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1129A - 7-클로로-2-(4-(3-메톡시아제티딘-1-일)사이클로헥실)-2,4-디메틸-n-((6-메틸-4-(메틸티오)-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벤조[d][1,3]디옥솔-5-카르복사미드의 결정질 형태 - Google Patents

7-클로로-2-(4-(3-메톡시아제티딘-1-일)사이클로헥실)-2,4-디메틸-n-((6-메틸-4-(메틸티오)-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벤조[d][1,3]디옥솔-5-카르복사미드의 결정질 형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1129A
KR20220041129A KR1020227005690A KR20227005690A KR20220041129A KR 20220041129 A KR20220041129 A KR 20220041129A KR 1020227005690 A KR1020227005690 A KR 1020227005690A KR 20227005690 A KR20227005690 A KR 20227005690A KR 20220041129 A KR20220041129 A KR 20220041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stalline form
cancer
powder diffraction
ray powder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5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라멜루 반다
빅터 에스. 겔링
Original Assignee
콘스텔레이션 파마슈티칼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스텔레이션 파마슈티칼스, 인크. filed Critical 콘스텔레이션 파마슈티칼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220041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1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13Crystalline forms, e.g. polymorph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7-클로로-2-(4-(3-메톡시아제티딘-1-일)사이클로헥실)-2,4-디메틸-N-((6-메틸-4-(메틸티오)-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벤조[d][1,3]디옥솔-5-카르복사미드의 결정질 형태 1에 관한 것으로, 이는 히스톤 메틸 변형 효소의 활성 조절제로서 유용하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상기 결정질 형태를 포함하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조성물 및 다양한 장애의 치료에서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7-클로로-2-(4-(3-메톡시아제티딘-1-일)사이클로헥실)-2,4-디메틸-N-((6-메틸-4-(메틸티오)-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벤조[D][1,3]디옥솔-5-카르복사미드의 결정질 형태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19년 7월 24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2/878,012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진핵생물의 염색질은 뉴클레오솜으로 불리는 거대분자 복합체로 구성된다. 뉴클레오솜은 히스톤 단백질 H2A, H2B, H3 및 H4의 각각의 2개 서브유닛을 갖는 단백질 8량체 주위를 감싸는 147개 염기쌍의 DNA를 가지고 있다. 히스톤 단백질은 염색질 구조와 유전자 발현에 차례로 영향을 미치는 번역-후 변형을 받는다. 히스톤에서 발견되는 번역-후 변형의 한 유형은 라이신 및 아르기닌 잔기의 메틸화이다. 히스톤 메틸화는 진핵생물에서 유전자 발현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메틸화는 염색질 구조에 영향을 미치고 전사의 활성화 및 억제 둘 모두와 관련되어 있다 (Zhang and Reinberg, Genes Dev. 15:2343-2360, 2001). 히스톤으로부터 메틸기의 부착 및 제거를 촉매하는 효소는 유전자 침묵, 배아 발달, 세포 증식 및 기타 과정에 연루된다.
히스톤 메틸라아제의 한 부류는 약 130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제스테 트리토락스(Zeste Trithorax)의 다양화 증진자의 억제자 (SET) 도메인의 존재를 특징으로 한다. 제스테 상동기관 2의 증진자 (EZH2)는 메틸라제를 함유하는 인간 SET-도메인의 예이다. EZH2는 EED (배아 외배엽 발달) 및 SUZ12 (제스테 12 상동기관의 억제자)와 회합하여 라이신 27에서 히스톤 H3를 트리-메틸화하는 능력을 갖는 PRC2 (Polycomb GroupRepressive Complex 2)로 알려진 복합체를 형성한다 (Cao and Zhang, Mol. Cell. 15:57-67, 2004). PRC2 복합체는 또한 RBAP46 및 RBAP48 서브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는 관련된 메틸라제 EZH1이다.
EZH2의 발암 활성은 다수의 연구에 의해 밝혀졌다. 세포주 실험에서 EZH2의 과-발현은 세포 침입, 연한천에서의 성장 및 운동성을 유도하는 반면 EZH2의 녹다운은 세포 증식 및 세포 침입을 억제한다 (Kleer et al., 2003, Proc. Nat. Acad. Sci. USA 100:11606-11611; Varambally et al., (2002), "The polycomb group protein EZH2 is involved in progression of prostate cancer," Nature 419, 624-629). EZH2는 E-카드헤린, DAB2IP 및 RUNX3을 비롯한 여러 종양 억제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종이식 모델에서, EZH2 녹다운은 종양 성장과 전이를 억제한다. 최근에, 쥣과(murine) 모델에서 EZH2의 하향 조절이 전립선암 전이를 차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in et al., "An oncogene-tumor suppressor cascade drives metastatic prostate cancer by coordinately activating Ras and nuclear factor- kappaB," Nat Med. 2010 Mar; 16(3):286-94). EZH2 과발현은 유방암과 같은 특정 암의 공격성과 연관된다 (Kleer et al., Proc. Nat. Acad. Sci. USA 100:11606-11611, 2003). 최근 연구는 또한 전립선암 특이적 발암성 융합 유전자 TMPRSS2-ERG가 EZH2의 직접 활성화를 통해 억압적인 후성유전학적 프로그램을 유도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Yu et al., "An Integrated Network of Androgen Receptor, Polycomb, and TMPRSS2 ERG Gene Fusions in Prostate Cancer Progression," Cancer Cell.2010 May 18;17(5):443-454).
화합물 1인, 7-클로로-2-(4-(3-메톡시아제티딘-1-일)사이클로헥실)-2,4-디메틸-N-((6-메틸-4-(메틸티오)-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벤조[d][1,3]디옥솔-5-카르복사미드는 메틸 변형 효소와 연관된 다양한 병태를 치료하는데, 예를 들어, 암과 같은 증식성 장애를 치료하는데 있어 큰 치료적 잠재력을 나타내는 EZH2의 소분자 억제제이다. 화합물 1은 미국 가출원 번호 62/659,408에 예시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며 다음 구조를 갖는다:
Figure pct00001
화합물 1의 대안적 형태의 개발은 EZH2의 억제에 반응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를 더 발전시키는 매력적인 영역을 나타낸다.
화합물 1의 결정질 형태가 본 명세서에 제공된다.
화합물 1의 개시된 결정질 형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이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다.
EZH2의 억제에 반응성인 질환 또는 장애, 예를 들어, 암의 치료에서 화합물 1의 개시된 결정질 형태 중 하나 이상의 용도가 추가로 제공된다.
도 1은 화합물 1의 결정질 형태 1에 대한 X-선 분말 회절 패턴 (XRPD)을 도시한다.
도 2는 화합물 1의 형태 1에 대한 예시적인 시차 주사 열량계 (DSC) 서모그램을 도시한다.
도 3은 화합물 1의 결정질 형태 2에 대한 X-선 분말 회절 패턴 (XRPD)을 도시한다.
도 4는 화합물 1의 형태 2에 대한 조합된 열중량 분석 (TGA) 서모그램 및 시차 주사 열량계 (DSC) 서모그램을 도시한다.
도 5는 화합물 1의 결정질 형태 3에 대한 X-선 분말 회절 패턴 (XRPD)을 도시한다.
도 6은 화합물 1의 형태 3에 대한 조합된 열중량 분석 (TGA) 서모그램 및 시차 주사 열량계 (DSC) 서모그램을 도시한다.
도 7은 미국 가출원 번호 62/659,408의 실시예 17에 제시된 절차로부터 제조된 바와 같은 화합물 1의 무정형 형태에 대한 X-선 분말 회절 패턴 (XRPD)을 도시한다.
정의
본 명세서에 사용된 "결정질"은 원자의 위치에서 긴-범위 원자적 질서가 존재하는 화합물의 고형 형태를 지칭한다. 고형의 결정질 특성은, 예를 들어, X-선 분말 회절 패턴의 조사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화합물 1의 결정질 형태 (형태 1, 형태 2 및 형태 3)는 각각 단일 결정질 형태이다. "단일 결정질 형태"는 인용된 화합물, 즉 화합물 1이 단일 결정 또는 각 결정이 동일한 결정질 형태 (예를 들어, 형태 1, 2 또는 3)를 갖는 복수의 결정으로 존재함을 의미한다. 특정 결정 형태의 중량 퍼센트는 특정 결정 형태의 중량을 특정 결정의 중량 플러스 존재하는 다른 결정 형태의 중량 플러스 존재하는 무정형 형태의 중량 합으로 나누고 100%를 곱하여 결정된다.
"형태 1", "결정질 형태 1", 또는 "단일 결정질 형태 1"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형태 2", "결정질 형태 2" 또는 "단일 결정질 형태 2"는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형태 3", "결정질 형태 3" 또는 "단일 결정질 형태 3"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화학적 순도는 개시된 형태가 상이한 화학적 구조를 갖는 물질이 없는 정도를 지칭한다. 개시된 결정 형태에서 화합물의 화학적 순도는 화합물의 중량을 화합물 플러스 상이한 화학적 구조를 갖는 물질/불순물의 중량의 합으로 나누어 100%을 곱한, 즉 중량 퍼센트를 의미한다.
용어 "무정형"은 비-결정질 상태 또는 형태로 존재하는 고체를 지칭한다. 무정형 고체는 분자의 무질서한 배열이고 따라서 구별할 수 있는 결정 격자나 단위 셀을 갖지 않고 결과적으로 정의할 수 있는 긴 범위 정렬화를 가지지 않는다. 고형의 고형 상태 정렬화는 예를 들어 X-선 분말 회절 (XRPD) 또는 시차 주사 열량계 (DSC)에 의해 당업계에 공지된 표준 기술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용어 "무수" 및 "무수물"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고, 참조된 결정질 형태가 실질적으로 결정 격자에 물이 없음, 예를 들어, 칼 피셔 분석에 의해 측정시 1중량% 미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결정질 형태에 대한 X-선 분말 회절 패턴의 2-세타 값은 기기마다 약간 다를 수 있고, 또한 온도 변화, 샘플 변위 및 내부 표준의 존재 또는 부재와 같은 요인에 기인한 샘플 준비에서의 변동 및 배치 간 변동에 따라 약간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인용된 XRPD 패턴/할당은 절대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0.2도 변할 수 있다. 이 가변성이 결정 형태의 명백한 식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요인을 설명할 것이라는 것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제공된 2-세타 값은 Cu Kα1 방사선을 사용하여 획득되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DSC 피크에 대한 온도 값은 기기마다 약간 다를 수 있고 또한 샘플 준비에서의 변동, 배치 간 변동 및 환경 요인에 따라 약간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인용된 온도 값은 절대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5도 또는 ±2도 변할 수 있다.
정의된 도면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XRPD 패턴" 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X-선 분말 회절 패턴"은 비교 목적을 위해 도시된 피크의 적어도 90%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비교 목적을 위해 ±0.2도와 같이 피크 강도에서 도시된 것과 약간의 변동이 허용된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되어야 한다.
샘플에서 다른 결정질 형태에 대한 일 결정질 형태의 양은 알려진 중량비로 두 가지 결정질 형태의 일련의 혼합물을 제조하고 각각에 대한 XRPD 스펙트럼을 얻음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샘플에서 결정질 형태 1 및 형태 2의 상대적인 양은 각각 도 1 도 3에 도시된 결정질 형태 1 및 형태 2의 하나 이상의 특징적인 피크를 선택하고, 샘플 XRPD에서의 그 상대 강도를 혼합물 XRPD에서의 그 상대 강도에 상관시킴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대상체" 및 "환자"는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 예를 들어 반려동물 (예를 들어, 개, 고양이 등), 농장 동물 (예를 들어, 소, 돼지, 말, 양, 염소 등) 및 실험 동물 (예를 들어, 랫트, 마우스, 기니피그 등)을 의미한다. 전형적으로, 대상체는 치료가 필요한 인간이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그것이 제형화되는 화합물의 약리학적 활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또한 인간 사용에 대해 안전한 무-독성 담체, 보조제 또는 비히클을 지칭한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보조제 또는 비히클은 이온 교환체, 알루미나,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레시틴, 혈청 단백질, 예컨대 인간 혈청 알부민, 완충제 물질 예컨대 인산염, 글리신, 소르브산, 소르브산칼륨, 포화 식물성 지방산의 부분 글리세리드 혼합물, 물, 염 또는 전해질, 예컨대 황산프로타민,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수소칼륨, 염화나트륨, 아연염, 콜로이드성 실리카, 삼규산마그네슘,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피롤리돈-초산비닐, 셀룰로오스계 물질 (예를 들어, 미정질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전분, 유당일수화물, 만니톨,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및 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 폴리에틸렌 글리콜,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왁스, 폴리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 중합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울 지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어 "치료", "치료하다" 및 "치료하는"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질환 또는 장애, 또는 그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역전시키거나, 완화시키거나, 전개 가능성을 감소시키거나, 진행을 억제하는 것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료는 하나 이상의 증상이 전개된 후, 즉 치료적 치료가 투여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치료는 증상의 부재에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는 (예를 들어, 증상의 이력에 비추어 및/또는 유전적 또는 기타 민감성 인자에 비추어) 증상의 발현 이전에, 즉 예방적 치료로 민감성인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치료는 또한, 예를 들어, 증상의 재발을 예방하거나 지연시키기 위해 증상이 해결된 후에도 계속될 수 있다.
용어 "유효량" 또는 "치료적 유효량"은 대상체의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할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의 양, 예를 들어 화합물 1의 0.001 - 100mg/체중 kg/일 사이의 투여량을 포함한다.
예시 형태
제1 양태에서, 하기 구조 식을 갖는 화합물의 결정질 형태 1이 본 명세서에 제공된다:
Figure pct00002
제2 양태에서, 결정질 형태 1은 10.0°, 13.3°, 14.9°, 20.2°, 20.8°, 22.2° 및 22.5°로부터 선택된 2Θ 각도에서 적어도 3개의 X-선 분말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한다. 대안적으로, 제2 양태의 일부로서, 결정질 형태 1은 10.0°, 13.3°, 14.9°, 20.2°, 20.8°, 22.2° 및 22.5°로부터 선택된 2Θ 각도에서 적어도 4개의 X-선 분말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한다. 다른 대안에서, 제2 양태의 일부로서, 결정질 형태 1은 10.0°, 13.3°, 14.9°, 20.2°, 20.8°, 22.2° 및 22.5°로부터 선택된 2Θ 각도에서 적어도 5개의 X-선 분말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대안에서, 제2 양태의 일부로서, 결정질 형태 1은 10.0°, 13.3°, 14.9°, 20.2°, 20.8°, 22.2° 및 22.5°로부터 선택된 2Θ 각도에서 적어도 6개의 X-선 분말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대안에서, 제2 양태의 일부로서, 결정질 형태 1은 10.0°, 13.3°, 14.9°, 20.2°, 20.8°, 22.2° 및 22.5°로부터 선택된 2Θ 각도에서 X-선 분말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대안에서, 제2 양태의 일부로서, 결정질 형태 1은 10.0°, 10.2°, 12.3°, 12.7°, 13.3°, 14.9°, 15.3°, 20.2°, 20.8°, 21.3°, 22.2°, 22.5°, 및 23.8°로부터 선택된 2Θ 각도에서 X-선 분말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대안에서, 제2 양태의 일부로서, 결정질 형태 1은 10.0°, 10.2°, 11.0°, 11.4°, 11.8°, 12.3°, 12.7°, 13.3°, 14.9°, 15.3°, 16.1°, 17.4°, 20.2°, 20.8°, 21.3°, 22.2°, 22.5°, 및 23.8°로부터 선택된 2Θ 각도에서 X-선 분말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대안에서, 제2 양태의 일부로서, 결정질 형태 1은 14.9°, 20.2°, 및 20.8°로부터 선택된 2Θ 각도에서 x-선 분말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대안에서, 제2 양태의 일부로서, 결정질 형태 1은 10.0°, 14.9°, 20.2°, 및 20.8°로부터 선택된 2Θ 각도에서 x-선 분말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대안에서, 제2 양태의 일부로서, 결정질 형태 1은 10.0°, 14.9°, 20.2°, 20.8° 및 22.2°로부터 선택된 2Θ 각도에서 x-선 분말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대안에서, 제2 양태의 일부로서, 결정질 형태 1은 10.0°, 13.3°, 14.9°, 20.2°, 20.8°, 및 22.2°로부터 선택된 2Θ 각도에서 x-선 분말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대안에서, 제2 양태의 일부로서, 결정질 형태 1도 1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XRPD (x-선 분말 회절)를 특징으로 한다.
제3 양태에서, 결정질 형태 1은 179.5℃(개시 온도)에서 급격한 흡열을 갖는 시차 주사 열량계 (DSC) 또는 36 내지 179℃에서 1.0% 중량 손실의 열중량 분석 (TGA), 또는 둘 모두를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결정질 형태 1은 또한 제2 양태에 기재된 임의의 것들로부터 선택된 2Θ 각도에서 XRPD 피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결정질 형태 1도 2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시차 주사 열량계 (DSC)를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결정질 형태 1은 또한 제2 양태에 기재된 임의의 것들로부터 선택된 2Θ 각도에서 XRPD 피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양태에서, 결정질 형태 1은 무수이며, 여기서 결정질 형태 1은 또한 제2 양태에 기재된 임의의 것들로부터 선택된 2Θ 각도에서 XRPD 피크, 및/또는 제3 양태에 인용된 TGA 또는 DSC 값 또는 수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양태에서, (예를 들어, 제1, 제2, 제3 또는 제4 양태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결정질 형태 1은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60% 단일 결정질 형태, 적어도 70% 단일 결정질 형태, 적어도 80% 단일 결정질 형태, 적어도 90% 단일 결정질 형태, 적어도 95% 단일 결정질 형태, 또는 적어도 99% 단일 결정질 형태이다.
제6 양태에서, (예를 들어, 제1, 제2, 제3, 제4 또는 제5 양태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결정질 형태 1은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60%, 적어도 70%, 적어도 80%, 적어도 90%, 적어도 95%, 또는 적어도 99%의 화학적 순도를 갖는다.
제7 양태에서, 하기 구조 식을 갖는 화합물의 결정질 형태 2가 제공된다:
Figure pct00003
제8 양태에서, 결정질 형태 2도 3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XRPD (x-선 분말 회절)를 특징으로 한다.
제9 양태에서, 결정질 형태 2는 46 내지 114℃에서 3.48% 중량 손실 뿐만 아니라 114 내지 156℃에서 0.97% 중량 손실의 열중량 분석 (TGA), 또는 34.2℃ 및 122.6℃(개시 온도)에서 2개 흡열을 갖는 시차 주사 열량계 (DSC), 또는 둘 모두를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결정질 형태 2는 또한 도 3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2Θ 각도에서 XRPD 피크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9 양태의 일부로서, 결정질 형태 2도 4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열중량 분석 (TGA) 또는 시차 주사 열량계 (DSC)를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결정질 형태 2는 또한 도 3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2Θ 각도에서 XRPD 피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0 양태에서, (예를 들어, 제7 제8, 또는 제9 양태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결정질 형태 2는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60% 단일 결정질 형태, 적어도 70% 단일 결정질 형태, 적어도 80% 단일 결정질 형태, 적어도 90% 단일 결정질 형태, 적어도 95% 단일 결정질 형태, 또는 적어도 99% 단일 결정질 형태이다.
제11 양태에서, (예를 들어, 제7, 제8, 제9 또는 제10 양태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결정질 형태 2는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60%, 적어도 70%, 적어도 80%, 적어도 90%, 적어도 95%, 또는 적어도 99%의 화학적 순도를 갖는다.
제12 양태에서, 하기 구조 식을 갖는 화합물의 결정질 형태 3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04
제13 양태에서, 결정질 형태 3도 5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XRPD (x-선 분말 회절)를 특징으로 한다.
제14 양태에서, 결정질 형태 3은 43 내지 143℃에서 5.93% 중량 손실의 열중량 분석 (TGA), 또는 34.5℃ 및 107.0℃ (개시 온도)에서 2개 흡열 및 249.0℃ (개시 온도)에서 하나의 발열을 갖는 시차 주사 열량계 (DSC), 또는 둘 모두를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결정질 형태 3은 또한 도 5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2Θ 각도에서 XRPD 피크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4 양태의 일부로서, 결정질 형태 3도 6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열중량 분석 (TGA) 또는 시차 주사 열량계 (DSC)를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결정질 형태 3은 또한 도 5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2Θ 각도에서 XRPD 피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5 양태에서, (예를 들어, 제12 제13, 또는 제14 양태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결정질 형태 3은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60% 단일 결정질 형태, 적어도 70% 단일 결정질 형태, 적어도 80% 단일 결정질 형태, 적어도 90% 단일 결정질 형태, 적어도 95% 단일 결정질 형태, 또는 적어도 99% 단일 결정질 형태이다.
제16 양태에서, (예를 들어, 제12, 제13, 제14, 또는 제15 양태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결정질 형태 3은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60%, 적어도 70%, 적어도 80%, 적어도 90%, 적어도 95%, 또는 적어도 99%의 화학적 순도를 갖는다.
제17 양태에서, (예를 들어, 제1, 제2, 제3, 제4, 또는 제5 양태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결정질 형태 1, (예를 들어, 제7, 제8, 제9, 제10, 또는 제11 양태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결정질 형태 2, 또는 (예를 들어, 제12, 제13, 제14, 제15 또는 제16 양태에서와 같이) 결정질 형태 3은 다음 구조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pct00005
. 대안적으로, 제17 양태의 일부로서, (예를 들어, 제1, 제2, 제3, 제4, 또는 제5 양태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결정질 형태 1, (예를 들어, 제7, 제8, 제9, 제10, 또는 제11 양태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결정질 형태 2, 또는 (예를 들어, 제12, 제13, 제14, 제15 또는 제16 양태에서와 같이) 결정질 형태 3은 다음 구조 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pct00006
.
대안적으로, 제17 양태의 일부로서, (예를 들어, 제1, 제2, 제3, 제4, 또는 제5 양태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결정질 형태 1, (예를 들어, 제7, 제8, 제9, 제10, 또는 제11 양태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결정질 형태 2, 또는 (예를 들어, 제12, 제13, 제14, 제15 또는 제16 양태에서와 같이) 결정질 형태 3은 화학명 (2R)-7-클로로-2-(트랜스-4-(3-메톡시아제티딘-1-일)사이클로헥실)-2,4-디메틸-N-((6-메틸-4-(메틸티오)-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벤조[d][1,3]디옥솔-5-카르복사미드를 갖는 다음 구조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pct00007
.
용도, 제형 및 투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결정질 형태 및 그의 조성물은 EZH2의 억제에 반응성인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이러한 질환 및 장애에는 세포 증식과 연관된 것들이 포함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결정질 형태 및 그의 조성물은 세포 주기 또는 DNA 복구의 오조절과 연관된 질환 및/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데 유용하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결정질 형태 및 그의 조성물은 암 치료에 유용하다. 예시적인 유형의 암은 예를 들어, 부신암, 샘꽈리 세포 암종, 청신경종, 말단부 흑자성 흑색종, 아크로스피로종, 급성 호산구성 백혈병, 급성 적혈구 백혈병,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급성 거핵모구성 백혈병, 급성 단핵구 백혈병, 급성 전골수구성 백혈병, 선암종, 선양낭성암종, 선종, 선종성 치원종양, 선편평상피 암종, 지방조직 신생물, 부신피질 암종, 성인 T-세포 백혈병/림프종, 공격성 NK 세포 백혈병, AIDS-관련 림프종, 폐포 횡문근 육종, 폐포 연부 육종, 변색모세포 섬유종, 역형성 대세포 림프종, 역형성 갑상선암, 혈관면역모세포 T-세포 림프종, 혈관근육지방종, 혈관육종, 성상세포종, 비정형 기형형 횡문근 종양, B-세포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B-세포 전림프구성 백혈병, B-세포 림프종, 기저 세포 암종, 담도암, 방광암, 모세포종, 골암, 브레너 종양, 브라운 종양, 버킷림프종, 유방암, 뇌암, 암종, 상피내 암종, 암육종, 연골종양, 시멘트종, 골수육종, 연골종, 척색종, 융모막암종, 맥락총 유두종, 신장의 투명세포육종, 두개인두종, 피부 T세포 림프종, 자궁경부암, 결장직장암, 데고스병, 이형성 작은 원형 세포 종양,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 배아형성이상 신경상피 종양, 이상배아종, 배아 암종, 내분비선 종양, 내배엽 부비동 종양, 장병증-관련 T-세포 림프종, 식도암, 기태류, 섬유종, 섬유육종, 여포성 림프종, 여포성 갑상선암, 신경절신경종, 위장관암, 생식세포 종양, 임신성 융모막암종, 거대세포 섬유아세포종, 골의 거대세포 종양, 신경교 종양, 다형성 교모세포종, 신경교종, 뇌신경교종증, 글루카곤종, 생식선모세포종, 육아종세포종양, 여성형모세포종, 담낭암, 위암, 모발세포 백혈병, 혈관모세포종, 두경부암, 혈관주위세포종, 혈액종양암, 간모세포종, 간비장 T-세포 림프종, 호지킨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 침윤성 소엽 암종, 장암, 신장암, 후두암, 악성 흑색점, 치명적인 정중선 암종, 백혈병, 라이딕 세포 종양, 지방육종, 폐암, 림프관종, 림프관육종, 림프상피종, 림프종,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급성 골수성 백혈병,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간암, 소세포 폐암, 비-소세포 폐암, MALT 림프종, 악성 섬유조직구종, 악성 말초신경초종양, 악성 트리톤종양, 외투세포 림프종, 변연부 B-세포 림프종, 비만 세포 백혈병, 종격동 생식 세포 종양, 유방의 수질암, 갑상선 수질암, 수모세포종, 흑색종, 수막종, 메르켈 세포암, 중피종, 전이성 요로상피종, 혼합 뮬러 종양, 점액성 종양, 다발성 골수종, 근육 조직 신생물, 균상 식육종, 점액성 지방육종, 점액선종, 비인두 암종, 신경종, 신경모세포종, 신경섬유종, 신경종, 결절성 흑색종, 안암, 희소성상세포종, 희소돌기아교종, 종양세포종, 시신경초 수막종, 시신경 종양, 구강암, 골육종, 난소암, 판코스트 종양, 송과체 갑상선암, 부신경절종, 송과체모세포종, 송과체종, 뇌하수체세포종, 뇌하수체 선종, 뇌하수체 종양, 형질세포종, 다배아종, 전구체 T-림프모구 림프종, 원발성 중추신경계 림프종, 원발성 삼출성 림프종, 원발성 복막암, 전립선암, 췌장암, 인두암, 복막가성점액종, 신세포 암종, 신장 수질 암종, 망막모세포종, 횡문근육종, 리히터 형질전환, 직장암, 육종, 신경초종증, 정액종, 세르톨리 세포 종양, 성대 생식선 기질 종양, 인장 고리 세포 암종, 피부암, 작은 청색 원형 세포 종양, 소세포 암종, 연조직 육종, 체세포종, 검댕 사마귀, 척추종양, 비장 변연부 림프종, 편평 세포 암종, 활막 육종, 세자리 병, 소장암, 편평 암종, 위암, T-세포 림프종, 고환암, 테코마, 갑상선암, 이행세포 암종, 인후암, 요도암, 비뇨생식기암, 요로상피 암종, 포도막 흑색종, 자궁암, 사마귀모양 암종, 시각경로 신경교종, 외음부암, 질암,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와틴 종양 및 윌름스 종양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결정질 형태 및 그의 조성물에 의해 치료되는 암은 유방암, 전립선암, 결장암, 신세포 암종, 다형성 교모세포종 암, 방광암, 흑색종, 기관지암, 림프종, 간암, 다발성 골수종, 림프종, 난소암, NSCL, 췌장암, 악성 횡문근 종양, 활막 육종 및 신경교종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태는 본 명세서의 장애 또는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결정질 형태의 용도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명세서의 장애 또는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결정질 형태 또는 조성물이다.
하나 이상의 개시된 결정질 형태;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이 또한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흡입 스프레이, 국소, 직장, 비강, 협측, 질로 또는 이식된 저장소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비경구"는 피하, 정맥내, 근육내, 관절-내, 활막-내, 흉골내, 척추강내, 간내, 병변내 및 두개내 주사 또는 주입 기술을 포함한다.
단일 투여 형태인 조성물을 생성하기 위해 담체 물질과 조합될 수 있는 제공된 결정질 형태의 양은 치료될 환자 및 특정 투여 방식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제공된 조성물은 억제제의 0.001 - 100mg/체중 kg/일 사이의 투여량이 이들 조성물을 투여받는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특정 환자에 대한 특정 투여량 및 치료 요법은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성별, 식이, 투여 시간, 배설 속도, 약물 조합, 치료 의사의 판단 및 치료 중인 특정 질환의 중증도를 포함한 다양한 인자에 의존할 것이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조성물에 제공된 결정질 형태의 양은 또한 조성물 내의 특정 화합물에 의존할 것이다.
예증
하기 실시예에 묘사된 바와 같이, 결정질 형태는 다음 일반 절차에 따라 제조되었다.
무정형 화합물 1의 제조
화합물 1의 무정형 형태는 다음 하기 절차를 사용하여 단일 거울상이성질체, 단일 기하 이성질체로 제조되었다. 이 절차로부터의 무정형 생성물의 XRPD 패턴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중간체 1: 메틸 7-클로로-2,4-디메틸-2-(4-옥소사이클로헥실)벤조[d][1,3]디옥솔-5-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08
단계 1: 메틸 5-클로로-3,4-디하이드록시-2-메틸벤조에이트의 합성
-20℃에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199mL) 내 메틸 3,4-디하이드록시-2-메틸벤조에이트(5.11g, 27.9mmol)의 용액에 설퍼릴 클로라이드(2.45mL, 30.6mmol)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포화 수성 용액의 염화암모늄(50mL)으로 켄칭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5mL×3)로 추출하였다. 조합한 유기 층을 염수(25mL)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건조까지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헵탄 내 0%에서 60% 에틸 아세테이트 구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4.117g, 68% 수율)을 베이지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m/z: 계산치 217.0; 실측치 217.1 (Cl 동위원소 패턴).
단계 2: 메틸 7-클로로-2,4-디메틸-2-(4-옥소사이클로헥실)-2H-1,3-벤조디옥솔-5-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메틸 5-클로로-3,4-디하이드록시-2-메틸벤조에이트(1.2g, 5.53mmol), 트리루테늄 도데카카르보닐(176mg, 276μmol), 및 트리페닐포스핀(145mg, 553μmol)의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탈기시키고 질소로 퍼징하였다(3주기). 톨루엔(8.1m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0분 동안 환류 가열하였다. 톨루엔(17mL) 내 4-에티닐사이클로헥산-1-온(1.34g, 11.0mmol)의 용액을 그 다음 적가하고 반응물을 환류에서 2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마지막으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감압 하에 건조까지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헵탄 내 0 내지 60% 에틸 아세테이트 구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327g, 70% 수율)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Na]+ m/z: 계산치 361.1; 실측치 361.1 (Cl 동위원소 패턴).
단계 3: 메틸 (R)-7-클로로-2,4-디메틸-2-(4-옥소사이클로헥실)벤조[d][1,3]디옥솔-5-카르복실레이트 및 메틸 (S)-7-클로로-2,4-디메틸-2-(4-옥소사이클로헥실)벤조[d][1,3]디옥솔-5-카르복실레이트의 분리
메틸-7-클로로-2,4-디메틸-2-(4-옥소사이클로헥실)벤조[d][1,3]디옥솔-5-카르복실레이트(4.4g, 13mmol)의 라세미 혼합물을 분취 SFC에 의해 분석했다 [칼럼: Daicel 화학 산업의 ChiralPak AY (250mm×50mm ID, 10μm). 이동상 A: CO2/이동상 B: 메탄올 내 0.1% NH4OH. 등용매 (85% 이동상 A 및 15% 이동상 B). 유속: 80mL/분. 컬럼 온도: 40℃]. 중간체 1 (피크 1)(원하지 않는 거울상이성질체/디스토머): 체류 시간 = 6.2분. 회수 = 1.4g, 4.05mmol, 31% 수율, 90% ee, 98% 순도 (황색 고체). 1H NMR(400MHz, 클로로포름-d) δ 7.48 (s, 1H), 3.78 (s, 3H), 2.44 - 2.36 (m, 2H), 2.35 - 2.25 (m, 6H), 2.19 (tdd, J = 2.8, 5.6, 13.1 Hz, 2H), 1.70 - 1.57 (m, 5H). 중간체 1 (피크 2)(원하는 거울상이성질체/유이토머): 체류 시간 = 7.0분. 회수 = 1.1g, 3.08mmol, 23.75% 수율, 99% ee, 95% 순도 (황색 고체). 1H NMR(400MHz, 클로로포름-d) δ 7.49 (s, 1H), 3.78 (s, 3H), 2.44 - 2.36 (m, 2H), 2.36 - 2.25 (m, 6H), 2.20 (tdd, J = 2.8, 5.6, 13.1 Hz, 2H), 1.72 - 1.59 (m, 5H). SFC 분석 방법: [칼럼: ChiralPak AY-3(150×4.6mm I.D., 3μm). 이동상 A: CO2/이동상 B: iPrOH 내 0.05% Et2NH. 구배: (5.5분에 걸친) 이동상 B의 5 내지 40%. 유속: 2.5mL/분. 컬럼 온도: 40℃]. 중간체 1 (피크 1 - 원하지 않는 거울상이성질체/디스토머): 체류 시간 = 2.853분. 중간체 1 (피크 2 - 원하는 거울상이성질체/유이토머): 체류 시간 = 2.979분.
중간체 2: 7-클로로-2-(4-(3-메톡시아제티딘-1-일)사이클로헥실)-2,4-디메틸벤조[d][1,3]디옥솔-5-카르복실산
Figure pct00009
단계 1: 메틸 7-클로로-2-(4-(3-메톡시아제티딘-1-일)사이클로헥실)-2,4-디메틸벤조[d][1,3]디옥솔-5-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메탄올(30mL) 내 3-메톡시아제티딘 염산염(8g, 64.75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2mL, 68.9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테트라하이드로푸란(30mL) 내 메틸 7-클로로-2,4-디메틸-2-(4-옥소사이클로헥실)-1,3-벤조디옥솔-5-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1 - 피크 2)(4.1g, 12.10mmol)의 다른 용액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70℃로 냉각시켰다. 수소화붕소리튬(500mg, 22.96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70℃에서 30분 동안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 5:1인, TLC에 의해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가 관찰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반응의 2개 배치를 조합하고 0℃에서 포화 수성 용액의 염화암모늄(120mL)으로 켄칭하고 원하는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200mL×3)으로 추출했다. 조합한 유기 층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건조까지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디클로로메탄 내 0 내지 14% 메탄올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8.05g, 67% 수율, 83% 순도)을 밝은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샘플(50 mg)을 분취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 15:1)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였다. LCMS [M+H]+ m/z: 계산치 410.2; 실측치 410.1. 1H NMR (400 MHz, 메탄올-d 4 ) δ 7.39 (s, 1H), 3.95 - 3.91 (m, 1H), 3.73 (s, 3H), 3.59 - 3.51 (m, 2H), 3.16 (s, 3H), 2.97 (br dd, J = 6.4, 8.0 Hz, 2H), 2.26 (s, 3H), 2.11 - 2.02 (m, 1H), 1.91 - 1.73 (m, 5H), 1.54 (s, 3H), 1.22 - 1.12 (m, 2H), 0.98 - 0.86 (m, 2H).
단계 2: 7-클로로-2-(4-(3-메톡시아제티딘-1-일)사이클로헥실)-2,4-디메틸벤조[d][1,3]디옥솔-5-카르복실산의 합성
메탄올(48mL) 내 메틸 7-클로로-2-(4-(3-메톡시아제티딘-1-일)사이클로헥실)-2,4-디메틸벤조[d][1,3]디옥솔-5-카르복실레이트(4g, 9.75mmol)의 용액에 물(12mL) 내 수산화리튬 수화물(4.03g, 96.06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7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2개의 배치를 조합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물(50mL)을 첨가하고 0℃에서 포화 수성 시트르산 용액으로 pH를 6으로 조정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과 이소프로판올의 3:1 혼합물(300mL×5)로 추출했다. 조합한 유기 층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건조까지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6.1g, 조물질)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LCMS [M+H]+ m/z: 계산치 396.2; 실측치 396.1. 1H NMR (400 MHz, 메탄올-d 4) δ 7.07 (s, 1H), 4.05 - 4.10 (m, 2H), 3.76 - 3.88 (m, 1H), 3.67 (br dd, J = 10, 3.6 Hz, 2H), 3.22 (s, 3H), 2.71 - 2.81 (m, 1H), 2.19 (s, 3H), 1.91 - 1.99 (m, 4H), 1.75 - 1.85 (m, 1H), 1.52 (s, 3H), 1.18 - 1.28 (m, 2H), 1.06 - 1.14 (m, 2H).
무정형 화합물 1
Figure pct00010
N,N-디메틸포름아미드(50mL) 내 7-클로로-2-(4-(3-메톡시아제티딘-1-일)사이클로헥실)-2,4-디메틸벤조[d][1,3]디옥솔-5-카르복실산 (중간체 2 - 단일 거울상이성질체 및 기하 이성질체)(5g, 12.63mmol)의 용액에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5.7g, 14.99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1mL, 63.15mmol)을 첨가하였다. 3-(아미노메틸)-6-메틸-4-(메틸티오)피리딘-2(1H)-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중간체 1)(4.2g, 19.03mmol)을 첨가하기 전에 혼합물을 2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추가로 1.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여과하였다. 여액을 분취 HPLC에 의하여 정제하여 [컬럼: Phenomenex Gemini C18(250mm×50mm, 10μm). 이동상 A: 물(0.04% 수산화암모니아 v/v 및 10mM 중탄산암모늄)/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구배(75에서 44% 이동상 A/25에서 56% 이동상 B, 23분 이상). 컬럼 온도: 30℃] 표제 화합물(4.4g, 60% 수율, 96% 순도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m/z: 계산치 562.2; 실측치 562.2. 1H NMR (400 MHz, 메탄올-d 4) δ 6.91 (s, 1H), 6.29 (s, 1H), 4.50 (s, 2H), 4.01 (quin, J = 6 Hz, 1H), 3.58 (dd, J = 8.8, 6.4 Hz, 2H), 3.26 (s, 3H), 2.92 - 3.02 (m, 2H), 2.54 (s, 3H), 2.31 (s, 3H), 2.21 (s, 3H), 2.01 - 2.11 (m, 1H), 1.79 - 2.00 (m, 5H), 1.62 (s, 3H), 1.19 - 1.34 (m, 2H), 0.91 - 1.08 (m, 2H). 이 절차로부터의 무정형 생성물의 XRPD 패턴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약어 목록
Figure pct00011
1. 기기 및 방법론 세부사항
X-선 분말 회절 (XRPD):
XRPD 회절도는 하기에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Bruker AXS C2 GADDS, Bruker AXS D8 Advance 또는 PANalytical Empyrean에서 수집되었다.
Bruker AXS C2 GADDS
Bruker AXS C2 GADDS 회절계를 사용한 XRPD는 Cu Kα 방사선 (40kV, 40mA), 자동화된 XYZ 스테이지, 자동-샘플 위치화를 위한 레이저 비디오 현미경 및 V
Figure pct00012
ntec-500 2-차원 영역 검출기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X-선 광학장치는 0.3mm의 핀홀 시준기와 결합된 단일 괴벨 다층 거울로 구성된다. 빔 분기, 즉 샘플 상에 X-선 빔의 유효 크기는 대략 4mm였다. θ-θ 연속 스캔 모드는 1.5°- 32.5°의 효과적인 2θ 범위를 제공하는 20cm의 샘플 - 검출기 거리와 함께 이용되었다. 전형적으로, 샘플은 120초 동안 X-선 빔에 노출되었다. 데이터 수집 및 분석에 사용된 소프트웨어는 각각 Win7/XP용 GADDS 및 Diffrac Plus EVA였다. 주변 조건에서 실행된 샘플은 분쇄 없이 받은 그대로의 분말을 사용하여 평판 시편으로 준비되었다. 유리 슬라이드 또는 유리 프릿 상에 샘플을 준비하고 분석했다. 샘플을 유리 슬라이드 상에서 가볍게 눌러 분석을 위한 평평한 표면을 얻었다. 유리 프릿 필터 블록은 가벼운 진공 하에서 여과 전에 유리 프릿에 직접적으로 소량의 현탁액을 첨가함에 의해 현탁액에서 고형물을 분리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하였다. 가변 온도 (VT) 실험을 위해 샘플을 주변 조건 하에서 Anton Paar DHS 900 핫 스테이지 상에 장착하였다. 그런 다음 샘플을 10℃/분의 적절한 온도로 가열하고 이어서 데이터 수집이 시작되기 전에 1분 동안 등온으로 유지했다. 열-전도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핫 스테이지에 장착된 실리콘 웨이퍼 상에 샘플을 준비하고 분석했다.
Bruker AXS D8 Advance
Bruker D8 회절계를 사용한 XRPD는 Cu Kα 방사선 (40kV, 40mA) 및 Ge 단색광분광기가 장착된 θ-2θ 측각계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입사 빔은 2.0mm 분기 슬릿을 통과하고 이어서 0.2mm 항-산란 슬릿 및 나이프 에지를 통과한다. 회절된 빔은 2.5° Soller 슬릿을 갖는 8.0mm 수신 슬릿을 통과하고 이어서 Lynxeye 검출기를 통과한다. 데이터 수집 및 분석에 사용된 소프트웨어는 각각 Diffrac Plus XRD Commander 및 Diffrac Plus EVA였다. 샘플은 수령한 대로의 분말을 사용하여 평판 표본으로 주위 조건 하에서 실행되었다. 샘플은 평평한 표면을 부드럽게 눌러 연마된 제로-배경(510) 실리콘 웨이퍼 상에 준비되거나 절단된 공동 안에 포장되었다. 샘플은 그 자체 평면에서 회전되었다.
PANalytical Empyrean
PANalytical Empyrean 회절계를 사용한 XRPD는 투과 기하학에서 Cu Kα 방사선 (45kV, 40mA)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0.5° 슬릿, 4mm 마스크 및 포커싱 미러가 있는 0.04rad 솔러 슬릿이 입사 빔에 사용되었다. 회절 빔 상에 배치된 PIXcel3D 검출기에는 수신 슬릿과 0.04rad 솔러 슬릿이 장착되어 있다. 데이터 수집에 사용된 소프트웨어는 X'Pert 오퍼레이터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X'Pert 데이터 콜렉터였다. Diffrac Plus EVA 또는 HighScore Plus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제시했다. 샘플은 전송 모드에서 금속 또는 밀리포어 96 웰-플레이트에서 준비되고 분석되었다. 금속 웰-플레이트 상의 금속 시트 사이에 X-선 투명 필름을 사용하고 분말 (대략 1-2mg)을 수령한 대로 사용했다. 밀리포어 플레이트는 가벼운 진공 하에서 여과 전에 플레이트에 직접적으로 소량의 현탁액을 첨가함에 의해 현탁액으로부터 고형물을 분리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되었다.
시차 주사 열량계 (DSC):
DSC 데이터는 50개 위치 자동-샘플러가 장착된 TA Instruments Q2000에서 수집되었다. 전형적으로, 핀-홀 알루미늄 팬에 0.5-3mg의 각 샘플을 25℃에서 최대 300℃까지 10℃/분으로 가열했다. 50ml/분에서 건조 질소의 퍼지를 샘플에 대해 유지했다. 변조된 온도 DSC는 2℃/분의 기본 가열 속도와 60초 (주기)마다 ±0.318℃ (진폭)의 온도 변조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기기 제어 소프트웨어는 Advantage for Q Series 및 Thermal Advantage였고 데이터는 Universal Analysis 또는 TRIOS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DSC 데이터는 또한 50개 위치 자동-샘플러가 장착된 TA Instruments Discovery DSC에서 수집되었다. 전형적으로, 핀-홀 알루미늄 팬에 0.5-3mg의 각 샘플을 25℃에서 최대 300℃까지 10℃/분으로 가열했다. 50ml/분에서 건조 질소의 퍼지를 샘플에 대해 유지했다. 기기 제어 소프트웨어는 TRIOS이고 데이터는 TRIOS 또는 Universal Analysis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열중량 분석(TGA)
TGA 데이터는 16개 위치 자동-샘플러가 장착된 TA Instruments Q500 TGA에서 수집되었다. 전형적으로, 5-10mg의 각 샘플을 미리 무게를 잰 알루미늄 DSC 팬 상으로 장입하고 주위 온도에서 300℃까지 10℃/분으로 가열했다. 60ml/분에서 질소 퍼지를 샘플에 대해 유지했다. 기기 제어 소프트웨어는 Advantage for Q Series 및 Thermal Advantage였고 데이터는 Universal Analysis 또는 TRIOS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TGA 데이터는 또한 25개 위치 자동-샘플러가 장착된 TA Instruments Discovery TGA에서 수집되었다. 전형적으로, 5-10mg의 각 샘플을 미리 무게를 잰 알루미늄 DSC 팬 상으로 장입하고 주위 온도에서 300℃까지 10℃/분으로 가열했다. 25ml/분에서 질소 퍼지를 샘플에 대해 유지했다. 기기 제어 소프트웨어는 TRIOS이고 데이터는 TRIOS 또는 Universal Analysis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2. 일반적인 결정화 방법
결정화를 위한 스크리닝 방법은 아래에 기술된 방법에 요약되어 있다.
성숙/슬러리 숙성
성숙 챔버에서: 성숙을 위한 현탁액을 플랫폼 진탕기 인큐베이터 (Heidolph Titramax/Incubator 1000, 도 2)에 넣고 주위온도로부터 대략 50℃까지 일련의 가열-냉각 주기를 거쳤다. 이는 4시간마다 가열을 켜거나 끔으로써 달성되었다. 진탕은 내내 유지되었다.
폴러 베어(Polar Bear)에서: 현탁액을 50℃에서 다양한 시간 길이 동안 폴러 베어 (Cambridge Reactor Design)에서 교반 (500rpm)하였다. 샘플을 그 다음 0.1℃/분에서 25℃로 냉각시키고 추가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시간 후 샘플을 0.1℃/분에서 50℃로 다시 가열하였다. 그런 다음 사이클이 반복되었다.
냉각 결정화
용액을 폴러 베어에서 0.1℃/분에서 5℃로 냉각시키고 다양한 시간 길이 동안 이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모든 고체를 여과하고 10분 동안 흡인 하에서 건조시키고 초기에 XRPD에 의해 분석했다. 용액을 16시간 동안 -20℃로 추가로 냉각한 다음 임의의 새로운 고형물을 이전과 같이 처리했다. 임의의 남아 있는 용액을 증발시켰다 (아래 방법 3 참고).
제어된 증발
바이알에 넣은 용액은 바이알의 뚜껑을 제거하거나 바이알의 격막 캡에 바늘을 삽입함에 의해 주위 조건에서 증발시켰다. 샘플이 건조될 때까지 또는 고형물이 주위 조건에서 나타날 때까지 천천히 증발되도록 하였다.
항-용매 첨가에 의한 침전/결정화
용액을 흐려질 때까지 50℃에서 항-용매로 적가 처리하였다. 그런 다음 샘플을 0.1℃/분에서 5℃로 냉각하고 등온으로 유지했다. 필요한 경우 현탁액에 추가의 항-용매를 첨가했다. 고형물을 여과하고 흡인 하에서 10분 동안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초기에 XRPD로 분석하였다.
3. 스크리닝 방법
95.2% 순도를 갖는 것 (30mg) 및 97.6% 순도를 갖는 다른 것 (20mg)의, 상이한 순도를 갖는 화합물 1 샘플의 무정형 형태를 각각 10-30vol의 주어진 용매에 실온에서 현탁시키거나 용해시켰다. 실온에서 5분 평형화 후, 모든 샘플 (용액 및 현탁액)을 10분 동안 50℃로 가열하고 생성된 샘플을 다음과 같이 처리했다: 현탁액을 60 내지 5℃ 사이에서 72시간 (각 온도에서 4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용액을 0.1℃/분에서 50에서 5℃로 냉각하고 5℃에서 72시간 동안 유지했다. 고형물을 얻지 못한 경우, 용액을 실온에서 증발되도록 하였다. 모든 회수된 고형물은 XRPD에 의해 분석되었고 후속적으로 적절한 기술에 의해 분석되었다. 스크리닝 절차 및 분석 결과에 대해서는 표 1-3을 참조한다.
XRPD 분석에 기반하여, 95.2% 순도를 갖는 화합물 1의 무정형 형태를 사용한 다형체 스크리닝은 3개의 결정질 형태를 산출하였고, 여기서 형태 1, 형태 2 및 형태 3으로 표시하였다(표 1 및 2). 형태 1은 다중 용매 시스템에서 얻은 가장 풍부한 형태였다. 형태 3은 용매 2-부탄올에서 한 번만 관찰되었다. 97.6% 순도를 갖는 화합물 1의 무정형 형태를 사용한 다형체 스크리닝은 형태 1 및 형태 2를 산출했지만 형태 3은 산출하지 않았다(표 3). 형태 1은 형태 2보다 더 풍부했다. 형태 1-3의 특성은 아래에 제시되어 있다.
[표 1]. 95.2% 순도를 갖는 화합물 1의 무정형 형태를 사용한 다형체 스크리닝 (30mg)
Figure pct00013
키: √= 깨끗한 용액; √x = 탁함; x = 현탁액; N/P = 수행되지 않음
[표 2]. 95.2% 순도를 갖는 화합물 1의 무정형 형태를 사용한 다형체 스크리닝 (30mg)
Figure pct00014
키: √= 깨끗한 용액; √x = 탁함; x = 현탁액; N/P = 수행되지 않음
[표 3]. 97.6% 순도를 갖는 화합물 1의 무정형 형태를 사용한 다형체 스크리닝 (20mg)
Figure pct00015
키: √= 깨끗한 용액; √x = 탁함; x = 현탁액; N/P = 수행되지 않음
4. 새로운 결정질 형태의 선택
형태 3에 대한 XRPD가 불량한 결정질 상을 나타내므로 형태 1 2를 추가 분석을 위해 선택하였다. 형태 1의 경우, 아세톤에서 얻은 샘플이 가장 높은 순도 (97.4%)를 가졌고 미량의 용매만을 함유했다. 따라서 형태 1에 대한 규모-확대 실험을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형태 2의 경우 MEK에서 얻은 샘플은 더 높은 순도 (97.2%)를 가졌고 소량의 잔류 MEK만을 함유했다. 따라서 형태 1에 대한 규모-확대 실험을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결정질 형태 1 및 형태 2의 규모-확대
아세톤 내 형태 1 및 MEK 내 형태 2에 대한 규모-확대 실험을 각각 하기 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 U.S. 62/659,408에서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화합물 1의 무정형 형태 (1g)를 20ml 섬광 바이알 2개 안에 칭량하고, 20부피 (20ml)의 아세톤 또는 20부피 (20ml)의 MEK에 교반하면서 50℃에서 용해시켰다. 그 다음 용액을 0.1℃/분에서 5℃로 냉각시키고 이 온도에서 20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두 샘플 모두 흰색 현탁액을 형성했으며 이를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뷔히너 깔때기에서 건조했다. 매우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두 패턴 모두의 특성을 규명하기 전에 고형물을 1시간 동안 공기 건조되도록 두었다 (표 45 도 1-4에 요약됨). 회수된 고형물로부터 수율을 또한 계산하였다.
형태 1 규모-확대의 경우, 고형물 샘플은 XRPD에 의해 결정질 형태 1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4도 1). 순도는 HPLC에 의해 96.6%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샘플은 샘플에 잔류하는 소량의 잔류 아세톤 (0.04당량)으로 1H NMR에 의해 화합물 1 참조 물질의 무정형 형태와 일치했다. 열 분석은 KF 데이터와 일치하는 1.0% w/w (0.32당량의 물에 상당함)의 작은 중량 손실을 보여주었다. DSC 분석은 179.5℃ (발현)에서 급격한 흡열을 보여주었다 (도 2). GVS 분석은 물질이 0과 90% RH 사이에서 1.7% w/w 물의 흡수로, 약간 흡습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샘플은 GVS 분석 후 형태 1을 유지하거나 상승된 RH 조건에서 5일 동안 저장되었다. PLM 및 SEM에 의한 형태 1의 형태학은 작은 결정질 입자의 덩어리였다. 이들 덩어리는 크기와 형상이 다양할 수 있고 (20 내지 650μm 사이), 결정질 입자는 작고 불규칙하다 (최대 20μm). 전반적으로, 형태 1은 무수물인 것으로 결정되었다. 형태 1 특성 요약에 대해서는 또한 표 5를 참고한다.
형태 2 규모-확대의 경우, 고형물 샘플은 XRPD에 의해 결정질 형태 2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3). 그러나, 추가 특성화는 형태 2가 형태 1보다 덜 안정적인 결정질 형태였다는 것을 시사했다. 예를 들어, 그 원래의 결정질 형태를 유지하는 형태 1과 달리, XRPD 분석은 형태 2가 GVS 분석 후 무정형이 되거나 상승된 RH 조건에서 5일 동안 보관되었음을 보여주었다. 급격한 흡열을 나타내는 형태 1과 달리 (도 2), 형태 2는 DSC 분석에서 2개의 흡열 사건을 나타냈다 (도 4). 형태 2는 또한 TGA 분석에서 형태 1보다 더 높은 전반적인 중량 감소를 나타냈다. 형태 1은 다형체 스크리닝 동안 및 경쟁적인 슬러리 실험 둘 모두에서 형태 2보다 더 자주 관찰되었으며, 이는 형태 1이 형태 2보다 더 안정적임을 추가로 뒷받침한다.
[표 7] 결정질 형태 1의 XRPD
Figure pct00016
[표 8] 결정질 형태 1의 특성화
Figure pct00017
이것의 다수의 실시형태를 기술하였지만,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및 방법을 이용하는 다른 실시형태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의 기본 실시예가 변경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범주는 예로서 제시된 특정 실시형태에 의해서라기보다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어야 함을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 전체에 걸쳐 인용된 모든 참고문헌 (문헌 참고, 발행된 특허, 공개된 특허 출원 및 동시-계류중인 특허 출원을 포함함)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의해 참고로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포함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진 의미와 일치한다.

Claims (24)

  1. 하기 구조 식을 갖는 화합물의 결정질 형태 1:
    Figure pct00018
  2. 제1항에 있어서, 결정질 형태는 10.0°, 13.3°, 14.9°, 20.2°, 20.8°, 22.2° 및 22.5°로부터 선택된 2Θ 각도에서 적어도 3개의 x-선 분말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형태 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결정질 형태는 10.0°, 13.3°, 14.9°, 20.2°, 20.8°, 22.2° 및 22.5°로부터 선택된 2Θ 각도에서 적어도 4개의 x-선 분말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형태 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정질 형태는 10.0°, 13.3°, 14.9°, 20.2°, 20.8°, 22.2° 및 22.5°로부터 선택된 2Θ 각도에서 적어도 5개의 x-선 분말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형태 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정질 형태는 10.0°, 13.3°, 14.9°, 20.2°, 20.8°, 22.2° 및 22.5°로부터 선택된 2Θ 각도에서 적어도 6개의 x-선 분말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형태 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정질 형태는 10.0°, 13.3°, 14.9°, 20.2°, 20.8°, 22.2° 및 22.5°로부터 선택된 2Θ 각도에서 x-선 분말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형태 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정질 형태는 10.0°, 10.2°, 12.3°, 12.7°, 13.3°, 14.9°, 15.3°, 20.2°, 20.8°, 21.3°, 22.2°, 22.5°, 및 23.8°로부터 선택된 2Θ 각도에서 x-선 분말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형태 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정질 형태는 10.0°, 10.2°, 11.0°, 11.4°, 11.8°, 12.3°, 12.7°, 13.3°, 14.9°, 15.3°, 16.1°, 17.4°, 20.2°, 20.8°, 21.3°, 22.2°, 22.5°, 및 23.8°로부터 선택된 2Θ 각도에서 x-선 분말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형태 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정질 형태는 도 1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XRPD를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형태 1.
  10. 제1항에 있어서, 결정질 형태는 14.9°, 20.2°, 및 20.8°로부터 선택된 2Θ 각도에서 x-선 분말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형태 1.
  11.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결정질 형태는 10.0°, 14.9°, 20.2°, 및 20.8°로부터 선택된 2Θ 각도에서 x-선 분말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형태 1.
  12. 제1항, 제10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정질 형태는 10.0°, 14.9°, 20.2°, 20.8° 및 22.2°로부터 선택된 2Θ 각도에서 x-선 분말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형태 1.
  13. 제1항 또는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정질 형태는 10.0°, 13.3°, 14.9°, 20.2°, 20.8°, 및 22.2°로부터 선택된 2Θ 각도에서 x-선 분말 회절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형태 1.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정질 형태는 무수물인, 결정질 형태 1.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정질 형태 1은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90% 단일 결정질 형태인, 결정질 형태 1.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정질 형태 1은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95% 단일 결정질 형태인, 결정질 형태 1.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적어도 90 중량%의 화학적 순도를 갖는, 결정질 형태 1.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적어도 95 중량%의 화학적 순도를 갖는, 결정질 형태 1.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적어도 99 중량%의 화학적 순도를 갖는, 결정질 형태 1.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하기 구조 식을 갖는, 결정질 형태 1:
    Figure pct00019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결정질 형태,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22. 세포 증식과 연관된 질환 또는 장애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서 세포 증식과 연관된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결정질 형태 또는 제21항의 조성물을 상기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질환은 암인,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암은 유방암, 전립선암, 결장암, 신세포 암종, 다형성 교모세포종 암, 방광암, 흑색종, 기관지암, 림프종, 간암, 다발성 골수종, 림프종, 난소암, NSCL, 췌장암, 악성 횡문근 종양, 활막 육종, 신경교종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KR1020227005690A 2019-07-24 2020-07-23 7-클로로-2-(4-(3-메톡시아제티딘-1-일)사이클로헥실)-2,4-디메틸-n-((6-메틸-4-(메틸티오)-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벤조[d][1,3]디옥솔-5-카르복사미드의 결정질 형태 KR202200411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78012P 2019-07-24 2019-07-24
US62/878,012 2019-07-24
PCT/US2020/043178 WO2021016414A1 (en) 2019-07-24 2020-07-23 Crystalline forms of 7-chloro-2-(4-(3-methoxyazetidin-1-yl)cyclohexyl)-2,4-dimethyl-n-((6-methyl-4-(methylthio)-2-oxo-1,2-dihydropyridin-3-yl)methyl)benzo[d][1,3]dioxole-5-carboxami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129A true KR20220041129A (ko) 2022-03-31

Family

ID=72047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5690A KR20220041129A (ko) 2019-07-24 2020-07-23 7-클로로-2-(4-(3-메톡시아제티딘-1-일)사이클로헥실)-2,4-디메틸-n-((6-메틸-4-(메틸티오)-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벤조[d][1,3]디옥솔-5-카르복사미드의 결정질 형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220251073A1 (ko)
EP (1) EP4003532A1 (ko)
JP (1) JP2022541630A (ko)
KR (1) KR20220041129A (ko)
CN (1) CN114450279A (ko)
AU (1) AU2020316073A1 (ko)
BR (1) BR112022001161A2 (ko)
CA (1) CA3148447A1 (ko)
CL (1) CL2022000175A1 (ko)
CO (1) CO2022001482A2 (ko)
IL (1) IL289972A (ko)
MX (1) MX2022000931A (ko)
PE (1) PE20220562A1 (ko)
WO (1) WO20210164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100977A1 (en) 2018-05-21 2019-11-28 Constellation Pharmaceuticals, Inc. Modulators of methyl modifying enzymes,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KR20230110210A (ko) * 2022-01-14 2023-07-21 동화약품주식회사 1,3-벤조다이옥솔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WO2023244917A1 (en) 2022-06-13 2023-12-21 Treeline Biosciences, Inc. 1,8-naphthyridin-2-one heterobifunctional bcl6 degraders
WO2023244918A1 (en) 2022-06-13 2023-12-21 Treeline Biosciences, Inc. Quinolone bcl6 bifunctional degraders
WO2024015566A1 (en) 2022-07-15 2024-01-18 Constellation Pharmaceuticals, Inc. Ezh2 inhibition therapies for the treatment of at-rich interactive domain-containing protein 1a (arid1a) mutated cancers
CN115403040B (zh) * 2022-08-11 2023-08-01 中国地质大学(北京) 一种可通过光辐射调控导热系数的偶氮苯聚合物表面修饰的金刚石纳米粒子及其制备方法
WO2024038115A1 (en) 2022-08-17 2024-02-22 Morphosys Ag Therapy comprising anti-cd19 antibody and ezh2 modulators
WO2024076663A1 (en) 2022-10-06 2024-04-11 Constellation Pharmaceuticals, Inc. Ezh2 inhibition therapies for the treatment of brca1-associated protein (bap1) mutated cancer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128556A1 (en) * 2012-01-25 2013-08-01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Formulations of 3-(6-(1-(2,2-difluorobenzo[d][1,3]dioxol-5-yl) cyclopropanecarboxamido)-3-methylpyridin-2-yl)benzoic acid
MA38341B1 (fr) * 2013-02-11 2018-11-30 Constellation Pharmaceuticals Inc Modulateurs d'enzymes de modification par méthylation, compositions et utilisations associées
DK3121175T3 (da) * 2014-03-17 2020-03-09 Daiichi Sankyo Co Ltd 1,3-benzodioxolderivater som ezh1- og/eller ezh2-hæmmere
US10577350B2 (en) * 2015-08-28 2020-03-03 Constellation Pharmaceuticals, Inc. Crystalline forms of (R)-N-((4-methoxy-6-methyl-2-oxo-1,2-dihydropyridin-3-yl)methyl)-2-methyl-1-(1-(1-(2,2,2-trifluoroethyl)piperidin-4-yl)ethyl)-1H-indole-3-carboxamide
KR20190105602A (ko) * 2017-01-19 2019-09-17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Htlv-1 관련 척수증을 치료하는 것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UA127357C2 (uk) * 2018-04-18 2023-07-26 Констеллатіон Фармацеутікалс, Інк. Модулятори метилмодифікуючих ферментів, композиції та їх використанн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2001161A2 (pt) 2022-06-07
MX2022000931A (es) 2022-05-03
EP4003532A1 (en) 2022-06-01
JP2022541630A (ja) 2022-09-26
CO2022001482A2 (es) 2022-03-18
IL289972A (en) 2022-03-01
AU2020316073A1 (en) 2022-02-17
US20220251073A1 (en) 2022-08-11
PE20220562A1 (es) 2022-04-13
WO2021016414A1 (en) 2021-01-28
CA3148447A1 (en) 2021-01-28
CL2022000175A1 (es) 2022-09-20
CN114450279A (zh) 2022-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41129A (ko) 7-클로로-2-(4-(3-메톡시아제티딘-1-일)사이클로헥실)-2,4-디메틸-n-((6-메틸-4-(메틸티오)-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벤조[d][1,3]디옥솔-5-카르복사미드의 결정질 형태
JP5714024B2 (ja) 3−(2,6−ジクロロ−3,5−ジメトキシ−フェニル)−1−{6−[4−(4−エチル−ピペラジン−1−イル)−フェニルアミノ]−ピリミジン−4−イル}−1−メチル−尿素の結晶形態およびその塩
US20220162196A1 (en) Solid forms of a parp7 inhibitor
AU2023254980A1 (en) RIP1 inhibitory compound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12839715A (zh) 抑制shp2活性化合物的制造方法
US10017513B2 (en) Crystalline forms of sodium 4-{[9-chloro-7-(2-fluoro-6-methoxyphenyl)-5H-pyrimido [5,4-D][2]benzazepin-2-YL]amino}-2-methoxybenzoate
AU2019218187B2 (en) Dioxinoquinoline compounds, preparation method and uses thereof
JP6846574B2 (ja) スルホンアミド化合物およびその使用
UA119738C2 (uk) Нові фосфатні сполуки, спосіб їх одержання та фармацевтичні композиції, що їх містять
WO2015095605A1 (en) Polymorphic forms of a hydrochloride salt of (s) -2-(9h-purin-6-ylamino) propyl) -5-fluoro-3-phenylquinazolin-4 (3h) -one
WO2016207172A1 (en) Preparation of pure amorphous ibrutinib
AU2019383103A1 (en) Aromatic ring-linked dioxane-quinazoline or -quinoline compounds,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CA3058496A1 (en) Crystal of benzofuran derivative free base and preparation method
US10577350B2 (en) Crystalline forms of (R)-N-((4-methoxy-6-methyl-2-oxo-1,2-dihydropyridin-3-yl)methyl)-2-methyl-1-(1-(1-(2,2,2-trifluoroethyl)piperidin-4-yl)ethyl)-1H-indole-3-carboxamide
WO2019145410A1 (en) Combination treatment of acute myeloid leukemia
WO2016011195A1 (en) Th-302 solid form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CA3090876A1 (en) Dioxinoquinoline compounds, preparation method and uses thereof
EA043785B1 (ru) Кристаллические формы 7-хлор-2-(4-(3-метоксиазетидин-1-ил)циклогексил)-2,4-диметил-n-((6-метил-4-(метилтио)-2-оксо-1,2-дигидропиридин-3-ил)метил)бензо[d][1,3]диоксол-5-карбоксамида
CA3090829A1 (en) Urea-substituted aromatic ring-linked dioxinoquinoline compounds, preparation method and uses thereof
KR20240041719A (ko) 신규한 티오펜 화합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