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662B1 -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662B1
KR102640662B1 KR1020190073387A KR20190073387A KR102640662B1 KR 102640662 B1 KR102640662 B1 KR 102640662B1 KR 1020190073387 A KR1020190073387 A KR 1020190073387A KR 20190073387 A KR20190073387 A KR 20190073387A KR 102640662 B1 KR102640662 B1 KR 102640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ed frame
air purifier
air
fro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5024A (ko
Inventor
김윤주
심재묘
김영경
김태호
김현기
류정한
임철민
최주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3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662B1/ko
Publication of KR20200145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4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0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composed of diaphragms or seg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3Details of furniture, e.g. tables or shelves, associated with the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의 내측면에 결합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을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해 전면 방향으로 이동시켜 닫힌상태에서 열린상태로 전환시키는 구동부; 상기 이동 프레임이 열린상태로 전환시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전면커버 사이로 노출되는 흡입구 및 배출구;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는 필터; 및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흡입구로 공기를 유입하고 상기 배출구로 공기를 송풍하는 팬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는 전면커버는 필요한 경우에만 열릴 수 있어 사용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눈에 띄지 않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AIR CLEANER AND SMART WALL}
본 발명은 TV, 스피커 등의 멀티미디어 기기 및 가전 제품이 탑재된 벽체에 관한 것으로 유닛화 된 스마트 월과 그에 탑재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을 넘어 가정 안의 모든 미디어 기기와 가전제품들이 인터넷과 연결되는 인프라가 구축되면서, 스마트 홈이 새로운 스마트 생태계의 키워드로 뜨고 있다. 특히 개인 미디어 기기였던 스마트폰을 통해 이미 축적된 이용자들의 경험과 가치가 다른 디바이스로 확장되기 시작하였다.
이처럼 미디어 기기와 가전제품 들이 상호 연동하며 작동하기 위해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의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면서 가정 내에 전자기기의 개수가 많아지고 이를 일일이 연결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TV가 놓여지는 거실 벽은 집의 얼굴로서 깔끔한 외관을 위해 가구와 전자기기를 최소화 하는 것이 최근의 트랜드이다. 또한 아이가 있는 집의 경우 TV장이나 스피커 등이 거실에 위치하는 경우 아이가 밀어 넘어지거나 부딪쳐 다치는 문제가 발생하는 바, 가능한 거실에서 외측으로 노출되는 가구와 전자기기의 개수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TV, 스피커 등의 멀티미디어 기기 및 가전 제품이 탑재된 벽체에 관한 것으로 유닛화 된 스마트 월 및 그에 탑재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의 내측면에 결합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을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해 전면 방향으로 이동시켜 닫힌상태에서 열린상태로 전환시키는 구동부; 상기 이동 프레임이 열린상태로 전환시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전면커버 사이로 노출되는 흡입구 및 배출구;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는 필터; 및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흡입구로 공기를 유입하고 상기 배출구로 공기를 송풍하는 팬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필터와 상기 팬을 수용하는 내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프레임은, 상기 흡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필터가 설치된 제1 개구부; 및 상기 배출구와 연결된 제2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를 구획하고 상기 내부 프레임과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분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측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흡입구에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필터의 중앙부로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전면커버 또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내측에 중심을 향해 연장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전면커버 또는 이동 프레임의 내측에 둘레가 결합되고 상기 필터에 중잉부가 고정된 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프레임이 상기 열린상태로 전환시 상기 시트부는 둘레부터 상기 필터에 고정된 위치까지 형성된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된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이동 프레임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니언 기어; 상기 이동 프레임에 결합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려 직선운동하는 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프레임에 위치하는 가이드 돌기; 및 상기 고정 프레임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된 가이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개가 위치하고,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동력전달부에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단이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이동 프레임에 결합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시 상기 이동 프레임을 전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링크는, 중간에 각도가 가변가능한 관절부; 및 타단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가이드 돌기를 중심으로 형성된 제1 톱니를 포함하고, 타단에 상기 제1 링크의 제1 톱니와 맞물리는 제2 톱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와 대칭으로 배치된 제2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복수개의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거리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거리센서가 감지하는 거리가 상이한 경우 상기 거리센서가 감지하는 거리가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복수개 모터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속도를 제어하여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린상태에서 상기 전면커버와 상기 고정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서 물체를 감지하면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장공간(mounting cell)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프레임 모듈;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모듈 사이를 체결하여 프레임 구조체를 형성하는 체결구; 및 상기 실장공간 중 하나에 삽입된 공기청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청정기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의 내측면에 결합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을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해 전면 방향으로 이동시켜 닫힌상태에서 열린상태로 전환시키는 구동부; 상기 이동 프레임이 열린상태로 전환시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전면커버 사이로 노출되는 흡입구 및 배출구;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는 필터; 및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흡입구로 공기를 유입하고 상기 배출구로 공기를 송풍하는 팬을 포함하는 스마트 월을 제공한다.
상기 공기청정기가 삽입된 실장공간은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전면커버는 필요한 경우에만 열릴 수 있어 사용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눈에 띄지 않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필터 전체 면적을 활용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여 필터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전면커버가 안정적으로 열려 사용자가 다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공기청정기의 고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스마트 월은 벽체에 TV 및 오디오와 같은 멀티미디어 기기가 탑재되어 벽면에 같은 높이로 벽면에 설치되어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모듈화 되어 어떤 가전도 손쉽게 탑재 가능하고 수리가 필요한 경우 모듈만 쉽게 분리 가능하여 설치 및 유지 보수가 간단하고, 추가적으로 멀티미디어 기기 또는 가전을 추가하는 경우 유닛을 추가하여 손쉽게 확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월의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의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프레임 모듈의 조합에 따른 다양한 프레임 구조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의 프레임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의 프레임 구조체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의 바스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b)의 A-A 및 B-B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일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C-C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리브의 유무에 따른 성능차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시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0의 구동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구동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구동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월(100)의 벽체형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미디어 기기와 가전 기기와 같이 집에서 이용하는 전자기기를 벽에 일체화시켜 외관에 노출되지 않도록 시스템화 한 스마트 월(100)에 관한 것이다. 벽에 디스플레이부, 인터폰, 스피커, 공기청정기, 가습기, 조명, 디지털 시계, 공유기, 셋톱박스 등의 다양한 전자기기가 실장되어 공간내에 전자기기가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한 공간 토탈 솔루션을 제공한다.
최근에 디스플레이 장치(161)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본 발명의 스마트 월(100)의 두께는 15~20cm수준으로 얇게 형성할 수 있어, 설치 시 실내 공간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히려 수납 가구와 가전제품(160)이 스마트 월(100)에 매립되어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선택적으로 벽의 일부가 인출되어 필요한 가전이 돌출될 수도 있고, 가전이 매립되지 않은 공간은 서랍과 같은 실장공간(114)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TV는 최근 박형화 가능하여 얇은 디스플레이부를 구현할 수 있는 바, 실질적으로 TV자체가 프레임의 커버역할을 하며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여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61)의 디스플레이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아트월(151)에 개구부(153)을 형성할 수 있으며, 개구부(153)을 개폐하는 커버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부는 휘어지기 때문에 사용하는 경우만 외측으로 노출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 감겨서 벽체 내부로 수납될 수 있어 외관 상 깔끔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젝터는 최근 단초점 프로젝터가 개발 되어 프로젝터를 벽에 탑재하고 서랍형식으로 이를 인출하여 스크린에 출력함으로써 대형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하지 않는 경우 스마트 월(100)의 외측에 디스플레이부가 보이지 않아 더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 월(100)의 분해도로서, 전면의 아트월(150)의 내부는 복수개의 형강(115)(shape steel)을 격자로 배치한 프레임의 구조체가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 구조체(110)는 강성의 부재로서 벽체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무너지지 않게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 구조체(110)의 전면에 패널을 부착하여 프레임 구조체(110)에 실장된 전자제품(160)을 숨기고 벽체로 보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패널로 커버된 전면벽을 아트월(150)이라 한다.
아트월(150)은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다르게 변경 가능하다. 설치 후에 손쉽게 변경하여 집안의 분위기를 바꿀 수도 있다.
격자형식으로 배치된 형강(115)은 실장공간(114)을 구획하고, 각 실장공간(114)에 전자제품(160)을 안착할 수 있다. 각 실장공간(114)의 크기는 동일한 사이즈 또는 배수의 사이즈를 가지도록 하여 실장되는 전자제품(160)을 모듈화하여 프레임 구조체(110) 내에 어느 위치에도 배치할 수 있다.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61) 이외에 실장공간(114)에 스피커(162)와 같은 음향장치(152)를 탑재할 수도 있으며 음향장치(152)는 채널수에 따라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음향장치를 커버하는 아트월(152)은 소리가 출력될 수 있도록 매쉬형태로 구성하거나 음향이 출력되는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개구부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방수를 위해 개구부는 방수매쉬 등을 이용하여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계절 가전인 제습기(163), 가습기(165), 에어컨, 난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계절 가전은 사용하지 않는 경우 계속 외측으로 노출되게 두는 경우 먼지가 쌓이고 외관상 보기 좋지 않아 커버를 씌우거나 창고 등에 넣어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본 발명과 같이 스마트 월(100) 내에 매립 설치하면 필요한 경우에 이용하고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아트월(150)로 커버할 수 있으며 별도의 실장공간(114)을 따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제습기(163)나 가습기(165)는 모인 물을 제거하거나 물을 채우기 위해 물을 수집/저장하는 공간을 서랍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물이 토출되거나 주변의 수분을 모으기 위해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부(154)가 필요하다. 공기청정기는 필터를 주기적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쉽게 개방 가능하도록 스마트 월(100)의 하단 부분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154)는 반드시 아트월(150)에 형성하지 않더라도 아트월(150)과 프레임 구조체(110) 사이의 틈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셋톱박스나 WIFI라우터 등이 장착되는 경우 홈 네트워크 시스템으을 구현할 수 있다. WIFI라우터를 통해 스마트 월(100)에 탑재된 기능유닛 뿐만 아니라 스마트 월(100) 외측에 위치하는 컴퓨터나 휴대 단말기와 같은 다른 전자기기와 연결하여 상호 연동하여 제어할 수 있다.
상부에는 LED나 작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배치하여 날씨, 시간 이벤트 정보와 같은 간단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고, 조명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스마트 월(100) 자체에 조명을 배치하여 인테리어적 효과를 추가할 수 있다.
라우터는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이나 신호를 이용하는 경우 라우터가 이를 정리하고 길을 안내해주는 중간장치이다. 또한, 스마트 월(100)에 탑재되는 기능 유닛을 반드시 유선으로 연결하지 않고 WIFI라우터를 통해 연결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라우터는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역할을 동시에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외부에서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된 라우터를 제어하여 스마트 월(100)에 탑재된 기능 유닛 뿐만 아니라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전 및 미디어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그 외에 모바일 기기와 연동하여 스마트 월(100)의 전자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스마트 월(100)에 모바일 기기를 장착하면 모바일기기에 있는 미디어 영상과 음악을 출력하던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영상통화가 걸려오면 스마트 월(1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대방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현관의 카메라나 방법 시스템과 연결된 월패드를 스마트 월(100)의 실장공간(114)에 구비할 수 있다. 기존의 내력벽에 매립되었던 월패드는 고장 시 수리 및 교체가 어렵고 위치의 변경 등의 어려움이 있었으나, 유닛형태로 구성하여 스마트 월(100)에 구비하는 경우 유지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스마트 월(100)은 거실 뿐만 아니라 방에 설치할 수도 있다. 방 사이의 벽을 스마트 월(100)로 구성하여 이웃하는 방에서 스마트 월(100)을 양방향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에어컨이나 공기청정기 등을 양 방향으로 통하게 하면 2개의 공간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거실에서 사용하는 TV와 스피커(162) 대신에 방의 용도에 따라 모니터와 PC를 탑재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전자칠판 등 아이의 연령대에 따라 다른 기능유닛을 탑재하여 이용할 수 있다.
사무실에 설치 시 전자칠판, 공기청정기, 화상회의 시스템, PC등의 기능유닛을 탑재한 스마트 월(100)을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 월(100)에 탑재되는 전자제품(160)은 아트월(150)에 가려지므로 별도의 외관 케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스마트 월(100)을 공장에서 사용자의 설치 장소에 맞춰서 제조 후에 설치하는 방식을 이용하면 호텔/리조트나, 아파트 건설 시 대규모로 동일한 모듈을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어 불량률을 줄이고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다.
다만, 조립이 완료된 스마트 월(100)은 운반이 어렵고, 건물이 완공된 경우에는 건물 내부로 반입이 어렵다. 따라서, 기존의 건물에 이사, 인테리어 시에 스마트 월(10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건물 내에 프레임을 설치하고 단위 모듈을 삽입하여 스마트 월(100)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설치의 편의성과 규격화를 위해 프레임 구조체(110)는 복수개의 모듈 프레임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00)의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의 결합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각 부품을 실장하기 위해 실장공간(114)을 포함하는 책장 형태의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을 이용할 수 있다. 실장공간(114)을 구획하기 위해 복수개의 빔 형태의 부재를 격자로 배치하여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을 제조할 수 있다.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은 수평방향으로 실장공간(114)이 나란히 배치된 제1 프레임 모듈(111), 디스플레이 장치(161)와 같이 큰 제품(160)이 실장되기 위한 제2 프레임 모듈(112) 및 수직방향으로 실장공간(114)이 나란히 배치된 제3 프레임 모듈(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모듈(112)은 디스플레이 장치(161)의 인치에 상관없이 모두 실장될 수 있도록 큰 공간을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장공간(114)을 구획하는 빔을 구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61)를 고정하고 프레임 구조체(110)의 강성을 제고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모듈(111)은 제2 프레임 모듈(112)과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모듈(111)의 수평방향의 길이는 제2 프레임 모듈(112)의 수평방향 길이와 같게 형성하여 수직방향으로 적층시 격자가 어긋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모듈(111)은 제2 프레임 모듈(112)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프레임 모듈(111)과 제2 프레임 모듈(112)의 크기에 따라 또는 설치공간의 크기에 따라 제1 프레임 모듈(111)의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개수를 가감할 수 있다.
수직방향으로 실장공간(114)이 나란히 배치된 제3 프레임 모듈(113)은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제1 프레임 모듈(111)과 제2 프레임 모듈(112)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3 프레임 모듈(11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 모듈(111)과 제2 프레임 모듈(112)의 측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개의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을 체결구로 결합하여 직육면체의 프레임 구조체(11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수직방향으로 실장공간(114)이 배치된 제3 프레임 모듈(113)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각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강(115)을 이용할 수 있다. 형강(shape steel)은 구조용 부재로 각종 단면형상을 가진 봉형상의 부재를 총칭하여 말한다. 압연방식 또는 판재를 절곡하여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기둥형상의 형강을 구성할 수 있다. 형강은 원형이나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빔형 부재보다 빈 공간이 있어 가볍고 적은 재료로 일정 크기 이상의 강성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C형강(115)을 이용할 수 있다. C형강(115)은 금속판재를 너비방향의 양 단부를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양 단부를 1회만 수직절곡하면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2회 수직으로 절곡하면 C형상의 단면응ㄹ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에 전자제품(160)과 연결되는 전원이나 신호선이 배치되고 전원이나 데이터 케이블들이 체결되는 아울렛 모듈(140)이 배치될 수 있다.
아울렛 모듈(140)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인터넷 선이나 케이블 입력 등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단자 및 프레임에 삽입된 기능 유닛이 다른 기능유닛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커넥터는 프레임을 기준으로 양측에 단자가 있으며 상기 단자에 각 전자기기의 데어터 연결 선을 삽입하면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기 아울렛 모듈(140)은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형강(115)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홀(116)을 형성할 수 있다. 벤트홀(116)은 형강(115)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전자제품(16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출할 수 있다. 보다 능동적으로 열을 배출하기 위해 팬을 이용하여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전자제품(160)의 열을 실내로 배출하는 경우 겨울에는 난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여름에는 실내 온도를 높이는 원인이 되는 바 팬을 이용하여 내부에 열을 순환시키거나 에어컨의 실외기와 연결되는 배선에 추가하여 외부로 열을 배출하는 구조를 추가 할 수 있다.
각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은 외측 둘레에 사각형을 이루는 외측강과 그 사이에 실장공간(114)을 구획 하기 위한 내측강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강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강과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모듈(111)내지 제3 프레임 모듈(113)은 한 쌍의 수직강 사이에 수평강을 배치하여 조립할 수 있다. 천장과 바닥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20)와 수직강을 체결하기 위해서 수직강의 상하 단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배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수평강보다 수직강을 바깥쪽에 위치시켜 수직강의 단부로 고정부재(120)의 수직 브라켓(122, 123)을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다.
외측강 내부에 위치하는 내측강은 외측강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구획하여 실장공간(114)을 구성하며 내측강은 외측강에 용접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조립할 수도 있고, 일부 내측강은 볼트나 후크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제거할 수 있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제품(160) 형태의 프레임 모듈(111, 112, 113) 사이를 체결하는 방식을 이용하면 현장에서 조립하는 횟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제품(160)의 치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설치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동이 용이한 사이즈로 모듈화 할 수 있어 손쉽게 현장으로 이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의 조합에 따른 다양한 프레임 구조체(110)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a)는 도 3의 한 쌍의 제1 프레임 모듈(111a), 하나의 제2 프레임 모듈(112a) 및 한 쌍의 제3 프레임 모듈(113)을 조립한 상태의 프레임 구조체(110)를 도시하고 있다. 제1 프레임 모듈(111a)은 4개의 실장공간(114)을 가지므로 너비가 넓어져 좁은 실내공간에는 설치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b)와 같이, 3개의 실장공간(114)을 구비하는 수평방향의 길이가 짧은 형태의 제1 프레임 모듈(111b)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2 프레임 모듈(112b)은 제1 프레임 모듈(111b)의 수평방향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레임 모듈(111)과 제2 프레임 모듈(112)이 수직방향으로 적층한 양 옆에 제3 프레임 모듈(113)을 배치할 수 있다. 통상적인 주택의 층고는 220cm ~230cm 이므로 제3 프레임 모듈(113)의 높이는 220cm가 조금 안되게 구성할 수 있다. 도면상으로 5단의 세로형 프레임을 도시하고 있으나, 복층이나 층고가 높은 경우를 대비하여 6단의 세로형 프레임도 제조할 수 있다.
더 좁은 공간에 설치하는 경우 제3 프레임 모듈(113)을 생략하고 제1 프레임 모듈(111a)과 제2 프레임 모듈(112a)만 이용하여 프레임 구조체(110)를 구성할 수도 있고, 큰 디스플레이 장치(161)를 실장하지 않는 경우 제3 프레임만 일렬로 배치하여 프레임 구조체(110)를 구현할 수 있다. 각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은 볼트로 체결할 수도 있고, 용접방식으로 체결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00)의 프레임 구조체(110)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을 체결하여 구성한 프레임 구조체(110)는 실내 공간에 설치하기 위해 천장과 바닥에 고정할 수 있다.
천장 또는 바닥에 설치하는 고정 브라켓(125)은 L자 형상으로 꺾어진 부재로 일측(125b)은 천장 또는 바닥에 타측(125a)은 천장 또는 바닥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프레임 모듈(111)과 제2 프레임 모듈(112)의 수직강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제1 수직 브라켓(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직 브라켓(122)은 제1 프레임 모듈(111)뿐만 아니라 제2 프레임 모듈(112)까지 체결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 모듈(111)의 수직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제1 수직 브라켓(122)과 나란히 배치되며 제3 프레임 모듈(113)에 삽입되는 제2 수직 브라켓(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프레임 모듈(113)의 수직강은 하나의 부재이므로 제1 수직 브라켓(122)과 같이 길 필요는 없다.
제1 수직 브라켓(122)과 제2 수직 브라켓(123)의 단부에 결합된 결합 브라켓(121)은 수직 브라켓(122, 123)과 함께 T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결합 브라켓(121)은 수직 브라켓(122, 123)과 결합하며 제1 프레임 모듈(111)과 제3 프레임 모듈(113)의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121b)와 상기 안착부(121b)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 브라켓(125)과 체결되는 체결부(121a)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브라켓(121)과 고정 브라켓(125)의 체결은 스크류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으며 천장고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스크류가 체결되는 체결구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스마트 월(100)을 기존의 벽에 덧대어 설치하는 경우 기존의 벽체와 체결하는 고정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월(100)은 스피커(162)와 같이 음향기기가 위치하기 때문에 이를 가벽으로 이용하는 경우 벽을 기준으로 분리되는 공간이 발생한다. 이 때 두 공간의 소리를 차단하기 위해 스마트 월(100)과 맞닿는 천장, 바닥 및 측벽에 소리가 새지 않도록 방음 구조를 부가하여 스마트 월(100)을 고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00)의 바스켓(13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은 내측 형강(115)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실장공간(114)으로 구획할 수 있다. 실장공간(114)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130)을 삽입하여 전자제품(160)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모듈(112)은 디스플레이 장치(161)가 위치하므로 상대적으로 큰 실장공간(114)을 구비하나, 제1 프레임 모듈(111)과 제3 프레임 모듈(113)의 실장공간(114)은 규격화된 사이즈로 형성할 수 있다. 규격화된 사이즈의 실장공간(114)을 이용하면 바스켓(130)도 규격화 할 수 있어 불필요하게 다양한 형상의 부품을 제조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실장 공간의 크기를 모두 동일하게 형성하는 경우 규격화에 편리하나 실장되는 전자제품(160)에 따라 더 큰 공간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컨과 공기청정기의 크기는 상이하므로 이러한 차이를 고려하여 실장공간(114)의 크기를 기본크기의 정수배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 크기는 a, 세로 크기는 b를 가지는 제1 실장공간(1141)을 기준으로 가로크기가 a의 정수배를 가지는 제2 실장공간(1142) 또는 세로 크기가 b의 정수배를 가지는 제3 실장공간(11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장공간(1141)의 가로방향의 크기는 제3 프레임 모듈(113)의 가로방향 크기에 상응하고 세로방향의 크기는 제1 프레임 모듈(111)의 세로방향의 크기에 상응한다. 여기서 실장공간(114)은 형강(115)으로 구획된 내부공간을 의미하므로 제1 프레임 모듈(111)의 크기와 제3 프레임 모듈(113)의 크기와 비교는 형강(115)의 두께에 의한 차이는 무시한다.
제1 프레임 모듈(111)은 수직방향의 길이가 짧으므로 제1 실장공간(1141)과 제2 실장공간(1142)만 포함할 수 있고, 제3 프레임 모듈(113)은 수평방향의 길이가 짧으므로 제1 실장공간(1141)과 제3 실장공간(1143)만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64)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프레임 구조체(110)의 실장공간(114) 중 하나에 공기청정기(164)를 배치할 수 있으며, 외부 케이스를 실장공간(114)의 크기에 맞는 사이즈로 형성하여 바스켓(130)을 생략할 수도 있다.
공기청정기(164)는 공기를 흡입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다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개구부가 필요하다. 전면에 홀을 형성하여 개구부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스마트 월의 아트월에 개구부가 전면에 노출되면 디자인적 측면에서 저해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아트월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공기가 유출되면 사용자에게 직접 공기가 닿게 되어 불쾌감을 주거나 겨울에는 사용자의 체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청청기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트월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전면커버(155)를 개폐하여 공청기로 유입/유출되는 개구부(1642a, 1642d)를 측방향에 형성할 수 있다. 전면커버(155)는 아트월과 동일한 디자인을 가질 수 있으며, 공기청정기(164)는 전면커버(155)를 이동시키는 구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커버(155)가 이동하여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므로 공기청정기(164)는 스마트 월(1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청정기(164)의 하부는 바닥에 면하는 바, 공기청정기(164)의 측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상측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유로를 설계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b)의 A-A 및 B-B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64)의 일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다. 도 9의 (a)는 A-A단면도로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를 도시하고 있고 도 9의 (b)는 B-B 단면도로 공기가 배출되는 경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164)는 스마트 월의 프레임 구조체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1641)과 고정 프레임(1641)에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이동 프레임(1642)을 포함한다. 이동 프레임(1642)을 제1 방향으로 이동 시키는 구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641)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프레임(1645)은 흡입구(1642a)와 연결된 제1 개구부와 배출구(1642d)와 연결된 제2 개구부를 포함한다. 내부 프레임(1645)의 제1 개구부에 위치하는 필터(1643)와 필터(1643)로 공기가 통과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강제하는 팬(1644)가 내부 프레임(1645)의 내부에 배치된다.
필터(1643)는 외부 공기의 불순물을 거르기 위해 복수개의 층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전면커버(155)는 이동 프레임(1642)에 결합하며 이동 프레임(1642)과 함께 전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면커버(155)와 이동 프레임(1642)을 이동부라하고, 고정 프레임(1641), 내부 프레임(1645), 필터(1643) 및 팬(1644)를 고정부라한다.
흡입구(1642a)와 배출구(1642d)는 이동 프레임(1642)의 둘레에 형성되어 이동 프레임(1642)과 전면커버(155)가 이동 시 전면커버(155)와 고정 프레임(1641)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입구(1642a)와 배출구(1642d)는 측면이나 상측 방향에 위치하므로 전면방향에서 잘 보이지 않으면서 공기가 이동할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메쉬나 러버는 흡입구(1642a)와 배출구(1642d)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큰 이물질이나 벌레등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 프레임(1642)은 흡입구(1642a)에서 필터(1643)에 이르는 제1 유로(1642b)와 필터(1643)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구(1642d)로 이동하기 위한 제2 유로(1642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C-C단면도로서, 측방향에 위치하는 흡입구(1642a)에서 유입된 공기가 필터(1643)를 향해 이동하고 다시 상측에 위치하는 배출구(1642d)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이동 프레임(1642)은 흡입구(1642a)와 배출구(1642d) 사이를 구분하는 분리판(1642f)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판(1642f)은 제1 유로(1642b)와 제2 유로(1642c)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흡입구(1642a)에서 유입된 공기가 바로 배출구(1642d)로 빠지지 않도록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64)의 리브(1647)의 유무에 따른 성능차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필터(1643)는 흡입구(1642a)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필터(1643)의 전체에 고르게 공기가 통과해야 필터(1643)의 수명이 길어진다. 필터(1643)의 특정 위치에 공기의 흐름이 집중되면 부분적으로 오염이 집중되어 실제 정화 가능한 공기량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가이드부는 필터(1643) 전체에 고르게 공기가 통과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유도한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입구(1642a)는 필터(1643)의 측방향에서 공기가 유입되므로 좌우 양측에 공기가 집중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부는 필터(1643)의 중앙부로 공기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도 12의 (b)와 같이 전면커버(155)의 내측면(이동 프레임(1642)의 전면커버(155)와 중첩된 부분 경우 이동 프레임(1642)의 내측면(1642e))에서 돌출된 리브(164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1647)는 중앙의 한 지점을 향하는 방사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흡입구(1642a)가 좌우 측방향에 위치하므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리브(1647)를 이용할 수도 있다. 리브(1647)와 같이 판형부재가 아니라 이동 프레임(1642)의 내측면 자체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가이드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다만, 이동 프레임(1642)과 전면커버(155)가 이동하여 닫힌 상태에서 가이드부가 필터(1643)와 맞닿지 않아야 하므로 가이드부의 높이는 필터(1643)에 의해 제한된다. 가이드부의 높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는 플렉서블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64)의 시트부(1646)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플렉서블한 시트부(1646)를 이용한 가이드부는 필터(1643)와 중첩되지 않으면서 리브(1647) 형태의 가이드부보다 더 많이 돌출된 가이드부를 제공할 수 있다. 시트부(1646)의 둘레는 이동부에 고정되고 중앙부는 필터(1643)의 중앙에 고정될 수 있다. 시트부(1646)는 도 13의 (a)와 같이 원형의 형태도 가능하고 이동 프레임(1642)의 형상에 상응하는 사각형 형상일 수도 있다. 도 13의 (a)와 같이 시트부(1646)의 필터(1643)에 고정된 지점은 중앙에 한 지점일 수도 있고, 복수개의 지점이 필터(1643)에 고정될 수도 있다. 흡입구(1642a)가 좌우에 위치하므로 복수개의 고정지점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시트부(1646)는 플렉서블한 천이나 필름재질로도 13의 (b)와 같이 전면커버(155)가 닫힌 상태에서는 경사면이 낮으나 도 13의 (c)와 같이 전면커버(155)가 열린 상태에서는 경사면이 더 높아질 수 있다. 이동 프레임(1642)과 필터(1643) 사이의 공간을 줄이더라도 충분한 높이의 경사면을 확보할 수 있어 필터(1643)의 중앙방향으로의 공기흐름을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164)는 스마트 월(100)의 육면체의 실장공간(130)에 장착되므로 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전면커버(155)는 4개의 모서리를 가지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전면커버(155)와 이동 프레임(1642)의 4개 모서리의 이동 거리가 균일해야 안정적으로 이동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동부(200)는 2개의 모터(211)를 포함하고 모터(21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긴 회전축(214)을 이용하여 2개의 모서리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회전축(214)을 이용하여 모터(211)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2개의 모서리가 동시에 움직이므로 모터(211)의 회전 수 오차에 따른 이동부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4는 도 10의 구동부(2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동부(200)는, 모터(211)와 모터(21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이동 프레임(164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는 모터(21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213)와 피니언 기어(213)가 회전시 직선 운동하는 랙기어(217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11)의 실장공간 확보를 위해 또는 회전수를 조절하기 위해 피니언 기어(213)와 모터(211) 사이에 복수개의 기어를 이용할 수 있다. 모터(211)의 회전축(214)과 다른 방향을 향하는 회전축(214)을 가지는 피니언 기어(213)를 구현할 수 있으며, 피니언 기어(213)의 회전수도 모터(211)와 달리 구성할 수 있다. 랙기어(217b)는 이동부에 결합하고 피니언 기어(213)와 모터(211)는 고정 프레임(1641)에 위치할 수 있으며 모터(211)가 회전시 랙기어(217b)의 이동거리만큼 이동부가 이동한다.
동력전달부는 랙기어(217b)가 피니언 기어(213)의 회전시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슬롯(218a)과 가이드 돌기(217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가이드 슬롯(218a)은 고정 프레임(1641)에 위치하고 가이드 돌기(217a)는 이동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대로 가이드 돌기(217a)가 고정부에 가이드 슬롯(218a)이 이동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회전축(214)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었으나,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214)을 이용하여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모서리의 이동을 동기화 시킬 수도 있다. 회전축(214)의 끝에 피니언 기어(213)와 랙기어(217b)가 위치하며 모터(211)의 회전을 전달하여 이동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4개의 모서리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모터(2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64)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회전축(214)을 생략하고 한 쌍의 모서리 사이에 위치하는 구동부(200)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5의 구동부(2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한 쌍의 모터(211)와 한 쌍의 피니언 기어(213)와 랙기어(217b)를 통해 이동부가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가이드 슬롯(218a)과 가이드 돌기(217a)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보다 회전축(214) 및 한 쌍의 피니언 기어(213)와 랙기어(217b)를 생략할 수 있어 부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모터(211)를 구비한 경우 각 모터(211) 사이에 회전속도의 오차가 발생하면 전면커버(155)가 비대칭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164)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정 프레임(1641)과 이동 프레임(1642)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거리센서(1648)를 포함하고, 거리센서(1648)가 감지한 거리가 상이하면 평행하게 이동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모터(211)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커버(155)와 고정 프레임(1641) 사이에 손가락이나 물체가 감지되면 거리센서(1648)는 이를 감지하고 모터(211)의 구동을 멈추어 공기청정기(164)의 구동부(200)가 고장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고려하며 구동할 수 있다. 전면커버(155)와 고정 프레임(1641) 사이에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1648)의 정밀도는 이동 프레임(1642)의 대칭 구동을 감지하기 위한 거리센서(1648)보다 낮은 수준이면 충분하다. 따라서, 거리센서(1648)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에 추가로 감도가 낮은 저렴한 센서(1648)를 더 배치하여 전면커버(155)와 고정 프레임(1641) 사이에 투입되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64)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구동부(2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하나의 모터(231)를 이용한 구동부(200)로서 링크(235)를 이용하여 이동부의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다. 링크(235)는 모터(231)와 직접 연결된 제1 링크(235)와 제1 링크(235)와 대칭으로 배치되어 이동부의 이동을 보조하는 제2 링크(2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235)의 일단은 상기 모터(23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1641)에 결합할 수 있다. 제1 링크(235)의 타측은 상기 이동 프레임(1642)에 결합하여 상기 모터(231)의 회전시 상기 이동 프레임(1642)을 전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링크(235)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부를 이용하여 일측의 회전운동을 타측의 직선운동으로 자연스럽게 전환할 수 있다. 타측의 이동 프레임(1642)에 결합된 부분은 고정 프레임(1641)에 위치하는 가이드 슬롯(218a)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 돌기(217a)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링크(236)는 제1 링크(236)와 대칭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제1 링크(235)의 타단에 형성된 제1 톱니(235b)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톱니(23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링크(236)는 제1 링크(235)의 타단의 직선 운동 및 회전 운동에 따라 이동하여 제1 링크(235)와 대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전면커버는 필요한 경우에만 열릴 수 있어 사용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눈에 띄지 않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필터 전체 면적을 활용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여 필터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전면커버가 안정적으로 열려 사용자가 다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공기청정기의 고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스마트 월은 벽체에 TV 및 오디오와 같은 멀티미디어 기기가 탑재되어 벽면에 같은 높이로 벽면에 설치되어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모듈화 되어 어떤 가전도 손쉽게 탑재 가능하고 수리가 필요한 경우 모듈만 쉽게 분리 가능하여 설치 및 유지 보수가 간단하고, 추가적으로 멀티미디어 기기 또는 가전을 추가하는 경우 유닛을 추가하여 손쉽게 확장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월(100)의 벽체형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미디어 기기와 가전 기기와 같이 집에서 이용하는 전자기기를 벽에 일체화시켜 외관에 노출되지 않도록 시스템화 한 스마트 월(100)에 관한 것이다. 벽에 디스플레이부, 인터폰, 스피커, 공기청정기, 가습기, 조명, 디지털 시계, 공유기, 셋톱박스 등의 다양한 전자기기가 실장되어 공간내에 전자기기가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한 공간 토탈 솔루션을 제공한다.
최근에 디스플레이 장치(161)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본 발명의 스마트 월(100)의 두께는 15~20cm수준으로 얇게 형성할 수 있어, 설치 시 실내 공간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히려 수납 가구와 가전제품(160)이 스마트 월(100)에 매립되어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선택적으로 벽의 일부가 인출되어 필요한 가전이 돌출될 수도 있고, 가전이 매립되지 않은 공간은 서랍과 같은 실장공간(114)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TV는 최근 박형화 가능하여 얇은 디스플레이부를 구현할 수 있는 바, 실질적으로 TV자체가 프레임의 커버역할을 하며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여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61)의 디스플레이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아트월(151)에 개구부(153)을 형성할 수 있으며, 개구부(153)을 개폐하는 커버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부는 휘어지기 때문에 사용하는 경우만 외측으로 노출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 감겨서 벽체 내부로 수납될 수 있어 외관 상 깔끔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젝터는 최근 단초점 프로젝터가 개발 되어 프로젝터를 벽에 탑재하고 서랍형식으로 이를 인출하여 스크린에 출력함으로써 대형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하지 않는 경우 스마트 월(100)의 외측에 디스플레이부가 보이지 않아 더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 월(100)의 분해도로서, 전면의 아트월(150)의 내부는 복수개의 형강(115)(shape steel)을 격자로 배치한 프레임의 구조체가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 구조체(110)는 강성의 부재로서 벽체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무너지지 않게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 구조체(110)의 전면에 패널을 부착하여 프레임 구조체(110)에 실장된 전자제품(160)을 숨기고 벽체로 보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패널로 커버된 전면벽을 아트월(150)이라 한다.
아트월(150)은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다르게 변경 가능하다. 설치 후에 손쉽게 변경하여 집안의 분위기를 바꿀 수도 있다.
격자형식으로 배치된 형강(115)은 실장공간(114)을 구획하고, 각 실장공간(114)에 전자제품(160)을 안착할 수 있다. 각 실장공간(114)의 크기는 동일한 사이즈 또는 배수의 사이즈를 가지도록 하여 실장되는 전자제품(160)을 모듈화하여 프레임 구조체(110) 내에 어느 위치에도 배치할 수 있다.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61) 이외에 실장공간(114)에 스피커(162)와 같은 음향장치(152)를 탑재할 수도 있으며 음향장치(152)는 채널수에 따라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음향장치를 커버하는 아트월(152)은 소리가 출력될 수 있도록 매쉬형태로 구성하거나 음향이 출력되는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개구부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방수를 위해 개구부는 방수매쉬 등을 이용하여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계절 가전인 제습기(163), 가습기(165), 에어컨, 난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계절 가전은 사용하지 않는 경우 계속 외측으로 노출되게 두는 경우 먼지가 쌓이고 외관상 보기 좋지 않아 커버를 씌우거나 창고 등에 넣어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본 발명과 같이 스마트 월(100) 내에 매립 설치하면 필요한 경우에 이용하고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아트월(150)로 커버할 수 있으며 별도의 실장공간(114)을 따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제습기(163)나 가습기(165)는 모인 물을 제거하거나 물을 채우기 위해 물을 수집/저장하는 공간을 서랍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물이 토출되거나 주변의 수분을 모으기 위해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부(154)가 필요하다. 공기청정기는 필터를 주기적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쉽게 개방 가능하도록 스마트 월(100)의 하단 부분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154)는 반드시 아트월(150)에 형성하지 않더라도 아트월(150)과 프레임 구조체(110) 사이의 틈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셋톱박스나 WIFI라우터 등이 장착되는 경우 홈 네트워크 시스템으을 구현할 수 있다. WIFI라우터를 통해 스마트 월(100)에 탑재된 기능유닛 뿐만 아니라 스마트 월(100) 외측에 위치하는 컴퓨터나 휴대 단말기와 같은 다른 전자기기와 연결하여 상호 연동하여 제어할 수 있다.
상부에는 LED나 작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배치하여 날씨, 시간 이벤트 정보와 같은 간단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고, 조명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스마트 월(100) 자체에 조명을 배치하여 인테리어적 효과를 추가할 수 있다.
라우터는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이나 신호를 이용하는 경우 라우터가 이를 정리하고 길을 안내해주는 중간장치이다. 또한, 스마트 월(100)에 탑재되는 기능 유닛을 반드시 유선으로 연결하지 않고 WIFI라우터를 통해 연결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라우터는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역할을 동시에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외부에서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된 라우터를 제어하여 스마트 월(100)에 탑재된 기능 유닛 뿐만 아니라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전 및 미디어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그 외에 모바일 기기와 연동하여 스마트 월(100)의 전자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스마트 월(100)에 모바일 기기를 장착하면 모바일기기에 있는 미디어 영상과 음악을 출력하던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영상통화가 걸려오면 스마트 월(1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대방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현관의 카메라나 방법 시스템과 연결된 월패드를 스마트 월(100)의 실장공간(114)에 구비할 수 있다. 기존의 내력벽에 매립되었던 월패드는 고장 시 수리 및 교체가 어렵고 위치의 변경 등의 어려움이 있었으나, 유닛형태로 구성하여 스마트 월(100)에 구비하는 경우 유지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스마트 월(100)은 거실 뿐만 아니라 방에 설치할 수도 있다. 방 사이의 벽을 스마트 월(100)로 구성하여 이웃하는 방에서 스마트 월(100)을 양방향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에어컨이나 공기청정기 등을 양 방향으로 통하게 하면 2개의 공간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거실에서 사용하는 TV와 스피커(162) 대신에 방의 용도에 따라 모니터와 PC를 탑재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전자칠판 등 아이의 연령대에 따라 다른 기능유닛을 탑재하여 이용할 수 있다.
사무실에 설치 시 전자칠판, 공기청정기, 화상회의 시스템, PC등의 기능유닛을 탑재한 스마트 월(100)을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 월(100)에 탑재되는 전자제품(160)은 아트월(150)에 가려지므로 별도의 외관 케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스마트 월(100)을 공장에서 사용자의 설치 장소에 맞춰서 제조 후에 설치하는 방식을 이용하면 호텔/리조트나, 아파트 건설 시 대규모로 동일한 모듈을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어 불량률을 줄이고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다.
다만, 조립이 완료된 스마트 월(100)은 운반이 어렵고, 건물이 완공된 경우에는 건물 내부로 반입이 어렵다. 따라서, 기존의 건물에 이사, 인테리어 시에 스마트 월(10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건물 내에 프레임을 설치하고 단위 모듈을 삽입하여 스마트 월(100)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설치의 편의성과 규격화를 위해 프레임 구조체(110)는 복수개의 모듈 프레임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00)의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의 결합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각 부품을 실장하기 위해 실장공간(114)을 포함하는 책장 형태의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을 이용할 수 있다. 실장공간(114)을 구획하기 위해 복수개의 빔 형태의 부재를 격자로 배치하여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을 제조할 수 있다.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은 수평방향으로 실장공간(114)이 나란히 배치된 제1 프레임 모듈(111), 디스플레이 장치(161)와 같이 큰 제품(160)이 실장되기 위한 제2 프레임 모듈(112) 및 수직방향으로 실장공간(114)이 나란히 배치된 제3 프레임 모듈(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모듈(112)은 디스플레이 장치(161)의 인치에 상관없이 모두 실장될 수 있도록 큰 공간을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장공간(114)을 구획하는 빔을 구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61)를 고정하고 프레임 구조체(110)의 강성을 제고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모듈(111)은 제2 프레임 모듈(112)과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모듈(111)의 수평방향의 길이는 제2 프레임 모듈(112)의 수평방향 길이와 같게 형성하여 수직방향으로 적층시 격자가 어긋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모듈(111)은 제2 프레임 모듈(112)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프레임 모듈(111)과 제2 프레임 모듈(112)의 크기에 따라 또는 설치공간의 크기에 따라 제1 프레임 모듈(111)의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개수를 가감할 수 있다.
수직방향으로 실장공간(114)이 나란히 배치된 제3 프레임 모듈(113)은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제1 프레임 모듈(111)과 제2 프레임 모듈(112)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3 프레임 모듈(11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 모듈(111)과 제2 프레임 모듈(112)의 측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개의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을 체결구로 결합하여 직육면체의 프레임 구조체(11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수직방향으로 실장공간(114)이 배치된 제3 프레임 모듈(113)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각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강(115)을 이용할 수 있다. 형강(shape steel)은 구조용 부재로 각종 단면형상을 가진 봉형상의 부재를 총칭하여 말한다. 압연방식 또는 판재를 절곡하여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기둥형상의 형강을 구성할 수 있다. 형강은 원형이나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빔형 부재보다 빈 공간이 있어 가볍고 적은 재료로 일정 크기 이상의 강성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C형강(115)을 이용할 수 있다. C형강(115)은 금속판재를 너비방향의 양 단부를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양 단부를 1회만 수직절곡하면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2회 수직으로 절곡하면 C형상의 단면응ㄹ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에 전자제품(160)과 연결되는 전원이나 신호선이 배치되고 전원이나 데이터 케이블들이 체결되는 아울렛 모듈(140)이 배치될 수 있다.
아울렛 모듈(140)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인터넷 선이나 케이블 입력 등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단자 및 프레임에 삽입된 기능 유닛이 다른 기능유닛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커넥터는 프레임을 기준으로 양측에 단자가 있으며 상기 단자에 각 전자기기의 데어터 연결 선을 삽입하면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기 아울렛 모듈(140)은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형강(115)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홀(116)을 형성할 수 있다. 벤트홀(116)은 형강(115)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전자제품(16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출할 수 있다. 보다 능동적으로 열을 배출하기 위해 팬을 이용하여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전자제품(160)의 열을 실내로 배출하는 경우 겨울에는 난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여름에는 실내 온도를 높이는 원인이 되는 바 팬을 이용하여 내부에 열을 순환시키거나 에어컨의 실외기와 연결되는 배선에 추가하여 외부로 열을 배출하는 구조를 추가 할 수 있다.
각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은 외측 둘레에 사각형을 이루는 외측강과 그 사이에 실장공간(114)을 구획 하기 위한 내측강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강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강과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모듈(111)내지 제3 프레임 모듈(113)은 한 쌍의 수직강 사이에 수평강을 배치하여 조립할 수 있다. 천장과 바닥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20)와 수직강을 체결하기 위해서 수직강의 상하 단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배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수평강보다 수직강을 바깥쪽에 위치시켜 수직강의 단부로 고정부재(120)의 수직 브라켓(122, 123)을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다.
외측강 내부에 위치하는 내측강은 외측강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구획하여 실장공간(114)을 구성하며 내측강은 외측강에 용접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조립할 수도 있고, 일부 내측강은 볼트나 후크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제거할 수 있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제품(160) 형태의 프레임 모듈(111, 112, 113) 사이를 체결하는 방식을 이용하면 현장에서 조립하는 횟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제품(160)의 치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설치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동이 용이한 사이즈로 모듈화 할 수 있어 손쉽게 현장으로 이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의 조합에 따른 다양한 프레임 구조체(110)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a)는 도 3의 한 쌍의 제1 프레임 모듈(111a), 하나의 제2 프레임 모듈(112a) 및 한 쌍의 제3 프레임 모듈(113)을 조립한 상태의 프레임 구조체(110)를 도시하고 있다. 제1 프레임 모듈(111a)은 4개의 실장공간(114)을 가지므로 너비가 넓어져 좁은 실내공간에는 설치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b)와 같이, 3개의 실장공간(114)을 구비하는 수평방향의 길이가 짧은 형태의 제1 프레임 모듈(111b)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2 프레임 모듈(112b)은 제1 프레임 모듈(111b)의 수평방향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레임 모듈(111)과 제2 프레임 모듈(112)이 수직방향으로 적층한 양 옆에 제3 프레임 모듈(113)을 배치할 수 있다. 통상적인 주택의 층고는 220cm ~230cm 이므로 제3 프레임 모듈(113)의 높이는 220cm가 조금 안되게 구성할 수 있다. 도면상으로 5단의 세로형 프레임을 도시하고 있으나, 복층이나 층고가 높은 경우를 대비하여 6단의 세로형 프레임도 제조할 수 있다.
더 좁은 공간에 설치하는 경우 제3 프레임 모듈(113)을 생략하고 제1 프레임 모듈(111a)과 제2 프레임 모듈(112a)만 이용하여 프레임 구조체(110)를 구성할 수도 있고, 큰 디스플레이 장치(161)를 실장하지 않는 경우 제3 프레임만 일렬로 배치하여 프레임 구조체(110)를 구현할 수 있다. 각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은 볼트로 체결할 수도 있고, 용접방식으로 체결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00)의 프레임 구조체(110)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을 체결하여 구성한 프레임 구조체(110)는 실내 공간에 설치하기 위해 천장과 바닥에 고정할 수 있다.
천장 또는 바닥에 설치하는 고정 브라켓(125)은 L자 형상으로 꺾어진 부재로 일측(125b)은 천장 또는 바닥에 타측(125a)은 천장 또는 바닥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프레임 모듈(111)과 제2 프레임 모듈(112)의 수직강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제1 수직 브라켓(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직 브라켓(122)은 제1 프레임 모듈(111)뿐만 아니라 제2 프레임 모듈(112)까지 체결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 모듈(111)의 수직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제1 수직 브라켓(122)과 나란히 배치되며 제3 프레임 모듈(113)에 삽입되는 제2 수직 브라켓(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프레임 모듈(113)의 수직강은 하나의 부재이므로 제1 수직 브라켓(122)과 같이 길 필요는 없다.
제1 수직 브라켓(122)과 제2 수직 브라켓(123)의 단부에 결합된 결합 브라켓(121)은 수직 브라켓(122, 123)과 함께 T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결합 브라켓(121)은 수직 브라켓(122, 123)과 결합하며 제1 프레임 모듈(111)과 제3 프레임 모듈(113)의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121b)와 상기 안착부(121b)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 브라켓(125)과 체결되는 체결부(121a)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브라켓(121)과 고정 브라켓(125)의 체결은 스크류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으며 천장고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스크류가 체결되는 체결구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스마트 월(100)을 기존의 벽에 덧대어 설치하는 경우 기존의 벽체와 체결하는 고정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월(100)은 스피커(162)와 같이 음향기기가 위치하기 때문에 이를 가벽으로 이용하는 경우 벽을 기준으로 분리되는 공간이 발생한다. 이 때 두 공간의 소리를 차단하기 위해 스마트 월(100)과 맞닿는 천장, 바닥 및 측벽에 소리가 새지 않도록 방음 구조를 부가하여 스마트 월(100)을 고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00)의 바스켓(13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은 내측 형강(115)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실장공간(114)으로 구획할 수 있다. 실장공간(114)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130)을 삽입하여 전자제품(160)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모듈(112)은 디스플레이 장치(161)가 위치하므로 상대적으로 큰 실장공간(114)을 구비하나, 제1 프레임 모듈(111)과 제3 프레임 모듈(113)의 실장공간(114)은 규격화된 사이즈로 형성할 수 있다. 규격화된 사이즈의 실장공간(114)을 이용하면 바스켓(130)도 규격화 할 수 있어 불필요하게 다양한 형상의 부품을 제조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실장 공간의 크기를 모두 동일하게 형성하는 경우 규격화에 편리하나 실장되는 전자제품(160)에 따라 더 큰 공간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컨과 공기청정기의 크기는 상이하므로 이러한 차이를 고려하여 실장공간(114)의 크기를 기본크기의 정수배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 크기는 a, 세로 크기는 b를 가지는 제1 실장공간(1141)을 기준으로 가로크기가 a의 정수배를 가지는 제2 실장공간(1142) 또는 세로 크기가 b의 정수배를 가지는 제3 실장공간(11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장공간(1141)의 가로방향의 크기는 제3 프레임 모듈(113)의 가로방향 크기에 상응하고 세로방향의 크기는 제1 프레임 모듈(111)의 세로방향의 크기에 상응한다. 여기서 실장공간(114)은 형강(115)으로 구획된 내부공간을 의미하므로 제1 프레임 모듈(111)의 크기와 제3 프레임 모듈(113)의 크기와 비교는 형강(115)의 두께에 의한 차이는 무시한다.
제1 프레임 모듈(111)은 수직방향의 길이가 짧으므로 제1 실장공간(1141)과 제2 실장공간(1142)만 포함할 수 있고, 제3 프레임 모듈(113)은 수평방향의 길이가 짧으므로 제1 실장공간(1141)과 제3 실장공간(1143)만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64)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프레임 구조체(110)의 실장공간(114) 중 하나에 공기청정기(164)를 배치할 수 있으며, 외부 케이스를 실장공간(114)의 크기에 맞는 사이즈로 형성하여 바스켓(130)을 생략할 수도 있다.
공기청정기(164)는 공기를 흡입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다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개구부가 필요하다. 전면에 홀을 형성하여 개구부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스마트 월의 아트월에 개구부가 전면에 노출되면 디자인적 측면에서 저해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아트월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공기가 유출되면 사용자에게 직접 공기가 닿게 되어 불쾌감을 주거나 겨울에는 사용자의 체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청청기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트월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전면커버(155)를 개폐하여 공청기로 유입/유출되는 개구부(1642a, 1642d)를 측방향에 형성할 수 있다. 전면커버(155)는 아트월과 동일한 디자인을 가질 수 있으며, 공기청정기(164)는 전면커버(155)를 이동시키는 구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커버(155)가 이동하여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므로 공기청정기(164)는 스마트 월(1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청정기(164)의 하부는 바닥에 면하는 바, 공기청정기(164)의 측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상측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유로를 설계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b)의 A-A 및 B-B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64)의 일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다. 도 9의 (a)는 A-A단면도로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를 도시하고 있고 도 9의 (b)는 B-B 단면도로 공기가 배출되는 경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164)는 스마트 월의 프레임 구조체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1641)과 고정 프레임(1641)에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이동 프레임(1642)을 포함한다. 이동 프레임(1642)을 제1 방향으로 이동 시키는 구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641)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프레임(1645)은 흡입구(1642a)와 연결된 제1 개구부와 배출구(1642d)와 연결된 제2 개구부를 포함한다. 내부 프레임(1645)의 제1 개구부에 위치하는 필터(1643)와 필터(1643)로 공기가 통과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강제하는 팬(1644)가 내부 프레임(1645)의 내부에 배치된다.
필터(1643)는 외부 공기의 불순물을 거르기 위해 복수개의 층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전면커버(155)는 이동 프레임(1642)에 결합하며 이동 프레임(1642)과 함께 전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면커버(155)와 이동 프레임(1642)을 이동부라하고, 고정 프레임(1641), 내부 프레임(1645), 필터(1643) 및 팬(1644)를 고정부라한다.
흡입구(1642a)와 배출구(1642d)는 이동 프레임(1642)의 둘레에 형성되어 이동 프레임(1642)과 전면커버(155)가 이동 시 전면커버(155)와 고정 프레임(1641)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입구(1642a)와 배출구(1642d)는 측면이나 상측 방향에 위치하므로 전면방향에서 잘 보이지 않으면서 공기가 이동할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메쉬나 러버는 흡입구(1642a)와 배출구(1642d)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큰 이물질이나 벌레등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 프레임(1642)은 흡입구(1642a)에서 필터(1643)에 이르는 제1 유로(1642b)와 필터(1643)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구(1642d)로 이동하기 위한 제2 유로(1642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C-C단면도로서, 측방향에 위치하는 흡입구(1642a)에서 유입된 공기가 필터(1643)를 향해 이동하고 다시 상측에 위치하는 배출구(1642d)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이동 프레임(1642)은 흡입구(1642a)와 배출구(1642d) 사이를 구분하는 분리판(1642f)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판(1642f)은 제1 유로(1642b)와 제2 유로(1642c)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흡입구(1642a)에서 유입된 공기가 바로 배출구(1642d)로 빠지지 않도록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64)의 리브(1647)의 유무에 따른 성능차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필터(1643)는 흡입구(1642a)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필터(1643)의 전체에 고르게 공기가 통과해야 필터(1643)의 수명이 길어진다. 필터(1643)의 특정 위치에 공기의 흐름이 집중되면 부분적으로 오염이 집중되어 실제 정화 가능한 공기량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가이드부는 필터(1643) 전체에 고르게 공기가 통과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유도한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입구(1642a)는 필터(1643)의 측방향에서 공기가 유입되므로 좌우 양측에 공기가 집중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부는 필터(1643)의 중앙부로 공기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도 12의 (b)와 같이 전면커버(155)의 내측면(이동 프레임(1642)의 전면커버(155)와 중첩된 부분 경우 이동 프레임(1642)의 내측면(1642e))에서 돌출된 리브(164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1647)는 중앙의 한 지점을 향하는 방사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흡입구(1642a)가 좌우 측방향에 위치하므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리브(1647)를 이용할 수도 있다. 리브(1647)와 같이 판형부재가 아니라 이동 프레임(1642)의 내측면 자체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가이드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다만, 이동 프레임(1642)과 전면커버(155)가 이동하여 닫힌 상태에서 가이드부가 필터(1643)와 맞닿지 않아야 하므로 가이드부의 높이는 필터(1643)에 의해 제한된다. 가이드부의 높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는 플렉서블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64)의 시트부(1646)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플렉서블한 시트부(1646)를 이용한 가이드부는 필터(1643)와 중첩되지 않으면서 리브(1647) 형태의 가이드부보다 더 많이 돌출된 가이드부를 제공할 수 있다. 시트부(1646)의 둘레는 이동부에 고정되고 중앙부는 필터(1643)의 중앙에 고정될 수 있다. 시트부(1646)는 도 13의 (a)와 같이 원형의 형태도 가능하고 이동 프레임(1642)의 형상에 상응하는 사각형 형상일 수도 있다. 도 13의 (a)와 같이 시트부(1646)의 필터(1643)에 고정된 지점은 중앙에 한 지점일 수도 있고, 복수개의 지점이 필터(1643)에 고정될 수도 있다. 흡입구(1642a)가 좌우에 위치하므로 복수개의 고정지점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시트부(1646)는 플렉서블한 천이나 필름재질로도 13의 (b)와 같이 전면커버(155)가 닫힌 상태에서는 경사면이 낮으나 도 13의 (c)와 같이 전면커버(155)가 열린 상태에서는 경사면이 더 높아질 수 있다. 이동 프레임(1642)과 필터(1643) 사이의 공간을 줄이더라도 충분한 높이의 경사면을 확보할 수 있어 필터(1643)의 중앙방향으로의 공기흐름을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164)는 스마트 월(100)의 육면체의 실장공간(130)에 장착되므로 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전면커버(155)는 4개의 모서리를 가지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전면커버(155)와 이동 프레임(1642)의 4개 모서리의 이동 거리가 균일해야 안정적으로 이동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동부(200)는 2개의 모터(211)를 포함하고 모터(21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긴 회전축(214)을 이용하여 2개의 모서리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회전축(214)을 이용하여 모터(211)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2개의 모서리가 동시에 움직이므로 모터(211)의 회전 수 오차에 따른 이동부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4는 도 10의 구동부(2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동부(200)는, 모터(211)와 모터(21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이동 프레임(164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는 모터(21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213)와 피니언 기어(213)가 회전시 직선 운동하는 랙기어(217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11)의 실장공간 확보를 위해 또는 회전수를 조절하기 위해 피니언 기어(213)와 모터(211) 사이에 복수개의 기어를 이용할 수 있다. 모터(211)의 회전축(214)과 다른 방향을 향하는 회전축(214)을 가지는 피니언 기어(213)를 구현할 수 있으며, 피니언 기어(213)의 회전수도 모터(211)와 달리 구성할 수 있다. 랙기어(217b)는 이동부에 결합하고 피니언 기어(213)와 모터(211)는 고정 프레임(1641)에 위치할 수 있으며 모터(211)가 회전시 랙기어(217b)의 이동거리만큼 이동부가 이동한다.
동력전달부는 랙기어(217b)가 피니언 기어(213)의 회전시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슬롯(218a)과 가이드 돌기(217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가이드 슬롯(218a)은 고정 프레임(1641)에 위치하고 가이드 돌기(217a)는 이동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대로 가이드 돌기(217a)가 고정부에 가이드 슬롯(218a)이 이동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회전축(214)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었으나,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214)을 이용하여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모서리의 이동을 동기화 시킬 수도 있다. 회전축(214)의 끝에 피니언 기어(213)와 랙기어(217b)가 위치하며 모터(211)의 회전을 전달하여 이동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4개의 모서리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모터(2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64)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회전축(214)을 생략하고 한 쌍의 모서리 사이에 위치하는 구동부(200)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5의 구동부(2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한 쌍의 모터(211)와 한 쌍의 피니언 기어(213)와 랙기어(217b)를 통해 이동부가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가이드 슬롯(218a)과 가이드 돌기(217a)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보다 회전축(214) 및 한 쌍의 피니언 기어(213)와 랙기어(217b)를 생략할 수 있어 부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모터(211)를 구비한 경우 각 모터(211) 사이에 회전속도의 오차가 발생하면 전면커버(155)가 비대칭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164)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정 프레임(1641)과 이동 프레임(1642)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거리센서(1648)를 포함하고, 거리센서(1648)가 감지한 거리가 상이하면 평행하게 이동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모터(211)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커버(155)와 고정 프레임(1641) 사이에 손가락이나 물체가 감지되면 거리센서(1648)는 이를 감지하고 모터(211)의 구동을 멈추어 공기청정기(164)의 구동부(200)가 고장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고려하며 구동할 수 있다. 전면커버(155)와 고정 프레임(1641) 사이에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1648)의 정밀도는 이동 프레임(1642)의 대칭 구동을 감지하기 위한 거리센서(1648)보다 낮은 수준이면 충분하다. 따라서, 거리센서(1648)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에 추가로 감도가 낮은 저렴한 센서(1648)를 더 배치하여 전면커버(155)와 고정 프레임(1641) 사이에 투입되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64)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구동부(2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하나의 모터(231)를 이용한 구동부(200)로서 링크(235)를 이용하여 이동부의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다. 링크(235)는 모터(231)와 직접 연결된 제1 링크(235)와 제1 링크(235)와 대칭으로 배치되어 이동부의 이동을 보조하는 제2 링크(2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235)의 일단은 상기 모터(23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1641)에 결합할 수 있다. 제1 링크(235)의 타측은 상기 이동 프레임(1642)에 결합하여 상기 모터(231)의 회전시 상기 이동 프레임(1642)을 전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링크(235)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부를 이용하여 일측의 회전운동을 타측의 직선운동으로 자연스럽게 전환할 수 있다. 타측의 이동 프레임(1642)에 결합된 부분은 고정 프레임(1641)에 위치하는 가이드 슬롯(218a)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 돌기(217a)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링크(236)는 제1 링크(236)와 대칭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제1 링크(235)의 타단에 형성된 제1 톱니(235b)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톱니(23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링크(236)는 제1 링크(235)의 타단의 직선 운동 및 회전 운동에 따라 이동하여 제1 링크(235)와 대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전면커버는 필요한 경우에만 열릴 수 있어 사용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눈에 띄지 않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필터 전체 면적을 활용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여 필터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전면커버가 안정적으로 열려 사용자가 다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공기청정기의 고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스마트 월은 벽체에 TV 및 오디오와 같은 멀티미디어 기기가 탑재되어 벽면에 같은 높이로 벽면에 설치되어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모듈화 되어 어떤 가전도 손쉽게 탑재 가능하고 수리가 필요한 경우 모듈만 쉽게 분리 가능하여 설치 및 유지 보수가 간단하고, 추가적으로 멀티미디어 기기 또는 가전을 추가하는 경우 유닛을 추가하여 손쉽게 확장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7)

  1.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의 내측면에 결합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을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해 전면 방향으로 이동시켜 닫힌상태에서 열린상태로 전환시키는 구동부;
    상기 이동 프레임에 위치하는 가이드 돌기;
    상기 고정 프레임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된 가이드 슬롯;
    상기 이동 프레임이 열린상태로 전환시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전면커버 사이로 노출되는 흡입구 및 배출구;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는 필터; 및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흡입구로 공기를 유입하고 상기 배출구로 공기를 송풍하는 팬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필터와 상기 팬을 수용하는 내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프레임은,
    상기 흡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필터가 설치된 제1 개구부;
    상기 배출구와 연결된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를 구획하고 상기 내부 프레임과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분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측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흡입구에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필터의 중앙부로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전면커버 또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내측에 중심을 향해 연장된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전면커버 또는 이동 프레임의 내측에 둘레가 결합되고 상기 필터에 중잉부가 고정된 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프레임이 상기 열린상태로 전환시 상기 시트부는 둘레부터 상기 필터에 고정된 위치까지 형성된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된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이동 프레임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니언 기어;
    상기 이동 프레임에 결합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려 직선운동하는 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개가 위치하고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동력전달부에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측이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이동 프레임에 결합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시 상기 이동 프레임을 전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는,
    중간에 각도가 가변가능한 관절부; 및
    타단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가이드 돌기를 중심으로 형성된 제1 톱니를 포함하고,
    타단에 상기 제1 링크의 제1 톱니와 맞물리는 제2 톱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와 대칭으로 배치된 제2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복수개의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거리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거리센서가 감지하는 거리가 상이한 경우 상기 거리센서가 감지하는 거리가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복수개 모터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속도를 제어하여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린상태에서 상기 전면커버와 상기 고정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서 물체를 감지하면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6.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장공간(mounting cell)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프레임 모듈;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모듈 사이를 체결하여 프레임 구조체를 형성하는 체결구; 및 상기 실장공간 중 하나에 삽입된 공기청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청정기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의 내측면에 결합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을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해 전면 방향으로 이동시켜 닫힌상태에서 열린상태로 전환시키는 구동부;
    상기 이동 프레임에 위치하는 가이드 돌기;
    상기 고정 프레임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된 가이드 슬롯;
    상기 이동 프레임이 열린상태로 전환시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전면커버 사이로 노출되는 흡입구 및 배출구;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는 필터;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흡입구로 공기를 유입하고 상기 배출구로 공기를 송풍하는 팬을 포함하는 스마트 월.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가 삽입된 실장공간은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월.
KR1020190073387A 2019-06-20 2019-06-20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KR102640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387A KR102640662B1 (ko) 2019-06-20 2019-06-20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387A KR102640662B1 (ko) 2019-06-20 2019-06-20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919A Division KR20200145626A (ko) 2019-09-05 2019-09-05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KR1020190109920A Division KR20200145627A (ko) 2019-09-05 2019-09-05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KR1020190109921A Division KR20200145628A (ko) 2019-09-05 2019-09-05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024A KR20200145024A (ko) 2020-12-30
KR102640662B1 true KR102640662B1 (ko) 2024-02-26

Family

ID=74088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387A KR102640662B1 (ko) 2019-06-20 2019-06-20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6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1143A (ja) * 2007-03-27 2008-10-09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8603A (ko) * 2006-11-29 2008-06-03 김두환 자동감지센서가 구비된 안전문
KR101563483B1 (ko) * 2008-08-28 2015-11-09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20033590A (ko) * 2010-09-30 2012-04-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필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
KR20180042484A (ko) * 2016-10-17 2018-04-26 박용수 스마트 아트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1143A (ja) * 2007-03-27 2008-10-09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024A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0346B1 (ko) 스마트 월
KR102309308B1 (ko) 스마트 월
US10932385B1 (en) Media wall
KR102640662B1 (ko)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KR20210051511A (ko) 스마트 월
KR20210051510A (ko) 스마트 월
KR20210051509A (ko) 스마트 월
KR20210030748A (ko)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KR102662310B1 (ko)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KR102662311B1 (ko)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KR102637414B1 (ko)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KR20200145627A (ko)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KR20200145628A (ko)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KR20200145626A (ko)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KR102677289B1 (ko) 스마트 월
KR20210100489A (ko) 스마트 월
US20220341160A1 (en) Smart wall
US20220290805A1 (en) Smart wall
KR20210020241A (ko) 스마트 월
KR20210020239A (ko) 스마트 월
KR20210021755A (ko) 스마트 월
KR20210020240A (ko) 스마트 월
KR20210033833A (ko) 스마트 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