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2362A -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2362A
KR20220042362A KR1020227003388A KR20227003388A KR20220042362A KR 20220042362 A KR20220042362 A KR 20220042362A KR 1020227003388 A KR1020227003388 A KR 1020227003388A KR 20227003388 A KR20227003388 A KR 20227003388A KR 20220042362 A KR20220042362 A KR 20220042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sheet
absorbent article
hook member
sheet
skin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3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친이 무
신스케 사타케
웨이 지앙
쉬에치 마
시엔 장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42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3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ncircling the crotch region of the under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2013/451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3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 A61F13/551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after use
    • A61F2013/5515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after use the disposal system being a bag or pocket integral with or attached to the sanitary napkin

Abstract

후처리용 부재에 의해 뭉쳐진 상태로 청결하게 폐기 가능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흡수성 물품 (1)은, 표면 시트(21), 이면 시트(22) 및 흡수 코어(23)를 갖는 본체부(20)와, 본체부의 비피부면측에 배치된 후처리용 부재(30)를 갖는다. 후처리용 부재는, 비피부면측으로 돌출된 후크 부재(31)를 갖는다. 50 g/㎠의 하중시의 압박 상태에 있어서, 표면 시트의 두께는 후크 부재의 두께보다 얇다. 후크 부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접힌 상태로 표면 시트에 접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
본 발명은, 폐기시에 이용되는 후처리용 부재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폐기시에 이용되는 후처리용 부재를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과 같은 흡수성 물품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후처리용 부재는, 테이프 부재이며, 테이프 기재와, 테이프 기재 상에 마련된 본체 점착부를 갖는다. 테이프 기재는, 이면 시트에 고착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연장되어 마련된 신장 가능한 신장부를 구비한다. 본체 점착부는 신장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 흡수성 물품을 폐기할 때에는, 사용자는, 테이프 기재의 신장부를 신장시켜, 본체 점착부에 의해 흡수성 물품을 뭉친 상태로 고정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9-99010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테이프 기재는, 사용전에 절첩되어 있고, 그 절첩된 테이프 기재 사이에 본체 점착부가 배치되어 있다. 본체 점착부는, 신장된 상태로 이면 시트측으로 향하는 면에 마련되어 있고, 폐기시에 이면 시트에 접합하여, 흡수성 물품을 뭉친 상태로 고정한다.
특허문헌 1의 흡수성 물품과 같이, 폐기시에 컴팩트하게 뭉쳐지고, 또한 뭉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폐기용의 테이프 부재를 갖는 흡수성 물품은 충분히 보급되어 있지 않고, 사용자에 따라서는 테이프 부재를 신장시키는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없거나, 테이프 부재를 의도한 위치에 접합할 수 없거나, 조작성에 대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따라서, 후처리용 부재에 의해 뭉쳐진 상태로 청결하게 폐기 가능한 흡수성 물품이 요구된다.
일 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과, 섬유를 갖는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흡수 코어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비피부면측에 배치되고, 비피부면측으로 돌출된 후크 부재를 갖는 후처리용 부재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50 g/㎠의 하중시의 압박 상태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의 두께는 상기 후크 부재의 두께보다 얇고,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접힌 상태로 상기 표면 시트에 접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일 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는, 비피부면측으로 돌출된 후크 부재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이용되고, 또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상기 흡수성 물품이 접힌 상태로 상기 후크 부재가 결합한다. 50 g/㎠의 하중시의 압박 상태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의 두께는 상기 후크 부재의 두께보다 얇다.
다른 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는, 비피부면측으로 돌출된 후크 부재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이용되고, 또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상기 흡수성 물품이 접힌 상태로 상기 후크 부재가 결합한다. 상기 표면 시트의 비용적은 4.57 ㎤/g 이상 22.8 ㎤/g 이하이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전개 상태의 피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제1 접힘 상태의 피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전개 상태의 비피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포장 상태의 흡수성 물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폐기시에 흡수성 물품이 전후 방향으로 감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자연 상태에서의 흡수성 물품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1) 실시형태의 개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분명해진다.
일 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과, 섬유를 갖는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흡수 코어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비피부면측에 배치되고, 비피부면측으로 돌출된 후크 부재를 갖는 후처리용 부재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50 g/㎠의 하중시의 압박 상태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의 두께는 상기 후크 부재의 두께보다 얇고,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접힌 상태로 상기 표면 시트에 접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폐기시에 흡수성 물품을 뭉치고자 하면, 배설물이 부착된 피부면측이 내측이 되도록 뭉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체부의 피부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접힌 상태에서는, 본체부의 비피부면을 덮도록 표면 시트가 배치되고, 흡수성 물품을 뭉치는 조작 과정에서 본체부의 비피부면측에 위치하는 후크 부재가 표면 시트에 접합하여, 본체부가 뭉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을 뭉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본체부에 대하여 힘을 가하여 뭉치는 조작을 행한다. 출원인이 예의 연구한 결과, 흡수성 물품을 뭉치는 조작 과정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에 가해지는 힘은 적어도 50 g/㎠이 된다. 즉, 흡수성 물품을 뭉치는 조작 과정에서는, 본체부 및 후처리용 부재는, 두께 방향에 있어서 그 50 g/㎠의 하중이 가해진 압박 상태가 된다. 압박 상태에서는, 표면 시트의 두께가 후크 부재의 두께보다 얇고, 후크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표면 시트를 관통하기 쉽다. 후크 부재가 표면 시트를 관통함으로써, 일단 표면 시트의 섬유에 걸린 후크 부재가 빠지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일단 후크 부재가 표면 시트에 접합하면 그 접합 상태를 유지하기 쉽고, 후처리용 부재에 의해 뭉쳐진 상태로 청결하게 흡수성 물품을 폐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는,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 코어의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섬유를 갖는 보조 시트를 갖고 있고, 상기 보조 시트의 섬유 길이는, 상기 표면 시트의 섬유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본 양태에 의하면, 보조 시트의 섬유는, 섬유 길이가 길고, 시트 내에서 권축한 상태에 있어서, 보다 많이 감겨 있고, 후크 부재가 얽히기 쉽다. 따라서, 후크 부재가 표면 시트를 관통하여 보조 시트에 도달했을 때에, 보조 시트의 섬유와 후크 부재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또한, 피부에 접하는 표면 시트의 섬유 길이가 짧기 때문에,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과,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흡수 코어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비피부면측에 배치되고, 비피부면측으로 돌출된 후크 부재를 갖는 후처리용 부재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표면 시트는, 보수성 섬유와, 상기 보수성 섬유보다 긴 섬유 길이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가지며,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접힌 상태로 상기 표면 시트에 접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섬유 길이가 길고, 시트 내에서 권축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섬유 길이가 비교적 길기 때문에, 권축한 상태에 있어서, 보다 많이 감겨 있고, 후크 부재가 얽히기 쉽다. 후크 부재가 그 열가소성 수지 섬유에 걸리기 쉽고, 후크 부재가 표면 시트에 접합한 상태를 보다 유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습윤 상태의 보수성 섬유는 습윤 전과 비교하여 풀리기 쉬워지고, 표면 시트는 부드러워져, 흡수성 물품을 뭉칠 때에 변형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이 뭉쳐졌을 때, 폐기시에 흡수성 물품이 감긴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열융착부를 가질 수 있다. 본 양태에 의하면,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열융착부에 후크 부재가 걸리기 쉽고,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지고, 폐기시에 흡수성 물품이 감긴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표면 시트는, 적어도 상기 보수성 섬유를 갖는 제1층과, 상기 제1층보다 비피부면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갖는 제2층을 가지며, 50 g/㎠의 하중시의 압박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두께는 상기 후크 부재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압박 상태에서는, 제1층의 두께가 후크 부재의 두께보다 얇고, 후크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제1층을 관통하여 제2층에 결합한다. 제2층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에 걸린 후크 부재가 빠지기 어려워져, 일단 후크 부재가 표면 시트에 접합하면 그 접합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부를 가지며, 상기 신축부는, 상기 후처리용 부재의 전단 가장자리보다 전측이자 상기 후처리용 부재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폐기시에 흡수성 물품을 뭉치면, 후처리용 부재와 표면 시트가 접합한다. 이 때, 상기 신축부는, 상기 후처리용 부재의 전단 가장자리보다 전측이자 상기 후처리용 부재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후측이 전후 방향으로 수축하면, 표면 시트 내에 결합한 후크 부재가 표면 시트 내에 있어서 평면 방향으로 이동하고, 후크 부재가 표면 시트의 섬유에 의해 걸린다. 따라서, 후크 부재가 표면 시트에 접합한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후에 흡수성 물품을 청결하게 폐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표면 시트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양태에 의하면, 표면 시트의 구멍부에 후크 부재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보다 비피부면측까지 후크 부재가 들어가기 쉬워지고, 후크 부재가 표면 시트에 걸리기 쉬워진다. 또한, 폐기시에 흡수성 물품이 감긴 상태에서는, 후크 부재는, 표면 시트에 대하여 수직으로 삽입되지 않고, 비스듬히 삽입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흡수성 물품이 감긴 상태로, 표면 시트의 구멍부에 후크 부재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후크 부재가 구멍부에 걸리고, 후크 부재가 표면 시트에 접합한 상태를 보다 유지하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적어도 상기 표면 시트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시트 압착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트 압착부끼리의 간격은 상기 후크 부재의 피치보다 길 수 있다. 시트 압착부와 시트 압착부 사이의 영역은, 시트 압착부가 형성된 영역과 비교하여, 표면 시트의 섬유 사이에 공극이 있어, 후크 부재가 표면 시트에 걸리기 쉽다. 그 후크 부재가 표면 시트에 걸리기 쉬운 영역이 후크 부재의 피치보다 길어, 후크 부재를 고정하는 위치를 의식하지 않고, 표면 시트에 후크 부재를 접합하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시트 압착부는, 상기 표면 시트의 비피부면에 형성되어 있고, 비피부면측으로부터 피부면측을 향해 움푹 패일 수 있다. 시트 압착부가 형성된 영역은, 섬유가 압축되고, 섬유 사이의 공극이 작아져, 후크 부재가 걸리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시트 압착부가 비피부면측으로부터 피부면측을 향해 움푹 팬 형태에 있어서는, 섬유 사이의 공극이 작은 부분이 표면 시트의 비피부면에 형성된다. 섬유 사이의 공극이 작은 부분이 형성된 면을 비피부면측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표면 시트의 피부면측으로부터 삽입되는 후크 부재와 표면 시트의 접합 상태를 실현하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비피부면측으로 연장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선단에 있어서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우산부를 가지며, 상기 압박 상태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두께는, 상기 표면 시트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압박 상태에서는, 표면 시트의 두께가 축부의 두께보다 얇고, 후크 부재의 축부의 적어도 일부가 표면 시트를 관통하고, 우산부가 표면 시트를 관통한다. 후크 부재의 우산부가 표면 시트를 관통함으로써, 일단 표면 시트의 섬유에 걸린 우산부가 빠지기 어려워져, 일단 후크 부재가 표면 시트에 접합하면 그 접합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표면 시트의 비용적은 4.57 ㎤/g 이상 22.8 ㎤/g 이하일 수 있다. 표면 시트의 비용적이 4.57 ㎤/g 이상인 경우에는, 표면 시트의 섬유 사이에 적당한 간극이 형성되어, 후크 부재가 들어가기 쉽고, 후크 부재가 빠지기 어렵다. 따라서, 표면 시트와 후크 부재가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지고, 폐기시에 흡수성 물품(1)이 감긴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표면 시트의 비용적이 22.8 ㎤/g보다 높은 경우에는, 사용시에 보풀이 생기기 쉬워, 피부 트러블을 일으켜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보풀이 생긴 부분에 후크 부재를 결합하려 하더라도, 보풀 부분에 후크 부재가 꽂히기 어려워져, 결과적으로 결합이 불안정해져 버릴 우려도 있다. 따라서, 표면 시트(21)의 비용적은 22.8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후크 부재에서의 우산부의 단위면적당 면적 비율은, 7% 이상 40% 이하일 수 있다. 후크 부재에서의 우산부의 단위면적당 면적 비율이 7% 이상인 경우에는, 후크 부재가 적당한 밀도로 배치되어, 표면 시트에 대한 결합력을 얻기 쉽다. 또한, 후크 부재에서의 우산부의 단위면적당 면적 비율이 40% 이하인 경우에는, 후크 부재(31)가 적당한 밀도로 배치되어, 착용물품에 대하여 박리하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후크 부재의 박리 강도는, 0.7 N/15 mm 이상 2.6 N/15 mm 이하일 수 있다. 표면 시트와 후크 부재의 박리 강도가 0.7 N/15 mm 이상인 경우에는, 폐기시에 통상의 힘을 가하여 뭉쳤을 때에, 일단 표면 시트에 결합한 후크 부재가 풀리기 어렵다. 또한, 표면 시트와 후크 부재의 박리 강도가 2.6 N/15 mm 이하인 경우에는,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 착압이 가해진 흡수성 물품을 착용물품으로부터 제거할 때에, 일단 표면 시트에 결합한 후크 부재가 원활하게 풀리기 쉽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성 물품은, 질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중앙 영역을 갖는다. 상기 중앙 영역의 상기 전후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전단 가장자리까지의 길이를 전측 길이로 하고, 상기 중앙 영역의 상기 전후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흡수성 물품의 후단 가장자리까지의 길이를 후측 길이로 하면, 상기 전측 길이의 길이는 150 mm 이하이고, 상기 전측 길이에 대한 상기 후측 길이의 비율은 1.5 이하이다. 그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중앙 영역의 전후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전측의 영역과 후측의 영역의 길이의 비율이 크게 다르지 않고, 일반적으로 낮용의 생리용 냅킨으로서 이용된다. 낮용의 생리용 냅킨은, 밤용의 냅킨과 비교하여,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짧고,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 시간이 짧아 체액의 흡수량이 적다. 그 때문에, 폐기시에 후크 부재를 이용하여 뭉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일 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는, 비피부면측으로 돌출된 후크 부재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이용되고, 또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상기 흡수성 물품이 접힌 상태로 상기 후크 부재가 결합한다. 50 g/㎠의 하중시의 압박 상태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의 두께는 상기 후크 부재의 두께보다 얇다. 흡수성 물품을 뭉치는 조작 과정에서는, 본체부 및 후처리용 부재는, 두께 방향에 있어서 그 50 g/㎠의 하중이 가해진 압박 상태가 된다. 압박 상태에서는, 표면 시트의 두께가 후크 부재의 두께보다 얇고, 후크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표면 시트를 관통하기 쉽다. 후크 부재가 표면 시트를 관통함으로써, 일단 표면 시트의 섬유에 걸린 후크 부재가 빠지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일단 후크 부재가 표면 시트에 접합하면, 그 접합 상태를 유지하기 쉽고, 후처리용 부재에 의해 뭉쳐진 상태로 청결하게 흡수성 물품을 폐기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는, 비피부면측으로 돌출된 후크 부재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이용되고, 또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상기 흡수성 물품이 접힌 상태로 상기 후크 부재가 결합한다. 상기 표면 시트의 비용적은 4.57 ㎤/g 이상 22.8 ㎤/g 이하이다. 표면 시트의 비용적이 4.57 ㎤/g 이상인 경우에는, 표면 시트의 섬유 사이에 적절한 간극이 형성되어, 후크 부재가 들어가기 쉽고, 후크 부재가 빠지기 어렵다. 따라서, 표면 시트와 후크 부재가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지고, 폐기시에 흡수성 물품(1)이 감긴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표면 시트의 비용적이 22.8 ㎤/g보다 높은 경우에는, 사용시에 보풀이 생기기 쉬워, 피부 트러블을 일으켜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보풀이 생긴 부분에 후크 부재를 결합하려 하더라도, 보풀 부분에 후크 부재가 꽂히기 어려워져, 결과적으로 결합이 불안정해져 버릴 우려도 있다. 따라서, 표면 시트(21)의 비용적은 22.8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연신되는 것에 의해 형성된 고연신 영역과 저연신 영역을 갖는다. 상기 고연신 영역의 두께와 상기 저연신 영역의 두께는 상이할 수 있다. 고연신 영역은, 섬유가 비교적 엉성하여 후크 부재가 들어가기 쉽다. 한편, 저연신 영역은, 섬유가 비교적 치밀하여 후크 부재가 들어가기 어렵다. 후크 부재가 결합하여 쉬운 부분과 결합하기 어려운 부분이 형성되기 때문에, 후크 부재의 결합력의 확보와, 후크 부재에 대한 박리의 용이함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고연신 영역의 두께와 저연신 영역의 두께가 상이하기 때문에, 표면 시트의 피부면에 요철이 형성된다.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을 뭉치면, 이면 시트의 비피부면은 곡선형의 외형이 된다. 그 때문에, 후크 부재가 세워지는 방향은, 하나의 방향(예컨대 두께 방향)을 따르는 형상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방향이 된다. 표면 시트의 피부면에 요철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여러가지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후크 부재가 걸리기 쉬워진다. 따라서, 표면 시트가 후크 부재에 대한 결합력을 얻기 쉽다.
(2)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에 관해 설명한다. 흡수성 물품은, 생리용 냅킨, 팬티라이너, 모유 패드, 성인용 요실금 패드, 일회용 기저귀, 분변 패드 또는 땀흡수 시트와 같은 흡수성 물품일 수 있다. 특히, 흡수성 물품은, 사용자의 속옷과 같은 착용물품의 내측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물품일 수 있다.
또,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였다. 다만,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과는 상이한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은, 후술하는 윙을 절첩하지 않은 전개 상태이며, 도 2는, 윙을 절첩한 제1 접힘 상태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전개 상태의 비피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피부면측」은, 사용중에 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측에 상당한다. 「비피부면측」은, 사용중에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로 향해지는 측에 상당한다.
흡수성 물품(1)은, 전후 방향(L) 및 폭방향(W)을 갖는다. 전후 방향(L)은, 착용자의 전측(배쪽)으로부터 후측(등쪽)으로 연장되는 방향, 또는 착용자의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이다. 폭방향(W)은, 전후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흡수성 물품(1)은, 중앙 영역(S2), 전측 영역(S1) 및 후측 영역(S3)을 갖는다. 중앙 영역(S2)은, 착용자의 배설구, 예컨대 질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영역이다. 흡수성 물품(1)이 착용물품에 장착되었을 때에, 중앙 영역(S2)은 착용물품의 가랑이부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양 다리 사이에 배치되는 영역이다. 전측 영역(S1)은 중앙 영역(S2)보다 전측에 위치한다. 전측 영역(S1)의 전단 가장자리는, 흡수성 물품(1)의 전단 가장자리를 규정한다. 후측 영역(S3)은, 중앙 영역(S2)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후측 영역(S3)의 후단 가장자리는, 흡수성 물품(1)의 후단 가장자리를 규정한다.
중앙 영역(S2)에는 윙(25)이 마련될 수 있다. 윙(25)은, 흡수 코어(23)보다 폭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사용시에 착용물품의 비피부면측(T2)으로 절첩된다. 윙은, 표면 시트(21)와 이면 시트(22)를 가질 수 있다. 윙(25)의 전단 가장자리는, 윙(25)의 밑동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 폭방향(W)의 내측으로 움푹 팬 2개의 부분 중 전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당한다. 윙(25)의 전단 가장자리는, 중앙 영역(S2)과 전측 영역(S1)의 경계를 규정해도 좋다. 윙(25)의 후단 가장자리는, 윙(25)의 밑동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 폭방향(W)의 내측으로 움푹 팬 2개의 부분 중 후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당한다. 윙(25)의 후단 가장자리는, 중앙 영역(S2)과 후측 영역(S3)의 경계를 규정해도 좋다. 또한, 윙(25)의 내측 가장자리는, 윙의 밑동이며, 윙(25)의 전단 가장자리와 윙(25)의 후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가상선이 된다. 또한, 윙(25)을 갖지 않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중앙 영역(S2)은, 본체부(20)의 전후 방향(L)의 길이가 가장 긴 위치(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20)의 폭방향(W)의 중심이 되는 본체폭 중심(20CW))에 있어서, 본체부(20)를 전후 방향(L)으로 3등분한 영역의 각각이, 전측 영역(S1), 중앙 영역(S2) 및 후측 영역(S3)을 구성해도 좋고, 흡수 코어(23)가 고평량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고평량부를 갖는 영역이 중앙 영역(S2)을 구성해도 좋다.
흡수성 물품(1)은, 본체부(20)와, 후처리용 부재(30)를 가질 수 있다. 본체부(20)는, 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표면 시트(21)와,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진 이면 시트(22)와, 표면 시트(21)와 이면 시트(22) 사이의 흡수 코어(23)를 포함한다. 표면 시트(21)는, 사용중에 착용자의 피부쪽을 향해 배치된다. 표면 시트(21)는, 섬유를 갖는 부직포 또는 직포로 구성될 수 있다. 표면 시트(21)는, 후술하는 후처리용 부재(30)의 후크 부재(31)가 접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표면 시트(21)가 섬유를 갖는 직포 또는 부직포로 구성되고, 그 섬유와 후크 부재(31)가 걸리도록 구성되어도 좋고, 표면 시트(21)의 피부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그 요철에 의해서도 후크 부재(31)의 선단이 보다 걸리기 쉽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면 시트(22)는, 사용중에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진다. 표면 시트(21)는, 액투과성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면 시트(22)는, 액불투과성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21)는, 흡수 코어(23)의 폭방향(W)의 중앙을 덮는 센터 시트(21C)와, 센터 시트(21C)의 외측부에 중복되는 사이드 시트(21S)를 가질 수 있다. 센터 시트(21C)는, 사이드 시트(21S)보다 피부면측(T1)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시트(21S)의 내측 가장자리는 폭방향(W)의 외측으로 접혀 있고, 사이드 시트(21S) 사이에는 탄성 부재(28)가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시트(21S)의 내측부에는, 그 탄성 부재(28)에 의해 전후 방향(L)으로 수축하는 신축부(26)가 마련되어 있다. 신축부(26)는, 센터 시트(21C)로부터 기립 가능한 샘방지 커프를 구성할 수 있다. 사이드 시트(21S)의 신축부(26)는 본 발명의 신축부를 구성한다. 또, 다른 형태에 있어서, 전후 방향(L)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 시트에 의해 이면 시트가 구성된 형태에 있어서는, 그 이면 시트가 본 발명의 신축부를 구성할 수 있다. 신축부는, 적어도 전후 방향(L)으로 신축 가능하면 되며, 전후 방향(L)과 함께 폭방향(W)으로 신축 가능해도 좋다.
본체부(20)는, 표면 시트(21)와 흡수 코어(23)의 사이에 배치된 보조 시트(24)를 가질 수 있다. 보조 시트(24)는, 표면 시트(21)보다 비피부면측(T2)이자 흡수 코어(23)보다 피부면측(T1)에 위치한다. 보조 시트(24)는, 섬유를 가지며, 체액을 표면 시트(21)측으로부터 인입하여, 흡수 코어(23) 방향으로 유도한다. 보조 시트(24)는, 적어도 흡수 코어(23)와 중복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시트(24)는, 에어스루 부직포로 구성될 수 있다.
흡수 코어(23)는, 흡수성 물품(1)의 전후 방향(L)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흡수 코어(23)는, 수분을 흡수 가능한 흡수 재료를 갖는다. 흡수 코어(23)는, 도시하지 않은 코어랩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또, 부직포에 의해 코어랩을 구성함으로써, 코어랩이 보조 시트를 겸하고 있어도 좋다. 코어랩은, 예컨대 티슈로 구성할 수 있다. 본체부(20)에는, 적어도 흡수 코어(23)가 두께 방향으로 압축된 코어 압착부(231)가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후 방향(L)을 따라」라는 용어는, 전후 방향(L)에 대하여 45° 미만의 각도를 갖는 방향을 의미하고, 「폭방향(W)을 따라」라는 용어는, 폭방향(W)에 대하여 45° 미만의 각도를 갖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체부(20)의 비피부면측(T2)(이면 시트(22)의 비피부면)에는 점착부(50)가 마련될 수 있다. 점착부(50)는, 본체부(20)를 착용물품에 접합하기 위한 점착제가 마련된 영역이다. 점착부(50)는, 흡수 코어(23)와 중복되는 영역에 배치된 본체 점착부(51)와, 윙(25)에 마련된 윙 점착부(52)를 가질 수 있다. 본체 점착부(51)는,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고, 또한 폭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점착부(50)는, 후술하는 피복 시트(40)에 의해 사용전에 덮일 수 있다. 본체 점착부(51)는, 후처리용 부재(30)에 대한 폭방향(W)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 본체 점착부(51)는, 폭방향(W)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 방향(L)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점착부(50)는, 사용시에 본체부(20)를 착용물품에 접합하는 기능과 함께, 폐기시에 보조적으로 표면 시트(21)에 접합하는 기능도 가질 수 있다.
흡수성 물품(1)은, 흡수성 물품(1)을 뭉친 상태로 폐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후처리용 부재(30)를 본체부(20)에 접합시키는 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을 전후 방향(L) 또는 폭방향(W)으로 뭉친 상태로 폐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1)을 뭉치는 방향은, 뭉치는 것에 의해 길이가 짧아지는 방향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후 방향(L)이 된다. 후처리용 부재(30)는, 본체부(20)의 비피부면측(T2)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본체부(20)의 비피부면은 이면 시트(22)로 구성되어 있고, 이면 시트(22)의 비피부면에 후처리용 부재(30)가 배치되어 있다. 후처리용 부재(30)는, 흡수 코어(23)와 중복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후처리용 부재(3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시에서 직사각형이어도 좋고, 타원 등의 원형이어도 좋고, 점형으로 복수 마련되어 있어도 좋고, 선형으로 복수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타원형 등, 후처리용 부재(30)의 모서리부가 곡선형인 형태에 있어서는, 후처리용 부재(30)가 사용자에게 닿았을 때의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다.
후처리용 부재(30)의 굽힘 강성은, 표면 시트(21), 이면 시트(22) 및 흡수 코어(23)를 중복한 영역의 굽힘 강성보다 낮을 수 있다. 흡수성 물품(1)의 사용시에는, 본체부(20)의 비피부면측(T2)에 후처리용 부재(30)가 배치되어 있고, 후처리용 부재(30)는 간접적으로 피부에 닿는다. 이 때, 후처리용 부재(30)의 굽힘 강성이 낮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주는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후처리용 부재(30)의 굽힘 강성, 이면 시트(22), 흡수 코어(23), 표면 시트(21)와 이면 시트(22)와 흡수 코어(23)를 중복한 부분의 굽힘 강성은, 표준 규격 JIS P-8125에 의해 규정되는 테이버법에 의해 측정된다. 예컨대, 우선, 측정 대상이 되는 부재(시트)로부터 폭 25 mm, 길이 38 mm의 시험편을 채취한다. 다음으로, 시험편의 두께를 두께 측정기(예컨대, PEACOCK 제조 44 mmφ 3 g/㎡)에 의해 계측한다. 다음으로, 야스다 정기 제조의 테이버 스티프니스 테스터에 시험편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시험편을 테이버 스티프니스 테스터의 롤러 사이에 넣고, 그립 간격을 시험편의 두께에 맞춰 끼운다. 또, 시험편의 상단과 그립 상면을 맞춘다. 롤러는 시험편을 누르지 않도록 시험편과의 간격을 약 0.5 mm로 조정한다. 테이버 스티프니스 테스터의 시험편 절곡 장치를 회전시키고, 시험편 절곡 장치의 15도를 나타내는 각선(刻線)과 하중 진자의 지침이 일치한 점에서 절곡 장치의 회전을 정지하고, 이 때 진자의 지침이 지시하는 하중 눈금을 판독한다. 하중 진자를 즉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동일하게 하중 눈금을 판독하여, 좌우 양 방향의 하중 눈금의 평균치를 구한다. 또, 지시 하중 눈금이 최대 눈금의 15∼85%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보조 추를 임의로 선정한다. 그리고 나서, 시험편의 굽힘 강성(강연도(g·cm))은, 「강연도(g·cm)=하중 눈금의 평균치×10×추의 수치」의 식에 의해 산출된다. 또, 샘플의 폭방향(W)의 길이가 25 mm 미만인 경우에는, 샘플의 최대폭으로 측정한 데이터를 N/25 mm로 환산한다. 또한, 샘플의 길이 38 mm 미만의 경우에는 최대 길이로 측정한다. 또한, 굽힘 강성은, 10회 측정하여 그 평균치로 한다.
도 5는, 도 4의 B 부분의 단면도이다. 후처리용 부재(30)는, 비피부면측(T2)을 향해 돌출된 후크 부재(31)를 갖는다. 후크 부재(31)는, 흡수성 물품의 폐기시 등에 있어서 본체부(20)의 피부면측(T1)을 내측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1)이 접힌 상태로 표면 시트(21)에 접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후크 부재(31)는, 이면 시트(22)의 일부가 비피부면측(T2)으로 돌출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이면 시트(22)와 별체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후크 부재(31)는, 이면 시트(22)와 별체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이면 시트(22)의 비피부면에 접합된 기재 시트(35)로부터 비피부면측(T2)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기재 시트(35)와 후크 부재(31)는 일체화할 수 있다. 후크 부재(31)는, 비피부면측(T2)으로 연장되는 축부(311)와, 축부(311)의 선단에 있어서 축부(311)보다 평면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우산부(312)를 가질 수 있다. 후크 부재(31)는, 전후 방향(L) 및 폭방향(W)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1개만이어도 좋다. 기재 시트(35)는, 본체부(20)의 비피부면에 접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기재 시트(35)는, 접합 영역에 있어서 이면 시트(22)에 접합되어 있다. 접합 영역은, 후처리용 부재(30)의 전체에 걸쳐 마련될 수 있다.
후처리용 부재(30)는, 시트형의 기재 시트(35)와, 그 기재 시트의 표면(이면)으로부터 기립하는 다수의 후크 부재(31)로 이루어진 것이며, 예컨대 닻 형태나 갈고리 형태의 후크 부재(31)를 갖는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후처리용 부재(30)로는, 공지의 기계적 면패스너의 메일(male) 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고, 예컨대 「매직테이프(등록상표)」(쿠라레사 제조),「퀴크론(등록상표)」(YKK사 제조),「마지클로스(등록상표)」(가네보벨터치사 제조) 등에서의 메일 부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후처리용 부재(30)는, 후크 부재(31)와 표면 시트(21)를 보조적으로 접합하는 후처리 점착부를 가질 수 있다. 후처리 점착부는, 후처리용 부재(30)의 비피부면측의 면에 마련될 수 있다. 후처리 점착부는, 후처리용 부재(30)의 비피부면에 적어도 배치되어 있으면 되고, 축부의 표면 등, 후처리용 부재(30)의 비피부면 이외의 면에 마련될 수 있다. 후처리 점착부는, 후크 부재(31)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고, 기재 시트(35)에 마련될 수 있다. 후처리 점착부를 갖는 것에 의해, 폐기시에 후크 부재(31)와 표면 시트(21)가 접합할 때의 접합력을 보다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스펀레이스 부직포 등의 단섬유(섬유 길이가 대강 10 mm 이하)의 부직포 및 섬유 교락의 강도를 확보하기 어려운 부직포라 하더라도, 후처리 점착부에 의해 표면 시트(21)에 대한 접합력을 확보하여, 후처리용 부재(30)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을 뭉친 상태를 보다 유지하기 쉬워진다. 또, 후처리 점착부를 구성하는 점착제는, 점착부(50)와 동일해도 좋고, 점착부(50)와 상이해도 좋다.
흡수성 물품(1)의 비피부면은, 사용 전에 피복 시트(4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피복 시트(40)는, 흡수성 물품(1)을 개별로 포장하는 개별 포장 시트(41) 및 점착부(50)를 덮는 박리 시트(4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일 수 있다. 적합하게는, 피복 시트(40)는, 후처리용 부재(30)의 비피부면측(T2)에 배치되어, 후크 부재(31)를 덮을 수 있다. 피복 시트(40)는, 사용 전에 흡수성 물품(1)을 덮고, 사용시에 흡수성 물품(1)으로부터 분리된다. 피복 시트(40)에 의해 후크 부재(31)를 덮는 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의 사용 전에 후크 부재(31)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억제하여, 후크 부재(31)를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전에 의도치 않게 후크 부재(31)가 손상되거나, 의도치 않게 후크 부재(31)가 피부에 닿거나 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피복 시트(40)는, 개별 포장 시트(41) 및 박리 시트(42)의 두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처리용 부재(30)의 후크 부재(31)의 비피부면측(T2)에 박리 시트(42)가 배치되고, 박리 시트(42)의 비피부면측(T2)에 개별 포장 시트(41)가 배치될 수 있다. 후크 부재(31)와 개별 포장 시트(41)의 사이에 박리 시트(42)가 배치되기 때문에, 후크 부재(31)에 의해 의도치 않게 개별 포장 시트(41)가 찢어지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본체부(20)는, 사용 전에 복수의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될 수 있다. 도 6은, 흡수성 물품(1)이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되고, 본체부(20)가 개별 포장 시트(41)에 의해 개별로 포장된 포장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포장 상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며, 도 6의 (b)는, 도 6의 (a)에 도시하는 C-C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또, 복수의 접음선은, 적어도 본체부(20)만을 절첩하는 접음선일 수 있고, 본체부(20), 후처리용 부재(30) 및 피복 시트(40)를 함께 절첩하는 접음선이어도 좋다. 복수의 접음선은,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전후 접음선(FL)과, 폭방향(W)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폭접음선(FW)을 가질 수 있다.
한쌍의 전후 접음선(FL)은, 폭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고, 본체폭 중심(20CW)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쌍의 전후 접음선(FL)은, 제1 전후 접음선(FL1) 및 제2 전후 접음선(FL2)을 가질 수 있다. 한쌍의 전후 접음선(FL)은, 윙(25)을 폭방향(W)의 내측으로 절첩하기 위한 접음선일 수 있다. 도 2는, 전후 접음선(FL)을 기점으로 윙(25)을 절첩한 제1 접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실시형태의 한쌍의 전후 접음선(FL)은, 흡수 코어(23)보다 폭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흡수 코어를 절첩하지 않는 접음선이다. 그러나, 변형예에 있어서, 한쌍의 전후 접음선(FL)은, 흡수 코어(23)에 중복되는 영역에 마련되고, 제1 접힘 상태에 있어서, 흡수 코어(23)가 절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쌍의 폭접음선(FW)은, 전후 방향(L)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폭접음선(FW)은, 제1 폭접음선(FW1) 및 제2 폭접음선(FW2)을 가질 수 있다. 제1 폭접음선(FW1)은, 복수의 접음선 중, 흡수 코어(23)의 후단 가장자리(23R)에 가장 가깝고, 제2 폭접음선(FW2)은, 복수의 접음선 중, 흡수 코어(23)의 전단 가장자리(23F)에 가장 가깝다. 또, 변형예에 있어서, 제1 폭접음선(FW1)과 제2 폭접음선(FW2)의 사이에, 폭방향(W)으로 연장되는 다른 접음선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1 폭접음선(FW1) 및 제2 폭접음선(FW2)은, 흡수성 물품의 포장시(사용 전)에, 본체부(20)의 피부면측(T1)을 내측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1)을 절첩하기 위한 라인이다. 접음선은, 접은 자국의 위치에 의해 특정할 수 있고, 본체부(20)의 접은 자국을 특정하기 어려운 형태에 있어서는, 피복 시트(40)의 접은 자국을 기준으로 접음선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사용 전의 개별 포장시에, 개별 포장 시트(41) 및 박리 시트(42) 상에 흡수성 물품(1)을 배치한 상태로 함께 절첩된다. 절첩 양태의 일례로는, 개별 포장 시트(41) 및 박리 시트(42) 상에 흡수성 물품(1)을 배치한 전개 상태로, 전후 접음선(FL)을 기점으로 윙(25)을 폭방향(W)의 내측으로 절첩하고, 제1 접힘 상태로 한다(도 2 참조). 제1 접힘 상태에서는, 본체부(20)만이 절첩되고, 피복 시트(40) 및 후처리용 부재(30)는 절첩되어 있지 않다.
이어서, 제1 폭접음선(FW1)을 기점으로 흡수성 물품(1)의 후단 가장자리를 전후 방향(L)의 내측으로 절첩한다. 이어서, 제2 폭접음선(FW2)을 기점으로 흡수성 물품(1)의 전단 가장자리측을 전후 방향(L)의 내측으로 절첩한다. 제2 폭접음선(FW2)을 기점으로 절첩한 영역의 선단(구체적으로는, 개별 포장 시트(41)의 전단 가장자리)을, 제1 폭접음선(FW1)을 기점으로 절첩한 개별 포장 시트(41)의 위에 테이프 부재(45)에 의해 접합한다. 이와 같이 절첩되는 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은, 개별 포장 시트(41)에 의해 개별로 포장된다. 또, 변형예에 있어서, 테이프 부재(45)를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흡수성 물품(1)이 사용 전에 절첩된 상태로, 표면 시트(21)와 후처리용 부재(30)가 접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사용 전에 절첩된 상태로, 후처리용 부재(30)의 비피부면측(T2)을 덮도록 표면 시트(21)가 배치되지 않고, 사용 전에 절첩된 상태로 후처리용 부재(30)와 표면 시트(21)가 접촉하지 않고, 후크 부재(31)가 의도치 않게 표면 시트(21)에 접합하지 않는다. 또, 폭접음선이 3개 이상인 형태 및 후처리용 부재(30)가 폭접음선을 전후 방향(L)에 걸쳐 배치된 형태에 있어서는, 사용 전에 절첩된 상태에서, 후처리용 부재(30)의 비피부면측(T2)을 덮도록 표면 시트(21)가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는, 후크 부재(31)와 표면 시트(21)의 사이에 흡수성 물품(1)을 구성하는 구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 부재는, 예컨대, 피복 시트(40)일 수 있다. 절첩된 상태로, 표면 시트(21)와 후크 부재(31)의 사이에 구성부재가 배치되는 것에 의해, 표면 시트(21)와 후크 부재(31)가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 전에 의도치 않게 표면 시트(21)에 후크 부재(31)가 접합하는 문제점을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에 기초하여, 후처리용 부재(30)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1)의 폐기 양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흡수성 물품(1)의 폐기 양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 폐기 양태에 관해서는, 사용자에 따라 상이하며, 이하의 설명의 폐기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폐기시에 적어도 전후 방향(L)으로 흡수성 물품(1)을 뭉친다.
사용자는, 폐기시의 표면 시트(21)에 배설물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을 폐기할 때에 본체부(20)의 피부면측(T1)을 내측으로 뭉쳐 폐기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도 7의 (a) 및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20)의 전단 가장자리 또는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전후 방향(L)으로 본체부(20) 및 후처리용 부재(30)를 뭉친다. 본체부(20)의 뭉침의 시작 부분의 비피부면측(T2)이 표면 시트(21)에 접촉하면서, 흡수성 물품(1)이 전후 방향(L)으로 뭉쳐진다. 본체부(20)의 비피부면측(T2)에는, 비피부면측(T2)으로 돌출된 후크 부재(31)가 마련되어 있다. 도 7의 (b)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본체부(20) 및 후처리용 부재(30)가 전후 방향(L)으로 더 뭉쳐지면,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에 접촉한다. 후크 부재(31)의 우산부(312)가 표면 시트(21)의 섬유에 걸려,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에 접합하고, 흡수성 물품(1)이 뭉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후처리용 부재(30)에 의해, 배설물이 부착된 면을 내측으로 한 청결한 상태로 흡수성 물품(1)을 폐기할 수 있다.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의 섬유 사이에 걸려 접합 상태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경혈 등의 체액의 부착에 의해 표면 시트(21)가 젖어, 점착부(50)와 표면 시트(21)의 접합력을 얻기 어려운 경우에도, 후처리용 부재(30)와 표면 시트(21)를 접합시킬 수 있다. 특히 점착부는 속옷 등과 접합한 후라서, 접합력이 저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 시트(21)가 습한 상황이므로, 표면 시트(21)와 점착부(50)가 접합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후처리용 부재(30)에 의해 접합시킬 수 있다. 또한, 후처리용 부재(30)의 후크 부재(31)를 표면 시트(21)에 접합하는 조작은, 흡수성 물품(1)을 뭉치는 과정에서 행할 수 있어, 후처리용 부재(30)를 인장하여 접합하는 등의 별도의 조작이 필요없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특별히 의식하지 않고 폐기하는 경우에도, 후처리용 부재(30)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이 뭉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흡수성 물품(1)이 뭉쳐진 상태에서는, 본체 점착부(51)도 표면 시트(21)에 접촉한다. 본체 점착부(51)는, 사용시에 착용물품에 본체부(20)를 접합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착용물품으로부터 본체부(20)를 제거한 후에도 약간이나마 점착력을 갖는다. 본체 점착부(51)도 보조적으로 표면 시트(21)에 접합한다. 따라서, 후처리용 부재(30)를 표면 시트(21)에 접합하는 것과 함께, 본체 점착부(51)도 표면 시트(21)에 접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에 결합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50 g/㎠의 하중시의 압박 상태에 있어서, 표면 시트(21)의 두께(21T)(도 5 참조)는, 후크 부재(31)의 두께(도 5 참조)보다 얇다. 표면 시트(21)의 두께는, 센터 시트(21C)만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센터 시트(21C)의 두께이고, 사이드 시트(21S)만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사이드 시트(21S)의 두께이고, 센터 시트(21C) 및 사이드 시트(21S)가 적층된 영역에서는, 적층 상태의 센터 시트(21C) 및 사이드 시트(21S)의 두께이다.
흡수성 물품(1)을 뭉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1)에 대하여 힘을 가하여 뭉치는 조작을 행한다. 출원인이 예의 연구한 결과, 흡수성 물품(1)을 뭉치는 조작 과정에서 흡수성 물품(1)에 가해지는 힘은 적어도 50 g/㎠이 된다. 즉, 흡수성 물품(1)을 뭉치는 조작 과정에서는, 본체부(20) 및 후처리용 부재(30)는, 두께 방향(T)에 있어서 그 50 g/㎠의 하중이 가해진 압박 상태가 되고, 본체부(20) 및 후처리용 부재(30)가 접촉하는 영역에서는 서로 압박하고 있다. 압박 상태에서는, 표면 시트(21)의 두께가 후크 부재(31)의 두께보다 얇고, 후크 부재(31)의 적어도 일부가 표면 시트(21)를 관통한다.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를 관통함으로써, 일단 표면 시트(21)의 섬유에 걸린 후크 부재(31)가 빠지기 어려워져, 일단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에 접합하면 그 접합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50 g/㎠의 하중이 가해진 압박 상태의 표면 시트의 두께 측정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우선,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를 포함하는 부분을 70 mm×70 mm의 치수로 절단한다. 또, 70 mm×70 mm의 치수를 채취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는 최대 치수로 절단한다. 이어서, 톨루엔을 이용하여 접착제를 제거하고 표면 시트만 분해한다. 분해한 표면 시트를, 24시간 자연 건조시켜 톨루엔을 날린다. 50 g/㎠의 하중이 가해지는 두께계(예컨대, 주식회사 다이에 과학 정기 제작소 제조 FS-60DS, 측정면 44 mm(직경), 측정압 3 g/㎠의 측정압을 50 g/㎠이 되도록 개량)를 이용하여, 표준 상태(온도 23±2℃, 상대 습도 50±5%)에서 가압 3초 후의 두께를 측정하여, 5개의 측정치의 평균치를 표면 시트의 두께로 한다. 또, 표면 시트와 보조 시트가 분해 불능인 경우는, 표면 시트와 보조 시트가 적층된 상태로 측정한 후, 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표면 시트와 보조 시트의 비율로부터 두께를 환산한다.
또한, 50 g/㎠의 하중이 가해진 압박 상태의 후크 부재의 두께의 측정은, 본체부로부터 후처리용 부재를 제거하고, 후처리용 부재만을 꺼낸다. 50 g/㎠의 하중이 가해지는 두께계(예컨대, 주식회사 다이에 과학 정기 제작소 제조 FS-60DS, 측정면 44 mm(직경), 측정압 3 g/㎠의 측정압을 50 g/㎠이 되도록 개량)를 이용하여, 표준 상태(온도 23±2℃, 상대 습도 50±5%)에서 가압 3초 후의 두께를 측정하고, 5개의 측정치의 평균치를 후처리용 부재의 두께로 한다. 또, 후크 부재와 기재 시트가 분리 불가능한 경우에는, 후처리용 부재의 두께를 측정한 후, 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기재 시트와 후크 부재의 비율로부터 두께를 환산한다.
압박 상태에 있어서, 축부(311)의 두께(두께 방향의 길이)는, 표면 시트(21)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압박 상태에서는, 표면 시트(21)의 두께가 축부의 두께보다 얇고, 후크 부재(31)의 축부(311)의 적어도 일부가 표면 시트(21)를 관통하고, 우산부(312)가 표면 시트(21)를 관통한다. 후크 부재(31)의 우산부(312)가 표면 시트(21)를 관통함으로써, 일단 표면 시트(21)의 섬유에 걸린 우산부(312)가 빠지기 어려워져, 일단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에 접합하면 그 접합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보조 시트(24)의 섬유 길이는, 표면 시트(21)의 섬유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보조 시트(24)의 섬유는, 섬유 길이가 길고, 보조 시트 내에서 권축한 상태에 있어서, 보다 많이 감겨 있고, 후크 부재(31)가 얽히기 쉽다. 따라서,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를 관통하여 보조 시트(24)에 도달했을 때에, 보조 시트(24)의 섬유와 후크 부재(31)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또한, 피부에 접하는 표면 시트(21)의 섬유 길이가 짧기 때문에,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섬유 길이는,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의 평균일 수 있으며, 보조 시트(24)의 섬유 길이의 평균(평균 섬유 길이)이 표면 시트(21)의 평균의 섬유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21)가 복수층을 갖는 구성에 있어서는, 보조 시트의 섬유 길이가, 표면 시트(21) 중 어느 하나의 층의 섬유 길이보다 길면 된다. 보조 시트(24)의 섬유 길이는, 30 mm 이상 80 mm 이하를 예시할 수 있고, 적합하게는 50 mm 이하일 수 있다. 보조 시트(24)의 섬유 길이가 50 mm 이하인 경우에는, 적합한 액확산성을 담보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21)의 섬유 길이는 10 mm 이상 50 mm 이하를 예시할 수 있고, 적합하게는 30 mm 이하일 수 있다. 표면 시트(21)의 섬유 길이가 10 mm보다 짧은 경우에는, 섬유끼리의 교락이 어려워져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지 않고,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사양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또한, 표면 시트(21)의 섬유 길이가 50 mm 이상인 경우에는, 섬유 1개 1개가 지나치게 굵은 것에 의해, 촉감에서 위화감을 생기게 할 우려가 있다. 표면 시트(21)의 섬유 길이가 30 mm 이하인 경우에는 촉감을 담보하기 쉽다. 그 구성에 의하면, 촉감과 후크 부재의 결합력의 양방을 보다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표면 시트(21)의 섬유 길이는 28 mm이며, 보조 시트(24)의 섬유 길이는 44 mm이다.
또, 시트의 섬유의 섬유 길이 및 평균 섬유 길이는, JIS L 1015 : 2010의 부속서 A의 「A7.1 섬유 길이의 측정」의 「A7.1.1 A법(표준법) 눈금이 있는 유리판 상에서 개개의 섬유의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에 따라서 측정된다. 또, 상기 방법은, 1981년에 발행된 ISO 6989에 상당하는 시험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의 시트의 섬유 길이는, 상기 방법에 의해 측정한 평균 섬유 길이일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21)에는, 두께 방향(T)으로 관통하는 구멍부(21A)가 형성될 수 있다. 표면 시트(21)의 구멍부(21A)에 후크 부재(31)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후크 부재(31)가 보다 비피부면측(T2)까지 들어가기 쉬워지고,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에 걸리기 쉬워진다. 또한, 폐기시에 흡수성 물품(1)이 감긴 상태에서는, 후크 부재(31)는, 표면 시트(21)에 대하여 수직으로 삽입되지 않고, 비스듬히 삽입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이 감긴 상태로, 표면 시트(21)의 구멍부에 후크 부재(31)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후크 부재(31)가 구멍부(21A)에 걸려,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에 접합한 상태를 보다 유지하기 쉬워진다.
표면 시트(21)의 구멍부(21A)는,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표면 시트(21)를 관통하고 있으면 되며, 펀칭 가공 등의 절단 가공에 의해 형성된 구멍부이어도 좋다. 구멍부의 직경은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후크 부재(31)의 우산부(312)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본체부(20)에는, 적어도 표면 시트(21)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시트 압착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시트 압착부(211)는, 흡수 코어보다 전후 방향의 외측에 마련된 단부 가장자리 압착부(27)를 복수 가질 수 있다. 단부 가장자리 압착부(27)는, 표면 시트(21)와 이면 시트(22)를 두께 방향(T)으로 압축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 흡수 코어(23)와 표면 시트(21)가 함께 압축된 압착부는, 코어 압착부(231)를 구성하고, 시트 압착부(211)를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 코어와 중복되는 영역에서의 시트 압착부(211)는, 흡수 코어(23)와 함께 압축되어 있고, 코어 압착부(231)와 중복되어 있다. 코어 압착부(231) 또는 시트 압착부(211)는, 코어 압착부(231) 또는 시트 압착부(211)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과 비교하여 강성이 높고, 또한 두께가 얇다.
시트 압착부(211)끼리의 간격(D211)(도 1 참조)은, 후크 부재(31)의 피치(P31)(도 5 참조)보다 길 수 있다. 시트 압착부(211)와 시트 압착부(211) 사이의 영역은, 시트 압착부(211)가 형성된 영역과 비교하여, 표면 시트(21)의 섬유 사이에 공극이 있어,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에 걸리기 쉽다. 그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에 걸리기 쉬운 영역이 후크 부재(31)의 피치보다 길어, 후크 부재(31)를 고정하는 위치를 의식하지 않고, 표면 시트(21)에 후크 부재(31)를 접합하기 쉬워진다. 또, 시트 압착부끼리의 간격(D211)은 시트 압착부(211)의 평면시 거리이다. 후크 부재(31)의 피치(P31)는, 인접하는 후크 부재(31)의 중심간 거리이며, 우산부(312)를 갖는 후크 부재(31)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우산부(312)의 중심간 거리이다.
단부 가장자리 압착부(27)는, 흡수 코어(23)보다 전후 방향(L)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1)의 전후 방향의 단부 가장자리 근방에 단부 가장자리 압착부(27)에 의한 굴곡 기점을 마련하고, 뭉침 시작 부분의 본체부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어, 흡수성 물품(1)을 보다 컴팩트하게 뭉치기 쉽다. 또한, 단부 가장자리 압착부끼리의 간격(D27)은 후크 부재(31)의 피치보다 길 수 있다. 단부 가장자리 압착부와 단부 가장자리 압착부의 영역은, 단부 가장자리 압착부가 형성된 영역과 비교하여, 표면 시트(21)의 섬유 사이에 공극이 있어,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에 걸리기 쉽다. 그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에 걸리기 쉬운 영역이 후크 부재(31)의 피치보다 길어, 후크 부재(31)를 고정하는 위치를 의식하지 않고, 표면 시트(21)에 후크 부재(31)를 접합하기 쉬워진다. 또, 단부 가장자리 압착부끼리의 간격(D27)은, 단부 가장자리 압착부(27)끼리의 평면시 거리이다.
표면 시트(21)는, 두께 방향으로 움푹 팬 복수의 오목부를 갖고 있고, 오목부는, 전후 방향(L)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될 수 있다. 오목부는, 표면 시트(21)에 형성된 개구부, 표면 시트(21)에 형성된 고랑 부분의 홈부, 표면 시트(21)를 구성하는 섬유가 융착된 융착부, 표면 시트(21)가 압착된 시트 압착부(211)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오목부는, 시트 압착부(211)로 구성되어 있다. 표면 시트(21)의 오목부와 오목부의 간격은, 후크 부재(31)의 피치보다 길 수 있다. 오목부와 오목부의 영역은, 오목부가 형성된 영역과 비교하여, 표면 시트(21)의 섬유 사이에 공극이 있어,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에 걸리기 쉽다. 그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에 걸리기 쉬운 영역이 후크 부재(31)의 피치보다 길어, 후크 부재(31)를 고정하는 위치를 의식하지 않고, 표면 시트(21)에 후크 부재(31)를 접합하기 쉬워진다.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압착부(211)로서의 단부 가장자리 압착부(27)는, 표면 시트(21)의 비피부면에 형성되어 있고, 비피부면측(T2)으로부터 피부면측(T1)을 향해 움푹 패일 수 있다. 시트 압착부가 형성된 영역은, 섬유가 압축되고, 섬유 사이의 공극이 작아져, 후크 부재(31)가 걸리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시트 압착부(211)가 비피부면측으로부터 피부면측을 향해 움푹 팬 형태에 있어 서는, 섬유 사이의 공극이 작은 부분이 표면 시트(21)의 비피부면에 형성된다. 섬유 사이의 공극이 작은 부분이 형성된 면을 비피부면측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표면 시트(21)의 피부면측(T1)으로부터 삽입되는 후크 부재(31)와 표면 시트(21)의 접합 상태를 실현하기 쉬워진다.
신축부(26)는, 후처리용 부재(30)의 전단 가장자리(30F)보다 전측이자 후처리용 부재(30)의 후단 가장자리(30R)보다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신축부(26)의 전단 가장자리(26F)는, 후처리용 부재(30)의 전단 가장자리(30F)보다 전측에 위치하고, 신축부(26)의 후단 가장자리(26R)는, 후처리용 부재(30)의 후단 가장자리(30R)보다 후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의 신축부(26)는, 사이드 시트(21S) 및 탄성 부재(28)로 구성된 샘방지 커프에 마련되어 있다. 신축부(26)는, 본체부(20)의 전후 방향의 중심에 걸쳐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8은, 자연 상태에서의 흡수성 물품(1)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 자연 상태란, 패키지에 수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패키지로부터 흡수성 물품을 꺼내어, 20℃±2℃, 상대 습도 60%±5% RH의 분위기 하에 24시간 방치한 상태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연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은, 신축부(26)가 수축하여, 측면시에서 만곡형으로 변형되어 있다. 특히, 샘방지 커프의 신축부(26)는, 흡수 코어(23)보다 피부면측(T1)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본체부(20)는, 피부면측(T1)이 근접하도록 만곡형으로 변형되어 있다. 후처리용 부재(30)의 전단 가장자리(30F)보다 전측이자 후처리용 부재(30)의 후단 가장자리(30R)보다 후측의 영역은, 후처리용 부재(30)의 강성의 영향을 받기 어렵고, 수축하기 쉽다. 본체부가 전후 방향(L)으로 뭉쳐지고,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에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 후처리용 부재(30)의 전단 가장자리(30F)보다 전측이자 후처리용 부재(30)의 후단 가장자리(30R)보다 후측이 전후 방향(L)으로 수축하면, 표면 시트(21) 내에 결합한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 내에 있어서 평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의 섬유에 걸린다. 따라서,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에 접합한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 후에 흡수성 물품(1)을 청결하게 폐기할 수 있다.
흡수 코어(23)가 주위보다 흡수 재료의 평량이 높은 고평량부를 갖는 형태에 있어서는, 후처리용 부재(30)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시에서 중고평량부와 중복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흡수성 물품(1)을 뭉치는 상태에서는,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 코어(23)가 복수층에 중복된다. 이 때, 고평량부가 배치된 부분은, 주위보다 두께가 두꺼워, 두께 방향으로 중복되는 다른 층을 압박하기 쉽다. 따라서, 고평량부와 중복되는 영역에 있어서, 후처리용 부재(30)를 표면 시트(21)측으로 압박할 수 있어, 후크 부재(31)와 표면 시트(21)의 접합 상태를 보다 실현하기 쉽다.
윙(25)은, 사용 전에 본체부(20)의 피부면측(T1)을 덮도록 폭방향(W)의 내측으로 절첩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윙(25)의 접은 자국에 의해, 폐기시에 윙(25)을 폭방향(W)의 내측으로 절첩하고, 표면 시트(21)의 적어도 일부를 윙(25)에 의해 덮은 상태로 흡수성 물품(1)을 뭉칠 수 있다(도 7의 (a) 참조). 폐기시에 윙(25)에 의해 표면 시트(21)를 덮는 것에 의해, 폐기 조작에 있어서 체액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부착되기 어렵다. 따라서, 체액의 부착을 억제하면서 흡수성 물품(1)을 뭉칠 수 있다. 또, 윙은, 전후 접음선(FL)에 의해 절첩되어 있어도 좋고, 전후 접음선(FL)과 별도의 접음선에 의해 절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다른 폐기 양태에 있어서, 윙(25)을 본체부(20)의 피부면측(T1)으로 접지 않고 흡수성 물품(1)을 뭉쳐도 좋다.
윙(25)을 본체부(20)의 피부면측(T1)으로 절첩한 상태에서, 후처리용 부재(30)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시에서 한쌍의 윙(25) 사이에 끼인 영역에 중복될 수 있다. 윙(25)을 본체부(20)의 피부면측(T1)으로 절첩한 상태는, 윙의 밑동에서 절첩한 상태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접음선(FL)을 기점으로 한쌍의 윙(25)을 절첩한 상태로, 후처리용 부재(30)는, 한쌍의 윙(25)에 중복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폐기시에 윙(25)을 본체부(20)의 피부면측(T1)으로 절첩한 상태로 흡수성 물품(1)을 뭉칠 때, 윙(25)에 의해 표면 시트(21)가 덮인 부분에 후처리용 부재(30)가 접촉하더라도,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에 접합하지 않는다. 그러나, 평면시에서 한쌍의 윙(25) 사이에 끼인 영역에, 후크 부재(31)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절첩된 윙(25)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표면 시트(21)가 노출되고, 그 영역에 있어서 후처리용 부재가 표면 시트(21)에 접합된다.
또, 한쌍의 힙 플랩을 갖는 형태에 있어서는, 본체부(20)의 피부면측(T1)으로 힙 플랩을 절첩한 상태로, 후처리용 부재(30)의 적어도 일부가 평면시에서 한쌍의 힙 플랩에 사이에 끼인 영역에 중복될 수 있다. 본체부(20)의 피부면측(T1)으로 힙 플랩을 절첩한 상태는, 힙 플랩의 전측의 밑동으로부터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는 선을 따라 절첩한 상태일 수 있다. 또는, 전후 접음선(FL)을 기점으로 한쌍의 힙 플랩을 절첩한 상태로, 후처리용 부재(30)는, 한쌍의 힙 플랩에 중복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구성에 의하면, 절첩된 힙 플랩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표면 시트(21)가 노출되고, 그 영역에 있어서 후처리용 부재(30)가 표면 시트(21)에 접합된다.
후처리용 부재(30)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에는, 본체 점착부(51)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시에 착용물품에 흡수성 물품을 접합했던 본체 점착부(51)도, 사용 후에 보조적으로 표면 시트(21)에 접합한다. 후처리용 부재(30)를 표면 시트(21)에 접합할 수 있고, 또한 본체 점착부(51)도 표면 시트(21)에 접합할 수 있다. 후처리용 부재의 강성에 의한 반발력이 있더라도, 폐기시에 흡수성 물품을 뭉친 상태를 유지하여, 후처리용 부재에 의해 청결하게 흡수성 물품을 폐기할 수 있다.
본체 점착부(51)와 후처리용 부재(30)는, 폭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본체 점착부(51)와 후처리용 부재(30)가 간섭하기 어려워져, 폐기 전에 있어서 의도치 않게 본체 점착부(51)와 후처리용 부재(30)가 접합하는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변형예에 있어서, 본체 점착부(51)와 후처리용 부재(30)는, 폭방향(W)으로 인접해도 좋다. 그 변형예에 있어서는, 본체 점착부(51)와 후크 부재(31)가 폭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처리용 부재(30)는, 장착시의 위화감을 억제하면서, 표면 시트(21)에 대한 접합력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치수로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후처리용 부재(30)의 전후 방향(L)의 길이는, 흡수 코어(23)의 두께보다 길고, 흡수 코어(23)의 전후 방향(L)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고, 본 실시형태의 후처리용 부재(30)의 전후 방향(L)의 길이는 80 mm이다. 후처리용 부재(30)의 전후 방향(L)의 길이는, 흡수 코어(23)의 두께보다 긴 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을 감았을 때에, 후처리용 부재(30)와 표면 시트(21)가 점으로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고, 후처리용 부재(30)와 표면 시트(21)의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후처리용 부재(30)의 전후 방향(L)의 길이가 흡수 코어(23)의 전후 방향(L)의 길이보다 짧은 것에 의해, 후처리용 부재(30)의 강성이 본체부(20)의 피부면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여,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다. 후처리용 부재(30)의 폭방향(W)의 길이는, 1 mm 이상, 흡수 코어(23)의 폭방향(W)의 길이 이하일 수 있다. 후처리용 부재(30)의 폭방향(W)의 길이가 1 mm 이상인 것에 의해, 표면 시트(21)에 대한 접합 강도를 확보하기 쉽다. 또한, 후처리용 부재(30)의 폭방향(W)의 길이가 흡수 코어(23)의 폭방향(W)의 길이 미만이므로, 폭영역에 본체 점착부(51)를 배치할 수 있고, 본체부(20)를 안정적으로 착용물품에 접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후처리용 부재(30)의 폭방향(W)의 길이는, 5 mm 이상 35 mm 이하이며, 본 실시형태의 후처리용 부재(30)의 폭방향(W)의 길이는 15 mm이다. 후처리용 부재(30)를 안정적으로 생산시킬 수 있으며, 본체 점착부(51)도 코어 배치 영역 내에 배치시키기 쉬워, 본체부(20)를 안정적으로 착용물품에 접합할 수 있다. 후처리용 부재(30)의 면적은, 본체부(20) 전체의 면적에 대하여 20% 미만일 수 있다. 후크 부재(31)를 갖는 후처리용 부재(30)의 면적이 본체부(20) 전체 면적에 비하여 작기 때문에, 후처리용 부재(30)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의 강성이 높아지는 것을 억제하여, 착용시의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
후처리용 부재(30)는, 본체폭 중심(20CW)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본체폭 중심(20CW)을 후처리용 부재(30)에 의해 접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체폭 중심(20CW)은, 본체부(20)의 전후 방향(L)의 길이가 가장 길다. 본체부(20)의 전후 방향(L)의 길이가 가장 긴 부분을 후크 부재(31)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본체부(20)의 전후 방향(L)의 전역을 뭉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폐기시에 흡수성 물품(1)을 뭉칠 때에는, 본체폭 중심(20CW)을 기점으로 뭉친다. 이 때, 기점이 되는 개소에 후처리용 부재(30)가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을 뭉치는 조작 과정에서 의식하지 않고 후처리용 부재(30)와 표면 시트(21)를 서로 향하는 방향으로 압박할 수 있어, 후크 부재(31)를 표면 시트(21)에 접합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은, 중앙 영역(S2)의 전후 방향(L)의 중심으로부터 흡수성 물품의 전단 가장자리까지의 길이를 전측 길이로 하고, 중앙 영역(S2)의 전후 방향(L)의 중심으로부터 흡수성 물품의 후단 가장자리까지의 길이를 후측 길이로 하면, 전측 길이의 길이는 150 mm 이하이고, 전측 길이에 대한 후측 길이의 비율은 1.5 이하일 수 있다. 그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중앙 영역의 전후 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전측 영역과 후측 영역의 길이의 비율이 크게 다르지 않고, 일반적으로 낮용의 생리용 냅킨으로서 이용된다. 낮용의 생리용 냅킨은, 밤용의 냅킨과 비교하여,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짧고,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 시간이 짧아 체액의 흡수량이 적다. 그 때문에, 폐기시에 후크 부재를 이용하여 뭉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3)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
이어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1X)에 관해 설명한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A-A 단면을 기준으로 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1X)의 단면도이다. 이하, 제2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의 표면 시트(21X)는, 보수성 섬유와, 보수성 섬유보다 긴 섬유 길이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갖고 있다. 보수성 섬유는, 예컨대, 코튼 섬유, 레이온 섬유를 예시할 수 있다. 보수성 섬유의 섬유 길이는 10∼50 mm일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예컨대, 폴리에틸렌(PE)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의 합성 섬유를 예시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섬유 길이는 30∼60 mm일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융착되고, 시트 내에서 권축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섬유 길이가 비교적 길기 때문에, 권축된 상태에 있어서, 보다 많이 감겨 있고, 후크 부재(31)가 얽히기 쉽다. 후크 부재(31)가 그 열가소성 수지 섬유에 걸리기 쉬워,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에 접합한 상태를 보다 유지하기 쉬워진다.
표면 시트(21)는, 보수성 섬유를 갖고 있고, 체액을 흡수한 후에 습윤 상태가 되기 쉽다. 습윤 상태의 보수성 섬유는, 습윤 전과 비교하여 풀리기 쉬워지고, 표면 시트(21)는 부드러워져, 흡수성 물품(1)을 뭉칠 때에 변형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X)이 뭉쳐졌을 때, 폐기시에 흡수성 물품(1X)이 감긴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습윤 상태의 표면 시트(21)는, 그 표면이 평평한 상태가 되고,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T1)을 내측으로 하여 접혀, 표면 시트(21)와 이면 시트(22)가 접촉했을 때에, 표면 시트(21)와 이면 시트(22)의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표면 시트(21)와 이면 시트(22)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지고, 폐기시에 흡수성 물품(1X)이 감긴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표면 시트(21X)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열융착부(29)를 가질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열융착부(29)에 후크 부재(31)가 걸리기 쉬워, 표면 시트(21)와 이면 시트(22)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지고, 폐기시에 흡수성 물품(1X)이 감긴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표면 시트(21)는, 적어도 보수성 섬유를 갖는 제1층과, 제1층보다 비피부면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갖는 제2층을 가질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센터 시트(21CX)는, 코튼 섬유 100%의 제1층(21C1)과, 코튼 섬유 80%와 열융착성 섬유 20%의 제2층(21C2)의 적층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제1층(21C1)은, 보수성 섬유의 수류 교락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변형예에 있어서, 표면 시트(21X)는 1층으로 이루어지고, 그 1층의 표면 시트(21)가 보수성 섬유 및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양방을 가져도 좋다. 또한, 표면 시트(21X)의 사이드 시트(21S)가 제1층과 제2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 표면 시트는, 제1층과 제2층을 갖고 있지 않아도 결합력을 얻을 수 있다. 표면 시트는, 층수의 한정 없이, 보수성 섬유와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가질 수 있다. 보수성 섬유와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비율은, 예컨대 이하일 수 있다. 보수성 섬유: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10:90∼90:10일 수 있다. 또, 보수성 섬유의 감촉의 유지를 고려하면, 보수성 섬유: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40:60∼90:10일 수 있다.
50 g/㎠의 하중시의 압박 상태에 있어서, 제1층(21C1)의 두께는 후크 부재(31)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압박 상태에서는, 제1층(21C1)의 두께가 후크 부재(31)의 두께보다 얇고, 후크 부재(31)의 적어도 일부가 제1층(21C1)을 관통하여, 제2층(21C2)에 결합한다. 제2층(21C2)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에 걸린 후크 부재(31)가 빠지기 어려워져, 일단 후크 부재(31)가 표면 시트(21X)에 접합하면 그 접합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이러한 센터 시트(21CX)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우선, 제1 카드기에 의해, 제2층(21C2)에 대응하는 제2 섬유 웨브가 형성된다. 제1 카드기는, 섬유 웨브의 형성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싱글 카드 또는 더블 카드를 사용한 건식의 롤러 카드이다. 제2 섬유 웨브는, 보수성 섬유 및 소수성 섬유를 포함한다. 이어서, 제2 카드기에 의해, 제1층(21C1)에 대응하는 제1 섬유 웨브가 형성된다. 제2 카드기도 제1 카드기와 동일한 건식의 롤러 카드이다. 제1 섬유 웨브는 보수성 섬유를 포함한다. 제1 섬유 웨브는,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중인 제2 섬유 웨브 상에 적층된다. 그것에 의해, 제1 섬유 웨브와 제2 섬유 웨브가 적층된 2층 구조의 복합 섬유 웨브가 형성된다. 또, 각 섬유 웨브에서의 각 섬유의 비율은 각 카드기에 공급하는 원료 섬유의 비율로 제어 가능하다. 다음으로, 2층 구조를 갖는 복합 섬유 웨브는, 워터 제트 처리기에 의해 워터 제트 처리되어, 섬유끼리 교락된다. 그것에 의해, 제1 연속 시트(스펀레이스 부직포)가 형성된다. 여기서, 워터 제트 처리는, 복합 섬유 웨브를 연속으로 이동하는 메쉬벨트 상에 얹고, 복합 섬유 웨브의 상면측으로부터 고압 제트 수류를 분사시켜 섬유끼리 교락시키는 처리이다. 그 후, 워터 제트 처리기를 통과한 제1 연속 시트는 건조기에 의해 건조된다. 건조된 제1 연속 시트는,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어, 센터 시트(21CX)를 구성하는 연속체가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센터 시트(21CX)에서는, 제1층(21C1)에서의 보수성 섬유의 비율이 제2층(21C2)에서의 보수성 섬유의 비율보다 높고, 제1층(21C1)에서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비율이 제2층(21C2)에서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비율보다 낮아진다.
(4) 표면 시트의 적합한 구성
이어서, 표면 시트의 적합한 구성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부터 실시예 9 및 비교예 1부터 비교예 3의 표면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을 이용하여, 후크 부재와 표면 시트의 결합력, 및 후크 부재와 표면 시트를 결합한 후의 표면 시트의 보풀을 평가했다. 실시예 1부터 실시예 9 및 비교예 1부터 비교예 3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표면 시트 이외의 구성은 동일하다. 실시예 1부터 실시예 9 및 비교예 1부터 비교예 3의 표면 시트의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내는 평가 결과에 의하면, 표면 시트(21)의 비용적은 4.57 ㎤/g 이상 22.8 ㎤/g 이하일 수 있다. 표면 시트(21)의 비용적이 4.57 ㎤/g 이상인 경우에는, 표면 시트(21)의 섬유 사이에 적당한 간극이 형성되어, 후크 부재(31)가 들어가기 쉽고, 후크 부재(31)가 빠지기 어려워지는 것을 알았다. 4.57 ㎤/g 이상의 표면 시트에 의하면, 표면 시트(21)와 후크 부재(31)가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지고, 폐기시에 흡수성 물품(1)이 감긴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보다 적합한 결합력을 얻기 위해서는, 표면 시트(21)의 비용적은 5.14 ㎤/g 이상일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21)의 비용적이 22.8 ㎤/g보다 높은 경우에는, 사용시에 보풀이 생기기 쉬워, 피부 트러블을 일으켜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보풀이 생긴 부분에 후크재를 결합하려 하더라도, 보풀 부분에 후크 부재가 꽂히기 어려워져, 결과적으로 결합이 불안정해져 버릴 우려도 있다. 따라서, 표면 시트(21)의 비용적은 22.8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표면 시트의 비용적(㎤/g)은 밀도(g/㎤)×103의 역수로서 산출할 수 있다. 밀도(g/㎤)=단위면적당 질량(g/㎡)/두께 치수(mm)×10-3에 기초하여 산출한다. 표면 시트의 두께 치수는, 50 g/㎠의 하중이 가해진 압박 상태의 표면 시트의 두께의 측정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
후크 부재(31)에서의 우산부(312)의 단위면적당 면적 비율은 7% 이상 40% 이하일 수 있다. 후크 부재(31)에서의 우산부(312)의 면적 비율은, 단위면적(1 ㎠)당 후크 부재(31)의 우산부(312)의 평면시의 면적(㎠) 비율이다. 후크 부재(31)에서의 우산부의 단위면적당 면적 비율이 7% 이상이면, 후크 부재(31)의 우산부가 적당한 밀도로 배치되어, 표면 시트(21)에 대한 결합력을 얻기 쉽다. 한편, 후크 부재(31)에서의 우산부(312)의 면적 비율이 지나치게 높으면, 우산부(312)가 착용물품으로부터 박리되기 어려울 우려가 있으며, 우산부(312)끼리의 거리를 충분히 얻을 수 없어, 우산부(312)가 표면 시트(21)의 섬유에 얽히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후크 부재(31)에서의 우산부(312)의 단위면적당 면적 비율이 40% 이하이면, 후크 부재(31)가 적당한 밀도로 배치되어, 착용물품에 대하여 박리하기 쉬워진다. 우산부(312)의 면적은 평면시로 측정하면 된다. 또한, 우산부(312)의 평면시의 폭, 길이는 인접하는 우산부(312)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표면 시트의 섬유가 우산부(312) 사이에 들어가기 쉬워지고, 우산부(312)에 걸리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표면 시트(21)와 후크 부재(31)의 박리 강도는, 0.7 N/15 mm 이상 2.6 N/15 mm 이하일 수 있다. 표면 시트(21)와 후크 부재(31)의 박리 강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폐기시에 흡수성 물품이 뭉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다. 또한, 표면 시트(21)와 후크 부재(31)의 박리 강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착용시에 착용물품에 결합한 후크 부재가 풀리기 어려워, 폐기시의 조작성이 악화하거나, 착용물품으로부터 후크 부재가 해제될 때에 착용물품 또는 후크 부재가 파손되거나 하는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었다. 표 1에 나타내는 평가 결과에 의하면, 표면 시트(21)와 후크 부재(31)의 박리 강도가 0.7 N/15 mm 이상인 것에 의해, 폐기시에 통상의 힘을 가하여 뭉쳤을 때에, 일단 표면 시트(21)에 결합한 후크 부재(31)가 풀리기 어려운 것을 알았다. 또한, 표면 시트(21)와 후크 부재(31)의 박리 강도가 2.6 N/15 mm 이하인 것에 의해,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 착압이 가해진 흡수성 물품을 착용물품으로부터 제거할 때에, 일단 표면 시트(21)에 결합한 후크 부재(31)가 원활하게 풀리기 쉬운 것을 알았다.
또, 표면 시트(21)와 후크 부재(31)의 박리 강도는, 다음과 같이 측정할 수 있다. 우선, 흡수성 물품을 2개 준비하고, 절첩된 포장 상태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 서는, 흡수성 물품을 일단 전개한다. 한쪽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와, 다른쪽의 흡수성 물품의 후처리용 부재(30)가 대향하도록 흡수성 물품을 중첩한다. 이어서, 적층한 흡수성 물품의 후처리용 부재(30)의 상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700 g의 하중을 5 mm/sec로 1회 왕복한다. 700 g의 하중은, 폐기시에 흡수성 물품에 가하는 힘에 대응하고 있으며, 통상의 사용 양태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 및 착용물품에 가해지는 착압에 대응하고 있다. 이어서, 한쪽의 흡수성 물품의 전단부와 다른쪽의 흡수성 물품의 전단부를 각각 척에 끼우고 박리 강도를 인스트론으로 측정한다. 300 mm/min의 속도로 평가를 실시한 후, 후처리용 부재(30)의 면적을 N/15 mm로 환산한 결과를 이용한다. 또, 착용물품의 후크 부재(31)의 결합은, 표면 시트(31)의 결합과 거의 동일한 정도이며, 박리 강도의 측정에 있어서는, 표면 시트와 후크 부재(21)의 결합으로 치환하여 측정하고 있다.
흡수성 물품에 이용되는 표면 시트(21)는, 연신되는 것에 의해 형성된 고연신 영역과 저연신 영역을 가질 수 있다. 고연신 영역의 두께와 저연신 영역의 두께는 상이할 수 있다. 고연신 영역은, 섬유가 비교적 엉성하여 후크 부재가 들어가기 쉽다. 한편, 저연신 영역은, 섬유가 비교적 치밀하여 후크 부재가 들어가기 어렵다. 후크 부재가 결합하여 쉬운 부분과 결합하기 어려운 부분이 형성되기 때문에, 후크 부재의 결합력의 확보와, 후크 부재에 대한 박리의 용이함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고연신 영역의 두께와 저연신 영역의 두께가 상이하기 때문에, 표면 시트의 피부면에 요철이 형성된다.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을 뭉치면, 이면 시트의 비피부면은 곡선형의 외형이 된다. 그 때문에, 후크 부재가 세워지는 방향은, 하나의 방향(예컨대 두께 방향)을 따르는 형상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방향이 된다. 표면 시트의 피부면에 요철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여러가지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후크 부재가 걸리기 쉬워진다. 따라서, 표면 시트가 후크 부재에 대한 결합력을 얻기 쉽다.
이상, 전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해 상세히 설명했지만, 당업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하여 전혀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또, 2019년 7월 30일에 출원된 중국특허출원 제201910694466.9호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1, 1X: 흡수성 물품, 20: 본체부, 21: 표면 시트, 21C, 21CX: 센터 시트, 21S: 사이드 시트, 22: 이면 시트, 23: 흡수 코어, 30: 후처리용 부재, 31: 후크 부재, 311: 축부, 312: 우산부, L: 전후 방향, W: 폭방향

Claims (17)

  1.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과,
    섬유를 갖는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흡수 코어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비피부면측에 배치되고, 비피부면측으로 돌출된 후크 부재를 갖는 후처리용 부재
    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50 g/㎠의 하중시의 압박 상태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의 두께는 상기 후크 부재의 두께보다 얇고,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접힌 상태로 상기 표면 시트에 접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 코어의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섬유를 갖는 보조 시트를 갖고 있고,
    상기 보조 시트의 섬유 길이는 상기 표면 시트의 섬유 길이보다 긴 흡수성 물품.
  3.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과,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흡수 코어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비피부면측에 배치되고, 비피부면측으로 돌출된 후크 부재를 갖는 후처리용 부재
    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표면 시트는, 보수성 섬유와, 상기 보수성 섬유보다 긴 섬유 길이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가지며,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접힌 상태로 상기 표면 시트에 접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열융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는, 적어도 상기 보수성 섬유를 갖는 제1층과, 상기 제1층보다 비피부면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갖는 제2층을 가지며,
    50 g/㎠의 하중시의 압박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두께는 상기 후크 부재의 두께보다 얇은 흡수성 물품.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부를 가지며,
    상기 신축부는, 상기 후처리용 부재의 전단 가장자리보다 전측이자 상기 후처리용 부재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후측에 적어도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표면 시트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시트 압착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트 압착부끼리의 간격은 상기 후크 부재의 피치보다 긴 흡수성 물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압착부는 상기 표면 시트의 비피부면에 형성되어 있고, 비피부면측으로부터 피부면측을 향해 움푹 팬 흡수성 물품.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비피부면측으로 연장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선단에 있어서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우산부를 가지며,
    50 g/㎠의 하중시의 압박 상태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두께는 상기 표면 시트의 두께보다 두꺼운 흡수성 물품.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의 비용적은 4.57 ㎤/g 이상 22.8 ㎤/g 이하인 흡수성 물품.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비피부면측으로 연장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선단에 있어서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우산부를 가지며,
    상기 후크 부재에서의 상기 우산부의 단위면적당 면적 비율은 7% 이상 40% 이하일 수 있는 흡수성 물품.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후크 부재의 박리 강도는 0.7 N/15 mm 이상 2.6 N/15 mm 이하인 흡수성 물품.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질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중앙 영역을 가지며,
    상기 중앙 영역의 상기 전후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전단 가장자리까지의 길이를 전측 길이로 하고, 상기 중앙 영역의 상기 전후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흡수성 물품의 후단 가장자리까지의 길이를 후측 길이로 하면,
    상기 전측 길이의 길이는 150 mm 이하이고,
    상기 전측 길이에 대한 상기 후측 길이의 비율은 1.5 이하인 흡수성 물품.
  15. 비피부면측으로 돌출된 후크 부재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이용되고, 또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상기 흡수성 물품이 접힌 상태로 상기 후크 부재가 결합하는 표면 시트로서,
    50 g/㎠의 하중시의 압박 상태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의 두께는 상기 후크 부재의 두께보다 얇은,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
  16. 비피부면측으로 돌출된 후크 부재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이용되고, 또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상기 흡수성 물품이 접힌 상태로 상기 후크 부재가 결합하는 표면 시트로서,
    상기 표면 시트의 비용적은 4.57 ㎤/g 이상 22.8 ㎤/g 이하인,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는, 연신되는 것에 의해 형성된 고연신 영역과 저연신 영역을 가지며,
    상기 고연신 영역의 두께와 상기 저연신 영역의 두께는 상이한,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
KR1020227003388A 2019-07-30 2020-07-30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 KR202200423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694466.9 2019-07-30
CN201910694466.9A CN112294543A (zh) 2019-07-30 2019-07-30 吸收性物品
PCT/JP2020/029368 WO2021020544A1 (ja) 2019-07-30 2020-07-30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362A true KR20220042362A (ko) 2022-04-05

Family

ID=74228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3388A KR20220042362A (ko) 2019-07-30 2020-07-30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20042362A (ko)
CN (2) CN112294543A (ko)
WO (1) WO20210205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37581A1 (en) * 2019-01-28 2020-07-30 Attends Healthcare Products, Inc. Absorbent articles having absorbent laminates and high-bulk, low shear topshee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9010A (ja) 1995-03-17 1997-04-15 Kao Corp 伸長テープ及び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03278C (en) * 1991-05-20 1998-05-05 David Joseph Kenneth Goulait Multi-layer female component for refastenable fasten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3464587B2 (ja) * 1997-02-28 2003-11-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吸収性物品
JP2000000107A (ja) * 1998-06-16 2000-01-07 Kao Corp 締結具
JP2006281545A (ja) * 2005-03-31 2006-10-19 Asahi Kasei Fibers Corp 係止材用積層不織布
JP2008237231A (ja) * 2007-03-23 2008-10-09 Kao Corp 尿取りパッド
JP6093001B1 (ja) * 2015-12-28 2017-03-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液透過性シート用の不織布、並びに当該不織布を液透過性シートとして含む吸収性物品
JP6138903B1 (ja) * 2015-12-29 2017-05-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6762142B2 (ja) * 2016-06-03 2020-09-3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9041987A (ja) * 2017-08-31 2019-03-22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フック部材、及び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9010A (ja) 1995-03-17 1997-04-15 Kao Corp 伸長テープ及び吸収性物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37581A1 (en) * 2019-01-28 2020-07-30 Attends Healthcare Products, Inc. Absorbent articles having absorbent laminates and high-bulk, low shear topshe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294543A (zh) 2021-02-02
CN114173729A (zh) 2022-03-11
WO2021020544A1 (ja) 2021-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547B1 (ko) 흡수성 물품
CA2713635C (en) Absorbent product
TWI486153B (zh) 吸收性物品
JP6268475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190861B2 (ja) 吸収性物品
JP5800959B1 (ja) 使い捨ておむつ
WO2013146289A1 (ja) 吸収性物品の包装体
CN106794080B (zh) 吸收性物品
KR20220042362A (ko)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
JP5237229B2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包装体
JP5097481B2 (ja) 伸縮性止着テープを備えたテープ型おむつ
JP2017209521A (ja) 吸収性物品
JP2016007515A (ja) 使い捨ておむつ
CN114007562A (zh) 伸缩性片、具有该伸缩性片的吸收性物品和该伸缩性片的制造方法
KR20220042134A (ko) 흡수성 물품
JP7261820B2 (ja) 吸収性物品
CN112294544B (zh) 吸收性物品和吸收性物品的制造方法
CN218484757U (zh) 短裤型卫生巾、短裤型卫生巾的包装体及独立包装体
JP7390970B2 (ja) 吸収性物品
WO2016052007A1 (ja) 吸収性物品
WO2020241560A1 (ja) 吸収性物品
WO2020130041A1 (ja) 吸収性物品
WO2020130040A1 (ja) 吸収性物品
CN114305877A (zh) 吸收性物品
CN116634975A (zh) 短裤型吸收性物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