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5175A - 스마트 월 - Google Patents

스마트 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5175A
KR20220035175A KR1020227004702A KR20227004702A KR20220035175A KR 20220035175 A KR20220035175 A KR 20220035175A KR 1020227004702 A KR1020227004702 A KR 1020227004702A KR 20227004702 A KR20227004702 A KR 20227004702A KR 20220035175 A KR20220035175 A KR 20220035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lay
frame
smart wall
lead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4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기
정기상
김윤주
최주영
심화석
심재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35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1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스마트 월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스마트 월은: 가전제품이 설치되기 위한 장착공간을 복수 개 구비하는 뼈대 형상의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프레임부에 고정되며 디스플레이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디스플레이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월
본 발명은 스마트 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의 상하 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스마트 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많이 사용하는 전자제품은 텔레비전과 공기정정기를 포함하며, 이러한 가전제품은 벽체의 외측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최근에는 가전제품에 관련된 기술이 점차로 발전하면서, 가정에서 사용되는 가전제품의 개수가 점차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미디어 기기와 가전제품 들이 상호 연동하며 작동하기 위해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의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면서 가정 내에 설치된 가전제품의 개수가 많아지며, 이러한 가전제품을 일일이 연결하는 작업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특히 텔레비전이 벽체의 외측에 돌출된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어린이가 넘어지면서 돌출된 텔레비젼에 걸려서 다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젼과 연결된 전선을 정리하는데도 어려움이 발생한다.
그리고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공기정화기도 벽체의 외측에 별도로 설치되며, 어린이가 공기정화기에 걸려서 넘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냉난방기와 스피커와 가습기와 제습기와 인터넷 공유기인 라우터를 포함한 가전제품들도 벽체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벽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가전제품의 개수가 증가되면서 이러한 가전제품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게 되었다.
그리고 가습기와 제습기와 같이 특정 계절에만 사용하는 가전제품의 경우,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가전제품을 보관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또한 텔레비전과 같이 큰 부피를 갖는 가전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가전제품을 커버하기 위한 별도의 스크린부가 필요하다.
또한 텔레비젼의 부피가 크며, 비교적 무게도 무겁기 때문에 텔레비젼의 설치에 어려움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65692호(2006.12.29 등록, 발명의 명칭: 가변 벽체 시스템)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부의 내측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의 상하 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스마트 월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부의 내측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의 상하 이동을 핸들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할 수 있는 스마트 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월은, 동력공급모터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동력에 의해 리드스크류가 회전되어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고정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월은, 핸들부재 또는 조작핸들부를 통해 전달된 외부 동력이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므로,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고정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월은, 가전제품이 설치되기 위한 장착공간을 복수 개 구비하는 뼈대 형상의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프레임부에 고정되며 디스플레이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디스플레이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착부는, 프레임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가이드바와, 상하가이드바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고정부 및 디스플레이고정부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고정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고정부는, 상하가이드바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부시와, 가이드부시에 연결되어 가이드부시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지지패널부와, 이동지지패널부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장착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지지패널부는, 가이드부시를 연결하는 연결패널부 및 연결패널부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구동부에 구비된 리드스크류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너트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패널부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양측에는 가이드부시가 연결되는 제1연결패널 및 제1연결패널의 하측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양측에는 가이드부시가 연결되는 제2연결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너트이동부는, 연결패널부의 하측에 연결되며 리드스크류에 맞물리는 나사산이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구동부는, 디스플레이고정부를 관통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디스플레이구동부에 기어 연결되는 리드스크류 및 프레임부에 고정되며 리드스크류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기어 연결되고 외부 동력을 입력받아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기어박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어박스부는, 프레임부에 고정되며 리드스크류가 내측으로 삽입되는 박스케이스 및 리드스크류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리드스크류와 베벨기어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1입력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구동부는, 제1입력축부의 단부에 결합되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제1입력축부를 회전시키는 핸들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어박스부는, 리드스크류 및 제1입력축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리드스크류와 베벨기어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2입력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구동부는, 제2입력축부에 연결되는 입력링크축과, 입력링크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공급모터 및 동력공급모터와 입력링크축을 연결하며 동력공급모터의 동력을 입력링크축으로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동력전달부는, 동력공급모터와 입력링크축의 사이에 설치되며 동력공급모터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제1연결링크부재 및 제1연결링크부재의 연결부위와 제1연결링크부재와 입력링크축의 연결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1유니버셜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구동부는, 제2입력축부에 연결되는 입력링크축과, 입력링크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입력받으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핸들부 및 조작핸들부와 입력링크축을 연결하며 조작핸들부를 통해 입력받은 동력을 입력링크축으로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동력전달부는, 조작핸들부와 입력링크축의 사이에 설치되며 조작핸들부와 함께 회전하는 복수의 제2연결링크부재 및 제2연결링크부재의 연결부위와 제2연결링크부재와 입력링크축의 연결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2유니버셜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월은, 디스플레이고정부에 디스플레이부를 장착한 후에 동력공급모터의 동작으로 디스플레이부가 자동으로 이동되므로 디스플레이부의 설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월은, 디스플레이고정부에 디스플레이부를 장착한 후에 핸들부재 또는 조작핸들부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부를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의 설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부고정부가 하측프레임바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측지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에 제1웨이트부와 제2웨이트부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내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는 이동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부가 프레임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착부가 프레임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용모터와 엔코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구동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가 송풍안내부의 상측을 통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가 디스플레이장착부에 장착된 후 하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착부가 프레임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착부가 프레임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착부가 프레임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착부가 프레임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착부가 프레임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은, 가전제품(10)이 설치되기 위한 장착공간(25)을 복수 개 구비하는 벽체 형상으로 이루어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예로 스마트 월(1)은 가전제품(10)과 프레임부(20)와 디스플레이부(11)와 디스플레이장착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은, 도어부(50)와 아트월(60)과 바스켓부(70)와 공기정화부(80)와 송풍안내부(100)와 스크린부(130)와 내측지지부(1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미디어 기기와 가전 기기와 같이 집에서 이용하는 가전제품(10)을 벽에 일체화시켜 외관에 노출되지 않도록 시스템화 한 스마트 월(1)에 관한 것이다. 벽을 형성하는 프레임부(20)에 다양한 종류의 가전제품(10)이 장착되며, 스마트 월(1)과 마주하는 공간에 가전제품(10)이 노출됨을 최소화 하는 공간 토탈 솔루션을 제공한다
스마트 월(1)은 거실과 방 사이에 벽체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방과 이웃한 방 사이에 벽체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스마트 월(1)은 이동이 가능한 가벽 형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월(1)의 내측에 공기정화부(80)가 설치된 경우, 스마트 월(1)이 마주하는 양측 공간으로 각각 정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스마트 월(1)이 안방과 거실 사이에 가벽 형상으로 설치된 경우, 스마트 월(1)에 설치된 공기정화기가 거실의 공기와 안방의 공기를 각각 선택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옵션 선택에 따라 스마트 월(1)의 일측 또는 타측에만 공기정화부(80)가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월(1)의 내측에 설치된 공기정화부(80)를 공용으로 사용하여 스마트 월(1)의 양측에 있는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은, 사업화가 용이한 양산 제품 중심의 제품 페키지를 프레임부(20)에 설치한다. 그리고 프레임부(20)는 건축물의 내측에 가벽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프레임부(20)와 마주하는 공간에서 프레임부(20)에 설치된 가전제품(10)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전제품(10)이 프레임부(20)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가전제품(10)이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사용환경 대비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월(1)은 단일 벽체에 트윈 공기청정기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으며, 공기 정화를 위한 필터와 팬과 모터 등은 다양한 현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은, 거실 뿐만 아니라 방에 설치할 수도 있다. 방 사이의 벽에 스마트 월(1)을 설치하므로, 스마트 월(1)을 마주하는 방에서도 스마트 월(1)을 양방향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에어컨이나 공기정화부(80) 등의 출구를 프레임부(20)의 양 방향으로 설정하면, 스마트 월(1)을 사이에 두고 2개의 공간에서 모두 에어컨이나 공기정화부(8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거실에서 사용하는 TV와 스피커 대신에 방의 용도에 따라 모니터와 PC를 프레임부(20)에 탑재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전자칠판 등 아이의 연령대에 따라 다른 기능유닛을 프레임부(20)에 탑재하여 이용할 수 있다.
사무실에 스마트 월(1)을 설치하는 경우, 전자칠판, 공기정화부(80), 화상회의 시스템, PC 등의 기능유닛을 프레임부(20)에 설치할 수 있다. 스마트 월(1)에 설치되는 가전제품(10)은 아트월(60)에 가려지므로 별도의 외관 케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가전제품]
프레임부(20)에 설치되는 가전제품(10)은 디스플레이부(11)와 공기정화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전제품(10)은 스피커, 에어컨, 인터폰, 가습기, 조명, 디지털 시계, 라우터(Router), 셋톱박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텔레비젼 또는 모니터와 같이 화면에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1)는 프레임부(20)의 내측에 위치하며,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가전제품(10)에 디스플레이부(11)가 포함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프레임부(20)를 포함한 스마트 월(1)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슬림해질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월(1)의 설치 공간이 감소되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스마트 월(1) 설치시 실내 공간이 좁아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가 프레임부(20)에 설치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1)의 전면을 커버하는 스크린부(130)가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부(11)는 휘어지기 때문에 사용하는 경우에만 프레임부(20)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감겨서 프레임부(20)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로 프로젝터를 사용하는 경우 단초점 프로젝터를 사용할 수 있다. 프로젝터를 프레임부(20)에 설치하는 경우, 서랍형으로 프로젝터를 인출할 수 있으며, 프레임부(20)의 외측에 형성되는 스크린에 영상을 출력하므로 대형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는 프레임부(20)의 일측면에만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프레임부(20)의 양측면에 각각 디스플레이부(11)가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1)와 함께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가 프레임부(20)에 설치된 경우, 이동스크린(139)의 상하 이동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와 스피커가 개폐될 수 있다.
프레임부(20)에 설치되는 가전제품(10)은, 스피커와 같은 음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장치는 채널수에 따라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음향장치를 커버하는 아트월(60) 또는 장착커버부(710)는 소리가 출력될 수 있도록 매쉬형태로 구성하거나, 음향이 출력되는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개구부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음향장치와 마주하는 아트월(60)에는 방수매쉬 등이 설치되므로, 아트월(60)의 내측으로 물이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에 설치되는 가전제품(10)은, 제습기, 가습기, 에어컨, 난로, 공기정화부(8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종래 각 계절에 맞추어 사용되는 가전제품(10)은, 사용이 주로 이루어지는 계절 외에는 사용을 하지 않게 되며, 프레임부(2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경우에는 먼지가 쌓이게 되므로 커버를 씌우거나 창고 등에 넣어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본 발명과 같이 스마트 월(1) 내에 가전제품(10)을 매립하여 설치하면, 필요한 경우에 가전제품(10)을 이용할 수 있으며, 가전제품(10)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전제품(1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아트월(60)이나 이동스크린(139)에 의해 커버할 수 있으며, 별도의 장착공간(25)을 따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스마트 월(1)에 제습기를 설치하는 경우, 물을 저장하기 위한 탱크가 서랍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부(20)의 외측에 있는 습기를 포함한 공기가 제습기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별도의 개구부가 필요하다.
또한 스마트 월(1)에 가습기를 설치하는 경우, 물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공간을 서랍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주변의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모으기 위해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부가 프레임부(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는 반드시 아트월(60)에 형성되지 않더라도, 아트월(60)과 프레임부(20) 사이의 틈을 이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공기정화부(80)는 필터부(87)를 주기적으로 교환할 수 있고, 사용자가 쉽게 서비스 공간을 개방할 수 있도록 스마트 월(1)의 하측부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셋톱박스나 공유기 등이 프레임부(20)에 장착되는 경우,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인터넷 공유기는 프레임부(20)에 탑재된 가전제품(10) 뿐만 아니라, 프레임부(20)의 외측에 위치하는 컴퓨터나 휴대 단말기와 같은 다른 전자기기와 연결될 수도 있다.
프레임부(20)의 상부에는 LED 또는 작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배치되므로, 날씨, 시간 이벤트 정보와 같은 간단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조명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또는 스마트 월(1) 자체에 조명을 배치하여 인테리어적 효과를 추가할 수도 있다.
인터넷 공유기를 포함하는 라우터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의 전달을 촉진하는 중계장치이다. 스마트 월(1)에 탑재되는 다양한 가전제품(10)들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라우터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라우터는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외부에서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된 라우터를 제어하여 스마트 월(1)에 탑재된 가전제품(10)과 스마트 월(1)의 주변에 설치된 가전 및 미디어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가 라우터에 연결되는 동작에 의해 스마트 월(1)의 가전제품(10)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월(1)에 모바일 기기를 장착하면, 모바일 기기에 있는 미디어 영상과 음악을 스마트 월(1)에 설치된 가전제품(1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기기를 통해 영상통화가 걸려오면, 스마트 월(1)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대방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현관의 카메라나 방법 시스템과 연결된 월패드를 스마트 월(1)의 장착공간(25)에 설치할 수 있다. 기존의 내력벽에 매립되었던 월패드는 고장 발생시 수리 및 교체가 어렵고, 위치의 변경 등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월패드를 유닛형태로 제작하여 프레임부(20)에 설치하므로, 유지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바스켓부]
또한 프레임부(20)의 장착공간(25)에는 바스켓부(7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부(70)는, 프레임부(20)의 전방을 향하여 개구된 형상이며, 프레임부(20)의 장착공간(25)에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바스켓부(70)의 내측에 각종 가전제품(10)이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프레임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20)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20)는 가전제품(10)이 설치되기 위한 장착공간(25)을 복수 개 구비하며, 뼈대 형상을 이루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일 예로 프레임부(20)는,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프레임바(21)가 격자 형상으로 설치되며, 복수의 장착공간(25)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부(20)에는 가전제품(10) 외에도 수납용 가구 등이 매립되므로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스마트 월(1)에 구비된 벽체의 일부가 인출되어 필요한 가전제품(10)이 돌출될 수도 있으며, 가전제품(10)이 매립되지 않은 공간은 서랍과 같은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프레임바(21)는 압연 강철재인 형강(Shape Steel)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강철빔을 포함한 다양한 소재와 형상이 프레임바(21)로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바(21)가 복수로 설치된 프레임부(20)는 강성의 부재이며, 외부로 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무너지지 않고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바(21)는 격자형식으로 배치되어 장착공간(25)을 구획할 수 있으며, 각 장착공간(25)에 전자제품을 안착할 수 있다. 각 장착공간(25)의 크기는 동일한 사이즈 또는 배수의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부(20)에 설치되는 가전제품(10)은 모듈화되어 프레임부(20) 내에 어느 위치에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바(21)는 C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C형강을 이용할 수 있다. C형강은 금속판재를 너비방향의 양 단부를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C형강의 양 측을 1회만 수직절곡하면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게 되며, C형강의 양측을 2회 수직으로 절곡하면 "C"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바(21)의 내부공간에 가전제품(10)과 연결되는 전원선, 데이터 케이블 및 전원선과 데이터 케이블이 연결되는 아울렛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바(21)는 사각형의 틀을 형성하며 프레임부(20)를 형성할 수 있으며, 프레임부(20)의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상측프레임바(22)와, 프레임부(20)의 하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하측프레임바(23)를 포함한다.
상측프레임바(22)의 상부 양측에는 상부고정부(26)가 설치된다. 상부고정부(26)는 상측프레임바(22)와 건물의 천정을 연결하는 부품이며, 필요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부고정부(27)가 하측프레임바(23)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프레임바(23)의 하측에는 하부고정부(27)가 설치된다. 하부고정부(27)는 프레임부(2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프레임(29)과, 지지프레임(29)의 하측에 고정되며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접하는 판 형상의 베이스판(28)을 포함한다.
베이스판(28)은 지지프레임(29)의 하부 양측에 각각 고정된다. 그리고 베이스판(28)의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의 지지프레임(29)은, 베이스판(28)에 접하는 접합부재(30)와, 접합부재(3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1) 및 돌출부(31)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하측프레임바(23)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32)를 포함한다.
삽입부(32)와 삽입부(32)에 마주하는 하측프레임바(23)에는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멍이 구비된다. 즉 하측프레임바(23)에는 제1연결홀부(38)가 복수로 프레임부(20)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된다. 그리고, 제1연결홀부(38)와 마주하는 삽입부(32)에도 제2연결홀부(33)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2연결홀부(33)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된 공기는 제1연결홀부(38)를 통해 프레임부(20)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공기정화부(80)로 공급될 수 있다. 또는 프레임부(20)의 내측에 장착된 가전제품(10)에서 발생된 열기는 제1연결홀부(38)와 제2연결홀부(33)를 통해 프레임부(20)의 하측으로 배출될 수도 있다.
한편 하측프레임바(23)의 하측에는 삽입부(32)가 삽입되기 위한 장공의 홀인 결합홈부(2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측프레임바(22)와 하측프레임바(23)의 양측은 측면프레임바(35)에 의해 연결된다. 측면프레임바(35)는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다.
[아트월]
또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20)의 외측에 패널을 설치하여 프레임부(20)에 장착된 가전제품(10)을 숨기고 벽체로 보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부(20)의 외측에 패널 형상으로 설치된 부품을 아트월(60)이라 한다. 아트월(60)은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다르게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아트월(60)은 설치 후에도 손쉽게 변경이 가능하여 집안의 분위기를 바꿀 수도 있다. 이러한 아트월(6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스마트 월(1)은 생산공장에서 생산된 후 설치장소로 이동되어 설치가 이루어진다. 스마트 월(1)은 모듈형태로, 호텔, 리조트, 아파트 등에 공급될 수 있으므로 설치비용 및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다만, 조립이 완료된 스마트 월(1)은 운반이 어렵고, 건물이 완공된 경우에는 건물 내부로 반입이 어렵다. 따라서, 스마트 월(1)이 설치되지 않은 기존 건물에 이사를 하거나 인테리어를 하면서 스마트 월(1)을 설치하는 경우, 건물 내부에 프레임부(20)를 먼저 설치한다. 그리고 프레임부(20)에 단위 모듈로 이루어진 가전제품(10)을 설치하여 스마트 월(1)을 구현할 수 있다.
[내측지지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패널(161)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측지지부(16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지지부(160)는 이동스크린(139)의 내측을 지지하여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이동스크린(139)에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내측지지부(160)는 제1웨이트부(140)가 설치되지 않은 이동스크린(139)을 지지하며, 제1웨이트부(140)가 상측으로 이동될 때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웨이트부(140)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측지지부(160)는, 지지패널(161)과 지지구동부(162)와 이송패널(163)과 연결패널(164)과 제1기어(165)와 제2기어(166)를 포함한다.
지지패널(161)은 프레임부(2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이동스크린(139)의 내측에 위치한다. 지지패널(161)은 직사각형의 패널이며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지지패널(161)의 양 측에는 연결패널(164)이 고정되며, 이러한 연결패널(164)은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패널(163)에 연결된다.
이송패널(163)은 지지패널(16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일 예로 이송패널(163)은 지지패널(161)과 직각을 이루며 설치된다. 이송패널(163)은 지지패널(161)에 직접 고정될 수 있으며, 연결패널(164)에 이송패널(163)이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패널(164)이 지지패널(161)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패널(161)의 측면에는 지지구동부(162)가 고정된다. 지지구동부(162)는 전기모터이며, 제어부(210)의 제어로 동작된다. 지지구동부(162)의 출력축은 지지패널(161)을 관통하며 제1기어(165)에 연결된다. 제1기어(165)는 원형의 피니언 기어 형상이다.
제1기어(165)에 맞물리는 제2기어(166)는 평기어 형상이며, 프레임부(20)에 고정된다. 따라서 지지구동부(162)가 동작되면, 제1기어(165)가 회전되며 제2기어(166)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기어(165)가 이동됨에 따라 지지구동부(162) 및 지지구동부(162)가 고정된 이송패널(163)도 이동된다. 그리고 이송패널(163)과 함께 연결패널(164)과 지지패널(161)이 이동된다.
따라서 제1웨이트부(140)가 설치되지 않은 이동스크린(139)의 내측은 지지패널(161)에 의해 지지되므로 외풍이나 외력 등에 의해 이동스크린(139)이 프레임부(20)를 향한 내측으로 이동됨이 차단된다. 또한 이동스크린(139)에 주름 등이 발생됨을 방지하여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스크린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부(13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137)에 제1웨이트부(140)와 제2웨이트부(142)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부(130)는 프레임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디스플레이부(11)의 전방을 커버하거나 설정된 영역만 개방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부(130)는 스크린모터(131)와 스크린회전축(133)과 이동스크린(139)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부(130)는, 회전기어(135)와 벨트부재(137)와 제1웨이트부(140)와 제2웨이트부(142)와 가이드롤러(144)와 연결브라켓(146)과 안내레일(148)과 이동바(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동기어(152)와 종동기어(154)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내레일(148)에 의해 가이드되는 이동바(15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모터(131)는 이동스크린(139)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모터(131)는 전기에 의해 동작되는 전기모터가 사용된다.
스크린회전축(133)은 스크린모터(13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일 예로 스크린회전축(133)은 프레임부(2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봉 형상이며, 프레임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크린모터(131)의 출력축에는 구동기어(152)가 구비되며, 이러한 출력기어에 맞물리는 종동기어(154)가 스크린회전축(133)의 외측을 따라 링 형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출력기어의 회전에 의해 종동기어(154)가 회전되며, 종동기어(154)에 고정된 스크린회전축(133)도 회전을 한다.
회전기어(135)는 스크린회전축(133)의 양측에 연결되어 스크린회전축(133)과 함께 회전되며, 외주면에는 치형이 형성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어(135)는 스크린회전축(133)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스크린회전축(133)의 양측에 연결된다.
벨트부재(137)는 회전기어(135)에 맞물려 돌아가는 기어가 내측에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137)는 스크린회전축(133)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며, 회전기어(135)에 맞물려 돌아간다. 벨트부재(137)는 폐곡선을 형성하며,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다.
도 8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스크린(139)은 벨트부재(137)에 고정되어 벨트부재(137)와 함께 이동되며, 디스플레이부(11)의 전면을 개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스크린(139)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길이가 조절되므로, 디스플레이부(11)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스크린(139)이 디스플레이부(11)를 전부 가릴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의 하측 일부만 남기고 디스플레이부(11)를 전부 가릴 수 있다. 또는 이동스크린(139)이 동작되어 디스플레이부(11)의 절반 정도만 가릴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1)의 전방을 전부 개방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러한 이동스크린(139)의 이동은 측정부(200)가 제어부(210)로 측정값을 전달하면, 제어부(210)는 측정부(200)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스크린모터(131)를 동작시켜 이동스크린(139)의 정지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동스크린(139)은 천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휨이 용이한 플렉시블한 재질로 성형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1웨이트부(140)는 이동스크린(139)의 일측에 연결되며, 자중에 의해 이동스크린(139)의 일측을 하측으로 당기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웨이트부(140)는 이동스크린(139)의 내측에 고정되므로, 제1웨이트부(140)의 자중에 의해 이동스크린(139)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웨이트부(140)는 프레임부(20)의 폭방향을 연장된 패널 형상이며,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제2웨이트부(142)는 이동스크린(139)의 타측에 연결되며, 자중에 의해 이동스크린(139)의 타측을 하측으로 당기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웨이트부(142)는 이동스크린(139)의 내측에 고정되므로, 제2웨이트부(142)의 자중에 의해 이동스크린(139)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웨이트부(142)는 프레임부(20)의 폭방향을 연장된 패널 형상이며,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프레임부(20)를 기준으로 프레임부(20)의 전방에 제1웨이트부(140)가 위치하며, 프레임부(20)의 후방에 제2웨이트부(142)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롤러(144)는 스크린회전축(133)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크린회전축(133)의 상측을 통과하는 이동스크린(139)에 접하며 구름운동을 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롤러(144)는 프레임부(2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형상이며, 2개가 나란히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가이드롤러(144)는 스크린회전축(133)의 상부에 위치한다. 또한 가이드롤러(144)는 복수로 구비되어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며, 스크린회전축(1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벨트부재(137)와 제1웨이트부(140)는 연결브라켓(146)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브라켓(146)은 제1웨이트부(14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벨트부재(137)의 상하 방향 이동에 의해 제1웨이트부(140)도 벨트부재(137)와 함께 이동된다.
제2웨이트부(142)의 양측에도 연결브라켓(146)이 설치되며, 이러한 연결브라켓(146)도 벨트부재(137)에 연결되므로, 제2웨이트부(142)도 벨트부재(137)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웨이트부(140)와 제2웨이트부(142)는 회전기어(135)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한 벨트부재(137)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웨이트부(140)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제2웨이트부(142)는 하측으로 이동된다. 반대로 제1웨이트부(140)가 하측으로 이동되면, 제2웨이트부(142)는 상측으로 이동된다.
일 예로 제1웨이트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의 전방에 위치하며, 제2웨이트부(142)는 디스플레이부(11)의 후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1웨이트부(140)의 하부에는 측정부(200)가 설치되기 위한 장착홈부(157)가 구비된다. 제1웨이트부(140)의 하측으로 측정부(200)가 돌출된 형상으로 설치되는 경우, 이동스크린(139)과 함께 제1웨이트부(14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동작에 의해 측정부(200)가 제1웨이트부(140)의 하측에 위치한 프레임부(20)에 부딪혀서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측정부(2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제1웨이트부(140)의 하측에 오목한 홈 형상인 장착홈부(157)를 형성한다. 장착홈부(157)의 내측에 설치된 측정부(200)는 제1웨이트부(14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제1웨이트부(140)가 하강하여 제1웨이트부(140)의 하측에 위치한 프레임부(20)에 접하는 동작에서도 측정부(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바(150)는 연결브라켓(146) 또는 제1웨이트부(140)에 고정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이다. 이러한 이동바(150)는 프레임부(20) 또는 스마트 월(1)에 고정된 구조물에 고정되는 안내레일(148)을 따라 상하 이동이 안내된다. 안내레일(148)은 이동바(150)를 감싸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이동이 구속된다.
이동스크린(139)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기 위해 이동되는 경우, 이동스크린(139)과 함께 제1웨이트부(140)와 제2웨이트부(142)가 이동된다. 그리고, 이동바(150)가 안내레일(148)을 따라 이동되며 제1웨이트부(140)와 제2웨이트부(142)의 상하 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측정부(200)와 마주하는 이동스크린(139)에는 측정용 구멍(156)이 구비된다. 따라서 측정부(200)가 이동스크린(139)을 통과하여 이동스크린(139)의 전방으로 측정용 광선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부(130)는, 이동스크린(139)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설치되어 측정용 구멍(156)을 차폐하며, 측정용 구멍(156)을 통해 이동스크린(139)의 외측으로 조사되는 광선의 이동을 허용하는 차폐부재(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재(155)는 측정부(200)에서 조사된 층정용 광선의 이동을 허용하는 한편, 이동스크린(139)과 같은 색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측정용 구멍(156)의 설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재(155)는 색상을 구비한 필름일 수 있으며, 접착제가 구비되어 테이프 타입으로 이동스크린(139)에 부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공기정화부]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부(80)가 프레임부(2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부(80)는 장착공간(25)의 내측에 설치되며, 프레임부(20)의 외측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스마트 월(1)과 마주하는 공간으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공기정화부(80)는, 프레임부(2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11)의 하부에 위치하며, 프레임부(20)의 폭방향을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공기정화부(80)는 프레임부(20)에 구비된 장착공간(25)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1개 또는 2개 이상 복수로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정화부(80)는 2개가 수평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되며, 디스플레이부(11)의 하측에 위치한 장착공간(25)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공기정화부(80)의 상측에는 송풍안내부(100)가 설치된다. 따라서 공기정화부(80)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송풍안내부(100)로 이동된 후 설정된 공간을 향하여 배출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스크린(139)과 디스플레이부(11)가 프레임부(20)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20)의 하측에는 공기정화부(80)가 설치될 수 있으며, 공기정화부(80)의 상측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1)가 설치된다. 디스플레이부(11)는 프레임부(20)의 중앙에 구비된 장착공간(25)에 설치되며,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부(11)가 프레임부(2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이동스크린(139)은 디스플레이부(11)의 크기에 맞추어 정지되는 위치가 가변된다. 예를 들어, 이동스크린(139)이 디스플레이부(11)를 전부 가릴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1)의 화면 중 하부 1/3~1/4의 영역만 개방하거나, 디스플레이부(11)의 화면 중 하부 1/2의 영역을 개방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1)에서 화면이 출력되는 면적에 따라 이동스크린(139)의 상하 위치가 가변된다.
[도어부]
도 2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의 하측에는 가전제품(10) 또는 장착공간(25) 등을 가리기 위한 도어부(50)가 설치된다. 도어부(50)는 프레임부(2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패널이다. 이러한 도어부(50)는 공기정화부(80)의 전면에 위치한다.
프레임부(20)의 전방에 위치하는 도어부(50)는, 장착공간(25)과 마주하는 프레임부(20)의 전방에 위치하며, 도어부(50)가 상승되는 동작에 의해 장착공간(25)이 개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착부]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착부(200)가 프레임부(2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용모터와 엔코더(238)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착부(200)는, 프레임부(20)의 내측에서 디스플레이부(11)를 지지하며, 상하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11)를 이동시키거나, 디스플레이부(11)의 좌우 틸팅 및 상하 틸팅 동작이 가능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착부(200)는, 상하가이드바(201)와 디스플레이고정부(210)와 디스플레이구동부(220)를 포함한다.
상하가이드바(201)는 프레임부(20)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하가이드바(201)는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하가이드바(201)는 디스플레이고정부(210)의 양측에 연결되므로, 디스플레이고정부(210)의 회전은 구속하고 상하 이동은 허용한다. 봉 형상의 상하가이드바(201)는 프레임부(20)에 고정되며, 디스플레이고정부(21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디스플레이고정부(210)는 상하가이드바(201)를 따라 상하 이동이 안내된다. 디스플레이고정부(210)의 양측은 상하가이드바(201)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디스플레이고정부(210)는 디스플레이부(11)에 연결되므로, 디스플레이부(11)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고정부(210)는 상하가이드바(201)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디스플레이부(11)에 연결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고정부(210)는, 가이드부시(211)와 이동지지패널부(212)와 장착고정부(217)를 포함한다.
가이드부시(211)는 상하가이드바(201)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상하가이드바(201)와 마주하는 가이드부시(211)의 내측에는 베어링이나 마찰저감부재가 구비된다. 상하가이드바(201)는 가이드부시(211)를 관통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시(211)는 디스플레이고정부(210)의 폭방향 일측에 2개가 설치되며, 디스플레이고정부(210)의 폭방향 타측에도 2개가 설치된다.
이동지지패널부(212)는 가이드부시(211)에 연결되어 가이드부시(211)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지지패널부(212)는 연결패널부(213)와 너트이동부(216)를 포함한다.
가이드부시(211)를 연결하는 연결패널부(213)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양측에는 가이드부시(211)가 연결되는 제1연결패널(214) 및 제1연결패널(214)의 하측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양측에는 가이드부시(211)가 연결되는 제2연결패널(21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패널(214)과 제2연결패널(215)은 평행하게 설치되며, 제1연결패널(214)과 제2연결패널(215)의 중앙부에는 장착고정부(217)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1연결패널(214)과 제2연결패널(215)은 장착고정부(217)에 의해 연결된다.
너트이동부(216)는 연결패널부(213)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구동부(220)에 구비된 리드스크류(221)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너트이동부(216)는, 연결패널부(213)의 하측에 연결되며 리드스크류(221)에 맞물리는 나사산이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리드스크류(221)의 회전에 의해 너트이동부(216)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장착고정부(217)는 이동지지패널부(212)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부(11)를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착고정부(217)는 디스플레이부(11)를 지지하며, 디스플레이부(11)를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게 지지하는 좌우 틸팅과, 디스플레이부(11)를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지지하는 상하 틸팅이 가능하다. 장착고정부(217)가 디스플레이부(11)의 후면에 연결되며, 필요에 따라 좌우 틸팅 및 상하 틸팅이 이루어지는 구성은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구동부(220)는 디스플레이고정부(210)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고정부(21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구동부(220)는, 리드스크류(221)와 기어박스부(222)와 핸들부재(230)와 회전용모터와 엔코더(23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리드스크류(221)는 디스플레이고정부(210)를 관통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디스플레이구동부(220)에 기어 연결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드스크류(221)는 이동지지패널부(212)에 구비된 너트이동부(216)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며 설치된다. 리드스크류(221)는 봉 형상이며, 외측에는 나선형으로 나사산이 구비된다.
기어박스부(222)는 프레임부(20)에 고정되며, 리드스크류(221)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기어 연결되고, 외부 동력을 입력받아 리드스크류(221)를 회전시키는 기어가 구비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구동부(22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부(222)는, 프레임부(20)에 고정되며 리드스크류(221)가 내측으로 삽입되는 박스케이스(223)를 포함한다. 또한 기어박스부(222)는 제1입력축부(224)와 제2입력축부(2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입력축부(224)는 리드스크류(221)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리드스크류(221)와 베벨기어 방식으로 연결된다. 제1입력축부(224)의 단부는 박스케이스(223)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기어박스부(222)의 외측에 위치하는 핸들부재(230)가 제1입력축부(224)의 단부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드스크류(221)의 하측은 기어박스부(222)의 내측에 위치하며, 리드스크류(221)의 하단에는 메인베벨기어(226)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1입력축부(224)는 리드스크류(22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제1입력축부(224)의 단부에는 메인베벨기어(226)에 맞물려 돌아가는 제1베벨기어(227)가 구비된다. 메인베벨기어(226)와 제1베벨기어(227)는 원추 형상의 몸통 외측에 나선형의 기어가 형성되며, 이러한 메인베벨기어(226)와 제1베벨기어(227)가 맞물리면서 회전되므로 동력전달이 이루어진다.
제2입력축부(225)는 제1입력축부(224)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리드스크류(221)와 베벨기어 방식으로 연결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입력축부(225)는 제1입력축부(224)와 직각으로 교차하며, 제1입력축부(224)와 제2입력축부(225)는 수평선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된다.
제2입력축부(225)의 단부에도 메인베벨기어(226)에 맞물려 돌아가는 제2베벨기어(228)가 구비된다. 메인베벨기어(226)와 제2베벨기어(228)는 원추 형상의 몸통 외측에 나선형의 기어가 형성되며, 이러한 메인베벨기어(226)와 제2베벨기어(228)가 맞물리면서 회전되므로 동력전달이 이루어진다.
핸들부재(230)는 제1입력축부(224)의 단부에 결합되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제1입력축부(224)를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핸들부재(230)는, 복수의 굽힙부가 구비된 막대 형상이다. 핸들부재(230)의 단부가 제1입력축부(224)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부재(230)를 돌리면 제1입력축부(224)가 회전된다.
제2입력축부(225)의 단부에는 회전용모터의 출력축이 연결되며, 회전용모터의 동작에 의해 제2입력축부(225)가 회전한다. 또한 회전용모터에 연이어 엔코더(238)가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용모터의 회전을 측정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은, 동력공급모터(236)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동력에 의해 리드스크류(221)가 회전되어 디스플레이부(11)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고정부(21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은, 핸들부재(230) 또는 조작핸들부(232)를 통해 전달된 외부 동력이 리드스크류(221)를 회전시키므로, 디스플레이부(11)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고정부(21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작]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가 송풍안내부의 상측을 통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를 스마트 월(1)에 장착할 경우, 작업자가 디스플레이부(11)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송풍안내부의 상측을 통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 후 디스플레이장착부(200)에 고정시킨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가 디스플레이장착부(200)에 장착된 후 하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고정부(210)에 디스플레이부(11)가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별도로 구비된 리모컨의 디스플레이부(11) 위치 조정 버튼을 누른다.
리모컨의 수신 신호는 회전용모터에 전달되며, 회전용모터가 동작되어 제2입력축부(225)를 회전시킨다. 제2입력축부(225)에 연결된 제2베벨기어(228)가 회전되면, 제2베벨기어(228)에 맞물려 있는 메인베벨기어(226)가 회전을 한다.
메인베벨기어(226)와 함께 리드스크류(221)가 회전을 하며, 리드스크류(221)에 맞물린 장착고정부(217)가 하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장착고정부(217)와 함께 디스플레이고정부(210)가 하측으로 이동하므로, 디스플레이고정부(210)에 지지된 디스플레이부(11)도 하측으로 이동된다.
제어부는 엔코더(238)의 측정값과, 디스플레이부(11)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디스플레이부(11)의 현재 위치를 계산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1)가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회전용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또는 핸들부재(230)를 제1입력축부(224)의 단부에 연결시킨 후 사용자가 핸들부재(230)를 잡아서 돌리면, 제1입력축부(224)도 핸들부재(230)와 함께 회전된다.
제1입력축부(224)에 연결된 제1베벨기어(227)가 회전되면, 제1베벨기어(227)에 맞물려 있는 메인베벨기어(226)가 회전을 한다. 메인베벨기어(226)와 함께 리드스크류(221)가 회전을 하며, 리드스크류(221)에 맞물린 장착고정부(217)가 하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장착고정부(217)와 함께 디스플레이고정부(210)가 하측으로 이동하므로, 디스플레이고정부(210)에 지지된 디스플레이부(11)도 하측으로 이동된다.
[제2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을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착부(200)가 프레임부(2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착부(290)가 프레임부(2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18과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착부(290)는 상하가이드바(201)와 디스플레이고정부(210)와 디스플레이구동부(220)를 포함한다.
상하가이드바(201)와 디스플레이고정부(21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구동부(226)는, 리드스크류(221)와 기어박스부(222)와 입력링크축(234)과 동력공급모터(236)와 제1동력전달부(240)를 포함한다. 리드스크류(221)와 기어박스부(22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입력링크축(234)은 제2입력축부(225)에 연결되며, 기어박스부(222)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이다.
동력공급모터(236)는 입력링크축(234)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력공급모터(236)는 프레임부(20)에 고정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착부(290)가 프레임부(2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후면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착부(290)가 프레임부(2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구동부(226)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동력전달부(240)는 동력공급모터(236)와 입력링크축(234)을 연결하며, 동력공급모터(236)의 동력을 입력링크축(234)으로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동력전달부(240)는, 동력공급모터(236)와 입력링크축(234)의 사이에 설치되며 동력공급모터(236)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제1연결링크부재(241) 및 제1연결링크부재(241)의 연결부위와 제1연결링크부재(241)와 입력링크축(234)의 연결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1유니버셜 조인트(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링크부재(241)는 일직선으로 연장된 링크 형상이며, 동력공급모터(236)의 동력을 입력링크축(234)에 전달한다. 또한 제1연결링크부재(241)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연결링크부재(241)의 연결부위와 제1연결링크부재(241)와 입력링크축(234)의 연결 부위에는 제1유니버셜 조인트(242)가 설치되어 각도가 서로 다른 축의 동력 전달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동력공급모터(236)가 동작되면, 제1연결링크부재(241)와 제1유니버셜 조인트(242)가 회전된다. 그리고 제1동력전달부(240)에 연결된 입력링크축(234)이 회전되면서 기어박스부(222)의 내측에 구비된 제2입력축부(225)도 회전을 한다.
제2입력축부(225)에 연결된 리드스크류(221)가 회전을 하며, 리드스크류(221)에 맞물린 장착고정부(217)가 하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장착고정부(217)와 함께 디스플레이고정부(210)가 하측으로 이동하므로, 디스플레이고정부(210)에 지지된 디스플레이부(11)도 하측으로 이동된다.
[제3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을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착부(295)가 프레임부(2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착부(295)는, 상하가이드바(201)와 디스플레이고정부(210)와 디스플레이구동부(226)를 포함한다.
상하가이드바(201)와 디스플레이고정부(21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구동부(227)는, 리드스크류(221)와 기어박스부(222)와 입력링크축(234)과 조작핸들부(232)와 제2동력전달부(250)를 포함한다. 리드스크류(221)와 기어박스부(22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입력링크축(234)은 제2입력축부(225)에 연결되며, 기어박스부(222)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이다.
조작핸들부(232)는 입력링크축(234)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입력받으며, 프레임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작핸들부(232)는 프레임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1개 이상의 굽힘부를 구비하는 손잡이 형상이다.
제2동력전달부(250)는 조작핸들부(232)와 입력링크축(234)을 연결하며, 조작핸들부(232)를 통해 입력받은 동력을 입력링크축(234)으로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2동력전달부(250)는 제2연결링크부재(251)와 제2유니버셜 조인트(2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링크부재(251)는 조작핸들부(232)와 입력링크축(234)의 사이에 설치되며, 조작핸들부(232)와 함께 회전하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제2유니버셜 조인트(252)는, 제2연결링크부재(251)의 연결부위 및 제2연결링크부재(251)와 입력링크축(234)의 연결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2유니버셜 조인트(252)는, 각도가 서로 다른 축의 동력 전달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조작핸들부(232)가 회전되면 제2연결링크부재(251)와 제2유니버셜 조인트(252)도 회전된다. 그리고 제2동력전달부(250)에 연결된 입력링크축(234)이 회전되면서 기어박스부(222)의 내측에 구비된 제2입력축부(225)도 회전을 한다.
제2입력축부(225)에 연결된 리드스크류(221)가 회전을 하며, 리드스크류(221)에 맞물린 장착고정부(217)가 하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장착고정부(217)와 함께 디스플레이고정부(210)가 하측으로 이동하므로, 디스플레이고정부(210)에 지지된 디스플레이부(11)도 하측으로 이동된다.
한편, 본 제 1, 2 및 제 3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장착부(295)의 동작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고정부(210)에 디스플레이부(11)를 장착한 후에 동력공급모터(236)의 동작으로 디스플레이부(11)가 자동으로 이동되므로 디스플레이부(11)의 설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월(1)은, 디스플레이고정부(210)에 디스플레이부(11)를 장착한 후에 핸들부재(230) 또는 조작핸들부(232)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부(11)를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11)의 설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Claims (10)

  1. 가전제품이 설치되기 위한 장착공간을 복수 개 구비하는 뼈대 형상의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디스플레이장착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착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가이드바;
    상기 상하가이드바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고정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고정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구동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고정부는, 상기 상하가이드바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부시;
    상기 가이드부시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부시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지지패널부;
    상기 이동지지패널부에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장착고정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패널부는, 상기 가이드부시를 연결하는 연결패널부; 및
    상기 연결패널부에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구동부에 구비된 리드스크류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너트이동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월.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구동부는, 상기 디스플레이고정부를 관통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구동부에 기어 연결되는 리드스크류; 및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며, 상기 리드스크류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기어 연결되고, 외부 동력을 입력받아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기어박스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며, 상기 리드스크류가 내측으로 삽입되는 박스케이스; 및
    상기 리드스크류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리드스크류와 베벨기어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1입력축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구동부는, 상기 제1입력축부의 단부에 결합되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제1입력축부를 회전시키는 핸들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월.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부는, 상기 리드스크류 및 상기 제1입력축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리드스크류와 베벨기어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2입력축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구동부는, 상기 제2입력축부에 연결되는 입력링크축;
    상기 입력링크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공급모터; 및
    상기 동력공급모터와 상기 입력링크축을 연결하며, 상기 동력공급모터의 동력을 상기 입력링크축으로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월.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구동부는, 상기 제2입력축부에 연결되는 입력링크축;
    상기 입력링크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입력받으며,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핸들부; 및
    상기 조작핸들부와 상기 입력링크축을 연결하며, 상기 조작핸들부를 통해 입력받은 동력을 상기 입력링크축으로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월.
KR1020227004702A 2020-03-11 2020-03-11 스마트 월 KR202200351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3406 WO2021182659A1 (ko) 2020-03-11 2020-03-11 스마트 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175A true KR20220035175A (ko) 2022-03-21

Family

ID=77671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4702A KR20220035175A (ko) 2020-03-11 2020-03-11 스마트 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35175A (ko)
WO (1) WO202118265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5077A1 (en) * 2003-02-10 2005-03-03 Wieslaw Bober Motorized lift device
KR20060133854A (ko) * 2005-06-21 2006-12-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높이 조절 구조
KR100872350B1 (ko) * 2007-11-02 2008-12-05 곽수만 영상표시장치의 각도 조절 구조
JP6192278B2 (ja) * 2012-09-24 2017-09-0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昇降装置
KR102650346B1 (ko) * 2018-08-09 2024-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82659A1 (ko) 202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0347B1 (ko) 스마트 월
US11000126B1 (en) Smart wall
US10932385B1 (en) Media wall
KR20210100489A (ko) 스마트 월
KR20220035175A (ko) 스마트 월
KR20210094288A (ko) 스마트 월
KR20210103783A (ko) 스마트 월
KR20210097397A (ko) 스마트 월
KR20210097396A (ko) 스마트 월
KR20210094289A (ko) 스마트 월
KR20220034207A (ko) 스마트 월
KR20210094734A (ko) 스마트 월
KR101442135B1 (ko)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환기 시스템
EP4095457A1 (en) Smart wall
KR20210004407A (ko) 스마트 월
KR20210051511A (ko) 스마트 월
KR20210051509A (ko) 스마트 월
KR20210051510A (ko) 스마트 월
US20220290805A1 (en) Smart wall
KR20210096484A (ko) 스마트 월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방법
EP4030110A1 (en) Air purifier and smart wall
KR102640662B1 (ko)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CN101769082A (zh) 一种集装箱套房
KR20210020240A (ko) 스마트 월
KR20210020241A (ko) 스마트 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