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783A - 순환이동되는 이젝터를 지지하고 평행이동가능한 가이드 부재를 갖는 후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순환이동되는 이젝터를 지지하고 평행이동가능한 가이드 부재를 갖는 후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783A
KR20220033783A KR1020200116064A KR20200116064A KR20220033783A KR 20220033783 A KR20220033783 A KR 20220033783A KR 1020200116064 A KR1020200116064 A KR 1020200116064A KR 20200116064 A KR20200116064 A KR 20200116064A KR 20220033783 A KR20220033783 A KR 20220033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jector
link
pulley
section
pap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지 후카사와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00116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3783A/ko
Priority to PCT/US2021/019172 priority patent/WO2022055548A1/en
Publication of KR20220033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7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81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acting on edge of the pile for moving it along a surface, e.g. by p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2Pile receivers with stationary end support against which pile accumu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36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gripping the pile
    • B65H31/3045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gripping the pile on the outermost articles of the pile for clamping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2Forming a pile of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3Forming a pile of a limited number of articles, e.g. buffering, forming bu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6Delivering, advancing piles
    • B65H2301/42266Delivering, advancing piles by acting on edge of the pile for moving it along a surface, e.g. p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olding the material
    • B65H2301/443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olding the material at particular portion of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70Other elements in edg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e.g. registering, orientating, guiding devices
    • B65H2404/73Means for sliding the handled material on a surface, e.g. pushers
    • B65H2404/731Means for sliding the handled material on a surface, e.g. pushers moved in a path enclosing an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1Bottom
    • B65H2405/1115Bottom with surface inclined, e.g. in width-wise direction
    • B65H2405/11151Bottom with surface inclined, e.g. in width-wise direction with surface inclined upwardly in transport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24Post -processing devices
    • B65H2801/27Devices located downstream of office-type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개시된 후처리 장치는, 후처리 작업 후에 용지 정렬 트레이로부터 배출된 다수의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 트레이와, 용지 정렬 트레이 상의 다수의 용지를 밀어 적재 트레이로 배출하는 이젝터와, 이젝터를 서로 평행한 배출 구간과 복귀구간 및 이들을 연결하는 제1연결 구간과 제2연결 구간을 따라 순환이동시키는 순환 부재와, 이젝터가 배출 구간과 복귀 구간을 따라 이동될 때에 이젝터를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하며 이젝터가 제1연결 구간과 제2연결 구간을 따라 이동될 때에 각각 복귀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와 배출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로 평행이동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순환이동되는 이젝터를 지지하고 평행이동가능한 가이드 부재를 갖는 후처리 장치{finisher having guide member which supports circulating ejector and is movable in parallel with ejector}
후처리 장치는 시트 상의 매체, 예를 들어 용지에 후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후처리 장치는 단독(stand-alone) 장치일 수 있다. 후처리 장치는 인쇄 장치와 연결되어 화상형성장치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인쇄 장치에서 수행되는 인쇄 작업의 후속 공정으로서 인쇄가 완료된 용지에 대한 후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후처리 공정은 정렬된 여러 장의 용지를 제본하는 제본 공정, 한 장 또는 여러 장의 용지를 한 번 이상 접는 접이 공정, 한 장 또는 여러 장의 용지를 천공하는 펀칭 공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후처리 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후처리 장치의 일 예에서 이젝터를 순환이동시키는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순환 부재의 주행에 따른 이젝터의 이동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이젝터의 순환 이동에 따른 가이드 부재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이젝터의 순환 이동에 따른 가이드 부재와 평행 유지 부재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6a와 도 6b는 후처리 장치의 일 예의 부분 측면도들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용지 손상 방지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부분 측면도들이다.
도 8은 후처리 장치의 일 예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9는 후처리 장치의 일 예의 부분 사시도이다.
후처리 장치는 용지 정렬 트레이 상에 정렬된 다수의 용지에 후처리 공정을 수행한다. 후처리 공정이 완료된 후에 다수의 용지는 이젝터에 의하여 적재 트레이로 배출되어 적재된다. 이젝터는 순환 경로를 따라 이동되면서 다수의 용지의 말단을 밀어서 적재 트레이로 배출시킨 후에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이젝터는 순환 이동되는 동안에 일정한 자세로 유지될 필요가 있다. 이젝터의 자세가 불안정하면 순환 이동되는 과정에서 구동 부하가 증가될 수 있으며, 이젝터가 주변의 부재와 간섭되어 이동될 수 없는 상태가 생길 수도 있다.
본 예의 후처리 장치에서, 이젝터는 가이드 부재에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된 상태에서 직선 구간, 예를 들어 다수의 용지를 배출시키 배출 구간과 원래 위치로 복귀되는 복귀 구간을 따라 이동된다. 이젝터가 회전 구간, 예를 들어 배출 구간과 복귀 구간을 연결하는 제1연결 구간과 복귀 구간과 배출 구간을 연결하는 제2연결 구간을 따라 이동될 때에, 가이드 부재는 각각 복귀 구간과 배출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로 평행이동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젝터가 직선 구간을 따라 이동될 때에 가이드 부재에 의하여 슬리이딩될 수 있게 지지되므로, 이젝터가 안정적인 자세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젝터가 회전 구간을 따라 이동될 때에 가이드 부재가 평행이동되므로 이젝터가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인 자세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젝터의 자세 불안정으로 인한 구동 부하의 증가와 이젝터의 이동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후처리 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후처리 장치의 일 예에서 이젝터(50)를 순환이동시키는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순환 부재(60)의 주행에 따른 이젝터(50)의 이동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후처리 장치의 일 예는, 후처리 대상인 다수의 용지(P)가 정렬되는 용지 정렬 트레이(30)와, 용지 정렬 트레이(30)로부터 배출된 다수의 용지(P)가 적재되는 적재 트레이(40)와, 용지 정렬 트레이(30) 상의 다수의 용지(P)를 밀어 적재 트레이로 배출하는 이젝터(50)와, 이젝터(50)를 순환이동시키는 순환 부재(60)와, 이젝터(50)를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하는 가이드 부재(7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젝터(50)는 용지 정렬 트레이(30)이 상의 다수의 용지(P)를 밀어 적재 트레이(40)로 배출하는 배출 구간(60a)과, 배출 구간(60a)과 평행한 복귀 구간(60c)과, 배출 구간(60a)과 복귀 구간(60c)을 연결하는 제1연결 구간(60b)과, 복귀 구간(60c)과 배출 구간(60a)을 연결하는 제2연결 구간(60d)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배출 구간(60a)과 복귀 구간(60c)는 직선 구간이며, 제1연결 구간(60b)과 제2연결 구간(60d)는 회전 구간이다. 이젝터(50)는 배출 구간(60a)을 따라 배출 방향(D1)으로 이동되며, 복귀 구간(60c)을 따라 배출 방향(D1)의 반대 방향인 복귀 방향(D2)으로 이동된다. 배출 방향(D1)과 복귀 방향(D2)은 용지(P)의 길이 방향(L)일 수 있다. 순환 부재(60)는 이젝터(50)를 배출 구간(60a), 제1연결 구간(60b), 복귀 구간(60c), 제2연결 구간(60d)을 따라 순환이동시킬 수 있다. 가이드 부재(70)는 이젝터(50)가 배출 구간(60a)과 복귀 구간(60c)을 따라 이동될 때에 각각 배출 가이드 위치와 복귀 가이드 위치에 위치되어 이젝터(50)를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한다. 가이드 부재(70)는 이젝터(50)가 제1연결 구간(60b)과 제2연결 구간(60d)을 따라 이동될 때에 각각 복귀 구간(60c)에 대응되는 위치(복귀 가이드 위치)와 배출 구간(60a)에 대응되는 위치(배출 가이드 위치)로 평행이동된다. 평행이동된다는 것은, 가이드 부재(70)가 배출 구간(60a) 및 복귀 구간(60c)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배출 가이드 위치로부터 복귀 가이드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용지 정렬 트레이(30) 상에는 다수의 용지(P)가 적재된다. 다수의 용지(P)의 폭방향(W)의 양단부는 한 쌍의 측부 가이드(32)에 의하여 정렬될 수 있다. 다수의 용지(P)의 길이방향(L)의 말단은 말단 가이드(33)에 의하여 정렬될 수 있다. 후처리 장치에는 용지(P)를 이송시키는 이송 구조가 마련된다. 일 실시예로서, 이송 구조는 이송 롤러들(11)(12)과 정렬 부재(13)를 구비할 수 있다. 이송 롤러들(11)(12) 각각은 서로 맞물려 회전되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며, 유입구(91)를 통하여 유입되는 용지(P)를 이송시킨다. 정렬 부재(13)는 용지 정렬 트레이(30)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정렬 부재(13)는 예를 들어 탄성 아암을 가진 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롤러들(11)(12)에 의하여 이송된 용지(P)는 용지 정렬 트레이(30)로 낙하된다. 정렬 부재(13)는 회전되면서 용지 정렬 트레이(30) 상의 용지(P)를 말단 가이드(33) 쪽으로 민다. 용지(P)의 폭방향(W)의 양단부는 한 쌍의 측부 가이드(32)에 의하여 정렬되며, 용지(P)의 길이방향(L)의 말단은 말단 가이드(33)에 의하여 정렬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다수의 용지(P)가 용지 정렬 트레이(30) 상에 정렬될 수 있다.
후처리 공정은 정렬된 여러 장의 용지를 제본하는 제본 공정, 한 장 또는 여러 장의 용지를 한 번 이상 접는 접이 공정, 한 장 또는 여러 장의 용지를 천공하는 펀칭 공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예의 후처리 장치는 다수의 용지(P)에 제본 침을 박는 바인더(20)를 구비한다. 바인더(20)는 용지 정렬 트레이(30)의 말단의 일측 모서리에 정렬되어, 다수의 용지(P)의 모서리에 제본 침을 박을 수 있다. 바인더(20)는 폭방향(W)으로 이동되면서 다수의 용지(P)의 가장자리에 하나 이상의 제본침을 박을 수도 있다. 바인딩 작업(후처리 작업)이 완료된 다수의 용지(P)는 이젝터(50)에 의하여 적재 트레이(40)로 배출된다.
본 예의 이젝터(50)는 순환 부재(60)에 연결되며, 순환 부재(60)가 순환 주행됨에 따라서 순환 이동된다. 순환 부재(60)는 예를 들어, 평벨트, 타이밍벨트, 와이어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순환 부재(60)는 적재 트레이(40)에 인접한 제1풀리(61)와 적재 트레이(40)로부터 먼 제2풀리(62)에 지지되어 순환 주행될 수 있다. 제1풀리(61)와 제2풀리(62)의 직경은 동일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순환 부재(60)는 타이밍 벨트이며, 제1풀리(61)와 제2풀리(62)는 타이밍 풀리이다. 도시되지 않은 모터는 예를 들어 제1풀리(61)와 연결되어 제1풀리(61)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하여, 순환 부재(60)가 순환 주행될 수 있다.
이젝터(50)는 순환 부재(60)와 연결된다. 일 예로서, 순환 부재(60)에 클램퍼(63)가 연결된다. 클램퍼(63)에는 연결 홀(631)이 마련된다. 이젝터(50)는 클램퍼(63)를 향하여 연장된 샤프트(51)를 구비할 수 있다. 샤프트(51)는 연결 홀(631)에 삽입된다. 샤프트(51)와 연결 홀(631)은 헐거운 끼워맞춤된다. 따라서, 이젝터(50)는 연결 홀(631)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다.
이젝터(50)는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이 수용되는 그립부(52)를 구비할 수 있다. 이젝터(50)는 다수의 용지(P)의 하부에서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을 지지하는 하단 지지부(53)와,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을 밀 수 있도록 하단 지지부(53)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부(54)를 구비할 수 있다. 이젝터(50)는 연장부(54)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되는 개폐 부재(55)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 부재(55)는 하단 지지부(53)와 대향되는 개폐부(551)와, 회전중심으로 기준으로 하여 개폐부(551)의 반대쪽에 위치되는 간섭부(552)를 구비할 수 있다. 하단 지지부(53)와 연장부(54)와 개폐부(551)에 의하여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이 수용되는 그립부(52)가 형성될 수 있다. 개폐 부재(55)는 그립부(52)를 개폐할 수 있다. 개폐 부재(55)는 그립부(52)를 닫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 부재(55)는 자중에 의하여 그립부(52)를 닫는 방향, 즉 개폐부(551)가 하단 지지부(53)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개폐 부재(55)는 탄성 부재에 의하여 그립부(52)를 닫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용지 정렬 트레이(30) 상의 다수의 용지(P)는 이젝터(50)의 그립부(52)에 수용된다. 이젝터(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구간(60a), 제1연결 구간(60b), 복귀 구간(60c), 및 제2연결 구간(60d)을 따라 순환 이동되면서 용지 정렬 트레이(30) 상의 다수의 용지(P)를 밀어 적재 트레이(40)로 배출하고 원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배출 구간(60a)와 복귀 구간(60c)는 제1풀리(61)와 제2풀리(62) 사이의 구간이며, 제1연결 구간(60b)와 제2연결 구간(60d)은 각각 제1풀리(61)와 제2풀리(62)의 주위의 반원 구간이다. 제1풀리(61)의 직경과 제2풀리(62)의 직경은 동일하므로, 배출 구간(60a)와 복귀 구간(60c)은 평행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젝터(50)는 클램퍼(63)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다. 순환 이동되는 동안에 이젝터(50)의 자세가 불안정해지면, 순환 부재(60)를 구동하는 모터의 구동 부하가 증가될 수 있으며, 이젝터(50)가 인접하는 다른 부재들에 쐐기처럼 끼어서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도 있다. 순환 이동되는 동안에 이젝터(50)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본 예의 후처리 장치는 가이드 부재(70)를 구비한다. 이젝터(50)는 가이드 부재(70)에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된다. 일 예로서, 가이드 부재(70)에는 가이드 슬롯(71)이 마련된다. 가이드 슬롯(71)은 직선적으로 연장된다. 가이드 슬롯(71)의 길이는 직선 구간, 즉 배출 구간(60a)의 길이 이상일 수 있다. 이젝터(50)에는 가이드 슬롯(71)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56)가 마련된다. 가이드 돌기(56)는 예를 들어 가이드 슬롯(71)에 미끄럼 지지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56)는 가이드 슬롯(71)에 구름 지지될 수도 있다. 본 예에서 한 쌍의 가이드 돌기(56)가 가이드 슬롯(71)에 지지된다. 가이드 부재(70)는 이젝터(50)가 직선 구간인 배출 구간(60a)과 복귀 구간(60c)을 따라 이동될 때에 이젝터(50)를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한다. 이에 의하여, 직선 구간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에 이젝터(50)는 클램퍼(63) 및 가이드 부재(70)에 지지되어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인 자세로 유지될 수 있다.
이젝터(50)가 회전 구간인 제1연결 구간(60b)과 제2연결 구간(60d)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에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인 자세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가이드 부재(70)는 배출 구간(60a)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복귀 구간(60c)에 대응되는 위치로 또 복귀 구간(60c)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배출 구간(60a)에 대응되는 위치로 평행이동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후처리 장치의 일 예는, 제1풀리(61)의 중심축에 인접한 제1축(AX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가이드 부재(70)의 제1풀리(61)에 인접한 단부에 연결되는 제1링크(110)와, 제2풀리(62)의 중심축에 인접한 제2축(AX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가이드 부재(70)의 제2풀리(62)에 인접한 단부에 연결되는 제2링크(1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측부 프레임(200)에는 제1축(AX1)과 제2축(AX2)을 형성하는 제1홀(210)과 제2홀(220)이 마련될 수 있다. 제1홀(210)과 제2홀(220) 사이의 거리는 제1풀리(61)의 중심축과 제2풀리(62)의 중심축 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제1홀(210)과 제2홀(220)을 연결하는 선은 제1풀리(61)의 중심축과 제2풀리(62)의 중심축을 연결하는 선과 평행할 수 있다. 제1링크(110)는 제1홀(210)에 회전될 수 있게 삽입되는 샤프트(111)를 구비할 수 있다. 제2링크(120)는 제2홀(220)에 회전될 수 있게 삽입되는 샤프트(121)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70)의 제1풀리(61)에 인접한 단부와 먼 단부에는 원통형 지지돌기(72)(73)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제1링크(110)에는 원통형 지지돌기(72)가 삽입되는 홀(112)이 마련될 수 있다. 제2링크(120)에는 원통형 지지돌기(73)가 삽입되는 홀(122)이 마련될 수 있다. 원통형 지지돌기(72)와 홀(112) 및 원통형 지지돌기(73)와 홀(122)은 서로 헐거운 끼워맞춤된다. 샤프트(111)와 홀(112) 사이의 거리는 제1풀리(61)의 중심축에 대한 클램퍼(63)의 연결 홀(631)의 회전 반경과 동일할 수 있다. 샤프트(111)와 홀(112) 사이의 거리와 샤프트(121)와 홀(122)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가이드 부재(70)는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에 지지되어 제1축(AX1)과 제2축(AX2)을 중심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회전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f는 이젝터(50)의 순환 이동에 따른 가이드 부재(70)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가이드 부재(70)는 배출 가이드 위치에 위치되어 배출 구간(60a)을 따라 이동되는 이젝터(50)를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한다. 이젝터(50)가 배출 구간(60a)을 따라 배출 방향(D1)으로 이동되는 동안에 가이드 부재(70)는 배출 가이드 위치에 유지된다. 이젝터(50)는 가이드 슬롯(71)에 안내되어 기울어지지 않고 배출 방향(D1)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젝터(50)가 원호 형상의 제1연결 구간(60b)에 진입하면, 이젝터(50)는 제1풀리(61)의 주위를 따라 하강된다. 이젝터(50)는 가이드 부재(70)를 배출 방향(D1)으로 밀면서 동시에 아래쪽으로 누른다.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가 각각 제1축(AX1)와 제2축(AX2)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50)가 제1연결 구간(60b)의 절반 위치에 도달되면,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는 90도 회전된다. 이젝터(50)가 제1연결 구간(60b)의 절반 위치를 넘어서면 이젝터(50)는 가이드 부재(70)를 복귀 방향(D2)으로 밀면서 동시에 아래쪽으로 누른다.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가 각각 제1축(AX1)와 제2축(AX2)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50)가 제1연결 구간(60b)의 말단에 도달되면,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는 180도 회전 위상을 갖는다. 이젝터(50)는 복귀 구간(60c)에 진입된다. 가이드 부재(70)는 복귀 구간(60c)을 따라 이동되는 이젝터(50)를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하는 복귀 가이드 위치에 도달된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50)는 복귀 구간(60c)을 따라 복귀 방향(D2)으로 이동되는 동안에 가이드 부재(70)는 복귀 가이드 위치에 유지되며,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는 회전되지 않는다. 이젝터(50)는 가이드 슬롯(71)에 안내되어 기울어지지 않고 복귀 방향(D2)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젝터(50)가 원호 형상의 제2연결 구간(60d)에 진입하면, 이젝터(50)는 제2풀리(62)의 주위를 따라 상승된다. 이젝터(50)는 가이드 부재(70)를 복귀 방향(D2)으로 밀면서 동시에 위쪽으로 민다.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가 각각 제1축(AX1)와 제2축(AX2)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50)가 제2연결 구간(60d)의 절반 위치에 도달되면,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는 270도 회전 위상을 갖는다. 이젝터(50)가 제2연결 구간(60d)의 절반 위치를 넘어서면 이젝터(50)는 가이드 부재(70)를 배출 방향(D1)으로 밀면서 동시에 위쪽으로 민다.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50)가 제2연결 구간(60d)을 통과하면,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는 360도 회전 위상을 갖는다. 이젝터(50)는 배출 구간(60a)에 재진입된다. 가이드 부재(70)는 배출 구간(60a)을 따라 이동되는 이젝터(50)를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하는 배출 가이드 위치로 복귀된다.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의 길이는 동일하므로, 이젝터(50)가 제1연결 구간(60b)과 제2연결 구간(60d)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에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의 제1축(AX1)와 제2축(AX2)에 대한 회전량은 동일하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70)는 기울어지지 않고 복귀 가이드 위치와 배출 가이드 위치로 평행이동되며, 이젝터(50)는 가이드 부재(70)에 지지되어 기울어지지 않고 제1연결 구간(60b)과 제2연결 구간(60d)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후처리 장치의 일 예는, 평행 유지 부재(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평행 유지 부재(80)는 가이드 부재(70)와 함께 평행이동된다. 평행 유지 부재(80)는 가이드 부재(70)와 다른 회전 위상을 갖는다. 평행 유지 부재(80)와 가이드 부재(70)의 회전 위상차는 90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행 유지 부재(80)의 회전 위상은 가이드 부재(70)의 회전 위상보다 90도 빠를 수 있다.
후처리 장치의 일 예는 제1링크(110)와 연결되어 제1축(AX1)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평행 유지 부재(80)의 제1풀리(61)에 인접한 단부에 연결되는 제3링크(130)와, 제2링크(120)와 연결되어 제2축(AX2)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평행 유지 부재(80)의 제2풀리(62)에 인접한 단부에 연결되는 제4링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링크(130)는 제1링크(110)과 회전 위상차를 가지며, 제1링크(110)와 함께 회전된다. 제4링크(140)는 제2링크(120)과 회전 위상차를 가지며, 제2링크(120)와 함께 회전된다. 제3링크(130)과 제4링크(140)의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에 대한 회전 위상차는 동일하다. 평행 유지 부재(80)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각각 제3링크(130)와 제4링크(140)에 연결된다.
일 예로서, 제1링크(110)의 샤프트(111)는 측부 프레임(200)에 마련된 제1홀(210)을 관통하여 측부 프레임(20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샤프트(111)에는 D-컷부(113)가 마련된다. 제3링크(130)에는 샤프트(111)의 D-컷부(113)가 삽입되는 D-홀(131)이 마련된다. 평행 유지 부재(80)의 제1풀리(61)에 인접한 단부에는 홀(81)이 마련된다. 제3링크(130)에는 홀(181)에 회전될 수 있게 삽입되는 샤프트(132)가 마련된다. 제2링크(120)의 샤프트(121)는 측부 프레임(200)에 마련된 제2홀(220)을 관통하여 측부 프레임(20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샤프트(121)에는 D-컷부(123)가 마련된다. 제4링크(140)에는 샤프트(121)의 D-컷부(123)가 삽입되는 D-홀(141)이 마련된다. 평행 유지 부재(80)의 제2풀리(62)에 인접한 단부에는 홀(82)이 마련된다. 제4링크(140)에는 홀(82)에 회전될 수 있게 삽입되는 샤프트(142)가 마련된다. 제3링크(130)의 D-홀(131)과 샤프트(132) 사이의 거리는 제1링크(110)의 홀(112)과 샤프트(111)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제4링크(140)의 D-홀(141)과 샤프트(142) 사이의 거리는 제2링크(120)의 홀(122)과 샤프트(121)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3링크(130)와 제4링크(140)는 각각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3, 제4링크(130)(140)는 제1축(AX1)과 제2축(AX2)에 대하여 제1, 제2링크(110)(120)와 다른 회전 위상을 갖는다. 따라서, 평행 유지 부재(80)는 가이드 부재(70)와 다른 회전 위상을 갖는다. 본 예에서, 제3, 제4링크(130)(140)의 회전 위상은 제1, 제2링크(110)(120)보다 90도 빠르며, 평행 유지 부재(80)의 회전 위상은 가이드 부재(70)의 회전 위상보다 90도 빠르다.
도 5a 내지 도 5f는 이젝터(50)의 순환 이동에 따른 가이드 부재(70)와 평행 유지 부재(80)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가이드 부재(70)는 배출 가이드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평행 유지 부재(80)는 가이드 부재(70)보다 90도 빠른 회전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50)가 배출 구간(60a)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에 가이드 부재(70)는 배출 가이드 위치에 유지되며, 평행 유지 부재(80)도 이동되지 않는다.
이젝터(50)가 원호 형상의 제1연결 구간(60b)에 진입하면, 이젝터(50)는 가이드 부재(70)를 배출 방향(D1)으로 밀면서 동시에 아래쪽으로 누른다.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는 각각 제3링크(130)와 제4링크(140)와 함께 제1축(AX1)와 제2축(AX2)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제3링크(130)와 제4링크(140)는 평행 유지 부재(80)를 복귀 방향(D2)으로 밀면서 동시에 아래쪽으로 누른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50)가 제1연결 구간(60b)의 절반 위치에 도달되면, 제1 내지 제4링크(110)(120)(130)(140)는 90도 회전된다.
이젝터(50)가 제1연결 구간(60b)의 절반 위치에 도달되면, 제1링크(110), 가이드 부재(70), 제2링크(120)가 일직선 상에 놓이게 된다. 이젝터(50)가 제1연결 구간(60b)의 절반 위치를 넘어서는 순간, 제1링크(110)에는 복귀 방향(D2)으로 미는 동시에 아래쪽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되어 제1링크(110)가 회전된다. 이때, 이상적으로는, 제2링크(120)에도 동일한 힘이 작용되어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한다. 그런데,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의 치수 공차, 제1링크(110) 및 제2링크(120)를 가이드 부재(70)와 연결하는 부분의 치수 공차 등에 의하여, 제2링크(120)에 복귀 방향(D2)으로 미는 동시에 위쪽으로 들어 올리는 힘이 작용될 수 있다. 또한, 이젝터(50)가 제1연결 구간(60b)의 절반 위치에 도달된 때에 제2링크(120)가 가이드 부재(70)와 일직선이 되는 위치에 도달되지 못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제2링크(120)에 복귀 방향(D2)으로 미는 동시에 위쪽으로 들어 올리는 힘이 작용될 수 있다. 그러면, 도 5c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링크(120)가 제1링크(11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가이드 부재(70)가 기울어져서 이젝터(50)가 이동 불가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예에 따르면, 가이드 부재(70)와 다른 회전 위상, 예를 들어 90도 빠른 회전 위상을 갖는 평행 유지 부재(80)가 채용된다. 제1링크(110), 가이드 부재(70), 제2링크(120)가 일직선 상에 놓인 때에 제3링크(130), 평행 유지부재(180), 제4링크(140)는 일직선 상에 있지 않다. 따라서, 이젝터(50)가 제1연결 구간(60b)의 절반 위치를 넘어서는 순간에, 제1링크(110)와 제3링크(130)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제4링크(140) 역시 제1링크(11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2링크(120)와 제4링크(140)는 함께 회전되므로, 제2링크(120) 역시 제1링크(11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70)는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도 5d에 도시된 위치로 평행이동 될 수 있다. 이젝터(50)는 복귀 구간(60c)에 진입된다. 가이드 부재(70)는 복귀 가이드 위치에 도달된다.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50)가 복귀 구간(60c)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에 가이드 부재(70)와 평행 유지 부재(80)는 이동되지 않는다.
이젝터(50)가 원호 형상의 제2연결 구간(60d)에 진입하면, 이젝터(50)는 가이드 부재(70)를 복귀 방향(D2)으로 밀면서 동시에 위쪽으로 들어올린다.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는 각각 제3링크(130)와 제4링크(140)와 함께 제1축(AX1)와 제2축(AX2)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제3링크(130)와 제4링크(140)는 평행 유지 부재(80)를 배출 방향(D1)으로 밀면서 동시에 위쪽으로 들어올린다. 이젝터(50)가 제2연결 구간(60d)의 절반 위치에 도달되면, 제1링크(110), 가이드 부재(70), 제2링크(120)가 다시 일직선 상에 놓이게 된다. 제3링크(130), 평행 유지부재(180), 제4링크(140)는 일직선 상에 있지 않다. 따라서, 이젝터(50)가 제2연결 구간(60d)의 절반 위치를 넘어서는 순간에, 제1링크(110)와 제3링크(130)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제4링크(140) 역시 제1링크(11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2링크(120)와 제4링크(140)는 함께 회전되므로, 제2링크(120) 역시 제1링크(11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70)는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위치로 평행이동 될 수 있다. 이젝터(50)는 배출 구간(60a)에 진입된다. 가이드 부재(70)는 배출 가이드 위치에 도달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 부재(70)과 다른 회전 위상을 갖는 평행 유지 부재(80)를 채용함으로써, 이젝터(50)가 회전 구간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에 가이드 부재(70)를 안정적으로 평행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젝터(50)가 가이드 부재(70)에 안내되어 안정적으로 순환 이동될 수 있다. 평행 유지 부재(80)의 회전 위상이 반드시 가이드 부재(70)의 회전 위상보다 빠를 필요는 없다. 또한, 평행 유지 부재(80)와 가이드 부재(70)의 회전 위상 차가 반드시 90도일 필요는 없다. 평행 유지 부재(80)와 가이드 부재(70)의 회전 위상 차가 90도인 경우, 이젝터(50)가 회전 구간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에 가이드 부재(70)가 기울어지지 않고 더욱 안정적으로 평행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폐 부재(55)는 그립부(52)를 닫는 위치로 회전되도록 바이어스되어 있다. 용지 정렬 트레이(30) 상의 다수의 용지(P)를 배출하기 위하여는 그립부(52)에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이 그립부(52)에 수용될 수 있도록 그립부(52)를 개방할 필요가 있다. 도 6a와 도 6b는 후처리 장치의 일 예의 부분 측면도들이다.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면, 후처리 장치의 일 예는, 이젝터(50)가 제2연결 구간(60d)을 따라 이동될 때에 개폐 부재(55)와 간섭되어 개폐 부재(55)를 그립부(52)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전환시키는 제1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캠부(230)는 이젝터(50)가 그립부(52)가 개방된 상태에서 배출 구간(60a)에 진입되도록 한다. 일 예로서, 제1캠부(230)는 측부 프레임(200)에 마련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50)가 제2연결 구간(60d)을 따라 이동되면서 개폐 부재(55)의 간섭부(552)가 제1캠부(230)에 접촉되며, 개폐 부재(55)는 그립부(52)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개폐부(551)는 하단 지지부(53)로부터 이격된다. 개폐 부재(55)가 배출 구간(60a)의 시작 단부에 도달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부재(55)가 개방 위치에 도달되며 그립부(52)가 완전히 개방된다. 배출 구간(60a)의 시작 단부에서 개폐 부재(55)는 제1캠부(230)와 간섭되어 개방 위치에 유지된다. 이젝터(50)가 배출 구간(60a)의 시작 단부를 벗어나서 배출 방향(D1)으로 이동되면, 제1캠부(230)와 간섭부(552)와의 접촉이 종료되며, 개폐 부재(55)는 자중에 의하여 또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그립부(52)를 닫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립부(52)에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이 수용된 경우, 개폐 부재(55)의 개폐부(551)는 다수의 용지(P)를 하단 지지부(53) 쪽으로 누른다. 따라서, 이젝터(50)가 배출 구간(60a)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에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이 안정적으로 그립부(52)에 수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젝터(50)가 제1연결 구간(60b)을 따라 이동될 때에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은 그립부(52)로부터 벗어나서 적재 트레이(40)로 낙하된다. 이때, 개폐 부재(55)가 닫힌 위치에 위치되어 개폐부(551)가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을 하단 지지부(53) 쪽으로 누르고 있으면,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이 그립부(52)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기 어려울 수 있으며,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이 손상될 수도 있다. 따라서, 용지(P)의 손상 방지를 위하여, 이젝터(50)가 제1연결 구간(60b)을 따라 이동될 때에 그립부(52)를 개방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용지 손상 방지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부분 측면도들이다. 도 2,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후처리 장치의 일 예는, 이젝터가 제1연결 구간(60b)을 따라 이동될 때에 개폐 부재(55), 예를 들어 간섭부(552)와 간섭되어 개폐 부재(55)를 그립부(52)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전환시키는 제2캠부(31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캠부(310)는 예를 들어, 순환 부재(60)의 측부를 덮는 측부 커버(도 2: 300)에 마련될 수 있다. 제2캠부(310)는 이젝터(50)가 제1연결 구간(60b)을 따라 이동될 때에 개폐 부재(55)의 간섭부(552)와 간섭되어 개폐 부재(55)를 개방 위치로 회동시킨다.
이젝터(50)가 배출 구간(60a)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에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은 이젝터(50)의 그립부(52)에 수용된다. 상세히는,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은 하단 지지부(53)에 놓이며, 자중에 의하여 또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그립부(52)를 닫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된 개폐 부재(55)의 개폐부(551)는 다수의 용지(P)를 누른다. 이젝터(50)가 배출 구간(60a)을 따라 이동되면 연장부(54)가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을 배출 방향(D1)으로 민다. 따라서, 다수의 용지(P)는 이젝터(50)와 함께 배출 방향(D1)으로 이동된다. 이젝터(50)가 제1연결 구간(60b)에 진입되면 이젝터(50)가 하강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50)가 제1연결 구간(60b)의 절반 위치에 도달될 때까지 이젝터(50)는 배출 방향(D1)으로 이동되며, 개폐 부재(55)는 닫힌 위치에 위치된다.
이젝터(50)가 제1연결 구간(60b)의 절반 위치를 넘어서면, 이젝터(50)가 복귀 방향(D2) 쪽으로 이동된다.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은 이젝터(50)를 구동하는 구조의 프레임, 예를 들어 측부 프레임(200)의 적재 트레이(40)에 가까운 단부(201)에 접촉되므로, 복귀 방향(D2)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은 이젝터(50)의 그립부(52)로부터 이탈되며, 적재 트레이(40)로 낙하된다. 이때, 개폐 부재(55)가 그립부(52)를 닫는 위치에 위치되어 있으면, 다수의 용지(P)가 복귀 방향(D2)으로 끌려가면서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이 측부 프레임(200)의 단부(201)에 눌려서 찍힘, 꺽임 등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립부(52)에 수용된 용지(P)의 수가 적을수록 손상되기 쉽다.
본 예에 따르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50)가 제1연결 구간(60b)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에 개폐 부재(55)의 간섭부(552)가 제2캠부(310)와 간섭되면서 개폐 부재(55)가 개방 위치로 회전된다. 개폐부(551)가 다수의 용지(P)를 누르는 힘이 해제된다. 이젝터(50)가 제1연결 구간(60b)의 절반 위치를 넘어서면 이젝터(50)가 복귀 방향(D2) 쪽으로 이동된다.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은 측부 프레임(200)의 적재 트레이(40)에 가까운 단부(201)에 접촉된다. 그립부(52)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다수의 용지(P)는 복귀 방향(D2)으로 끌려가지 않는다. 따라서,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따라서,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은 용이하게 그립부(52)로부터 이탈되며, 적재 트레이(40)로 낙하될 수 있다.
이젝터(50)는 홈 위치로부터 배출 구간(60a), 제1연결 구간(60b), 복귀 구간(60c), 및 제2연결 구간(60d)을 따라 순환이동되어 홈 위치로 복귀된다. 도 8은 후처리 장치의 일 예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후처리 장치의 일 예는, 이젝터(50)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센서(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위치 검출 센서(400)는 이젝터(50)에 접촉되어 회동되는 회동 아암(410)과, 회동 아암(410)의 회동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420)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는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젝터(50)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회동 아암(410)은 도 8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회동 아암(410)은 이젝터(50)와 접촉되면 회동되어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회동 아암(410)이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위치되면 수광부에서 광이 검출되고, 회동 아암(410)이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위치되면 수광부에서 광이 검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이 검출되면 센서부(420)는 하이(HIGH)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광이 검출되지 않으면 센서부(420)는 오프(LOW)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420)에서 생성되는 신호에 따라서 이젝터(50)가 회동 아암(410)과 접촉되는 위치에 위치되었는지 여부가 검지될 수 있다. 센서부(420)는 회동 아암(410)의 회동 여부에 따라서 온(ON)/오프(OFF)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50)는 복귀 구간(60c)의 말단 부근, 즉 제2연결 구간(60d)에 인접한 위치에서 회동 아암(410)과 접촉되어 회동 아암(410)을 회동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이젝터(50)의 위치를 검지하고, 순환 부재(60)를 순환주행시키는 구동 모터를 소정 시간, 또는 소정 스텝만큼 구동하여 이젝터(50)를 홈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젝터(50)의 홈 위치는 후처리 장치의 구조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후처리 장치는 바인더(20)가 용지(P)의 일측 모서리와 정렬된 위치에 고정적으로 위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이젝터(50)의 홈 위치는 용지 정렬 트레이(30) 상에 위치되는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을 수용하는 위치일 수 있다. 이 경우, 이젝터(50)의 홈 위치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구간(60a)의 시작 단부일 수 있다. 이젝터(50)가 홈 위치에 위치된 때에, 개폐 부재(55)는 제1캠부(230)에 의하여 그립부(52)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후처리 대상인 다수의 용지(P)가 용지 정렬 트레이(30) 상에 정렬되며,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이 그립부(52)에 수용될 수 있다. 말단 가이드(도 1: 33)가 채용되지 않은 경우, 이젝터(50)의 연장부(54)에 의하여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이 정렬될 수 있다. 말단 가이드(33)가 채용되는 경우, 홈 위치에 위치된 이젝터(50)는 말단 가이드(33)와 함께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을 정렬시킬 수 있다. 말단 가이드(33)가 채용되는 경우에도, 홈 위치에 위치된 이젝터(50)는 말단 가이드(33)로부터 배출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약간 이격되어 말단 가이드(33)에 의하여 정렬되는 다수의 용지(P)의 말단에 접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젝터(50)의 홈 위치는, 말단 가이드(도 1: 33)에 의하여 용지 정렬 트레이(30) 상에 정렬되는 다수의 용지(P)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젝터(50)의 홈 위치는 위치 검출 센서(400)를 통과한 후의 복귀 구간(60c)의 말단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 구간(60d) 중간부 등일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용지(P)에 대한 후처리 작업이 완료된 후에 이젝터(50)가 홈 위치로부터 제2연결 구간(60d)을 거쳐서 배출 구간(60a)에 진입된다. 개폐 부재(55)는 제1캠부(230)와 간섭되어 그립부(52)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회전된다. 따라서,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이 그립부(52)에 수용될 수 있다.
말단 가이드(33)는 다수의 용지(P)를 배출 방향(D1)으로 미는 초기 이젝터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도 9는 후처리 장치의 일 예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말단 가이드(33)는 배출 방향(D1)으로 연장된 가이드 샤프트(510)에 지지된다. 벨트(520)는 말단 가이드(33)와 연결되며, 말단 가이드(33)를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을 정렬시키는 정렬 위치(도 9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와, 다수의 용지(P)를 초기 배출하는 초기 배출 위치(도 9에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젝터(50)의 초기 위치는 말단 가이드(33)에 의하여 용지 정렬 트레이(30) 상에 정렬되는 다수의 용지(P)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젝터(50)의 홈 위치는 위치 검출 센서(400)를 통과한 후의 복귀 구간(60c)의 말단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 구간(60d) 중간부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말단 가이드(33)가 초기 이젝터로서 기능하는 구조는, 바인더(도 1: 20)가 용지(P)의 말단을 따라 폭방향(W)으로 이동되는 구조를 갖는 후처리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말단 가이드(33)가 정렬 위치에 위치되고 이젝터(50)가 홈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다수의 용지(P)가 정렬 트레이(30) 상에 정렬된다. 다수의 용지(P)에 대한 후처리 작업이 완료되면, 말단 가이드(33)는 정렬 위치로부터 초기 배출 위치로 이동되면서 다수의 용지(P)를 배출 방향(D1)으로 약간 이동시킨다. 말단 가이드(33)의 초기 배출 위치는, 적어도 배출 구간(60a)의 시작 단부를 초과한 위치일 수 있다. 다음으로, 이젝터(50)가 제2연결 구간(60d)을 거쳐서 배출 구간(60a)으로 진입된다. 이때,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부재(55)가 제1캠부(230)와 간섭되면서 개폐 부재(55)가 개방 위치로 회전되고, 그립부(52)가 개방된다. 초기 배출 위치까지 배출된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은 이젝터(50)의 그립부(52)에 수용된다. 제1캠부(230)와 간섭부(552)와의 접촉이 종료되며, 개폐 부재(55)는 자중에 의하여 또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그립부(52)를 닫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개폐 부재(55)의 개폐부(551)는 다수의 용지(P)를 하단 지지부(53) 쪽으로 누른다. 따라서, 이젝터(50)가 배출 구간(60a)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에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이 안정적으로 그립부(52)에 수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다수의 용지(P)의 말단이 이젝터(50)의 그립부(52)에 수용된 후에 말단 가이드(33)는 정렬 위치로 복귀된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5)

  1. 후처리 대상인 다수의 용지가 정렬되는 용지 정렬 트레이;
    상기 용지 정렬 트레이로부터 배출된 상기 다수의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 트레이;
    상기 용지 정렬 트레이 상의 상기 다수의 용지를 밀어 상기 적재 트레이로 배출하는 배출 구간과, 상기 배출 구간과 평행한 복귀 구간과, 상기 배출 구간과 상기 복귀 구간을 연결하는 제1연결 구간과, 상기 복귀 구간과 상기 배출 구간을 연결하는 제2연결 구간을 따라 이동되는 이젝터;
    상기 이젝터를 상기 배출 구간, 상기 제1연결 구간, 상기 복귀 구간, 상기 제2연결 구간을 따라 순환이동시키는 순환 부재;
    상기 이젝터가 상기 배출 구간과 상기 복귀 구간을 따라 이동될 때에 상기 이젝터를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하며, 상기 이젝터가 상기 제1연결 구간과 상기 제2연결 구간을 따라 이동될 때에 각각 상기 복귀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와 상기 배출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로 평행이동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부재를 지지하고 주행시키는 것으로서, 각각 상기 적재 트레이에 인접한 위치와 상기 적재 트레이로부터 먼 위치에 위치되는 제1풀리와 제2풀리;
    상기 제1풀리의 중심축에 인접한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제1풀리에 인접한 단부에 연결되는 제1링크;
    상기 제2풀리의 중심축에 인접한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제2풀리에 인접한 단부에 연결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와 함께 평행이동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와 다른 회전 위상을 갖는 평행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 유지 부재와 가이드 부재의 회전 위상차는 90도인 후처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 유지 부재의 회전 위상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회전 위상보다 90도 빠른 후처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평행 유지 부재의 상기 제1풀리에 인접한 단부에 연결되는 제3링크;
    상기 제2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평행 유지 부재의 상기 제2풀리에 인접한 단부에 연결되는 제4링크;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는 상기 다수의 용지의 말단을 수용하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를 닫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바이어스된 개폐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이젝터가 상기 제2연결 구간을 따라 이동될 때에 상기 개폐 부재와 간섭되어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그립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전환시키는 제1캠부;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는 상기 다수의 용지의 말단을 수용하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를 닫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바이어스된 개폐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이젝터가 상기 제1연결 구간을 따라 이동될 때에 상기 개폐 부재와 간섭되어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그립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전환시키는 제2캠부;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센서;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의 홈 위치는 상기 정렬 트레이 상에 위치되는 다수의 용지의 말단을 수용하는 위치인 후처리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트레이 상에 위치된 상기 다수의 용지의 말단을 가이드하는 말단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이젝터의 홈 위치는 상기 정렬 트레이 상에 위치되는 상기 다수의 용지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인 후처리 장치.
  12. 후처리 대상인 다수의 용지가 정렬되는 용지 정렬 트레이;
    상기 용지 정렬 트레이로부터 배출된 상기 다수의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 트레이;
    상기 용지 정렬 트레이 상의 상기 다수의 용지를 밀어 상기 적재 트레이로 배출하는 이젝터;
    상기 적재 트레이에 가까운 제1풀리와 상기 적재 트레이로부터 먼 제2풀리에 지지되어 순환 주행되면서 상기 이젝터를 순환 이동시키는 순환 부재;
    상기 이젝터가 상기 제1풀리와 상기 제2풀리 사이의 배출 구간과 복귀 구간을 따라 이동될 때에 상기 이젝터를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하는 배출 가이드 위치와 복귀 가이드 위치를 가지며, 상기 이젝터가 상기 제1풀리와 상기 제2풀리의 주위를 따라 이동될 때에 상기 복귀 가이드 위치와 상기 배출 가이드 위치로 평행이동되는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와 함께 평행이동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와 다른 회전 위상을 갖는 평행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풀리의 중심축에 인접한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제1풀리에 인접한 단부에 연결되는 제1링크;
    상기 제2풀리의 중심축에 인접한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제2풀리에 인접한 단부에 연결되는 제2링크;
    상기 제1링크와 회전 위상차를 가지며, 상기 평행 유지 부재의 상기 제1풀리에 인접한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링크와 함께 회전되는 제3링크;
    상기 제2링크와 회전 위상차를 가지며, 상기 평행 유지 부재의 상기 제2풀리에 인접한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링크와 함께 회전되는 제4링크;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는 상기 다수의 용지의 말단을 수용하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를 닫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바이어스된 개폐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이젝터가 상기 제2연결 구간과 상기 제1연결 구간을 따라 이동될 때에 상기 개폐 부재와 간섭되어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그립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전환시키는 제1캠부와 제2캠부;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의 홈 위치는 상기 정렬 트레이 상에 위치되는 다수의 용지의 말단을 수용하는 위치인 후처리 장치.
KR1020200116064A 2020-09-10 2020-09-10 순환이동되는 이젝터를 지지하고 평행이동가능한 가이드 부재를 갖는 후처리 장치 KR2022003378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064A KR20220033783A (ko) 2020-09-10 2020-09-10 순환이동되는 이젝터를 지지하고 평행이동가능한 가이드 부재를 갖는 후처리 장치
PCT/US2021/019172 WO2022055548A1 (en) 2020-09-10 2021-02-23 Finisher having circulating ej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064A KR20220033783A (ko) 2020-09-10 2020-09-10 순환이동되는 이젝터를 지지하고 평행이동가능한 가이드 부재를 갖는 후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783A true KR20220033783A (ko) 2022-03-17

Family

ID=80632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064A KR20220033783A (ko) 2020-09-10 2020-09-10 순환이동되는 이젝터를 지지하고 평행이동가능한 가이드 부재를 갖는 후처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33783A (ko)
WO (1) WO2022055548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5172A (ja) * 2002-09-25 2004-04-15 Canon Finetech Inc シート回転装置及び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389514B2 (ja) * 2009-04-15 2014-01-15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6403449B2 (ja) * 2013-07-01 2018-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5548A1 (en)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0463B1 (ko) 용지후처리장치
EP1243541B1 (en) Sheet discharge apparatus including pressing member for giving wavy shape to shee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0644142B1 (en) Paper piece storing device
JPH07228401A (ja) シート後処理装置
JP2004059314A (ja)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030008700A (ko) 용지후처리장치에서의 용지적재장치
KR940005167B1 (ko) 화상형성 후처리 장치
US6341934B1 (en) Collating apparatus
EA009270B1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банкнот
JP4184971B2 (ja) コピー機の用紙処理装置
US7883079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JP2000153954A (ja) 綴じ装置
KR20220033783A (ko) 순환이동되는 이젝터를 지지하고 평행이동가능한 가이드 부재를 갖는 후처리 장치
KR100610946B1 (ko) 용지 수용 장치 및 용지 처리 장치
US6224054B1 (en) Sheet storage apparatus with sheet curl correction
KR101197254B1 (ko) 용지 후처리장치의 적재용지 누름장치
KR101147464B1 (ko)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
KR20210092474A (ko) 스테이플리스 바인더의 용지 분리 구조
JPH0632489A (ja) 画像形成装置のユニバーサル給紙カセット
KR200306298Y1 (ko) 용지후처리시스템의 용지수납장치
JPH0317738B2 (ko)
KR102004862B1 (ko) 피니셔 기구용 용지 배출장치
US20220339950A1 (en) Printing system
KR20210136366A (ko) 이젝터의 용지 배출 동작에 연동되어 동작되는 용지 누름 구조
KR100426599B1 (ko) 화상형성장치의 제본장치 및 그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