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843A - 방화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셔터 - Google Patents

방화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843A
KR20220032843A KR1020200114652A KR20200114652A KR20220032843A KR 20220032843 A KR20220032843 A KR 20220032843A KR 1020200114652 A KR1020200114652 A KR 1020200114652A KR 20200114652 A KR20200114652 A KR 20200114652A KR 20220032843 A KR20220032843 A KR 20220032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resistant
foam sheet
sheet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혁수
Original Assignee
최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혁수 filed Critical 최혁수
Priority to KR1020200114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2843A/ko
Publication of KR20220032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8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65Physical fire-barriers having as the main closure device materials, whose characteristics undergo an irreversible change under high temperatures, e.g. intum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8Sliding dam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시 열팽창하여 화염과 열을 차단할 수 있는 방화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셔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시트는,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평판 형상의 내화발포재 시트; 내화 소재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 속에 묻히도록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 1 내화 망체; 내화 소재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 속에 묻히도록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의 타면에 결합되는 제 2 내화 망체; 및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와 상기 제 1 내화 망체 및 상기 제 2 내화 망체를 꿰뚫어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와 상기 제 1 내화 망체 및 상기 제 2 내화 망체를 얽어매는 결속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방화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셔터{FIREPROOF SHEET AND FIREPROOF SHUTTER HAVING THE SMAE}
본 발명은 방화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시 열팽창하여 화염과 열을 차단할 수 있는 방화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셔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건물의 내부 전체로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화염을 차단할 수 있는 방화벽이나 방화문, 방화 셔터 등이 설치된다.
현행 건축법과 소방법에는 건축물 내부에 사용되는 마감 및 내장 재료는 불연·준불연·난연 재료를 사용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그리고 일정규모 이상의 건물은 방화 구획을 하도록 하고, 방화벽이나 방화문 또는 방화 셔터 등을 설치하도록 하여 화재 구역을 차단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이는 화재에 대한 대비로 화염의 확산 방지와 연소 시 발생하는 유독가스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방화 셔터의 경우, 지하상가, 지하철 역사, 학교나 백화점과 같은 각종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고,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비상 전원에 의하여 내화성 스크린이 자동으로 하강하여 통로를 차단함으로 화염이나 유독가스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방화 셔터나 방화문으로는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방화 셔터나 방화문은 차열 성능이 떨어지고, 고온에서 녹아 내리기 쉽다.
등록특허공보 제2084537호 (2020. 02. 27)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화재 시 열팽창하여 화염과 열을 차단할 수 있는 방화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셔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두께가 얇아 변형이 용이하고, 건물을 구성하는 각종 구조물 등 대상물의 표면에 간단하게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방화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시트는,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평판 형상의 내화발포재 시트; 내화 소재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 속에 묻히도록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 1 내화 망체; 내화 소재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 속에 묻히도록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의 타면에 결합되는 제 2 내화 망체; 및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와 상기 제 1 내화 망체 및 상기 제 2 내화 망체를 꿰뚫어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와 상기 제 1 내화 망체 및 상기 제 2 내화 망체를 얽어매는 결속선;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내화 망체와 상기 제 2 내화 망체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내화 망체와 상기 제 2 내화 망체를 이루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금속 와이어의 두께는 0.1 ~ 0.6mm일 수 있다.
상기 제 1 내화 망체와 상기 제 2 내화 망체는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 속에 완전히 묻히도록 각각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속선은 실리카 섬유, 유리 섬유, 카본 섬유, 내열성합성 섬유, 세라믹울 중에서 선택되는 내화섬유 또는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시트는,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의 일면 및 타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의 표면을 덮는 보호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선은 격자 무늬를 형성하여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와 상기 제 1 내화 망체 및 상기 제 2 내화 망체를 얽어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셔터는, 화재 발생 시 건물의 내부 공간을 차폐하기 위한 방화 셔터에 있어서, 굽힘 변형 가능한 방화 시트; 및 상기 방화 시트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방화 시트는,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평판 형상의 내화발포재 시트와, 내화 소재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 속에 묻히도록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 1 내화 망체와, 내화 소재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 속에 묻히도록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의 타면에 결합되는 제 2 내화 망체와,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와 상기 제 1 내화 망체 및 상기 제 2 내화 망체를 꿰뚫어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와 상기 제 1 내화 망체 및 상기 제 2 내화 망체를 얽어매는 결속선을 포함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방화 셔터는, 화재 발생 시 건물의 내부 공간을 차폐하기 위한 방화 셔터에 있어서, 굽힘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양쪽 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결합되는 방화 시트; 및 상기 스크린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방화 시트는,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평판 형상의 내화발포재 시트와, 내화 소재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 속에 묻히도록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 1 내화 망체와, 내화 소재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 속에 묻히도록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의 타면에 결합되는 제 2 내화 망체와,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와 상기 제 1 내화 망체 및 상기 제 2 내화 망체를 꿰뚫어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와 상기 제 1 내화 망체 및 상기 제 2 내화 망체를 얽어매는 결속선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시트는 방화벽이나 방화문, 방화 셔터 등 다양한 대상물의 표면에 간단하게 결합되어 이들 대상물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시트는 화재 발생 시 내화발포재 시트가 한 쌍의 내화 망체 및 결속선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팽창하여 내부 조직이 단단하게 유지되는 견고한 방어막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화염이나 열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 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 시트의 일부분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 시트가 적용된 방화 셔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방화 셔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방화 시트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시트가 구비된 방화 셔터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시트가 방화문에 적용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셔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 시트(100)는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내화발포재 시트(110)와, 내화발포재 시트(110)의 양쪽 면에 결합되는 제 1 내화 망체(120) 및 제 2 내화 망체(130)와, 내화발포재 시트(110) 및 한 쌍의 내화 망체(120)(130)를 결속시키는 결속선(140)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화 시트(100)는 방화벽이나 방화문, 방화 셔터 등 건물을 구성하는 각종 구조물의 표면에 결합되어 화재 시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다.
내화발포재 시트(110)는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열팽창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내화발포재 시트(110)는 화재 발생 시, 열을 받아 팽창함으로써 화염과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내화발포재 시트(110)는 팽창흑연이나 실리콘, 또는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다양한 열팽창성 물질이 혼합된 내화발포물질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내화 망체(120)는 적어도 일부가 내화발포재 시트(110)에 묻히도록 내화발포재 시트(110)의 일면에 치우쳐 설치된다. 제 1 내화 망체(120)는 복수의 통공(121)을 갖는다. 화재 발생 시 화재로 인한 열이 복수의 통공(121)을 통해 내화발포재 시트(110)의 일면으로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다. 제 1 내화 망체(120)는 화재 시 내화발포재 시트(110)가 건물의 구조물에서 분리되지 않고 팽창하도록 내화발포재 시트(110)를 지지할 수 있다.
제 1 내화 망체(120)는 쉽게 부식되지 않고 1000도 이상의 고온에서 견딜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1 내화 망체(120)는 가위 등의 공구를 통해 어렵지 않게 절단될 수 있도록 두께가 0.1 ~ 0.6mm인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내화 망체(120)를 구성하는 스테인리스 스틸은 다른 금속에 비하여 항장력(降張力)이 매우 커서 박판처럼 아주 얇게 가공할 수 있다. 또한 고온 강도가 매우 높아 500℃를 넘어서도 휘어지는 일이 거의 없다. 따라서 제 1 내화 망체(120)의 두께를 0.1mm 정도로 얇게 하더라도, 제 1 내화 망체(120)는 내화발포재 시트(110)가 팽창하는 과정 중에 내화발포재 시트(110)가 구조물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내화발포재 시트(110)를 단단히 지지할 수 있다.
제 1 내화 망체(120)는 스테인리스 스틸 이외에 열에 의해 팽창하는 내화발포재 시트(110)를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내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1 내화 망체(120)의 두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 2 내화 망체(130)는 적어도 일부가 내화발포재 시트(110)에 묻히도록 내화발포재 시트(110)의 타면에 치우쳐 설치된다. 제 2 내화 망체(130)는 복수의 통공(131)을 갖는다. 화재 발생 시 화재로 인한 열이 복수의 통공(131)을 통해 내화발포재 시트(110)의 타면으로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다. 제 2 내화 망체(130)는 화재 시 내화발포재 시트(110)가 건물의 구조물에서 분리되지 않고 팽창하도록 내화발포재 시트(110)를 지지할 수 있다.
제 2 내화 망체(130)는 제 1 내화 망체(120)와 같은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금속 와이어 등 다양한 내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속선(140)은 내화발포재 시트(110)와 제 1 내화 망체(120) 및 제 2 내화 망체를 꿰뚫어 이들을 얽어맨다. 결속선(140)은 도시된 것과 같이 격자 무늬를 형성하거나, 또는 다양한 다른 무늬를 형성하면서 내화발포재 시트(110)와 제 1 내화 망체(120) 및 제 2 내화 망체(130)를 결속할 수 있다.
결속선(140)은 실리카 섬유, 유리 섬유, 카본 섬유, 내열성합성 섬유, 세라믹울 등의 내화섬유나,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 와이어 등 다양한 내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 시트(100)는 한 쌍의 내화 망체(120)(130)가 내화발포재 시트(110)의 양쪽 면에 결합되고, 결속선(140)이 내화발포재 시트(110) 및 한 상의 내화 망체(120)(130)를 얽어매고 있으므로, 내화발포재 시트(110)를 구성하는 내화발포물질이 견고하게 응집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고, 온도나 습도 등 환경의 변화에도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그리고 내화발포재 시트(110)가 열팽창할 때 내화발포재 시트(110)의 내부 조직이 단단하게 유지됨으로써, 건물의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화염과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 시트(100)는 방화벽이나 방화문, 방화 셔터 등 건물을 구성하는 각종 구조물의 표면에 간단하게 결합되어 화재 시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다. 방화 시트(100)는 나사나 타카 핀 등 방화 시트(100)를 관통할 수 있는 고정부재를 이용하는 방법이나, 리벳팅, 박음질, 접착 등 다양한 방법으로 대상물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 시트(100)가 적용된 방화 셔터(200)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방화 셔터(200)는 건물의 내부 공간을 차폐할 수 있는 복수의 방화 시트(100)과, 복수의 방화 시트(100)를 움직이기 위한 승강장치(210)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화 셔터(100)는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화재 감지기(22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작동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건물의 내부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복수의 방화 시트(100)는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이 겹치도록 배치된다. 즉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복수의 방화 시트(100)는 각각 화염을 차폐하기 위해 하강한 상태에서 다른 방화 시트(100)와 가장자리 부분이 겹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방화 시트(100)가 부분적으로 겹치면서 건물의 내부 공간을 차폐함으로써, 방화 시트들(100) 사이의 틈새로 화염이나 연기가 전파되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셔터(200)는 화재 발생 시 방화 시트(100)가 열팽창함으로써 방화 시트들(100) 사이의 틈새가 더욱 안정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즉 화재 발생 시, 방화 시트(100)가 열팽창하여 방화 시트들(100) 사이의 틈새를 막아 방화 시트들(100) 사이의 틈새를 통한 화염이나 연기의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방화 시트들(100)이 겹치는 부분이 열팽창할 때 서로 엉겨 붙게 된다. 이와 같이 방화 시트들(100)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이 열팽창 시 결합됨으로써 복수의 방화 시트(100)는 하나의 막을 형성할 수 있고, 건물의 내부 공간을 더욱 안정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방화 시트(100)의 끝단에는 하부 바가 결합될 수 있다. 방화 시트(100)가 건물의 내부 공간을 차폐하도록 하강할 때 하부 바가 건물의 바닥에 접할 수 있다. 하부 바는 건물의 바닥에 접함으로써 방화 시트(100)가 건물의 바닥에서 들뜨지 않게 하고, 건물의 바닥과 방화 시트(100) 사이의 틈새로 화염이나 연기가 전파되는 문제를 줄여줄 수 있다.
승강장치(210)는 방화 시트(100)가 권취되는 권취 롤(211)과, 권취 롤(21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권취 롤 구동기(212)와, 권취 롤(211)과 권취 롤 구동기(212)를 수용하는 하우징(213)을 포함한다. 승강장치(210)는 도시된 것과 같이, 건물의 천장(10) 위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권취 롤(211)은 복수의 방화 시트(100)가 하나씩 권취되도록 복수의 방화 시트(100)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거나, 하나가 복수의 방화 시트(100)를 권취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권취 롤(211)의 개수에 따라 권취 롤 구동기(212)의 개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승강장치(210)는 도시된 것과 같이 방화 시트(100)를 감거나 풀어내는 구조 이외에, 방화 시트(100)를 승강시킬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방화 셔터(100)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복수의 방화 시트(100)가 승강장치(210)에 의해 감겨 건물의 내부 공간을 개방한 상태로 건물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 감지기(220)가 감지 신호를 발생하면, 승강장치(210)가 화재 감지기(22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작동한다. 이때,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복수의 방화 시트(100)가 승강장치(210)에서 풀리고 천장(10)의 관통구(11)를 통과하여 건물의 바닥(20) 쪽으로 하강한다. 승강장치(210)에서 풀리는 복수의 방화 시트(100)는 각각의 끝단이 건물의 바닥(20)에 접근 또는 접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복수의 방화 시트(100)는 각각 가장자리가 다른 방화 시트(100)의 가장자리와 포개져서 건물의 내부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방화 시트(100)가 건물의 내부 공간을 차폐한 상태에서 화재로 인한 열이 도달하면 방화 시트(100)의 내화발포재 시트(110)가 팽창하게 된다. 이때, 내화발포재 시트(110)는 한 쌍의 내화 망체(120)(130) 및 결속선(14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팽창하므로 내부 조직이 단단하게 유지되어 견고한 방어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방화 시트들(100)이 겹치는 부분이 열팽창할 때 서로 엉겨 붙어 복수의 방화 시트(100)는 하나의 막을 형성하여 화염과 열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 시트(100)는 방화벽이나 방화문, 방화 셔터 등 대상물의 표면에 간단하게 결합되어 이들 대상물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 시트(100)는 화재 발생 시 내화발포재 시트(110)가 한 쌍의 내화 망체(120)(130) 및 결속선(14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팽창하여 내부 조직이 단단하게 유지되는 견고한 방어막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화염이나 열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은 방화 시트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6에 나타낸 방화 시트(300)는 내화발포재 시트(110)의 양쪽 면에 보호재(310)가 결합되어 내화발포재 시트(110)의 표면을 덮는 것이다. 보호재(310)는 내화발포재 시트(110)의 표면을 덮도록 내화발포재 시트(110)와 결합됨으로써, 내화발포재 시트(110)의 표면 조직을 견고하게 잡아주고 내화발포재 시트(110)를 구성하는 내화발포물질을 퍼지지 않게 한다. 즉 보호재(310)는 고온 환경이나, 다습한 환경에서 내화발포재 시트(110)의 표면 조직이 느슨해지고 처지거나 변형되는 문제를 방지한다. 보호재(310)는 부직포나 천 등 내화발포재 시트(110)의 일면에 결합되어 내화발포재 시트(110)의 표면 조직을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방화 시트(400)는 제 1 내화 망체(120)와 제 2 내화 망체(130)가 각각 내화발포재 시트(110) 속에 완전히 묻히도록 내화발포재 시트(110)에 결합된 것이다.
도 8에 나타낸 방화 시트(500)는 한쪽 길이가 긴 직사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방화 시트(500)는 다양한 대상물의 표면에 결합되어 화염과 열을 차단하는 방어막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방화 시트(500)가 적용된 방화 셔터(6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나타낸 방화 셔터(600)는 스크린(610)과, 스크린(610)에 결합되는 복수의 방화 시트(500)와, 스크린(610)을 움직이기 위한 승강장치(210)를 포함한다. 승강장치(210)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화 셔터(600)는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화재 감지기(22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작동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건물의 내부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스크린(610)은 천 등의 굽힘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스크린(610)으로는 실리카 섬유, 유리 섬유, 카본 섬유, 내열성합성 섬유, 세라믹울 등의 방화천 또는 그 밖에 권취 롤(211)에 감길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화 시트(5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스크린(61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와이어나, 내화 실 등으로 방화 시트(500)를 스크린(610)에 박음질하거나 결속하여 방화 시트(500)를 스크린(610)에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나사나 타카 핀 등 방화 시트(500)를 관통할 수 있는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방화 시트(500)를 스크린(61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리벳팅이나, 접착 또는 그 밖에 다양한 방법이 방화 시트(500)를 스크린(610)에 고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화 셔터(600)는 스크린(610)이 승강장치(210)에 의해 감겨 건물의 내부 공간을 개방한 상태로 건물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 감지기(220)가 감지 신호를 발생하면, 승강장치(210)가 화재 감지기(22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작동한다. 이때, 스크린(610)이 승강장치(210)에서 풀려 건물의 바닥(20) 쪽으로 하강하여 건물의 내부 공간을 차폐한다.
스크린(610)이 건물의 내부 공간을 차폐한 상태에서 화재로 인한 열이 방화 시트(500)에 도달하면 내화발포재 시트(110)가 팽창하게 된다. 열이 내화발포재 시트(110)에 도달할 때, 한 쌍의 내화 망체(120)(130)가 스크린(6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내화발포재 시트(110)를 지지함으로써 내화발포재 시트(110)가 스크린(610)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팽창할 수 있다. 열팽창하는 방화 시트(100)는 스크린(610)의 표면을 덮는 방어막을 형성함으로써 화염과 열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시트가 방화문에 적용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방화 시트(500)는 방화문(700)의 표면에 결합되어 방화문(700)의 표면을 덮을 수 있다. 방화 시트(500)는 나사 결합, 리벳팅 등 다양한 방법으로 방화문(700)에 고정될 수 있다.
방화 시트(500)가 방화문(700)의 표면은 덮은 상태에서 화재로 인한 열이 방화 시트(500)에 도달하면 내화발포재 시트(110)가 팽창하게 된다. 열이 내화발포재 시트(110)에 도달할 때, 한 쌍의 내화 망체(120)(130)가 방화문(7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내화발포재 시트(110)를 지지함으로써 내화발포재 시트(110)가 방화문(700)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팽창할 수 있다. 열팽창하는 방화 시트(500)는 방화문(700)의 표면을 덮는 방어막을 형성함으로써 화염과 열의 전파를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내화 망체가 내화발포재 시트의 일면 전체를 덮는 크기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내화 망체는 내화발포재 시트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내화발포재 시트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시트는 방화 셔터나 방화문 이외에 건물의 다양한 구조물 표면에 결합되어 구조물을 화염과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300, 400, 500 : 방화 시트 110 : 내화발포재 시트
120 : 제 1 내화 망체 130 : 제 2 내화 망체
140 : 결속선 200, 600 : 방화 셔터
210 : 승강장치 211 : 권취 롤
212 : 권취 롤 구동기 213 : 하우징
220 : 화재 감지기 310 : 보호재
610 : 스크린 700 : 방화문

Claims (9)

  1.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평판 형상의 내화발포재 시트;
    내화 소재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 속에 묻히도록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 1 내화 망체;
    내화 소재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 속에 묻히도록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의 타면에 결합되는 제 2 내화 망체; 및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와 상기 제 1 내화 망체 및 상기 제 2 내화 망체를 꿰뚫어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와 상기 제 1 내화 망체 및 상기 제 2 내화 망체를 얽어매는 결속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화 망체와 상기 제 2 내화 망체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화 망체와 상기 제 2 내화 망체를 이루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금속 와이어의 두께는 0.1 ~ 0.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화 망체와 상기 제 2 내화 망체는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 속에 완전히 묻히도록 각각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선은 실리카 섬유, 유리 섬유, 카본 섬유, 내열성합성 섬유, 세라믹울 중에서 선택되는 내화섬유 또는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의 일면 및 타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의 표면을 덮는 보호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선은 격자 무늬를 형성하여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와 상기 제 1 내화 망체 및 상기 제 2 내화 망체를 얽어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시트.
  8. 화재 발생 시 건물의 내부 공간을 차폐하기 위한 방화 셔터에 있어서,
    굽힘 변형 가능한 방화 시트; 및
    상기 방화 시트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방화 시트는,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평판 형상의 내화발포재 시트와,
    내화 소재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 속에 묻히도록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 1 내화 망체와,
    내화 소재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 속에 묻히도록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의 타면에 결합되는 제 2 내화 망체와,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와 상기 제 1 내화 망체 및 상기 제 2 내화 망체를 꿰뚫어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와 상기 제 1 내화 망체 및 상기 제 2 내화 망체를 얽어매는 결속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9. 화재 발생 시 건물의 내부 공간을 차폐하기 위한 방화 셔터에 있어서,
    굽힘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양쪽 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결합되는 방화 시트; 및
    상기 스크린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방화 시트는,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평판 형상의 내화발포재 시트와,
    내화 소재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 속에 묻히도록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 1 내화 망체와,
    내화 소재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 속에 묻히도록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의 타면에 결합되는 제 2 내화 망체와,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와 상기 제 1 내화 망체 및 상기 제 2 내화 망체를 꿰뚫어 상기 내화발포재 시트와 상기 제 1 내화 망체 및 상기 제 2 내화 망체를 얽어매는 결속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KR1020200114652A 2020-09-08 2020-09-08 방화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셔터 KR202200328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652A KR20220032843A (ko) 2020-09-08 2020-09-08 방화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652A KR20220032843A (ko) 2020-09-08 2020-09-08 방화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셔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843A true KR20220032843A (ko) 2022-03-15

Family

ID=80816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652A KR20220032843A (ko) 2020-09-08 2020-09-08 방화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284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537B1 (ko) 2019-06-04 2020-03-04 임백종 무기둥 방화 스크린 셔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537B1 (ko) 2019-06-04 2020-03-04 임백종 무기둥 방화 스크린 셔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8874A (en) Fire resistant barrier for dynamic expansion joints
JP2008531323A (ja) ダクトラップおよびダクトの防火方法
JP2009215721A (ja) 耐火断熱シート
US20110088918A1 (en) Fire-rated multilayer fabric with intumescent layer
KR20070071802A (ko)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방화판
KR101273817B1 (ko) 스크린형 차열방화셔터
KR20220032843A (ko) 방화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셔터
US9428904B2 (en) Modular joint barrier retainer assembly and method
JP2017218813A (ja) 開閉装置
JP3740332B2 (ja) 防火防煙シャッター
JP3638826B2 (ja) 防火防煙シャッター
KR20220032842A (ko) 방화 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RU2270311C2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ая дверь и ригель для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двери
JP3672744B2 (ja) 天井や壁等に用いる面材の補強構造
JP3477547B2 (ja) 捲込防火シヤツター
JP2015140541A (ja) 開口部用の防火設備
KR100695686B1 (ko) 건축물 외벽에 설치되는 방화판
KR102403870B1 (ko) 내화발포재 유닛
JP5341329B2 (ja) 換気口スクリーンとこれを用いた軒裏換気口構造
JP2008099428A (ja) 耐火用充填材支持装置、及び、耐火用充填材支持方法
GB2515332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ire safety
DK181101B1 (en) Fire resistant door and method of producing a fire resistant door
KR102587308B1 (ko) 내화채움재의 비산 탈락 방지구
JP2006087543A (ja) 防火構造
JP4701199B2 (ja) 防火防煙区画用スクリーンシャッ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