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6156A - 분산 투입형 투약장치 - Google Patents

분산 투입형 투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6156A
KR20220036156A KR1020200118407A KR20200118407A KR20220036156A KR 20220036156 A KR20220036156 A KR 20220036156A KR 1020200118407 A KR1020200118407 A KR 1020200118407A KR 20200118407 A KR20200118407 A KR 20200118407A KR 20220036156 A KR20220036156 A KR 20220036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medication
drug
sealing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4122B1 (ko
Inventor
최수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일개발
최수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일개발, 최수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일개발
Priority to KR1020200118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122B1/ko
Publication of KR20220036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4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omprising means for injection of two or more media, e.g. by mix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5Multiple needle devices, e.g. a plurality of needles arranged coaxially or in parall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A61M2005/142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with needle inser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58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for vascular access, e.g. blood stream acc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64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with multiple inlets or multiple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76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for introducing or removing fluids into or out of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분산 투입형 투약장치는 투약기 고정유닛과 투약관 연결유닛이 탈장착되는 분산 투입형 투약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약기 고정유닛은, 상부 중앙이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제 1 실링부와, 상기 제 1 실링부의 하부 내측으로 함몰되어 양측 하방향으로 유로가 형성되며 일측에 배치된 유로의 하단에 제 1 주사바늘 삽입공 및 타측에 배치된 유로의 하단에 제 2 주사바늘 삽입공이 형성되는 약물수용부와, 상기 약물수용부의 상부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투약관 연결유닛의 투약바늘이 삽입 배치되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제 2 실링부를 포함하는 고정몸체; 상기 고정몸체의 제 1 실링부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삽입되며 하부 일측에 제 1 바늘수용홈 및 타측에 제 2 바늘수용홈이 형성되는 제 1 실링마개와, 상기 고정몸체의 제 2 실링부에 삽입되어 상기 투약바늘이 관통되는 제 2 실링마개를 포함하는 마개부재; 및 상기 고정몸체의 제 1, 2 주사바늘 삽입공으로 각각 삽입되어 수직되게 고정되며, 상단이 상기 마개부재의 제 1, 2 바늘수용홈에 배치되고, 하단이 환자의 피부에 꽂혀지는 제 1, 2 주사바늘;을 포함하고, 상기 투약관 연결유닛의 투약바늘을 통해 상기 약물수용부에 약물이 채워져 상기 제 1, 2 주사바늘로 약물이 분산되어 환자에게 투여되게 한다.

Description

분산 투입형 투약장치{Distributed Dosing Device}
본 발명은 환자의 피하지방으로 주사바늘이 삽입된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약물이 투약되는 분산 투입형 투약기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이자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인 인슐린이 부족하여 일어나는 대사 이상에 근거한 질환으로서, 혈당치가 정상인보다 지나치게 높아짐으로써, 각종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고, 방치할 경우 당뇨병성 혼수에 빠져 사망할 수 있는 질병이다.
1997년 International Expert Committee에서는 당뇨병을 발병 원인에 따라 1형 당뇨병과 2형 당뇨병으로 분류하였다. 1형 당뇨병은 인슐린 결핍이 원인으로 인슐린 투여가 필수적이며 최근에는 췌장 이식 및 췌장소도 이식 등이 시도되고 있다. 2형 당뇨병은 말초 조직에서 인슐린의 이용을 저하와 저항성이 원인으로 인슐린의 저항성과 요구량을 낮추는데 치료 중점을 두고 있으며 식사, 운동 요법과 더불어 경구용 혈당 강하제 복용이 주 치료법이나 수술, 케톤산증, 임신, 포도당 독성의 해소나 경구용 혈당강하제로 조절되지 않는 경우는 인슐린의 투여가 필요하다.
특히, 1형 당뇨병에 있어서 인슐린 펌프를 이용한 치료법은 개별 환자의 상태에 맞게 결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24시간 동안 소량의 인슐린이 지속적으로 주입되며 식사 전에는 간단한 펌프 조작을 통해 일정량의 인슐린을 주사하게 된다. 인슐린 펌프를 이용한 치료는 주사 부위의 피부감염과 염증 및 피하지방 뭉침, 주사바늘 막힘, 기계 작동 이상으로 인슐린 투여가 중단될 경우 고혈당과 케톤산증이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당뇨병 환자들은 주사바늘을 한 번 사용하고 나면, 환자 개인이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여러번 재사용해도 감염에 별 문제가 없을 것이라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생각으로 인해 사용했던 주사바늘을 다시 재사용하여 피부감염이 발생하거나 주사바늘의 반복 사용으로 인한 변형된 바늘이 환자의 피부에 잘못 삽입되어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5271호 '주입 세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신체 내부로 하나의 캐뉼러를 통해 유체를 전달하기 위해 기초 조립부에 장착되도록 기초 조립부는 일반적으로 부착 층에 의해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캐뉼러가 막히게 되면 다시 피부에서 분리하여 장치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다시 환자에게 캐뉼러가 꽂히면서 환자에게 고통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527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약물이 제 1, 2 주사바늘로 분산되어 투여됨으로써, 환자에게 약물 투여시 발생하는 주사부위의 뭉침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제 1, 2 주사바늘 중 어느 하나가 막히더라도 다른 하나의 주사바늘을 통해 약물이 원활하게 공급되는 분산 투입형 투약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투입형 투약장치는 투약기 고정유닛과 투약관 연결유닛이 탈장착되는 분산 투입형 투약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약기 고정유닛은, 상부 중앙이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제 1 실링부와, 상기 제 1 실링부의 하부 내측으로 함몰되어 양측 하방향으로 유로가 형성되며 일측에 배치된 유로의 하단에 제 1 주사바늘 삽입공 및 타측에 배치된 유로의 하단에 제 2 주사바늘 삽입공이 형성되는 약물수용부와, 상기 약물수용부의 상부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투약관 연결유닛의 투약바늘이 삽입 배치되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제 2 실링부를 포함하는 고정몸체; 상기 고정몸체의 제 1 실링부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삽입되며 하부 일측에 제 1 바늘수용홈 및 타측에 제 2 바늘수용홈이 형성되는 제 1 실링마개와, 상기 고정몸체의 제 2 실링부에 삽입되어 상기 투약바늘이 관통되는 제 2 실링마개를 포함하는 마개부재; 및 상기 고정몸체의 제 1, 2 주사바늘 삽입공으로 각각 삽입되어 수직되게 고정되며, 상단이 상기 마개부재의 제 1, 2 바늘수용홈에 배치되고, 하단이 환자의 피부에 꽂혀지는 제 1, 2 주사바늘;을 포함하고, 상기 투약관 연결유닛의 투약바늘을 통해 상기 약물수용부에 약물이 채워져 상기 제 1, 2 주사바늘로 약물이 분산되어 환자에게 투여되게 한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의 제 1 실링부는, 양단이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져, 외벽을 따라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실링마개의 삽입을 유도하는 제 1 삽입유도체; 상기 제 1 삽입유도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실링마개가 삽입되는 제 1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몸체의 제 2 실링부는, 원형으로 이루어져, 외벽을 따라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2 실링마개의 삽입을 유도하는 제 2 삽입유도체; 상기 제 2 삽입유도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실링마개가 삽입되는 제 2 삽입홈; 상기 제 2 삽입홈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투약바늘의 일단이 배치되는 투약바늘 삽입공; 및 상기 투약바늘 삽입공의 일측면에서 상기 약물수용부로 연결되며, 상기 투약바늘로부터 약물이 투입되는 투입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링마개는, 하부면 양측에 각각 타원형상으로 음각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제 1, 2 밀착돌기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몸체의 약물수용부는, 상부 양측에 상기 제 1, 2 밀착돌기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1, 2 밀착돌기홈에 각각 삽입되어 내부를 밀폐시키는 제 1, 2 밀착돌기; 상기 제 1, 2 밀착돌기 사이가 연결되게 하여 상기 제 1, 2 주사바늘 측으로 약물을 분배시키는 분배유로; 및 상기 분배유로의 양단 하부에 배치되며, 하부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2 주사바늘 삽입공의 상부로 각각 연결되는 제 1, 2 약물수용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배유로의 양끝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2 약물수용공 측으로 하향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약물이 상기 제 1, 2 약물수용공 측으로 균일하게 유입되게 하는 약물분배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약기 고정유닛은, 상기 고정몸체의 하면에 결합되며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상기 투약기 고정유닛을 고정시키는 부착시트와, 상기 부착시트의 하면에 부착되어 사용전 상기 부착시트에 이물질이 닿지 않도록 탈부착되는 박리지를 포함하는 부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2 주사바늘이 환자의 피부에 꽂혀진 상태에서 상기 부착부재에 의해 피부에 고정되어 투약시 상기 제 1, 2 주사바늘을 다시 꽂혀지는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 투입형 투약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분산 투입형 투약장치의 제 1, 2 주사바늘이 환자의 피부에 동시에 꽂혀진, 약물이 제 1, 2 주사바늘을 통해 분산되어 투여됨으로써 주사부위의 위축이나 부종, 멍울이 발행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제 1, 2 주사바늘 중 어느 하나가 막히더라도 다른 하나의 주사바늘을 통해 약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실링마개가 제 2 실링부에 삽입되고, 제 1 실링마개가 제 1 실링부에 삽입되면서 실링마개의 하단이 약물수용부의 상단에 밀착 고정되어 약물수용부의 내부가 밀폐되는 동시에 약물이 제 1, 2 주사바늘의 상부로 안정적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링부가 약물수용부의 타측으로 연통되어, 제 2 실링부로 주입된 약물이 제 2 약물수용공 내에 채워지면서 분배유로를 통해 제 1 약물수용공으로 균일하게 분배되며, 약물수용부 내부에 채워진 약물이 제 1, 2 주사바늘로 분산되어 환자에게 투여됨으로써 약물 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1, 2 주사바늘이 환자의 피부에 꽂혀진 상태에서 투약기 고정유닛의 하면에 결합된 부착시트에 의해 피부에 부착 고정되고, 약물 투여시 제 1, 2 주사바늘이 여러번 꽂혀질 필요없어 환자의 고통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투약관 연결유닛만 간편하게 교체하여 새로운 투약바늘을 통해 투약기 고정유닛에 약물을 주입함으로써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산 투입형 투약장치는 보호캡부재가 제 1, 2 주사바늘을 보호하여 제 1, 2 주사바늘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투약장치 사용 전 사용자가 제 1, 2 주사바늘에 의해 찔리거나 다치지 않도록 보호하여 미연의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2 고정링이 제 1, 2 주사바늘 외주면에 각각 삽입되어 제 1, 2 주사바늘 삽입구의 하단에 삽입되면서 끼임고정되며, 제 1, 2 고정링에 의해 제 1, 2 주사바늘이 제 1, 2 주사바늘 삽입구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 1, 2 주사바늘 삽입구와 제 1, 2 주사바늘 사이가 실링되어 약물이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투입형 투약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정몸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 1 실링마개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2 주사바늘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조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종래의 분산 투입형 투약장치에 비해 약물이 제 1, 2 주사바늘로 분산되어 투여됨으로써, 환자에게 약물 투여시 발생하는 주사부위의 뭉침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제 1, 2 주사바늘 중 어느 하나가 막히더라도 다른 하나의 주사바늘을 통해 약물이 원활하게 공급되는 분산 투입형 투약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간략하게 "투약장치"로 호칭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투약장치의 상하좌우 방향에 대하여, 도 1에 도시된 투약장치의 정면을 기준으로 좌측방향을 '일측', 우측방향을 '타측'으로 규정하고, 지면방향을 '하방향', 반대 방향을 '상방향'으로 규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 투입형 투약장치는 주로 당뇨병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인슐린을 투여하는 투약장치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약물의 투약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투입형 투약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정몸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투약장치는 환자의 피부에 2개의 주사바늘이 주사되어 약물을 분산시켜 투여함으로써 빈번한 주사 투여로 인한 주사부위 뭉침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주사바늘 중 어느 하나가 막히더라도 다른 하나의 주사바늘을 통해 약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투약기 고정유닛(10)과 투약관 연결유닛(20)이 탈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투약기 고정유닛(10)은 약물이 환자에게 균일하게 분산되어 투여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투약기 고정유닛(10)은 고정몸체(100), 마개부재(200), 주사바늘부재(300), 부착부재(400), 보호캡부재(50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고정몸체(100)는 투약기 고정유닛(10)의 내부에 약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갖춘 케이스로, 투약관 연결유닛(20)으로부터 약물을 공급받아 고정몸체(100)의 내부압력에 의해 주사바늘부재(300)로 분배되어 환자에게 투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고정몸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링부(110), 약물수용부(120), 제 2 실링부(13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실링부(110)는 제 1 실링마개(210)가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밀폐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주사바늘부재(300)가 상부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 1 실링부(110)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제 1 삽입유도체(111)와 제 1 삽입홈(112)이 갖추어질 수 있다.
제 1 삽입유도체(111)는 고정몸체(100)의 상단에 배치되어, 양단이 설정직경의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며, 두 타원형상 사이가 설정직경보다 좁은 폭을 가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1 삽입유도체(111)는 외벽을 따라 고정몸체(100)의 상단면보다 높게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제 1 실링마개(210)가 외벽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내부로 삽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삽입유도체(111)는 제 1 실링마개(210)가 삽입된 후 열지그에 의해 내측으로 오므려져 제 1 실링마개(210)가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 1 삽입홈(112)은 제 1 삽입유도체(111)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며, 제 1 실링마개(210)가 삽입되어 내부가 밀폐될 수 있도록 갖추어진다. 따라서, 제 1 삽입홈(112)은 내벽이 제 1 실링마개(210)의 외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제 1 삽입홈(112)에 삽입된 제 1 실링마개(210)가 다시 탈거될 수 없게 되어 내부의 압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약물수용부(120)는 제 1 실링부(110)의 하부 내측으로 함몰되어 약물이 수용되며, 양측 하방향으로 유로가 형성되어 약물이 분산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약물수용부(120)는 제 1, 2 밀착돌기(121a, 121b), 분배유로(122), 제 1, 2 약물수용공(123a, 123b), 제 1, 2 주사바늘 삽입공(124a, 124b)의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제 1, 2 밀착돌기(121a, 121b)는 약물수용부(120)의 상부 양측으로 제 1 실링부(110)의 외벽에서 이격된 위치에 타원형상이 돌출형성되며, 제 1 실링부(110)에 제 1 실링마개(210) 삽입시 제 1 실링마개(21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약물수용부(120)의 내부가 밀폐된다. 이러한 제 1, 2 밀착돌기(121a, 121b)는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제 1 실링마개(210)와 접촉면적을 넓혀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분배유로(122)는 제 1, 2 밀착돌기(121a, 121b) 사이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주사바늘부재(300)의 위치인 양갈래로 약물을 분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분배유로(122)는 양끝단에 약물분배면(125)이 대칭되게 형성되어, 제 1, 2 약물수용공(123a, 123b) 측으로 하향 기울어져 약물이 제 1, 2 약물수용공(123a, 123b) 측으로 균일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돕는다.
제 1, 2 약물수용공(123a, 123b)은 분배유로(122)의 양단 하부에 배치되며, 하부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유로가 형성되어, 분배유로(122)로부터 분배된 약물이 하부로 모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 1, 2 약물수용공(123a, 123b)은 주입된 약물이 내벽의 기울어진 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하단부터 채워지게 되는데, 제 1 약물수용공(123a)이 먼저 채워진 후 분배유로(122)를 통해 약물이 제 2 약물수용공(123b)으로 공급되면서 점차 상부로 채워지게 된다.
제 1, 2 주사바늘 삽입공(124a, 124b)은 제 1, 2 약물수용공(123a, 123b)의 하부로 연장되어 약물수용부(120)의 하단에 각각 배치되며, 내부에 주사바늘부재(300)가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제 1, 2 주사바늘 삽입공(124a, 124b)은 주사바늘부재(300)의 직경보다 0.5~1mm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1, 2 주사바늘 삽입공(124a, 124b)이 주사바늘부재(300)보다 1mm 이상 클 경우에는 접착체 또는 고정링을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주사바늘부재(3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 1, 2 주사바늘 삽입공(124a, 124b)은 주사바늘부재(300)를 고정시키기 위해 접착제 사용시 제 1, 2 약물수용공(123a, 123b)을 통해 접착제가 주입되면서 하부로 채워진 후 응고되며, 제 1, 2 주사바늘 삽입공(124a, 124b)에 주사바늘부재(300)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때, 접착제는 제 1, 2 주사바늘 삽입공(124a, 124b)에 주사바늘부재(300)를 고정시켜 주사바늘부재(30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투약장치를 환자에게 사용시 주사바늘부재(300)가 빠지면서 환자의 몸속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2 주사바늘 삽입공(124a, 124b)과 주사바늘부재(300) 사이에 접착제가 결합되면서 외부로 누수가 발생되지 않아 방수가 유지된다. 투약장치 사용시 고정몸체(100) 내부로 약물이 주입되면서 내부 압력 상승하게 되고, 내부 압력 상승으로 인해 접착제가 떨어지지 않도록 접착력이 우수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상태를 유지시킨다.
제 2 실링부(130)는 약물 투여시 투약관 연결유닛(20)의 투약바늘(21)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며, 약물수용부(120)로 약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 2 실링부(130)는 약물수용부(120)의 타측으로 연통되어, 제 2 실링부(130)로 주입된 약물이 제 2 약물수용공(123b) 내에 채워지면서 분배유로(122)를 통해 제 1 약물수용공(123a)으로 균일하게 분배된다. 그리고 약물수용부(120) 내부에 채워진 약물이 주사바늘부재(300)로 분산되어 환자에게 투여됨으로써 약물 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2 실링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삽입유도체(131), 제 2 삽입홈(132), 투약바늘 삽입공(133), 투입통로(134)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삽입유도체(131)는 고정몸체(100)의 타단에 배치되어 설정직경의 원형으로 형성되며, 외벽을 따라 고정몸체(100)의 측방향으로 타측면보다 더 높게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 2 삽입유도체(131)는 제 2 실링마개(220)가 외벽을 따라 내부로 삽입되도록 유도하여 안정적으로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삽입유도체(131)는 제 2 실링마개(220)가 삽입된 후 열지그에 의해 내측으로 오므려져 제 2 실링마개(220)가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 2 삽입홈(132)은 제 2 삽입유도체(131)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며, 제 2 실링마개(220)가 삽입되어 내부가 밀폐될 수 있도록 갖추어진다. 따라서, 제 2 삽입홈(132)은 내벽이 제 2 실링마개(220)의 외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제 2 삽입홈(132)에 삽입된 제 2 실링마개(220)가 다시 탈거될 수 없게 되어 내부의 압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투약바늘 삽입공(133)은 제 2 삽입홈(132)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 2 삽입홈(132)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제 2 삽입홈(132)의 일측면에 제 2 실링마개(2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약바늘 삽입공(133)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며, 제 2 삽입홈(132)을 통해 삽입된 투약바늘(21)의 끝단이 배치된다.
투입통로(134)는 투약바늘 삽입공(133)의 일측면에서 약물수용부(120)로 연결되며, 투약바늘 삽입공(133)의 일측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투입통로(134)는 투약바늘(21)로부터 주입된 약물이 약물수용부(120)로 공급되는 속도를 빠르게 하여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투입형 투약장치의 제 1 실링마개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과 3을 참조하면, 마개부재(200)는 고정몸체(100)의 실링부에 삽입되어 약물수용부(120) 내부를 밀폐시키는 구성으로, 실링부에 삽입된 후 탈거될 수 없도록 갖추어진다. 이러한 마개부재(200)는 제 1 실링부(110)와 제 2 실링부(130)에 각각 삽입되는 제 1 실링마개(210)와 제 2 실링마개(220)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실링마개(210)는 제 1 실링부(110)에 삽입되며 제 2 실링마개(220)는 제 2 실링부(130)에 삽입되고, 제 1 실링마개(210)의 하단이 약물수용부(120)의 상단에 밀착 고정되어 약물수용부(120)의 내부가 밀폐되는 동시에 약물이 주사바늘부재(300)의 상부로 안정적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실링마개(210)와 제 2 실링마개(220)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나 물이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방수기능 및 약물이 외부로 흘러 나오지 않도록 방지하는 누수방지기능을 갖는다.
상세히, 제 1 실링마개(210)는 고정몸체(100)의 제 1 실링부(11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양단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며, 두 타원형상 사이를 연결하는 폭이 타원의 직경보다 좁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 1 실링부(110)의 제 1 삽입홈(112)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실링마개(210)는 약물수용부(120)의 내부가 완전히 밀폐될 수 있도록 제 1, 2 바늘수용홈(211a, 211b)과 제 1, 2 밀착돌기홈(212a, 212b)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2 바늘수용홈(211a, 211b)은 하부 일측에 제 1 바늘수용홈(211a)이 형성되고, 하부 타측에 제 2 바늘수용홈(211b)이 형성되어, 주사바늘부재(300)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2 바늘수용홈(211a, 211b)은 내부 공간으로 약물이 채워져 주사바늘부재(300)의 상단으로 약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갖추어진다. 따라서, 제 1, 2 바늘수용홈(211a, 211b)은 제 1 실링부(110)로 삽입된 주사바늘부재(300)의 상단을 보호하는 동시에 약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전달한다.
제 1, 2 밀착돌기홈(212a, 212b)은 제 1, 2 바늘수용홈(211a, 211b)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제 1 실링마개(210)의 하부면 양측에 각각 타원형상으로 음각되어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2 밀착돌기홈(212a, 212b)은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약물수용부(120)의 제 1, 2 밀착돌기(121a, 121b)에 밀착되어 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약물수용부(120) 내부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실링마개(220)는 고정몸체(100)의 제 2 실링부(13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원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2 삽입홈(13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 2 실링마개(220)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져, 투약바늘(21)이 쉽게 관통되어 투약바늘 삽입공(133)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갖추어진다. 이러한 제 2 실링마개(220)는 환자에게 약물을 투여한 후 투약바늘(21)을 제거하더라도 수축되었던 면이 복원되면서 약물수용부(120)의 밀폐상태가 유지된다.
주사바늘부재(300)는 2개의 주사바늘로 이루어져 환자의 피부에 동시에 꽂혀져 약물이 분산되어 투여될 수 있도록 제 1, 2 주사바늘 삽입공(124a, 124b)에 장착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주사바늘부재(300)는 제 1, 2 주사바늘(310, 320)로 이루어져, 고정몸체(100)의 제 1, 2 주사바늘 삽입공(124a, 124b)에 각각 수직되게 고정된다. 그리고 주사바늘부재(300)는 상단이 마개부재(200)의 제 1, 2 바늘 수용홈(211a, 211b)에 각각 배치되며, 하단이 환자의 피부에 꽂혀져 약물이 투약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2 주사바늘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2 주사바늘(310, 320)은 제 1, 2 주사바늘 삽입공(124a, 124b)보다 1mm 이상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제 1, 2 주사바늘(310, 320)의 외주면에 제 1, 2 고정링(311, 321)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 1, 2 고정링(311, 321)은 탄성소재로 이루어져, 제 1, 2 주사바늘 삽입공(124a, 124b)의 하단에 삽입되면서 끼임 고정되어 제 1, 2 주사바늘(310, 320)과 제 1, 2 고정링(311, 321) 사이로 약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2 주사바늘(310, 320)은 고정링 외에도 접착제와 같은 다른 구성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 고정링(311, 321)은 원형이나 사각형상의 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 1, 2 주사바늘(310, 320)과 제 1, 2 고정링(311, 321) 사이의 틈새를 메워주는 동시에 제 1, 2 주사바늘(310, 320)이 제자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시켜줄 수 있다. 이때, 제 1, 2 고정링(311, 321)은 제 1, 2 주사바늘(310, 320)이 제 1, 2 실링부(110, 130)를 통해 삽입된 후 제 1, 2 주사바늘(310, 320)의 하부로 삽입되어 제 1, 2 주사바늘 삽입공(124a, 124b)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 고정링(311, 321)은 상부가 사각형상의 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원판 형상이 갖추어질 수 있다. 이때, 제 1, 2 고정링(311, 321)은 상부가 제 1, 2 주사바늘(310, 320)과 제 1, 2 고정링(311, 321) 사이에 삽입되고, 하부가 고정몸체(100)의 하부면을 감싸면서 제 1, 2 주사바늘(310, 320)이 안정적으로 수직되게 고정될 수 있다.
부착부재(400)는 투약기 고정유닛(10)이 환자의 몸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부착시트(410)와 박리지(42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시트(410)는 고정몸체(100)의 하면에 결합되며,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투약기 고정유닛(10)을 고정시킨다. 박리지(420)는 부착시트(410)의 하면에 부착되어 사용전 부착시트(410)에 이물질이 닿지 않도록 탈부착된다.
특히, 부착부재(400)는 제 1, 2 주사바늘(310, 320)이 환자의 피부에 꽂혀진 상태에서 부착부재(400)에 의해 피부에 고정되며, 환자에게 약물을 투약하기 위해 제 1, 2 주사바늘(310, 320)이 다시 꽂혀지는 동작이 반복 수행되지 않아 빈번한 주사로 인해 발생하는 주사부위 뭉침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환자의 고통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보호캡부재(500)는 주사바늘부재(300)가 손상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 고정몸체(100)의 하부면에 제 1, 2 주사바늘 삽입공(124a, 124b)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설정깊이의 제 1, 2 삽입유도홈(141, 142)이 형성되어 보호캡부재(500)가 삽입된다. 이때, 보호캡부재(500)는 제 1, 2 삽입유도홈(141, 142)은 내벽을 따라 삽입되면서 밀착 고정되어, 외부로부터 제 1, 2 주사바늘(310, 320)을 보호하여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캡부재(500)는 투약장치 사용 전 사용자가 제 1, 2 주사바늘(310, 320)에 의해 찔리거나 다치지 않도록 보호하여 미연의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투약관 연결유닛(20)은 투약기 고정유닛(10)으로부터 탈장착되는 구조로, 환자에게 약물 투여시 투약기 고정유닛(10)에 장착되어 약물 주입 펌프를 통해 투약관 연결유닛(20)으로 약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투약관 연결유닛(20)은 투약바늘(21), 투약관 연결몸체(22), 투약관(23), 펌프 연결소체(24)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투약바늘(21)은 제 2 실링부(130)에 삽입된 제 2 실링마개(220)를 관통하여 투약바늘 삽입공(133)에 배치된다. 이때, 투약바늘(21)은 제 2 실링마개(220)를 관통할 수 있도록 단단한 소재의 바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약관 연결몸체(22)는 투약기 고정유닛(10)에 탈장착되며, 일단에 투약바늘(21)이 삽입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투약관 연결몸체(22)는 사용자에 의해 투약기 고정유닛(10)에 쉽게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간편하게 교체하여 새로운 투약바늘(21)을 통해 투약기 고정유닛(10)에 약물을 주입함으로써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투약관(23)은 길이가 긴 호스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투약관 연결몸체(22)의 타단에 삽입되며, 투약바늘(21)의 타단과 연결되어 구비된다. 이때, 투약관(23)은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약물을 관을 통해 이동시킨다.
펌프 연결소체(24)는 투약관(23)의 타단에 삽입되며, 약물 주입 펌프와 결합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펌프 연결소체(24)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약물 주입 펌프가 작동되면서 압력에 의해 약물이 투약관(23) 내부로 주기적으로 주입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분산 투입형 투약장치
10 : 투약기 고정유닛
100 : 고정몸체
110 : 제 1 실링부
111 : 제 1 삽입유도체
112 : 제 1 삽입홈
120 : 약물수용부
121a : 제 1 밀착돌기
121b : 제 2 밀착돌기
122 : 분배유로
123a : 제 1 약물수용공
123b : 제 2 약물수용공
124a : 제 1 주사바늘 삽입공
124b : 제 2 주사바늘 삽입공
125 : 약물분배면
130 : 제 2 실링부
131 : 제 2 삽입유도체
132 : 제 2 삽입홈
133 : 투약바늘 삽입공
134 : 투입통로
140 : 삽입유도홈
141 : 제 1 삽입유도홈
142 : 제 2 삽입유도홈
200 : 마개부재
210 : 제 1 실링마개
211a : 제 1 바늘수용홈
211b : 제 2 바늘수용홈
212a : 제 1 밀착돌기홈
212b : 제 2 밀착돌기홈
220 : 제 2 실링마개
300 : 주사바늘부재
310 : 제 1 주사바늘
311 : 제 1 고정링
320 : 제 2 주사바늘
321 : 제 2 고정링
400 : 부착부재
410 : 부착시트
420 : 박리지
500 : 보호캡부재
20 : 투약관 연결유닛
21 : 투약바늘
22 : 투약관 연결몸체
23 : 투약관
24 : 펌프 연결소체

Claims (5)

  1. 투약기 고정유닛과 투약관 연결유닛이 탈장착되는 분산 투입형 투약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약기 고정유닛은,
    상부 중앙이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제 1 실링부와, 상기 제 1 실링부의 하부 내측으로 함몰되어 양측 하방향으로 유로가 형성되며 일측에 배치된 유로의 하단에 제 1 주사바늘 삽입공 및 타측에 배치된 유로의 하단에 제 2 주사바늘 삽입공이 형성되는 약물수용부와, 상기 약물수용부의 상부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투약관 연결유닛의 투약바늘이 삽입 배치되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제 2 실링부를 포함하는 고정몸체;
    상기 고정몸체의 제 1 실링부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삽입되며 하부 일측에 제 1 바늘수용홈 및 타측에 제 2 바늘수용홈이 형성되는 제 1 실링마개와, 상기 고정몸체의 제 2 실링부에 삽입되어 상기 투약바늘이 관통되는 제 2 실링마개를 포함하는 마개부재; 및
    상기 고정몸체의 제 1, 2 주사바늘 삽입공으로 각각 삽입되어 수직되게 고정되며, 상단이 상기 마개부재의 제 1, 2 바늘수용홈에 배치되고, 하단이 환자의 피부에 꽂혀지는 제 1, 2 주사바늘;을 포함하고,
    상기 투약관 연결유닛의 투약바늘을 통해 상기 약물수용부에 약물이 채워져 상기 제 1, 2 주사바늘로 약물이 분산되어 환자에게 투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투입형 투약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의 제 1 실링부는,
    양단이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져, 외벽을 따라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실링마개의 삽입을 유도하는 제 1 삽입유도체;
    상기 제 1 삽입유도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실링마개가 삽입되는 제 1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몸체의 제 2 실링부는,
    원형으로 이루어져, 외벽을 따라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2 실링마개의 삽입을 유도하는 제 2 삽입유도체;
    상기 제 2 삽입유도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실링마개가 삽입되는 제 2 삽입홈;
    상기 제 2 삽입홈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투약바늘의 일단이 배치되는 투약바늘 삽입공; 및
    상기 투약바늘 삽입공의 일측면에서 상기 약물수용부로 연결되며, 상기 투약바늘로부터 약물이 투입되는 투입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투입형 투약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링마개는,
    하부면 양측에 각각 타원형상으로 음각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제 1, 2 밀착돌기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몸체의 약물수용부는,
    상부 양측에 상기 제 1, 2 밀착돌기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1, 2 밀착돌기홈에 각각 삽입되어 내부를 밀폐시키는 제 1, 2 밀착돌기;
    상기 제 1, 2 밀착돌기 사이가 연결되게 하여 상기 제 1, 2 주사바늘 측으로 약물을 분배시키는 분배유로; 및
    상기 분배유로의 양단 하부에 배치되며, 하부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2 주사바늘 삽입공의 상부로 각각 연결되는 제 1, 2 약물수용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투입형 투약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유로의 양끝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2 약물수용공 측으로 하향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약물이 상기 제 1, 2 약물수용공 측으로 균일하게 유입되게 하는 약물분배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투입형 투약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약기 고정유닛은,
    상기 고정몸체의 하면에 결합되며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상기 투약기 고정유닛을 고정시키는 부착시트와, 상기 부착시트의 하면에 부착되어 사용전 상기 부착시트에 이물질이 닿지 않도록 탈부착되는 박리지를 포함하는 부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2 주사바늘이 환자의 피부에 꽂혀진 상태에서 상기 부착부재에 의해 피부에 고정되어 투약시 상기 제 1, 2 주사바늘을 다시 꽂혀지는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투입형 투약장치.
KR1020200118407A 2020-09-15 2020-09-15 분산 투입형 투약장치 KR102484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407A KR102484122B1 (ko) 2020-09-15 2020-09-15 분산 투입형 투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407A KR102484122B1 (ko) 2020-09-15 2020-09-15 분산 투입형 투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156A true KR20220036156A (ko) 2022-03-22
KR102484122B1 KR102484122B1 (ko) 2023-01-04

Family

ID=80992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407A KR102484122B1 (ko) 2020-09-15 2020-09-15 분산 투입형 투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1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5271A (ko) 2006-02-07 2008-10-28 아이씨유 메디칼 인코퍼레이티드 주입 세트
KR20100123711A (ko) * 2008-02-13 2010-11-24 우노메디컬 에이/에스 캐뉼라부와 유체 통로 사이의 밀봉부
JP2018000347A (ja) * 2016-06-29 2018-01-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留置針、針穿刺ユニット、および液体注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5271A (ko) 2006-02-07 2008-10-28 아이씨유 메디칼 인코퍼레이티드 주입 세트
KR20100123711A (ko) * 2008-02-13 2010-11-24 우노메디컬 에이/에스 캐뉼라부와 유체 통로 사이의 밀봉부
JP2018000347A (ja) * 2016-06-29 2018-01-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留置針、針穿刺ユニット、および液体注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122B1 (ko) 202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3325B2 (en) Sprinkler cannula
AU2006224945B2 (en) Gateway system
JP6473132B2 (ja) 自動傾斜式注入セット組立体
EP1406547B1 (en) Syringe and needle for preventing inadvertent drug injection
US7549976B2 (en) Portal access device with removable sharps protection
JP4746545B2 (ja) 皮内注射装置
BRPI0407086B1 (pt) Dispositivo de liberação de medicação
BRPI0508507B1 (pt) conjunto de agulha e dispositivo de distribuição de droga
US8021354B2 (en) Needleless injection structure
JP2010512170A (ja) 薬剤投与器用マイクロ・ニードル・アダプタ
JP2004538042A (ja) 移植可能で補充可能な、ポートを有する放出制御薬剤送達装置
AU2002354520A1 (en) Syringe and needle for preventing inadvertent drug injection
KR102484122B1 (ko) 분산 투입형 투약장치
RU2806631C2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ый механизм для иглы губера в сборе
CA2633773C (en) Portal access device with removable sharps protection
JP3482577B2 (ja) 皮下埋込みポート
US20230060176A1 (en) Injection Assembly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CA2634246C (en) Removable sharps device for accessing a portal reservoir
RU2463087C2 (ru) Инъекционная площадка для впрыскивания лекарственных препаратов
KR20230086676A (ko) 양 방향 포트 개구부를 갖는 카테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