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5970A -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5970A
KR20220035970A KR1020227006290A KR20227006290A KR20220035970A KR 20220035970 A KR20220035970 A KR 20220035970A KR 1020227006290 A KR1020227006290 A KR 1020227006290A KR 20227006290 A KR20227006290 A KR 20227006290A KR 20220035970 A KR20220035970 A KR 20220035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coil
lens
image stabilization
control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6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밍 리
웬제 리아오
준 펭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35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9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04N5/23258
    • H04N5/2328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23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tilting or inclin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카메라의 안정을 유지하고 촬영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를 개시한다.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휴대폰이나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단말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고, 프로젝터나 3D 거리 센서와 같은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1 렌즈(301), 제1 반사기(302), 위치 센서(303), 및 제어 컴포넌트(304), 및 상기 제1 렌즈(301) 및 제1 반사기(302)를 감싸도록 구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며, 여기서 위치 센서(303)는 제어 컴포넌트(304)에 연결된다. 광 신호는 제1 렌즈(301)를 통과한 후에 제1 반사기(302)로 전송된다. 제1 반사기(302)는 수신된 광 신호를 반사하며, 반사된 광 신호는 결상면에 투사된다. 위치 센서(303)는, 제1 렌즈(301)의 흔들림 정보를 검출하고 흔들림 정보를 제어 컴포넌트(304)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컴포넌트(304)는, 흔들림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반사기(302)가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은 제1 반사기(302)의 법선 방향과 평행하지 않다.

Description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 및 제어 방법
본 출원은 2019년 7월 31일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 및 제어 방법"인 중국 특허 출원 번호 제201910704671.9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출원은 광학 필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의 디지털 카메라 기능은 휴대폰이 내장형 또는 외장형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정지된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지 여부를 의미한다. 최근 휴대폰의 새로운 부가 기능으로, 휴대폰의 촬영 기능은 소비자들이 가장 중요시 여기는 지표 기능 중 하나가 되었다. 하드웨어 측면에서 휴대폰 촬영 구현은 카메라 모듈에 의존하여 이미지 수집을 완료하고,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알고리즘 작업에 의존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사용하는 촬영 경험을 달성한다. 촬영 기능 외에, 현재 휴대폰의 카메라 모듈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은 주밍(zooming), 이미지 안정화, 포커싱 기술을 포함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휴대폰에 점점 더 의존함에 따라, 특히 망원 촬영의 측면에서 카메라 모듈의 서로 다른 초점 거리에 대한 요구가 점점 더 강해지고 있다. 그러나, 초망원 촬영의 측면에서 극복해야 할 몇 가지 기술적인 어려움도 있다. 하나는 흔들림 감도를 향상시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초점 요건을 더욱 세분화하는 것이다.
휴대폰의 촬영 과정에서 상보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칩은 특정 응답 시간을 요구하며, 특히 암장면 촬영에서 훨씬 더 긴 노출 시간을 요구한다. 장시간 노출 시 이미지 지터가 발생하면, 이미지 센서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가 흐려져 화질이 심각하게 저하된다. 그러나, 손을 사용하여 촬영을 하는 과정에서 인체는 필연적으로 흔들리며, 이러한 현상은 특히 망원 촬영에서 더욱 심각하다. 따라서, 이러한 영향을 없애기 위해서는 휴대폰의 카메라 모듈에 이미지 안정화 기술을 탑재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이미지 지터로 인한 화질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카메라 렌즈에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1 양태는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를 제공하며, 이 광학 안정화 장치는, 제1 렌즈, 제1 반사기, 위치 센서, 및 제어 컴포넌트를 포함하되, 위치 센서는 제어 컴포넌트에 연결된다.
제1 렌즈는 촬상용으로 사용되며, 구체적으로 볼록 렌즈일 수도 있고, 오목 렌즈 또는 평면 거울일 수도 있으며, 또는 하나의 렌즈 또는 복수의 렌즈의 조합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렌즈의 형태 및 제1 렌즈의 수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반사기의 형상은 원형, 정사각형 또는 다른 형상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특정 형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렌즈를 통과한 후에 광 신호는 제1 반사기로 전송되고, 제1 반사기에 의해 반사된 후에 광 신호는 결상면(imaging plane)에 투사된다. 광 신호를 결상면으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제1 렌즈가 흔들리면, 위치 센서가 제1 렌즈의 흔들림 정보를 검출하고, 흔들림 정보를 제어 컴포넌트로 전송한다. 흔들림 정보는 제1 렌즈의 흔들림 방향, 흔들림 빈도 및 흔들림 진폭과 같은 흔들림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제어 컴포넌트는 위치 센서에 의해 검출된 흔들림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사용하여 제1 반사기가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은 제1 반사기의 법선 방향과 평행하지 않다. 따라서, 제1 반사기가 회전하면 제1 반사기에 대한 광 신호의 입사각 및 반사각이 변경될 수 있다. 즉, 제1 반사기가 회전하면, 광 신호의 광경로(optical path)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렌즈가 흔들리면, 제1 반사기는 제1 렌즈의 흔들림 정보에 기초하여, 결상면에 입사되는 광 신호의 광경로의 방향을 변경하여, 제1 렌즈의 흔들림으로 인한 광경로 방향의 편향을 보상하기 위해 회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1 렌즈의 흔들림으로 인한 광경로 방향의 편향에 대한 보상을 통해, 제1 렌즈의 흔들림으로 인한, 결상면 상의 광 신호에 의해 형성된 광 스폿의 위치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폭이 감소하고, 결상면 상의 광 신호에 의해 형성된 광 스폿의 위치의 안정성이 유지되어 이미지 안정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렌즈가 흔들릴 경우, 제어 컴포넌트는 또한 흔들림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반사기가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은 제1 사전 설정된 방향 또는 제1 반사기의 법선 방향과 평행하지 않다.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은 제1 반사기의 법선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이기 때문에,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제1 반사기를 구동할 경우, 구동 컴포넌트는 광 신호가 제1 반사기에 의해 반사된 후 광 신호의 전파 방향을 변경하여, 제1 반사기가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전술한 설명에서의 보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1 반사기의 회전 운동과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1 반사기의 회전 운동은 동시에 또는 별도로 수행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는 특히 흔들림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컴포넌트에 의해 제어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제1 반사기의 회전 운동을 제어하고,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제1 반사기의 회전 운동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이중 축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 장치가 제공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어 컴포넌트에 연결된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 센서의 감광면은 결상면이다.
이미지 센서의 감광면인 결상면에 광 신호가 투사된 후, 이미지 센서는 광 신호가 감광면 상으로 투사된 후 형성된 이미지의 첨예도(acutance) 정보를 검출하고, 첨예도 정보를 제어 컴포넌트로 전송한다. 따라서, 제어 컴포넌트는 첨예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반사기가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제1 반사기가 이동하면, 제1 반사기가 이동함에 따라 광 신호의 광경로의 길이가 달라지고, 광경로는 제1 렌즈로부터 결상면으로의 광 신호의 전파 경로가 된다.
제1 반사기가 이동하는 방향은 미리 설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반사기의 반사면의 광경로 또는 법선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1 반사기가 이동하면, 그에 따라 광 신호의 광경로의 길이도 변하는데, 즉, 이미지 거리가 변하여, 광 신호가 감광면에 선명하게 결상될 수 있어 포커싱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특정 유형의 이미지 센서는 CMOS, 전하 결합 소자(charge-coupled device: CCD), 다른 이미징 장치, 또는 다른 반사 장치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의 유형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2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는 제1 반사기와 결상면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반사기에 의해 반사된 후에 광 신호는 제2 렌즈에 투사되고, 제2 렌즈를 통과한 후에 광 신호는 최종적으로 결상면에 투사된다. 제2 렌즈는 결상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볼록렌즈 또는 오목렌즈일 수 있으며, 하나의 렌즈 또는 복수의 렌즈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양 및 특정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2 반사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반사기 및 제1 반사기는 제1 렌즈의 양쪽에 제각기 위치한다. 광 신호를 획득한 후, 제2 반사기는 획득된 광 신호를 제1 렌즈로 반사한다. 그 다음에, 광 신호는 제1 반사기에 의해 반사되고, 최종적으로 결상면에 투사된다.
제1 렌즈가 흔들릴 경우, 제어 컴포넌트는 또한 위치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제1 렌즈의 흔들림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반사기가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여기서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은 제1 사전 설정된 방향 또는 제 2 반사기의 법선 방향과 평행하지 않다. 따라서, 제2 반사기가 회전할 경우, 이미지 안정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광 신호의 광경로의 방향도 구동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2 반사기의 회전 운동과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1 반사기의 회전 운동은 동시에 또는 별도로 수행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는 특히 흔들림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컴포넌트에 의해 제어된다.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2 반사기의 회전 운동과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1 반사기의 회전 운동이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 이들 조합을 통해 2축 이미지 안정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어 컴포넌트에 연결된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 센서의 감광면은 결상면이다.
이미지 센서의 감광면인 결상면에 광 신호가 투사된 후, 이미지 센서는 광 신호가 감광면 상으로 투사된 후 형성된 이미지의 첨예도(acutance) 정보를 검출하고, 첨예도 정보를 제어 컴포넌트로 전송한다. 따라서, 제어 컴포넌트는 첨예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반사기가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제1 반사기가 이동하면, 제1 반사기가 이동함에 따라 광 신호의 광경로의 길이가 달라지고, 광경로는 제1 렌즈로부터 결상면으로의 광 신호의 전파 경로가 된다.
제1 반사기가 이동하는 방향은 미리 설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반사기의 반사면의 광경로 또는 법선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1 반사기가 이동하면, 그에 따라 광 신호의 광경로의 길이도 변하는데, 즉, 이미지 거리가 변하여, 광 신호가 감광면에 선명하게 결상될 수 있어 포커싱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2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는 제1 반사기와 결상면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반사기에 의해 반사된 후에 광 신호는 제2 렌즈에 투사되고, 제2 렌즈를 통과한 후에 광 신호는 최종적으로 결상면에 투사된다. 제2 렌즈는 결상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볼록렌즈 또는 오목렌즈일 수 있으며, 하나의 렌즈 또는 복수의 렌즈의 조합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양 및 특정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2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는 제2 반사기의 외측에 배치되고, 광 신호는 제2 렌즈를 통과한 후에 제2반사기로 투사된다. 그 다음에, 제2반사기에서 반사된 광 신호는 제1 렌즈를 통과하고, 그 후 제1 반사기에서 반사되며, 최종적으로 결상면에 투사된다. 제2 렌즈는 결상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볼록렌즈 또는 오목렌즈일 수 있으며, 하나의 렌즈 또는 복수의 렌즈의 조합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양 및 특정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2 렌즈 및 제3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는 제2 반사기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3 렌즈는 제1 반사기와 결상면 사이의 광경로 상에 배치된다. 광 신호는 제2 렌즈, 제2반사기, 제1 렌즈, 제1 반사기, 제3 렌즈를 차례로 거쳐 최종적으로 결상면에 투사된다. 제2 렌즈와 제3 렌즈는 결상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제2렌즈와 제3 렌즈는 각각 볼록렌즈 또는 오목렌즈일 수 있으며, 하나의 렌즈 또는 여러 렌즈의 조합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 특정 양 및 특정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2 반사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반사기는 제1 반사기와 결상면 사이에 위치한다. 제1 반사기에 의해 반사된 후에 광 신호는 제2 반사기로 투사되고, 제2 반사기에 의해 결상면으로 반사된다.
제1 렌즈가 흔들릴 경우, 제어 컴포넌트는 또한, 위치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제1 렌즈의 흔들림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반사기가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는데, 여기서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은 제1 사전 설정된 방향 또는 제2 반사기의 법선 방향과 평행하지 않다. 따라서, 제2 반사기가 회전할 경우, 이미지 안정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광 신호의 광경로의 방향도 구동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2 반사기의 회전 운동과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1 반사기의 회전 운동은 동시에 또는 별도로 수행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는 특히 흔들림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컴포넌트에 의해 제어된다.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2 반사기의 회전 운동과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1 반사기의 회전 운동이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 2축 이미지 안정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어 컴포넌트에 연결된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 센서의 감광면은 결상면이다. 이미지 센서의 감광면인 결상면에 광 신호가 투사된 후, 이미지 센서는 광 신호가 감광면 상으로 투사된 후 형성된 이미지의 첨예도(acutance) 정보를 검출하고, 첨예도 정보를 제어 컴포넌트로 전송한다. 이미지 센서에 의해 검출된 첨예도 정보를 수신한 후, 제어 컴포넌트는 첨예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반사기 및/또는 제2 반사기가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제1 반사기 및/또는 제2 반사기가 이동하면, 제1 반사기 및/또는 제2 반사기가 이동함에 따라 광 신호의 광경로의 길이가 달라지고, 광경로는 제1 렌즈로부터 결상면으로의 광 신호의 전파 경로가 된다.
제1 반사기 및/또는 제2 반사기가 이동하는 방향은 미리 설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반사기 및/또는 제2 반사기의 반사면의 광경로 또는 법선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1 반사기 및/또는 제2 반사기가 이동하면, 그에 따라 광 신호의 광경로의 길이도 변하는데, 즉, 이미지 거리가 변하여, 광 신호가 감광면에 선명하게 결상될 수 있어 포커싱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2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는 제1 반사기와 제2 반사기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반사기에 의해 반사된 후에 광 신호는 제2 렌즈에 투사되고, 제2 반사기로 투사되며, 제2 반사기에 의해 반사된 후에, 광 신호는 최종적으로 결상면에 투사된다. 제2 렌즈는 결상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볼록렌즈 또는 오목렌즈일 수 있으며, 하나의 렌즈 또는 복수의 렌즈의 조합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양 및 특정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2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는 제2 반사기와 결상면 사이에 배치된다. 제2 반사기에 의해 반사된 후에 광 신호는 제2 렌즈에 투사되고, 최종적으로 결상면에 투사된다. 제2 렌즈는 결상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볼록렌즈 또는 오목렌즈일 수 있으며, 하나의 렌즈 또는 복수의 렌즈의 조합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양 및 특정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2 렌즈 및 제3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는 제1 반사기와 제2 반사기 사이에 배치되고, 제3 렌즈는 제2 반사기와 결상면 사이에 배치된다. 광 신호는 제1 렌즈, 제1 반사기, 제2 렌즈, 제2반사기, 제3 렌즈를 차례로 거쳐 최종적으로 결상면에 투사된다. 제2 렌즈와 제3 렌즈는 결상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제2렌즈와 제3 렌즈는 각각 볼록렌즈 또는 오목렌즈일 수 있으며, 하나의 렌즈 또는 여러 렌즈의 조합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 특정 양 및 특정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양태의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2 양태는 제어 컴포넌트를 제공하며, 제어 컴포넌트는, 구동 부재 및 프로세싱 칩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칩은 제1 양태의 위치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제1 렌즈의 흔들림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흔들림 정보를 처리한 후, 프로세싱 칩은 흔들림 정보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구동 부재가 제1 반사기 및/또는 제2 반사기를 구동하도록 제어하여, 제1 양태에서 설명된 회전 운동을 구현함으로써 이미지 안정화 기능을 구현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어 컴포넌트의 프로세싱 칩은 또한, 광 신호가 감광면 상으로 투사된 후에 형성된 이미지의 첨예도 정보(이미지 센서에 의해 검출됨)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첨예도 정보를 처리한 후, 프로세싱 칩은 또한, 첨예도 정보를 처리한 결과에 기초하여, 구동 부재가 제1 양태에서 설명된 제1 반사기의 이동 모션을 수행하도록 제1 반사기 및/또는 제2 반사기를 구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포커싱 효과를 얻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어 컴포넌트는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VCM) 드라이버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VCM 드라이버 모듈은 프로세싱 칩에 연결된다.
프로세싱 칩은 또한, 광 신호가 감광면 상으로 투사된 후에 형성된 이미지의 첨예도 정보(이미지 센서에 의해 검출됨)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첨예도 정보를 처리한 후, 프로세싱 칩은 또한 첨예도 정보를 처리한 결과에 기초하여 VCM 드라이버 모듈을 제어하여 제1 렌즈를 구동해서 제1 렌즈의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제1 렌즈가 제1 렌즈의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제1 렌즈와 감광면 사이의 광 신호의 전파 경로의 길이가 변하는데, 즉 이미지 거리가 변화하여 포커싱 효과를 얻는다. VCM 드라이버 모듈이 제1 렌즈가 중심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모션 및 구동 부재가 제1 반사기 및/또는 제2 반사기가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모션은 동시에 또는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VCM 드라이버 모듈이 제1 렌즈가 중심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모션과 구동 부재가 제1 반사기 및/또는 제2 반사기가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모션이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 정밀한 포커싱(fine focusing)의 기능 또는 대략적인 포커싱(coarse focusing)의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대략적인 포커싱은 보다 큰 초점 범위가 구현됨을 의미한다.
제2 양태의 제어 컴포넌트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3 양태는 구동 부재를 제공하며, 구동 부재는, 제1 코일 및 제1 자석을 포함한다.
제1 반사기는 제1 캔틸레버를 사용하여 제1 외부 프레임에 연결되고, 제1 코일은 제1 반사기의 후면 또는 가장자리 위치에 고정되며, 제1 자석은 제1 외부 프레임에 고정된다.
제1 코일은 "∞형" 코일이고, 좌측 절반 코일과 우측 절반 코일로 분할되며 좌우 대칭이다. 제1 코일에 전기가 인가된 후, 좌측 절반 코일과 제1 자석 사이의 자기장의 작용 하에 제1 반사기에 수직인 내부 암페어 힘이 생성되고, 우측 절반 코일과 제1 자석 사이의 자기장의 작용 하에 제1 반사기에 수직인 외부 암페어 힘이 생성되어, 제1 반사기가 제2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위치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제1 렌즈의 흔들림 정보를 수신한 후, 프로세싱 칩은 흔들림 정보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코일에 인가되는 전기량을 제어한다. 제1 코일에 전기가 인가된 후, 제1자석의 자기장의 작용 하에, 제1 코일의 좌측 절반과 우측 절반에 각각 반대 방향의 암페어 힘이 발생하여, 제1 코일에 고정되게 연결된 제1 반사기가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회전축은 제1 캔틸레버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은 제1 캔틸레버의 방향이다. 프로세싱 칩이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코일에 인가된 전기량을 제어하는 것은, 제1 반사기의 회전 방향 및 제1 반사기의 회전 각도 값을 제어하기 위해 제1 코일의 전류의 전류 방향 및 전류 값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구동 부재는 제2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코일은 제1 반사기의 후면 또는 가장자리 위치에 고정되고 제1 코일과 절연된다. 지지 프레임은 제1 회전축을 사용하여 제1 반사기에 연결되고, 제2 회전축을 사용하여 제1 외측 프레임에 연결된다. 제2 코일은 "8자형" 코일이며, 제1 코일이 90도 회전된 후에 얻어지는 형상과 유사하고, 상부 절반 코일 및 하부 절반 코일로 분할되며, 종방향으로 대칭이다. 제2 코일에 전기가 인가된 후, 상부 절반 코일과 제1 자석 사이의 자기장의 작용 하에 제1 반사기에 수직인 내부 암페어 힘이 생성되고, 하부 절반 코일과 제1 자석 사이의 자기장의 작용 하에 제1 반사기에 수직인 외부 암페어 힘이 생성되어, 제1 반사기가 제2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위치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제1 렌즈의 흔들림 정보를 수신한 후, 프로세싱 칩은 흔들림 정보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코일에 인가되는 전기량을 제어한다. 제2 코일에 전기가 인가된 후, 제1자석의 자기장의 작용 하에, 제2 코일의 상부 절반과 하부 절반에 각각 반대 방향의 암페어 힘이 발생하여, 제2 코일에 고정되게 연결된 제1 반사기가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은 제2 회전축의 방향이고,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은 제1 회전축의 방향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구동 부재는 제2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반사기는 제2 캔틸레버를 사용하여 제2 외부 프레임에 연결되고, 제2 코일은 제2 반사기의 후면 또는 가장자리 위치에 고정되며, 제2 자석은 제2 외부 프레임에 고정된다. 제2 코일은 "8자형" 코일이다. 위치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제1 렌즈의 흔들림 정보를 수신한 후, 프로세싱 칩은 흔들림 정보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코일에 인가되는 전기량을 제어한다. 제2 코일에 전기가 인가된 후, 제2자석의 자기장의 작용 하에, 제2 코일의 상부 절반과 하부 절반에 각각 반대 방향의 암페어 힘이 발생하여, 제2 코일에 고정되게 연결된 제2 반사기가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은 제2 캔틸레버의 방향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구동 부재는 제1 코일, 제1 자석, 제2 코일, 및 제3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 제1 자석, 제2 코일에 대해서는, 전술한 관련 설명을 참조한다. 세부사항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제3 코일은 제1 반사기의 후면 또는 가장자리 위치에 고정되고, 제1 코일 및 제2 코일과 절연된다. 또는, 제3 코일은 지지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광 신호가 감광면 상으로 투사된 후 형성되어 이미지 센서에 의해 검출된 이미지의 첨예도 정보를 수신한 후, 프로세싱 칩은 첨예도 정보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제3 코일에 인가된 전기량을 제어한다. 제3 코일에 전기가 인가된 후, 제1 자석의 자기장의 작용 하에 제3 코일이 위치하는 평면에 수직인 암페어 힘이 생성되어, 제3 코일에 고정되게 연결된 제1 반사기가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프로세싱 칩이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제3 코일에 인가된 전기량을 제어하는 것은, 제1 반사기의 이동의 크기 및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제3 코일의 전류의 전류 방향 및 전류 값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3 코일은 대안적으로 제2 반사기 상에 배치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제2 반사기의 후면 또는 가장자리 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코일과 절연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1 외부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구동 부재는, 제1 코일, 제1 전자석, 제2 전자석, 제3 전자석 및 제4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은 직사각형 코일 또는 정사각형 코일이고,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전류가 제1 코일을 통해 흐를 수 있다. 제1 반사기는 제2 회전축을 사용하여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고, 지지 프레임은 제1 회전축을 사용하여 외부 프레임에 연결되며, 제1 코일은 제1 반사기의 후면 또는 가장자리 위치에 배치되어 고정되고, 제1 전자석 및 제2 전자석은 외부 프레임에 별도로 고정된다.
위치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제1 렌즈의 흔들림 정보를 수신한 후, 프로세싱 칩은 흔들림 정보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전자석, 제2 전자석, 제3 전자석 및/또는 제4 전자석에 자기장을 제공하는 코일에 인가된 전기를 제어하여, 예컨대 전류 값 및 전류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제1 코일 주위에 사전 설정된 방향으로 자기장을 생성하여, 상이한 방향의 암페어 힘이 제1 코일의 네 면에 제각기 생성되고, 제1 코일에 고정되게 연결된 제1 반사기가 회전 동작 또는 이동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동되어, 이미지 안정화 기능 또는 포커싱 기능을 구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1 양태, 제2 양태 및 제3 양태의 구조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4 양태는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이 제어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가 제1 렌즈의 흔들림 정보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제1 렌즈가 흔들릴 경우,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의 위치 센서는 흔들림 변위, 흔들림 주파수 및 흔들림 방향과 같은 제1 렌즈의 흔들림 정보를 검출한다. 여기서, 위치 센서는 특정한 센서가 아니라, 일반적으로 제1 렌즈의 흔들림 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의미한다.
제1 렌즈의 흔들림 정보를 검출하고 결정한 후에,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흔들림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위치 센서에 의해 검출된 흔들림 정보를 수신한 후, 프로세싱 칩은 사전 설정된 제1 알고리즘에 따라 흔들림 정보를 처리하여 제1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사전 설정된 제1 알고리즘은 이후에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제1 제어 파라미터는 구체적으로, 회전할 제1 반사기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 파라미터는 회전 방향 정보 및 회전 각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한 후에,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어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제1 제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반사기가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한 후,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1 제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코일에 로드되어야 하는 전류의 전류 방향 및 전류 값과, 제2 코일에 로드되어야 하는 전류의 전류 방향 및 전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 프로세스는 사전 설정된 제3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3 알고리즘은 이후에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광 신호가 이미지 센서의 감광면 상에 투사된 후, 이미지 센서는 감광면 상의 광 신호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의 첨예도 정보를 검출한다. 이미지 센서에 의해 검출된 첨예도 정보를 수신한 후, 프로세싱 칩은 사전 설정된 제2 알고리즘에 따라 첨예도 정보를 처리하여 제2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사전 설정된 제2 알고리즘은 이후에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제2 제어 파라미터는 제1 반사기의 이동을 나타내는 파라미터 및 제1 렌즈의 이동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 파라미터는 이동 방향 정보 및 이동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한 후,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2 제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3 코일에 로드되어야 하는 전류의 전류 방향 및 전류 값과, VCM 드라이버 모듈에 로드되어야 하는 전류의 전류 방향 및 전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 프로세스는 사전 설정된 제4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4 알고리즘은 이후에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해법으로부터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이점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제1 렌즈, 제1 반사기, 위치 센서 및 구동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제1 렌즈를 통과한 후에 광 신호는 제1 반사기로 전송되고, 그 후 결상면(imaging plane)에 투사된다. 위치 센서는, 제1 렌즈의 흔들림 정보를 검출하고 흔들림 정보를 구동 컴포넌트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구동 컴포넌트는 흔들림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 힘을 제공하고,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제1 반사기가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은 제1 반사기의 법선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이기 때문에, 제1 반사기가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경우, 제1 반사기에서의 광 신호의 입사각 및 반사각이 회전에 따라 변하는데, 즉, 광 신호의 전파 방향이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의 제1 반사기의 회전을 통해 변화되고, 제1 렌즈의 흔들림으로 인한 광경로의 진동이 광경로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보상될 수 있어,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렌즈 이미징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광선이 렌즈 모듈을 통과한 후의 광선 투사의 개략도이다.
도 2b는 렌즈가 흔들린 후, 광선이 렌즈 모듈을 통과한 후의 광선 투사의 개략도이다.
도 3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b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c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의 광경로의 구조도이다.
도 3d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의 광경로의 구조도이다.
도 4a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b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c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의 광경로의 구조도이다.
도 4d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의 광경로의 구조도이다.
도 4e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의 광경로의 구조도이다.
도 4f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의 광경로의 구조도이다.
도 5a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b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c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의 광경로의 구조도이다.
도 5d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의 광경로의 구조도이다.
도 5e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의 광경로의 구조도이다.
도 5f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의 광경로의 구조도이다.
도 6a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컴포넌트의 개략도이다.
도 6b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컴포넌트의 개략도이다.
도 7a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7b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7c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7d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7e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개략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잠망경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렌즈 또는 다양한 종류의 카메라 렌즈에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휴대폰의 렌즈 모듈에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포함된 일부 용어를 설명한다.
포커싱(focusing)은, 촬영된 피사체가 선명하게 결상되도록 상이한 거리의 피사체들이 렌즈 후방에서 선명하게 결상되는 여러 위치에 기초하여 결상면과 렌즈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는 프로세스이다. 모든 이미징 시스템에는 피사계 심도(depth of field)가 존재하기 때문에, 촬영된 피사체가 피사계 심도를 벗어나면 피사체가 촬영된 후의 이미지가 흐려진다. 촬영된 피사체를 선명하게 표시하려면 초점을 맞춰야 한다. 포커싱을 초점 조정이라고도 한다. 광학 렌즈의 이미지 거리에 대한 전후방 미세 조정을 통해, 설계값에 기초하여 1:1 대응하는 촬영 거리를 구한다. 이런 방식으로, 촬영된 피사체는 피사계 심도 범위 안에 유지되고 선명하게 이미지화된다.
피사계 심도는 광학 이미징 시스템에서 선명한 이미징을 위한 깊이이다. 피사계 심도는 물리적인 현상이지만, 상이한 광학 시스템은 상이한 피사계 심도 값을 갖는다. 도 1은 렌즈 이미징의 개략도로서, L은 피사계 심도를 나타내고, L은 촬영 거리를 나타낸다. 피사계 심도의 값은 광학 렌즈의 파라미터 초점거리(f)와 렌즈의 f-스톱(F-수치)과 관련되며, 사용된 이미지 수집기(CMOS)로 구분할 수 있는 착란원(circle of confusion)의 직경(δ)과도 관련된다.
L, f, F, 및 δ 사이의 관계는 다음 수학식 1, 수학식 2 및 수학식 3으로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 .
수학식 2: .
수학식 3:
상술한 바에 따르면, 고화질의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휴대폰의 카메라가 포커싱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거리가 다른 이미지를 촬영할 때, CMOS와 렌즈군 사이의 거리는 상이하다. 예를 들어, 망원 촬영에서는, 피사체 거리가 상당히 길기 때문에, 이미징 공식 1/f=1/v+1/u(f는 초점 거리를 나타내는데, 볼록 렌즈의 경우에는 양수이고 오목 렌즈의 경우에는 음수이며, u는 피사체 거리를 나타내고, v는 이미지 거리를 나타내는데, 실상(real image)의 경우에는 양수이고, 허상(virtual image)의 경우에는 음수이다)에 따라, 이미지 거리가 상당히 짧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접사 촬영에서는 피사체 거리가 매우 짧고, 따라서 이미지 거리가 상대적으로 길어야 한다. 이것은 미세 초점에 대한 요건을 부과한다.
또한, 휴대폰의 촬영 과정에서 CMOS 칩은 특정한 응답 시간을 요구하며, 특히 어두운 장면의 촬영에서는 빛이 부족한 경우에 충분한 입사광을 얻기 위해 훨씬 더 긴 노출 시간을 필요로 한다. 장시간 노출, 즉 슬로우 셔터의 경우, 1 셔터 시간 이내에 이미지 지터가 발생하면, 렌즈가 흔들린 후 이미지 센서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가 흐려져 화질이 심각하게 저하되고, "페이스트(paste)"가 생성된다. 도 2a는 광선이 렌즈 모듈을 통과한 후의 광선 투사의 개략도이다. 흔들림이 발생한 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 소자에 대한 광선의 투사점(projection point)이 오프셋된다. 그러나, 손을 사용하여 촬영을 하는 과정에서 인체는 필연적으로 흔들리며, 이러한 현상은 특히 망원 촬영에서 더욱 심각하다. 따라서, 이러한 영향을 없애기 위해서는 휴대폰의 카메라 모듈에 이미지 안정화 기술을 탑재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도 3a를 참조한다. 도 3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의 개략도이다.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1 렌즈(301), 제1 반사기(302), 위치 센서(303), 및 제어 컴포넌트(304)를 포함하며, 여기서 위치 센서(303)는 제어 컴포넌트(304)에 연결된다.
제1 렌즈(301)는 이미징용으로 사용되며, 구체적으로 볼록 렌즈일 수도 있고, 오목 렌즈 또는 평면 거울일 수도 있으며, 또는 하나의 렌즈 또는 복수의 렌즈의 조합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렌즈(301)의 형태 및 제1 렌즈(301)의 수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반사기(302)의 형상은 원형, 정사각형 또는 다른 형상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특정 형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렌즈(301)를 통과한 후에 광 신호는 제1 반사기(302)로 전송되고, 제1 반사기(302)에 의해 반사된 후에 광 신호는 결상면에 투사된다. 광 신호를 결상면으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제1 렌즈(301)가 흔들리면, 위치 센서(303)가 제1 렌즈(301)의 흔들림 정보를 검출하고, 흔들림 정보를 제어 컴포넌트(304)로 전송한다. 흔들림 정보는 제1 렌즈(301)의 흔들림 방향, 흔들림 빈도 및 흔들림 진폭과 같은 흔들림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제어 컴포넌트(304)는 위치 센서(303)에 의해 검출된 흔들림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제1 반사기(302)가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은 제1 반사기(302)의 법선 방향과 평행하지 않다. 따라서, 제1 반사기(302)가 회전하면 제1 반사기(302)에 대한 광 신호의 입사각 및 반사각이 변경될 수 있다. 즉, 제1 반사기(302)가 회전하면, 광 신호의 광경로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제1 렌즈(301)가 흔들릴 경우, 제1 반사기(302)는, 제1 렌즈(301)의 흔들림 정보에 기초하여, 결상면에 입사되는 광 신호의 광경로의 방향을 변경하여, 제1 렌즈(301)의 흔들림으로 인한 광경로 방향의 편향을 보상하기 위해, 회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 렌즈(301)의 흔들림으로 인한 광경로 방향의 편향에 대한 보상을 통해, 제1 렌즈(301)의 흔들림으로 인한, 결상면 상의 광 신호에 의해 형성된 광 스폿의 위치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폭이 감소하고, 결상면 상의 광 신호에 의해 형성된 광 스폿의 위치의 안정성이 유지되어 이미지 안정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렌즈(301)가 흔들릴 경우, 제어 컴포넌트(304)는 또한 흔들림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반사기(302)가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은 제1 사전 설정된 방향 또는 제1 반사기(302)의 법선 방향과 평행하지 않다.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은 제1 반사기(302)의 법선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이기 때문에,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제1 반사기(302)가 회전하도록 구동할 경우, 구동 컴포넌트는 광 신호가 제1 반사기(302)에 의해 반사된 후 광 신호의 전파 방향을 변경하여, 제1 반사기(302)가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전술한 설명에서의 보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1 반사기(302)의 회전 운동과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1 반사기(302)의 회전 운동은 동시에 또는 별도로 수행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는 특히 흔들림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컴포넌트(304)에 의해 제어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제1 반사기(302)의 회전 운동을 제어하고,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제1 반사기(302)의 회전 운동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이중 축(dual-axis)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 장치가 제공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세부사항에 대해 아래의 도 3b를 참조한다. 도 3b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어 컴포넌트(304)에 연결된 이미지 센서(30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미지 센서(305)의 감광면은 결상면이다.
이미지 센서(305)의 감광면인 결상면에 광 신호가 투사된 후, 이미지 센서(305)는 광 신호가 감광면 상으로 투사된 후 형성된 이미지의 첨예도(acutance) 정보를 검출하고, 첨예도 정보를 제어 컴포넌트(304)로 전송한다. 따라서, 제어 컴포넌트(304)는 첨예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반사기(302)가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제1 반사기(302)가 이동할 경우, 제1 반사기(302)가 이동함에 따라 광 신호의 광경로의 길이가 달라지고, 광경로는 제1 렌즈(301)로부터 결상면으로의 광 신호의 전파 경로가 된다.
제1 반사기(302)가 이동하는 방향은 미리 설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반사기(302)의 반사면의 광경로 또는 법선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1 반사기(302)가 이동하면, 그에 따라 광 신호의 광경로의 길이도 변하는데, 즉, 이미지 거리가 변하여 광 신호가 감광면에 선명하게 결상될 수 있어, 포커싱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특정 유형의 이미지 센서(305)는 CMOS, CCD, 다른 이미징 장치, 또는 다른 반사 장치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305)의 유형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3a 또는 도 3b에는, 제1 렌즈(301), 제1 반사기(302), 위치 센서(303), 및 제어 컴포넌트(304) 사이의 위치 관계가 간략하게 나타나 있다. 아래 도 3c를 참조한다. 도 3c는 제1 렌즈(301)와 제1 반사기(302) 사이의 위치 관계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2 렌즈(3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도 3d를 참조한다. 도 3d는 제1 렌즈(301), 제2 렌즈(307), 제1 반사기(302) 및 결상면 사이의 위치 관계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렌즈(307)는 제1 반사기(302)와 결상면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반사기(302)에 의해 반사된 후에 광 신호는 제2 렌즈(307)에 투사되고, 제2 렌즈(307)를 통과한 후에 광 신호는 최종적으로 결상면에 투사된다. 제2 렌즈(307)는 결상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볼록렌즈 또는 오목렌즈일 수 있으며, 하나의 렌즈 또는 복수의 렌즈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양 및 특정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세부사항에 대해 아래의 도 4a를 참조한다. 도 4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2 반사기(3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반사기(306) 및 제1 반사기(302)는 제1 렌즈(301)의 양쪽에 제각기 위치한다. 광 신호를 획득한 후, 제2 반사기(306)는 획득된 광 신호를 제1 렌즈(301)로 반사한다. 그 다음에, 광 신호는 제1 반사기(302)에 의해 반사되고, 최종적으로 결상면에 투사된다.
제1 렌즈(301)가 흔들릴 경우, 제어 컴포넌트(304)는 또한 위치 센서(303)에 의해 검출된 제1 렌즈(301)의 흔들림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반사기(306)가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여기서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은 제1 사전 설정된 방향 또는 제2 반사기(306)의 법선 방향과 평행하지 않다. 따라서, 제2 반사기(306)가 회전할 경우, 이미지 안정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광 신호의 광경로의 방향도 구동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2 반사기(306)의 회전 운동과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1 반사기(302)의 회전 운동은 동시에 또는 별도로 수행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는 특히 흔들림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컴포넌트(304)에 의해 제어된다.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2 반사기(306)의 회전 운동과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1 반사기(302)의 회전 운동이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 이들 조합을 통해 2축 이미지 안정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4b를 참조한다. 도 4b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어 컴포넌트(304)에 연결된 이미지 센서(30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미지 센서(305)의 감광면은 결상면이다.
이미지 센서(305)의 감광면인 결상면에 광 신호가 투사된 후, 이미지 센서(305)는 광 신호가 감광면 상으로 투사된 후 형성된 이미지의 첨예도 정보를 검출하고, 첨예도 정보를 제어 컴포넌트(304)로 전송한다. 따라서, 제어 컴포넌트(304)는 첨예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반사기(302)가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제1 반사기(302)가 이동하면, 제1 반사기(302)가 이동함에 따라 광 신호의 광경로의 길이가 달라지고, 광경로는 제1 렌즈(301)로부터 결상면으로의 광 신호의 전파 경로이다.
제1 반사기(302)가 이동하는 방향은 미리 설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반사기(302)의 반사면의 광경로 또는 법선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1 반사기(302)가 이동하면, 그에 따라 광 신호의 광경로의 길이도 변하는데, 즉, 이미지 거리가 변하여, 광 신호가 감광면에 선명하게 결상될 수 있어 포커싱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a 또는 도 4b에는, 제1 렌즈(301), 제1 반사기(302), 제2 반사기(306), 위치 센서(303), 및 제어 컴포넌트(304) 사이의 위치 관계가 간략하게 나타나 있다. 아래 도 4c를 참조한다. 도 4c는 제1 렌즈(301), 제1 반사기(302), 및 제2 반사기(306) 사이의 위치 관계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2 렌즈(3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도 4d를 참조한다. 도 4d는 제1 렌즈(301), 제2 렌즈(307), 및 제1 반사기(302) 사이의 위치 관계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렌즈(307)는 제1 반사기(302)와 결상면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반사기(302)에 의해 반사된 후에 광 신호는 제2 렌즈(307)에 투사되고, 제2 렌즈(307)를 통과한 후에 광 신호는 최종적으로 결상면에 투사된다. 제2 렌즈(307)는 결상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볼록렌즈 또는 오목렌즈일 수 있으며, 하나의 렌즈 또는 복수의 렌즈의 조합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양 및 특정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2 렌즈(3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도 4e를 참조한다. 도 4e는 제1 렌즈(301), 제2 렌즈(307), 및 제1 반사기(302) 사이의 위치 관계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렌즈(307)는 제2 반사기(306)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2 렌즈(307)를 통과한 후에 광 신호는 제2반사기(306)에 투사된다. 그 다음에, 제2반사기(306)에서 반사된 광 신호는 제1 렌즈(301)를 통과하고, 그 후 제1 반사기(302)에서 반사되며, 최종적으로 결상면에 투사된다. 제2 렌즈(307)는 결상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볼록렌즈 또는 오목렌즈일 수 있으며, 하나의 렌즈 또는 복수의 렌즈의 조합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양 및 특정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2 렌즈(307) 및 제3 렌즈(3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도 4f를 참조한다. 도 4f는 제1 렌즈(301), 제2 렌즈(307), 제3 렌즈(308) 및 제1 반사기(302) 사이의 위치 관계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렌즈(307)는 제2 반사기(306)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3 렌즈(308)는 제1 반사기(302)와 결상면 사이의 광경로 상에 배치된다. 광 신호는 제2 렌즈(307), 제2반사기(306), 제1 렌즈(301), 제1 반사기(302), 제3 렌즈(308)를 차례로 거쳐 최종적으로 결상면에 투사된다. 제2 렌즈(307)와 제3 렌즈(308)는 결상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제2 렌즈(307)와 제3 렌즈(308)는 각각 볼록렌즈 또는 오목렌즈일 수 있으며, 하나의 렌즈 또는 여러 렌즈의 조합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양 및 특정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도 3a에 기초하여, 세부사항에 대해 아래의 도 5a를 참조한다. 도 5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2 반사기(3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반사기(306)의 배치 위치는 도 5a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1 반사기(302)와 결상면 사이에 위치한다. 제1 반사기(302)에 의해 반사된 후, 광 신호는 제2 반사기(306)에 투사되고, 제2 반사기(306)에 의해 결상면으로 반사된다.
제1 렌즈(301)가 흔들릴 경우, 제어 컴포넌트(304)는 또한, 위치 센서(303)에 의해 검출된 제1 렌즈(301)의 흔들림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반사기(306)가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는데, 여기서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은 제1 사전 설정된 방향 또는 제2 반사기(306)의 법선 방향과 평행하지 않다. 따라서, 제2 반사기(306)가 회전할 경우, 이미지 안정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광 신호의 광경로의 방향도 구동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2 반사기(306)의 회전 운동과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1 반사기(302)의 회전 운동은 동시에 또는 별도로 수행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는 특히 흔들림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컴포넌트(304)에 의해 제어된다.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2 반사기(306)의 회전 운동과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1 반사기(302)의 회전 운동이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 2축 이미지 안정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도 5a에 기초하여, 세부사항에 대해 아래의 도 5b를 참조한다. 도 5b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어 컴포넌트(304)에 연결된 이미지 센서(30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미지 센서(305)의 감광면은 결상면이다.
이미지 센서(305)의 감광면인 결상면에 광 신호가 투사된 후, 이미지 센서(305)는 광 신호가 감광면 상으로 투사된 후 형성된 이미지의 첨예도 정보를 검출하고, 첨예도 정보를 제어 컴포넌트(304)로 전송한다. 이미지 센서(305)에 의해 검출된 첨예도 정보를 수신한 후, 제어 컴포넌트(304)는 첨예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반사기(302) 및/또는 제2 반사기(306)가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제1 반사기(302) 및/또는 제2 반사기(306)가 이동하면, 제1 반사기(302) 및/또는 제2 반사기(306)가 이동함에 따라 광 신호의 광경로의 길이가 달라지고, 광경로는 제1 렌즈(301)로부터 결상면으로의 광 신호의 전파 경로가 된다.
제1 반사기(302) 및/또는 제2 반사기(306)가 이동하는 방향은 미리 설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반사기(302) 및/또는 제2 반사기(306)의 반사면의 광경로 또는 법선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1 반사기(302) 및/또는 제2 반사기(306)가 이동하면, 그에 따라 광 신호의 광경로의 길이도 변하는데, 즉, 이미지 거리가 변하여, 광 신호가 감광면에 선명하게 결상될 수 있어 포커싱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a 또는 도 5b에는, 제1 렌즈(301), 제1 반사기(302), 제2 반사기(306), 결상면 사이의 위치 관계가 간략하게 나타나 있다. 아래 도 5c를 참조한다. 도 5c는 제1 렌즈(301), 제1 반사기(302), 및 제2 반사기(306) 사이의 위치 관계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2 렌즈(3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도 5d를 참조한다. 도 5d는 제1 렌즈(301), 제2 렌즈(307), 제1 반사기(302), 및 제2 반사기(306) 사이의 위치 관계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렌즈(307)는 제1 반사기(302)와 제2 반사기(306)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반사기(302)에 의해 반사된 후에 광 신호는 제2 렌즈(307)에 투사되고, 제2 반사기(306)로 투사되며, 제2 반사기(306)에 의해 반사된 후에, 광 신호는 최종적으로 결상면에 투사된다. 제2 렌즈(307)는 결상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볼록렌즈 또는 오목렌즈일 수 있으며, 하나의 렌즈 또는 복수의 렌즈의 조합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양 및 특정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2 렌즈(3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도 5e를 참조한다. 도 5e는 제1 렌즈(301), 제2 렌즈(307), 제1 반사기(302), 및 제2 반사기(306) 사이의 위치 관계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렌즈(307)는 제2 반사기(306)와 결상면 사이에 배치된다. 제2 반사기(306)에 의해 반사된 후에 광 신호는 제2 렌즈(307)에 투사되고, 최종적으로 결상면에 투사된다. 제2 렌즈(307)는 결상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볼록렌즈 또는 오목렌즈일 수 있으며, 하나의 렌즈 또는 복수의 렌즈의 조합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양 및 특정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2 렌즈(307) 및 제3 렌즈(3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도 5f를 참조한다. 도 5f는 제1 렌즈(301), 제2 렌즈(307), 제3 렌즈(308), 제1 반사기(302), 및 제2 반사기(306) 사이의 위치 관계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렌즈(307)는 제1 반사기(302)와 제2 반사기(306) 사이에 배치되고, 제3 렌즈(308)는 제2 반사기(306)와 결상면 사이에 배치된다. 광 신호는 제1 렌즈(301), 제1 반사기(302), 제2 렌즈(307), 제2반사기(306), 제3 렌즈(308)를 차례로 거쳐 최종적으로 결상면에 투사된다. 제2 렌즈(307)와 제3 렌즈(308)는 결상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제2 렌즈(307)와 제3 렌즈(308)는 각각 볼록렌즈 또는 오목렌즈일 수 있으며, 하나의 렌즈 또는 여러 렌즈의 조합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양 및 특정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3c, 도 3d, 도 4b 내지 도 4f, 및 도 5b 내지 도 5f에 도시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에서 실시된 반사기들 사이의 위치 관계, 렌즈들 사이의 위치 관계, 및 반사기와 렌즈 사이의 위치 관계는 단지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렌즈 및 반사기의 구체적인 위치, 예를 들어 제1 렌즈(301)와 각 반사기 사이의 거리 및 끼인각(included angle)의 설정, 렌즈들 사이의 거리, 위치 및 끼인각의 설정, 반사기들 사이의 거리 및 끼인각의 설정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실제 적용에서는, 요건에 기초하여 각 렌즈 및 각 반사기의 특정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도 3a 내지 도 3d, 도 4a 내지 도 4f, 및 도 5a 내지 도 5f의 임의의 특정 실시예의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에 기초하여,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6a를 참조한다. 도 6a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컴포넌트(304)의 개략도이다. 제어 컴포넌트(304)는, 구동 부재(3041) 및 프로세싱 칩(3042)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칩(3042)은 도 3a 내지 도 3d, 도 4a 내지 도 4f, 및 도 5a 내지 도 5f의 임의의 특정 실시예에서 위치 센서(303)에 의해 검출되는 제1 렌즈(301)의 흔들림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흔들림 정보를 처리한 후, 프로세싱 칩(3042)은 흔들림 정보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구동 부재(3041)가 제1 반사기(302) 및/또는 제2 반사기(306)를 구동하여 도 3a 내지 도 3d, 도 4a 내지 도 4f, 및 도 5a 내지 도 5f의 임의의 특정 실시예에서 설명된 회전 운동을 구현함으로써 이미지 안정화 기능을 구현하도록 제어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도 6a에 도시된 제어 컴포넌트(304)를 참조하면, 제어 컴포넌트(304)의 프로세싱 칩(3042)은 또한, 광 신호가 감광면 상으로 투사된 후에 형성된 이미지의 첨예도 정보(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의 이미지 센서(305) 또는 도 4b 및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의 이미지 센서(305)에 의해 검출됨)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첨예도 정보를 처리한 후, 프로세싱 칩(3042)은 또한, 첨예도 정보를 처리한 결과에 기초하여, 구동 부재(3041)가 도 3b, 도 4b 또는 도 5b의 임의의 특정 실시예에서 설명된 이동 모션을 수행하도록 제1 반사기(302) 및/또는 제2 반사기(306)를 구동함으로써, 포커싱 효과를 얻도록 제어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도 6a에 기초하여, 세부사항에 대해 아래의 도 6b를 참조한다. 도 6b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컴포넌트(304)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제어 컴포넌트(304)는, VCM 드라이버 모듈(3043)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VCM 드라이버 모듈(3043)은 프로세싱 칩(3042)에 연결된다.
프로세싱 칩(3042)은 또한, 광 신호가 감광면 상으로 투사된 후에 형성된 이미지의 첨예도 정보(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의 이미지 센서(305) 또는 도 4b 및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의 이미지 센서(305)에 의해 검출됨)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첨예도 정보를 처리한 후, 프로세싱 칩(3042)은 또한 첨예도 정보를 처리한 결과에 기초하여 VCM 드라이버 모듈(3043)을 제어하여 제1 렌즈(301)를 구동해서 제1 렌즈(301)의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제1 렌즈(301)가 제1 렌즈(301)의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1 렌즈(301)와 감광면 사이의 광 신호의 전파 경로의 길이가 변하는데, 즉 이미지 거리가 변화하여 포커싱 효과를 얻는다.
VCM 드라이버 모듈(3043)이 제1 렌즈(301)가 중심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모션 및 구동 부재(3041)가 제1 반사기(302) 및/또는 제2 반사기(306)가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모션은 동시에 또는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VCM 드라이버 모듈(3043)이 제1 렌즈(301)가 중심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모션과 구동 부재(3041)가 제1 반사기(302) 및/또는 제2 반사기(306)가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모션이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 정밀한 포커싱(fine focusing)의 기능 또는 대략적인 포커싱(coarse focusing)의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대략적인 포커싱은 보다 큰 초점 범위가 구현됨을 의미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전술한 실시예에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의 구동 컴포넌트(304)가 간략하게 설명되고, 구동 부재(3041)는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반사기가 회전 운동 또는 병진 운동을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구동 부재(3041)에 의해 사용되는 구동 방식은 자전기(magnetoelectric) 구동, 압전 구동 또는 다른 유형의 구동일 수 있다. 특정 운전 방식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도 3a 내지 도 3d, 도 4a 내지 도 4f, 및 도 5a 내지 도 5f에 도시된 임의의 실시예의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에 기초하여,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7a를 참조한다.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1 외부 프레임(309) 및 제1 캔틸레버(310)를 더 포함한다. 도 7a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부재(3041)의 개략도이다. 구동 부재(3041)는, 제1 코일(30411) 및 제1 자석(30412)을 포함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사기(302)는 제1 캔틸레버(310)를 사용하여 제1 외부 프레임(309)에 연결되고, 제1 코일(30411)은 제1 반사기(302)의 후면 또는 가장자리 위치에 고정되며, 제1 자석(30412)은 제1 외부 프레임(309)에 고정된다.
제1 코일은 도 7a에 도시된 "∞형" 코일이고, 좌측 절반 코일과 우측 절반 코일로 분할되고 좌우 대칭이다. 제1 코일(30411)에 전기가 인가된 후, 좌측 절반 코일과 제1 자석(30412) 사이의 자기장의 작용 하에 제1 반사기(302)에 수직인 내부 암페어 힘이 생성되고, 우측 절반 코일과 제1 자석(30412) 사이의 자기장의 작용 하에 제1 반사기(302)에 수직인 외부 암페어 힘이 생성되어, 제1 반사기(302)가 제2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시킨다. 제1 반사기(30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되어야 하는 경우, 도 7a에 도시된 방향과 반대 방향의 전류가 제1 코일(30411)에 공급된다.
위치 센서(303)에 의해 검출되는 제1 렌즈(301)의 흔들림 정보를 수신한 후, 프로세싱 칩(3042)은 흔들림 정보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코일(30411)에 인가되는 전기량을 제어한다. 제1 코일(30411)에 전기가 인가된 후, 제1자석(30412)의 자기장의 작용 하에, 제1 코일(30411)의 좌측 절반과 우측 절반에 각각 반대 방향의 암페어 힘이 발생하여, 제1 코일(30411)에 고정되게 연결된 제1 반사기(302)가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회전축은 제1 캔틸레버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은 제1 캔틸레버의 방향이다.
프로세싱 칩(3042)이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코일(30411)에 인가된 전기량을 제어하는 것은, 제1 반사기(302)의 회전 방향 및 제1 반사기(302)의 회전 각도 값을 제어하기 위해 제1 코일(30411)의 전류의 전류 방향 및 전류 값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도 7a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동 부재(3041)에 기초하여, 세부사항에 대해 아래의 도 7b를 참조한다.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지지 프레임(311)을 더 포함한다. 도 7b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부재(3041)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구동 부재(3041)는, 제2 코일(304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코일(30413)은 제1 반사기(302)의 후면 또는 가장자리 위치에 고정되고 제1 코일(30411)과 절연된다. 지지 프레임(311)은 제1 회전축을 사용하여 제1 반사기(302)에 연결되고, 제2 회전축을 사용하여 제1 외측 프레임(309)에 연결된다.
제2 코일(30413)은 "8자형" 코일로, 제1 코일이 90도 회전된 후에 얻어지는 형상과 유사하고, 상부 절반 코일 및 하부 절반 코일로 분할되며, 종방향으로 대칭이다. 제2 코일(30413)에 전기가 인가된 후, 상부 절반 코일과 제1 자석(30412) 사이의 자기장의 작용 하에 제1 반사기(302)에 수직인 내부 암페어 힘이 생성되고, 하부 절반 코일과 제1 자석(30412) 사이의 자기장의 작용 하에 제1 반사기(302)에 수직인 외부 암페어 힘이 생성되어, 제1 반사기(302)가 제2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제1 반사기(30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되어야 하는 경우, 도 7b에 도시된 방향과 반대 방향의 전류가 제2 코일(30413)에 공급된다.
위치 센서(303)에 의해 검출되는 제1 렌즈(301)의 흔들림 정보를 수신한 후, 프로세싱 칩(3042)은 흔들림 정보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코일(30413)에 인가되는 전기량을 제어한다. 제2 코일(30413)에 전기가 인가된 후, 제1자석(30412)의 자기장의 작용 하에, 제2 코일(30413)의 상부 절반과 하부 절반에 각각 반대 방향의 암페어 힘이 발생하여, 제2 코일(30413)에 고정되게 연결된 제1 반사기(302)가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은 제2 회전축의 방향이고,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은 제1 회전축의 방향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도 4a 내지 도 4f, 도 5a 내지 도 5f에 도시된 임의의 실시예의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에 기초하여,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7c를 참조한다.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2 외부 프레임(312) 및 제2 캔틸레버(313)를 더 포함한다. 도 7c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부재(3041)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구동 부재(3041)는, 제2 코일(30413) 및 제2 자석(304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반사기(306)는 제2 캔틸레버(313)를 사용하여 제2 외부 프레임(312)에 연결되고, 제2 코일(30413)은 제2 반사기(306)의 후면 또는 가장자리 위치에 고정되며, 제2 자석(30414)은 제2 외부 프레임(312)에 고정된다. 제2 코일(30413)은 도 7c에 도시된 "8자형" 코일이다.
위치 센서(303)에 의해 검출되는 제1 렌즈(301)의 흔들림 정보를 수신한 후, 프로세싱 칩(3042)은 흔들림 정보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코일(30413)에 인가되는 전기량을 제어한다. 제2 코일(30413)에 전기가 인가된 후, 제2자석(30414)의 자기장의 작용 하에, 제2 코일(30413)의 상부 절반과 하부 절반에 각각 반대 방향의 암페어 힘이 발생하여, 제2 코일(30413)에 고정되게 연결된 제2 반사기(306)가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은 제2 캔틸레버(313)의 방향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도 3b, 도 4b 또는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의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에 기초하여,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1 외부 프레임(309) 및 지지 프레임(311)을 포함한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도 7d를 참조한다. 도 7d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부재(3041)의 개략도이다. 구동 부재(3041)는, 제1 코일(30411), 제1 자석(30412), 제2 코일(30413), 및 제3 코일(304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30411) 및 제1 자석(30412)에 대해서는, 도 7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코일(30411) 및 제1 자석(30412)의 관련 설명을 참조한다. 지지 프레임(311) 및 제2 코일(30413)에 대해서는, 도 7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 프레임(311) 및 제2 코일(30413)에 대한 관련 설명을 참조한다. 세부사항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코일(30414)은 제1 반사기(302)의 후면 또는 가장자리 위치에 고정되고, 제1 코일(30411) 및 제2 코일(30413)과 절연된다. 또는, 제3 코일(30414)은 지지 프레임(311)에 고정될 수 있다.
광 신호가 감광면 상으로 투사된 후 형성되어 이미지 센서(305)에 의해 검출된 이미지의 첨예도 정보를 수신한 후, 프로세싱 칩(3042)은 첨예도 정보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제3 코일(30414)에 인가된 전기량을 제어한다. 제3 코일(30414)에 전기가 인가된 후, 제1 자석(30412)의 자기장의 작용 하에 제3 코일(30414)이 위치하는 평면에 수직인 암페어 힘이 생성되어, 제3 코일(30414)에 고정되게 연결된 제1 반사기(302)가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프로세싱 칩(3042)이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제3 코일(30414)에 인가된 전기량을 제어하는 것은, 제1 반사기(302)의 이동의 크기 및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제3 코일(30414)의 전류의 전류 방향 및 전류 값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도 7d에 도시된 구동 부재(3041)의 제3 코일(30414)은 대안적으로 도 7c에 도시된 구동 부재(3041)의 제2 반사기(306) 상에 배치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제2 반사기(306)의 후면 또는 가장자리 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코일(30413)과 절연된다. 특정 배치는 도 7d의 것과 유사하고, 세부사항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도 3a 내지 도 3d, 도 4a 내지 도 4f, 및 도 5a 내지 도 5f에 도시된 임의의 실시예의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에 기초하여,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7e를 참조한다.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1 외부 프레임(309) 및 지지 프레임(311)을 더 포함한다. 도 7e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부재(3041)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구동 부재(3041)는, 제1 코일(30411), 제1 전자석(30412), 제2 전자석(30413), 제3 전자석(30414) 및 제4 전자석(30415)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11)의 구조는 도 7b에 설명된 지지 프레임(311)의 구조와 유사하며, 세부 사항은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코일(30411)은 직사각형 코일 또는 정사각형 코일이고,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전류가 제1 코일(30411)을 통해 흐를 수 있다. 제1 반사기(302)는 제2 회전축을 사용하여 지지 프레임(311)에 연결되고, 지지 프레임(311)은 제1 회전축을 사용하여 외부 프레임(309)에 연결되며, 제1 코일(30411)은 제1 반사기(302)의 후면 또는 가장자리 위치에 배치되어 고정되고, 제1 전자석(30412) 및 제2 전자석(30413)은 외부 프레임(309)에 별도로 고정된다.
위치 센서(303)에 의해 검출된 제1 렌즈(301)의 흔들림 정보를 수신한 후, 프로세싱 칩(3042)은 흔들림 정보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동일 방향 또는 상이한 방향의 암페어 힘이 자기장의 작용 하에 제1 코일의 네 면에 제각기 생성되도록 제1 코일(30411)에 인가되는 전기를 제어하여, 예컨대 전류 값 및 전류 방향을 제어하여, 제1 코일에 고정되게 연결된 제1 반사기(302)가 회전 동작 또는 이동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동함으로써, 이미지 안정화 기능 또는 포커싱 기능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전류가 제1 코일(30411)에 인가되고, 제2 전자석(30413) 및 제4 전자석(30415)은 자기장을 생성하지 않도록 제어되며(즉, 제2 전자석(30413) 및 제4 전자석(30415)의 코일에 전기가 인가되지 않는다), 제1 전자석(30412) 및 제3 전자석(30414)은 도 7e에 도시된 동일한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도 7e를 참조하면, 제1 코일(30411)의 상부 절반 및 하부 절반에 있는 도선은 따로따로 자기장과 작용해서 반대 방향으로 암페어 힘을 생성하여, 제1 반사기(302)를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유사하게, 제2 전자석(30413) 및 제4 전자석(30415)은 또한 동일한 방향의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제어될 수 있고, 제1 전자석(30412) 및 제3 전자석(30414)은 자기장을 생성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제1 반사기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된다. 유사하게, 도 7e를 참조하면 제1 코일(30411)에 인가되는 전기와, 제1 전자석(30412), 제2 전자석(30413), 제3 전자석(30414), 및 제4 전자석(30415)의 자기장을 제어함으로써, 다른 경우에서의 이동 또는 회전이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세부사항은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다.
전술한 첨부 도면에서,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의 컴포넌트가 설명된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도 8을 참조한다. 도 6b 및 도 7d에 도시된 구조를 참조하여, 이하에서는 흔들림 정보 및 첨예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반사기(302) 및 제1 렌즈(301)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개략도이다. 이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801: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가 제1 렌즈(301)의 흔들림 정보를 검출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렌즈(301)가 흔들릴 경우,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의 위치 센서(303)는 흔들림 변위, 흔들림 주파수 및 흔들림 방향과 같은 제1 렌즈(301)의 흔들림 정보를 검출한다. 여기서, 위치 센서(303)는 특정한 센서가 아니라, 일반적으로 제1 렌즈(301)의 흔들림 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의미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광 신호가 이미지 센서(305)의 감광면 상에 투사된 후, 이미지 센서(305)는 감광면 상의 광 신호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의 첨예도 정보를 검출한다.
S802: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흔들림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위치 센서(303)에 의해 검출된 흔들림 정보를 수신한 후, 프로세싱 칩(3042)은 사전 설정된 제1 알고리즘에 따라 흔들림 정보를 처리하여 제1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사전 설정된 제1 알고리즘은 이후에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제1 제어 파라미터는 구체적으로 제1 반사기(302)의 회전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 파라미터는 회전 방향 정보 및 회전 각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이미지 센서(305)에 의해 검출된 첨예도 정보를 수신한 후, 프로세싱 칩(3042)은 사전 설정된 제2 알고리즘에 따라 첨예도 정보를 처리하여 제2 제어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사전 설정된 제2 알고리즘은 이후에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제2 제어 파라미터는 제1 반사기(302)의 이동을 나타내는 파라미터 및 제1 렌즈(301)의 이동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 파라미터는 이동 방향 정보 및 이동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803: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어 컴포넌트(304)를 사용하여 제1 제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반사기(302)가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한 후,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1 제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코일(30411)에 로드되어야 하는 전류의 전류 방향 및 전류 값과, 제2 코일(30413)에 로드되어야 하는 전류의 전류 방향 및 전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 프로세스는 사전 설정된 제3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3 알고리즘은 이후에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2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한 후,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2 제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3 코일(30414)에 로드되어야 하는 전류의 전류 방향 및 전류 값과, VCM 드라이버 모듈(3043)에 로드되어야 하는 전류의 전류 방향 및 전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 프로세스는 사전 설정된 제4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4 알고리즘은 이후에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제어 컴포넌트(304)가 제1 반사기(302)가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모션, 제어 컴포넌트(304)가 제1 반사기(302)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모션, 및 VCM 드라이버 모듈(3043)이 제1 렌즈(301)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모션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별개로 수행될 수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단계(S803)에서 설명한 내용을 참조한다. 제1 코일(30411), 제2 코일(30413), 제3 코일(30414), 및 VCM 드라이버 모듈(3043)에 전기가 인가된 후에 제1 코일(30411), 제2 코일(30413), 제3 코일(30414), VCM 드라이버 모듈(3043)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기능적 효과는 다음 표 1에 나와 있다. 표 1은 다양한 전기 적용 사례에서 달성할 수 있는 이미지 안정화 효과 및/또는 포커싱 효과의 개략적인 도표이다.
번호 제1 코일 30411 제2 코일
30413
제3 코일
30414
VCM 드라이버 모듈 3043 설명
1 + 0 0 0 이미지 안정화 1
2 + + 0 0 이미지 안정화 1 +
이미지 안정화 2
3 + + + 0 이미지 안정화 1 + 이미지 안정화 2 + 포커싱 1
4 0 + + 0 이미지 안정화 2 + 포커싱 1
5 0 0 + 0 포커싱 1
6 0 + 0 0 이미지 안정화 2
7 + 0 + 0 이미지 안정화 1 + 포커싱 1
8 + 0 0 + 이미지 안정화 1 + 포커싱 2
9 + + 0 + 이미지 안정화 1 + 이미지 안정화 2 + 포커싱 2
10 + + + + 이미지 안정화 1 + 이미지 안정화 2 + 포커싱 1 + 포커싱 2
11 0 + + + 이미지 안정화 2 + 포커싱 1 + 포커싱 2
12 0 0 + + 포커싱 1 + 포커싱 2
13 0 + 0 + 이미지 안정화 2 + 포커싱 2
14 + 0 + + 이미지 안정화 1 + 포커싱 1 + 포커싱 2
15 0 0 0 + 포커싱 2
표 1에서, +는 전기가 인가됨을 나타내고, 전류의 특정 방향은 계산을 통해 구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설정되며; 0은 전기가 인가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고; 이미지 안정화 1은 제1 코일(30411)에 전기가 인가된 후 제1 반사기(302)가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될 때 달성될 수 있는 이미지 안정화 효과를 나타내고; 이미지 안정화 2는 제2 코일(30413)에 전기가 인가된 후 제1 반사기(302)가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될 때 달성될 수 있는 이미지 안정화 효과를 나타내며; 포커싱 1은 제1 반사기(302)가 이동할 때 가져오는 포커싱 효과를 나타내고; 포커싱 2는 VCM 드라이버 모듈(3043)이 제1 렌즈(301)를 중심축을 따라 병진운동하도록 구동할 때 가져오는 포커싱 효과를 나타낸다. 이미지 안정화 및 포커싱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며, 포커싱 1 + 포커싱 2는 더 넓은 범위의 포커싱 및 정교한 포커싱을 구현할 수 있다.당업자는, 설명을 편리하고 간략하게 하기 위해,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세부적인 작업 프로세스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한다는 것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세부사항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여러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일 뿐이다. 예를 들어, 유닛들로의 분할은 단지 논리적 기능 분할이며, 실제 구현에서는 다른 분할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구성요소가 다른 시스템에 결합되거나 통합될 수도 있고, 일부 기능이 무시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이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장치들 또는 유닛들 사이의 간접 결합들 또는 통신 연결들은 전자,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별개의 부분으로 기술된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며, 유닛들로 표시되는 부분들은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한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될 수도 있다. 유닛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실시예들의 해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요건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단지 본 출원의 기술적 해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출원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사상 및 기술적 해법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전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기술적 해법에 수정을 가할 수도 있고 일부 기술적 특징을 대체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6)

  1.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로서,
    제1 렌즈, 제1 반사기, 위치 센서, 및 제어 컴포넌트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제어 컴포넌트에 연결되고,
    광 신호가 상기 제1 렌즈를 통과한 후 상기 제1 반사기로 전송되고,
    상기 제1 반사기는 수신된 상기 광 신호를 반사하며, 상기 반사된 광 신호는 결상면(imaging plane)에 투사되고,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제1 렌즈의 흔들림 정보(shaking information)를 검출하고 상기 흔들림 정보를 상기 제어 컴포넌트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상기 흔들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반사기가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은 상기 제1 반사기의 법선 방향에 평행하지 않는,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또한, 상기 흔들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반사기가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은 상기 제1 사전 설정된 방향 또는 상기 제1 반사기의 법선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2 반사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반사기는 상기 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광 신호를 상기 제1 렌즈로 반사하며,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또한, 상기 흔들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반사기가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은 상기 제1 사전 설정된 방향 또는 상기 제2 반사기의 법선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상기 제어 컴포넌트에 연결된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 센서의 감광면은 상기 결상면이고,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광 신호가 상기 감광면 상으로 투사된 후에 형성된 이미지의 첨예도(acutance)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또한, 상기 첨예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반사기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광 신호의 광경로의 길이는 상기 제1 반사기가 이동함에 따라 변하고, 상기 광경로는 상기 제1 렌즈로부터 상기 결상면까지의 상기 광 신호의 전파 경로인,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2 반사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 신호는 상기 제1 반사기에 의해 반사된 후에 상기 제2 반사기로 투사되고, 상기 제2 반사기에 의해 상기 결상면으로 반사되며,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또한, 상기 제2 반사기가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은 상기 제1 사전 설정된 방향 또는 상기 제2 반사기의 법선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상기 제어 컴포넌트에 연결된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 센서의 감광면은 상기 결상면이고,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광 신호가 상기 감광면 상으로 투사된 후에 형성된 이미지의 첨예도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 정보는 또한, 상기 첨예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반사기 및/또는 제2 반사기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광 신호의 광경로의 길이는 상기 제1 반사기 및 제2 반사기가 이동함에 따라 변하고, 상기 광경로는 상기 제1 렌즈로부터 상기 결상면까지의 상기 광 신호의 전파 경로인,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외부 프레임 및 제1 캔틸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사기는 상기 제1 캔틸레버를 사용하여 상기 외부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제1 코일, 자석, 및 프로세싱 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제1 반사기의 후면에 고정되며, 상기 자석은 상기 외부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프로세싱 칩은, 상기 흔들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코일에 인가되는 전기량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반사기의 양쪽에 반대 방향으로 힘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반사기가 상기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
  8. 제3항,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외부 프레임 및 제1 캔틸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반사기는 상기 제1 캔틸레버를 사용하여 상기 외부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제1 코일, 자석, 및 프로세싱 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제2 반사기의 후면에 고정되며, 상기 자석은 상기 외부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프로세싱 칩은, 상기 흔들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코일에 인가되는 전기량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반사기의 양쪽에 반대 방향으로 힘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반사기가 상기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외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사기는 상기 외부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제2 코일, 자석, 및 프로세싱 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제1 반사기의 후면에 고정되며, 상기 자석은 상기 외부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프로세싱 칩은, 상기 첨예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코일에 인가되는 전기량을 제어하고, 상기 제1 반사기에 대해 동일한 방향으로 힘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반사기가 이동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1 외부 프레임 및 제2 외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사기 및 상기 제2 반사기는 상기 제1 외부 프레임 및 상기 제2 외부 프레임에 제각기 연결되며,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제1 코일, 제1 자석, 제2 코일, 제2 자석, 및 프로세싱 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제1 반사기의 후면 및 상기 제2 반사기의 후면에 제각기 고정되며, 상기 제1 자석 및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제1 외부 프레임 및 상기 제2 외부 프레임에 제각기 고정되고, 상기 프로세싱 칩은, 상기 첨예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코일에 인가되는 전기량 및/또는 상기 제2 코일에 인가되는 전기량을 제어하여, 상기 제1 반사기 및/또는 상기 제2 반사기가 별개로 이동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
  11. 제4항, 제6항,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VCM) 드라이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VCM 드라이버 모듈은 상기 첨예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렌즈가 이동하도록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제3 코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 상기 제2 코일 및 상기 제3 코일은 서로 절연되며, 상기 제3 코일은 상기 제1 반사기의 상기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프로세싱 칩은 또한, 상기 흔들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코일에 대한 전기 인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반사기의 양쪽에 반대 방향으로 힘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반사기가 상기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을 상기 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
  13.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에서 사용되는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제1 렌즈, 제1 반사기, 위치 센서, 및 제어 컴포넌트를 포함하되, 광 신호가 상기 제1 렌즈를 통과한 후 상기 제1 반사기에 의해 반사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의 감광면 상으로 투사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위치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렌즈의 흔들림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흔들림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제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반사기가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는 상기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광 신호가 상기 감광면 상으로 투사된 후에 형성된 이미지의 첨예도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흔들림 정보 및 상기 첨예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제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반사기 및/또는 상기 제1 렌즈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제1 코일, 제2 코일, 및 제1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은 모두 상기 제1 반사기의 후면에 고정되고 서로 절연되며,
    상기 제어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제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반사기를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코일의 전기 인가 상태 및 상기 제2 코일의 전기 인가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기 인가 상태는 인가된 전기의 전류 값 및 전류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에 전기가 인가되고 상기 제2 코일에 전기가 인가된 후, 상기 제1 자석의 자기장의 작용 하에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반사기의 양쪽에 반대 방향으로의 힘 및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반사기의 양쪽에 반대 방향으로의 힘이 개별적으로 생성되어, 상기 제1 반사기는 상기 제1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그리고 제2 사전 설정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개별적으로 회전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제3 코일 및 보이스 코일 모터(VCM) 드라이버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코일은 상기 제1 반사기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코일 및 제2 코일로부터 절연되며,
    상기 VCM 드라이버 모듈은 상기 제1 렌즈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제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반사기 및/또는 상기 제1 렌즈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제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코일의 전기 인가 상태 및 상기 VCM 드라이버 모듈의 전기 인가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기 인가 상태는 인가된 전기의 전류 값 및 전류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코일에 전기가 인가된 후에, 상기 제1 반사기는 상기 자석의 자기장의 작용 하에 이동하도록 구동되고, 상기 VCM에 전기가 인가된 후에 상기 제1 렌즈는 이동하도록 구동되는,
    방법.
KR1020227006290A 2019-07-31 2020-06-20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2200359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704671.9A CN112394536B (zh) 2019-07-31 2019-07-31 一种光学防抖装置及控制方法
CN201910704671.9 2019-07-31
PCT/CN2020/097284 WO2021017683A1 (zh) 2019-07-31 2020-06-20 一种光学防抖装置及控制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970A true KR20220035970A (ko) 2022-03-22

Family

ID=74230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6290A KR20220035970A (ko) 2019-07-31 2020-06-20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50413A1 (ko)
EP (1) EP4006623A4 (ko)
JP (1) JP2022542307A (ko)
KR (1) KR20220035970A (ko)
CN (1) CN112394536B (ko)
WO (1) WO20210176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93720A (zh) * 2021-03-15 2021-07-30 北京可利尔福科技有限公司 微型光学防抖马达及微型摄像模组
CN113114989B (zh) * 2021-04-02 2023-01-03 东莞市威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对讲机安卓室内机主板
CN113259563B (zh) * 2021-05-14 2022-11-25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CN116719196A (zh) * 2022-09-23 2023-09-08 荣耀终端有限公司 防抖电子设备及防抖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3887A (en) * 1988-01-21 1996-06-04 Loral Fairchild Corporation Stabilized imaging system
JP2000010139A (ja) * 1998-06-18 2000-01-14 Asahi Optical Co Ltd 像振れ補正カメラ及びカメラの像振れ補正方法
US6130993A (en) * 1998-04-20 2000-10-10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Camera having an image stabilizer
JPH11305278A (ja) * 1998-04-20 1999-11-05 Asahi Optical Co Ltd 像振れ補正カメラ及び像振れ補正カメラの制御方法
CN1474997A (zh) * 2000-09-21 2004-02-11 Ӧ�ÿ�ѧ��˾ 动态图像校正及成像系统
JP4680373B2 (ja) * 2000-11-16 2011-05-1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ガルバノミラー
JP2002228903A (ja) * 2001-01-30 2002-08-14 Olympus Optical Co Ltd 光学ユニット
JP2004247947A (ja) * 2003-02-13 2004-09-02 Olympus Corp 光学装置
CN1764871A (zh) * 2003-03-26 2006-04-2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影像显示系统
US20090122406A1 (en) * 2006-02-06 2009-05-14 Jarkko Rouvinen Optical Image Stabilizer Using Gimballed Prism
KR100871566B1 (ko) * 2006-12-04 2008-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촬상 장치의 손떨림 보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8242207A (ja) * 2007-03-28 2008-10-09 Casio Comput Co Ltd ぶれ補正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8309998A (ja) * 2007-06-14 2008-12-25 Sony Corp ティルトレンズ系及び撮像装置
KR20090084494A (ko) * 2008-02-01 2009-08-05 (주)캠톤 영상촬영장치의 손떨림 보정을 위한 틸트구동장치
JP2009244490A (ja) * 2008-03-31 2009-10-22 Casio Comput Co Ltd カメラ、カメラ制御プログラム及びカメラ制御方法
US8687276B2 (en) * 2010-01-22 2014-04-01 Stereo Display, Inc Optical system with optical image stabilization using a MEMS mirror
DE112012005662B4 (de) * 2012-01-13 2018-04-26 Canon Kabushiki Kaisha Linseneinheit, Bildaufnahmegerät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Linseneinheit und eines Bildaufnahmegeräts
CN103676405A (zh) * 2013-12-02 2014-03-26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光学成像装置、光学系统和移动终端
CN108828874A (zh) * 2013-12-11 2018-11-16 旭化成微电子株式会社 照相机模块及其光学元件的位置控制方法
CN107003587B (zh) * 2014-12-02 2018-08-07 富士胶片株式会社 摄像装置及像抖动校正方法
JP5949972B1 (ja) * 2015-02-12 2016-07-13 日本電気株式会社 撮像装置
CN206248987U (zh) * 2016-11-29 2017-06-13 深圳市世尊科技有限公司 潜望式摄像模组及用于该潜望式摄像模组的反射镜装置
DE102017206429A1 (de) * 2017-04-13 2018-10-1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ultiaperturabbildungsvorrichtung, Abbildungssystem und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r Multiaperturabbildungsvorrichtung
US10712633B2 (en) * 2017-05-12 2020-07-14 Tdk Taiwan Corp. Optical system
US10884237B2 (en) * 2018-05-23 2021-01-05 Lg Electronics Inc. Camera with an image sensor generating an image signal based on input light reflected by a prism apparatus and passing through lens apparatus, and terminal including the same
CN108965663B (zh) * 2018-07-09 2020-07-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06623A1 (en) 2022-06-01
CN112394536B (zh) 2022-04-29
EP4006623A4 (en) 2022-10-05
US20220150413A1 (en) 2022-05-12
CN112394536A (zh) 2021-02-23
JP2022542307A (ja) 2022-09-30
WO2021017683A1 (zh) 2021-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4780B2 (en) Auto focus and optical image stabilization with roll compensation in a compact folded camera
KR102113379B1 (ko) 폴딩된 광학 어레이 카메라들을 위한 자동초점
CN111901503B (zh) 一种摄像模组、终端设备、成像方法及成像装置
KR20220035970A (ko) 광학 이미지 안정화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18201214A (ja) フォールデッドオプティクスを用いたマルチカメラシステム
JP2008035308A (ja) 電子カメラ及びレンズユニット
KR102606609B1 (ko) 카메라 모듈, 단말 디바이스, 촬상 방법 및 촬상 장치
CN111033344A (zh) 用于集成在移动装置中的具有多个相机的模块
CN209517305U (zh) 一种潜望式摄像模组
WO2021136215A1 (zh) 一种摄像方法、摄像模组和电子设备
US11153486B2 (en) Imaging apparatus and camera system
CN113472991B (zh) 控制方法、控制装置、摄像头组件、电子设备和介质
WO2021057529A1 (zh) 摄像模组及终端设备
US11796906B2 (en) Lens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JP2002236248A (ja) レンズ鏡筒
JP2014137535A (ja) 撮像装置
JP2017151464A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US20200049937A1 (en) Lens module
JP2003222918A (ja) レンズ鏡筒と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CN217406638U (zh) 相机模块与电子装置
WO2024041224A1 (zh) 一种电子设备、摄像模块及其控制方法
US20220244619A1 (en) Image acquisition module and terminal
JP2023516292A (ja) 光学画像システム、光学画像安定化を実行するための方法
JP5895464B2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KR20120079550A (ko) 파노라마 구동부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