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8641A -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8641A
KR20220038641A KR1020220032844A KR20220032844A KR20220038641A KR 20220038641 A KR20220038641 A KR 20220038641A KR 1020220032844 A KR1020220032844 A KR 1020220032844A KR 20220032844 A KR20220032844 A KR 20220032844A KR 20220038641 A KR20220038641 A KR 20220038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string
string
bound
coupl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3904B1 (ko
Inventor
강석휘
Original Assignee
강석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휘 filed Critical 강석휘
Priority to KR1020220032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904B1/ko
Publication of KR20220038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4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with means for guiding the binding material around the articles prior to severing from supply
    • B65B13/08Single guide or carrier for the free end of material movable part-away around articles from one side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결속물에 결속끈이 감긴상태에서 결속끈을 마감처리 하기 위한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피결속물에 결속끈을 감는 과정, 피결속물에 결속끈이 감기도록 결속끈의 단부를 접합하는 과정, 접합된 결속끈을 절단하는 모든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메인그립퍼부, 보조그립퍼부, 마감처리부 및 아암부 등이 복수개의 부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장시간 사용시 마모되는 소모품만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DEVICE FOR JOINING AND CUTTING STRAP}
본 발명은 피결속물에 결속끈이 감긴상태에서 결속끈을 마감처리 하기 위한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박스는 운반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정개수를 상호 중첩되도록 적층한 뒤 밴딩기를 통해 밴딩하여 출하하게 된다.
한편, 종래에는 포장용 박스를 작업자가 적층한 뒤, 적층된 포장용 박스를 결속끈으로 감싸고, 결속끈의 단부를 결박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작업을 통해 수행하였기 때문에, 다수의 인력을 투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생산성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최근에는 앞서 설명한 인련의 과정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밴딩장치가 다수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밴딩장치는 밴딩와이어를 포장용 박스에 전체적으로 감싸기 위해, 다수의 포장용 박스를 지지플레이트로부터 이송시킨 뒤, 포장용 박스에 감긴 결속끈의 단부를 접합시키고, 포장용 박스에 감긴 결속끈이 분리되도록 결속끈을 절단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종래의 밴딩장치는 포장용 박스를 이송시키는 과정, 포장용 박스에 감긴 결속끈의 단부를 접합시키는 과정, 결속끈을 절단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여전히 포장용 박스에 결속끈을 밴딩하는 일련의 과정들이 반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생산성 및 작업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85031(등록일: 2018. 07. 27)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결속물에 결속끈을 감는 과정, 피결속물에 결속끈이 감기도록 결속끈의 단부를 접합하는 과정, 접합된 결속끈을 절단하는 모든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결속끈이 관통하며 피결속물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송플레이트가 구비된 베이스부;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하측에 구비되는 가압플레이트부; 및 상기 가압플레이트부의 하측에 구비되되, 상기 피결속물이 이동하여 상기 결속끈을 가압시, 장력이 형성되어 상기 결속끈이 상기 피결속물에 감기도록, 상기 가압플레이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결속끈의 단부를 지지하는 메인그립퍼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플레이트부와 상기 메인그립퍼부는 상기 결속끈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서로 마주하는 면이 상기 결속끈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맞물림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피결속물에 결속끈을 감는 과정, 피결속물에 결속끈이 감기도록 결속끈의 단부를 접합하는 과정, 접합된 결속끈을 절단하는 모든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메인그립퍼부, 보조그립퍼부, 마감처리부 및 아암부 등이 복수개의 부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장시간 사용시 마모되는 소모품만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의 아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아암부의 분해하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아암부가 회동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에 의해 피결속물에 결속끈이 감기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에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의 아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아암부의 분해하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아암부가 회동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에 의해 피결속물에 결속끈이 감기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10)는, 베이스부(101), 가압플레이트부(103), 메인그립퍼부(105), 서브그립퍼부(201), 보조그립퍼부(203), 마감처리부(205), 히팅부(207), 밴딩유닛(107), 아암부(109),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각 구성은 베이스부(101)를 기준으로 한 길이방향(x), 폭방향(y) 및 높이방향(y)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먼저, 베이스부(101)는 컨베이어(미도시)에 의해 이송되는 피결속물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앞서 서술한 가압플레이트부(103), 메인그립퍼부(105), 서브그립퍼부(201), 보조그립퍼부(203), 마감처리부(205), 히팅부(207), 아암부(109)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베이스부(101)는 하부베이스(111), 수직플레이트(113), 이송플레이트(209), 회동축(115), 가이드(301) 및 지지블럭(217)을 포함한다.
하부베이스(111)는 이송플레이트(209)의 하측에서 수직플레이트(113), 이송플레이트(209), 회동축(115), 가이드(301) 및 지지블럭(217)을 지지한다.
이러한 하부베이스(111)는 길이방향(x)을 따라 수직플레이트(113)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303) 및 지지블럭(217)이 끼워져 결합되는 함몰홈(311)이 형성된다.
수직플레이트(113)는 하부베이스(111)에 결합되어 지지되는데, 좀더 구체적으로 하측 단부가 하부베이스(111)의 결합홈(303)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러한 수직플레이트(113)는 하부베이스(111)로부터 높이방향(z)으로 연장되어 이송플레이트(209)를 지지하며, 회동축(115) 및 가이드부(301)의 상측 단부와 결합되어 회동축(115) 및 가이드(301)를 지지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수직플레이트(113)는 하측 단부가 결합홈(303)에 끼워져 결합되는 플레이트본체(210), 플레이트본체(210)의 상측에 결합되어 회동축(115)을 지지하는 제1지지패널(211), 플레이트본체(210)의 상측에 결합되되 제1지지패널(211)과, 길이방향(x)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고 가이드(301)를 지지하는 제2지지패널(213)을 포함한다.
아울러, 수직플레이트(113)는 플레이트본체(210)의 폭방향(y) 일측에 구비되어 보조그립퍼부(203)를 높이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15)를 더 포함한다.
먼저, 플레이트본체(210)는 하측 단부가 결합홈(303)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측 단부에 제1지지패널(211)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1홈(305) 및 제2지지패널(213)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2홈(307)이 형성된다.
그리고, 플레이트본체(210)는 메인그립퍼부(105), 보조그립퍼부(203), 마감처리부(205) 및 아암부(109)가 구동축(121)에 구비된 구동캠(미도시)에 밀착되어 구동되도록, 메인그립퍼부(105), 보조그립퍼부(203), 마감처리부(205) 및 아암부(109)의 일부가 관통되는 관통홀(202)이 형성된다.
아울러, 플레이트본체(210)는 폭방향(y)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가압플레이트부(103)를 폭방향(y)으로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309)를 더 포함한다.
제1지지패널(211)은 제1홈(305)에 결합되어 회동축(115)을 지지하는데, 좀더 구체적으로 지지패널(211)에는 회동축(115)의 상측 단부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제2지지패널(213)은 제2홈(307)에 결합되어 복수개의 가이드(301)를 지지하는데, 좀더 구체적으로 제2지지패널(213)에는 가이드(301)의 상측 단부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처럼, 제1지지패널(211)이 제1홈(305)에 결합되고, 제2지지패널(213)이 제2홈(307)에 결합됨으로써,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 및 외부 충격에도 제1지지패널(211) 및 제2지지패널(213)이 플레이트본체(210)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이어서, 가이드부재(215)는 플레이트본체(210)의 폭방향(y) 일측에 결합되어 보조그립퍼부(203)를 높이방향(z)으로 가이드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215)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이드부재(215)는 플레이트본체(210)의 폭방향(y) 일측에 결합되는 상부결합부재(219)와, 상부결합부재(219)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결합부재(221) 및 상측 단부가 상부결합부재(219)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하측 단부가 하부결합부재(221)에 결합되어 지지되며 보조그립퍼부(203)를 상하로 가이드하는 복수의 상하가이드(223)를 포함한다.
이어서, 이송플레이트(209)는 수직플레이트(113)의 상측에 구비되는데, 좀더 구체적으로 플레이트본체(210)의 상측 단부에 구비되어 베이스부(101)의 길이방향(x)으로 이송되는 피결속물을 지지한다.
이러한 이송플레이트(209)는 결속끈 및 밴딩유닛(107)이 관통되도록 장홀(117)이 베이스부(101)의 길이방향(x)으로 형성된다.
이어서, 회동축(115)은 하측 단부가 하부베이스(111)에 결합되고 상측 단부가 제1지지패널(211)에 결합된다.
이러한 회동축(115)에는 아암부(109)가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어서, 가이드(301)는 하측 단부가 하부베이스(111)에 결합되고, 상측 단부가 제2지지패널(213)에 결합되어 지지되며, 메인그립퍼부(105)와 마감처리부(205)를 상하로 가이드한다.
이러한 가이드(301)는 베이스부(101)의 길이방향(x)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메인그립퍼부(105), 보조그립퍼부(203) 및 마감처리부(205) 중 하나 이상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메인그립퍼부(105), 보조그립퍼부(203) 및 마감처리부(205) 중 하나 이상을 상하로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313), 제2가이드(315), 및 제3가이드(317)를 포함한다.
이어서, 지지블럭(217)은 하부베이스(111)에 결합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지지블럭(217)은 하측 단부가 하부베이스(111)의 함몰홈(311)에 삽입되어 하부베이스(111)에 고정결합되며, 회동축(115)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하는 아암부(109)와 간헐적으로 밀착되어 회동축(115)을 기준으로 한 아암부(109)의 회전각도를 일정각도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계속해서, 가압플레이트부(103)는 이송플레이트(209)의 하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가압플레이트부(103)는 베이스부(101)에 폭방향(y)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좀더 구체적으로 이동가이드(309)에 결합되어 베이스부(101)의 폭방향(y)으로 이동된다.
즉, 가압플레이트부(103)는 이동가이드(309)에 외삽되는 이동가이드홀(319)이 형성된다.
한편, 가압플레이트부(103)는, 피결속물이 컨베이어(미도시)에 의해 이송되면서 결속끈을 가압하는 경우 결속끈의 장력이 형성되어 결속끈이 피결속물에 감기도록, 메인그립퍼부(105)와 함께 결속끈의 단부를 지지한다.
이러한 가압플레이트부(103)는 메인그립퍼부(105)와 결속끈을 지지하여 가압하는 경우 결속끈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메인그립퍼부(105)와 마주하는 면이 결속끈을 사이에 두고 메인그립퍼부(105)와 맞물림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가압플레이트부(103)는 메인그립퍼부(105)와 마주하는 면에, 결속끈을 사이에 두고 메인그립퍼부(105)와 서로 맞물림되는 요철구조의 지지부가 형성되는데, 좀더 구체적으로 메인그립퍼부(105)와 마주하는 하측면에 메인그립퍼부(105)와 서로 맞물림되는 요철구조의 제1지지부(225)가 형성된다.
계속해서, 메인그립퍼부(105)는 가압플레이트부(103)의 하측에 구비되되, 피결속물의 이동시 피결속물에 결속끈이 감기도록, 가압플레이트부(103)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속끈의 단부를 지지한다.
또한, 메인그립퍼부(105)는 결속끈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가압플레이트부(103)와 서로 마주하는 면이 결속끈을 사이에 두고 가압플레이트부(103)와 맞물림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메인그립퍼부(105)는 가압플레이트부(103)와 마주하는 면에, 결속끈을 사이에 두고 가압플레이트부(103)와 서로 맞물림되는 요철구조의 지지부가 형성되는데, 좀더 구체적으로 가압플레이트부(103)와 마주하는 상측면에 가압플레이트부(103)의 제1지지부(225)와 서로 맞물림되는 요철구조의 제2지지부(227)가 형성된다.
이러한 메인그립퍼부(105)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메인그립퍼부(105)는, 이송플레이트(209)의 하부에 배치된 가이드(301)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이동블럭(321); 및 일측이 이동블럭(321)에 고정결합하고, 피결속물의 이동시 타측이 가압플레이트부(103)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속끈의 단부를 지지하는 가압블럭(323);을 포함한다.
이동블럭(321)은, 가이드(30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301)를 따라 승하강된다.
좀더 상세하게, 이동블럭(321)은 제1가이드(313)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베이스부(101)의 높이방향(z)으로 형성된 제1가이드홀(325) 및 제1가이드홀(325)과 일정간격 이격되되 제2가이드(315)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베이스부(101)의 높이방향(z)으로 형성된 제2가이드홀(327)이 형성된다.
이러한 이동블럭(321)은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제1가이드(313) 및 제2가이드(315)를 따라 승하강된다.
또한, 이동블럭(321)은 가압블럭(323)이 결합되는 상측에 베이스부(101)의 폭방향(y)으로 돌출되어 가압블럭(323)이 안착되는 안착턱부(329)가 형성된다.
이어서, 가압블럭(323)은 이동블럭(321)의 상측에 결합되면서 하측면이 안착턱부(329)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블럭결합부(331) 및 블럭결합부(331)의 어느 한쪽 단부에서 높이방향(z)으로 절곡연장되며 상측 단부에 요철구조의 제2지지부(227)가 형성된 블럭지지부(333)를 포함한다.
여기서, 블럭지지부(333)는 이동블럭(321)이 구동부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지지부(227)가 제1지지부(225)와 맞물림되어 결속끈의 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가압플레이트부(103)와 메인그립퍼부(105)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결속끈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맞물림되는 요철구조의 제1지지부(225)와 제2지지부(227)가 형성됨에 따라, 피결속물에 결속끈이 감기는 경우 결속끈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결속끈의 단부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메인그립퍼부(105)가 이동블럭(321)과, 이동블럭(321)에 결합되는 가압블럭(323)을 포함함에 따라, 장시간 사용에 의해 제2지지부(227)가 마모되는 경우 이동블럭(321)으로부터 소모품인 가압블럭(323)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 의한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10)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메인그립퍼부(105)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가압플레이트부(103)의 하부에 구비되는 서브그립퍼부(201); 및 서브그립퍼부(201)의 하측에 구비되되, 서브그립퍼부(201)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속끈의 일부영역을 가압하여 지지하는 보조그립퍼부(203);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서브그립퍼부(201)와 보조그립퍼부(203)는, 결속끈의 이탈을 방지되도록, 서로 마주하는 각각의 면에 결속끈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맞물림되는 요철구조의 이탈방지부(229,231)가 형성된다.
먼저, 서브그립퍼부(201)는 가압플레이트부(103)의 하측에 구비된다.
서브그립퍼부(201)는 베이스부(101)에 결합되는데, 좀더 구체적으로 서브그립퍼부(201)는 하측 단부가 베이스부(101)에 구비된 지지블럭(217)에 결합된다.
또한, 서브그립퍼부(201)는 상측 단부에 폭방향(y)으로 돌출되어 보조그립퍼부(203)와 결속끈을 지지하는 그립퍼본체(335)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그립퍼본체(335)의 하측면에는 요철구조의 제1이탈방지부(229)가 형성된다.
여기서, 그립퍼본체(335)는 후술할 제2커팅부(369)와 밀착되는 면에 결속끈을 절단하기 위한 제1커팅부(337)가 형성된다.
계속해서, 보조그립퍼부(203)는 서브그립퍼부(201)의 하측에서 승하강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보조그립퍼부(203)는 그립퍼본체(335)의 하측에 구비된 복수의 상하가이드(223)에 결합되어, 그립퍼본체(335)의 하측에서 승하강된다.
즉, 보조그립퍼부(203)는 서브그립퍼부(201)를 향하는 상측으로 이동되어 서브그립퍼부(201)와 함께 결속끈의 일부영역을 가압하여 지지한다.
이러한 보조그립퍼부(203)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보조그립퍼부(203)는 상하가이드(223)에 결합되어 구동부에 의해 승하강되는 이동부재(339) 및 이동부재(339)의 상측에 결합되며 이동부재(339)와 함께 승하강되어 서브그립퍼부(201)와 함께 결속끈을 가압하는 가압부재(341)를 포함한다.
이동부재(339)는 높이방향(z)으로 복수의 결합홀(343)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결합홀(343)에는 복수의 상하가이드(223)가 삽입된다.
이어서, 가압부재(341)는 이동부재(339)의 상측에 결합되는데, 좀더 상세하게 가압부재(341)는 교체 가능하도록 다양한 결합수단을 통해 이동부재(339)의 상측에 결합된다.
이러한 가압부재(341)는 서브그립퍼부(201)와 마주하는 면에, 결속끈을 사이에 두고 서브그립퍼부(201)와 서로 맞물림되는 요철구조의 이탈방지부가 형성되는데, 좀더 구체적으로 가압부재(341)는 그립퍼본체(335)와 서로 마주하는 상측면에 제1이탈방지부(229)와 서로 맞물림되는 요철구조의 제2이탈방지부(231)가 형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보조그립퍼부(203)가 이동부재(339)와, 이동부재(339)에 결합되는 가압부재(341)를 포함하며, 가압부재(341)에 서브그립퍼부(201)와 서로 맞물림되는 제2이탈방지부(231)가 형성됨에 따라, 결속끈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시간 사용하여 제2이탈방지부(231)가 마모되는 경우 소모품인 가압부재(341)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계속해서, 마감처리부(205)는 가압플레이트부(103)의 하측에 구비되면서, 메인그립퍼부(105)와 서브그립퍼부(201)의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마감처리부(205)는 베이스부(10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결속끈의 단부와 일부영역이 포개진 상태에서 상승하여, 결속끈의 단부와 일부영역이 접합되도록 결속끈을 가압하면서 동시에 결속끈을 절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마감처리부(205)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마감처리부(205)는 가이드(301)에 결합되어 가이드(301)를 따라 승하강되는 상하이동블럭(345); 상하이동블럭(345)의 상측에 결합되는 연결부재(347); 및 연결부재(347)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하이동블럭(345)의 승강시 결속끈을 가압하면서 동시에 절단하는 가압절단블럭(349);을 포함한다.
상하이동블럭(345)은 가이드(301) 중 제2가이드(315) 및 제3가이드(317)에 결합되어 제2가이드(315) 및 제3가이드(317)를 따라 승하강된다.
이러한 상하이동블럭(345)은 제2가이드(315)가 결합되는 제1관통홀(351)이 형성된 제1결합부(353), 제1결합부(353)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절곡연장되며 제3가이드(317)가 결합되는 제2관통홀(355)이 형성된 제2결합부(357) 및 제2결합부(357)의 상측 단부에서 길이방향(x)으로 절곡연장되며 상측에 연결부재(347)가 결합되는 제3결합부(359)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3결합부(359)의 상측면에는 연결부재(347)의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속홈(361)이 함몰형성된다.
이어서, 연결부재(347)는 상하이동블럭(345)의 상측에 결합된다.
연결부재(347)는 하측면에, 상하이동블럭(345)의 결속홈(361)에 삽입되는 결속돌기(363)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연결부재(347)는 상측면에 가압절단블럭(349)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365)이 형성된다.
이어서, 가압절단블럭(349)은 연결부재(347)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하이동블럭(345)의 승강시 결속끈을 가압하면서 동시에 절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가압절단블럭(349)은 상하이동블럭(345)의 승강시 결속끈의 단부와 일부영역이 융착되도록, 결속끈의 일부영역을 결속끈의 단부 및 히팅부(207)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돌출부(367) 및 가압돌출부(367)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며 승강시 제1커팅부(337)와 교차되면서 결속끈을 절단하는 제2커팅부(369)를 포함한다.
그리고, 가압절단블럭(349)은 하측면에, 연결부재(347)의 결합홈(365)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돌기(371)가 형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마감처리부(205)가 상하이동블럭(345)과 연결부재(347) 및 가압절단블럭(349)을 포함함에 따라, 장시간 사용에 의해 제2커팅부(369)가 마모되는 경우 연결부재(347)로부터 가압절단블럭(349)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마감처리부(205)의 상하이동블럭(345)과 연결부재(347) 및 가압절단블럭(349)이 홈, 돌기 구조로 결합됨에 따라, 상하이동블럭(345)과 연결부재(347) 및 가압절단블럭(349)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히팅부(207)는 가압플레이트부(103)와 마감처리부(205)의 사이에 구비되어, 피결속물에 결속끈이 감긴상태가 유지되도록 결속끈의 단부와 결속끈의 일부영역을 융착시키는 기능을 한다.
계속해서, 밴딩유닛(107)은 일측이 이송플레이트(209)의 상측에 구비된 상부베이스(119)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시 타측이 결속끈의 일부영역을 결속끈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피결속물에 결속끈을 감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아암부(109)는, 일측이 회동축(115)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회동축(115)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되면서 동시에 상하로 회전되어 결속끈의 일부영역을 결속끈의 단부와 포개지도록 이송시킨다.
좀더 구체적으로, 아암부(109)는, 일측이 회동축(115)에 결합하여 좌우로 회전하는 회동프레임(401)과, 일측이 회동프레임(401)의 타측에 힌지(h) 결합하되, 피결속물의 이동시 타측이 힌지(h)를 기준으로 상하 회전하여 결속끈의 일부영역을 결속끈의 단부와 포개지도록 이송시키는 후크프레임(403)을 포함한다.
회동프레임(401)은 회동축(11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축(115)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된다.
이러한 회동프레임(401)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동프레임(401)은 회동축(115)에 결합되어 구동부에 의해 회동축(115)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회동축결합부(501) 및 일측이 회동축결합부(501)에 결합되는 프레임본체(503)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레임본체(503)는 후술할 리미트부재(405)가 삽입되도록 관통형성되는 리미트홀(505) 및 리미트홀(505)과 연통되며 후술할 세트볼트(407)가 삽입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세트홀(507)이 형성된다.
여기서, 리미트홀(505)은 리미트부재(405)와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리미트홀(505)은 일예로 프레임본체(503)에 폭방향(y)으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세트홀(507)은 세트볼트(407)와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세트홀(507)은 일예로 프레임본체(503)의 상측면에 높이방향(z)으로 형성되어 리미트홀(505)과 연결된다.
이어서, 후크프레임(403)은, 회동축(115)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하면서 힌지(h)를 기준으로 상하 회전되어 결속끈의 일부영역을 결속끈의 단부와 포개지도록 이송시킨다.
이러한 후크프레임(403)은 일측이 회동프레임(401)의 타측에 힌지(h) 결합되어 회동축(115)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되면서 힌지(h)를 기준으로 상하 회전되는 후크프레임 본체(509) 및 후크프레임 본체(509)의 타측에 결합되고 후크프레임 본체(509)의 회전시 결속끈의 일부영역을 걸어 결속끈의 단부와 포개지도록 이송시키는 후크(511)를 포함한다.
여기서, 후크(51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딩유닛(107)에 의해 결속끈의 일부영역이 결속끈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되는 경우, 결속끈이 걸리도록 회동축(115)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후크 삽입공간(125)으로 삽입된다.
이때, 후크(511)는 회동축(115)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되는 간격(d)이 기설정된 설정값 보다 큰 경우 베이스부(101)에 구비된 다른 구성들과 충돌할 수 있으며, 회동축(115)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되는 간격(d)이 설정값 보다 작은 경우 결속끈과 간섭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아암부(109)는, 회동프레임(401)에 관통결합하며, 회동프레임(401)의 좌우 회전시 베이스부(101)에 구비된 지지블럭(217)에 밀착함에 따라 좌우로 회전하는 회동프레임(401)의 간격을 제한하는 리미트부재(405);를 더 포함한다.
리미트부재(405)는 회동프레임(401)에 관통결합되어 단부가 회동프레임(40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데, 이처럼 단부가 회동프레임(40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동프레임(401)이 좌우로 회전시 단부가 지지블럭(217)에 밀착됨에 따라, 회동프레임(401) 및 후크프레임(403)이 좌우로 회전되는 간격(d)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리미트부재(405)는, 회동프레임(401)이 좌우로 회전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회동프레임(40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리미트부재(405)는 프레임본체(503)의 리미트홀(505)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리미트부재(405)는 프레임본체(503)의 리미트홀(505)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시 회동프레임(401)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회동프레임(401) 및 후크프레임(403)이 좌우로 회전되는 간격(d)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아암부(109)는 회동프레임(401)에 결합하여 리미트부재(405)에 밀착됨으로써 회동프레임(401)으로부터 리미트부재(405)를 고정시키는 세트볼트(407);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세트볼트(407)는 프레임본체(503)의 세트홀(507)에 결합되어 단부가 리미트부재(405)의 외주면에 밀착됨에 따라, 프레임본체(503)로부터 리미트부재(405)가 회전되지 않게 하여 프레임본체(503)로부터 리미트부재(405)를 고정시킨다.
여기서, 세트볼트(407)는 프레임본체(503)로부터 리미트부재(405)를 용이하게 회전시키거나 고정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본체(503)의 세트홀(507)에 나사 결합된다.
계속해서, 구동부(미도시)는 메인그립퍼부(105), 서브그립퍼부(201), 보조그립퍼부(203), 마감처리부(205)를 베이스부(101)의 높이방향(z)으로 승하강시킨다.
또한, 구동부(미도시)는 아암부(109)의 회동프레임(401)을 회동축(115)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시키면서, 아암부(109)의 후크프레임(403)을 힌지(h)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구동부(미도시)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121) 및 구동축(121)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캠(123)을 포함한다.
구동축(121)은 베이스부(101)의 길이방향(x)으로 형성되며, 메인그립퍼부(105), 서브그립퍼부(201), 보조그립퍼부(203), 마감처리부(205)를 베이스부(101)의 높이방향(z)으로 승하강시키면서, 아암부(109)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다수의 구동캠(미도시)이 구비된다.
그리고, 메인캠(123)은 구동축(121)과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아암부(109)의 후크프레임(403)을 힌지(h)를 기준으로 상하로 회전시킨다.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10)에 의해 결속끈이 피결속물에 감기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송플레이트(209)를 관통한 결속끈의 단부는 서브그립퍼부(201)의 제1이탈방지부(229)와 보조그립퍼부(203)의 제2이탈방지부(231)가 맞물림되어 지지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결속물에 결속끈이 감기도록 피결속물이 이송되는 경우, 아암부(109)는 결속끈의 단부(s1)를 걸어 결속끈의 단부(s1)가 향하는 방향을 전환시킨다.
이때, 베이스부(101)의 폭방향(y) 타측에 위치한 가압플레이트부(103)가 폭방향(y) 일측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메인그립퍼부(105)가 상승하여 결속끈의 단부(s1)를 가압하면서 지지한다.
이어서, 밴딩유닛(107)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이 회전하면서 결속끈의 일부영역(s2)을 결속끈의 단부(s1)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아암부(109)의 후크프레임(403)은 회동축(115)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하면서 동시에 힌지(h)를 기준으로 상하 회전되는데, 이때, 후크(511)는 밴딩유닛(107)의 후크 삽입공간(125)으로 삽입되면서 결속끈의 일부영역(s2)을 걸어 결속끈의 단부(s1)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어서, 서브그립퍼부(201)의 그립퍼본체(33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1)의 폭방향(y) 일측으로 이동하면서 결속끈의 삽입공간(s)으로 삽입되고, 보조그립퍼부(203)는 그립퍼본체(335)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승하여 결속끈의 또 다른 영역(s3)을 지지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처리부(205)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제2커팅부(369)는 제1커팅부(337)와 함께 결속끈의 또 다른 영역(s3)을 절단한다.
그리고, 가압돌출부(367)는 결속끈의 단부(s1)와 일부영역(s2)이 밀착되도록 결속끈을 가압하는데, 여기서, 히팅부(207)는 결속끈의 단부(s1)와 일부영역(s2)이 접합되도록, 결속끈의 단부(s1)와 일부영역(s2)을 융착시켜 마무리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피결속물에 결속끈을 감는 과정, 피결속물에 결속끈이 감기도록 결속끈의 단부를 접합하는 과정, 접합된 결속끈을 절단하는 모든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메인그립퍼부(105), 보조그립퍼부(203), 마감처리부(205) 및 아암부(109) 등이 복수개의 부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장시간 사용시 마모되는 소모품만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 되어야 하며 ,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
101 : 베이스부
103 : 가압플레이트부
105 : 메인그립퍼부
107 : 밴딩유닛
109 : 아암부
111 : 하부베이스
113 : 수직플레이트
115 : 회동축
117 : 장홀
119 : 상부베이스
121 : 구동축
123 : 메인캠
125 : 후크 삽입공간
201 : 서브그립퍼부
202 : 관통홀
203 : 보조그립퍼부
205 : 마감처리부
207 : 히팅부
209 : 이송플레이트
210 : 플레이트본체
211 : 제1지지패널
213 : 제2지지패널
215 : 가이드부재
217 : 지지블럭
219 : 상부결합부재
221 : 하부결합부재
223 : 상하가이드
225 : 제1지지부
227 : 제2지지부
229 : 제1이탈방지부
231 : 제2이탈방지부
301 : 가이드
303 : 결합홈
305 : 제1홈
307 : 제2홈
309 : 이동가이드
311 : 함몰홈
313 : 제1가이드
315 : 제2가이드
317 : 제3가이드
319 : 이동가이드홀
321 : 이동블럭
323 : 가압블럭
325 : 제1가이드홀
327 : 제2가이드홀
329 : 안착턱부
331 : 블럭결합부
333 : 블럭지지부
335 : 그립퍼본체
337 : 제1커팅부
339 : 이동부재
341 : 가압부재
343 : 결합홀
345 : 상하이동블럭
347 : 연결부재
349 : 가압절단블럭
351 : 제1관통홀
353 : 제1결합부
355 : 제2관통홀
357 : 제2결합부
359 : 제3결합부
361 : 결속홈
363 : 결속돌기
365 : 결합홈
367 : 가압돌출부
369 : 제2커팅부
371 : 결합돌기
401 : 회동프레임
403 : 후크프레임
405 : 리미트부재
407 : 세트볼트
501 : 회동축결합부
503 : 프레임본체
505 : 리미트홀
507 : 세트홀
509 : 후크프레임 본체
511 : 후크

Claims (5)

  1. 상측에서 하측으로 결속끈이 관통하며 피결속물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송플레이트가 구비된 베이스부;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하측에 구비되는 가압플레이트부; 및
    상기 가압플레이트부의 하측에 구비되되, 상기 피결속물이 이동하여 상기 결속끈을 가압시, 장력이 형성되어 상기 결속끈이 상기 피결속물에 감기도록, 상기 가압플레이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결속끈의 단부를 지지하는 메인그립퍼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플레이트부와 상기 메인그립퍼부는 상기 결속끈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서로 마주하는 면이 상기 결속끈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맞물림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플레이트부와 메인그립퍼부는,
    서로 마주하는 각각의 면에, 상기 결속끈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맞물림되는 요철구조의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그립퍼부는,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된 가이드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이동블럭; 및
    일측이 상기 이동블럭에 고정결합하고, 상기 피결속물의 이동시 타측이 상기 가압플레이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결속끈의 단부를 지지하는 가압블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그립퍼부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가압플레이트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서브그립퍼부; 및
    상기 서브그립퍼부의 하측에 구비되되, 상기 서브그립퍼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결속끈의 일부영역을 가압하여 지지하는 보조그립퍼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그립퍼부와 상기 보조그립퍼부는,
    상기 결속끈의 이탈을 방지되도록, 서로 마주하는 각각의 면에 상기 결속끈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맞물림되는 요철구조의 이탈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
KR1020220032844A 2020-05-20 2022-03-16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 KR102473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844A KR102473904B1 (ko) 2020-05-20 2022-03-16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373A KR102377130B1 (ko) 2020-05-20 2020-05-20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
KR1020220032844A KR102473904B1 (ko) 2020-05-20 2022-03-16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373A Division KR102377130B1 (ko) 2020-05-20 2020-05-20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641A true KR20220038641A (ko) 2022-03-29
KR102473904B1 KR102473904B1 (ko) 2022-12-06

Family

ID=786979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373A KR102377130B1 (ko) 2020-05-20 2020-05-20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
KR1020220032844A KR102473904B1 (ko) 2020-05-20 2022-03-16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373A KR102377130B1 (ko) 2020-05-20 2020-05-20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771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9109A (ja) * 1993-05-17 1994-11-29 Kitani Kosakusho:Kk 梱包機のテープ結束装置
JP2000203514A (ja) * 1996-08-30 2000-07-25 Saichi Matsubara 梱包機におけるバンド懸回操作機構
KR101885031B1 (ko) 2017-05-24 2018-08-0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질병 위험 지역을 감시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71419B1 (ko) * 2019-07-04 2020-04-01 강석휘 이송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밴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9109A (ja) * 1993-05-17 1994-11-29 Kitani Kosakusho:Kk 梱包機のテープ結束装置
JP2000203514A (ja) * 1996-08-30 2000-07-25 Saichi Matsubara 梱包機におけるバンド懸回操作機構
KR101885031B1 (ko) 2017-05-24 2018-08-0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질병 위험 지역을 감시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71419B1 (ko) * 2019-07-04 2020-04-01 강석휘 이송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밴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510A (ko) 2021-11-29
KR102377130B1 (ko) 2022-03-21
KR102473904B1 (ko)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450408U (zh) 一种绕线和扎线一体机
CN108473217A (zh) 线圈包装用捆扎头模块
CN109051088A (zh) 物流运输件的同步抬升仪器
KR102377130B1 (ko) 결속끈 마감처리 장치
CN106516276A (zh) 一种全自动包膜设备
KR101803422B1 (ko) 코일 바인딩장치
CN112846613A (zh) 一种剪力钉自动装焊设备
EP0623510B1 (en) Apparatus for applying corner protectors to pallets
KR20140031735A (ko) 카메라를 이용한 변압기 철심 자동 적층 장치
CN107323960A (zh) 一种工件装配及分配装置
CN208549026U (zh) 一种用于音圈和音膜生产的组装设备
CN210822919U (zh) 一种自动打包机
US2838992A (en) Apparatus for applying metal bands about an article or articles
KR200463133Y1 (ko) 랩핑장치
CN210235390U (zh) 丙纶长丝加工用生产线
CN105173707B (zh) 一种异形条烟收烟捆扎装置及捆扎方法
KR20170087217A (ko) 코일 바인딩장치
CN207434582U (zh) 一种油汀码垛系统
KR102071419B1 (ko) 이송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밴딩장치
CN211845028U (zh) 一种钢筋卷捆扎设备
KR101434138B1 (ko) 테이핑 방법
CN212075850U (zh) 一种铝塑复合带校正辅助装置
CN210102079U (zh) 一种捆扎机
CN218431902U (zh) 一种捆绑高度可调节的纸箱自动捆绑机
CN209127699U (zh) 料仓储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