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1616B1 - 양액 자동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양액 자동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1616B1
KR100731616B1 KR1020060035889A KR20060035889A KR100731616B1 KR 100731616 B1 KR100731616 B1 KR 100731616B1 KR 1020060035889 A KR1020060035889 A KR 1020060035889A KR 20060035889 A KR20060035889 A KR 20060035889A KR 100731616 B1 KR100731616 B1 KR 100731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rient solution
raw water
tube
fertilizer liquid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억
장유섭
김현환
김종구
김성기
송재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송재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송재순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to KR1020060035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1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2031/006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with means for recycling the nutritive solu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Abstract

양액의 전이온농도와 산도를 정밀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는 양액 자동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양액 자동공급장치는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 비료액이 저장되는 비료액 저장탱크로부터 원수공급관으로 비료액을 공급하는 튜브펌프, 원수와 비료액이 혼합된 양액이 배출되는 양액배출관, 양액배출관 상에 설치되어 양액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양액의 물성치를 측정하는 감지센서,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신호를 받아 튜브펌프에 의한 비료액 공급량을 제어하는 관비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양액배출관을 통해 공급되는 양액의 물성치에 따라 튜브펌프의 회전속도가 자동으로 변경되며 원수공급관으로의 비료액 공급량이 신속하고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다.
양액, 전이온농도, 산도, 튜브펌프, 모터, 제어

Description

양액 자동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AUTOMATIC SUPPLYING APPARATUS FOR NUTRIENT SOLU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액 자동공급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액 자동공급장치로서, 튜브펌프의 구조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액 자동공급장치로서, 튜브펌프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액 자동공급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수공급관 12 : 원수공급펌프
30,40 : 튜브펌프 31,41 : 튜브
33,43 : 펌핑부 33a,43a : 펌프케이스
34,44 : 로터 34a,44a : 롤러
34b,44b : 지지판 35,45 : 모터
35a,45a : 회전축 37,47 : 축지지부재
39,49 : 베어링 50 : 양액배출관
60 : 감지센서 70 : 여과기
80 : 비료액 저장탱크 120 : 관비제어유닛
121 : 컨버터 122 : 마이크로프로세서
123 : PWM출력단자 130 : 관수제어유닛
본 발명은 양액 자동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양액의 전이온농도와 산도를 정밀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는 양액 자동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액재배는 통상 흙을 사용하지 않고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양분을 함유한 배양액(이하, '양액'으로 약칭함)으로 재배하는 것으로서, 토양에 구애되지 않고 어디에서나 작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며, 일반적인 토경재배에 비하여 높은 생산성과 우수한 품질의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양액재배에는 원수 단독 혹은 원수와 화학비료(이하, '비료액'으로 약칭함)를 적정비율로 혼합한 양액을 자동적으로 작물에 공급하도록 한 양액 자동급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양액 자동공급장치는 비료액의 공급방식에 따라 크게 혼합탱크식 양액 자동공급장치와 직접주입식 양액 자동공급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혼합탱크식 양액 자동공급장치는 비료액과 원수를 혼합탱크 내에서 일정비율 로 혼합시켜서 혼합된 양액을 작물에 공급하는 방식이고, 직접주입식 양액 자동공급장치는 원수가 공급되는 공급관에 적정량의 비료액을 직접 주입하여 이송중 관내에서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물에 공급하는 방식이다.
한편, 양액재배에 있어서 양액의 전이온농도(EC) 및 산도(pH)를 정확하게, 과잉공급, 과부족 없이 공급하지 않으면 양액재배의 실패와 연관되어 양액 작물 재배를 할 수 없게 때문에 적절하게 양액을 공급하는 관리에 주의를 기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양액의 전이온농도와 산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양액 자동공급장치의 관한 여러 가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양액의 전이온농도와 산도를 정밀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는 양액 자동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료액의 낭비에 따른 토양오염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작물의 생육을 촉진시킬 수 있는 양액 자동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양액 자동공급장치는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 비료액이 저장되는 비료액 저장탱크로부터 원수공급관으로 비료액을 공급하는 튜브펌프, 원수와 비료액이 혼합된 양액이 배출되는 양액배출관, 양액배출관 상에 설치되어 양액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양액의 물성치를 측정하는 감지센서,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신호를 받아 튜 브펌프에 의한 비료액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관비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관비제어유닛은 양액의 물성치의 따라 튜브펌프 모터의 회전속도가 제어되며 튜브펌프를 통한 비료액의 공급량이 조절될 수 있게 한다.
관비제어유닛은 감지센서에서 검출된 신호를 변환하는 컨버터, 컨버터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연산하여 튜브펌프의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튜브펌프는 튜브 및 튜브로 공급되는 비료액을 상기 원수공급관으로 펌핑하는 펌핑부와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펌핑부는 원통형 내주벽을 갖는 펌프케이스 및 롤러를 구비하여 모터의 회전축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터로서는 통상의 AC 모터, DC 모터, 스테핑 모터 및 브러시리스 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원수공급관 상에는 원수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기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액 자동공급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액 자동공급장치로서, 튜브펌프의 구조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액 자동공급장치로서, 튜브펌프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액 자동공급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액 자동공급장치는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10), 비료액이 저장되는 비료액 저장탱크(80)로부터 원수공급관(10)으로 비료액을 공급하는 튜브펌프(20), 상기 원수와 비료액이 혼합된 양액이 배출되는 양액배출관(50), 상기 양액배출관(50) 상에 설치되어 양액배출관(50)으로 배출되는 양액의 물성치를 측정하는 감지센서(60), 상기 감지센서(60)에서 측정된 신호를 받아 튜브펌프(20)에 의한 비료액 공급량을 제어하는 관비제어유닛(120)을 포함한다.
상기 원수공급관(10)의 일단은 일정량의 원수가 채워져 있는 원수탱크(또는 관정)에 연결 설치되고, 원수공급관(10)의 다른 일단은 양액배출관(50)에 연결 설치된다. 상기 원수탱크내에 수용된 원수는 원수공급펌프(12)의 펌핑작동에 의해 원수공급관(10)을 따라 공급되어 양액배출관(5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수공급관(10) 상에는 원수공급관(10)을 따라 공급되는 원수 중의 여러 가지 불순물이 여과될 수 있도록 여과기(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튜브펌프(20)는 서로 다른 비료액이 수용되는 있는 복수개의 비료액 저장탱크(80)로부터 각각의 비료액이 원수공급관(10)으로 일정량씩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비료액 저장탱크(80)로서, 통상의 A,B액이 각각 저장되어 있는 액비 저장탱크(81)와 산이 저장되어 있는 산 저장탱크(82)가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비료액 저장탱크(80)로부터 원수공급관(10)으로 유입된 비료액은 원수와 혼합되어 양액배출관(5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60)는 양액배출관(50) 상에 설치되어 양액배출관(50)을 따라 공급되는 양액의 물성치를 측정한다. 즉 상기 감지센서(60)는 양액의 전이온농도(EC) 및 산도(pH)를 각각 측정하는 EC 센서(61) 및 pH 센서(6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 센서(61,62)를 통해 양액배출관(50)을 따라 공급되는 양액의 전이온농도(EC)와 산도(pH)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서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비료액 저장탱크(80)로부터 원수공급관(10)으로 일정량의 비료액을 공급하는 튜브펌프(20)는 튜브(31,41), 펌핑부(33,43) 및 모터(35,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튜브(31,41)는 유연한 수지재질로 형성되어 각 일단은 액비 저장탱크(81) 및 산 저장탱크(82)에 각각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단은 원수공급관(10)에 연결 설치된다.
상기 펌핑부(33,43)는 원통형 내주벽을 갖는 펌프케이스(33a,43a), 상기 모터(35,45)의 회전축(35a,45a)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튜브(31,41)를 펌프케이스(33a,43a)의 내주벽으로 압착하는 롤러(34a,44a)를 구비하는 로터(34,4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로터(34,44)는 모터(35,45)의 회전축(35a,45a)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롤러(34a,44a)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판(34b,44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롤러(34a,44a)는 회전축(35a,45a)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 또는 비등간격을 갖도록 이격되게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롤러(34a,44a)의 개수 및 간격은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35,45)의 회전축(35a,45a)의 자유단부에는 회전축(35a,45a)의 자유단을 지지하기 위한 축지지부재(37,47)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35a,45a)과 축지지부재(37,47)의 사이에는 회전축(35a,45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39,49)이 개재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케이스(33a,43a)에는 상기 회전축(35a,45a)의 축선 방향을 따른 상기 튜브(31,4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리브(33b,미도시)가 형성되는 바, 상기 이탈방지리브(33b)는 펌프케이스(33a,43a)의 내주벽 주연부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튜브(31,41)가 로터의 외측으로 밀려나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른 튜브(31,41)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이탈방지리브(33b)를 돌기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모터(35,45)로서는 통상의 AC 모터, DC 모터, 스테핑 모터 및 브러시리스 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모터(35,45)의 회전축(35a,45a)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지지판(34b,44b)에 의해 롤러(34a,44a)가 튜브(31,41)를 펌프케이스(33a,43a)의 내주벽으로 압착하는 상태로 회전하며 튜브(31,41)상의 액비 및 산이 흡입, 포집, 배출과정을 통해 원수공급관(10)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원수와 비료액이 원수공급관(10) 내에서 일정 비율로 혼합된 양액은 원수공급펌프(12)에 의해 펌핑되어 원수공급관(10)에 연결된 여과기(70)를 거 쳐 양액배출관(50)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튜브펌프(20)에 의한 비료액의 공급량은 감지센서(60)에서 측정한 신호에 따른 관비제어유닛(120)의 제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관비제어유닛(120)은 감지센서(60)에서 검출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121), 상기 컨버터(121)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연산하여 상기 튜브펌프(30,40)의 모터(35,45)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2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60)에서 검출된 신호는 증폭기(125)를 통해 증폭될 수 있다.
상기 관비제어유닛(120)은 관수제어유닛(130)과 상호 통신(예를 들어 멀티포인트 통신회선을 위한 TIA/EIA 표준인 485통신 등) 가능하게 연결되어 감지센서(60)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관수제어유닛(130)으로 송신하고 관수제어유닛(130)으로부터 설정된 전이온농도(EC)값과 산도(pH)값 및 가동신호 등을 수신한다. 그 후 검출값과 목표편차를 PID제어(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 control)를 통해 연산하고, PWM출력단자(123)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세기에 따라 튜브펌프(30,40)의 모터(35,45)의 회전속도가 증감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관수제어유닛(130)은 원수공급펌프(12)의 가동과 관수 구역의 솔레노이드 밸브(210)의 온/오프 등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설정 마이크로프로세서(131), 각종 설정값을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132), 설정된 전이온농도(EC)값과 산도(pH)값 및 검출된 전이온농도(EC)값과 산도(pH)값 등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33), 저 전압에서 접점출력을 내보내는 스위칭소자(MOSSFET)(13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원수공급펌프(12)로 가는 전원은 고용량이므로 스위치 박스(200)의 마그네틱릴레이에 의해 단속되고 솔레노이드 밸브(210)는 스위칭소자(134)에 의해 제어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양액 자동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액 자동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감지센서(60)를 통해 양액배출관(50)으로 배출되는 양액의 물성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감지센서(60)에서 측정된 측정값과 관비제어유닛(120)에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여 튜브펌프(30,40)의 모터(35,45)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신호에 따라 튜브펌프(30,40)의 모터(35,45)를 구동시켜 비료액을 원수공급관(10)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감지센서(60)를 통해 양액배출관(50)으로 공급되는 양액의 전이온농도(EC)와 산도(pH)를 측정한다.
관비제어유닛(120)은 상기 감지센서(60)에 의해 감지되어 증폭기(125)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컨버터(121)를 통해 변환시켜 관비제어유닛(120)과 485통신으로 연결되는 관수제어유닛(130)으로 송신하고, 관수제어유닛(130)으로부터 설정된 전이온농도(EC)값과 산도(pH)값 등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 후 설정값과 검출값을 분석하여 데이터 수정이 있으면 설정수치를 변경하고, 데이터 수정이 없으면 계속 작동할 것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동작을 실행해야 한다면 전이온농도(EC) 및 산도(pH)의 제어 루틴(routine)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관비제어유닛(120)은 설정값과 검출값이 동일한지를 판단하여 동일한 경우에는 제어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PID제어의 P인자, I인자, D인자를 적용하여 그에 해당되는 PWM출력을 튜브펌프(30,40)의 모터(35,45)로 출력하고 이 출력신호에 의해 모터(35,45)의 회전속도가 조절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원수의 물성치의 따라 모터(35,45)의 회전속도가 제어되며 튜브펌프(30,40)를 통한 비료액의 공급량이 조절될 수 있게 함으로써, 비료액의 공급량을 연속적으로 증감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양액의 전이온농도(EC) 및 산도(pH)가 정밀하고 신속하게 조절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액의 전이온농도(EC)와 산도(pH)의 급격한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른 작물의 발육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양액이 배출되는 양액배출관(50)에서 직접 원수의 전이온농도(EC)와 산도(pH)를 측정하므로 빠른 응답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기기의 제어성능이 향상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비료액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로서, 튜브펌프(30,40)를 사용하여 고장율을 낮추고 유지 및 보수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이 직접주입식 양액 자동공급장치에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본 발명을 혼 합식 양액 자동 공급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액 자동공급장치는 비순환식 양액재배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양액을 순환시켜 사용하는 순환식 양액재배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액 자동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원수의 물성치의 따라 모터의 회전속도가 제어되며 튜브펌프를 통한 비료액의 공급량이 조절될 수 있게 함으로써, 비료액의 공급량을 연속적으로 증감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양액의 전이온농도 및 산도가 정밀하고 신속하게 조절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액의 전이온농도(EC)와 산도(pH)의 급격한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하고, 원수와 비료액이 적정비율로 혼합된 양액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하며 작물의 생육을 촉진시킬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양액이 배출되는 양액배출관에서 직접 양액의 전이온농도(EC)와 산도(pH)를 측정하므로 빠른 응답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기기의 제어성능이 향상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
    비료액이 저장되는 비료액 저장탱크로부터 상기 원수공급관으로 비료액을 공급하는 튜브펌프;
    상기 원수와 상기 비료액이 혼합된 양액이 배출되는 양액배출관;
    상기 양액배출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양액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양액의 물성치를 측정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신호를 받아 상기 튜브펌프에 의한 비료액 공급량을 제어하는 관비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양액 자동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비제어유닛은 상기 감지센서에서 검출된 신호를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컨버터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연산하여 상기 튜브펌프의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 자동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펌프는 일단은 상기 비료액 저장탱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원수공급관에 연결되는 튜브; 상기 튜브로 공급되는 비료액을 상기 원수공급관으로 펌 핑하는 펌핑부; 상기 펌핑부가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 자동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는 원통형 내주벽을 갖는 펌프케이스,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튜브를 상기 펌프케이스의 내주벽으로 압착하는 롤러를 구비하는 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 자동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상기 회전축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롤러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는 상기 회전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 자동공급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케이스에는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을 따른 상기 튜브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 자동공급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의 자유단을 지지하는 축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 자동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상기 축지지부재의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 자동공급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공급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원수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를 여과하는 여과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 자동공급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펌프는 서로 다른 비료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 자동공급장치.
  11.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 비료액이 저장되는 비료액 저장탱크로부터 상기 원수공급관으로 비료액을 공급하는 튜브펌프, 상기 원수와 상기 비료액이 혼합된 양액이 배출되는 양액배출관, 상기 양액배출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양액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양액의 물성치를 측정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신호를 받아 상기 튜브펌프에 의한 비료액 공급량을 제어하는 관비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양액 자동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양액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양액의 물성치를 측정 하는 단계;
    상기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과 상기 관비제어유닛에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튜브펌프의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튜브펌프의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비료액을 상기 원수공급관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액 자동공급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펌프는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원수공급관으로 공급되는 비료액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양액 자동공급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의 물성치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양액의 전이온농도 및 산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 자동공급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60035889A 2006-04-20 2006-04-20 양액 자동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31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889A KR100731616B1 (ko) 2006-04-20 2006-04-20 양액 자동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889A KR100731616B1 (ko) 2006-04-20 2006-04-20 양액 자동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1616B1 true KR100731616B1 (ko) 2007-06-25

Family

ID=38373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889A KR100731616B1 (ko) 2006-04-20 2006-04-20 양액 자동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1616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373B1 (ko) 2006-12-21 2007-12-14 주식회사 이레 약제분사장치
KR200454103Y1 (ko) 2009-07-31 2011-06-17 박연균 식물 물 자동 공급장치
CN105325278A (zh) * 2015-09-29 2016-02-17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一种温室水培循环灌溉系统和营养液ec值控制方法
CN105532399A (zh) * 2015-12-18 2016-05-04 北京农业信息技术研究中心 一种液体配比系统
KR101809123B1 (ko) 2016-12-06 2017-12-14 이앤엠 주식회사 임베디드 컨트롤 모듈을 구비한 튜브펌프 시스템
CN107544571A (zh) * 2017-10-31 2018-01-05 河北农业大学 一种定点分布式施肥控制装置及控制方法
KR101809129B1 (ko) 2017-02-28 2018-01-18 이앤엠 주식회사 튜브펌프 시스템의 튜브손상 감지방법 및 튜브펌프 시스템
KR20190076515A (ko) 2017-12-22 2019-07-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배지 양액 농도 기반 양액 공급을 제어하는 시설원예용 양액 공급 장치
KR102062081B1 (ko) * 2019-05-31 2020-02-20 주식회사 청오엔지니어링 재배시설의 양액공급 제어기용 통합컨버터
KR20200073352A (ko) * 2018-12-13 2020-06-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작물 증산량 및 근권 전이온농도를 복합 기준으로 하는 수경재배 양액 제어 방법
KR20210150232A (ko) 2020-06-03 2021-12-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양액 자동조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양액 공급시스템
KR20220042834A (ko) * 2020-09-28 2022-04-0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 급수에 기반한 식물 급수-세척 방법 및 식물 급수-세척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4420A (en) 1988-10-04 1993-02-09 Labbate Climate Control System Inc. Computerized fertilizer injection system
JP2000125680A (ja) 1998-10-22 2000-05-09 Hideki Kobayashi 養液の自動供給装置と養液の自動制御方法
KR100270500B1 (ko) 1997-11-24 2000-12-01 김동인 양액 공급방법 및 자동공급시스템
KR100298214B1 (ko) 1998-05-14 2001-11-22 김강권 양액자동조절공급및고장진단시스템
KR100470453B1 (ko) 2002-02-21 2005-02-05 대한민국 순환식 수경재배용 양액 자동공급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4420A (en) 1988-10-04 1993-02-09 Labbate Climate Control System Inc. Computerized fertilizer injection system
KR100270500B1 (ko) 1997-11-24 2000-12-01 김동인 양액 공급방법 및 자동공급시스템
KR100298214B1 (ko) 1998-05-14 2001-11-22 김강권 양액자동조절공급및고장진단시스템
JP2000125680A (ja) 1998-10-22 2000-05-09 Hideki Kobayashi 養液の自動供給装置と養液の自動制御方法
KR100470453B1 (ko) 2002-02-21 2005-02-05 대한민국 순환식 수경재배용 양액 자동공급장치 및 방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373B1 (ko) 2006-12-21 2007-12-14 주식회사 이레 약제분사장치
KR200454103Y1 (ko) 2009-07-31 2011-06-17 박연균 식물 물 자동 공급장치
CN105325278A (zh) * 2015-09-29 2016-02-17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一种温室水培循环灌溉系统和营养液ec值控制方法
CN105532399A (zh) * 2015-12-18 2016-05-04 北京农业信息技术研究中心 一种液体配比系统
KR101809123B1 (ko) 2016-12-06 2017-12-14 이앤엠 주식회사 임베디드 컨트롤 모듈을 구비한 튜브펌프 시스템
KR101809129B1 (ko) 2017-02-28 2018-01-18 이앤엠 주식회사 튜브펌프 시스템의 튜브손상 감지방법 및 튜브펌프 시스템
CN107544571A (zh) * 2017-10-31 2018-01-05 河北农业大学 一种定点分布式施肥控制装置及控制方法
KR20190076515A (ko) 2017-12-22 2019-07-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배지 양액 농도 기반 양액 공급을 제어하는 시설원예용 양액 공급 장치
KR20200073352A (ko) * 2018-12-13 2020-06-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작물 증산량 및 근권 전이온농도를 복합 기준으로 하는 수경재배 양액 제어 방법
KR102234522B1 (ko) * 2018-12-13 2021-04-0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작물 증산량 및 근권 전이온농도를 복합 기준으로 하는 수경재배 양액 제어 방법
KR102062081B1 (ko) * 2019-05-31 2020-02-20 주식회사 청오엔지니어링 재배시설의 양액공급 제어기용 통합컨버터
KR20210150232A (ko) 2020-06-03 2021-12-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양액 자동조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양액 공급시스템
KR20220042834A (ko) * 2020-09-28 2022-04-0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 급수에 기반한 식물 급수-세척 방법 및 식물 급수-세척 장치
KR102526815B1 (ko) * 2020-09-28 2023-04-2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 급수에 기반한 식물 급수-세척 방법 및 식물 급수-세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1616B1 (ko) 양액 자동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0579924C (zh) 污泥浓缩装置及污泥浓缩方法
US20210198610A1 (en) Method for operating a stirring device and a fermenter
US20160174531A1 (en) Aquaculture Pump System and Method
KR101712582B1 (ko) Ict를 활용한 시설재배의 양액 재활용 공급시스템
KR100470453B1 (ko) 순환식 수경재배용 양액 자동공급장치 및 방법
US7201113B2 (en) Controlled dilution system for drinking water and unit therefor
US11014056B2 (en) Stirrer unit for a fermenter in a biogas plant
EP3157874B1 (en) Plant for treatment of liquid as well as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 plant
JP3928009B1 (ja) 栽培養液の調合装置
CN104192996B (zh) 一种用于清洗曝气器的加药装置
CN110881300A (zh) 一种精量混施水肥一体化灌溉系统
CN114456887A (zh) 一种智能控制卧式固态发酵系统
JP2500137B2 (ja) 培養装置
CN114600760A (zh) 营养液回液灌溉调节方法及营养液循环系统
RU2011691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биохимического выщелачивания руд
CN203955132U (zh) 一种智能加药装置
CN205011480U (zh) 一种培养并存储污水处理活性菌群的设备
CN210458000U (zh) 一种多级肥料发酵罐
CN218507788U (zh) 一种用于陈皮微生物测定的仪器
CN213862760U (zh) 一种软包装灌装机cip定位清洗设备
CN217709281U (zh) 可调防堵堆肥曝气管
CN212925041U (zh) 一种高蛋白型生物饲料温控发酵装置
CN219239448U (zh) 一种具有微滤机构的智能水处理装置及系统
CN214735447U (zh) 水肥一体化故障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8

Year of fee payment: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