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833A - 스마트 월 - Google Patents

스마트 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833A
KR20210033833A KR1020190115623A KR20190115623A KR20210033833A KR 20210033833 A KR20210033833 A KR 20210033833A KR 1020190115623 A KR1020190115623 A KR 1020190115623A KR 20190115623 A KR20190115623 A KR 20190115623A KR 20210033833 A KR20210033833 A KR 20210033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mart wall
area
pattern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기
김윤주
류정한
심재묘
이범상
주정현
최주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5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3833A/ko
Priority to PCT/KR2019/012564 priority patent/WO2021054504A1/ko
Publication of KR20210033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8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3Details of furniture, e.g. tables or shelves, associated with the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실장공간(mounting cell)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체; 상기 실장공간의 전면을 커버하는 제1 영역을 포함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스크린이 감기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스크린의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를 감지하는 스크린 감지부; 및 상기 스크린 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월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태양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스크린을 이용하여 보다 더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월 {MEDEA WALL}
본 발명은 TV, 스피커 등의 멀티미디어 기기 및 가전 제품이 탑재된 벽체에 관한 것으로 유닛화 된 스마트 월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을 넘어 가정 안의 모든 미디어 기기와 가전제품들이 인터넷과 연결되는 인프라가 구축되면서, 스마트 홈이 새로운 스마트 생태계의 키워드로 뜨고 있다. 특히 개인 미디어 기기였던 스마트폰을 통해 이미 축적된 이용자들의 경험과 가치가 다른 디바이스로 확장되기 시작하였다.
이처럼 미디어 기기와 가전제품 들이 상호 연동하며 작동하기 위해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의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면서 가정 내에 전자기기의 개수가 많아지고 이를 일일이 연결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TV가 놓여지는 거실 벽은 집의 얼굴로서 깔끔한 외관을 위해 가구와 전자기기를 최소화 하는 것이 최근의 트랜드이다. 또한 아이가 있는 집의 경우 TV장이나 스피커 등이 거실에 위치하는 경우 아이가 밀어 넘어지거나 부딪쳐 다치는 문제가 발생하는 바, 가능한 거실에서 외측으로 노출되는 가구와 전자기기의 개수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TV, 스피커 등의 멀티미디어 기기 및 가전 제품이 탑재된 벽체에 관한 것으로 유닛화 된 스마트 월의 전면에 위치하는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실장공간(mounting cell)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체; 상기 실장공간의 전면을 커버하는 제1 영역을 포함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스크린이 감기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스크린의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를 감지하는 스크린 감지부; 및 상기 스크린 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월을 제공한다.
상기 스크린 감지부는, 상기 스크린에 도포된 전도성 패턴; 상기 패턴과 다른 위치에서 접촉하는 한 쌍의 단자; 및 상기 한 쌍의 단자 사이의 저항을 측정하여 저항이 클수록 상기 제1 영역의 크기가 크고, 저항이 작을수록 상기 제1 영역의 크기가 작은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롤러는 상기 스크린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전도성 패턴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1 수직패턴; 상기 제1 수직패턴과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2 수직패턴; 및 상기 제1 수직패턴의 하단과 상기 제2 수직패턴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단자는, 상기 제1 수직패턴과 접촉하는 제1 단자 및 상기 제2 수직패턴과 접촉하는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가 상기 제1 수직패턴 및 상기 제2 수직패턴과 접촉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단자는 탄성을 가지는 전도성 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상기 스마트 월의 전면 방향을 향하는 제1 면; 및 상기 전도성 패턴이 형성된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상기 스크린의 인접한 위치에 구비된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가 구동시 상기 스크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스크린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모터가 멈추면 상기 전자석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전도성 패턴에 인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감지부는, 상기 실장공간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스크린의 상기 제1 영역의 하단의 위치를 감지하는 거리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리감지 센서는 초음파를 사출하는 송신부; 상기 송신부에서 사출되어 상기 제1 영역의 하단에서 반사된 초음파를 감지하는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와 수신부를 개폐하는 센서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가 구동시에만 상기 센서커버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의 제1 영역의 하단에 위치하는 하중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하중빔에 상기 초음파를 사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의 정지위치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줄이고, 상기 스크린의 정지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의 구동을 멈출 수 있다.
상기 실장공간에 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 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스크린의 제1 영역 크기에 상응하여 상기 스크린이 커버하지 않은 영역에만 영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월은 벽체에 TV 및 오디오와 같은 멀티미디어 기기가 탑재되어 벽면에 같은 높이로 벽면에 설치되고 전자제품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 스크린으로 커버하여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태양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스크린을 이용하여 보다 더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의 위치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어, 제어부는 스크린 위치와 동기화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월의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의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프레임 모듈의 조합에 따른 다양한 프레임 구조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의 프레임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의 프레임 구조체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의 바스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의 디스플레이부가 전면에 노출되는 크기에 따른 화면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스마트 월의 스크린 감지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스크린 감지부의 제1 영역의 크기 변화에 따른 스크린 감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스크린 감지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스마트 월의 스크린 감지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스크린 감지부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월(100)의 벽체형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미디어 기기와 가전 기기와 같이 집에서 이용하는 전자기기를 벽에 일체화시켜 외관에 노출되지 않도록 시스템화 한 스마트 월(100)에 관한 것이다. 벽에 디스플레이부, 인터폰, 스피커, 공기청정기, 가습기, 조명, 디지털 시계, 공유기, 셋톱박스 등의 다양한 전자기기가 실장되어 공간내에 전자기기가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한 공간 토탈 솔루션을 제공한다.
최근에 디스플레이 장치(161)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본 발명의 스마트 월(100)의 두께는 15~20cm수준으로 얇게 형성할 수 있어, 설치 시 실내 공간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히려 수납 가구와 가전제품(160)이 스마트 월(100)에 매립되어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선택적으로 벽의 일부가 인출되어 필요한 가전이 돌출될 수도 있고, 가전이 매립되지 않은 공간은 서랍과 같은 실장공간(114)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TV는 최근 박형화 가능하여 얇은 디스플레이부를 구현할 수 있는 바, 실질적으로 TV자체가 프레임의 커버역할을 하며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여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61)의 디스플레이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아트월(151)에 개구부(153)을 형성할 수 있으며, 개구부(153)을 개폐하는 커버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부는 휘어지기 때문에 사용하는 경우만 외측으로 노출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 감겨서 벽체 내부로 수납될 수 있어 외관 상 깔끔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젝터는 최근 단초점 프로젝터가 개발 되어 프로젝터를 벽에 탑재하고 서랍형식으로 이를 인출하여 스크린에 출력함으로써 대형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하지 않는 경우 스마트 월(100)의 외측에 디스플레이부가 보이지 않아 더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 월(100)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 월(100)의 블록도로서, 전면의 아트월(150)의 내부는 복수개의 형강(115)(shape steel)을 격자로 배치한 프레임의 구조체가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 구조체(110)는 강성의 부재로서 벽체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무너지지 않게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 구조체(110)의 전면에 패널을 부착하여 프레임 구조체(110)에 실장된 전자제품(160)을 숨기고 벽체로 보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패널로 커버된 전면벽을 아트월(150)이라 한다.
아트월(150)은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다르게 변경 가능하다. 설치 후에 손쉽게 변경하여 집안의 분위기를 바꿀 수도 있다.
격자형식으로 배치된 형강(115)은 실장공간(114)을 구획하고, 각 실장공간(114)에 전자제품(160)을 안착할 수 있다. 각 실장공간(114)의 크기는 동일한 사이즈 또는 배수의 사이즈를 가지도록 하여 실장되는 전자제품(160)을 모듈화하여 프레임 구조체(110) 내에 어느 위치에도 배치할 수 있다.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61) 이외에 스피커와 같은 음향장치(162)를 실장공간(114)에 탑재할 수도 있으며 음향장치(162)는 채널수에 따라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음향장치(162)를 커버하는 아트월(152)은 소리가 출력될 수 있도록 매쉬형태로 구성하거나 음향이 출력되는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아트월(152)에 노출되는 개구부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방수매쉬 등을 이용하여 상기 개구부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계절 가전인 제습기(163), 가습기(165), 공기청정기(164) 및 에어컨, 난로와 같은 냉난방기(167)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계절 가전은 사용하지 않는 경우 계속 외측으로 노출되게 두는 경우 먼지가 쌓이고 외관상 보기 좋지 않아 커버를 씌우거나 창고 등에 넣어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본 발명과 같이 스마트 월(100) 내에 매립 설치하면 이용하지 않는 시기에도 그대로 두더라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아트월(150)이 커버할 수 있다.즉, 계절 가전을 위해 별도의 수납공간을 따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제습기(163)나 가습기(165)는 모인 물을 제거하거나 물을 채우기 위해 물을 수집/저장하는 공간을 서랍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물이 토출되거나 주변의 수분을 모으기 위해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부(154)가 필요하다.
이러한 개구부(154)는 반드시 아트월(150)에 형성하지 않더라도 아트월(150)과 프레임 구조체(110) 사이의 틈을 이용할 수 있으며
공기청정기(164)는 필터를 주기적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각 전자제품은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으나 스마트 월에 탑재된 전자제품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자체적으로 메모리(185)를 구비하여 수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습기, 가습기 및 공기청정기(164) 등은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스마트 월(100)의 하단 부분에 설치할 수 있다.또한 셋톱박스나 WIFI라우터(175) 등이 장착되는 경우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WIFI라우터(175)를 통해 스마트 월(100)에 탑재된 기능유닛 뿐만 아니라 스마트 월(100) 외측에 위치하는 컴퓨터나 휴대 단말기와 같은 다른 전자기기와 연결하여 상호 연동할 수 있으며 스마트 월(100)에 실장된 각 전자제품(160)를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월(100)의 상부에는 LED나 작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배치하여 날씨, 시간 이벤트 정보와 같은 간단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고, 조명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스마트 월(100) 자체에 조명을 배치하여 인테리어적 효과를 추가할 수 있다.
라우터(175)는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이나 신호를 이용하는 경우 라우터가 이를 정리하고 길을 안내해주는 중간장치이다. 또한, 스마트 월(100)에 탑재되는 기능 유닛을 반드시 유선으로 연결하지 않고 WIFI라우터(175)를 통해 연결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라우터(175)는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역할을 동시에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외부에서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된 라우터(175)를 통해 스마트 월(100)에 탑재된 전자제품(160)뿐만 아니라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가전 및 미디어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모바일 기기와 연동하여 스마트 월(100)의 전자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스마트 월(100)에 모바일 기기를 장착하면 모바일기기에 있는 미디어 영상과 음악을 출력하던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영상통화가 걸려오면 블루투스나 와이파이를 통해 모바일 기기의 정보를 전송받아 스마트 월(100)의 디스플레이 장치(161)에 상대방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현관의 카메라나 방법 시스템과 연결된 월패드를 스마트 월(100)의 실장공간(114)에 구비할 수 있다. 기존의 내력벽에 매립되었던 월패드는 고장 시 수리 및 교체가 어렵고 위치의 변경 등의 어려움이 있었으나, 유닛형태로 구성하여 스마트 월(100)에 구비하는 경우 유지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스마트 월(100)은 거실 뿐만 아니라 방에 설치할 수도 있다. 방 사이의 벽을 스마트 월(100)로 구성하여 이웃하는 방에서 스마트 월(100)을 양방향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에어컨이나 공기청정기 등을 양 방향으로 통하게 하면 2개의 공간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거실에서 사용하는 TV와 스피커(162) 대신에 방의 용도에 따라 모니터와 PC를 탑재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전자칠판 등 아이의 연령대에 따라 다른 기능유닛을 탑재하여 이용할 수 있다.
사무실에 설치 시 전자칠판, 공기청정기, 화상회의 시스템, PC등의 기능유닛을 탑재한 스마트 월(100)을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 월(100)에 탑재되는 전자제품(160)은 아트월(150)에 가려지므로 별도의 외관 케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스마트 월(100)을 공장에서 사용자의 설치 장소에 맞춰서 제조 후에 설치하는 방식을 이용하면 호텔/리조트나, 아파트 건설 시 대규모로 동일한 모듈을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어 불량률을 줄이고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다.
다만, 조립이 완료된 스마트 월(100)은 운반이 어렵고, 건물이 완공된 경우에는 건물 내부로 반입이 어렵다. 따라서, 기존의 건물에 이사, 인테리어 시에 스마트 월(10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건물 내에 프레임을 설치하고 단위 모듈을 삽입하여 스마트 월(100)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설치의 편의성과 규격화를 위해 프레임 구조체(110)는 복수개의 모듈 프레임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00)의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의 결합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각 부품을 실장하기 위해 실장공간(114)을 포함하는 책장 형태의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을 이용할 수 있다. 실장공간(114)을 구획하기 위해 복수개의 빔 형태의 형강(115)을 격자로 배치하여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을 제조할 수 있다.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은 수평방향으로 실장공간(114)이 나란히 배치된 제1 프레임 모듈(111), 디스플레이 장치(161)와 같이 큰 제품(160)이 실장되기 위한 제2 프레임 모듈(112) 및 수직방향으로 실장공간(114)이 나란히 배치된 제3 프레임 모듈(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모듈(112)은 디스플레이 장치(161)의 인치에 상관없이 모두 실장될 수 있도록 큰 공간을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장공간(114)을 구획하는 빔을 구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61)를 고정하고 프레임 구조체(110)의 강성을 제고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모듈(111)은 제2 프레임 모듈(112)과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모듈(111)의 수평방향의 길이는 제2 프레임 모듈(112)의 수평방향 길이와 같게 형성하여 수직방향으로 적층시 격자가 어긋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모듈(111)은 제2 프레임 모듈(112)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프레임 모듈(111)과 제2 프레임 모듈(112)의 크기에 따라 또는 설치공간의 크기에 따라 제1 프레임 모듈(111)의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개수를 가감할 수 있다.
수직방향으로 실장공간(114)이 나란히 배치된 제3 프레임 모듈(113)은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제1 프레임 모듈(111)과 제2 프레임 모듈(112)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3 프레임 모듈(11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 모듈(111)과 제2 프레임 모듈(112)의 측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개의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을 체결구로 결합하여 직육면체의 프레임 구조체(11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수직방향으로 실장공간(114)이 배치된 제3 프레임 모듈(113)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각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강(115)을 이용할 수 있다. 형강(shape steel)은 구조용 부재로 각종 단면형상을 가진 봉형상의 부재를 총칭하여 말한다. 압연방식 또는 판재를 절곡하여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기둥형상의 형강을 구성할 수 있다. 형강은 원형이나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빔형 부재보다 빈 공간이 있어 가볍고 적은 재료로 일정 크기 이상의 강성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C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C형강(115)을 이용할 수 있다. C형강(115)은 금속판재를 너비방향의 양 단부를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양 단부를 1회만 수직절곡하면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2회 수직으로 절곡하면 C형상의 단면응ㄹ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에 전자제품(160)과 연결되는 전원이나 신호선이 배치되고 전원이나 데이터 케이블들이 체결되는 아울렛 모듈(140)이 배치될 수 있다.
아울렛 모듈(140)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인터넷 선이나 케이블 입력 등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단자 및 프레임에 삽입된 기능 유닛이 다른 기능유닛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커넥터는 프레임을 기준으로 양측에 단자가 있으며 상기 단자에 각 전자기기의 데어터 연결 선을 삽입하면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기 아울렛 모듈(140)은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형강(115)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홀(116)을 형성할 수 있다. 벤트홀(116)은 형강(115)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전자제품(16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출할 수 있다. 보다 능동적으로 열을 배출하기 위해 팬을 이용하여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전자제품(160)의 열을 실내로 배출하는 경우 겨울에는 난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여름에는 실내 온도를 높이는 원인이 되는 바 팬을 이용하여 내부에 열을 순환시키거나 에어컨의 실외기와 연결되는 배선에 추가하여 외부로 열을 배출하는 구조를 추가 할 수 있다.
각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은 외측 둘레에 사각형을 이루는 외측강과 그 사이에 실장공간(114)을 구획 하기 위한 내측강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강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강과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모듈(111)내지 제3 프레임 모듈(113)은 한 쌍의 수직강 사이에 수평강을 배치하여 조립할 수 있다. 천장과 바닥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20)와 수직강을 체결하기 위해서 수직강의 상하 단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배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수평강보다 수직강을 바깥쪽에 위치시켜 수직강의 단부로 고정부재(120)의 수직 브라켓(122, 123)을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다.
외측강 내부에 위치하는 내측강은 외측강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구획하여 실장공간(114)을 구성하며 내측강은 외측강에 용접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조립할 수도 있고, 일부 내측강은 볼트나 후크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제거할 수 있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제품(160) 형태의 프레임 모듈(111, 112, 113) 사이를 체결하는 방식을 이용하면 현장에서 조립하는 횟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제품(160)의 치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설치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동이 용이한 사이즈로 모듈화 할 수 있어 손쉽게 현장으로 이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의 조합에 따른 다양한 프레임 구조체(110)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a)는 도 4의 한 쌍의 제1 프레임 모듈(111a), 하나의 제2 프레임 모듈(112a) 및 한 쌍의 제3 프레임 모듈(113)을 조립한 상태의 프레임 구조체(110)를 도시하고 있다. 제1 프레임 모듈(111a)은 4개의 실장공간(114)을 가지므로 너비가 넓어져 좁은 실내공간에는 설치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b)와 같이, 3개의 실장공간(114)을 구비하는 수평방향의 길이가 짧은 형태의 제1 프레임 모듈(111b)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2 프레임 모듈(112b)은 제1 프레임 모듈(111b)의 수평방향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레임 모듈(111)과 제2 프레임 모듈(112)이 수직방향으로 적층한 양 옆에 제3 프레임 모듈(113)을 배치할 수 있다. 통상적인 주택의 층고는 220cm ~230cm 이므로 제3 프레임 모듈(113)의 높이는 220cm가 조금 안되게 구성할 수 있다. 도면상으로 5단의 세로형 프레임을 도시하고 있으나, 복층이나 층고가 높은 경우를 대비하여 6단의 세로형 프레임도 제조할 수 있다.
더 좁은 공간에 설치하는 경우 제3 프레임 모듈(113)을 생략하고 제1 프레임 모듈(111a)과 제2 프레임 모듈(112a)만 이용하여 프레임 구조체(110)를 구성할 수도 있고, 큰 디스플레이 장치(161)를 실장하지 않는 경우 제3 프레임만 일렬로 배치하여 프레임 구조체(110)를 구현할 수 있다. 각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은 볼트로 체결할 수도 있고, 용접방식으로 체결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00)의 프레임 구조체(110)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을 체결하여 구성한 프레임 구조체(110)는 실내 공간에 설치하기 위해 천장과 바닥에 고정할 수 있다.
천장 또는 바닥에 설치하는 고정 브라켓(125)은 L자 형상으로 꺾어진 부재로 일측(125b)은 천장 또는 바닥에 타측(125a)은 천장 또는 바닥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프레임 모듈(111)과 제2 프레임 모듈(112)의 수직강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제1 수직 브라켓(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직 브라켓(122)은 제1 프레임 모듈(111)뿐만 아니라 제2 프레임 모듈(112)까지 체결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 모듈(111)의 수직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제1 수직 브라켓(122)과 나란히 배치되며 제3 프레임 모듈(113)에 삽입되는 제2 수직 브라켓(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프레임 모듈(113)의 수직강은 하나의 부재이므로 제1 수직 브라켓(122)과 같이 길 필요는 없다.
제1 수직 브라켓(122)과 제2 수직 브라켓(123)의 단부에 결합된 결합 브라켓(121)은 수직 브라켓(122, 123)과 함께 T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결합 브라켓(121)은 수직 브라켓(122, 123)과 결합하며 제1 프레임 모듈(111)과 제3 프레임 모듈(113)의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121b)와 상기 안착부(121b)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 브라켓(125)과 체결되는 체결부(121a)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브라켓(121)과 고정 브라켓(125)의 체결은 스크류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으며 천장고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스크류가 체결되는 체결구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스마트 월(100)을 기존의 벽에 덧대어 설치하는 경우 기존의 벽체와 체결하는 고정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월(100)은 스피커(162)와 같이 음향기기가 위치하기 때문에 이를 가벽으로 이용하는 경우 벽을 기준으로 분리되는 공간이 발생한다. 이 때 두 공간의 소리를 차단하기 위해 스마트 월(100)과 맞닿는 천장, 바닥 및 측벽에 소리가 새지 않도록 방음 구조를 부가하여 스마트 월(100)을 고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00)의 바스켓(13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레임 모듈(111, 112, 113)은 내측 형강(115)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실장공간(114)으로 구획할 수 있다. 실장공간(114)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130)을 삽입하여 전자제품(160)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모듈(112)은 디스플레이 장치(161)가 위치하므로 상대적으로 큰 실장공간(114)을 구비하나, 제1 프레임 모듈(111)과 제3 프레임 모듈(113)의 실장공간(114)은 규격화된 사이즈로 형성할 수 있다. 규격화된 사이즈의 실장공간(114)을 이용하면 바스켓(130)도 규격화 할 수 있어 불필요하게 다양한 형상의 부품을 제조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실장 공간의 크기를 모두 동일하게 형성하는 경우 규격화에 편리하나 실장되는 전자제품(160)에 따라 더 큰 공간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컨과 공기청정기의 크기는 상이하므로 이러한 차이를 고려하여 실장공간(114)의 크기를 기본크기의 정수배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 크기는 a, 세로 크기는 b를 가지는 제1 실장공간(1141)을 기준으로 가로크기가 a의 정수배를 가지는 제2 실장공간(1142) 또는 세로 크기가 b의 정수배를 가지는 제3 실장공간(11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장공간(1141)의 가로방향의 크기는 제3 프레임 모듈(113)의 가로방향 크기에 상응하고 세로방향의 크기는 제1 프레임 모듈(111)의 세로방향의 크기에 상응한다. 여기서 실장공간(114)은 형강(115)으로 구획된 내부공간을 의미하므로 제1 프레임 모듈(111)의 크기와 제3 프레임 모듈(113)의 크기와 비교는 형강(115)의 두께에 의한 차이는 무시한다.
제1 프레임 모듈(111)은 수직방향의 길이가 짧으므로 제1 실장공간(1141)과 제2 실장공간(1142)만 포함할 수 있고, 제3 프레임 모듈(113)은 수평방향의 길이가 짧으므로 제1 실장공간(1141)과 제3 실장공간(1143)만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월(100)의 디스플레이 장치(161)가 전면에 노출되는 크기에 따른 화면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61)를 반절만 노출시켜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고 도 9의 (b)와 같이 평소에는 작은 사이즈로 노출시켜 인테리어적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월(100)은 디스플레이 장치(161)의 전면을 커버하는 스크린(20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200)은 패브릭 소재와 같이 롤에 감을 수 있는 재질을 이용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61)의 전면을 커버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61)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6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리는 역할을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61)의 전면에 위치하는 스크린(200)의 제1 영역의 면적을 조절하기 위해 구동롤러(210)에 스크린(200)을 권취할 수 있다. 스크린(200)이 구동롤러(210)에 감긴 횟수가 많으면 제1 영역의 면적이 작아지고 디스플레이 장치(161)가 전면에 노출된다.
구동롤러(210)에 스크린(200)을 반 바퀴 감아 스크린(200)의 일부(제1 영역)는 디스플레이 장치(161)의 전면에 위치하고, 스크린(200)의 일부(제2 영역)는 디스플레이 장치(161)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61)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의 면적을 증가시키면 디스플레이 장치(161)의 전면에 위치하는 제1 영역의 면적이 줄어들게 되는 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면적을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61)의 전면에 노출되는 면적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구동롤러(210)의 회전방향을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61)의 전면에 위치하는 스크린(200)의 면적을 조절하며, 스크린(200)이 기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구동롤러(210)의 회전을 중지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스크린(200)의 위치에 상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61)에 출력되는 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a)와 같은 라인뷰 모드나 도 9의 (b)와 같은 하프뷰 모드 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61)의 일부에만 영상을 출력해야 한다. 스크린(200)이 위치하는 부분까지 영상을 출력하면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사용자에게 잘린 영상을 제공하는 문제가 있다.
구동롤러를 회전시 스크린(200)이 구동롤러의 표면에서 밀릴 수 있고, 구동롤러에 감기는 실시예의 경우 구동롤러에 감기는 스크린(200)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구동롤러 1회전 당 이동하는 스크린(200)의 길이가 차이가 나기 때문에 구동롤러(210)를 회전시키는 모터의 회전수와 스크린(200)의 이동거리를 정확히 일치시키는 것이 어렵다.
또한, 스크린(200)의 위치와 디스플레이 장치9161)에 출력되는 영상과 동기화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스크린(200)의 제1 영역의 크기를 감지하는 스크린 감지부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스크린(200)은 상하방향으로만 이동하므로 상하방향으로 이동 거리 또는 스크린(200)의 제1 영역의 하단부의 위치를 감지하면 스크린(200)의 크기를 알 수 있는 바, 스크린 감지부는 제1 영역의 상하방향의 길이를 감지하는 장치라고 할 수 있다.
도 10은 스마트 월(100)의 스크린 감지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본 실시예의 스크린 감지부는 스크린(200)의 표면에 형성된 전도성 패턴(241), 한 쌍의 단자(242) 및 한 쌍의 단자(242) 사이의 저항을 측정하여 저항이 클수록 상기 제1 영역의 크기가 크고, 저항이 작을수록 상기 제1 영역의 크기가 작은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전도성 패턴(241)은 외부로 노출되는 제1 면(200a)의 반대 면인 제2 면(200b)에 형성되면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는다. 제2 면(200b)에 형성된 전도성 패턴(241)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1 수직패턴(241a)과 상기 제1 수직패턴(241a)과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2 수직 패턴 및 상기 제1 수직패턴(241a)의 하단과 상기 제2 수직패턴(241b)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패턴(24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직패턴(241a)과 제2 수직패턴(241b)의 위치는 스크린(200)의 제2 면(200b) 상에 제한이 없고 풀뷰상태와 라인뷰 상태에서 모두 단자(242)과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고 있으면 충분하고 연결패턴(241c)은 도면상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직선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반드시 직선이 아니어도 되며 제1 수직패턴(241a)과 제2 수직패턴(241b)의 하단을 연결하는 전도성 부재이면 충분하다.
한 쌍의 단자(242)은 제1 수직패턴(241a)과 제2 수직패턴(241b)에 각각 접촉되며, 프레임에 고정된다. 단자(242)에 걸려 스크린(200)의 상하방향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스크린(200)이 전후 방향으로 흔들리더라도 상기 전도성 패턴(241)과 단자(242)의 접촉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탄성을 가지는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스펀지와 같이 탄성이 있는 소재를 포함하거나, 클립형태나 포고핀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부재를 이용하여 전도성 패턴(241)과 단자(242)의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 쌍의 단자(242)은 전도성 패턴(241)과 연결되며 단자(242)에 전원을 인가하면 전도성 패턴(241)을 통과하여 전류가 흐르게 된다.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패턴(241)의 길에 따라 단자(242) 사이의 저항이 달라질 수 있다. 스크린 감지부는 상기 저항의 크기를 감지하여 전도성 패턴(241)의 길이의 증감을 산출하고 스크린(200)의 제1 영역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스크린 감지부의 제1 영역의 크기 변화에 따른 스크린 감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1의 (a)은 도 9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61)의 하단부만 일부 노출시키는 라인뷰 모드에서의 스크린(200)의 제2 면(200b)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의 (b)는 도 9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의 반절만 노출시키는 하프 뷰 모드에서 스크린(200)의 제2 면(200b)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의 (c)는 도 1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61)의 전체면적을 노출시키는 풀뷰 모드에서의 스크린(200)의 제2 면(200b)을 도시한 도면이다.
스크린(20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시 한 쌍의 단자(242)은 제1 수직패턴(241a)과 제2 수직패턴(241b) 상에 접촉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도 11의 (a)에서 한 쌍의 단자(242) 사이에 위치하는 전도성 패턴(241)의 길이가 가장 길고 도 11의 (c)에서 한 쌍의 단자(242) 사이에 위치하는 전도성 패턴(241)의 길이가 가장 짧다. 따라서, 각 모드에서 한 쌍의 단자(242) 사이에 위치하는 전도성 패턴(241)의 길이가 달라지므로 저항의 크기도 달라진다. 저항은 전도성 패턴(241)의 길이가 길수록 크게 나타나므로 R1이 가장 크고 그 다음에 R2 그리고 R3의 순서로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제어부는, 지정된 정지위치에서의 저항값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저항값과 한 쌍의 단자(242) 사이의 저항이 같아지면 모터의 구동을 멈출 수 있다.
도 12는 도 10의 스크린 감지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크린(200)은 패브릭과 같은 얇은 소재를 이용하므로 스크린(20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시 흔들리거나 구김이 갈 수 있다. 이러한 구김을 방지하고 편평하게 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영역의 하단부에 하중바(209)를 배치할 수 있다. 하중바(209)는 스크린(200)의 제1 영역을 하측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제공하며 스크린(200)이 수평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면(200a)은 사용자에게 노출되므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면(200b)에 배치할 수 있다.
전도성 패턴(241)의 제1 수직패턴(241a)과 제2 수직패턴(241b)을 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200)의 좌우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다. 제1 수직패턴(241a) 및 제2 수직패턴(241b)과 인접한 프레임에 전자석(246)을 배치하고 전자석(246)을 이용하여 스크린(200)에 수평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스크린(20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즉 모터가 구동 시에 제어부는 전자석(246)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고, 전도성 패턴(241)을 이용하여 스크린(2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스크린(200)의 이동이 멈춘 경우, 즉 모터가 정지한 때에 제어부는 전자석(246)에 전원을 인가하면 전자석(246)은 전도성 패턴(241)을 당기는 자성을 제공하여 스크린(200)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인력이 제공되고 스크린(200)이 편평하게 펼쳐질 수 있다. 스크린(200)의 좌우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전자석(246)은 스크린(200)의 정지위치에 관계없이 스크린(200)이 편평하게 펴질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힘을 인가할 수 있다.
도 13은 스마트 월(100)의 스크린 감지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스크린 감지부는 제1 영역의 하단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243)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243)는 초음파를 사출하고 스크린(200) 제1 영역의 하부에 반사되어 돌아온 초음파를 감지하여 스크린(200)의 하단부와 초음파 센서(243)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기초로 스크린(200) 제1 영역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으며, 초음파 센서(243)는 실장공간(114)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초음파 이외에 적외선이나 다른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하여 거리감지 센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의 스크린 감지부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초음파 센서(243)는 초음파를 사출하는 송신부(243a), 송신부(243a)에서 사출되어 상기 제1 영역의 하단에서 반사된 초음파를 감지하는 수신부(243b)를 포함한다.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초음파 센서(243)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부(244a)가 형성된 하우징(244)에 초음파 센서(243)를 수납하고 센서커버(245)를 이용하여 개구부(244a)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센서커버(245)는 회전하며 이동하고, 제어부는 상기 구동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구동시에만 상기 센서커버(245)를 제거하고 (도 14a) 평소에는 센서커버(245)가 상기 개구부(244a)를 커버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도 14(b)).
스크린 감지부를 이용하면 스크린(200)의 제1 영역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바, 스크린(200)의 구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 움직임이 시작되면 모터의 속도가 0 에서 점점 빨라지고(가속구간, v1),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다가(정속구간, v2), 정지위치(SP)에 가까워지면 속도를 줄여(v3, 감속구간) 도 13의 (b)와 같이 정확히 정지위치(SP)에서 멈출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스마트 월(100)은 벽체에 TV 및 오디오와 같은 멀티미디어 기기가 탑재되어 벽면에 같은 높이로 벽면에 설치되어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61)의 사용태양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61)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스크린(200)을 이용하여 보다 더 깔끔한 스마트 월(100)의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200)의 위치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어, 제어부는 스크린(200) 위치와 동기화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스마트 월 110: 프레임 구조체
111: 제1 프레임 모듈 112: 제2 프레임 모듈
113: 제3 프레임 모듈 114: 실장공간
115: 형강 120: 고정부재
121: 결합 브라켓 122: 제1 수직 브라켓
123: 제2 수직 브라켓 125: 고정 브라켓
130: 바스켓 140: 아울렛 모듈
150: 아트월 160: 전자제품
161: 디스플레이 장치 180: 제어부
241: 전도성 패턴 241a: 제1 수직패턴
241b: 제2 수직패턴 241c: 연결패턴
242: 전극 243: 초음파 센서
244: 하우징 245: 센서커버

Claims (12)

  1. 실장공간(mounting cell)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체;
    상기 실장공간의 전면을 커버하는 제1 영역을 포함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스크린이 감기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스크린의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를 감지하는 스크린 감지부; 및
    상기 스크린 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감지부는,
    상기 스크린에 도포된 전도성 패턴;
    상기 패턴과 다른 위치에서 접촉하는 한 쌍의 단자; 및
    상기 한 쌍의 단자 사이의 저항을 측정하여 저항이 클수록 상기 제1 영역의 크기가 크고, 저항이 작을수록 상기 제1 영역의 크기가 작은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는 상기 스크린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전도성 패턴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1 수직패턴;
    상기 제1 수직패턴과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2 수직패턴; 및
    상기 제1 수직패턴의 하단과 상기 제2 수직패턴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단자는,
    상기 제1 수직패턴과 접촉하는 제1 단자 및 상기 제2 수직패턴과 접촉하는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가 상기 제1 수직패턴 및 상기 제2 수직패턴과 접촉하는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월.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단자는 탄성을 가지는 전도성 가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월.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스마트 월의 전면 방향을 향하는 제1 면; 및
    상기 전도성 패턴이 형성된 제2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월.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상기 스크린의 인접한 위치에 구비된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가 구동시 상기 스크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스크린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모터가 멈추면 상기 전자석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전도성 패턴에 인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감지부는,
    상기 실장공간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스크린의 상기 제1 영역의 하단의 위치를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사출하는 송신부;
    상기 송신부에서 사출되어 상기 제1 영역의 하단에서 반사된 초음파를 감지하는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와 수신부를 개폐하는 센서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가 구동시에만 상기 센서커버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제1 영역의 하단에 위치하는 하중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하중빔에 상기 초음파를 사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월.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의 정지위치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줄이고,
    상기 스크린의 정지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의 구동을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월.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공간에 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 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스크린의 제1 영역 크기에 상응하여 상기 스크린이 커버하지 않은 영역에만 영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월.
KR1020190115623A 2019-09-19 2019-09-19 스마트 월 KR2021003383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623A KR20210033833A (ko) 2019-09-19 2019-09-19 스마트 월
PCT/KR2019/012564 WO2021054504A1 (ko) 2019-09-19 2019-09-27 스마트 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623A KR20210033833A (ko) 2019-09-19 2019-09-19 스마트 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833A true KR20210033833A (ko) 2021-03-29

Family

ID=7488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623A KR20210033833A (ko) 2019-09-19 2019-09-19 스마트 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33833A (ko)
WO (1) WO202105450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7717B2 (ja) * 1989-10-06 1997-10-27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電動ロールブラインドの障害物検知停止装置
KR100702984B1 (ko) * 2005-04-25 2007-04-03 태승산업 주식회사 도어용 커튼
KR20110002160U (ko) * 2009-08-26 2011-03-04 손영찬 Tv와 컴퓨터용 롤 블라인드 장치 및 커튼 장치
JP6118863B2 (ja) * 2015-09-24 2017-04-19 株式会社シミズオクト 展示会システム
KR20180042484A (ko) * 2016-10-17 2018-04-26 박용수 스마트 아트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54504A1 (ko) 202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0346B1 (ko) 스마트 월
CN112609858B (zh) 智能墙
KR102309308B1 (ko) 스마트 월
KR20210004407A (ko) 스마트 월
KR20210051510A (ko) 스마트 월
KR20210033833A (ko) 스마트 월
KR20210051511A (ko) 스마트 월
KR20210030748A (ko)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KR20220052994A (ko) 스마트 월 및 그 제어 방법
KR102677289B1 (ko) 스마트 월
KR20210051509A (ko) 스마트 월
KR20210020239A (ko) 스마트 월
KR102662310B1 (ko)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KR102662311B1 (ko)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KR20210020240A (ko) 스마트 월
KR20210020241A (ko) 스마트 월
KR20210021755A (ko) 스마트 월
KR102640662B1 (ko)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EP4015725A1 (en) Smart wall
KR20210020242A (ko) 스마트 월
KR20220114521A (ko) 스마트 월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145627A (ko)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KR20200145626A (ko)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KR20200145628A (ko)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KR20210030596A (ko)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