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6888A - 물품 이송탑재 장치 - Google Patents

물품 이송탑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6888A
KR20220036888A KR1020210122575A KR20210122575A KR20220036888A KR 20220036888 A KR20220036888 A KR 20220036888A KR 1020210122575 A KR1020210122575 A KR 1020210122575A KR 20210122575 A KR20210122575 A KR 20210122575A KR 20220036888 A KR20220036888 A KR 20220036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receiving member
posture
articles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나리 기무라
유이치 우에다
마사시게 이와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220036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8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32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복수의 물품을 적절히 용기에 수용할 수 있는 물품 이송탑재 장치를 제공한다. 시트형 부재에 의해 구성된 받이 부재(50)와, 받이 부재(50)의 제1 단부(51)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81)와, 제2 단부(52) 측의 규정 영역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82)와, 받이 부재(50)의 자세를 변경하는 자세 변경부(40)를 구비하고, 자세 변경부(40)는, 받이 부재(50)가 수평면을 따르는 제1 자세로 되도록 받이 부재(50)를 유지하는 제1 동작과, 제2 지지부(82)로부터 받이 부재(50)를 해방하는 제2 동작과, 제2 지지부(82)로부터 받이 부재(50)를 송출하는 제3 동작을 실행 가능하며, 복수의 물품(G)의 공급에 따라서, 제3 동작에 의해 제1 자세로부터 받이 부재(50)의 송출량을 증가시키고, 모든 물품(G)이 공급된 후, 제2 동작을 실행한다.

Description

물품 이송탑재 장치{ARTICLE TRANSFER DEVICE}
본 발명은, 물품을 공급하는 물품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된 물품을 수취하고, 물품 공급 장치보다 아래쪽에 배치된 컨베이어 또는 컨베이어 상에 설치된 용기로 물품을 이송탑재(transfer)하는 물품 이송탑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2-153394호 공보에는, 상기와 같은 물품 이송탑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배경 기술에 있어서 괄호 내의 부호는 참조하는 문헌의 것). 이 물품 이송탑재 장치는, 아래쪽 및 1개 이상의 측면이 개구된 상자형상의 본체부(19)와, 본체부(19)의 바닥면과 바닥면에 인접하여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에 걸쳐 연장되는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 벨트형의 받이 부재(27)를 구비하고 있다. 물품 공급 장치로부터는, 본체부(19)의 측면의 개구를 통해 물품(16)이 공급되고, 본체부(19)의 아래쪽의 개구와 용기(17)의 개구가 대향하는 상태로, 상기 용기(17)에 물품(16)이 이송탑재된다.
본체부(19)의 측면의 개구부를 통해 물품(16)이 공급될 때는, 받이 부재(27)에 의해 물품(16)이 받아들여진다. 이 때, 받이 부재(27)는, 한쪽의 측면 측(제1 측면 측)이 고정되고 다른 쪽의 측면 측(제2 측면 측)으로부터 일정한 길이분이 송출되는 것에 의해, 아래쪽으로 휘어져 물품(16)을 받아들인다. 이 송출은, 본체부(19)의 아래쪽으로 반송(搬送)되는 용기(17)의 반송 타이밍에 따라 실시된다. 공급되는 복수의 물품(16)을 모두 받아들이면, 다시, 받이 부재(27)가 송출되고, 제2 측면 측으로부터 해방된다. 그리고, 받이 부재(27)를 제1 측면 측으로 이동시키면, 받이 부재(27)가 용기(17)로부터 인출되어, 용기(17)에 물품(16)이 수용된다. 물품(16)은, 받이 부재(27)에 의해 받아들여진 후에, 용기(17)의 바닥부에 접촉하므로, 물품(16)에 대한 충격을 억제하여 적절히 물품(16)이 이송탑재된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2-153394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이, 받이 부재가 일정한 길이분만큼 송출되어 아래쪽으로 휘면, 휨의 크기에 따른 용량을 초과하여 복수의 물품이 투입되었을 경우에, 물품이 잘 용기 중에 들어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즉, 용기의 용량이 충분해도, 복수의 물품을 잘 용기에 수용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물품이 가벼운 경우에는, 물품의 투입 후, 받이 부재가 인발(drawing)될 때 물품을 탄출(彈出)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물품을 적절히 용기에 수용할 수 있는 물품 이송탑재 장치의 제공이 요구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물품을 공급하는 물품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된 상기 물품을 수취하고, 상기 물품 공급 장치보다 아래쪽에 배치된 용기에 상기 물품을 이송탑재하는 물품 이송탑재 장치는,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시트형(sheet type)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상기 물품을 수취하는 받이 부재와, 상기 받이 부재의 한쪽 측 단부(端部)인 제1 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받이 부재의 다른 쪽 측 단부인 제2 단부의 측의 규정 영역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와, 상기 받이 부재의 자세를 변경하는 자세 변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수평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지지부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규정 영역에 있어서 상기 받이 부재를 지지하는 것, 상기 받이 부재를 해방하는 것, 및 상기 받이 부재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제1 단부의 방향으로 상기 받이 부재를 송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자세 변경부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받이 부재가 수평면을 따르는 제1 자세로 되도록 상기 받이 부재를 유지하는 제1 동작과, 상기 제2 단부의 측에 있어서 상기 받이 부재가 자유 상태로 되는 제2 자세로 되도록, 상기 제2 지지부로부터 상기 받이 부재를 해방하는 제2 동작과, 상기 받이 부재가 상기 제1 자세로부터 상기 제2 자세로 될 때까지의 동안, 상기 제2 지지부로부터 상기 받이 부재를 송출하는 제3 동작을 실행 가능하며, 상기 자세 변경부는, 상기 물품 공급 장치로부터 복수의 상기 물품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경우에, 복수의 상기 물품의 공급에 따라서, 상기 제3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자세로부터 상기 받이 부재의 송출량을 증가시키고, 모든 상기 물품이 공급된 후, 상기 제2 동작을 실행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자세 변경부는, 물품 공급 장치로부터 복수의 물품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경우에, 복수의 물품의 공급에 따라서, 받이 부재의 송출량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복수의 물품이 순차적으로 공급됨에 따라서, 받이 부재의 휨량이 커져, 받이 부재가 수취할 수 있는 용량이 커져 간다. 그러므로, 복수의 물품을 받이 부재로부터 흘러넘치게 하지 않고, 적절히 용기에 수용할 수 있다. 즉, 본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물품을 적절히 용기에 수용할 수 있는 물품 이송탑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물품 이송탑재 장치의 새로운 특징과 장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예시적 또한, 비한정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해진다.
도 1은 물품 이송탑재 장치를 구비한 소팅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물품 이송탑재 장치를 구비한 소팅 시스템의 평면도
도 3은 복수 단 소팅 장치(sorting device)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소팅 시스템의 측면도
도 5는 물품 이송탑재 장치의 본체부의 내부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물품 반송 장치 급물품 이송탑재 장치를 포함하는 소팅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
도 7은 물품 이송탑재 장치 상태 천이(遷移)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이하, 소팅 시스템[분배 시스템(assort system)]에 적용되는 형태를 예로서, 물품 이송탑재 장치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도 4를 참조하여, 소팅 시스템(PS)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팅 시스템(PS)은, 예를 들면, 통신 판매를 행하는 사업자가 보유하는 물류 설비에 구비되고, 보관되어 있는 복수의 물품(G) 중에서 필요한 물품(G)을 소팅하여 출고한다. 소팅 시스템(PS)은,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자동 창고에 보관된 복수의 물품(G)으로부터 필요한 물품(G)을 소팅하여 출고한다. 이 경우, 자동 창고에는, 복수의 물품(G)이 종류마다 용기에 수용된 상태로 보관되어 있다. 그리고, 종류마다 용기에 수용된 복수의 물품(G)은, 자동 창고로부터 자동으로 반출(搬出)되고, 도시하지 않은 물품 해체부(article unpacking portion)에 있어서 개별적인 물품(G)으로 분리된다. 그 후, 복수의 물품(G)의 각각이 개별적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물품(G)」에는, 예를 들면, 식료품이나 생활 용품 등의 각종 상품, 또는, 공장의 생산 라인 등에 있어서 사용되는 제작 중인 물품 등이며, 소팅 대상으로 되는 물품(G)에는 다양한 물건이 포함된다.
소팅 시스템(PS)은, 복수 단 소팅 장치(7)와, 복수 단 소팅 장치(7)로부터 물품(G)을 수취하고, 수취한 물품(G)을 상기 복수 단 소팅 장치(7)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인 제1 방향 X를 따라 반송하는 반출 컨베이어(8)와, 반출 컨베이어(8)로부터 물품(G)을 수취하여 상기 물품(G)을 평면에서 볼 때 제1 방향 X에 교차하는(도시한 예에서는 직교하는) 제2 방향 Y를 따라 반송하는 물품 반송 장치(10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예의 소팅 시스템(PS)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단 소팅 장치(7)에 물품(G)을 반입(搬入)하는 반입 장치(6)와, 물품 이송탑재 장치(5)를 통해 물품 반송 장치(100)로부터 물품(G)을 수취하여 반출하는 반출 장치(9)를 구비하고 있다.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물품 반송 장치(100)는, 물품 이송탑재 장치(5)에 물품(G)을 공급하는 물품 공급 장치에 상당한다. 또한, 반출 장치(9)는, 물품 공급 장치보다 아래쪽에 배치된 컨베이어[출하(出荷; shipment) 컨베이어]에 상당한다. 물품 이송탑재 장치(5)는, 반출 장치(9) 또는 반출 장치(9) 상에 설치된 용기(B)에 자동적으로 물품(G)을 이송탑재하는 자동 투입기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품 이송탑재 장치(5)는, 물품 반송 장치(100)에 대하여, 물품 반송 장치(100)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인 제2 방향 제1 측 Y1에 배치되어 있고, 물품 공급 장치로서의 물품 반송 장치(100)로부터 공급된 물품(G)을 수취하고, 반출 장치(9) 상에 설치된 용기(B)에 물품(G)을 자동 투입하는 자동 투입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반입 장치(6)는, 종류마다 용기에 수용된 상태로 자동 창고로부터 반출되고, 또한 물품 해체부에 있어서 개별적으로 분리된 물품(G)을, 순차적으로, 복수 단 소팅 장치(7)에 반입한다.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반입 장치(6)는, 컨베이어로서 구성되어 있다.
복수 단 소팅 장치(7)는, 반입 장치(6)로부터 반입된 물품(G)을 소팅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단 소팅 장치(7)는, 상하 방향의 높이가 상이한 복수 단의 칸(間口; exits)(71)을 구비하고, 물품(G)을 복수 단의 칸(71) 중 어느 하나에 소팅하여 배출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복수 단 소팅 장치(7)는, 복수 단 및 복수 열로 이루어지는 직교 격자형 배열의 복수의 칸(71)을 가지고 있다.
복수 단 소팅 장치(7)는, 오더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G)을 복수의 칸(71) 중 어느 하나에 소팅한다. 본 예에서는, 복수 단 소팅 장치(7)는, 오더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특정한 칸(71)으로부터 물품(G)을 배출하여 반출 컨베이어(8)에 인도(引渡)함으로써, 물품(G)의 소팅을 행한다. 그리고, 여기서의 오더 정보란, 예를 들면, 출하(shipment)해야 할 물품(G)(단일종이라도 되고, 복수 종류의 조합이라도 됨)의 종별(種別) 및 수량을 지정한 오더[피킹 오더(picking order)]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그리고, 복수 단 소팅 장치(7)는, 각 오더에 의해 지정된 1개 이상의 물품(G)을, 오더마다 상이한 칸(71)으로 배출함으로써, 물품(G)의 소팅을 행한다.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예를 들면, 복수 단 소팅 장치(7)는, 물품(G)을 판별하기 위한 물품 판별부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 단 소팅 장치(7)는, 물품 판별부에 의한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물품(G)을 소팅한다. 예를 들면, 물품 판별부는, 물품(G)을 촬상(撮像)하는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고, 이 카메라에 의해 취득된 화상 데이터에 대한 화상 인식 처리를 행함으로써 물품(G)을 판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물품 정보를 기억하는 IC 태그나 바코드 등(기억부)이 물품(G)에 부여되어 있고 또한, 물품 판별부가, 상기 물품 정보를 판독하는 리더(reader)(판독부)를 구비하고, 이 리더에 의해 판독한 물품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G)을 판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단 소팅 장치(7)는, 레일(72)와, 상기 레일(72)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반송 캐리지(transport carriage)(73)를 구비하고 있다. 레일(72)은, 칸(71)이 설치되는 복수 단마다, 수평 방향(제2 방향 Y)을 따라 설치되는 수평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반송 캐리지(73)는, 레일(72)의 수평 부분을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되고, 이로써, 물품(G)을 제2 방향 Y으로 반송한다. 또한, 레일(7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복수 단마다 배치되는 수평 부분을 접속하는 상하 부분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반송 캐리지(73)는, 레일(72)의 상하 부분을 따라 승강하도록 구성되고, 이로써, 복수 단마다 배치되는 수평 부분의 각각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이 경우에는, 반송 캐리지(73)의 수는, 칸(71)이 설치되는 단수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칸(71)이 설치되는 단수보다 적은 대수나 많은 대수의 반송 캐리지(73)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8단의 칸(71)에 대하여 8대의 반송 캐리지(73)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캐리지(73)의 각각은, 물품(G)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고 또한, 상기 물품(G)을 칸(71)으로부터 배출하는 배출 컨베이어(74)를 구비하고 있다. 배출 컨베이어(74)는, 반송 캐리지(73)의 주행 경로로부터 제1 방향 X로 물품(G)을 이동시킨다.
반출 컨베이어(8)는, 복수 단 소팅 장치(7)에 의해 소팅된 물품(G)을 반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출 컨베이어(8)는, 복수 단의 칸(71)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고, 복수 단 소팅 장치(7)에 의해 칸(71)으로부터 배출된 물품(G)을 일시적으로 저류(貯留)하고 또한, 상기 저장한 물품(G)을 제1 방향 X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반출 컨베이어(8)가, 복수 단의 각각에 있어서, 복수열의 칸(71)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제2 방향 Y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출 컨베이어(8)는, 오더마다의 복수의 물품(G)의 집합인 물품군 Gg 단위로 물품(G)을 반송하고, 물품 반송 장치(100)로 배출한다. 1개의 물품군 Gg를 구성하는 물품(G)의 수는, 오더마다 상이하다. 예를 들면, 오더에 따라서는, 1개의 물품(G)에 의해 1개의 물품군 Gg가 구성되는 경우도 있다.
물품 반송 장치(100)는, 물품(G)을 반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물품 공급 장치로서의 물품 반송 장치(100)는, 소팅 시스템(PS)에 있어서, 반출 컨베이어(8)로부터 배출된 물품(G)(물품군 Gg)을 제2 방향 Y로 반송하고, 물품 이송탑재 장치(5)를 통해 반출 장치(9)에 인도(引渡)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 장치(100)는, 각각 물품(G)을 반송하는 제1 컨베이어(1)와 제2 컨베이어(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물품 반송 장치(100)는, 제2 방향 Y에 있어서 제1 컨베이어(1)와 제2 컨베이어(2)와의 사이에 배치된 중간 컨베이어(3)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들 제1 컨베이어(1), 제2 컨베이어(2), 중간 컨베이어(3)는, 제어 장치(C)에 의해 구동 제어되고 있다(도 6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컨베이어(1)는, 풀리(pully)와 상기 풀리에 권취된 벨트를 구비하는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고, 벨트의 상면에 제1 반송면(F1)이 형성되어 있다. 벨트는,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제1 구동부(M1): 도 6 참조]에 의해 풀리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구동된다. 제1 구동부(M1)는, 제어 장치(C)에 의해 제어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컨베이어(1)는, 제1 반송면(F1)에 대하여 제1 방향 X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1 측벽부(S1)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측벽부(S1)는, 제1 반송면(F1)보다 위쪽으로 돌출되어, 제2 방향 Y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본 제1 측벽부(S1)에 의해, 제1 반송면(F1) 상을 반송하고 있는 물품(G)이 제1 반송면(F1)으로부터 제1 방향 X의 외측으로 탈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환언하면, 제1 측벽부(S1)에 의해, 제1 반송면(F1) 상을 반송하고 있는 물품(G)을 제2 방향 Y(반송 방향)로 적절히 안내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제1 측벽부(S1)도, 컨베이어로서 구성되어 있고, 물품(G)은, 제1 반송면(F1) 및 제1 측벽부(S1)의 양쪽에 의해, 제2 방향 Y(반송 방향)을 따라 반송된다.
도 1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컨베이어(1)는, 제1 반송면(F1)을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11)를 구비하고 있다. 승강 기구(11)는, 제어 장치(C)에 의해 제어된다(도 6 참조). 제1 컨베이어(1)가, 승강 기구(11)에 의해 제1 반송면(F1)을 승강시킴으로써,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단에 걸쳐 설치된 반출 컨베이어(8)의 각각에 대응한 높이에 제1 반송면(F1)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복수 단의 어느 쪽의 반출 컨베이어(8)로부터 물품(G)을 수취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 기구(11)는, 제1 반송면 지지부(10)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스트(mast)(111)와, 제1 반송면 지지부(10)를 승강 구동하는 승강 구동부(110)를 구비하고 있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컨베이어(2)는, 제1 컨베이어(1)보다 반송 방향의 하류측(제2 방향 제1 측 Y1)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컨베이어(2)는, 제1 반송면(F1)에 대하여 상이한 높이에 배치되고, 또한 물품(G)을 탑재한 상태로 반송하는 반송면과, 제1 구동부(M1)와는 독립적으로 반송면을 구동시키는 제2 구동부(M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컨베이어(1)와 마찬가지로, 제2 컨베이어(2)는, 풀리와 상기 풀리에 권취된 벨트를 구비하는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고, 벨트의 상면에 반송면이 형성되어 있다. 벨트는,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제2 구동부(M2): 도 6 참조]에 의해 풀리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구동된다. 제2 구동부(M2)는, 제어 장치(C)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중간 컨베이어(3)는, 제1 컨베이어(1)와 제2 컨베이어(2)와의 사이, 즉, 제1 컨베이어(1)보다 반송 방향의 하류측(제2 방향 제1 측 Y1) 또한 제2 컨베이어(2)보다 반송 방향의 상류측(제2 방향 제2 측 Y2)에 배치되어 있다. 중간 컨베이어(3)는, 제1 반송면(F1) 및 제2 컨베이어(2)의 반송면에 대하여 상이한 높이에 배치되고, 또한 물품(G)을 탑재한 상태로 반송하는 반송면과, 제1 구동부(M1) 및 제2 구동부(M2)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반송면을 구동시키는 중간 구동부(M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컨베이어(1) 및 제2 컨베이어(2)와 마찬가지로, 중간 컨베이어(3)는, 풀리와 상기 풀리에 권취된 벨트를 구비하는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고, 벨트의 상면에 반송면이 형성되어 있다. 벨트는,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중간 구동부(M3):도 6 참조]에 의해 풀리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구동된다. 중간 구동부(M3)는, 제어 장치(C)에 의해 제어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컨베이어(1)의 제1 반송면(F1)은, 수평면에 대한 제1 방향 X의 각도가 경사져 있다(예를 들면, 10°∼20°). 이로써, 제1 컨베이어(1)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G)을, 제1 반송면(F1) 상에서 제1 측벽부(S1) 측에 댄 상태로 반송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제1 반송면(F1)의 수평면에 대한 제2 방향 Y의 각도는, 0°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컨베이어(2)의 반송면은, 상하 방향에서의 높이가 제1 반송면(F1)보다 낮고, 수평면에 대한 제1 방향 X의 각도가 제1 반송면(F1)의 수평면에 대한 제1 방향 X의 각도보다 작은 각도(본 실시형태에서는, 0°)이다. 즉, 제2 컨베이어(2)의 반송면은, 수평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물품(G)을 수평면을 따라 반송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컨베이어(2)보다 반송 방향의 하류측(제2 방향 제1 측 Y1)에, 오더마다의 물품군 Gg 단위로 물품(G)을 반출 장치(9)에 투입하기 위한 물품 이송탑재 장치(5)(자동 투입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제2 컨베이어(2)의 반송면의 수평면에 대한 제2 방향 Y의 각도는, 0°로 설정되어 있다.
중간 컨베이어(3)의 반송면은, 제1 반송면(F1)과 제2 컨베이어(2)의 반송면과의 상하 방향의 사이에 배치되고, 수평면에 대한 제1 방향 X의 각도가 제1 반송면(F1)의 수평면에 대한 제1 방향 X의 각도와, 제2 컨베이어(2)의 반송면의 수평면에 대한 제1 방향 X의 각도와의 사이의 중간 각도로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물품(G)이 복수의 컨베이어 간에 있어서 반송면으로부터 반송면으로 이동할 때의 상하 방향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물품 반송 장치(100)에 의하면, 수평면에 대한 제1 방향 X의 경사 각도, 및 상하 방향에서의 높이가 서로 다른 반송면을 가지는 복수의 컨베이어 사이를 물품이 이동할 때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중간 컨베이어(3)의 반송면의 수평면에 대한 제2 방향 Y의 각도는, 0°로 설정되어 있다.
물품 이송탑재 장치(5)는, 물품 반송 장치(100)로부터 물품(G)이 공급되는 투입구(56)가 제2 방향 제2 측 Y2로 형성되고 또한, 바닥부가 개방된 상자형의 본체부(55)를 구비하고 있다. 물품 이송탑재 장치(5)는, 물품 공급 장치로서의 물품 반송 장치(100)보다 아래쪽에 설치된 반출 장치(9)의 위쪽에 본체부(55)의 바닥부가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반출 장치(9)는, 복수 단 소팅 장치(7)에 의해 소팅된 물품군 Gg 단위로, 물품(G)을 수용하는 용기(B)를 반송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품 이송탑재 장치(5)보다 제2 방향 제2 측 Y2로부터 빈 용기(B)가 순차적으로, 제2 방향 제1 측 Y1을 향해 반송되고, 물품 이송탑재 장치(5)의 아래쪽에서 물품(G)이 용기(B)에 수용된다. 그리고, 물품 이송탑재 장치(5)보다 제2 방향 제1 측 Y1을 향해 물품군 Gg 단위로 물품(G)이 수용된 용기(B)가 반송된다.
자세한 것은 도 5∼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지만, 물품 이송탑재 장치(5)는, 물품 공급 장치로서의 물품 반송 장치(100)로부터 물품(G)을 수취하는 받이 부재(50)와, 받이 부재(50)의 제1 단부(51)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81)와, 받이 부재(50)의 제2 단부(52) 측의 규정 영역(R)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82)와, 받이 부재(50)의 자세를 변경하는 자세 변경부(40)를 구비하고 있다.
도 5는, 본체부(55)의 내부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이 부재(50)는, 가요성을 가지는 시트형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받이 부재(50)는, 직사각형이며, 제1 단부(51)는 1개의 변이며, 제2 단부(52)는 제1 단부(51)의 대변(對邊; opposite side)이다. 제1 지지부(81)는, 시트형의 받이 부재(50)의 한쪽 측 단부인 제1 단부(51)를 지지한다. 제2 지지부(82)는, 시트형의 받이 부재(50)의 다른 쪽 측 단부인 제2 단부(52) 측의 규정 영역(R)을 지지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지지부(82)에 의한 규정 영역(R)에서의 지지 위치가 변경되는 것에 의해, 받이 부재(50)의 자세가 변경된다. 자세 변경부(40)는, 제1 지지부(81)에 의해 제1 단부(51)가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 지지부(82)에 의한 지지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받이 부재(50)의 자세를 변경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이송탑재 장치(5)는, 상자형의 본체부(55)의 제1 방향 X에 따른 2개의 측면부의 각각의 내측의 4개의 각부(角部) 중 하나에 배치된 구동 스프로켓(sprocket)(64)과, 3개의 각부의 각각에 배치된 종동(從動) 스프로켓(62)을 구비하고 있다. 2개의 측면부에 구비된 각각의 구동 스프로켓(64)끼리는, 쌍을 이루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 샤프트(6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구동 스프로켓(64) 및 구동 샤프트(65)는, 예를 들면,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성된 주회(周回) 구동부(M6)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또한, 2개의 측면부에 구비된 각각의 종동 스프로켓(62)끼리도, 쌍을 이루어 서로 대항하여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쌍으로 되는 종동 스프로켓(62)의 사이에, 안내 샤프트(63)가 구비되어 있다. 안내 샤프트(63)는, 시트형의 받이 부재(50)의 이동을 안내하고 또한, 받이 부재(50)를 지지하는 지지부[제1 지지부(81) 및 제2 지지부(82)]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종동 스프로켓(62)과 안내 샤프트(63)는, 상대 회전 가능해도 된다.
각각의 측면부의 내측에 배치된 1개의 구동 스프로켓(64) 및 3개의 종동 스프로켓(62)에는, 드라이브 체인(61)이 걸쳐져 있다. 구동 샤프트(65) 및 구동 스프로켓(64)이, 주회 구동부(M6)에 의해 회전 구동됨으로써, 드라이브 체인(61)이, 일정한 경로를 이동시켜 각각의 측면부의 면을 따라 주회한다. 한 쌍의 드라이브 체인(61)의 미리 규정된 위치에는, 시트형의 받이 부재(50)의 일단(一端)이 접속된 연결 부재(53)가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부재(53)는, 받이 부재(50)의 제1 단부(51)를 구성하는 변의 전역(全域)을 유지하는 강성(剛性)을 가지는 부재로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연결 부재(53)는, 받이 부재(50)의 제2 방향 Y의 전역에 걸쳐 연장되는 봉형(棒形) 부재로 되어 있다. 드라이브 체인(61)이 주회하면, 받이 부재(50)도 드라이브 체인(61)과 함께 주회한다. 주회 방향을 따라 연결 부재(53)가 설치되어 있는 측 단부가 받이 부재(50)의 제1 단부(51)이며, 주회 방향을 따라 제1 단부(51)와는 반대측 단부가 받이 부재(50)의 제2 단부(52)이다.
받이 부재(50)는, 주회 방향의 하류측인 제1 단부(51) 측에 있어서는, 연결 부재(53)를 통해 드라이브 체인(61)에 연결되어 있다. 받이 부재(50)의 상류측인 제2 단부(52)의 측은, 드라이브 체인(61)에는 연결되어 있지 않고, 주회 방향에서의 일부의 범위에 있어서, 이송 롤러(41)와 압압(押壓; pressing) 롤러(42)에 협지된다. 이송 롤러(41)는, 예를 들면,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성된 송출 구동부(M5)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송출 구동부(M5)는, 제어 장치(C)에 의해 제어된다.
이송 롤러(41)와 압압 롤러(42)에 의해 받이 부재(50)를 협지한 상태에서, 이송 롤러(41)가 회전 구동되는 것에 의해, 드라이브 체인(61)이 정지하고 있어도 받이 부재(50)를 주회 방향으로 송출할 수 있다. 이송 롤러(41)가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송 롤러(41)와 압압 롤러(42)와의 협지에 의해 받이 부재(50)의 주회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restriction)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구동 장치의 도시는 생략하지만, 압압 롤러(42)는, 이송 롤러(41)를 압압하는 상태와, 이송 롤러(41)로부터 이격되어 압압 상태로부터 해방하는 상태로 위치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이 부재(50)가 본체부(55)의 바닥부의 개구부를 막도록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받이 부재(50)의 제1 단부(51)의 측을 안내하는 안내 샤프트(63) 및 연결 부재(53)는, 받이 부재(50)의 제1 단부(51)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81)에 상당한다. 또한, 받이 부재(50)의 제2 단부(52)의 측을 안내하는 안내 샤프트(63), 이송 롤러(41), 및 압압 롤러(42)는, 받이 부재(50)를 제2 단부(52) 측에서 지지하는 제2 지지부(82)에 상당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드라이브 체인(61)이 정지하여 연결 부재(53)가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도, 제2 단부(52) 측에서는 받이 부재(50)를 주회 방향으로 송출할 수 있다. 즉, 이송 롤러(41) 및 압압 롤러(42)는, 받이 부재(50)를 주회 방향으로 송출한 상태에서, 받이 부재(50)의 주회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즉, 이송 롤러(41) 및 압압 롤러(42)는, 제2 단부(52) 측의 규정 영역(R)을 지지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지지부(81)와 제2 지지부(82)는, 수평면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부(82)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규정 영역(R)에 있어서 받이 부재(50)를 지지하는 것, 및, 받이 부재(50)를 지지한 상태로 제1 단부(51)의 방향으로 받이 부재(50)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82)는, 이송 롤러(41) 및 압압 롤러(42)보다 주회 방향의 하류측에 받이 부재(50)를 송출함으로써, 받이 부재(50)를 지지하지 않고 해방할 수 있다.
받이 부재(50)는, 도 5 및 도 7의 제1 페이스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지지부(81)와 제2 지지부(82)와의 사이에서 받이 부재(50)가 수평면을 따르는 제1 자세와, 도 7의 제4 페이스 #4, 제5 페이스 #5, 제6 페이스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단부(52) 측에 있어서 받이 부재(50)가 해방되어 자유 상태로 되는 제2 자세와, 도 7의 제2 페이스 #2, 제3 페이스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지지부(81)와 제2 지지부(82)와의 사이에서 받이 부재(50)가 수평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휜 제3 자세의 3개의 상태로 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지지부(82)가, 규정 영역(R)에 있어서 받이 부재(50)를 지지함으로써, 받이 부재(50)는 제1 자세와 제3 자세로 된다. 그리고, 제3 자세는, 제2 지지부(82)가, 제1 자세의 받이 부재(50)를 제1 단부(51)의 방향으로 송출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제2 지지부(82)가 이송 롤러(41) 및 압압 롤러(42)보다 주회 방향의 하류측으로 받이 부재(50)를 송출함으로써, 받이 부재(50)는 제2 자세로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 롤러(41)와 압압 롤러(42)에 의해 받이 부재(50)를 협지한 상태에서, 이송 롤러(41)가 회전 구동되는 것에 의해, 받이 부재(50)의 자세를 제1 자세로부터 제3 자세로 변경하고, 또한, 제3 자세로부터 제2 자세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 롤러(41), 압압 롤러(42), 및 송출 구동부(M5)는, 받이 부재(50)의 자세를 변경하는 자세 변경부(40)에 상당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세 변경부(40)는, 받이 부재(50)가 제1 자세로 되도록 받이 부재(50)를 유지하는 제1 동작과, 제2 단부(52) 측에 있어서 받이 부재(50)가 자유 상태로 되는 제2 자세로 되도록, 제2 지지부(82)로부터 받이 부재(50)를 해방하는 제2 동작과, 받이 부재(50)가 제3 자세를 형성하도록, 받이 부재(50)가 제1 자세로부터 제2 자세로 될 때까지의 동안, 제2 지지부(82)로부터 받이 부재(50)를 송출하는 제3 동작을 실행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B)에 수용되는 물품(G)은, 복수의 물품(G)에 의한 물품군 Gg를 구성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자세 변경부(40)는, 물품 반송 장치(100)로부터 복수의 물품(G)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경우에, 복수의 물품(G)의 공급에 따라서, 제3 동작에 의해 제1 자세로부터 받이 부재의 송출량을 증가시키고, 모든 물품(G)이 공급된 후, 제2 동작을 실행한다. 이로써, 복수의 물품(G)이 순차적으로 공급됨에 따라서, 받이 부재(50)의 휨량이 커져, 받이 부재(50)가 수취할 수 있는 용량이 커져 간다. 그러므로, 복수의 물품(G)을 받이 부재로부터 흘러넘치게 하지 않고, 적절히 용기에 수용할 수 있다.
제3 동작에서의 송출량은, 물품 반송 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1군의 물품군 Gg를 구성하는 물품(G)의 총량이나, 물품 반송 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1군의 물품군 Gg를 구성하는 물품(G)의 공급 시간에 따른 시간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즉, 자세 변경부(40)는, 물품 반송 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물품(G)의 총량이 많아짐에 따라서, 제2 동작을 개시할 때까지의 제3 동작에 의한 받이 부재(50)의 송출량이 많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자세 변경부(40)가 이와 같이 제어하면, 물품(G)의 총량이 많아짐에 따라서, 받이 부재(50)의 휨량이 커져, 휜 부분의 용량이 커지므로, 적절히 복수의 물품(G)을 수취하여 용기(B)에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물품(G)의 총량을 정하는 척도로서, 예를 들면, 물품(G)의 체적, 수, 중량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정보는, 제어 장치(C)가, 상위의 제어 장치 등으로부터 수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자세 변경부(40)는, 물품 반송 장치(100)로부터의 물품(G)의 공급 시간에 따른 시간, 계속하여 제3 동작에 의해 받이 부재(50)를 송출할 수 있다. 자세 변경부(40)가 이와 같이 제어하면, 공급 시간에 따른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받이 부재(50)의 휨량이 점차로 커지고, 휜 부분의 용량도 점차로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물품(G)이 공급되는 경우에, 복수의 물품(G)을 받아들일 수 있는 휨을 적절히 설정하고, 복수의 물품(G)을 적절히 용기(B)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자세 변경부(40)는, 물품 반송 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물품(G)이, 받이 부재(50) 상에서 순차적으로 실려 중첩되도록, 제3 동작에 의해 받이 부재(50)를 송출해도 된다. 자세 변경부(40)가 이와 같이 제어하면, 공급되는 물품(G)이 증가함에 따라 받이 부재(50)의 휨량이 커지므로, 복수의 물품(G)이 실려 중첩된 상태로 적절히 용기(B)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자세 변경부(40)는, 물품 반송 장치(100)로부터 1군의 물품군 Gg를 구성하는 물품(G) 중의 최초의 물품(G)이 공급되기 전에, 제3 동작을 개시하면 된다. 도 5나 도 7의 제1 페이스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 장치(100)로부터 물품(G)이 공급되기 전에는, 받이 부재(50)는 수평면을 따른 제1 자세이며, 장력(張力)이 걸린 상태이다. 그러므로, 물품 반송 장치(100)로부터 공급된 물품(G)이, 받이 부재(50)에 의해 튈 우려가 있다. 그러나, 최초의 물품(G)이 공급되기 전에, 제3 동작이 개시되어 받이 부재(50)가 휘어져 있어, 장력이 저하되므로, 물품(G)이 쉽게 튀지 않아, 적절히 받이 부재(50)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당연히, 제1 자세라도, 받이 부재(50)가 휘지 않을 정도로 장력을 저하시키게 되면, 최초의 물품(G)이 공급되면 동시에, 또는, 최초의 물품(G)이 공급되기 시작한 후에, 제3 동작이 개시되어도 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물품 이송탑재 장치(5)에 의한 복수의 물품(G)(물품군 Gg)의 이송탑재(移載; transfer)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품 반송 장치(100)로부터 물품(G)이 공급되기 전에는, 받이 부재(50)는, 제1 지지부(81) 및 제2 지지부(82)에 의해 지지된 제1 자세이다(제1 페이스 #1). 이어서, 자세 변경부(40)는, 물품(G)의 공급에 따라서, 제3 동작에 의해 제1 자세로부터 받이 부재(50)의 송출량을 증가시킨다(제2 페이스 #2, 제3 페이스 #3). 제3 페이스 #3은, 제2 페이스 #2보다 물품 반송 장치(100)로부터의 물품(G)의 공급 시간이 경과한 페이스, 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페이스 #2보다 많은 물품(G)이 공급된 페이스이다. 그러므로, 제2 페이스 #2에 비해, 제3 페이스 #3쪽이, 받이 부재#3가보다 많이 송출되고, 받이 부재(50)의 아래쪽으로의 휨이 크게 되어 있다.
1군의 물품군 Gg를 구성하는 물품(G)이 모두 공급되면, 자세 변경부(40)는, 제2 동작을 실행하고, 제2 지지부(82)로부터 받이 부재(50)를 해방한다(제4 페이스 #4). 이로써, 받이 부재(50)의 장력이 없어지고, 물품(G)은, 받이 부재(50)와 함께, 용기(B)의 바닥부에 하강한다(제5 페이스 #5). 이 때, 아래쪽으로 휜 받이 부재(50)에 의해 물품(G)은 충분히 용기(B)의 바닥부에 가까운 위치까지 하강하고 있으므로, 용기(B)와 물품(G)과의 충격이 완화된다. 이어서, 주회 구동부(M6)에 의해 드라이브 체인(61)이 구동되고, 드라이브 체인(61)에 제1 단부(51)가 고정된 받이 부재(50)가, 용기(B)로부터 인발된다(제6 페이스 #6).
이와 같이, 받이 부재(50)의 휨량을 점차로 크게 하면, 용기(B)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물품(G)을 이송탑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용기(B)에 이송탑재되는 물품(G)의 총량이 많은 경우라도, 적절히 물품(G)을 이송탑재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이하, 그 외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 설명하는 각각의 실시형태의 구성은, 각각 단독으로 적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과 조합시켜 적용할 수도 있다.
(1) 상기에 있어서는, 받이 부재(50)의 전체가 직사각형이며, 제1 단부(51)가 1개의 변이며, 제2 단부(52)가 제1 단부(51)의 대변인 형태를 예시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받이 부재(50)는 전체가 직사각형이 아니라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자세로부터 제3 자세를 거쳐 제2 자세로 도달할 때까지, 제1 지지부(81)와 제2 지지부(82)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범위가 적어도 직사각형이면 된다. 예를 들면, 제1 단부(51)의 측은, 단부를 향함에 따라 폭이 좁아지는 삼각형상이라도 된다. 상기에 있어서는,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53)가 받이 부재(50)의 제1 단부(51)를 구성하는 변의 전역을 유지하는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이 경우에는, 연결 부재(53)는 제1 단부(51) 측의 삼각형상의 정상점(頂点)을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상기에 있어서는, 제3 동작에서의 송출량이, 물품 반송 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1군의 물품군 Gg를 구성하는 물품(G)의 총량이나, 물품 반송 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1군의 물품군 Gg를 구성하는 물품(G)의 공급 시간에 따른 시간에 따라 설정되는 형태를 예시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송출량은, 물품 반송 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물품(G)의 양이나, 공급 시간과는 관계없이, 매회 일정한 비율로 일정 시간 증가하도록 제어되어도 된다.
(3) 상기에 있어서는, 투입구(56)에 공급되는 물품(G)이, 제1 컨베이어(1), 제2 컨베이어(2), 및 중간 컨베이어(3)에 의해 반송되어 오는 형태를 예시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투입구(56)에 대한 물품(G)의 공급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각종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베이어는 아니고 슬라이더를 사용하여 투입구(56)에 물품(G)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컨베이어를 사용하여 투입구(56)에 물품(G)을 공급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가, 벨트 컨베이어 이외의 컨베이어, 예를 들면, 롤러 컨베이어나 체인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4) 상기에 있어서는, 물품 이송탑재 장치(5)가 컨베이어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반출 장치(9) 또는 반출 장치(9) 상에 설치된 용기(B)에 자동적으로 물품(G)을 투입하는 형태를 예시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용기(B)는, 컨베이어 등에 의해 자동적으로 반송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작업자 등에 의해 설치되어도 된다. 즉, 물품 이송탑재 장치(5)는, 물품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된 물품(G)을 수취하고, 물품 공급 장치보다 아래쪽에 배치된 용기(B)에 물품(G)을 이송탑재 하면 되고, 용기(B)는 물품 이송탑재 장치(5)에 대하여 어떻게 설치되어도 된다.
[실시형태의 개요]
이하, 상기에 있어서 설명한 물품 이송탑재 장치의 개요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일 태양(態樣)으로서, 물품을 공급하는 물품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된 상기 물품을 수취하고, 상기 물품 공급 장치보다 아래쪽에 배치된 용기에 상기 물품을 이송탑재하는 물품 이송탑재 장치는, 가요성을 가지는 시트형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상기 물품을 수취하는 받이 부재와, 상기 받이 부재의 한쪽 측 단부인 제1 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받이 부재의 다른 쪽 측 단부인 제2 단부의 측의 규정 영역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와, 상기 받이 부재의 자세를 변경하는 자세 변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수평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지지부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규정 영역에 있어서 상기 받이 부재를 지지하는 것, 상기 받이 부재를 해방하는 것, 및 상기 받이 부재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제1 단부의 방향으로 상기 받이 부재를 송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자세 변경부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받이 부재가 수평면을 따르는 제1 자세로 되도록 상기 받이 부재를 유지하는 제1 동작과, 상기 제2 단부의 측에 있어서 상기 받이 부재가 자유 상태로 되는 제2 자세로 되도록, 상기 제2 지지부로부터 상기 받이 부재를 해방하는 제2 동작과, 상기 받이 부재가 상기 제1 자세로부터 상기 제2 자세로 될 때까지의 동안, 상기 제2 지지부로부터 상기 받이 부재를 송출하는 제3 동작을 실행 가능하며, 상기 자세 변경부는, 상기 물품 공급 장치로부터 복수의 상기 물품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경우에, 복수의 상기 물품의 공급에 따라서, 상기 제3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자세로부터 상기 받이 부재의 송출량을 증가시키고, 모든 상기 물품이 공급된 후, 상기 제2 동작을 실행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자세 변경부는, 물품 공급 장치로부터 복수의 물품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경우에, 복수의 물품의 공급에 따라서, 받이 부재의 송출량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복수의 물품이 순차적으로 공급됨에 따라서, 받이 부재의 휨량이 커져, 받이 부재가 수취할 수 있는 용량이 커져 간다. 그러므로, 복수의 물품을 받이 부재로부터 흘러넘치게 하지 않고, 적절히 용기에 수용할 수 있다. 즉, 본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물품을 적절히 용기에 수용할 수 있는 물품 이송탑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세 변경부는, 상기 물품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물품의 총량이 많아짐에 따라서, 상기 제2 동작을 개시할 때까지의 상기 제3 동작에 의한 상기 받이 부재의 상기 송출량이 많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물품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물품의 총량이 많아짐에 따라서, 받이 부재의 휨량이 커지고, 휜 부분의 용량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적절히 복수의 물품을 수취하여 용기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세 변경부는, 상기 물품 공급 장치로부터의 상기 물품의 공급 시간에 따른 시간, 계속하여 상기 제3 동작에 의해 상기 받이 부재를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공급 시간에 따른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받이 부재의 휨량이 점차로 커지고, 휜 부분의 용량도 점차로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물품이 공급되는 경우에, 복수의 물품을 받아들일 수 있는 휨을 적절히 설정하고, 복수의 물품을 적절히 용기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세 변경부는, 상기 물품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물품이, 상기 받이 부재 상에서 순차적으로 실려 중첩되도록, 상기 제3 동작에 의해 상기 받이 부재를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공급되는 물품이 증가함에 따라 받이 부재의 휨량이 커지고, 복수의 물품이 실려 중첩된 상태로 적절히 용기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세 변경부는, 상기 물품 공급 장치로부터 최초의 상기 물품이 공급되기 전에, 상기 제3 동작을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최초로 공급되는 물품으로부터 적절히 받이 부재에 의해 받아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이 부재는, 직사각형이며, 상기 제1 단부는 1개의 변이며,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단부의 대변인 것이 바람직하다.
받이 부재가 직사각형이며, 제1 단부 및 제2 단부가 대변끼리인 것에 의해, 적절히 제1 자세 및 제3 자세를 형성하고 또한, 제2 자세에 있어서 신속히 받이 부재를 제2 지지부로부터 해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는, 상기 물품 공급 장치보다 아래쪽에 배치된 컨베이어 상에 탑재되어 반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가 컨베이어에 탑재되고, 반송되므로, 물품 이송탑재 장치로부터 용기로의 물품의 투입, 및 물품이 투입된 후의 용기의 반송을 자동화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5: 물품 이송탑재 장치
9: 반출 장치(물품 공급 장치보다 아래쪽에 설치된 컨베이어)(
40: 자세 변경부
50: 받이 부재
51: 제1 단부
52: 제2 단부
81: 제1 지지부
82: 제2 지지부
100: 물품 반송 장치(물품 공급 장치)
B: 용기
G: 물품
R: 규정 영역

Claims (7)

  1. 물품을 공급하는 물품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된 상기 물품을 수취하고, 상기 물품 공급 장치보다 아래쪽에 배치된 용기에 상기 물품을 이송탑재(transfer)하는 물품 이송탑재 장치로서,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시트형(sheet type)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상기 물품을 수취하는 받이 부재;
    상기 받이 부재의 한쪽 측 단부(端部)인 제1 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상기 받이 부재의 다른 쪽 측 단부인 제2 단부의 측의 규정 영역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받이 부재의 자세를 변경하는 자세 변경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수평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지지부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규정 영역에 있어서 상기 받이 부재를 지지하는 것, 상기 받이 부재를 해방하는 것, 및 상기 받이 부재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제1 단부의 방향으로 상기 받이 부재를 송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자세 변경부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서 상기 받이 부재가 수평면을 따르는 제1 자세로 되도록 상기 받이 부재를 유지하는 제1 동작과,
    상기 제2 단부의 측에 있어서 상기 받이 부재가 자유 상태로 되는 제2 자세로 되도록, 상기 제2 지지부로부터 상기 받이 부재를 해방하는 제2 동작과,
    상기 받이 부재가 상기 제1 자세로부터 상기 제2 자세로 될 때까지의 동안, 상기 제2 지지부로부터 상기 받이 부재를 송출하는 제3 동작을 실행 가능하며,
    상기 자세 변경부는, 상기 물품 공급 장치로부터 복수의 상기 물품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경우에, 복수의 상기 물품의 공급에 따라서, 상기 제3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자세로부터 상기 받이 부재의 송출량을 증가시키고, 모든 상기 물품이 공급된 후, 상기 제2 동작을 실행하는, 물품 이송탑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변경부는, 상기 물품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물품의 총량이 많아짐에 따라서, 상기 제2 동작을 개시할 때까지의 상기 제3 동작에 의한 상기 받이 부재의 상기 송출량이 많아지도록 제어하는, 물품 이송탑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변경부는, 상기 물품 공급 장치로부터의 상기 물품의 공급 시간에 따른 시간, 계속하여 상기 제3 동작에 의해 상기 받이 부재를 송출하는, 물품 이송탑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변경부는, 상기 물품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물품이, 상기 받이 부재 상에서 순차적으로 실려 중첩되도록, 상기 제3 동작에 의해 상기 받이 부재를 송출하는, 물품 이송탑재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변경부는, 상기 물품 공급 장치로부터 최초의 상기 물품이 공급되기 전에, 상기 제3 동작을 개시하는, 물품 이송탑재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 부재는 직사각형이며, 상기 제1 단부는 1개의 변이며,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단부의 대변(對邊; opposite side)인, 물품 이송탑재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물품 공급 장치보다 아래쪽에 배치된 컨베이어 상에 탑재되어 반송되는, 물품 이송탑재 장치.
KR1020210122575A 2020-09-16 2021-09-14 물품 이송탑재 장치 KR202200368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55666A JP7439709B2 (ja) 2020-09-16 2020-09-16 物品移載装置
JPJP-P-2020-155666 2020-09-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888A true KR20220036888A (ko) 2022-03-23

Family

ID=80853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575A KR20220036888A (ko) 2020-09-16 2021-09-14 물품 이송탑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439709B2 (ko)
KR (1) KR2022003688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3394A (ja) 2011-01-26 2012-08-16 Daifuku Co Ltd 物品移載装置および物品移載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4407A (ja) * 1983-03-11 1984-10-02 日本電気株式会社 小包類の無衝撃移載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3394A (ja) 2011-01-26 2012-08-16 Daifuku Co Ltd 物品移載装置および物品移載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49448A (ja) 2022-03-29
JP7439709B2 (ja) 2024-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7710B2 (en) Apparatus for depositing a packing unit at a desired position on a load carrier
US7097045B2 (en) Automated system and method of storing and picking articles
KR101956713B1 (ko) 타워형 물품 정렬 보관장치
KR20180028013A (ko) 물품 적재 설비
JP4732796B2 (ja) 仕分け装置
JPH06263251A (ja) コンテナへの物品移載方法及び装置
KR0141351B1 (ko) 트레이의 운반 방법 및 장치
KR20220036888A (ko) 물품 이송탑재 장치
JPH06239406A (ja) 物品の集荷方法及び装置
JP4941162B2 (ja) 物品移載装置
JP4962136B2 (ja) 物品移載装置
JP7327337B2 (ja) 物品搬送装置
CN208747157U (zh) 用于包裹终端的堆叠装置和包裹终端
JP7380511B2 (ja) 物品搬送設備
JP2841266B2 (ja) 物品の取扱い装置
JP2020083510A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
JP3495778B2 (ja) 長物野菜の選別箱詰装置
JP7294293B2 (ja) 物品搬送設備
TW202317450A (zh) 物品搬送裝置
JP4182411B2 (ja) 物品搬送装置
JP7294296B2 (ja) 物品搬送装置
JP2878541B2 (ja) 集荷方法及び装置
JP2684503B2 (ja) 物品の荷受方法及び装置
KR20240004614A (ko) 분류 시스템 및 이를 작동하는 방법
JPH0958813A (ja) 個装単位切出し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