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8383A - 양식 연못용 수질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양식 연못용 수질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8383A
KR20220038383A KR1020227005061A KR20227005061A KR20220038383A KR 20220038383 A KR20220038383 A KR 20220038383A KR 1020227005061 A KR1020227005061 A KR 1020227005061A KR 20227005061 A KR20227005061 A KR 20227005061A KR 20220038383 A KR20220038383 A KR 20220038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quality
time
sensor
pond
aqua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5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0556B1 (ko
Inventor
신이치 가사이
마사루 오시로
도시타카 후쿠다
도모유키 엔도
유스케 후지이
고이치 이마쿠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가사이
렉스 인더스트리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가사이, 렉스 인더스트리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가사이
Publication of KR20220038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1Upstream control, i.e. monitoring for predictive contro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02F2209/006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mprising a software program or a logic diagra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02F2209/008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mprising telecommunication features, e.g. modems or antenna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4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OR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5Conductivity or salin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4NH3-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22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양식 연못에 설치된 외부 센서에 의하여 적당한 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수질에 관한 측정 값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측정 값의 변동에 기초하여 장래의 예측 값을 산출하고, 상기 예측 값이 수질의 악화를 나타내는 기준 값을 넘는 시기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기준 값을 넘는 시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시기는 연못의 물의 교체가 필요한 시기인 양식 연못용 수질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양식 연못용 수질 관리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양식 연못용 수질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식 연못의 수질 관리에 관하여,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양식 연못의 수질 평가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수질 평가 방법은 잉어의 양식에 있어서의 수질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서 산화 환원 전위를 활용하여, 잉어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수질 평가 방법 및 수질 검사표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단지 산화 환원 전위를 지표로 하여 현시점에서의 수질을 판단하는 것이며, 장래의 수질 악화 경향을 파악하여, 연못의 물 교체 시기를 사전에 고지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콘크리트제 양식 연못이라고 하는 특수한 예이며, 수질 조건도 다르기 때문에, 흙으로 둘러싸인 천연 양식 연못에 적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은 양식 연못 수질 정화 시스템 등도 알려져 있다. 이 수질 정화 시스템은 복수의 양식 연못을 감시하여, 그 중 가장 수질이 나쁜 양식 연못을 선택하여 정화를 실시하는 것이지만, 특허 문헌 1과 마찬가지로, 장래의 수질 악화 경향을 파악하여, 연못의 물 교체 시기를 사전에 고지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제 양식 연못의 수질 평가 방법이나, 양식 연못 수질 정화 시스템은 알려져 있었지만, 양식 연못의 수질 악화 경향을 파악하여, 연못의 물의 교체 시기를 사전에 고지하는 시스템은 알려지지 않았다.
이 때문에, 장래적인 양식 연못의 악화 경향을 파악하는 것은 곤란하였고, 종래에는, 장래적인 양식 연못의 악화 경향의 파악은 양식 연못을 관리하는 전문가(장인)의 감과 경험에 의존하고 있었다. 또한, 환경 조건 등에 따라서는, 양식 연못의 수질이 급격하게 악화되기도 하여, 연못의 물의 교체, 양식 연못의 청소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없었다.
양식 연못 이외의 수질 관리에 관한 기술로서, 특허 문헌 3에는, 어항의 수질 감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일반 가정의 관상어용 수조의 수질 감시 시스템이며, 수질의 악화를 경보로 알릴 수 있다. 또한, 특허 문헌 4에는 수조용 수질 감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는데, 양식어 수조의 수질이 정상 범위를 일탈하는 경우에 경보를 발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3 및 4의 수질 감시 시스템은 물의 교체 시기를 사전에 고지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수조와 양식 연못은 대상이 되는 물고기나, 규모, 수질 환경 등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수조용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물의 교체 시기를 사전에 고지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된다.
이상과 같이, 양식 연못의 수질 평가를 실시하는 것, 수질 정화를 실시하는 장치 및 수조의 수질 감시 시스템은 알려져 있었지만, 양식 연못의 환경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연못의 수질 악화 경향을 예측하는 것에 의하여, 연못의 물의 교체가 필요한 시기를 사전에 고지하는 기술이나 장치는 존재하지 않았다.
특허 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17-116561호 특허 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18-33418호 특허 문헌 3: 중국 실용신안 제203101372호 명세서 특허 문헌 4: 일본공표특허공보 특표2018-506108호
본 발명은 양식 연못의 수질 관리에 관한 것으로, 각 수질 변동 값에 기초하여 연못의 환경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연못의 수질 악화 경향에 대한 예측을 하여, 악화되는 것을 사전에 고지하는 장치 또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양식 연못용 수질 관리 장치는 양식 연못에 설치된 외부 센서에 의하여 적당한 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수질에 관한 측정 값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측정 값의 변동에 기초하여 장래의 예측 값을 산출하고, 상기 예측 값이 수질의 악화를 나타내는 기준 값을 넘는 시기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기준 값을 넘는 시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시기는 연못의 물의 교체가 필요한 시기이다.
본 발명에 관한 양식 연못용 수질 관리 장치에 의하여, 양식 연못의 수질에 관한 변동 값에 기초하여 연못의 환경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연못의 수질 악화 경향을 예측하여, 악화되는 것을 사전에 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 센서에 의한 측정은 1일 1회 정시에 실시하여도 좋다.
측정을 매일 정시에, 예를 들면, 1일 1회의 급이 전, 또는, 1일 여러 차례의 급이 중 1회의 급이 전에 실시함으로써, 1일 24 시간의 변동의 영향, 특히, 급이 전과 급이 후의 변동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판정부는 통계적 수법에 따라 예측 값을 산출하고, 연못의 물의 교체가 필요한 시기를 판정하여도 좋다.
공지의 통계적 수법을 이용하고 분석을 실시하는 것에 의하여, 판정부는 측정 값에 기초하여 정확한 예측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판정부는 측정 값에 기초하여 산출된 예측 값의 시간 축에 대한 기울기가 소정 값 이상 또는 소정 값 이하가 되는 시점을 예측하고, 기준 값을 넘는 시기를 판정하여도 좋다.
판정부는 측정 값에 기초하여 산출된 예측 값의 시간 축에 대한 기울기가 소정 값 이상 또는 소정 값 이하가 되는 시점을 예측함으로써, 정확한 예측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 센서는 암모니아 센서이며, 측정 값은 암모니아 농도이어도 좋다.
외부 센서로서 암모니아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암모니아 농도에 기초하여 연못의 물의 교체가 필요한 시기를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 센서는 pH 센서이며, 측정 값이 수소 이온 농도(pH)이어도 좋다.
외부 센서로서 pH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수소 이온 농도(pH)에 기초하여 연못의 물의 교체가 필요한 시기를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 센서는 산화 환원 전위계이며, 측정 값은 산화 환원 전위(ORP)이어도 좋다.
외부 센서로서 산화 환원 전위계를 이용함으로써, 산화 환원 전위(ORP)에 기초하여 연못의 물의 교체가 필요한 시기를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 센서는 도전율계이며, 측정 값은 도전율(EC)이어도 좋다.
외부 센서로서 도전율계를 이용함으로써, 도전율(EC)에 기초하여 연못의 물의 교체가 필요한 시기를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 센서는 산소 농도 센서이며, 측정 값은 산소 농도(DO)이어도 좋다.
외부 센서로서 산소 농도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산소 농도(DO)에 기초하여 연못의 물의 교체가 필요한 시기를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양식 연못용 수질 관리 장치는, 외부 센서로서 암모니아 센서, pH 센서, 산화 환원 전위계, 도전율계, 산소 농도 센서 중 2개 이상을 사용하고, 측정 값으로서 받은, 암모니아 농도, 수소 이온 농도(pH), 산화 환원 전위(ORP), 도전율(EC), 산소 농도(DO) 중 2개 이상의 측정 값에 기초하여, 수질 악화를 나타내는 기준 값을 넘는 시기를 판정하여도 좋다. 2개 이상의 측정 값을 사용함으로써, 판정부는 측정 값에 기초하여 더 정확한 판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양식 연못용 수질 관리 방법은 양식 연못에 설치된 외부 센서에 의하여 적당한 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수질에 관한 측정 값을 기억부에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 값의 변동에 기초하여 판정부에 의하여 장래의 예측 값을 산출하고, 상기 예측 값이 수질의 악화를 나타내는 기준 값을 넘는 시기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값을 넘는 시기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기는 연못의 물의 교체가 필요한 시기이다.
본 발명에 관한 양식 연못용 수질 관리 방법에 있어서, 외부 센서는 암모니아 센서, pH 센서, 산화 환원 전위계, 도전율계, 산소 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측정 값은 암모니아 농도, 수소 이온 농도(pH), 산화 환원 전위(ORP), 도전율(EC), 산소 농도(DO) 중 적어도 하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식 연못의 악화 경향을 사전에 고지함으로써, 양식 연못의 유지 관리를 불필요한 낭비 없이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상적으로 사육에 적정한 수질을 확보함으로써, 양식어의 폐사를 방지하는 것 이외에,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양식어의 사육을 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작업자의 감과 경험에 의존하던 관리 방법을 수질의 변동에 기초하여, 양식어에 있어서의 노하우인 「최적의 사육 방법」을 데이터로 축적할 수도 있다.
양식 연못의 청소는 여과 조에 퇴적된 먹이 잔여물이나 배설물 등을 없애는 작업이다. 물 교체는 항상 실시하고 있지만, 청소를 실시하면 여과조의 물을 거의 빼게 되어, 물을 대량으로 소실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 작업에 의하여 수질이 대폭 악화되는 것을 막기 때문에, 물의 대량 교체에 의한 에너지 손실과 경제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1] 본 발명에 관한 수질 관리 장치 및 양식 연못의 설비를 포함한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본 발명의 전제가 되는, 양식 연못에 있어서의 수질 변화의 요인과 그 상호의 관계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 급이 후의 pH 및 DO(산소 농도)의 변동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와 관련하여, 다른 사육법에 있어서의, pH의 변동 및 암모니아 농도의 변동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 본 발명의 실시예 3과 관련하여, pH의 변동 및 ORP(산화 환원 전위)의 변동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 본 발명의 실시예 4와 관련하여, EC(도전율)의 변동 경향과 물의 교체 시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 본 발명의 실시예 5와 관련하여, 양식어 사육의 일상 관리에 있어서의 산소 농도 제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 연못용 수질 관리 장치 및 양식 연못의 설비를 포함한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수질 관리 장치(1)는, 기억부(2)와 판정부(3)와 표시부(4)를 구비하고 있다. 양식 연못에는, 외부 센서(11 내지 15)로서 암모니아 농도 센서(11)와 pH 센서(12)와 산화 환원 전위계(ORP계)(13)와 도전율계(EC계)(14)와 산소 농도 센서(DO계, 용존 산소 센서)(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는, 5개의 외부 센서(11 내지 15)가 기재되어 있지만,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양식 연못에 모든 외부 센서를 설치할 필요는 없고, 적어도 1개의 외부 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외부 센서(11 내지 15) 각각은 전기통신 수단에 의하여 수질 관리 장치(1)에 대하여 접속되어 있는지, 또는, 수동 등에 의하여 수질 관리 장치(1)에 대하여 측정 값을 입력함으로써, 외부 센서(11 내지 15)의 각각의 측정 결과인 각종 수질에 관한 측정 값(암모니아 농도, 수소 이온 농도(pH), 산화 환원 전위(ORP), 도전율(EC) 및 산소 농도(DO))이 기억부(2)에 기억된다. 판정부(3)는 기억부(2)에 기억된 측정 값의 변동에 기초하여, 장래의 예측 값을 산출하고, 상기 예측 값이 수질의 악화를 나타내는 기준 값을 넘는 시기를 판정한다. 표시부(4)는 판정부(3)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기준 값을 넘는 시기, 즉, 연못의 물의 교체가 필요한 시기를 표시한다.
양식 연못의 주변에는, 각종 양식 연못용 관리 설비(21 내지 25)가 설치되어 있다. 양식 연못용 관리 설비(21 내지 25)는, 연못에 급수하는 물의 pH를 측정하기 위한 pH 센서(21)와 연못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 밸브(22)와 연못의 산소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산소 용해기(23)와 연못의 상태에 기초하여 지시나 경보를 실시하는, 지시/경보 장치(24)와 공기를 불어넣기 위한 폭기 수차(25)를 포함한다. 이 관리 설비들 각각은 예시이며, 각 양식 연못에 있어서, 적당한 설비를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고, 설비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양식 연못용 관리 설비(21 내지 25)의 각각은 수질 관리 장치(1)에 의하여 일원적으로 관리 제어할 수도 있고, 표시부(4)의 표시 등에 기초하여 수동으로 조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양식어로서 뱀장어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뱀장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우선, 양식 연못의 수질 관리에 대하고 설명한다.
도 2는, 양식 연못에 있어서의 수질 변화의 요인, 상호의 관계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본 출원의 발명자가 지금까지의 양식어의 사육 경험을 토대로 하여 집계한 것이다. 도 2에 있어서, pH는 수소 이온 농도, DO는 산소 용해도(산소 농도), Temp는 수온, ORP는 산화 환원 전위, EC는 도전율이다. 이하,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양식 연못에 있어서는, 물고기의 배설물 등이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되어 암모니아가 발생한다. 암모니아(NH3)는 여과 박테리아(질화균)의 질화 반응에 의하여 산화되어, 독성이 낮은 아질산(NO2)으로 변화하고, 나아가 아질산(NO2)으로부터 독성이 더 낮은 질산(NO3)으로 변화한다. 그러나, 양식어의 장기 사육을 실시하고 있으면, 연못에 오염물이 섞인 진흙이 축적되어, 질화 반응이 저하한다. 암모니아의 산화 분해에 의하여 pH는 저하하고, 생성물인 질산이 발생하면 도전율의 상승이 일어난다. 이 암모니아의 산화 분해에는 산소가 필요하고, 온도도 높은 편이 질화균의 활성이 올라간다. 한편, 오염물이 섞인 진흙의 축적에 의해 환원 반응이 산화 반응보다 강해지면, 질산의 환원 반응이 일어나서, pH는 높아지고, 도전율은 저하한다. 이 때, 양식 연못의 물은 산화 환원 전위(ORP)가 내려간다. 이러한 지식을 가지고, 오염물이 섞인 진흙의 청소 등, 연못 상태 회복을 목적으로 한 연못의 관리 업무에 있어서, 산화 환원 전위(ORP)와 pH에 기초하여 연못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다만, 산소가 충분히 존재하고, 반응장, 암모니아도 있는 상태에서 pH가 저하(5.5 이하) 되어 있는 경우에는, 질화균의 활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산화 환원 전위(ORP)가 극단적으로 높아진다.
도 3(A)(B)는 급이 후의 pH 및 DO (산소 농도, 용존 산소)의 변동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급이 t0로부터의 시간 t의 경과와 함께 pH 및 DO가 변동한다. 그래프의 파선의 안쪽은 변동이 허용되는 범위 A이지만, 그 범위를 넘는 시기(t>t1)가 존재한다. 이 때문에, 1일에 있어서의 수질 변동도 양식 연못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급이량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 pH가 너무 내려가거나, DO가 너무 내려가거나 하므로, 양식어에 대한 부하가 발생하여,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 그 때문에 며칠간의 연못의 급이 후 상태 변동을 확인해나감으로써 최적의 급이량의 기준을 파악할 수 있고, 또한 DO 저하시의 산소 용해기(23)의 출력 상승, pH 조정제에 의한 사전 대응도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급이량과 수질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종래 작업자의 감과 경험에 의해 행해지던 노하우를 데이터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뱀장어의 양식에서는, 「아질산 사육법」및 「암모니아 사육법」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사육법은, 양식 연못의 설비(침전조의 크기, 자갈의 유무), 사육 기간 (40 내지 50 일간 또는 90 내지 120 일간) 및, 급이 방법(1일의 급이 회수) 등이 다르고, 또한, 수질의 특징(아질산 농도 또는 암모니아 농도의 허용 범위)도 다르다. 따라서, 이러한 기존에 알려져 있는 사육법들은 각각 각종 외부 센서에 의한 측정 값의 변동 경향이 다르다. 또한, 각각의 사육법에 따라 예측되는 변동 경향과 수질의 악화를 나타내는 기준 값 등도 다르다.
도 4는 실제의 사육 결과에 기초하여, pH의 변동 및 암모니아 농도의 변동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A)는 아질산 사육법, (B)는 암모니아 사육법에 따른 그래프이다. 그래프의 원점인 t0은 사육의 개시 시점이며, 시기 txx는 수질 악화 상태이기 때문에 물 교체 시기이다. 연못의 청소를 끝낸 후에는, t1로부터 사육을 개시하게 된다(t0<t1<tx, t1은 도시하지 않음). 이 그래프에서는, 예를 들면, 센서에 의한 측정을 급이 전 1일 1회로 하는 등에 의하여, 1일에 있어서의 변동을 제외하였다. 또한, 센서에 의한 측정은 1일 1회로 하는 것 외에 여러 차례를 정시에 측정하여 평균 값을 채용하는 등, 적당한 측정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아질산 사육법과 암모니아 사육법은 수질 관리의 수법이 다르다. 예를 들면, 아질산 사육법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탄산칼슘을 투입함으로써 pH의 조정을 하지만 (도 4(A) C점 참조.), 암모니아 사육법에서는 pH의 조정은 실시하지 않는다. 그러나, 두 가지 사육법 모두에서 시간의 경과와 함께 pH가 상승하고, 물의 교체 시기 txx에 있어서, 암모니아 농도가 수질의 악화를 나타내는 기준 값 XX에 이르고 있으며, 시기 txx에 이르기 전부터 급이량이 감소하는 것을 도 4의 그래프(A)(B)로부터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가지 사육법 모두 에서, 예를 들면, 축적한 과거의 데이터와의 비교 등에 기초하여, pH의 변동 경향, 또는 암모니아 농도의 변동 경향으로부터 장래의 수질을 예측하고, 연못의 물의 교체 시기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pH 또는 암모니아 농도의 변동 경향에 기초한 실시예에 대하여는, 이하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설명한다.
장래의 수질 변동의 예측에 대하여는, 예를 들면, 스프레드쉬트 소프트웨어의 함수 기능을 이용하여 그래프의 근사 곡선이나 회귀 직선에 기초한 예측을 실시하는 등, 통계적 수법을 포함한 공지의 분석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과거의 사육 결과를 데이터로서 축적하고, 데이터를 참조하여 판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질 악화 경향을 판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기준 값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수질 변동의 예측에 대하여는, 예측 값이 기준 값에 이르는 시기를 예측하는 것에 추가하여, 예측 값의 변동 경향의 시간 축에 대한 기울기, 즉, 예측 값의 단위 시간의 변동율이 소정 값 이상, 또는 소정 값 이하가 되는 시기를 예측하여, 연못의 물의 교체가 필요한 시기로서 판정할 수도 있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암모니아 농도의 변화를 일정 시간(일 단위) 감시하고, 그 농도가 지금까지의 추이로부터 소정의 수치가 되는 것을 예측하여, 물의 교체(연못의 한계 수명)를 사전에 고지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분석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사전에 고지를 하는 시기 tx에 있어서의 암모니아 농도의 상승률에 기초하여, 암모니아 농도가 수질의 악화를 나타내는 기준 값 XX에 이르는 시기 txx를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의 암모니아 농도의 변동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육 기간의 개시부터 암모니아 농도는 낮은 수치에서 추이하고 있어, 이 기간은 물의 교체 시기의 예측은 할 수 없다. 그러나, 암모니아 농도가 올라가기 시작하면, 그 상승 경향으로부터 시기 tx에 있어서, 암모니아 농도가 수질의 악화를 나타내는 기준 값 XX에 이르는 시기 txx를 예측할 수 있다. 암모니아 농도의 상승이 시작된 단계에서는 그다지 정확한 예측은 할 수 없기 때문에, 사전에 고지를 실시하는 시기 tx는, 예를 들면 암모니아 농도가 XX/3(기준 값 XX의 3분의 1)을 넘은 시기 이후로 할 수도 있다. 시기 tx로부터 시기 txx 사이의 암모니아의 상승은 산화 반응의 저하 (pH 5.5 이하, 온도 저하, 산소 부족, 탄산 이온 부족) 및 환원 반응의 증가(오염물이 섞인 진흙 축적, 염기성 상태)에 기인한다. 수질 관리 장치(1)는, 암모니아 농도가 상승하여 기준 값 XX를 넘는 시기 txx를 사전에 고지하므로, 작업자는 산화 반응의 저하 및 환원 반응의 증가를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사전에 고지를 실시하는 시기 tx가 시기 txx에 가까워짐에 따라 더 정확한 예고가 되므로, 작업자는 연못의 환경을 개선하는 작업에 추가하여, 시기 txx에 이르기 전에, 물의 교체를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암모니아 농도는 급이량의 증가에 따라서도 상승이 일어나기 때문에, 급이량에 의한 보정을 실시할 필요가 있어, 현시점에서의 암모니아 농도가 기준 값에 해당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야 한다. 수질 관리 장치(1)는, 급이량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것에 의하여, 급이량에 의한 보정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pH의 변화를 일 단위로 감시하고, 그 수치가 소정 값이 되는 것을 예측하여 물의 교체 시기 txx를 사전에 고지하는 것이다.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암모니아 농도가 수질의 악화를 나타내는 기준 값 XX와 마찬가지로, pH가 기준 값에 이르는 시기 txx를 예측하여 사전에 고지할 수 있다. 양식 연못의 수질이 악화되기 전의 사육 기간에 있어서, pH의 예측 값이 저하하는 경향에 있는 경우에는, 수질 관리 장치(1)는 pH 조정제(탄산칼슘, 중조 등)를 첨가시키는 지시를 표시하고, 증가 경향에 있는 경우에는 물의 교체, 퇴적물의 제거를 실시하도록 지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아질산 사육법에서는, 도 4(A)의 pH의 변동의 C점에 있어서 탄산칼슘을 연못에 투입하여 pH의 조정을 실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pH 조정에 의하여 pH가 변동하여 산과 골이 있는 시기에 있어서는 물의 교체 시기를 예측할 수 없다. 따라서, 수질 관리 장치(1)는, 산과 골이 있는 시기에 있어서 수질이 악화되는 시기의 예측을 실시하지 않게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ORP의 변화를 일정 시간(일 단위) 감시하고, 수치의 감소를 계속하여 검지하면 연못의 산화 능력이 저하되고 있는, 즉 물의 교체(연못의 한계 수명) 시기가 가까워지고 있는 것을 고지하는 것이다. ORP가 300 mV를 넘는 경우에는 pH가 5.5 이하가 되어 산화 반응이 일어나기 어려운 상태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pH 조정제를 첨가한다.
실시예 3과 관련하여, 도 5는 pH의 변동과 ORP(산화 환원 전위)의 변동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ORP는 정과 부 사이에서 변동을 반복하지만, 그 후, ORP가 부인 채로 양식이 계속되는 기간 T의 후, pH가 상승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이 상태는 양식 연못의 수명의 한계에 가까워진 것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ORP를 감시하여, ORP의 부 상태가 계속되는 기간 T를 검출하는 것에 의하여 연못의 물의 교체 시기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축적된 과거의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ORP의 측정 값만으로, 연못의 물의 교체 시기를 예측할 수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측정 값을 조합하여 더 정확한 예측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EC(도전율)의 변화를 일정 시간 감시하고, 그 수치가 감소 경향에 있을 때 감소 변화량으로부터 소정의 수치가 되는 것을 예측하여, 물의 교체(연못의 한계 수명)를 사전에 고지하는 것이다. 실시예 4와 관련하여, 도 6은 EC(도전율)의 변동 경향과, 물의 교체 시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암모니아 사육법의 경우, 질산 농도가 내려가면, 그 후 암모니아 농도가 상승하여, 연못 상태는 나빠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질산 농도와 EC는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암모니아 농도가 XX에 이르는 시기 txx를 예측하는 것에 대신하여, EC의 변화를 감시하고, EC의 감소율, 즉, 경과시간에 대한 EC의 변화의 기울기(부의 기울기)가 소정 값 이하(절대 값으로 소정 값 이상)가 되는 시기 txx를 예측함으로써, 물의 교체 시기를 사전에 고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질 관리 장치(1)는, 축적한 과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분석을 실시하는 것 외에, 급이량 등 다른 요소도 추가함으로써, 더 정확한 예측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5에 대한 설명을 하기 전에, 뱀장어를 양식하는 경우에 기초하여, 양식어 사육의 일상 관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양식어 사육의 일상 관리로서 예를 들면 이하의 사항을 들 수 있다.
· 산소 용해기(23)를 구동하여도 산소 농도가 소정 값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폭기 수차 25를 구동한다.
· pH가 급격하게 저하하였을 때에는 급수 밸브 22를 조작하여 급수한다.
· pH가 급격하게 저하하였을 때에는 탄산칼슘의 투입을 지시한다.
· pH는 5.5를 하회하면 암모니아의 분해 능력이 저하하므로 5.5를 상회하도록 관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육의 일상 관리에 있어서, 산소 농도는 중요한 지표가 되고 있다.
도 7은 양식어 사육의 일상 관리에 있어서의 산소 농도 제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우선, 일상 관리로서, 산소 농도(DO)가 급격하게 저하하였을 경우에는, 먹이가 활발한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는 산소 공급량을 늘릴 필요가 있다. 산소 농도의 급격한 저하는 다량의 양식어의 폐사를 초래할 우려가 있으므로, 산소 농도의 저하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산소의 급격한 저하 시에는, ΔT 시간, 산소 용해기(23)를 구동하여, 산소 농도를 상승시키는 제어를 실시한다. 산소 용해기(23)를 구동하여도 산소 농도가 소정 값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폭기 수차 25를 구동한다.
(실시예 5)
실시예 5는 산소 농도(DO)의 변화를 일정 시간 감시하여, DO의 감소율이 소정 값보다 저하하였을 때, 예를 들면 Δ1ppm/hr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고지하는 것이다. 수질 관리 장치(1)는 DO가 소정 값보다 저하하였을 때뿐만 아니라, 소정 값에 가까워졌을 때, DO가 30분 이상 저하한 상태인 경우에도 고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뱀장어를 예로 들어 실시예 1 내지 5를 설명하였다. 각 실시예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외부 센서에 의한 측정 값에 따라 연못의 물의 교체가 필요한 시기를 판정할 수 있지만, 2개 이상의 센서에 의한 측정 값에 기초하여 더 정확한 판정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급이량 등, 사육에 관한 데이터를 추가하여 판정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 형태에 다양한 변경을 한 것을 포함한다. 즉, 실시 형태에서 든 구체적 구성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양식 연못의 수질 관리 장치는 뱀장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무지개송어, 잉어 등, 다양한 양식어나 새우, 조개 등의 어패류 등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수질 관리 장치
2 기억부
3 판정부
4 표시부
11 내지 15 외부 센서
21 내지 25 양식 연못용 관리 설비

Claims (12)

  1. 양식 연못에 설치된 외부 센서에 의하여 적당한 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수질에 관한 측정 값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측정 값의 변동에 기초하여 장래의 예측 값을 산출하고, 상기 예측 값이 수질의 악화를 나타내는 기준 값을 넘는 시기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기준 값을 넘는 시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시기는 연못의 물의 교체가 필요한 시기인 양식 연못용 수질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센서에 의한 측정은 1일 1회 정시에 행해지는 양식 연못용 수질 관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통계적 수법에 의하여 상기 예측 값을 산출하고, 상기 시기를 판정하는 양식 연못용 수질 관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측정 값에 기초하여 산출된 상기 예측 값의 시간 축에 대한 기울기가 소정 값 이상 또는 소정 값 이하가 되는 시점을 예측하고, 상기 기준 값을 넘는 시기를 판정하는 양식 연못용 수질 관리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센서가 암모니아 센서이고, 상기 측정 값이 암모니아 농도인 양식 연못용 수질 관리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센서가 pH 센서이며, 상기 측정 값이 수소 이온 농도(pH)인 양식 연못용 수질 관리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센서가 산화 환원 전위계이며, 상기 측정 값이 산화 환원 전위(ORP)인 양식 연못용 수질 관리 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센서가 도전율계이고, 상기 측정 값이 도전율(EC)인 양식 연못용 수질 관리 장치.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센서가 산소 농도 센서이고, 상기 측정 값이 산소 농도(DO)인 양식 연못용 수질 관리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센서로서 암모니아 센서, pH 센서, 산화 환원 전위계, 도전율계, 산소 농도 센서 중 2개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 값으로서 받은, 암모니아 농도, 수소 이온 농도(pH), 산화 환원 전위(ORP), 도전율(EC), 산소 농도(DO) 중 2개 이상의 측정 값에 기초하여, 수질 악화를 나타내는 기준 값을 넘는 시기를 판정하는 양식 연못용 수질 관리 장치.
  11. 양식 연못에 설치된 외부 센서에 의하여 적당한 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수질에 관한 측정 값을 기억부에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 값의 변동에 기초하여, 판정부에 의하여 장래의 예측 값을 산출하고, 상기 예측 값이 수질의 악화를 나타내는 기준 값을 넘는 시기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값을 넘는 시기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기는 연못의 물의 교체가 필요한 시기인, 양식 연못용 수질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외부 센서는 암모니아 센서, pH 센서, 산화 환원 전위계, 도전율계, 산소 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측정 값은 암모니아 농도, 수소 이온 농도(pH), 산화 환원 전위(ORP), 도전율(EC), 산소 농도(DO) 중 적어도 하나인 양식 연못용 수질 관리 방법.
KR1020227005061A 2019-08-20 2020-08-13 양식 연못용 수질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4905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50548 2019-08-20
JP2019150548A JP6999137B2 (ja) 2019-08-20 2019-08-20 養殖池用水質管理装置及び方法
PCT/JP2020/030822 WO2021033627A1 (ja) 2019-08-20 2020-08-13 養殖池用水質管理装置及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383A true KR20220038383A (ko) 2022-03-28
KR102490556B1 KR102490556B1 (ko) 2023-01-19

Family

ID=74660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5061A KR102490556B1 (ko) 2019-08-20 2020-08-13 양식 연못용 수질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53312B2 (ko)
JP (2) JP6999137B2 (ko)
KR (1) KR102490556B1 (ko)
CN (1) CN114340384B (ko)
NO (1) NO20220185A1 (ko)
WO (1) WO20210336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99137B2 (ja) 2019-08-20 2022-01-18 株式会社カサイ 養殖池用水質管理装置及び方法
US20220260547A1 (en) * 2021-02-12 2022-08-18 Hach Company Predictive model for water quality deterioration
TWI785737B (zh) * 2021-08-13 2022-12-01 國立高雄科技大學 養殖水質氨氮值智慧控制方法及其設備
JPWO2023095855A1 (ko) 2021-11-25 2023-06-01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8385A (ja) * 1990-03-06 1991-11-18 Inax Corp 水質監視機構付き水槽及び水質管理システム
JP2001248794A (ja) * 2000-03-02 2001-09-14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オゾン貯蔵方法および装置
JP2007089566A (ja) * 2005-08-30 2007-04-12 Tokyo Univ Of Agriculture & Technology 微生物分離装置
JP2010094121A (ja) * 2008-10-20 2010-04-30 Ind Technol Res Inst 養殖水の品質監視・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一体型水質アナライザ
CN203101372U (zh) 2013-03-20 2013-07-31 华玥 一种鱼缸水质监测系统
JP2015019647A (ja) * 2013-07-23 2015-02-02 株式会社キッツ 養殖水中に含まれるアンモニアの除去方法及び除去装置
JP2017063667A (ja) * 2015-09-29 2017-04-06 株式会社キッツ 循環型養殖方法及び循環型養殖装置
JP2017116561A (ja) 2017-03-29 2017-06-29 忠信 若林 コンクリート製養殖池の水質評価方法および水質検査表
JP2018506108A (ja) 2015-01-05 2018-03-01 エコ ネット リミテッドEco Net Ltd. 水質の検知
JP2018033418A (ja) 2016-09-02 2018-03-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養殖池水質浄化システムおよび養殖池水質浄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208413T2 (de) 1991-08-22 1996-11-14 Kla Instr Corp Gerät zur automatischen Prüfung von Photomaske
JP2000166421A (ja) 1998-12-02 2000-06-20 Kosu:Kk 水槽管理システム
US20060169646A1 (en) * 2005-02-03 2006-08-03 Usfilter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water
JP4966905B2 (ja) * 2008-04-04 2012-07-04 大成建設株式会社 飼育水浄化方法
CN102183621B (zh) * 2011-02-28 2013-11-27 中国农业大学 水产养殖溶解氧浓度在线预测方法及系统
CN103018418A (zh) * 2012-12-16 2013-04-03 天津大学 景观水体水质在线预警系统
US20140231360A1 (en) * 2013-02-15 2014-08-21 Amanda Lee Poole NH3 Feed-Forward Control of Blower Output
CN103218669B (zh) * 2013-03-19 2016-12-28 中山大学 一种智能的活鱼养殖水质综合预测方法
CN103942457B (zh) * 2014-05-09 2017-04-12 浙江师范大学 基于关联向量机回归的水质参数时间序列预测方法
US10766799B2 (en) * 2014-05-23 2020-09-08 Nch Corporation Method for improving quality of aquaculture pond water using a nutrient germinant composition and spore incubation method
JP2016129514A (ja) 2015-01-13 2016-07-21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養殖水槽の水質監視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養殖システム
CN105320185B (zh) * 2015-06-18 2017-05-31 浙江海洋学院 梭子蟹养殖池监测装置及控制方法
CN105454144B (zh) * 2015-11-25 2018-11-27 华南农业大学 一种黄颡鱼养殖水体富营养化预警方法及其应用
CN105701280B (zh) * 2016-01-05 2018-09-14 浙江大学城市学院 南美白对虾围塘养殖水质预测方法
CN105956702A (zh) * 2016-04-29 2016-09-21 中国农业大学 一种基于数据融合的水产养殖水质溶解氧预测方法
CN106292802B (zh) * 2016-09-18 2019-01-25 中国农业大学 一种用于鱼菜共生系统的智能预测控制系统及方法
CN107728477A (zh) * 2017-09-21 2018-02-23 中国农业大学 一种工厂化水产养殖水质溶解氧预测控制方法及系统
CN108038571A (zh) * 2017-12-08 2018-05-15 仲恺农业工程学院 一种养殖水质的非线性组合预测方法及系统
CN108710964A (zh) * 2018-04-09 2018-10-26 天津农学院 一种模糊时间序列水产养殖水质环境数据的预测方法
CN108668962B (zh) * 2018-04-16 2020-08-07 北京师范大学 一种鱼类窒息死亡风险的确定方法及系统
CN108665106A (zh) * 2018-05-15 2018-10-16 中国农业大学 一种水产养殖溶解氧预测方法及装置
CN108710974B (zh) 2018-05-18 2020-09-11 中国农业大学 一种基于深度置信网络的水体氨氮预测方法及装置
CN109061086A (zh) * 2018-08-15 2018-12-21 浙江海洋大学 一种应用于对虾养殖池的水质监测和预警系统
CN109583663B (zh) * 2018-12-12 2022-10-14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适用于养殖池塘的夜间水质溶氧量预测方法
CN109828089B (zh) * 2019-02-13 2022-01-18 仲恺农业工程学院 一种基于dbn-bp的水质参数亚硝酸氮的在线预测方法
CN110334926B (zh) 2019-06-24 2023-04-18 广州艾帝西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场景大数据分析系统
JP6999137B2 (ja) 2019-08-20 2022-01-18 株式会社カサイ 養殖池用水質管理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8385A (ja) * 1990-03-06 1991-11-18 Inax Corp 水質監視機構付き水槽及び水質管理システム
JP2001248794A (ja) * 2000-03-02 2001-09-14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オゾン貯蔵方法および装置
JP2007089566A (ja) * 2005-08-30 2007-04-12 Tokyo Univ Of Agriculture & Technology 微生物分離装置
JP2010094121A (ja) * 2008-10-20 2010-04-30 Ind Technol Res Inst 養殖水の品質監視・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一体型水質アナライザ
CN203101372U (zh) 2013-03-20 2013-07-31 华玥 一种鱼缸水质监测系统
JP2015019647A (ja) * 2013-07-23 2015-02-02 株式会社キッツ 養殖水中に含まれるアンモニアの除去方法及び除去装置
JP2018506108A (ja) 2015-01-05 2018-03-01 エコ ネット リミテッドEco Net Ltd. 水質の検知
JP2017063667A (ja) * 2015-09-29 2017-04-06 株式会社キッツ 循環型養殖方法及び循環型養殖装置
JP2018033418A (ja) 2016-09-02 2018-03-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養殖池水質浄化システムおよび養殖池水質浄化方法
JP2017116561A (ja) 2017-03-29 2017-06-29 忠信 若林 コンクリート製養殖池の水質評価方法および水質検査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340384B (zh) 2023-09-26
CN114340384A (zh) 2022-04-12
JP6999137B2 (ja) 2022-01-18
WO2021033627A1 (ja) 2021-02-25
JP2021177780A (ja) 2021-11-18
KR102490556B1 (ko) 2023-01-19
US11753312B2 (en) 2023-09-12
JP7458571B2 (ja) 2024-04-01
JP2021029144A (ja) 2021-03-01
NO20220185A1 (en) 2022-02-10
US20220267168A1 (en)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0556B1 (ko) 양식 연못용 수질 관리 장치 및 방법
US9756838B2 (en) Circulation type aquaculture method and circulation type aquaculture device
US20170150701A1 (en)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and Treatment Method for Aquatic Species
Pulkkinen et al. Startup and effects of relative water renewal rate on water quality and growth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in a unique RAS research platform
JP6307508B2 (ja) 排水処理を監視するための装置
US201300603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membrane cleaning process
US20210325842A1 (en) Process monitoring device, process monitoring method, and program
US20220240456A1 (en) Produce management system
JP2015019647A (ja) 養殖水中に含まれるアンモニアの除去方法及び除去装置
CN114698583B (zh) 工厂化鱼类养殖智能溶解氧自调控方法及其系统
Nilsen et al. The impact of production intensity on water quality in oxygen enriched, floating enclosures for post-smolt salmon culture
CN117109665B (zh) 一种河流生态环境数据在线监测方法及系统
Theagarajan et al. Development of An Automated IoT-based Fish Tank Maintenance Assistive System
WO2024100972A1 (ja) 養殖管理装置および養殖管理システム
Pandolfo et al. Zebrafish Aquatic Systems: Preventative Maintenance and Troubleshooting
KR102459386B1 (ko) 스마트십 대응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
JP7304177B2 (ja) 水道施設の状態監視システム及び水道施設の状態監視方法
CN117342689B (zh) 一种污水厂智能脱氮方法及系统
WO2003086986A1 (en) Odour control of wastewater canal system
US202201536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Adding Disinfectant in Animal Drinking Water Using Oxidation-Reducing Potential
JP2017063667A (ja) 循環型養殖方法及び循環型養殖装置
CN117094466A (zh) 室内养鱼池水质自动净化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6143207A (zh) 一种基于大数据的水产养殖污水净化智能化控制系统
Malone et al. Automatic determination of filter efficiency in recirculating systems
CN115477341A (zh) 一种过滤装置以及安全养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