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3797A - 차량 센터필러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센터필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3797A
KR20230073797A KR1020210160554A KR20210160554A KR20230073797A KR 20230073797 A KR20230073797 A KR 20230073797A KR 1020210160554 A KR1020210160554 A KR 1020210160554A KR 20210160554 A KR20210160554 A KR 20210160554A KR 20230073797 A KR20230073797 A KR 20230073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sill
center pillar
wall
coupled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창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0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3797A/ko
Priority to US17/847,489 priority patent/US11993317B2/en
Priority to CN202210850257.0A priority patent/CN116142313A/zh
Publication of KR20230073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3797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for side imp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차량 센터필러구조는, 하측 연결부를 가진 센터필러; 상기 센터필러의 하측 연결부가 결합되는 중간 연결부를 가진 사이드실; 상기 센터필러의 실내면에 결합되는 필러 보강재; 및 상기 사이드실의 실내면에 결합되는 사이드실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러 보강재 및 상기 사이드실 보강재가 사이드실의 중간 연결부에 개별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필러 보강재 및 상기 사이드실 보강재는 상기 사이드실의 중간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를 샌드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센터필러구조{VEHICLE CENTER PILLAR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 센터필러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충돌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 센터필러구조에 관한 것이다.
IIHS(Insurance Institute for Highway Safety) 측면충돌테스트(side impact test)는 실제 차량의 측면 충돌 현상을 모사하고 실제 필드사고를 재현하기 위한 테스트이다. 2022년부터 새롭게 개정될 예정인 IIHS 측면충돌테스트에서는, 차체와 타격하는 MDB(Moving Deformable Barrier)의 하중 및 강도가 보다 증가한다. 이에 개정될 예정인 IIHS 측면충돌테스트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도록 차량의 전체적인 강성 및 강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차량용 센터필러는 차체의 골격강성을 유지하고 충돌성능(crash performance) 및 천장강도(roof strength) 등을 개선하여 승객실을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센터필러의 하부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사이드실에 결합된다. 차량의 측면충돌 시에 센터필러의 하부 및 사이드실 사이의 조인트부에 하중이 집중될 수 있고, 센터필러의 하부 및 사이드실 사이의 조인트부는 충돌하중으로 인해 과도하게 변형(벤딩)될 수 있다. 센터필러의 하부 및 사이드실 사이의 일부 중첩된 부분들이 점용접을 통해 결합된다. 센터필러의 하부 및 사이드실 사이의 조인트부에 대한 강성, 강도 등을 강화하기 위하여 필러 보강재가 센터필러의 하부에 장착되고, 복수의 벌크헤드가 사이드실의 내측 캐비티에 장착된다.
하지만, 차량의 측면 충돌 시에, 센터필러의 하부 및 사이드실 사이의 조인트부가 쉽게 변형되고, 센터필러의 하부가 승객실 내로 쉽게 밀릴 수 있다. 이에, 차량의 측면충돌 시에 배터리 및 승객실이 안전하게 보호받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2022년에 개정될 예정인 IIHS 측면충돌테스트에서 MDB의 하중 및 강도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센터필러의 하부 및 사이드실 사이의 조인트부에 대한 강성, 강도 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센터필러의 하부 및 사이드실 사이의 조인트부에 대한 강성, 강도 등을 강화함으로써 차량의 측면충돌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 센터필러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센터필러구조는, 하측 연결부를 가진 센터필러; 상기 센터필러의 하측 연결부가 결합되는 중간 연결부를 가진 사이드실; 상기 센터필러의 실내면에 결합되는 필러 보강재; 및 상기 사이드실의 실내면에 결합되는 사이드실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러 보강재 및 상기 사이드실 보강재가 사이드실의 중간 연결부에 개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러 보강재 및 상기 사이드실 보강재는 상기 사이드실의 중간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를 샌드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러 보강재 및 사이드실 보강재가 사이드실의 중간 연결부에 개별적으로 결합되고, 필러 보강재 및 사이드실 보강재가 사이드실의 중간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를 샌드위치함으로써 필러 보강재 및 사이드실 보강재는 센터필러의 하측 연결부를 사이드실의 중간 연결부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센터필러의 하측 연결부 및 사이드실의 중간 연결부 사이의 결합강성이 대폭 강화될 수 있다.
상기 필러 보강재는 상기 센터필러의 하측 결합부에 결합되는 측벽과, 상기 사이드실의 중간 연결부의 상부벽에 결합되는 하측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러 보강재의 측벽이 센터필러의 하측 연결부에 결합됨과 더불어, 필러 보강재의 하측 플랜지가 사이드실의 중간 연결부의 상부벽에 결합됨으로써 센터필러의 하측 연결부는 필러 보강재를 통해 사이드실의 중간 연결부에 보다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필러 보강재는 그 하측 플랜지를 통해 센터필러의 하측 연결부 및 사이드실의 중간 연결부 사이의 연결강성을 강화할 수 있다. .
상기 사이드실 보강재는 상기 사이드실의 중간 연결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연결부는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실외측벽과, 차량의 상부를 향하는 상부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이드실의 중간 연결부는 사이드실 보강재에 의해 그 자체적인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실 보강재는 상기 중간 연결부의 실외측벽에 결합되는 측벽과, 상기 중간 연결부의 상부벽에 결합되는 상부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러 보강재의 하측 플랜지 및 상기 사이드실 보강재의 상부벽은 상기 중간 연결부의 상부벽의 적어도 일부를 샌드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러 보강재의 하측 플랜지 및 사이드실 보강재의 상부벽이 중간 연결부의 상부벽에 대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으므로 필러 보강재의 하측 플랜지 및 사이드실의 중간 연결부의 상부벽 사이의 연결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상기 센터필러의 하측 연결부는 상기 중간 연결부의 실외측벽의 실외면에 결합되는 실외측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측 연결부의 실외측벽 및 상기 사이드실 보강재의 측벽은 중간 연결부의 실외측벽을 샌드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센터필러의 하측 연결부 및 사이드실 보강재의 측벽이 중간 연결부의 실외측벽에 대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으므로, 센터필러의 하측 연결부 및 사이드실의 중간 연결부 사이의 연결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센터필러구조는, 상기 사이드실의 중간 연결부 및 상기 사이드실 보강재에 결합된 복수의 벌크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이드실 보강재는 복수의 벌크헤드를 사이드실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할 수 있고, 사이드실의 중간 연결부는 복수의 벌크헤드 및 사이드실 보강재에 의해 그 자체적인 강성 및 강도가 강화될 수 있다.
상기 하측 연결부는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하측 전방벽과,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하측 후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러 보강재는 상기 하측 연결부의 하측 전방벽에 결합되는 전방벽과, 상기 하측 연결부의 하측 후방벽에 결합되는 후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센터필러의 하부 및 사이드실 사이의 조인트부에 대한 강성, 강도 등을 강화함으로써 차량의 측면충돌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터필러의 하측 연결부 및 사이드실의 중간 연결부 사이의 조인트부에서, 필러 보강재의 하측 플랜지가 사이드실의 중간 연결부의 상부벽의 실외면에 결합되고, 사이드실 보강재의 상부벽이 사이드실의 중간 연결부의 상부벽의 실내면에 결합됨으로써 센터필러의 하측 연결부 및 사이드실의 중간 연결부는 "T"자형 구조로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센터필러의 하측 결합부 및 사이드실의 중간 연결부 사이의 조인트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터필러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터필러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터필러구조에서 필러 보강재가 센터필러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터필러구조에서 사이드실 보강재가 사이드실의 중간 연결부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터필러구조를 차량의 실내에서 바라본 부분 절취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터필러구조(10)는 센터필러(11)와, 센터필러(11)의 하부가 결합되는 사이드실(5)을 포함할 수 있다.
센터필러(11)는 프론트시트 및 리어시트 사이에 위치한 필러로서, 센터필러(11)는 차체의 사이드개구의 중간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고, 차량의 측면충돌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터필러(11)는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센터필러 아웃터 및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센터필러 인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2,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센터필러(11)는 센터필러 아웃터로 지칭될 수도 있고, 센터필러 인너는 생략된다.
센터필러(11)는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전방벽(21, front wall)과,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후방벽(22, rear wall)과,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실외측벽(25, outboard side wall)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벽(21)은 실외측벽(25)의 전방측 가장자리에 제공될 수 있고, 후방벽(22)은 실외측벽(25)의 후방측 가장자리에 제공될 수 있다. 전방플랜지(23, front flange)가 전방벽(21)으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고, 후방플랜지(24, rear flange)가 후방벽(22)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센터필러(11)는 그 하부에 제공된 하측 연결부(13, lower connection portion)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 연결부(13)는 연속적인 단일체로서 센터필러(11)로부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the lower connection portion 13 extends as an one continuous piece from center pillar 11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er pillar 11). 즉, 하측 연결부(13) 및 센터필러(11)는 센터필러(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된 단일체(unitary one piece)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하측 연결부(13)의 단면은 센터필러(11)의 단면에 대해 센터필러(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될 수 있다. 하측 연결부(13)는 그 상단으로부터 그 하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측 연결부(13)는 센터필러(11)의 메인바디의 폭 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고, 하측 연결부(13)가 사이드실(5)의 중간부에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특히, 하측 연결부(13)는 센터필러(11)의 전방벽(21)으로부터 연장된 하측 전방벽(31, lower front wall)와, 센터필러(11)의 후방벽(22)으로부터 연장된 하측 후방벽(32, lower rear wall)와, 센터필러(11)의 실외측벽(25)으로부터 연장된 하측 실외측벽(35, lower outboard side wall)을 포함할 수 있다. 하측 전방벽(31)은 하측 실외측벽(35)의 전방측 가장자리에 제공될 수 있고, 하측 후방벽(32)은 하측 실외측벽(35)의 후방측 가장자리에 제공될 수 있다. 하측 전방플랜지(33)가 하측 전방벽(31)으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고, 하측 후방플랜지(34)가 하측 후방벽(32)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실(5)이 차량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고, 각 사이드실(5)은 차량의 각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각 사이드실(5)은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사이드실 아웃터 및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사이드실 인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2,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사이드실(5)은 사이드실 아웃터로 지칭될 수도 있고, 사이드실 인너는 생략된다.
도 1,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필러 보강재(15)가 센터필러(11)의 실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필러 보강재(15)는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전방벽(41)과,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후방벽(42)과, 전방벽(41) 및 바닥벽(43) 사이에 위치한 측벽(45)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벽(41)은 측벽(45)의 전방측에 제공될 수 있고, 후방벽(42)은 측벽(45)의 후방측에 제공될 수 있다.
필러 보강재(15)의 전방벽(41)은 센터필러(11)의 전방벽(21) 및 하측 연결부(13)의 전방벽(31)에 부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필러 보강재(15)의 전방벽(41)은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센터필러(11)의 전방벽(21) 및 하측 연결부(13)의 하측 전방벽(31)에 결합될 수 있다.
필러 보강재(15)의 후방벽(42)은 센터필러(11)의 후방벽(22) 및 하측 연결부(13)의 후방벽(32)에 부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필러 보강재(15)의 후방벽(42)은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센터필러(11)의 후방벽(22) 및 하측 연결부(13)의 하측 후방벽(32)에 결합될 수 있다.
필러 보강재(15)의 측벽(45)은 센터필러(11)의 실외측벽(25) 및 하측 연결부(13)의 실외측벽(35)에 부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필러 보강재(15)의 측벽(45)은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센터필러(11)의 실외측벽(25) 및 하측 연결부(13)의 하측 실외측벽(35)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폐쇄형 캐비티(65)가 필러 보강재(15)의 측벽(45)과 센터필러(11)의 실외측벽(25) 사이에 한정될 수 있다. 이에 센터필러(11)는 필러 보강재(15) 및 폐쇄형 캐비티(65)에 의해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필러 보강재(15)는 측벽(45)의 하단에 제공된 하측 플랜지(43)를 포함할 수 있다. 필러 보강재(15)의 하측 플랜지(43)는 점용접 등을 통해 사이드실(5)의 중간 연결부(1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센터필러(11)의 하측 연결부(13)가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사이드실(5)의 중간부에 결합됨으로써 조인트부가 센터필러(11)의 하측 연결부(13) 및 사이드실(5)의 중간부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실(5)은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실외측벽과, 차량의 상부를 향하는 상부벽과, 차량의 하부를 향하는 바닥벽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이드실(5)은 상측 플랜지(6) 및 하측 플랜지(7)를 가질 수 있다. 사이드실(5)은 상측 플랜지(6)의 중간부에 제공된 중간 연결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필러(11)의 하측 연결부(13)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사이드실(5)의 중간 연결부(12)에 결합될 수 있다.
중간 연결부(12)는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실외측벽(61)과, 차량의 상부를 향하는 상부벽(62)과, 차량의 하부를 향하는 바닥벽(63)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연결부(12)의 실외측벽(61)은 사이드실(5)의 실외측벽에 정렬될 수 있고, 중간 연결부(12)의 상부벽(62)은 사이드실(5)의 상부벽에 정렬될 수 있으며, 중간 연결부(120의 바닥벽(63)은 사이드실(5)의 바닥벽에 정렬될 수 있다.
중간 연결부(12)는 그 상부에 제공된 한 쌍의 돌기(12a)와, 한 쌍의 돌기(12a) 사이에 위치한 홈(12b)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돌기(12a)는 센터필러(11)의 하측 연결부(13)의 하측 전방플랜지(33) 및 하측 후방플랜지(34)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하측 연결부(13)의 하측 전방플랜지(33) 및 하측 후방플랜지(34)가 점용접 등을 통해 사이드실(5)의 중간 연결부(12)에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필러 보강재(15)의 하측 플랜지(43)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사이드실(5)의 중간 연결부(12)의 상부벽(62)에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필러 보강재(15)의 전방벽(41), 후방벽(42), 및 측벽(45)이 센터필러(11)의 하측 연결부(13)에 결합됨과 더불어, 필러 보강재(15)의 하측 플랜지(43)가 사이드실(5)의 중간 연결부(12)의 상부벽(62)에 결합됨으로써 센터필러(11)의 하측 연결부(13)는 필러 보강재(15)를 통해 사이드실(5)의 중간 연결부(12)에 보다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필러 보강재(15)는 그 하측 플랜지(43)를 통해 센터필러(11)의 하측 연결부(13) 및 사이드실(5)의 중간 연결부(12) 사이의 연결강성을 강화할 수 있다. .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사이드실 보강재(14)가 사이드실(5)의 중간 연결부(12)의 실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실(5)의 중간 연결부(12)는 사이드실 보강재(14)에 의해 그 자체적인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이드실 보강재(14)는 중간 연결부(12)의 실외측벽(61)에 결합되는 측벽(51)과, 중간 연결부(12)의 상부벽(62)에 결합되는 상부벽(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사이드실 보강재(14)는 "L"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1,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벌크헤드(16)가 사이드실(5)의 중간 연결부(12)의 실내면 및 사이드실 보강재(14)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벌크헤드(16)는 한 쌍의 장착플랜지(66)를 가질 수 있다. 각 장착플랜지(66)는 중간 연결부(12)의 실외측벽(61), 상부벽(62), 바닥벽(63)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각 벌크헤드(16)의 장착플랜지(66)들은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중간 연결부(12)의 실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각 벌크헤드(16)의 장착플랜지(66)들의 적어도 일부면은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사이드실 보강재(14)의 측벽(51) 및 상부벽(5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이드실 보강재(14)는 복수의 벌크헤드(16)를 사이드실(5)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할 수 있고, 사이드실(5)의 중간 연결부(12)는 복수의 벌크헤드(16) 및 사이드실 보강재(14)에 의해 그 자체적인 강성 및 강도가 강화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센터필러(11)의 하측 연결부(13)의 실외측벽(35)은 복수의 점용접(W1)을 통해 사이드실(5)의 중간 연결부(12)의 실외측벽(61)의 실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하측 연결부(13)의 실외측벽(35)과 중간 연결부(12)의 실외측벽(61) 사이의 접합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으므로 센터필러(11)의 하측 연결부(13)는 사이드실(5)의 중간 연결부(12)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실 보강재(14)의 측벽(51)은 복수의 점용접(W2)을 통해 사이드실(5)의 중간 연결부(12)의 실외측벽(61)의 실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측 연결부(13)의 실외측벽(35) 및 사이드실 보강재(14)의 측벽(51)은 중간 연결부(12)의 실외측벽(61)을 사이에 두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함으로써 하측 연결부(13)의 실외측벽(35) 및 사이드실 보강재(14)의 측벽(51)은 중간 연결부(12)의 실외측벽(61)을 샌드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센터필러(11)의 하측 연결부(13) 및 사이드실 보강재(14)의 측벽(51)이 사이드실(5)의 중간 연결부(12)의 실외측벽(61)에 대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으므로, 센터필러(11)의 하측 연결부(13) 및 사이드실(5)의 중간 연결부(12) 사이의 연결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이드실 보강재(14)의 상부벽(52)은 복수의 점용접(W3)을 통해 사이드실(5)의 중간 연결부(12)의 상부벽(62)의 실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필러 보강재(15)의 하측 플랜지(43)는 복수의 점용접(W4)을 통해 사이드실(5)의 중간 연결부(12)의 상부벽(62)의 실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필러 보강재(15)의 하측 플랜지(43) 및 사이드실 보강재(14)의 상부벽(52)이 중간 연결부(12)의 상부벽(62)을 사이에 두고 서로 간에 중첩(대향)됨으로써 필러 보강재(15)의 하측 플랜지(43) 및 사이드실 보강재(14)의 상부벽(52)은 중간 연결부(12)의 상부벽(62)의 일부분을 샌드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러 보강재(15)의 하측 플랜지(43) 및 사이드실 보강재(14)의 상부벽(52)이 중간 연결부(12)의 상부벽(62)에 대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으므로 필러 보강재(15)의 하측 플랜지(43) 및 사이드실(5)의 중간 연결부(12)의 상부벽(62) 사이의 연결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센터필러(11)의 하측 연결부(13) 및 사이드실(5)의 중간 연결부(2) 사이의 조인트부에서, 필러 보강재(15)의 하측 플랜지(43)가 사이드실(5)의 중간 연결부(12)의 상부벽(62)의 실외면에 결합되고, 사이드실 보강재(14)의 상부벽(52)이 사이드실(5)의 중간 연결부(12)의 상부벽(62)의 실내면에 결합됨으로써 센터필러(11)의 하측 연결부(13) 및 사이드실(5)의 중간 연결부(12)는 "T"자형 구조로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센터필러(11)의 하측 연결부(13) 및 사이드실(5)의 중간 연결부(12) 사이의 조인트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 사이드실 10: 센터필러구조
11: 센터필러 12: 중간 연결부
13: 하측 연결부 15: 필러 보강재
16: 벌크헤드 21: 전방벽(센터필러)
22: 후방벽(센터필러) 23: 전방플랜지(센터필러)
24: 후방플랜지(센터필러) 25: 실외측벽(센터필러)
31: 하측 전방벽(하측 연결부) 32: 하측 후방벽(하측 연결부)
33: 하측 전방플랜지(하측 연결부) 34: 하측 후방플랜지(하측 연결부)
35: 하측 실외측벽(하측 연결부) 41: 전방벽(필러 보강재)
42: 후방벽(필러 보강재) 43: 하측 플랜지(필러 보강재)
45: 측벽(필러 보강재) 61: 실외측벽
62: 상부벽 63: 바닥벽

Claims (9)

  1. 하측 연결부를 가진 센터필러;
    상기 센터필러의 하측 연결부가 결합되는 중간 연결부를 가진 사이드실;
    상기 센터필러의 실내면에 결합되는 필러 보강재; 및
    상기 사이드실의 실내면에 결합되는 사이드실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필러 보강재 및 상기 사이드실 보강재가 상기 사이드실의 중간 연결부에 결합되는 차량 센터필러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러 보강재는 상기 센터필러의 하측 결합부에 결합되는 측벽과, 상기 사이드실의 중간 연결부의 상부벽에 결합되는 하측 플랜지를 포함하는 차량 센터필러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실 보강재는 상기 사이드실의 중간 연결부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중간 연결부는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실외측벽과, 차량의 상부를 향하는 상부벽을 포함하는 차량 센터필러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실 보강재는 상기 중간 연결부의 실외측벽에 결합되는 측벽과, 상기 중간 연결부의 상부벽에 결합되는 상부벽을 포함하는 차량 센터필러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필러 보강재의 하측 플랜지 및 상기 사이드실 보강재의 상부벽은 상기 중간 연결부의 상부벽의 적어도 일부를 샌드위치하도록 구성된 차량 센터필러구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측 연결부는 상기 중간 연결부의 실외측벽의 실외면에 결합되는 실외측벽을 가지고,
    상기 하측 연결부의 실외측벽 및 상기 사이드실 보강재의 측벽은 중간 연결부의 실외측벽을 샌드위치하도록 구성된 차량 센터필러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실의 중간 연결부 및 상기 사이드실 보강재에 결합된 복수의 벌크헤드를 더 포함하는 차량 센터필러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측 연결부는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하측 전방벽과,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하측 후방벽을 더 포함하는 차량 센터필러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필러 보강재는 상기 하측 연결부의 하측 전방벽에 결합되는 전방벽과, 상기 하측 연결부의 하측 후방벽에 결합되는 후방벽을 더 포함하는 차량 센터필러구조.


KR1020210160554A 2021-11-19 2021-11-19 차량 센터필러구조 Pending KR2023007379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554A KR20230073797A (ko) 2021-11-19 2021-11-19 차량 센터필러구조
US17/847,489 US11993317B2 (en) 2021-11-19 2022-06-23 Vehicle center pillar structure
CN202210850257.0A CN116142313A (zh) 2021-11-19 2022-07-19 车辆中柱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554A KR20230073797A (ko) 2021-11-19 2021-11-19 차량 센터필러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797A true KR20230073797A (ko) 2023-05-26

Family

ID=86349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554A Pending KR20230073797A (ko) 2021-11-19 2021-11-19 차량 센터필러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93317B2 (ko)
KR (1) KR20230073797A (ko)
CN (1) CN116142313A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2902B2 (ja) 1992-08-24 2001-07-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のセンタピラー下部構造
JP3182970B2 (ja) 1993-03-10 2001-07-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の構造
JP3492922B2 (ja) 1998-09-17 2004-02-0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ピラー下部補強構造
JP2007062409A (ja) 2005-08-29 2007-03-15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車体構造
JP4718337B2 (ja) 2006-01-24 2011-07-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シルの補強構造
JP5054467B2 (ja) 2007-08-29 2012-10-2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側部車体構造
JP2009101727A (ja) 2007-10-19 2009-05-14 Toyota Motor Corp 車体側部構造
US8662575B2 (en) 2009-12-22 2014-03-04 Honda Motor Co., Ltd. Vehicle chassis side structure
CN103140410A (zh) 2010-09-28 2013-06-05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身结构
KR20140075482A (ko) 2012-12-11 2014-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측방 하부차체구조
JP6612684B2 (ja) * 2016-06-16 2019-11-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側部構造
JP7259580B2 (ja) 2019-06-18 2023-04-18 マツダ株式会社 側部車体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59110A1 (en) 2023-05-25
CN116142313A (zh) 2023-05-23
US11993317B2 (en) 202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8623B2 (en) Bumper cross-member
US10967908B2 (en) Vehicle body lower structure
US9688311B2 (en) Vehicle body front portion structure
US8585134B2 (en) Vehicle body lower structure
EP2123496B1 (en) Automotive door with enhanced side collision performance
KR19980070976A (ko) 차량의 차체 구조
EP2412612B1 (en) Side sill structure for automobile
KR102681705B1 (ko) 차량용 프론트필러구조
US20170101133A1 (en) Vehicle body side structure
US10293862B1 (en) Side sill assembly reinforced with a tube and box-shaped brackets
WO2015146903A1 (ja) 車体側部構造
KR20200070766A (ko) 차체 구조
KR102645056B1 (ko) 차량용 센터필러 조립체
KR20220036616A (ko) 차체구조
KR20230073797A (ko) 차량 센터필러구조
KR102621715B1 (ko) 차량용 격벽구조
US12240524B2 (en) Vehicle rear portion structure
KR102429509B1 (ko) 차량용 사이드구조
CN215398945U (zh) 车辆后轮罩总成和车辆
KR20230139223A (ko) 차체구조
KR101427957B1 (ko) 차량의 필러구조
JP2022089486A (ja) 車体前部構造
KR102681711B1 (ko) 차량용 사이드구조
JP4341558B2 (ja) 車体構造
KR101655195B1 (ko) 차체 멤버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차체 멤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10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