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6616A - 차체구조 - Google Patents

차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6616A
KR20220036616A KR1020200119039A KR20200119039A KR20220036616A KR 20220036616 A KR20220036616 A KR 20220036616A KR 1020200119039 A KR1020200119039 A KR 1020200119039A KR 20200119039 A KR20200119039 A KR 20200119039A KR 20220036616 A KR20220036616 A KR 20220036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vehicle
reinforcing material
cross member
moun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9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6616A/ko
Priority to US17/366,524 priority patent/US11597447B2/en
Priority to CN202110803750.2A priority patent/CN114261445A/zh
Priority to DE102021207533.9A priority patent/DE102021207533A1/de
Publication of KR20220036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6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for side imp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차체구조는, 플로어; 상기 플로어의 양측 가장자리에 연결된 한 쌍의 사이드실; 및 플로어에 장착되고,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 크로스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로스유닛은 한 쌍의 사이드실을 연결하는 로어 크로스멤버와, 상기 로어 크로스멤버의 위에 배치된 어퍼 크로스멤버와, 상기 로어 크로스멤버 및 어퍼 크로스멤버 사이에 배치된 제1보강재와, 상기 제1보강재의 양단에 개별적으로 결합된 한 쌍의 제2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체구조{VEHICLE BODY}
본 발명은 차체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측면 충돌 시에 하중을 균일하게 분산함으로써 측면 충돌성능을 개선하고 플로어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충돌테스트가 Insurance Institute for Highway Safety(IIHS)에 의해 실행(conducted)되며, IIHS에 의한 충돌테스트 조건이 강화되고 있다. 예컨대, IIHS에 의한 측면충돌 테스트조건에서 Moving Deformable Barrier(MDB)의 중량이 400Kg 만큼 증가하고, Moving Deformable Barrier(MDB)의 강도가 변경되며, 평가속도가 10KPH 만큼 증가하며, 타격 지상고가 낮아진다.
이와 같이, IIHS에 의한 충돌테스트 조건이 강화됨에 따라 IIHS 충돌테스트 시에 차체의 플로어가 과다하게 변형된다. 즉, 차체의 측면 충돌에 대해 탑승객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측면충돌 성능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량의 측면 충돌 시에 하중을 균일하게 분산함으로써 측면 충돌성능을 개선하고 플로어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체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체구조는, 플로어; 상기 플로어의 양측 가장자리에 연결된 한 쌍의 사이드실; 및 플로어에 장착되고,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 크로스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로스유닛은 한 쌍의 사이드실을 연결하는 로어 크로스멤버와, 상기 로어 크로스멤버의 위에 배치된 어퍼 크로스멤버와, 상기 로어 크로스멤버 및 어퍼 크로스멤버 사이에 배치된 제1보강재와, 상기 제1보강재의 양단에 개별적으로 결합된 한 쌍의 제2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제2보강재는 상기 제1보강재의 각 단부 및 그에 대응한 사이드실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체구조는, 상기 크로스유닛의 저면에 부착된 연료탱크 장착브라켓; 및 상기 플로어의 저면에 부착된 플로어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로어멤버는 상기 연료탱크 장착브라켓에 연결되며, 상기 플로어멤버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플로어멤버는 상기 연료탱크 장착브라켓으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플로어멤버는 상기 연료탱크 장착브라켓에 결합되는 결합플랜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체구조는, 각 사이드실의 실내측벽에 결합되는 종방향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멤버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종방향멤버의 전방단은 상기 크로스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종방향멤버는 상기 크로스유닛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재는 시트 장착브라켓이 연결되는 제1시트 장착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보강재는 시트 장착브라켓이 연결되는 제2시트 장착홀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측면충돌 시에 발생된 충돌하중이 사이드실에 가해질 때, 충돌하중은 제1보강재 및 제2보강재를 따라 차량의 폭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고, 연료탱크 장착브라켓 및 플로어멤버를 따라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종방향멤버를 따라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충돌 에너지가 균일하게 분배되고 차체의 충돌성능이 대폭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보강재가 단부 플랜지를 통해 제2보강재에 직접적으로 결합되고, 종방향멤버의 내측 플랜지가 크로스멤버의 로어 크로스멤버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며, 플로어멤버의 결합플랜지가 연료탱크 장착브라켓에 직접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차체의 강건성이 확보될 수 있고, NVH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시트 장착홀이 제1보강재에 일체로 제공되고, 제2시트 장착홀이 제2보강재에 일체로 제공됨으로써 기존과 달리 시트장착브라켓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브라켓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부품수, 중량, 및 원가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체 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체 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체 구조의 크로스유닛, 사이드실, 종방향 멤버가 연결된 구조를 상부에서 바라본 상부 사시도로서, 크로스유닛의 어퍼 크로스멤버가 생략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체 구조의 크로스유닛, 사이드실, 종방향 멤버가 연결된 구조를 저부에서 바라본 저부 사시도로서, 크로스유닛의 로어 크로스멤버가 생략되어 있다.
도 5는 도 1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C-C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D-D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체구조(10)는 플로어(1, 2) 및 플로어(1, 2)에 장착된 크로스유닛(2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로어(1, 2)는 센터 플로어(1) 및 센터 플로어(1)의 후방측 가장자리에 연결된 리어 플로어(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실(15)이 센터 플로어(1)의 양측 가장자리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차체구조(10)의 좌측부분을 예시한 것으로, 좌측의 사이드실(15)의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각 사이드실(15)은 인너 사이드실(15a) 및 아웃터 사이드실(15b)을 포함할 수 있고, 아웃터 사이드실(15b)은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인너 사이드실(15a)에 부착될 수 있다.
리어 플로어(2)는 크로스유닛(20), 사이드실(15), 종방향멤버(16) 등을 통해 센터 플로어(1)의 후방측 가장자리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방향멤버(16)가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인너 사이드실(15a)의 실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한 쌍의 종방향멤버(16)가 리어 플로어(2)의 양측가장자리에 부착될 수 있다. 리어 플로어(2)의 각 가장자리가 그에 해당하는 종방향멤버(16)에 부착될 수 있고, 이에 리어 플로어(2)의 양측가장자리가 한 쌍의 종방향멤버(16)의 상부를 개별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종방향멤버(16)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종방향멤버(16)의 길이방향 축선은 사이드실(15)의 길이방향 축선과 평행할 수 있으며, 종방향멤버(16)는 리어 플로어(2)의 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종방향멤버(16)는 리어 사이드멤버(rear side member)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차체구조(10)의 좌측에 위치한 센터 플로어(1)의 후방측 가장자리 및 이에 연결된 크로스유닛(20), 사이드실(15), 종방향멤버(16) 등을 도시한다.
센터 플로어(1)는 인텀플로어패널(3, intermediate floor panel)을 포함할 수 있고, 인텀플로어패널(3)은 센터 플로어(1)의 후방 일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인텀플로어패널(3)은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센터 플로어(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인텀플로어패널(3)은 그 사이드가장자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제1사이드플랜지(3a)와, 그 사이드 가장자리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제2사이드플랜지(3b)를 가질 수 있다. 제2사이드플랜지(3b)가 제1사이드플랜지(3a) ㅂ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제1사이드플랜지(3a)는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사이드실(15)의 인너 사이드실(15a)의 실내측벽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사이드플랜지(3b)는 인너 사이드실(15a)의 상부벽에 결합될 수 있다.
크로스유닛(20)은 센터 플로어(1)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고,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크로스유닛(20)은 플로어(1)의 후방측 가장자리에 장착될 수 있고, 크로스유닛(20)은 센터 플로어(1) 및 리어 플로어(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크로스유닛(20)은 센터 플로어(1)에 연결되는 로어 크로스멤버(21)와, 로어 크로스멤버(21)의 위에 배치된 어퍼 크로스멤버(22)와, 로어 크로스멤버(21) 및 어퍼 크로스멤버(22) 사이에 배치된 제1보강재(23)와, 제1보강재(23)의 양단에 개별적으로 결합된 한 쌍의 제2보강재(24)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크로스멤버(21)는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로어 크로스멤버(21)의 각 단부는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그에 해당하는 사이드실(15)의 인너 사이드실(15a)에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로어 크로스멤버(21)는 한 쌍의 사이드실(15)을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결할 수 있다. 로어 크로스멤버(21)는 그 하측가장자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하측플랜지(21a) 및 그 상측가장자리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상측플랜지(21b)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크로스멤버(21)의 하측플랜지(21a)는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센터 플로어(1)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하측플랜지(21a)의 적어도 일부는 센터 플로어(1)의 인텀플로어패널(3)에 결합될 수 있다. 로어 크로스멤버(21)의 상측플랜지(21b)는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어퍼 크로스멤버(22)에 결합될 수 있다.
어퍼 크로스멤버(22)는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어퍼 크로스멤버(22)의 길이는 로어 크로스멤버(21)의 길이와 유사 내지 동일할 수 있다. 어퍼 크로스멤버(22)는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로어 크로스멤버(21)의 하측플랜지(21a) 및 상측플랜지(21b)에 결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로어 크로스멤버(21) 및 어퍼 크로스멤버(22)는 폐쇄형 횡단면(closed transverse cross-section)을 형성할 수 있다.
제1보강재(23)는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제1보강재(23)의 길이는 로어 크로스멤버(21)의 길이 및 어퍼 크로스멤버(22)의 길이 보다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다. 제1보강재(23)는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로어 크로스멤버(2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보강재(23)는 제1보강재(23)의 각 단부로부터 그에 해당하는 제2보강재(24)를 향해 연장된 단부 플랜지(23a)를 가질 수 있고, 제1보강재(23)의 단부 플랜지(23a)는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제2보강재(24)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보강재(24)는 제1보강재(23)에 직접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1보강재(23) 및 제2보강재(24)는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제1로드패스(L1, 도 3 참조)를 한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보강재(23)는 차량 시트의 장착을 위한 시트 장착브라켓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1시트 장착홀(41)을 가질 수 있고, 어퍼 크로스멤버(22)는 제1보강재(23)의 제1시트 장착홀(41)에 대응하는 관통홀(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볼트(9a) 및 너트(9b)가 제1보강재(23)의 제1시트 장착홀(41) 및 어퍼 크로스멤버(22)의 관통홀에 장착됨으로써 차량 시트(7)의 시트 장착브라켓(8)이 제1보강재(23)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시트 장착홀(41)이 제1보강재(23)에 일체로 제공됨으로써 기존과 달리 시트장착브라켓의 연결을 위한 별도의 브라켓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그 중량 및 원가 등을 절감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보강재(24)는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제1보강재(23)의 양단에 개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차량의 좌측에 위치한 제2보강재(24)가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제1보강재(23)의 좌측단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차량의 우측에 위치한 제2보강재(24)가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제1보강재(23)의 우측단에 결합될 수 있다.
각 제2보강재(24)는 로어 크로스멤버(21), 센터 플로어(1)의 인텀플로어패널(3)에 결합될 수 있다. 각 제2보강재(24)는 차량의 상부를 향하는 상측가장자리와, 차량의 하부를 향하는 하측가장자리와, 사이드실(15)을 향하는 제1단부와, 제1보강재(23)를 향하는 제2단부를 가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각 제2보강재(24)는 제2보강재(24)의 상측가장자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상측플랜지(24a)와, 제2보강재(24)의 제1단부로부터 사이드실(15)을 향해 연장된 제1사이드플랜지(24b)와, 제2보강재(24)의 제2단부로부터 제1보강재(23)를 향해 연장된 제2사이드플랜지(24c)와, 제2보강재(24)의 하측가장자리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하측플랜지(24d)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제2보강재(24)의 상측플랜지(24a)는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로어 크로스멤버(21)에 결합될 수 있고, 각 제2보강재(24)의 제1사이드플랜지(24b)는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인텀플로어패널(3)의 측벽 및/또는 사이드실(15)의 인너 사이드실(15a)의 실내측벽에 결합될 수 있다. 각 제2보강재(24)의 제2사이드플랜지(24c)는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제1보강재(23)의 각 단부에 결합될 수 있고, 각 제2보강재(24)의 하측플랜지(24d)는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센터 플로어(1)의 인텀플로어패널(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제2보강재(24)는 제1보강재(23)의 각 단부 및 그에 대응하는 사이드실(15)을 연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이드실(15)에 가해진 하중이 크로스유닛(20)을 통해 차량의 폭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각 제2보강재(24)는 로어 크로스멤버(21) 및 센터 플로어(1)의 인텀플로어패널(3)을 연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이드실(15)에 가해진 하중이 센터 플로어(1)를 통해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보강재(24)는 차량 시트의 장착을 위한 시트 장착브라켓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2시트 장착홀(42)을 가질 수 있고, 어퍼 크로스멤버(22)는 제2보강재(24)의 제2시트 장착홀(42)에 대응하는 관통홀(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제1보강재(23)의 제1시트 장착홀(41)과 유사하게 볼트 및 너트가 제2보강재(24)의 시트 장착홀(42) 및 어퍼 크로스멤버(22)의 관통홀에 결합됨으로써 차량 시트의 시트 장착브라켓이 제2보강재(24)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시트 장착홀(41)이 제2보강재(24)에 일체로 제공됨으로써 기존과 달리 시트장착브라켓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브라켓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그 중량 및 원가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연료탱크 장착브라켓(30)이 크로스유닛(20)의 저면에 부착될 수 있고, 특히 연료탱크 장착브라켓(30)은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크로스유닛(20)의 로어 크로스멤버(2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연료탱크(5)가 연료탱크 장착브라켓(30)을 통해 연료탱크 장착브라켓(30)에 장착될 수 있고, 연료탱크(5)의 장착플랜지가 볼트(4a) 및 너트(4b)를 통해 연료탱크 장착브라켓(30)의 장착홀(31, 도 4 참조)에 장착될 수 있다.
플로어멤버(17)가 연료탱크 장착브라켓(30)과 인접할 수 있고, 플로어멤버(17)는 센터 플로어(1)의 저면에 부착될 수 있다. 플로어멤버(17)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특히 플로어멤버(17)는 연료탱크 장착브라켓(30)으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플로어멤버(17)는 결합플랜지(17a)를 가질 수 있고, 플로어멤버(17)의 결합플랜지(17a)는 도 6과 같이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연료탱크 장착브라켓(3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연료탱크 장착브라켓(30)이 크로스유닛(20)에 부착될 수 있고, 한 쌍의 연료탱크 장착브라켓(30)은 차량의 길이방향 중심축선(central longitudinal axis)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한 쌍의 플로어멤버(17)가 센터 플로어(1)의 저면에 부착될 수 있고, 한 쌍의 플로어멤버(17)가 차량의 길이방향 중심축선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각 플로어멤버(17)가 결합플랜지(17a)를 통해 그에 해당하는 연료탱크 장착브라켓(30)에 직접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각 플로어멤버(17) 및 연료탱크 장착브라켓(30)은 제2로드패스(L2, 도 3 참조)를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정할 수 있다.
종방향멤버(16)는 리어 플로어(2)의 저면에 부착될 수 있고, 종방향멤버(16)의 전방단은 센터 플로어(1)의 인텀플로어패널(3) 및 크로스유닛(20)에 연결될 수 있다. 종방향멤버(16)는 크로스유닛(20)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종방향멤버(16)는 차량의 실내를 향해 연장된 내측 플랜지(16a)를 가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종방향멤버(16)의 내측 플랜지(16a)는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크로스유닛(20)의 로어 크로스멤버(21)에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종방향멤버(16)는 크로스멤버(21)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방향멤버(16)가 크로스멤버(21)에 직접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종방향멤버(16)는 차량의 길이방향에 따라 제3로드패스(L3, 도 3 참조)를 한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측면충돌 시에 발생된 충돌하중이 사이드실(15)에 가해질 때, 충돌하중이 제1로드패스(L1)를 따라 차량의 폭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고, 제2로드패스(L2) 및 제3로드패스(L3)를 통해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충돌 에너지가 균일하게 분배되고 차체의 충돌성능이 대폭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보강재(23)가 단부 플랜지(23a)를 통해 제2보강재(24)에 직접적으로 결합되고, 종방향멤버(16)의 내측 플랜지(16a)가 크로스유닛(20)의 로어 크로스멤버(21)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며, 플로어멤버(17)의 결합플랜지(17a)가 연료탱크 장착브라켓(30)에 직접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차체의 강건성이 확보될 수 있고, NVH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시트 장착홀(41)이 제1보강재(23)에 일체로 제공되고, 제2시트 장착홀(42)이 제2보강재(24)에 일체로 제공됨으로써 기존과 달리 시트장착브라켓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브라켓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부품수, 중량, 및 원가 등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센터 플로어 2: 리어 플로어
3: 인텀플로어패널 10: 차체구조
15: 사이드실 16: 종방향멤버
17: 플로어멤버 20: 크로스유닛
21: 로어 크로스멤버 22: 어퍼 크로스멤버
23: 제1보강재 24: 제2보강재
30: 연료탱크 장착브라켓 41: 제1시트 장착홀
42: 제2시트 장착홀

Claims (8)

  1. 플로어;
    상기 플로어의 양측 가장자리에 연결된 한 쌍의 사이드실; 및
    플로어에 장착되고,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 크로스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유닛은 한 쌍의 사이드실을 연결하는 로어 크로스멤버와, 상기 로어 크로스멤버의 위에 배치된 어퍼 크로스멤버와, 상기 로어 크로스멤버 및 어퍼 크로스멤버 사이에 배치된 제1보강재와, 상기 제1보강재의 양단에 개별적으로 결합된 한 쌍의 제2보강재를 포함하는 차체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제2보강재는 상기 제1보강재의 각 단부 및 그에 대응한 사이드실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차체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유닛의 저면에 부착된 연료탱크 장착브라켓; 및
    상기 플로어의 저면에 부착된 플로어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로어멤버는 상기 연료탱크 장착브라켓에 연결되며, 상기 플로어멤버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차체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멤버는 상기 연료탱크 장착브라켓으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차체구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멤버는 상기 연료탱크 장착브라켓에 결합되는 결합플랜지를 가지는 차체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사이드실의 실내측벽에 결합되는 종방향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멤버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종방향멤버의 전방단은 상기 크로스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종방향멤버는 상기 크로스유닛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 차체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재는 시트 장착브라켓이 연결되는 제1시트 장착홀을 가지는 차체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재는 시트 장착브라켓이 연결되는 제2시트 장착홀을 가지는 차체구조.
KR1020200119039A 2020-09-16 2020-09-16 차체구조 KR2022003661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039A KR20220036616A (ko) 2020-09-16 2020-09-16 차체구조
US17/366,524 US11597447B2 (en) 2020-09-16 2021-07-02 Vehicle body
CN202110803750.2A CN114261445A (zh) 2020-09-16 2021-07-15 车体
DE102021207533.9A DE102021207533A1 (de) 2020-09-16 2021-07-15 Fahrzeugkarosseri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039A KR20220036616A (ko) 2020-09-16 2020-09-16 차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616A true KR20220036616A (ko) 2022-03-23

Family

ID=80351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039A KR20220036616A (ko) 2020-09-16 2020-09-16 차체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97447B2 (ko)
KR (1) KR20220036616A (ko)
CN (1) CN114261445A (ko)
DE (1) DE1020212075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785A (ko) * 2020-10-13 2022-04-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차체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4596B2 (en) * 2003-10-16 2006-09-12 Honda Motor Co., Ltd. Vehicle body structure
JP2010120404A (ja) * 2008-11-17 2010-06-03 Toyota Motor Corp 車両のフロア構造
JP6447616B2 (ja) * 2016-11-15 2019-0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DE102018132258A1 (de) * 2018-12-14 2020-06-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nergiespeicher-Bodengruppe für einen Kraftwagenrohbau
DE102018132255A1 (de) * 2018-12-14 2020-06-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nergiespeicher-Bodengruppe für einen Kraftwagenrohbau
KR102610755B1 (ko) * 2019-01-22 2023-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플로어 구조
JP7144385B2 (ja) * 2019-09-26 2022-09-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のボディ
KR20210071619A (ko) * 2019-12-06 2021-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크로스멤버 및 이를 포함한 차량용 플로어구조
KR20210076430A (ko) * 2019-12-16 2021-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플로어구조
KR20220003385A (ko) * 2020-07-01 2022-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멤버
KR20220072553A (ko) * 2020-11-25 2022-06-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261445A (zh) 2022-04-01
DE102021207533A1 (de) 2022-03-17
US11597447B2 (en) 2023-03-07
US20220081041A1 (en)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2528B1 (ko) 차량의차체구조
US5653495A (en) Reinforced door aperture frame for reducing deformation from offset collisions
US11148623B2 (en) Bumper cross-member
US10597091B2 (en) Vehicle front body structure
US8662574B2 (en) Body structure for motor vehicle
KR20210076430A (ko) 차량 플로어구조
CN114056432A (zh) 车辆前部结构
KR20210075605A (ko) 전방 차체 보강 구조물
KR20220036616A (ko) 차체구조
EP0677436B1 (en) Arrangement for absorbing vehicle collision energy
US11260913B2 (en) Front pillar structure for vehicle
CN213008402U (zh) 车身以及具有其的车辆
US9580029B2 (en) Bumper assemblies including a bumper cover reinforcement and vehicles incorporating the same
CN210133195U (zh) 门槛梁总成
JPS6320619Y2 (ko)
KR20210057620A (ko) 차량용 전방구조
CN219838625U (zh) 车辆
CN114056433B (zh) 车辆的下部车身结构
US11603141B2 (en) Rear side body structure of vehicle
WO2023189029A1 (ja) 車体構造、および、車体構造の設計方法
CN219487577U (zh) 车辆前地板下纵梁结构及车辆
KR102262583B1 (ko) 차체 구조
JP2024070024A (ja) 車体構造
KR20230073797A (ko) 차량 센터필러구조
CN117048702A (zh) 抗偏置碰撞的副车架及车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