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2439A -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2439A
KR20220042439A KR1020227007363A KR20227007363A KR20220042439A KR 20220042439 A KR20220042439 A KR 20220042439A KR 1020227007363 A KR1020227007363 A KR 1020227007363A KR 20227007363 A KR20227007363 A KR 20227007363A KR 20220042439 A KR20220042439 A KR 20220042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substrate
translucent
design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7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2973B1 (ko
Inventor
요헨 사틀러
토마스 하스
루카스 디엔슈트비에르
Original Assignee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42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5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esthetic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corative trim, partition wall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2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reflected light, e.g. matt surfaces, lustrous surfaces
    • B44F1/04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reflected light, e.g. matt surfaces, lustrous surfaces after passage through surface layers, e.g. pictures with mirrors on the b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6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transmitted light, e.g. transparencies, imitations of glass pai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1/1207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lamps; with tur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05Manufacturers' emblems, name plates, bonnet ornaments, mascots or the like; 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01General methods for coating;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etals
    • C03C17/09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etals by deposition from the vapour ph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03C17/360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 C03C17/3605Coatings of the type glass/metal/inorganic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03C17/360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 C03C17/3649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made of metals other than silve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03C17/360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 C03C17/3657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the multilayer coating having opt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015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zed by the colour of th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021Reactive sputtering or evaporation
    • C23C14/0036Reactive sput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 C23C14/028Physical treatment to alter the texture of the substrate surface, e.g. grinding, polis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4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 C23C14/18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on other inorganic substrates
    • C23C14/185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on other inorganic substrates by cathodic sput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4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 C23C14/20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on organic substrates
    • C23C14/205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on organic substrates by cathodic sput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58After-treatment
    • C23C14/5806Thermal treatment
    • C23C14/5813Thermal treatment using la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58After-treatment
    • C23C14/5873Removal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30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 C23C28/32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pure metallic layer
    • C23C28/322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pure metallic layer only coatings of metal element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30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 C23C28/34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material layer, e.g. metal carbide, nitride, boride, silicide layer and their mixtures, enamels, phosphates and sulphates
    • C23C28/345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material layer, e.g. metal carbide, nitride, boride, silicide layer and their mixtures, enamels, phosphates and sulphates with at least one oxide lay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55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3/3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surface treatment or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4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reflectors and ref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5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aesthetic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corative trim, partition wall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30Daytime running lights [DRL], e.g.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03C17/360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 C03C17/368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the multilayer coating being used for decoration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20Materials for coating a single layer on glass
    • C03C2217/25Metals
    • C03C2217/257Refractory metals
    • C03C2217/258Ti, Zr, Hf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70Properties of coatings
    • C03C2217/72Decorative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8/00Methods for coating glass
    • C03C2218/10Deposition methods
    • C03C2218/15Deposition methods from the vapour phase
    • C03C2218/152Deposition methods from the vapour phase by cvd
    • C03C2218/153Deposition methods from the vapour phase by cvd by plasma-enhanced cvd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8/00Methods for coating glass
    • C03C2218/10Deposition methods
    • C03C2218/15Deposition methods from the vapour phase
    • C03C2218/154Deposition methods from the vapour phase by sputtering
    • C03C2218/155Deposition methods from the vapour phase by sputtering by reactive sput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8/00Methods for coating glass
    • C03C2218/30Aspects of methods for coating glass not covered above
    • C03C2218/32After-treatment
    • C03C2218/328Partly or completely removing a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3)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제조 방법은 A. 최소 60℃에 이르는 온도에 대해 내열성이 있고 형태적으로 안정적이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인 기판(1)을 끌어당기는 끌어당김 단계이며, 기판(1)은 정면(1a)과 배면(1b)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끌어당김 단계; B. 진공 챔버(2) 내로 기판(1)을 삽입하고 PVD 공정을 이용하여 단계 A)에 따라 진공 챔버(2) 내에 위치하는 기판(1) 상에 제1 금속 반투명 층(L1)을 적층하는 삽입 및 적층 단계; 및 C. 기판(1)의 정면 또는 배면(1a, 1b) 상에 광 비투과성 표면층(LD)을 적층하는 적층 단계이며, 광 비투과성 표면층(LD)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심벌(SYM)의 이미지 생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광 투과성 개구부(8)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 상기 적층 단계;를 포함하며, 단계 B 및 C는, 기판(1)의 배면(1b)에서부터 그 정면(1a)의 방향으로 광 비투과성 표면층(LD)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8)를 통과하는 광(LSQ)이,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8)를 통해 표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심벌(SYM)의 투영을 위해, 제1 금속 반투명 층(L1) 상으로 입사되어 제1 금속 반투명 층(L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깥쪽으로 관통하는 방식으로 실행된다.

Description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은 표시 또는 신호 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자동차 디자인 요소; 표시 또는 신호 요소;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디자인 요소를 포함한 차량 헤드램프; 및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디자인 요소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특히 유색으로 형성되어야 하거나, 또는 무광택 또는 광택 표면들을 포함해야 하는 자동차 디자인 요소들은 전형적으로 플라스틱 부품으로서 형성되며, 표면들의 최종 외관은 일반적으로 상응하는 래커를 칠하는 것을 통해 결정된다. 이런 방식으로, 유색의 광택 또는 무광택 차량 헤드램프 디자인 요소들이 제조된다.
종래의 방식으로 제조되는 자동차 디자인 요소들의 단점은, 래커가 일반적으로 덮는 특성을 보유하기 위해 최소 치수를 하회할 수 없는 상당한 층 두께를 보유한다는 점에 있으며, 이 경우 층 두께는 전형적으로 전체적으로 100마이크로미터 이상일 수 있다. 한편으로, 래커의 도포는 시간 소모적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래커의 요구되는 층 두께를 통해 플라스틱 부품의 표면 구조가 덮이고 완전하게 재현되지 않는다. 또한, 래커를 통해 달성되는 색 인상 및 색채 효과는 래커 조성 및 도포 유형으로 인해 제한되며, 전형적으로 비용을 이유로 몸체 자체의 색상들만이 기판 상에 도포된다. 몸체 자체의 색상들은, 색 인상이 몸체 상으로 입사되는 광의 개별 색 성분들의 흡수를 통해 생성되는 것인 색상들이다. 지금까지 래커 칠의 특성들의 최적화는 도포할 래커의 칠 방법 및 조성의 변경을 통해 달성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과제는, 개선된 광학 형상을 보유하는 자동차 디자인 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도입부에 언급한 유형의 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서 하기 단계들이 제공됨으로써 해결된다.
A. 최소 60℃에 이르는 온도에 대해 내열성이 있고 형태적으로 안정적이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인 기판을 끌어당기는 끌어당김 단계이며, 기판은 정면과 배면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끌어당김 단계; 및
B. 진공 챔버 내로 기판을 삽입하고 PVD 공정을 이용하여 단계 A)에 따라 진공 챔버 내에 위치하는 기판 상에 제1 금속 반투명 층을 적층하는 삽입 및 적층 단계.
PVD 공정의 적용을 통해, 차량 헤드램프 디자인 요소들의 종래 코팅 방법들은 완전하게 전향된다. 도입부에 언급한 것처럼, 지금까지, 디자인 요소들에 대한 광학적 요건들은 전형적으로 적합한 래커 칠의 구성을 통해 구현되었지만, 그러나 이 경우 도입부에 언급한 단점들과 제한들이 있다. 그와 반대로, PVD 공정의 사용을 통해, 특히 얇은 층 두께의 적층이 가능하며, 착색은 체색(body color)들을 통해서뿐만 아니라 간섭 효과들을 통해서도 달성된다. 이런 방식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인 표면들 상에서 예컨대 금속적인 느낌을 주는 색 인상들 및 색채 효과들이 달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인 플라스틱 기판들의 금속 색 코팅을 가능하게 하되, 그 외에도 상이한 콜드 및 웜 디자인 램프(cold and warm design lamp)들의 제조도 가능해진다. 이 경우, "광 투과성"이란 표현은 사람의 눈에 보일 수 있는 파장 범위의 광에 관련된다.
"반투명 층"이란 표현은, 상기 층이 배면에서부터 정면의 방향으로 상기 층을 관통하는 광을 예컨대 10%와 90% 사이의 투과율로 통과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배면" 및 "정면"이란 표현들은 각각 기판 또는 이 기판에서 기인하는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서로 대향하는 면(side)들을 가리킨다. 배면은 제1 면일 수 있고 정면은 제2 면일 수 있다. 그러므로 "전방" 및 "후방"이란 방향 지시들은 기판의 관점에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고 기본적으로 서로 바뀔 수 있으며, - 여전히 하기에서 언급되는 추가 특징들과 관련하여 비로소, 상기 면들에는 소정의 특성들 및 층 구조들이 할당된다. 자동차 디자인 요소가, 이 자동차 디자인 요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능동적 광원(active light source)과 관련하여 이용될 경우, "배면"이란 용어는, 광원에 의해 방출된 광이 자동차 디자인 요소를 통과하여 배면에서부터 정면 쪽으로 기판 내에서 전파되어 정면 상에서 기판 내지 자동차 디자인 요소에서부터 출사되도록, 상기 광원에 할당되어 광원에 의해 조사될 수 있는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면을 지칭한다.
특히 제1 층은, 이 제1 층이 기판의 정면에서부터 그 배면의 방향으로 제1 층 상에 도달하는 광을 반사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일종의 양방향 거울(two-way mirror)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층은 광 전파 방향에서 기판의 정면에서부터 그 배면을 향해 최소 50%의 반사율 및/또는 최대 50%의 투과율을 보유할 수 있다. 정면은, 이 정면에서부터 배면의 방향으로 정면 상으로 입사되는 광이 그 반대되는 방향으로 전파되는 광보다 더 높은 정도로 반사되도록, 이방성 반사 특성들을 구비할 수 있다. (전문 문헌에서 한결같이 그리스어 심벌 "τ"로 표시되는) "투과율"이란 표현은 투과되는 방사선 용량(radiation proportion)에 대비되는 매체 상으로 입사되는 방사선 용량(즉, 매체의 광 입사면 상으로 입사되는 광)의 역비율(inverse proportion)을 의미한다. 이 경우, 광은 매체의 광 입사면 상으로 직각으로 입사된다. (전문 문헌에서 한결같이 그리스어 심벌 "ρ"로 표시되는) "반사율"이란 표현은 반사되는 방사선 용량에 대비되는 매체 상으로 입사되는 방사선 용량의 역비율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의 경우, 각각의 표면 상으로 법선으로 입사되는 광이 기반이 되며, 명시된 값들은 최소한 400㎚ 내지 800㎚ 사이의 파장 범위에 적용된다.
특히, 제1 층은 광 전파 방향에서 기판의 배면에서부터 그 정면을 향해 최대 80%의 반사율 및/또는 최소 20%의 투과율을 보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원의 방법은 하기 단계, 즉,
C. 기판의 정면 또는 배면 상에 광 흡수성 표면층을 적층하는 적층 단계이며, 광 비투과성 표면층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심벌의 이미지 생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광 투과성 개구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 상기 적층 단계;를 더 포함하며,
단계 B 및 C는, 기판의 배면에서부터 그 정면의 방향으로 광 비투과성 표면층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통과하는 광이,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표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심벌의 투영을 위해, 제1 금속 반투명 층 상으로 입사되어 제1 금속 반투명 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깥쪽으로 관통하는 방식으로 실행된다. 단계 B와 C의 순서는 기본적으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그래픽 심벌은, 예컨대 탱크 뚜껑을 표시하기 위해, 단순히 단지 정사각형, 원, 스트립 등일 수 있다. 또한, 광 비투과성 표면층은 PVD 공정에 의해 적층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광 투과성 개구부는 레이저 가공을 통해 노출된다. 금속 스퍼터링 층들의 경우, 층 두께는 상기 불투명성의 달성을 위해 다른 재료들에 비해 매우 얇다.
"광 비투과성"이란 표현은, 투과율이 0.001보다 작거나 같다는 점, 다시 말해 최대 1 프로밀(promille) 내지 0.1%라는 점을 의미한다. 특히 "광 비투과성" 객체들의 투과율은 본 발명의 의미에서 0.01%, 0.001% 또는 심지어 정확히 0%일 수 있다. 또한, 광 비투과성 표면층은 광을 흡수하는 방식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표면층은 광 흡수성일 수 있다.
또한, 광 비투과성 표면층은 필름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필름은 기판 상에 분무되는 접착성 필름 또는 딥드로잉 필름(deep-drawn film)일 수 있다.
상기 필름들을 위한 재료들은 상이한 플라스틱들일 수 있으며, - 통상적으로 PMMA와 PC이다.
특히, 광 비투과성 표면층은 기판의 배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 비투과성 표면층은 기판의 정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층은 광 흡수성 표면층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 비투과성 표면층은 기판의 배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광 비투과성 표면층은 광 비투과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층은 기판의 배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층은 기판의 정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층은 2㎚와 300㎚ 사이의 층 두께를 보유할 수 있다.
특히, 진공 챔버의 압력은 10-2mBar 미만일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3mBar 미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원 방법은, 또한, 하기 단계, 즉,
D) 제1 층을 덮는 제2 착색 층을 적층하는 적층 단계이며, 제2 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이며, 그리고 상기 제2 층은, 제1 층의 표면에 의해 반사되는 광빔들이 제2 층의 표면에 의해 반사되는 광빔들과 중첩됨으로써 기판의 정면에서부터 그 배면의 방향으로 디자인 요소 상으로 입사되는 광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간섭, 특히 상쇄 간섭(destructive interference)을 통해 조작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인, 상기 적층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2 층에는 가능한 한 체색이 없을 수 있되, 체색은, 가시광의 스펙트럼의 적어도 부분적인 흡수를 통해 식별될 수 있는 색이며, 색 성분들(적색, 녹색 및 청색)의 흡수도는 동일하지 않으며, 제2 층은, 자동차 디자인 요소에 의해 반사된 광이 자체 색체 조합과 관련하여 광의 적어도 하나의 스펙트럼 성분의 간섭을 통해 조작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가능한 한 ~이 없는"이란 표현은, 색채 효과(color effect)가 주로 재료 내에서 스펙트럼 성분들의 간섭을 통해 생성되고 상기 스펙트럼 성분들의 흡수를 통해서는 생성되지 않는다는 점, 다시 말하면 가시광에 대한 흡수율이 예컨대 30% 미만의 가시광의 주파수 스펙트럼(400㎚ 내지 800㎚의 파장) 이내에서 변동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층의 적층 단계는 스퍼터링을 통해 수행될 수 있되, 예컨대 티타늄은 스퍼터링 공정에 유입되는 반응 가스로서의 산소와 반응하고 그에 따라 제1 층 상에서 티타늄 이산화물층을 형성하는 스퍼터 타깃을 통해 제공되며, 코팅 과정의 코팅 속도 및/또는 기간이 기설정된 조건에서 제2 층의 층 두께가 기설정된다. 예컨대 (스퍼터 타깃에서 추출되는) 티타늄과 (반응 가스로서의) 산소의 결합을 통해, 다수의 (간섭) 색상이 형성되며(청색, 금색, 보라색, 녹색, 황색), 실제 색상은 코팅층의 두께에 따라 결정된다. 전체 코팅층 구성에 대한 예시의 "제조 방법(recipe)"은 하기와 같다.
금속 층의 적층을 가능하게 하는 적합한 스퍼터 타깃을 선택하되, 금속 층의 금속은 하기 목록에서 선택될 수 있다. {티타늄, 크롬, 규소, 알루미늄, 특수강, 구리, 지르코늄}. 선택적으로, 먼저, 기판 상에 베이스 층(예컨대 PECVD에 의한 HMDSO)이 적층될 수 있다. 그 다음, 반응 가스가 생략된 조건에서 언급한 금속들 중 하나 또는 이들 금속의 혼합물들로 구성되는 이른바 제1 층이 적층된다. 그에 뒤이어, 반응 가스, 예컨대 산소가 사용되는 조건에서 제2 층이 적층된다. 반응 가스와 금속의 화학 반응을 통해, 금속 세라믹이 생성된다. 이런 금속 세라믹들은, 대개, 예컨대 높은 경도, 높은 내화학성, 그리고 간섭을 통해 색상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분명히 다른 광학 특성들(예: 투명성)과 같은, 순수 금속과 분명히 다른 특성들을 보유한다. 상기 금속 세라믹들의 특성들은, 얇은 층 두께로 인해, 벌크 재료로서의 동일한 재료의 특성들과 당연히 동일하게 고려되지는 않는다(티타늄 이산화물은 예컨대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두께로 더 이상 투명한 것이 아니라 백색 분말-백색 안료이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스퍼터 타깃은 변함없이 유지되며, 다시 말하면 제1 층에서와 동일한 출발 금속이 이용될 수 있다. 제2 층의 적층 이후, 선택적으로 이미 언급한 보호층이 적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층 및 제2 층은, 배면에서부터 정면 쪽으로 기판 및 층들을 통과하여 전파되는 광에 대한 적어도 부분적인 광 투과성이 보장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그 대안으로, 제2 층은 제1 층과 동일한 출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2 착색 층의 적층은 스퍼터링 공정 동안 반응 가스가 부가된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비반응성 스퍼터링 공정과 달리, 반응성 스퍼터링 공정의 경우, 스퍼터링을 위해 필요한 불활성 가스(예: 아르곤)에는, 그 외에, 타깃에서부터 추출되는 재료와 반응하고 그에 따라 증착된 층을 변화시키는(예컨대 스퍼터 타깃에서 분리되는 티타늄이 산소와 반응하여 티타늄 이산화물을 생성하고 그에 따라 기판 내지 제1 층 상에 티타늄 이산화물층을 형성할 수 있는) 추가 가스(또는 가스 혼합물)가 스퍼터링 챔버 내에 제공된다. 상기 층들은 반응 가스와의 반응에 의한 화학적 변화를 통해 분명하게 변화된 특성 스펙트럼을 보유할 수 있다(예컨대 금속은 갑작스럽게 세라믹 또는 유리 유형의 특성들을 취할 수 있다). 반응 가스로서는 실질적으로 금속과 반응할 수 있는 모든 가스가 고려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산소, 질소 내지 탄소 함유 가스(CO 내지 아세틸렌 또는 메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들이 이용된다.
특히, 기판의 배면에서부터 정면 쪽으로 배향되는 방향에서 볼 때, 제1 층의 뒤에는, 광빔들을 다시 제1 층 또는 경우에 따른 제2 층 쪽으로 부분적으로 역반사하기 위한 반투명 효과 반사층(effect reflective layer)이 배치될 수 있되, 상기 효과 반사층은 제1 층으로부터 최소 1㎜의 이격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효과 반사층과 제1 층 사이에는, 기판의 배면에서부터 그 정면의 방향으로 통과하는 광빔들이 제1 층과 효과 반사층 사이에서 반사될 수 있고 효과 반사층을 통과해서는 바깥쪽으로 방사될 수 있도록, 광 투과성 재료가 배치된다. 그에 따라, 광 비투과성 표면층 내 광 투과성 개구부와 함께, 그래픽 심벌들이 인상적으로 표시된다.
- 상이한 적용 범위(측정 기기들의 정렬)를 제외하고- 다중 반사 영역을 이용하여 "고스트 이미지(Ghost image)"를 생성하는 구조로 구성되는 문헌 EP 0 256 635 A2호와 달리, 본 발명의 상기 양태의 주요 차이점은, "마스크"-다시 말해 이미지를 결정하는 개구부-가, EP 0 256 635 A2호와 달리, (예컨대 완전 반사 (비-반투명) 금속층으로서 형성될 수 있는) 하부의 광 비투과성 층 내에 직접 구성된다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서, 본원 양태에 따라서, 마스크는, 완전하게 일반적인 제1 반투명 금속층(L1)의 안쪽에 부착되어 있는 광 비투과성 층 내의 개구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본 발명의 상기 양태에서 층 시퀀스는 하기와 같다. - 광 비투과성(선택적으로 흡수성) 층(LD) / 기판(1) / 반투명 금속층(L1)(L1과 1은 경우에 따라 순서가 서로 바뀔 수도 있음)/ 선택적인 착색 층(L2)(이는 L1 상에 직접 적층될 수 있음) / 광 투과성 재료(1') / 반투명 효과 반사층(L3) / 선택적인 코팅층(CL). 금속층이 반투명성이 되도록 하기 위해, 수 ㎚ 범위(투과 깊이)의 층 두께들이 제공될 수 있다. 재료로서는, 예컨대 Al, Au, Ag, Cu, Cr, 등과 같은 다수의 금속이 고려된다. 또한, 이런 관점에서 언급할 사항은, EP 2 256 635 A2호에는, EP 0 256 635호의 조리개(diaphragm) 내 개구부가 측정 기기를 안착하기 위해 이용되는 최대한 작은 "핀홀(pinhole)"로서 형성된다는 점이다. 그와 반대로, 본 발명은 그래픽 심벌의 재현을 그 대상으로 하고 측정 기기들의 정렬과는 관계가 없다. 그 외에, EP 0 256 635 A2호의 단락 [0023]에서는, "이중 반사 미러(18)의 배면은 반투명하고 보통 빔 스플리터(beam splitter)로서 사용되는 코팅층(40)을 포함한다. 상기 코팅층은, 바람직하게는 마그네슘 불화물 및 규소 산화물과 같은 비흡수성 유전체 코팅 재료들로 구성된다." 그러나 유전체 코팅층에 의해서는, 반사(금속) 효과는 달성될 수 없지만, 상기 효과는 본 발명의 상기 선택적인 양태에서 필수적인 것이고 종속 청구항에 따라 제공되는 것처럼 단지 얇은 금속층에 의해서만 생성되고 EP 0 256 635 A2호에 따른 조치들에 의해서는 생성되지 않는다.
또한, 효과 반사층은, 기판의 정면에서부터 그 배면의 방향으로 입사되는 광과 관련하여 최소 50%에 이르는 반사율을 보유할 수 있다.
특히, 효과 반사층은, 기판의 정면에서부터 그 배면의 방향으로 효과 반사층 내로 입사되는 광과 관련하여 최소 50%에 이르는 투과율을 보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층과 효과 반사층은 이들 층 사이에서 반사되는 광빔들의 각도의 변화를 위해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경사져 있을 수 있다. 그렇게 하여, 반사 이미지들의 광학적 변화, 특히 그 왜곡이 달성된다.
특히, 단계 B)에 따른 PVD 공정은 스퍼터링 공정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계 C)에 따른 제1 층의 적층 및 구성 단계는 스퍼터링 공정 동안 반응 가스가 생략된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단계 B) 및 C)에서의 온도는 100℃ 미만, 바람직하게는 7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미만일 수 있다. 그렇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기본적으로 상대적으로 더 낮은 내온성을 갖는 기판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D)에 따른 제2 착색 층의 적층 단계는 반응 가스, 특히 산소가 부가된 조건에서 스퍼터링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티타늄이 스퍼터링 공정에 유입되는 반응 가스로서의 산소와 반응하고 그에 따라 제1 층 상에서 티타늄 이산화물층을 형성하는 스퍼터 타깃을 통해 제공됨으로써 제2 층이 수득될 수 있으며, 코팅 과정의 코팅 속도 및/또는 기간이 기설정된 조건에서 제2 층의 층 두께가 기설정된다.
특히, 단계 B)에 따른 PVD 공정은 열증착 공정(thermal evaporation)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생각해볼 수 있는 또 다른 예시의 PVD 방법들은 예컨대 전자빔 증착, 레이저빔 증착, 아크 증착(arc)이다.
특히, 제1 층은 알루미늄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런 제1 층은 예컨대 비반응성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증착될 수 있다. 알루미늄은 층 두께에 따라 정확하게 정의될 수 있는 반사율을 보유하고 그로 인해 제1 층으로서의 이용을 위해 그 적합성이 매우 우수하다.
제1 층의 적층을 위해 적합한 비반응성 스퍼터링 공정은 하기와 같이 예를 들 수 있다. 아르곤 가스는 (의도되는 압력 범위, 예컨대 1 x 10-4 mbar로까지) 진공 챔버 내로 유입되고, 타깃(캐소드)은 전압을 인가받으며, - 애노드는 통상적으로 챔버 벽부 내지 장치들에 의해 표현되며, 전압을 통해서는 아르곤이 (Ar+으로) 이온화되어 (음극 하전된) 캐소드 쪽으로 가속화되며, 아르곤 이온들의 (기계적) 충돌을 통해 임펄스가 타깃의 원자들로 전달되며,- 에너지가 충분하게 존재하면, 타깃 원자들의 일부분이 용해되어 공간으로 날아가며, 챔버 내 압력이 충분히 낮은 경우 튕겨진 원자들의 비행 거리(flight distance)는, 상기 원자들이 기판에까지 도달할 수 있고 그곳에서 응축되는 정도로 높다. 적층된 층들을 위한 기본 재료는 스퍼터링 공정에서 타깃으로서 존재한다(통상적으로 금속들이지만, 그러나 이 경우 세라믹들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층 및 경우에 따른 제2 층은, 역광 조명(backlighting)이 멀리 떨어져 있을 때 광 흡수성 표면층 내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도록 기판의 정면에서부터 그 배면의 방향으로 층들 상으로 입사되는 광이 반사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역광 조명이란 표현은, 이를 위해 제공되는 능동적 광원에서 기인하는 광이 배면을 통해 정면의 방향으로 개구부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방사되는 배치를 의미한다.
특히, 제1 층 위쪽에, 또는 경우에 따라 제1 층을 덮는 제2 층 위쪽에, 보호층이 플라스마 중합에 의해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층은 특히 폴리헥사메틸디실록산으로 구성되는 층이다. 상기 양태의 일 개선예에서, 보호층은, 자동차 디자인 요소에 의해 반사된 광이 자체 색체 조합과 관련하여 광의 적어도 하나의 스펙트럼 성분의 간섭을 통해 조작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목적을 위해, 상기 보호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하다. 그 외에, 보호층을 통해서는 코팅층의 기계적 저항성 및 내수증기성도 증가된다.
특히, 단계 C)에 따라서 제1 층을 적층하기 전에, 베이스 층이 기판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층은, 이미 앞서 보호층으로서, 다시 말해 예컨대 플라스마 중합(PECVD)에 의해 적층되는 층으로서 고려될 수 있는 재료와 동일한 재료일 수 있되, 상기 보호층은 특히 헥사메틸디실록산(HMDSO)으로 구성된 층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판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ABS, 공업용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로 구성되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폴리에테르이미드는 상황에 따라 목표한 바대로 사용되거나 -또는 다른 경우에는 방해가 될 수 있는 소정의 고유 색상을 갖는다.
그 대안으로, 기판은 유리로, 또는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층에 의해 코팅될 기판의 면은 최소한 일측 섹션에서 매끄럽고 적어도 하나의 타측 섹션에서는 거칠거나 구조화되어 있는 표면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친 표면은 예컨대 금속 솔질(brushing)된 방식으로 작용하는 표면으로서 형성될 수 있되, 래커를 이용한 종래 코팅층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코팅층 구성은, 표면의 거칠기를 실제로 변함없이 계속하여 표현하기 위해 충분히 얇다. 그와 반대로 래커 코팅층들은 코팅할 표면 상에서 "용해(melt)되며", 그리고 래커를 위해 필요한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층 두께로 인해 상기 거칠거나 구조화된 표면들을 덮는다. 하기에서는, 예컨대 사출 성형 방법으로 제조되는 조리개 부재들, 또는 조리개 부재를 위해 이용되는 기판이 사출 성형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인 조리개 부재들의 표면 특성들이 논의되되, 기판은 예컨대 플라스틱일 수 있다. 예컨대 사출 성형 금형의 표면 내 비평면도를 통해, 또는 다른 영향들을 통해서도, 각각의 기판의 표면은 최소 치수의 비평면도를 갖는다. (예컨대 VDI 표준 3400에도 기술되어 있는) 이른바 표면 조직(surface texture)들, 다시 말하면, 디자인 입력(design input)에 따라 표면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의도적으로도 형성될 수 있는 표면에서의 비평면도가 발생한다. 상기 표면 조직들의 음형(negative form)들은, 레이저 가공/에칭/스탬핑과 같은 상응하는 방법을 통해, 조리개 부재의 제조를 위해 이용되는 사출 성형 금형 내에 의도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조리개 부재의 주조된 기판의 표면 상에 그에 상응하게 매핑된다. 그 대안으로, 조리개 부재들의 매끄러운 기판들에는 재가공 공정에서 상기 유형의 표면 조직들이 직접적으로 구비될 수 있되, 앞서 언급한 방법들, 다시 말해 레이저 가공/에칭/스탬핑이 똑같은 정도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비평면도의 치수는 기술 변수, 요컨대 이른바 평균 거칠기(Ra: average roughness)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평균 거칠기(Ra)는 중심선까지 -표면 상의- 측정점의 평균 간격을 명시한다. 중심선은, 중심선까지 평행 평면 내에서의 프로파일 편차들의 합이 측정 구간의 길이 상에 분배되도록, 기준 길이(reference length)의 안쪽에서 실제 프로파일과 교차한다. "평균 거칠기"란 용어는, 문헌에서 한결같이 이용되고 그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면서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기술 용어이다.
본 발명에서 "매끄러운"이란 표현은 최대 0.25㎛에 이르는, 다시 말해 Ra <= 0.25인 평균 거칠기를 갖는 표면을 의미한다.
"거친"이란 표현은, 최소 2.0㎛에 이르는, 다시 말해 Ra >= 2.0㎛인 평균 거칠기를 갖는 표면을 의미한다. 동일하게, 본원 목적을 위해 기술적으로 유리한 거칠기의 최댓값이 존재할 수 있다. 최대 거칠기는 예컨대 25㎛일 수 있으며, 다시 말해 Ra <= 25㎛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하나의 자동차 디자인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표시 또는 신호 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에도 관한 것이되, 광원은, 기판의 적어도 하나의 배면을 통과하여, 그리고 기판의 정면을 통과하여 바깥쪽으로 광을 방사하고 이와 동시에 제1 반투명 층을 투광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광원에는, 기설정 가능한 기간 동안 광원을 스위치 온 및 오프하고 그렇게 하여 표시 또는 신호 요소의 광학 형상(optical appearance)을 적어도 2개의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 장치가 할당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예컨대 "콜드 디자인(cold design)"과 "웜 디자인(warm design)" 간의 구분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서 제조되는 자동차 디자인 요소에 관한 것이며, 자동차 디자인 요소는 형태적으로 안정된 기판을 포함하며, 기판 상에는 그 밖에도 제1 금속 반투명 층이 배치된다.
특히, 형태적으로 안정된 기판의 정면 또는 배면 상에는 광 흡수성 표면층이 배치될 수 있되, 광 비투과성 표면층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심벌의 이미지 생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광 투과성 개구부가 포함되며, 표면층은, 기판의 배면에서부터 그 정면의 방향으로 광 비투과성 표면층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통과하는 광이,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표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심벌의 투영을 위해, 제1 금속 반투명 층 상으로 입사되어 제1 금속 반투명 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깥쪽으로 관통하는 방식으로, 기판의 배면에서 출발하여 그 정면 쪽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제1 금속 반투명 층의 앞쪽에 배치된다. 광은, 금속 층을 통과할 때, 산란될 수 있다.
그 대안으로, 개구부는 제공되지 않아도 된다. 이렇게, 디자인 요소의 전체 가시면(visible surface)이 투광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예컨대 탄소 광학 요소들 또는 컬러 모티브(colored motive)와 같은 표면 디자인들이 제공된다. 이 경우, 광원의 광색은 추가로 형상(appearance)의 실질적인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다양한 스퍼터 재료들은 관통하는 광의 색상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표시 또는 신호 요소에 관한 것이며, 상기 표시 또는 신호 요소는, 기판의 배면에서부터 기판의 정면을 통과하여, 그리고 표면층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제1 층 상으로, 그리고 이 제1 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과하여 광을 방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광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광원은 제어 가능한 광원, 특히 RGB 광원일 수 있되, 제어 가능한 광원의 광도 및/또는 광색은 시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특히, 광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 및 제1 층은, 광원을 통한 조명 동안, 간헐적인 오렌지색 주행방향 표시 신호가 바깥쪽으로 방출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동일한 정도로 다른 광 기능들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자동차 디자인 요소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표시 또는 신호 요소를 포함하는 차량 헤드램프에 관한 것이다. 차량 헤드램프의 안쪽에 상기 디자인 요소를 적용하는 경우, 디자인 요소가 상기 방식으로 환경영향들로부터 효율적으로 대폭 보호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자동차 디자인 요소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표시 또는 신호 요소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차량 헤드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원 자동차는
- 차량 주변환경의 검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
- 적어도 하나의 표시 또는 신호 요소; 및
-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표시 또는 신호 요소와 연결되어 표시 또는 신호 요소의 광원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제어 장치는 차량 주변환경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되는 사람에 따라서 검출된 사람에게 시각적인 신호 전달을 위해 표시 또는 신호 요소의 광원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대안으로, 자동차는 복수의 센서 및 복수의 표시 또는 신호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센서에는 하나의 표시 또는 신호 요소가 할당되며, 제어 장치는 시동 신호에 따라서 센서들의 점검 루틴을 시작하도록 구성되며, 점검 루틴의 과정에서 차량의 둘레에서 이동하는 사람을 통한 차량을 중심으로 한 순회가 센서들에 의해 검출되며, 사람으로 향해 있는 표시 및/또는 신호 요소들은, 센서들의 기능 상태가 차량을 점검하는 사람에게 시각적으로 전해질 수 있도록, 기설정 가능한 패턴에 따라 센서 점검의 결과에 따라서 적어도 2개의 광학 상태, 특히 액티브 상태와 패시브 상태 사이에서 전환된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언급한 장치들은 차량의 임의의 부분들에서 실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컨대 도어 손잡이, 탱크 뚜껑, 내부 프레임 영역, 차체의 부품들 등이 고려될 수 있다. 기능으로서는, 예컨대 전기 자동차의 축전지 상태의 표시, 주간 주행등 기능 또는 예컨대 환기 개구부 디자인 요소들에서 온도의 시각화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언급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유추할 수 있는 장치 특징들 및 이들에서 기인하는 장점들 모두는 하기에서 언급되는 장치들의 부분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 디자인 요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이면서 비제한적인 실시형태들을 근거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기판 상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서 층들을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스퍼터링 공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기판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베이스 층을 포함하는 기판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층 및 베이스 층을 포함하는 기판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층, 제2 층 및 베이스 층을 포함하는 기판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층, 제2 층 및 보호층 또는 효과 반사층, 그리고 베이스 층을 포함하는 기판의 개략도이다.
도 7a 및 7b는 각각 패시브 작동 상태 및 액티브 작동 상태에서 광 비투과성 표면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요소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광 흡수성 표면층 내에 개구부를 구성하기 위한 예시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9b는 각각 패시브 작동 상태 및 액티브 작동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요소의 대안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및 10b는 각각 패시브 작동 상태 및 액티브 작동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요소의 또 다른 대안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효과 반사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요소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및 12b는 도 11의 의미에서 표시 요소의 효과 반사층의 기울기의 예시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헤드램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 및 14b는 각각 패시브 작동 상태 및 액티브 작동 상태에서 예시의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요소들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 및 15b는 리어뷰미러 내에 통합된 점멸등의 형태인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점검 루틴에서의 이용을 위한 복수의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요소를 포함하는 예시의 자동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 도면들에서, -다른 방식으로 명시되지 않은 점에 한해- 동일한 도면부호들은 동일한 특징들을 나타낸다.
도 1에는, 기판(1) 상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서 층들을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스퍼터링 공정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광 비투과성 자동차 디자인 요소(3)(도 4, 5 및 6 참조)를 제조하기 위해 적합하며, 그리고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A. 최소 60℃에 이르는 온도에 대해 내열성이 있고 형태적으로 안정적이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인 기판(1)을 끌어당기는 끌어당김 단계이며, 기판(1)은 정면과 배면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끌어당김 단계; 및
B. 진공 챔버(2) 내로 기판(1)을 삽입하고 PVD 공정을 이용하여 단계 A)에 따라 진공 챔버(2) 내에 위치하는 기판(1) 상에 제1 금속 반투명 층(L1)을 적층하는 삽입 및 적층 단계.
단계 B에 따른 PVD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스퍼터링 공정으로서 형성된다. 도 1에 따른 실례에는, 층들을 기판(1) 상에 적층할 수 있는데 그 근거가 되는 상이한 변형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아르곤 가스(4)가 진공 챔버(2) 내로 (의도되는 압력 범위, 예컨대 1 x 10-4mbar로까지) 유입되며, 타깃(5)은 예컨대 챔버 벽부(6)에 상대적으로 전압을 인가받는다. 그렇게 하여, 아르곤은 (Ar+으로) 이온화되어 (음극 하전된) 캐소드(5) 쪽으로 가속화된다. 아르곤 이온들의 (기계적) 충돌을 통해 임펄스가 타깃의 원자들로 전달되며,- 에너지가 충분하게 존재하면, 타깃 원자들의 일부분이 용해되어 공간으로 날아가며, 챔버(2) 내 압력이 충분히 낮은 경우 튕겨진 원자들의 비행 거리는, 상기 원자들이 기판(1)에까지 도달할 수 있고 그곳에서 응축되는 정도로 높다. 적층된 층들을 위한 기본 재료는 스퍼터링 공정에서 타깃(5)으로서 존재한다(통상적으로 금속들이지만, 그러나 이 경우 세라믹들일 수도 있다). 도 1에는, 타깃(5)으로서 2가지 가능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 이렇게 타깃은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또는 티타늄으로도 구성될 수도 있다. 알루미늄은 이미 언급한 제1 층(L1)의 제조를 위한 그 적합성이 매우 우수하다. 제1 층(L1)의 제조 동안 반응 가스의 존재는 생략된다. 이런 경우, 알루미늄은 타깃 상에 순수 형태(pure form)로 응축된다. 그러나 도 1에는 동일하게 대안의 시나리오가 도시되어 있으며, 요컨대 예를 들면 티타늄 타깃이 고려되고 추출된 티타늄 재료 또는 티타늄 원자들은 반응 가스(7)-여기서는 산소-와 반응하여 티타늄 이산화물을 생성하고 기판(1) 상에서 응축되는 것인 시나리오가 도시되어 있다. 이런 방식으로, 제2 층(L2)(도 5 및 6 참조)이 제조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맨 먼저 제1 층(L1)이 비반응성 스퍼터링 과정에서 적층되고 그에 뒤이어 반응 가스(7)의 유입 후에 제2 층(L2)이 제1 층(L1)에 걸쳐 적층된다.
이 경우, 제1 층(L1) 및 -존재하는 경우- 제2 층은, 자체 조성 및 층 두께와 관련하여, 상기 층들이 변함없이 기판(1)의 배면(1b)에서부터 그 정면(1b) 쪽으로 기판(1)을 통과하는 광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과성인 방식으로 선택된다.
도 2에는, 예컨대 플라스틱, 특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ABS, 공업용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의 형태인 기판(1)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 대안으로, 기판(1)은 유리로, 또는 금속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고 후속 코팅 과정들에 대비하여 기판(1)을 최적으로 준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베이스 층(BL)(base layer)을 포함하는 기판(1)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 언급한 제1 층(L1)과 베이스 층(BL)을 포함하는 기판(1)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층(L1), 제2 층(L2) 및 베이스 층(BL)을 포함하는 기판(1)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 외에, 도 5에는, 서로 중첩되는 앞서 언급한 광빔(LS1 및 LS2)들도 도시되어 있되, 중첩을 통해 디자인 요소(3)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색상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색 영향은 층 재료들 및 층 두께(d1 및 d2)들의 선택에 따라서도 결정된다
단계 C에 따른 제1 층(L1)의 적층 및 구성은 스퍼터링 공정 동안 반응 가스가 생략된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B 및 C에서의 온도는 100℃ 미만, 바람직하게는 7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미만일 수 있다.
단계 D에 따른 제2 착색 층(L2)의 적층 단계는 반응 가스, 특히 산소가 부가된 조건에서 스퍼터링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티타늄이 스퍼터링 공정에 유입되는 반응 가스로서의 산소와 반응하고 그에 따라 제1 층(L1) 상에서 티타늄 이산화물층을 형성하는 스퍼터 타깃을 통해 제공됨으로써 제2 층(L2)이 수득될 수 있으며, 코팅 과정의 코팅 속도 및/또는 기간이 기설정된 조건에서 제2 층(L2)의 층 두께가 기설정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층(L1), 제2 층(L2) 및 보호층(CL)(coat layer) 또는 효과 반사층(L3), 그리고 베이스 층(BL)을 포함하는 기판(1)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보호층(CL)은 플라스마 중합에 의해 적층되며, 상기 보호층(CL)은 특히 헥사메틸디실록산으로 구성되는 층일 수 있다. 상기 보호층(CL)은 투명하긴 하지만, 그럼에도 각각의 층 두께(d3)에 따라서 착색에 유의적으로 관여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층을 통해 주변 매체(예: 공기)에 대한 경계면 상에서 반사되는 광빔(LS1 및 LS2)들과 중첩되는 광(LS3)이 동일하게 반사되기 때문이다. 그 외에, 보호층(CL)의 제공은, 보호층(CL)이 공기와 다른 유전율을 갖는 점에 한해, 제2 층(L2) 및 그에 따른 광빔(LS2)들의 반사 거동을 변화시킨다. 그에 따라, 보호층(CL)은, 자동차 디자인 요소(3)에 의해 반사되는 광이 자체 색체 조합과 관련하여 광의 적어도 하나의 스펙트럼 성분의 상쇄 간섭을 통해 조작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효과 반사층은 기본적으로 정확히 제1 층(L1)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효과 반사층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 ~ 6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자동차 디자인 요소(3)가 도시되되, 자동차 디자인 요소(3)는 형태적으로 안정된 기판(1)을 포함하고, 이 기판 상에는 금속 반사하는 제1 착색 층(L1)이 적층되며, 이런 층(L1)은, 최소 2㎚의 층 두께를 갖는 반투명 층이 달성되는 방식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제1 층(L1)을 덮는 제2 착색 층(L2)이 제공되되, 제2 층(L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이며, 그리고 상기 제2 층은, 제1 층(L1)의 표면에 의해 반사되는 광빔(LS1)들이 제2 층(L2)의 표면에 의해 반사되는 광빔(LS2)들과 중첩됨으로써 디자인 요소(3) 상으로 입사되는 광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간섭을 통해 조작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제2 층(L2)에는 가능한 한 체색이 없을 수 있되, 체색은, 가시광의 스펙트럼의 적어도 부분적인 흡수를 통해 식별될 수 있는 색이며, 색 성분들(적색, 녹색 및 청색)의 흡수도는 동일하지 않으며, 제2 층(L2)은, 자동차 디자인 요소(3)에 의해 반사된 광이 자체 색체 조합과 관련하여 광의 적어도 하나의 스펙트럼 성분의 간섭을 통해 조작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도 4 ~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제1 층(L1)은, 이 제1 층(L1)이 기판(1)의 정면(1a)에서부터 그 배면(1b)의 방향으로 제1 층(L1) 상에 도달하는 광을 반사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면들에는 광원(9) 역시도 도시되어 있되, 이런 광원에 의해 광빔(LSQ)들은 기판(1)을 통과하여 배면(1a)에서부터 정면(1b) 쪽으로, 그리고 후속 층들을 통과하여 방사된다.
제2 층(L2) 및 보호층(CL)에 대한 대안으로, 그리고 그에 보충하여, 제1 층(L1)과 제2 층(L2)(또는 보호층(CL)) 사이에 효과 반사층(L3)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런 효과 반사층의 광학 작용에 대해서는 도 11과 12a 및 12b와의 개요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다루어진다. 간단히 말하면, 효과 반사층(L3)은, 배면(1b)에서부터 정면(1a)의 방향으로 제1 층(L1)을 통과하는 광빔들을 제1 층 쪽으로 부분적으로 역반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시의 반사되는 광빔(LSQR)들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달리 표현하면, 도 6에는, 제1 층(L1) 위쪽에, 또는 경우에 따라 제1 층(L1)을 덮는 제2 층(L2) 위쪽에 보호층(CL)이 플라스마 중합에 의해 적층될 수 있는 점이 도시되어 있되, 상기 보호층은 특히 헥사메틸디실록산으로 구성되는 층이다. 보호층(CL)은, 자동차 디자인 요소(3)에 의해 반사된 광이 자체 색체 조합과 관련하여 광의 적어도 하나의 스펙트럼 성분의 간섭을 통해 조작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계 C에 따라서 제1 층(L1)을 적층하기 전에, 베이스 층(BL)이 기판(1)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도 7a 및 7b에 따라서 형태적으로 안정적인 기판(1)의 정면 또는 배면(1a, 1b) 상에 광 흡수성 표면층(LD)이 배치되어 있는 것인 자동차 디자인 요소(3)가 제공될 수 있되, 광 비투과성 표면층(LD)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심벌(SYM)의 이미지 생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광 투과성 개구부(8)가 포함되어 있으며, 표면층(LD)은, 기판(1)의 배면(1b)에서부터 그 정면(1a)의 방향으로 광 비투과성 표면층(LD)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8)를 통과하는 광이,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8)를 통해 표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심벌(SYM)의 투영을 위해, 제1 금속 반투명 층(L1) 상으로 입사되어 제1 금속 반투명 층(L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깥쪽으로 관통하는 방식으로, 기판(1)의 배면(1b)에서 출발하여 그 정면(1a) 쪽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제1 금속 반투명 층(L1)의 앞쪽에 배치된다.
도 7a 및 7b에는, 광 비투과성 표면층(LD)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요소(10a)의 개략도가 각각 패시브 작동 상태 및 액티브 작동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보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도 7a에는, 표시 요소(10a)가, 표면층(LD) 내의 개구부(8)를 조명하도록 구성되는 광원(9)이 스위치 오프되어 있는 -콜드 상태로서도 지칭되는- 패시브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그와 반대로, 도 7b에는, 상기 광원(9)이 스위치 온 되어 있으며, 다시 말해 -웜 상태로서도 지칭되는- 액티브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그럼으로써 심벌(SYM)은 표시 요소(10a)의 정면 쪽으로 투영되게 된다. 그러므로 웜 상태에서, 심벌(SYM)은 정면에서부터 출발하여 시선 방향에 대해 보일 수 있다. 그와 반대로, 콜드 상태에서, 심벌(SYM)은 나안(naked eyes)으로 식별될 수 없다. 이런 방식으로, 정보들은 -디자인 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는- 표시 요소 내에 은폐되고 정해진 상황들에서 표시된다. 도 7a 및 7b에 따른 실례에서는, 회사 로고-본원에서는 회사 "ZKW"의 로고-의 표시에 관련된다. 그 대안으로, 예컨대 탱크 뚜껑 상의 표시, 경고 표시, 기술 정보 등과 같은 기술 심벌들 역시도 투영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기판(1)의 정면(1a) 또는 배면(1b) 상에 광 흡수성 표면층(LD)의 적층이 수행될 수 있되, 광 비투과성 표면층(LD)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심벌(SYM)의 이미지 생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광 투과성 개구부(8)가 포함되어 있다. 방법 단계들 B 및 C는, 기판(1)의 배면(1b)에서부터 그 정면(1a)의 방향으로 광 비투과성 표면층(LD)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8)를 통과하는 광(LSQ)이,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8)를 통해 표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심벌(SYM)의 투영을 위해, 제1 금속 반투명 층(L1) 상으로 입사되어 제1 금속 반투명 층(L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깥쪽으로 관통하는 방식으로 실행된다.
광 비투과성 표면층(LD)은 PVD 공정에 의해 적층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광 투과성 개구부(8)는 레이저 가공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그 대안으로, 광 비투과성 표면층(LD)은 필름의 형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광 비투과성 표면층(LD)은 기판(1)의 배면(1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 대안으로, 광 비투과성 표면층(LD)은, 이후 정면(1b) 상에 추가 층(L1)들 등이 뒤따른다면, 기판(1)의 정면(1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층(L1)은 광 흡수성 표면층(LD)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광 비투과성 표면층(LD)은 완전히 광 비투과성일 수 있다.
표시 또는 신호 요소(10a, 10b)는 기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통해 확보될 수 있으며, 그리고 기판(1)의 배면(1b)에서부터 기판(1)의 정면(1a)을 통과하여, 그리고 표면층(LD)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8)를 통과하여 제1 층(L1) 상으로, 그리고 이 제1 층을 통과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을 방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광원(9)을 포함한다. 이 경우, 광원(9)은 바람직하게는 제어 가능한 광원, 특히 RGB 광원이며, 제어 가능한 광원(9)의 광도 및/또는 광색은 시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일상용어로 "점멸기"로서도 지칭되는) 방향 지시등의 구현을 위해, 광원(9),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8) 및 제1 층(L1)은, 광원(9)을 통한 간헐적인 조명 동안, 간헐적인 오렌지색 주행방향 표시 신호가 바깥쪽으로 방출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도 8에는, 광 흡수성 표면층(LD) 내에 개구부(8)의 구성을 위한 예시의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8)는 본 실례에서 레이저 가공을 통해 노출된다. 그 대안으로, 또는 그에 보충하여, 광 투과성 개구부를 둘러싸는 필름들 역시도 접착될 수도 있다.
도 9a 및 9b에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요소(10b)의 대안의 구성들이 각각 패시브 작동 상태 및 액티브 작동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예컨대 표면층(LD)뿐만 아니라 제1 층(L1) 역시도 기판의 배면(1b) 상에 배치된다. 그 대안으로, 제1 층(L1)은 기판(1)의 정면(1a) 상에도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층(L1)은 2㎚과 300㎚ 사이의 층 두께(d1)를 보유한다. 상기 층 두께는, 상기 층의 반투명 기능이 보장되도록 얇게 선택된다. 광원(9)에는, 기설정 가능한 기간 동안 광원(9)을 스위치 온 및 오프하고 그렇게 하여 표시 또는 신호 요소(10a, 10b)의 광학 형상을 적어도 2개의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 장치(13)(도 9a, 9b 및 11 참조)가 할당된다.
도 10a 및 10b에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요소(10a)의 또 다른 대안의 구성이 각각 패시브 작동 상태(도 10a) 및 액티브 작동 상태(도 10b)로 도시되어 있다. 도 10a에 따라서는, 제1 층(L1) 및 경우에 따른 제2 층(L2)이, 역광 조명이 멀리 떨어져 있을 때 광 흡수성 표면층(LD) 내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8)가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도록 기판(1)의 정면(1a)에서부터 그 배면(1b)의 방향으로 층들 상으로 입사되는 광이 반사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표시 요소(10a) 또는 신호 요소(10b)는, 이런 요소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자동차 디자인 요소(3) 및 적어도 하나의 광원(9)을 포함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되, 광원(9)은, 기판(1)의 적어도 하나의 배면(1b)을 통과하여, 그리고 기판(1)의 정면(1b)을 통과하여 바깥쪽으로 광을 방사하고 이와 동시에 제1 반투명 층(L1)을 투광하도록 구성된다.
도 11에는, 효과 반사층(L3)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요소(10b)의 일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기판(1)의 배면에서부터 그 정면(1a) 쪽으로 배향되는 방향에서 볼 때, 제1 층(L1)의 뒤에는, 광빔(LSQR)들을 다시 제1 층(L1) 쪽으로 부분적으로 역반사하기 위한 반투명 효과 반사층(L3)이 배치되되, 상기 효과 반사층(L3)은 제1 층(L1)으로부터 최소 1㎜의 이격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효과 반사층과 제1 층 사이에는, 기판(1)의 배면(1b)에서부터 그 정면(1a)의 방향으로 통과하는 광빔들이 제1 층(L1)과 효과 반사층(L3) 사이에서 반사될 수 있고 효과 반사층(L3)을 통과해서는 바깥쪽으로 방사될 수 있도록, 광 투과성 재료(1')(이는 예컨대 기판(1)의 재료와 동일한 재료일 수 있음)가 배치된다. 효과 반사층(L3)과 제1 층이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상호 간에 평행하게 배향될 경우에는, -관찰 시각(visual angle)에 따라서- 심벌의 연이어 위치하는 다수의 투영 내지 반사 이미지가 생성되되, 각각의 후속 반사 이미지의 세기는 감소한다.
또한, 효과 반사층(L3)은, 기판(1)의 정면(1a)에서부터 그 배면(1b)의 방향으로 입사되는 광과 관련하여, 최소 70%에 이르는 반사율을 보유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효과 반사층(L3)은 기판(1)의 정면(1a)에서부터 그 배면(1b)의 방향으로 효과 반사층(L3) 내로 입사되는 광과 관련하여 최소 80%에 이르는 투과율을 보유할 수 있다.
도 12a 및 12b에는, 표시 요소(10a)의 효과 반사층(LD)의 기울기의 예시의 작용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층(L1) 및 효과 반사층(L3)은, 반사된 광빔(LSQR)들의 각도가 각도(α1)를 갖는 입사된 광빔(LSQ)에서 출발하여 대응하는 각도(α1 및 α3)를 갖는 반사된 광빔(LSQR1 ~ LSQR3)으로 갈수록 변화되도록,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경사져 있다. 그에 따라, 반사 이미지들은 왜곡되고 오프셋될 수 있으며, -보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층들 상호 간에 상이하게 선택된 기울기에 따라서 왜곡되고 오프셋될 수 있다. 도 12b에는, 홀로그램 유형으로 보이는 예시의 반사 이미지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는, 자동차 헤드램프(11) 내에서 각각 ZKW 로고의 투영 이미지를 근거로 확인할 수 있는 2개의 자동차 디자인 요소(3)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헤드램프(11)가 도시되어 있다. 이런 투영 이미지는 미도시한 광원의 스위치 온 및 오프에 의해 활성화 및 비활성화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보일 수 있고 보이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도 14a 및 14b에는, 예시의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요소(10b)들을 포함하는 자동차가 각각 패시브 작동 상태 및 액티브 작동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신호 요소는, 창유리의 테를 두르면서 패시브 작동 상태에서 예컨대 크롬색으로 보이는 몰딩(molding)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액티브 작동 상태에서는 예컨대 백색, 적색, 녹색, 청색 또는 혼합색들과 같은 광색을 취할 수 있다. 액티브 상태에서의 색상은 디자인 요소(3)의 구성뿐만 아니라 광원(9)의 색상에 따라서도 결정된다. 또한, 상이한 광색들을 방사하도록 구성되고 자체 색상 및/또는 세기와 관련하여 제어될 수 있는 다색 광원(9)들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요소(10b)는 도어 실 스트립(door sill strip) 내에, 또는 바깥쪽에서 보이는 도어 스트립 또는 실(sill) 내 내장될 수 있다. 디자인 요소(3)들 또는 이들에 기인하는 요소 요소(10a)들 및 신호 요소(10b)들은 원칙적으로 임의로 디자인 요구에 상응하게, 또는 기술적 목적의 충족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5a 및 15b에는, 리어뷰미러 내에 통합된 점멸등의 형태인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요소(10b)가 도시되어 있되, 도 15a에는 콜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b에는 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에는, 점검 루틴에서의 이용을 위한 복수의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요소(10b)를 포함하는 예시의 자동차(12)가 도시되어 있다.
자동차(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디자인 요소(3)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요소(10a) 또는 신호 요소(10b)를 구비한 차량 헤드램프(11)를 포함한다. 또한, 자동차는 다양한 신호 요소(10b)들 및/또는 하나의 차량 헤드램프(11)를 포함한다.
자동차(12)는, 차량 주변환경(15)의 검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4)(도 16 참조, 예시로서 차량(1)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전형적으로 복수의 센서가 차량 주변환경의 검출을 위해 사용되되, 이들 센서는 차량을 따라 분포되어 있고 예컨대 라디에이터 그릴, 차량 전방 내에, 또는 차량 헤드램프 내에도 통합될 수 있음); 적어도 하나의 표시 또는 신호 요소(10a, 10b);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14) 및 표시 또는 신호 요소(10a, 10b)와 연결되어 표시 또는 신호 요소(10a, 10b)의 광원(9)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13);를 포함한다. 제어 장치(13)는, 차량 주변환경(15)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14)에 의해 검출되는 사람(16)에 따라서 검출된 사람(16)에게 시각적인 신호 전달을 위해 표시 또는 신호 요소(10a, 10b)의 광원(9)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자동차(12)는 복수의 센서(14) 및 복수의 표시 또는 신호 요소(10a, 10b)를 포함하되, 각각의 센서(14)에는 하나의 표시 또는 신호 요소(10a, 10b)가 할당되며, 제어 장치(13)는, 예컨대 차량 키(17)를 통해 송신될 수 있는 시동 신호("Start")에 따라서 센서(14)들의 점검 루틴을 시작하도록 구성되며, 점검 루틴의 과정에서 차량(12)의 둘레에서 이동하는 사람(16)을 통한 차량(12)을 중심으로 한 순회가 센서(14)들에 의해 검출되며, 사람(16)으로 향해 있는 표시 및/또는 신호 요소(10a, 10b)들은, 센서(14)들의 기능 상태가 차량(12)을 점검하는 사람(16)에게 시각적으로 전해질 수 있도록, 기설정 가능한 패턴에 따라 센서 점검의 결과에 따라서 적어도 2개의 광학 상태, 특히 액티브 상태와 패시브 상태 사이에서 전환된다.
이렇게, 도 16에는, 사람(16)이 센서(14)들을 장착한 차량(12), 예컨대 자율 차량을 중심으로 순회를 수행하는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센서(14)들의 작동 신뢰성이 매우 중요하다. 순회는, 예컨대 각각의 센서에 적어도 하나의 표시 또는 신호 요소(10a 또는 10b)가 할당되는 방식으로, 점검 루틴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비록 센서가 이런 상황에서 사람을 검출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센서가 사람(16)을 검출하지 못한다면(이런 정보는 예컨대 다른 센서들과의 비교를 통해 확인될 수 있음), 오류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그와 반대로, 모든 센서가 적절하게 작동하고 있다면, 예컨대 주행등 효과(running light effect)의 의미에서, 이동하는 사람으로 향해 있는 표시 또는 신호 요소(10a 또는 10b)가 점차로 예컨대 녹색 색상으로 밝아질 수 있으며, 순회의 종료 시 예컨대 차량을 중심으로 폐쇄된 빛나는 녹색 링이 점등되며, 이런 녹색 링은 센서들의 정확한 기능을 시그널링한다. 이런 방식으로, 차량의 정지 동안 센서 시스템의 -예컨대 법적으로 규정된- 기능 점검이 직관적이고 간단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원 방법을 통해 유추되는 모든 장치 특징은 언급한 장치들의 부분일 수 있다.
본원 교시를 고려할 때, 통상의 기술자는, 발명의 보조 없이, 본 발명의 다른 미도시한 실시형태들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형태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의 전체 보호 범위를 통해 정의된다. 또한, 본 발명 내지 실시형태들의 개별 양태들은 선정되어 상호 간에 조합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 있을 수 있는 도면부호들은 예시이며, 그리고 단지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면서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상대적으로 더 간단한 가독성을 위해서만 이용된다.

Claims (43)

  1.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3)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으로서,
    A. 최소 60℃에 이르는 온도에 대해 내열성이 있고 형태적으로 안정적이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인 기판(1)을 끌어당기는 끌어당김 단계이며, 기판(1)은 정면(1a)과 배면(1b)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끌어당김 단계;
    B. 진공 챔버(2) 내로 기판(1)을 삽입하고 PVD 공정을 이용하여 단계 A)에 따라 진공 챔버(2) 내에 위치하는 기판(1) 상에 제1 금속 반투명 층(L1)을 적층하는 삽입 및 적층 단계; 및
    C. 기판(1)의 정면 또는 배면(1a, 1b) 상에 광 비투과성 표면층(LD)을 적층하는 적층 단계이며, 광 비투과성 표면층(LD)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심벌(SYM)의 이미지 생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광 투과성 개구부(8)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 상기 적층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및 C는, 상기 기판(1)의 배면(1b)에서부터 그 정면(1a)의 방향으로 상기 광 비투과성 표면층(LD)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8)를 통과하는 광(LSQ)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8)를 통해 표현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심벌(SYM)의 투영을 위해, 상기 제1 금속 반투명 층(L1) 상으로 입사되어 상기 제1 금속 반투명 층(L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깥쪽으로 관통하는 방식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L1)은, 상기 제1 층(L1)이 상기 기판(1)의 정면(1a)에서부터 그 배면(1b)의 방향으로 상기 제1 층(L1) 상에 도달하는 광을 반사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L1)은 광 전파 방향에서 상기 기판(1)의 정면(1a)에서부터 그 배면(1b)을 향해 최소 50%의 반사율 또는 최대 50%의 투과율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L1)은 광 전파 방향에서 상기 기판(1)의 배면(1b)에서부터 그 정면(1a)을 향해 최대 80%의 반사율 또는 최소 20%의 투과율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비투과성 표면층(LD)은 PVD 공정에 의해 적층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 투과성 개구부(8)는 레이저 가공을 통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비투과성 표면층(LD)은 필름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비투과성 표면층(LD)은 상기 기판(1)의 배면(1b)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비투과성 표면층(LD)은 상기 기판(1)의 정면(1b)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L1)은 상기 광 비투과성 표면층(LD) 상에 직접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비투과성 표면층(LD)은 상기 기판(1)의 배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L1)은 상기 기판(1)의 배면(1b)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L1)은 상기 기판(1)의 정면(1a)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L1)은 2㎚와 300㎚ 사이의 층 두께(d1)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D) 상기 제1 층(L1)을 덮는 제2 착색 층(L2)을 적층하는 적층 단계이며, 상기 제2 층(L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이며, 그리고 상기 제2 층은, 상기 제1 층(L1)의 표면에 의해 반사되는 광빔(LS1)들이 상기 제2 층(L2)의 표면에 의해 반사되는 광빔(LS2)들과 중첩됨으로써 상기 기판(1)의 정면(1a)에서부터 그 배면(1b)의 방향으로 상기 디자인 요소(3) 상으로 입사되는 광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간섭, 특히 상쇄 간섭을 통해 조작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인, 상기 적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L2)에는 가능한 한 체색이 없되, 체색은, 가시광의 스펙트럼의 적어도 부분적인 흡수를 통해 식별될 수 있는 색이며, 색 성분들(적색, 녹색 및 청색)의 흡수도는 동일하지 않으며, 상기 제2 층(L2)은, 상기 자동차 디자인 요소(3)에 의해 반사된 광이 자체 색체 조합과 관련하여 광의 적어도 하나의 스펙트럼 성분의 간섭을 통해 조작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의 배면에서부터 정면(1a) 쪽으로 배향되는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층(L1)의 뒤에는, 광빔(LSQR)들을 다시 상기 제1 층(L1) 쪽으로 부분적으로 역반사하기 위한 반투명 효과 반사층(L3)이 배치되되, 상기 효과 반사층(L3)은 상기 제1 층(L1)으로부터 최소 1㎜의 이격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효과 반사층(L3)과 상기 제1 층 사이에는, 상기 기판(1)의 배면(1b)에서부터 그 정면(1a)의 방향으로 통과하는 광빔들이 상기 제1 층(L1)과 상기 효과 반사층(L3) 사이에서 반사될 수 있고 상기 효과 반사층(L3)을 통과해서는 바깥쪽으로 방사될 수 있도록, 광 투과성 재료(4)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17.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의 배면에서부터 정면(1a) 쪽으로 배향되는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층(L1)과 상기 제2 층(L2) 사이에는, 광빔(LSQR)들을 다시 상기 제1 층(L1) 쪽으로 부분적으로 역반사하기 위한 반투명 효과 반사층(L3)이 배치되되, 상기 효과 반사층(L3)은 상기 제1 층(L1)으로부터 최소 1㎜의 이격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효과 반사층(L3)과 상기 제1 층 사이에는, 상기 기판(1)의 배면(1b)에서부터 그 정면(1a)의 방향으로 통과하는 광빔들이 상기 제1 층(L1)과 상기 효과 반사층(L3) 사이에서 반사될 수 있고 상기 효과 반사층(L3)을 통과해서는 바깥쪽으로 방사될 수 있도록, 광 투과성 재료(4)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효과 반사층(L3)은, 상기 기판(1)의 정면(1a)에서부터 그 배면(1b)의 방향으로 입사되는 광과 관련하여 최소 50%에 이르는 반사율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효과 반사층(L3)은, 상기 기판(1)의 정면(1a)에서부터 그 배면(1b)의 방향으로 상기 효과 반사층(L3) 내로 입사되는 광과 관련하여 최소 50%에 이르는 투과율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L1)과 상기 효과 반사층(L3)은 이들 층 사이에서 반사되는 광빔(LSQR2, LSQR3)들의 각도(α2, α3)의 변화를 위해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B)에 따른 상기 PVD 공정은 스퍼터링 공정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단계 C)에 따른 상기 제1 층(L1)의 적층 및 구성 단계는 스퍼터링 공정 동안 반응 가스가 생략된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단계 D)에 따른 상기 제2 착색 층(L2)의 적층 단계는 반응 가스, 특히 산소가 부가된 조건에서 스퍼터링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티타늄이 스퍼터링 공정에 유입되는 반응 가스로서의 산소와 반응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제1 층(L1) 상에서 티타늄 이산화물층을 형성하는 스퍼터 타깃을 통해 제공됨으로써 상기 제2 층(L2)이 수득되며, 코팅 과정의 코팅 속도 및/또는 기간이 기설정된 조건에서 상기 제2 층(L2)의 층 두께가 기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25.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B)에 따른 상기 PVD 공정은 열증착 공정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층(L1) 및 경우에 따른 상기 제2 층(L2)은, 역광 조명이 멀리 떨어져 있을 때 상기 광 비투과성 표면층(LD) 내에 제공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8)가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도록 상기 기판(1)의 정면(1a)에서부터 그 배면(1b)의 방향으로 층들 상으로 입사되는 광이 반사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L1) 위쪽에, 또는 경우에 따라 상기 제1 층(L1)을 덮는 상기 제2 층(L2) 위쪽에, 보호층(CL)이 플라스마 중합에 의해 적층되며, 상기 보호층(CL)은 특히 폴리헥사메틸디실록산으로 구성되는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CL)은, 상기 자동차 디자인 요소(3)에 의해 반사된 광이 자체 색체 조합과 관련하여 광의 적어도 하나의 스펙트럼 성분의 간섭을 통해 조작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C)에 따라서 제1 층(L1)을 적층하기 전에, 베이스 층(BL)이 상기 기판(1) 상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ABS, 공업용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로 구성되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31.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은 유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L1)에 의해 코팅될 상기 기판(1)의 면은 최소한 일측 섹션에서 매끄럽고 적어도 하나의 타측 섹션에서는 거칠거나 구조화되어 있는 표면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33.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하나의 자동차 디자인 요소(3), 및 적어도 하나의 광원(9)을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표시 또는 신호 요소(10a, 10b)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원(9)은, 기판(1)의 적어도 하나의 배면(1b)을 통과하여, 그리고 상기 기판(1)의 정면(1b)을 통과하여 바깥쪽으로 광을 방사하고 이와 동시에 제1 반투명 층(L1)을 투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또는 신호 요소의 제조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9)에는, 기설정 가능한 기간 동안 상기 광원(9)을 스위치 온 및 오프하고 그렇게 하여 상기 표시 또는 신호 요소(10a, 10b)의 광학 형상을 적어도 2개의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 장치(13)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35. 특히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따라서 제조되는 자동차 디자인 요소(3)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디자인 요소(3)는 형태적으로 안정된 기판(1)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1) 상에는 그 밖에도 제1 금속 반투명 층(L1)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디자인 요소(3).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형태적으로 안정된 기판(1)의 정면 또는 배면(1a, 1b) 상에는 광 비투과성 표면층(LD)이 배치되되, 상기 광 비투과성 표면층(LD)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심벌(SYM)의 이미지 생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광 투과성 개구부(8)가 포함되며, 상기 표면층(LD)은, 상기 기판(1)의 배면(1b)에서부터 그 정면(1a)의 방향으로 상기 광 비투과성 표면층(LD)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8)를 통과하는 광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8)를 통해 표현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심벌(SYM)의 투영을 위해, 상기 제1 금속 반투명 층(L1) 상으로 입사되어 상기 제1 금속 반투명 층(L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깥쪽으로 관통하는 방식으로, 상기 기판(1)의 배면(1b)에서 출발하여 그 정면(1a) 쪽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1 금속 반투명 층(L1)의 앞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디자인 요소(3).
  37. 제35항 또는 제36항에 따른 방법에 따라서 제조되는 표시 또는 신호 요소(10a, 10b)에 있어서, 상기 표시 또는 신호 요소는, 기판(1)의 배면(1b)에서부터 상기 기판(1)의 정면(1a)을 통과하여, 그리고 표면층(LD)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8)를 통과하여 상기 제1 층(L1) 상으로, 그리고 상기 제1 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과하여 광을 방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광원(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또는 신호 요소(10a, 10b).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9)은 제어 가능한 광원, 특히 RGB 광원이되, 상기 제어 가능한 광원의 광도 및/또는 광색은 시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또는 신호 요소(10a, 10b).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9),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8) 및 상기 제1 층(L1)은, 상기 광원(9)을 통한 조명 동안, 간헐적인 오렌지색 주행방향 표시 신호가 바깥쪽으로 방출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요소(10b).
  40. 제35항 또는 제36항에 따르는 하나의 자동차 디자인 요소(3) 및/또는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하나의 표시 또는 신호 요소(10a, 10b)를 포함하는 차량 헤드램프(11).
  41. 제35항 또는 제36항에 따르는 하나의 자동차 디자인 요소(3) 및/또는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하나의 표시 또는 신호 요소(10a, 10b) 및/또는 제40항에 따르는 하나의 차량 헤드램프(11)를 포함하는 자동차(12).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12)는
    - 차량 주변환경의 검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4);
    -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표시 또는 신호 요소(10a, 10b); 및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14) 및 상기 표시 또는 신호 요소(10a, 10b)와 연결되어 상기 표시 또는 신호 요소(10a, 10b)의 광원(9)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13);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13)는 상기 차량 주변환경(15)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14)를 이용하여 검출되는 사람(16)에 따라서 상기 검출된 사람(16)에게 시각적인 신호 전달을 위해 상기 표시 또는 신호 요소(10a, 10b)의 광원(9)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12).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12)는 복수의 센서(14) 및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복수의 표시 또는 신호 요소(10a, 10b)를 포함하며, 각각의 센서(14)에는 하나의 표시 또는 신호 요소(10a, 10b)가 할당되며, 상기 제어 장치(13)는 시동 신호(Start)에 따라서 상기 센서(14)들의 점검 루틴을 시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점검 루틴의 과정에서 상기 차량(12)의 둘레에서 이동하는 사람(16)을 통한 상기 차량(12)을 중심으로 한 순회가 상기 센서(14)들에 의해 검출되며, 상기 사람(16)으로 향해 있는 표시 및/또는 신호 요소(10a, 10b)들은, 상기 센서(14)들의 기능 상태가 상기 차량(12)을 점검하는 사람(16)에게 시각적으로 전해질 수 있도록, 기설정 가능한 패턴에 따라 센서 점검의 결과에 따라서 적어도 2개의 광학 상태, 특히 액티브 상태와 패시브 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12).
KR1020227007363A 2019-09-04 2020-09-03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KR1026429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9/073608 WO2021043397A1 (de) 2019-09-04 2019-09-04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emitransparenten kraftfahrzeugdesignelements
EPPCT/EP2019/073608 2019-09-04
PCT/EP2020/074638 WO2021043922A1 (de) 2019-09-04 2020-09-03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emitransparenten kraftfahrzeugdesignele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439A true KR20220042439A (ko) 2022-04-05
KR102642973B1 KR102642973B1 (ko) 2024-03-05

Family

ID=67851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7363A KR102642973B1 (ko) 2019-09-04 2020-09-03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33755A1 (ko)
EP (1) EP4025458A1 (ko)
KR (1) KR102642973B1 (ko)
CN (1) CN114341394B (ko)
WO (2) WO20210433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29625B1 (fr) * 2021-12-01 2023-10-27 Cie Plastic Omnium Se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pièce de véhicule translucide ou transparente
DE102021134620A1 (de) * 2021-12-23 2023-06-29 Motherson Innovations Company Limited Fahrzeuggestaltungselement mit einer lichtanordn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6072A1 (en) * 2006-11-24 2009-11-19 Kuechler Wolfgang Control element with a metallic coating for a motor vehicle
WO2018225029A1 (en) * 2017-06-09 2018-12-13 Srg Global Liria, S.L. Selectively illuminable metallic looking trims and their methods of manufactur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3297A (en) * 1986-06-23 1990-05-08 Eyedentify, Inc. Optical alignment system
US4965950A (en) * 1987-03-23 1990-10-30 Koito Manufacturing Co., Ltd. Display device for automotive mark plate
IT1280879B1 (it) * 1995-07-28 1998-02-11 Carello Spa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per autoveicoli.
DE10062592B4 (de) * 2000-12-15 2012-06-06 Lisa Dräxlmaier GmbH Zierteil für Kraftfahrzeuge
DE10230277A1 (de) * 2002-06-29 2004-01-22 Bayerische Motoren Werke Ag Leuchtenvorrichtung
US7459095B2 (en) * 2004-10-21 2008-12-02 Corning Incorporated Opaque chrome coating suitable for etching
US8113695B2 (en) * 2005-02-04 2012-02-14 Adac Plastics, Inc. Trim component with concealed indicium
KR20100081093A (ko) * 2009-01-05 2010-07-14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차량의 방향별 에스코트 시스템
US8939621B2 (en) * 2010-06-17 2015-01-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eadlamp with backlit side bezel signature image
US20120280528A1 (en) * 2011-05-06 2012-11-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ccent molding with puddle light
ES2401622A1 (es) * 2011-09-26 2013-04-23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a placa de aparato doméstico
DE102012220192B3 (de) * 2012-11-06 2014-05-22 Magna Mirrors Holding Gmbh Automatisch abblendbare Rückspiegelanordnung für Kraftfahrzeuge sowie Verfahren zurHerstellung einer Spiegelbaugruppe für eine Rückspiegelanordnung
WO2015131223A1 (en) * 2014-03-07 2015-09-11 University Of South Australia Decorative coatings for plastic substrates
US20180027634A1 (en) * 2016-07-22 2018-01-25 Honda Motor Co., Ltd. Vehicle lighting system,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US10065555B2 (en) * 2016-09-08 2018-09-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irectional approach lighting
US10324235B2 (en) * 2017-06-08 2019-06-18 Valeo North America, Inc. Partial coating of lenses
ES2924102T3 (es) * 2017-12-13 2022-10-04 Hec High End Coating Gmbh Procedimiento para la producción de sustratos recubiertos, sustratos recubiertos y su uso
EP3830475A1 (en) * 2018-06-11 2021-06-09 Byton Limited Light emitting communication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6072A1 (en) * 2006-11-24 2009-11-19 Kuechler Wolfgang Control element with a metallic coating for a motor vehicle
WO2018225029A1 (en) * 2017-06-09 2018-12-13 Srg Global Liria, S.L. Selectively illuminable metallic looking trims and their methods of manufa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3922A1 (de) 2021-03-11
EP4025458A1 (de) 2022-07-13
US20220333755A1 (en) 2022-10-20
KR102642973B1 (ko) 2024-03-05
WO2021043397A1 (de) 2021-03-11
CN114341394A (zh) 2022-04-12
CN114341394B (zh) 2024-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8734B2 (en) Vehicle decorative component
CN111095049B (zh) 用于近红外传感器的盖装置
JP3868742B2 (ja) 第3面反射器を備えた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ミラー
KR102642973B1 (ko) 반투명 자동차 디자인 요소의 제조 방법
US11512830B2 (en) Light emitting system, a design element, a rear view device, a covering device, and a body component of a vehicle
US20120145523A1 (en) Display and/or control element in a motor vehicle
US10717357B2 (en) Dial plate and automotive meter
US20110056815A1 (en) Cap for a display or control element, comprising a light-permeable metal coating,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6556176B2 (ja) 文字板および自動車用メータ
KR20190013625A (ko) 차량용 엠블럼
JP2010243436A (ja) 赤外線センサ機器
US20240010137A1 (en) Decorative Element for a Vehicle, and Vehicle Having Such a Decorative Element
JP2007322780A (ja) 表示装置
US10908342B2 (en) Linear light source
KR20220034840A (ko) 자동차 헤드램프
US20240162603A1 (en) Radome for vehicles
JP2024070252A (ja) 車両用レドーム
JP2017168326A (ja) 導光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源装置
JP6674143B2 (ja) 装飾部品
JP2004103343A (ja) 車両用灯具及び車両用反射リフレクタ
JP6579328B2 (ja) 照明装置
JPH0431888B2 (ko)
KR20140036380A (ko) 금속증착층이 구비된 차량용 사이드 미러
KR20220069410A (ko) 차량 엠블럼
JP5304576B2 (ja) 車両用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