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004A - 낚시용 릴의 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004A
KR20220033004A KR1020210074215A KR20210074215A KR20220033004A KR 20220033004 A KR20220033004 A KR 20220033004A KR 1020210074215 A KR1020210074215 A KR 1020210074215A KR 20210074215 A KR20210074215 A KR 20210074215A KR 20220033004 A KR20220033004 A KR 20220033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support structure
outer ring
shaf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쿠니오 타케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20033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0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01K89/01925Reel supports, e.g. reel fee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6Hand crank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01K89/0193Frame details with bearing fea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과제] 제2 부분에 대한 제1 부분의 덜걱거림을 억제 가능한, 또한 제1 부분을 제2 부분에 대하여 부드럽게 회전 가능한 낚시용 릴의 지지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제1 지지 구조(9)에서는, 릴 본체(3)의 내주면(內周面)(47a1)이, 경(徑)방향에 있어서 핸들축(31)의 외주면(外周面)(45b1)과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1 베어링(33) 및 제2 베어링(34)은, 외주면(45b1) 및 내주면(47a1)의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놓아 배치된다. 제1 스페이서(35)는, 제1 베어링(33)의 내륜(內輪)(33a) 및 제2 베어링(34)의 내륜(34a)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규제 부재(39)는, 제1 베어링의 외륜(外輪) 및 제2 베어링의 외륜의 축 방향 간격이 제1 베어링의 내륜 및 제2 베어링의 내륜의 축 방향 간격보다 작아지도록, 제1 베어링(33)의 외륜(33b) 및 제2 베어링(34)의 외륜(34b) 중 어느 일방(一方)의 이동을 규제한다.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지지 구조{FISHING REEL SUPPORT STRUCTURE}
본 발명은, 낚시용 릴의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낚시용 릴, 예를 들어 양 베어링 릴에서는, 핸들축을 릴 본체(우(右)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키기 위한 지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지지 구조에서는, 압박 부재가, 핸들축의 선단(先端) 및 우 프레임의 축 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압박 부재에 의하여, 축 방향에 있어서의 핸들축의 덜걱거림이 억제되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5637호
종래의 양 베어링 릴의 지지 구조에서는, 핸들축의 선단 및 우 프레임의 축 방향 사이에 압박 부재를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축 방향에 있어서의 핸들축의 덜걱거림이 억제되고 있다. 이 경우, 핸들축의 선단이 압박 부재에 의하여 압압(押壓)된 상태로 핸들축이 회전하기 때문에, 핸들축의 선단 및 압박 부재의 사이에는, 접동(摺動) 저항이 생긴다. 이 접동 저항에 의하여, 제1 부분을 가지는 부재로서의 핸들축을, 제2 부분을 가지는 부재로서의 우 프레임에 대하여, 부드럽게 회전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본 발명의 목적은, 제2 부분에 대한 제1 부분의 덜걱거림을 억제 가능한, 또한 제1 부분을 제2 부분에 대하여 부드럽게 회전 가능한 낚시용 릴의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지지 구조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과, 제1 베어링 및 제2 베어링과, 스페이서와, 규제 부재를 구비한다. 제1 부분은, 축상(軸狀)으로 형성된다. 제1 부분은, 외주면(外周面)을 가진다. 제2 부분은, 내주면(內周面)을 가진다. 내주면은, 제1 부분의 축심으로부터 멀어지는 경(徑)방향에 있어서, 외주면과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1 베어링 및 제2 베어링은, 제1 부분의 외주면 및 제2 부분의 내주면의 사이에 있어서, 축심을 따르는 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놓아 배치된다.
스페이서는, 제1 베어링의 내륜(內輪) 및 제2 베어링의 내륜의 사이에 배치된다. 규제 부재는, 제1 베어링의 외륜(外輪) 및 제2 베어링의 외륜의 축 방향 간격이 제1 베어링의 내륜 및 제2 베어링의 내륜의 축 방향 간격보다 작아지도록, 제1 베어링의 외륜 및 제2 베어링의 외륜 중 어느 일방(一方)이 제1 베어링의 외륜 및 제2 베어링의 외륜 중 어느 타방(他方)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있어서, 제1 베어링의 외륜 및 제2 베어링의 외륜 중 어느 일방의 이동을 규제한다.
본 낚시용 릴의 지지 구조에서는, 스페이서가 제1 베어링의 내륜 및 제2 베어링의 내륜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1 베어링의 외륜 및 제2 베어링의 외륜 중 어느 일방이 제1 베어링의 외륜 및 제2 베어링의 외륜 중 어느 타방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있어서, 규제 부재는, 제1 베어링의 외륜 및 제2 베어링의 외륜 중 어느 일방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베어링의 외륜 및 제2 베어링의 외륜의 축 방향 간격이, 제1 베어링의 내륜 및 제2 베어링의 내륜의 축 방향 간격보다 작아진다.
이와 같이, 제1 베어링의 외륜 또는 제2 베어링의 외륜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에 있어서, 제1 베어링의 외륜 또는 제2 베어링의 외륜의 이동이 규제 부재에 의하여 규제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베어링 및 제2 베어링의 내부 간극(間隙)이 작아지기 때문에, 제2 부분에 대한 제1 부분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종래 기술과 같은 접동 저항이 제1 부분에 생기지 않기 때문에, 제1 부분을 제2 부분에 대하여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지지 구조는, 위치 결정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 결정 부재는, 제1 베어링의 내륜, 제2 베어링의 내륜, 및 스페이서를, 제1 부분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한다.
이 경우,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하여, 제1 베어링, 제2 베어링, 및 스페이서를, 제1 부분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지지 구조에서는, 제1 부분이 제1 당접면(當接面)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당접면에는, 제1 베어링의 내륜 및 제2 베어링의 내륜 중 어느 일방이 축 방향으로 당접한다. 위치 결정 부재는, 제1 베어링의 내륜 및 제2 베어링의 내륜 중 어느 타방을 제1 당접면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한다.
이 경우, 위치 결정 부재 및 제1 당접면에 의하여, 제1 베어링, 제2 베어링, 및 스페이서를 제1 부분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확실히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지지 구조에서는, 제2 부분은 제2 당접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당접면에는, 제1 베어링의 외륜 및 제2 베어링의 외륜 중 어느 타방이 축 방향으로 당접한다.
이 경우, 제1 베어링 및 제2 베어링을 제2 부분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지지 구조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부재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베어링의 외륜 및 제2 베어링의 외륜 중 어느 타방과, 제2 부분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 탄성 부재의 배치에 의하여, 제1 베어링 및 제2 베어링에 예압(豫壓)을 작용시키고, 그 예압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베어링 및 제2 베어링에 진동이 외부로부터 입력되었을 때에, 이 진동을 탄성 부재에 의하여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과, 스풀에 낚싯줄을 감기 위하여 조작되는 핸들 조립체와, 스풀 및 핸들 조립체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의 지지 구조를 구비한다.
지지 구조는, 핸들 조립체가 연결되는 구동축과, 구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를 가진다. 상기의 지지 구조의 제1 부분은, 구동축에 포함된다. 상기의 지지 구조의 제2 부분은, 릴 본체에 포함된다.
이와 같이, 지지 구조가 구동축 및 릴 본체에 의하여 구성되었다고 하여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릴 본체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과, 구동축에 연결되고 상기의 지지 구조를 가지는 핸들 조립체를 구비한다. 핸들 조립체는, 핸들 노브(knob)와, 핸들 노브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노브축을 가진다. 상기의 지지 구조의 제1 부분은, 노브축에 포함된다. 상기의 지지 구조의 제2 부분은, 핸들 노브에 포함된다.
이와 같이, 지지 구조가 핸들 조립체의 노브축 및 핸들 노브에 의하여 구성되었다고 하여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낚시용 릴의 지지 구조에 있어서, 제2 부분에 대한 제1 부분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제1 부분을 제2 부분에 대하여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가 채용된 양 베어링 릴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프레임 및 제1 지지 구조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프레임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제1 지지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제1 지지 구조의 단면도.
도 6a는 제1 지지 구조의 확대 단면도.
도 6b는 제1 지지 구조의 확대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가 채용된 양 베어링 릴의 제2 지지 구조의 단면도.
도 7b는 제2 지지 구조의 확대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가 채용된 양 베어링 릴의 제1 지지 구조의 단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가 채용된 양 베어링 릴의 제2 지지 구조의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1)(낚시용 릴의 일례)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3)와, 스풀(5)과, 핸들 조립체(7)와, 제1 지지 구조(9)(도 2를 참조)를 구비한다.
릴 본체(3)는, 낚싯대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3)는, 제1 지지 구조(9)를 통하여, 핸들축(3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3)는, 프레임(11)과, 제1 측 커버(13)와, 제2 측 커버(15)를 가진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11)은, 제1 측판(側板)(17)과 제2 측판(19)과 연결부(21)를 가진다. 제1 측판(17) 및 제2 측판(19)은, 스풀축의 축심(X1)을 따르는 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연결부(21)는, 제1 측판(17) 및 제2 측판(19)을 연결한다. 제1 측판(17)과 제2 측판(19)과 연결부(21)는, 일체(一體)로 형성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 커버(13) 및 제2 측 커버(15)는, 프레임(11)의 양 측부를 덮는다. 제1 측 커버(13) 및 제2 측 커버(15)는, 프레임(11)의 양 측부에 각각 별도로 장착된다. 예를 들어, 제1 측 커버(13)는, 핸들 조립체(7)와는 반대 측에 있어서, 제1 측판(17)에 장착된다. 제2 측 커버(15)는, 핸들 조립체(7)와 제2 측판(19)의 사이에 있어서, 제2 측판(19)에 장착된다. 제2 측 커버(15)는, 보스부(15a)를 가진다. 보스부(15a)에는, 핸들축(31)(도 2를 참조)이 삽통(揷通)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측판(19) 및 핸들 조립체(7)의 사이에는, 제1 지지 구조(9)가 배치된다. 또한, 제2 측판(19) 및 제2 측 커버(15)의 사이에는, 핸들축(31)의 회전을 스풀축으로 전달하는 회전 전달 기구(도시하지 않는다)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회전 전달 구조에는, 구동 기어 및 피니언 기어 등이 포함된다.
스풀(5)에는, 낚싯줄이 감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5)은, 제1 측판(17)과 제2 측판(19)의 사이에 배치된다. 스풀(5)은, 스풀축과 일체 회전 가능하도록, 스풀 축에 고정된다. 스풀축은, 릴 본체(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스풀축은, 제1 측판(17) 및 제2 측판(19)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조립체(7)는, 스풀(5)에 낚싯줄을 감기 위하여 조작된다. 핸들 조립체(7)는, 릴 본체(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예를 들어, 핸들 조립체(7)는, 핸들축(31)(도 2를 참조)을 통하여, 릴 본체(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핸들 조립체(7)는, 핸들 암(23)과 핸들 노브(25)를 가진다. 핸들 암(23)은, 핸들축(31)(도 2를 참조)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핸들축(31)에 장착된다. 핸들 노브(25)는, 핸들 암(2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지지 구조(9)는, 핸들축(31)이 릴 본체(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핸들축(31)을 지지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지지 구조(9)는, 스풀(5) 및 핸들 조립체(7)의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 지지 구조(9)는, 프레임(11)의 제2 측판(19) 및 핸들 조립체(7)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지지 구조(9)는, 핸들축(31)(제1 부분의 일례)과, 릴 본체(3)(제2 부분의 일례)와, 제1 베어링(33) 및 제2 베어링(34)과, 제1 스페이서(35)와, 제1 위치 결정 부재(37)와, 제1 규제 부재(39)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지지 구조(9)는, 제3 베어링(41)과 실(seal) 부재(42)를 더 구비한다.
핸들축(31)은, 축상으로 형성된다. 핸들축(31)은, 핸들 조립체(7)(도 1을 참조)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핸들축(31)의 일단부(一端部)는, 제2 측 커버(15)의 보스부(15a)(도 1을 참조)의 내주부에 삽통된다. 핸들축(31)의 일단부의 선단은, 핸들 조립체(7)의 핸들 암(23)(도 1을 참조)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축(31)은, 릴 본체(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축(31)은, 제1 베어링(33) 및 제2 베어링(34)을 통하여, 릴 본체(3)(프레임(11))의 제2 측판(1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핸들축(31)은, 제3 베어링(41)(도 4를 참조)을 통하여, 제2 측 커버(15)의 보스부(15a)(도 1을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축(31)은, 축 본체(43)와 장착부(45)를 가진다. 축 본체(43)는, 실질적으로 축상으로 형성된다. 축 본체(43)는, 제3 베어링(41)을 통하여, 제2 측 커버(15)의 보스부(15a)(도 1을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장착부(45)는, 핸들축(31)의 일단부를 형성한다. 장착부(45)는, 축 본체(43)의 단부로부터, 핸들축(31)의 축심(X2)을 따르는 축 방향으로 돌출한다. 장착부(45)는, 제1 베어링(33) 및 제2 베어링(34)을 통하여, 제2 측판(19)의 피장착부(47)(후술한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부(45)는, 실질적으로 통상(筒狀)으로 형성된다. 장착부(45)는, 대경부(大徑部)(45a)와 소경부(小徑部)(45b)를 가진다. 핸들축(31)의 축심(X2)은, 대경부(45a)의 중심 및 소경부(45b)의 중심을 통과한다.
대경부(45a)는, 축 본체(43)의 단부에 설치된다. 대경부(45a)는, 장착부(45)의 기단부(基端部)를 형성한다. 소경부(45b)는, 대경부(45a)로부터, 핸들축(31)의 축심(X2)을 따르는 축 방향으로 돌출한다. 소경부(45b)는, 외주면(45b1)(제1 부분의 외주면의 일례)과, 암(雌)나사부(45b2)를 가진다. 암나사부(45b2)는, 소경부(45b)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소경부(45b)의 외경(外徑)은, 대경부(45a)의 외경보다 작다.
이와 같이 대경부(45a) 및 소경부(45b)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대경부(45a)의 선단면은, 핸들축(31)의 축심(X2) 둘레에 환상(環狀)으로 연장되는 제1 환상면(45a1)(제1 당접면의 일례)을 형성한다. 즉, 핸들축(31)(장착부(45)의 대경부(45a))은, 제1 환상면(45a1)을 포함한다.
도 3, 도 5, 및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3)는, 피장착부(47)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제2 측판(19)은, 피장착부(47)를 가진다. 피장착부(47)는, 제2 측판(19)에 있어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장착부(47)는, 대경 구멍부(47a)와 소경 구멍부(47b)를 가진다. 핸들축(31)의 축심(X2)은, 대경 구멍부(47a)의 중심 및 소경 구멍부(47b)의 중심을 통과한다. 대경 구멍부(47a)는, 피장착부(47)의 개구(開口) 측에 형성된다. 대경 구멍부(47a)의 내주면(47a1)(제2 부분의 내주면의 일례)은, 핸들축(31)의 축심(X2)으로부터 멀어지는 경방향에 있어서, 핸들축(31)에 있어서의 장착부(45)의 외주면(45b1)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소경 구멍부(47b)는, 대경 구멍부(47a)의 저부(底部)에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다. 소경 구멍부(47b)의 내경(內徑)은, 대경 구멍부(47a)의 내경보다 작다.
이와 같이 대경 구멍부(47a) 및 소경 구멍부(47b)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대경 구멍부(47a)의 저부는, 핸들축(31)의 축심(X2) 둘레에 환상으로 연장되는 제2 환상면(47a2)(제2 당접면의 일례)을 형성한다. 즉, 릴 본체(3)(피장착부(47))는 제2 환상면(47a2)을 포함한다.
도 4, 도 5, 및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베어링(33) 및 제2 베어링(34)은, 핸들축(31)(장착부(45))의 외주면(45b1)과, 릴 본체(3)(피장착부(47))의 내주면(47a1)과의 사이에 있어서, 핸들축(31)의 축심(X2)을 따르는 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나란히 놓아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베어링(33) 및 제2 베어링(34)은, 핸들축(31)의 축심(X2)으로부터 멀어지는 경방향에 있어서, 장착부(45)(소경부(45b))의 외주면(45b1)과, 피장착부(47)의 대경 구멍부(47a)의 내주면(47a1)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베어링(33) 및 제2 베어링(34)은, 핸들축(31)의 축심(X2)을 따르는 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놓아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제1 베어링(33)은, 내륜(33a)과, 외륜(33b)과, 내륜(33a) 및 외륜(33b)의 사이에 배치되는 전동체(33c)를 가진다. 제2 베어링(34)은, 내륜(34a)과, 외륜(34b)과, 내륜(34a) 및 외륜(34b)의 사이에 배치되는 전동체(34c)를 가진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베어링(33)의 내륜(33a) 및 제2 베어링(34)의 내륜(34a)은, 핸들축(31)의 축심(X2)을 따르는 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1 베어링(33)의 외륜(33b) 및 제2 베어링(34)의 외륜(34b)은, 핸들축(31)의 축심(X2)을 따르는 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1 베어링(33)의 내륜(33a) 및 제2 베어링(34)의 내륜(34a)은, 장착부(45)(소경부(45b))의 외주면(45b1)에 접촉한다. 제1 베어링(33)의 내륜(33a)에는, 핸들축(31)의 축심(X2)을 따르는 축 방향에 있어서, 핸들축(31)(장착부(45))의 제1 환상면(45a1)이 당접한다.
제1 베어링(33)의 외륜(33b) 및 제2 베어링(34)의 외륜(34b)은, 피장착부(47)의 대경 구멍부(47a)의 내주면(47a1)에 접촉한다. 제2 베어링(34)의 외륜(34b)에는, 핸들축(31)의 축심(X2)을 따르는 축 방향에 있어서, 릴 본체(3)(피장착부(47))의 제2 환상면(47a2)이 당접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베어링(41)은, 핸들축(31)의 외주면(31b)과, 제2 측 커버(15)의 보스부(15a)(도 1을 참조)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3 베어링(41)의 내륜은, 통상 부재(48)를 통하여, 핸들축(31)의 외주면(31b)에 장착된다. 제3 베어링(41)의 외륜은, 제2 측 커버(15)의 보스부(15a)(도 1을 참조)의 내주면에 장착된다.
도 4, 도 5, 및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스페이서(35)는, 제1 베어링(33)의 내륜(33a) 및 제2 베어링(34)의 내륜(34a)의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 스페이서(35)는, 환상으로 형성된다. 제1 스페이서(35)는, 제1 베어링(33)의 내륜(33a) 및 제2 베어링(34)의 내륜(34a)의 축 방향 사이에 있어서, 장착부(45)(소경부(45b))의 외주면(45b1)에 배치된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스페이서(35)가 제1 베어링(33)의 내륜(33a) 및 제2 베어링(34)의 내륜(34a)의 사이에서 제1 베어링(33)의 내륜(33a) 및 제2 베어링(34)의 내륜(34a)에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제1 베어링(33)의 내륜(33a), 제2 베어링(34)의 내륜(34a), 및 제1 스페이서(35)의 축 방향 길이는, 장착부(45)의 소경부(45b)의 축 방향 길이보다 길다. 장착부(45)의 소경부(45b)의 축 방향 길이는, 장착부(45)의 제1 환상면(45a1)으로부터 장착부(45)의 소경부(45b)의 선단까지의 축 방향 길이로 해석하여도 무방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제1 베어링(33)의 내륜(33a), 제2 베어링(34)의 내륜(34a), 및 제1 스페이서(35)가, 장착부(45)의 소경부(45b)의 외주면(45b1)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제2 베어링(34)의 내륜(34a)은, 장착부(45)의 소경부(45b)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한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위치 결정 부재(37)는, 제1 베어링(33)의 내륜(33a), 제2 베어링(34)의 내륜(34a), 및 제1 스페이서(35)를 핸들축(31)의 축심(X2)을 따르는 축 방향에 있어서, 핸들축(31)에 위치 결정한다. 제1 위치 결정 부재(37)는, 제2 베어링(34)의 내륜(34a)을 제1 환상면(45a1)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한다. 제1 위치 결정 부재(37)는, 핸들축(31)의 장착부(45)에 취부(取付)된다. 예를 들어, 제1 위치 결정 부재(37)는, 장착부(45)의 소경부(45b)에 취부된다.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위치 결정 부재(37)는, 본체부(37a)와 테두리부(37b)를 가진다. 본체부(37a)는, 원통상(圓筒狀)으로 형성된다. 본체부(37a)는, 수(雄)나사부(37a1)를 가진다. 수나사부(37a1)는, 본체부(37a)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수나사부(37a1)는, 소경부(45b)의 내주면에 설치된 암나사부(45b2)에 나합(螺合)한다. 테두리부(37b)는, 본체부(37a)에 나란히 놓여 원판상(圓板狀)으로 설치된다. 테두리부(37b)는, 본체부(37a)의 외주면(45b1)으로부터 환상으로 돌출한다. 테두리부(37b)는, 제2 베어링(34)의 내륜(34a)에 당접한다.
본체부(37a)의 수나사부(37a1)를 소경부(45b)의 암나사부(45b2)에 비틀어 박는 것에 의하여, 테두리부(37b)는, 제2 베어링(34)의 내륜(34a)을 제1 환상면(45a1)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베어링(33)의 내륜(33a), 제2 베어링(34)의 내륜(34a), 및 제1 스페이서(35)가, 핸들축(31)의 축심(X2)을 따르는 축 방향에 있어서, 핸들축(31)에 위치 결정된다.
여기에서, 제1 규제 부재(39)가 미장착의 상태에서는, 제1 베어링(33)의 외륜(33b)과, 제2 베어링(34)의 외륜(34b)과, 제1 베어링(33)의 외륜(33b) 및 제2 베어링(34)의 외륜(34b)의 사이의 간극과의 축 방향 길이는, 피장착부(47)의 대경 구멍부(47a)의 축 방향 길이보다 약간 짧다. 이 구성에 의하여, 제1 베어링(33)의 외륜(33b)은, 핸들축(31)의 축심(X2)을 따르는 축 방향에 있어서, 피장착부(47)의 대경 구멍부(47a)의 개구단(開口端)으로부터 약간 요함(凹陷)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 부재(42)는, 제1 규제 부재(39) 및 릴 본체(3)(프레임(11))의 제2 측판(19)의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실 부재(42)는, 제1 규제 부재(39)에 의하여 압압된 상태에서, 제2 측판(19)의 오목부(19a)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규제 부재(39)는, 릴 본체(3)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규제 부재(39)는, 제1 베어링(33)의 외륜(33b)에 당접한 상태에서, 나사 부재(40)에 의하여 제2 측판(19)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규제 부재(39)는, 제1 베어링(33)의 외륜(33b)이, 핸들축(31)의 축심(X2)을 따르는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규제 부재(39)는, 제1 베어링(33)의 외륜(33b)이 릴 본체(3)(피장착부(47))의 제2 환상면(47a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있어서, 제1 베어링(33)의 외륜(33b)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와 같이, 제1 규제 부재(39)가, 제1 베어링(33)의 외륜(33b)이 제2 베어링(34)의 외륜(34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있어서, 제1 베어링(33)의 외륜(33b)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에 의하여, 제1 베어링(33)의 외륜(33b) 및 제2 베어링(34)의 외륜(34b)의 축 방향 간격이, 제1 베어링(33)의 내륜(33a) 및 제2 베어링(34)의 내륜(34a)의 축 방향 간격보다 작아진다. 즉, 제1 베어링(33)의 외륜(33b) 및 제2 베어링(34)의 외륜(34b)의 사이의 간극이 작아진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베어링(33) 및 제2 베어링(34)의 내외륜 사이의 덜걱거림이 억제된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제1 지지 구조(9)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먼저, 실 부재(42)가 제2 측판(19)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제1 베어링(33), 제1 스페이서(35), 및 제2 베어링(34)이, 핸들축(31)의 장착부(45)(소경부(45b))의 외주면(45b1)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1 위치 결정 부재(37)가 핸들축(31)의 장착부(45)(소경부(45b))에 장착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베어링(33), 제1 스페이서(35), 및 제2 베어링(34)이, 제1 위치 결정 부재(37)에 의하여, 핸들축(31)에 위치 결정된다.
계속하여, 제1 베어링(33), 제1 스페이서(35), 제2 베어링(34), 제1 위치 결정 부재(37), 및 핸들축(31)의 장착부(45)가, 제2 측판(19)의 피장착부(47)(대경 구멍부(47a))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1 규제 부재(39)가, 제2 측판(19)에 장착된다. 이것에 의하여, 핸들축(31)이, 제2 측판(19)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계속하여, 제3 베어링(41)의 내륜이 핸들축(31)에 장착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2 측 커버(15)(보스부(15a))가 제3 베어링(41)의 외륜에 장착된다. 이것에 의하여, 핸들축(31)이, 제2 측 커버(1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덧붙여, 여기에서는 회전 전달 기구에 관계되는 부재의 조립에 관하여는 생략하고 있다.
상기의 양 베어링 릴(1)의 제1 지지 구조(9)에서는, 제2 베어링(34)의 외륜(34b)이 제1 베어링(33)의 외륜(33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있어서, 제2 베어링(34)의 외륜(34b)의 이동이 제1 규제 부재(39)에 규제되는 것에 의하여, 제1 베어링(33) 및 제2 베어링(34)의 내부 간극이 작아진다. 이것에 의하여, 릴 본체(3)(제2 측판(19))에 대한 핸들축(31)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핸들축(31)에는, 종래 기술과 같은 접동 저항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핸들축(31)을 릴 본체(3)(제2 측판(19))에 대하여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양 베어링 릴(1)이 제1 지지 구조(9)를 구비하는 경우의 예가 나타내졌다. 양 베어링 릴(1)은, 도 1 및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지지 구조(109)를 포함하는 핸들 조립체(107)를 구비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여기에서, 제2 지지 구조(109)는, 상기의 제1 지지 구조(9)와 병용하여도 무방하고, 상기의 제1 지지 구조(9)를 이용하는 일 없이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무방하다. 덧붙여,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여기에서는 설명이 생략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들 조립체(107)는, 핸들축(31)에 연결된다.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조립체(107)는, 제2 지지 구조(109)를 가진다. 예를 들어, 핸들 조립체(107)는, 핸들 암(23)과, 제2 지지 구조(109)를 구성하는 노브축(24)(제1 부분의 일례)과, 제2 지지 구조(109)를 구성하는 핸들 노브(25)(제2 부분의 일례)를 가진다. 즉, 핸들 조립체(107)는, 핸들 암(23)과 제2 지지 구조(109)를 가진다.
핸들 암(23)은, 핸들축(31)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핸들축(31)에 장착된다. 핸들 암(23)에는, 노브축(24)이 장착된다. 제2 지지 구조(109)는, 핸들 노브(25)가 노브축(2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핸들 노브(25)를 지지한다.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지지 구조(109)는, 핸들 암(23)에 설치된다. 제2 지지 구조(109)는, 노브축(24)과, 핸들 노브(25)와, 제4 베어링(133) 및 제5 베어링(134)과, 제2 스페이서(135)(도 7b를 참조)와, 제2 위치 결정 부재(137)와, 제2 규제 부재(139)를 구비한다.
노브축(24)은, 축상으로 형성된다. 노브축(24)은, 핸들 암(23)에 장착된다. 노브축(24)은, 핸들 노브(2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노브축(24)은, 제4 베어링(133) 및 제5 베어링(134)을 통하여, 핸들 노브(2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예를 들어, 노브축(24)은, 축 본체(143)와 장착부(145)를 가진다. 축 본체(143)는, 실질적으로 축상으로 형성된다. 축 본체(143)의 일단부는, 핸들 암(23)에 장착된다. 축 본체(143)의 타단부(他端部)에는, 장착부(145)가 설치된다.
노브축(24)의 장착부(145)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핸들축(31)의 장착부(45)와 실질적으로 같다. 이 때문에, 노브축(24)의 장착부(145)의 구성은 간단하게 설명된다. 장착부(145)는, 제4 베어링(133) 및 제5 베어링(134)을 통하여, 핸들 노브(2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장착부(145)는, 실질적으로 통상으로 형성된다.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부(145)는, 대경부(145a)와 소경부(145b)를 가진다. 대경부(145a)는, 축 본체(143)의 단부에 설치된다. 소경부(145b)는, 외주면(145b1)(제1 부분의 외주면의 일례)과,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145b2)를 가진다.
이와 같이 대경부(145a) 및 소경부(145b)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대경부(145a)의 선단면은, 노브축(24)의 축심(X3) 둘레에 환상으로 연장되는 제3 환상면(145a1)(제1 당접면의 일례)을 형성한다. 즉, 노브축(24)(장착부(145))은, 제3 환상면(145a1)을 포함한다. 제3 환상면(145a1)에는, 제4 베어링(133)의 내륜(133a)이 축 방향으로 당접한다.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노브(25)는, 제1 노브 본체(147)와 제2 노브 본체(148)를 가진다. 제1 노브 본체(147)는, 낚시꾼이 파지(把持)하는 부분이다. 제1 노브 본체(147)는, 구멍부(147a)를 가진다. 제2 노브 본체(148)는, 제1 노브 본체(147)의 구멍부(147a)에 나합된다.
제2 노브 본체(148)는, 제1 통부(筒部)(149)와 제2 통부(150)를 가진다. 제1 통부(149) 및 제2 통부(150)의 내부에는, 노브축(24)이 배치된다. 제1 통부(149)에는, 축 본체(143)가 배치된다. 제1 통부(149)에는, 제1 노브 본체(147)가 당접한다. 제1 통부(149)의 외경은, 제2 통부(150)의 외경보다 크다.
제2 통부(150)는, 제1 통부(149)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2 통부(150)에는, 축 본체(143)와 장착부(145)가 배치된다. 제2 통부(150)는, 소경 구멍부(150a)와 대경 구멍부(150b)를 가진다. 노브축(24)의 축심(X3)은, 소경 구멍부(150a)의 중심 및 대경 구멍부(150b)의 중심을 통과한다.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경 구멍부(150a)는, 핸들 암(23) 측에 형성된다.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경 구멍부(150a)의 내부에는, 축 본체(143)와 대경부(145a)가 배치된다. 소경 구멍부(150a)의 내경은, 대경 구멍부(150b)의 내경보다 작다.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경 구멍부(150b)는, 핸들 암(23)으로부터 멀어진 측에 형성된다.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경 구멍부(150b)의 내부에는, 소경부(145b)가 배치된다. 대경 구멍부(150b)의 내주면(150b1)(제2 부분의 내주면의 일례)은, 노브축(24)의 축심(X3)으로부터 멀어지는 경방향에 있어서, 노브축(24)(소경부(145b))의 외주면(145b1)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소경 구멍부(150a) 및 대경 구멍부(150b)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대경 구멍부(150b)의 저부는, 노브축(24)의 축심(X3) 둘레에 환상으로 연장되는 제4 환상면(150b2)(제2 당접면의 일례)을 형성한다. 즉, 핸들 노브(25)(제2 노브 본체(148))는, 제4 환상면(150b2)을 포함한다. 제4 환상면(150b2)에는, 제4 베어링(133)의 외륜(133b)이 축 방향으로 당접한다.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4 베어링(133)은, 내륜(133a)과, 외륜(133b)과, 내륜(133a) 및 외륜(133b)의 사이에 배치되는 전동체(133c)를 가진다. 제5 베어링(134)은, 내륜(134a)과, 외륜(134b)과, 내륜(134a) 및 외륜(134b)의 사이에 배치되는 전동체(134c)를 가진다.
제4 베어링(133) 및 제5 베어링(134)은, 노브축(24)의 외주면(145b1)(소경부(145b)의 외주면(145b1))과, 핸들 노브(25)의 내주면(150b1)(대경 구멍부(150b)의 내주면(150b1))과의 경방향 사이에 배치된다. 제4 베어링(133) 및 제5 베어링(134)은, 노브축(24)의 외주면(145b1)과, 핸들 노브(25)의 내주면(150b1)의 사이에 있어서, 노브축(24)의 축심(X3)을 따르는 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나란히 놓아 배치된다.
제4 베어링(133)의 내륜(133a) 및 제5 베어링(134)의 내륜(134a)은, 노브축(24)의 축심(X3)을 따르는 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4 베어링(133)의 외륜(133b) 및 제5 베어링(134)의 외륜(134b)은, 노브축(24)의 축심(X3)을 따르는 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4 베어링(133)의 내륜(133a) 및 제5 베어링(134)의 내륜(134a)은, 노브축(24)의 외주면(145b1)(소경부(145b)의 외주면(145b1))에 접촉한다. 제4 베어링(133)의 내륜(133a)은, 노브축(24)의 축심(X3)을 따르는 축 방향에 있어서, 노브축(24)의 제3 환상면(145a1)에 당접한다.
제4 베어링(133)의 외륜(133b) 및 제5 베어링(134)의 외륜(134b)은, 핸들 노브(25)의 내주면(150b1)(대경 구멍부(150b)의 내주면(150b1))에 접촉한다. 제4 베어링(133)의 외륜(133b)은, 노브축(24)의 축심(X3)을 따르는 축 방향에 있어서, 핸들 노브(25)의 제4 환상면(150b2)(제2 노브 본체(148)의 제4 환상면(150b2))에 당접한다.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스페이서(135)는, 제4 베어링(133)의 내륜(133a) 및 제5 베어링(134)의 내륜(134a)의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2 스페이서(135)는, 환상으로 형성된다. 제2 스페이서(135)는, 제4 베어링(133)의 내륜(133a) 및 제5 베어링(134)의 내륜(134a)의 축 방향 사이에 있어서, 노브축(24)의 외주면(145b1)(소경부(145b)의 외주면(145b1))에 배치된다.
제2 스페이서(135)가 제4 베어링(133)의 내륜(133a) 및 제5 베어링(134)의 내륜(134a)에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제4 베어링(133)의 내륜(133a), 제5 베어링(134)의 내륜(134a), 및 제2 스페이서(135)의 축 방향 길이는, 장착부(145)의 소경부(145b)의 축 방향 길이보다 길다. 장착부(145)의 소경부(145b)의 축 방향 길이는, 장착부(145)의 제3 환상면(145a1)으로부터 장착부(145)의 소경부(145b)의 선단까지의 축 방향 길이로 해석하여도 무방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제4 베어링(133)의 내륜(133a), 제5 베어링(134)의 내륜(134a), 및 제2 스페이서(135)가, 장착부(145)의 소경부(145b)의 외주면(145b1)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제5 베어링(134)의 내륜(134a)은, 노브축(24)의 축심(X3)을 따르는 축 방향에 있어서, 장착부(145)의 소경부(145b)의 선단으로부터 약간 돌출한다.
제2 위치 결정 부재(137)는, 제4 베어링(133)의 내륜(133a), 제5 베어링(134)의 내륜(134a), 및 제2 스페이서(135)를, 노브축(24)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한다. 제2 위치 결정 부재(137)는, 제5 베어링(134)의 내륜(134a)을 제3 환상면(145a1)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한다. 제2 위치 결정 부재(137)는, 노브축(24)의 장착부(145)에 취부된다. 예를 들어, 제2 위치 결정 부재(137)는, 장착부(145)의 소경부(145b)에 취부된다. 여기에서는, 제5 베어링(134)의 내륜(134a)은, 노브축(24)의 축심(X3)을 따르는 축 방향에 있어서, 장착부(145)의 소경부(145b)의 선단으로부터 약간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제2 위치 결정 부재(137)는 제5 베어링(134)의 내륜(134a)을 제3 환상면(145a1)을 향하게 하여 압압한다.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위치 결정 부재(137)는, 본체부(137a)와 테두리부(137b)를 가진다. 제2 위치 결정 부재(137)의 구성은, 제1 위치 결정 부재(37)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같다. 본체부(137a)의 수나사부를 소경부(145b)의 암나사부(145b2)에 비틀어 박는 것에 의하여, 테두리부(137b)는, 제5 베어링(134)의 내륜(134a)이 제3 환상면(145a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있어서, 제5 베어링(134)의 내륜(134a)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4 베어링(133)의 내륜(133a), 제5 베어링(134)의 내륜(134a), 및 제2 스페이서(135)가, 노브축(24)의 축심(X3)을 따르는 축 방향에 있어서, 노브축(24)에 위치 결정된다.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규제 부재(139)는, 핸들 노브(25)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제2 규제 부재(139)는, 핸들 노브(25)의 제2 노브 본체(148)에 장착된다. 상세하게는,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규제 부재(139)는, 선단 측에 중공(中空) 원통부(139a)와, 기단 측에 수나사부(139b)를 가진다. 수나사부(139b)는, 제2 통부(150)(대경 구멍부(150b))의 암나사부(150b3)에 비틀어 박힌다. 이것에 의하여, 제2 규제 부재(139)의 중공 원통부(139a)의 선단은, 제5 베어링(134)의 외륜(134b)에 당접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2 규제 부재(139)는, 제5 베어링(134)의 외륜(134b)이 제4 베어링(133)의 외륜(133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노브축(24)의 축심(X3)을 따르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5 베어링(134)의 외륜(134b)의 이동을 규제한다. 예를 들어, 제2 규제 부재(139)는, 제5 베어링(134)의 외륜(134b)이 핸들 노브(25)(제2 노브 본체(148))의 제4 환상면(150b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있어서, 제5 베어링(134)의 외륜(134b)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와 같이, 제2 규제 부재(139)가, 제5 베어링(134)의 외륜(134b)이 제4 베어링(133)의 외륜(133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있어서, 제5 베어링(134)의 외륜(134b)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에 의하여, 제4 베어링(133)의 외륜(133b) 및 제5 베어링(134)의 외륜(134b)의 축 방향 간격이, 제4 베어링(133)의 내륜(133a) 및 제5 베어링(134)의 내륜(134a)의 축 방향 간격보다 작아진다. 즉, 제4 베어링(133)의 외륜(133b) 및 제5 베어링(134)의 외륜(134b)의 사이의 간극이 작아진다. 이것에 의하여, 제4 베어링(133) 및 제5 베어링(134)이 예압되고, 내외륜 사이의 덜걱거림이 억제된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제2 지지 구조(109)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먼저, 노브축(24)의 외주에 핸들 노브(25)가 장착된 상태에서, 제4 베어링(133), 제2 스페이서(135), 및 제5 베어링(134)이, 노브축(24)의 장착부(145)(소경부(145b))의 외주면(145b1) 및 핸들 노브(25)(제2 통부(150))의 내주면(150b1)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2 위치 결정 부재(137)가 노브축(24)의 장착부(145)(소경부(145b))에 장착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4 베어링(133), 제2 스페이서(135), 및 제5 베어링(134)이, 제2 위치 결정 부재(137)에 의하여, 노브축(24)에 위치 결정된다.
다음으로, 제2 규제 부재(139)가, 핸들 노브(25)의 대경 구멍부(150b)에 비틀어 박힌다. 제5 베어링(134)의 외륜(134b)이 제4 베어링(133)의 외륜(133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있어서, 제2 규제 부재(139)가 제5 베어링(134)의 외륜(134b)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것에 의하여, 노브축(24)이, 핸들 노브(2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의 양 베어링 릴(1)의 제2 지지 구조(109)에서는, 제5 베어링(134)의 외륜(134b)이 제4 베어링(133)의 외륜(133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있어서, 제5 베어링(134)의 외륜(134b)의 이동이 제2 규제 부재(139)에 규제되는 것에 의하여, 제4 베어링(133) 및 제5 베어링(134)의 내부 간극이 작아진다. 이것에 의하여, 핸들 노브(25)에 대한 노브축(24)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노브축(24)의 접동 저항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들 노브(25)를 노브축(24)에 대하여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당접」이라고 기재하고 있는 것은, 직접적인 접촉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하의 실시 형태와 같이 다른 부재가 개재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A1)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지지 구조(9) 및 제2 지지 구조(109)는, 제1 탄성 부재(61) 및 제2 탄성 부재(62)를, 각각 별도로 더 구비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지지 구조(9)에서는, 제1 탄성 부재(61)는, 핸들축(31)의 축심(X2)을 따르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2 베어링(34)의 외륜(34b)과 릴 본체(3)(제2 측판(19))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지지 구조(109)에서는, 제2 탄성 부재(62)는, 노브축(24)의 축심(X3)을 따르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4 베어링(133)의 외륜(133b)과 핸들 노브(25)(제2 노브 본체(148))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 탄성 부재(61) 및 제2 탄성 부재(62)는, O링이다. 제1 탄성 부재(61)는, 핸들축(31)의 축심(X2)을 따르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2 베어링(34)의 외륜(34b)과 릴 본체(3)의 제2 환상면(47a2)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2 탄성 부재(62)는, 노브축(24)의 축심(X3)을 따르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4 베어링(133)의 외륜(133b)과 핸들 노브(25)의 제4 환상면(150b2)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 탄성 부재(61) 및 제2 탄성 부재(62)를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각 베어링(제1 및 제2 베어링(33, 34)/제4 및 제5 베어링(133, 134))에 작용시키는 예압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각 베어링(제1 및 제2 베어링(33, 34)/제4 및 제5 베어링(133, 134))에 진동이 외부로부터 입력되었을 때에, 이 진동을 제1 및 제2 탄성 부재(61, 62)에 의하여 흡수할 수 있다.
(A2) 상기의 (A1)의 제1 탄성 부재(61) 및/또는 제2 탄성 부재(62)를 대신하여, 스페이서가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스페이서는, 멈춤링 또는 칼라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1)의 제1 탄성 부재(61) 및/또는 제2 탄성 부재(62)와, 스페이서를 병용하여도 무방하다.
덧붙여, 제1 탄성 부재(61) 및/또는 스페이서가 이용되는 경우, 릴 본체(3)의 제2 환상면(47a2)에는, 제1 탄성 부재(61) 및/또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제2 베어링(34)의 외륜(34b)이 당접한다. 또한, 제2 탄성 부재(62) 및/또는 스페이서가 이용되는 경우, 제4 환상면(150b2)에는, 제2 탄성 부재(62) 및/또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제4 베어링(133)의 외륜(133b)이 축 방향으로 당접한다.
(A3)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양 베어링 릴(1)에 대하여 제1 지지 구조(9) 및/또는 제2 지지 구조(109)가 적용되는 경우의 예가 나타내졌지만, 제1 지지 구조(9) 및/또는 제2 지지 구조(109)에 대응하는 지지 구조가, 다른 타입의 릴에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1: 양 베어링 릴
3: 릴 본체
5: 스풀
7, 107: 핸들 조립체
9: 제1 지지 구조
11: 프레임
23: 핸들 암
24: 노브축
25: 핸들 노브
31: 핸들축
33: 제1 베어링
34: 제2 베어링
35: 제1 스페이서
37: 제1 위치 결정 부재
39: 제1 규제 부재
41: 제3 베어링
45b1: 외주면
47a1: 내주면
61: 제1 탄성 부재
62: 제2 탄성 부재
109: 제2 지지 구조
133: 제4 베어링
134: 제5 베어링
135: 제2 스페이서
137: 제2 위치 결정 부재
139: 제2 규제 부재
145b1: 외주면
150b1: 내주면
X2: 핸들축의 축심
X3: 노브축의 축심

Claims (7)

  1. 축상(軸狀)으로 형성되고, 외주면(外周面)을 가지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축심으로부터 멀어지는 경(徑)방향에 있어서 상기 외주면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내주면(內周面)을 가지는 제2 부분과,
    상기 외주면 및 상기 내주면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축심을 따르는 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놓아 배치되는 제1 베어링 및 제2 베어링과,
    상기 제1 베어링의 내륜(內輪) 및 상기 제2 베어링의 내륜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와,
    상기 제1 베어링의 외륜(外輪) 및 제2 베어링의 외륜의 축 방향 간격이 상기 제1 베어링의 내륜 및 제2 베어링의 내륜의 축 방향 간격보다 작아지도록, 상기 제1 베어링의 외륜 및 상기 제2 베어링의 외륜 중 어느 일방(一方)이 상기 제1 베어링의 외륜 및 상기 제2 베어링의 외륜 중 어느 타방(他方)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어링의 외륜 및 상기 제2 베어링의 외륜 중 어느 일방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
    를 구비하는 낚시용 릴의 지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어링의 내륜, 상기 제2 베어링의 내륜, 및 상기 스페이서를, 상기 제1 부분에 대하여 상기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부재
    를 더 구비하는 낚시용 릴의 지지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베어링의 내륜 및 상기 제2 베어링의 내륜 중 어느 일방이 축 방향으로 당접(當接)하는 제1 당접면을 가지고,
    상기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제1 베어링의 내륜 및 상기 제2 베어링의 내륜 중 어느 타방을 상기 제1 당접면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낚시용 릴의 지지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베어링의 외륜 및 제2 베어링의 외륜 중 어느 타방이 축 방향으로 당접하는 제2 당접면을 가지는,
    낚시용 릴의 지지 구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어링의 외륜 및 제2 베어링의 외륜 중 어느 타방과, 상기 제2 부분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
    를 더 구비하는 낚시용 릴의 지지 구조.
  6.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과,
    상기 스풀에 상기 낚싯줄을 감기 위하여 조작되는 핸들 조립체와,
    상기 스풀 및 상기 핸들 조립체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지지 구조
    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핸들 조립체가 연결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를 가지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구동축에 포함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릴 본체에 포함되는,
    낚시용 릴.
  7.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고,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지지 구조를 가지는 핸들 조립체
    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 조립체는, 핸들 노브(knob)와, 상기 핸들 노브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노브축을 가지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노브축에 포함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핸들 노브에 포함되는,
    낚시용 릴.
KR1020210074215A 2020-09-08 2021-06-08 낚시용 릴의 지지 구조 KR202200330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50876 2020-09-08
JP2020150876A JP7465181B2 (ja) 2020-09-08 2020-09-08 釣り用リールの支持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004A true KR20220033004A (ko) 2022-03-15

Family

ID=80266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215A KR20220033004A (ko) 2020-09-08 2021-06-08 낚시용 릴의 지지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90606B2 (ko)
JP (1) JP7465181B2 (ko)
KR (1) KR20220033004A (ko)
CN (1) CN114145272A (ko)
DE (1) DE102021209908A1 (ko)
TW (1) TW20220996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5637A (ja) 2007-06-28 2009-01-15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1996A (ja) 2000-03-10 2001-09-18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ル
JP6033099B2 (ja) 2013-01-21 2016-11-3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6131514A (ja) 2015-01-17 2016-07-25 株式会社 34 釣り用リールに用いられるハンドル
JP6518520B2 (ja) 2015-03-18 2019-05-22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KR102656377B1 (ko) * 2015-12-11 2024-04-12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라인 롤러, 및, 그것을 가지는 낚시용 스피닝 릴
JP6856355B2 (ja) 2016-11-08 2021-04-07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の防水構造
JP6994932B2 (ja) * 2017-12-22 2022-01-14 株式会社シマノ ラインロー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5637A (ja) 2007-06-28 2009-01-15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90606B2 (en) 2022-11-08
JP2022045271A (ja) 2022-03-18
JP7465181B2 (ja) 2024-04-10
TW202209967A (zh) 2022-03-16
US20220071187A1 (en) 2022-03-10
DE102021209908A1 (de) 2022-03-10
CN114145272A (zh)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2022B2 (en) Spinning reel for fishing
US9861085B2 (en) Dual-bearing reel
JP7142133B2 (ja) 両軸受リールの操作レバー
JP6613169B2 (ja) 両軸受リール、及びそのレベルワインド機構
US20100038464A1 (en) Spool shaft support structure for dual-bearing reel
US10334833B2 (en) Spinning reel
JP2017148027A (ja) 両軸受リール
US9210922B2 (en) Dual-bearing reel
US10966418B2 (en) Fishing reel
US10433531B2 (en) Handle assembly for spinning reel and spinning reel
KR20220033004A (ko) 낚시용 릴의 지지 구조
KR102489975B1 (ko) 낚시용 릴
CN110012882B (zh) 钓鱼用渔线轮的轴承保持结构和钓鱼用渔线轮
JP4276964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11778999B2 (en) Fishing reel
US4394991A (en) Double bearing fishing reel
JP2009005637A (ja) 魚釣用リール
CN112005979A (zh) 钓鱼用绕线轮
US11122787B2 (en) Fishing reel
JP6235445B2 (ja) 魚釣用リール
JP2019004865A (ja) 両軸受リール
US10561130B2 (en) Roller clutch for fishing reel
JP4903181B2 (ja) 魚釣用リール
JP2023175553A (ja) 両軸受リール
JP2020054397A (ja) 両軸受リール及び制動力調整用の操作レ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