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4207A - 스마트 월 - Google Patents

스마트 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4207A
KR20220034207A KR1020227004701A KR20227004701A KR20220034207A KR 20220034207 A KR20220034207 A KR 20220034207A KR 1020227004701 A KR1020227004701 A KR 1020227004701A KR 20227004701 A KR20227004701 A KR 20227004701A KR 20220034207 A KR20220034207 A KR 20220034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creen
measurement
measur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4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기
김윤주
정기상
최주영
심화석
심재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34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2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8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스마트 월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스마트 월은: 가전제품이 설치되기 위한 장착공간을 복수 개 구비하는 뼈대 형상의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와,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을 커버하거나 설정된 영역만 개방하는 스크린부와, 스크린부에 설치되어 스크린부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측정 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측정부의 측정값을 전달받으며 스크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월
본 발명은 스마트 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스크린의 주변 물체를 측정하여 이동스크린의 정지 위치를 재설정 할 수 있는 스마트 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많이 사용하는 전자제품은 텔레비전과 공기정정기를 포함하며, 이러한 가전제품은 벽체의 외측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최근에는 가전제품에 관련된 기술이 점차로 발전하면서, 가정에서 사용되는 가전제품의 개수가 점차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미디어 기기와 가전제품 들이 상호 연동하며 작동하기 위해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의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면서 가정 내에 설치된 가전제품의 개수가 많아지며, 이러한 가전제품을 일일이 연결하는 작업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특히 텔레비전이 벽체의 외측에 돌출된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어린이가 넘어지면서 돌출된 텔레비젼에 걸려서 다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젼과 연결된 전선을 정리하는데도 어려움이 발생한다.
그리고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공기정화기도 벽체의 외측에 별도로 설치되며, 어린이가 공기정화기에 걸려서 넘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냉난방기와 스피커와 가습기와 제습기와 인터넷 공유기인 라우터를 포함한 가전제품들도 벽체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벽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가전제품의 개수가 증가되면서 이러한 가전제품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게 되었다.
그리고 가습기와 제습기와 같이 특정 계절에만 사용하는 가전제품의 경우,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가전제품을 보관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또한 텔레비전과 같이 큰 부피를 갖는 가전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가전제품을 커버하기 위한 별도의 스크린부가 필요하다.
그러나 텔레비전과 같은 가전제품이 교체되는 경우, 텔레비젼의 크기에 따라 텔레비젼의 전방을 개폐하는 스크린부의 정지 위치를 수동으로 재설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65692호(2006.12.29 등록, 발명의 명칭: 가변 벽체 시스템)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부의 크기에 맞게 스크린부의 정지 위치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스마트 월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린부가 이동되거나 정지되는 경우에도 스크린부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스크린부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월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린부의 근처에 있는 사람을 감지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며, 시청자에게 적절한 시청거리를 안내할 수 있는 스마트 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월은, 측정부가 측정 대상물을 측정하므로 제어부가 이동스크린의 정지 위치를 자동으로 재설정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측정부는, 측정부의 하측에 위치한 측정 대상물과 이동스크린 사이의 거리를 자동으로 측정하여, 이동스크린이 이동되거나 정지되는 경우에도 이동스크린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측정부는, 측정용 구멍을 통하여 이동스크린의 전방에 위치한 사람을 측정하거나,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광선을 조사하여 사람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월은, 가전제품이 설치되기 위한 장착공간을 복수 개 구비하는 뼈대 형상의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와,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을 커버하거나 설정된 영역만 개방하는 스크린부와, 스크린부에 설치되어 스크린부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측정 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측정부의 측정값을 전달받으며 스크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는, 스크린부에 연결되며 전원 공급에 의해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측정모터 및 측정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며 측정모터의 동작에 의해 설정된 위치로 회전되며 측정 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센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는, 측정모터에 연이어 설치되며 측정모터의 회전을 측정하는 엔코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정모터는 서보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부의 하부에 측정부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부는, 동력을 공급하는 스크린모터와, 스크린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스크린회전축과, 스크린회전축의 양측에 연결되어 스크린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며 외주면에는 치형이 형성되는 회전기어와, 회전기어에 맞물려 돌아가는 벨트부재 및 벨트부재에 고정되어 벨트부재와 함께 이동되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을 개폐하는 이동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부는, 이동스크린의 일측에 연결되며 자중에 의해 이동스크린의 일측을 하측으로 당기는 제1웨이트부 및 이동스크린의 타측에 연결되며 자중에 의해 이동스크린의 타측을 하측으로 당기는 제2웨이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부는, 스크린회전축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크린회전축의 상측을 통과하는 이동스크린에 접하며 구름운동을 하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롤러는 복수로 구비되어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며, 스크린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측정부와 마주하는 이동스크린에는 측정용 구멍이 구비되며, 스크린부는, 이동스크린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설치되어 측정용 구멍을 차폐하며, 측정용 구멍을 통해 이동스크린의 외측으로 조사되는 광선의 이동을 허용하는 차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웨이트부의 하부에는 측정부가 설치되기 위한 장착홈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측정 대상물은 측정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측정부는 제1웨이트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프레임부를 향하여 측정용 광선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측정 대상물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측정부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프레임부의 내측을 향하여 측정용 광선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측정 대상물은 스크린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포함하며, 측정부는 스크린부의 외측을 향하여 측정용 광선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월은, 측정부가 디스플레이부의 상단 위치를 측정하므로, 디스플레이부의 크기에 맞게 이동스크린의 정지 위치가 자동으로 설정되어 스크린부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스크린과 이동스크린의 하부에 위치한 프레임부 사이의 거리가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므로, 외부 요인에 의해 스크린부가 이동되거나 정지되는 경우에도 제어부가 이동스크린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이동스크린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부가 이동스크린의 근처에 있는 사람이나 사물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알리므로, 이동스크린이 사람이나 사물에 부딪혀서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부가 디스플레이부를 시청하는 사람의 위치를 파악하여 제어부에 알리며, 제어부는 사람의 시청거리가 적절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 시청자의 시력을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고정부가 하측프레임바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지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에 제1웨이트부와 제2웨이트부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는 이동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부가 프레임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스크린과 디스플레이부가 프레임부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가 제1웨이트부의 하측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가 제1웨이트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와 이동스크린이 디스플레이부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가 이동스크린과 함께 하강하며 디스플레이부의 상단을 감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가 측정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프레임부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가 이동스크린에 근접한 사람을 측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가 이동스크린의 전방에 위치한 사람을 측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의 블록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은, 가전제품(10)이 설치되기 위한 장착공간(25)을 복수 개 구비하는 벽체 형상으로 이루어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예로 스마트 월(1)은 가전제품(10)과 프레임부(20)와 디스플레이부(11)를 포함하는 가전제품(10)과, 측정부(200)와 스크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미디어 기기와 가전 기기와 같이 집에서 이용하는 가전제품(10)을 벽에 일체화시켜 외관에 노출되지 않도록 시스템화 한 스마트 월(1)에 관한 것이다. 벽을 형성하는 프레임부(20)에 다양한 종류의 가전제품(10)이 장착되며, 스마트 월(1)과 마주하는 공간에 가전제품(10)이 노출됨을 최소화 하는 공간 토탈 솔루션을 제공한다
스마트 월(1)은 거실과 방 사이에 벽체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방과 이웃한 방 사이에 벽체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스마트 월(1)은 이동이 가능한 가벽 형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월(1)의 내측에 공기정화부(80)가 설치된 경우, 스마트 월(1)이 마주하는 양측 공간으로 각각 정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스마트 월(1)이 안방과 거실 사이에 가벽 형상으로 설치된 경우, 스마트 월(1)에 설치된 공기정화기가 거실의 공기와 안방의 공기를 각각 선택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옵션 선택에 따라 스마트 월(1)의 일측 또는 타측에만 공기정화부(80)가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월(1)의 내측에 설치된 공기정화부(80)를 공용으로 사용하여 스마트 월(1)의 양측에 있는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은, 사업화가 용이한 양산 제품 중심의 제품 페키지를 프레임부(20)에 설치한다. 그리고 프레임부(20)는 건축물의 내측에 가벽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프레임부(20)와 마주하는 공간에서 프레임부(20)에 설치된 가전제품(10)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전제품(10)이 프레임부(20)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가전제품(10)이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사용환경 대비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월(1)은 단일 벽체에 트윈 공기청정기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으며, 공기 정화를 위한 필터와 팬과 모터 등은 다양한 현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은, 거실 뿐만 아니라 방에 설치할 수도 있다. 방 사이의 벽에 스마트 월(1)을 설치하므로, 스마트 월(1)을 마주하는 방에서도 스마트 월(1)을 양방향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에어컨이나 공기정화부(80) 등의 출구를 프레임부(20)의 양 방향으로 설정하면, 스마트 월(1)을 사이에 두고 2개의 공간에서 모두 에어컨이나 공기정화부(8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거실에서 사용하는 TV와 스피커(400) 대신에 방의 용도에 따라 모니터와 PC를 프레임부(20)에 탑재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전자칠판 등 아이의 연령대에 따라 다른 기능유닛을 프레임부(20)에 탑재하여 이용할 수 있다.
사무실에 스마트 월(1)을 설치하는 경우, 전자칠판, 공기정화부(80), 화상회의 시스템, PC 등의 기능유닛을 프레임부(20)에 설치할 수 있다. 스마트 월(1)에 설치되는 가전제품(10)은 아트월(60)에 가려지므로 별도의 외관 케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가전제품]
프레임부(20)에 설치되는 가전제품(10)은 디스플레이부(11)와 공기정화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전제품(10)은 스피커(400), 에어컨, 인터폰, 가습기, 조명, 디지털 시계, 라우터(Router), 셋톱박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텔레비젼 또는 모니터와 같이 화면에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1)는 프레임부(20)의 내측에 위치하며,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가전제품(10)에 디스플레이부(11)가 포함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프레임부(20)를 포함한 스마트 월(1)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슬림해질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월(1)의 설치 공간이 감소되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스마트 월(1) 설치시 실내 공간이 좁아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가 프레임부(20)에 설치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1)의 전면을 커버하는 스크린부(130)가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부(11)는 휘어지기 때문에 사용하는 경우에만 프레임부(20)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감겨서 프레임부(20)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로 프로젝터를 사용하는 경우 단초점 프로젝터를 사용할 수 있다. 프로젝터를 프레임부(20)에 설치하는 경우, 서랍형으로 프로젝터를 인출할 수 있으며, 프레임부(20)의 외측에 형성되는 스크린에 영상을 출력하므로 대형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는 프레임부(20)의 일측면에만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프레임부(20)의 양측면에 각각 디스플레이부(11)가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1)와 함께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400)가 프레임부(20)에 설치된 경우, 이동스크린(139)의 상하 이동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와 스피커(400)가 개폐될 수 있다.
프레임부(20)에 설치되는 가전제품(10)은, 스피커(400)와 같은 음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장치는 채널수에 따라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음향장치를 커버하는 아트월(60) 또는 장착커버부(710)는 소리가 출력될 수 있도록 매쉬형태로 구성하거나, 음향이 출력되는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개구부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음향장치와 마주하는 아트월(60)에는 방수매쉬 등이 설치되므로, 아트월(60)의 내측으로 물이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에 설치되는 가전제품(10)은, 제습기, 가습기, 에어컨, 난로, 공기정화부(8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종래 각 계절에 맞추어 사용되는 가전제품(10)은, 사용이 주로 이루어지는 계절 외에는 사용을 하지 않게 되며, 프레임부(2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경우에는 먼지가 쌓이게 되므로 커버를 씌우거나 창고 등에 넣어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본 발명과 같이 스마트 월(1) 내에 가전제품(10)을 매립하여 설치하면, 필요한 경우에 가전제품(10)을 이용할 수 있으며, 가전제품(10)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전제품(1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아트월(60)이나 이동스크린(139)에 의해 커버할 수 있으며, 별도의 장착공간(25)을 따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스마트 월(1)에 제습기를 설치하는 경우, 물을 저장하기 위한 탱크가 서랍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부(20)의 외측에 있는 습기를 포함한 공기가 제습기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별도의 개구부가 필요하다.
또한 스마트 월(1)에 가습기를 설치하는 경우, 물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공간을 서랍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주변의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모으기 위해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부가 프레임부(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는 반드시 아트월(60)에 형성되지 않더라도, 아트월(60)과 프레임부(20) 사이의 틈을 이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공기정화부(80)는 필터부(87)를 주기적으로 교환할 수 있고, 사용자가 쉽게 서비스 공간을 개방할 수 있도록 스마트 월(1)의 하측부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셋톱박스나 공유기 등이 프레임부(20)에 장착되는 경우,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인터넷 공유기는 프레임부(20)에 탑재된 가전제품(10) 뿐만 아니라, 프레임부(20)의 외측에 위치하는 컴퓨터나 휴대 단말기와 같은 다른 전자기기와 연결될 수도 있다.
프레임부(20)의 상부에는 LED 또는 작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배치되므로, 날씨, 시간 이벤트 정보와 같은 간단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조명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또는 스마트 월(1) 자체에 조명을 배치하여 인테리어적 효과를 추가할 수도 있다.
인터넷 공유기를 포함하는 라우터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의 전달을 촉진하는 중계장치이다. 스마트 월(1)에 탑재되는 다양한 가전제품(10)들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라우터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라우터는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외부에서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된 라우터를 제어하여 스마트 월(1)에 탑재된 가전제품(10)과 스마트 월(1)의 주변에 설치된 가전 및 미디어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가 라우터에 연결되는 동작에 의해 스마트 월(1)의 가전제품(10)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월(1)에 모바일 기기를 장착하면, 모바일 기기에 있는 미디어 영상과 음악을 스마트 월(1)에 설치된 가전제품(1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기기를 통해 영상통화가 걸려오면, 스마트 월(1)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대방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현관의 카메라나 방법 시스템과 연결된 월패드를 스마트 월(1)의 장착공간(25)에 설치할 수 있다. 기존의 내력벽에 매립되었던 월패드는 고장 발생시 수리 및 교체가 어렵고, 위치의 변경 등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월패드를 유닛형태로 제작하여 프레임부(20)에 설치하므로, 유지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바스켓부]
또한 프레임부(20)의 장착공간(25)에는 바스켓부(7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부(70)는, 프레임부(20)의 전방을 향하여 개구된 형상이며, 프레임부(20)의 장착공간(25)에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바스켓부(70)의 내측에 각종 가전제품(10)이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프레임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20)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20)는 가전제품(10)이 설치되기 위한 장착공간(25)을 복수 개 구비하며, 뼈대 형상을 이루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일 예로 프레임부(20)는,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프레임바(21)가 격자 형상으로 설치되며, 복수의 장착공간(25)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부(20)에는 가전제품(10) 외에도 수납용 가구 등이 매립되므로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스마트 월(1)에 구비된 벽체의 일부가 인출되어 필요한 가전제품(10)이 돌출될 수도 있으며, 가전제품(10)이 매립되지 않은 공간은 서랍과 같은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프레임바(21)는 압연 강철재인 형강(Shape Steel)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강철빔을 포함한 다양한 소재와 형상이 프레임바(21)로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바(21)가 복수로 설치된 프레임부(20)는 강성의 부재이며, 외부로 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무너지지 않고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바(21)는 격자형식으로 배치되어 장착공간(25)을 구획할 수 있으며, 각 장착공간(25)에 전자제품을 안착할 수 있다. 각 장착공간(25)의 크기는 동일한 사이즈 또는 배수의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부(20)에 설치되는 가전제품(10)은 모듈화되어 프레임부(20) 내에 어느 위치에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바(21)는 C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C형강을 이용할 수 있다. C형강은 금속판재를 너비방향의 양 단부를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C형강의 양 측을 1회만 수직절곡하면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게 되며, C형강의 양측을 2회 수직으로 절곡하면 "C"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바(21)의 내부공간에 가전제품(10)과 연결되는 전원선, 데이터 케이블 및 전원선과 데이터 케이블이 연결되는 아울렛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바(21)는 사각형의 틀을 형성하며 프레임부(20)를 형성할 수 있으며, 프레임부(20)의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상측프레임바(22)와, 프레임부(20)의 하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하측프레임바(23)를 포함한다.
상측프레임바(22)의 상부 양측에는 상부고정부(26)가 설치된다. 상부고정부(26)는 상측프레임바(22)와 건물의 천정을 연결하는 부품이며, 필요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고정부(27)가 하측프레임바(23)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프레임바(23)의 하측에는 하부고정부(27)가 설치된다. 하부고정부(27)는 프레임부(2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프레임(29)과, 지지프레임(29)의 하측에 고정되며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접하는 판 형상의 베이스판(28)을 포함한다.
베이스판(28)은 지지프레임(29)의 하부 양측에 각각 고정된다. 그리고 베이스판(28)의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의 지지프레임(29)은, 베이스판(28)에 접하는 접합부재(30)와, 접합부재(3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1) 및 돌출부(31)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하측프레임바(23)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32)를 포함한다.
삽입부(32)와 삽입부(32)에 마주하는 하측프레임바(23)에는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멍이 구비된다. 즉 하측프레임바(23)에는 제1연결홀부(38)가 복수로 프레임부(20)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된다. 그리고, 제1연결홀부(38)와 마주하는 삽입부(32)에도 제2연결홀부(33)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2연결홀부(33)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된 공기는 제1연결홀부(38)를 통해 프레임부(20)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공기정화부(80)로 공급될 수 있다. 또는 프레임부(20)의 내측에 장착된 가전제품(10)에서 발생된 열기는 제1연결홀부(38)와 제2연결홀부(33)를 통해 프레임부(20)의 하측으로 배출될 수도 있다.
한편 하측프레임바(23)의 하측에는 삽입부(32)가 삽입되기 위한 장공의 홀인 결합홈부(2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측프레임바(22)와 하측프레임바(23)의 양측은 측면프레임바(35)에 의해 연결된다. 측면프레임바(35)는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다.
[아트월]
또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20)의 외측에 패널을 설치하여 프레임부(20)에 장착된 가전제품(10)을 숨기고 벽체로 보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부(20)의 외측에 패널 형상으로 설치된 부품을 아트월(60)이라 한다. 아트월(60)은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다르게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아트월(60)은 설치 후에도 손쉽게 변경이 가능하여 집안의 분위기를 바꿀 수도 있다. 이러한 아트월(6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스마트 월(1)은 생산공장에서 생산된 후 설치장소로 이동되어 설치가 이루어진다. 스마트 월(1)은 모듈형태로, 호텔, 리조트, 아파트 등에 공급될 수 있으므로 설치비용 및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다만, 조립이 완료된 스마트 월(1)은 운반이 어렵고, 건물이 완공된 경우에는 건물 내부로 반입이 어렵다. 따라서, 스마트 월(1)이 설치되지 않은 기존 건물에 이사를 하거나 인테리어를 하면서 스마트 월(1)을 설치하는 경우, 건물 내부에 프레임부(20)를 먼저 설치한다. 그리고 프레임부(20)에 단위 모듈로 이루어진 가전제품(10)을 설치하여 스마트 월(1)을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착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20)의 내측에는 디스플레이부(11)를 지지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착부(40)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착부(40)는, 상하가이드바(41)와 디스플레이고정부(42)와 조절구동부(43)와 회전스크루(44)를 포함한다.
상하가이드바(41)는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다. 봉 형상의 상하가이드바(41)는 프레임부(20)에 고정되며, 디스플레이고정부(42)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디스플레이고정부(42)는 상하가이드바(41)를 따라 상하 이동이 안내된다. 디스플레이고정부(42)의 양측은 상하가이드바(41)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디스플레이고정부(42)는 디스플레이부(11)에 연결되므로, 디스플레이부(11)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조절구동부(43)는 디스플레이고정부(42)의 하측에 위치하며, 프레임부(20)에 고정된다. 조절구동부(43)는 전기모터를 사용하며, 조절구동부(43)의 출력축에 회전스크루(44)가 연결된다.
회전스크루(44)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디스플레이고정부(42)를 관통하며 상측으로 연장된다. 회전스크루(44)의 외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회전스크루(44)의 회전에 의해 디스플레이고정부(42)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내측지지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패널(161)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지지부(16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지지부(160)는 이동스크린(139)의 내측을 지지하여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이동스크린(139)에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내측지지부(160)는 제1웨이트부(140)가 설치되지 않은 이동스크린(139)을 지지하며, 제1웨이트부(140)가 상측으로 이동될 때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웨이트부(140)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지지부(160)는, 지지패널(161)과 지지구동부(162)와 이송패널(163)과 연결패널(164)과 제1기어(165)와 제2기어(166)를 포함한다.
지지패널(161)은 프레임부(2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이동스크린(139)의 내측에 위치한다. 지지패널(161)은 직사각형의 패널이며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지지패널(161)의 양 측에는 연결패널(164)이 고정되며, 이러한 연결패널(164)은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패널(163)에 연결된다.
이송패널(163)은 지지패널(16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일 예로 이송패널(163)은 지지패널(161)과 직각을 이루며 설치된다. 이송패널(163)은 지지패널(161)에 직접 고정될 수 있으며, 연결패널(164)에 이송패널(163)이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패널(164)이 지지패널(161)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패널(161)의 측면에는 지지구동부(162)가 고정된다. 지지구동부(162)는 전기모터이며, 제어부(210)의 제어로 동작된다. 지지구동부(162)의 출력축은 지지패널(161)을 관통하며 제1기어(165)에 연결된다. 제1기어(165)는 원형의 피니언 기어 형상이다.
제1기어(165)에 맞물리는 제2기어(166)는 평기어 형상이며, 프레임부(20)에 고정된다. 따라서 지지구동부(162)가 동작되면, 제1기어(165)가 회전되며 제2기어(166)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기어(165)가 이동됨에 따라 지지구동부(162) 및 지지구동부(162)가 고정된 이송패널(163)도 이동된다. 그리고 이송패널(163)과 함께 연결패널(164)과 지지패널(161)이 이동된다.
따라서 제1웨이트부(140)가 설치되지 않은 이동스크린(139)의 내측은 지지패널(161)에 의해 지지되므로 외풍이나 외력 등에 의해 이동스크린(139)이 프레임부(20)를 향한 내측으로 이동됨이 차단된다. 또한 이동스크린(139)에 주름 등이 발생됨을 방지하여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스크린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부(13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137)에 제1웨이트부(140)와 제2웨이트부(142)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부(130)는 프레임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디스플레이부(11)의 전방을 커버하거나 설정된 영역만 개방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부(130)는 스크린모터(131)와 스크린회전축(133)과 이동스크린(139)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부(130)는, 회전기어(135)와 벨트부재(137)와 제1웨이트부(140)와 제2웨이트부(142)와 가이드롤러(144)와 연결브라켓(146)과 안내레일(148)과 이동바(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기어(152)와 종동기어(154)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레일(148)에 의해 가이드되는 이동바(15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모터(131)는 이동스크린(139)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모터(131)는 전기에 의해 동작되는 전기모터가 사용된다.
스크린회전축(133)은 스크린모터(13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일 예로 스크린회전축(133)은 프레임부(2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봉 형상이며, 프레임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크린모터(131)의 출력축에는 구동기어(152)가 구비되며, 이러한 출력기어에 맞물리는 종동기어(154)가 스크린회전축(133)의 외측을 따라 링 형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출력기어의 회전에 의해 종동기어(154)가 회전되며, 종동기어(154)에 고정된 스크린회전축(133)도 회전을 한다.
회전기어(135)는 스크린회전축(133)의 양측에 연결되어 스크린회전축(133)과 함께 회전되며, 외주면에는 치형이 형성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어(135)는 스크린회전축(133)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스크린회전축(133)의 양측에 연결된다.
벨트부재(137)는 회전기어(135)에 맞물려 돌아가는 기어가 내측에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137)는 스크린회전축(133)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며, 회전기어(135)에 맞물려 돌아간다. 벨트부재(137)는 폐곡선을 형성하며,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다.
도 8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스크린(139)은 벨트부재(137)에 고정되어 벨트부재(137)와 함께 이동되며, 디스플레이부(11)의 전면을 개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스크린(139)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길이가 조절되므로, 디스플레이부(11)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스크린(139)이 디스플레이부(11)를 전부 가릴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의 하측 일부만 남기고 디스플레이부(11)를 전부 가릴 수 있다. 또는 이동스크린(139)이 동작되어 디스플레이부(11)의 절반 정도만 가릴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1)의 전방을 전부 개방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러한 이동스크린(139)의 이동은 측정부(200)가 제어부(210)로 측정값을 전달하면, 제어부(210)는 측정부(200)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스크린모터(131)를 동작시켜 이동스크린(139)의 정지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동스크린(139)은 천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휨이 용이한 플렉시블한 재질로 성형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1웨이트부(140)는 이동스크린(139)의 일측에 연결되며, 자중에 의해 이동스크린(139)의 일측을 하측으로 당기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웨이트부(140)는 이동스크린(139)의 내측에 고정되므로, 제1웨이트부(140)의 자중에 의해 이동스크린(139)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웨이트부(140)는 프레임부(20)의 폭방향을 연장된 패널 형상이며,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제2웨이트부(142)는 이동스크린(139)의 타측에 연결되며, 자중에 의해 이동스크린(139)의 타측을 하측으로 당기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웨이트부(142)는 이동스크린(139)의 내측에 고정되므로, 제2웨이트부(142)의 자중에 의해 이동스크린(139)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웨이트부(142)는 프레임부(20)의 폭방향을 연장된 패널 형상이며,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프레임부(20)를 기준으로 프레임부(20)의 전방에 제1웨이트부(140)가 위치하며, 프레임부(20)의 후방에 제2웨이트부(142)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롤러(144)는 스크린회전축(133)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크린회전축(133)의 상측을 통과하는 이동스크린(139)에 접하며 구름운동을 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롤러(144)는 프레임부(2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형상이며, 2개가 나란히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가이드롤러(144)는 스크린회전축(133)의 상부에 위치한다. 또한 가이드롤러(144)는 복수로 구비되어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며, 스크린회전축(1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벨트부재(137)와 제1웨이트부(140)는 연결브라켓(146)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브라켓(146)은 제1웨이트부(14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벨트부재(137)의 상하 방향 이동에 의해 제1웨이트부(140)도 벨트부재(137)와 함께 이동된다.
제2웨이트부(142)의 양측에도 연결브라켓(146)이 설치되며, 이러한 연결브라켓(146)도 벨트부재(137)에 연결되므로, 제2웨이트부(142)도 벨트부재(137)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웨이트부(140)와 제2웨이트부(142)는 회전기어(135)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한 벨트부재(137)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웨이트부(140)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제2웨이트부(142)는 하측으로 이동된다. 반대로 제1웨이트부(140)가 하측으로 이동되면, 제2웨이트부(142)는 상측으로 이동된다.
일 예로 제1웨이트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의 전방에 위치하며, 제2웨이트부(142)는 디스플레이부(11)의 후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1웨이트부(140)의 하부에는 측정부(200)가 설치되기 위한 장착홈부(157)가 구비된다. 제1웨이트부(140)의 하측으로 측정부(200)가 돌출된 형상으로 설치되는 경우, 이동스크린(139)과 함께 제1웨이트부(14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동작에 의해 측정부(200)가 제1웨이트부(140)의 하측에 위치한 프레임부(20)에 부딪혀서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측정부(2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제1웨이트부(140)의 하측에 오목한 홈 형상인 장착홈부(157)를 형성한다. 장착홈부(157)의 내측에 설치된 측정부(200)는 제1웨이트부(14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제1웨이트부(140)가 하강하여 제1웨이트부(140)의 하측에 위치한 프레임부(20)에 접하는 동작에서도 측정부(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바(150)는 연결브라켓(146) 또는 제1웨이트부(140)에 고정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이다. 이러한 이동바(150)는 프레임부(20) 또는 스마트 월(1)에 고정된 구조물에 고정되는 안내레일(148)을 따라 상하 이동이 안내된다. 안내레일(148)은 이동바(150)를 감싸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이동이 구속된다.
이동스크린(139)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기 위해 이동되는 경우, 이동스크린(139)과 함께 제1웨이트부(140)와 제2웨이트부(142)가 이동된다. 그리고, 이동바(150)가 안내레일(148)을 따라 이동되며 제1웨이트부(140)와 제2웨이트부(142)의 상하 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측정부(200)와 마주하는 이동스크린(139)에는 측정용 구멍(156)이 구비된다. 따라서 측정부(200)가 이동스크린(139)을 통과하여 이동스크린(139)의 전방으로 측정용 광선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부(130)는, 이동스크린(139)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설치되어 측정용 구멍(156)을 차폐하며, 측정용 구멍(156)을 통해 이동스크린(139)의 외측으로 조사되는 광선의 이동을 허용하는 차폐부재(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재(155)는 측정부(200)에서 조사된 층정용 광선의 이동을 허용하는 한편, 이동스크린(139)과 같은 색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측정용 구멍(156)의 설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재(155)는 색상을 구비한 필름일 수 있으며, 접착제가 구비되어 테이프 타입으로 이동스크린(139)에 부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공기정화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부(80)가 프레임부(2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부(80)는 장착공간(25)의 내측에 설치되며, 프레임부(20)의 외측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스마트 월(1)과 마주하는 공간으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공기정화부(80)는, 프레임부(2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11)의 하부에 위치하며, 프레임부(20)의 폭방향을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공기정화부(80)는 프레임부(20)에 구비된 장착공간(25)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1개 또는 2개 이상 복수로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정화부(80)는 2개가 수평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되며, 디스플레이부(11)의 하측에 위치한 장착공간(25)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공기정화부(80)의 상측에는 송풍안내부(100)가 설치된다. 따라서 공기정화부(80)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송풍안내부(100)로 이동된 후 설정된 공간을 향하여 배출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스크린(139)과 디스플레이부(11)가 프레임부(20)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20)의 하측에는 공기정화부(80)가 설치될 수 있으며, 공기정화부(80)의 상측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1)가 설치된다. 디스플레이부(11)는 프레임부(20)의 중앙에 구비된 장착공간(25)에 설치되며,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부(11)가 프레임부(2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의 폭방향 양측에는 스피커(400)가 각가 설치되며, 디스플레이부(11)의 폭방향 일측에는 무선엠프(500)가 설치되고, 디스플레이부(11)의 폭방향 타측에는 보조화면(300)이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이동스크린(139)은 디스플레이부(11)의 크기에 맞추어 정지되는 위치가 가변된다. 예를 들어, 이동스크린(139)이 디스플레이부(11)를 전부 가릴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1)의 화면 중 하부 1/3~1/4만 개방하거나, 디스플레이부(11)의 화면 중 하부 1/2를 개방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1)에서 화면이 출력되는 면적에 따라 이동스크린(139)의 상하 위치가 가변된다.
[도어부]
도 2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의 하측에는 가전제품(10) 또는 장착공간(25) 등을 가리기 위한 도어부(50)가 설치된다. 도어부(50)는 프레임부(2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패널이다. 이러한 도어부(50)는 공기정화부(80)의 전면에 위치한다.
프레임부(20)의 전방에 위치하는 도어부(50)는, 장착공간과 마주하는 프레임부(20)의 전방에 위치하며, 도어부(50)가 상승되는 동작에 의해 장착공간이 개방될 수 있다.
[측정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200)가 제1웨이트부(140)의 하측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200)가 제1웨이트부(140)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부(200)가 측정 대상물(220)을 측정하여 제어부(210)로 측정값을 전달하므로, 제어부(210)가 이동스크린(139)의 정지 위치를 자동으로 재설정 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측정장치가 측정부(200)로 사용될 수 있다.
측정부(200)는 스크린부(13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스크린부(130)에 구비된 제1웨이트부(140)의 하부나 측면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200)는, 측정모터(202)와 측정센서부재(204)와 조사부재(205)와 엔코더(206)를 포함한다.
측정모터(202)는 스크린부(130)에 연결되며 전원 공급에 의해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모터(202)는 서보모터를 포함하며, 제1웨이트부(140)에 구비된 장착홈부(157)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측정센서부재(204)는 측정모터(202)의 출력축에 연결되며, 측정모터(202)의 동작에 의해 설정된 위치로 회전되며 측정 대상물(220)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부재(204)는 측정모터(202)와 함께 장착홈부(157)의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측정센서부재(204)는 측정모터(202)에 연이어 설치되며, 측정모터(202)의 출력축에 측정센서부재(204)가 연결되므로, 측정모터(202)의 동작에 의해 측정센서부재(204)는 설정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측정센서부재(204)에는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광선을 조사하는 조사부재(205)가 구비되며, 이러한 조사부재(205)는 원통 형상으로 설치된 측정센서부재(204)에 설치된다. 조사부재(205)는 단일의 부재로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측정센서부재(204)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조사부재(205)가 측정센서부재(204)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설치된 경우, 측정센서부재(204)가 회전하지 않고서도 측정 대상물(220)과의 거리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엔코더(206)는 측정모터(202)에 연이어 설치되며, 측정모터(202)의 회전을 측정하여 제어부(210)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코더(206)는 측정모터(202)를 기준으로 측정센서부재(204)와 반대되는 방향에 설치되어 측정모터(202)의 회전각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 의한 측정부(200)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측정부(200)가 3가지 경우로 동작됨을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200)와 이동스크린(139)이 디스플레이부(11)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200)가 이동스크린(139)과 함께 하강하며 디스플레이부(11)의 상단을 감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스크린(139)과 함께 하측으로 이동되는 측정부(200)는 디스플레이부(11)의 상단 위치를 파악하여 제어부(210)로 측정값을 보낼 수 있다. 이때 측정센서부재(204)에 구비된 조사부재(205)는 디스플레이부(11)를 향한 후방을 향하여 회전된 상태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200)가 측정부(200)의 하측에 위치하는 프레임부(20)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스크린(139)과 함께 이동되는 측정부(200)는, 측정부(200)의 하측에 위치한 측정 대상물(221)과 이동스크린(139) 사이의 거리를 자동으로 측정하여 제어부(21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따라서 제어부(210)는 이동스크린(139)이 이동되거나 정지되는 경우에도 이동스크린(139)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측정센서부재(204)에 구비된 조사부재(205)가 송풍안내부가 설치된 프레임부(20)를 향하여 조사용 광선을 조사하도록, 조사부재(205)를 포함한 측정센서부재(204)는 하측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200)가 이동스크린(139)에 근접한 사람을 측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200)가 이동스크린(139)의 전방에 위치한 사람을 측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의 블록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200)는, 측정용 구멍(156)을 통하여 이동스크린(139)의 전방에 위치한 사람을 측정하거나,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광선을 조사하여 디스플레이부(11)의 전방에 위치한 사람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측정센서부재(204)에 구비된 조사부재(205)가 디스플레이부(11)의 전방에 위치한 사람을 측정할 수 있도록 조사부재(205)를 포함한 측정센서부재(204)는 전방을 향하여 회전된 상태이다. 이동스크린(139)과 함께 이동되는 제1웨이트부(140)가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조사부재(205)가 하향 경사진 방향을 향하여 광선을 조사하면 되므로, 조사부재(205)는 측정용 구멍(156)을 통해 광선을 조사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동스크린(139)이 디스플레이부(11)를 전부 가리거나, 일부만 가리는 경우에는, 조사부재(205)를 포함한 측정센서부재(204)가 디스플레이부(11)의 전방을 향하여 회전된다. 따라서 조사부재(205)는 측정용 구멍(156)과 마주하는 위치에 정지되며, 조사부재(205)에서 조사된 측정용 광선은 측정용 구멍(156)과 차폐부재(155)를 차례로 통과하며 디스플레이부(11)의 전방에 위치한 측정 대상물(222)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한편 측정부(200)는 이동스크린(139) 또는 제1웨이트부(140)의 하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동스크린(139) 또는 제1웨이트부(140)의 전방이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어부]
또한 제어부(210)는 측정부(200)의 측정값을 전달받으며 스크린부(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10)는, 측정부(200)가 디스플레이부(11)의 상부 위치를 측정한 측정값을 전달받아 이동스크린(139)의 하강 위치 및 정지 위치를 재설정 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200)가 이동스크린(139)과 이동스크린(139)의 하부에 위치한 프레임부(2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어부(21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따라서 정전이나 외부 요인에 의해 이동스크린(139)이 갑자기 정지한 후 다시 재가동하는 경우에도 이동스크린(139)의 절대 위치가 제어부(210)에 입력되어 있으므로 이동스크린(139)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어린이가 디스플레이부(11)를 시청할 경우, 적절한 시청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측정부(200)와 제어부(210)가 키즈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또는 이동스크린(139)의 상하 방향 이동시 디스플레이부(11)와 근접한 위치에 사람을 포함한 물체가 있을 경우, 측정부(200)가 제어부(210)로 측정값을 전달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측정 대상물]
도 16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측정 대상물(220)은 디스플레이부(11)를 포함하며, 측정부(200)는 디스플레이부(11)가 설치된 프레임부(20)의 내측을 향하여 측정용 광선을 조사할 수 있다.
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측정 대상물(221)은 측정부(200)의 하측에 위치하는 프레임부(20)를 포함하며, 측정부(200)는 제1웨이트부(140)의 하측에 위치하는 프레임부(20)를 향하여 측정용 광선을 조사할 수 있다.
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측정 대상물(222)은 스크린부(130)의 외측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포함하며, 측정부(200)는 스크린부(130)의 외측을 향하여 측정용 광선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작]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과 도 17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20)의 내측에 디스플레이부(11)가 설치되며, 스크린부(130)의 동작에 의해 이동스크린(139)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디스플레이부(11)를 전부 가리거나 전부 개방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1)의 하부를 일부만 개방하거나 절반만 개방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만약 디스플레이부(11)가 다른 크기의 디스플레이부(11)로 교체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를 교체한 후 이동스크린(139)을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동스크린(139)과 함께 제1웨이트부(140) 및 제1웨이트부(140)에 설치된 측정부(200)가 상측으로 이동한다.
디스플레이부(11)의 상측에 위치한 측정부(200)가 이동스크린(139)과 함께 하측으로 이동되며, 이때 측정부(200)의 측정센서부재(204)는 후방을 향하여 회전된 상태이며, 조사부재(205)는 후방을 향하여 조사용 광선을 조사한다.
측정부(200)가 디스플레이부(11)가 설치된 후방을 향하여 광선을 조사하며 측정을 시작하며, 이동스크린(139)과 함께 하강하는 측정부(200)에 디스플레이부(11)의 상측이 측정되면 이동스크린(139)의 하측 이동이 정지된다.
제어부(210)는, 이동스크린(139)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스크린모터(131)가 동작되는 시간과, 이동스크린(139)과 함께 하측으로 이동되는 측정부(200)가 디스플레이부(11)의 상단 또는 상측을 측정하는 시간 사이의 간격을 구동시간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스크린모터(131)의 속도와 구동시간을 곱하여 이동스크린(139)의 이동거리를 측정한다.
제어부(210)에서는, 이동스크린(139)이 이동 가능한 총거리에서 이동스크린(139)의 이동거리를 빼어 디스플레이부(11)의 높이를 산출하며, 새로 산출된 디스플레이부(11)의 높이에 맞게 이동스크린(139)의 정지 위치를 재설정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부(200)가 측정하는 측정 대상물(221)이 이동스크린(139)의 하측에 위치한 프레임부(20)인 경우, 이동스크린(139)의 하측 또는 상측 이동시 측정부(200)는 프레임부(20)와 이동스크린(139)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어부(21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만약 이동스크린(139)의 이동시 정전이 발생될 경우, 이동스크린(139)의 최종 위치는 제어부(210)에 저장된다. 따라서 다시 전원이 재공급되어 이동스크린(139)이 다시 이동되는 경우, 제어부(210)는 이동스크린(139)의 최종 위치와, 다시 전원이 공급되어 측정부(200)가 측정한 이동스크린(139)의 위치를 비교하여 이동스크린(139)을 다시 이동시키므로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부(200)는 디스플레이부(11)의 전방에 위치한 측정 대상물(222)의 유무를 측정할 수 있다. 이동스크린(139)이 하강할 때 이동스크린(139)의 이동경로에 사람이나 애완동물 등이 위치하거나 다른 물체 등이 위치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1)의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측정용 광선을 조사하는 측정부(200)에 의해 측정 대상물(222)이 감지되어 제어부(210)로 측정값이 전달된다. 제어부(210)는 스크린모터(131)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보내므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어린이가 설정거리 이내에서 디스플레이부(11)를 시청하는 경우, 측정부(200)가 측정 대상물(222)인 어린이를 측정하여 제어부(21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따라서 제어부(210)는 시청거리 확보를 위한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어린이가 시청거리를 확보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210)는 스크린모터(131)를 동작시켜 이동스크린(139)이 디스플레이부(11)를 절반 정도 가리거나 3/4 정도 가릴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측정부(200)의 조사부재(205)가 이동스크린(139)의 측정용 구멍(156)과 마주하는 위치로 회전되므로, 조사부재(205)에서 조사된 광선은 이동스크린(139)에 부착된 차폐부재(155)를 통해 이동스크린(139)의 전방에 위치한 어린이와 같은 측정 대상물(222)을 측정한다. 따라서 제어부(210)는 측정 대상물(222)과 디스플레이부(11)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측정 대상물(222)이 설정된 거리 이상 떨어져 있으면 다시 이동스크린(139)을 상승시켜 디스플레이부(11)의 전면을 전부 개방할 수 있다.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부(200)가 디스플레이부(11)의 상단 위치를 측정하므로, 디스플레이부(11)의 크기에 맞게 이동스크린(139)의 정지 위치가 자동으로 설정되어 스크린부(130)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스크린(139)과 이동스크린(139)의 하부에 위치한 프레임부(20) 사이의 거리가 측정부(200)에 의해 측정되므로, 외부 요인에 의해 스크린부(130)가 이동되거나 정지되는 경우에도 제어부(210)가 이동스크린(139)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이동스크린(139)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측정부(200)가 이동스크린(139)의 근처에 있는 사람이나 사물을 감지하여 제어부(210)에 알리므로, 이동스크린(139)이 사람이나 사물에 부딪혀서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측정부(200)가 디스플레이부(11)를 시청하는 사람의 위치를 파악하여 제어부(210)에 알리며, 제어부(210)는 사람의 시청거리가 적절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 시청자의 시력을 보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Claims (10)

  1. 가전제품이 설치되기 위한 장착공간을 복수 개 구비하는 뼈대 형상의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을 커버하거나, 설정된 영역만 개방하는 스크린부;
    상기 스크린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부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측정 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의 측정값을 전달받으며, 상기 스크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스크린부에 연결되며, 전원 공급에 의해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측정모터; 및
    상기 측정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며, 상기 측정모터의 동작에 의해 설정된 위치로 회전되며, 상기 측정 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센서부재;를 포함하는 스마트 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측정모터에 연이어 설치되며, 상기 측정모터의 회전을 측정하는 엔코더;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는, 동력을 공급하는 스크린모터;
    상기 스크린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스크린회전축;
    상기 스크린회전축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린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며, 외주면에는 치형이 형성되는 회전기어;
    상기 회전기어에 맞물려 돌아가는 벨트부재; 및
    상기 벨트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벨트부재와 함께 이동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을 개폐하는 이동스크린;을 포함하는 스마트 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이동스크린의 일측에 연결되며, 자중에 의해 상기 이동스크린의 일측을 하측으로 당기는 제1웨이트부; 및
    상기 이동스크린의 타측에 연결되며, 자중에 의해 상기 이동스크린의 타측을 하측으로 당기는 제2웨이트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와 마주하는 상기 이동스크린에는 측정용 구멍이 구비되며,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이동스크린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용 구멍을 차폐하며, 상기 측정용 구멍을 통해 상기 이동스크린의 외측으로 조사되는 광선의 이동을 허용하는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월.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웨이트부의 하부에는 상기 측정부가 설치되기 위한 장착홈부가 구비되는 스마트 월.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물은 상기 측정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1웨이트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프레임부를 향하여 측정용 광선을 조사하는 스마트 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물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을 향하여 측정용 광선을 조사하는 스마트 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물은 상기 스크린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부는 상기 스크린부의 외측을 향하여 측정용 광선을 조사하는 스마트 월.
KR1020227004701A 2020-03-11 2020-03-11 스마트 월 KR202200342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3404 WO2021182658A1 (ko) 2020-03-11 2020-03-11 스마트 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207A true KR20220034207A (ko) 2022-03-17

Family

ID=77671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4701A KR20220034207A (ko) 2020-03-11 2020-03-11 스마트 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34207A (ko)
WO (1) WO202118265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3919A (ja) * 1992-10-12 1994-05-06 Sony Corp 映像システムのスクリーンユニット
JP3820560B2 (ja) * 2000-07-24 2006-09-13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電動開閉装置における開閉制御機構
JP2007067495A (ja) * 2005-08-29 2007-03-15 Toshiba Corp プロジェクタ装置
KR200448707Y1 (ko) * 2009-10-08 2010-05-11 민인영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
EP3350397B1 (en) * 2015-09-16 2019-07-31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Intelligent safety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82658A1 (ko) 202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0347B1 (ko) 스마트 월
KR20210005978A (ko) 공기조화기
KR102309308B1 (ko) 스마트 월
US10932385B1 (en) Media wall
KR20210100489A (ko) 스마트 월
KR20220034207A (ko) 스마트 월
KR20210094288A (ko) 스마트 월
KR20210103783A (ko) 스마트 월
KR20210097397A (ko) 스마트 월
KR20210097396A (ko) 스마트 월
KR20220035175A (ko) 스마트 월
KR20210004407A (ko) 스마트 월
EP4095457A1 (en) Smart wall
KR20210094289A (ko) 스마트 월
KR20210094734A (ko) 스마트 월
JP2011185018A (ja) シャッタ装置
KR102677289B1 (ko) 스마트 월
KR20210051510A (ko) 스마트 월
KR20210051511A (ko) 스마트 월
KR20210051509A (ko) 스마트 월
EP4030110A1 (en) Air purifier and smart wall
US20220290805A1 (en) Smart wall
KR102662310B1 (ko)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KR102662311B1 (ko)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CN113945005B (zh) 一种地铁定位空气温度调节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