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821A -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 - Google Patents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821A
KR20220032821A KR1020200114603A KR20200114603A KR20220032821A KR 20220032821 A KR20220032821 A KR 20220032821A KR 1020200114603 A KR1020200114603 A KR 1020200114603A KR 20200114603 A KR20200114603 A KR 20200114603A KR 20220032821 A KR20220032821 A KR 20220032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heelchair
driving
user
referen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0888B1 (ko
Inventor
김용철
홍응표
남기태
허윤
장대진
김규석
이석민
Original Assignee
근로복지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근로복지공단 filed Critical 근로복지공단
Priority to KR1020200114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888B1/ko
Publication of KR20220032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61G5/02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having particular propulsion mechanisms
    • A61G5/02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having particular propulsion mechanisms acting on wheels, e.g. on tires or hand ri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8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torqu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4Wheel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휠체어의 운전특성을 분석하는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은 휠체어의 좌바퀴에 설치되어 상기 좌바퀴의 회전정보를 센싱하는 제1 센서부; 휠체어의 우바퀴에 설치되어 상기 우바퀴의 회전정보를 센싱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1 센서부로부터 획득한 회전정보 및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획득한 회전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휠체어 운전특성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ANALYSIS SYSEM FOR DRIVING WHEELCHAIR}
본 발명은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의 좌바퀴 및 우바퀴에 배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휠체어 사용자의 운전특성을 분석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거동이 불편한 휠체어의 이용자의 경우 핸드림에 회전력을 가하여 휠체어를 운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휠체어를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운전하는 교육이나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이 부족한 현실이다.
휠체어의 이용자가 지속적으로 잘못된 방법으로 휠체어를 운전하는 경우 10년 이르면 3년 내에 팔, 어때, 척추 등에 부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빈번하고 있다.
따라서, 휠체어 이용자에게 자신에 신체에 맞는 방법으로 휠체어를 운전할 수 있도록 이를 뒷받침하는 시스템이 절실한 실정이다.
한편,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3028295 U호(1996.06.12)에서는 휠체어 사이클링용 훈련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는 휠체어의 주행을 측정하여 운동량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나, 사용자의 신체조건, 전진 운전, 후진 운전 등 다양한 환경을 반영하지 못하고 오로지 운동량을 표시하는 것에 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휠체어 이용자의 신체조건에 맞는 휠체어 운전방법을 제공하는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휠체어의 운전특성을 분석하는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은 휠체어의 좌바퀴에 설치되어 상기 좌바퀴의 회전정보를 센싱하는 제1 센서부; 휠체어의 우바퀴에 설치되어 상기 우바퀴의 회전정보를 센싱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1 센서부로부터 획득한 회전정보 및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획득한 회전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휠체어 운전특성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에 의하면, 휠체어 이용자의 신체조건에 맞는 휠체어 운전방법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의 휠체어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의 개략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의 사용자 정보 및 기준정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정보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의 운전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휠체어의 운전특성을 분석하는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은 휠체어의 좌바퀴에 설치되어 상기 좌바퀴의 회전정보를 센싱하는 제1 센서부; 휠체어의 우바퀴에 설치되어 상기 우바퀴의 회전정보를 센싱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1 센서부로부터 획득한 회전정보 및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획득한 회전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휠체어 운전특성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바퀴의 회전정보, 상기 우바퀴의 회전정보 및 상기 기준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동시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바퀴의 회전정보와 상기 기준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좌바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우바퀴의 회전정보와 상기 기준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우바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좌바퀴에 대한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우바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상기 좌바퀴의 회전정보, 상기 우바퀴의 회전정보 및 상기 기준정보와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기준정보는 휠체어의 전진 운전에 대한 기준정보 및 휠체어의 후진에 대한 기준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기준정보는 휠체어의 좌회전 운전에 대한 기준정보 및 휠체어의 우회전 운전 대한 기준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의 휠체어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의 개략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의 사용자 정보 및 기준정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정보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의 운전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은 휠체어(1) 사용자에게 휠체어(1)의 적절한 운전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일 수 있다.
일례로, 휠체어(1)는 좌바퀴(L)와 우바퀴(R)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좌바퀴(L) 및 상기 우바퀴(R)가 각각 구비하는 핸드림을 파지하여 외력을 가하여 휠체어(1)를 운전하게 된다.
상기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휠체어(1)의 적절한 운전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가 휠체어(1)를 운전하는 것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일례로, 상기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은 휠체어(1)의 좌바퀴(L)에 설치되어 상기 좌바퀴(L)의 회전정보를 센싱하는 제1 센서부(10) 및 휠체어(1)의 우바퀴(R)에 설치되어 상기 우바퀴(R)의 회전정보를 센싱하는 제2 센서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부(10)는 상기 좌바퀴(L)에 연결 고정되어 상기 좌바퀴(L)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센서부(20)는 상기 우바퀴(R)에 연결 고정되어 상기 우바퀴(R)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부(10) 및 상기 제2 센서부(20)는 각각 상기 좌바퀴(L) 및 상기 우바퀴(R)의 회전에 대한 상기 회전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센서부(10)는 상기 회전정보를 측정하는 정보 획득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정보 획득부는 6축 토크센서, 자이로 센서, 압력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한 센서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센서부(10)는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및 외부 분석장치(30)로 상기 회전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센서부(10)는 상기 정보 획득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센서부(20)는 상기 제1 센서부(1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센서부(10) 및 상기 제2 센서부(20)는 각각 상기 좌바퀴(L) 및 상기 우바퀴(R)에 설치되어 상기 좌바퀴(L)의 상기 회전정보 및 상기 우바퀴(R)의 상기 회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회전정보는 회전에 대한 정보로서, 사용자가 핸드림에 가한 외력에 의해 변화되는 회전량, 회전속도, 회전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은 상기 제1 센서부(10)로부터 획득한 회전정보 및 상기 제2 센서부(20)로부터 획득한 회전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휠체어(1) 운전특성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휠체어(1)에 부착되지 않은 별개의 분석장치(30) 중 일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분석장치(30)는 상기 제1 센서부(10) 및 상기 제2 센서부(20)의 통신부로부터 상기 회전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소정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장치(30)는 소정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소정의 정보를 더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부(10) 및 상기 제2 센서부(20)로부터 각각 실시간으로 상기 회전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기초로 미리 저장된 상기 기준정보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휠체어(1)의 운전특성에 대한 결과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기준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준정보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른 매칭 테이블로 미리 산출되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준정보는 사용자에 따라 휠체어(1)를 바람직하게 운전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운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사용자 정보는 휠체어(1) 사용자에 대한 정보로서 사용자의 성별, 나이, 몸무게, 휠체어 무게, 앉은 키, 팔 길이, 팔 근력량, 어깨 근력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연산식 및/또는 매칭을 통해 해당 사용자에 대한 상기 기준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몸무게 등의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알맞은 휠체어(1)의 운전에 대한 상기 기준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준정보는 전진 운전에 대한 기준정보, 후진 운전에 대한 기준정보, 좌회전 운전에 대한 기준정보 및 우회전 운전에 대한 기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기준정보는 사용자가 핸드림에 가하는 힘에 대한 기준정보, 힘을 가하는 주기에 대한 기준정보, 좌우 핸드림에 가하는 힘의 밸런스에 대한 기준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사용자가 상기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휠체어(1)의 핸드림에 외력을 가해 휠체어(1)를 운전함으로써 자신의 운전특성에 대한 분석을 받을 수 있다.
도 4는 전진 운전에 대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바퀴(L)의 회전정보, 상기 우바퀴(R)의 회전정보 및 상기 기준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동시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4에 볼 수 있듯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좌바퀴(L)에 대한 상기 회전정보 및 상기 기준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회전정보는 상기 제1 센서부(10)에 의해 획득된 정보로서, 사용자가 좌바퀴(L)에 대해 시간에 따라 가한 힘의 세기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회전정보와 동시에 상기 사용자 정보에 의해 도출된 좌바퀴(L)에 대한 상기 기준정보가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여기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바퀴(L)의 회전정보(LI)와 상기 기준정보(LS)를 비교하여 상기 좌바퀴(L)에 대한 피드백 정보(ㅿT, ㅿt, ㅿF, ㅿf) 를 산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동시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좌바퀴(L)에 대한 상기 회전정보와 상기 기준정보를 동시에 표시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상기 기준정보의 힘과 상기 회전정보의 힘의 차이, 상기 기준정보의 주기와 상기 회전정보의 주기와의 차이 등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회전정보에서 가해지는 힘의 차이도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좌바퀴(L)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바퀴(R)에 대한 상기 회전정보(RI)와 우바퀴(R)에 대한 상기 기준정보(RS) 및 상기 우바퀴(R)의 회전정보와 상기 기준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우바퀴(R)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산출하며,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우바퀴(R)에 대한 상기 회전정보, 우바퀴(R)에 대한 상기 기준정보 및 상기 피드백 정보가 동시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좌바퀴(L) 및 우바퀴(R)에 가하는 힘의 세기, 주기 등을 볼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기준정보 및 상기 피드백 정보를 통해 자신의 운전특성을 고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각각 획득한 상기 회전정보를 하나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도 4의 밸런스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좌바퀴(L)에 대한 상기 회전정보(LI)와 우바퀴(R)에 대한 상기 회전정보(RI)를 상호 비교할 수 있도록 시간에 따란 힘의 변화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좌바퀴(L)에 대한 상기 회전정보와 우바퀴(R)에 대한 상기 회전정보를 기초로 방향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방향에 관한 도면 중 좌측 도면은 좌바퀴(L)에 대한 상기 회전정보와 우바퀴(R)에 대한 상기 회전정보를 기초로 도출된 방향에 관한 정보이며, 우측 도면은 상기 기준정보를 기초로 도출된 방향에 관한 정보이다.
표시된 포인트(P)는 사용자가 힘을 준 시점에 대한 지점으로서 상기 포인트(P)를 통해 주기를 알 수도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상기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을 통해 자신이 휠체어(1)를 운전하는 특성에 대한 잘못된 점을 피드백 받을 수 있고, 상기 기준정보를 통해 용이하게 운전특성을 고칠 수 있어, 휠체어(1) 운전에 대한 훈련을 쉽게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준정보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며, 나아가 전진 운전, 후진 운전, 좌회전 운전 및 우회전 운전 등과 같이 운전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즉, 상기 기준정보는 운전 종류에 따라 전진 운전에 대한 기준정보, 후진 운전에 대한 기준정보, 좌회전 운전에 대한 기준정보 및 우회전 운전에 대한 기준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자신의 사용자 정보뿐만 아니라 운전 종류에 대해서도 미리 입력을 해야 한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운전 종류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상기 기준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5는 운전 종류 정보의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운전특성을 산출하기 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1 센서부(10) 및 상기 제2 센서부(20)로부터 상기 회전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운전 종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운전 종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 센서부(10) 및 상기 제2 센서부(20)의 상기 회전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운전 종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3초 간 사용자에게 상기 운전 종류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3초 내에서 좌바퀴(L) 및 우바퀴(R)의 핸드림을 조작하여 자신의 분석하려고 하는 상기 운전 종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일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바퀴(L)에 대해 사용자가 가한 힘(LI)과 우바퀴(R)에 대해 사용자가 가한 힘(RI)이 미리 설정된 전진 임계값(K1)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전진 운전에 대한 상기 운전 종류 정보를 입력한 것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전진 운전에 대한 상기 기준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좌바퀴(L)에 대해 사용자가 가한 힘(LI)과 우바퀴(R)에 대해 사용자가 가한 힘(RI)이 미리 설정된 후진 임계값(K2)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후진 운전에 대한 상기 운전 종류 정보를 입력한 것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후진 운전에 대한 상기 기준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좌바퀴(L)에 대해 사용자가 가한 힘(LI)은 상기 전진 임계값(K1) 이하이며, 우바퀴(R)에 대해 사용자가 가한 힘(RI)이 상기 전진 임계값(K1)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좌회전 운전에 대한 상기 운전 종류 정보를 입력한 것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좌회전 운전에 대한 상기 기준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좌바퀴(L)에 대해 사용자가 가한 힘(LI)은 상기 전진 임계값(K1) 초과이며, 우바퀴(R)에 대해 사용자가 가한 힘(RI)이 상기 전진 임계값(K1)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우회전 운전에 대한 상기 운전 종류 정보를 입력한 것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우회전 운전에 대한 상기 기준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그 결과,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은 전진 운전뿐만 아니라 후진 운전, 좌회전 운전 및 우회전 운전에 대해서도 쉽게 상기 기준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L: 좌바퀴
R: 우바퀴
10: 제1 센서부
20: 제2 센서부
30: 분석장치

Claims (5)

  1. 사용자의 휠체어의 운전특성을 분석하는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에 있어서,
    휠체어의 좌바퀴에 설치되어 상기 좌바퀴의 회전정보를 센싱하는 제1 센서부;
    휠체어의 우바퀴에 설치되어 상기 우바퀴의 회전정보를 센싱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1 센서부로부터 획득한 회전정보 및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획득한 회전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휠체어 운전특성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바퀴의 회전정보, 상기 우바퀴의 회전정보 및 상기 기준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동시에 표시되도록 하는,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바퀴의 회전정보와 상기 기준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좌바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우바퀴의 회전정보와 상기 기준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우바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좌바퀴에 대한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우바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상기 좌바퀴의 회전정보, 상기 우바퀴의 회전정보 및 상기 기준정보와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정보는,
    휠체어의 전진 운전에 대한 기준정보 및 휠체어의 후진에 대한 기준정보를 구비하는,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
  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정보는,
    휠체어의 좌회전 운전에 대한 기준정보 및 휠체어의 우회전 운전 대한 기준정보를 구비하는,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
KR1020200114603A 2020-09-08 2020-09-08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 KR102420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603A KR102420888B1 (ko) 2020-09-08 2020-09-08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603A KR102420888B1 (ko) 2020-09-08 2020-09-08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821A true KR20220032821A (ko) 2022-03-15
KR102420888B1 KR102420888B1 (ko) 2022-07-15

Family

ID=80816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603A KR102420888B1 (ko) 2020-09-08 2020-09-08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888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0921A (ja) * 1995-10-31 1997-05-16 Yamaha Motor Co Ltd 電動車両の速度制御装置
JP2006065762A (ja) * 2004-08-30 2006-03-09 Railway Technical Res Inst 算出装置及び車椅子
KR101244246B1 (ko) * 2011-12-07 2013-04-10 인덕대학교 산학협력단 힘 보조형 전동 휠체어의 구동 방법
KR20130063772A (ko) * 2011-12-07 2013-06-17 인덕대학교 산학협력단 힘 보조형 전동 장치 및 힘 보조형 전동 휠체어
KR20150004230A (ko) * 2013-07-02 2015-01-12 자동차부품연구원 전동휠체어의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38119A (ko) * 2014-09-29 2016-04-07 근로복지공단 휠체어에서 좌우의 토크 밸런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125695A (ko) * 2016-05-04 2017-11-15 피플리안주식회사 전동휠체어의 조이스틱 시스템
KR101838889B1 (ko) * 2016-09-28 2018-03-20 대한민국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35190A (ko) * 2017-09-26 2019-04-03 근로복지공단 회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KR101977681B1 (ko) * 2018-08-29 2019-05-13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전동 휠체어의 위험 감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0921A (ja) * 1995-10-31 1997-05-16 Yamaha Motor Co Ltd 電動車両の速度制御装置
JP2006065762A (ja) * 2004-08-30 2006-03-09 Railway Technical Res Inst 算出装置及び車椅子
KR101244246B1 (ko) * 2011-12-07 2013-04-10 인덕대학교 산학협력단 힘 보조형 전동 휠체어의 구동 방법
KR20130063772A (ko) * 2011-12-07 2013-06-17 인덕대학교 산학협력단 힘 보조형 전동 장치 및 힘 보조형 전동 휠체어
KR20150004230A (ko) * 2013-07-02 2015-01-12 자동차부품연구원 전동휠체어의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38119A (ko) * 2014-09-29 2016-04-07 근로복지공단 휠체어에서 좌우의 토크 밸런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125695A (ko) * 2016-05-04 2017-11-15 피플리안주식회사 전동휠체어의 조이스틱 시스템
KR101838889B1 (ko) * 2016-09-28 2018-03-20 대한민국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35190A (ko) * 2017-09-26 2019-04-03 근로복지공단 회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KR101977681B1 (ko) * 2018-08-29 2019-05-13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전동 휠체어의 위험 감지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888B1 (ko) 2022-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3866B2 (en) Walker-assist device
US8025607B2 (en) Instrumented handle and pedal systems for use in rehabilitation, exercise and training equipment
US9754158B2 (en) Training device
EP3287351B1 (en) Inverted pendulum type vehicle and ankle torque estimation method
Chénier et al. A new wheelchair ergometer designed as an admittance-controlled haptic robot
US20060229159A1 (en) Balance training device
US9904449B2 (en) Method for producing a control profile to operate a mobility device
Harrison et al. Enhancement of a virtual reality wheelchair simulator to includ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erformance metrics
Lai et al. GAVRe 2: towards data-driven upper-limb rehabilitation with adaptive-feedback gamification
KR102420888B1 (ko)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
US20150245961A1 (en) Method for producing or calibrating a control profile for a wheelchair
Salimi et al. Development of three versions of a wheelchair ergometer for curvilinear manual wheelchair propulsion using virtual reality
KR101476507B1 (ko) 휠체어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과 재활을 위한 부하 선택형 휠체어
TWI542384B (zh) Sports training methods
JP7283217B2 (ja) 歩幅算出システム
KR101831797B1 (ko) 상호반응형 가상현실 자전거 라이딩 시스템 및 그 시뮬레이션 방법
KR102428007B1 (ko) 사용자 근력향상을 위한 맞춤형 어시스트 휠체어 제어방법
WO2020230727A1 (ja) 配信システム
KR101371962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방법 및 그 장치
KR102375117B1 (ko) 게임 컨텐츠와 연동되는 홈사이클
KR101225416B1 (ko) 연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서로에 대해 연결된 작동요소들을 갖는 훈련 장치
Silva et al. Modeling a hands-free controlled power wheelchair
KR20240047282A (ko)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 이들의 제어 방법
IT202000005884A1 (it) Dispositivo di rilevazione per attrezzi per attivita' fisiche, preferibilmente per bastoncini sportivi
Costa A biofeedback strategy for human postural sway control in a smart wal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