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7762A -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7762A
KR20220037762A KR1020200120627A KR20200120627A KR20220037762A KR 20220037762 A KR20220037762 A KR 20220037762A KR 1020200120627 A KR1020200120627 A KR 1020200120627A KR 20200120627 A KR20200120627 A KR 20200120627A KR 20220037762 A KR20220037762 A KR 20220037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at exchange
air
exchange unit
air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영민
김세태
이인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0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7762A/ko
Publication of KR20220037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7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0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고온 건조한 공기를 통해 의류 내지 침구를 건조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는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여 상기 드럼으로 재유입시키는 공기순환부; 상기 드럼으로부터 상기 공기순환부로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필터부; 상기 공기순환부의 순환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 및 상기 열교환부의 과열도를 통해 상기 필터부의 막힘을 파악하여 상기 공기순환부와 상기 열교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 건조한 공기를 통해 의류 내지 침구를 건조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는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 처리 장치는 가정 내에서 또는 세탁소 등과 같은 곳에서 의류 내지 침구 등을 세탁하거나, 건조시키거나, 구김을 제거하는 등 의류를 관리하거나 처리하는 모든 장치들을 가리킨다. 의류 처리 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세탁기 겸 건조기 등을 포함한다.
이들 중 특히 건조기는 드럼(또는 터브)으로 투입된 의류나 침구 등과 같은 처리 대상물에 열풍을 공급하여 처리 대상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킨다.
드럼에서 처리 대상물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드럼을 빠져나가는 공기는 처리 대상물의 수분을 머금게 되어 고온 다습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는 건조기에 구비되는 순환유로 상에서 수분이 제거되고 가열된 후 드럼으로 재유입된다.
상기와 같은 의류 내지 침구를 건조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는 의류 처리 장치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10-2019-0128464호(이하, ‘선행문헌’이라고 함)는 의류 처리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전방측 개구에서 배출된 공기가 열교환을 거쳐 상기 드럼의 후방측 개구로 유입되도록 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순환유로 및 상기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어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베이스 캐비닛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의 의류 처리 장치는 드럼 내에 수용된 의류 등에 의하여 필터가 막힌 상태일 때, 드럼 내외부간의 공기순환에 차질이 발생되는 상황에는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드럼 내에 수용된 의류 등에 의하여 필터가 막힌 상태인지 여부를 보다 신속하고 적절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센서 등과 같은 구성이 추가적으로 요구될 수 밖에 없다.
이상과 같이, 고온 건조한 공기를 통해 의류 내지 침구를 건조시키는 의류 처리 장치의 경우 공기의 순환유로에서의 필터 막힘을 감지하여 이에 적절히 대응하여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으나, 종래의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이러한 과제를 적절히 해결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가지고 있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필터부가 의류 등에 의하여 막히는 경우를 별도의 추가 구성 없이도 적절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부가 의류 등에 의하여 막힌 상태일 때 의류 처리 장치의 주요 구성에 대한 제어가 보다 적절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부의 막힘 여부를 감지하는 경우에 의류 처리 장치의 다양한 사용 상태를 반영하여 오감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별도의 추가 구성 없이도 필터부가 의류 등에 의하여 막히는 경우를 적절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열교환부의 과열도를 통해 필터부의 막힘을 파악하여 공기순환부와 열교환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열교환부의 과열도가 설정값 이하인 상태로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 필터부가 막힌 상태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팽창밸브의 개도율이 최소인 상태로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 필터부가 막힌 상태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필터부가 의류 등에 의하여 막힌 상태일 때 의류 처리 장치의 주요 구성에 대한 제어가 보다 적절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필터부가 막힌 상태로 간주되는 경우 열교환부가 최저 주파수로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필터부가 막힌 상태로 간주되는 경우 공기순환부가 최대 풍량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필터부의 막힘 여부를 감지하는 경우에 오감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열교환부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에만 열교환부의 과열도를 통해 필터부의 막힘을 파악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의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열교환부의 과열도를 통해 필터부의 막힘을 파악하여 공기순환부와 열교환부의 작동을 제어하므로, 별도의 추가 구성 없이도 필터부의 막힘 여부를 적절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열교환부의 과열도가 설정값 이하인 상태로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 필터부가 막힌 상태로 간주하므로, 필터부의 막힘 여부를 수치적으로 보다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팽창밸브의 개도율이 최소인 상태로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 필터부가 막힌 상태로 간주하므로, 열교환부의 과열도를 통한 필터부의 막힘 여부 추정이 보다 정확하게 검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필터부가 막힌 상태로 간주되는 경우 열교환부가 최저 주파수로 작동되므로, 공기순환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에서 열교환부의 불필요한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필터부가 막힌 상태로 간주되는 경우 공기순환부가 최대 풍량으로 작동되므로, 필터부 막힘에 따라 냉동 사이클이 형성되지 않아 야기되는 온도 상승을 최대한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열교환부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에만 열교환부의 과열도를 통해 필터부의 막힘을 파악하므로, 상대적으로 저온인 상태에서 열교환부의 과열도를 통해 필터부의 막힘을 감지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오감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공기의 순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공기순환부 및 열교환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필터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열교환부의 냉매순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필터부의 막힘 감지 시험 결과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공기의 순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의류 처리 장치의 일례로써 건조기를 예로 드나, 의류 처리 장치는 드럼 내에 투입된 의류 등의 세탁물(또는, 건조물)을 처리하는 기기로써, 건조기에 한하지 않고 세탁기나 건조 겸용 세탁기가 될 수도 있음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캐비닛(10),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세탁물(포)이 수용되어 회전되는 드럼(30)과, 드럼(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06)와, 드럼(30)에서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고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부(200)와, 드럼(30)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110)과, 드럼(30)으로부터 순환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덕트(120),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순환유로(130)를 포함한다.
캐비닛(10)은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외관을 형성하고, 드럼(30)과 그 밖의 구성들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캐비닛(1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은 전면에 도어(20)가 배치되고, 도어(20)는 일단을 중심으로 힌지 회전되어 캐비닛(10) 내부를 개폐한다. 캐비닛(10)은 프론트커버(11), 탑플레이트(16), 사이드커버(12, 13), 리어커버(15) 및 베이스(1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커버(11)에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투입구를 여닫는 도어(20)가 구비된다. 투입구는 드럼(30)과 연통될 수 있다.
프론트커버(11)의 상부에는 컨트롤 패널(17)이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7)에는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LCD, LED 패널 등), 사용자로부터 의류 처리 장치(1000)에 대한 작동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800)(예를 들어, 버튼, 다이얼, 터치 스크린 등), 동작상태에 대한 음성안내 또는 효과음 또는 경고음이 출력되는 출력부(175)가 포함될 수 있다.
입력부(800)는 컨트롤 패널(17)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스위치, 터치패드와 같은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입력부(800)는 전원입력, 동작모드, 세탁물의 종류 설정을 포함한, 운전설정을 입력한다. 입력부(800)는 세탁물의 종류가 선택되고, 전원키가 입력되면, 운전설정에 대한 데이터를 제어부(600)로 입력한다.
출력부(175)는 입력부(800)에 의해 입력된 운전설정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음성안내, 소정의 효과음 또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또는 버저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는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운전설정 및 동작제어를 위한 메뉴화면을 포함할 수 있고, 운전설정 또는 동작상태에 대하여 문자, 숫자,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구성된 안내 메시지 또는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104)에는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력되는 운전설정 데이터, 동작모드에 대한 데이터,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에러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104)에는 의류 처리 장치(1000) 동작 중 감지 또는 측정되는 데이터, 통신부(19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104)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저장기기 일 수 있다.
통신부(19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190)는 건물 또는 소정 거리 내에서 형성되는 네트워크, 예를 들어 홈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또한 인터넷 등의 외부의 서버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기능이 구비된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90)는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동작상태 또는 건조진행상태를 전송하고, 의류 처리 장치(1000)에 대한 명령을 수신한다. 통신부(190)는 지그비,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뿐 아니라, 와이파이, 와이브로 등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전원부(105)는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변환하여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05)는 과전류를 차단하고, 공급되는 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소정 크기의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드럼(3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전면과 배면이 개방되며 전면은 투입구와 연통된다. 또한, 드럼(30)의 배면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유입구는 공기 순환을 위한 유입덕트(140)와 연결된다. 그리고, 이러한 유입덕트(140)는 순환유로(130)와 연결된다.
구동부(106)는 캐비닛(10)의 베이스(14)에 고정되는 모터를 포함한다. 모터는 드럼(30)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며, 또한, 순환팬(110)과 연결되어 순환팬(110)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순환팬(110)의 회전에 의해, 드럼(30) 내의 공기가 흡입덕트(12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덕트(120)는 순환유로(130)와 연결된다.
순환팬(110)의 회전 시, 드럼(3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흡입덕트(120)로 안내되어 순환유로(130)를 통해 열교환기를 거쳐 다시 유입덕트(140)를 통해 드럼(30)으로 재유입되도록 하여 공기를 순환시킨다.
드럼(30)을 경유하는 순환유로(13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순환유로(130)는 드럼(30)과 연결되어 공기 순환을 위한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일부 공기는 배기덕트(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공기순환부 및 열교환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필터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열교환부의 냉매순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필터부의 막힘 감지 시험 결과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드럼(30), 공기순환부(100), 필터부(300), 열교환부(2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드럼(30)은 의류를 수용하는 부분으로, 순환유로(130)를 통해 순환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공기순환부(100)는 드럼(3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여 드럼(30)으로 재유입시키는 부분으로, 상술한 흡입덕트(120), 순환유로(130), 유입덕트(140) 및 순환팬(110)을 포함한다.
필터부(300)는 드럼(30)으로부터 공기순환부(100)로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부분으로, 린트 등의 이물질을 포집하여 순환유로(130)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럼(30)으로부터 다량의 린트 등과 같은 이물질이 순환유로(130)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물질은 열교환부(200)에 부착되어 열교환부(200)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순환유로(130)로 유입된 이물질에 의해 오염이 발생될 수 있으며, 특히 오염된 다습한 환경이라는 점에서 곰팡이나 세균 등이 증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드럼(30)으로부터 공기순환부(100)로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에 필터부(300)를 설치하여 린트 등의 이물질이 순환유로(1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필터부(300)는 복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300)는 아우터 필터(301) 내에 이너 필터(302)가 삽입되고, 아우터 필터(3011)가 필터 가이드(121)의 내부에 삽입되어 연통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덕트 커넥터(122)는 프론트커버(11)에 장착되고, 필터 가이드(121)와 연결된다. 덕트 커넥터(122)는 프론트커버(11)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필터 가이드(121)의 하단부는 덕트 커넥터(12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열교환부(200)는 공기순환부(100)의 순환유로(130) 상에 설치되어 공기와 열교환하는 부분으로, 냉매를 순환 시켜 히트펌프 사이클로 작동시킨다.
드럼(30)의 내부에 수용되는 세탁물은 드럼(30)으로 공급되는 가열된 공기에 의해 건조된다. 드럼(3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건조과정에서 세탁물로부터 증발된 수분을 함습하여 순환유로(130)로 유입되고, 열교환부(200)를 통해 가열된 후 다시 드럼(30)으로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열교환부(200)는 압축기(230), 증발기(210), 응축기(220), 팽창밸브(240)를 포함한다. 열교환부(200)는 압축기(230), 증발기(210), 응축기(220)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냉매가 순환된다. 특히, 응축기(220)와 증발기(210)에서의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된 공기가 드럼(30)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열교환부(200)는 냉매 이외의 다른 매체를 통해 열교환할 수도 있다.
증발기(210)는 드럼(30)으로부터 흡입덕트(120)를 통해 순환유로(130)로 유입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켜 순환유로(130)를 통과하는 공기의 열량을 회수한다. 또한, 증발기(210)는 순환유로(130)를 통과하는 공기에 함습된 수분을 응축시킨다.
응축기(220)는 증발기(210)를 통과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여, 가열된 공기를 유입덕트(140)를 통해 드럼(30)으로 재유입시킨다. 증발기(210)를 통관한 저온 저습의 공기는 응축기(220)로 유입되어 냉매와 열교환 함으로써 고온 저습의 상태로 변화된다.
응축기(2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증발기(210)를 통과하여 압축기(230)로 회수되고, 압축기(230)는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220)로 토출하고, 팽창밸브(240)는 응축기(220)에서 응축된 냉매를 증발기(210)에서 팽창시킨다.
도 7을 참조하여 공기순환과 냉매순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는 순환팬(110)에 의해 순환된다. 이러한 공기는 순환팬(110)에 의해 드럼(30)을 통과해 증발기(210)로 유입되고, 증발기(210)에서 응축되어 저온저습의 상태로 응축기(220)로 유입된다. 공기는 응축기(220)의 냉매와 열교환되어 가열된 후 드럼(30)으로 다시 유입된다. 이와 같이, 공기는 드럼(30), 증발기(210), 응축기(220)의 순서로 이동한다.
냉매는 압축기(230)에 의해 고온고압의 상태로 응축기(220)로 토출되고, 응축기(220)에서 공기와 열교환 된 후, 증발기(210)로 유입되어 증발된다. 응축기(220)와 증발기(210) 사이에는 팽창밸브(240)가 설치된다. 팽찰밸브(240)는 저온고압의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증발기(210)로 전달한다.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210)에서 증발되고, 저온저압의 상태로 압축기(230)로 유입된 후, 고온고압의 상태로 응축기(220)로 토출된다.
이 경우, 팽창밸브(240)는 전자식팽창밸브(EEV)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600)는 열교환부(200)의 과열도를 통해 필터부(300)의 막힘을 파악하여 공기순환부(100)와 열교환부(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이 경우, 제어부(600)는 입력부(800)로부터 입력되는 운전설정을 메모리(140)에 저장하고, 통신부(19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며,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운전설정 및 동작상태가 출력부(175)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600)는 의류 처리 장치(1000)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의류 처리 장치(1000)와 무선으로 연결된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로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통신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입력부(800)로부터 입력되는 운전설정에 따라 구동부(160)를 통해 드럼(30) 및 순환팬(110)의 동작을 제어하고, 특정 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동작을 가변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동작 중 열교환부(200)를 제어하여 순환되는 공기가 가열되도록 하고, 드럼(30)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600)는 공기순환부(100)와 열교환부(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순환부(100)와 열교환부(200)의 작동이란 공기순환부(100)와 열교환부(200)의 온/오프 여부, 작동시간, 작동상태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600)는 열교환부(200)의 과열도를 통해 필터부(300)의 막힘을 파악하여, 이에 따라 공기순환부(100)와 열교환부(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과열도는 증발기(210)에서 냉동 작용을 한 냉매가 건조 포화 가스가 되어 그 가스가 더욱 과열된 상태의 온도와 증발기(210)의 온도의 차이를 일컫는다.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작동 과정에서 이물질에 의하여 필터부(300)가 막히거나, 드럼(30) 내에 수용된 의류에 의해 필터부(300)가 막히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부(300)가 막히는 경우 냉각 풍량이 형성되지 않아 냉동 사이클을 형성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열교환기의 과열도는 0℃에 가깝게 떨어지고, 열교환기의 과열도를 형성하기 위해 팽창밸브(240)가 최소로 잠기게 된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300)가 막힌 상태에서는 팽창밸브(EEV)(240)가 최소로 잠기더라도 과열도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에 따라 제어부(600)는 열교환부(200)의 과열도를 통해 필터부(300)의 막힘을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열교환부(200)의 과열도를 통해 필터부(300)의 막힘을 파악하여 공기순환부(100)와 열교환부(200)의 작동을 제어하므로, 별도의 추가 구성 없이도 필터부(300)의 막힘 여부를 적절하게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제어부(600)는 열교환부(200)의 과열도가 설정값 이하인 상태로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 필터부(300)가 막힌 상태로 간주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설정값(예를 들어, 도 9의 0℃) 및 설정시간(예를 들어, 10~300초)이란 사전의 실험 또는 통계 데이터를 통해 적절히 선택되어지는 팩터로서,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설계 단계 또는 사용자의 선택 등에 의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의 과열도는 0℃에 가깝게 떨어지는 경우 필터부(300)의 막힘을 의심할 수 있는 상황이므로, 열교환기의 과열도가 사전에 설정된 설정값 이하인 상태로 일정 시간 유지된다면 필터부(300)가 막힌 상태로 간주하여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열교환부(200)의 과열도가 설정값 이하인 상태로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 필터부(300)가 막힌 상태로 간주하므로, 필터부(300)의 막힘 여부를 수치적으로 보다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제어부(600)는 팽창밸브(240)의 개도율이 최소인 상태로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 필터부(300)가 막힌 상태로 간주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팽창밸브(240)의 최소 개도율(예를 들어, 5~15%) 역시 사전의 실험 또는 통계 데이터를 통해 적절히 선택되어지는 팩터로서,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설계 단계 또는 사용자의 선택 등에 의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부(300)가 막힌 상태에서는 열교환기의 과열도가 0℃에 가깝게 떨어지고 팽창밸브(240)가 최소로 잠기더라도 과열도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상태가 일정 시간 유지된다면 필터부(300)가 막힌 상태로 강력하게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팽창밸브(240)의 개도율이 최소인 상태로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 필터부(300)가 막힌 상태로 간주하므로, 열교환부(200)의 과열도를 통한 필터부(300)의 막힘 여부 추정이 보다 정확하게 검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제어부(600)는 필터부(300)가 막힌 상태로 간주되는 경우 열교환부(200)가 최저 주파수로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부(300)가 막힌 상태인 경우에는 열교환부(200)가 본연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으므로, 열교환부(200)를 통한 건조 기능은 사실상 불가능해질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부(200)의 불필요한 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교환부(200)가 최저 주파수로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필터부(300)가 막힌 상태로 간주되는 경우 열교환부(200)가 최저 주파수로 작동되므로, 공기순환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에서 열교환부(200)의 불필요한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제어부(600)는 필터부(300)가 막힌 상태로 간주되는 경우 공기순환부(100)가 최대 풍량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부(300)가 막힌 상태인 경우에는 냉동 사이클을 형성하지 못하여 필요 이상으로 공기가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순환부(100)(특히, 순환팬(110))이 최대 풍량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일정 부분 공기의 온도를 낮추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필터부(300)가 막힌 상태로 간주되는 경우 공기순환부(100)가 최대 풍량으로 작동되므로, 필터부(300) 막힘에 따라 냉동 사이클이 형성되지 않아 야기되는 온도 상승을 최대한 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제어부(600)는 열교환부(200)를 통과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에만 열교환부(200)의 과열도를 통해 필터부(300)의 막힘을 파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부(200)의 과열도를 통해 필터부(300)의 막힘을 파악하는 경우, 직접적인 감지가 아니라 추정을 통한 간접적인 감지라는 점에서 오감지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열교환부(200)(특히, 압축기(230))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설정온도(예를 들어, 도 9의 30~85℃) 이상인 경우에는 냉동 사이클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열교환부(200)의 과열도를 통해 필터부(300)의 막힘을 파악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반면, 열교환부(200)(특히, 압축기(230))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설정온도(예를 들어, 도 9의 30~85℃) 미만으로서 상대적으로 저온인 경우에는, 냉동 사이클과 무관하게 다른 요인에 의해 열교환부(200)의 과열도가 형성되지 않는 상태일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열교환부(200)의 과열도를 통해 필터부(300)의 막힘을 파악할 때 오감지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열교환부(200)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기준으로 제어 모드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열교환부(200)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에만 열교환부(200)의 과열도를 통해 필터부(300)의 막힘을 파악하므로, 상대적으로 저온인 상태에서 열교환부(200)의 과열도를 통해 필터부(300)의 막힘을 감지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오감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술한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주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도 1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의류 처리 장치(1000)가 대기모드 상태에서 소정의 작동 신호 등의 입력에 의해 작동모드로 전환된다(S100).
다음으로,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작동 과정에서, 드럼(3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여 드럼(30)으로 재유입시키도록 공기를 순환시킨다(S200). 이 경우, 공기의 순환은 흡입덕트(120), 순환유로(130), 유입덕트(140) 및 순환팬(110)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공기의 순환 과정에서, 드럼(30)으로부터 공기순환부(100)로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에 설치된 필터부(300)를 통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한다(S300). 즉, 드럼(30)으로부터 공기순환부(100)로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에 필터부(300)를 설치하여 린트 등의 이물질이 순환유로(1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공기의 순환 과정에서, 공기의 순환유로(130) 상에 설치된 열교환부(200)를 통해 순환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킨다(S400). 즉, 드럼(3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건조과정에서 세탁물로부터 증발된 수분을 함습하여 순환유로(130)로 유입되고, 열교환부(200)를 통해 가열된 후 다시 드럼(30)으로 공급된다.
다음으로, 열교환부(200)의 과열도를 통해 필터부(300)의 막힘을 파악하여 공기순환부(100)와 열교환부(200)의 작동을 제어한다(S600, S610, S620, S630, S640). 즉, 별도의 추가 구성 없이도 열교환부(200)의 과열도를 통해 필터부(300)의 막힘 여부를 파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 공기순환부(100)와 열교환부(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열교환부(200)의 과열도가 설정값 이하인 상태로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 필터부(300)가 막힌 상태로 간주하여 수행될 수 있다(S610).
즉, 열교환기의 과열도는 0℃에 가깝게 떨어지는 경우 필터부(300)의 막힘을 의심할 수 있는 상황이므로, 열교환기의 과열도가 사전에 설정된 설정값 이하인 상태로 일정 시간 유지된다면 필터부(300)가 막힌 상태로 간주하여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 공기순환부(100)와 열교환부(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팽창밸브(240)의 개도율이 최소인 상태로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 필터부(300)가 막힌 상태로 간주하여 수행될 수 있다(S620).
즉, 필터부(300)가 막힌 상태에서는 열교환기의 과열도가 0℃에 가깝게 떨어지고 팽창밸브(240)가 최소로 잠기더라도 과열도가 형성되지 않는 상태가 일정 시간 유지된다면 필터부(300)가 막힌 상태로 강력하게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 공기순환부(100)와 열교환부(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필터부(300)가 막힌 상태로 간주되는 경우 열교환부(200)를 최저 주파수로 작동시키는 단계(S6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필터부(300)가 막힌 상태인 경우에는 열교환부(200)가 본연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으므로, 열교환부(200)의 불필요한 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교환부(200)가 최저 주파수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 공기순환부(100)와 열교환부(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필터부(300)가 막힌 상태로 간주되는 경우 공기순환부(100)를 최대 풍량으로 작동시키는 단계(S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필터부(300)가 막힌 상태인 경우에는 냉동 사이클을 형성하지 못하여 필요 이상으로 공기가 가열되므로, 공기순환부(100)가 최대 풍량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일정 부분 공기의 온도를 낮추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열교환부(200)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순환부(100)와 열교환부(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열교환부(200)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에만 열교환부(200)의 과열도를 통해 필터부(300)의 막힘을 파악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열교환부(200)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저온인 경우에는, 열교환부(200)의 과열도를 통해 필터부(300)의 막힘을 파악할 때 오감지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열교환부(200)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기준으로 제어 모드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교환부(200)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다면 일반 건조 행정이 시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700). 그리고, 이러한 일반 건조 행정 단계에서는 사전에 설정된 정상적인 제어 로직을 통해 의류 처리 장치(1000)가 제어될 수 있다(S800).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30: 드럼 100: 공기순환부
110: 순환팬 120: 흡입덕트
130: 순환유로 140: 유입덕트
150: 배기덕트 200: 열교환부
210: 증발기 220: 응축기
230: 압축기 240: 팽창밸브
300: 필터부 600: 제어부
700: 센서부 800: 입력부
1000: 의류 처리 장치

Claims (12)

  1.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여 상기 드럼으로 재유입시키는 공기순환부;
    상기 드럼으로부터 상기 공기순환부로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필터부;
    상기 공기순환부의 순환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 및
    상기 열교환부의 과열도를 통해 상기 필터부의 막힘을 파악하여 상기 공기순환부와 상기 열교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교환부의 과열도가 설정값 이하인 상태로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 상기 필터부가 막힌 상태로 간주하여 제어하는, 의류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팽창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팽창밸브의 개도율이 최소인 상태로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 상기 필터부가 막힌 상태로 간주하여 제어하는, 의류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부가 막힌 상태로 간주되는 경우 상기 열교환부가 최저 주파수로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의류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부가 막힌 상태로 간주되는 경우 상기 공기순환부가 최대 풍량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의류 처리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교환부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열교환부의 과열도를 통해 상기 필터부의 막힘을 파악하는, 의류 처리 장치.
  7. 대기모드 상태에서 작동모드로 전환되는 단계;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여 상기 드럼으로 재유입시키도록 공기순환부를 통해 상기 공기를 순환시키는 단계;
    상기 드럼으로부터 상기 공기순환부로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에 설치된 필터부를 통해 상기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단계;
    상기 공기의 순환유로 상에 설치된 열교환부를 통해 순환되는 상기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열교환부의 과열도를 통해 상기 필터부의 막힘을 파악하여 상기 공기순환부와 상기 열교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부와 상기 열교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열교환부의 과열도가 설정값 이하인 상태로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 상기 필터부가 막힌 상태로 간주하여 수행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팽창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순환부와 상기 열교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팽창밸브의 개도율이 최소인 상태로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 상기 필터부가 막힌 상태로 간주하여 수행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부와 상기 열교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필터부가 막힌 상태로 간주되는 경우 상기 열교환부를 최저 주파수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부와 상기 열교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필터부가 막힌 상태로 간주되는 경우 상기 공기순환부를 최대 풍량으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순환부와 상기 열교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열교환부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열교환부의 과열도를 통해 상기 필터부의 막힘을 파악하여 수행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00120627A 2020-09-18 2020-09-18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377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627A KR20220037762A (ko) 2020-09-18 2020-09-18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627A KR20220037762A (ko) 2020-09-18 2020-09-18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762A true KR20220037762A (ko) 2022-03-25

Family

ID=80935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627A KR20220037762A (ko) 2020-09-18 2020-09-18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77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99512B1 (en) Control method for laundry drying machine and laundry drying machine
EP2949804B1 (en)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JP4692178B2 (ja) 衣類乾燥装置
KR20150054104A (ko) 의류 처리장치
US20090248206A1 (en)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ing machine
JP4858321B2 (ja) 衣類乾燥機
KR20120033780A (ko) 히트펌프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운전방법
JP4687555B2 (ja) 衣類乾燥装置
KR20220069789A (ko) 의류건조기
KR20160049735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779731B2 (ja) 衣類乾燥装置
KR20110029579A (ko) 히트펌프식 건조기 및 히트펌프식 건조기 제어방법
JP4950788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220037762A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06223A (ko) 건조기
JP4779723B2 (ja) 衣類乾燥装置
KR20220162387A (ko)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37771A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22030A (ko) 의류 처리 장치
KR20240021540A (ko) 의류 처리 장치
KR20240021541A (ko) 의류 처리 장치
JP4839748B2 (ja) 衣類乾燥装置
KR102352396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14079391A (ja) 衣類乾燥機
KR101565405B1 (ko)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