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540A -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 - Google Patents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540A
KR20220039540A KR1020210056462A KR20210056462A KR20220039540A KR 20220039540 A KR20220039540 A KR 20220039540A KR 1020210056462 A KR1020210056462 A KR 1020210056462A KR 20210056462 A KR20210056462 A KR 20210056462A KR 20220039540 A KR20220039540 A KR 20220039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ater
weight
resin
inorganic hyb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8396B1 (ko
Inventor
정기교
박재석
김형수
강봉성
김상기
Original Assignee
애경특수도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특수도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애경특수도료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39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3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G77/4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vinyl polym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reactions, in the absence of non-macromolecular monomers
    • C08F29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reactions, in the absence of non-macromolecular monomers from unsaturated polycondensates
    • C08F299/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reactions, in the absence of non-macromolecular monomers from unsaturated polycondensates from 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10Block- or graft-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10Block or graft 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란 화합물을 포함하는 무기수지와 아크릴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수지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경화가능하도록 한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는 친환경적이며, 경도, 내오염성, 내후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한 도막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 {WATER-SOLUBLE ORGANIC-INORGANIC HYBRID RESIN}
본 발명은,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에 관한 것으로, 실란 화합물을 포함하는 무기수지와 아크릴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수지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경화가능하도록 한 수용성 하이브리드 수지에 관한 것이다.
실리카졸과 같은 무기바인더를 응용한 무기질 도료는 내열성, 고경도 등 일반 도료에서 얻을 수 없는 매우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그 도막이 너무 깨지기 쉬워 기계적 물성이 취약하다. 따라서 2 coat 도장으로 도막이 깨지는 현상을 개선하거나, 유기물을 혼합하여 사용하지만 여전히 상용성 및 저장안정성이 매우 낮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233997 호는 TEOS(Tetraethylorthosilicate), 아연 아세테이트, 에탄올, 물, 염산을 혼합한 졸에 글리시돌과 황산을 첨가하여 제 1 무기질 코팅액을 제조하고, 여기에 상온경화형 합성수지, 수용성 폴리머, 에폭시계 실란 커플링제, 실리콘 카바이드, 이소결성 알루미나 분말, 아연 분말, 이산화규소, 안료, 분산제 및 펄을 혼합한 금속 표면 처리용 세라믹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으나, 많은 소재의 사용에 따른 원가 상승 및 제조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유무기 복합수지 재료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 10-0791049 호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졸에 관한 것으로서, 내후성, 내구성, 내마모성 등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기물을 소수화하고 여기에 고분자 수지를 분산시킨 후 경화하여 제조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졸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유무기 복합수지는 상온에서 건조과 어렵고, 경화 및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기 위해서 100 ℃ 이상의 고온이 필요하여 실사용이 어려우며,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유해한 휘발성 물질을 발생시키는 등 여러가지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온에서 경화가 가능하고, 유기용제를 최대한 배제하여 친환경적이며, 우수한 물성을 발현시킬 수 있는 새로운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233997 호 (2013.02.12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 10-0791049 호 (2007.12.26 등록)
본 발명의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무기물 100 중량부, 및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유기물 1 내지 2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를 포함하는 도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이러한 목적 및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는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무기물 100 중량부, 및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유기물 1 내지 200 중량부, 5 내지 100 중량부, 또는 1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는 상온에서 경화하는 2 액형 수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리콘 수지와 아크릴 수지는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수지는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및 글리시딜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실란 화합물로부터 유래한 반복단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물은,
실란 화합물 100 몰부,
물 100 내지 1000, 200 내지 900, 또는 400 내지 800 몰부, 및
산 0.01 내지 10 몰부, 0.1 내지 5 몰부, 또는 0.2 내지 2 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란 화합물은, 메틸트리메톡시실란(MTMS), 글리시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GPTMS), 테트라에톡시실란(TEOS), 비닐트리메톡시실란(VTMS), 메타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ACRMS),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산은 아세트산, 질산, 염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수지는 졸겔(Sol-gel) 반응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 수지는 아민 작용기를 갖는 아크릴 화합물로부터 유래한 반복단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물은,
아크릴 화합물 100 중량부,
유기용제 22 내지 80 중량부, 34 내지 60 중량부, 또는 38 내지 50 중량부,
열중합개시제 0.5 내지 20 중량부, 1 내지 18 중량부, 또는 1.6 내지 14 중량부,
물 32 내지 100 중량부, 40 내지 80 중량부, 또는 48 내지 60 중량부, 및
산 0.1 내지 20 중량부, 1 내지 18 중량부, 또는 8 내지 14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크릴 화합물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DMAEMA),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DEAEMA), 부틸아크릴레이트(BAM),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크릴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민기를 갖는 아크릴 화합물 1 내지 60 중량부, 5 내지 55 중량부, 또는 1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기용제는 에틸글리콜모노에틸에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산은 초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 수지는 이온화하여 수분산시킨 수용성 아크릴 수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크릴 수지는 3 차 아민기를 가지고, 산에 의해 암모늄염을 형성시켜 수분산시킨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 수지는 1 차 아민 및 2 차 아민 중 적어도 하나와 3 차 아민 작용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1 차 아민 및 2 차 아민 기능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실리콘 수지의 글리시딜기와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차 아민 기능기를 통해 상기 실리콘 수지의 축합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는 폴리실세스퀴옥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은 POSS(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은 상기 아크릴 수지와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은 상기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부, 1 내지 10 중량부, 또는 2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도료는 상기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는 상온에서 경화가 가능한 2 액형 수지로서, 상온에서 경화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고온에서 경화한 도막의 물성과 유사한 물성을 나타내는 도료를 제공할 수 있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를 적용한 도료는 수용성 수지를 적용하여 휘발성 유기물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고 환경친화적이면서도 우수한 물성을 발휘할 수 있어 외관 및 표면이 우수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아래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여 상세히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예시된 특정 실시예들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설명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함유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구성요소(또는 구성성분) 등이 존재함을 지칭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요소 등이 존재하지 않거나 부가될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아크릴 화합물'은 아크릴 화합물 및 메타크릴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아크릴기'는 아크릴기 및 메타크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성 수지를 수성 수지로 개선한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에 관한 것으로서,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무기물 100 중량부, 및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유기물 1 내지 200 중량부, 5 내지 100 중량부, 또는 1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는 무기수지인 실리콘 수지와 유기수지인 아크릴 수지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무기수지와 유기수지는 화학적 결합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특히 상기 범위의 무기물 및 유기물을 포함함으로써 상온에서 경화 가능하면서도 경도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표면을 갖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는 상온에서 경화하는 2 액형 수지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무기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경화 이후 경화물의 경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으며,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유기물과의 상용성 저하로 인해 경화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유기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경화 도중 크랙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경화 후 도막의 경도가 약해지고 저장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의 일 구성요소인 실리콘 수지는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및 글리시딜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실란 화합물 1 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종을 반복단위로 하는 폴리실록산계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알콕시기 또는 히드록시기는 실란 화합물 축합반응에 관여하고, 상기 글리시딜기는 본 발명의 유기수지와의 결합반응에 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란 화합물은 알콕시기 및 글리시딜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무기물을 구성하는 실리콘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실리콘 수지일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 알콕시, 히드록시, 글리시딜옥시, 글리시딜옥시알킬, 비닐기, 알릴기, 메타크릴옥시, 메타크릴옥시알킬, 아크릴옥시, 아크릴옥시알킬일 수 있다. 또한 2 종 이상의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은 실란 화합물로부터 유래한 반복단위로서, 실란 화합물은 알콕시실란, 알킬알콕시실란, 아크릴옥시알킬알콕시실란, 또는 글리시딜옥시알킬알콕시실란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메틸트리메톡시실란(MTMS),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디메틸디메톡시실란, 디에틸디에톡시실란, 디메틸디에톡시실란, 글리시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GPTMS), 글리시딜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글리시딜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TEOS), 비닐트리메톡시실란(VTMS), 메타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ACRMS), 페닐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를 구성하는 무기물은 실란 화합물 100 몰부, 물 100 내지 1000, 200 내지 900, 또는 400 내지 800 몰부, 및 산 0.01 내지 10 몰부, 0.1 내지 5 몰부, 또는 0.2 내지 2 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을 혼합하여 무기수지인 실리콘 수지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경화속도가 느려지고, 반면에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저장성이 매우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수지에 포함되는 산은 아세트산, 질산, 염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데, 산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저장성이 불안해지며, 반면에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반응 시 분자량이 적어져 견고한 도막 형성이 어렵다. 상기 무기수지는 졸겔(Sol-gel) 반응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를 구성하는 무기물은 이소프로필알코올과 같은 유기용제 대신 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경우 실란의 가수분해 진행을 억제하고, 휘발성 물질을 다량 발생시켜 환경 및 인체에 유해하고 작업성이 좋지 않았다. 반면에, 본 발명은 유기용제 대신 물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가수분해가 계속해서 진행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가수분해 상태가 증가할수록 분자량이 증가하므로 최종 물성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유기물 혼합 시 급격한 발열 반응을 제어할 수 있어 가사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를 구성하는 유기물은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크릴 수지의 기본 단위가 되는 아크릴 화합물은 아크릴산, 아크릴레이트화합물, 메타크릴산, 메타크릴레이트화합물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이들로 구성된 아크릴 수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 화합물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DMAEMA),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DEAEMA), 노말이소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NIPAM), 아크릴로몰레핀(ACMO), N,N-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DMAA), N,N-디에틸아크릴아마이드(DEAA), 아크릴아마이드(AAM), N-부톡시메틸아크릴아마이드(N-BMAA), I-부톡시메틸아크릴아마이드(I-BMAA), N-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마이드(N-HEAA), N-메틸올메타크릴아마이드(N-MMAA), 부틸아크릴레이트(BAM),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n-아밀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아크릴레이트, n-헥실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메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n-아밀메타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타크릴레이트, n-헥실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를 구성하는 유기물은, 아크릴 화합물 100 중량부; 유기용제 22 내지 80 중량부, 34 내지 60 중량부, 또는 38 내지 50 중량부; 열중합개시제 0.5 내지 20 중량부, 1 내지 18 중량부, 또는 1.6 내지 14 중량부; 물 32 내지 100 중량부, 40 내지 80 중량부, 또는 48 내지 60 중량부; 및 산 0.1 내지 20 중량부, 1 내지 18 중량부, 또는 8 내지 14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을 혼합하여 유기수지인 아크릴 수지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유기용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유기수지의 분자량이 제한적으로 상승되며, 반면에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VOC 규제 회피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유기물은 유성 수지를 수성으로 전환한 것으로서, 물을 기본 용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터(BC)와 같은 유기용제는 최소한의 함량만 함유될 수 있으며, 물의 함량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기용제의 함량은 상기 물 중량 대비 90 % 이하, 85 % 이하, 또는 80 %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유기물은 산을 포함하며 이는 유기물의 수용성을 제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산은 1 가 산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초산, 질산, 염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초산일 수 있다. 상기 산은 삼차 아민을 이온화하여 수분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경화 반응 속도가 느려지고, 반면에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액상이 불투명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열중합개시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개시제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기과산화물, 구체적으로 벤조일 퍼옥시드, 디부틸 퍼옥시드,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AIBN(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물을 구성하는 아크릴 수지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일 수 있다.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 있어서, 상기 n은 0 내지 6, 1 내지 4, 또는 1 내지 2이고, 상기 R1은 1 내지 3 차 아민기 또는 수소이다. 상기 화학식 2는 아크릴 화합물로부터 유래한 반복단위로, 특히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는 아민기가 도입된 아크릴 화합물을 필수적으로 반복 단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아크릴 화합물 중 아민기를 갖는 아크릴 화합물의 중량비가 1 내지 60 중량%, 5 내지 55 중량%, 또는 10 내지 50 중량%인 것이 외관, 내스크래치성, 경도, 내약품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아민기가 도입된 아크릴 화합물을 필수적으로 반복 단위로 포함함에 따라, 본 발명의 유기수지인 아크릴 수지는 아민기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1 차 아민기 및 2 차 아민기 중 적어도 하나와 3 차 아민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 차 아민기는 이온화하여 수분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본 발명의 유기물의 일 구성요소인 산을 통해 암모늄 등 양이온 형성 후 수분산을 통해 수용성 아크릴 수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 차 아민기는 실란 화합물의 축합반응을 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1 차 아민기 또는 2 차 아민기는 본 발명의 무기물을 구성하는 실리콘 수지와 결합을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실리콘 수지 내 글리시딜기와 공유결합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종래 무기수지와 유기수지를 단순 혼합한 복합 수지와는 차별되는 것으로서, 무기물과 유기물 사이의 반응을 유도하고 화학적 결합을 형성하여 결합강도를 증가시킨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는 상온 경화가 가능하고 기존의 유무기 복합수지의 낮은 도막 물성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는 (RSiO1.5)r로 표시되는 폴리실세스퀴옥산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은 케이지 구조의 화합물인 POSS(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일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있어 상기 r은 8 내지 16, 특히 8, 10, 12, 또는 16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이다. 유기물의 탄소-탄소 결합은 빛이나 열에 의해 분해될 수 있어, 본 발명의 유기수지인 아크릴 화합물에 상기 POSS를 결합시켜 빛이나 열로부터 유기물 표면을 보호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유기물의 물성을 보완할 수 있으며 특히 내후성 및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다.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은 상기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부, 1 내지 10 중량부, 또는 2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실세스퀴옥산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전술한 내후성 및 내구성의 향상이 불충분하고,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비용 상승에도 불구하고 물성 향상 효과가 미미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도료는 상기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도, 내오염성, 내후성, 내약품성 등 물성이 우수하고 금속과의 부착성이 우수한 도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제조예 1 내지 6: 무기수지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배합비로 제조예 1 내지 6에 따른 무기수지를 제조하였다. 먼저 상온에서 실란을 먼저 투입한 후, 물 5 mol과 산을 혼합하여 1 시간 동안 적하하고, 60 ℃도에서 48 시간 반응시킨 다음, 물 5 mol로 희석하여 무기수지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03
MTMS: 메틸트리메톡시실란
GPTMS: 글리시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TEOS: 테트라에톡시실란
VTMS: 비닐트리메톡시실란
ACRMS: 메타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IPA: 이소프로필알코올
제조예 7 내지 16: 유기수지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와 같이 제조예 7 내지 16에 따른 유기수지를 제조하였다. 먼저 90 ℃의 에틸글리콜모노에틸에터(BC)에 하기 표 2의 아크릴 화합물과 열중합개시제를 3 시간 동안 적하하고 3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그 후 초산과 물을 투입하고 희석하여 유기수지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04
BC: 에틸글리콜모노에틸에터
MM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BAM: 부틸아크릴레이트
DMAEMA: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DEAEMA: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AAM: 아크릴아마이드
N-BMAA: N-부톡시메틸아크릴아마이드
NIPAM: 노말이소프로필이크릴아마이드
N-HEAA: N-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마이드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3: 복합수지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 내지 6에 의해 제조된 무기수지 및 제조예 7 내지 16에 의해 제조된 유기수지를 하기 표 3과 같이 배합하여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복합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5
시험예: 도료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3에 의해 제조된 수지 조성물을 상온에서 모두 혼합한 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하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도막의 물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4와 같다.
Gel time: 두 가지 물성을 혼합한 후 상온에 방치하여 GEL이 되는 시간을 측정
부착성: ISO 2409, ASTM D3359 기준
경도: 1 kg 하중에 연필경도 측정
내약품성: 10 % NaOH 수용액을 표면에 떨어뜨리고 48 시간 뒤 도막상태 확인
Crack: 경화된 도막을 60 ℃ 1 주일 방치 후 크랙 발생 여부 판단
Figure pat00006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의 경우 수성 수지임에도 불구하고 Gel time, 부착성, 경도, 내약품성, Crack이 모두 우수한 도막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에 포함된 아민기와 실리콘 수지에 포함된 글리시딜기의 상호 결합 및 아민기에 의한 축합반응에 대한 촉매작용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한 물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상온에서 경화가 가능하고 환경친화적인 도막을 제공할 수 있어 관련 산업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국한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무기물 100 중량부, 및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유기물 1 내지 2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수지는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및 글리시딜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실란 화합물로부터 유래한 반복단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은,
    실란 화합물 100 몰부,
    물 100 내지 1000 몰부, 200 내지 900 몰부, 또는 400 내지 800 몰부, 및
    산 0.01 내지 10 몰부, 0.1 내지 5 몰부, 또는 0.2 내지 2 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수지는 졸겔(Sol-gel) 반응을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는 아민 작용기를 갖는 아크릴 화합물로부터 유래한 반복단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은,
    아크릴 화합물 100 중량부,
    유기용제 22 내지 80 중량부, 34 내지 60 중량부, 또는 38 내지 50 중량부,
    열중합개시제 0.5 내지 20 중량부, 1 내지 18 중량부, 또는 1.6 내지 14 중량부,
    물 32 내지 100 중량부, 40 내지 80 중량부, 또는 48 내지 60 중량부, 및
    산 0.1 내지 20 중량부, 1 내지 18 중량부, 또는 8 내지 1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는 이온화하여 수분산시킨 수용성 아크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는 1 차 아민기 및 2 차 아민기 중 적어도 하나와 3 차 아민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
  9. 청구항 1에 있어서,
    폴리실세스퀴옥산(polysilsesquioxane)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청구항의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를 포함하는 도료.
KR1020210056462A 2020-09-21 2021-04-30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 KR1026483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665 2020-09-21
KR20200121665 2020-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540A true KR20220039540A (ko) 2022-03-29
KR102648396B1 KR102648396B1 (ko) 2024-03-15

Family

ID=80996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462A KR102648396B1 (ko) 2020-09-21 2021-04-30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3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321B1 (ko) * 2022-11-01 2023-04-17 주식회사디자인랜드 조경 시설물의 금속 또는 철재 각관 코팅용 유무기하이브리드 친환경 수성 도료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859B1 (ko) * 1995-11-28 1999-11-01 가와무라 시게구니 수성도료용 경화성수지조성물
KR100791049B1 (ko) 2006-07-28 2008-01-03 한국전기연구원 고분자수지와 소수화된 무기물로 형성된 유무기 하이브리드졸 용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재료
KR100995552B1 (ko) * 2009-01-22 2010-11-19 주식회사 케이씨씨 실리콘 방오도료 시스템용 하도로서 적합한 실세스퀴옥산-함유 방식성 코팅 조성물
KR101233997B1 (ko) 2012-09-18 2013-02-22 주식회사 미로 내식성 및 내염해성이 강화된 금속 표면 처리용 세라믹 도료 조성물
KR20200029236A (ko) * 2018-09-10 2020-03-18 에이케이켐텍 주식회사 불연도료용 수지 혼합물, 이를 포함한 불연도료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859B1 (ko) * 1995-11-28 1999-11-01 가와무라 시게구니 수성도료용 경화성수지조성물
KR100791049B1 (ko) 2006-07-28 2008-01-03 한국전기연구원 고분자수지와 소수화된 무기물로 형성된 유무기 하이브리드졸 용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재료
KR100995552B1 (ko) * 2009-01-22 2010-11-19 주식회사 케이씨씨 실리콘 방오도료 시스템용 하도로서 적합한 실세스퀴옥산-함유 방식성 코팅 조성물
KR101233997B1 (ko) 2012-09-18 2013-02-22 주식회사 미로 내식성 및 내염해성이 강화된 금속 표면 처리용 세라믹 도료 조성물
KR20200029236A (ko) * 2018-09-10 2020-03-18 에이케이켐텍 주식회사 불연도료용 수지 혼합물, 이를 포함한 불연도료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321B1 (ko) * 2022-11-01 2023-04-17 주식회사디자인랜드 조경 시설물의 금속 또는 철재 각관 코팅용 유무기하이브리드 친환경 수성 도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8396B1 (ko) 2024-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57320B (en) Ambient temperature curing coating composition
JP4775543B2 (ja) オルガノシリコーンレジンエマルジョン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組成物の被膜が形成された物品
JP3414251B2 (ja) シリコーン樹脂含有エマルジョン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組成物の硬化被膜を有する物品
JP4034579B2 (ja) 高耐久複層塗膜及びその形成方法並びに外装用建材
JP2003277683A (ja) 水不含の調製物、その使用、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被覆及び被覆された物品及び対象物
JP2010510338A (ja) 超疎水性被覆
JPH11209695A (ja) 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および硬化体
WO2006003829A1 (ja) 水性塗料組成物
JP7474204B2 (ja) 塗料組成物、家具及び建築内装用塗料組成物、並びに積層体
JP3423830B2 (ja) 水性塗料用樹脂組成物および耐汚染性に優れた塗膜の形成方法
KR102648396B1 (ko) 수용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
TW202239881A (zh) 外牆及建築外裝用塗料組成物以及積層體
JP2001302920A (ja) 水系分散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塗装体
JP6666827B2 (ja) シリコーン樹脂含有エマルジョン組成物及び硬化被膜形成基材
KR102247406B1 (ko) 불연도료용 수지 혼합물, 이를 포함한 불연도료 및 그 제조방법
JPH11130962A (ja) シリコーン樹脂含有エマルジョン組成物並びに該組成物の硬化被膜を有する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3853553B2 (ja) 水性塗料組成物
JPH09221608A (ja) 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
JP2002003785A (ja) コーティング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04636B2 (ja) 塗料用樹脂組成物及び塗料
JPH11279364A (ja) 耐汚染性に優れる硬化性水性エマルション
JP3336922B2 (ja) シリコーン樹脂含有エマルジョン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組成物の硬化被膜を有する物品
JP3853554B2 (ja) 水性塗料組成物
JP2000044836A (ja) 水性低汚染塗料組成物
KR102246756B1 (ko) 비닐계 실리콘 화합물의 광경화성 코팅재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