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5463A - 흡연 제품 제조 산업의 다양한 유형의 물품을 운송하기 위한 조립체 및 관련 플랜트 - Google Patents

흡연 제품 제조 산업의 다양한 유형의 물품을 운송하기 위한 조립체 및 관련 플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5463A
KR20220035463A KR1020227005229A KR20227005229A KR20220035463A KR 20220035463 A KR20220035463 A KR 20220035463A KR 1020227005229 A KR1020227005229 A KR 1020227005229A KR 20227005229 A KR20227005229 A KR 20227005229A KR 20220035463 A KR20220035463 A KR 20220035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conveyor
assembly
article
stre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5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카 칼조라리
미쉘 페라리
루카 페데리치
Original Assignee
지.디 쏘씨에타'퍼 아지오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디 쏘씨에타'퍼 아지오니 filed Critical 지.디 쏘씨에타'퍼 아지오니
Publication of KR20220035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46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65G47/51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35Adaptations of conveying apparatus for transporting cigarettes from making machine to packaging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4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length or configura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65G47/51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 B65G47/510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for articles
    • B65G47/5109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for articles first In - First Out systems: FIFO
    • B65G47/5113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for articles first In - First Out systems: FIFO using endless conveyors
    • B65G47/5118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for articles first In - First Out systems: FIFO using endless conveyors with variable accumulation capacity
    • B65G47/5131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for articles first In - First Out systems: FIFO using endless conveyors with variable accumulation capacity by relative displacement between conveyors or conveyor parts and bridging means therebetw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26Cigaret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Manufacturing Of Cigar And Cigarette Tobacco (AREA)

Abstract

흡연 제품 제조 산업의 운송 조립체로서; 상기 운송 조립체는: 제 1 제조 기계의 제 1 입력 스테이션으로 제 1 운송 경로를 따라 흡연 제품의 구성요소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이송 시스템; 및 제 1 기계의 제 1 출력 스테이션으로부터 제 2 제조 기계(예를 들어, 포장 기계)의 입력 스테이션으로 제 2 이송 경로를 따라 구성요소로부터 획득된 물품을 이송하기 위한 제 2 이송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이송 시스템은 제 1 이송 경로의 스트레치부의 길이를 변경하도록 되며; 상기 제 2 이송 시스템은 제 2 이송 경로의 스트레치 길이를 변경하도록 되며; 상기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의 스트레치부는 서로 중첩되고/되거나 나란히 배치된다.

Description

흡연 제품 제조 산업의 다양한 유형의 물품을 운송하기 위한 조립체 및 관련 플랜트
이 특허 출원은 2019년 7월 16일에 출원된 이탈리아 특허 출원 번호 제 102019000011823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개시 내용은 참조로 본원에 편입된다.
본 발명은 흡연 제품 제조 산업의 운송 조립체 및 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흡연 제품"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담배(tobacco), 여과부, 궐련, 가열-비-연소 제품과 같은 담배 산업의 바아 형태의 제품을 가리킨다.
본 발명은 궐련을 포장 기계에서 포장 기계로 운반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해 바람직한 적용 사례를 발견하고, 이에 대한 다음 개시 내용의 일부는 그 일반성을 잃지 않고 명시적으로 참조된다.
흡연 제품 제조 산업 분야에서, 처리된 물품을 얻도록 물품을 처리하는 제 1 기계로 물품을 공급하고 처리된 물품을 제 2 기계로 이송하기 위한 제 1 이송 시스템을 포함하는 플랜트가 알려져 있다.
작동 중에 두 기계의 작동 속도는 절대적인 의미에서 가변적일 수 있고 하나는 다른 것에 상대적으로 변할 수 있다. 두 기계의 생산성에 일시적인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두 기계 사이와 두 기계의 상류 모두에 가변 용량 저장부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가변 용량 저장부는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비싸며 부피가 크다.
예를 들어, 개별 궐련을 생산하는 제조 기계(제조기), 궐련 한 갑을 생산하는 포장 기계, 및 제조 기계에 공급하고 제조 기계의 출력부로부터 포장 기계의 입력부로 궐련의 연속적인 유동을 공급하기 위하여 제조 기계를 포장 기계에 연결하는 운송 조립체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궐련 제조 플랜트에 대한 비 제한적인 기준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운송 조립체는 제조 기계의 출력부에서 궐련의 연속 흐름을 수신하고 궐련의 연속 흐름을 수직으로 들어올리는 엘리베이터, 사람들의 기본 통행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비교적 높은 높이(일반적으로 2.5미터 이상)에 배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로부터 궐련이 연속적인 흐름을 수용하는 수평 컨베이어, 상기 수평 컨베이어의 끝에 배치되고 궐련의 지속적인 흐름을 포장 기계의 입력부(특히 포장 기계의 호퍼의 입력부)로 공급하는 하강 채널 기계를 포함한다.
두 기계의 생산성의 일시적인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제조 기계가 패킹 기계(packing machine)보다 생산성이 높을 때(즉, 포장 기계(packaging machine)가 포장하는 궐련의 양보다 패킹 기계가 더 많은 양의 궐련을 제조하는 경우) 주어진 양의 궐련을 저장(흡수)하며, 포장 기계가 패킹 기계보다 더 생산적인 경우(즉 제조 기계가 패킹 기계에 의해 패킹 되는 궐련의 양에 비하여 작은 량을 제조하는 경우) 궐련의 주어진 양을 방출하는 수평 컨베이어에 가변 용량 궐련 저장부를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미 언급했듯이 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궐련의 가변 용량 저장부는 비교적 복잡하고 비싸며 부피가 크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행 기술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고 동시에 제조하기 쉽고 저렴한 운송 조립체 및 플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송 조립체 및 플랜트는 아래의 독립 청구항,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독립 청구항을 직간접적으로 인용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제공된다.
본 발명은 이제 실시예의 비 제한적인 예를 예시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랜트 및 운송 조립체의 사시도 및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운송 조립체의 일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다른 작동 형태에서 도 2의 운송 조립체의 일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운송 조립체의 일부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작동 형태의 도 2 및 도 3의 운송 조립체 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시스템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운송 조립체의 일부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작동 형태에서 도 6의 운송 조립체 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운송 조립체의 일부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작동 형태의 도 7 및 도 8의 운송 조립체 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플랜트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원근법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은 흡연 제품 제조 산업의 전체 운송 조립체를 나타낸다.
상기 운송 조립체(1)는: (가공) 기계(5)의 입력 스테이션(4)으로 운송 경로(P1)를 따라 흡연 제품 제조 산업의 (벌크) 물품(3)(특히, 실질적으로 원통형)을 공급하기 위한 운송 시스템(2); 및 기계(5)의 출력 스테이션(8)으로부터 운송 경로(P2)를 따라 (특히, 추가적인 가공 기계(10)의 입력 스테이션으로) 흡연 제품 제조 산업의 (벌크) 물품(7)(특히 실질적으로 원통형)을 운반하기 위한 운송 시스템(6)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 시스템(2)은 이송 경로(P1)의 (가변 길이) 스트레치부(11)의 길이를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송 시스템(6)은 이송 경로(P2)의 (가변 길이) 스트레치부(12)의 길이를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트레치부(11, 1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조립체(1)로 가변 용량 저장 시스템의 전체 크기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이송 시스템(2)(더 정확하게는 스트레치부 (11)) 및 이송 시스템(6)(더 정확하게는 스트레치부(12))은 특히 FIFO(선입 선출: first in first out) 유형으로 가별 용량 저장부로서 거동하며 특정 상대 위치를 통해 사용 가능한 공간을 더 잘 사용할 수 있다. 실제로, 상기 이송 시스템(2, 6)은 상기 부분(11, 12)이 서로를 향하도록(특히,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중첩 및/또는 나란히 있도록) 상호 배치된다.
상기 스트레치부(11)의 길이방향 연장부가 스트레치부(12)의 길이방향 연장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향할 때, 스트레치부(11 및 1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를 향하도록 된다.
특히, 상기 스트레치부(11, 1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중첩되고/거나 나란하게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스트레치부(11)의 길이방향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스트레치부(12)의 길이방향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중첩되고/되거나 나란히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러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상기 스트레치부(11, 12)는 각각 실질적으로 선형인 적어도 각각의 부분(보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2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스트레치부(11)의 실질적으로 선형인 부분은 상기 스트레치부(12)의 실질적으로 선형인 부분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추가로,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스트레치부(11)의 실질적으로 선형인 부분 및 상기 스트레치부(12)의 실질적으로 선형인 부분(적어도 부분적으로)은 서로 중첩되고/되거나 나란히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운송 조립체(1)는 (운송 조립체(1)에 더하여) 또한 기계(5)(특히, 기계(10))를 포함하는 흡연 제품 제조 산업의 플랜트(13)의 일부이다.
일부 비 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물품(3)은 제조될 흡연 제품의 물품이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기계(5)는 예를 들어 이들을 함께 결합하고 포장 시트로 포장하고 물품(7)(흡연 제품 - 담배 - 다중 구성요소)을 획득함으로써 상품을 조립하는 기계일 수 있다. 비 제한적인 예에 따르면, 상기 기계(5)는 동일한 출원인의 특허 출원 US2015289559에 기술된 것과 같을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계(5)는 단지 물품(3)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다른 방식으로 배향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물품(3, 7)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부 비 제한적인 경우에, 기계(10)는 포장 기계, 즉 물품(7)의 패킷을 획득하기 위해 물품(7)을 수신하고 포장하는 기계이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계(10)는 예를 들어 물품(7)을 추가 구성요소(예를 들어 필터 또는 다른 구성요소)와 조합함으로써 물품(7)을 추가로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실시예(도 1)에 따르면, 상기 이송 시스템(2)(특히, 스트레치부(11)) 및 이송 시스템(6)(특히, 스트레치부(12))이 기계(5)(위)(특히 기계(10)) 에 대해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 시스템(2, 6)은 기계(5, 10)에 의해 점유된 것보다 더 많은 지면 공간을 점유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시스템의 전체 치수는 서로 다른 유형의 2개의 물품 전용 이송 시스템을 갖는 이점으로 인해 제한된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 시스템(2, 6)은 지면에 및/또는 기계(5, 10)에 대해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예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 시스템(2) 및/또는 이송 시스템(6)은 스트레치부(11) 및 스트레치부(12)의 적어도 (가변 길이) 일부를 따라 각각 물품(3) 및/또는 물품(7)을 운송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각각의) 이송 조립체(14)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 시스템(2)은 이송 조립체(14)를 포함할 수 있지만, 상기 이송 시스템(6)은 이송 조립체(14)의 구조를 갖는 이송 조립체를 포함할 수 없다. 반대로, 일부 경우에, 상기 이송 시스템(6)은 이송 조립체(14)를 포함할 수 있지만, 상기 이송 시스템(2)은 이송 조립체(14)의 구조를 갖는 이송 조립체를 포함할 수 없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 시스템(2) 및 이송 시스템(6)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개별 이송 조립체(14)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이송 시스템(2, 6)의 이송 조립체(14)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그러나 그것들은 별개의 개체임).
또한, 상기 이송 시스템(2) 및/또는 이송 시스템(6)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개별 이송 조립체(CG 및/또는 14')(특히, 이송 조립체(14)의 하류에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조립체(14)는 물품(3) 또는 물품(7)(각각 물품(3) 및/또는 물품(7))을 제 1 방향(A 또는 B)으로 각각 이동시키도록 설계된다. 상기 이송 조립체(CG 및/또는 14)는 스트레치부(11) 및 스트레치부(12)의 추가 부분을 따라 물품(3) 또는 물품 (7)(각각 물품 3 및/또는 물품 7)을 제 1 방향 A 또는 B와 실질적으로 반대인 제 2 방향 B 또는 A으로 이송시키도록 설계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 시스템(2, 6)은 각각의 이송 조립체(14) 및 추가 이송 조립체(CG)(후자는 선형 컨베이어만으로 형성됨)를 포함한다. 그러한 경우에, 상대 이송 경로(P1, P2)는 "C" 형상이다.
선택적으로, 도 4는 이송 시스템(2)이 이송 조립체(14) 및 이송 조립체(CG)를 포함하는 반면 이송 시스템(6)은 이송 조립체(14, 14') 및 이송 조립체(CG)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러한 경우에, 이송 경로(P1)는 "C" 형상인 반면 이송 경로(P2)는 "S" 형상이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 시스템(2)의 이송 조립체(14)는 물품(3)을 A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송 시스템(2)의 이송 조립체(CG)는 물품(3)을 B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송 시스템(6)의 이송 조립체(14)는 물품(7)을 B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송 시스템(6)의 이송 조립체(CG 또는 14')는 물품(7)을 A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시되지 않은 선택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 시스템(2)의 이송 조립체(14) 및 이송 시스템(6) 모두는 A 방향으로 물품을 이동시키고; 유사하게, 이송 시스템(2) 및 이송 시스템(6)의 이송 조립체(CG 및/또는 14')는 모두 물품을 B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이송 조립체(14, CG 및/또는 14')는 하나가 다른 것 아래에 배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이송 조립체(CG)는 이송 조립체(14)(및 또한 가능하게는 이송 조립체(14')) 아래에 배치된다.
특히, (각각의) 이송 조립체(CG)는 (단일) 선형 컨베이어(LC)를 포함(이에 의해 형성됨)한다.
특히, (각각의) 이송 조립체(14')는 이송 조립체(14)와 같은 구조(및 작동)를 갖는다(상기 구조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임). 일반적으로, (각각의) 이송 조립체(14')는 각각의 컨베이어(15) 및 각각의 컨베이어(16)를 포함한다. 유리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상기 이동 조립체(17)(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됨)는 (각각에 의한) 이송 조립체(14) 및 (각각에 의한) 이송 조립체(1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유된다.
유리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신장부(11, 12)(특히, 이송 조립체(14, 가능하게는 14' 및/또는 CG))는 기계(5)의 측면 치수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운송 조립체(1)의 충격(점유 공간 측면에서)은 훨씬 더 적다.
다음에서는 이송 시스템(2) 및 관련된 운송 조립체(14)의 구조 및 작동의 일부 비 제한적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이 제공된다. 상기 설명은 이송 시스템(2)의 특정 구조 및 작동에 관계없이 이송 시스템(6) 및 상대 이송 조립체(14)에도 준용하여 적용 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일부 비 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이송 조립체(14)는 컨베이어(15)(선형),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16)(선형), 및 상기 컨베이어(15)와 컨베이어(16) 중 적어도 하나를 컨베이어(15) 및 컨베이어(16)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오버랩되는 제 1 형태(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됨) 및 컨베이어(16)가 적어도 하나의 중간 형태(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됨)를 통하여 통과하는 컨베이어(15)로부터 오프셋되는 활성 부분(18)을 가지는 제 2 형태(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됨) 사이에서 서로에 대하여 이동시키도록 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조립체(17)를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어(15) 및 컨베이어(16)는 서로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컨베이어(16)는 컨베이어(15)로부터 오프셋되고 활성부분(18) 보다 짧은 활성 부분(19)을 가진다.
특히, 상기 컨베이어(15)는 (경로(P1)의 스트레치부(11)의 가변 길이를 갖는) 전술한 부분을 따라 배열된 단부(20)를 갖는다. 상기 활성 부분(18) 및 활성 부분(19)은 컨베이어(15)를 넘어 단부(20)로부터 연장된다(특히, 스트레치(11)를 따라; 보다 정확하게는, 각각의 가변 길이 부분을 따라).
제 1 형태(즉, 컨베이어(15, 16)가 제 1 형태에 있을 때)에서, 전술한 부분(스트레치부(11)의 가변 길이를 가짐)은 제 1 길이를 가지며; 제 2 형태에서(즉, 컨베이어(15 및 16)가 제 2 형태에 있을 때), (가변 길이) 부분은 적어도 (일부) 컨베이어(15) 및 (적어도 일부) 활성 부분(18)을 따라 연장되고 제 1 길이보다 큰 제 2 길이를 가지며; 중간 형태에서(즉, 컨베이어(15 및 16)가 중간 형태에 있을 때), 상기 부분(스트레치부(11)의 가변 길이)은 (적어도 일부) 컨베이어(15) 및 (적어도) 활성 부분(19)을 따라 연장되고 제 1 길이보다 크고 제 2 길이보다 작은 제 3 길이를 갖는다.
특히, 사용시, 상기 컨베이어(15)는 (경로(P1)의 스트레치부(11)의 가변 길이를 갖는) 전술한 부분의 제 1 부분을 따라 단부(20)까지 물품(3)을 이동시킨다. 이 시점에서, 상기 물품(3)은 전술한 (가변 길이) 부분의 제 2 부분을 따라 상기 물품(2)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16)(더 정확하게는 컨베이어(16)의 활성 부분(18 또는 19))로 이송되고, 바람직하게는 그러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그것들을 차례로 하류, 특히 제 2 운반 조립체(CG) 또는 운반 시스템(2)의 추가 운반 조립체(14')(이송 조립체(14)와 동일하거나 다름)로 운반한다.
상기 물품(3)이 (경로(P1)의) 스트레치부(11)의 (가변 길이) 부분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에도, 이동 조립체(17)는 컨베이어(15, 16)를 서로에 대해 (더 정확하게는 컨베이어(15)에 대하여 컨베이어(16)를 이동(더 정확하게는 병진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컨베이어(16)의 활성 부분의 길이 및 따라서 스트레치부(11)의 (가변 길이) 부분의 길이(따라서 운반 시스템(2)에 의해 정의된 저장 용량을 수정함)는 상기 물품(3)이 스트레치부(11)의 (가변 길이) 부분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에도 변경될 수 있다.
일부 비제한적인 실시예(예를 들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됨)에 따르면, 제 1 형태(도 3)에서, 상기 컨베이어(16)는 컨베이어(15)로부터 오프셋된 활성 부분(21)(더 정확하게는 스트레치부(11)를 따라 컨베이어(15) 너머로 단부(20)로부터 연장되는 활성 부분(21))을 갖는다. 추가로, 또는 선택적으로, 또한 제 2 형태(도 2)에서, 컨베이어(15)와 컨베이어(16)는 서로 부분적으로 오버랩된다.
상기 이송 시스템(2)은 결정적으로 감소된 전체 치수(특히, 전면 및 수직)를 갖는다.
유리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각각의) 컨베이어(15)는 실질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예를 들어, 프레임(F) 상에) 장착되고, 이동 조립체(17)는 각각의 컨베이어(15)에 대해 (각각의) 컨베이어(16)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용된 이송 시스템(2)의 측면 치수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두 컨베이어(15, 16)가 모두 이동할 때, 이송 시스템(2)과 동일한 최대 용량을 얻으려면 저장부(1) 자체의 너비를 늘려야 한다(컨베이어(15)에 대한 충분한 이동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일부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컨베이어(15)는 각각의 컨베이어(16) 위에 배치된다. 이것은 이송 시스템(2)의 더 간단하고 효율적인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이송 시스템(2)은 스트레치부(11)의 제 1 단부로부터 스트레치부(11)의 제 2 단부로 물품(3)을 이송하도록 구성되며, 제 2 단부는 제 1 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이송 시스템(2)은 (적어도 일부) 스트레치부(11)를 따라 위에서 아래로 물품(3)을 이송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력을 사용하여) 컨베이어(15)로부터 컨베이어(16)로 및/또는 연속적인 운반 조립체(14 및/또는 CG 및/또는 14') 사이에서 물품(3)의 통과를 (무엇보다도) 용이하게 한다.
일부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송 조립체(1)(더 정확하게는, 이송 시스템(2))는 물품(3)의 부피의 높이를 실질적으로 일정하게(특히 경로(P1)을 따라, 특히 스트레치부(11)를 따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조절된 방식으로 (각각의) 컨베이어(15)의 속력, (각각의) 컨베이어(16)의 속력 및 이동 조립체(17)의 속력을 조절하도록 설계된(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유닛(22)(개략적으로 도시됨)을 포함한다.
더 정확하게는, (각각의) 컨베이어(15) 및 (각각) 컨베이어(16)는 다른 구동 모터와 분리된 (그 자체로 알려져 있고 도시되지 않은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개별 구동 모터를 포함하고; (각각) 이동 조립체(17)에는 구동 모터와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 모터(자체는 알려져 있고 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된다. 훨씬 더 정확하게는, 상기 제어 유닛(22)은 (시간 경과에 따라 그리고 스트레치부(11)를 따라) 물품(15)의 부피의 높이를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조정된 방식으로 각각의 구동 모터 및 이동 모터의 속도를 조절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제어 유닛(22)은 컨베이어(15, 16)(더 정확하게는 구동 모터의 컨베이어)와 이동 조립체(17)(특히, 이동 모터)의 작동을 조절하도록(구성되어) 되어, 이송 시스템(2)의 하류에 배치된 기계(5)의 필요에 따라 이송 시스템(2)의 (탑재) 용량(및 스트레치부(11)의 단부를 통해 이동된 물품(3)의 양)을 가변시키게 된다(가능하면 추가 기계 또는 장치 - 예를 들어 호퍼 - 이송 시스템의 상류에 배치됨). 예를 들어, 상기 이송 시스템(2)의 상류에 배치된 기계 및/또는 장치의 출력이 이송 시스템(2)의 하류에 배치된 기계(5)의 요구보다 클 때, 상기 제어 유닛(22)은 컨베이어(15)의 속도를 조정할 수 있고(스트레치부(11)의 제 2 단부(기계(5)에 인접함)에서 낮은 속력을 가지고 스트레치부(11)의 제 1 단부에서 높은 속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이송 시스템(2)의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16)의 활성 부분을 연장시킴으로써, 보다 자세하게는 각 컨베이어(16)의 활성 부분을 연장시킴으로써) 이송 시스템(2)의 (탑재) 성능을 증가시키도록 이동 조립체(17)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일부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조립체(17)는 (이송 시스템(2)의) 다른 컨베이어(16)와 독립적으로 각 컨베이어(16)를 이동시키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이동 조립체(17)는 각각의 컨베이어(16)를 병진 이동하도록 설계된 복수의 이동 모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2, 3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상기 이동 조립체(17)는 (운반 시스템(2)의) 복수의 (모든) 컨베이어(16)를 함께 이동시킨다. 이러한 경우, 특히 이동 조립체(17)는 단일 이동 모터를 갖는다.
일부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베이어(15)는 물품(3)을 제 1 속도(V1)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되고; 이동 조립체(17)는 제 2 속도(V2)로 컨베이어(16)를 이동시키도록 설계되고; 상기 컨베이어(16)는 물품(3)을 제 3 속도(V3)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된다. 상기 제어 유닛(22)은 제 1 속도(V1)와 제 2 속도(V2) 사이의 차이의 함수로서 제 3 속도(V3)를 조정하여, 특히 제 3 속도가(V3)가 제 1 속도(V1)와 제 2 속도(V2)의 차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된다(V3 = V1-V2).
본 발명에서 차이 및/또는 합 속도는 속도의 차이 및/또는 벡터 합을 의미한다(즉, 속도는 벡터로 간주되고 위치 - 방향 및 방향 - 관련됨).
유리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각각의) 컨베이어(15)(제 1 이송 조립체(14) 또는 제 1 일련의 이송 조립체(14, 14')의 컨베이어)는 실질적으로 선형인 컨베이어이고, 물품(15)을 방향 A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되고; (각각의) 컨베이어(16)(제 1 이송 조립체(6) 또는 제 1 일련의 이송 조립체(6)의 컨베이어)는 A 방향으로 물품(15)을 이동시키도록 설계된 실질적으로 선형인 컨베이어이다.
상기 컨베이어(16)의 활성 부분(18, 19 및/또는 21)은 A 방향으로 단부(20)로부터 연장된다. 특히, 상기 이동 조립체(17)는 (각각) 컨베이어(16)를 A 방향으로 이동(병진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 조립체(17)는 또한 방향 A와 반대인 방향 B(동일하고)로 컨베이어(16)를 이동(병진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이동 조립체(17)는 또한 A 방향으로 컨베이어(16)를 전후로 이동(병진)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제 1 이송 조립체(14)(또는 제 1 일련의 이송 조립체(14, 14'))의 (각각의) 컨베이어(15)는 추가적인 이송 조립체(14')(또는 제 2 일련의 이송 조립체(14'))의 컨베이어(15)(고정 장착됨)로부터 오프셋되어 배치된다(특히 고정된다).
일부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 조립체(14)의 컨베이어(15)는 물품(3)을 제 1 속도(V1)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되고; 이동 조립체(17)는 제 2 속도(V2)로 이송 조립체(14)의 컨베이어(16)를 이동시키도록 설계되고; 상기 이송 조립체(14)의 컨베이어(16)는 물품(3)을 제 3 속도(V3)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되고; 상기 이송 조립체(14')의 컨베이어(15)는 제 4 속도(V4)로 물품(3)을 이동시키도록 설계되고; 상기 이동 조립체(17)는 제 5 속도(V5)로 이송 조립체(14')의 컨베이어(16)를 이동시키도록 설계되고; 상기 이송 조립체(14')의 컨베이어(16)는 제 6 속도(V6)로 물품을 이동시키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러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상기 제어 유닛(22)은 이송 조립체(14, 14')의 작동을 제어하도록(구성되도록) 설계된다. 제 2 및 제 5 속도(V2, V5)는 절대값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V2| = |V5|). 특히, 제 2 및 제 5 속도(V2, V5)는 서로 반대이다.
유리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상기 제어 유닛(22)은 제 3 속도(V3)와 제 2 속도의 두배의 합이 함수로서 제 4 속도(V4)를 조정하도록 이송 조립체(14')의 컨베이어(15)의 작동을 제어하도록(구성되도록) 설계된다. 특히, 제 4 속도(V4)의 절대값은 제 3 속도(V3)와 제 2 속도의 2배의 합의 절개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V4| = |V3 + 2×V2|). 보다 구체적으로, 제 3 속도(V3)는 제 4 속도(V4)와 반대이다.
일부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 시스템(3)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장치(23)(도 4의 실시예에서 가이드 장치(23)는 2개임)를 포함하고, 이들 가이드 장치 각각은 2개의 연속적인 이송 조립체(14, 14' 및/또는 CG)(각 가이드 장치(23)는 2개의 연속적인 이송 조립체 사이에 배열됨) 사이에서 물품(3)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설계되고, (경로(P1)의) 스트레치부(11)의 굽힘을 정의하도록 물품(3)을 편향시킨다. 특히, 각각의 가이드 장치(23)는 전술한 굽힘을 외부적으로 한정하는 만곡된 가이드(24)(보다 정확하게는 경질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굽힘을 내부적으로 한정하는 만곡된 가이드(25)(더 정확하게는 경질부)를 포함한다. 더욱 특히, 경로의 굴곡은 약 180°로 된다.
일부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만곡된 상기 가이드(24)는 물품(3)의 부피 내에 공극이 형성되지 않도록 물품(3)의 속도를 교정하도록 설계된 제 1 스트레치부(전술한 만곡부의 입구 영역에 배열됨)를 포함한다. 특히, 곡선형 가이드(24)의 전술한 제 1 스트레치부에는 물품(3)이 부피의 공극(또는 구멍)을 채우도록(따라서 물품(3)을 압축하도록 설계된) 된 베인(vane)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러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일정한 운반 흐름(즉, 물품(3)의 균질한 부피)을 보장하기 위해 운반 속도(상기 언급된 굴곡부의 상류 및/또는 하류)를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이 또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각각의 가이드 장치(23)는 각각의 컨베이어(16)에 일체로 되고, 특히, 상기 각각의 컨베이어(16)의 일단부 영역에 배치된다.
일부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이동 조립체(17)는 경질 부재(26), 특히 바아를 포함하며, 이에 이송 조립체(14)의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16)가(일부 경우에, 다수의 컨베이어(16)가) 일체형 방식으로 연결된다.
일부 비제한적인 경우(예를 들어, 이송 시스템(6)과 관련하여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조립체(17)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경질 부재(27), 특히 바아를 포함하며, 이에 대해 이송 조립체(14')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컨베이어(16)는 (일부 경우에, 복수의 추가 컨베이어(16)) 연결되고; 상기 이송 조립체(14)의 컨베이어(16)의 활성 부분 및/또는 이송 조립체914')의 추가 컨베이어916)의 활성 부분을 연장 및/또는 단축 시키기 위하여 특히 A 방향 및 B 방향으로 각각 그리고 그 반대로 상기 경질 부재(26, 27)를 이동시키는 액튜에이터를 포함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이동 조립체(17)(특히, 전술한 엑튜에이터)는 적어도 2개의 풀리(29)를 갖는 컨베이어(28)(특히, 선형) 및 상기 풀리(29)의 대향 측면에 배열된 제 1 및 제 2 분기부(31, 32)를 가지도록 2개의 풀리(29) 주위에 부분적으로 감겨지는 벨트 요소(30)를 포함한다. 상기 경질 부재(26)는 상기 분기부(31)에 연결된다. 가능하다면, 특히, 경질 부재(27)는 분기부(32)에 연결된다. 풀리(29)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풀리(29)에 회전 운동을 생성하도록 설계된 운동 모터에 연결된다.
특히, 벨트 요소(30)는 벨트, 벨트형 요소 및/또는 체인(및/또는 유사한 요소)을 포함한다.
일부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베이어(15, 16)는 벨트 컨베이어이고, 특히 각각은 각각의 벨트, 각각의 벨트형 요소 및/또는 각각의 체인(및/또는 유사한 요소)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상기 컨베이어(15)는 이송 부분(33) 및 이송 부분(33)과 단부(20) 사이에 배열된 언로딩 부분(34)을 갖는다. 상기 스트레치부(11)는 이송 부분(33)을 따라, 언로딩 부분(34)을 따라 그리고 단부(20)를 넘어 연장되고; 상기 언로딩 부분(34)은 이송 부분(33)에 대해 3°내지 23° 범위의 경사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부(20)는 5 내지 23 mm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특히, 이송부(33)는 98 내지 108mm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이미 지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시스템(2) 및 상대 이송 조립체(14)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전술한 설명은 이송 시스템(2)의 특정 구조 및 기능에 관계없이 이송 시스템(6) 및 상대 이송 조립체(14)에도 준용하여 적용 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예를 들어, 상기 물품(3)을 참고한다면, 물품(7)이 고려되어야 하며, (경로 P1의) 스트레치부(11)에 대하여 참고한다면, (경로 P2의) 스트레치부(12)가 고려되어야 한다.
설명된 내용이 이송 시스템(2)의 특정 구조 및 작동과 독립적으로 이송 시스템(6) 및 상대 이송 조립체(14)에도 적용 가능하다고 명시함으로써, 상기 이송 시스템(6)은 설명된 특성 중 이송 시스템(2)의 특성과 다른 특성이 부분적으로(또는 전체적으로) 있다.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 시스템(2) 및 이송 시스템(6)은 동일한 특성(위에서 설명된 것들 중에서)을 갖는데; 즉, 동일한 방식으로 정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유닛(22)은 이송 시스템(2)과 이송 시스템(6) 모두를 제어하도록 설계(구성)된다. 특히, 상기 제어 유닛(22)은 각각의 이송 경로(P1, P2)의 스트레치부(11, 12)의 길이를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러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상기 제어 유닛(22)은 서로 독립적인 이송 시스템(2, 6)(더 정확하게는 각각의 이송 조립체(14, 14' 및/또는 CG); 더욱 더 정확하게는 각각의 이동 조립체(17) 및 컨베이어(15, 16))을 제어하도록 설계(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상기 스트레치부(11)(더 정확하게는 가변 길이 부분 - 이에 따라 이송 시스템(2)의 저장 용량을 증가시킴)이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동시에 스트레치부(12)(더 정확하게 가변 길이 부분 - 따라서 이송 시스템(6)의 저장 용량을 감소시키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일부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1)는 또한 프레임(F)를 포함한다(이 위에 이송 시스템(2), 더 정확하게는 그 이송 조립체(14 및 CG), 및 더 정확하게는 이송 시스템(6), 더 정확하게는 그 이송 조립체(14 및 CG)이 장착됨). 바람직하게는 그러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상기 프레임(F)은 지면으로부터 주어진 거리에서 이송 시스템(2)(및 이송 시스템(6))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특히, 레그 - 공지되고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이송 시스템(2) 및 이송 시스템(6)의 소형화 덕분에), 스트레치부(11)의 출력단부를 이송 시스템(2)의 하류에 배치된 기계(5)의 입력 스테이션(4)에 상응하는 원하는 높이까지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작업자의 용이한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 아래 공간의 사용을 방해하지 않는 높이에서 이송 시스템(2, 6)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전술한 것의 대안으로서 또는 이에 추가하여,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 기계(5)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제조 산업의 플랜트(35)가 다음에 설명되는데, 이는 상기 플랜트(13)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이송 시스템(2)과 이송 시스템(6) 사이의 하나만이 기계(5)에 대해 (특히, 위에) 더 높은 위치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치부를 갖는다는 점에서 배타적으로 다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플랜트(35)는 (가공 유형의; 특히, 도 1 내지 도 5와 관련하여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기계(5); 운반 경로(P1)를 따라 (처리) 기계(5)의 입력 스테이션(4)으로 흡연 제품 제조 산업의 (벌크) 물품(3)(특히, 실질적으로 원통형)을 공급하기 위한 이송 시스템(2); 및 기계(5)의 출력 스테이션(8)으로부터(하류로부터)(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랜트(35)의 일부가 되는 추가 가공 기계(10)의 입력 스테이션(9)에서) 이송 경로(P2)를 따라 흡연 제품 제조 산업의 (벌크) 물품(7)(특히, 실질적으로 원통형)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시스템(6);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플랜트(35)는 또한 기계(10)를 포함한다.
특히, 물품(3 및 7)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을 참조하여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일부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물품(3)은 제조될 흡연 제품의 물품이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기계(5)는 예를 들어 이들을 함께 결합하고 포장 시트로 포장하고 물품(7)(흡연 제품 - 담배 - 다중 구성요소)을 획득함으로써 상품을 조립하는 기계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에 따르면, 상기 기계(5)는 동일한 출원인의 특허 출원 US2015289559에 기술된 것과 같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예시되지 않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품(7)은 (특히, 흡연 물품인 물품(3)의 패킷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경우에, 물품(3)은 담배이다.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상기 기계(10)는 셀로판 포장지이다(그리고 상기 기계(5)는 포장 기계이다).
바람직하게는 그러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상기 이송 시스템(2)과 이송 시스템(6) 중 하나만이 경로(P1)의 (가변 길이) 스트레치부(11) 또는 경로(P2)의 (가변 길이) 스트레치부(12)의 길이를 각각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비제한적인 실시예(도 6에 도시됨)에 따르면, 상기 이송 시스템(2)은 이송 경로(P1)의 스트레치부(11)의 길이를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반대로, 상기 이송 경로(P2)(특히, 이송 시스템(6)의)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로(P1)의 적어도 스트레치부(11)는 기계(5)(특히, 기계(10)에 대해)에 대해 더 높은 위치에(즉, 더 높은 높이로) 배치된다. 특히, 상기 이송 시스템(2)은 기계(5)(및 가능하게는 기계(10))에 의해 점유된 것 이외의 지면상의 어떠한 공간도 점유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스템의 전체 크기는 저장 기능(버퍼부)도 수행할 수 있는 이송 시스템(2)을 갖는 이점의 관점에서 제한된다.
제한적이지 않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상기 경로(P1)의 적어도 스트레치부(11)(특히, 이송 시스템(2))는 기계(5) 위에(위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체 치수가 더욱 축소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러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상기 이송 시스템(2)은 (특히,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더 정확하게는 아니지만, 상기 이송 시스템(2)은 스트레치부(11)의 적어도 (가변 길이) 부분을 따라 물품(3)을 운반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별 운반 조립체(14)를 포함한다.
일부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 시스템(2)은 (특히, 이송 조립체(14)의 하류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개별 이송 조립체(CG 및/또는 14')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 조립체(14)는 물품(3)을 제 1 방향(A)으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된다. 이송 조립체(CG 및/또는 14')는 제 1 방향(A 또는 B)과 실질적으로 반대인 제 2 방향(B)으로 스트레치부(11)의 추가 부분을 따라 물품(3)을 이동시키도록 설계된다.
도 6 내지 도 9에서, 상기 이송 시스템(2)이 이송 조립체(14) 및 추가 이송 조립체(CG)(후자는 단 하나의 선형 컨베이어에 의해 형성됨)를 포함하는 실시예가 예시된다. 이 경우, 상대 이송 경로(P1)는 "C" 형상이다.
도 10에서, 상기 이송 시스템(2)이 이송 조립체(14, 14') 및 이송 조립체(CG)를 포함하는 실시예가 예시된다. 이 경우, 이송 경로(P1)는 "S" 형상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 조립체(14)는 물품(3)을 A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송 조립체(14')는 물품(3)을 B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송 조립체(CG)는 물품(3)을 A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특히, (각각의) 이송 조립체(CG)는 (단일) 선형 컨베이어(LC)를 포함(이에 의해 형성됨)한다.
특히, (각각의) 이송 조립체(14')는 이송 조립체(14)와 유사한 구조(및 작동)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이송 조립체(14')는 각각의 컨베이어(15) 및 각각의 컨베이어(16)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러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상기 이동 조립체(17)(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됨)는 (각각에 의한) 이송 조립체(14) 및 (각각에 의한) 이송 조립체(1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유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러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상기 스트레치부(11)(특히, 이송 조립체(14 및 가능하다면 14' 및/또는 CG)는 기계(5)의 측면 치수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운송 조립체(1)의 영향(점유 공간 측면에서)은 훨씬 더 작아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러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상기 이송 조립체(14)의 구조 및 작동은 (특히, 도 1 내지 도 5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컨베이어(15) 및/또는 컨베이어(16) 및/또는 이동 조립체(17) 및/또는 활성 부분(18) 및/또는 활성 부분(19) 및/또는 단부(20) 및/또는 활성 부분(21) 및/또는 제어 유닛(22) 및/또는 가이드 장치(23) 및/또는 곡선형 가이드(24) 및/또는 곡선형 가이드(25) 및/또는 경질 부재(26) 및/또는 경질 부재(27) 및/또는 컨베이어(28) 및/또는 풀리(29) 및/또는 벨트 요소(30) 및/또는 분기부(31) 및/또는 분기부(32) 및/또는 이송 부분(33) 및/또는 언로딩 부분(34)은 (도 1-5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 및 작동을 갖는다.
일부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는 또한 프레임(F)(운반 시스템(2)이 장착되는 프레임, 보다 정확하게는 그 이송 조립체(14, CG 및 가능하게는 14'))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러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프레임(F)은 지면으로부터 주어진 거리에서 운반 시스템(2)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특히, 레그 - 공지되고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상기 이송 시스템(2)의 소형화 덕분에), 스트레치부(11)의 출력부가 지면에서 들어 올려져 이송 시스템(2)의 하류에 배치된 기계(5)의 입력 스테이션(4)에 상응하는 원하는 높이로 들어올릴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작업자의 용이한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 아래 공간의 사용을 방해하지 않는 것과 같은 높이에서 이송 시스템(2)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부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시스템(6)은 기계(5)(특히, 기계(10)에 대해)에 대해 더 높은 위치에(즉, 더 높은 높이에) 배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이러한 경우에, 경로(P2)의 적어도 스트레치부(12)는 기계(5)(및 특히 또한 기계(10)에 대해)에 대해 더 높은 위치에(즉, 더 높은 높이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 시스템(6)은 기계(5)(및 가능하게는 기계(10))에 의해 점유된 것보다 더 많은 지면 공간을 점유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스템의 전체 치수는 또한 저장 기능(버퍼부)을 수행할 수 있는 이송 시스템(6)을 갖는 이점의 관점에서 제한된다.
제한적이지 않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로(P2)(특히, 이송 시스템(6))의 적어도 스트레치부(12)는 기계(5) 위에(위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체 치수가 더욱 축소된다.
선택적으로(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로(P2)(특히, 이송 시스템(6))의 적어도 스트레치부(12)는 기계(10) 위에(상측에) 배치된다.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또한 이 경우에 특히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 시스템(6)은 이송 경로(P2)의 (가변 길이) 스트레치부(12)의 길이를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반대로, 상기 이송 경로(P1)(특히 이송 시스템(2))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이송 시스템(2)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하고 예시한 것(도 6-10)은 이송 시스템(6)에 대해 유효한다(적용 가능하다).
도시되지 않은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송 조립체(1)는 이송 시스템(2)을 포함하지만 이송 시스템(6)이 없다는 유일한 차이점을 제외하고 도 1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운송 조립체(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다. 특히 작업자는 출력 스테이션(8)에서 물품(7)을 수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송 조립체(1)는 이송 시스템(6)을 포함하지만 이송 시스템(2)이 없는 유일한 차이점을 제외하고 도 1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운송 조립체(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러한 경우, 특히 작업자는 물품(3)을 입력 스테이션(4)으로 수동으로 가져올 수 있다.
반대되는 명시적인 설명이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참고문헌의 내용(논문, 서적, 특허출원 등)은 여기에 완전히 편입된다.
도 1 내지 도 11에 예시된 것과 이에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을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참조하여, 다음 실시예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다.
1.- 흡연 제품 제조 산업의 플랜트로서; 상기 플랜트(13; 35)는,
흡연 제품 제조 산업의 제 1 물품(3)을 처리하고 흡연 제품 제조 산업의 제 2 물품(7)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 1 기계(5);
제 1 이송 경로(P1)를 따라 상기 제 1 기계(5)의 제 1 입력 스테이션(4)으로 흡연 제품 제조 산업의 상기 제 1 물품(3)을 공급하기 위한 제 1 이송 시스템(2) 및/또는 제 1 기계(5)의 제 1 출력 스테이션(8)으로부터 제 2 이송 경로(P2)를 따라 흡연 제품 제조 산업의 상기 제 2 물품(7)을 (특히, 제 2 기계(10)의 제 2 입력 스테이션(9)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 2 이송 시스템(6)을 번갈아 포함하는 운송 조립체(1);를 구비하되,
상기 운송 조립체(1)는,
제 1 이송 시스템(2) 및/또는 제 2 이송 시스템(6)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이송 경로(P1) 및/또는 제 2 이송 경로(P2), 각각의 가별 길이 스트레치부(11; 12)의 길이를 변화시키도록 되며;
상기 제 1 이송 경로(P1) 및/또는 제 2 이송 경로(P2)의 상기 가변 길이 스트레치부(11; 12)는 제 1 기계(5)에 대해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2.- 제 1 앙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 경로(P1) 및/또는 제 2 이송 경로(P2)의 가변 길이 스트레치부(11; 12)가 상기 제 1 기계(5) 위에(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3.- 제 1 양태 또는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 시스템(2)과 제 2 이송 시스템(6) 중 하나만이 각각의 제 1 경로(P1) 또는 제 2 경로(P2)의 가변 길이 스트레치부(11; 12)를 변경시키도록 되며,
상기 제 1 이송 경로(P1) 또는 제 2 이송 경로(P2)의 상기 가변 길이 스트레치부(11; 12)는 상기 기계(5)에 대해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4.- 제 3 양태에 있어서, 제 1 이송 경로(P1) 또는 제 2 이송 경로(P2)의 가변 길이 스트레치(11; 12)가 상기 제 1 기계(5) 위에(위에) 배열되는 플랜트.
5.- 선행하는 양태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 시스템(2)은 제 1 경로(P1)의 가변 길이 스트레치부(11)의 길이를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6.- 선행하는 양태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특히 제 1 이송 경로(P1) 및/또는 제 2 이송 경로(P2)의 가변 길이 스트레치부(11; 12)의 길이를 변화시키도록 제 1 이송 시스템(2) 및/또는 제 2 이송 시스템(6)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7.- 선행하는 양태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 1 이송 시스템(2)과 제 2 이송 시스템(6)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가변 길이 스트레치부(11; 12)의 적어도 제 1 부분을 따라 상기 제 1 물품(3) 또는 상기 제 2 물품(7)을 이송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이송 조립체(14)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이송 조립체(14)는 제 1 컨베이어(15), 제 2 컨베이어(16) 및 상기 제 1 컨베이어(15)와 제 2 컨베이어(16) 중 적어도 하나를 서로에 대하여 제 1 형태와 제 2 형태 간에 이동시키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 조립체(17)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형태에서, 상기 제 1 컨베이어(15) 및 제 2 컨베이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오버랩되며, 상기 제 2 형태에서, 상기 제 2 컨베이어(16)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형태를 통과하는 제 1 컨베이어(15)로부터 오프셋되는 제 1 활성 부분(18)을 구비하되, 상기 중간 형태에서, 상기 제 1 컨베이어(15) 및 제 2 컨베이어(16)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오버랩되며, 상기 제 2 컨베이어(16)는 제 1 활성 부분(18)보다 짧으며 상기 제 1 컨베이어(15)로부터 오프셋된 제 2 활성 부분(19)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컨베이어조립체(1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1 기계(5)에 대하여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8.- 제 7 양태에 있어서, 제 1 이송 시스템(2)과 제 2 이송 시스템(6) 중 하나만(특히, 제 1 이송 시스템만이) 적어도 제 1 이송 조립체(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9.- 제 7 양태 또는 제 8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형태에서, 상기 제 1 부분이 제 1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 2 형태에서, 상기 제 1 부분은 제 1 컨베이어(15)의 적어도 일부 및 제 1 활성 부분(18)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고 제 1 길이보다 큰 제 2 길이를 가지며; 상기 중간 형태에서, 상기 제 1 부분은 제 1 컨베이어(15)의 적어도 일부 및 제 2 활성 부분(19)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고 제 1 길이보다 크고 제 2 길이 보다 작은 제 3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10.- 제 7 양태 내지 제 9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이동 조립체(17)는 각각의 제 1 컨베이어(15)에 대해 상기 제 2 컨베이어(16)를 이동시키도록 설계되고; 상기 제 1 컨베이어(15)는 실질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장착되며; 가변 길이의 상기 스트레치부(11; 12)는 제 1 단부 및 가변 길이의 스트레치부(11; 12)의 제 1 단부에 대해 더 낮은 위치에 배열되는 제 2 단부를 가지며; 특히, 제 1 이송 조립체(14)는 제 1 가변 길이의 스트레치부(11; 12)의 제 1 단부로부터 제 2 가변 길이의 스트레치부(11; 12)의 제 2 단부로 상기 제 1 물품(3) 또는 상기 제 2 물품(7)을 이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11.- 제 7 양태 내지 제 10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베이어(15)가 상기 제 2 컨베이어(16)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활성 부분(18) 및 상기 제 2 활성 부분(19)은 제 1 컨베이어(15)의 일측 단부(20)로부터 시작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12.- 제 7 양태 내지 제 11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베이어(15)가 제 1 방향(A)으로 상기 제 1 물품(3) 또는 상기 제 2 물품(7)을 이동시키도록 설계된 실질적으로 선형인 컨베이어이며; 상기 제 2 컨베이어(16)는 상기 제 1 물품(3) 또는 상기 제 2 물품(7)을 제 1 방향(A)으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된 실질적으로 선형인 컨베이어이고; 상기 이동 조립체(17)는 제 1 방향(A) 및 제 1 방향(A)과 반대인 제 2 방향(B)으로 제 2 컨베이어(16)를 이동시키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13.- 제 7 양태 내지 제 12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 시스템(2)과 제 2 이송 시스템(6) 중 적어도 하나(특히, 하나만)가 적어도 제 1 이송 조립체(14) 및 제 2 이송 조립체(CG)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이송 조립체(14)는 제 1 방향(A)으로 상기 제 1 물품(3) 또는 제 2 물품(7)을 이동시키도록 설계되고, 제 2 이송 조립체(CG)는 상기 제 1 물품(3) 또는 상기 제 2 물품(7)을상기 제 1 스트레치부(11)및 제 2 스트레치부(12)의 제 2 부분을 따라 상기 제 1 방향(A)에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B)으로 각각 이동시키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14.- 제 7 양태 내지 제 13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 1 이송 시스템(2)과 제 2 이송 시스템(6) 중 적어도 하나(특히, 단 하나만)가 적어도 제 1 이송 조립체( 14) 및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추가의 제 1 이송 조립체(14')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이송 조립체(14)는 상기 제 1 물품(3) 또는 상기 제 2 물품(7)을 제 1 방향(A)으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되고, 추가의 제 1 이송 조립체(14')는 상기 제 1 물품(3) 또는 제 2 물품(7)을 상기 제 1 방향(A)의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B)으로 각각 상기 제 1 스트레치부(11)의 추가 부분 또는 제 2 스트레치부(12)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15.- 제 14 양태에 있어서, 추가의 제 1 이송 조립체(14')는 상기 제 1 이송 조립체(14)로서 정의되고; 특히, 추가의 제 1 이송 조립체(14')는 추가의 제 1 컨베이어(15), 추가의 제 2 컨베이어(16) 및 추가의 제 1 컨베이어(15)와 추가의 제 2 컨베이어(16) 중 적어도 하나를 서로에 대하여 제 1 형태와 제 2 형태 간에 이동시키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이동 조립체(17)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형태에서, 추가의 제 1 컨베이어(15) 및 추가의 제 2 컨베이어(16)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오버랩되며, 상기 제 2 형태에서, 추가의 제 2 컨베이어(16)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중간 형태를 통과하는 추가의 제 1 컨베이어(15)로부터 오프셋되는 추가의 제 1 활성 부분(18)을 구비하며, 상기 추가의 중간 형태에서, 추가의 상기 제 1 컨베이어(15) 및 추가의 상기 제 2 컨베이어(16)는 서로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며, 추가의 상기 제 2 컨베이어(16)는 추가의 상기 제 1 컨베이어(15)로부터 오프셋되며 추가의 제 1 활성 부분(18) 보다 짧은 추가의 제 2 활성 부분(19)를 구비하며, 추가의 상기 제 1 이송 조립체(14)는 상기 제 1 기계(5)에 대하여 더 높은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16.- 제 7 양태 내지 제 15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 1 이송 시스템(2)과 제 2 이송 시스템(6) 중 적어도 하나(특히, 하나만)가 적어도 제 1 이송 조립체(14) 및 상기 제 2 이송 조립체(14) 및 상기 제 2 이송 조립체(CG) 또는 추가의 제 1 이송 조립체(14') 사이에서 상기 제 1 물품(3) 또는 제 2 물품(7)이 이동하도록 허용하고 상기 제 1 스트레치부(11) 및 상기 제 2 스트레치부(12)의 굽힘부를 정의하도록 된 가이드 장치(23)를 구비하며, 특히, 각각의 가이드 장치(23)는 외측에서 상기 굽힘부를 구획하는 제 1 만곡 가이드부(24)를 포함하되, 특히 상기 제 1 스트레치부(11) 및/또는 제 2 스트레치부(12)의 각각의 굽힘부는 약 1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17.- 제 16 양태에 있어서, 각각의 가이드 장치(23)는 각각의 제 2 컨베이어(16)와 일체로 되고 각각의 상기 제 2 컨베이어(16)의 일단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1: 운송 조립체
2: 제 1 이송 시스템
3: 제 1 물품
4: 입력 스테이션
5: 제 1 기계
6: 제 2 이송 시스템
11, 12: 스트레치부
14: 제 1 이송 조립체
15: 제 1 컨베이어
16: 제 2 컨베이어

Claims (14)

  1. 흡연 제품 제조 산업의 다양한 유형의 물품을 운송하기 위한 운송 조립체로서; 상기 운송 조립체(1)는 제 1 운송 경로(P1)를 따라 제 1 기계(5)의 제 1 입력 스테이션(4)으로 흡연 제품 제조 산업의 제 1 물품(3)을 공급하기 위한 제 1 이송 시스템(2); 제 2 이송 경로(P2)를 따라 제 1 기계(5)의 제 1 출력 스테이션(8)에서 제 2 기계(10)의 제 2 입력 스테이션(9)으로 흡연 제품 제조 산업의 제 2 물품(7)을 이송하기 위한 제 2 이송 시스템(6)을 포함하며;
    상기 운송 조립체(1)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 시스템(2)은 제 1 이송 경로(P1)의 제 1 스트레치부(11)의 길이를 변경하도록 되며;
    상기 제 2 이송 시스템(6)은 제 2 이송 경로(P2)의 제 2 스트레치부(12)의 길이를 변경하도록 되며;
    상기 제 1 이송 시스템(2) 및 제 2 이송 시스템(6)은 제 1 스트레치부(11) 및 제 2 스트레치부(12)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오버랩되도록 및/또는 나란히 있도록 상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운송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 시스템(2) 및 제 2 이송 시스템(6)이 장착되는 프레임(F)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 시스템(2) 및 제 2 이송 시스템(6)을 제어하도록 되어, 특히 제 1 이송 경로(P1)의 제 1 스트레치(11)의 길이 및 제 2 이송 경로(P2)의 제 2 스트레치부(12)의 길이를 변경하도록 되는 제어 유닛(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 시스템(2) 및/또는 제 2 이송 시스템(6) 각각은 상기 제 1 물품(2) 및 제 2 물품(7)을 각각 제 1 스트레치부(11) 및 제 2 스트레치부(12)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부분을 따라 이송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제 1 이송 조립체(14)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이송 조립체(14)는 제 1 컨베이어(15), 제 2 컨베이어(16) 및 제 1 컨베이어(15)와 제 2 컨베이어(16) 중 적어도 하나를 서로에 대하여 제 1 형태, 제 2 형태 간에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조립체(17)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형태에서, 상기 제 1 컨베이어(15) 및 제 2 컨베이어(16)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오버랩되며, 제 2 형태에서, 상기 제 2 컨베이어(16)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형태를 통과하는 상기 제 1 컨베이어(15)로부터 오프셋된 제 1 활성 부분(18)을 구비하며, 상기 중간 형태에서, 상기 제 1 컨베이어(15) 및 제 2 컨베이어(16)는 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며, 상기 제 2 컨베이어(16)는 상기 제 1 컨베이어(15)로부터 오프셋되며 상기 제 1 활성 부분(18)보다 짧은 제 2 활성 부분(1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형태에서, 상기 제 1 부분은 제 1 길이를 가지며; 제 2 형태에서, 상기 제 1 부분은 제 1 컨베이어(15)의 적어도 일부 및 제 1 활성 부분(18)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고 제 1 길이보다 큰 제 2 길이를 가지며; 상기 중간 형태에서, 상기 제 1 부분은 제 1 컨베이어(15)의 적어도 일부 및 제 2 활성 부분(19)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고 제 1 길이보다 크고 제 2 길이보다 작은 제 3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조립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조립체(17)는 각각의 제 1 컨베이어(15)에 대해 상기 제 2 컨베이어(16)를 이동시키도록 되고; 상기 제 1 컨베이어(15)는 실질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제 1 스트레치부(11)는 제 1 단부 및 상기 제 1 스트레치부(11)의 제 1 단부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제 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이송 시스템(2)은 제 1 스트레치부(11)의 제 1 단부로부터 제 1 스트레치부(11)의 제 2 단부로 상기 제 1 물품(3)을 이송하도록 되고; 상기 제 2 스트레치부(12)는 제 1 단부 및 상기 제 2 스트레치부(12)의 제 1 단부에 대하여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제 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 2 이송 시스템(6)은 제 2 스트레치부(12)의 제 1 단부로부터 제 2 스트레치부(12)의 제 2 단부로 상기 제 2 물품(7)을 이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조립체.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베이어(15)는 상기 제 2 컨베이어(16)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활성 부분(18) 및 상기 제 2 활성 부분(19)은 제 1 컨베이어(15)의 단부(20)로부터 시작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조립체.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베이어(15)는 상기 제 1 물품(3) 또는 상기 제 2 물품(7)을 제 1 방향(A)으로 이동시키도록 된 실질적으로 선형인 컨베이어이고; 상기 제 2 컨베이어(16)는 상기 제 1 물품(3) 또는 상기 제 2 물품(7)을 제 1 방향(A)으로 이동시키도록 된 실질적으로 선형인 컨베이어이고; 상기 이동 조립체(17)는 제 1 방향(A) 및 제 1 방향(A)과 반대인 제 2 방향(B)으로 제 2 컨베이어(16)를 이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조립체.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 시스템(2) 및/또는 상기 제 2 이송 시스템(6)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개별적인 제 2 이송 조립체(CG)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이송 조립체(14)는 제 1 방향(A)으로 상기 제 1 물품(3) 또는 제 2 물품(7)을 이동시키도록 되고, 제 2 이송 조립체(CG)는 상기 제 1 물품(3) 또는 상기 제 2 물품(7)을 상기 제 1 스트레치부(11) 및 제 2 스트레치부(12)의 제 2 부분을 따라 상기 제 1 방향(A)에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B)으로 각각 이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조립체.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 시스템(2) 및/또는 상기 제 2 이송 시스템(6)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추가의 제 1 이송 조립체(14')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이송 조립체(14)는 상기 제 1 물품(3) 또는 상기 제 2 물품(7)을 제 1 방향(A)으로 이동시키도록 되고; 추가의 상기 제 1 이송 조립체(14')는 상기 제 1 스트레치부(11) 또는 상기 제 2 스트레치부(12)의 추가 부분을 따라 각각 제 1 방향(A)과 실질적으로 반대인 제 2 방향(B)으로 상기 제 1 물품(3) 또는 제 2 물품(7)을 이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조립체.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 시스템(2) 및/또는 상기 제 2 이송 시스템(6) 각각은 상기 제 1 물품(3) 또는 제 2 물품(7)이 제 1 이송 조립체(14) 및 제 2 이송 조립체(CG) 또는 추가의 제 1 이송 조립체(14')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허용하고 제 1 스트레치부(11) 및 제 2 스트레치부(12) 각각의 굽힘부를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별 가이드 장치(23)를 포함하되, 각각의 가이드 장치(23)는 외측에서 상기 굽힘부를 한정하는 제 1 만곡된 가이드(24)를 포함하고; 특히, 상기 제 1 스트레치부(11) 및/또는 상기 제 2 스트레치부(12)의 굽힘부는 각각 대략 180°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가이드 장치(23)는 각각의 제 2 컨베이어(16)와 일체로 되고, 각각의 상기 제 2 컨베이어(16)의 일측 단부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조립체.
  13. 흡연 제품 제조 산업의 플랜트(13)에 있어서,
    상기 플랜트는;
    제 1 항에 따른 운송 조립체(1);
    상기 흡연 제품 제조 산업의 상기 제 1 물품(3)을 처리하고 상기 흡연 제품 제조 산업의 상기 제 2 물품(7)을 획득하도록 된 제 1 기계(5); 및
    상기 제 2 기계(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 시스템(2) 및 제 2 이송 시스템(6)은 상기 제 1 기계(5) 및/또는 제 2 기계(10)에 대해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KR1020227005229A 2019-07-16 2020-07-16 흡연 제품 제조 산업의 다양한 유형의 물품을 운송하기 위한 조립체 및 관련 플랜트 KR202200354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9000011823 2019-07-16
IT102019000011823A IT201900011823A1 (it) 2019-07-16 2019-07-16 Gruppo di trasporto di più tipologie di articoli dell’industria della fabbricazione di prodotti da fumo e relativo impianto
PCT/IB2020/056700 WO2021009707A1 (en) 2019-07-16 2020-07-16 Assembly for transporting different types of articles of the smoking products manufacturing industry and relative pl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463A true KR20220035463A (ko) 2022-03-22

Family

ID=68582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5229A KR20220035463A (ko) 2019-07-16 2020-07-16 흡연 제품 제조 산업의 다양한 유형의 물품을 운송하기 위한 조립체 및 관련 플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87454B2 (ko)
EP (1) EP3998877A1 (ko)
JP (1) JP2022541242A (ko)
KR (1) KR20220035463A (ko)
IT (1) IT201900011823A1 (ko)
WO (1) WO202100970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26894D0 (en) * 1984-10-24 1984-11-28 Molins Plc Conveyor system
GB8520104D0 (en) * 1985-08-09 1985-09-18 Molins Plc Conveyor system
GB2236084B (en) * 1989-09-20 1994-03-23 Molins Plc Reservoir for rod-like articles
GB2326146B (en) * 1994-12-12 1999-07-21 Molins Plc Reservoir system for rod-like articles
FR2766803A1 (fr) * 1997-07-31 1999-02-05 Diaz Jose Arriaza Accumulateur
EP1445218B1 (de) * 2003-02-05 2006-09-13 Hauni Maschinenbau AG Speichereinrichtung mit variabler Speicherkapazität
GB2399797B (en) * 2003-03-25 2006-04-26 Flexlink Components Ab A variable capacity store for elongated articles
ITBO20040119A1 (it) * 2004-02-27 2004-05-27 Gd Spa Magazzino fifo a capacita' variabile con stazione di espulsione
PL210818B1 (pl) 2008-05-16 2012-03-30 Int Tobacco Machinery Poland Zespół magazynująco-transportowy dla podłużnych elementów prętopodobnych, jak również sposób sterowania przepływem masowym oraz napełniania i opróżniania zespołu magazynująco-transportowego dla podłużnych elementów prętopodobnych
US7588139B1 (en) * 2008-08-12 2009-09-15 Campbell Iii William Arthur Conveyor assembly
PL217886B1 (pl) 2009-03-13 2014-08-29 Int Tobacco Machinery Poland Układ transferujący, współpracujący z maszyną do produkcji sztabek produktów tytoniowych i filtrowych, oraz sposób transferu takich sztabek w układzie transferującym
PL215734B1 (pl) 2009-08-14 2014-01-31 Int Tobacco Machinery Poland Urzadzenie magazynujaco-transportowe dla podluznych elementów pretopodobnych
FR2964959B1 (fr) * 2010-09-17 2012-10-26 Sidel Participations Convoyeur a accumulation modulaire
ITBO20120582A1 (it) 2012-10-25 2014-04-26 Gd Spa Macchina assemblatrice per la produzione di sigarette e relativo metodo di assemblaggi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98877A1 (en) 2022-05-25
IT201900011823A1 (it) 2021-01-16
JP2022541242A (ja) 2022-09-22
US20220281693A1 (en) 2022-09-08
WO2021009707A1 (en) 2021-01-21
US11987454B2 (en) 202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84842C (en) A movement device on an endless belt of adaptable path
CN102083694B (zh) 成对包装生产线及计量系统
EP2464250B1 (en) Store-transport device for elongated rod shaped elements
US9290321B2 (en) Storage section of a conveyor device and method for temporarily storing articles
RU2459558C2 (ru) Регулируемый накопитель для стержневидных изделий
CN102574590A (zh) 用于将产品包装到封套中的设备
US5833045A (en) Variable-capacity product store
EP3514086B1 (en) Variable-capacity store for cigarettes
EP0738478B1 (en) Variable-capacity store for elongated elements
KR20220035463A (ko) 흡연 제품 제조 산업의 다양한 유형의 물품을 운송하기 위한 조립체 및 관련 플랜트
EP3915889A1 (en) Packaging machine and method of packaging products
ITBO20010583A1 (it) Magazzino a capacita' variabile per oggetti
RU2795125C1 (ru) Узел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различных типов издели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по производству курительной продукции и соответственная установка
US11267652B2 (en) Temporary store
US11026447B2 (en) Variable-capacity store
US20160229566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ackaging units
SU1336948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нени позиционной ориентации издели на конвейере
US10836588B2 (en) Chain buffer
JP6804337B2 (ja) 中継装置
US5154036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handling, especially conveyance of blanks
US11787638B2 (en) Packaging machin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outing a transport section of a packaging machine
ITBO20010568A1 (it) Magazzino a capacita' variabile
EP2246262B1 (en) Packaging mach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