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225A - 방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방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225A
KR20220033225A KR1020200115370A KR20200115370A KR20220033225A KR 20220033225 A KR20220033225 A KR 20220033225A KR 1020200115370 A KR1020200115370 A KR 1020200115370A KR 20200115370 A KR20200115370 A KR 20200115370A KR 20220033225 A KR20220033225 A KR 20220033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vibration isolator
curvature
cap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0113B1 (ko
Inventor
김철수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15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113B1/ko
Publication of KR20220033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물을 수용하는 적재 공간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제공되고, 탄성 변형 가능하게 제공되는 방진부; 및 상기 방진부의 상측에 제공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방진부는 기 설정된 곡률을 갖도록 제공되는 방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방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ANTI VIBRATION DEVICE AND CONTAINER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방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국내 화물 운송의 76%는 주로 트럭과 같은 도로의 차량을 이용하고 있다. 특히, 전자제품, LCD, 반도체 등 고부가가치 민감 화물(이하, '민감 화물'이라 한다)은 주로 도로의 무진동 화물트럭으로 운송된다. 이러한 도로의 차량을 통한 화물 운송은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의 접근이 편리하지만, 유가 상승 등으로 인한 고가의 화물 운송료, 화물 차량의 규제, 도심 혼잡 및 환경 오염 등의 문제점을 유발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화물의 철도 운송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민감 화물은 대부분 진동과 충격에 약한 바, 도로와 철도 운송 및 이들 사이의 환적 시 발생하는 저주파 진동 및 충격으로 인해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종래에는 민감 화물에 충격흡수를 위한 포장을 함으로써 민감 화물 수송 시의 손상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충격흡수 포장은 민감 화물의 손상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민감 화물에 일일이 포장을 하는 데에 많은 시간 및 인력이 투입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민감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물 차량에 특수 현가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으나, 특수 현가 장치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20-019316호 (2020.02.06. 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장치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저비용으로 제공될 수 있는 방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마모 시 교체가 용이하여 방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화물을 수용하는 적재 공간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제공되고, 탄성 변형 가능하게 제공되는 방진부; 및 상기 방진부의 상측에 제공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방진부는 기 설정된 곡률을 갖도록 제공되는 방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진부는, 상기 베이스와 접촉하되, 제1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 방진부; 상기 캡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되, 제3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3 방진부; 상기 제1 방진부와 상기 제3 방진부 사이에 제공되고, 제2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방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곡률과 상기 제2 곡률은 동일하게 제공되는 방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곡률과 상기 제2 곡률은 32mm 내지 36mm로 제공되는 방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곡률과 상기 제2 곡률은 34.9mm로 제공되고, 상기 제3 곡률은 무한대로 제공되는 방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곡률은 상기 제2 곡률과 상기 제1 곡률보다 크게 제공되는 방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방진부는 상기 캡과 접촉하되, 동일한 두께로 제공되는 제3 방진부 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방진부 상부의 두께는 2.5mm 내지 3.5mm로 제공되는 방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진부는 천연고무로 형성되는 방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및 캡은, 철과 탄소의 합금인 탄소강으로 형성되는 방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진부의 상면과 상기 캡의 상면은 동일 평면 상에 제공되는 방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물을 지지할 수 있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내부 하면; 및 상기 안착부와 상기 내부 하면 사이에 상술한 방진장치가 복수 개 제공되는 제공되는 컨테이너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열차용 방진장치는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저비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모 시 교체가 용이하여 방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진장치의 일부를 절단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방진장치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방진장치와 비교 모델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방진장치와 비교 모델의 주변형률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1의 방진장치를 화물 열차에 설치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방진장치의 일부를 절단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방진장치의 일측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방진장치(10)는, 화물열차의 일측에 제공되어 화물열차 내부에 적재된 화물에 전달되는 진동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방진장치(10)가 화물열차에 설치되는 방진장치(10)로서 설명하겠으나, 방진장치(10)의 설치 위치는 화물열차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열차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방진장치(10)는, 설치 위치의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110)와, 탄성 변형 가능하게 제공되는 방진부(120)와, 방진부(120)의 상측에 제공되는 캡(13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중심측이 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110)는 도넛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10)는 외측을 따라 일정한 크기의 홈(미표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110)의 외측에 형성된 홈은 베이스(110)의 외면의 중간 지점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나, 베이스(110) 상에서 홈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베이스(110)의 내면 일측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10)의 내면 상측은 상부로 갈수록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질 수 있다. 즉, 베이스(110)의 상측은 상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10)의 하면은 편평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베이스(110)의 하면은 방진장치(10)의 설치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110)가 설치되는 설치면은 화물열차의 컨테이너(20, 도 6 참조)의 내부 하면(220, 도 6 참조)일 수 있으나, 베이스(110)가 설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베이스(110)는 탄소강으로 제공될 수 있다. 탄소강은 철과 탄소의 합금으로써, 탄소 함량이 0.02 내지 2.11%인 것을 의미한다. 탄소강은 유연성, 즉, 인성이 강한 재료로써, 탄소의 함유량을 변경함으로써 강도와 성질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소강은 탄소의 함유량을 높일수록 경도가 증가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강철 소재 보다 유연성이 높은 탄소강으로 제공됨에 따라, 베이스(110)에 제공되는 방진부(120)의 변형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진부(120)의 변형에 의해, 베이스(110)는 외면에 형성된 홈을 기준으로 변형될 수 있다. 베이스(110)의 구체적인 변형은 후술하겠다.
베이스(110)의 일측에는 방진부(120)가 제공된다. 방진부(12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베이스(110)의 내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진부(120)는 방진장치(10)에 제공되는 진동에 의해 변형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방진부(120)는 천연고무로 제공될 수 있다. 
방진부(120)의 외면은 기 설정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진부(120)의 일측은 베이스(110)의 내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진부(120)의 일측은 베이스(110)의 내면에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방진부(120)의 내면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나, 방진부(120)와 베이스(110)의 결합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방진부(120)의 하부는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고, 방진부(120)의 상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10)의 내면에서 연장된 방진부(120)의 일측에서 기 설정된 길이만큼 방진부(120)는 일정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진부(120)는 기 설정된 길이 이후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는 부분을 방진부(120)의 하부라 할 수 있고,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지는 부분을 방진부(120)의 상부라 할 수 있다. 즉, 방진부(120)의 상부에는 경사면(미표기)이 형성될 수 있다. 
방진부(120)의 하부는 일정한 두께로 형성됨에 따라, 방진부(120)의 하부의 내면과 외면은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110)에 인접한 방진부(120)의 일측면은 베이스(110)의 경사진 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방진부(120)의 상부에는 캡(130)이 제공될 수 있다. 캡(130)은 방진부(120)의 상측에서 방진부(12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베이스(11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방진부(120)는 베이스(110)를 통해 하측이 지지되고, 캡(130)을 통해 상측이 지지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캡(130)은 베이스(110)와 동일 소재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캡(130)은 탄소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캡(130)은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캡(130)의 일부는 중심측이 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캡(130)의 일부는 도넛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캡(130)의 일부는 중심 부분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내면이 서로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캡(130)의 상부는 중심측이 빈 형태로 형성되고, 캡(130)의 하부는 중심측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내면이 서로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캡(130)의 상부는 방진부(120)의 변형에 따라 중심측의 외측으로 변형 가능할 수 있고, 캡(130)의 하부는 변형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캡(130)의 구체적인 변형은 후술하겠다.
캡(130)의 상면 및 하면은 편평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캡(130)의 외면은 방진부(120)의 상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캡(130)의 외면은 방진부(120)의 상부 경사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캡(130)의 상면과 방진부(120)의 상면은 동일 평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방진부(120)의 일측에는 캡(130)이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천연고무 재질의 방진부(120)의 하측에 탄소강 재질의 베이스(110)가 고정될 수 있고, 천연고무 재질의 방진부(120)의 상측에 탄소강 재질의 캡(130)이 고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부(120)는 제1 방진부(122)와, 제2 방진부(124) 및 제3 방진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방진부(122)와 제2 방진부(124)는 가상의 선 A-A'를 따라 분리될 수 있고, 제2 방진부(124)와 제3 방진부(126)는 가상의 선 B-B'를 따라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진부(122)는 베이스(110)와 접촉할 수 있고, 제3 방진부(126)는 캡(130)과 접촉할 수 있으며, 제2 방진부(124)는 제1 방진부(122)와 제3 방진부(126)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방진부(120)의 일측에는 일정 곡률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진부(122)는 제1 곡률(R1)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2 방진부(124)는 제2 곡률(R2)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방진부(126)는 제3 곡률(R3)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진부(122)의 외면 및 내면은 32 내지 36mm의 곡률 반지름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방진부(122)의 외면 및 내면은 34.9mm의 곡률 반지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방진부(124)의 외면 및 내면은 32 내지 36mm의 곡률 반지름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2 방진부(124)의 외면 및 내면은 34.9mm의 곡률 반지름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곡률(R1)과 제2 곡률(R2)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3 방진부(126)의 외면은 무한대의 곡률 반지름을 가질 수 있다. 즉, 제3 곡률(R3)은 무한대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방진부(122) 및 제2 방진부(124)가 상술한 기 설정된 곡률로 형성됨에 따라, 방진부(120)는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외측으로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방진장치(10)는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외측으로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방진부(122)와 제2 방진부(124)와 제3 방진부(126)의 곡률을 설계함으로써, 기 설정된 목표강성(target stiffness)을 만족함과 동시에 최대 주변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목표강성은 0.5kN의 하중이 가해졌을 때 압축 거리는 10mm 이고, 최대 주변형률(maximum principal strain)은 0.2 이하일 수 있다. 이때, 방진장치(10)에 가해지는 고유 진동(natural frequency)는 5Hz 미만일 수 할 수 있다.
최대 주변형률은 방진장치(10)에서 변형이 가장 많이 일어난 지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최대 주변형률은 유한요소 해석에 의해 파악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방진장치와 비교하여, 목표강성을 만족함과 동시에 최대 주변형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바, 도로와 철도 운송 및 이들 사이의 환적시 발생하는 저주파 진동 및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방진장치(10)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제3 방진부(126)의 상측에는 동일한 두께로 제공되는 제3 방진부 상부(1262)가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방진부 상부(1262)는 캡(130)과 접촉될 수 있으며, 제3 방진부 상부(1262)의 상면과 캡(130)의 상면을 동일한 평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3 방진부 상부(1262)의 두께(L)는 2.5 내지 3.5mm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3 방진부 상부(1262)의 상면의 두께는 3mm로 제공될 수 있다.
방진장치(10)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질 경우, 방진부(120)는 가해지는 하중의 방향에 따라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진장치(10)의 상측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질 경우, 방진부(120)는 아래에서 위쪽으로 하중이 가해지면서 하측이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110)와 맞닿은 방진부(120)의 일측이 외측으로 변형됨에 따라, 베이스(110)는 외측에 형성된 홈의 상부가 방진부(120)와 함께 외측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즉, 방진부(120)의 변형과 동시에 베이스(110)의 일측도 미세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110)의 변형률은 방진부(120)의 변형률 보다 훨씬 작을 수 있다. 
또한, 방진장치(10)의 하측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질 경우, 방진부(120)는 위에서 아래로 하중이 가해지면서 상측이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캡(130)과 맞닿은 방진부(120)의 일측이 외측으로 변형됨에 따라, 중심측에 빈 공간이 형성된 캡(130)의 상부가 방진부(120)와 함께 외측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즉, 방진부(120)의 변형과 동시에 캡(130)의 일측도 미세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캡(130)의 변형률은 방진부(120)의 변형률 보다 훨씬 작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따른 방진장치(10)와 비교 모델을 비교하겠다.
도 4는 도 1의 방진장치와 비교 모델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방진장치와 비교 모델의 주변형률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의 일점 쇄선으로 제공된 optimal model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방진장치(10)를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실선으로 제공된 original model은 본 실시예의 방진장치(10)와 상이한 제1 비교 모델을 나타낸 것이며, 도 5의 점선으로 제공된 concept model은 본 실시예의 방진장치(10)와 상이한 제2 비교 모델을 나타낸 것이다.
제1 및 제2 비교 모델은 방진장치(10)와 상이한 곡률 반지름 및 상면 두께로 제공된 방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비교 모델의 방진부의 중심측의 곡률 반지름은 20 내지 30mm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비교 모델의 방진부의 중심측의 곡률 반지름은 25mm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비교 모델의 방진부의 외측의 곡률 반지름은 중심측의 곡률 반지름과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비교 모델의 방진부의 외측의 곡률 반지름은 15.5 내지 16mm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비교 모델의 방진부의 외측의 곡률 반지름은 15.9mm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방진부(120)의 중심측의 곡률 반지름과 외측의 곡률 반지름이 동일한 본 실시예의 방진장치(10)와 달리, 제1 비교 모델의 방진부의 중심측의 곡률 반지름과 외측의 곡률 반지름은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비교 모델의 방진부의 상면은 본 실시예의 방진장치(10)와 상이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비교 모델의 방진부의 상면은 0.5 내지 1.5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음, 바람직하게는, 제1 비교 모델의 방진부의 상면은 1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비교 모델은 방진장치(10)와 제1 비교 모델의 중간값을 갖는 곡률 반지름 및 상면 두께로 형성된 방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동일한 구속 조건에서의 방진장치(10)와 제1 비교 모델 및 제2 비교 모델의 주변형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방진장치(10)의 방진부(120) 및 제1 비교 모델과 제2 비교 모델의 방진부의 곡률 반지름 및 상면 두께의 오차 범위는 20% 이내이고, 압축 하중 0.5kN 하에서 반복 수행하여 얻어낸 결과이다. 이때, 방진장치(10)의 목표 강성은 압축 하중 0.5kN 하에서 압축 변위가 10mm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비교 모델의 최대 주변형률은 약 0.204이고, 본 실시예의 방진장치(10)의 최대 주변형률은 약 0.132이다. 또한, 제2 비교 모델의 최대 주변형률은 제1 비교 모델과 방진장치(10)의 최대 주변형률의 중간값을 가진다. 즉, 제1 비교 모델과 본 실시예의 방진장치(10)의 최대 주변형률을 비교하면 최대 주변형률이 약 35%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험 결과, 동일 하중 내에서 제1 비교 모델의 압축 변위는 7.6mm인 것과 달리, 방진장치(10)의 압축 변위는 9.9mm로써, 본 실시예의 방진장치(10)는 목표 범위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실시예의 방진장치(10)는 방진부(120)의 곡률 반지름을 34.9mm로 설정하고, 상면의 두께를 3mm로 설정함으로써, 주변형률을 낮추면서도 압축 변위를 증가시킨 최적화 모델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방진장치가 화물 열차의 컨테이너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물을 지지할 수 있는 안착부(230); 안착부(230)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내부 하면(220); 안착부(230)와 상기 내부 하면(220) 사이에 복수 개의 방진장치(10)가 제공되는 컨테이너(20)가 제공될 수 있다.
. 구체적으로, 화물열차의 컨테이너(20)는,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 공간(210)과, 적재 공간(210)의 내부 하면(22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공되는 안착부(230)와, 컨테이너(20)를 선택적으로 밀폐하는 도어(240)를 포함할 수 있다. 
화물열차는 복수의 컨테이너(20)가 연결되어 제공되는 것으로서, 컨테이너(20) 내부 적재 공간(210)에 화물을 수용함으로써 화물을 수송할 수 있다. 
컨테이너(20)의 적재 공간(210)에는 내부 하면(220)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공되는 안착부(230)가 제공될 수 있다. 안착부(230)는 화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편평하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안착부(230)는 내부 하면(220)과 일정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제공될 수 있다.
방진장치(10)는 안착부(230)와 컨테이너(20)의 내부 하면(220) 사이의 이격 공간에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착부(230)는 내부 하면(220)으로부터 방진장치(10)의 크기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안착부(230)는 방진장치(10)를 통해 내부 하면(220)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서 지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장치(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장치(10)는, 설치면에 제공되는 베이스(110)와, 탄성 변형 가능하게 제공되는 방진부(120)와, 방진부(120)의 상측에 제공되는 캡(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진부(120)는 천연고무로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110) 및 캡(130)은 탄소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10)와 캡(130)가 유연성을 갖는 탄소강으로 형성됨에 따라, 방진부(120)의 탄성 변형에 의해 베이스(110) 및 캡(130)도 변형될 수 있다.
방진부(120)는 탄성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으로서, 베이스(110)와 캡(130)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즉, 방진부(120)의 하측에 베이스(110)가 제공되고, 방진부(120)의 상측에 캡(130)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진부(120)는 베이스(110) 및 캡(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110)의 하면이 편평하게 형성되고, 캡(130)의 상면이 편평하게 제공됨에 따라, 방진장치(10)는 설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테이너(20)의 내부 하면(220)의 상측에 베이스(110)가 고정되고, 내부 하면(220)으로부터 이격된 안착부(230)의 하측에 캡(130)이 고정될 수 있다. 즉, 방진부(120)는 내부 하면(220)과 안착부(230)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화물열차 수송 시, 컨테이너(20)에 진동이 가해지면, 진동이 가해지는 하중 방향에 따라 방진부(120)가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물열차가 이동하는 레일 측에서 진동이 발생하여 컨테이너(20)에 영향을 줄 경우, 방진부(120)는 상측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면서 방진부(120)의 하측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의 진동을 방진부(120)에서 흡수함에 따라, 화물이 안착된 안착부(230)로 진동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컨테이너(20) 내부의 화물이 외부의 진동으로 인하여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컨테이너(20)의 상측에서 진동이 발생할 경우, 방진부(120)는 하측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면서 방진부(120)의 상측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진동을 방진부(120)에서 흡수할 수 있다. 
방진장치(10)는 컨테이너(20)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즉, 컨테이너(20)의 크기가 커지면, 컨테이너(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방진장치(10)의 개수도 증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방진장치(10)는 컨테이너(20)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으며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방진장치(10)는 설치를 위한 별도의 구성을 필요로하지 않은 바, 다양한 컨테이너(20) 내부에 손쉽게 설치될 수 있으며, 저비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방진장치(10)의 마모 시, 컨테이너(20) 내부 하면(220)과 안착부(230) 사이에서 방진장치(10)를 빼낸 후, 새로운 방진장치(10)로 교체가 가능함으로써, 화물열차의 방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진장치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 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실시 형태를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 방진장치
110 : 베이스
120 : 방진부
130 : 캡
20 : 컨테이너
210 : 적재 공간
220 : 내부 하면
230 : 안착부
240 : 도어

Claims (10)

  1. 화물을 수용하는 적재 공간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제공되고, 탄성 변형 가능하게 제공되는 방진부; 및
    상기 방진부의 상측에 제공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방진부는 기 설정된 곡률을 갖도록 제공되는
    방진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는,
    상기 베이스와 접촉하되, 제1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 방진부;
    상기 캡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되, 제3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3 방진부;
    상기 제1 방진부와 상기 제3 방진부 사이에 제공되고, 제2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방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곡률과 상기 제2 곡률은 동일하게 제공되는
    방진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률과 상기 제2 곡률은 32mm 내지 36mm로 제공되는
    방진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률과 상기 제2 곡률은 34.9mm로 제공되고, 상기 제3 곡률은 무한대로 제공되는
    방진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곡률은 상기 제2 곡률과 상기 제1 곡률보다 크게 제공되는
    방진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방진부는 상기 캡과 접촉하되, 동일한 두께로 제공되는 제3 방진부 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방진부 상부의 두께는 2.5mm 내지 3.5mm로 제공되는
    방진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는 천연고무로 형성되는
    방진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및 캡은,
    철과 탄소의 합금인 탄소강으로 형성되는
    방진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의 상면과 상기 캡의 상면은 동일 평면 상에 제공되는
    방진장치.
  10. 화물을 지지할 수 있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내부 하면; 및
    상기 안착부와 상기 내부 하면 사이에 제1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방진장치가 복수 개 제공되는 제공되는 컨테이너.
KR1020200115370A 2020-09-09 2020-09-09 방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KR102460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370A KR102460113B1 (ko) 2020-09-09 2020-09-09 방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370A KR102460113B1 (ko) 2020-09-09 2020-09-09 방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225A true KR20220033225A (ko) 2022-03-16
KR102460113B1 KR102460113B1 (ko) 2022-10-27

Family

ID=80937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370A KR102460113B1 (ko) 2020-09-09 2020-09-09 방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113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9834A (ja) * 1984-11-14 1986-06-07 コンテイネンタル・グミーウエルケ・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油圧減衰式弾性軸受
US5017328A (en) * 1989-05-04 1991-05-21 Mazurek John D Vibration dampening motor mount
JPH0579529A (ja) * 1991-07-23 1993-03-30 Bridgestone Corp 防振装置
KR960016091A (ko) * 1994-10-05 1996-05-22 가네꼬 히사시 압전 트랜스 구동 방법
US5641248A (en) * 1993-04-15 1997-06-24 Continental Emsco Company Variable spring rate compression element and riser tensioner system using the same
KR20090056409A (ko) * 2007-11-30 2009-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효면적 가변형 에어 댐핑 마운트
JP2010105726A (ja) * 2008-10-31 2010-05-13 Matsuda Gijutsu Kenkyusho:Kk 免振パレット装置
JP2018096512A (ja) * 2016-12-16 2018-06-21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防振ユニット
US20190285134A1 (en) * 2016-10-06 2019-09-19 Cooper Standard France Anti-Vibratory Support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Equipped With Same
JP2020019316A (ja) 2018-07-30 2020-02-0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貨車用バネ装置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9834A (ja) * 1984-11-14 1986-06-07 コンテイネンタル・グミーウエルケ・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油圧減衰式弾性軸受
US5017328A (en) * 1989-05-04 1991-05-21 Mazurek John D Vibration dampening motor mount
JPH0579529A (ja) * 1991-07-23 1993-03-30 Bridgestone Corp 防振装置
US5641248A (en) * 1993-04-15 1997-06-24 Continental Emsco Company Variable spring rate compression element and riser tensioner system using the same
KR960016091A (ko) * 1994-10-05 1996-05-22 가네꼬 히사시 압전 트랜스 구동 방법
KR20090056409A (ko) * 2007-11-30 2009-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효면적 가변형 에어 댐핑 마운트
JP2010105726A (ja) * 2008-10-31 2010-05-13 Matsuda Gijutsu Kenkyusho:Kk 免振パレット装置
US20190285134A1 (en) * 2016-10-06 2019-09-19 Cooper Standard France Anti-Vibratory Support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Equipped With Same
JP2018096512A (ja) * 2016-12-16 2018-06-21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防振ユニット
JP2020019316A (ja) 2018-07-30 2020-02-0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貨車用バ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0113B1 (ko)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0651B2 (ja) 防振装置
US5118086A (en) Elastomeric spring with non-linear force/deflection characteristics
US20150217616A1 (en) Auxiliary rubber spring for automobile suspension
CN106715166A (zh) 车辆悬架
KR102460113B1 (ko) 방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CN105840730A (zh) 一种矿用自卸车货厢减震垫
KR20210063735A (ko) 상용 차량용 리프스프링의 사일렌서
KR100922854B1 (ko) 현가장치를 갖는 캐스터
KR102278632B1 (ko) 컨테이너 화물 방진장치
JP2011005932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取付構造
EP2247491B1 (en) Cab suspension arrangement and cab suspension
JP2015098267A (ja) スペアタイヤ支持具
JP2015117791A (ja) 振動減衰器及びこれを用いたサスペンション
KR102347757B1 (ko) 화물 컨테이너용 방진장치
KR20110053851A (ko) 트럭용 캡틸팅 실린더의 마운팅 구조
CN211441890U (zh) 一种悬挂机构及使用该悬挂机构的货箱自动运输车
JP2020019316A (ja) 貨車用バネ装置
CN206092805U (zh) 矿用自卸车货厢减震垫
KR102184309B1 (ko) 화물 컨테이너용 방진장치
CN108501811A (zh) 镜子基座中的调谐质块阻尼器
JP5504733B2 (ja) 荷台防振構造
KR100527741B1 (ko) 차량의 현가장치
CN203906626U (zh) 一种开口式驾驶室悬置衬套及驾驶室悬置装置
CN206551865U (zh) 一种汽车消音器吊钩组件
JP2009115156A (ja) 車両用軸ば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