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103Y1 - 식물 물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식물 물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103Y1
KR200454103Y1 KR2020090010085U KR20090010085U KR200454103Y1 KR 200454103 Y1 KR200454103 Y1 KR 200454103Y1 KR 2020090010085 U KR2020090010085 U KR 2020090010085U KR 20090010085 U KR20090010085 U KR 20090010085U KR 200454103 Y1 KR200454103 Y1 KR 2004541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chemical liquid
discharge port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0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351U (ko
Inventor
박연균
Original Assignee
박연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균 filed Critical 박연균
Priority to KR20200900100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103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3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3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1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1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이나 토양에 식수된 식물에 대해 물을 자동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식물 물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조(11)로 이루어진 용기(1)와, 상기 용기(1)의 하부에 위치하며 물을 단속적으로 공급하기위한 밸브(3)를 구비하고 있는 토수구(14)와, 상기 토수구(14)로 부터 화분등의 식물이 위치한 장소까지 연결되어진 호스(5)로 구성되어지는 식물 물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1)는 칸막이(13)로 나눠져서 수조(11)와, 1개 이상의 약액조(12a)(12b)(12c)로 분리구성되며, 상기 수조(11)와 각각의 약액조(12a)(12b)(12c)사이에는 유로가 개폐제어되도록 밸브(3a)(3b)(3c)가 구비되고,
상기 토수구(14)는 물 공급대상의 수만큼 복수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토수구(14a)(14b)(14c)에는 물 또는 물과 약액의 혼합수를 단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밸브(4a)(4b)(4c)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토수구(14)를 통한 유량공급을 제어하기 위하여, 토수 공급시간의 간격, 토수량, 약액 공급시간의 간격, 약액 공급량 등을 개별적으로 설정해두기위한 모드선택 스위치(1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물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압, 타이어, 자전거, 보충기, 압력계, 콘트롤박스, 에어콤프레샤, 호스

Description

식물 물 자동 공급장치{Automatic water supplier for a plant}
본 고안은, 화분이나 토양에 식수된 식물에 대해 물을 자동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식물 물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에 대해 일정한 양의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물의 정상적인 성장효과 내지는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식물 종류 및 화분 크기에 따라 임의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비료 등의 약액에 대해서도 물과 함께 적정량만큼 공급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의 편리함은 물론 식물의 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식물 물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은 그 종류와 크기, 계절에 따라 물의 흡수량은 다르다고 하겠으나, 대체적으로 식물들은 일주일에 200 ~ 1000cc 의 물을 필요로 한다.
또한, 식물은 그 특성상 일정한 양의 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주는 것이 식물의 성장 내지는 활력에 도움을 주나 물을 연속적으로 일정량씩 공급해주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특히, 가정에서 장기간 동안 집을 비우는 경우에는 식물에 필요한 물이 충분 히 공급되지않으므로, 식물이 수분결핍으로 인해 성장 및 활력이 저하됨은 물론, 심할 경우에는 말라죽는 문제점이 있엇다.
또한, 식물에 대해 물을 과다하게 공급할 경우에는 뿌리가 썩는 문제점이 있으며, 식물의 성장조건에 대해 대항력이 현저히 떨어지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식물은 물외에도 비료 등의 각종 영양분을 포함한 약액을 필요로 하는데, 종래에는 사람이 식물의 상태를 직접 육안으로 판별하여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직접 공급해주는 방식이었으므로, 관리를 소홀이 한 경우에는 식물이 영양분이 결핍하여 잘 자라지 못하거나, 심할 경우에는 말라죽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식물에 대해 일정량의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식물의 성장 및 활력을 촉진시켜 줌으로써 고품질, 고품위의 식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식물의 효율적인 관리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식물 물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물외에도 비료 등의 각종 영양분을 약액으로서 식물에 공급하되, 미리 정해진 타임스케쥴에 따라 물과 약액이 함께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식물이 늘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두번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인 특징은,
수조로 이루어진 용기와, 상기 용기의 하부에 위치하며 물을 단속적으로 공급하기위한 밸브를 구비하고 있는 토수구와, 상기 토수구로 부터 화분등의 식물이 위치한 장소까지 연결되어진 호스로 구성되어지는 식물 물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칸막이로 나눠져서 수조와, 1개 이상의 약액조로 분리구성되며, 상기 수조와 각각의 약액조사이에는 유로가 개폐제어되도록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토수구는 물 공급대상의 수만큼 복수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토수구에는 물 또는 물과 약액의 혼합수를 단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밸브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토수구를 통한 유량공급을 제어하기 위하여, 토수 공급시간의 간격, 토수량, 약액 공급시간의 간격, 약액 공급량 등을 개별적으로 설정해두기 위한 모드선택 스위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식물에 대해 일정량의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식물의 성장 및 활력을 촉진시켜 줌으로써 고품질, 고품위의 식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식물의 효율적인 관리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외에도 비료 등의 각종 영양분을 약액으로서 식물에 공급하되, 미리 정해진 타임스케쥴에 따라 물과 약액이 함께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식물이 늘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물 물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식물 물 공급장치의 유량흐름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식물 물 공급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일반적으로 식물 물 공급장치는 수조(11)로 이루어진 용기(1)와, 상기 용기(1)의 하부에 위치하며 물을 단속적으로 공급하기위한 밸브(3)를 구비하고 있는 토수구(14)와, 상기 토수구(14)로 부터 화분등의 식물이 위치한 장소까지 연결되어진 호스(5)로 구성되는데,
본 고안에 따른 식물 물 자동공급장치에서는, 상기 용기(1)가 칸막이(13)로 나눠져서 수조(11)와, 1개 이상의 약액조(12a)(12b)(12c)로 분리구성되며, 상기 수조(11)와 각각의 약액조(12a)(12b)(12c)사이에는 유로가 개폐제어되도록 밸브(3a)(3b)(3c)가 구비되어져 있다. (도2 참조)
또한, 상기 토수구(14)는 물 공급대상의 수만큼 복수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토수구(14a)(14b)(14c)에는 물 또는 물과 약액의 혼합수를 단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밸브(4a)(4b)(4c)가 구비되어져 있으며,(도2 참조)
상기 토수구(14)를 통한 유량공급을 제어하기 위하여, 토수 공급시간의 간격, 토수량, 약액 공급시간의 간격, 약액 공급량 등을 개별적으로 설정해두기위한 모드선택 스위치(15)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용기(1)는 화분(6)보다 높게 위치할 경우 펌프를 별도 구비하지 않더라도 수압에 의해 물 공급이 용이할 것이므로, 상기 용기(1)는 지지대(2)에 의해 화분(6)보다 높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15)는 각 토수구(14a)(14b)(14c)마다 구비되어 있으므로, 각 토수구(14a)(14b)(14c)와 연결된 식물 및 화분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는 물 및 약액의 공급조건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15)에서는 '토수 공급시간의 간격', '토수량', '약액 공급시간의 간격', '약액 공급량' 등을 개별적으로 설정하게되는데,
예를 들어, 화분A 에 대해서는 '토수 공급시간의 간격'을 '1회/1일', '토수량'은 '200cc', '약액 공급시간의 간격'은 '1회/60일', '약액 공급량'은 '20cc'와 같이 정하고,
화분B 에 대해서는 '토수 공급시간의 간격'을 '1회/2일', '토수량'은 '200cc', '약액 공급시간의 간격'은 '1회/120일', '약액 공급량'은 '20cc'와 같이 정할 수 있을 것인데,
이와 같이 모드선택 스위치(15)에 의해 물과 약액 혼합액에 대한 공급조건이 결정되고 나면, 마이컴(미도시함)에서는 위 공급조건에 맞도록 밸브(3a)(3b)(3c)와 밸브(4a)(4b)(4c)는 개별적이고도 단속적으로 작동되어진다.
이를 도 3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식물 물 자동 공급장치를 작동개시하게되면 타이머가 초기화 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15)를 사용하여 각 식물 및 화분(6)의 종류에 따라 물과 약액 혼합액에 대한 공급조건을 설정해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물과 약액 혼합액에 대한 공급조건이 설정된 상태에서, 각 화분(6)에 대한 물 공급 설정시간에 도달한 경우에는 약액 공급 설정시간에 도달한지 에 대해서도 판단하게되며, 만일 물 공급 설정시간에만 도달했고 약액 공급 설정시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물 공급밸브(4)만 온되고, 약액 공급밸브(3)는 오프된 상태이므로, 상기 토수구(14) 및 호스(5)를 통해 물만 공급될 것이며,
만일 물 공급 설정시간과 약액 공급 설정시간에 함께 도달한 경우에는 물 공급밸브(4)와 약액 공급밸브(3)가 모두 온되어진 상태이므로, 상기 토수구(14) 및 호스(5)를 통해서는 물과 약액의 혼합수가 공급되어질 것이다.
이와 같이 물 또는 물과 약액의 혼합수가 일정량만큼 공급된 이후에는, 상기 밸브(3)(4)들은 다시 오프된 상태가 되고, 위의 제어과정은 반복되어질 것이므로, 상기 수조(11)와 약액조(12)를 보충해두기만 하면 물과 약액의 공급은 계속되어질 것이다.
한편, 식물 성장에 필요한 약액은 2개 이상일 수 있으므로, 약액조(12)는 칸막(13)이에 의해 2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15)에 의해 다양한 조건으로 공급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물 물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식물 물 공급장치의 유량흐름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식물 물 공급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2 : 지지대
3a, 3b, 3c : 밸브 4a, 4b, 4c : 밸브
5 : 호스 6 : 화분
11 : 수조 12a, 12b, 12c : 약액조
13 : 칸막이 14a, 14b, 14c : 토수구
15 : 모드 선택스위치

Claims (3)

  1. 수조(11)로 이루어진 용기(1)와, 상기 용기(1)의 하부에 위치하며 물을 단속적으로 공급하기위한 밸브(3)를 구비하고 있는 토수구(14)와, 상기 토수구(14)로 부터 화분등의 식물이 위치한 장소까지 연결되어진 호스(5)로 구성되어지는 식물 물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1)는 칸막이(13)로 나눠져서 수조(11)와, 1개 이상의 약액조(12a)(12b)(12c)로 분리구성되며, 상기 수조(11)와 각각의 약액조(12a)(12b)(12c)사이에는 유로가 개폐제어되도록 밸브(3a)(3b)(3c)가 구비되고,
    상기 토수구(14)는 물 공급대상의 수만큼 복수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토수구(14a)(14b)(14c)에는 물 또는 물과 약액의 혼합수를 단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밸브(4a)(4b)(4c)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토수구(14)를 통한 유량공급을 제어하기 위하여, 토수 공급시간의 간격, 토수량, 약액 공급시간의 간격, 약액 공급량 등을 개별적으로 설정해두기위한 모드선택 스위치(15)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15)에 의해 물과 약액 혼합액에 대한 공급조건이 결정되면, 마이컴에서는 위 공급조건에 맞도록 밸브(3a)(3b)(3c)와 밸브(4a)(4b)(4c)를 개별적이고도 단속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물 자동 공급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작동개시하게되면 타이머가 초기화 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15)를 사용하여 물과 약액 혼합액에 대한 공급조건을 설정하게되며,
    각 화분(6)에 대한 물 공급 설정시간에 도달한 경우에는 약액 공급 설정시간에 도달한지에 대해서도 판단하게되며, 만일 물 공급 설정시간에만 도달했고 약액 공급 설정시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물 공급밸브(4)만 온되고, 약액 공급밸브(3)는 오프된 상태이므로, 상기 토수구(14) 및 호스(5)를 통해 물만 공급될 것이며,
    만일 물 공급 설정시간과 약액 공급 설정시간에 함께 도달한 경우에는 물 공급밸브(4)와 약액 공급밸브(3)가 모두 온되어진 상태이므로, 상기 토수구(14) 및 호스(5)를 통해서는 물과 약액의 혼합수가 공급되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물 자동 공급장치.
KR2020090010085U 2009-07-31 2009-07-31 식물 물 자동 공급장치 KR2004541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085U KR200454103Y1 (ko) 2009-07-31 2009-07-31 식물 물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085U KR200454103Y1 (ko) 2009-07-31 2009-07-31 식물 물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351U KR20110001351U (ko) 2011-02-09
KR200454103Y1 true KR200454103Y1 (ko) 2011-06-17

Family

ID=44206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085U KR200454103Y1 (ko) 2009-07-31 2009-07-31 식물 물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1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6231A1 (zh) * 2012-10-14 2014-04-17 Wang Shujie 植物定时浇水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8708U (ko) * 1996-01-22 1997-08-12 김병두 화분용 화초 및 분재 자동급수장비
KR20030092369A (ko) * 2002-05-29 2003-12-06 주식회사 포스코 권취기의 스트립 선단 굽힘장치
KR200392369Y1 (ko) 2005-05-11 2005-08-17 김용국 양액 공급 시스템
KR200398810Y1 (ko) * 2005-07-19 2005-10-18 (주)창해엔지니어링 식물재배용 자동급수장치
KR100731616B1 (ko) 2006-04-20 2007-06-2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양액 자동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8708U (ko) * 1996-01-22 1997-08-12 김병두 화분용 화초 및 분재 자동급수장비
KR20030092369A (ko) * 2002-05-29 2003-12-06 주식회사 포스코 권취기의 스트립 선단 굽힘장치
KR200392369Y1 (ko) 2005-05-11 2005-08-17 김용국 양액 공급 시스템
KR200398810Y1 (ko) * 2005-07-19 2005-10-18 (주)창해엔지니어링 식물재배용 자동급수장치
KR100731616B1 (ko) 2006-04-20 2007-06-2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양액 자동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6231A1 (zh) * 2012-10-14 2014-04-17 Wang Shujie 植物定时浇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351U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26007A1 (en) Vertical hydroponic solid nutrient growing system and method
US20190174690A1 (en) Aeroponic system
US20150289463A1 (en) Hydroponic grow system
CN106659133B (zh) 水耕栽培装置
AU2015397044B2 (en) Hydroponic tray and hydroponic system
US8720110B2 (en) Hydroponics equipment cleaning method
EP1509077B1 (en) Container for irrigation by capillarity
KR200454103Y1 (ko) 식물 물 자동 공급장치
WO2018202405A1 (en) A plant growing cabinet in which turf humidity is controlled
CN203985383U (zh) 一种无土培植水循环系统
KR20190051400A (ko) 통기성이 극대화된 저면관수 재배통
KR20140017263A (ko) 에브 앤드 플로우용 슬림형 재배 포트 어셈블리
CN104663416A (zh) 一种无土栽培营养液供给控制系统
CN103975681B (zh) 一种水肥气智能调控系统
US20060084166A1 (en) Compost tea delivery system and method
CN103947507A (zh) 一种新型节水式水肥气灌溉设备
US20180070545A1 (en) Ventusponic automated hydroponic plant growth apparatus and method
CN210275235U (zh) 试验用辣椒栽种装置
CN201726720U (zh) 花盆自动浇水控制器
CN106613882A (zh) 白芨立体高效有机绿色种植库及种植白芨的方法
KR101805447B1 (ko) 콩나물 재배방법 및 장치
KR101632789B1 (ko) 벤츄리가 설치된 양액공급제어방법
JPH0143531B2 (ko)
CN108739310A (zh) 一种轻型绿化根部渗灌装置
CN106576960A (zh) 茄子立体高效有机绿色种植库及种植茄子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