 운송량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A)는 일반적인 식물 급수 장치의 물 운송량 결과의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의 식물 급수 장치의 물 운송량 결과의 그래프이다. 도 6은 일반적인 식물 급수 장치와 본 발명의 식물 급수 장치에서의 식물 생존율을 비교하여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20수의 Radermachera sinica(상용명: 녹보수, 식물 높이 25cm, 폭 19cm)를 2개 그룹으로 나눈 후, 1 그룹은 일반적인 급수(도 5 참조), 2 그룹은 본 발명의 급수 방법을 사용하여 12개월간 3일에 1회, 0.5리터(liter) 급수한 결과는 도 5 및 도 6과 같았다.
이때 식물의 배양은 22-25℃에서 80μmol/m2/s 의 형광등 조명하에서 진행 되었으며, 별도의 비료는 공급하지 않았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급수 방법에서 식물은 약 50%의 생존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고정 위치에서 고정 속도로 급수 시, 물의 진행이 토양과 식물에 골고루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낮은 생존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본 발명을 통한 가변 유속 급수는 12개월 후 약 82%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이는 본 발명의 가변 유속, 다방향 노즐이 토양과 식물 전체에 골고루 급수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도 7은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식물 잎 표면에 부착된 미세먼지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8은 일반적인 식물 급수 장치와 본 발명의 식물 급수 장치를 사용하여 세척 후 식물 잎 표면의 미세먼지를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으로, (A)는 일반적인 식물 급수 장치를 이용한 세척 후 사진이며, (B)는 본 발명의 식물 급수 장치를 이용한 세척 후 사진이다.
상기한 실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식물 상단의 잎사귀들이 주로 세척이 되는 기존의 스프링쿨러 형태의 세척 장치와는 다르게, 식물 전체를 휘감는 형태의 본 발명의 식물 급수 장치 및 급수 방법은 식물 하단의 잎사귀도 세척이 용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자연 강우에 의한 자연 급수와 유사한 형태로 인한 식물의 생존율이 증가하고, 자연 강우에 의한 자연 급수와 유사한 형태로 인한 토양 염류집적(soil salinization)이 감소하며, 식물 잎의 세척 기능 뿐만 아니라, 식물의 지지대 역할도 가능하다.
또한, 장기적으로 식물의 동일한 지점에 한정적으로 급수가 진행되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고, 특히 식물 잎사귀에 부착된 미세먼지 등의 세척 능력이 향상되었다.
결국, 화분에 직경이 다른 노즐이 구성된 연성 튜브를 설치한 뒤, 브러시리스 모터 펌프를 사용하여 속도 변화 유도를 통한 급수 방향을 랜덤화함으로써, 급수가 식물 및 화분 전체(토양 포함)에 골고루 이루어지고, 수돗물의 장기적 운용 시 발생하는 토양의 염류화(soil salinization)를 완화시키며, 지하수 공급 시 흔히 발생하는 토양 염류화를 완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급수에 기반한 식물 급수-세척 방법 및 식물 급수-세척 장치에 의하면, 식물에 공급되는 물의 가변 제어를 통해 급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급수 방향의 랜덤화를 통하여 식물과 토양에 대한 급수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식물 표면의 미세먼지 제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급수 펌프
110: 제어부
200: 메인 급수 라인
300: 식물 급수 라인

Claims (6)

  1. 식물과 토양에 물을 급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급수용 펌프를 가변 제어하여 급수 유속을 다르게 함과 동시에, 급수 방향을 달리하여 급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급수-세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제어는 브러시리스 모터 펌프를 이용하여 급수를 가변 제어하며,
    식물 주변을 나선 형태로 감싸는 연성 튜브를 통해 분사되는 방향과 유속을 달리하여 급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급수-세척 방법.
  3. 식물과 토양에 급수하기 위한 장치로서,
    펌핑 구동으로 물 저장부로부터 물을 급수하는 급수 펌프;
    상기 급수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급수 펌프의 토출부에 연결되는 메인 급수 라인; 및
    일단부는 상기 메인 급수 라인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폐색되어 식물의 토양부에 구비되는 식물 급수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 펌프를 가변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급수-세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펌프는 브러시리스 모터 펌프(brushless motor pump)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 펌프로부터 펌핑되는 급수의 유속이 랜덤(random)하게 변화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급수-세척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급수 라인은 식물 주변을 하부에서 상부까지 나선 형태로 감싸는 연성 튜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식물 급수 라인에는 사이즈와 분사 방향이 다른 복수의 노즐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급수-세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급수 라인은 급수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서 하류 측으로 갈수록 라인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거나, 상류 측에서 하류 측으로 갈수록 그 노즐 구멍의 사이즈가 크게 또는 개수가 많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급수-세척 장치.
KR1020200126138A 2020-09-28 2020-09-28 가변 급수에 기반한 식물 급수-세척 방법 및 식물 급수-세척 장치 KR102526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138A KR102526815B1 (ko) 2020-09-28 2020-09-28 가변 급수에 기반한 식물 급수-세척 방법 및 식물 급수-세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138A KR102526815B1 (ko) 2020-09-28 2020-09-28 가변 급수에 기반한 식물 급수-세척 방법 및 식물 급수-세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834A true KR20220042834A (ko) 2022-04-05
KR102526815B1 KR102526815B1 (ko) 2023-04-28

Family

ID=81181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138A KR102526815B1 (ko) 2020-09-28 2020-09-28 가변 급수에 기반한 식물 급수-세척 방법 및 식물 급수-세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81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413B1 (ko) 1989-03-15 1991-04-22 신홍범 식물재배용 급수장치
KR19980059646U (ko) 1998-07-23 1998-10-26 정민규 가정용 재배식물의 자동급수 제어장치
KR200398810Y1 (ko) 2005-07-19 2005-10-18 (주)창해엔지니어링 식물재배용 자동급수장치
KR100731616B1 (ko) * 2006-04-20 2007-06-2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양액 자동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51044A (ko) 2011-11-09 2013-05-2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화분식물용 급수장치
KR20190129133A (ko) * 2016-04-08 2019-11-19 허스크바르나 에이비 지능형 급수 펌프
KR20200014151A (ko) * 2018-07-31 2020-02-10 차찬열 수목 물 공급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413B1 (ko) 1989-03-15 1991-04-22 신홍범 식물재배용 급수장치
KR19980059646U (ko) 1998-07-23 1998-10-26 정민규 가정용 재배식물의 자동급수 제어장치
KR200398810Y1 (ko) 2005-07-19 2005-10-18 (주)창해엔지니어링 식물재배용 자동급수장치
KR100731616B1 (ko) * 2006-04-20 2007-06-2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양액 자동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51044A (ko) 2011-11-09 2013-05-2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화분식물용 급수장치
KR20190129133A (ko) * 2016-04-08 2019-11-19 허스크바르나 에이비 지능형 급수 펌프
KR20200014151A (ko) * 2018-07-31 2020-02-10 차찬열 수목 물 공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6815B1 (ko) 2023-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345844Y (zh) 一种喷雾栽培植物装置
US20150289463A1 (en) Hydroponic grow system
KR101424058B1 (ko) 산업용 인삼 수경재배 시스템
US20190174690A1 (en) Aeroponic system
JP5628945B2 (ja) 水耕栽培装置及び水耕栽培方法
US20120080538A1 (en) Plant watering ring
KR102526815B1 (ko) 가변 급수에 기반한 식물 급수-세척 방법 및 식물 급수-세척 장치
CN102119653A (zh) 一种家用竹质管道式水培装置
CN111056643A (zh) 一种河道生态处理系统以及治理方法
KR101414557B1 (ko) 에브 앤드 플로우용 슬림형 재배 포트 어셈블리
CN207519233U (zh) 一种智能家居多种净化植物共同用盆栽
KR200297898Y1 (ko) 회전식 수경재배장치
CN205694790U (zh) 一种可定时自动浇水的多功能花架
CN205213670U (zh) 一种盆栽微灌灌水器
KR102243366B1 (ko) 소량 자동 공급을 위한 농작물용 액체비료 공급장치
CN201509470U (zh) 花卉灌溉器
CN207978587U (zh) 一种园林节水灌溉系统
KR100999541B1 (ko) 화분용 급수장치 및 급수시스템
CN205431334U (zh) 一种植物滴灌装置
CN204669985U (zh) 一种自动洒水的育苗栽培箱
CN212232465U (zh) 一种室内可移动草坪种植及养护装置
CN217217732U (zh) 一种园艺栽培自动供液装置
KR200454103Y1 (ko) 식물 물 자동 공급장치
CN217608533U (zh) 一种农业种植稳定性高的农业种植架
KR101950354B1 (ko) 수경재배가 가능한 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